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5154A - 티로신 키나제 모듈레이터로서의 트리아졸로피리다진 - Google Patents

티로신 키나제 모듈레이터로서의 트리아졸로피리다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5154A
KR20080085154A KR1020087016333A KR20087016333A KR20080085154A KR 20080085154 A KR20080085154 A KR 20080085154A KR 1020087016333 A KR1020087016333 A KR 1020087016333A KR 20087016333 A KR20087016333 A KR 20087016333A KR 20080085154 A KR20080085154 A KR 20080085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compound
mmol
met
triazol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6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2675B1 (ko
Inventor
티안바오 루
리차드 알렉산더
리차드 더블유. 코너스
맥스웰 디. 커밍스
로버트 에이. 갈레모
헤더 래 후프나젤
다나 엘. 존슨
이합 카릴
크리스티 에이. 레너드
토마스 피. 마코탄
안나 씨. 마로니
잔 엘. 세클러
제레미 엠. 트라빈스
로버트 더블유. 투먼
Original Assignee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964498&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8008515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filed Critical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80085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Pyridazines; Hydrogenated pyridazines
    • A61K31/5025Pyridazines; Hydrogenated pyridaz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system of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53/00 or C07D455/00

Abstract

본 발명은 R1, R5, R6, R7, R8, 및 A가 제 1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일반식 (I)의 트리아졸로피리다진 화합물, 단백질 티로신 키나제 모듈레이터, 특히 c-Met의 저해제로서의 이러한 화합물의 용도, 세포 또는 대상에 있어서의 c-Met의 키나제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억제시키고, c-Met 발현을 조절하는 이러한 화합물의 용도, 및 대상의 세포 증식 질환 및/또는 c-Met 관련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이러한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증상, 예컨대 암 및 다른 세포 증식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428
.

Description

티로신 키나제 모듈레이터로서의 트리아졸로피리다진 {TRIAZOLOPYRIDAZINES AS TYROSINE KINASE MODULATORS}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전체로서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는 2005년 12월 2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0/752,634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단백질 티로신 키나제 모듈레이터로서 작용하는 신규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c-Met의 저해제로서 작용하는 신규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c-Met를 포함하는 티로신 키나제의 저해제로서의 트리아졸로피리다진에 관한 것이다. 트리아졸로피리다진은 유용한 치료 특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US 5278161 및 US 2003181455에는 레닌 저해제로서의 트리아졸로피리다진이 보고되어 있으며; US 6355798에는 각각 GABA 저해제 및 GABAA 수용체 리간드로서의 트리아졸로피리다진이 보고되어 있고; WO 2005002590 및 US 2005096322에는 트리아졸로피리다진이 골량 증가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보고되어 있으며; US 2004192696에는 트리아졸로피리다진이 질환 또는 증상의 중증도를 치료하거나 경감시키는데 유용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학술 연구소는 이하에서 트리아졸로피리 다진을 이용한 실험에 대하여 보고하였다 [Science of Synthesis (2002), 12, 15-225, Heterocycles (2003), 61, 105-112, Heterocycles (2002), 57(11), 2045-2064, Journal of Heterocyclic Chemistry (1998), 35(6), 1281-1284, and Tetrahedron (1999), 55(1), 271-278].
US 4810705; DE 2222834 (대응하는 US 3823137); DE 2147013 (대응하는 US 3919200); DE 2113438; DE 2030581 (대응하는 US 3823137); DE 1670160 (US 3506656); DE 1545598 (대응하는 US 3483193); DE 2161587; DE 4309285; WO 2004021984; US 2004147568; JP 63199347; WO 1999037303; US 6297235; US 6444666; WO 2001034603; WO 2004017950; CA 2132489; WO 2004058769; US 2004192696; WO 2003074525; WO 2003032916; 일본 특허출원 제62-147775호; US 4260755; WO 2002012236; EP 464572; EP 404190; EP 156734; WO 2005002590; WO 2003074525; JP 63310891 및 El Massry, Abdel Moneim; Amer, Adel, "Synthesis of new s-triazolo[4,3-b]pyridazines," Heterocycles (1989), 29(10), 1907-14; Amer, Adel; El Massry, Abdel Moneim; Badawi, Mohamed; Abdel-Rahman, Mohamed, M.; El Sayed, Safaa A. F., "Synthetic reactions and structural studies of heterocycles containing nitrogen. Part 14. Dehydration of 2-(2-arylethyl)-2-hydroxy-4-oxopentanoic acids and their hydrazones to form heterocycles," Journal fuer Praktische Chemie/Chemiker-Zeitung (1997), 339(1), 20-25; Legraverend, Michel; Bisagni, Emile; Lhoste, Jean Marc, "Synthesis of s-triazolo[4,3-b]pyridazine C-nucleosides (1)," Journal of Heterocyclic Chemistry (1981), 18(5), 893-8; Albright, J. D.; Moran, D. B.; Wright, W. B., Jr.; Collins, J. B.; Beer, B.; Lippa, A. S.; Greenblatt, E. N., "Synthesis and anxiolytic activity of 6-(substituted-phenyl)-1,2,4-triazolo[4,3-b]pyridazines,"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1981), 24(5), 592-600; How, Pow-Yui; Parrick, John, "Thermal cyclization of pyridazinylhydrazones to give s-triazolo[4,3-b]pyridazines and pyridazino[2,3-a]benzimidazole," Journal of the Chemical Society, Perkin Transactions 1: Organic and Bio-Organic Chemistry (1972-1999) (1976), (13), 1363- 6; Lundina, I. B.; Frolova, N. N.; Postovskii, I. Ya.; Bedrin, A. V.; Vereshchagina, N. N., "Synthesis and study of the antitubercular activity of 2-(5-nitro-2-furyl)vinyl derivatives of pyridazine and s-triazolo[4,3-b]pyridazine," Khimiko-Farmatsevticheskii Zhurnal (1972), 6(4), 13-17; Sircar, Ha, "Synthesis of new 1,2,4- triazolo[4,3-b]pyridazines and related compounds," Journal of Heterocyclic Chemistry (1985), 22(4), 1045-8; Bratusek, Urska et al., " The synthesis of N- phthaloyl-azatryptophan derivatives," Acta Chimica Slovenica (1996), 43(2), 105-117; SaIa, Martin et al., "Synthesis of 3-(a- and b-D-arabinofuranosyl)-6-chloro-1,2,4-triazolo[4,3-b]pyridazine," Carbohydrate Research (2003), 338(20), 2057-2066; Cucek, Karmen et al., "Synthesis of novel [1,2,4]triazolo[4,3-b]pyridazines," ARKIVOC (Gainesville, FL, United States) [online computer file] (2001), (5), 79-86, URL: http://www.arkat- usa.org/ark/journal/Volume2/Part3/Tisler/MT-161/MT-161.pdf; Svete, Jurij et al., "A simple one pot synthesis of 1-(s-triazolo[4,3-x]azinyl-3)-substituted polyols," Journal of Heterocyclic Chemistry (1997), 34(4), 1115-1121; Kosary, Judit et al., "Preparation of new [1,2,4]triazolo[4,3-b]pyridazines. Part 12: Studies in the field of pyridazine compounds," Pharmazie (1983), 38(6), 369-71; Kosary, J. et al., "Studies in the field of pyridazine compounds. II. Derivatives of [1,2,4]triazolo[4,3-b]pyridazine-3-carboxylic acid," Acta Chimica Academiae Scientiarum Hungaricae (1980), 103(4), 405-13; Stanovnik, B. et al., "Product class 1: pyrazoles," Science of Synthesis (2002), 12, 15-225; Vranicar, Lidija et al., "Transformation of N-(5-acetyl-6-methyl-2-oxo-2H-pyran-3-yl)benzamide with hydrazines in the presence of an acidic catalyst, "Heterocycles (2003), 61, 105-112; Bratusek, Urska et al., " Synthesis and reactivity of (Z)-3-benzoylamino-4-dimethylamino-2-oxo-3- butene. Preparation of 1-aryl- and 1-heteroaryl-substituted 4-benzoylamino-5-rnethyl-1H-pyrazoles, "Heterocycles (2002), 57(11), 2045-2064; Bratusek, Urska et al., "Transformation of 4-[1-(dimethylamino)ethylidene]-2-phenyl-5(4H)-oxazolone into methyl 2-(benzoylamino)-3-oxobutanoate. The synthesis of 1-substituted 4-(benzoylamino)-3-methyl-5(2H)-pyrazolones, "Journal of Heterocyclic Chemistry (1998), 35(6), 1281-1284; Vranicar, Lidija et al., "2H-Pyran-2-ones as synthons for (E)-α,β-didehydroamino acid derivatives, "Tetrahedron (1999), 55(1), 271-278도 주목해야 한다.
단백질 키나제는 ATP로부터 단백질의 티로신, 세린 및/또는 트레오닌 잔기의 하이드록시기로의 말단 인산염의 이동을 촉진하는 신호 변환 경로의 효소 성분이다. 따라서, 단백질 키나제 기능을 억제하는 화합물은 단백질 키나제 활성화의 생리학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유익한 수단이다. 포유동물에 있어서의 정상 또는 변이 단백질 키나제의 과잉 발현 또는 부적절한 발현은 광범위한 연구의 주제가 되어 왔으며, 당뇨병, 혈관신생, 건선, 재협착, 안질환, 정신분열증, 류머티스성 관절염,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심장 혈관 질환 및 암을 포함한 다수의 질환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키나제 저해에 대한 강심제 이점도 조사되어 왔다. 요컨대, 단백질 키나제의 저해제는 인간 및 동물 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특히 유용성을 갖는다.
간세포 증식 인자 (HGF) (산란 인자로도 공지됨) 수용체, c-Met는 세포 증식, 형태 형성, 및 운동성을 조절하는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이다. c-Met 유전자는 14OkD β 막관통 서브유닛 및 50 kD 글리코실화 여분의 세포 α 서브유닛으로 구성되는 세포 표면 수용체로 처리되는 170 kD 단백질로 변역된다.
동일한 세포에 의한 c-Met에서의 돌연변이, c-Met 및/또는 HGF/SF의 과잉 발현, c-Met 및 HGF/SF의 발현, 및 과잉 발현 및/또는 이상한 c-Met 시그널링은 각종 인간 고형암에 존재하고, 혈관신생, 종양 증식, 침윤, 및 전이에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c-Met 활성화가 제어되지 않은 세포계는 예를 들면, 매우 침윤성 및 전이성 을 나타낸다. c-Met 수용체를 발현하는 정상 세포와 형질 전환 세포 사이의 현저한 차이는 종양 세포의 티로신 키나제 영역의 인산화가 종종 리간드의 존재에 무관하다는데 있다.
c-Met 돌연변이/변성은 종양 및 암 - 예를 들면, 유전성 및 산발성 인간 유두상 신세포암, 유방암, 결장직장암, 위암, 신경 교종, 난소암, 간세포암, 두경부 편평상피암, 고환암, 기저세포암, 간암, 육종, 악성 흉막 중피종, 흑색종, 다발성 골수종, 골육종, 췌장암, 전립선암, 활막 육종, 갑상선암, 비소세포폐암 (NSCLC) 및 소세포폐암, 방광 이행상피세포암, 고환암, 기저세포암, 간암 - 및 백혈병, 림프종, 및 골수종 - 예를 들면,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ALL), 급성 골수성 백혈병 (AML), 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 (APL),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CLL), 만성 골수성 백혈병 (CML), 만성 호중구성 백혈병 (CNL), 급성 미분화 백혈병 (AUL), 미분화 대세포 림프종 (ALCL), 전림프구성 백혈병 (PML), 연소형 골수단구성 백혈병 (JMML), 성인 T 세포 ALL, 3혈구계 골수이형성을 갖는 AML (AML/TMDS), 혼합 계통 백혈병 (MLL), 골수이형성 증후군 (MDSs), 골수증식성 질환 (MPD), 다발성 골수종, (MM), 골수성 육종, 비호지킨 림프종 및 호지킨병 (호지킨 림프종으로도 불리움)을 포함하여, 다수의 인간 질환으로 식별되어 있다.
