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180B1 - 전선 대 기판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선 대 기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180B1
KR101701180B1 KR1020147035235A KR20147035235A KR101701180B1 KR 101701180 B1 KR101701180 B1 KR 101701180B1 KR 1020147035235 A KR1020147035235 A KR 1020147035235A KR 20147035235 A KR20147035235 A KR 20147035235A KR 101701180 B1 KR101701180 B1 KR 101701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lug
receptacle
housing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5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9993A (ko
Inventor
테츠 우라노
타카아키 구도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9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0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리셉터클 커넥터(3)는, 플러그 콘택트(4)와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7)와, 리셉터클 콘택트(7)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8)과, 리셉터클 하우징(8)에 부착되는 보조 금구(金具; 9)를 갖고,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에 실장된다. 보조 금구(9)는, 적어도, 피(被)보유지지부(30)와 고정부(31), 수직 변위 규제부(42)를 갖고 있다. 피보유지지부(30)는, 리셉터클 하우징(8)에 보유지지되는 부분이다. 고정부(31)는, 플러그 하우징(5)에 걸림으로써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에 대하여 고정하는 부분이다. 수직 변위 규제부(42)는, 고정부(31)의,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부분이다.

Description

전선 대 기판 커넥터{CONNECTOR BETWEEN CABLE AND SUBSTRATE}
본 발명은, 전선 대(對)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기술로서, 특허문헌 1은,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기판 커넥터(100)와, 복수의 전선(101)의 종단(終端)에 접속되는 전선 커넥터(103)를 구비한 전선 대 기판 커넥터(104)를 개시하고 있다. 이 전선 대 기판 커넥터(104)는, 저배형(低背型) 수직 끼워맞춤 커넥터로서, 전선(101)이 회로 기판과 평행하게 인출되는 전선 수평 인출 타입의 것이다.
기판 커넥터(100)는, 기판측 하우징(105)과, 기판측 하우징(105)에 부착되는 금속제의 부착용 보조 금구(金具; 106)를 갖고 있다. 부착용 보조 금구(106)에는 걸어맞춤용 개구(107)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선 커넥터(103)는, 전선측 하우징(108)을 갖고 있다. 전선측 하우징(108)의 측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방 로크 부재(109)가 접속되어 있다. 측방 로크 부재(109)의 내면에는, 내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측방 걸어맞춤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선 커넥터(103)의 측방 로크 부재(109)의 측방 걸어맞춤 돌기부가, 기판 커넥터(100)의 부착용 보조 금구(106)의 걸어맞춤용 개구(107)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전선 커넥터(103)가 기판 커넥터(100)에 로크되게 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1-3292호
특허문헌 1의 부착용 보조 금구(106)에는, 전선(101)이 흔들려도 파손되지 않도록, 강도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남겨져 있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전선이 흔들려도 파손되기 어려운 전선 대 기판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 발명의 제1 관점에 의하면, 전선이 부착되는 플러그 콘택트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와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부착되는 보조 금구를 갖고, 기판의 커넥터 실장면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 콘택트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촉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보유지지되는 피(被)보유지지부와,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걸림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제1 변위 규제부를 갖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피보유지지부에 지지됨과 함께,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피보유지지부와 대향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피보유지지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고정부의, 상기 피보유지지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소정량 이상의 탄성 변위를 규제하는 제2 변위 규제부를 추가로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납땜되는 다리부를 갖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리부는, 상기 제1 변위 규제부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보조 금구의 상기 고정부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플러그 로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함과 함께,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된 상태로서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로크면과 대향하는 리셉터클 로크면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선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방향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인출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보는 방향을 전선 커넥터 방향으로 하면,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부분은,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을 향함에 따라 그 돌출량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보는 방향을 전선 커넥터 방향으로 하면,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부분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상기 고정부로부터 떨어지도록 경사지는 평면 또는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보는 방향을 전선 커넥터 방향으로 하면, 상기 고정부의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부분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평면 또는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전선이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기울이기 위한 해제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제용 돌기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시키기 위해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고정부에 접촉했을 때에, 상기 고정부를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시키는 끼워맞춤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끼워맞춤 안내면은, 평면 또는 만곡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원 발명의 제2 관점에 의하면, 전선이 부착되는 플러그 콘택트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와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부착되는 보조 금구를 갖고, 기판의 커넥터 실장면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 콘택트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촉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보유지지되는 피보유지지부와,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걸림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제1 변위 규제부를 갖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피보유지지부에 지지됨과 함께,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피보유지지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보조 금구의 상기 고정부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플러그 로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함과 함께,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된 상태로서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로크면과 대향하는 리셉터클 로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측면으로서의 플러그 측면에는, 상기 보조 금구의 상기 고정부측으로 장출된 장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워맞춤 상태에서는, 상기 장출부와, 상기 고정부의 탄성 변위 가능한 부분이 접촉하고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의, 상기 기판의 커넥터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되기 때문에, 상기 전선이 흔들려도 상기 보조 금구가 파손되는 일이 없다.
도 1은 전선 대 기판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2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의 끼워맞춤되지 않은 상태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3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4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5는 리셉터클 하우징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6은 리셉터클 하우징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7은 도 5의 B부 확대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8은 도 6의 C부 확대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9는 보조 금구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0은 보조 금구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1은 리셉터클 콘택트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2는 도 3의 A부 확대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3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부분 평면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4는 전선에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5는 전선에 부착된 플러그 커넥터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6은 도 14의 D부 확대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7은 돌출부의 삼면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8은 전선에 부착된 플러그 콘택트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9는 전선이 흔들렸을 때의 동작 설명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20은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떼어낼 때의 동작 설명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21은 돌출부의 확대 사시도이다(제2 실시 형태).
도 22는 돌출부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제2 실시 형태).
도 23은 돌출부의 단면(X)의 단면도이다(제2 실시 형태).
도 24는 돌출부의 단면(Y)의 단면도이다(제2 실시 형태).
도 25는 돌출부의 단면(Z)의 단면도이다(제2 실시 형태).
도 26은 돌출부의 확대 사시도이다(제3 실시 형태).
도 27은 보조 금구의 사시도이다(제4 실시 형태).
도 28은 보조 금구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제4 실시 형태).
도 29는 보조 금구의 사시도이다(제5 실시 형태).
도 30은 보조 금구의 사시도이다(제6 실시 형태).
도 31은 보조 금구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제6 실시 형태).
도 32는 특허문헌 1의 도 1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33은 제2 실시 형태의 전선 대 기판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W부 확대도이다.
도 35는 복수의 전선이 부착된 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의 부분 사시도이다(제7 실시 형태).
도 36은 도 34에 상당하는 도면이다(제7 실시 형태).
도 37은 복수의 전선이 부착된 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의 부분 사시도이다(제8 실시 형태).
