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4870A - 절삭 인서트 및 절삭 방법 - Google Patents

절삭 인서트 및 절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4870A
KR20100014870A KR1020097017965A KR20097017965A KR20100014870A KR 20100014870 A KR20100014870 A KR 20100014870A KR 1020097017965 A KR1020097017965 A KR 1020097017965A KR 20097017965 A KR20097017965 A KR 20097017965A KR 20100014870 A KR20100014870 A KR 20100014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edge
cutting
longitudinal direction
corner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7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히코 나가야
노리오 아소
야스하루 이마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4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8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14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02Cutting tools with straight main part and cutting edge at an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04Cutting-off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0/00Details of cutting inserts
    • B23B2200/20Top or side views of the cutting edge
    • B23B2200/204Top or side views of the cutting edge with discontinuous cutting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2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processes
    • B23B2220/12Groo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7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machines, processes or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2270/54Method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3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3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 Y10T407/235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with integral chip breaker, guide or defl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4Cutters, for shaping with chip breaker, guide or defl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5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cut off to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03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이 절삭 인서트는, 축 형상을 이루는 인서트 본체의 단부에, 이 인서트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횡 절삭날과, 이들 횡 절삭날의 선단끼리 사이에 상기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면 절삭날을 구비한 사각형 형상의 레이크면을 갖는 절삭날부가 형성되고;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횡 절삭날 및 정면 절삭날이 교차하는 1 쌍의 코너날의 적어도 일방이, 이 코너날에 접하는 접선이 상기 정면 절삭날로부터 이 코너날을 따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선회한 후, 이 선회하는 방향을 변화시키는 변곡점을 갖고 상기 횡 절삭날에 연결되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절삭 인서트

Description

절삭 인서트 및 절삭 방법{CUTTING INSERT, AND CUTTING METHOD}
본 발명은, 선삭 가공에 있어서, 피삭재의 홈 형성이나 관통에 사용되는 절삭 인서트 및 이와 같은 절삭 인서트에 의한 절삭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 특허출원 2007-111638호를 기초 출원으로 하고, 그 내용을 도입한다.
이러한 종류의 홈 형성이나 관통에 사용되는 절삭 인서트로서,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에는, 일방의 측부 절삭날 (횡 절삭날) 과 주 절삭날 (정면 절삭날) 각각의 사이에 코너 절삭날을 포함하고; 각 코너 절삭날이 주 절삭날로부터 연장되는 1 차 만곡 절삭날을 포함하고; 또한 만곡 와이퍼 절삭날이 1 차 만곡 절삭날로부터 측부 절삭날까지 연장되고; 1 차 만곡 절삭날이 만곡 와이퍼 절삭날의 곡률보다 작은 반경을 갖고; 또한 측부 엣지 (절삭날) 도 만곡 와이퍼 절삭날의 곡률 반경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절삭 인서트가 제안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 에는, 상기 와이퍼 절삭날의 효과로서, 그 후의 마무리 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개량 표면 마무리를 부여할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 ∼ 4 에도 절삭 인서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중, 예를 들어 특허문헌 4 에는, 레이크면과 전 (前) 플랭크면의 교차 능선으로 이루어지는 전 (前) 절삭날 (정면 절삭날) 과, 레이크면 및 횡플랭크면의 교차 능선인 횡 절삭날과, 이들 전 절삭날 및 횡 절삭날 사이에 형성된 원호 형상의 코너 절삭날을 갖고; 코너 절삭날과 횡 절삭날 사이에 직선 형상의 와이퍼 절삭날을 인서트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혹은 횡 절삭날보다 작은 테이퍼각으로 횡 절삭날측을 향함에 따라 후퇴하도록 형성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2-516185호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71806호
특허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58205호
특허문헌 4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72509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이들 특허문헌 1 ∼ 4 에 기재된 절삭 인서트에서는, 상기 정면 절삭날과 횡 절삭날 사이의 코너날이, 정면 절삭날로부터 와이퍼날도 포함하여 횡 절삭날에 이르기까지 볼록 절곡하면서 만곡 혹은 횡 절삭날측을 향하여 후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인서트 본체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1 쌍의 코너날의 각각에 있어서 각 코너날에 접하는 접선이, 정면 절삭날로부터 이 코너날을 따라 상기 1 차 만곡 절삭날이나 코너 절삭날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선회한 후, 그 대로의 상태에서의 방향에서 선회하여 횡 절삭날에 접하도록 형성되고 있고, 횡 절삭날의 선단측으로의 연장선의 내측에 와이퍼날을 포함한 코너날이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절삭 인서트에서는, 그 와이퍼날을 포함한 코너날의 횡 절삭날에 이르는 부분에서, 피삭재에 형성된 가공면과의 클리어런스가 작아진다. 그 때문에, 그렇지 않아도 절삭 저항이 커지는 경향이 있는데, 와이퍼날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레이크면의 내측을 향하여 이 코너날에 마모가 진행되면, 그 마모량에 대해 길이 방향을 따른 마모 길이가 현저히 커진다. 그 결과, 절삭 저항이 더욱 증대되는 것을 초래하여 인서트 수명을 단축시킬 우려가 있다. 또, 절삭 저항의 증대에 의해 인서트 본체가 1 쌍의 횡 절삭날의 어느 측으로 어긋나 움직이면, 코너날측에서 횡 절삭날과 가공면의 클리어런스도 작기 때문에, 이 횡 절삭날이 가공면에 파고 들어가 가공 정밀도나 품위를 저해할 우려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절삭 인서트에 의한 홈 형성 가공에서는, 인서트 본체를 피삭재에 대해 상기 길이 방향으로 1 회 송출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는 홈의 폭은, 이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레이크면의 최대 폭이 되기 때문에, 이 레이크면의 최대 폭보다 큰 폭의 홈을 형성하고자 하면, 길이 방향으로 송출한 인서트 본체를 동일한 길이 방향을 따라 일단 후퇴시키고 나서, 이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인서트 본체를 어긋나게 하여 다시 길이 방향으로 송출하는 절삭 방법을 채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절삭 방법에서는, 인서트 본체를 후퇴시키는 동안에는 절삭이 실시되지 않고 인서트 본체가 이동되는 만큼의 시간이 되기 때문에, 가공 효율이 저하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이것은, 예를 들어 미리 피삭재에 형성된 폭 넓은 홈을 마무리 절삭하는 경우에도 동일하며, 즉 이와 같은 경우에는, 홈의 일방의 벽면을 따라 인서트 본체를 길이 방향으로 송출함으로써 상기 코너날이나 와이퍼날에 의해 그 벽면을 마무리 절삭하고, 이어서 정면 절삭날이 홈의 바닥면에 도달한 후에는 인서트 본체를 상기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송출하여 그 바닥면을 마무리 절삭하지만, 이 바닥면의 마무리 절삭이 홈의 타방의 벽면에 도달하기 직전에 일단 인서트 본체를 후퇴시키고 나서, 이 타방의 벽면을 따라 인서트 본체를 송출하여 그 벽면을 마무리 절삭하고, 정면 절삭날이 다시 홈의 바닥면에 도달한 후에 인서트 본체를 상기와는 반대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송출하여 그 바닥면 전체를 마무리 절삭하는 절삭 방법이 된다. 이 때문에, 역시 인서트 본체를 일단 후퇴시키는 동안은 절삭이 실시되지 않아, 가공 효율을 저해시키는 결과가 된다.
게다가, 이와 같은 절삭 방법에서는, 홈 바닥면의 마무리 절삭이, 이 인서트 본체를 후퇴시키는 공정 사이에서,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서로 반대 방향인 2 방향을 향하여 인서트 본체를 송출하는 2 회의 공정에 의해 실시되기 때문에, 이들 2 회의 공정에 의한 가공면끼리의 이음매에 단차나 줄무늬가 생기기 쉬워, 가공면의 마무리 정밀도나 품위를 저하시키키도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배경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피삭재의 홈 형성이나 관통 가공에 사용되는 절삭 인서트에 있어서, 코너날의 마모에 의한 절삭 저항의 극단적인 증대를 억제하여 인서트 수명의 연장을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횡 절삭날이나 코너날의 횡 절삭날에 이르는 부분에서의 가공면과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하여 가공 정밀도나 가공 품위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는 절삭 인서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절삭 인서트를 사용하여, 가공 효율을 저해시키지 않고, 가공 정밀도나 가공 품위가 높은 가공면을 형성할 수 있는 절삭 방법의 제공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즉,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는, 축 형상을 이루는 인서트 본체의 단부 (端(部) 에, 이 인서트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횡 절삭날과, 이들 횡 절삭날의 선단끼리 사이에 상기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면 절삭날을 구비한 사각형 형상의 레이크면을 갖는 절삭날부가 형성되고;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횡 절삭날 및 정면 절삭날이 교차하는 1 쌍의 코너날의 적어도 일방이, 이 코너날에 접하는 접선이 상기 정면 절삭날로부터 이 코너 날을 따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선회한 후, 이 선회하는 방향을 변화시키는 변곡점을 갖고 상기 횡 절삭날에 연결되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절삭 인서트에 의하면, 코너날에 접하는 접선이 정면 절삭날로부터 이 코너 날을 따라 횡 절삭날측을 향하여 인서트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선회한 후에, 상기 변곡점에서 이 선회하는 방향을 변화시켜 반대 향향으로 선회하여 횡 절삭날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코너날의 횡 절삭날에 이르는 부분에, 레이크면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 절곡하는 부분이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예를 들어 횡 절삭날이 선단측을 향하여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1 쌍의 코너날의 적어도 일방이, 이 횡 절삭날의 선단측으로의 연장선으로부터 돌출되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코너날에 대해 횡 절삭날을 크게 후퇴시킬 수 있다. 따라서, 코너날에 의해 형성되는 가공면과 횡 절삭날의 클리어런스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비록 인서트 본체가 어느 일방의 횡 절삭날측으로 어긋나 움직였다 하더라도, 횡 절삭날이 피삭재의 가공면에 간섭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되어, 가공면의 정밀도나 품위가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볼록 형상으로 코너날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코너날의 마모량에 대한 이 길이 방향의 마모 길이의 증대도, 코너 날이 정면 절삭날로부터 횡 절삭날에 걸쳐 그 접선을 동일한 방향으로 선회시키도록 하여 볼록 절곡만 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마모의 진행에 따라 절삭 저항이 현저히 증대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횡 절삭날이나 코너날의 횡 절삭날에 이르는 부분까지의 클리어런스가 확보됨과 함께, 절삭 저항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 결과, 장기간에 걸쳐 안정된 절삭을 할 수 있는 수명이 긴 절삭 인서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1 쌍의 코너날의 적어도 일방이, 그 코너날에 접하는 접선이 정면 절삭날로부터 이 코너날을 따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선회한 후에, 이 코너날의 횡 절삭날에 이르는 부분에서 상기 변곡점을 통해 그 선회하는 방향을 바꾸도록 형성할 때에는, 첫번째로, 인서트 본체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1 쌍의 코너날의 적어도 일방을, 상기 변곡점으로부터 상기 횡 절삭날측을 향하여 오목 곡선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이 변곡점으로부터 횡 절삭날에 걸친 부분의 가공면과의 클리어런스를 더욱 크게 확보함과 함께, 코너날의 마모량에 대한 마모 길이의 증대를 더욱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상기 변곡점에서 상기 코너날에 접하는 접선이 연속적으로 그 선회하는 방향을 바꾸도록, 이 변곡점의 전후에서 코너날이 매끄럽게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이 접선이 상기 변곡점에서 불연속으로 선회하는 방향을 바꾸도록, 이 변곡점의 전후에서 코너날이 각도를 갖고 교차하여 볼록절곡되어 있어도 된다. 단, 이와 같이 각도를 갖고 교차하여 볼록 절곡된 부분이 코너날에 남아 있으면, 결함이 발생하기 쉬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은, 예를 들어 볼록 원호 등의 볼록 곡선에 의해 그 전후와 매끄럽게 접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 볼록 곡선과 상기 오목 곡선의 접점이 상기 변곡점이 된다.
