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6821A - 배선 기판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배선 기판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6821A
KR20140086821A KR1020130143705A KR20130143705A KR20140086821A KR 20140086821 A KR20140086821 A KR 20140086821A KR 1020130143705 A KR1020130143705 A KR 1020130143705A KR 20130143705 A KR20130143705 A KR 20130143705A KR 20140086821 A KR20140086821 A KR 20140086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wiring board
insulating housing
metal memb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3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7898B1 (ko
Inventor
마사토시 다케모토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86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8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 pin snapping into a re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제1 및 제2의 배선 기판을 각각에 장착된 제1 및 제2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확실하게 대면 근접 중합 연결에 의한 전기적 상호 연결 상태에 둘 수가 있음과 아울러, 두께 치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는 배선 기판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배선 기판(12)을 수반한 플러그 커넥터(11)와 배선 기판(32)을 수반한 리셉터클 커넥터(31)를 포함하고, 플러그 커넥터(11)가 절연 하우징(13)에 고착된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에 의해 양단부가 보유된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를 구비하고, 리셉터클 커넥터(31)가 절연 하우징(34)에 고착된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에 한 쌍의 투공(39a)이 형성된 것으로 되고, 절연 하우징(34)이 절연 하우징(13)에 계합할 때,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양단부가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에 형성된 한 쌍의 투공(39a)에 계합하여 절연 하우징(34)에 대한 계지 상태를 취한다.

Description

배선 기판 연결 장치{PRINTED CIRCUIT CONNECTION APPARATUS}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은, 2개의 배선 기판이 서로 대면 근접하여 중합된 하에서, 각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된 상태를 취하게 하여 양쪽 배선 기판을 연결하는 배선 기판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 등의 비교적 소형인 전자기기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의 전자 부품이 다수 내장되지만, 이들 전자 부품의 상당수는 복수의 배선 기판에 실장되어 각각의 기능을 하게 된다. 각종의 전자 부품이 실장된 복수의 배선 기판은, 예를 들면, 그 중에서 2개에 대해 보면, 비교적 소형인 전자기기의 내부라고 하는 한정된 공간에 수용되는데 즈음하여 점유 용적을 가능한 한 작게 하기 위해서 일방이 타방에 대면 근접하여 중합되는 배치를 취하여 상호 연결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러한 2개의 배선 기판 중의 일방이 타방에 대면 근접하여 중합되는 연결 형태를 이하에 있어서는 대면 근접 중합 연결이라고 하는 것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배선 기판의 상호 연결은, 각 배선 기판에 커넥터가 장착되고, 그러한 커넥터가 상호 접속됨으로써 행해지는 것이 많아, 2개의 배선 기판에 대한 대면 근접 중합 연결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각 배선 기판에 장착되는 커넥터를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종래에 있어서는 2개의 배선 기판에 대한 대면 근접 중합 연결을 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기판 연결 장치가 몇 개인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에 나타나는 기판 연결 장치는, 제1의 배선 기판(기판(110)) 및 제2의 배선 기판(기판(210))이 대면 근접 중합 연결의 대상으로 되는 하에서, 제1의 배선 기판에 장착되는 제1의 커넥터(커넥터 피스(piece)(100))와 제2의 배선 기판에 장착되는 제2의 커넥터(커넥터 피스(piece)(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의 커넥터는 하우징(130)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제1의 콘택트(콘택트(120))를 구비하고 있고, 또 제2의 커넥터는 하우징(230)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제2의 콘택트(콘택트(22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1의 커넥터의 각각의 선단부는 탄성 변형을 일으키는 대략 U자 모양으로 절곡된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하에서, 제1의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제1의 커넥터가 장착된 면이 제2의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제2의 커넥터가 장착된 면에 대향하게 되어, 제1의 배선 기판이 제2의 배선 기판에 대면 근접하여 중합되는 상태가 취해지고, 이에 의해 제1의 커넥터와 제2의 커넥터가 상호 계합시켜지게 되어, 제1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복수의 제1의 콘택트의 각각에 있어서의 대략 U자 모양으로 절곡된 부분을 형성하는 선단부가 제2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복수의 제2의 콘택트 중의 대응하는 것에 접촉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제1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복수의 제1의 콘택트와 제2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복수의 제2의 콘택트가 상호 접속되어, 제1의 배선 기판과 제2의 배선 기판에 대한 대면 근접 중합 연결이 행해진다.
이러한 때에 복수의 제1의 콘택트의 각각의 선단부가 탄성 변형을 일으키는 대략 U자 모양으로 절곡된 부분을 형성하고 있어, 이러한 선단부가 복수의 제2의 콘택트 중의 대응하는 것에 탄성 변형에 의한 접촉압을 작용시키는 하에서 접촉 접속되므로, 복수의 제1의 콘택트와 복수의 제2의 콘택트의 상호 접속이 확실하게 행해지는 것이 기대된다.
또, 특허 문헌 2에 나타나는 기판 연결 장치는, 제1의 배선 기판(프린트 배선 기판(26)) 및 제2의 배선 기판(프린트 배선 기판(22))이 대면 근접 중합 연결의 대상으로 되는 하에서, 제1의 배선 기판에 장착되는 제1의 커넥터(수(male)커넥터부(24))와 제2의 배선 기판에 장착되는 제2의 커넥터(암(female)커넥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의 커넥터는 제1의 하우징(기대부(24M))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제1의 콘택트(콘택트 단자(28Ai), (28Bi))를 구비하고 있고, 또 제2의 커넥터는 제2의 하우징(기대부(20M))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제2의 콘택트(콘택트 단자(34Ai), (34Bi))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제1의 하우징에 압입된 보유 도구(30)의 감합부(30m)에 조부(claw portion)(30N)가 형성되어 있고, 또 제2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제2의 하우징에 압입된 보유 도구(32)의 탄성편(32mr)에 돌기부(32mn)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에서, 제1의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제1의 커넥터가 장착된 면이 제2의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제2의 커넥터가 장착된 면에 대향하게 되어, 제1의 배선 기판이 제2의 배선 기판에 대면 근접하여 중합되는 상태가 취해지고, 이에 의해 제1의 커넥터와 제2의 커넥터가 상호 계합시켜지게 되어, 제1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복수의 제1의 콘택트가 제2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복수의 제2의 콘택트에 각각 접촉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제1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복수의 제1의 콘택트와 제2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복수의 제2의 콘택트가 상호 접속되어, 제1의 배선 기판과 제2의 배선 기판에 대한 대면 근접 중합 연결이 행해진다.
