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925A -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925A
KR20180113925A KR1020180038970A KR20180038970A KR20180113925A KR 20180113925 A KR20180113925 A KR 20180113925A KR 1020180038970 A KR1020180038970 A KR 1020180038970A KR 20180038970 A KR20180038970 A KR 20180038970A KR 20180113925 A KR20180113925 A KR 20180113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connector
wall portion
hous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7535B1 (ko
Inventor
노리히로 니시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80113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커넥터의 저배화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의 접촉 영역이 작아진 경우라도 단자의 접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제1 하우징(21)의 단부 벽부(22B)에 관통 구멍(22a)이 형성되고, 이 관통 구멍(22a)에 슬라이더(30)가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더(30)는 제2 커넥터(70)에 슬라이더(30)가 걸려 결합되는 로크 위치와 제2 커넥터(70)로부터 슬라이더(30)가 이격되어 있는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좌우 방향에 있어서 슬라이드 가능하다. 슬라이더(30)는 판형 부재이며, 그 두께 방향(D)이 제1 하우징(21)의 높이 방향(Z1-Z2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본 개시는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서로 마주보는 2장의 회로 기판을 접속하는 커넥터가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내지 4). 한쪽 회로 기판에 부착되어 있는 커넥터와 다른 쪽 회로 기판에 부착되어 있는 커넥터가 서로 끼워 맞춰지고, 그에 의해 2장의 회로 기판이 접속된다. 전자 기기의 소형화, 박형화에 수반하여, 이 종류의 커넥터는 저배화(저 프로파일화)가 진행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36878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4-21203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5-6076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5-170579호
커넥터의 저배화에 수반하여, 2개의 커넥터의 단자의 접촉 영역이 작아지고 있다. 그 때문에, 2개의 커넥터의 단자의 접촉 안정성이 보다 중요한 과제가 되게 되었다.
본 개시의 목적의 하나는 커넥터의 저배화에 수반하여 커넥터의 단자의 접촉 영역이 작아진 경우에도 단자의 접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일례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부착되어 있고 또한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1 단자를 갖고 있는 제1 커넥터와,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2 단자를 갖고 있는 제2 커넥터를 갖고 있다.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2 커넥터가 배치되는 오목부를 내측에 갖는 주벽부(周壁部)를 갖고, 상기 주벽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직교하고 있는 제2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는 2개의 벽부와, 상기 2개의 벽부의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연장되어 있는 단부 벽부(端壁部)를 갖고 있다. 상기 단부 벽부에는,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단부 벽부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관통 구멍에 배치되어 있는 슬라이더를 갖고 있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주벽부의 내측에 상기 제2 커넥터가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제2 커넥터에 상기 슬라이더가 걸려 결합되는 로크 위치와 상기 제2 커넥터로부터 상기 슬라이더가 이격되어 있는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슬라이드 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더는 판형 부재이며, 그 두께 방향이 상기 제1 하우징의 높이 방향인 제3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2) (1)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단부 벽부와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제3 방향에 있어서 삽입되어 있는 빠짐 방지 부재를 단부 면 가져도 된다.
(3) (2)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단부 벽부와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빠짐 방지 부재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어도 된다.
(4) (2) 또는 (3)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로크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빠짐 방지 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에 닿아서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커넥터의 중심을 향하는 상기 슬라이더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단부와 상기 제2 커넥터 사이에는, 제1 방향의 클리어런스가 마련되어도 된다.
(5)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로크 위치와 상기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상기 빠짐 방지 부재에 접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움직임에 대한 저항을 발생시키는 부분을 가져도 된다.
(6) (5)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빠짐 방지 부재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움직임에 대한 저항을 발생시키는 상기 부분은 상기 구멍의 내부 모서리에 형성되어도 된다.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하우징에 부착되어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걸림 결합 부재를 갖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로크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걸림 결합 부재에 걸려 결합되어 상기 제2 커넥터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여도 된다.
(8) (7)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 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로크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슬라이더의 단부가 끼워 맞춰지는 구멍이 형성되어도 된다.
(9)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갖고,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부분에는, 공구를 거는 것이 가능한 걸림 결합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10)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갖고,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부분은 상기 제1 커넥터의 저면을 향해 접혀도 된다.
(11)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벽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단자가 부착되어 있는 영역을 갖고, 상기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벽부의 높이는 상기 단부 벽부의 높이보다도 낮아도 된다.