또, 두번째로,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1 쌍의 코너날의 적어도 일방이, 상기 변곡점의 전후에서 각도를 갖고 교차하도록 하여, 이 변곡점에서 오목 절곡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코너날에 접하는 접선이 정면 절삭날로부터 코너날을 따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선회한 후에 그 상태 그대로의 방향으로 선회되어, 코너날이 횡 절삭날에 직접적으로 교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 접선이 그 상태 그대로의 방향으로 선회한 후에, 코너날이 예를 들어 횡 절삭날측을 향함에 따라, 레이크면의 내측을 향하여 후퇴하도록 경사진 직선부 등을 통해 이 횡 절삭날에 교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1 쌍의 코너날의 적어도 일방에, 상기 접선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선회된 지점에서, 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퍼날을 구비함으로써, 홈 형성 가공에 의해 피삭재에 형성된 홈의 벽면이나 절단 가공에 의해 절단된 피삭재의 절단면 등의 가공면을 평활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가공 정밀도나 품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와이퍼날은,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절삭 인서트의 만곡 와이퍼 절삭날과 같이 곡률 반경이 큰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것이어도 되고, 또 특허문헌 2 ∼ 4 에 기재된 절삭 인서트와 같이 인서트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혹은 작은 테이퍼각으로 횡 절삭날측을 향함에 따라 후퇴하는 직선 형상의 것이어도 된다.
또,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정면 절삭날이, 상기 길이 방향에 경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정면 절삭날을 경사지게 하면, 특히 관통 가공을 실시할 때에, 피삭재에 남겨지는 심을 일방의 절단면으로부터 타방의 절단면을 향하여 끝이 가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피삭재가 절단되었을 때 이 타방의 절단면에 심이 남는 것을 방지하여, 그 후의 마무리 가공의 생략,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절삭 인서트는, 이른바 사용하기 편리한 인서트가 된다.
또한,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정면 절삭날의 상기 길이 방향의 돌출 단으로부터 상기 변곡점까지의 상기 길이 방향의 간격은, 상기 레이크면의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최대 폭에 대해 10 ∼ 60 % 의 범위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이 이 범위보다 작으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는 코너날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짧아져, 횡 절삭날과 가공면과의 클리어런스를 크게 했을 때 코너날에 결손이 쉽게 발생할 우려가 있고, 반대로 상기 간격이 이 범위보다 크면, 길이 방향에서의 코너날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어져, 상기 서술한 코너날의 마모량에 대한 길이 방향의 마모 길이의 증대를 확실히 억제하지 못하게 될 우려가 발생한다.
이상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에 의하면, 피삭재의 가공면과 코너날로부터 횡 절삭날에 걸친 부분과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함과 함께, 이 코너날의 마모량에 대한 마모 길이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절삭 저항의 증대를 억제하여 인서트 수명의 연장을 도모하면서, 원활하고 또한 안정된 홈 형성, 절단 가공을 촉진할 수 있게 된다. 또, 클리어런스가 확보됨으로써, 만일, 인서트 본체가 이동하여 움직이거나 하더라도, 가공면이 손상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공면의 정밀도나 품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에서는, 이와 같이 피삭재의 가공면과 코너 날로부터 횡 절삭날에 걸친 부분과의 클리어런스가 확보되기 때문에, 인서트 본체를 그 길이 방향으로 송출하여 홈 형성이나 관통 가공을 실시할 때에는, 상기 횡 절삭날이 절삭에 관여하지 않는다. 이 횡 절삭날은, 예를 들어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그 횡 절삭날이 형성된 범위에서 인서트 본체를 피삭재에 절삭하여 넣은 후, 인서트 본체를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송출하여 홈 폭을 넓히는 절삭을 실시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그래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횡 절삭날이 되는 부분이 절삭에 관여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는, 축 형상을 이루는 인서트 본체의 단부 (端部) 에, 이 인서트 본체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면 절삭날을 구비한 레이크면을 갖는 절삭날부가 형성되고;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정면 절삭날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방의 단부에 위치하는 코너날이, 이 코너날에 접하는 접선이 상기 정면 절삭날로부터 이 코너날을 따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선회한 후, 이 선회하는 방향을 변화시키는 변곡점을 갖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절삭 인서트에 있어서, 상기 횡 절삭날에 상당하는 부분은, 단순히 레이크면의 변릉부 (邊稜部) 여도 되고, 예를 들어 이 변릉부에 모따기 등이 실시되어 절삭날로서 작용하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 단, 횡 절삭날을 구비한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에 있어서의 상기 서술한 한정은, 이와 같이 횡 절삭날에 상당하는 부분이 레이크면의 변릉부가 된 절삭 인서트, 즉, 축 형상을 이루는 인서트 본체의 단부에, 이 인서트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변릉부와, 이들 변릉부의 선단끼리 사이에 상기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면 절삭날부를 구비한 사각형 형상의 레이크면을 갖는 절삭날부가 형성되고;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변릉부 및 정면 절삭날이 교차하는 1 쌍의 코너날의 적어도 일방이, 이 코너날에 접하는 접선이 상기 정면 절삭날로부터 이 코너날을 따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선회한 후, 이 선회하는 방향을 변화시키는 변곡점을 갖고 상기 변릉부에 연결되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절삭 인서트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절삭 인서트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변릉부가 선단측을 향하여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1 쌍의 코너날의 적어도 일방이, 상기 횡 절삭날의 선단측으로의 연장선으로부터 돌출되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되고,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1 쌍의 코너날의 적어도 일방이, 상기 변곡점으로부터 상기 변릉부측을 향하여 오목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되고,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1 쌍의 코너날의 적어도 일방이, 상기 변곡점에서 오목 절곡되어 있는 것이어도 되고,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1 쌍의 코너날의 적어도 일방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퍼날을 갖는 것이어도 되고,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정면 절삭날이, 상기 길이 방향에 경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어도 되고,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정면 절삭날의 상기 길이 방향의 돌출 단으로부터 상기 변곡점까지의 상기 길이 방향의 간격이, 상기 레이크면의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최대 폭에 대해 10 ∼ 60 % 의 범위로 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절삭 인서트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 본체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코너 날이 변곡점을 갖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코너날의 상기 변릉부에 이르는 부분, 또는 횡 절삭날에 이르는 부분에, 레이크면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 절곡되어 있는 부분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 부분에 있어서 코너날에는, 상기 변곡점에 연결되어 정면 절삭날측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날부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에 의하면, 피삭재에 대해 인서트 본체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송출하고, 상기 정면 절삭날이나 코너날 중 이 정면 절삭날측의 부분에서 피삭재를 절삭한 후, 이것과 연속하여, 인서트 본체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후퇴시킬 때에, 상기 날부를 이용하여 피삭재의 절삭을 실시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절삭 방법은, 축 형상을 이루는 인서트 본체의 단부에, 이 인서트 본체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면 절삭날을 구비한 레이크면을 갖는 절삭날부가 형성되고;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정면 절삭날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방의 단부에 위치하는 코너날이, 이 코너날에 접하는 접선이 상기 정면 절삭날로부터 이 코너날을 따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선회한 후, 이 선회하는 방향을 변화시키는 변곡점을 갖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절삭 인서트에 의한 절삭 방법으로서, 피삭재에 대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송출된 상기 인서트 본체를 이 길이 방향으로 후퇴시킬 때, 상기 코너날 중 상기 변곡점에 연결되어 상기 정면 절삭날측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날부에 의해, 상기 피삭재의 가공면을 절삭한다.
예를 들어, 인서트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볼록 형상으로 돌출된 코너날의 돌출량의 범위에서, 레이크면의 최대 폭보다 큰 폭의 홈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피삭재에 대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송출되어 정면 절삭날에 의해 피삭재에 홈을 형성한 인서트 본체를, 이 코너날이 돌출된 측으로 상기 돌출량의 범위 내에서 이동시키고, 그 후에 인서트 본체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후퇴시킴으로써, 전서 형성된 홈의 벽면 (가공면) 을 이 후퇴시에 코너날의 상기 날부에 의해 연속하여 절삭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미리 피삭재에 형성된 폭이 넓은 홈을 마무리 절삭하는 경우에는, 정면 절삭날의 양 단부에 상기 볼록 형상의 코너날을 갖는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를 이용하여, 먼저 이 홈의 일방의 벽면을 따라 인서트 본체를 길이 방향으로 송출함으로써, 이 일방의 벽면측의 상기 코너날이나 와이퍼날에 의해 그 벽면을 마무리 절삭하고, 이어서 정면 절삭날이 홈의 바닥면에 도달된 후에는, 이 바닥면을 따라 인서트 본체를 상기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로 송출하여 정면 절삭날에 의해 그 바닥면을 마무리 절삭하고, 홈의 타방의 벽면에 이 타방의 벽면측의 코너날이 도달한 지점에서, 그 돌출량의 범위 내에서 이 코너날을 타방의 벽면으로 절삭하여 집어넣고, 그 상태 그대로 인서트 본체를 길이 방향으로 후퇴시킴으로써, 이 타방의 벽면 (가공면) 을 연속하여 절삭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절삭 방법에 의하면, 이렇게 하여 인서트 본체를 후퇴시킬 때에도 연속하여 절삭을 실시하고, 인서트 본체가 길이 방향으로 왕복하는 동안의 모든 공정에서 절삭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인서트 본체가 이동하는 동안에 절삭이 실시되지 않는 공정이 개재되는 것을 최대한 피할 수 있어, 이로써 가공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특히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미리 피삭재에 형성된 폭이 넓은 홈을 마무리 절삭하는 경우에는, 홈 바닥면의 절삭 공정이 중단되지 않고, 1 회의 가로 송출로 절삭할 수 있기 때문에, 마무리된 홈 바닥면에 단차나 줄무늬가 형성되지 않아, 가공면의 정밀도나 품위를 향상시킬 수도 있게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에 의하면, 피삭재의 가공면과 코너날로부터 횡 절삭날 혹은 인서트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이크면의 변릉부에 걸친 부분과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함과 함께, 이 코너날의 마모량에 대한 마모 길이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절삭 저항의 증대를 억제하여 인서트 수명의 연장을 도모하면서, 원활하고 또한 안정된 홈 형성, 절단 가공을 촉진할 수 있게 된다. 또, 이렇게 하여 클리어런스가 확보됨으로써, 만일 인서트 본체가 어긋나게 움직이거나 하더라도 가공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공면의 정밀도나 품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절삭 방법에 의하면, 인서트 본체가 이동되는 동안에 절삭을 실시하지 않는 공정이 존재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효율적인 가공을 촉진할 수 있음과 함께, 특히 피삭재에 형성된 홈의 마무리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가공면의 정밀도나 가공 품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동(同) 절삭 인서트를 그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레이크면 (5)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 은, 동 절삭 인서트의 측면도이다.