문헌 [Maulik G, Shrikhande A, Kijima T, Ma PC, Morrison PT, Salgia R., Role of the hepatocyte growth factor receptor, c-Met, in oncogenesis and potential for therapeutic inhibition. Cytokine Growth Factor Rev. 2002 Feb;13(1):41-59, and cites therein: Bieche, M.H. Champeme and R. Lidereau, Infrequent mutations of the MET gene in sporadic breast tumours (letter). Int. J. Cancer 82 (1999), pp. 908-910; R.L. Camp, E.B. Rimm and D.L. Rimm, Met 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poor outcome in patients with axillary lymph node negative breast carcinoma. Cancer 86 (1999), pp. 2259-2265; L. Nakopoulou, H. Gakiopoulou, A. Keramopoulos et al., c-met tyrosine kinase receptor 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abnormal beta-catenin expression and favourable prognostic factors in invasive breast carcinoma. Histopathology 36 (2000), pp. 313-325; C. Liu, M. Park and M.S. Tsao, Over-expression of c-met proto-oncogene but not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or c-erbB-2 in primary human colorectal carcinomas. Oncogene. 7 (1992), pp. 181-185; K. Umeki, G. Shiota and H. Kawasaki , Clinical significance of c-met oncogene alterations in human colorectal cancer. Oncology 56 (1999), pp. 314-321; H. Kuniyasu, W. Yasui, Y. Kitadai et al., Frequent amplification of the c-met gene in scirrhous type stomach cancer. Biochem. Biophys. Res. Commun. 189 (1992), pp. 227-232; H. Kuniyasu, W. Yasui, H. Yokozaki et al., Aberrant expression of c-met mRNA in human gastric carcinomas. Int. J. Cancer 55 (1993), pp. 72-75; W.S. Park, R.R. Oh, Y.S. Kim et al., Absence of mutations in the kinase domain of the Met gene and frequent expression of Met and HGF/SF protein in primary gastric carcinomas. Apmis 108 (2000), pp. 195-200; J.H. Lee, S. U. Han, H. Cho etal., A novel germ line juxtamembrane Met mutation in human gastric cancer. Oncogene 19 (2000), pp. 4947-4953; T. Moriyama, H. Kataoka, H. Tsubouchi et al., Concomitant expression of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HGF activator and c-met genes in human glioma cells in vitro. FEBS Lett. 372 (1995), pp. 78-82; Y. W. Moon, RJ. Weil, S.D. Pack et al, Missense mutation of the MET gene detected in human glioma. Mod. Pathol. 13 (2000), pp. 973-977; M. Di Renzo, M. Olivero, T. Martone et al., Somatic mutations of the met oncogene are selected during metastatic spread of human HNSC carcinomas. Oncogene 19 (2000), pp. 1547-1555; K. Suzuki, N. Hayashi, Y. Yamada et al. , Expression of the c-met proto-oncogene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atology 20 (1994), pp. 1231-1236; W.S. Park, S.M. Dong, S. Y. Kim et al., Somatic mutations in the kinase domain of the Met/hepatocyte growth factor receptor gene in childhood hepatocellular carcinomas. Cancer Res. 59 (1999), pp. 307-310; L. Schmidt, K. Junker, G. Weirich et al., Two North American families with hereditary papillary renal carcinoma and identical novel mutations in the MET proto-oncogene. Cancer Res. 58 (1998), pp. 1719-1722; J. Fischer, G. Palmedo, R. von Knobloch et al., Duplication and over-expression of the mutant allele of the MET proto-oncogene in multiple hereditary papillary renal cell tumours. Oncogene. 17 (1998), pp. 733-739; Z. Zhuang, W.S. Park, S. Pack et al., Trisomy 7-harbouring non-random duplication of the mutant MET allele in hereditary papillary renal carcinomas. Nat Genet 20 (1998), pp. 66-69; M. Olivero, G. Valente, A. Bardelli et al, Novel mutation in the ATP-binding site of the MET oncogene tyrosine kinase in a HPRCC family. Int. J. Cancer 82 (1999), pp. 640-643; L. Schmidt, K. Junker, N. Nakaigawa etal, Novel mutations of the MET proto-oncogene in papillary renal carcinomas. Oncogene 18 (1999), pp. 2343-2350; M. Jucker, A. Gunther, G. Gradl et al., The Met/hepatocyte growth factor receptor (HGFR) gene is over-expressed in some cases of human leukemia and lymphoma. Leak. Res. 18 (1994), pp. 7-16; E. Tolnay, C. Kuhnen, T. Wiethege et al., Hepatocyte growth factor/scatter factor and its receptor c-Met are over-expressed and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microvessel density in malignant pleural mesothelioma. J. Cancer Res. CHn. Oncol. 124 (1998), pp. 291-296; J. Klominek, B. Baskin, Z. Liu et al., Hepatocyte growth factor/scatter factor stimulates chemotaxis and growth of malignant mesothelioma cells through c-met receptor. Int. J. Cancer 76 (1998), pp. 240-249; Thirkettle, P. Harvey, P. S. Hasleton et al., Immunoreactivity for cadherins, HGF/SF, met, and erbB-2 in pleural malignant mesotheliomas. Histopathology 36 (2000), pp. 522-528; P.G. Natali, M.R. Nicotra, M.F. Di Renzo et al., Expression of the c-Met/HGF receptor in human melanocyte neoplasms: demonstration of the relationship to malignant melanoma tumour progression. Br. J. Cancer 68 (1993), pp. 746-750; O. Hjertner, M.L. Torgersen, C. Seidel et al.,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induces interleukin-11 secretion from osteoblasts: a possible role for HGF in myeloma-associated osteolytic bone disease. Blood 94 (1999), pp. 3883-3888; C. Liu and M.S. Tsao , In vitro and in vivo express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alpha and tyrosine kinase receptors in human non-small-ceil lung carcinomas. Am. J. Pathol. 142 (1993), pp. 1155-1162; M. Olivero, M. Rizzo, R. Madeddu etal., Over-expression and activation of hepatocyte growth factor/scatter factor in human non-small-cell lung carcinomas. Br J. Cancer 74 (1996), pp. 1862-1868; E. Ichimura, A. Maeshima, T. Nakajima et aL, Expression of c-met/HGF receptor in human non-small cell lung carcinomas in vitro and in vivo and its prognostic significance. Jpn. J. Cancer Res. 87 (1996), pp. 1063-1069; Takanami, F. Tanana, T. Hashizume et aL, Hepatocyte growth factor and c-Met/hepatocyte growth factor receptor in pulmonary adenocarcinomas: an evaluation of their expression as prognostic markers. Oncology 53 (1996), pp. 392-397; J.M. Siegfried, L. A. Weissfeld, J D. Luketich et at.,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hepatocyte growth factor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Ann Thorac. Surg. 66 (1998), pp. 1915-1918; M. Tokunou, T. Niki, K. Eguchi et aL, c-MET expression in myofibroblasts: role in autocrine activation and prognostic significance in lung adenocarcinoma. Am J. Pathol. 158 (2001), pp. 1451-1463; R. Ferracini, M.F. Di Renzo, K. Scotland! et aL, The Met/HGF receptor is over-expressed in human osteosarcomas and is activated by either a paracrine or an autocrine circuit. Oncogene 10 (1995), pp. 739-749; M.F. Di Remio, M. Olivero, D. Katsaros etal, Over-expression of the Met/HGF receptor in ovarian cancer. Int. J. Cancer 58(1994), pp. 658-662; H.M. Sowter, A.N. Corps and S.K. Smith ,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in ovarian epithelial tumour fluids stimulates the migration of ovarian carcinoma cells. Int. J. Cancer 83 (1999), pp. 476-480; M. Ebert, M. Yokoyama, H. Friess et aL, Co-expression of the c-met proto-oncogene and hepatocyte growth factor in human pancreatic cancer. Cancer Res. 54 (1994), pp. 5775-5778; L.L. Pisters, P. Troncoso, H.E. Zhau etal., c-met proto-oncogene expression in benign and malignant human prostate tissues. J. Urol. 154 (.1995), pp. 293-298; P.A. Humphrey, X. Zhu, R. Zarnegar et aL, Hepatocyte growth factor and its receptor (c-MET) in prostatic carcinoma. Am J. Pathol. 147 (1995), pp. 386-396; K. Rygaard, T. Nakamura, M. Spang-Thomsen et aL, Expression of the proto-oncogenes c-met and c-kit and their ligands, hepatocyte growth factor/scatter factor and stem cell factor, in SCLC cell lines and xenografts. Br J. Cancer 61 (1993), pp. 37-46; Y. Oda, A. Sakamoto, T. Saito et aL, Expression of hepatocyte growth factor (HGF)/scatter factor and its receptor c-MET correlates with poor prognosis in synovial sarcoma. Hum. Pathol. 31 (2000), pp. 185-192; M.F. Di Renzo, M. Olivero, G. Serini et aL, Over-expression of the c-MET/HGF receptor in human thyroid carcinomas derived from the follicular epithelium. J. Endocrinol. Invest 18 (1995), pp. 134-139; K. Gohji, M. Nomi, Y. Niitani et al., Independent prognostic value of serum hepatocyte growth factor in bladder cancer. J. Clin. Oncol. 18 (2000), pp. 2963-2971]을 참조한다.
각종 인간암의 병인에 있어서의 이상 HGF/SF-Met 시그널링의 역할 때문에, c-Met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의 저해제는 c-Met가 과잉 발현되지 않거나, 아니면 변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Met 활성이 침윤성/전이성 표현형에 기여하는 암의 치료에 있어서 광범위한 용도를 갖는다. c-Met의 저해제는 또한 혈관신생을 억제하므로, 새로운 혈관계의 형성과 관련된 질환, 예컨대 류머티스성 관절염, 망막증의 치료에 있어서 유용성을 갖는 것으로 여겨진다. 문헌 [Michieli P, Mazzone M, Basilico C, Cavassa S, Sottile A, Naldini L, Comoglio PM. Targeting the tumor and its microenvironment by a dual-function decoy Met receptor. Cancer Cell. 2004 Jul;6(1):61-73]을 참조한다.
c-Met의 과잉 발현은 특정한 질환, 예를 들면, 유방암, 비소세포폐암, 췌장 내분비 종양, 전립선암, 식도 선암, 결장직장암, 타액선암, 미만성 대세포형 B 세포 림프종 및 자궁내막암의 예후에 대한 잠재적으로 유용한 예측 인자인 것으로도 여겨진다.
문헌 [Herrera LJ, El-Hefnawy T, Queiroz de Oliveira PE, Raja S, Finkelstein S, Gooding W, Luketich JD, Godfrey TE, Hughes SJ., The HGF Receptor c-Met Is Overexpressed in Esophageal Adenocarcinoma. Neoplasia. 2005 Jan;7(1):75-84; Zeng Z, Weiser MR, D'Alessio M, Grace A, Shia J, Paty PB., Immunoblot analysis of c-Met expression in human colorectal, cancer: over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advanced stage cancer. Clin Exp Metastasis. 2004;21(5):409-17; He Y, Peng Z, Pan X, Wang H, Ouyang Y. [Expression and correlation of c-Met and estrogen receptor in endometrial carcinomas] Sichuan Da Xue Xue Bao Yi Xue Ban. 2003 Jan;34(1):78-9, 88 (English Abstract Only); Tsukinoki K, Yasuda M, Mori Y, Asano S, Naito H, Ota Y, Osamura RY, Watanabe Y. Hepatocyte growth factor and c-Met immunoreactivity are associated with metastasis in high grade salivary gland carcinoma. Oncol Rep. 2004 Nov; 12(5): 1017-21; Kawano R, Ohshima K, Karube K, Yamaguchi T, Kohno S, Suzumiya J, Kikuchi M, Tamura K. Prognostic significance of hepatocyte growth factor and c-MET expression in patients with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Br J Haematol. 2004 Nov;127(3):305-7; Lengyel E, Prechtel D, Resau JH, Gauger K, WeIk A, Lindemann K, Salanti G, Richter T, Knudsen B, Vande Woude GF, Harbeck N. C-Met overexpression in node-positive breast cancer identifies patients with poor clinical outcome independent of Her2/neu. Int J Cancer. 2005 Feb 10;113(4):678-82; Hansel DE, Rahman A, House M, Ashfaq R, Berg K, Yeo CJ, Maitra A. Met proto-oncogene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 3 overexpression correlates with metastatic ability in well-differentiated pancreatic endocrine neoplasms. Clin Cancer Res. 2004 Sep 15;10(18 Pt 1):6152-8; Knudsen BS, Edlund M. Prostate cancer and the met hepatocyte growth factor receptor. Adv Cancer Res. 2004;91 :31-67; D Masuya, C Huang, D Liu, T Nakashima, et al., The tumour-stromal interaction between intratumoral c-Met and stromal hepatocyte growth factor associated with tumour growth and prognosis in non-small-cell lung cancer patients. British Journal of Cancer. 2004; 90: 1552-1562; Ernst Lengyel, Dieter Prechtel, James H. Resau, Katja Gauger, et al. C-Met overexpression in node-positive breast cancer identifies patients with poor clinical outcome independent of Her2/neu. Int. J. Cancer 2005; 113: 678-682]을 참조한다.
인간 종양에 있어서의 이상 Met 시그널링을 감소시키도록 다양한 전략이 고안되었다. 이들 전략 중의 일부는 HGF 길항제 및 소분자 저해제의 사용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현재 다수의 HGF/SF 길항제 또는 저해제, 예컨대 애보트 (Abbott; ABT-510), 엔트레메드 (EntreMed; 안지오스타틴), 코산 바이오사이언스 (Kosan Biosciences; 17-AAG), 암겐 (Amgen; AMG-102), 엑셀릭시스 (Exelixis; XL-880 및 XL-184), 파이저 (Pfizer; PNU-145156E), 및 아큘 (ArQule; ARQ 197)가 임상 개발 중에 있다.