도 38은 도 34에 상당하는 도면이다(제8 실시 형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 1∼도 20을 참조하면서, 본원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 대 기판 커넥터(1)는, 플러그 커넥터(2)와 리셉터클 커넥터(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는,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도 18을 아울러 참조)와,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를 보유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5)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각 플러그 콘택트(4)에는, 전선(6)이 부착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3)는,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7)와,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7)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8)과, 리셉터클 하우징(8)에 부착되는 한 쌍의 보조 금구(9)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각 리셉터클 콘택트(7)는, 각 플러그 콘택트(4)와 대응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3)는, 회로 기판(10)(기판)의 커넥터 실장면(10a)에 실장되어 이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P)은,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다. 상세하게는, 끼워맞춤 방향(P)은,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각 플러그 콘택트(4)가 각 리셉터클 콘택트(7)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선 방향(제1 방향)」 및 「기판 직교 방향(제2 방향)」, 「커넥터 폭방향(제3 방향)」을 정의한다. 「전선 방향」 및 「기판 직교 방향」, 「커넥터 폭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전선 방향」은,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에 대하여 평행이 되는 방향으로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가 리셉터클 커넥터(3)에 끼워맞춤된 상태로서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전선(6)의 플러그 커넥터(2) 근방의 부분인 근방부(6a)의 길이 방향으로서 특정되는 방향이다. 바꾸어 말하면, 전선(6)은,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방향에서, 플러그 커넥터(2)로부터 인출되고 있다. 「전선 방향」 중, 플러그 커넥터(2)로부터 복수의 전선(6)을 보는 방향을 커넥터 전선 방향으로 하고, 복수의 전선(6)으로부터 플러그 커넥터(2)를 보는 방향을 전선 커넥터 방향으로 한다. 「기판 직교 방향」은,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다. 「기판 직교 방향」 중,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기판 근접 방향」으로 하고,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기판 이간 방향」으로 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끼워맞춤 방향(P)은, 기판 근접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커넥터 폭방향」은, 전선 방향 및 기판 직교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다. 커넥터 폭방향은,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에 대하여 평행이다. 「커넥터 폭방향」 중,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을 「커넥터폭 중앙 방향」으로 하고,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중앙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커넥터폭 반(反)중앙 방향」으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2)가 리셉터클 커넥터(3)에 끼워맞춤된 상태로서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정의한 전선 방향 및 기판 직교 방향, 커넥터 폭방향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리셉터클 커넥터(3))
다음으로, 도 3∼도 13을 참조하여, 리셉터클 커넥터(3)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7)와,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7)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8)과, 리셉터클 하우징(8)에 부착되는 한 쌍의 보조 금구(9)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3): 리셉터클 하우징(8))
도 5∼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8)은, 기판 대향부(15), 리셉터클 콘택트 보유지지부(16), 한 쌍의 보조 금구 부착부(1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8)을 구성하는 기판 대향부(15) 및 리셉터클 콘택트 보유지지부(16), 한 쌍의 보조 금구 부착부(17)는, 절연성을 갖는 예를 들면 수지 등의 소재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판 대향부(15)는,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에 대하여 평행이 되는 평판으로서, 커넥터 폭방향으로 좁고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콘택트 보유지지부(16)는, 기판 대향부(15)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로부터 기판 이간 방향으로 돌출되며, 커넥터 폭방향으로 좁고 길게 연장되는 부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콘택트 보유지지부(16)에는,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 부착공(18)이 형성되어 있다. 각 리셉터클 콘택트 부착공(18)은, 각 리셉터클 콘택트(7)를 리셉터클 하우징(8)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공이다.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 부착공(18)은, 커넥터 폭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리셉터클 콘택트 부착공(18)은, 리셉터클 콘택트 보유지지부(16)를 전선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각 리셉터클 콘택트 부착공(18)은, 전선 커넥터 방향 및 커넥터 전선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콘택트 보유지지부(16)는, 한 쌍의 단부(19)를 갖고 있다. 한 쌍의 단부(19)는, 리셉터클 콘택트 보유지지부(16)의 커넥터 폭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이다. 한 쌍의 단부(19)는, 전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벽체이다.
한 쌍의 보조 금구 부착부(17)는, 기판 대향부(15) 및 리셉터클 콘택트 보유지지부(16)의 커넥터 폭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보조 금구 부착부(17)는, 전선 방향을 따라 좁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보조 금구 부착부(17)는, 리셉터클 콘택트 보유지지부(16)보다도 커넥터 전선 방향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보조 금구 부착부(17)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커넥터 폭방향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대칭의 형상이기 때문에, 한쪽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다른 한쪽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금구 부착부(17)는, 위치 결정홈 측방 구획 벽부(20), 위치 결정홈 전방 구획 벽부(21), 금구 보유지지홈 후방 구획 벽부(22), 금구 보유지지홈 측방 구획 벽부(23), 금구 보유지지홈 내방 구획 벽부(24), 금구 보유지지홈 하측 구획 벽부(2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홈 측방 구획 벽부(20)는, 리셉터클 콘택트 보유지지부(16)의 단부(19)의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측의 단부로부터 커넥터 전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체이다. 위치 결정홈 측방 구획 벽부(20)는,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위치 결정홈 전방 구획 벽부(21)는, 위치 결정홈 측방 구획 벽부(20)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의 단부로부터 커넥터폭 중앙 방향으로 돌출된 벽체이다.
그리고, 리셉터클 콘택트 보유지지부(16)의 단부(19)와, 보조 금구 부착부(17)의 위치 결정홈 측방 구획 벽부(20) 및 위치 결정홈 전방 구획 벽부(21)에 의해 위치 결정홈(41)이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콘택트 보유지지부(16)의 단부(19)는, 위치 결정홈(41)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을 구획하고 있다. 위치 결정홈 측방 구획 벽부(20)는, 위치 결정홈(41)의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측을 구획하고 있다. 위치 결정홈 전방 구획 벽부(21)는, 위치 결정홈(41)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을 구획하고 있다.
금구 보유지지홈 후방 구획 벽부(22)는, 위치 결정홈 측방 구획 벽부(20)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의 단부로부터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체이다. 금구 보유지지홈 후방 구획 벽부(22)는, 전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금구 보유지지홈 측방 구획 벽부(23)는, 금구 보유지지홈 후방 구획 벽부(22)의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측의 단부로부터 커넥터 전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체이다. 금구 보유지지홈 측방 구획 벽부(23)는,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금구 보유지지홈 내방 구획 벽부(24)는, 금구 보유지지홈 측방 구획 벽부(23)보다도 약간 커넥터폭 중앙 방향측으로 떨어져 배치되며, 금구 보유지지홈 측방 구획 벽부(23)에 대하여 대략 평행이 되는 벽체이다. 금구 보유지지홈 내방 구획 벽부(24)는,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고 있다. 금구 보유지지홈 내방 구획 벽부(24)는, 커넥터 전선 방향을 향함에 따라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금구 보유지지홈 내방 구획 벽부(24)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에는, 전선 커넥터 방향으로 볼록해지는 만곡면(24a)이 형성되어 있다.
금구 보유지지홈 하측 구획 벽부(25)는, 금구 보유지지홈 측방 구획 벽부(23)의 기판 근접 방향측의 단부와, 금구 보유지지홈 내방 구획 벽부(24)의 기판 근접 방향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벽체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구 보유지지홈 하측 구획 벽부(25)는, 기판 직교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금구 보유지지홈 하측 구획 벽부(25)에는, 압입공(25a)이 형성되어 있다. 금구 보유지지홈 측방 구획 벽부(23)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의 단부와, 금구 보유지지홈 내방 구획 벽부(24)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의 단부는, 기판 근접 방향으로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구 보유지지홈 측방 구획 벽부(23)와 금구 보유지지홈 내방 구획 벽부(24), 금구 보유지지홈 하측 구획 벽부(25)에 의해 금구 보유지지홈(26)이 형성되어 있다. 금구 보유지지홈 측방 구획 벽부(23)는, 금구 보유지지홈(26)의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측을 구획하고 있다. 금구 보유지지홈 내방 구획 벽부(24)는, 금구 보유지지홈(26)의 커넥터폭 중앙 방향측을 구획하고 있다. 금구 보유지지홈 하측 구획 벽부(25)는, 금구 보유지지홈(26)의 기판 근접 방향측을 구획하고 있다. 금구 보유지지홈(26)은, 기판 이간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금구 보유지지홈(26)은, 전선 방향을 따라 좁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금구 보유지지홈 내방 구획 벽부(24)의 만곡면(24a)은, 금구 보유지지홈 후방 구획 벽부(22)에 대하여 전선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다. 금구 보유지지홈 내방 구획 벽부(24)의 만곡면(24a)과 금구 보유지지홈 후방 구획 벽부(22)와의 사이에는, 간극(G)이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3): 보조 금구(9))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한 쌍의 보조 금구(9)를 설명한다. 한 쌍의 보조 금구(9)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커넥터 폭방향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대칭의 형상이기 때문에, 한쪽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다른 한쪽의 설명은 생략한다.
보조 금구(9)는, 피보유지지부(30), 고정부(31), 연결부(32), 변위 규제부(3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보조 금구(9)는, 판금 절곡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피보유지지부(30)는, 리셉터클 하우징(8)에 의해 보유 지지되는 부분이다. 피보유지지부(30)는, 전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피보유지지부(30)는,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보유지지부(30)는, 피보유지지부 본체(30a)와 피압입부(30b), 다리부(30c)를 갖고 있다. 피압입부(30b)는, 도 8의 금구 보유지지홈 하측 구획 벽부(25)의 압입공(25a)에 압입되는 부분이다. 피압입부(30b)는, 피보유지지부 본체(30a)의 전선 방향 중도부로부터 기판 근접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30c)는,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에 납땜되는 부분이다. 피보유지지부 본체(30a)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의 단부로부터 기판 근접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31)는, 플러그 하우징(5)에 걸림으로써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에 대하여 고정하는 부분이다. 고정부(31)는, 전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31)는,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고정부(31)는, 보조 금구(9)가 리셉터클 하우징(8)에 부착되기 전의 도 9 상태에서, 피보유지지부(30)와 커넥터 폭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31)는, 고정부 본체(34)와 피규제 돌기(35)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 본체(34)는, 전선 방향으로 좁고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 본체(34)에는,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 되는 로크공(36)이 형성되어 있다. 로크공(36)은, 전선 방향으로 좁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로크공(36)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로크공(36)의 기판 이간 방향측에는, 로크공(36)의 기판 이간 방향측을 구획하는 로크 들보(37)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 들보(37)는, 리셉터클 로크면(38), 플러그 대향면(39), 끼워맞춤 안내면(40)을 갖고 있다. 리셉터클 로크면(38)은,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는 평면이다. 리셉터클 로크면(38)은, 기판 직교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리셉터클 로크면(38)은, 전선 방향으로 좁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대향면(39)은, 리셉터클 로크면(38)의 커넥터폭 중앙 방향측의 테두리에 접속되며, 커넥터폭 중앙 방향을 향하는 평면이다. 플러그 대향면(39)은,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끼워맞춤 안내면(40)은, 플러그 대향면(39)의 기판 이간 방향측의 테두리에 접속되며,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함에 따라 커넥터폭 중앙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는 평면이다.