도 4 는, 동 절삭 인서트의 바닥면도이다.
도 5 는, 동 절삭 인서트의 정면도이다.
도 6 은, 동 절삭 인서트의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7 은, 동 절삭 인서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 의 우하측의 코너부 (C)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8 은, 동 절삭 인서트에 의해 피삭재 (W) 에 홈 형성, 절단 가공을 실시 할 때의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9 는, 동 절삭 인서트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 의 우하측의 코너부 (C) 의 확대 평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0 은, 동 절삭 인서트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 의 우하측의 코너부 (C) 의 확대 평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1 은, 동 절삭 인서트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 의 우하측의 코너부 (C) 의 확대 평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 의 우하측의 코너부 (C) 의 확대 평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3 은, 동 절삭 인서트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 의 우하측의 코너부 (C) 의 확대 평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4 는, 동 절삭 인서트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 의 우하측의 코너부 (C) 의 확대 평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5 는, 동 절삭 인서트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 의 우하측의 코너부 (C) 의 확대 평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그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레이크면 (5)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7 은, 동 절삭 인서트의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8 은, 동 절삭 인서트에 의해 피삭재 (W) 에 홈 형성, 절단 가공을 실시할 때의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9 는, 동 절삭 인서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 은, 동변형예의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21 은, 동변형예에 의해 피삭재 (W) 에 홈 형성, 절단 가공을 실시할 때의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 은, 동 절삭 인서트를 그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레이크면 (5)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4 는, 동 절삭 인서트의 측면도이다.
도 25 는, 동 절삭 인서트의 바닥면도이다.
도 26 은, 동 절삭 인서트의 정면도이다.
도 27 은, 동 절삭 인서트의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28 은, 동 절삭 인서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7 의 우하측의 코너부 (C)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29 는,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7 의 우하측의 코너부 (C) 의 확대 평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30 은,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의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그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레이크면 (5)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1 은, 동 절삭 인서트의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2A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제 4 변형예의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2B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제 5 변형예의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2C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제 6 변형예의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2D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제 7 변형예의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3A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제 8 변형예의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3B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제 9 변형예의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4A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제 10 변형예의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4B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제 11 변형예의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5A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의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5B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의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5C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의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5D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제 4 변형예의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6A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제 5 변형예의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6B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제 6 변형예의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7A 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7B 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절삭날부 (2) 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8A 는, 본 발명의 절삭 방법의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8B 는, 본 발명의 절삭 방법의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8C 는, 본 발명의 절삭 방법의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8D 는, 본 발명의 절삭 방법의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8E 는, 본 발명의 절삭 방법의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8F 는, 본 발명의 절삭 방법의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9A 는, 본 발명의 절삭 방법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9B 는, 본 발명의 절삭 방법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9C 는, 본 발명의 절삭 방법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9D 는, 본 발명의 절삭 방법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9E 는, 본 발명의 절삭 방법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9F 는, 본 발명의 절삭 방법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 인서트 본체
2 : 절삭날부
3 : 횡 절삭날
4 : 정면 절삭날
5 : 레이크면
6: 코너날
6A : 오목 곡선 날
6B : 와이퍼날
6C : 오목 곡선 날
6D : 이음날
6E : 직선 형상의 날
6F : 챔퍼날
L : 인서트 본체 (1) 의 축선
O : 변곡점
W : 피삭재
V : 가공면
H : 피삭재 (W) 의 회전 축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 ∼ 도 8 은,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인서트 본체 (1) 는, 초경합금 등의 경질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축선 (L) 을 따라 연장되는 개략 방형(方形) 축 형상 (방형 기둥 형상) 을 이루고 ; 이 축선 (L) 에 직교하여 인서트 본체 (1) 의 길이 방향 (축선 (L) 방향, 도 2 ∼ 도 4 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의 중앙에 위치하는 평면 (M) 에 관하여 대략 대칭으로 형성되고; 이 평면 (M) 에 직교하여 인서트 본체 (1) 의 폭 방향 (도 2 및 도 4 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도 5 에 있어서는 좌우 방향) 중앙에 위치하고, 축선 (L) 을 포함하여 인서트 본체 (1) 의 두께 방향 (도 3 및 도 5 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으로 연장되는 평면 (N) 에 관해서도 대칭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인서트 본체 (1) 의 길이 방향의 단부 (양 단부) 에는, 절삭날부 (2) 가 형성되어 있다. 절삭날부 (2) 에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횡 절삭날 (3) 과, 이들 횡 절삭날 (3) 의 선단끼리 사이에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면 절삭날 (4) 을 변릉부에 구비한 레이크면 (5) 이, 상기 두께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레이크면 (5) 은,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여 두께 방향으로 레이크면 (5)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평면에서 보았을 때, 도 2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들 횡 절삭날 (3) 과 정면 절삭날 (4) 이 교차하는 1 쌍의 코너부 (C) 에는, 코너날 (6)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길이 방향 양단의 절삭날부 (2) 사이에 있어서, 상기 두께 방향으로 레이크면 (5) 과 동일한 측을 향하는 인서트 본체 (1) 의 상면부 (7)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절삭날부 (2) 의 레이크면 (5) 보다 두께 방향으로 일단 (一段)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면부 (7) 와, 이 상면부 (7) 와는 반대의 인서트 본체 (1) 의 하면부 (8) 에는, 그 길이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단면 (斷面) 이 오목 V 자 형상을 이루는 장착 홈부 (7A, 8A)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장착 홈부 (7A, 8A) 가 인서트 착탈식 선삭 공구의 홀더에 형성된 인서트 부착 시트가 서로 대향하여 단면 볼록 V 자 형상을 이루는 1 쌍의 턱부에 맞닿아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절삭 인서트는 이 홀더에 유지되고, 피삭재의 홈 형성 가공이나 절단 가공에 사용된다. 또한, 상면부 (7) 의 상기 길이 방향을 향하는 단면 (端面) (7B) 은, 각각 절삭날부 (2) 측을 향함에 따라, 하면부 (8) 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절삭날부 (2) 의 상기 길이 방향을 향하는 선단면과 폭 방향을 향하는 양 측면은, 각각 정면 절삭날 (4) 과 1 쌍의 횡 절삭날 (3) 의 플랭크면 (9) 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는, 이들 플랭크면 (9) 이 상기 코너부 (C) 에 연결되는 플랭크면 (9) 끼리의 교차 능선부도 포함하여, 레이크면 (5) 으로부터 이간되어 상기 하면부 (8) 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후퇴하도록 경사진 포지티브 타입의 인서트로 되어 있다. 또한, 절삭날부 (2) 의 플랭크면 (9) 이외의 인서트 본체 (1) 의 단면 및 측면은, 상기 두께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레이크면 (5) 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탄면으로 되어 있고, 따라서 1 쌍의 횡 절삭날 (3), 정면 절삭날 (4) 및 코너날 (6) 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두께 방향에 수직인 하나의 평면 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중, 1 쌍의 횡 절삭날 (3) 은, 각각 코너날 (6) 로부터 절삭날부 (2) 의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폭 방향으로 후퇴하여 서로 접근하도록, 길이 방향에 대해 약간 경사져 동등한 백테이퍼가 부여된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함께, 정면 절삭날 (4) 도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평면 (N) 에 직교하는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1 쌍의 횡 절삭날 (3) 과 정면 절삭날 (4) 에 관해 보면, 레이크면 (5) 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정면 절삭날 (4) 을 저변 (하저) 으로 하는 등각대 형상을 나타내게 된다.
한편, 코너날 (6) 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코너부 (C) 에 있어서 정면 절삭날 (4) 로부터 횡 절삭날 (3) 을 향하여 순서대로, 상기 평면에서 볼때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 형상의 상기 정면 절삭날 (4) 에 매끄럽게 접하는 대략 1/4 볼록 원호 형상의 볼록 곡선 날 (6A) 과; 이 볼록 곡선 날 (6A) 에 매끄럽게 접하여 상기 길이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와이퍼날 (6B) 과; 이 와이퍼날 (6B) 에 각도를 갖고 교차하고, 후단측 (횡 절삭날 (3) 측) 을 향함에 따라 상기 폭 방향으로 레이크면 (5) 의 내측으로 원호 형상을 이뤄 오목 절곡하면서 후퇴하여 횡 절삭날 (3) 에 매끄럽게 접하는 오목 곡선 날 (6C) 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 곡선 날 (6C) 이 이루는 오목 원호의 곡률 반경은, 상기 볼록 곡 선 날 (6A) 이 이루는 볼록 원호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코너날 (6) 은, 이 코너날 (6) 에 접하는 접선이 상기 정면 절삭날 (4) 로부터 이 코너날 (6) 을 따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선회한 후에, 이 선회하는 방향을 변화시키는 변곡점 (O) 을 갖고 상기 횡 절삭날 (3) 에 연결되도록, 볼록 형상을 나타내게 된다. 즉,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예를 들어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 절삭날 (4) 을 하측으로 하여 우측의 코너부 (C) 를 본 경우, 이 코너부 (C) 의 코너날 (6) 에 접하는 접선이 코너날 (6) 의 정면 절삭날 (4) 의 접점 (P) 에서 이 정면 절삭날 (4) 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볼록 곡선 날 (6A) 을 따라 와이퍼날 (6B) 을 향함에 따라, 도 7 에 있어서 좌측 (반시계 회전 방향) 으로 선회하면서, 이 볼록 곡선 날 (6A) 과 와이퍼날 (6B) 의 접점 (Q) 에 이르러,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이 된다.
