KR20180126364A - 듀얼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듀얼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6364A
KR20180126364A KR1020180024353A KR20180024353A KR20180126364A KR 20180126364 A KR20180126364 A KR 20180126364A KR 1020180024353 A KR1020180024353 A KR 1020180024353A KR 20180024353 A KR20180024353 A KR 20180024353A KR 20180126364 A KR20180126364 A KR 20180126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main body
reel
adjusting member
opera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5157B1 (ko
Inventor
구니오 다케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80126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 A01K89/011223Frame details with bear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46Manual pressure control
    • A01K89/047Radially appli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46Manual press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57Axially engag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57Axially engaged
    • A01K89/058Coaxial with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57Axially engaged
    • A01K89/059Axially engaged on adjustable lev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너트 부재가 핸들 측으로 돌출되거나 릴 본체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조정 부재(6)는, 제1 릴 본체부에 장착되고, 제동 기구에 의한 제동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정 부재(6)는,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 및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64)를 가지고 있다. 조작 레버(7)는, 조정 부재(6)에 장착되고, 플랜지부(64)와 제1 릴 본체부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너트 부재(8)는, 조작 레버(7)와 제1 릴 본체부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너트 부재(8)는, 조정 부재(6)의 나사부에 나사결합한다.

Description

듀얼 베어링 릴{DUAL-BEARING REEL}
본 발명은, 듀얼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듀얼 베어링 릴은, 일반적으로, 캐스팅 컨트롤 기구(casting control mechanism)를 구비하고 있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는, 스풀(spool)의 회전을 조정하는 기구이다. 예를 들면, 캐스팅 컨트롤 기구는, 스풀과 일체로 회전하는 스풀축(spool shaft)에 마찰력을 가하는(applying) 것에 의해, 클러치 오프 상태 시의 스풀의 회전을 조정한다. 이로써, 낚싯줄 송출 시의 스풀의 회전 속도를 억제하여, 백래시(backlash)를 방지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듀얼 베어링 릴은, 캐스팅 컨트롤 기구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조작 레버가 릴 본체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조작 레버를 주위 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스풀축에 대한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 평9―275861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제2016―220547호 공보
특허문헌 2에는, 릴 본체에 장착된 조정 부재에 의해 스풀축에 대한 제동력을 조정하고, 이 조정 부재에 조작 레버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조정 부재에 대하여 조작 레버를 장착하고, 너트 부재로 체결하여 조작 레버를 체결한다. 즉, 릴 본체 측으로부터, 조정 부재, 조작 레버, 너트 부재의 순으로 배치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조작 레버의 장착 각도를 조정할 때 등에 너트 부재를 느슨하게 하면, 너트 부재가 릴 본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므로, 핸들 등의 다른 부재에 간섭할 우려가 있다. 또한, 느슨하게 했을 때 너트 부재가 탈락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너트 부재가 핸들 측으로 돌출되거나 릴 본체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제1 릴 본체부와, 제2 릴 본체부와, 스풀과, 제동 기구와, 조정 부재와, 조작 레버와, 너트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릴 본체부는, 제1 릴 본체부와 축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스풀은, 제1 릴 본체부와 제2 릴 본체부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동 기구는, 스풀의 회전을 제동한다. 조정 부재는, 제1 릴 본체부에 장착되고, 제동 기구에 의한 제동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정 부재는, 통형(筒形)이다. 조정 부재는, 외주면(外周面)에 형성된 나사부, 및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다. 조작 레버는, 조정 부재에 장착되고, 플랜지부와 제1 릴 본체부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너트 부재는, 조작 레버와 제1 릴 본체부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너트 부재는, 조정 부재의 나사부에 나사결합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너트 부재를 나사부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너트 부재와 플랜지부로 조작 레버를 체결하고 있다. 그러므로, 조작 레버는, 조정 부재와 일체로 회전 가능해진다. 그리고, 조정 부재에 대한 조작 레버의 장착 각도를 조정하려고 할 때는, 너트 부재를 느슨하게 하여, 플랜지부와 너트 부재에 의한 조작 레버의 체결을 해제한다. 이 결과, 조작 레버의 장착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너트 부재는, 제1 릴 본체부와 조작 레버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너트 부재를 느슨하게 했을 때, 너트 부재는, 제1 릴 본체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고, 제1 릴 본체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너트 부재가 핸들 측으로 돌출되거나 릴 본체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는 플랜지부와 제1 릴 본체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조작 레버가 제1 릴 본체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탈락하는 것을, 플랜지부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듀얼 베어링 릴은, 스풀과 일체로 회전하는 스풀축을 더 구비한다. 이 경우, 제동 기구는, 스풀축의 회전을 제동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스풀의 회전을 제동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조정 부재 및 조작 레버의 한쪽은, 주위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를 가진다. 그리고, 조정 부재 및 조작 레버의 다른 쪽은,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 중 어느 하나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 볼록부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정 부재 및 조작 레버의 다른 쪽의 걸어맞춤 볼록부는, 조정 부재 및 조작 레버의 한쪽의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 중 어느 하나와 걸어맞추어진다. 그러므로, 이 걸어맞춤 볼록부와 걸어맞춤 오목부와의 걸어맞춤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조정 부재에 대한 조작 레버의 장착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정 부재 및 상기 조작 레버의 한쪽은, 본체 부재와, 본체 부재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위치 결정 부재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 오목부는, 위치 결정 부재에 형성된다.