본 발명은 단백질 티로신 키나제 모듈레이터, 특히 c-Met의 저해제로서의 신규한 트리아졸로피리다진 (일반식 I의 화합물), 및 세포 또는 대상에 있어서의 c-Met의 키나제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억제시키기 위한 이러한 화합물의 용도, 및 대상에 있어서의 세포 증식 질환 및/또는 c-Met 관련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이러한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반식 I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예시한다. 본 발명은 모든 일반식 I의 화합물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혼합하여 제조된 약제학적 조성물도 예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하기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의 ㅂ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누드 마우스의 U87MG 교아세포종에 있어서의 종양 증식 저해율 (TGI)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 (실시예 화합물 번호 1)의 경구 투여 효과를 나타낸다. 모든 처리를 입증된 피하 U87MG 종양을 갖는 마우스에서 1일째에 개시하였다. 종양 증식을 연구 조사에 있어서 각 그룹에 관해, 시간 (일수)에 대한 평균 종양 체적 (mm3)으로서 플롯한다. 21일간의 연구 조사 종료시에, 최종 TGI%를 비히클 처리된 마우스와 약물 처리된 마우스의 평균 종양 체적 사이의 차이로부터 계산하여, 비히클 처리된 대조군의 평균 종양 체적의 비율로서 나타내었다 (*=p<0.05, **=p<0.01, ***=p<0.001).
도 2는 누드 마우스의 U87MG 교아세포종에 있어서의 종양 증식 저해율 (TGI)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 (실시예 화합물 번호 61)의 경구 투여 효과를 나타낸다. 모든 처리를 입증된 피하 U87MG 종양을 갖는 마우스에서 1일째에 개시하였다. 종양 증식을 연구 조사에 있어서 각 그룹에 관해, 시간 (일수)에 대한 평균 종양 체적 (mm3)으로서 플롯한다. 12일간의 연구 조사 종료시에, 최종 TGI%를 비히클 처리된 마우스와 약물 처리된 마우스의 평균 종양 체적 사이의 차이로부터 계산하여, 비히클 처리된 대조군의 평균 종양 체적의 비율로서 나타내었다 (*=p<0.05, **=p<0.01, ***=p<0.001).
도 3은 누드 마우스의 U87MG 교아세포종에 있어서의 종양 증식 저해율 (TGI)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 (실시예 화합물 번호 61)의 경구 투여 효과를 나타낸다. 모든 처리를 입증된 피하 U87MG 종양을 갖는 마우스에서 1일째에 개시하였다. 12일간의 연구 조사 종료시에, 최종 TGI%를 비히클 처리된 마우스와 약물 처리된 마우스의 평균 종양 체적 사이의 차이로부터 계산하여, 비히클 처리된 대조군의 평균 종양 체적의 비율로서 나타내었다 (*=p<0.05, **=p<0.01, ***=p<0.001).
도 4는 S114 종양 증식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 (실시예 화합물 번호 61)의 경구 투여 효과를 나타낸다. 암컷 무흉선 누드 마우스의 대퇴부의 좌서혜부에, 0.1 mL의 전달 체적 중의 5 × 106개의 S114 세포를 피하로 접종하였다. 종양을 5일간 증식시켰다. 마우스에게 20% HPBCD 중의 100 mg/kg 화합물 또는 비히클 (20% HPBCD, 대조군)로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를 4일간 연속하였다. 연구 조사 종료시에, 종양을 즉시 손상되지 않게 절개하여, 중량을 재어, 최종 종양 습윤 중량 (그램)을 일차 효능 엔드포인트로서 제공한다.
정의
본 명세서에 사용된 하기 용어는 하기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의도된다 (추가의 정의는 본 명세서를 통해 필요에 따라 주어진다):
단독으로 사용되든지 치환기의 일부로서 사용되든지 간에, 용어 "알케닐," 예를 들면, "C1 - 4알케닐(아릴)"은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분지상 또는 직쇄상 1가 탄화수소 라디칼을 말하며, 이중 결합은 친 (parent) 알킬 분자의 2개의 인접하는 각각의 탄소 원자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유도되고, 라디칼은 단 하나의 탄소 원자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유도된다. 원자는 시스 (Z) 또는 트랜스 (E) 형태로 이중 결합에 대하여 배향될 수 있다. 전형적인 알케닐 라디칼은 에테닐, 프로페닐, 알릴 (2-프로페닐), 부테닐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로는 C2 - 8알케닐기 또는 C2 - 4알케닐기를 들 수 있다.
용어 "Ca -b" (여기서, a 및 b는 탄소 원자의 지정된 수를 나타내는 정수이다)는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또는 사이클로알킬 라디칼, 또는 알킬이 α 내지 b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접두사 어근으로서 나타나는 라디칼의 알킬 부분을 말한다. 예를 들면, C1 -4는 1개, 2개, 3개 또는 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라디칼을 나타낸다.
단독으로 사용되든지 치환기의 일부로서 사용되든지 간에, 용어 "알킬"은 포 화 분지상 또는 직쇄상 1가 탄화수소 라디칼을 말하며, 라디칼은 단 하나의 탄소 원자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유도된다. 구체적으로 지적하지 않으면 (예를 들면, 제한 용어, 예컨대 "말단 탄소 원자"의 사용에 의해), 치환기 변수는 탄소 쇄 원자에 놓여질 수 있다. 전형적인 알킬 라디칼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로는 C1 - 8알킬기, C1 - 6알킬기 및 C1 - 4알킬기를 들 수 있다.
용어 "알킬아미노"는 알킬아민, 예컨대 부틸아민의 질소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된 라디칼을 말하며, 용어 "디알킬아미노"는 이차 아민, 예컨대 디부틸아민의 질소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되는 라디칼을 말한다. 어느 경우에도,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결합점이 질소 원자인 것으로 예기된다.
용어 "알키닐"은 단독으로 사용되든지 치환기의 일부로서 사용되든지 간에,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갖는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분지상 또는 직쇄상 1가 탄화수소 라디칼을 말하며, 삼중 결합은 친 알킬 분자의 2개의 각각의 인접하는 탄소 원자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유도되고, 라디칼은 단하나의 탄소 원자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유도된다. 전형적인 알키닐 라디칼은 에티닐, 프로피닐, 부티닐 등을 들 수 있다. 예로는 C2 - 8알키닐기 또는 C2-4알키닐기를 들 수 있다.
용어 "알콕시"는 친 (parent) 알칸, 알켄 또는 알킨 상의 하이드록사이드 산 소 치환기로부터 수소 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유도되는 포화 또는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분지상 또는 직쇄상 1가 탄화수소 알콜 라디칼을 말한다. 특정한 포화도가 의도되는 경우에는, 용어 "알콕시", "알케닐옥시" 및 "알키닐옥시"는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의 정의와 일치되게 사용된다. 예로는 C1 - 8알콕시기 또는 C1 - 4알콕시기를 들수 있다.
용어 "방향족"은 불포화, 컨쥬게이트된 π 전자계를 갖는 환상 탄화수소 환계를 말한다.
용어 "벤조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은 환 중 하나가 벤젠이고 다른 하나가 헤테로사이클릴환인 이환식 융합환계 라디칼을 말한다. 전형적인 벤조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 라디칼은 1,3-벤조디옥솔릴 (1,3-메틸렌디옥시페닐로도 알려짐), 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시닐 (1,4-에틸렌디옥시페닐로도 알려짐), 벤조-디하이드로-푸릴, 벤조-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벤조-디하이드로-티에닐 등을 포함한다.
용어 "사이클로알킬"은 단 하나의 환 탄소 원자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유도되는 포화 또는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단환식 또는 이환식 탄화수소환 라디칼을 말한다. 전형적인 사이클로알킬 라디칼은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펜테닐,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헥세닐, 사이클로헵틸 및 사이클로옥틸을 포함한다. 추가의 예로는 C3 - 8사이클로알킬, C5 - 8사이클로알킬, C3 - 12사이클로알킬, C3 - 20사이클로알킬, 데카하이드로나프탈레닐, 및 2,3,4,5,6,7-헥사하이드로-1H-인데닐을 들 수 있다.
용어 "융합환계"는 2개의 인접하는 원자가 2개의 각각의 환상 부분에 존재하는 이환식 분자를 말한다. 헤테로원자는 임의로 존재할수 있다. 예로는 벤조티아졸, 1,3-벤조디옥솔 및 데카하이드로나프탈렌을 들 수 있다.
환계에 대한 접두어로서 사용되는 용어 "헤테로"는 적어도 하나의 환 탄소 원자가 N, S, O 또는 P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자로 치환되는 것을 말한다. 예로는 1, 2, 3 또는 4개의 환 멤버가 질소 원자이거나; 0, 1, 2 또는 3개의 환 멤버가 질소 원자이고, 1개의 환 멤버가 산소 또는 황 원자인 환을 들 수 있다
용어 "헤테로아릴"은 헤테로 방향족환계의 환 탄소 원자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유도되는 라디칼을 말한다. 전형적인 헤테로아릴 라디칼은 푸릴, 티에닐, 피롤릴, 옥사졸릴, 티아졸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이속사졸릴, 이소티아졸릴, 옥사디아졸릴, 트리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피리디닐,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인돌리지닐, 인돌릴, 이소인돌릴, 벤조[b]푸릴, 벤조[b]티에닐, 인다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즈티아졸릴, 푸리닐, 4H-퀴놀리지닐,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신놀리닐, 프탈지닐,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1,8-나프티리디닐, 프테리디닐 등을 포함한다.
용어 "헤테로사이클릴"은 단 하나의 탄소 또는 질소 환 원자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유도되는 포화 또는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단환식 환 라디칼을 말한다. 전형적인 헤테로사이클릴 라디칼은 2H-피롤, 2-피롤리닐 또는 3-피 롤리닐), 피롤리디닐, 1,3-디옥솔라닐, 2-이미다졸리닐 (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릴로도 명명됨), 이미다졸리디닐, 2-피라졸리닐, 피라졸리디닐, 테트라졸릴, 피페리디닐, 1,4-디옥사닐, 모르폴리닐, 1,4-디티아닐, 티오모르폴리닐, 피페라지닐, 아제파닐, 헥사하이드로-1,4-디아제피닐 등을 포함한다.
용어 "치환된"은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하나 이상의 작용기 부분으로 치환된 코어 분자를 말한다. 치환반응은 코어 분자에 한정되지 않으나, 치환기 라디칼에서 일어날 수도 있으며, 치환기 라디칼은 연결기가 된다.
용어 "독립적으로 선택된"은 치환기의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말하며, 치환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시에 사용된 치환기 명명법은 실질적으로 하기에서와 같이, 먼저 결합점을 갖는 원자를 표시한 다음에, 말단쇄 원자를 향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연결기 원자를 표시함으로써 유도되거나:
(C1 -6)알킬C(O)NH(C1-6)알킬(Ph),
실질적으로 하기에서와 같이, 먼저 말단쇄 원자를 표시한 다음에, 결합점을 갖는 원자를 향해 연결기 원자를 표시함으로써 유도되었으며:
Ph(C1 -6)알킬아미도(C1-6)알킬,
어느 쪽이든 하기 일반식의 라디칼을 말한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01
.
치환기로부터 환계로 인입된 라인은 결합이 모든 적절한 환 원자에 결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변수 (예를 들면, R4)가 일반식 I의 실시형태에서 1회 이상 발생하는 경우, 각 정의는 독립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용어 "포함하는" 및 "함유하는"은 본 명세서에서 개방되고, 제한되지 않은 의미로 사용된다.
명명법
별도의 표시가 없는 한, 화합물명은 표준 IUPAC 명명법 참고문헌, 예컨대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Sections A, B, C, D, E, F and H, (Pergamon Press, Oxford, 1979, Copyright 1979 IUPAC) and A Guide to IUPAC Nomenclature of Organic Compounds (Recommendations 1993),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1993, Copyright 1993 IUPAC)이나, 시판되는 소프트웨어 패키지, 예컨대 Autonom (CambridgeSoft.com에 의해 시판되는 ChemDraw Ultra® 오피스 스위트에 제공되는 명명법 소프트웨어 (Nomenclature software)의 브랜드) 및 ACD/Index NameTM (Advanced Chemistry Development, Inc. (Toronto, Ontario)에 의해 시판되는 시판용 (commercial) 명명법 소프트웨어의 브랜드)에 의해 당업자에게 공지된 명명 규칙을 이용하여 유도되었다. 특정한 복소환, 예컨대 피리딘 및 퀴놀린의 라디칼 형태가 상이한 라디칼을 언급하지 않고도 상이한 관례에 따라 명명될 수 있음 을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피리딜 또는 피리디닐은 피리딘의 라디칼을 말하고, 퀴놀릴 또는 퀴놀릴은 퀴놀린의 라다칼을 말한다.