또한, 와이퍼날 (6B) 상에서는, 코너날 (6) 에 접하는 접선이 선회하지 않고, 따라서 선회하는 방향을 바꾸지 않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직선 형상을 이루는 와이퍼날 (6B) 을 따라 상기 길이 방향 (축선 (L) 방향) 에 평행한 상태로, 와이퍼날 (6B) 과 각도를 갖고 교차하는 상기 오목 곡선 날 (6C) 과의 교점 (R) 에 도달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와이퍼날 (6B) 에 있어서 코너날 (6) 이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가장 돌출된 상태가 된다. 즉, 와이퍼날 (6B) 이 코너날 (6) 의 폭 방향의 돌출 단이 된다.
상기 교점 (R) 에 있어서, 코너날 (6) 의 접선은, 이렇게 하여 와이퍼날 (6B) 을 따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방향으로부터, 이 교점 (R) 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 곡선 날 (6C) 의 접선으로 일단, 또한 도 7 에 있어서 좌측으로 선회함과 동시에, 이 교점 (R) 으로부터 오목 곡선 날 (6C) 과 횡 절삭날 (3) 의 접점 (S) 을 향하여는, 오목 곡선 날 (6C) 에 접하는 접선이 도 7 에 있어서 우측 (시계 회전 방향) 으로 선회하도록 그 선회하는 방향이 변화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너날 (6) 에 접하는 접선이, 이 교점 (R) 에 있어서 그 선회하는 방향을 바꾸게 되어, 이 교점 (R) 이 상기 변곡점 (O) 이 된다. 또한, 이렇게 하여 선회하는 방향을 바꾼 접선은, 상기 접점 (S) 에 있어서 횡 절삭날 (3) 을 따라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에 대해 약간 경사지면서 절삭날부 (2) 의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후퇴하도록 연장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절삭 인서트에 있어서는, 먼저 상기 코너날 (6) 의 폭 방향으로 가장 볼록하게 되는 부분에, 인서트 본체 (1)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퍼날 (6B)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절삭 인서트를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홀더로 유지하여 이 길이 방향 (축선 (L) 방향) 으로 송출하면서, 피삭재에 홈 형성 가공이나 절단 가공을 실시한 경우에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삭재 (W) 에 형성되는 홈 벽면이나 절단면인 가공면 (V) 을, 이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평면 (N) 에 평행하도록 평활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절삭 인서트에서는, 와이퍼날 (6B) 후단의 오목 곡선 날 (6C) 과의 교점 (R) 을 변곡점 (O) 으로 하여, 코너날 (6) 에 접하는 접선이 그 선회 방향을 변화시키고 있음으로써, 변곡점 (O) (교점 (R)) 으로부터 횡 절삭날 (3) 에 이르는 오목 곡선 날 (6C) 부분에서, 폭 방향으로 가장 볼록해지는 상기 와이퍼날 (6B) 에 대해 레이크면 (5) 의 내측으로 일단 움푹 패이고 나서 횡 절삭날 (3) 에 연결되는 오목 절곡된 부분이, 코너날 (6) 에 형성된다. 바꿔 말하면, 본 실시형태와 같이 횡 절삭날 (3) 이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횡 절삭날 (3) 의 선단측으로의 연장선에 대해 코너날 (6) 이 폭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퍼날 (6B) 에 의해 형성된 피삭재 (W) 의 가공면 (V) 에 대해, 이 횡 절삭날 (3) 의 클리어런스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절삭 인서트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 본체 (1) 를 상기 길이 방향 (축선 (L) 방향) 으로 송출하여 홈 형성이나 관통 가공을 실시할 때, 횡 절삭날 (3) 이나 이것에 연속되는 플랭크면 (9) 이 상기 가공면 (V) 에 접촉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공시의 절삭 저항의 저감을 도모하여 원활하고 또한 안정된 가공을 촉진할 수 있다. 또, 횡 절삭날 (3) 과 가공면 (V) 사이에 큰 클리어런스가 확보됨으로써, 예를 들어 과대한 절삭 부하가 작용하여 만일 인서트 본체 (1) 가 도 8 에 있어서 어느 일방의 횡 절삭날 (3) 측으로 경사지도록 어긋나게 움직여도, 횡 절삭날 (3) 이 가공면 (V) 에 간섭하여 스크래치를 내거나 하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따라서, 가공면 (V) 의 정밀도나 품위가 저해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코너날 (6) 이 볼록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코너날 (6) 의 와이퍼날 (6B) 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발생한 마모 (플랭크면 (9) 의 마모) 가 상기 폭 방향으로 레이크면 (5) 의 내측을 향하여 진행되어도, 코너날 (6) 이 상기 연장선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범위에서는 횡 절삭날 (3) 이 마모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마모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마모 길이가 즉시 현저히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 범위에서는 상기 폭 방향으로의 마모량에 대한 길이 방향의 마모 길이의 증대를 작게 억제할 수 있어, 마모 길이의 증대에 의한 절삭 저항의 증대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절삭 인서트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원래 낮게 억제된 절삭 저항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고, 따라서 원활하고 또한 안정된 홈 형성, 절단 가공도 장기간에 걸쳐 가능한 수명이 긴 절삭 인서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와이퍼날 (6B) 에 대해 레이크면 (5) 의 내측으로 일단 움푹 패이고 나서 횡 절삭날 (3) 에 연결되는 오목 절곡된 부분이, 이 와이퍼날 (6B) 과의 교점 (R) 을 상기 변곡점 (O) 으로 하여 이 변곡점 (O) 으로부터 횡 절삭날 (3) 측을 향하여 오목 곡선 (오목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오목 곡선 날 (6C) 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 교점 (R) 과 횡 절삭날 (3) 의 접점 (S) 을 후술하는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직선 형상으로 연결한 경우와 비교해도, 상기 오목 절곡된 부분의, 레이크면 (5) 내측으로 패이는 것을 크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클리어런스를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 와이퍼날 (6B) 의 상기 폭 방향으로의 마모량에 대한 길이 방향의 마모 길이의 증대도, 보다 작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평면에서 볼 때의 정면 절삭날 (4) 로부터 상기 변곡점 (O) 까지의 상기 길이 방향의 간격 (A) 은, 도 6 에 나타내는 레이크면 (5) 의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최대 폭 (본 실시형태에서는, 1 쌍의 코너날 (6) 의 와이퍼날 (6B) 끼리의 간격) (B) 에 대해 10 ∼ 60 %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간격 (A) 이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볼록 형상을 이루는 코너날 (6) 자체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짧아져 결손이 잘 발생할 우려가 있고, 반대로 상기 간격 (A) 이 이 범위보다 크면, 길이 방향으로 코너날 (6) 이 지나치게 길어져, 그 마모량에 대한 길이 방향의 마모 길이의 증대를 억제할 수 없는 우려가 발생한다.
또, 동 도면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평면에서 볼 때, 횡 절삭날 (3) 이 직선 형상인 경우에 그 연장선 (E) 으로부터의 코너날 (6) 의 상기 폭 방향에 대한 돌출량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연장선 (E) 과, 이 연장선 (E) 에 평행하고 코너날 (6) 이 외접하는 직선 (F) 과의 간격) (G) 은, 상기 최대 폭 (B) 에 대해 3 ∼ 25 %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보다 크면 코너날 (6) 이 지나치게 돌출되어 역시 결손이 잘 발생할 우려가 있는 한편, 이보다 작은 횡 절삭날 (3) 과 가공면 (V) 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하지 못할 우려가 발생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와이퍼날 (6B) 이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축선 (L) 에 평행하고 또한 길이 방향을 따른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와이퍼날 (6B) 은, 본 실시형태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정면 절삭날 (4) 에 대해서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90 °의 교차각 (θ) 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상기 특허문헌 2 와 같이 절삭날부 (2) 의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레이크면 (5) 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교차각 (θ) 이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경사진 와이퍼날 (6B) 과 볼록 곡선 날 (6A) 의 접점 또는 교점이, 코너날 (6) 의 폭 방향의 돌출 단 (端) 이 된다. 단, 이 교차각 (θ) 이 지나치게 작아지면, 와이퍼날 (6B) 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가공면 (V) 을 평활하게 마무리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교차각 (θ) 은, 상기 횡 절삭날 (3) 에 부여되는 백테이퍼보다 작은 백테이퍼가 부여되도록, 예를 들어 88°이상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와 같이 와이퍼날 (6B) 을 직선 형상으로 형성하는 대신에, 도 9 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와 같이, 와이퍼날 (6B) 을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레이크면 (5) 의 외측에 볼록하게 되는 곡률 반경이 큰 볼록 원호 등의 볼록 곡선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이 제 1 변형예를 비롯하여, 이후에 설명하는 다른 변형예 및 다른 실시형태나 그 변형예에 대하여,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 1 변형예에 있어서,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와이퍼날 (6B) 이 이루는 볼록 곡선은, 코너날 (6) 의 상기 볼록 곡선 날 (6A) 이 이루는 볼록 곡선 (볼록 원호) 및 오목 곡선 날 (6C) 이 이루는 오목 곡선 (오목 원호) 보다 큰 곡률 반경이 되고, 볼록 곡선 날 (6A) 에 접점 (Q) 에서 접하도록 형성되고, 이 접점 (Q) 과 상기 변곡점 (O) 이 되는 오목 곡선 날 (6C) 의 교점 (R) 을 연결하는 직선 (즉, 볼록 곡선 형상의 와이퍼날 (6B) 의 현) 이, 상기 교차각 (θ) 의 범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코너날 (6) 에 접하는 접선은, 상기 접점 (Q) 으로부터 교점 (R) 에 걸쳐서도 도 9 에 있어서 좌선회하여 변곡점 (O) 이 되는 이 교점 (R) 에서 선회하는 방향을 바꾸게 되고, 또 이 와이퍼날 (6B) 상의 1 점에서 상기 길이 방향 (축선 (L) 방향) 에 평행하게 되어, 이 1 점이 코너날 (6) 의 폭 방향의 돌출 단이 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나 제 1 변형예와 같이, 코너날 (6) 에 있어서의 와이퍼날 (6B) 과 오목 곡선 날 (6C) 이 교점 (R) 에 있어서 각도를 갖고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이 교점 (R ) 의 주변에서 코너날 (6) 에 결함이 잘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 제 3 변형예와 같이, 교점 (R) 의 주변 부분을 더욱 볼록 원호 등의 볼록 곡선 형상의 이음날 (6D) 에 의해 매끄럽게 연속시켜, 결손되기 쉬운 예리한 모서리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음날 (6D) 은, 와이퍼날 (6B) 과 오목 곡선 날 (6C) 의 각각에 대해 접점 (T, U) 에서 접하게 된다. 따라서, 이 중, 볼록 곡선 형상의 이음날 (6D) 과 오목 곡선 형상의 오목 곡선 날 (6C) 이 접하는 접점 (U) 이 변곡점 (O) 이 된다. 또, 코너날 (6) 에 접하는 접선은, 변곡점 (O) 의 전후에서, 도 10 및 도 11 에 있어서 좌선회로부터 우선회로 횡 절삭날 (3) 측을 향하여 선회하는 방향을 연속적으로 바꾸게 된다. 또한, 도 10 은, 와이퍼날 (6B) 이 직선 형상인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이고, 도 11 은, 와이퍼날 (6B) 이 볼록 곡선 형상인 제 1 변형예의 또 다른 변형예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즉, 상기 제 1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서는, 코너날 (6) 의 와이퍼날 (6B) 과 횡 절삭날 (3) 사이에,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오목 곡선 형상을 이루는 오목 곡선 날 (6C) 이 형성됨으로써, 이 코너날 (6) 에 접하는 접선이 선회하는 방향이, 와이퍼날 (6B) 과 오목 곡선 날 (6C) 과의 교점 (R) 이나 이 교점 (R) 부분에 형성된 이음날 (6D) 과 오목 곡선 날 (6C) 의 접점 (U) 을 변곡점으로 하여 변경된 것에 대해, 본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코너날 (6) 에 있어서의 와이퍼날 (6B) 의 후단부터 횡 절삭날 (3) 에 이르는 부분이, 상기 평면에서 볼 때, 횡 절삭날 (3) 에 부여되는 백테이퍼보다 큰 각도로, 횡 절삭날 (3) 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폭 방향으로 레이크면 (5) 의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면서 직선 형상으로 후퇴하는 직선 형상의 날 (6E) 이 되고, 이 직선 형상의 날 (6E) 이 횡 절삭날 (3) 과 교점 (X) 에서 교차하여 레이크면 (5) 의 내측으로 움푹 패이도록 오목 절곡되어 있어, 이 교점 (X) 이 상기 변곡점 (O) 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이 경우의 정면 절삭날 (4) 로부터 변곡점 (O) 까지의 길이 방향의 간격 (A) 은,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교점 (X) 까지의 거리가 된다.