걸어맞춤 오목부가 조정 부재에 형성되고, 걸어맞춤 볼록부가 조작 레버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걸어맞춤 오목부가 조작 레버에 형성되고, 걸어맞춤 볼록부가 조정 부재에 형성되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듀얼 베어링 릴은, 가압 부재를 더 구비한다. 걸어맞춤 볼록부는, 진퇴(進退) 가능하게 배치된 걸어맞춤핀으로 할 수 있다. 가압 부재는, 걸어맞춤핀을 걸어맞춤 오목부를 향해 가압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 레버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맞춤핀이 상이한 걸어맞춤 오목부와 걸어맞추어 졌을 때, 타격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레버는, 조정 부재가 관통하는 장공형(長孔形)의 관통공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걸어맞춤 볼록부는, 관통공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관통공의 외측에 배치된다.
걸어맞춤 볼록부는,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되고,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너트 부재가 핸들 측으로 돌출되거나 릴 본체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듀얼 베어링 릴의 배면도이다.
도 2는 듀얼 베어링 릴의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3는 듀얼 베어링 릴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듀얼 베어링 릴의 확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변형예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변형예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확대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변형예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확대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변형예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축 방향이란, 스풀축이 연장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반경 방향이란 스풀축을 중심으로 한 원의 반경 방향을 나타내고, 주위 방향이란 스풀축을 중심으로 한 원의 주위 방향을 나타낸다.
[듀얼 베어링 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듀얼 베어링 릴(100)은, 릴 본체(2), 스풀(3), 스풀축(4), 제동 기구(5), 조정 부재(6), 조작 레버(7), 및 너트 부재(8)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
릴 본체(2)는,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는, 축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는, 복수의 연결부(23)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릴 본체부(21)는, 제1 측판(21a) 및 제1 커버(21b)를 가지고 있다. 제1 릴 본체부(21)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고 있다. 이 수용 공간 내에, 회전 전달 기구(11) 등이 수용되어 있다. 제2 릴 본체부(22)는, 제2 측판(22a) 및 제2 커버(22b)를 가지고 있다. 제1 측판(21a)과 제2 측판(22a)는, 연결부(23)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제1 측판(21a)과 제2 측판(22a)과 연결부(23)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릴 본체(2)의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다.
제1 릴 본체부(21)는, 제1 보스부(boss part)(24) 및 제2 보스부(25)를 더 구비한다. 제1 보스부(24)와 제2 보스부(25)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 보스부(24) 및 제2 보스부(25)는, 원통형으로서,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보스부(24) 및 제2 보스부(25)는, 제1 커버(21b)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보스부(24)의 외주면에는 나사부(241)가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조정 부재(6)가, 이 제1 보스부(24)에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조정 부재(6)가, 제1 보스부(24)에 나사결합된다. 제2 보스부(25)는, 제1 보스부(24)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2 보스부(25)는, 제1 보스부(24)에 장착된 조정 부재(6)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 보스부(24) 및 제2 보스부(25)는, 제1 릴 본체부(21)의 수용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고 있다. 이 제1 보스부(24) 내에 있어서, 스풀축(4)의 한쪽의 단부(端部)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2 보스부(25) 내에 있어서, 원웨이 클러치(one―way cluch)(26)를 통하여 구동축(11a)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
스풀(3)은,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스풀(3)은, 대략 원통형으로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풀(3)은, 릴 본체(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스풀(3)은, 스풀축(4)을 통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
스풀축(4)은, 스풀(3)과 일체로 회전한다. 스풀축(4)은,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스풀축(4)은, 제1 및 제2 베어링 부재(12a), (12b)를 통하여, 제1 릴 본체부(21) 및 제2 릴 본체부(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핸들]
핸들(10)은, 스풀축(4)을 회전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제1 릴 본체부(2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핸들(10)이 회전하면, 회전 전달 기구(11)를 통하여 스풀축(4)이 회전한다.