피규제 돌기(35)는, 고정부 본체(34)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의 단부의 기판 근접 방향 근처의 부분으로부터 커넥터 전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32)는, 피보유지지부(30)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와, 고정부(31)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연결부(32)는, 전선 커넥터 방향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피보유지지부(30)와 고정부(31), 연결부(32)는, 기판 근접 방향에서 보면 대략 U자를 구성하고 있다. 이 연결부(32)의 존재에 의해, 고정부(31)는, 연결부(32)를 개재하여 피보유지지부(30)에 지지됨과 함께,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언급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결부(32)의 존재에 의해, 고정부(31)는, 피보유지지부(3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즉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변위 규제부(33)는, 고정부(31)의 변위를 규제하기 위한 부분이다. 변위 규제부(33)는, 수직 변위 규제부(42)(제1 변위 규제부)와 수평 변위 규제부(43)(제2 변위 규제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수직 변위 규제부(42) 및 수평 변위 규제부(43)는, 피보유지지부(30)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의 단부로부터 커넥터폭 중앙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수직 변위 규제부(42) 및 수평 변위 규제부(43)는, 전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수직 변위 규제부(42)는, 수평 변위 규제부(43)보다도 기판 이간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수평 변위 규제부(43)는, 수직 변위 규제부(42)보다도 기판 근접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수직 변위 규제부(42)는, 수평 변위 규제부(43)보다도 커넥터폭 중앙 방향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다. 수평 변위 규제부(43)는, 수직 변위 규제부(42)보다도 커넥터폭 중앙 방향으로 작게 돌출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수평 변위 규제부(43)는, 수직 변위 규제부(42)보다도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에서 보아 오목하게 되어 있다. 수직 변위 규제부(42)는, 선단부(42a)를 갖고 있다. 수직 변위 규제부(42)의 선단부(42a)는, 수직 변위 규제부(42)의 커넥터폭 중앙 방향측의 선단의 부분이다. 수직 변위 규제부(42)의 선단부(42a)는, 고정부(31)의 피규제 돌기(35)에 대하여 기판 직교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다. 수직 변위 규제부(42)의 선단부(42a)는, 고정부(31)의 피규제 돌기(35)보다도 기판 이간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부(31)가 기판 이간 방향측으로 변위하면, 고정부(31)의 피규제 돌기(35)가 변위 규제부(33)의 수직 변위 규제부(42)의 선단부(42a)에 대하여 즉좌로 접촉하며, 고정부(31)의 그 이상의 변위가 금지된다. 고정부(31)의 피규제 돌기(35)와, 변위 규제부(33)의 수직 변위 규제부(42)의 선단부(42a)와의 사이의 간극(H)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급적으로 작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부(31)의 기판 이간 방향측으로의 변위는 실질적으로 금지되어 있다. 수평 변위 규제부(43)는, 고정부(31)의 피규제 돌기(35)에 대하여 커넥터 폭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다. 수평 변위 규제부(43)는, 고정부(31)의 피규제 돌기(35)보다도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부(31)가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측으로 변위하면, 고정부(31)의 피규제 돌기(35)가 변위 규제부(33)의 수평 변위 규제부(43)에 접촉하며, 고정부(31)의 그 이상의 변위는 금지된다. 고정부(31)의 피규제 돌기(35)와, 변위 규제부(33)의 수평 변위 규제부(43)와의 사이의 간극(J)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비교적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부(31)의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측으로의 변위는 어느 정도 허용되어 있으며, 소정량 이상의 변위만이 금지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위 규제부(33)의 수직 변위 규제부(42) 및 수평 변위 규제부(43)는, 피보유지지부(30)의 다리부(30c)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즉, 피보유지지부(30)의 다리부(30c)는, 변위 규제부(33)의 수직 변위 규제부(42) 및 수평 변위 규제부(43)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3): 리셉터클 콘택트(7))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리셉터클 콘택트(7)를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콘택트(7)는,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판체이다. 리셉터클 콘택트(7)는, 리셉터클 콘택트 본체(70)와, 리셉터클 콘택트 접점부(71), 리셉터클 콘택트 다리부(7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콘택트 본체(70)는, 전선 방향으로 좁고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콘택트 접점부(71)는, 리셉터클 콘택트 본체(70)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의 단부로부터 커넥터 전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콘택트 접점부(71)에는, 한 쌍의 오목부(71a)가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콘택트 다리부(72)는, 리셉터클 콘택트 본체(70)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로부터 기판 근접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3)의 조립)
다음으로, 리셉터클 커넥터(3)의 조립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2∼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7)를 리셉터클 하우징(8)의 리셉터클 콘택트 보유지지부(16)의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 부착공(18)에 각각 압입한다. 각 리셉터클 콘택트 부착공(18)으로의 각 리셉터클 콘택트(7)의 압입 방향은, 커넥터 전선 방향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리셉터클 콘택트(7)의 리셉터클 콘택트 접점부(71)는, 리셉터클 콘택트(7)가 리셉터클 하우징(8)에 부착된 상태에서, 커넥터 전선 방향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리셉터클 콘택트(7)의 리셉터클 콘택트 다리부(72)는, 리셉터클 콘택트(7)가 리셉터클 하우징(8)에 부착된 상태에서, 기판 근접 방향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보조 금구(9)를 리셉터클 하우징(8)의 한 쌍의 보조 금구 부착부(17)에 각각 부착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도 9의 각 보조 금구(9)의 피보유지지부(30)가 도 7의 리셉터클 하우징(8)의 각 보조 금구 부착부(17)의 금구 보유지지홈(26)에 삽입되도록, 또한, 도 9의 각 보조 금구(9)의 연결부(32)가 도 7의 리셉터클 하우징(8)의 각 보조 금구 부착부(17)의 간극(G)에 삽입되도록, 각 보조 금구(9)를 각 보조 금구 부착부(17)에 대하여 위치 결정한다. 이와 같이 각 보조 금구(9)를 각 보조 금구 부착부(17)에 대하여 위치 결정한 후에, 각 보조 금구(9)를 각 보조 금구 부착부(17)로 기판 근접 방향에서 밀어 넣는다.
그러면, 도 9의 각 보조 금구(9)의 피보유지지부(30)가 도 7의 리셉터클 하우징(8)의 각 보조 금구 부착부(17)의 금구 보유지지홈(26)에 삽입됨과 함께, 도 9의 각 보조 금구(9)의 연결부(32)가 도 7의 리셉터클 하우징(8)의 각 보조 금구 부착부(17)의 간극(G)에 삽입된다. 이때, 도 10의 각 보조 금구(9)의 피보유지지부(30)의 피압입부(30b)가, 도 8의 리셉터클 하우징(8)의 각 보조 금구 부착부(17)의 금구 보유지지홈 하측 구획 벽부(25)의 압입공(25a)에 압입된다. 이 압입에 의해, 각 보조 금구(9)는, 각 보조 금구 부착부(17)에 대하여 강력하게 고정된다.
도 12 및 도 13에는, 각 보조 금구(9)가 리셉터클 하우징(8)의 각 보조 금구 부착부(17)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구 보유지지홈 내방 구획 벽부(24)는, 보조 금구(9)에 의해 둘러싸인 배치로 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보조 금구(9)를 리셉터클 하우징(8)의 각 보조 금구 부착부(17)에 부착한 상태에서, 각 보조 금구 부착부(17)의 금구 보유지지홈 내방 구획 벽부(24)와, 각 보조 금구(9)의 고정부(31)와의 사이에는 간극(K)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보조 금구(9)의 고정부(31)는,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각 보조 금구(9)의 고정부(31)는, 고정부(31)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구 보유지지홈 내방 구획 벽부(24)는, 커넥터 전선 방향을 향함에 따라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보조 금구(9)의 고정부(31)의 탄성 변위를 허용하면서도, 두께가 최대한 확보되어, 강도상 우수하다.