(12)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커넥터의 일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어 있고 또한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자를 갖는다. 상기 하우징은, 상대 커넥터가 배치되는 오목부를 내측에 갖는 주벽부를 갖고 있다. 상기 주벽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직교하고 있는 제2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는 2개의 벽부와, 상기 2개의 벽부의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연장되어 있는 단부 벽부를 갖고 있다. 상기 단부 벽부에는,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단부 벽부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 구멍에 슬라이더가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주벽부의 내측에 상기 상대 커넥터가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상대 커넥터에 상기 슬라이더가 걸려 결합되는 로크 위치와 상기 상대 커넥터로부터 상기 슬라이더가 이격되어 있는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슬라이드 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더는 판형 부재이며, 그 두께 방향이 상기 하우징의 높이 방향인 제3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넥터 조립체가 갖는 제1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커넥터 조립체가 갖는 제2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 선에서 얻어지는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6은 도 4의 V-V 선에서 얻어지는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서로 끼워 맞춰진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7은 도 6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5의 VIII-VIII 선에서 얻어지는 제1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제1 커넥터가 갖는 슬라이더가 로크 해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9는 제1 커넥터가 갖는 슬라이더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예로서 서로 마주보는 2장의 회로 기판을 접속하는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회로 기판」은 FPC(Flexble Printed Circuit: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및 FFC(Flexble Flat Cable: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커넥터 조립체의 일례로서 커넥터 조립체(1)에 대해 설명한다. 커넥터 조립체(1)는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70)를 갖고 있다(도 1 참조).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Z1 방향을 상방이라 부르고, Z2 방향을 하방이라 부른다. 또한, X1 방향 및 X2 방향을 각각 우방향 및 좌방향이라 부르고, Y1 방향 및 Y2 방향을 각각 전방 및 후방이라 부른다. 「상방」, 「하방」, 「우방향」, 「좌방향」, 「전방」 및 「후방」은 커넥터를 구성하는 부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사용 시의 커넥터의 자세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커넥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0)는 제1 하우징(21)을 갖고 있다. 제1 하우징(21)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고 있는 2개의 벽부(22A)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고 있는 2개의 단부 벽부(22B)를 갖고 있다. 각 단부 벽부(22B)는 2개의 벽부(22A)의 단부에 위치하고, 이들 2개의 벽부(22A)에 접속하고 있다. 벽부(22A)와 단부 벽부(22B)는 내측에 오목부를 갖는 주벽부(22)를 구성하고 있다. 주벽부(22)는 제1 커넥터(10)의 평면으로 보아, 예를 들어 직사각형을 갖는다. 하우징(21)은 주벽부(22)의 내측에 저부(24)를 가져도 된다. 또한, 하우징(21)은 저부(24) 상에 형성되고 있는 중앙 벽부(23)를 가져도 된다. 중앙 벽부(23)는 주벽부(22)의 내측에 형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하우징(21)은, 예를 들어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0)는 제1 하우징(21)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단자를 갖고 있다(이하에서는 단자(12)를 「제1 단자」라고 부른다). 제1 커넥터(10)의 예에서는, 복수의 제1 단자(12)는 벽부(22A)에 부착되고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단자(12)는 2열로 나란해도 된다. 즉, 제1 커넥터(10)는, 중앙 벽부(23)와 한쪽 벽부(22A)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단자(12)와, 중앙 벽부(23)와 다른 쪽 벽부(22A)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단자(12)를 가져도 된다. 제1 커넥터(10)의 예와는 달리, 제1 하우징(21)은 중앙 벽부(23)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각 제1 단자(12)는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벽부(22A)에 걸쳐져도 된다. 또 다른 예에서는, 제1 커넥터는 3열 또는 4열로 나란한 복수의 제1 단자(12)를 가져도 된다. 이 경우, 제1 커넥터(10)는 전후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의 중앙 벽부(23)를 가져도 된다.
제1 커넥터(10)의 예에서는, 제1 단자(12)는, 예를 들어 상방으로 개방된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벽부(23)의 측면과 벽부(22A)의 내면에 홈이 형성되어도 된다. 그리고 이들 홈에 제1 단자(12)가 배치되어도 된다. 제1 단자(12)는 중앙 벽부(23)의 홈에 배치되는 내측 접촉부(12a)와, 벽부(22A)의 홈에 배치되는 외측 접촉부(12b)를 가져도 된다. 이 경우, 제2 커넥터(70)는 2개의 접촉점(즉, 내측 접촉부(12a) 및 외측 접촉부(12b))을 갖기 때문에,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70)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12)는 벽부(22A)의 하측에 위치하는 접속부(12c)를 가져도 된다. 제1 커넥터(10)의 사용 시 제1 커넥터(10)는 회로 기판(E1)(도 1 참조)에 배치된다. 접속부(12c)는 회로 기판(E1)에 형성된 복수의 도체부(E1a)(도 1 참조)에 각각 부착된다. 또한, 제1 단자(12)의 형상이나 제1 하우징(21)에 대한 제1 단자(12)의 부착 구조는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제1 커넥터(10)가 중앙 벽부(23)를 갖지 않을 때는, 제1 단자(12)는 내측 접촉부(12a)를 갖지 않아도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0)는 제1 하우징(21)의 벽부(22A)에 부착되는 리테이너(13)를 가져도 된다. 제1 커넥터(10)의 예에서는, 리테이너(13)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1 단자(21)의 우측과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리테이너(13)는, 예를 들어 제1 하우징(21)의 외면을 따라 위치하는 외벽부(13c)를 가져도 된다. 또한, 리테이너(13)는 외벽부(13c)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제1 하우징(21)의 주벽부(22)의 안쪽 방향이면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부(13a)를 가져도 된다. 가이드부(13a)는,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70)의 끼워 맞춤 과정에 있어서, 제2 커넥터(70)를 주벽부(22)의 내측으로 안내한다. 리테이너(13)는 주벽부(22)의 내측에 위치하는 접촉부(13b)를 가져도 된다. 접촉부(13b)는 제2 커넥터(70)가 갖고 있는 단자(73)(도 3 참조)에 접촉해도 된다. 리테이너(13)의 외벽부(13c)의 하부 모서리(13d)는 제1 하우징(21)의 하면보다도 하방에 위치해도 된다. 이 경우, 외벽부(13c)의 하부 모서리(13d)는 회로 기판(E1)에 형성되어 있는 도체부(E1b)(도 1 참조)에, 예를 들어 납땜에 의해 부착되어도 된다. 제1 커넥터(10)는 리테이너(13)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제2 커넥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커넥터(70)는 제2 하우징(81)을 갖고 있다. 제2 커넥터(70)의 예에서는, 제2 하우징(81)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마주보고 있는 2개의 벽부(82A)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고 있는 2개의 단부 벽부(82B)를 갖고 있다. 각 단부 벽부(82B)는 2개의 벽부(82A)의 단부를 접속하고 있다. 제2 하우징(81)은, 예를 들어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벽부(82A)와 단부 벽부(82B)의 내측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하우징(81)은 벽부(82A, 82B)의 내측에 형성되는 저부(84)를 추가로 가져도 된다. 제2 하우징(81)은 제1 하우징(21)과 마찬가지로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제2 하우징(81)의 형상은 도 3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커넥터(10)의 형상에 맞춰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커넥터(70)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자(72)를 갖고 있다(이하에서는 단자(72)를 「제2 단자」라고 부른다). 제2 단자(72)는 벽부(82A)에 부착되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벽부(82A)의 각각에 복수의 제2 단자(72)가 부착되어도 된다. 제2 단자(72)는, 예를 들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벽부(82A)의 외면과 내면을 따르도록 벽부(82A)에 부착되어도 된다. 즉, 제2 단자(72)는, 벽부(82A)의 외면에 배치되는 외측 접촉부(72b)와, 벽부(82A)의 내면에 배치되는 내측 접촉부(72a)를 가져도 된다. 또한, 제2 단자(72)는 외측 접촉부(72b)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접속부(72c)를 가져도 된다. 제2 커넥터(70)의 사용 시 제2 커넥터(70)는 회로 기판(E2)(도 1 참조)에 배치된다. 제2 단자(72)의 접속부(72c)는 회로 기판(E2)에 형성된 복수의 도체부에 각각 부착되어도 된다.