약어
본 명세서에 사용된 하기 약어는 하기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의도된다 (추가의 약어는 본 명세서를 통해 필요에 따라 주어진다):
1H NMR: 양성자 핵자기 공명
AcOH: 아세트산
aq: 수성
CD3OD: 중수소화 메탄올
CDCl3: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CH2Cl2: 염화메틸렌
CH3CN: 아세토니트릴
Cs2CO3: 탄산세슘
DAST: (디메틸아미노)황 트리플루오라이드
DCM: 디클로로메탄
DIEA: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DMAP: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DMSO: 디메틸술폭사이드
EDC: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ESI-MS: 일렉트로스프레이 이온화 질량 분석
Et2O: 디에틸에테르
Et3N: 트리에틸아민
EtOAc: 아세트산에틸
EtOAc 아세트산에틸
EtOH: 에탄올
g: 그램
h: 시간
H2O: 물
HATU: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0-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Cl: 염산
Hex: 헥산
HOBT: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수화물
HPLC: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K2CO3: 탄산칼륨
KOtBu: 포타슘 tert-부톡사이드
LCM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광광도법
MeOH: 메탄올
mg: 밀리그램
MgSO4: 황산마그네슘
min: 분
mL: 밀리리터
mmol: 밀리몰
mol: 몰
MW: 분자량
Na2CO3: 탄산나트륨
Na2SO4: 아황산나트륨
NaHCO3: 탄산수소나트륨
NaOH: 수산화나트륨
NaOH: 수산화나트륨
NaOH: 수산화나트륨
NBS: n-브로모숙신이미드
NH4Cl: 염화암모늄
Pd(PPh3)4: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O)
Peppsi-iPr: 피리딘으로 촉진된 전촉매 제조, 안정화 및 개시 (Sigma-Aldrich의 상표)
ppt: 침전물
RP-HPLC: 역상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rt: 실온
SiO2: 이산화규소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HF: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LC: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 마이크로리터
일반식 I
본 발명은 일반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N-옥사이드, 프로드럭,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및 입체화학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02
상기식에서,
R1은 단환식 또는 이환식 헤테로아릴 (바람직하게는 피리딜, 티오페닐, 티아졸릴, 피라졸릴, 푸라닐, 이미다졸릴, 옥사졸릴, 피롤릴, 인돌릴, 이소티아졸릴, 트리아졸릴, 벤조티오페닐, 벤조티아졸릴, 벤조이미다졸릴, 벤족사졸릴, 퀴놀릴, 벤조푸라닐, 퀴나졸리닐, 또는 퀴녹살리닐), 또는 피리딘-2-온-일 (바람직하게는 피리딘-2-온-5-일)이고, 헤테로아릴은 1, 2 또는 3개의 Ra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며;
Ra는 -NH2,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F, Cl 또는 Br), 알콕시 (바람직하게는 C1 -6 알콕시), 알킬에테르 (바람직하게는 -C(1-6)알킬-O-C(1-6)알킬), 알킬티오 (바람직하게는 C1 - 6알킬티오), 알킬술포닐 (바람직하게는 C1 - 6알킬술포닐), 페닐술포닐, 헤테로아릴술포닐 (여기서, 헤테로아릴술포닐의 헤테로아릴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피리딜, 티오페닐, 티아졸릴, 피라졸릴, 푸라닐, 이미다졸릴, 옥사졸릴, 피롤릴, 인돌릴, 이소티아졸릴, 트리아졸릴, 벤조티오페닐, 벤조티아졸릴, 벤조이미다졸릴, 벤족사졸릴, 퀴놀릴, 벤조푸라닐, 퀴나졸리닐 또는 퀴녹살리닐이다), 헤테로사이클릴술포닐 (여기서, 헤테로사이클릴술포닐의 헤테로사이클릴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피롤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푸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페닐, 이미다졸리디닐, 티아졸리디닐, 옥사졸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라닐, 피페리디닐, 티오모르폴리닐, 티오모르폴리닐 1,1-디옥사이드, 모르폴리닐, 또는 피페라지 닐이다),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바람직하게는 C1 - 6알킬술폰아미드), 알킬 (바람직하게는 C1 - 6알킬), 아미노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아민), 알킬아미노 (바람직하게는 C1 - 6알킬아미노), 페닐, 헤테로아릴 (바람직하게는 피리딜, 티오페닐, 티아졸릴, 피라졸릴, 푸라닐, 이미다졸릴, 옥사졸릴, 피롤릴, 인돌릴, 이소티아졸릴, 트리아졸릴, 벤조티오페닐, 벤조티아졸릴, 벤조이미다졸릴, 벤족사졸릴, 퀴놀릴, 벤조푸라닐, 퀴나졸리닐, 또는 퀴녹살리닐), 시아노, 알케닐 (바람직하게는 C1 - 6알케닐), 알키닐 (바람직하게는 C1 - 6알키닐), 사이클로알킬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또는 사이클로헵틸), 헤테로사이클릴 (바람직하게는 피롤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푸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페닐, 이미다졸리디닐, 티아졸리디닐, 옥사졸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라닐, 피페리디닐, 티오모르폴리닐, 티오모르폴리닐 1,1-디옥사이드, 모르폴리닐, 또는 피페라지닐), -CO2-알킬 (바람직하게는 -CO2-CH2CH3), -C(O)-Rb, -C(1-4)알킬-모르폴리닐, -C(1-4)알킬-피페리디닐, -C(1-4)알킬-피페라지닐, -C(1-4)알킬-N'-메틸피페라지닐, -C(1-4)알킬-Rb, -C(O)NH-C(1-4)알킬-Rb, 또는 -C(O)NRcRd이고;
Rb는 헤테로사이클릴 (바람직하게는 피롤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푸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페닐, 이미다졸리디닐, 티아졸리디닐, 옥사졸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라닐, 피페리디닐, 티오모르폴리닐, 티오모르폴 리닐 1,1-디옥사이드, 모르폴리닐, 또는 피페라지닐), 알킬술포닐 (바람직하게는 C1-6알킬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바람직하게는 C1 - 6알킬술폰아미드), -OH, -O알킬 (바람직하게는 -OC1 - 6알킬), -NH2, -NH알킬 (바람직하게는 -NHC1 - 6알킬), 또는 -N(알킬)2 (바람직하게는 -N(C1 - 6알킬)2)이며;
Rc 및 Rd는 H, 페닐, 헤테로아릴, 또는 C1 - 6알킬 (여기서, C1 - 6알킬은 -N(CH3)2,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N-메틸피페라지닐, 알킬술포닐 (바람직하게는 C1 - 6알킬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바람직하게는 C1 - 6알킬술폰아미드), 하이드록실, 및 알콕시 중에서 선택되는 1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c 및 Rd는 함께 임의로 O, NH, N(알킬), SO, SO2, 또는 S 중에서 선택되는 제 2 헤테로 부분을 포함하는 5원 내지 7원 복소환을 형성할 수 있고 (Rc-Rd 복소환은 바람직하게는 하기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03
;
Rc-Rd 복소환은 알킬 (바람직하게는 -C(1-6)알킬), -SO2알킬 (바람직하게는 -SO2C(1-6)알킬), 또는 -C(O)알킬 (바람직하게는 -C(O)C(1-6)알킬)로 임의로 치환되며;
A는 페닐, 단환식 또는 이환식 헤테로아릴 (바람직하게는 피리딜, 벤조옥사졸릴, 벤조티아졸릴, 퀴놀리닐, 퀴놀린-6-일-N-옥사이드,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티오페닐, 벤조푸라닐, 또는 [1,2,4]트리아졸로[1,5-α]피리디닐), 퀴나졸린-4-온-일 (바람직하게는 퀴나졸린-4-온-6-일, 또는 3-(4-메톡시-벤질)-3H-퀴나졸린-4-온-6-일), 및 벤조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 (바람직하게는 벤조[1,3]디옥솔릴, 또는 2,3-디하이드로-벤조푸라닐)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환이고; 페닐, 헤테로아릴, 또는 벤조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은 -OH, 알킬, 페닐, 헤테로아릴, 알콕시, -CN, 할로겐, 니트로, -NH2, -N(CH3)2, -NHC(O)NHC1- 6알킬, 및 -NHC(O)C1- 6알킬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며;
R5 및 R6는 H, F, C1 - 6알킬, -OH, -OC1 - 6알킬, -NHC1 - 6알킬, 또는 -N(C1 - 6알킬)2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5 및 R6는 함께 C3 - 5사이클로알킬환, 아지리디닐환, 또는 에폭시딜환을 형성할 수 있고;
R7 및 R8은 H, 할로겐 또는 C1 - 6알킬이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일반식 I의 화합물" 및 "일반식 I의 화합물들"은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N-옥사이드, 용매화물 및 입체화학 이성질체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식 I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하기 제한이 존재하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R1은 단환식 또는 이환식 헤테로아릴, 또는 피리딘-2-온-5-일이고, 헤테로아릴은 1, 2 또는 3개의 Ra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며;
Ra는 -NH2, 할로겐, 알콕시, 알킬에테르, 알킬티오, 알킬술포닐, 페닐술포닐, 헤테로아릴술포닐, 헤테로사이클릴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페닐, 헤테로아릴, 시아노, 알케닐,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CO2-알킬, -C(O)-Rb, -C(1-4)알킬-모르폴리닐, -C(1-4)알킬-피페리디닐, -C(1-4)알킬-피페라지닐, -C(1-4)알킬-N'-메틸피페라지닐, -C(1-4)알킬-Rb, -C(O)NH-C(1-4)알킬-Rb, 또는 -C(O)NRcRd-이고;
Rb는 헤테로사이클릴, 알킬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OH, -O알킬, -NH2, -NH알킬, 또는 -N(알킬)2이며;
Rc 및 Rd는 H, 페닐, 헤테로아릴, 또는 C1 - 6알킬 (여기서, C1 - 6알킬은 -N(CH3)2,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N-메틸피페라지닐, 알킬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하이드록실, 및 알콕시 중에서 선택되는 1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c 및 Rd는 함께 임의로 O, NH, N(알킬), SO, SO2, 또는 S 중에서 선택되는 제 2 헤테로 부분을 포함하는 5원 내지 7원 복소환을 형성할 수 있고, Rc-Rd 복소환은 알킬, -SO2알킬, 또는 -C(O)알킬로 임의로 치환되며;
A는 페닐, 단환식 또는 이환식 헤테로아릴, 3-(4-메톡시-벤질)-3H-퀴나졸린-4-온-6-일, 퀴나졸린-4-온-6-일, 및 벤조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환이고; 페닐, 헤테로아릴, 또는 벤조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은 -OH, 알킬, 페닐, 헤테로아릴, 알콕시, -CN, 할로겐, 니트로, -NH2, -N(CH3)2, -NHC(O)NHC1-6알킬, 및 -NHC(O)C1- 6알킬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며;
R5 및 R6는 H, F, C1 - 6알킬, -OH, -OC1 - 6알킬, -NHC1 - 6알킬, 또는 -N(C1 - 6알킬)2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5 및 R6는 함께 C3 - 5사이클로알킬환, 아지리디닐환, 또는 에폭시딜환을 형성할 수 있고;
R7 및 R8은 H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하기 제한이 존재하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R1은 단환식 또는 이환식 헤테로아릴, 또는 피리딘-2-온-5-일이고, 헤테로아릴은 1, 2 또는 3개의 Ra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며;
Ra는 -NH2, 할로겐, 알콕시, 알킬에테르, 알킬티오, 알킬술포닐, 페닐술포닐, 헤테로아릴술포닐, 헤테로사이클릴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페닐, 헤테로아릴, 시아노, 알케닐,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CO2-알킬, -C(O)-Rb, -C(1-4)알킬-모르폴리닐, -C(1-4)알킬-피페리디닐, -C(1-4)알킬-피페라지닐, -C(1-4)알킬-N'-메틸 피페라지닐, -C(1-4)알킬-Rb, -C(O)NH-C(1-4)알킬-Rb, 또는 -C(O)NRcRd이고;
Rb는 헤테로사이클릴, 알킬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OH, -O알킬, -NH2, -NH알킬, 또는 -N(알킬)2이며;
Rc 및 Rd는 H, 페닐, 헤테로아릴, 또는 C1 - 6알킬 (여기서, C1 - 6알킬은 -N(CH3)2,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N-메틸 피페라지닐, 알킬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하이드록실, 및 알콕시 중에서 선택되는 1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c 및 Rd는 함께 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및 피페라지닐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5원 내지 7원 복소환을 형성할 수 있고, 피페라지닐은 알킬, -SO2알킬, 또는 -C(O)알킬로 임의로 치환되며;
A는 페닐, 단환식 또는 이환식 헤테로아릴, 3-(4-메톡시-벤질)-3H-퀴나졸린-4-온-6-일, 퀴나졸린-4-온-6-일, 및 벤조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환이고; 페닐, 헤테로아릴, 또는 벤조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은 -OH, 알킬, 페닐, 헤테로아릴, 알콕시, -CN, 할로겐, 니트로, -NH2, -N(CH3)2, -NHC(O)NHC1-6알킬, 및 -NHC(O)C1- 6알킬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며;
R5 및 R6는 H, F, C1 - 6알킬, -OH, -OC1 - 6알킬, -NHC1 - 6알킬, 또는 -N(C1 - 6알킬)2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5 및 R6는 함께 C3 - 5사이클로알킬환, 아지리디닐환, 또는 에폭시딜환을 형성할 수 있고;
R7 및 R8은 H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하기 제한이 존재하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R1은 단환식 또는 이환식 헤테로아릴, 또는 피리딘-2-온-5-일이고, 헤테로아 릴은 1, 2 또는 3개의 Ra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며;
Ra는 -NH2, 할로겐, 알콕시, 알킬에테르, 알킬티오, 알킬술포닐, 페닐술포닐, 헤테로아릴술포닐, 헤테로사이클릴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페닐, 헤테로아릴, 시아노, 알케닐,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CO2-알킬, -C(O)-Rb, -C(1-4)알킬-모르폴리닐, -C(1-4)알킬-피페리디닐, -C(1-4)알킬-피페라지닐, -C(1-4)알킬-N'-메틸 피페라지닐, -C(1-4)알킬-Rb, -C(O)NH-C(1-4)알킬-Rb, 또는 -C(O)NRcRd이고;