이러한 때에 제1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1의 하우징에 압입된 보유 도구(30)의 감합부(30m)에 형성된 조부(30N)가 제2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1의 하우징에 압입된 보유 도구(32)의 탄성편(32mr)에 형성된 돌기부(32mn)에 계합하여, 제1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1의 하우징의 제2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2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이탈을 저지한다. 이에 의해 제1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복수의 제1의 콘택트와 제2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복수의 제2의 콘택트의 상호 접속 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되고, 그 결과, 제1의 배선 기판과 제2의 배선 기판에 대한 대면 근접 중합 연결이 안정하게 행해지는 것이 기대된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0-260509호 공보(단락 0033~0043, 도 4, 5) 일본국 특허공개 2004-55306호 공보(단락 0020~0031, 도 1~8)
상술과 같이 종래 제안되어 있는 몇 개인가의 2개의 배선 기판에 대한 대면 근접 중합 연결을 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기판 연결 장치에 있어서는 그들 각각에 다음과 같은 부적당이 보여진다.
먼저, 특허 문헌 1에 나타나는 기판 연결 장치에 있어서는, 제1의 커넥터와 제2의 커넥터가 상호 계합한 상태 하에서, 제1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1의 하우징의 제2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2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이탈을 저지하는 기능을 하는 잠금 수단 혹은 계지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호 계합한 제1의 커넥터와 제2의 커넥터 중의 어느 일방 혹은 쌍방에 소망하지 않은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 제1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복수의 제1의 콘택트와 제2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복수의 제2의 콘택트의 상호 접속 상태가 불안정하게 되어, 그 결과, 제1의 배선 기판과 제2의 배선 기판에 대한 대면 근접 중합 연결이 안정하게 행해지지 않게 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 특허 문헌 2에 나타나는 기판 연결 장치에 있어서는, 제1의 커넥터와 제2의 커넥터가 상호 계합한 상태 하에서, 제1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1의 하우징의 제2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2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이탈을 저지하는 기능을 하는 잠금 수단 혹은 계지 수단으로서 제1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1의 하우징에 압입된 보유 도구(30)의 감합부(30m)에 형성된 조부(30N)와 제2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1의 하우징에 압입된 보유 도구(32)의 탄성편(32mr)에 형성되고, 그것에 조부(30N)가 계합하는 돌기부(32mn)가 구비되어 있다. 그렇지만, 조부(30N)가 형성된 보유 도구(30)의 감합부(30m) 및 돌기부(32mn)가 형성된 보유 도구(32)의 탄성편(32mr)의 각각의 구조상, 조부(30N)의 돌기부(32mn)와의 계합은 그다지 견고한 것으로 되지 못하고, 그러므로, 예를 들면, 상호 계합한 제1의 커넥터와 제2의 커넥터 중의 어느 일방 혹은 쌍방에 비교적 큰 외력이 소망하지 않게 작용한 경우에는, 조부(30N)가 돌기부(32mn)와의 계합으로부터 빠져 버려, 제1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복수의 제1의 콘택트와 제2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복수의 제2의 콘택트의 상호 접속 상태가 불안정하게 되어, 그 결과, 제1의 배선 기판과 제2의 배선 기판에 대한 대면 근접 중합 연결이 안정하게 행해지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은, 제1의 배선 기판과 제2의 배선 기판을 대면 근접 중합 연결에 의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한 기구를 이루는 것으로서, 제1의 배선 기판에 고정되는 제1의 절연 하우징을 가진 제1의 커넥터와 제2의 배선 기판에 고정되는 제2의 절연 하우징을 가진 제2의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의 커넥터의 제1의 절연 하우징과 제2의 커넥터의 제2의 절연 하우징이 상호 계합한 상태 하에서, 제2의 절연 하우징의 제1의 절연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은 이탈을 저지하는 계지 수단을 구비하고, 이러한 수단에 의해 제1의 절연 하우징과 제2의 절연 하우징의 상호 계합 상태를 매우 안정되고 또한 견고하게 유지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매우 간단하고 용이한 조작에 의해 제2의 절연 하우징을 제1의 절연 하우징으로부터 무리가 없이 이탈시킬 수가 있고, 또한 제1 및 제2의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상호 대접면의 각각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 치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는 배선 기판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이하, 본원 발명이라고 함)과 관련되는 배선 기판 연결 장치는, 제1의 절연 하우징, 각각이 제1의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를 가지고 제1의 절연 하우징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제1의 콘택트, 및 제1의 절연 하우징에 고착되어 그 제1의 절연 하우징을 제1의 배선 기판에 고정하는 제1의 고정 금속 부재를 구비한 제1의 커넥터와, 제1의 절연 하우징과의 계합 상태를 취하는 제2의 절연 하우징, 각각이 제2의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를 가지고 제2의 절연 하우징에 배열 배치되고, 복수의 제1의 콘택트에 각각 접촉 접속되는 상태를 취하는 복수의 제2의 콘택트, 및 제2의 절연 하우징에 고착되어 그 제2의 절연 하우징을 제2의 배선 기판에 고정하는 제2의 고정 금속 부재를 구비한 제2의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배선 기판 연결 장치에 있어서는, 제1의 커넥터가, 제1의 절연 하우징의 긴 방향을 따라 뻗고, 양단부가 제1의 절연 하우징에 있어서의 긴 방향의 양단 부분에 배치된 제1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에 의해 보유된 탄성 가동 계지 부재를 구비하고, 또 제2의 커넥터가, 제2의 절연 하우징에 있어서의 긴 방향의 양단 부분에 배치된 제2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의 각각에 계합부가 형성된 것으로 되어, 제2의 절연 하우징이 제1의 절연 하우징과의 계합 상태를 취할 때, 제1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에 의해 보유된 탄성 가동 계지 부재의 양단부가 제2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에 형성된 계합부에 계합하여 제2의 절연 하우징에 대한 계지 상태를 취한다.