[회전 전달 기구]
회전 전달 기구(11)는, 핸들(10)의 회전을 스풀축(4)에 전달하는 기구이다. 회전 전달 기구(11)는, 구동축(11a), 구동 기어(11b), 피니언 기어(11c), 및 클러치 기구(11d)를 가진다. 구동축(11a)은, 핸들(10)과 일체로 회전한다. 구동 기어(11b)는, 구동축(11a)과 일체로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11c)는, 구동 기어(11b)와 맞물린다. 피니언 기어(11c)는 통형으로서, 스풀축(4)이 피니언 기어(11c) 내를 관통하고 있다.
클러치 기구(11d)는, 피니언 기어(11c)의 회전을 스풀축(4)에 전달하거나, 차단하거나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11d)는, 스풀(3)을 자유 회전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 오프 상태와, 스풀(3)을 낚싯줄 권취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 온 상태를 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클러치 기구(11d)는, 걸어맞춤핀(11e)과 걸어맞춤 오목부(11f)에 의해 구성된다. 걸어맞춤핀(11e)은, 스풀축(4)을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걸어맞춤 오목부(11f)는, 피니언 기어(11c)의 한쪽의 단부에 형성된 오목부이다.
클러치 기구(11d)가 클러치 온 상태로 되었을 때, 걸어맞춤핀(11e)이 걸어맞춤 오목부(11f)에 걸어맞추어진다. 이 결과, 피니언 기어(11c)의 회전이 스풀축(4)에 전달되고, 스풀(3)이 낚싯줄 권취 가능해진다. 한편, 클러치 기구(11d)가 클러치 오프 상태로 되었을 때, 피니언 기어(11c)가 걸어맞춤핀(11e)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걸어맞춤핀(11e)과 걸어맞춤 오목부(11f)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이 결과, 피니언 기어(11c)의 회전이 스풀축(4)에 전달되지 않아, 스풀(3)은 자유 회전 가능해진다.
[제동 기구]
제동 기구(5)는, 클러치 기구(11d)가 클러치 오프 상태일 때에 있어서의 스풀축(4)의 회전을 제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풀축(4)은 스풀(3)과 일체로 회전하므로, 제동 기구(5)는, 스풀축(4)의 회전을 제동함으로써, 스풀(3)의 회전을 제동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 기구(5)는, 원웨이 클러치(51), 제1 마찰 플레이트(52), 및 제2 마찰 플레이트(53)를 가지고 있다.
원웨이 클러치(51)는, 스풀축(4)에 장착된다. 원웨이 클러치(51)는, 외륜(51a), 및 복수의 전동체(轉動體)(51b)를 가지고 있다. 외륜(51a)은, 릴 본체(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외륜(51a)은, 제1 보스부(2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외륜(51a)은, 제1 보스부(24)의 내주면(內周面)과 간극을 두고 배치된다.
외륜(51a)은,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마찰 플레이트(52)와 제2 마찰 플레이트(53)에 의해 협지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마찰 플레이트(52, 53)에 의해, 외륜(51a)의 회전이 제동되어 있다.
전동체(51b)는, 스풀축(4)과 외륜(51a)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전동체(51b)는, 스풀축(4)의 낚싯줄 송출 방향의 회전을 외륜(51a)에 전달한다. 한편, 전동체(51b)는, 스풀축(4)의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을 외륜(51a)에 전달하지 않는다.
제1 마찰 플레이트(52)는, 원웨이 클러치(51)의 외륜(51a)과 조정 부재(6)의 원판부(61)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마찰 플레이트(52)는, 환형(環形)의 플레이트로서, 외륜(51a)과 접촉되고 있다. 그리고, 제1 마찰 플레이트(52)는, 외륜(51a)과 접촉하는 한편, 전동체(51b)는 접촉하고 있지 않다. 제1 마찰 플레이트(52)는, 예를 들면, 카본 크로스(carbon cloth)제이다. 조정 부재(6)의 원판부(61)는, 제1 마찰 플레이트(52)를 통하여 외륜(51a)을 축 방향으로 압압(押壓)하고 있다.
제2 마찰 플레이트(53)는, 환형으로서, 원웨이 클러치(51)의 외륜(51a)과 접촉되고 있다. 제1 마찰 플레이트(52)와 제2 마찰 플레이트(53)로, 외륜(51a)을 협지하고 있다. 그리고, 제2 마찰 플레이트(53)는, 전동체(51b)와 접촉하고 있지 않다.