제2 커넥터(7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단자(72)와 함께 좌우 방향에 있어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단자(73)를 가져도 된다. 단자(73)는 리테이너(13)의 접촉부(13b)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커넥터(10, 70)의 끼워 맞춤 상태에서 리테이너(13)의 접촉부(13b)에 접촉된다. 단자(73)도 제2 단자(72)와 마찬가지로 벽부(82A)의 외면에 배치되는 외측 접촉부(73b)(도 3 참조)를 가져도 된다. 커넥터(10, 70)의 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서, 리테이너(13)의 접촉부(13b)는 단자(73)의 외측 접촉부(73b)에 접촉된다. 접촉부(13b)는 접촉부(13b)와 단자(73) 사이에 접촉압이 발생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도 된다. 단자(73)는 외측 접촉부(73b)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접속부(73c)를 가져도 된다. 제2 커넥터(70)의 사용 시 단자(73)의 접속부(73c)는 회로 기판(E2)에 형성된 복수의 도체부에 부착되어도 된다. 제2 커넥터(70)의 예에서는, 각 벽부(82A)에 2개의 단자(73)가 설치되고, 그들 사이에 복수의 제2 단자(72)가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의 끼워 맞춤]
제2 커넥터(70)와 제1 커넥터(10)는 상하 방향으로 끼워 맞춰진다. 본 명세서의 예에서는, 제2 커넥터(70)는 제1 커넥터(10)의 상측에 배치된다. 커넥터(10, 70)의 끼워 맞춤 상태에서는, 제2 커넥터(70)는 제1 하우징(21)의 주벽부(22)의 내측에 배치된다. 커넥터(10, 70)의 예에서는, 제1 커넥터(10)의 중앙 벽부(23)는 제2 커넥터(70)의 2개의 벽부(82A)와 2개의 단부 벽부(82B)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에 끼워 맞춰진다. 이때, 제2 커넥터(70)의 벽부(82A)는 제1 커넥터(10)의 중앙 벽부(23)와 벽부(22A) 사이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0)의 제1 단자(12)는 상방으로 개방된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10, 70)의 끼워 맞춤 상태에서는, 제2 단자(72)는 제1 단자(12)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1 단자(12)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물린다. 그리고 제2 단자(72)의 외측 접촉부(72b)는 제1 단자(12)의 외측 접촉부(12b)에 접촉되고, 제2 단자(72)의 내측 접촉부(72a)는 제1 단자(12)의 내측 접촉부(12a)에 접촉된다. 제1 단자(12)의 내측 접촉부(12a)와 외측 접촉부(12b)는 제2 단자(72)를 물듯이 탄성 변형 가능해도 된다.
또한, 제2 단자(72)의 배치나 제2 하우징(81)의 형상은 제2 커넥터(70)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커넥터(10)의 구조에 맞춰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10)에 중앙 벽부(23)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2 하우징(81)은 대향하는 2개의 벽부(82A)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복수의 제2 단자(72)의 열(列)의 수는 하나여도 된다.
[제1 커넥터의 슬라이더]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21)의 단부 벽부(22B)에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단부 벽부(22B)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22a)이 형성되어도 된다. 제1 커넥터(10)는 이 관통 구멍(22a)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더(30)를 가져도 된다. 그리고 슬라이더(30)는 로크 위치(도 6 참조)와 로크 해제 위치(도 5 참조)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면 된다.
로크 위치란, 슬라이더(30)가 제1 하우징(21)의 주벽부(22)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커넥터(70)에 걸려 결합되고, 제2 커넥터(70)와 제1 커넥터(10)의 분리를 규제하는 위치이다(도 6 참조). 즉, 슬라이더(30)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더(30)의 단부(30a)는 끼워 맞춤 영역(A)(도 6 참조)의 내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슬라이더(30)는 제2 커넥터(70)에 걸려 결합되어, 제2 커넥터(70)의 상방에 대한 이동을 규제한다. 여기서 끼워 맞춤 영역(A)은, 커넥터(10, 70)가 서로 끼워 맞춰질 때, 제2 커넥터(70)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이다. 제1 커넥터(10)의 예에서는, 슬라이더(30)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더(30)의 단부(30a)는 단부 벽부(22B)의 내면으로부터 주벽부(22)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커넥터(70)는 걸림 결합 부재(90)를 가져도 된다. 그리고 슬라이더(30)는 걸림 결합 부재(90)에 걸려 결합되어도 된다.
로크 해제 위치란, 슬라이더(30)가 제2 커넥터(70)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슬라이더(30)와 제2 커넥터(70)의 걸림 결합이 해소되는 위치이다(도 5 참조). 즉, 슬라이더(30)는 로크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제2 커넥터(70)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0)가 로크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더(30)의 단부(30a)는 끼워 맞춤 영역(A)으로부터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퇴피되어 있다. 제1 커넥터(10)의 예에서는, 슬라이더(30)가 로크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더(30)의 단부(30a)는 단부 벽부(22B)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다. 제1 커넥터(10)의 예와는 달리, 슬라이더(30)가 로크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더(30)의 단부(30a)는 단부 벽부(22B)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단부 벽부(22B)의 각각에 관통 구멍(22a)이 형성되고, 각 관통 구멍(22a)에 슬라이더(30)가 배치되어도 된다. 제1 커넥터(10)의 예와는 달리, 한쪽 단부 벽부(22B)에만 관통 구멍(22a)이 형성되고, 그 관통 구멍(22a)에 슬라이더(30)가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다른 쪽 단부 벽부(22B)에 제2 커넥터(70)에 걸려 결합되는 부위가 형성되어도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0)는 판형 부재여도 된다. 즉, 슬라이더(30)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폭(W1)(도 2 참조)이 두께(T1)(도 7 참조)보다도 큰 부재여도 된다. 그리고 슬라이더(30)는 그 두께 방향(D)(도 7 참조)이 제1 하우징(21)의 높이 방향(Z1-Z2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제1 커넥터(10)의 예에서는, 슬라이더(30)의 폭(W1)은 두께(T1)의 2배보다도 크다. 슬라이더(30)의 폭(W1)과 두께(T1)의 관계는 제1 커넥터(10)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30)의 폭(W1)은 두께(T1)의 2배보다도 작아도 된다.