상술과 같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배선 기판 연결 장치에 있어서는, 제1의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제1의 커넥터가 가지는 제1의 절연 하우징이 고정된 면이, 제2의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제2의 커넥터가 가지는 제2의 절연 하우징이 고정된 면에 대향하게 되어, 제1의 배선 기판이 제2의 배선 기판에 대면 근접하여 중합되었을 때, 제2의 절연 하우징이 제1의 절연 하우징과의 계합 상태를 취한다. 이 때에 제2의 절연 하우징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제2의 콘택트가 제1의 절연 하우징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제1의 콘택트에 각각 접촉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제1의 커넥터와 제2의 커넥터가 상호 계합 상태에 놓여지고, 제2의 배선 기판에 설치된 복수의 배선 단자부가, 복수의 제2의 콘택트 및 복수의 제1의 콘택트를 통해, 제1의 배선 기판에 설치된 복수의 배선 단자부에 각각 접속되고, 그 결과, 제1의 배선 기판과 제2의 배선 기판이 대면 근접 중합 연결에 의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또, 이 때에 제1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제1의 절연 하우징의 긴 방향을 따라 뻗고, 양단부가 제1의 절연 하우징에 있어서의 긴 방향의 양단 부분에 배치된 제1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에 의해 보유된 탄성 가동 계지 부재가, 그 양단부를 제2의 커넥터에 있어서 제2의 절연 하우징에 있어서의 긴 방향의 양단 부분에 배치된 제2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의 각각에 형성된 계합부에 계합시키고, 이에 의해 탄성 가동 계지 부재의 양단부가 제2의 절연 하우징에 대한 계지 상태를 취한다. 탄성 가동 계지 부재의 양단부가 제2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의 각각에 형성된 계합부에 계합한 상태는, 탄성 가동 계지 부재가 구비하는 탄성에 의해 해제되는 일이 없이 유지되고, 이에 의해 탄성 가동 계지 부재의 양단부에 의한 제2의 절연 하우징에 대한 계지 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제1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탄성 가동 계지 부재는, 제2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2의 절연 하우징의 제1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1의 절연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은 이탈을 저지하는 계지 수단을 구성하고 있게 된다.
그 후, 탄성 가동 계지 부재의 양단부가 제2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에 형성된 계합부에 계합하여 제2의 절연 하우징에 대한 계지 상태를 취하는 하에서, 예를 들면, 계지 해제 조작 부재에 의해, 탄성 가동 계지 부재의 양단부가 탄성 변위시켜져 계합부로부터 이격시켜지게 되면, 탄성 가동 계지 부재의 양단부에 의한 제2의 절연 하우징에 대한 계지 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의해 제2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2의 절연 하우징이, 제1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1의 절연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하에 있어서, 제1의 커넥터에 구비되고, 제2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2의 절연 하우징의 제1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1의 절연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은 이탈을 저지하는 계지 수단을 구성하는 탄성 가동 계지 부재는, 예를 들면, 제1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제1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에 의해 보유된 양단부가, 제1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에 대해서, 제1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제1의 절연 하우징의 긴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제1의 절연 하우징에 있어서의 긴 방향의 양단 부분에 배치된 제1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에는, 예를 들면, 탄성 가동 계지 부재의 양단부가 각각 관통하는 한 쌍의 투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에 의해 탄성 가동 계지 부재의 양단부가 보유된다. 또, 제2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제2의 절연 하우징에 있어서의 긴 방향의 양단 부분에 배치된 제2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에 형성된 계합부는, 예를 들면, 제1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에 의해 보유된 탄성 가동 계지 부재의 양단부가 각각 계합하는 한 쌍의 투공을 이루는 것으로 된다.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배선 기판 연결 장치에 있어서는, 제1의 커넥터와 제2의 커넥터가 상호 계합한 상태에 놓여지고, 제2의 절연 하우징이 제1의 절연 하우징과의 계합 상태를 취하고, 제2의 절연 하우징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제2의 콘택트가 제1의 절연 하우징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제1의 콘택트에 각각 접촉 접속되었을 때, 제1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탄성 가동 계지 부재의 양단부가 제2의 절연 하우징에 대한 계지 상태를 취하고, 이에 의해 제2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2의 절연 하우징의 제1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1의 절연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은 이탈이 저지된다. 제1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탄성 가동 계지 부재는, 제1의 절연 하우징의 긴 방향을 따라 뻗고, 양단부가 제1의 절연 하우징에 있어서의 긴 방향의 양단 부분에 배치된 제1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에 의해 보유되게 되고, 그 양단부를 제2의 커넥터에 있어서 제2의 절연 하우징에 있어서의 긴 방향의 양단 부분에 배치된 제2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의 각각에 형성된 계합부에 계합시키고, 제2의 절연 하우징에 대한 계지 상태를 취한다.
탄성 가동 계지 부재의 양단부가 제2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의 각각에 형성된 계합부에 계합한 상태는, 탄성 가동 계지 부재가 구비하는 탄성에 의해 해제되는 일이 없이 유지되고, 이에 의해 탄성 가동 계지 부재의 양단부에 의한 제2의 절연 하우징에 대한 계지 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그 후, 탄성 가동 계지 부재의 양단부가 제2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에 형성된 계합부에 계합하여 제2의 절연 하우징에 대한 계지 상태를 취하는 하에서, 예를 들면, 계지 해제 조작 부재에 의해, 탄성 가동 계지 부재의 양단부가 탄성 변위시켜져 계합부로부터 이격시켜지게 되면, 탄성 가동 계지 부재의 양단부에 의한 제2의 절연 하우징에 대한 계지 상태가 해제되어 제2의 절연 하우징이 제1의 절연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배선 기판 연결 장치에 의하면, 제1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탄성 가동 계지 부재와 제1의 고정 금속 부재에 의해 보유된 탄성 가동 계지 부재의 양단부가 계합하는 제2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2의 고정 금속 부재에 형성된 계합부에 의해, 제1의 커넥터의 제1의 절연 하우징과 제2의 커넥터의 제2의 절연 하우징의 상호 계합 상태를 매우 안정되고 또한 견고하게 유지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매우 간단하고 용이한 조작에 의해 제2의 절연 하우징을 제1의 절연 하우징으로부터 무리가 없이 이탈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제1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탄성 가동 계지 부재가, 제1의 절연 하우징의 긴 방향을 따라 뻗고, 양단부가 제1의 절연 하우징에 있어서의 긴 방향의 양단 부분에 배치된 제1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에 의해 보유된 것으로 됨으로써, 제1의 절연 하우징이 고정되는 제1의 배선 기판 및 제2의 절연 하우징이 고정되는 제2의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상호 대접면(對接面)의 각각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 치수를 저감할 수가 있고, 제1의 배선 기판과 제2의 배선 기판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의 커넥터 및 제2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장치 전체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배선 기판 연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플러그(plug) 커넥터를 그 절연 하우징이 고정된 제1의 배선 기판과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나는 플러그 커넥터와 제1의 배선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배선 기판 연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를 그 절연 하우징이 고정된 제2의 배선 기판을 가상선에 의해 나타내는 하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가상선에 의해 나타난 제2의 배선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제2의 배선 기판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나는 제1의 배선 기판을 수반한 플러그 커넥터와 도 3에 나타나는 가상선에 의해 나타난 제2의 배선 기판을 수반한 리셉터클 커넥터가 상호 대향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나는 제1의 배선 기판을 수반한 플러그 커넥터와 도 5에 나타나는 제2의 배선 기판을 수반한 리셉터클 커넥터가 상호 계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나는 제1의 배선 기판을 수반한 플러그 커넥터와 도 5에 나타나는 제2의 배선 기판을 수반한 리셉터클 커넥터가 상호 계합한 상태를 제2의 배선 기판을 가상선에 의해 나타내는 하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나는 제1의 배선 기판을 수반한 플러그 커넥터와 도 5에 나타나는 제2의 배선 기판을 수반한 리셉터클 커넥터가 상호 계합한 상태를 제2의 배선 기판을 제거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나는 제1의 배선 기판을 수반한 플러그 커넥터와 도 5에 나타나는 제2의 배선 기판을 수반한 리셉터클 커넥터가 상호 계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의 XI-XI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있어서의 XII-XII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에 있어서의 XIII-XIII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의 2점 쇄선 범위 A 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나타나는 제1의 배선 기판을 수반한 플러그 커넥터와 도 3에 나타나는 가상선에 의해 나타난 제2의 배선 기판을 수반한 리셉터클 커넥터가 상호 대향 배치된 상태 하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의 탄성 가동 계지 부재와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의 계합부와의 위치 관계의 설명에 제공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에 나타나는 제1의 배선 기판을 수반한 플러그 커넥터와 도 5에 나타나는 제2의 배선 기판을 수반한 리셉터클 커넥터가 상호 계합한 하에서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의 탄성 가동 계지 부재에 계지 해제 조작 부재가 계합시켜진 상태를 제2의 배선 기판을 제거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나타나는 제1의 배선 기판을 수반한 플러그 커넥터와 도 5에 나타나는 제2의 배선 기판을 수반한 리셉터클 커넥터가 상호 계합한 하에서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의 탄성 가동 계지 부재의 양단부가 탄성 변위시켜진 상태를 제2의 배선 기판을 제거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는 이하에 설명되는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배선 기판 연결 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된다.