구체적으로, 본 제 2 실시형태의 도 12 에 나타낸 코너부 (C) 에서는, 코너날 (6) 에 접하는 접선이 이 코너날 (6) 을 따라 정면 절삭날 (4) 측으로부터 횡 절삭날 (3) 측을 향함에 따라, 접점 (P, Q) 을 거쳐 와이퍼날 (6B) 후단의 상기 직선 형상의 날 (6E) 과의 교점 (R) 에 이르기까지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도 12 에 있어서 좌선회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교 점 (R) (변곡점 (O)) 에 있어서 오목 곡선 날 (6C) 상으로 옮긴 지점에서 이 접선이 일단 크게 좌선회한 후에는 오목 곡선 날 (6C) 을 따라 우선회하여 선회하는 방향이 바뀌었다. 이에 대해, 본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교점 (R) 로부터 직선 형상의 날 (6E) 과 횡 절삭날 (3) 의 상기 교점 (X) 까지는, 코너날 (6) 에 접하는 접선이, 이 직선 형상의 날 (6E) 을 따라 선회하지 않고 연장되고, 따라서 선회의 방향도 바뀌지 않고, 교점 (X) 에 있어서 횡 절삭날 (3) 을 따르도록 우선회한 지점에서 선회의 방향이 바뀌게 되어, 이 교점 (X) 이 변곡점 (O) 이 된다.
따라서, 본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변곡점 (O) 이 된 교점 (X) 에 있어서 코너날 (6) 이 상기 평면에서 볼 때 레이크면 (5) 의 폭 방향 내측으로 움푹 패이도록 형성된다. 바꿔 말하면, 횡 절삭날 (3) 의 선단측으로의 연장선에 대해 코너날 (6) 이 폭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횡 절삭날 (3) 과 가공면 (V) 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코너날 (6) 에 있어서의 상기 와이퍼날 (6B) 의 상기 폭 방향으로의 마모량에 대한 길이 방향의 마모 길이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교점 (R, X) 사이가 직선 형상의 날 (6E) 로 되어 있고, 이 직선 형상의 날 (6E) 에 연속되는 플랭크면 (9) 부분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오목 곡선 날 (6C) 에 연속되는 플랭크면 (9) 부분을 오목 곡면 형상으로 형성해야만 하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비해, 절삭날부 (2) 의 형성이 비교적 용이하다는 이점도 얻어진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5 는,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제 1 ∼ 제 3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3 에 나타내는 제 1 변형예는, 도 9 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와 동일하게, 와이퍼날 (6B) 이 상기 평면에서 볼 때 곡률 반경이 큰 볼록 곡선 형상으로 된 것이다. 도 14 에 나타내는 제 2 변형예는, 도 10 에 나타낸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와 동일하게, 각도를 갖고 교차하는 와이퍼날 (6B) 과 직선 형상의 날 (6E) 의 교점 (R) 주변을, 이들 와이퍼날 (6B) 과 직선 형상의 날 (6E) 에 접점 (T, U) 에서 접하는 볼록 곡선 형상의 이음날 (6D) 로 매끄럽게 연결한 것이다. 도 15 에 나타내는 제 3 변형예는, 도 11 에 나타낸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와 동일하게, 와이퍼날 (6B) 이 볼록 곡선 형상으로 됨과 함께 교점 (R) 주변이 이음날 (6D) 로 연결된 것이다. 단, 이 제 2 실시형태의 제 2, 제 3 변형예에서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2, 제 3 변형예와 같이 상기 접점 (U) 에서 코너날 (6) 이 접하는 접선의 선회 방향이 바뀌지 않고, 변곡점 (O) 은 상기 교점 (X) 상태 그대로이다.
다음으로, 도 16 내지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제 2 실시형태나 그 변형예에서는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정면 절삭날 (4) 이 인서트 본체 (1) 의 길이 방향 (축선 (L) 방향) 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정면 절삭날 (4) 이 동 평면에서 볼 때 인서트 본체 (1) 의 길이 방향 (축선 (L) 방향) 에 대해 경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정면 절삭날 (4) 이하의 부분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을 적용하고 있지만, 제 2 실시형태나 제 1,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내지 제 3 변형예의 구성을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 이 경우의 상기 간격 (A) 은,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진 정면 절삭날 (4) 의 상기 길이 방향의 돌출 단으로부터 변곡점 (O) 까지의 거리로 하면 된다.
본 제 3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에 의하면, 특히 회전하는 피삭재 (W) 를 절단하는 절단 가공에 사용했을 때에, 인서트 본체 (1) 의 축선 (L) 을 피삭재 (W) 의 회전 축선에 수직인 평면 상에 위치시켜 이 축선 (L) 방향으로 송출하면,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삭날부 (2) 에 의해 피삭재 (W) 에 형성되는 홈의 바닥면도, 축선 (L) 에 경사 교차하여 피삭재 (W) 의 상기 회전 축선에 대해서도 경사지게 된다. 그 상태 그대로 인서트 본체 (1) 를 송출하면, 정면 절삭날 (4) 이 길이 방향 선단측으로 돌출된 측 (도 18 에 있어서 우측) 의 코너부 (C) 에서 먼저 피삭재 (W) 가 절단되고, 반대의 정면 절삭날 (4) 이 후퇴된 코너부 (C) 측 (도 18 에 있어서 좌측) 에는 피삭재 (W) 의 가공면 (V) 으로부터 끝이 가는 원추형의 심이 상기 회전 축선을 따라 남겨진다.
그런데, 상기 제 1, 제 2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와 같이 정면 절삭날 (4) 이 길이 방향에 수직이면, 상기 홈의 바닥면도 길이 방향에 수직 즉 피삭재 (W) 의 회전 축선과는 평행이 된다. 따라서, 피삭재 (W) 가 절단되기 직전에, 회전 축선을 따라 직경이 일정한 원주 형상의 심이 남겨지게 되지만, 이와 같은 심은 완전히 절삭되기 전에 그 중앙부에서 접혀 절단된 피삭재 (W) 양방의 가공면 (V) 에 남겨질 우려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이들 양방의 가공면 (V) 에 마무리 가공을 실시하고 남은 심을 제거해야만 하나,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심이 남는 것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정면 절삭날 (4) 이 후퇴한 코너부 (C) 측의 가공면 (V) 뿐이다. 따라서, 마무리 가공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나 노력을 반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정면 절삭날 (4) 이 후퇴한 코너부 (C) 측의 가공면 (V) 에 심이 남아 마무리 가공이 필요하기 때문에, 도 19 ∼ 도 21 에 나타내는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와 같이, 정면 절삭날 (4) 이 후퇴한 코너부 (C) 측에서는 그 코너날 (6) 에 와이퍼날 (6B) 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 제 3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관련된 절삭 인서트는, 절삭날부 (2) 에 좌우의 방향성이 부여된, 이른바 사용하기 편한 인서트가 된다. 인서트 본체 (1) 는, 상기 제 1, 제 2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와 같이 상기 평면 (M, N) 에 관하여 대칭으로는 형성되지 않고, 도 16 이나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평면 (M, N) 의 교차 능선 (Y) 둘레에 180°회전 대칭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22 ∼ 도 28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정면 절삭날 (4) 이 후퇴한 측의 코너부 (C) 와 동일하게, 코너날 (6) 에 와이퍼날 (6B)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이 특징이다. 바꿔 말하면, 상기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정면 절삭날 (4) 이 후퇴한 측의 코너부 (C) 는, 이 제 4 실시형태를 적용한 것이다. 단, 이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정면 절삭날 (4) 은 제 1, 제 2 실시형태 및 그 각 변형예와 동일하게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인서트 본체 (1) 의 길이 방향 (축선 (L) 방향) 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절삭날부 (2) 에 좌우의 방향성이 없 는, 이른바 사용하기 불편한 인서트이다.
즉, 본 제 4 실시형태에서는, 도 27 ∼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너날 (6) 이,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정면 절삭날 (4) 에 접점 (P) 에서 접하는 볼록 원호 등의 볼록 곡선 날 (6A) 과, 이 볼록 곡선 날 (6A) 에 접점 (Z) 에서 접함과 함께 횡 절삭날 (3) 과는 접점 (S) 에서 접하는 오목 원호 등의 오목 곡선 날 (6C) 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 4 실시형태에서는, 볼록 곡선 날 (6A) 은 1/4 원호를 초과하는 호의 길이로서, 코너날 (6) 에 접하는 접선이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되어 이 코너날 (6) 의 상기 폭 방향의 돌출 단이 되는 위치보다 후단측 또한 이 폭 방향 내측에까지 돌아 들어간다. 나아가서는, 도 28 에 사슬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평면에서 볼 때 횡 절삭날 (3) 에 평행하게 볼록 곡선 날 (6A) 에 접하는 접선과의 접점의 위치도 초과하여 돌아 들어와, 상기 접점 (Z) 에 도달한다.