슬라이더(30)가 판형이면, 슬라이더(30)의 위치를 낮출 수 있고, 그 결과 제1 커넥터(10)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30)가 판형이면, 제1 커넥터(10)에 대한 제2 커넥터(70)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70)의 한쪽 단부의 위치가 높아지는 제2 커넥터(70)의 기울기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70)의 한쪽 단부의 위치가 높아지는 제2 커넥터(70)의 기울기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커넥터(10)의 제1 단자(12)와 제2 커넥터(70)의 제2 단자(72)의 접촉 영역이 작아진 경우에도 단자(12, 72)의 접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0)의 예에서는, 슬라이더(30)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어 높은 강도를 갖고 있다. 제1 커넥터(10)의 예와는 달리, 슬라이더(30)는 수지로 형성되어도 된다.
단부 벽부(22B)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비교적 큰 폭(W7)(도 4 참조)을 가져도 된다. 제1 커넥터(10)의 예에서는, 단부 벽부(22B)의 좌우 방향의 폭(W7)은 벽부(22A)의 전후 방향의 폭(W6)(도 4 참조)보다도 크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30)가 기우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단부 벽부(22B)의 폭(W7)과 벽부(22A)의 폭(W6)의 관계는 제1 커넥터(10)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21)의 벽부(22A)에는, 복수의 제1 단자(12)가 부착되어 있다. 제1 커넥터(10)의 예에서는, 복수의 제1 단자(12)는 벽부(22A)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부착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단자(12)가 부착되어 있는 영역에서의 벽부(22A)의 높이는 단부 벽부(22B)보다도 낮아도 된다. 이에 의해,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70)가 끼워 맞춰질 때, 제2 커넥터(70)의 위치를 낮출 수 있다. 그 결과, 회로 기판(E1, E2)의 거리를 가깝게 할 수 있다. 커넥터(10, 70)의 예에서는, 그들이 끼워 맞춰져 있는 상태에서, 대향하는 2개의 단부 벽부(22B)의 사이에 제2 커넥터(70)의 전체가 위치하고 있다(도 6 참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0)는 제1 하우징(21)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 구멍(22a)으로부터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33)을 갖고 있다(이하에서는, 이 부분(33)을 「조작부」라고 부른다). 작업자는 조작부(33)를 누르거나 잡아당기거나 할 수 있다. 조작부(33)는 제1 커넥터(10)의 하면을 향해 접혀도 된다. 즉, 조작부(33)는, 관통 구멍(22a)으로부터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부분(33a)과, 제1 부분(33a)에 대해 절곡되어 제1 부분(33a)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제2 부분(33b)을 가져도 된다. 이 구조에 의하면, 조작부(33)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힘이 작용한 경우, 제2 부분(33b)과 그 아래에 있는 회로 기판(E1)(도 1 참조)에 의해 조작부(33)를 지지할 수 있어 조작부(33)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0)의 예에서는, 제2 부분(33b)의 하면(33c)은 단부 벽부(22B)의 하면(22d)과 대략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커넥터(10)의 예와는 달리, 제2 부분(33b)의 하면(33c)의 위치는 단부 벽부(22B)의 하면(22d)보다도 높아도 된다. 또 다른 예에서는, 슬라이더(30)의 조작부(33)는 제2 부분(33b)을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슬라이더(30)의 조작부(33)에는, 공구를 걸 수 있는 걸림 결합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걸림 결합부는, 예를 들어 구멍이나, 오목부, 볼록부, 단차 등이다. 작업자는 공구를 슬라이더(30)의 걸림 결합부에 걸어 슬라이더(30)를 움직일 수 있다. 제1 커넥터(10)의 예에서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33)에는, 걸림 결합 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는 걸림 결합 구멍(32)의 가장자리에 공구를 걸어 슬라이더(30)를 움직일 수 있다. 공구는, 예를 들어 핀셋이나 나사용 드라이버 등 봉형상 공구이다. 핀셋 등의 대체로서, 전용 공구가 이용되어도 된다. 걸림 결합 구멍(32)은, 예를 들어 슬라이더(30)를 관통하는 구멍이다. 제1 커넥터(10)의 예에서는, 걸림 결합 구멍(32)은 조작부(33)의 제1 부분(33a)에 형성되어 있다. 걸림 결합 구멍(32)의 하측에 제2 부분(33b)이 위치하고 있다.
제1 커넥터(10)의 예와는 달리, 걸림 결합 구멍(32)은 슬라이더(30)를 관통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즉, 걸림 결합 구멍(32)은 슬라이더(3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라도 된다. 또 다른 예에서는, 조작부(33)에는, 걸림 결합부로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볼록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또 다른 예에서는, 슬라이더(30)의 조작부(33)의 가장자리에 걸림 결합부로서 볼록부나 오목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0)의 예에서는, 슬라이더(30)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와 로크 해제 위치에 있을 때의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걸림 결합 구멍(32)은 단부 벽부(22B)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 구멍(22a)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커넥터(10)의 예와는 달리, 슬라이더(30)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 걸림 결합 구멍(32)의 일부는 관통 구멍(22a)의 내측에 위치해도 된다.
[제1 커넥터의 빠짐 방지 부재]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0)는 제1 하우징(21)의 단부 벽부(22B)와 슬라이더(30)에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는 빠짐 방지 부재(41)를 가져도 된다. 빠짐 방지 부재(41)에 의해 슬라이더(30)가 단부 벽부(22B)로부터 끼워 맞춰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0)의 예에서는, 단부 벽부(22B)에는, 단부 벽부(22B)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22b)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30)에는, 슬라이더(3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빠짐 방지 부재(41)는, 예를 들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핀 형상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빠짐 방지 부재(41)는, 예를 들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원기둥형이다. 빠짐 방지 부재(41)는 구멍(22b, 31)에 삽입되어 있다. 제1 커넥터(10)의 예에서는, 단부 벽부(22B)의 구멍(22b)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벽부(22B)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슬라이더(30)의 구멍(31)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슬라이더(30)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단부 벽부(22B)의 구멍(22b)의 크기는 빠짐 방지 부재(41)의 굵기(직경)에 대응하고 있다. 한편, 슬라이더(30)의 구멍(31)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41)의 굵기보다도 좌우 방향으로 크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30)의 좌우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허용된다. 제1 커넥터(10)의 예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0)의 구멍(31)은 그 내측에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을 갖고 있다. 제1 영역(A1)은, 슬라이더(30)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 빠짐 방지 부재(41)가 배치되는 영역이다. 제2 영역(A2)은, 슬라이더(30)가 로크 해제 위치에 있을 때, 빠짐 방지 부재(41)가 배치되는 영역이다.