<실시예>
도 1(사시도) 및 도 2(평면도)는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배선 기판 연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제1의 커넥터를 이루는 플러그 커넥터(11) 및 플러그 커넥터(11)가 장착된 제1의 배선 기판(12)을 나타낸다. 플러그 커넥터(11)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절연 하우징(13)(제1의 절연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고, 절연 하우징(13)은 제1의 배선 기판(12)에 있어서의 도 1에 있어서 상방을 향한 면(이하, 상면이라고 함)에 고정되어 있다.
절연 하우징(13)에는 각각이 탄성을 가진 도전성 판재에 의해 형성된 굴곡 띠모양 부재를 이루는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트(14)(제1의 콘택트)가 각각이 절연 하우징(13)의 긴 방향으로 뻗는 상호 대향하는 2개의 열을 이루어 배열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트(14)의 각각에는 제1의 배선 기판(12)의 상면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도시가 생략되어 있음)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14a)와, 후술되는 제2의 커넥터를 이루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구비되는 리셉터클측 콘택트에 맞닿는 접촉 접속부(14b)가 각각 띠모양 부재의 양단 부분을 이루는 것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 절연 하우징(13)에는 그 외주면부를 제1의 배선 기판(12)의 상면을 따라 포위하여 덮는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제1의 고정 금속 부재)가 고착되어 있다.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에는 각각이 제1의 배선 기판(12)의 상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기판 연결부(1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는, 복수의 기판 연결부(16)가 제1의 배선 기판(12)의 상면에 연결되었을 때, 절연 하우징(13)을 제1의 배선 기판(12)의 상면에 고정한다.
상술과 같은 절연 하우징(13),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트(14) 및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를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11)는 절연 하우징(13)의 긴 방향, 즉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트(14)의 배열 방향을 따라 뻗는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를 더 구비하고 있다.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양단부를 이루는 한 쌍의 단부(19)는 절연 하우징(13)에 있어서의 긴 방향의 양단 부분에 각각 배치된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의 한 쌍의 측단부(21)에 의해 각각 보유되어 있다.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는 탄성을 가진 금속 막대 모양의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막대 모양의 재료가 굴곡시켜져 형성되고,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의 한 쌍의 측단부(21)에 의해 각각 보유된 한 쌍의 단부(19)의 각각이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의 측단부(21)에 대해서 절연 하우징(13)의 긴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의 한 쌍의 측단부(21)의 각각에는 투공(21a)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한 쌍의 단부(19)의 각각이 투공(21a)을 절연 하우징(13)의 긴 방향을 따라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관통함으로써,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의 측단부(21)에 의해 보유되어 있다.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한 쌍의 단부(19)의 각각이 투공(21a)을 절연 하우징(13)의 긴 방향을 따라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관통하는 상태는,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단부(19)를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부세(付勢)하는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가 구비하는 탄성에 의해 안정하게 유지된다. 또,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의 한 쌍의 측단부(21)의 내측에 각각 배치된, 절연 하우징(13)에 있어서의 양단 부분에 포함되는 한 쌍의 측판 모양부(20)의 각각에는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의 측단부(21)에 형성된 투공(21a)을 관통한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단부(19)를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의 측단부(21)와 함께 보유하는 보유부(22)가 홈부(groove portion)를 이루는 것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에 있어서의 한 쌍의 단부(19)의 사이의 중간 부분(23)은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의 단면부(24)에 맞닿아 있고, 이에 의해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의 측단부(21)에 형성된 투공(21a)을 관통하는 단부(19)를 회동축으로 한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회동이 저지되어 있다.
도 3(사시도) 및 도 4(평면도)는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배선 기판 연결 장치의 일례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플러그 커넥터(11)와 함께 구성하는 제2의 커넥터를 이루는 리셉터클 커넥터(31)를 그것이 장착된 제2의 배선 기판(32)을 가상선을 가지고 나타내는 하에서 나타내고, 또 도 5(저면도)는 리셉터클 커넥터(31) 및 리셉터클 커넥터(31)가 장착된 제2의 배선 기판(32)을 나타낸다. 제2의 배선 기판(32)에 대해서는 도 3에 있어서 하방을 향한 면을 하면이라고 하고, 도 3에 있어서 상방을 향한 면을 상면이라고 하는 것으로 한다.
도 3에 나타나듯이, 리셉터클 커넥터(31)는 제2의 배선 기판(32)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2의 배선 기판(32)에는 각각이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것으로 된 한 쌍의 투공(33)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투공(33)을 통해서 상면의 외부로부터 하면측을 임할 수가 있다.