그리고, 이 코너날 (6) 에 접하는 접선은, 정면 절삭날 (4) 과의 접점 P 로부터 이 접점 Z 까지는 도 28 에 있어서 좌선회하는 한편, 접점 Z 로부터 횡 절삭날 (3) 과의 접점 S 에 걸쳐서는 동 도면 28 에 있어서 우선회하게 되어, 이 접점 Z 가 변곡점 O 로 되고, 그 전후에서 상기 접선이 선회하는 방향이 연속적으로 변화된다. 또, 본 제 4 실시형태에서도, 코너날 (6) 은, 횡 절삭날 (3) 의 선단측으로의 연장선보다 상기 폭 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코너날 (6) 에 와이퍼날 (6B) 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코너날 (6) 이 변곡점 (O) 의 전후에서 각도를 갖고 교차하도록 하여, 이 변곡점 (O) 에서 오목 절곡되어 있어도 된다. 도 29 는, 이와 같은 경우의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즉, 코너날 (6) 은,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접점 (P) 에서 정면 절삭날 (4) 에 접하는 볼록 곡선 날 (6A) 로만 구성되어 있어, 이 볼록 곡선 날 (6A) 이 그 상태로 코너날 (6) 의 폭 방향의 돌출 단이나 횡 절삭날 (3)과 평행한 코너날 (6) 에 대한 접선과의 접점을 초과하여 들어와, 그대로 교점 (U) 에서 횡 절삭날 (3) 과 각도를 갖고 오목 절곡하도록 교차되어 있다.
본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코너날 (6) 에 접하는 접선은, 접점 P 로부터 교점 U 에 걸쳐서, 도 29 에 있어서 좌선회하면서 횡 절삭날 (3) 측을 향하고, 이 교점 U 에서 이 횡 절삭날 (3) 을 따른 방향으로 우선회하게 되기 때문에,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이 교점 U 이 변곡점 O 로 된다. 또한, 본 제 5 실시형태에서는, 볼록 곡선 날 (6A) 이 상기 돌출 단이나 횡 절삭날 (3) 과 평행한 코너날 (6) 에 대한 접선의 접점을 초과하여 들어온 위치로부터 횡 절삭날 (3) 에 이르는 부분을,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직선 형상의 날 (6E) 과 동일하게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직선 형상으로 연결해도 된다.
또한, 이들 제 4, 제 5 실시형태와 같이, 와이퍼날 (6B) 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제 3 실시형태와 같이 정면 절삭날 (4) 은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인서트 본체 (1) 의 길이 방향 (축선 (L) 방향) 에 대해 경사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서술한 사용하기 편리한 절삭 인서트로 되어 있어도 된다. 도 30 및 도 31 은, 이와 같은 경우의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제 4 ∼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코너날 (6) 이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이 코너날 (6) 에 접하는 접선이 선회하는 방향이 바뀌는 변곡점 (O) 을 갖고 있어, 횡 절삭날 (3) 의 선단측으로의 연장선보다 상기 폭 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피삭재 (W) 의 가공면 (V) 과 횡 절삭날 (3) 의 클리어런스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 폭 방향으로의 코너날 (6) 의 마모량에 대한 길이 방향의 마모 길이는, 그 증대율이 제 1 ∼ 제 3 실시형태보다 커지는 경우도 있지만, 와이퍼날 (6B) 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 길이 자체를 짧게 억제할 수 있고, 역시 절삭 저항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2A ∼ 도 32D 는, 각각 상기 서술한 제 2 실시형태의 제 4 ∼ 제 7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들 변형예는, 제 2 실시형태의 코너날 (6)에 있어서, 와이퍼날 (6B) 의 길이를 일정하게 하여, 횡 절삭날 (3) 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폭 방향으로 레이크면 (5) 의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직선 형상의 날 (6E) 이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축선 (L) 에 대해 이루는 경사각 (
Figure 112009052878755-PCT00001
) 을 변화시킨 것으로, 도 32A 에 나타내는 제 4 변형예는
Figure 112009052878755-PCT00002
=30°, 도 32B 에 나타내는 제 5 변형예는
Figure 112009052878755-PCT00003
=45°, 도 32C 에 나타내는 제 6 변형예는
Figure 112009052878755-PCT00004
=90°, 도 32D 에 나타내는 제 7 변형예는
Figure 112009052878755-PCT00005
=100°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변형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각 (
Figure 112009052878755-PCT00006
) 이 작아지면, 코너날 (6) 의 볼록 곡선 날 (6A) 로부터 직선 형상의 날 (6E) 까지의 상기 길이 방향에 따른 길이가 상기 폭 방향 내측을 향하여 길어지고, 코너날 (6) 이 마모됨에 따라 길이 방향의 마모 길이도 증대되게 되는 한편, 반대로 경사각 (
Figure 112009052878755-PCT00007
) 이 커서, 특히 90°를 크게웃돌면 이 볼록 곡선 날 (6A) 로부터 직선 형상의 날 (6E) 까지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폭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 짧아져, 코너날 (6) 주변에서의 인서트 본체 (1) 의 강도가 저해되어 결손이 잘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의 경사각 (
Figure 112009052878755-PCT00008
) 은 30 ∼ 100°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도 33A 및 도 33B 는, 직선 형상의 날 (6E) 이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제 5 변형예와 동등한 경사각
Figure 112009052878755-PCT00009
=45°로 상기 간격 (A) 을 변화시킨 제 8, 제 9 변형예를 나타내고, 도 34A 및 도 34B 는, 직선 형상의 날 (6E) 이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제 6 변형예와 동등한 경사각
Figure 112009052878755-PCT00010
=90°로 상기 간격 (A) 를 변화시킨 제 10, 제 11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특히 제 8, 제 10 변형예에서는 와이퍼날 (6B) 의 길이가 0 이 되도록 간격 (A) 가 설정되어, 즉 볼록 곡선 날 (6A) 과 직선 형상의 날 (6E) 이 교점 (R) 에서 직접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코너날 (6) 이 길이 방향 (축선 (L) 방향) 에 대해 경사진 직선 형상의 날 (6E) 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간격 (A) 이 지나치게 작으면 도 33A 및 도 34A 의 각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너날 (6) 자체가 짧아짐과 함께, 특히 상기 폭 방향의 돌출 단이 뾰족해져 결손이 발생하기기 쉬워진다. 그 한편으로, 이 간격 (A) 이 지나치게 크면, 예를 들어 도 3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너날 (6) 의 폭 방향으로의 마모량에 대한 길이 방향의 마모 길이의 증대가 작은 경우에도, 코너날 (6) 과 피삭재의 절대적인 접촉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역시 절삭 저항의 증대를 초래하는 결과가 된다. 이 때문에, 이 간격 (A)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레이크면 (5) 의 최대 폭 (B) 에 대해 10 ∼ 60 % 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또, 도 35A ∼ 도 35D 는, 코너날 (5) 에 와이퍼날 (6B) 이 형성되지 않고 볼록 곡선 날 (6A) 이 그 상태 그대로 코너날 (6) 의 폭 방향의 돌출 단이나 횡 절삭날 (3)과 평행하는 코너날 (6) 에 대한 접선과의 접점을 넘어 들어온 제 5 실시형태의 제 1 ∼ 제 4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들 변형예에서는 코너날 (6) 의 상기 돌출 단을 경계로 하여 볼록 곡선 날 (6A) 의 반경이 상이하게 되어 있고, 즉 도 35A ∼ 도 35C 에 나타내는 제 1 ∼ 제 3 변형예에서는 상기 돌출 단보다 선단측이 후단측보다 반경이 크고, 도 35D 에 나타내는 제 4 변형예에서는 이와는 반대로 상기 돌출 단보다 후단측이 선단측보다 큰 반경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중 도 35A ∼ 도 35C 에 나타내는 제 1 ∼ 제 3 변형예에서는, 이렇게 하여 들어온 볼록 곡선 날 (6A) 과 횡 절삭날 (3) 사이에, 볼록 곡선 날 (6A) 에 접점 (U) 에서 접함과 함께 횡 절삭날 (3) 과 변곡점 (O) 에서 각도를 갖고 오목 절곡하는 직선 형상의 절삭날 (6E) 이 형성되어 있고, 그 축선 (L) 에 대한 경사각
Figure 112009052878755-PCT00011
이 제 1 변형예에서는 45°로, 제 2 변형예에서는 60°로, 제 3 변형예에서는 90°로 설정되어 있다. 게다가 또한, 도 36A 및 도 36B 에 나타내는 제 5, 제 6 변형예는, 이 중 제 4, 제 2 변형예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볼록 곡선 날 (6A) 의 돌출 단에 축선 (L) 에 평행하는 와이퍼날 (6B) 이 형성된 것으로, 제 2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서의 이음날 (6D) 의 반경을 작게 한 변형예라고도 할 수 있다.
또, 도 37A 에 나타내는 것은, 도 33A 에 나타낸 변형예의 다른 변형예라고도 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로서, 볼록 곡선 날 (6A) 이 도 33A 에 나타낸 변형예보다 큰 반경을 갖는 1/4 원호 형상이 됨과 함께, 이 볼록 곡선 날 (6A) 에, 경사각
Figure 112009052878755-PCT00012
=45°의 직선 형상의 날 (6E) 이 직접 연속되어 있고, 와이퍼날 (6B) 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이들 제 1 내지 제 7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서는, 절삭날부 (2) 의 1 쌍의 코너부 (C) 각각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변곡점 (O) 을 갖는 코너날 (6) 을 형성하고 있으나, 이러한 코너날 (6) 은 이 코너부 (C) 에 형성되는 1 쌍의 코너 날 중 어느 일방만이어도 되고, 타방의 코너날은, 예를 들어 횡 절삭날 (3) 과 정면 절삭날 (4) 에 접하는 볼록 원호 등의 볼록 곡선 날로 구성해도 된다. 또, 코너날 (6) 의 정면 절삭날 (4) 로부터 이 코너날 (6) 에 접하는 접선이 상기 길이 방향을 향하여 폭 방향의 돌출 단에 이르기 직전까지의 부분은, 도 37B 에 나타내는 상기 제 7 실시형태의 변형예와 같이,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절삭날부 (2) 의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폭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축선 (L) 에 경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의 챔퍼날 (6F) 로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 1 ∼ 제 7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서는, 상기 코너날 (6) 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변곡점 (O) 을, 정면 절삭날 (4) 로부터 횡 절삭날 (3) 측을 향하여 이 코너날 (6) 에 접하는 접선이 상기 길이 방향을 향한 후 (즉, 코너날 (6) 의 상기 폭 방향의 돌출 단보다 절삭날부 (2) 의 후단측의 범위) 에, 1 점만 갖는 것으로 하였지만, 예를 들어 상기 클리어런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위치에서 코너날 (6) 에 미소한 볼록부나 단부 (段部) 가 형성되거나 하여, 복수의 변곡점이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또, 횡 절삭날 (6) 은,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백테이퍼가 부여된 직선 형상의 것 이외에, 동 평면에서 볼 때 축선 (L) 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어도 되고, 오목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피삭재 (W) 의 가공면 (V) 과 횡 절삭날 (3)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확보되기 때문에, 인서트 본체 (1) 를 그 길이 방향으로 송출하여 홈 형성이나 관통 가공을 실시할 때에는, 상기 횡 절삭날이 절삭에 관여하지 않고, 따라서 이 횡 절삭날 (3) 의 부분은 절삭 작용을 하지 않는 단순한 레이크면 (5) 의 변릉부로 되어 있어도 된다. 즉, 상기 각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의 절삭 인서트는, 축 형상을 이루는 인서트 본체 (1) 의 단부 (端部) 에, 이 인서트 본체 (1) 의 길이 방향 (축선 (L) 방향) 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면 절삭날 (4) 를 구비한 레이크면 (5) 을 갖는 절삭날부 (2) 가 형성되고, 상기 평면에서 볼 때, 정면 절삭날 (4) 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방의 단부에 위치하는 코너날 (6) 이, 이 코너날 (6) 에 접하는 접선이 정면 절삭날 (4) 로부터 이 코너날 (6) 을 따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선회한 후, 이 선회하는 방향을 변화시키는 변곡점 (O) 을 갖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뿐이어도 된다.