슬라이더(30)의 구멍(31)의 내부 모서리는, 슬라이더(30)가 로크 위치와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빠짐 방지 부재(41)에 접하여 슬라이더(30)의 움직임에 저항을 발생시키는 부분을 가져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어 작업자나 이용자의 의도 없이 슬라이더(30)가 로크 위치와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0)의 예에서는, 구멍(31)의 내부 모서리는, 제1 영역(A1)을 규정하는 원호 형상의 내부 모서리(31A)와, 제2 영역(A2)을 규정하는 원호 형상의 내부 모서리(31B)와, 내부 모서리(31A)와 내부 모서리(31B)의 경계에 위치하는 중도부(31c)를 갖고 있다. 제1 커넥터(10)의 예에서는, 구멍(31)의 내부 모서리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중도부(31c)를 갖고 있다. 2개의 중도부(31c)는 구멍(31)의 내측을 향해 부풀어 있다. 슬라이더(30)가 로크 위치와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구멍(31)의 중도부(31c)는 빠짐 방지 부재(41)의 외면에 접하여 슬라이더(30)의 이동에 저항을 발생시킨다.
작업자가 슬라이더(30)를 로크 해제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움직일 때, 작업자는 중도부(31c)로부터 슬라이더(30)에 작용하는 저항보다도 큰 힘으로 슬라이더(30)를 움직일 필요가 발생한다. 슬라이더(30)가 중도부(31c)를 넘은 후에는, 슬라이더(30)는 관성력으로 로크 위치에 도달한다. 즉, 중도부(31c)에 의해 슬라이더(30)가 로크 위치와 로크 해제 위치 사이의 위치에 멈추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멍(31)의 형상은 제1 커넥터(10)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멍(31)의 내부 모서리는 슬라이더(30)의 움직임에 저항을 발생시키는 부분을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0)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 빠짐 방지 부재(41)는 슬라이더(30)에 닿아도 된다. 제1 커넥터(10)의 예에서는, 슬라이더(30)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 빠짐 방지 부재(41)는 슬라이더(30)의 구멍(31)의 내부 모서리의 단부(31a)에 닿아도 된다(여기서, 「내부 모서리의 단부(31a)」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의 단부이다). 슬라이더(30)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 좌우 방향의 중심을 향한 슬라이더(30)의 움직임은 빠짐 방지 부재(41)에 의해 규제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0)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더(30)의 단부(30a)와 제2 커넥터(70) 사이에는, 좌우 방향의 클리어런스(G1)가 확보되어도 된다. 이 구조에 의하면, 슬라이더(30)를 로크 해제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에 슬라이드시켰을 때, 슬라이더(30)가 제2 커넥터(70)에 강하게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커넥터(70)의 예에서는, 제2 하우징(81)에, 클리어런스(G1)를 확보하기 위한 오목부(82a)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41)는 제1 하우징(21)의 단부 벽부(22B)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22b)에 삽입되어 있다. 제1 하우징(21)은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빠짐 방지 부재(41)는, 예를 들어 금속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단부 벽부(22B)를 빠짐 방지 부재(41)로 보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30)가 제2 커넥터(70)에 걸려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 커넥터(70)를 상방으로 움직이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더(30)의 단부(30a)가 제2 커넥터(70)에 의해 들어 올려져, 슬라이더(30)가 단부 벽부(22B)의 관통 구멍(22a)의 가장자리에 충돌하는 경우가 있다. 빠짐 방지 부재(41)는 이러한 충돌력에 대한 단부 벽부(22B)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부 벽부(22B)의 구멍(22b)은 빠짐 방지 부재(41)의 굵기(직경)에 대응하고 있다. 그 때문에, 빠짐 방지 부재(41)의 외면은 단부 벽부(22B)의 구멍(22b)의 내면에 밀착되어 있다. 제1 커넥터(10)의 제조 과정에서, 빠짐 방지 부재(41)는 구멍(22b)에 압입되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부 벽부(22B)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22b)은 단부 벽부(22B)를 상하 방향에 있어서 관통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41)의 하단(41a)은 제1 하우징(21)의 단부 벽부(22B)의 하면(22d)에 있어서 노출되어도 된다. 제1 커넥터(10)의 사용 시, 빠짐 방지 부재(41)의 하단(41a)은 회로 기판(E1)에 납땜되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 커넥터(10)의 회로 기판(E1)에 대한 부착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1 커넥터(10)의 예에서는, 단부 벽부(22B)의 하면(22d)은 빠짐 방지 부재(41)의 하단(41a)을 둘러싸는 오목부(22c)를 가져도 된다. 환언하면, 빠짐 방지 부재(41)가 삽입되어 있는 구멍(22b)의 하단의 직경은 구멍(22b)의 다른 부분의 직경보다도 커도 된다. 이 구조에 의하면, 빠짐 방지 부재(41)의 하단(41a)의 주변에 하단(41a)을 둘러싸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빠짐 방지 부재(41)의 하단(41a)을 회로 기판(E1)에 납땜하는 경우, 이 공간(오목부(22c))에 땜납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빠짐 방지 부재(41)를 단부 벽부(22B)에 부착하는 구조는 제1 커넥터(10)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멍(22b)은 단부 벽부(22B)를 관통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즉, 구멍(22b)은 저부를 가져도 된다.