도 3~도 5에 나타나듯이, 리셉터클 커넥터(31)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절연 하우징(34)(제2의 절연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고, 절연 하우징(34)은 제2의 배선 기판(32)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절연 하우징(34)에는 각각이 탄성을 가진 도전성 판재에 의해 형성된 굴곡 띠모양 부재를 이루는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트(35)(제2의 콘택트)가 각각이 절연 하우징(34)의 긴 방향으로 뻗는 상호 대향하는 2개의 열을 이루어 배열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트(35)의 각각에는 제2의 배선 기판(32)의 하면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도시가 생략되어 있음)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35a)와, 제1의 커넥터를 이루는 플러그 커넥터(11)에 구비된 플러그측 콘택트(14)에 맞닿는 접촉 접속부(35b)가 각각 띠모양 부재의 양단 부분을 이루는 것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 절연 하우징(34)의 긴 방향의 양단 부분을 이루는 한 쌍의 단부(36)에는 한 쌍의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제2의 고정 금속 부재)가 각각 고착되어 있다. 한 쌍의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의 각각에는 각각이 제2의 배선 기판(32)의 하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기판 연결부(3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의 각각은 복수의 기판 연결부(38)가 제2의 배선 기판(32)의 하면에 연결되었을 때, 절연 하우징(34)을 제2의 배선 기판(32)의 하면에 고정한다.
한 쌍의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의 각각에 있어서의 측단부(39)에는 플러그 커넥터(11)에 구비된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단부(19)가 계합하는 상태를 취하는 투공(39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투공(39a)은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의 측단부(21)에 의해 보유된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단부(19)가 계합하는 계합부를 구성하고 있고, 이러한 계합부에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단부(19)가 계합할 때에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단부(19)가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의 측단부(39)에 형성된 투공(39a)을 절연 하우징(34)의 긴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관통하게 된다. 그리고,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한 쌍의 단부(19)의 각각이 한 쌍의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의 각각에 있어서의 측단부(39)에 형성된 투공(39a)을 절연 하우징(34)의 긴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관통하는 상태는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단부(19)를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부세하는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가 구비하는 탄성에 의해 안정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하에서, 제2의 배선 기판(32)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31)의 절연 하우징(34)이 고정된 하면이 제1의 배선 기판(12)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11)의 절연 하우징(13)이 고정된 상면에 대향하게 되어, 제2의 배선 기판(32)이 제1의 배선 기판(12)에 대면 근접하여 중합되었을 때,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배선 기판 연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제1의 커넥터 및 제2의 커넥터를 이루는 플러그 커넥터(11) 및 리셉터클 커넥터(31)가, 리셉터클 커넥터(31)가 구비하는 절연 하우징(34)을 플러그 커넥터(11)가 구비하는 절연 하우징(13)에 계합시켜 상호 계합 상태를 취한다.
그 때에는, 먼저, 도 6(제2의 배선 기판(32)이 가상선에 의해 나타나고 있음)에 나타나듯이, 제1의 배선 기판(12)을 수반한 플러그 커넥터(11)와 제2의 배선 기판(32)을 수반한 리셉터클 커넥터(31)가 상호 대향 배치된다. 이 때에 리셉터클 커넥터(31)의 절연 하우징(34)이 플러그 커넥터(11)의 절연 하우징(13)에 대향시켜지고, 리셉터클 커넥터(31)의 절연 하우징(34)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트(35)가 플러그 커넥터(11)의 절연 하우징(13)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트(14)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된다.
다음에, 제2의 배선 기판(32)이 리셉터클 커넥터(31)의 절연 하우징(34)이 고정된 하면을 제1의 배선 기판(12)의 플러그 커넥터(11)의 절연 하우징(13)이 고정된 상면에 근접시키는 위치를 취하여 제2의 배선 기판(32)이 제1의 배선 기판(12)에 대면 근접하여 중합시켜지면, 도 7(사시도), 도 8(제2의 배선 기판(32)이 가상선에 의해 나타난 사시도), 도 9(제2의 배선 기판(32)의 도시가 생략된 평면도) 및 도 10(정면도)에 나타나듯이, 리셉터클 커넥터(31)의 절연 하우징(34)이 플러그 커넥터(11)의 절연 하우징(13)과의 계합 상태를 취하고, 제2의 배선 기판(32)을 수반한 리셉터클 커넥터(31)와 제1의 배선 기판(12)을 수반한 플러그 커넥터(11)가 상호 계합 상태에 놓여진다.
이러한 때에는 도 10에 있어서의 XI-XI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 11 및 도 10에 있어서의 XII-XII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 12에 나타나듯이, 리셉터클 커넥터(31)의 절연 하우징(34)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트(35)에 있어서의 접촉 접속부(35b)가 플러그 커넥터(11)의 절연 하우징(13)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트(14)에 있어서의 접촉 접속부(14b)에 각각 접촉 접속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트(35)에 있어서의 기판 접속부(35a)가 각각 접속된 제2의 배선 기판(32)에 설치된 복수의 배선 단자부가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트(35) 및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트(14)를 통해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트(14)에 있어서의 기판 접속부(14a)가 각각 접속된 제1의 배선 기판(12)에 설치된 복수의 배선 단자부에 각각 연결되고, 제1의 배선 기판(12)과 제2의 배선 기판(32)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또, 이 때에 도 9에 있어서의 XIII-XIII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 13 및 도 13에 있어서의 2점 쇄선 범위 A 내를 확대 도시하는 도 14에 나타나듯이, 플러그 커넥터(11)에 있어서의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의 측단부(21)에 형성된 투공(21a)을 플러그 커넥터(11)의 절연 하우징(13)의 긴 방향을 따라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관통하고, 이에 의해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의 측단부(21)에 의해 보유된,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단부(19)가, 리셉터클 커넥터(31)에 있어서의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의 측단부(39)에 형성된 투공(39a)을, 리셉터클 커넥터(31)의 절연 하우징(34)의 긴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관통하게 된다. 즉, 플러그 커넥터(11)에 있어서의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한 쌍의 단부(19)가 리셉터클 커넥터(31)에 있어서의 한 쌍의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의 측단부(39)에 형성된 한 쌍의 계합부(투공(39a))에 각각 계합하는 것이고, 이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31)의 절연 하우징(34)에 대한 계지 상태를 취한다.