[가압 부재]
가압 부재(14)는, 원웨이 클러치(51)의 외륜(51a)을 조정 부재(6)의 원판부(61)를 향해 가압한다. 즉, 가압 부재(14)는, 외륜(51a)이 제1 마찰 플레이트(52)로부터 멀어지지 않도록 외륜(51a)을 가압하고 있다. 그리고, 가압 부재(14)는, 제2 마찰 플레이트(53)를 통하여 외륜(51a)을 가압하고 있다.
가압 부재(14)는, 축 방향에 있어서, 원웨이 클러치(5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압 부재(14)는, 제1 베어링 부재(12a)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 제1 베어링 부재(12a)는, 제1 보스부(24)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차부(段差部)(242)에 의해, 원웨이 클러치(5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가압 부재(14)는, 예를 들면, 접시 스프링이다. 가압 부재(14)의 외주부가 제2 마찰 플레이트(53)를 통하여 원웨이 클러치(51)의 외륜(51a)을 가압한다. 또한, 가압 부재(14)의 내주부가 제1 베어링 부재(12a)의 내륜에 지지되어 있다. 가압 부재(14)가 완전히 압축되었을 때라도, 스풀축(4)의 단면(端面)(4a)은, 조정 부재(6)의 바닥면(61a)은 접촉하지 않는다.
[조정 부재]
조정 부재(6)는, 제1 릴 본체부(21)의 제1 보스부(24)에 장착되어 있다. 조정 부재(6)는 원통형이다. 상세하게는, 조정 부재(6)는, 원판부(61)와, 원판부(61)의 외주단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부(62)를 가지고 있다.
또한, 조정 부재(6)는, 나사부(63) 및 플랜지부(64)를 가지고 있다. 나사부(63)는, 통형부(6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64)는, 통형부(62)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조정 부재(6)는, 통형부(62)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65)도 가지고 있다. 이 나사부(65)는, 릴 본체(2)의 제1 보스부(24)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241)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조정 부재(6)는, 스풀축(4)의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면,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조정 부재(6)는, 스풀축(4)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조정 부재(6)는, 제동 기구(5)에 의한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풀축(4)이 낚싯줄 송출 방향으로 회전할 때, 스풀축(4)과 외륜(51a)은 연동하여 회전한다. 그러므로, 조정 부재(6)는, 외륜(51a)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력을 조정함으로써, 스풀축(4)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정 부재(6)를 회전시켜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정 부재(6)가 외륜(51a)을 압압하는 힘을 조정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외륜(51a)을 제동하는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정 부재(6)는, 제1 마찰 플레이트(52)를 통하여 외륜(51a)을 압압한다.
조정 부재(6)의 내주면과 제1 보스부(24)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실링 부재(6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실링 부재(66)에 의해, 릴 본체(2) 내부로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링 부재(66)에 의해, 조정 부재(6)가 낚시꾼의 뜻에 반해 회전하지 않도록 조정 부재(6)에 회전 저항이 부여된다.
조정 부재(6)는, 본체 부재(60)와, 위치 결정 부재(9)를 가지고 있다. 본체 부재(60)와 위치 결정 부재(9)는, 서로 별개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 부재(60)는, 전술한 원판부(61), 통형부(62) 등을 가지고 있다.
위치 결정 부재(9)는, 본체 부재(60)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위치 결정 부재(9)는, 원통형이다. 그리고, 위치 결정 부재(9)는, 그 내주면에 형성된 키(91)를 가지고 있다. 이 키(91)가, 본체 부재(60)의 통형부(62)의 외주면에 형성된 키홈(621)과 걸어맞추어져 있다. 이 결과, 위치 결정 부재(9)는, 본체 부재(60)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위치 결정 부재(9)는, 본체 부재(60)와 일체로 회전한다. 그리고, 위치 결정 부재(9)는, 본체 부재(60)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 부재(9)는, 주위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92)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걸어맞춤 오목부(92)는, 위치 결정 부재(9)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걸어맞춤핀(72)은, 이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92) 중 어느 하나의 걸어맞춤 오목부(92)와 걸어맞추어져 있다.
[조작 레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7)는, 조정 부재(6)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조작 레버(7)는, 축 방향에 있어서, 플랜지부(64)와 제1 릴 본체부(21)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 레버(7)는, 주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7)는, 조정 부재(6)와 일체로 회전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조작 레버(7)를 요동시킴으로써, 조정 부재(6)가 스풀축(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조작 레버(7)는, 조작 레버 본체부(71)와, 걸어맞춤핀(72)과, 가압 부재(73)를 가지고 있다. 조작 레버 본체부(71)는, 조정 부재(6)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조작 레버 본체부(71)는, 제2 릴 본체부(22)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레버 본체부(71)의 선단부가 제1 릴 본체부(21)를 향하도록, 조작 레버 본체부(71)는 절곡되어 있다.