그런데, 이들 제 1 ∼ 제 7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의 절삭 인서트에서는, 이렇게 하여 코너날 (6) 이 상기 평면에서 볼 때 변곡점 (O) 을 갖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이 변곡점 (O) 에 연속되어 정면 절삭날 (4) 과는 반대측, 즉 절삭날부 (2) 의 후단측을 향하여 오목 절곡되면서 횡 절삭날 (3) 또는 레이크면 (2) 의 상기 변릉부에 이르는 날부가 코너날 (6) 에 형성되게 된다. 이 절삭날부는, 예를 들어 제 1, 제 3, 제 4, 제 6 실시형태나 그 변형예에 있어서의 오목 곡선 날 (6C), 또는 제 2, 제 7 실시형태나 그 변형예에 있어서의 직선 형상의 날 (6E), 혹은 제 5 실시형태나 그 변형예에 있어서 코너날 (6) 의 폭 방향의 돌출 단으로부터 절삭날부 (2) 의 후단측을 향하여 돌아 들어오는 부분의 볼록 곡선 날 (6A) 및 이것에 연결되는 직선 형상의 날 (6E) 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의 절삭 인서트에 의하면, 피삭재 (W) 에 대해 인서트 본체 (1) 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송출하고 정면 절삭날 (4) 이나 코너날 (6) 중 이 정면 절삭날 (4) 측의 부분에서 피삭재 (V) 를 절삭한 후, 이것과 연속하여, 인서트 본체 (1) 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후퇴시킬 때에, 상기 절삭날부를 이용하여 피삭재 (V) 를 더욱 절삭할 수 있다. 그래서, 다음으로, 도 36A 에 나타낸 제 5 실시형태의 제 5 변형예의 절삭 인서트를 예로 들어,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절삭 방법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8A ∼ 도 38F 는,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절삭 방법의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38A ∼ 도 38C 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선 (H) 둘레를 회전하는 피삭재 (W) 의 외주면에 인서트 본체 (1) 를 그 길이 방향으로 송출하여 정면 절삭날 (4) 및 코너날 (6) 의 정면 절삭날 (4) 측 을 향하는 부분에 의해 홈 형성 가공을 실시하고, 다음으로 도 38D 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렇게 하여 형성된 홈의 일방의 벽면 (도 38D 에서는 우측의 가공면 (V)) 측에 인서트 본체 (1) 를 예를 들어 상기 돌출량 (G) 의 범위 내에서 이동시켜 코너날 (6) 을 삽입하고, 또한 도 38E 및 도 38F 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상태 그대로 인서트 본체 (1) 를 길이 방향으로 후퇴시키고, 정면 절삭날 (4) 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코너날 (6) 의 상기 날부에 의해 레이크면 (5) 의 상기 최대 폭 (B) 보다 폭이 넓은 홈을 형성하고 있다.
그런데, 이 점, 상기 특허문헌 1 ∼ 4 에 기재된 절삭 인서트에서는, 코너 날이 정면 절삭날로부터 볼록 절곡된 상태로 변곡점을 갖지 않고 횡 절삭날에 접하거나, 혹은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인서트 본체를 일방의 홈 벽면 측으로 이동시켜 후퇴시키면서 절삭을 실시하고자 하여도 절삭 저항이 크고, 이로 인해 인서트 본체가 휘어져 홈 폭을 넒힐 수 없어, 일단 인서트 본체를 똑바로 꺼내 어긋나게 하고, 다시 길이 방향으로 송출하여 홈 폭을 넓히는 2 왕복 공정을 채용해야만 하나,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를 사용한 제 1 실시형태의 절삭 방법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폭이 넓은 홈을 1 회의 인서트 본체 (1) 의 왕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인서트 본체 (1) 가 이동하는 동안에 절삭에 관여하지 않는 공정이 발생하지 않아, 가공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도 39A ∼ 도 39F 는, 본 발명의 절삭 방법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피삭재 (W) 에 미리 형성된 폭이 넓은 홈의 내면을 마무리 가공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것이다. 즉, 본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39A 및 도 39B 에 화 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선 (H) 둘레에 회전되는 피삭재 (W) 에 형성된 홈의 일방의 벽면 (도 39A ∼ 도 39F 의 각 도면에 있어서 우측의 가공면 (V)) 을 따라 인서트 본체 (1) 를 길이 방향으로 송출함으로써, 그 일방의 벽면측의 코너날 (6) 에 의해 이 벽면을 마무리 절삭한다. 다음으로, 홈의 바닥면에 도달했다면 정면 절삭날 (4) 을 바닥면에 절삭해 넣으면서, 도 39C 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서트 본체 (1) 를 홈의 타방의 벽면 (도 39A ∼ 도 39F 의 각 도면에 있어서 좌측의 가공면 (V)) 측으로 이동시키고, 이 타방의 벽면측을 향하는 코너날 (6) 과 정면 절삭날 (4) 에 의해 그 바닥면을 마무리 절삭한다.
그리고, 도 39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코너날 (6) 이 타방의 벽면에 도달한 경우, 코너날 (6) 의 정면 절삭날 (4) 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상기 절삭날부를 이 타방의 벽면에 절삭해 넣으면서, 도 39E 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서트 본체 (1) 를 길이 방향으로 후퇴시키고, 도 39F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에서 꺼냄으로써, 이 홈의 내면 전체를 한 번의 인서트 본체 (1) 의 이동만으로 마무리 절삭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점에 대해서도, 상기 특허문헌 1 ∼ 4 에 기재된 절삭 인서트에서는,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인서트 본체를 후퇴시키면서 타방의 벽면의 마무리를 실시할 수 없기 때문에, 홈 바닥면의 마무리 절삭 도중에 일단 인서트 본체를 후퇴시키고, 다음으로 타방의 벽면을 따라 인서트 본체를 송출함으로써, 홈 내면 전체를 마무리 절삭하지 않으면 안되어, 이렇게 하여 도중에 인서트 본체를 후퇴시키는 동안에는 절삭이 실시되지 않는 공정이 되는 것을 피할 수 없지만, 본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와 같은 공정이 개재되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적인 마무리 절삭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이렇게 하여 마무리 절삭이 홈 바닥면의 절삭 도중에 2 회로 나뉘어지면, 처음과 끝의 홈 바닥면의 마무리 가공면끼리의 이음매에 단차나 줄무늬가 발생하여, 가공면의 정밀도나 품위를 저해시키게 되지만, 본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바닥면의 마무리 절삭이 1 회의 인서트 본체 (1) 의 이동으로 끝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단차나 줄무늬가 남는 일도 없다. 따라서, 본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와 같은 마무리 절삭에 있어서의 가공 정밀도나 가공면 품위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게 된다. 또, 이와 같은 홈 형성 가공을 실시하는 절삭 인서트로는, 레이크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절삭 인서트도 알려져 있지만, 그와 같은 인서트에서는 송출을 크게 하면 가공면에 역시 줄무늬가 발생하기 때문에, 본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가공 효율의 향상과 가공면의 정밀도나 품위의 향상을 양립시킬 수는 없다.
또한, 이들 제 1, 제 2 실시형태의 절삭 방법에서는, 피삭재 (W) 에 홈 형성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어 피삭재를 절단하는 절단 가공 등에 있어서도, 인서트 본체 (1) 를 피삭재의 회전 축선에 도달할 때까지 길이 방향으로 송출하여 피삭재를 절단하고, 다음으로 이 피삭재의 절단면측에 인서트 본체 (1) 를 이동시켜 그 절단면측의 코너날 (6) 을 절삭하여 넣고, 그 상태 그대로 길이 방향으로 인서트 본체 (1) 을 후퇴시킴으로써, 이 절단면의 마무리 절삭을 연속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너날의 마모에 의한 절삭 저항의 극단적인 증대를 억제하여 인서트 수명의 연장을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횡 절삭날이나 코너날의 횡 절삭날에 이르는 부분에서의 가공면과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하여 가공 정밀도나 가공 품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절삭 인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가공 효율을 저해시키지 않고, 가공 정밀도나 가공 품위가 높은 가공면을 형성할 수 있는 절삭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Claims (9)

  1. 축 형상을 이루는 인서트 본체의 단부 (端部) 에, 이 인서트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횡 절삭날과, 이들 횡 절삭날의 선단끼리 사이에 상기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면 절삭날을 구비한 사각형 형상의 레이크면을 갖는 절삭날부가 형성되고;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횡 절삭날 및 정면 절삭날이 교차하는 1 쌍의 코너날의 적어도 일방이, 이 코너날에 접하는 접선이 상기 정면 절삭날로부터 이 코너날을 따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선회한 후, 이 선회하는 방향을 변화시키는 변곡점을 갖고 상기 횡 절삭날에 연결되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횡 절삭날이 선단측을 향하여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1 쌍의 코너날의 적어도 일방이, 상기 횡 절삭날의 선단측으로의 연장선으로부터 돌출되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절삭 인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1 쌍의 코너날의 적어도 일방이, 상기 변곡점으로부터 상기 횡 절삭날측을 향하여 오목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절삭 인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1 쌍의 코너날의 적어도 일방이, 상기 변곡점에서 오목 절곡되어 있는 절삭 인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1 쌍의 코너날의 적어도 일방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퍼날을 갖는 절삭 인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정면 절삭날이, 상기 길이 방향에 경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절삭 인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정면 절삭날의 상기 길이 방향의 돌출 단으로부터 상기 변곡점까지의 상기 길이 방향의 간격이, 상기 레이크면의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최대 폭에 대해 10 ∼ 60 % 의 범위로 되어 있는 절삭 인서트.