이러한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단부(19)와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의 측단부(39)에 형성된 투공(39a)은, 도 6에 나타나듯이, 제1의 배선 기판(12)을 수반한 플러그 커넥터(11)와 제2의 배선 기판(32)을 수반한 리셉터클 커넥터(31)가 상호 대향 배치된 하에 있어서는, 도 15에 나타나듯이,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단부(19)의 상방에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의 측단부(39)에 형성된 투공(39a)이 배치되는 위치 관계에 있다. 그리고, 그 후, 제2의 배선 기판(32)이 제1의 배선 기판(12)에 대면 근접하여 중합시켜졌을 때는,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가 도 15에 있어서의 하방으로 이동시켜져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단부(19)에 근접해 가고,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에 설치된 굴곡부(37a)가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단부(19)의 선단에 형성된 경사면부(19a)에 맞닿아 그 경사면부(19a)를 도 15에 있어서의 하방으로 압압한다. 이에 의해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단부(19)가, 일단, 도 15에 있어서의 좌방으로 탄성 변위하고, 그 후,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의 도 15에 있어서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에 설치된 굴곡부(37a)가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단부(19)의 선단에 형성된 경사면부(19a)로부터 빠지는 상태가 되면, 스스로의 탄성에 의해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의 측단부(39)에 형성된 투공(39a) 내를 도 15에 있어서의 우측으로 탄성 변위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다. 그 결과,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단부(19)가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의 측단부(39)에 형성된 투공(39a)을 관통한 상태가 얻어진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플러그 커넥터(11)에 있어서의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한 쌍의 단부(19)가 리셉터클 커넥터(31)에 있어서의 한 쌍의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의 측단부(39)에 형성된 한 쌍의 계합부(투공(39a))에 각각 계합하고, 리셉터클 커넥터(31)의 절연 하우징(34)에 대한 계지 상태를 취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31)의 절연 하우징(34)의 그것이 계합한 플러그 커넥터(11)의 절연 하우징(13)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은 이탈이 저지된다.
그 후, 도 16(제2의 배선 기판(32)의 도시가 생략된 사시도)에 나타나듯이, 리셉터클 커넥터(31)의 절연 하우징(34)이 플러그 커넥터(11)의 절연 하우징(13)과의 계합 상태를 취하고, 제2의 배선 기판(32)을 수반한 리셉터클 커넥터(31)와 제1의 배선 기판(12)을 수반한 플러그 커넥터(11)가 상호 계합 상태에 놓여진 하에서 계지 해제 조작 부재(40)에 설치된 한 쌍의 돌출 계합부(41)가, 제2의 배선 기판(32)에 형성된 한 쌍의 투공(33)을 각각 통해, 제2의 배선 기판(32)과 제1의 배선 기판(12)의 사이에 삽입되고, 한 쌍의 돌출 계합부(41)의 각각이 플러그 커넥터(11)에 있어서의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의 측단부(21)와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23)과 단부(19)와의 사이의 부분(42)과의 사이에 삽입될 때,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부분(42)이 단부(19)를 수반하여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의 측단부(21)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시켜지게 된다. 계지 해제 조작 부재(40)에 설치된 한 쌍의 돌출 계합부(41)의, 제2의 배선 기판(32)에 형성된 한 쌍의 투공(33)을 각각 통한, 제2의 배선 기판(32)과 제1의 배선 기판(12)의 사이에의 삽입, 및 한 쌍의 돌출 계합부(41)의 각각의,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의 측단부(21)와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부분(42)과의 사이에의 삽입은 예를 들면 수동에 의해 행해진다.
이에 의해 계지 해제 조작 부재(40)에 설치된 돌출 계합부(41)에 의해, 도 17(제2의 배선 기판(32) 및 계지 해제 조작 부재(40)의 도시가 생략된 평면도)에 나타나듯이,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단부(19)가 절연 하우징(34)의 긴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31)에 있어서의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탄성 변위시켜져,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의 측단부(39)에 형성된 계합부를 이루는 투공(39a)으로부터 이격시켜지게 된다.
그 결과, 플러그 커넥터(11)에 있어서의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한 쌍의 단부(19)가 리셉터클 커넥터(31)에 있어서의 한 쌍의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의 측단부(39)에 형성된 한 쌍의 계합부(투공(39a))로부터 이격시켜지게 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31)의 절연 하우징(34)에 대한 계지 상태를 해제하게 되어, 리셉터클 커넥터(31)의 절연 하우징(34)에 플러그 커넥터(11)의 절연 하우징(13)과의 계합을 무리가 없이 해제하는 상태를 취하게 하여, 리셉터클 커넥터(31)와 플러그 커넥터(11)와의 상호 계합 상태를 해제할 수가 있는 상태가 취해진다.
그 후, 예를 들면, 리셉터클 커넥터(31)의 절연 하우징(34)이 플러그 커넥터(11)의 절연 하우징(13)과의 계합을 해제한 하에서 계지 해제 조작 부재(40)에 설치된 한 쌍의 돌출 계합부(41)가, 제2의 배선 기판(32)에 형성된 한 쌍의 투공(33)을 각각 통해, 제2의 배선 기판(32)과 제1의 배선 기판(12)과의 사이로부터 탈출하기 위하여 이동시켜지고, 한 쌍의 돌출 계합부(41)의 각각이 플러그 커넥터(11)에 있어서의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의 측단부(21)와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23)과 단부(19)와의 사이의 부분(42)과의 사이로부터 뽑아내어지면,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부분(42)이 스스로의 탄성에 의해 단부(19)를 수반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다. 이에 의해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한 쌍의 단부(19)의 각각이 플러그 커넥터(11)에 있어서의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의 측단부(21)에 형성된 투공(21a)을 관통하여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의 측단부(21)에 의해 보유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술과 같은 플러그 커넥터(11)와 리셉터클 커넥터(3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배선 기판 연결 장치의 일례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11)와 리셉터클 커넥터(31)가 상호 계합한 상태에 놓여지고, 리셉터클 커넥터(31)의 절연 하우징(34)이 플러그 커넥터(11)의 절연 하우징(13)과의 계합 상태를 취하고, 절연 하우징(34)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트(35)가 절연 하우징(13)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트(14)에 각각 접촉 접속되었을 때, 플러그 커넥터(11)가 구비하는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한 쌍의 단부(19)의 각각이 절연 하우징(34)에 대한 계지 상태를 취하고, 이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31)에 있어서의 절연 하우징(34)의 플러그 커넥터(11)에 있어서의 절연 하우징(13)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은 이탈이 저지된다. 플러그 커넥터(11)가 구비하는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는 탄성을 가진 탄성 막대 모양의 재료가 굴곡시켜져 형성되고, 절연 하우징(13)의 긴 방향을 따라 뻗고, 한 쌍의 단부(19)의 각각이 플러그 커넥터(11)에 있어서의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의 측단부(21)에 의해 보유된 것으로 되고, 한 쌍의 단부(19)를 리셉터클 커넥터(31)에 있어서의 한 쌍의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의 각각의 측단부(39)에 형성된 계합부를 이루는 한 쌍의 투공(39a)에 각각 계합시키고, 절연 하우징(34)에 대한 계지 상태를 취한다.