슬라이더(30)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는 제1 커넥터(10)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30)는 구멍(31)의 대체로서, 슬라이더(30)의 가장자리에 절결이 형성되어도 된다. 단부 벽부(22B)는 이 절결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을 가져도 된다. 그리고 빠짐 방지 부재(41)는 슬라이더(30)의 절결에 걸려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더(30)의 빠짐을 방지해도 된다.
[제2 커넥터의 걸림 결합 부재]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커넥터(70)는 제2 하우징(81)에 부착되어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걸림 결합 부재(90)를 가져도 된다. 슬라이더(30)는 로크 위치에 있을 때, 걸림 결합 부재(90)에 걸려 결합되어 제2 커넥터(70)의 상방에 대한 움직임을 규제해도 된다. 이 구조에 의하면, 제2 커넥터(70)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슬라이더(30)가 제2 커넥터(70)에 걸려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 커넥터(70)를 상방으로 움직이는 힘이 작용했을 때, 제2 커넥터(70)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걸림 결합 부재(9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하우징(81)의 단부 면을 덮는 부분(91)을 가져도 된다(이하에 있어서, 이 부분(91)을 「단부 면부」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 단부 면부(91)에 걸림 결합 구멍(91a)이 형성되어도 된다. 제2 커넥터(70)의 예에서는, 걸림 결합 구멍(91a)은 단부 면부(91)를 관통하고 있다. 제2 커넥터(70)의 예의 대체로서, 걸림 결합 구멍(91a)은 단부 면부(91)를 관통하지 않는 구멍(오목부)이라도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0)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더(30)의 단부(30a)는 걸림 결합 구멍(91a)에 끼워 맞춰진다. 즉, 슬라이더(30)는 걸림 결합 부재(90)에 걸려 결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0)의 예에서는, 슬라이더(30)는 판형 부재이다. 그 때문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 결합 부재(90)의 걸림 결합 구멍(91a)은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구멍이다. 걸림 결합 구멍(91a)의 전후 방향의 폭(W3)은 상하 방향의 폭(W4)보다도 크다. 단부 면부(91)는, 걸림 결합 구멍(91a)의 전방 측에 위치하여 걸림 결합 구멍(91a)의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부분(91b)과, 걸림 결합 구멍(91a)의 후측에 위치하여 걸림 결합 구멍(91a)의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부분(91c)을 갖고 있다. 걸림 결합 구멍(91a)의 전후 방향의 폭(W3)은 이 2개 부분(91b, 91c)의 폭(W5)의 합계보다도 커도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 면부(91)의 하부 모서리(91d)는 제2 하우징(81)의 단부 벽부(82B)의 하면(82b)보다 하방에 위치해도 된다. 또한, 제1 하우징(21)의 저부(24)는 걸림 결합 부재(90)의 단부 면부(91)의 하부 모서리(91d)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24a)을 가져도 된다.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70)가 끼워 맞춰져 있는 상태에서 걸림 결합 부재(90)의 단부 면부(91)의 하부 모서리(91d)는 저부(24)의 구멍(24a)의 내측에 위치해도 된다. 즉, 단부 면부(91)의 하부 모서리(91d)의 위치는 저부(24)의 상면(24b)보다도 낮아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걸림 결합 구멍(91a)의 위치를 낮출 수 있다. 그 결과, 제1 커넥터(10) 및 제2 커넥터(70)가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그들의 높이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제1 커넥터(10)의 예에서는, 구멍(24a)은 저부(24)를 상하 방향에 있어서 관통하고 있다. 제1 커넥터(10)의 예와는 달리, 구멍(24a)은 저부(24)를 관통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 다른 예에서는, 저부(24)는 구멍(24a)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 결합 부재(90)는 제2 하우징(81)에 부착되어 있다. 제2 커넥터(70)의 예에서는, 걸림 결합 부재(9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 면부(91)의 상부 모서리에 접속되어 있는 상면부(92)와, 상면부(92)에 대해 절곡되어 제2 하우징(81)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부착부(93)를 갖고 있다. 걸림 결합 부재(90)의 제2 하우징(81)에 대한 부착 구조는 제2 커넥터(70)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는 판금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조립체(1)의 예에서는 걸림 결합 부재(90)도 판금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30)와 걸림 결합 부재(90) 양쪽을 금속으로 형성하면, 슬라이더(30)가 제2 커넥터(70)에 걸려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 커넥터(70)를 상방으로 움직이려고 하는 힘이 작용했을 때, 제2 커넥터(70)와 제1 커넥터(10)가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조립체(1)의 예에서는, 슬라이더(30)의 두께(T1)는 걸림 결합 부재(90)의 두께(T2)보다도 크다. 커넥터 조립체(1)의 예와는 달리, 슬라이더(30)의 두께(T1)는 걸림 결합 부재(90)의 두께(T2)와 같아도 좋고, 걸림 결합 부재(90)의 두께(T2)보다도 작아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조립체(1)의 예에서는, 슬라이더(30)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더(30)의 단부(30a)와 제2 커넥터(70) 사이에는, 좌우 방향의 클리어런스(G1)가 확보되어 있다(도 7 참조). 제2 커넥터(70)의 예에서는, 제2 하우징(81)의 단부 면은 걸림 결합 부재(90)의 단부 면부(91)와의 사이에 간극을 갖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하우징(81)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제2 하우징(81)의 단부(단부 벽부(82B)의 단부 면)에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개방되어 있고 또한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오목부(82a)를 갖고 있다. 슬라이더(30)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더(30)의 단부(30a)와 오목부(82a)의 내면의 사이에 좌우 방향의 클리어런스(G1)가 확보되어 있다. 제2 커넥터(70)의 구조는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2 하우징(81)은 반드시 오목부(82a)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0)의 예에서는, 제1 하우징(21)의 단부 벽부(22B)에 관통 구멍(22a)이 형성되고, 이 관통 구멍(22a)에 슬라이더(30)가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더(30)는 제2 커넥터(70)에 슬라이더(30)가 걸려 결합되는 로크 위치(도 6 참조)와 제2 커넥터(70)로부터 슬라이더(30)가 이격되어 있는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좌우 방향에 있어서 슬라이드 가능하다. 슬라이더(30)는 판형 부재이며, 그 두께 방향(D)(도 7 참조)이 제1 하우징(21)의 높이 방향(Z1-Z2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커넥터(10)에 대한 제2 커넥터(70)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커넥터(10)의 제1 단자(12)와 제2 커넥터(70)의 제2 단자(72)의 접촉 영역이 작아진 경우에도 단자(12, 72)의 접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는 커넥터(10, 70)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같은 기능이나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다른 실시형태가 있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백하다. 그와 같은 실질적으로 동등한 다른 실시형태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커버된다.