Rb는 헤테로사이클릴, 알킬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OH, -O알킬, -NH2, -NH알킬, 또는 -N(알킬)2이며;
Rc 및 Rd는 H, 페닐, 헤테로아릴, 또는 C1 - 6알킬 (여기서, C1 - 6알킬은 -N(CH3)2,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N-메틸 피페라지닐, 알킬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하이드록실, 및 알콕시 중에서 선택되는 1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c 및 Rd는 함께 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및 피페라지닐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5원 내지 7원 복소환을 형성할 수 있으며, 피페라지닐은 알킬, -SO2알킬, 또는 -C(O)알킬로 임의로 치환되고;
A는 페닐, 단환식 또는 이환식 헤테로아릴, 3-(4-메톡시-벤질)-3H-퀴나졸린-4-온-6-일, 퀴나졸린-4-온-6-일, 및 벤조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환이며; 페닐, 헤테로아릴, 또는 벤조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은 -OH, 알킬, 페닐, 헤테로아릴, 알콕시, -CN, 할로겐, 니트로, -NH2, -N(CH3)2, -NHC(O)NHC1-6알킬, 및 -NHC(O)C1- 6알킬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R5 및 R6는 H, F, 또는 -CH3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5 및 R6는 함께 사이클로프로필환을 형성할 수 있으며;
R7 및 R8은 H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하기 제한이 존재하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R1은 단환식 또는 이환식 헤테로아릴, 또는 피리딘-2-온-5-일이고, 헤테로아릴은 1, 2 또는 3개의 Ra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며;
Ra는 -NH2, 할로겐, 알콕시, 알킬에테르, 알킬티오, 알킬술포닐, 페닐술포닐, 헤테로아릴술포닐, 헤테로사이클릴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페닐, 헤테로아릴, 시아노, 알케닐,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CO2-알킬, -C(O)-Rb, -C(1-4)알킬-모르폴리닐, -C(1-4)알킬-피페리디닐, -C(1-4)알킬-피페라지닐, -C(1-4)알킬-N'-메틸 피페라지닐, -C(1-4)알킬-Rb, -C(O)NH-C(1-4)알킬-Rb, 또는 -C(O)NRcRd이고;
Rb는 헤테로사이클릴, 알킬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OH, -O알킬, -NH2, -NH알킬, 또는 -N(알킬)2이며;
Rc 및 Rd는 H, 페닐, 헤테로아릴, 또는 C1 - 6알킬 (여기서, C1 - 6알킬은 -N(CH3)2,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N-메틸 피페라지닐, 알킬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하이드록실, 및 알콕시 중에서 선택되는 1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c 및 Rd는 함께 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및 피페라지닐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5원 내지 7원 복소환을 형성할 수 있고, 피페라지닐은 알킬, -SO2알킬, 또는 -C(O)알킬로 임의로 치환되며;
A는 페닐, 단환식 또는 이환식 헤테로아릴, 3-(4-메톡시-벤질)-3H-퀴나졸린-4-온-6-일, 퀴나졸린-4-온-6-일, 및 벤조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환이고; 페닐, 헤테로아릴, 또는 벤조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은 -OH, 알킬, 페닐, 헤테로아릴, 알콕시, -CN, 할로겐, 니트로, -NH2, -N(CH3)2, -NHC(O)NHC1-6알킬, 및 -NHC(O)C1- 6알킬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며;
R5 및 R6는 H, F, 또는 -CH3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5 및 R6는 함께 사이클로프로필환을 형성할 수 있고;
R7 및 R8은 H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하기 제한이 존재하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R1은 단환식 또는 이환식 헤테로아릴, 또는 피리딘-2-온-5-일이고, 헤테로아릴은 1, 2 또는 3개의 Ra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며;
Ra는 -NH2, 할로겐, 알콕시, 알킬에테르, 알킬티오, 알킬술포닐, 페닐술포닐, 헤테로아릴술포닐, 헤테로사이클릴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페닐, 헤테로아릴, 시아노, 알케닐,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CO2-알킬, -C(O)-Rb, -C(1-4)알킬-모르폴리닐, -C(1-4)알킬-피페리디닐, -C(1-4)알킬-피페라지닐, -C(1-4)알킬-N'-메틸 피페라지닐, -C(1-4)알킬-Rb, -C(O)NH-C(1-4)알킬-Rb, 또는 -C(O)NRcRd이고;
Rb는 헤테로사이클릴, 알킬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OH, -O알킬, -NH2, -NH알킬, 또는 -N(알킬)2이며;
Rc 및 Rd는 H, 페닐, 헤테로아릴, 또는 C1 - 6알킬 (여기서, C1 - 6알킬은 -N(CH3)2,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N-메틸 피페라지닐, 알킬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하이드록실, 및 알콕시 중에서 선택되는 1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c 및 Rd는 함께 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및 피페라지닐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5원 내지 7원 복소환을 형성할 수 있고, 피페라지닐은 알킬, -SO2알킬, 또는 -C(O)알킬로 임의로 치환되며;
A는 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 퀴놀린-6-일, 퀴놀린-6-일-N-옥사이드, 2-아미노 벤조티아졸-6-일, 4-메톡시페닐, 3-(4-메톡시-벤질)-3H-퀴나졸린-4-온-6-일, 퀴나졸린-4-온-6-일, 2-디메틸-아미노 벤조티아졸-6-일, 및 4-하이드록시 페닐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환이고;
R5 및 R6는 H, F, 또는 -CH3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5 및 R6는 함께 사이클로프로필환을 형성하며;
R7 및 R8은 H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하기 제한이 존재하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R1은 단환식 또는 이환식 헤테로아릴, 또는 피리딘-2-온-5-일이고, 헤테로아 릴은 1개의 Ra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며;
Ra는 NH2, 할로겐, 알콕시, 알킬에테르, 알킬티오, 알킬술포닐, 페닐술포닐, 헤테로아릴술포닐, 헤테로사이클릴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페닐, 헤테로아릴, 시아노, 알케닐,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CO2-알킬, -C(O)-Rb, -C(1-4)알킬-모르폴리닐, -C(1-4)알킬-피페리디닐, -C(1-4)알킬-피페라지닐, -C(1-4)알킬-N'-메틸 피페라지닐, -C(1-4)알킬-Rb, -C(O)NH-C(1-4)알킬-Rb 또는 -C(O)NRcRd이고;
Rb는 헤테로사이클릴, 알킬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OH, -O알킬, -NH2, -NH알킬, 또는 -N(알킬)2이며;
Rc 및 Rd는 H, 페닐, 헤테로아릴, 또는 C1 - 6알킬 (여기서, C1 - 6알킬은 -N(CH3)2,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N-메틸 피페라지닐, 알킬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하이드록실, 및 알콕시 중에서 선택되는 1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c 및 Rd는 함께 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및 피페라지닐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5원 내지 7원 복소환을 형성할 수 있고, 피페라지닐은 알킬, -SO2알킬, 또는 -C(O)알킬로 임의로 치환되며;
A는 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 퀴놀린-6-일, 퀴놀린-6-일-N-옥사이드, 2-아미노 벤조티아졸-6-일, 4-메톡시페닐, 3-(4-메톡시-벤질)-3H-퀴나졸린-4-온-6-일, 퀴나졸린-4-온-6-일, 2-디메틸-아미노 벤조티아졸-6-일, 및 4-하이드록시 페닐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환이고;
R5 및 R6는 H, F, 또는 -CH3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5 및 R6는 함께 사이클로프로필환을 형성하며;
R7 및 R8은 H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하기 제한이 존재하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R1은 티오펜-2-일, 티아졸-2-일,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피리딘-2-온-5-일, 또는 피리딜이고, 티오펜-2-일, 티아졸-2-일,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및 피리딜은 1개의 Ra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Ra는 -NH2, 할로겐, 알콕시, 알킬에테르, 알킬티오, 알킬술포닐, 페닐술포닐, 헤테로아릴술포닐, 헤테로사이클릴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페닐, 헤테로아릴, 시아노, 알케닐,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CO2-알킬, -C(O)-Rb, -C(1-4)알킬-모르폴리닐, -C(1-4)알킬-피페리디닐, -C(1-4)알킬-피페라지닐, -C(1-4)알킬-N'-메틸 피페라지닐, -C(1-4)알킬-Rb, -C(O)NH-C(1-4)알킬-Rb 또는 -C(O)NRcRd이고;
Rb는 헤테로사이클릴, 알킬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OH, -O알킬, -NH2, -NH알킬, 또는 -N(알킬)2이며;
Rc 및 Rd는 H, 페닐, 헤테로아릴, 또는 C1 - 6알킬 (여기서, C1 - 6알킬은 -N(CH3)2,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N-메틸 피페라지닐, 알킬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하이드록실, 및 알콕시 중에서 선택되는 1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c 및 Rd는 함께 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및 피페라지닐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5원 내지 7원 복소환을 형성할 수 있고, 피페라지닐은 알킬, -SO2알킬, 또는 -C(O)알킬로 임의로 치환되며;
A는 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 퀴놀린-6-일, 퀴놀린-6-일-N-옥사이드, 2-아미노 벤조티아졸-6-일, 4-메톡시페닐, 3-(4-메톡시-벤질)-3H-퀴나졸린-4-온-6-일, 퀴나졸린-4-온-6-일, 2-디메틸-아미노 벤조티아졸-6-일, 및 4-하이드록시 페닐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환이고;
R5 및 R6는 H, F, 또는 -CH3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5 및 R6는 함께 사이클로프로필환을 형성하며;
R7 및 R8은 H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하기 제한이 존재하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R1은 티오펜-2-일, 티아졸-2-일,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피리딘-2-온-5-일, 또는 피리딜이고, 티오펜-2-일, 티아졸-2-일,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및 피리딜은 1개의 Ra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Ra는 -NH2, 할로겐, 알콕시, 알킬에테르, 알킬티오, 알킬술포닐, 페닐술포닐, 헤테로아릴술포닐, 헤테로사이클릴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페닐, 헤테로아릴, 시아노, 알케닐,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CO2-알킬, -C(O)-Rb, -C(1-4)알킬-모르폴리닐, -C(1-4)알킬-피페리디닐, -C(1-4)알킬-피페라지닐, -C(1-4)알킬-N'-메틸 피페라지닐, -C(1-4)알킬-Rb, -C(O)NH-C(1-4)알킬-Rb 또는 -C(O)NRcRd이고;
Rb는 헤테로사이클릴, 알킬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OH, -O알킬, -NH2, -NH알킬, 또는 -N(알킬)2이며;
Rc 및 Rd는 H, 페닐, 헤테로아릴, 또는 C1 - 6알킬 (여기서, C1 - 6알킬은 -N(CH3)2,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N-메틸 피페라지닐, 알킬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하이드록실, 및 알콕시 중에서 선택되는 1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c 및 Rd는 함께 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및 피페라지닐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5원 내지 7원 복소환을 형성할 수 있고, 피페라지닐은 알킬, -SO2알킬, 또는 -C(O)알킬로 임의로 치환되며;
A는 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 퀴놀린-6-일, 퀴놀린-6-일-N-옥사이드, 2-아미노 벤조티아졸-6-일, 4-메톡시페닐, 3-(4-메톡시-벤질)-3H-퀴나졸린-4-온-6-일, 퀴나졸린-4-온-6-일, 2-디메틸-아미노 벤조티아졸-6-일, 및 4-하이드록시 페닐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환이고;
R5 및 R6는 H 또는 F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R7 및 R8은 H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하기 제한이 존재하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R1은 단환식 또는 이환식 헤테로아릴 (바람직하게는 피리딜, 티오페닐, 티아졸릴, 피라졸릴, 푸라닐, 이미다졸릴, 옥사졸릴, 피롤릴, 인돌릴, 이소티아졸릴, 트리아졸릴, 벤조티오페닐, 벤조티아졸릴, 벤조이미다졸릴, 벤족사졸릴, 퀴놀릴, 벤조푸라닐, 퀴나졸리닐, 또는 퀴녹살리닐)이고, 헤테로아릴은 1, 2 또는 3개의 Ra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며;