(플러그 커넥터(2))
다음으로, 도 14∼도 18을 참조하여, 플러그 커넥터(2)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와,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를 보유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 하우징(5)은, 플러그 하우징 본체(50)와, 해제용 돌기(51),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52), 한 쌍의 돌출부(5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 본체(50)는, 기판 직교 방향에 있어서 얇은 편평체이다. 플러그 하우징 본체(50)는, 기판 근접 방향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이며, 커넥터 폭방향으로 좁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하우징 본체(50)에는,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 부착공(54)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 부착공(54)은, 커넥터 폭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플러그 콘택트 부착공(54)은, 플러그 하우징 본체(50)를 전선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각 플러그 콘택트 부착공(54)은, 전선 커넥터 방향 및 커넥터 전선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하우징 본체(50)는, 플러그 하우징 본체(50)의 한 쌍의 측면으로서의 한 쌍의 플러그 측면(50a)을 갖고 있다. 한 쌍의 플러그 측면(50a)은, 전선 방향과 기판 직교 방향 중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대략 평행한 평면이다. 즉, 각 플러그 측면(50a)은,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고 있다.
도 18에는, 전선(6)의 단부에 부착된 플러그 콘택트(4)를 나타내고 있다. 플러그 콘택트(4)는, 리셉터클 콘택트(7)를 협지함으로써 리셉터클 콘택트(7)에 대하여 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편(4a)을 갖고 있다. 각 접촉편(4a)의 내측의 면에는, 도 11의 리셉터클 콘택트(7)의 리셉터클 콘택트 접점부(71)의 오목부(71a)에 끼워지도록 돌출되는 접점부(4b)가 형성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는, 커넥터 폭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는, 커넥터 폭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플러그 측면(50a)에 끼워져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제용 돌기(51)는, 전선(6)이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에 가까워지도록 플러그 커넥터(2)를 기울이기 위한 돌기이다. 해제용 돌기(51)는, 플러그 하우징 본체(50)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의 기판 이간 방향 근처의 부분으로부터 전선 커넥터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해제용 돌기(51)는, 커넥터 폭방향으로 좁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각 위치 결정 돌기(52)는, 플러그 하우징 본체(50)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의, 커넥터 폭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로부터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돌출부(53)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커넥터 폭방향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대칭의 형상이기 때문에, 한쪽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다른 한쪽의 설명은 생략한다. 돌출부(53)는, 플러그 측면(50a)의 커넥터 전선 방향 근처의 부분으로부터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3)는, 전선 방향으로 좁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53)는, 전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인 각기둥 형상이다. 돌출부(53)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부분은, 비스듬히 잘려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53)는, 플러그 로크면(60), 끼워맞춤 안내면(61), 측방 기립면(62), 단부 기립면(63), 단부 경사면(64)을 갖고 있다.
플러그 로크면(60)은,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함과 함께, 전선 방향으로 좁고 길게 연장되는 면이다. 플러그 로크면(60)과 플러그 측면(50a)과의 사이의 각도는, 대략 85∼90도이다.
끼워맞춤 안내면(61)은,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함과 함께, 전선 방향으로 좁고 길게 연장되는 평면이다. 끼워맞춤 안내면(61)은,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함에 따라 커넥터폭 중앙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측방 기립면(62)은,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을 향함과 함께, 전선 방향으로 좁고 길게 연장되는 평면이다. 측방 기립면(62)은,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측방 기립면(62)은, 플러그 로크면(60) 및 끼워맞춤 안내면(61)에 접속되어 있다. 측방 기립면(62)은, 플러그 로크면(60)과 끼워맞춤 안내면(61)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단부 기립면(63)은, 플러그 측면(50a)에 접속되며, 커넥터 전선 방향을 향하는 평면이다. 단부 기립면(63)은, 전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단부 기립면(63)은, 플러그 로크면(60)과 끼워맞춤 안내면(61), 측방 기립면(62)에 접속되어 있다.
단부 경사면(64)은, 플러그 측면(50a)에 접속되며, 전선 커넥터 방향 및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을 향하는 평면이다. 단부 경사면(64)은, 전선 커넥터 방향을 향함에 따라 커넥터폭 중앙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단부 경사면(64)은, 플러그 로크면(60)과 끼워맞춤 안내면(61), 측방 기립면(62)에 접속되어 있다. 단부 경사면(64)의 존재에 의해, 돌출부(53)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부분은, 전선 커넥터 방향을 향함에 따라,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으로의 돌출량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선(6))
전선(6)은,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도선(導線)이 개별로 피복된 것뿐만 아니라, FFC(Flexible Flat Cable)나 FPC(Flexible Printed Circuits)를 구성하는 것이라도 좋다.
(플러그 커넥터(2)의 조립)
다음으로, 플러그 커넥터(2)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2)를 조립하려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전선(6)의 단부에 각 플러그 콘택트(4)를 부착한 후에, 각 플러그 콘택트(4)를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5)의 플러그 하우징 본체(50)의 각 플러그 콘택트 부착공(54)에 전선 커넥터 방향으로 삽입한다. 그러면, 도시하지 않는 랜스의 작용에 의해, 각 플러그 콘택트(4)의 각 플러그 콘택트 부착공(54)으로부터의 발거가 금지된다.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끼워맞춤 방법)
다음으로,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에 끼워맞춤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에 끼워맞춤하려면, 미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3)를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에 실장해 둔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나타내는 보조 금구(9)의 피보유지지부(30)의 다리부(30c)를 도 2의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의 보조 금구용 패드(10b)에 납땜한다. 또한, 도 11의 각 리셉터클 콘택트(7)의 리셉터클 콘택트 다리부(72)를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의 도시하지 않는 전극 패드에 납땜한다.
다음으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로 향하여 끼워맞춤 방향(P)으로 강하시킨다. 그러면, 이하와 같은 거동이 된다.
(1) 도 14에 나타내는 플러그 하우징(5)의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52)가, 도 3에 나타내는 한 쌍의 위치 결정홈(41)에 각각 삽입된다.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2)의 리셉터클 커넥터(3)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조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52)와 한 쌍의 위치 결정홈(41)은, 플러그 커넥터(2)의 리셉터클 커넥터(3)에 대한 위치 결정 효과를 발휘한다. 플러그 커넥터(2)의 리셉터클 커넥터(3)에 대한 위치 결정 효과는, 상세하게는,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2)의 리셉터클 커넥터(3)에 대한 위치 결정 효과를 의미한다. 또한,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끼워맞춤 후에서는,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52)와 한 쌍의 위치 결정홈(41)은, 전선(6)을 커넥터 전선 방향으로 당겼을 때의, 플러그 커넥터(2)의 리셉터클 커넥터(3)로부터의 빠짐을 금지하는 빠짐 방지 효과를 발휘한다.
(2)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하우징(5)에 보유지지되어 있는 각 플러그 콘택트(4)의 한 쌍의 접촉편(4a)(도 18을 아울러 참조) 간에, 도 11에 나타내는 각 리셉터클 콘택트(7)의 리셉터클 콘택트 접점부(71)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도 18에 나타내는 한 쌍의 접점부(4b)가 도 11의 리셉터클 콘택트(7)의 리셉터클 콘택트 접점부(71)의 오목부(71a) 내에 끼워 넣어진다. 이 결과, 각 플러그 콘택트(4)는, 각 리셉터클 콘택트(7)에 대하여 확실하게 접촉한다.
(3)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로 향하여 강하시켜 가면, 도 14에 나타내는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52)와 도 3에 나타내는 한 쌍의 위치 결정홈(41)에 의해 발휘되는 플러그 커넥터(2)의 리셉터클 커넥터(3)에 대한 위치 결정 효과에 의해, 도 14에 나타내는 플러그 하우징(5)의 한 쌍의 돌출부(53)가, 도 9에 나타내는 각 보조 금구(9)의 고정부(31)의 로크 들보(37)에 대하여 기판 직교 방향에 있어서 각각 대향한다. 그리고, 도 16에 나타내는 돌출부(53)의 끼워맞춤 안내면(61)이 도 9에 나타내는 로크 들보(37)의 끼워맞춤 안내면(40)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로 향하여 밀어넣어 가면, 도 16에 나타내는 돌출부(53)의 끼워맞춤 안내면(61)과 도 9에 나타내는 로크 들보(37)의 끼워맞춤 안내면(40)의 존재에 의해, 돌출부(53)는, 로크 들보(37)를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으로 밀어 젖혀, 로크 들보(37)의 플러그 대향면(39) 상을 미끄러지면서 강하한다. 즉, 고정부(31)의 로크 들보(37)의 끼워맞춤 안내면(40)은,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에 끼워맞춤시키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2)의 돌출부(53)가 고정부(31)에 접촉했을 때에, 고정부(31)를 플러그 커넥터(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 즉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으로 탄성 변위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머지 않아, 돌출부(53)가 로크 들보(37)를 뛰어 넘으면, 보조 금구(9)의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고정부(31)가 커넥터폭 중앙 방향으로 복귀하고, 돌출부(53)는 로크공(36) 내에 수용된다. 이 결과,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하우징(5)의 돌출부(53)의 플러그 로크면(60)이, 리셉터클 커넥터(3)의 보조 금구(9)의 고정부(31)의 로크 들보(37)의 리셉터클 로크면(38)에 대하여, 기판 직교 방향에서 대향한다. 이 플러그 로크면(60)과 리셉터클 로크면(38)과의 기판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대향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2)는 리셉터클 커넥터(3)에 대하여 로크되어, 플러그 커넥터(2)의 리셉터클 커넥터(3)로부터의 이탈이 금지된다.