  8. 축 형상을 이루는 인서트 본체의 단부 (端部) 에, 이 인서트 본체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면 절삭날을 구비한 레이크면을 갖는 절삭날부가 형성되고;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정면 절삭날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방의 단부에 위치하는 코너날이, 이 코너날에 접하는 접선이 상기 정면 절삭날로부터 이 코너날을 따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선회한 후, 이 선회하는 방향을 변화시키는 변곡점을 갖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9. 축 형상을 이루는 인서트 본체의 단부에, 이 인서트 본체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면 절삭날을 구비한 레이크면을 갖는 절삭날부가 형성되고;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정면 절삭날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방의 단부에 위치하는 코너날이, 이 코너날에 접하는 접선이 상기 정면 절삭날로부터 이 코너날을 따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선회한 후, 이 선회하는 방향을 변화시키는 변곡점을 갖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절삭 인서트에 의한 절삭 방법으로서,
    피삭재에 대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송출된 상기 인서트 본체를, 이 길이 방향으로 후퇴시킬 때에, 상기 코너날 중 상기 변곡점에 연결되어 상기 정면 절삭날측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날부에 의해, 상기 피삭재의 가공면을 절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에 의한 절삭 방법.
KR1020097017965A 2007-04-20 2008-04-18 절삭 인서트 및 절삭 방법 KR201000148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11638 2007-04-20
JPJP-P-2007-111638 2007-04-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870A true KR20100014870A (ko) 2010-02-11

Family

ID=39925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965A KR20100014870A (ko) 2007-04-20 2008-04-18 절삭 인서트 및 절삭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66355B2 (ko)
EP (1) EP2140959B1 (ko)
JP (1) JP5310547B2 (ko)
KR (1) KR20100014870A (ko)
CN (1) CN101663116B (ko)
WO (1) WO20081331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1202B (zh) 2009-03-05 2013-11-06 山高刀具公司 铣槽刀具和用于铣槽刀具的铣槽刀片
US8784014B2 (en) * 2009-10-29 2014-07-22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using the same
IL203014A (en) * 2009-12-29 2013-03-24 Iscar Ltd Cutting tool and cutting insert therefor
JP5526804B2 (ja) * 2010-01-22 2014-06-18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刃先交換式溝入れ工具及び周面溝入れ加工方法
JP5564958B2 (ja) * 2010-01-22 2014-08-06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刃先交換式溝入れ工具及び端面溝入れ加工方法
JP5589401B2 (ja) * 2010-01-22 2014-09-17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刃先交換式溝入れ工具及び端面溝入れ加工方法
JP5560748B2 (ja) * 2010-02-05 2014-07-30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刃先交換式溝入れ工具及び周面溝入れ加工方法
JP5678431B2 (ja) * 2010-02-05 2015-03-04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刃先交換式溝入れ工具及び周面溝入れ加工方法
KR101715976B1 (ko) * 2010-02-05 2017-03-14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칼날 교환식 홈형성 공구 및 단면 홈형성 가공 방법
JP5471539B2 (ja) * 2010-02-05 2014-04-16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刃先交換式溝入れ工具及び端面溝入れ加工方法
JP5471538B2 (ja) * 2010-02-05 2014-04-16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刃先交換式溝入れ工具及び端面溝入れ加工方法
JP5607451B2 (ja) * 2010-07-28 2014-10-15 株式会社谷テック 突切りバイト
EP3357610B1 (de) * 2010-08-04 2019-10-09 CeramTec GmbH Schneidkörper für schneidwerkzeug zum einstechen und stechdrehen
KR101498937B1 (ko) * 2010-12-25 2015-03-05 쿄세라 코포레이션 절삭 공구 및 그것을 사용한 절삭 가공물의 제조 방법
JP5695959B2 (ja) * 2011-04-15 2015-04-08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サイエンス 単結晶ダイヤモンド切削刃具の製造方法
CN102672215B (zh) * 2012-05-22 2014-10-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管口修边工具及其刀头
EP2902140B1 (en) * 2012-09-27 2021-07-28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JP6038594B2 (ja) * 2012-10-26 2016-12-07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突っ切り加工用工具
US9120239B2 (en) * 2013-02-21 2015-09-01 Iscar, Ltd. Cutting tool and cutting insert having insert key recesses for extracting and mounting therein
JPWO2015056496A1 (ja) 2013-10-18 2017-03-09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横送りを伴う外径加工用バイト用ホルダ及び横送りを伴う外径加工用切削工具
CN104742166A (zh) * 2014-07-23 2015-07-01 汤子仁 用于切割胶带母卷的数控车床
USD824438S1 (en) * 2015-12-29 2018-07-31 Korloy Inc. Grooving insert for a machine tool
JP6069566B1 (ja) * 2016-06-27 2017-02-01 シモダフランジ株式会社 ネジ加工用工具およびネジ加工方法
JP6825186B2 (ja) * 2016-11-07 2021-02-03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突っ切り加工用工具
CN106735358B (zh) * 2016-12-30 2019-03-15 石凤武 一种机夹切断刀及其加工方法
EP3417964B1 (en) * 2017-06-19 2022-02-23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Turning insert for metal cutting
EP3450064A1 (en) * 2017-08-30 2019-03-06 Tungaloy Corporation Cutting tool
EP3450063A1 (en) * 2017-08-30 2019-03-06 Tungaloy Corporation Cutting tool
CN111448021B (zh) * 2017-12-04 2023-07-11 伊斯卡有限公司 用于窄宽度的切断操作的高速进给的切断刀片
DE102018130788A1 (de) * 2018-12-04 2020-06-04 Hartmetall-Werkzeugfabrik Paul Horn Gmbh Schneidplatte und Werkzeug zur spanenden Bearbeitung eines Werkstücks
US10857603B2 (en) 2019-03-19 2020-12-08 Iscar, Ltd. Insert holder having transversely oriented insert receiving pocket with upper stopper surface, cutting tool and cutting insert
CN110253065B (zh) * 2019-06-06 2021-04-20 株洲钻石切削刀具股份有限公司 一种槽加工刀片及切削刀具
USD953395S1 (en) * 2020-05-15 2022-05-31 Korloy Inc. Grooving insert
US20230234143A1 (en) * 2020-05-21 2023-07-27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USD953396S1 (en) * 2021-04-29 2022-05-31 Korloy Inc. Grooving insert for machine tools for metalworking
US11806793B2 (en) 2021-11-03 2023-11-07 Iscar, Ltd. Cutting insert having laterally spaced apart, longitudinally extending wedge abutment surfaces, tool holder and cutting tool
US11766724B1 (en) 2022-03-16 2023-09-26 Iscar, Ltd. Cutting tool and tool holder having separate rear abutment and wedged rear stopper surface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204A (ja) 1985-07-29 1987-02-07 Sumitomo Electric Ind Ltd 平型電線
JPS6229204U (ko) * 1985-08-06 1987-02-21
SE452273B (sv) 1986-05-07 1987-11-23 Seco Tools Ab Sker for avstickning
DE4415425A1 (de) * 1994-05-03 1995-11-09 Krupp Widia Gmbh Spanendes Werkzeug
JPH0871806A (ja) 1994-09-08 1996-03-19 Mitsubishi Materials Corp 溝切り用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DE59504505D1 (de) 1994-09-12 1999-01-21 Widia Gmbh Stecheinsatz zur spanabhebenden bearbeitung von werkstücken
JPH1058205A (ja) 1996-08-26 1998-03-03 Ngk Spark Plug Co Ltd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3237057B2 (ja) 1996-10-07 2001-12-10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IL120422A0 (en) * 1997-03-11 1997-07-13 Iscar Ltd A cutting insert
JP3215368B2 (ja) 1997-08-29 2001-10-02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の製造方法及び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SE512094C2 (sv) 1998-05-22 2000-01-24 Sandvik Ab Skär för spårstickning
SE514872C2 (sv) * 1998-09-09 2001-05-07 Sandvik Ab Skär för spårsvarvning
US6742971B2 (en) * 2002-02-19 2004-06-01 Manchester Tool Company Cutting insert
AT6205U1 (de) * 2002-06-21 2003-06-25 Plansee Tizit Ag Schneideinsatz mit zwei gegenüberliegenden schneidköpfen
DE10245906A1 (de) 2002-10-01 2004-04-15 Sandvik Ab Schneidplattenbefestigungssystem
US7883300B1 (en) * 2002-10-18 2011-02-08 Kennametal Inc. Tool holder and metal cutting insert with chip breaking surfaces
IL154649A (en) * 2003-02-27 2007-10-31 Uzi Gati Cutting placement for diligent operations
JP4407503B2 (ja) * 2004-12-16 2010-02-03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のクランプ機構
JP2006272509A (ja) 2005-03-29 2006-10-12 Kyocera Corp 溝入れ加工用切削インサート及びそれを装着した溝入れ加工用切削工具
JP2007069290A (ja) 2005-09-06 2007-03-22 Mitsubishi Materials Corp 切削インサート及びインサート着脱式切削工具
EP1980348B1 (en) * 2007-03-30 2012-03-07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Cutting inse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66355B2 (en) 2013-02-05
JP5310547B2 (ja) 2013-10-09
CN101663116A (zh) 2010-03-03
WO2008133199A1 (ja) 2008-11-06
CN101663116B (zh) 2011-12-07
US20100119314A1 (en) 2010-05-13
JPWO2008133199A1 (ja) 2010-07-22
EP2140959A1 (en) 2010-01-06
EP2140959B1 (en) 2016-09-28
EP2140959A4 (en)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4870A (ko) 절삭 인서트 및 절삭 방법
US20100322726A1 (en) Drilling tool having point thinning
US6957935B2 (en) Cutting insert with curved cutting edge
JP4578577B2 (ja) 切削インサート、切削工具、およびそれらを用いる切削方法
KR100558249B1 (ko) 절삭 인서트
JP5087735B2 (ja) ドリル
US10717136B2 (en) Cutting insert
KR101463992B1 (ko) 절삭 인서트
US20100158626A1 (en) Drill and drilling method for workpiece
JP6470307B2 (ja) ドリル及びそ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JP6268809B2 (ja) ドリル
JPWO2014175396A1 (ja) ドリ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KR20120099787A (ko) 절삭 인서트와 절삭 공구 및 그들을 사용한 피삭재의 절삭 방법
CN108602130A (zh) 用于金属切削的面切槽刀具主体
CN107414114A (zh) 一种用于粗加工高温合金的双面可转位车削刀片
US20220347761A1 (en)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JP2017177285A (ja) 切削インサート
JPWO2018123937A1 (ja) ドリル及びそ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JP4969089B2 (ja) 溝入れ加工用切削インサート、溝入れ加工用切削工具および切削方法
KR920008792B1 (ko) 트위스트 드릴(Twist Drill)
JP2018176360A (ja) 回転切削式穴あけ工具
KR101964754B1 (ko) 인덱서블 드릴
CN108602132A (zh) 面切槽用的金属切槽刀片
JP4479521B2 (ja) 切削インサートのクランプ機構
KR102386050B1 (ko) 드릴 및 절삭 가공물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