Ra는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F, Cl 또는 Br), 알콕시 (바람직하게는 C1 - 6알콕시), 알킬에테르 (바람직하게는 -C(1-6)알킬-O-C(1-6)알킬), 알킬티오 (바람직하게는 C1-6알킬티오), 알킬술포닐 (바람직하게는 C1 - 6알킬술포닐), 페닐술포닐, 헤테로아릴술포닐 (여기서, 헤테로아릴술포닐의 헤테로아릴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피리딜, 티오페닐, 티아졸릴, 피라졸릴, 푸라닐, 이미다졸릴, 옥사졸릴, 피롤릴, 인돌릴, 이소티아졸릴, 트리아졸릴, 벤조티오페닐, 벤조티아졸릴, 벤조이미다졸릴, 벤족사졸릴, 퀴놀릴, 벤조푸라닐, 퀴나졸리닐 또는 퀴녹살리닐이다), 헤테로사이클릴술포닐 (여기서, 헤테로사이클릴술포닐의 헤테로사이클릴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피롤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푸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페닐, 이미다졸리디닐, 티아졸리디닐, 옥사졸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라닐, 피페리디닐, 티오모르폴리닐, 티오모르폴리닐 1,1-디옥사이드, 모르폴리닐, 또는 피페라지닐이다),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바람직하게는 C1 - 6알킬술폰아미드), 알킬 (바람직하게는 C1 - 6알킬), 아미노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아민), 알킬아미노 (바람직하게는 C1 - 6알킬아미노), 페닐, 헤테로아릴 (바람직하게는 피리딜, 티오페닐, 티아졸릴, 피라졸릴, 푸라닐, 이미다졸릴, 옥사졸릴, 피롤릴, 인돌릴, 이소티아졸릴, 트리아졸릴, 벤조티오페닐, 벤조티아졸릴, 벤조이미다졸릴, 벤족사졸릴, 퀴놀릴, 벤조푸라닐, 퀴나졸리닐, 또는 퀴녹살리닐), 시아노, 알케닐 (바람직하게는 C1 - 6알케닐), 알키닐 (바람직하게는 C1 - 6알키닐), 사이클로알킬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프로필, 사 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또는 사이클로헵틸), 헤테로사이클릴 (바람직하게는 피롤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푸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페닐, 이미다졸리디닐, 티아졸리디닐, 옥사졸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라닐, 피페리디닐, 티오모르폴리닐, 티오모르폴리닐 1,1-디옥사이드, 모르폴리닐, 또는 피페라지닐), -CO2-알킬 (바람직하게는 -CO2-CH2CH3), -C(O)-Rb, -C(1-4)알킬-모르폴리닐, -C(1-4)알킬-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C(1-4)알킬-N'-메틸 피페라지닐, -C(O)NH-C(1-4)알킬-Rb, 또는 -C(O)NRcRd이고;
Rb는 헤테로사이클릴 (바람직하게는 피롤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푸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페닐, 이미다졸리디닐, 티아졸리디닐, 옥사졸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라닐, 피페리디닐, 티오모르폴리닐, 티오모르폴리닐 1,1-디옥사이드, 모르폴리닐, 또는 피페라지닐), 알킬술포닐 (바람직하게는 C1-6알킬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바람직하게는 C1 - 6알킬술폰아미드), -OH, -O알킬 (바람직하게는 -OC1 - 6알킬), -NH2, -NH알킬 (바람직하게는 -NHC1 - 6알킬), 또는 -N(알킬)2 (바람직하게는 -N(C1 - 6알킬)2)이며;
Rc 및 Rd는 H, 페닐, 헤테로아릴, 또는 C1 - 6알킬 (여기서, C1 - 6알킬은 -N(CH3)2,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N-메틸 피페라지닐, 알킬술포닐 (바람직하게는 C1 - 6알킬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바람직하게는 C1 - 6알킬술 폰아미드), 하이드록실, 및 알콕시 중에서 선택되는 1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c 및 Rd는 함께 임의로 O, NH, N(알킬), SO, SO2, 또는 S 중에서 선택되는 제 2 헤테로 부분을 포함하는 5원 내지 7원 복소환을 형성할 수 있고 (Rc-Rd 복소환은 바람직하게는 하기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04
;
Rc-Rd 복소환은 알킬 (바람직하게는 -C(1-6)알킬), -SO2알킬 (바람직하게는 -SO2C(1-6)알킬), 또는 -C(O)알킬 (바람직하게는 -C(O)C(1-6)알킬)로 임의로 치환되며;
A는 페닐, 단환식 또는 이환식 헤테로아릴 (바람직하게는 피리딜, 벤조옥사졸릴, 벤조티아졸릴, 퀴놀리닐,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티오페닐, 벤조푸라닐, 또는 [1,2,4]트리아졸로[1,5-α]피리디닐), 및 벤조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 (바람직하게는 벤조[1,3]디옥솔릴, 또는 2,3-디하이드로-벤조푸라닐)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환이고; 페닐, 헤테로아릴, 또는 벤조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은 -OH, 알킬, 페닐, 헤테로아릴, 알콕시, -CN, 할로겐, 니트로, -NH2, -NHC(O)NHC1- 6알킬, 및 -NHC(O)C1- 6알킬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며;
R5 및 R6는 H, F, C1 - 6알킬, -OH, -OC1 - 6알킬, -NHC1 - 6알킬, 또는 -N(C1 - 6알킬)2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5 및 R6는 함께 C3 - 5사이클로알킬환, 아지리디닐환, 또는 에폭시딜환을 형성할 수 있고;
R7 및 R8은 H, 할로겐 또는 C1 - 6알킬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형태는 하기를 포함한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05
.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약제에 사용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의 염은 무독성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말한다. FDA 승인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형태 (참조 문헌: International J. Pharm. 1986, 33, 201-217; J. Pharm. Sci, 1977, Jan, 66(1), pl)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성/음이온성 또는 염기성/양이온성 염을 포함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성/음이온성 염은 아세테이트, 벤젠술포네이트, 벤조에이트, 비카보네이트, 비타르트레이트, 브로마이드, 에데트산칼슘, 캄실레이트, 카보네이트, 클로라이드, 시트레이트,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에데테이트, 에디실레이트, 에스톨레이트, 에실레이트, 푸마레이트, 글리셉테이트, 글루코네이트, 글루타메이트, 글리콜릴아르사닐레이트, 헥실레소르시네이트, 하이드라바민,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록시나프토에이트, 아이오다이드, 이세티오네이트, 락테이트, 락토비오네이트, 말레이트, 말레에이트, 만델레이트, 메실레이트, 메틸브로마이드, 메틸니트레이트, 메틸술페이트, 뮤케이트, 납실레이트, 니트레이트, 파모에이트, 판토테네이트, 포스페이트/디포스페이트, 폴리갈락투로네이트, 살리실레이트, 스테아레이트, 서브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술페이트, 탄닌산염, 타르타르산염, 테오클레이트 (teoclate), 토실레이트, 및 트리에티오다이드를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기산 또는 무기산은 또한 요오드화수소산, 과염소산, 황산, 인산, 프로피온산, 글리콜산, 메탄술폰산, 하이드록시에탄술폰산, 옥살산, 2-나프탈렌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사이클로헥술팜산, 사카린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기성/양이온성 염은 알루미늄, 2-아미노-2-하이드록시메틸-프로판-1,3-디올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트로메탄 또는 "TRIS"로도 공지됨), 벤자틴, t-부틸아민, 칼슘, 글루콘산칼슘, 수산화칼슘, 클로로프로카인, 콜린, 콜린 비카보네이트, 염화콜린, 사이클로헥실아민, 디에틸아민, 에틸렌디아민, 리튬, LiOMe, L-리신, 마그네슘, 메글루민, NH3, NH4OH, N-메틸-D-글루카민, 피페리딘, 칼륨, 포타슘-t-부톡사이드, 수산화칼륨 (수성), 프로카인, 퀴닌, 나트륨, 탄산나트륨, 소듐-2-에틸헥사노에이트 (SEH),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틸아민 (TEA) 또는 아연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드럭
본 발명은 이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프로드럭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프로드럭은 생체 내에서 활성 화합물로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는 화합물의 기능성 유도체일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료 방법에서, 용어 "투여하는"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증후군, 장애 또는 질환을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 또는 특정한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개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한 이의 프로드럭으로 치료하거나, 개선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것이다. 적절한 프로드럭 유도체를 선택하고 제조하는 통상적인 방법은 예를 들면, 문헌 ("Design of Prodrugs", ed. H. Bundgaard, Elsevier, 1985)에 기재되어 있다.
입체화학적 이성질체
당업자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이 이의 구조 내에 하나 이상의 비대칭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본 발명이 이의 범위 내에 화합물의 단일 에 난티오머 형태, 라세미 혼합물, 에난티오머 과잉률이 존재하는 에난티오머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단일 에난티오머"는 일반식 I의 화합물, 이의 N-옥사이드, 부가염, 사차 아민 또는 생리 기능성 유도체가 가질 수 있는 모든 가능한 호모키랄 형태를 정의한다.
입체화학적으로 순수한 이성질체는 당업계에 공지된 원리를 적용하여 얻을 수 있다. 디아스테레오 이성질체는 분별결정 및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물리적 분리 방법으로 분리될 수 있고, 에난티오머는 광학 활성산 또는 염기와의 디아스테레오머 염의 선택적 결정화나 키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순수한 입체이성질체는 입체화학적으로 순수한 적당한 출발물질로부터 합성하거나, 입체선택적 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용어 "이성질체"는 동일한 조성 및 분자량을 가지나,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성질이 상이한 화합물을 말한다. 이러한 물질은 동일한 개수 및 종류의 원자를 갖지만 구조가 상이하다. 구조적 차이는 구성 (기하 이성질체) 또는 편광면을 회전시키는 능력 (에난티오머)일 수 있다.
용어 "입체이성질체"는 공간에서의 원자 배열이 상이한 동일한 구성의 이성질체를 말한다. 에난티오머 및 디아스테레오머는 비대칭으로 치환된 탄소 원자가 키랄 중심으로서 작용하는 입체이성질체이다.
용어 "키랄"은 분자가 이의 거울상과 포개질 수 없게 하는 분자의 구조적 특 성을 말한다.
용어 "에난티오머"는 서로 거울상으로서 포개질 수 없는 한 쌍의 분자종 중 하나를 말한다.
용어 "디아스테레오머"는 거울상이 아닌 입체이성질체를 의미한다.
부호 "R" 및 "S"는 키랄 탄소 원자(들) 주위의 치환기의 배열을 나타낸다.
용어 "라세미체" 또는 "라세미 혼합물"은 2개의 에난티오머가 등몰량으로 구성되고 광학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용어 "호모키랄"은 에난티오머적 순도의 상태를 말한다.
용어 "광학 활성"은 호모키랄 분자, 또는 키랄 분자의 비라세미 혼합물이 편광면을 회전시키는 정도를 말한다.
용어 "기하 이성질체"는 탄소-탄소 이중결합, 사이클로알킬환 또는 가교 이환계와 관련하여 치환 원자의 배향이 상이한 이성질체를 말한다. 탄소-탄소 이중결합의 각 측부의 치환 원자 (H 제외)는 E 또는 Z 배열일 수 있다. "E" (반대측) 배열에서, 치환기는 탄소-탄소 이중결합과 관련하여 반대측에 있으며; "Z" (동일측) 배열에서, 치환기는 탄소-탄소 이중결합과 관련하여 동일측에 배향된다. 탄소환에 결합되는 치환 원자 (H 제외)는 시스 또는 트랜스 배열일 수 있다. "시스" 배열에서, 치환기는 환 평면에 대하여 동일 측부에 있으며; "트랜스" 배열에서, 치환기는 환 평면에 대하여 반대측에 있다. "시스" 및 "트랜스" 종의 혼합물을 갖는 화합물은 "시스/트랜스"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각종 치환 입체이성질체, 기하이성질 체 및 이들의 혼합물이 시판되거나, 시판되는 출발물질로부터 합성할 수 있거나, 이성질체 혼합물로서 제조된 다음에, 당업자에게 주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분할된 이성질체로서 얻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성질체 디스크립터 "R", "S", "E", "Z", "시스" 및 "트랜스"는 코어 분자에 대한 원자 배열(들)을 나타내기 위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비와 같이 사용되며, 문헌 (IUPAC Recommendations for Fundamental Stereochemistry (Section E), Pure Appl. Chem., 1976, 45:13-30)에 정의된 바와 같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이성질체 특이적 합성에 의해 개개의 이성질체로서 제조될 수 있거나, 이성질체 혼합물로부터 분할될 수 있다. 통상의 분할 방법으로는 광학 활성 염을 사용하여 이성질체 쌍의 각 이성질체의 유리 염기를 형성하거나 (이후, 유리 염기의 분별결정 및 유리 염기의 재생을 행함), 이성질체 쌍의 각 이성질체의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를 형성하거나 (이후, 크로마토그래프 분리 및 키랄 보조기 (chiral auxiliary)의 제거를 행함), 분취용 TLC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키랄 HPLC 칼럼을 사용하여 출발물질 또는 최종 생성물의 이성질체 혼합물을 분리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다형체 및 용매화물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다형체 또는 비정질 결정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그것 자체로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화합물은 예를 들면, 물 (즉, 수화물) 또는 통상의 유기 용매와 용매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용매화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용매 분자의 물리적 결합을 의미한다. 이러한 물리적 결합은 수소 결합을 포함하여, 이온 결합 및 공유 결합의 정도가 다양한 것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용매화물은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용매 분자가 결정성 고체의 결정 격자 내에 혼입되는 경우에는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 용어 "용매화물"은 액상 및 분리가능한 용매화물을 포함한다. 적절한 용매화물의 비한정적인 예로는에탄올레이트, 메탄올레이트 등을 들수 있다.
본 발명은 이의 범위 내에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료 방법에 있어서, 용어 "투여"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증후군, 장애 또는 질환을 치료, 개선 또는 예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는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명백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될 것이다.