상세하게는, 도 19에 나타내는 끼워맞춤 상태에서는, 어떠한 원인에 의해 복수의 전선(6)이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는 경우가 있다. 즉, 도 19에 나타내는 끼워맞춤 상태에서는, 어떠한 원인에 의해 복수의 전선(6)이 흔들리는 경우가 있다. 전선(6)이 흔들리면, 플러그 하우징(5)이 화살표(R)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기울어, 플러그 로크면(60)이 리셉터클 로크면(38)에 접촉하게 된다.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발거 방법)
다음으로, 플러그 커넥터(2)의 리셉터클 커넥터(3)로부터의 발거 방법을 설명한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하우징(5)의 해제용 돌기(51)에 클로우나 공구, 지그 등을 걸고, 전선(6)이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에 가까워지도록 플러그 커넥터(2)가 화살표(S)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의도적으로 기울여지면, 단부 경사면(64)이 로크 들보(37)를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으로 밀어 젖힌다. 단부 경사면(64)이 로크 들보(37)를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으로 밀어 젖힘으로써, 플러그 로크면(60)과 리셉터클 로크면(38)과의 대향 관계가 해소되어,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로크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로크 상태가 해제되면, 다음은,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로부터 기판 이간 방향으로 뽑아내면 좋다.
이상으로, 본원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요컨데, 이하의 특징을 갖고 있다.
(1) 전선 대 기판 커넥터(1)는, 전선(6)이 부착되는 플러그 콘택트(4)와, 플러그 콘택트(4)를 보유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5)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2)와, 플러그 콘택트(4)와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7)와, 리셉터클 콘택트(7)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8)과, 리셉터클 하우징(8)에 부착되는 보조 금구(9)를 갖고, 회로 기판(10)(기판)의 커넥터 실장면(10a)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3)를 구비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에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P)은,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다.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플러그 콘택트(4)가 리셉터클 콘택트(7)에 접촉한다. 보조 금구(9)는, 적어도, 피보유지지부(30)와 고정부(31), 수직 변위 규제부(42)(제1 변위 규제부)를 갖고 있다. 피보유지지부(30)는, 리셉터클 하우징(8)에 보유지지되는 부분이다. 고정부(31)는, 플러그 하우징(5)에 걸림으로써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에 대하여 로크하는 부분이다. 수직 변위 규제부(42)는, 고정부(31)의,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부분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고정부(31)의,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되기 때문에, 전선(6)이 흔들려도 보조 금구(9)가 파손되는 일이 없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보조 금구(9)의 파손」이란, 예를 들면, 보조 금구(9)의 고정부(31)가 기판 이간 방향으로 과(過)변형하여 소성 변형해 버리는 것이다.
(2)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31)는, 피보유지지부(30)에 지지됨과 함께,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3)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31)는, 피보유지지부(30)와 대향하고 있다.
(4)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31)는, 피보유지지부(3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5) 또한, 보조 금구(9)는, 고정부(31)의, 피보유지지부(3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소정량 이상의 탄성 변위를 규제하는 수평 변위 규제부(43)(제2 변위 규제부)를 추가로 갖는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보조 금구(9)의 과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보조 금구(9)의 파손」이란, 예를 들면, 보조 금구(9)의 고정부(31)가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으로 과변형하여 소성 변형해 버리는 것이다.
(6)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금구(9)는,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에 납땜되는 다리부(30c)를 갖고 있다.
(7)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부(30c)는, 수직 변위 규제부(42)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수직 변위 규제부(42)에 의한 변위 규제 효과가 문제 없이 발휘되게 된다.
(8)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5)에는, 보조 금구(9)의 고정부(31)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3)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3)에는,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플러그 로크면(60)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31)에는,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함과 함께, 플러그 커넥터(2)가 리셉터클 커넥터(3)에 끼워맞춤된 상태로서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플러그 로크면(60)과 대향하는 리셉터클 로크면(38)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에 대하여 확실하게 로크할 수 있다.
(9)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6)은,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플러그 커넥터(2)로부터 인출되고 있다.
(10)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6)으로부터 플러그 커넥터(2)를 보는 방향을 전선 커넥터 방향으로 하면, 돌출부(53)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부분은, 전선 커넥터 방향을 향함에 따라 그 돌출량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6)이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들어 올려져도 로크 상태를 문제 없이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로크 상태를 의도적으로 해제 가능한 전선 대 기판 커넥터(1)가 실현된다.
(13)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5)에는, 전선(6)이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에 가까워지도록 플러그 커넥터(2)를 기울이기 위한 해제용 돌기(51)가 형성되어 있다.
(14)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제용 돌기(51)는, 플러그 하우징(5)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로부터, 전선 커넥터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15)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31)에는,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에 끼워맞춤시키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2)의 돌출부(53)가 고정부(31)에 접촉했을 때에, 고정부(31)를 플러그 커넥터(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시키는 끼워맞춤 안내면(40)이 형성되어 있다.
(17)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금구(9)는, 리셉터클 커넥터(3)의 커넥터 폭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0에 나타내는 돌출부(53)의 단부 경사면(64)이 로크 들보(37)를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으로 밀어 젖히는 타이밍과, 도 18에 나타내는 플러그 콘택트(4)의 접점부(4b)가 도 11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콘택트(7)의 오목부(71a)로부터 탈출하는 타이밍은, 맞춰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돌출부(53)의 전선 커넥터측의 형상을 뒤쪽으로 갈수록 올라가거나 또는 뒤쪽으로 갈수록 내려가게 함으로써, 상기 2개의 타이밍을 맞출 수 있다.
이상으로,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제1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즉,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금구(9)의 고정부(31)의 고정부 본체(34)에는 로크공(36)이 형성되어 있고, 이 로크공(36)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로크 들보(37)가 형성되어 있다고 했다. 그러나, 로크 들보(37)는, 반드시 로크공(36)의 존재를 전제로 한 것은 아니다. 로크공(36)을 형성하지 않으면 로크 들보(37)를 형성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로크공(36)의 기판 근접 방향측에 존재하고 있는 들보를 제거한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21∼도 25를 참조하면서, 본원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본 실시 형태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각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원칙으로서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러그 로크면(60)은, 커넥터 전선 방향측에 배치되는 로크 유지면(65)과, 전선 커넥터 방향측에 배치되는 로크 해제면(66)을 갖는다. 로크 유지면(65)은, 플러그 측면(50a)에 접속되며, 기판 직교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평면이다. 로크 해제면(66)은, 플러그 측면(50a)에 접속되며, 기판 이간 방향을 향함에 따라 커넥터폭 중앙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고, 또한, 전선 커넥터 방향을 향함에 따라 커넥터폭 중앙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는 평면이다. 로크 유지면(65)과 로크 해제면(66)은, 상호 접속되어 있다. 로크 유지면(65)과 로크 해제면(66)은, 전선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고 있다. 로크 유지면(65)은, 로크 해제면(66)으로부터 보아, 커넥터 전선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로크 해제면(66)은, 로크 유지면(65)으로부터 보아, 전선 커넥터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로크 해제면(66)은, 로크 유지면(65)의 플러그 측면(50a)으로부터 먼 측의 테두리(65a)에 접속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로크 해제면(66)은, 로크 유지면(65)의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측의 테두리(65a)에 접속되어 있다.
플러그 측면(50a)은, 도 21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기준면(Q)을 갖고 있다. 기준면(Q)은, 플러그 측면(50a)의 일부이다. 기준면(Q)은, 플러그 측면(50a) 중 돌출부(53)보다도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으로부터 먼 측의 부분이다. 기준면(Q)은, 플러그 측면(50a) 중 돌출부(53)보다도 기판 이간 방향측의 부분이다.