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한 쌍의 단부(19)의 각각이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의 측단부(39)에 형성된 투공(39a)에 계합한 상태는,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가 구비하는 탄성에 의해 해제되는 일이 없이 유지되고, 이에 의해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한 쌍의 단부(19)에 의한 절연 하우징(34)에 대한 계지 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그 후,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한 쌍의 단부(19)의 각각이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의 측단부(39)에 형성된 투공(39a)에 계합하고, 절연 하우징(34)에 대한 계지 상태를 취하는 하에서, 예를 들면, 계지 해제 조작 부재(40)에 설치된 한 쌍의 돌출 계합부(41)의 각각에 의해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한 쌍의 단부(19)의 각각이 탄성 변위시켜져 투공(39a)으로부터 이격시켜지게 되면,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한 쌍의 단부(19)에 의한 절연 하우징(34)에 대한 계지 상태가 해제되어 절연 하우징(34)이 절연 하우징(13)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11)와 리셉터클 커넥터(3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배선 기판 연결 장치의 일례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11)가 구비하는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와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에 의해 보유된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한 쌍의 단부(19)가 계합하는 리셉터클 커넥터(31)가 구비하는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에 형성된 계합부(투공(39a))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11)의 절연 하우징(13)과 리셉터클 커넥터(31)의 절연 하우징(34)의 상호 계합 상태를 매우 안정되고 또한 견고하게 유지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매우 간단하고 용이한 조작에 의해 절연 하우징(34)을 절연 하우징(13)으로부터 무리가 없이 이탈시킬 수가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1)가 구비하는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가 절연 하우징(13)의 긴 방향을 따라 뻗고, 한 쌍의 단부(19)가 절연 하우징(13)에 있어서의 긴 방향의 양단 부분에 각각 배치된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의 한 쌍의 측단부(21)에 의해 보유된 것으로 됨으로써, 절연 하우징(13)이 고정되는 제1의 배선 기판(12) 및 절연 하우징(34)이 고정되는 제2의 배선 기판(32)에 있어서의 상호 대접면의 각각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 치수를 저감할 수가 있고, 제1의 배선 기판(12)과 제2의 배선 기판(32)의 사이에 배치되는 플러그 커넥터(11) 및 리셉터클 커넥터(31)를 포함하는 장치 전체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배선 기판 연결 장치는, 제1의 배선 기판에 고정되는 제1의 절연 하우징을 가진 제1의 커넥터와 제2의 배선 기판에 고정되는 제2의 절연 하우징을 가진 제2의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의 커넥터의 제1의 절연 하우징과 제2의 커넥터의 제2의 절연 하우징이 상호 계합한 상태 하에서, 제2의 절연 하우징의 제1의 절연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은 이탈을 저지하는 계지 수단을 구비하고, 이러한 수단에 의해 제1의 절연 하우징과 제2의 절연 하우징의 상호 계합 상태를 매우 안정되고 또한 견고하게 유지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매우 간단하고 용이한 조작에 의해 제2의 절연 하우징을 제1의 절연 하우징으로부터 무리가 없이 이탈시킬 수가 있고, 또한 제1 및 제2의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상호 대접면의 각각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 치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전자기기 등에 널리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11 플러그 커넥터(제1의 커넥터) 12 제1의 배선 기판
13, 34 절연 하우징(제1의 절연 하우징, 제2의 절연 하우징)
14 플러그측 콘택트(제1의 콘택트)
14a, 35a 기판 접속부 14b, 35b 접촉 접속부
15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제1의 고정 금속 부재)
16, 38 기판 연결부 18 탄성 가동 계지 부재
19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단부
21 (플러그측 고정 금속 부재(15)의) 측단부
21a, 33, 39a 투공 22 보유부
23 (탄성 가동 계지 부재(18)의) 중간 부분
31 리셉터클 커넥터(제2의 커넥터) 32 제2의 배선 기판
35 리셉터클측 콘택트(제2의 콘택트)
36 (절연 하우징(34)의) 단부
37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제2의 고정 금속 부재)
39 (리셉터클측 고정 금속 부재(37)의) 측단부
40 계지 해제 조작 부재 41 돌출 계합부

Claims (8)

  1. 제1의 절연 하우징, 각각이 제1의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제1의 절연 하우징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제1의 콘택트, 및 상기 제1의 절연 하우징에 고착되어 이 제1의 절연 하우징을 상기 제1의 배선 기판에 고정하는 제1의 고정 금속 부재를 구비한 제1의 커넥터와,
    상기 제1의 절연 하우징과의 계합 상태를 취하는 제2의 절연 하우징, 각각이 제2의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부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제2의 절연 하우징에 배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의 콘택트에 각각 접촉 접속되는 상태를 취하는 복수의 제2의 콘택트, 및 상기 제2의 절연 하우징에 고착되어 이 제2의 절연 하우징을 상기 제2의 배선 기판에 고정하는 제2의 고정 금속 부재를 구비한 제2의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의 커넥터가, 상기 제1의 절연 하우징의 긴 방향을 따라 뻗고, 양단부가 상기 제1의 절연 하우징에 있어서의 긴 방향의 양단 부분에 배치된 상기 제1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에 의해 보유된 탄성 가동 계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의 커넥터가, 상기 제2의 절연 하우징에 있어서의 긴 방향의 양단 부분에 배치된 상기 제2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의 각각에 계합부가 형성된 것으로 되고,
    상기 제2의 절연 하우징이 상기 제1의 절연 하우징과의 계합 상태를 취할 때, 상기 제1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에 의해 보유된 상기 탄성 가동 계지 부재의 양단부가 상기 제2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에 형성된 계합부에 계합하여 상기 제2의 절연 하우징에 대한 계지 상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기판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절연 하우징에 있어서의 긴 방향의 양단 부분에, 상기 탄성 가동 계지 부재의 양단부를 상기 제1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과 함께 보유하는 보유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기판 연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에 상기 탄성 가동 계지 부재의 양단부가 각각 관통하는 한 쌍의 투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한 쌍의 투공에 의해 상기 탄성 가동 계지 부재의 양단부가 보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기판 연결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동 계지 부재가, 탄성 막대 모양의 재료가 굴곡시켜져 형성되고, 상기 제1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에 의해 보유된 상기 양단부가, 이 제1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에 대해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기판 연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이, 상기 제2의 절연 하우징이 상기 제1의 절연 하우징과의 계합 상태를 취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동 계지 부재의 양단부에 맞닿음 계합하여 이 탄성 가동 계지 부재의 양단부를 상기 제1의 절연 하우징의 긴 방향으로 탄성 변위시키는 상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기판 연결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에 형성된 계합부가, 상기 제1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에 의해 보유된 상기 탄성 가동 계지 부재의 양단부가 각각 계합하는 한 쌍의 투공을 이루는 것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기판 연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에 의해 보유된 상기 탄성 가동 계지 부재의 양단부가 상기 제2의 고정 금속 부재의 부분에 형성된 계합부에 계합하여 상기 제2의 절연 하우징에 대한 계지 상태를 취하는 하에서, 계지 해제 조작 부재에 의해 상기 탄성 가동 계지 부재의 양단부가 탄성 변위시켜져 상기 계합부로부터 이격시켜지게 됨으로써, 상기 계지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기판 연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동 계지 부재의 양단부의 각각이 상기 제2의 배선 기판에 설치된 투공을 통해서 상기 제1의 배선 기판과 상기 제2의 배선 기판의 사이에 삽입된 상기 계지 해제 조작 부재에 의해 탄성 변위시켜지게 되는 상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기판 연결 장치.