토토머
일반식 I의 일부 화합물은 이의 토토머로 존재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는 본 출원서에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서 관련된 분자의 민감성 기 또는 반응기를 보호하는 것이 필요하고/하거나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인 보호기, 예컨대 문헌 [참조: Protecting Groups, P. Kocienski, Thieme Medical Publishers, 2000; T.W. Greene & P.G.M. W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3rd ed. Wiley Interscience, 1999]에 기재된 것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보호기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편리한 후속 단계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일반적 반응 도식
일반식 I의 화합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하기 반응 도식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식으로든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반응 도식 1
Figure 112008048437075-PCT00006
반응 도식 1은 A, R1, R5, R6, R7, 및 R8이 일반식 I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유도하는 이중 합성 경로를 예시한다. 디할로피리다진 II를 출발물질로 하여, 경로를 우측으로 진행하면, 전이금속 촉매 크로스 커플링 반응은 스즈키 (Miyaura, N., Suzuki, A., Chem. Rev. 95:2457 (1995)), 네기시 (Negishi, E., et. al., J. Org. Chem. 42:1821 (1977)), 또는 스틸 조건 (Stille conditions; Stille, J. K., Agnew. Chem., Int. Ed. Engl., 25: 508 (1986) 및 본 명세서의 참조문헌) 하에서 적절히 치환된 보론산, 보론산 에스테르, 아연산염 또는 스탄난 V를 사용하여 일어날 수 있다. 얻어진 피리다진 VI은 1-부탄올의 환류 하에 3-할로피리다진과 각종 아실하이드라진 III의 반응에 의해 트리아졸로피리다진 I으로 전환될 수 있다 (Albright, J.D., et. al., J. Med. Chem., 1981, 24, 592-600).
또는 하향 경로를 따라, 3,6-디할로피리다진 II와 각종 아실하이드라진 III의 반응에 이어서, IV와의 전이금속 크로스 커플링 반응에 의해 트리아졸로피리다진 I을 생성시킨다. 이러한 경로는 할로겐화 스캐폴드 (scaffold)와의 크로스 커플링 반응을 통해 트리아졸로피리다진 코어 스캐폴드로부터 화합물의 라이브러리를 생성시키는데 적합하다.
할로겐화아릴과 아릴보론산, 아릴아연산염 또는 아릴스탄난의 상술한 크로스 커플링 반응은 일반적으로 팔라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등의 촉매에 의해 조절되는 불활성 환경에서 행해진다. 이들 반응은 60℃ 내지 150℃ 범위의 온도에서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또는 2상 용액 중에서 일어날 수 있다. 아릴보론산, 아릴아연산염 또는 아릴스탄난이 시판되는 대부분의 경우에는, 대응하는 할로겐화아릴 또는 직접적인 메탈화/트랜스메탈화 절차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 또는, Peppsi-iPr 촉매는 Pd(PPh3)4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문헌: M. G. Organ et al., Chemistry - A European Journal, Volume 12, Issue 18, June 14, 2006, pp: 4743-4748, 및 본 명세서의 참조문헌을 참조한다].
반응 도식 2
Figure 112008048437075-PCT00007
아릴 및 헤테로아릴 아세트산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1986, 29 (11), 2326-2329; Bioorganic and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04, 14(14), 3799-3802; EP 1229034 A1 20020807; Tetrahedron Letters, 2003, 44 (35), 6745-6747; Synthetic Communications, 1997, 27 (22), 3839-3846). 다수의 아릴 아세트산 합성예는 반응 도식 2에 예시된다. 벤조 융합된 복소환식 화합물 VII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1996, 29 (11), 2362-2369;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1997, 40(7), 1049-1062)을 사염화탄소 중에서 N-브로모숙신이미드로 처리하여, 화합물 VIII을 얻는다. 니트로페닐아세트산 IX (Bioorganic and Medicinal Chemistry Letters, 1998, 8 (1), 17-22; Organic Letters, 2002, 4 (16), 2675-2678; WO 00/06566, Helvitica Chemica Acta, 1976, 59 (3), 855-866)를 용매, 예컨대 메탄올 중에서 활성탄 상에서 팔라듐의 존재하에 수소화 등의 조건하에 환원시켜, 화합 물 X를 얻은 다음에, 톨루엔 중에서 오르토포름산트리에틸로 처리하여, XI를 얻는다. 화합물 XII을 적절한 아민으로 처리하여, 화합물 XIII를 얻을 수 있다.
하기 화합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08
상기식에서, A는 하기 중에서 선택된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09
.
예를 들면, 문헌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1997, 40 (7), 1049-1058, 및 본 명세서의 참조문헌; 및 WO 2002085888를 참조한다.
반응 도식 3
Figure 112008048437075-PCT00010
아릴 및 헤테로아릴 아세틸 클로라이드 및 아릴 및 헤테로아릴 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의 합성은 또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문헌: Bulletin de Ia Societe Chimique de France, 1964, 2, 245-247; and Helvitica Chemica Acta, 1928, 11, 609-656 참조). A가 일반식 I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 XIV를 DCM 중에서 염화옥살릴로 처리하여, 화합물 XV를 얻은 다음에, DCM 중에서 무수 히드라진으로 처리하여, 하이드라지드 XVI를 얻는다. 또는, 화합물 XIV를 무수 아세트산으로 처리한 다음에, 수중에서 히드라진으로 처리한 다음에, 화합물 XVI를 얻는다. 아세트산메틸 에스테르 XVII를 에탄올 중에서 함수 히드라진으로 처리하여, 화합물 XVI를 얻을 수 있다.
반응 도식 4a
Figure 112008048437075-PCT00011
반응 도식 4a는 R5 및 R6가 모두 F 또는 H이고, A가 일반식 I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III의 화합물을 얻는데 취해진 경로를 예시한다. 아실하이드라지드를 생성시키는 제 1 경로는 적절한 아릴할라이드 XVIII와 n-부틸리튬과 같은 유기 금속의 금속-할로겐 교환 반응에 이어서, 옥살산디알킬과의 아세틸화를 포함한다. 그 다음에, 생성된 아세틸 알킬에스테르 XIX를 염화메틸렌과 같은 용매 중에서 DAST ((디메틸아미노)황 트리플루오라이드)로 플루오르화하여, 디플루오로알킬에스테르 XXI를 생성한 다음에, 히드라진으로 처리하여, 디플루오로아실하이드라지드 III를 생성한다. 제 2 경로는 아릴할라이드 XVIII와 디플루오로알킬에스테르 XXI 중간체를 생성시키는 할로겐화 디플루오로에스테르의 구리 촉매 크로스 커플링에 이어서, 히드라진으로 처리하여 디플루오로아실하이드라지드 III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 3 경로는 아릴-아세트산 에스테르 XX의 아릴 케토에스테르 XIX의 산 화에 이어서, 디플루오로알킬에스테르 XXI 중간체를 생성시키는 DAST에 의한 플루오르화 다음에, 히드라진으로 처리하여, 디플루오로아실하이드라지드 III를 생성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제 4 경로는 할로겐화아릴 XVIII과 말론산 디에스테르의 구리 촉매 크로스 커플링에 의해 알킬디에스테르 XXII를 생성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그 다음에, 비누화 반응 후에 알콜 중에서 염화티오닐로 처리하거나, 또는 산의 존재하에 알콜로 환류시켜, 알킬에스테르 XXI를 얻는다. 히드라진으로 처리하면, R5 및 R6가 모두 H인 아실하이드라지드 III를 얻는다.
반응 도식 4b
Figure 112008048437075-PCT00012
반응 도식 4b는 R5 및 R6가 H, F, 알킬, OH, O알킬, NH알킬, 또는 N(알킬)2이고, A가 일반식 I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III의 화합물을 얻는데 취해진 경로를 예시한다. 이러한 경로는 아릴 에스테르 XX의 아세틸 알킬에스테르 XIX로의 산화에 이어서, 알콜 XXIII로의 환원 다음에, 모노플루오로알킬에스테르 XXI 중간체를 생성하는 DAST와의 플루오르화 반응 후에, 히드라진으로 처리하여, III를 생성시킨다. 또는, 화합물 XXIII은 메탄올 등의 용매 중에서 히드라진으로 처리함으로 써, III으로 직접 전환될 수 있거나, 수소화나트륨 등의 강염기의 존재하에 XXIII를 할로겐화알킬과 반응시킨 다음에, 메탄올 등의 용매 중에서 히드라진으로 처리하여, III을 얻을 수 있다. 화합물 XX를 수소화나트륨 등의 염기의 존재하에 할로겐화알킬로 처리한 다음에, 메탄올 등의 용매 중에서 히드라진으로 처리하여, III으로 전환할 수 있다. 화합물 XIX의 III의 전환은 환원적 아미노화에 이어서, 메탄올 등의 용매 중에서 히드라진으로 처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반응 도식 4c
Figure 112008048437075-PCT00013
R5 및 R6가 함께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A가 일반식 I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III의 화합물의 합성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Chemische Berichte, 119(12), 3694-703; 1986, Australian Journal of Chemistry, 39(2) 271-80; 1986, Bioorganic and Medicinal Chemistry Letters 13(14), 2291-2295; 2003). 반응 도식 4c는 아실 하이드라지드 III를 얻는 2개의 대체 경로를 예시한다. 시판되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XXIV를 출발물질로 하여, 트 리할로메탄으로 처리하여, 디할로 사이클 XXV를 얻은 후, 유기 주석으로 처리한 다음에, 히드라진으로 처리하여, III를 생성시킨다. 제 2 경로는 시판되는 출발물질 XXI에 디할로알킬을 직접 첨가한 다음에, 히드라진을 생성시켜, 아실 히드라진 III을 얻는다.
반응 도식 4d
Figure 112008048437075-PCT00014
R5 및 R6가 함께 결합하여 아지리딘 또는 에폭사이드를 생성하고, A가 일반식 I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III의 화합물의 합성은 또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반응 도식 4d는 시판되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XXIV를 출발물질로 하여, 히드라진으로 처리함으로써, 복소환 아실 하이드라지드 III을 생성하는 경로를 예시한다.
반응 도식 5a 내지 5e는 일반식 I의 화합물, 예컨대 티오펜, 피라졸, 및 푸란의 헤테로아릴기를 작용화시키는 경로를 예시한다. R1의 조성물은 하기에 포함된 기재된 텍스트에 한정되지 않으나, 시판되는 치환된 단환식 또는 이환식 헤테로아릴 출발물질을 포함한다. 이들 물질은 또한 종래 기술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참조문헌: Miyaura, N., Suzuki, A., Chem. Rev. 95:2457 (1995)), (Negishi, E., et. al., J. Org. Chem. 42:1821 (1977)), (Stille, J.K., Agnew. Chem., Int. Ed. Engl., 25: 508 (1986).
반응 도식 5a
Figure 112008048437075-PCT00015
반응 도식 5a는 환원적 아미노화에 의해, 아민을 트리아졸로피리다진계에 도입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화학반응은 R1이 2,5 치환된 티오펜 또는 2,5 치환된 푸란이고, R5, R6, R7, R8, 및 A가 일반식 I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I의 화합물로 시작된다. 산성 메탄올 중에서 트리아세톡시수소화붕소나트륨 및 이차 아민으로 처리함으로써, 대응하는 아민 치환된 푸란 또는 티오펜을 얻는다.
반응 도식 5b
Figure 112008048437075-PCT00016
반응 도식 5b는 비누화를 이용한 다음에, 이차 아민과의 커플링에 의해, 아미드를 트리아졸로피리다진계에 도입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2 단계 반응은 R1이 단환식 또는 이환식 헤테로아릴이고, R5, R6, R7, R8, 및 A가 일반식 I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I의 화합물로 시작된다. 메탄올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중에서 수산화나트륨 (NaOH) 및 2-(1H-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로 처리한 다음에,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HOBT), 후니크 염기 (Hunig's base; DIEA) 및 원하는 이차 아민으로 처리하면, R1이 아미드 치환된 티오펜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얻는다. Ra가 -C(O)NH-C(1-4)알킬-Rb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반응 도식 5c
Figure 112008048437075-PCT00017
반응 도식 5c는 R1이 질소 함유 헤테로아릴 (예를 들면, 피라졸)이고, R5, R6, R7, R8, 및 A가 일반식 I에 정의된 바와 같은, 아세틸화에 의해 아실기를 R1에 도입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화학반응은 DIEA와 같은 스캐빈져 염기와 함께 DCM과 같은 용매 중에서 이탈기, 바람직하게는 할로겐으로 적절히 치환된 아실기를 이용하여, R1의 아세틸화를 달성한다.
반응 도식 5d
Figure 112008048437075-PCT00018
반응 도식 5d는 R1이 질소 함유 헤테로아릴 (예를 들면, 피라졸)이고, Ra가 술포닐 또는 술폰아미드이며, R5, R6, R7, R8, 및 A가 일반식 I에 정의된 바와 같은, 술폭실화를 이용하여 술폭실기를 R1에 도입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화학반응은 DIEA와 같은 스캐빈져 염기와 함께 DCM과 같은 용매 중에서 이탈기, 바람직하게는 할로겐으로 적절히 치환된 술폭실기를 이용하여, R1의 술폭실화를 달성한다.
반응 도식 5e
Figure 112008048437075-PCT00019
반응 도식 5e는 R1이 질소 함유 헤테로아릴 (예를 들면, 피라졸)이고, Ra가 알킬, 아미노알킬, 또는 C(1-4)알킬-Rb이며, R5, R6, R7, R8, 및 A가 일반식 I에 정의 된 바와 같은, R1을 Ra로 치환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화학반응은 에탄올과 같은 용매 및 탄산칼륨과 같은 염기 중에서 이탈기, 바람직하게는 할로겐으로 적절히 치환된 알킬기를 이용하여, R1의 알킬화를 달성한다.