도 22에는, 돌출부(53)의 3개의 단면(X), 단면(Y), 단면(Z)을 나타내고 있다. 단면(X)은, 단면(Y)보다도 커넥터 전선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단면(Y)은, 단면(Z)보다도 커넥터 전선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단면(X), 단면(Y), 단면(Z)은, 모두 전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다. 이하, 이 단면(X), 단면(Y), 단면(Z)을 이용하여, 돌출부(53)의 형상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3에 나타내는 단면(X)에서는, 플러그 로크면(60) 중 로크 유지면(65)만이 나타나 있다. 도 24에 나타내는 단면(Y)에서는, 플러그 로크면(60) 중 로크 유지면(65) 및 로크 해제면(66)의 양쪽이 나타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단면(Y)에 있어서, 로크 유지면(65)과 로크 해제면(66)은 커넥터 폭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고 있다. 도 25에 나타내는 단면(Z)에서는, 플러그 로크면(60) 중 로크 해제면(66)만이 나타나 있다. 도 23에 나타내는 단면(X) 및 도 24에 나타내는 단면(Y)에서는, 측방 기립면(62)이 나타나 있다. 한편, 도 25에 나타내는 단면(Z)에서는, 측방 기립면(62)을 대신하여 단부 경사면(64)이 나타나 있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준면(Q)과 로크 유지면(65)의 사이의 각도를 로크 유지 각도(θ1)로 한다.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준면(Q)과 로크 해제면(66)의 사이의 각도를 로크 해제 각도(θ2)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로크 유지 각도(θ1)는, 로크 해제 각도(θ2)보다도 작다. 구체적으로는, 로크 유지 각도(θ1)는, 90도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로크 유지 각도(θ1)는, 70∼90도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로크 유지 각도(θ1)는, 80∼85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로크 유지 각도(θ1)는, 85도이다. 또한, 로크 해제 각도(θ2)는, 90도보다도 크다. 바람직하게는, 로크 해제 각도(θ2)는, 95∼165도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로크 해제 각도(θ2)는, 120∼150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로크 해제 각도(θ2)는, 135도이다.
상기 제2 실시 형태는, 이하의 특징을 갖고 있다.
(11) 돌출부(53)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부분에는,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고정부(31)로부터 떨어지도록, 즉 커넥터폭 중앙 방향으로 경사지는 로크 해제면(66)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전선(6)이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들어 올려져도 로크 상태를 문제 없이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로크 상태를 의도적으로 해제 가능한 전선 대 기판 커넥터(1)가 실현된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부(53)는, 로크 해제면(66)과 단부 경사면(64)의 양쪽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를 대신하여,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단부 경사면(64)만을 갖는 것으로 해도 좋고, 반대로, 로크 해제면(66)만을 갖는 것으로 해도 좋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26을 참조하면서, 본원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본 실시 형태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각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원칙으로서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러그 로크면(60)의 로크 해제면(66)은 평면에 의해 구성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해제면(66)을,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고정부(31)로부터 떨어지도록, 즉 커넥터폭 중앙 방향에 경사지는 만곡면으로 해도 좋다. 도 26에서는, 돌출부(53)의 단면 형상을 해칭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서도, 전선(6)이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들어 올려져도 로크 상태를 문제 없이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로크 상태를 의도적으로 해제 가능한 전선 대 기판 커넥터(1)가 실현된다.
또한, 상기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단부 경사면(64)을 생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3 실시 형태에서도, 돌출부(53)는 단부 경사면(64)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서, 본원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본 실시 형태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각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원칙으로서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돌출부(53)는, 도 16에 나타내는 단부 경사면(64)을 갖고 있지 않다. 이를 대신하여,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금구(9)의 고정부(31)의 로크 들보(37)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부분에는,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플러그 하우징(5)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만곡면(80)이 형성되어 있다. 만곡면(80)은, 리셉터클 로크면(38)과 플러그 대향면(39)에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평면 형상의 끼워맞춤 안내면(40)을 대신하여,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들보(37)에는, 만곡 형상의 끼워맞춤 안내면(81)이 형성되어 있다. 만곡면(80) 및 끼워맞춤 안내면(81)은, 예를 들면 R면가공에 의해 형성하면 좋다.
상기의 제4 실시 형태는, 이하의 특징을 갖고 있다.
(12) 고정부(31)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부분에는,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플러그 하우징(5)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만곡면(80)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전선(6)이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들어 올려져도 로크 상태를 문제 없이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로크 상태를 의도적으로 해제 가능한 전선 대 기판 커넥터(1)가 실현된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29를 참조하면서, 본원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본 실시 형태가 상기 제4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4 실시 형태의 각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원칙으로서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제4 실시 형태의 만곡면(80)을 대신하여, 평면(82)을 채용해도 좋다.
상기의 제5 실시 형태는, 이하의 특징을 갖고 있다.
(12) 고정부(31)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부분에는,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플러그 하우징(5)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평면(82)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전선(6)이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실장면(1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들어 올려져도 로크 상태를 문제 없이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로크 상태를 의도적으로 해제 가능한 전선 대 기판 커넥터(1)가 실현된다.
(제6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서, 본원 발명의 제6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본 실시 형태가 상기 제4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4 실시 형태의 각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원칙으로서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만곡면(80) 및 끼워맞춤 안내면(81)은, R면가공에 의해 형성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이를 대신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0 및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판을 만곡 형상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하고 있다.
(제7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33∼도 36을 참조하면서, 본원 발명의 제7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본 실시 형태가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각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원칙으로서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도 33에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끼워맞춤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4는, 도 33의 W부 확대도이다.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3)의 보조 금구(9)의 고정부(31)는, 외팔보 형상으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부(31)의 근본에 상당하는, 고정부(31)의 연결부(32)측의 단부(31a)는,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으로 거의 탄성 변위할 수 없다. 가령,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에 끼워맞춤시킬 때,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하우징(5)의 플러그 하우징 본체(50)가 리셉터클 커넥터(3)의 보조 금구(9)의 고정부(31)의 연결부(32)측의 단부(31a)에 접촉해 버렸다고 하면, 상기와 같이 단부(31a)는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으로 거의 탄성 변위할 수 없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2)가 리셉터클 커넥터(3)로 끼워맞춤하는 것을 현저하게 저해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미연에 막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하우징(5)의 플러그 하우징 본체(50)의 플러그 측면(50a)과, 리셉터클 커넥터(3)의 보조 금구(9)의 고정부(31)와의 사이에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간극(L)이 남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간극(L)의 존재에 의해, 도 34에 나타내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3) 내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하우징(5)의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이동이 허용되게 된다.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3) 내에서,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하우징(5)이 커넥터 폭방향으로 이동해 버리면, 도 9에 나타내는 보조 금구(9)의 고정부(31)의 리셉터클 로크면(38)과, 도 21에 나타내는 돌출부(53)의 플러그 로크면(60)의 로크 유지면(65)과의 기판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대향 관계가 약해지고, 이 결과, 플러그 커넥터(2)가 리셉터클 커넥터(3)로부터 벗어나기 쉬워져 버린다는 문제가 남아 있었다.