조작 레버 본체부(71)는, 기단부(基端部) 측에 관통공(711)을 가지고 있다. 이 관통공(711) 내를 조정 부재(6)의 통형부(62)가 관통하고 있다. 또한, 조작 레버 본체부(71)는, 걸어맞춤핀(72)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712)을 가지고 있다. 이 수용 공간(712)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반경 방향의 내측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걸어맞춤핀(72)은, 조작 레버 본체부(71)에 진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걸어맞춤핀(72)은, 조작 레버 본체부(71)의 수용 공간(712)에 수용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핀(72)은, 걸어맞춤 오목부(92)를 향해 가압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걸어맞춤핀(72)은, 가압 부재(73)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되고 있다. 그러므로, 걸어맞춤핀(72)의 선단부는, 조작 레버 본체부(71)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핀(72)의 선단부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가압하면, 걸어맞춤핀(72)은 가압 부재(73)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다.
[너트 부재]
너트 부재(8)는, 조정 부재(6)의 나사부(63)에 나사결합한다. 너트 부재(8)는, 조작 레버(7)와 제1 릴 본체부(21)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도 상세하게는, 너트 부재(8)는, 위치 결정 부재(9)와 제1 릴 본체부(21)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릴 본체부(21) 측으로부터, 너트 부재(8), 위치 결정 부재(9), 조작 레버(7), 조정 부재(6)의 플랜지부(64)의 순으로 정렬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너트 부재(8)를 조정 부재(6)의 나사부(63)에 나사결합하면, 너트 부재(8)와 플랜지부(64)에 의해, 조작 레버(7) 및 위치 결정 부재(9)를 체결할 수 있다.
[듀얼 베어링 릴의 동작]
다음에, 듀얼 베어링 릴(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낚싯줄을 스풀(3)로부터 송출하는 캐스팅 시에는, 스풀축(4)은 낚싯줄 송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스풀축(4)의 낚싯줄 송출 방향의 회전은, 원웨이 클러치(51)의 전동체(51b)를 통하여 외륜(51a)에 전달되어, 외륜(51a)이 회전한다. 외륜(51a)은, 제1 마찰 플레이트(52)를 통하여, 조정 부재(6)에 의해 가압되고 있다. 즉, 외륜(51a)은 제동 기구(5)에 의해 제동되고 있으므로, 외륜(51a)과 일체로 회전하는 스풀축(4)의 회전 속도가 억제된다. 스풀축(4)과 스풀(3)은 연동하고 있으므로, 낚싯줄 송출 시의 스풀(3)의 회전 속도도 억제되어, 백래시가 방지된다.
조작 레버(7)를 주위 방향으로 요동시키면, 조정 부재(6)가 회전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제동 기구(5)에 의한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조작 레버(7)를 주위 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스풀축(4)에 대한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7)는, 예를 들면, 제2 릴 본체부(22)를 유지한 손에 의해, 조작되어도 된다.
낚싯줄을 권취할 때, 스풀축(4)은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전동체(51b)는, 이 스풀축(4)의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을 외륜(51a)에 전달하지 않는다. 즉, 스풀축(4)과 외륜(51a)은 연동(連動)하지 않고, 제동 기구(5)에 의한 제동력이 스풀축(4)에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낚싯줄 권취 시에는, 제동 기구(5)에 의한 회전 저항이 스풀축(4)에 생기지 않아, 스풀축(4)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조작 레버(7)의 장착 각도를 바꿀 때는, 먼저, 너트 부재(8)를 회전시켜 느슨하게 하였다. 이 결과, 너트 부재(8)와 플랜지부(64)에 의한 체결이 해제되어, 조작 레버(7)를 조정 부재(6)에 대하여 주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너트 부재(8)는, 제1 릴 본체부(21)와 조작 레버(7)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너트 부재(8)를 느슨하게 했을 때, 너트 부재(8)는, 제1 릴 본체부(2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고, 제1 릴 본체부(2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너트 부재(8)가 핸들(10) 측으로 돌출되거나 릴 본체(2)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7)는 플랜지부(64)와 제1 릴 본체부(21)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조작 레버(7)가 제1 릴 본체부(2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탈락하는 것을, 플랜지부(64)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7)의 걸어맞춤핀(72)과, 위치 결정 부재(9)의 걸어맞춤 오목부(92)가 걸어맞추어져 있으므로, 조작 레버(7)의 장착 각도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7)를 회전시키면, 걸어맞춤핀(72)이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 오목부(92)의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걸어맞춤핀(72)과 걸어맞춤 오목부(92)와의 타격음이 발생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변형예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동 기구(5)는, 원웨이 클러치(51), 제1 마찰 플레이트(52), 및 제2 마찰 플레이트(53)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제동 기구(5)는, 스풀축(4)의 회전을 제동할 수 있는 구성이면,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 기구(5)는, 제1 마찰 플레이트(52)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원웨이 클러치(51), 및 제2 마찰 플레이트(53)를 생략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마찰 플레이트(52)는, 스풀축(4)의 단면(4a)과 접촉하고, 스풀축(4)의 회전을 직접 제동한다. 그리고, 이 구성에 의하면, 제동 기구(5)는, 클러치 오프 상태일 때에 있어서의 스풀축(4)의 회전뿐만아니라, 클러치 온 상태일 때에 있어서의 스풀축(4)의 회전도 제동한다.