예를 들어, 제2 커넥터(70)는 걸림 결합 부재(90)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슬라이더(30)의 단부(30a)는 제2 하우징(81)에 걸려 결합되어도 된다. 즉, 제2 하우징(81)에 슬라이더(30)가 걸려 결합되는 부위(예를 들어, 오목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1: 커넥터 조립체, 10: 제1 커넥터, 12: 제1 단자, 12a: 내측 접촉부, 12b: 외측 접촉부, 12c: 접속부, 13: 리테이너, 13a: 가이드부, 13b: 접촉부, 13c: 외벽부, 13d: 하부 모서리, 21: 제1 하우징, 22: 주벽부, 22A: 벽부, 22B: 단부 벽부, 22a: 관통 구멍, 22b: 구멍, 22c: 오목부, 22d: 하면, 23: 중앙 벽부, 24: 저부, 24a: 구멍, 24b: 상면, 30: 슬라이더, 30a: 단부, 31: 구멍, 31A: 내부 모서리, 31B: 내부 모서리, 31a: 단부, 31c: 중도부, 32: 걸림 결합 구멍, 33: 조작부, 33a: 제1 부분, 33b: 제2 부분, 33c: 하면, 41: 빠짐 방지 부재, 41a: 하단, 70: 제2 커넥터, 72: 제2 단자, 72a: 내측 접촉부, 72b: 외측 접촉부, 72c: 접속부, 73: 단자, 73b: 외측 접촉부, 73c: 접속부, 81: 제2 하우징, 82A: 벽부, 82B: 단부 벽부, 82a: 오목부, 82b: 하면, 84: 저부, 90: 걸림 결합 부재, 91: 단부 면부, 91a: 걸림 결합 구멍, 91d: 하부 모서리, 92: 상면부, 93: 부착부, E1: 회로 기판, E1a: 도체부, E1b: 도체부, E2: 회로 기판, G1: 클리어런스, A: 끼워 맞춤 영역.

Claims (12)

  1.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부착되어 있고 또한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1 단자를 갖고 있는 제1 커넥터와,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2 단자를 갖고 있는 제2 커넥터를 갖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2 커넥터가 배치되는 오목부를 내측에 갖는 주벽부를 가지며,
    상기 주벽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직교하고 있는 제2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는 2개의 벽부와, 상기 2개의 벽부의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연장되어 있는 단부 벽부를 갖고,
    상기 단부 벽부에는,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단부 벽부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관통 구멍에 배치되어 있는 슬라이더를 갖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주벽부의 내측에 상기 제2 커넥터가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제2 커넥터에 상기 슬라이더가 걸려 결합되는 로크 위치와 상기 제2 커넥터로부터 상기 슬라이더가 이격되어 있는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슬라이드 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판형 부재이고, 그 두께 방향이 상기 제1 하우징의 높이 방향인 제3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벽부와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제3 방향에 있어서 삽입되어 있는 빠짐 방지 부재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벽부와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빠짐 방지 부재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로크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빠짐 방지 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에 닿아서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커넥터의 중심을 향하는 상기 슬라이더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단부와 상기 제2 커넥터 사이에는, 제1 방향의 클리어런스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로크 위치와 상기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상기 빠짐 방지 부재에 접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움직임에 대한 저항을 발생시키는 부분을 상기 슬라이더는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빠짐 방지 부재가 삽입되어 있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움직임에 대한 저항을 발생시키는 상기 부분은 상기 구멍의 내부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하우징에 부착되어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걸림 결합 부재를 갖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로크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걸림 결합 부재에 걸려 결합되어 상기 제2 커넥터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 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로크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슬라이더의 단부가 끼워 맞춰지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갖고,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부분에는, 공구를 거는 것이 가능한 걸림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갖고,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부분은 상기 제1 커넥터의 저면을 향해 접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벽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단자가 부착되어 있는 영역을 갖고,
    상기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벽부의 높이는 상기 단부 벽부의 높이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2.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어 있고 또한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자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대 커넥터가 배치되는 오목부를 내측에 갖는 주벽부를 가지며,
    상기 주벽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직교하고 있는 제2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는 2개의 벽부와, 상기 2개의 벽부의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연장되어 있는 단부 벽부를 갖고,
    상기 단부 벽부에는,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단부 벽부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 구멍에 슬라이더가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주벽부의 내측에 상기 상대 커넥터가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상대 커넥터에 상기 슬라이더가 걸려 결합되는 로크 위치와 상기 상대 커넥터로부터 상기 슬라이더가 이격되어 있는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슬라이드 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판형 부재이고, 그 두께 방향이 상기 하우징의 높이 방향인 제3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80038970A 2017-04-07 2018-04-04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101977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76384A JP6857073B2 (ja) 2017-04-07 2017-04-07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JP-P-2017-076384 2017-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925A true KR20180113925A (ko) 2018-10-17
KR101977535B1 KR101977535B1 (ko) 2019-05-10

Family

ID=63711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970A KR101977535B1 (ko) 2017-04-07 2018-04-04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361513B2 (ko)
JP (1) JP6857073B2 (ko)
KR (1) KR101977535B1 (ko)
CN (2) CN110380250B (ko)
TW (1) TWI6971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57073B2 (ja) 2017-04-07 2021-04-1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CN107086384B (zh) * 2017-05-12 2019-12-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连接器组件、电源组件及移动终端
JP1659117S (ko) * 2019-09-27 2020-05-11
US11489291B2 (en) * 2020-05-13 2022-11-0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Board-to-boar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102494901B1 (ko) * 2020-05-13 2023-02-0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KR102507506B1 (ko) * 2020-05-13 2023-03-08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커넥터 어셈블리
JP2022126326A (ja) * 2021-02-18 2022-08-3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8783A (ja) 1991-06-18 1992-12-21 Nec Corp スタッキングコネクタ