그래서,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하우징(5)의 플러그 하우징 본체(50)의 플러그 측면(50a)에는, 보조 금구(9)의 고정부(31)측으로 장출된 장출부(90)를 형성하고 있다. 즉, 장출부(90)는, 플러그 하우징 본체(50)의 플러그 측면(50a)으로부터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6에 나타내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끼워맞춤 상태에서는, 장출부(90)와 고정부(31)의 탄성 변위 가능한 부분이 접촉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3) 내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하우징(5)의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이동은, 리셉터클 커넥터(3)의 보조 금구(9)의 고정부(31)의 커넥터폭 중앙 방향으로의 탄성력(N)에 의해 억제되게 된다. 이 결과, 도 9에 나타내는 보조 금구(9)의 고정부(31)의 리셉터클 로크면(38)과, 도 21에 나타내는 돌출부(53)의 플러그 로크면(60)의 로크 유지면(65)과의 기판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대향 관계가 유지되어, 플러그 커넥터(2)가 리셉터클 커넥터(3)로부터 벗어나기 어려워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하우징(5)은, 플러그 하우징 본체(50)와 해제용 돌기(51),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52), 한 쌍의 돌출부(53)에 더하여, 한 쌍의 장출부(90)를 갖고 있다. 장출부(90)는, 플러그 측면(50a)으로부터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장출부(90)는, 위치 결정 돌기(52)로부터 최대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장출부(90)는,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을 향하는 장출면(90a)을 갖고 있다. 장출면(90a)은,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플러그 하우징 본체(50)의 플러그 측면(50a)에 장출부(9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출부(90)의 장출면(90a)은, 플러그 하우징 본체(50)의 플러그 측면(50a)의 일부로 간주할 수 있다. 돌출부(53)는, 장출부(90)에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출부(53)는, 장출부(90)의 장출면(90a)에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3)는, 장출부(90)의 장출면(90a)으로부터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출부(90)가 위치 결정 돌기(52)로부터 최대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장출부(90)는, 고정부(31)의 단부(31a)에 대하여 커넥터 전선 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이 결과,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끼워맞춤 상태에서는, 장출부(90)와 고정부(31)의 탄성 변위 가능한 부분이 항상 접촉하고 있다. 한편, 플러그 측면(50a)과, 고정부(31)의 단부(31a) 근방과의 사이에는, 전술한 간극(L)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장출부(90)를 형성한 본 실시 형태에서도,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에 끼워맞춤시킬 때,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하우징(5)의 플러그 하우징 본체(50)가 리셉터클 커넥터(3)의 보조 금구(9)의 고정부(31)의 연결부(32)측의 단부(31a)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고, 이로써, 플러그 커넥터(2)의 리셉터클 커넥터(3)로의 끼워맞춤은 방해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제7 실시 형태는, 제2 실시 형태와의 비교에 의해 설명했지만, 상기 제7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를 포함하는 다른 실시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8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37 및 도 38을 참조하면서, 본원 발명의 제8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본 실시 형태가 상기 제7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7 실시 형태의 각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원칙으로서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장출부(90)의 장출면(90a)은, 제1 장출면(90b)과 제2 장출면(90c)을 갖고 있다. 제1 장출면(90b)은, 제2 장출면(90c)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제2 장출면(90c)은, 제1 장출면(90b)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장출면(90b)은,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을 향하고 있다. 제1 장출면(90b)은,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제1 장출면(90b)은, 돌출부(53)의 플러그 로크면(60)의 로크 유지면(65)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장출면(90c)은, 전선 커넥터 방향을 향함에 따라 커넥터폭 중앙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 구성으로,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에 끼워맞춤시키면, 장출부(90)의 제1 장출면(90b)만이 고정부(31)에 대하여 항상 접촉하고, 장출부(90)의 제2 장출면(90c)은 고정부(31)에 대하여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장출면(90b)은, 돌출부(53)의 로크 유지면(65)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장출부(90)와 고정부(31)와의 접촉에 의해 고정부(31)가 커넥터폭 반중앙 방향으로 어느 정도 탄성 변위해도, 도 9에 나타내는 보조 금구(9)의 고정부(31)의 리셉터클 로크면(38)과, 도 21에 나타내는 돌출부(53)의 플러그 로크면(60)의 로크 유지면(65)과의 기판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대향 관계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제8 실시 형태는, 제7 실시 형태와의 비교에 의해 설명했지만, 상기 제8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를 포함하는 다른 실시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12년 7월 19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12-160367 및 2012년 11월 9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12-247586을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의 모두를 여기에 취입한다.
1 : 전선 대 기판 커넥터
2 : 플러그 커넥터
3 : 리셉터클 커넥터
4 : 플러그 콘택트
4a : 접촉편
4b : 접점부
5 : 플러그 하우징
6 : 전선
6a : 근방부
7 : 리셉터클 콘택트
8 : 리셉터클 하우징
9 : 보조 금구
10 : 회로 기판(기판)
10a : 커넥터 실장면
10b : 보조 금구용 패드
15 : 기판 대향부
16 : 리셉터클 콘택트 보유지지부
17 : 보조 금구 부착부
18 : 리셉터클 콘택트 부착공
19 : 단부
20 : 위치 결정홈 측방 구획 벽부
21 : 위치 결정홈 전방 구획 벽부
22 : 금구 보유지지홈 후방 구획 벽부
23 : 금구 보유지지홈 측방 구획 벽부
24 : 금구 보유지지홈 내방 구획 벽부
24a : 만곡면
25 : 금구 보유지지홈 하측 구획 벽부
25a : 압입공
26 : 금구 보유지지홈
30 : 피보유지지부
30a : 피보유지지부 본체
30b : 피압입부
30c : 다리부
31 : 고정부
31a : 단부
32 : 연결부
33 : 변위 규제부
34 : 고정부 본체
35 : 피규제 돌기
36 : 로크공
37 : 로크 들보
38 : 리셉터클 로크면
39 : 플러그 대향면
40 : 끼워맞춤 안내면
41 : 위치 결정홈
42 : 수직 변위 규제부
42a : 선단부
43 : 수평 변위 규제부
50 : 플러그 하우징 본체
50a : 플러그 측면
51 : 해제용 돌기
52 : 위치 결정 돌기
53 : 돌출부
54 : 플러그 콘택트 부착공
60 : 플러그 로크면
61 : 끼워맞춤 안내면
62 : 측방 기립면
63 : 단부 기립면
64 : 단부 경사면
65 : 로크 유지면
65a : 테두리
66 : 로크 해제면
70 : 리셉터클 콘택트 본체
71 : 리셉터클 콘택트 접점부
71a : 오목부
72 : 리셉터클 콘택트 다리부
80 : 만곡면
81 : 끼워맞춤 안내면
82 : 평면
90 : 장출부
90a : 장출면
90b : 제1 장출면
90c : 제2 장출면
θ1 : 로크 유지 각도
θ2 : 로크 해제 각도
G : 간극
H : 간극
L : 간극
J : 간극
K : 간극
N : 탄성력
P : 끼워맞춤 방향
Q : 기준면
S : 화살표
R : 화살표
X : 단면
Y : 단면
Z : 단면

Claims (36)

  1. 전선이 부착되는 플러그 콘택트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와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부착되는 보조 금구(金具)를 갖고, 기판의 커넥터 실장면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 콘택트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촉하는 전선 대(對)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보유지지되는 피(被)보유지지부와,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걸림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제1 변위 규제부
    를 갖고,
    상기 전선 대 기판 커넥터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대해서 평행이 되는 제1 방향을 갖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플러그 로크면을 갖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상기 보조 금구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을 향하는 리셉터클 로크면을 갖는 고정부 본체와,
    상기 제1 변위 규제부에 대하여 대향하는 피규제 돌기
    를 갖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로크면과 플러그 로크면은 대향하고 있고,
    상기 고정부 본체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피규제 돌기는, 상기 고정부 본체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하여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피보유지지부에 지지됨과 함께,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피보유지지부와 대향하고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피보유지지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고정부의, 상기 피보유지지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소정량 이상의 탄성 변위를 규제하는 제2 변위 규제부를 추가로 갖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납땜되는 다리부를 갖고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제1 변위 규제부와 일체로 상기 피보유지지부에 배치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보조 금구의 상기 고정부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플러그 로크면이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인출되고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보는 방향을 전선 커넥터 방향으로 하면,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부분은,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을 향함에 따라 그 돌출량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보는 방향을 전선 커넥터 방향으로 하면,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부분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상기 고정부로부터 떨어지도록 경사지는 평면 또는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보는 방향을 전선 커넥터 방향으로 하면,
    상기 고정부의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부분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평면 또는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전선이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기울이기 위한 해제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용 돌기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15.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시키기 위해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고정부에 접촉했을 때에, 상기 고정부를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시키는 끼워맞춤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 안내면은, 평면 또는 만곡면인 전선 대 기판 커넥터.
  17.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18. 전선이 부착되는 플러그 콘택트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와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부착되는 보조 금구를 갖고, 기판의 커넥터 실장면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 콘택트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촉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보유지지되는 피보유지지부와,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걸림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제1 변위 규제부
    를 갖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피보유지지부에 지지됨과 함께,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피보유지지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보조 금구의 상기 고정부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플러그 로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함과 함께,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된 상태로서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로크면과 대향하는 리셉터클 로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측면으로서의 플러그 측면에는, 상기 보조 금구의 상기 고정부측으로 장출된 장출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끼워맞춤 상태에서는, 상기 장출부와, 상기 고정부의 탄성 변위 가능한 부분이 항상 접촉하고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외팔보 형상인 상기 고정부의 근본과 상기 플러그 측면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고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장출부에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21. 전선이 부착되는 플러그 콘택트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와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부착되는 보조 금구를 갖고, 기판의 커넥터 실장면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 콘택트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촉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보유지지되는 피보유지지부와,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걸림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제1 변위 규제부
    를 갖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보조 금구의 상기 고정부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플러그 로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함과 함께,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된 상태로서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로크면과 대향하는 리셉터클 로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선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인출되고 있고,
    상기 전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보는 방향을 전선 커넥터 방향으로 하면,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부분은,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을 향함에 따라 그 돌출량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22. 전선이 부착되는 플러그 콘택트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와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부착되는 보조 금구를 갖고, 기판의 커넥터 실장면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 콘택트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촉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보유지지되는 피보유지지부와,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걸림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제1 변위 규제부
    를 갖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보조 금구의 상기 고정부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플러그 로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함과 함께,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된 상태로서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로크면과 대향하는 리셉터클 로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선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인출되고 있고,
    상기 전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보는 방향을 전선 커넥터 방향으로 하면,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부분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상기 고정부로부터 떨어지도록 경사진 평면 또는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23. 전선이 부착되는 플러그 콘택트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와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부착되는 보조 금구를 갖고, 기판의 커넥터 실장면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 콘택트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촉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보유지지되는 피보유지지부와,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걸림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제1 변위 규제부
    를 갖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보조 금구의 상기 고정부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플러그 로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함과 함께,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된 상태로서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로크면과 대향하는 리셉터클 로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선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인출되고 있고,
    상기 전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보는 방향을 전선 커넥터 방향으로 하면,
    상기 고정부의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부분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평면 또는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전선이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기울이기 위한 해제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용 돌기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26.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시키기 위해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고정부에 접촉했을 때에, 상기 고정부를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시키는 끼워맞춤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 안내면은, 평면 또는 만곡면인 전선 대 기판 커넥터.