또한, 제동 기구(5)는, 조정 부재(6)의 원판부(61)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원웨이 클러치(51), 제1 마찰 플레이트(52), 및 제2 마찰 플레이트(53)를 생략해도 된다. 이 경우, 원판부(61)는, 스풀축(4)의 단면(4a)과 접촉하고, 스풀축(4)의 회전을 직접 제동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동 기구(5)는, 클러치 오프 상태일 때에 있어서의 스풀축(4)의 회전뿐만아니라, 클러치 온 상태일 때에 있어서의 스풀축(4)의 회전도 제동한다.
변형예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걸어맞춤 볼록부의 일례인 걸어맞춤핀(72)이 조작 레버 본체부(71)와 별개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었지만, 걸어맞춤 볼록부(72)는, 조작 레버 본체부(71)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걸어맞춤 볼록부(72)는, 조작 레버 본체부(71)에 대하여 진퇴 불가능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 볼록부(72)는, 조작 레버 본체부(7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어맞춤 볼록부(72)는, 조작 레버 본체부(71)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상세하게는, 걸어맞춤 볼록부(72)는, 축 방향에 있어서 조작 레버 본체부(71)로부터 위치 결정 부재(9)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걸어맞춤핀(72)은, 위치 결정 부재(9)의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92) 중 어느 하나와 걸어맞추어진다. 본 변형예에서는, 2개의 걸어맞춤 볼록부(72)가 형성되어 있지만, 걸어맞춤 볼록부(72)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변형예 3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정 부재(6)는, 위치 결정 부재(9)를 가지고 있지만, 이 위치 결정 부재(9)를 생략할 수도 있다. 즉, 너트 부재(8)와 플랜지부(64)에 의해, 조작 레버(7)를 직접 체결해도 된다.
또한, 위치 결정 부재(9)를 생략한 경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 부재(6)의 본체 부재(60)가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67)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각각의 걸어맞춤 오목부(67)는, 주위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7)의 걸어맞춤 볼록부(72)가, 조정 부재(6)의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67) 중 어느 하나와 걸어맞추어진다. 이 각각의 걸어맞춤 오목부(67)는, 예를 들면, 조정 부재(6)의 플랜지부(64)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 볼록부(72)는, 축 방향에 있어서, 조작 레버 본체부(71)로부터 플랜지부(64)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또한, 너트 부재(8)와 조작 레버(7)와의 사이에, 와셔(13)를 배치해도 된다. 이 와셔(13)는, 예를 들면, 금속제, 또는 수지제로 할 수 있다.
변형예 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릴 본체부(21) 측으로부터, 너트 부재(8), 위치 결정 부재(9), 조작 레버(7), 조정 부재(6)의 플랜지부(64)의 순으로 정렬되어 있지만, 위치 결정 부재(9)와 조작 레버(7)의 위치를 바꾸어도 된다.