JP2013118141A (ja) * 2011-12-05 2013-06-13 Hirose Electric Co Ltd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20140020189A (ko) * 2012-08-08 2014-02-18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전기 커넥터
KR20140086821A (ko) * 2012-12-28 2014-07-08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배선 기판 연결 장치
KR20140125300A (ko) * 2013-04-18 2014-10-28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20150079818A1 (en) * 2013-09-19 2015-03-19 Dai-Ichi Seiko Co., Ltd. Board-connecting electrical connector device
JP2015170579A (ja) 2014-03-11 2015-09-28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9913Y2 (ko) * 1979-09-05 1982-11-01
US5993238A (en) * 1996-12-19 1999-11-30 Yazaki Corporation Half-fitting prevention connector
CN2305794Y (zh) 1997-09-03 1999-01-27 鸿海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
JP3859871B2 (ja) * 1998-06-25 2006-12-20 エフシーアイジャパ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3553805B2 (ja) * 1998-08-03 2004-08-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嵌合構造
JP4226737B2 (ja) * 1999-08-03 2009-02-1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6645005B2 (en) * 2001-11-29 2003-11-1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latching metal ears
US6434015B1 (en) * 2001-12-03 2002-08-1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Small form-factor pluggable module having release device
US6430053B1 (en) * 2001-12-13 2002-08-06 Stratos Lightwave Pluggable transceiver module having rotatable release and removal lever with living hinge
JP3609379B2 (ja) * 2002-01-31 2005-01-1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ロック機構付き電気コネクタ
TW540886U (en) * 2002-03-15 2003-07-01 Delta Electronics Inc Connection structure of hub and communication module
US6916196B2 (en) * 2003-03-22 2005-07-1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ush button de-latch mechanism for pluggable electronic module
CN2622881Y (zh) * 2003-05-08 2004-06-30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
US7448899B2 (en) * 2005-04-22 2008-11-11 Delta Electronics, Inc. Connecting module for communication
TWI276857B (en) * 2005-06-10 2007-03-21 Delta Electronics Inc A connecting module for communication
US7168986B1 (en) * 2006-03-21 2007-01-30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with EMI shielding shields
WO2008015817A1 (fr) * 2006-07-31 2008-02-07 Mitsumi Electric Co., Ltd. Connecteur pour connecter un composant électronique
CN201018048Y (zh) 2006-11-30 2008-02-06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
CN201060978Y (zh) 2007-05-11 2008-05-14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
JP4949936B2 (ja) * 2007-06-08 2012-06-1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55329B2 (ja) * 2007-11-08 2010-09-2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623694B2 (ja) * 2008-05-12 2014-11-12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1215839Y (zh) 2008-06-25 2009-04-01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板对板电连接器
CN101677154B (zh) 2008-09-17 2012-05-2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402326B2 (ja) * 2009-07-07 2014-01-2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22424B2 (ja) * 2010-03-05 2012-04-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TWM400710U (en) * 2010-06-08 2011-03-21 Yu-Tai Liang Lock protection structure for connection seat
US8292635B2 (en) * 2011-03-12 2012-10-2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assembly with robust latching means
JP5935040B2 (ja) * 2011-08-31 2016-06-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ソケットならびに当該ソケットを用いたコネクタ
JP5638026B2 (ja) * 2012-05-01 2014-12-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CN203871528U (zh) * 2013-02-27 2014-10-08 安普泰科电子韩国有限公司 接头连接器组件
JP6092694B2 (ja) * 2013-04-12 2017-03-0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45970B2 (ja) * 2013-04-12 2016-12-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14411B2 (ja) * 2014-03-20 2015-11-1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67997B2 (ja) * 2014-06-05 2017-07-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セット及びコネクタ
JP6182515B2 (ja) * 2014-08-19 2017-08-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6857073B2 (ja) 2017-04-07 2021-04-1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8783A (ja) 1991-06-18 1992-12-21 Nec Corp スタッキングコネクタ
JP2013118141A (ja) * 2011-12-05 2013-06-13 Hirose Electric Co Ltd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20140020189A (ko) * 2012-08-08 2014-02-18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전기 커넥터
KR20140086821A (ko) * 2012-12-28 2014-07-08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배선 기판 연결 장치
KR20140125300A (ko) * 2013-04-18 2014-10-28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2014212039A (ja) 2013-04-18 2014-11-1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20150079818A1 (en) * 2013-09-19 2015-03-19 Dai-Ichi Seiko Co., Ltd. Board-connecting electrical connector device
JP2015060764A (ja) 2013-09-19 2015-03-30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JP2015170579A (ja) 2014-03-11 2015-09-28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95614B (zh) 2020-01-03
US20190296489A1 (en) 2019-09-26
TWI697156B (zh) 2020-06-21
CN110380250B (zh) 2021-06-29
US10361513B2 (en) 2019-07-23
CN108695614A (zh) 2018-10-23
CN110380250A (zh) 2019-10-25
US10797439B2 (en) 2020-10-06
KR101977535B1 (ko) 2019-05-10
JP2018181499A (ja) 2018-11-15
TW201904139A (zh) 2019-01-16
US20180294603A1 (en) 2018-10-11
JP6857073B2 (ja) 202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535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101701180B1 (ko) 전선 대 기판 커넥터
US20080296133A1 (en) Connector
KR101860641B1 (ko) 커넥터
JP4044937B2 (ja) コネクタ
JP4044939B2 (ja) コネクタ
CN106981754B (zh) 连接器
KR20150003378A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JP7476808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JP5581983B2 (ja) 基板用コネクタ
JP2016157643A (ja) コネクタ組立体
JP5440679B1 (ja) 電気コネクタ
JP2019024023A (ja) コネクタ
CN114600321B (zh) 连接器
JP6095167B2 (ja) コネクタ
CN115699474A (zh) 连接器、连接器组件以及保持件
US20200028294A1 (en) Terminal
CN113228426B (zh) 连接器
JP5074164B2 (ja) コネクタ
JP2024066097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4425965B2 (ja) コネクタ
JP2022023654A (ja) コネクタ
JP2024055987A (ja) コネクタ
JP2021022474A (ja) コネクタ
JP2007250396A (ja) 電気コネクタのマウン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