  28.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29. 전선이 부착되는 플러그 콘택트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와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부착되는 보조 금구를 갖고, 기판의 커넥터 실장면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 콘택트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촉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보유지지되는 피보유지지부와,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걸림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고정하는 고정부
    를 갖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보조 금구의 상기 고정부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플러그 로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함과 함께,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된 상태로서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로크면과 대향하는 리셉터클 로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선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인출되고 있고,
    상기 전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보는 방향을 전선 커넥터 방향으로 하면,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부분은,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을 향함에 따라 그 돌출량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30. 전선이 부착되는 플러그 콘택트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와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부착되는 보조 금구를 갖고, 기판의 커넥터 실장면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 콘택트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촉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보유지지되는 피보유지지부와,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걸림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고정하는 고정부
    를 갖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보조 금구의 상기 고정부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플러그 로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함과 함께,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된 상태로서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로크면과 대향하는 리셉터클 로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선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인출되고 있고,
    상기 전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보는 방향을 전선 커넥터 방향으로 하면,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부분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상기 고정부로부터 떨어지도록 경사진 평면 또는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31. 전선이 부착되는 플러그 콘택트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와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부착되는 보조 금구를 갖고, 기판의 커넥터 실장면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 콘택트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촉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보유지지되는 피보유지지부와,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걸림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고정하는 고정부
    를 갖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보조 금구의 상기 고정부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플러그 로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함과 함께,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된 상태로서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로크면과 대향하는 리셉터클 로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선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인출되고 있고,
    상기 전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보는 방향을 전선 커넥터 방향으로 하면,
    상기 고정부의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부분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평면 또는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32.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전선이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실장면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기울이기 위한 해제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용 돌기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34.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시키기 위해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고정부에 접촉했을 때에, 상기 고정부를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시키는 끼워맞춤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 안내면은, 평면 또는 만곡면인 전선 대 기판 커넥터.
  36.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금구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KR1020147035235A 2012-07-19 2013-03-29 전선 대 기판 커넥터 KR1017011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60367 2012-07-19
JPJP-P-2012-160367 2012-07-19
JPJP-P-2012-247586 2012-11-09
JP2012247586A JP6058355B2 (ja) 2012-07-19 2012-11-09 コネクタ
PCT/JP2013/002185 WO2014013642A1 (ja) 2012-07-19 2013-03-29 電線対基板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993A KR20150009993A (ko) 2015-01-27
KR101701180B1 true KR101701180B1 (ko) 2017-02-01

Family

ID=4994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235A KR101701180B1 (ko) 2012-07-19 2013-03-29 전선 대 기판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48677B2 (ko)
EP (1) EP2876743B1 (ko)
JP (1) JP6058355B2 (ko)
KR (1) KR101701180B1 (ko)
CN (1) CN104364975B (ko)
TW (1) TWI475756B (ko)
WO (1) WO20140136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11910B (zh) * 2014-02-07 2018-03-09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电连接器
JP6342190B2 (ja) * 2014-03-24 2018-06-1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組立体
DE102016206922A1 (de) * 2015-05-08 2016-11-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Touchscreen
JP6483038B2 (ja) * 2016-01-22 2019-03-1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と実装コネクタ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コネクタ
JP6598734B2 (ja) * 2016-06-02 2019-10-30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
JP6942074B2 (ja) 2018-03-05 2021-09-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CN109088197B (zh) * 2018-07-27 2022-06-2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及电连接器***
TWM601912U (zh) * 2019-03-26 2020-09-21 英屬開曼群島商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插座連接器
CN210326329U (zh) 2019-06-21 2020-04-14 重庆市鸿腾科技有限公司 插座连接器及与之相对接的插头连接器
TW202118157A (zh) 2019-07-01 2021-05-01 新加坡商安姆芬諾爾富加宜(亞洲)私人有限公司 具有低高度之線對板連接器
TWM594289U (zh) * 2019-09-10 2020-04-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連接器
TWI728724B (zh) * 2020-02-24 2021-05-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浮動連接器
CN117293575A (zh) * 2020-03-26 2023-12-26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装置及端子
CN111555067B (zh) * 2020-04-15 2022-03-04 东莞立讯技术有限公司 连接器
AU2021221638A1 (en) * 2021-08-25 2023-03-16 Redarc Technologies Pty Ltd Dual-direction terminal bloc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7604A (ja) 2009-04-16 2010-11-25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11003292A (ja) 2009-06-16 2011-01-06 Molex Inc 電線対基板コネクタ
JP2011228269A (ja) 2010-03-31 2011-11-10 Hirose Electric Co Ltd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8659B1 (en) * 2002-03-01 2003-01-2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socket having a backup means
JP2004178823A (ja) * 2002-11-22 2004-06-24 Jst Mfg Co Ltd ラッチアーム付き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これに接続されるプラグコネクタ
JP2004288494A (ja) * 2003-03-24 2004-10-14 Hirose Electric Co Ltd コネクタ
JP4007975B2 (ja) * 2004-06-21 2007-11-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425732B2 (ja) * 2004-07-21 2010-03-0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基板実装型コネクタ
JP2006054102A (ja) * 2004-08-11 2006-02-23 Jst Mfg Co Ltd 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保持部材
JP4889243B2 (ja) * 2005-06-09 2012-03-0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装置
JP4959505B2 (ja) * 2007-10-24 2012-06-2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掛け止め金具付きコネクタハウジング、掛け止め金具付き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JP4565027B2 (ja) * 2008-07-24 2010-10-2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ネクタ
CN102237612B (zh) * 2010-03-31 2014-12-03 广濑电机株式会社 电路基板用电连接器
JP5498883B2 (ja) * 2010-04-27 2014-05-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12003874A (ja) * 2010-06-15 2012-01-05 Fujitsu Ltd 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およびプラグコネクタ
US9240653B2 (en) * 2012-03-27 2016-01-1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Wire-to-board connector
TWI489697B (zh) * 2013-08-09 2015-06-21 Wistron Corp 線對板連接器組合及其板端連接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7604A (ja) 2009-04-16 2010-11-25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11003292A (ja) 2009-06-16 2011-01-06 Molex Inc 電線対基板コネクタ
JP2011228269A (ja) 2010-03-31 2011-11-10 Hirose Electric Co Ltd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64975A (zh) 2015-02-18
US20150207244A1 (en) 2015-07-23
TW201405952A (zh) 2014-02-01
EP2876743B1 (en) 2018-07-04
CN104364975B (zh) 2016-08-24
JP6058355B2 (ja) 2017-01-11
US9748677B2 (en) 2017-08-29
WO2014013642A1 (ja) 2014-01-23
TWI475756B (zh) 2015-03-01
EP2876743A4 (en) 2016-02-17
EP2876743A1 (en) 2015-05-27
JP2014038822A (ja) 2014-02-27
KR20150009993A (ko) 201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180B1 (ko) 전선 대 기판 커넥터
KR101655207B1 (ko) 전선 대 기판 커넥터
CN107039806B (zh) 连接器和连接器组件
US20030092310A1 (en) Connector for flat flexible cable
US1050528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 supports
CN108695614B (zh) 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JP2004327321A (ja) コネクタ
KR20150005445A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US11201425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onductors
US10763617B2 (en) Movable connector
KR20190004724A (ko) 회전 커넥터 및 회전 커넥터의 고정 구조
JP2005251624A (ja) コネクタ
JP2007134237A (ja) コネクタ
JP2019129137A (ja) コネクタ、相手方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2008091046A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KR102468999B1 (ko) 단자 밀어붙임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JP2020167035A (ja) コネクタ
JP2019117693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101001881B1 (ko)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
JP2007115632A (ja) ロック機構付き電気コネクタ
JP2007123035A (ja) パネル取付用コネクタ
TWI519008B (zh) 電線對基板用連接器
JP2020167081A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12191691A (ja) 電気接続箱
JP2001057276A (ja) バルブ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