변형예 5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7)의 관통공(711)은, 장공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세하게는, 관통공(71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관통공(711)의 내벽면과 통형부(62)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관통공(711)의 폭 방향에 있어서, 관통공(711)의 내벽면과 통형부(62)의 외주면은 서로 접촉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걸어맞춤 볼록부(72)는, 관통공(71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관통공(711)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너트 부재(8)를 조금 느슨하게 하면, 전술한 간극의 분만큼 조작 레버(7)를 관통공(7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걸어맞춤 볼록부(72)가 걸어맞춤 오목부(92)로부터 이격되도록 조작 레버(7)를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결과, 걸어맞춤 볼록부(72)와 걸어맞춤 오목부(92)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조작 레버(7)가 위치 결정 부재(9)에 대하여 회전 가능해진다. 즉, 위치 결정 부재(9)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걸어맞춤 볼록부(72)와 걸어맞춤 오목부(92)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것이 아니고, 위치 결정 부재(9)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걸어맞춤 볼록부(72)와 걸어맞춤 오목부(92)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축 방향의 치수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변형예 6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정 부재(6)가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92)를 가지고, 조작 레버(7)가 걸어맞춤 볼록부(72)를 가지고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정 부재(6)가 걸어맞춤 볼록부를 가지고, 조작 레버(7)가 걸어맞춤 오목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조작 레버(7)의 관통공(711)의 주위에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가 주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2: 릴 본체
21: 제1 릴 본체부
22: 제2 릴 본체부
3: 스풀
4: 스풀축
5: 제동 기구
6: 조정 부재
63: 나사부
64: 플랜지부
7: 조작 레버
72: 걸어맞춤핀(걸어맞춤 볼록부)
711: 관통공
8: 너트 부재
9: 위치 결정 부재
92: 걸어맞춤 오목부

Claims (10)

  1. 제1 릴 본체부;
    상기 제1 릴 본체부와 축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 릴 본체부;
    상기 제1 릴 본체부와 상기 제2 릴 본체부 사이에 배치되는 스풀(spool);
    상기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 기구;
    외주면(外周面)에 형성된 나사부, 및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릴 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동 기구에 의한 제동력을 조정하는 통형(筒形)의 조정 부재;
    상기 조정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제1 릴 본체부 사이에 배치되는 조작 레버; 및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제1 릴 본체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너트 부재;
    를 포함하는 듀얼 베어링 릴(dual―bearing reel).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 및 상기 조작 레버의 한쪽은, 주위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정 부재 및 상기 조작 레버의 다른 쪽은, 상기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 중 어느 하나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 볼록부를 구비하는, 듀얼 베어링 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 및 상기 조작 레버의 한쪽은,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에 형성되는, 듀얼 베어링 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는 상기 조정 부재에 형성되는, 듀얼 베어링 릴.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는 상기 조작 레버에 형성되는, 듀얼 베어링 릴.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는, 진퇴(進退) 가능하게 배치된 걸어맞춤핀이며,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걸어맞춤핀을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를 향해 가압하는, 듀얼 베어링 릴.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조정 부재가 관통하는 장공형(長孔形)의 관통공을 구비하는, 듀얼 베어링 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는, 상기 관통공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외측에 배치되는, 듀얼 베어링 릴.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는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듀얼 베어링 릴.
  10.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듀얼 베어링 릴.
KR1020180024353A 2017-05-17 2018-02-28 듀얼 베어링 릴 KR102505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98188 2017-05-17
JP2017098188A JP6886344B2 (ja) 2017-05-17 2017-05-17 両軸受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364A true KR20180126364A (ko) 2018-11-27
KR102505157B1 KR102505157B1 (ko) 2023-02-28

Family

ID=64269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353A KR102505157B1 (ko) 2017-05-17 2018-02-28 듀얼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99626B2 (ko)
JP (1) JP6886344B2 (ko)
KR (1) KR102505157B1 (ko)
CN (1) CN108935358B (ko)
TW (1) TWI7768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2730B2 (en) * 2017-06-23 2020-03-31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6469U (ja) * 1983-12-23 1985-07-1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ハンドルドラグ調節機構
JPH0182767U (ko) * 1987-11-24 1989-06-01
JPH09275861A (ja) 1996-04-19 1997-10-28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2000262194A (ja) * 1999-03-19 2000-09-26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2004222559A (ja) * 2003-01-21 2004-08-12 Ever Green International:Kk 魚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装置
JP2005151911A (ja) * 2003-11-27 2005-06-16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の発音機構
KR20160140343A (ko) * 2015-05-27 2016-12-0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양 베어링 릴