KR1020130143705A 2012-12-28 2013-11-25 배선 기판 연결 장치 KR101627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86461A JP5708942B2 (ja) 2012-12-28 2012-12-28 配線基板連結装置
JPJP-P-2012-286461 2012-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821A true KR20140086821A (ko) 2014-07-08
KR101627898B1 KR101627898B1 (ko) 2016-06-07

Family

ID=51017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705A KR101627898B1 (ko) 2012-12-28 2013-11-25 배선 기판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20874B2 (ko)
JP (1) JP5708942B2 (ko)
KR (1) KR101627898B1 (ko)
CN (1) CN103915723B (ko)
TW (2) TWM48077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3927A (ko) * 2017-04-07 2018-10-17 몰렉스 엘엘씨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20180113925A (ko) * 2017-04-07 2018-10-17 몰렉스 엘엘씨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8016B2 (ja) * 2012-05-17 2015-11-18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6156641B2 (ja) 2013-09-03 2017-07-05 第一精工株式会社 相互係合コネクタ装置
WO2015116094A1 (en) * 2014-01-30 2015-08-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unting device
JP6342190B2 (ja) * 2014-03-24 2018-06-1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組立体
US9728872B2 (en) 2014-09-22 2017-08-08 Xiaomi Inc Connector plug, connector socket, and connector
CN104283036B (zh) * 2014-09-22 2016-06-2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连接器插头、连接器插座和连接器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416728B2 (en) 2015-02-20 2019-09-17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Tool-less multipoint latching mechanism
CN104600461B (zh) * 2015-02-26 2017-08-25 昆山科信成电子有限公司 母接触端子、端子组合及扣合式电连接器
KR20170036529A (ko) * 2015-09-24 2017-04-03 몰렉스 엘엘씨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및 rf 커넥터 일체형 커넥터 조립체
US10498056B2 (en) * 2016-04-28 2019-12-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Mounting metal fitting, connector and connection system
JP6680364B2 (ja) * 2016-11-09 2020-04-15 第一精工株式会社 可動反射素子
JP6512210B2 (ja) * 2016-12-21 2019-05-15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CN109038013B (zh) * 2017-06-09 2020-01-10 莫列斯有限公司 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JP6925883B2 (ja) 2017-06-09 2021-08-2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CN110311066A (zh) * 2018-03-20 2019-10-08 郑州深澜动力科技有限公司 动力电池箱的绝缘防护结构及新能源车辆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6086U (ko) * 1985-11-18 1987-06-01
JP2000260509A (ja) 1999-03-10 2000-09-22 Jst Mfg Co Ltd 基板対基板型コネクタシステム
JP2004055306A (ja) 2002-07-18 2004-02-19 Yamaichi Electronics Co Ltd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009193916A (ja) * 2008-02-18 2009-08-27 I-Pex Co Ltd コネクタ装置
JP2010146761A (ja) * 2008-12-16 2010-07-01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
US20110263140A1 (en) * 2010-04-27 2011-10-2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Ltd. Electric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5005B2 (en) * 2001-11-29 2003-11-1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latching metal ears
JP2005135704A (ja) * 2003-10-29 2005-05-2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4988636B2 (ja) * 2008-03-24 2012-08-0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一対の電気コネクタ
JP4515516B2 (ja) * 2008-09-09 2010-08-04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コネクタ装置
JP4523062B1 (ja) * 2009-03-10 2010-08-11 本多通信工業株式会社 低背形電気コネクタ
CN201556730U (zh) * 2009-08-21 2010-08-18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薄型连接器
JP4910201B2 (ja) * 2009-11-27 2012-04-04 Smk株式会社 コネクタロック装置
TWM450855U (zh) * 2012-03-29 2013-04-11 Advanced Connectek Inc 板對板連接器組件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6086U (ko) * 1985-11-18 1987-06-01
JP2000260509A (ja) 1999-03-10 2000-09-22 Jst Mfg Co Ltd 基板対基板型コネクタシステム
JP2004055306A (ja) 2002-07-18 2004-02-19 Yamaichi Electronics Co Ltd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009193916A (ja) * 2008-02-18 2009-08-27 I-Pex Co Ltd コネクタ装置
JP2010146761A (ja) * 2008-12-16 2010-07-01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
US20110263140A1 (en) * 2010-04-27 2011-10-2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Ltd. Electrical connect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3927A (ko) * 2017-04-07 2018-10-17 몰렉스 엘엘씨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20180113925A (ko) * 2017-04-07 2018-10-17 몰렉스 엘엘씨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US10361513B2 (en) 2017-04-07 2019-07-23 Molex, Llc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10797439B2 (en) 2017-04-07 2020-10-06 Molex, Llc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15723B (zh) 2016-01-13
TW201433013A (zh) 2014-08-16
US20140187059A1 (en) 2014-07-03
TWM480774U (zh) 2014-06-21
TWI527312B (zh) 2016-03-21
JP2014130683A (ja) 2014-07-10
JP5708942B2 (ja) 2015-04-30
CN103915723A (zh) 2014-07-09
US9620874B2 (en) 2017-04-11
KR101627898B1 (ko) 201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898B1 (ko) 배선 기판 연결 장치
KR101636616B1 (ko) 배선 기판 연결 장치
TWI524603B (zh) 相互卡合之連接器裝置
JP6249676B2 (ja) 電気コネクタ
KR20150110333A (ko) 커넥터
US9876297B2 (en) Connector
US10230185B2 (en) Connector device
JP5806607B2 (ja) コネクタ
TW201340486A (zh) 連接器裝置
TW201530922A (zh) 連接器
JP5920565B2 (ja) 配線基板連結装置
KR20140125884A (ko) 기판 커넥터
JP2006244955A (ja)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7215854B2 (ja) 可動コネクタ
TW201505275A (zh) 插頭連接器及其製造方法
JP2018139175A (ja) 相互係合コネクタ装置
JP6138624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14235911A (ja) コネクタ
JP2014165065A (ja) コネクタ
JP2014179300A (ja) コネクタ装置
JP6281743B2 (ja)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JP5261608B1 (ja) コネクタ
JP2013218788A (ja) 配線基板連結装置
JP6229841B2 (ja) 相互係合コネクタ装置
JP2016046003A (ja) コネクタ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