US20170172131A1 (en) * 2015-12-18 2017-06-22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and reel unit for same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5644A (en) * 1965-08-19 1969-02-04 Penn Fishing Tackle Mfg Co Fishing reel with friction drag
US4056246A (en) * 1976-12-13 1977-11-01 Penn Fishing Tackle Mfg. Co. Fishing reel with friction drag
US4131245A (en) * 1977-01-31 1978-12-26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Fishing reel having an improved drag mechanism
JPS58130465U (ja) * 1982-02-25 1983-09-03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ル
JPH0810283Y2 (ja) * 1990-06-21 1996-03-29 島野工業株式会社 両軸受リール
US5086991A (en) * 1990-10-29 1992-02-11 Abu Garcia Produktion Ab Fishing reel of the multiplier type
JPH086467Y2 (ja) * 1991-12-12 1996-02-2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制動装置
US6102316A (en) * 1997-03-14 2000-08-15 David C. Nilsen Two-speed fishing reel with drag mechanism
JP3490914B2 (ja) * 1997-12-04 2004-01-26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及びハンドル組立体
JP3562976B2 (ja) * 1998-10-07 2004-09-0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US6412720B1 (en) * 1999-03-19 2002-07-02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brake device and drag cover attachment structured therefor
JP3747429B2 (ja) * 1999-07-07 2006-02-2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KR100320403B1 (ko) * 1999-09-02 2002-01-12 현광호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브레이크 컨트롤노브의 소리발생
KR100334622B1 (ko) * 1999-09-02 2002-05-03 현광호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핸들 착탈구조
JP4381580B2 (ja) * 2000-08-30 2009-12-0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逆転防止機構
JP2004081114A (ja) * 2002-08-27 2004-03-18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4015931B2 (ja) * 2002-11-21 2007-11-28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ねじ操作構造
US6860442B2 (en) * 2003-07-19 2005-03-01 Penn Fishing Tackle Manufacturing Co. Locking preset knob for fishing reel
JP4334381B2 (ja) * 2004-03-25 2009-09-30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釣り情報表示装置及び釣り情報表示システム
SG158045A1 (en) * 2008-07-08 2010-01-29 Shimano Kk Drag mechanism for dual-bearing reel
JP5135091B2 (ja) * 2008-07-08 2013-01-3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調整機構
JP5755044B2 (ja) * 2011-06-20 2015-07-2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機構
JP5961378B2 (ja) * 2011-12-22 2016-08-0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調整装置
US8651409B2 (en) * 2012-07-11 2014-02-18 Shih-Yuan Yeh Brake-adjusting assembly for a fishing reel
CN202846486U (zh) * 2012-07-17 2013-04-03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变压器呼吸器紧固工具
CN102825570B (zh) * 2012-09-21 2015-07-15 北京安沃科瑞铁路机电设备有限公司 立式双电扭力扳手
JP6177550B2 (ja) * 2013-03-15 2017-08-0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JP6560903B2 (ja) * 2015-05-27 2019-08-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CN205335457U (zh) * 2016-02-18 2016-06-22 国网浙江新昌县供电公司 带接线夹的脱卸式接地线操作杆
JP6649801B2 (ja) * 2016-02-26 2020-02-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122081B2 (ja) * 2016-09-08 2022-08-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10426151B2 (en) * 2017-04-18 2019-10-01 Pure Fishing, Inc. Drag adjustment assembly for a star drag reel
JP6829654B2 (ja) * 2017-06-05 2021-02-10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6469U (ja) * 1983-12-23 1985-07-1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ハンドルドラグ調節機構
JPH0182767U (ko) * 1987-11-24 1989-06-01
JPH09275861A (ja) 1996-04-19 1997-10-28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2000262194A (ja) * 1999-03-19 2000-09-26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2004222559A (ja) * 2003-01-21 2004-08-12 Ever Green International:Kk 魚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装置
JP2005151911A (ja) * 2003-11-27 2005-06-16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の発音機構
KR20160140343A (ko) * 2015-05-27 2016-12-0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양 베어링 릴
JP2016220547A (ja) 2015-05-27 2016-12-2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20170172131A1 (en) * 2015-12-18 2017-06-22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and reel unit for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00018A (zh) 2019-01-01
JP2018191571A (ja) 2018-12-06
CN108935358A (zh) 2018-12-07
CN108935358B (zh) 2021-12-17
US20180332835A1 (en) 2018-11-22
TWI776855B (zh) 2022-09-11
US10499626B2 (en) 2019-12-10
JP6886344B2 (ja) 2021-06-16
KR102505157B1 (ko)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9699B2 (ja) 両軸受リール
US9901084B2 (en) Dual-bearing reel
KR20160140344A (ko) 양 베어링 릴
CN107801700B (zh) 双轴承绕线轮
KR20140086829A (ko) 듀얼 베어링 릴
KR102491582B1 (ko) 듀얼 베어링 릴
CN108967378B (zh) 钓用绕线轮
KR102502468B1 (ko) 양 베어링 릴
KR20180126364A (ko) 듀얼 베어링 릴
JP6775059B2 (ja) 両軸受リールの操作レバー
JP6965124B2 (ja) 両軸受リール
JP6971612B2 (ja) 両軸受リール
JP6739581B2 (ja) 両軸受リール
JP2020054397A (ja) 両軸受リール及び制動力調整用の操作レ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