대표적인 화합물
상술한 방법에 의해 합성된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은 하기에 나타낸다. 특정한 화합물의 합성예는 하기에 나타낸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번호 17, 20, 22, 38, 39, 47, 51, 54, 55, 57, 59, 60, 61, 65, 66, 72, 73, 74, 77, 86, 87, 97, 98, 99, 100, 100b, 101, 102, 103 및 104이고; 더욱 바람직한 화합물은 번호 39, 47, 55, 60, 61, 65, 72, 73, 74, 77, 97, 및 98이다. 더욱더 바람직한 화합물은 번호 60, 61, 97, 및 98이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20
Figure 112008048437075-PCT00021
Figure 112008048437075-PCT00022
Figure 112008048437075-PCT00023
Figure 112008048437075-PCT00024
Figure 112008048437075-PCT00025
Figure 112008048437075-PCT00026
Figure 112008048437075-PCT00027
Figure 112008048437075-PCT00028
Figure 112008048437075-PCT00029
Figure 112008048437075-PCT00030
Figure 112008048437075-PCT00031
Figure 112008048437075-PCT00032
Figure 112008048437075-PCT00033
Figure 112008048437075-PCT00034
Figure 112008048437075-PCT00035
Figure 112008048437075-PCT00036
Figure 112008048437075-PCT00037
Figure 112008048437075-PCT00038
개별 화합물의 합성예는 하기에 나타낸다.
실시예 1
6-[6-(1-메틸-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039
실시예 1: 단계 a
3-클로로-6-(1-메틸-1H-피라졸-4-일)-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040
플라스크에, 3,6-디클로로피리다진 (Aldrich, 297 mg, 2.0 mmol), 1-메틸-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H-피라졸 (499 mg, 2.4 mmol), 2 M Na2CO3 (4 mL) 및 디옥산 (4 mL)을 주입하였다. 아르곤을 60초간 반응물을 통해 버블링한 다음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O) (231 mg, 0.2 mmol)을 가하였다. 반응물을 하룻밤 동안 80℃로 가열시킨 다음에, EtOAc 및 염수를 사용하여 수성 워크업을 행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MgSO4), 진공하에서 농축시킨 다음에,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헥산 중의 20% 아세트산에틸), 백색 고체 (183 mg, 47%)로서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41
실시예 1: 단계 b
6-[6-(1-메틸-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042
퀴놀린-6-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188 mg, 0.93 mmol) 및 3-클로로-6-(1-메틸-1H-피라졸-4-일)-피리다진 (202 mg, 0.93 mmol, 실시예 1: 단계 a)을 부탄올 (120 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120℃로 가열시키고, 수냉 환류 냉각기 및 아르곤 라인을 장착하였다. 반응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킨 다음에, HPLC로 정제하여 (40분간에 걸쳐서 5 내지 65% CH3CN), 황갈색 고체 (201.6 mg, 65%)로서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43
실시예 2
6-[6-(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044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45
실시예 3
4-[6-(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페놀
Figure 112008048437075-PCT00046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47
실시예 4
4-(6-피리딘-3-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페놀
Figure 112008048437075-PCT00048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49
실시예 5
4-[6-(2H-피라졸-3-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페놀
Figure 112008048437075-PCT00050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51
실시예 6
6-(6-피리딘-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052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53
실시예 7
3-(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메틸)-6-피리딘-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054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55
실시예 8
3-(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메틸)-6-(6-모르폴린-4-일-피리딘-3-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056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57
실시예 9
6-[6-(1-프로필-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058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59
실시예 10
모르폴린-4-일-[5-(3-퀴놀린-6-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피리딘-3-일]-메탄온
Figure 112008048437075-PCT00060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61
실시예 11
6-(6-피리딘-3-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062
실시예 11: 단계 a
3-클로로-6-피리딘-3-일-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063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 단계 a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64
실시예 11: 단계 b
6-(6-피리딘-3-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065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 단계 b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66
실시예 12
6-피리딘-3-일-3-[1,2,4]트리아졸로[1,5-a]피리딘-6-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067
실시예 12: 단계 a
2-[1,2,4]트리아졸로[1,5-a]피리딘-6-일-말론산디에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48437075-PCT00068
말론산디에틸 (400 ㎕)을 THF (5 mL) 중의 6-요오도-[1,2,4]트리아졸로[1,5-a]피리딘 (245 mg, 1 mmol), 요오드화구리 (19 mg, 0.1 mmol), 비페닐-2-올 (34 mg, 0.2 mmol), 및 Cs2CO3의 혼합물에 가하였다. 불균일 용액을 7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 후에, 혼합물을 클로로폼 (40 mL)과 NH4Cl 수용액 (20 mL)에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NH4Cl (3 × 15 mL), NaHCO3 (20 mL), 및 염수 (20 mL)로 세정한 다음에, Na2SO4로 건조시켰다. 용액을 농축시킨 다음에, SiO2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무색 글래스로서의 생성물 (170 mg, 61%)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69
실시예 12: 단계 b
[1,2,4]트리아졸로[1,5-a]피리딘-6-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Figure 112008048437075-PCT00070
디옥산 (4 mL) 및 MeOH (6 mL) 중의 실시예 12: 단계 a에서 제조된 2-[1,2,4]트리아졸로[1,5-a]피리딘-6-일-말론산디에틸 에스테르 (170 mg, 0.6 mmol) 의 용액에, 2 N NaOH (1.2 mL, 2.4 mmol)를 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에, 용액을 0.5 N HCl로 pH ∼2로 조절하였다. 용액을 1 시간 동안 교반하여 (탈카르복실화가 일어남), 휘발물을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잔사를 무수 MeOH (15 mL)에 용해시키고, 빙욕에서 냉각시켜, 염화티오닐 (500 ㎕, 6.8 mmol)을 적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여, 휘발성 성분을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71
잔사를 EtOH (10 mL)에 용해시키고, 히드라진 (50 ㎕)을 가하였다. 용액을 70℃에서 14 시간 동안 가열하여, 휘발물을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잔사를 EtOH에 3회 재용해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과잉량의 히드라진을 제거하였다. 물질을 추가의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72
실시예 12: 단계 c
6-피리딘-3-일-3-[1,2,4]트리아졸로[1,5-a]피리딘-6-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073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 단계 b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74
실시예 13
6-(6-피리딘-3-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벤조티아졸-2-일아민
Figure 112008048437075-PCT00075
(2-아미노-벤조티아졸-6-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0.65 mmol) 및 3-클로로-6-피리딘-3-일-피리다진 (0.34 mmol)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여, 황색 고체로서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76
실시예 14
3-(2-클로로-피리딘-4-일메틸)-6-피리딘-3-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077
실시예 14: 단계 a
2-(2-클로로-피리딘-4-일)-말론산디에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48437075-PCT00078
표제 화합물을 헨네시 (Hennessy) 및 부흐발트 (Buchwald)의 방법에 의해 2-클로로-4-요오도피리딘 (4.18 mmol)으로부터 무색 오일로서 제조하였다 (Org. Lett. 2002, 4, 269).
Figure 112008048437075-PCT00079
실시예 14: 단계 b
(2-클로로-피리딘-4-일)-아세트산
Figure 112008048437075-PCT00080
바로 전단계의 생성물 (2.43 mmol)을 메탄올 (20 mL)에 용해시키고, 2 N NaOH 수용액 (4.0 mL)으로 처리하여, 주위온도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2 N HCl 수용액 (4.0 mL)으로 처리하여, 진공하에 농축 건조시켜, 메탄올에 용해시켜,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흡습성 황색 고체로서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81
실시예 14: 단계 c
(2-클로로-피리딘-4-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Figure 112008048437075-PCT00082
표제 화합물을 바로 전단계의 생성물 (2.43 mmol)로부터 실시예 17: 단계 b의 방법에 의해 담황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83
실시예 14: 단계 d
3-(2-클로로-피리딘-4-일메틸)-6-피리딘-3-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084
표제 화합물을 (2-클로로-피리딘-4-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0.61 mmol) 및 3-클로로-6-피리딘-3-일-피리다진 (0.33 mmol)으로부터 옅은 오렌지색 고체로서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85
실시예 15
6-[6-(1-메탄술포닐-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086
DCM (2 mL) 중의 실시예 3에서 제조된 6-[6-(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f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10 mg, 0.03 mmol) 및 DIEA (9 ㎕, 0.05 mmol)의 용액에, 메탄 술포닐클로라이드 (4 ㎕, 0.05 mmol)를 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킨 다음에, HPLC로 정제하여 (35 분간에 걸쳐서 5 내지 65% CH3CN), 백색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 (3.1 mg, 31%)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87
실시예 16
6-{6-[1-(2-메톡시-에틸)-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088
EtOH (2 mL) 중의 실시예 3에서 제조된 6-[6-(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19 mg, 0.06 mmol) 및 K2CO3 (12 mg, 0.09 mmol)의 용액에, 2-브로모에틸 메틸 에테르 (8 ㎕, 0.09 mmol)를 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킨 다음에, HPLC로 정제하여 (35 분간에 걸쳐서 5 내지 65% CH3CN), 투명 글래스로서의 표제 화합물 (2.8 mg, 15%)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89
실시예 17
4-(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페놀
Figure 112008048437075-PCT00090
실시예 17: 단계 a
3-클로로-6-티오펜-2-일-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091
3,6-디클로로피리다진 (149.9 mg, 1 mmol) 및 2-브롬화아연-티오펜 (Aldrich, 0.5 M, 1 mL, 0.5 mmol)을 THF (2 mL)와 혼합하여, 아르곤으로 60 초간 버블링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 (12 mg, 0.01 mmol)을 가하였다. 반응물을 하룻밤 동안 65℃로 가열시켰다. 반응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에 흡착시킨 다음에,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헥산 중의 20% 아세트산에틸), 백색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92
실시예 17: 단계 b
(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Figure 112008048437075-PCT00093
MeOH (2O mL, 무수) 중의 (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5 g, 30.08 mmol)의 용액에, 히드라진 (3.77 mL, 120.35 mmol)을 가한 다음에, 55℃ 로 1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가열시에 백색 침전물이 생성되었다. 그 다음에,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추가로 1 시간 동안 교반하여, 고체의 침전을 촉진시켰다. 반응물을 여과하여, 고체를 MeOH로 세정하여, 건조시켜, 백색 고체로서의 원하는 생성물 (4.3 g, 86%)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94
실시예 17: 단계 c
4-(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페놀
Figure 112008048437075-PCT00095
부탄올 (5 mL) 중의 실시예 17: 단계 a의 3-클로로-6-티오펜-2-일-피리다진 (58 mg, 0.29 mmol) 및 (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120 mg, 0.58 mmol)를 함유하는 용액을 하룻밤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고체를 여과하여, MeOH로 세정하였다. 고체를 MeOH로 재결정하여, 황갈색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96
실시예 18
4-(6-티아졸-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페놀
Figure 112008048437075-PCT00097
실시예 18: 단계 a
3-클로로-6-티아졸-2-일-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098
3,6-디클로로피리다진 (149.9 mg, 1 mmol) 및 2-브롬화아연-티아졸 (0.5 M Aldrich, 2.4 mL, 1.2 mmol)을 THF (2 mL)에 용해시켜, 아르곤으로 60 초간 버블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 (57 mg, 0.05 mmol)을 가하였다. 반응물을 하룻밤 동안 65℃로 가열시켰다. LCMS로 분석한 바, 60%-ESI-MS (m/z)로 생성물로 전환되었다: C7H4ClN3S에 대한 계산치: 196.98; 실측치: 198.2. 따라서, 2-브롬화아연-티아졸 (0.5 M Aldrich, 2.4 mL, 1.2 m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 (57 mg, 0.05 mmol)의 또 하나의 부분을 가해,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가열을 4 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반응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실리카에 흡착시킨 다음에,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헥산 중의 20% 아세트산에틸), 백색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099
실시예 18: 단계 b
4-(6-티아졸-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페놀
Figure 112008048437075-PCT00100
3-클로로-6-티아졸-2-일-피리다진 (20 mg, 0.10 mmol) 및 (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20 mg, 0.12 mmol)를 부탄올 (5 mL) 중에서 혼합하여, 물이 가득찬 냉각기를 장착하여, 120℃로 하룻밤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킨 다음에, HPLC로 정제하여 (25 분간에 걸쳐서 10 내지 80% CH3CN), 백색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 (11.5 mg, 37%)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01
실시예 19
3-(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메틸)-6-피리딘-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102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03
실시예 20
6-[6-(2-프로필-티아졸-5-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104
실시예 20: 단계 a
3-클로로-6-(2-프로필-티아졸-5-일)-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105
N-부틸리튬 (헥산 중의 2.5 M, 1.3 mL, 3.3 mmol)을 2 분간에 걸쳐서 THF (8 mL) 중의 2-프로필티아졸 (380 mg, 3 mmol)의 -78℃ 용액에 적가하였다. -78℃에서 45 분간 교반한 후에, 염화아연 용액 (THF 중의 0.5 M, 7 mL, 3.5 mmol)을 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으로 가온하는 동안에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172 mg, 0.15 mmol) 및 3,6-디클로로피리다진을 가해, 반응물을 68℃ 로 16시간 동안 가열시켰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에, 메탄올 (3 mL) 및 2 N HCl (2 mL)를 가하였다. pH를 Na2CO3로 ∼8로 조절하여, 혼합물을 EtOAc (50 mL)와 물 (30 mL)에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물 (2 × 10 mL) 및 염수 (20 mL)로 세정하여, Na2SO4로 건조시켰다. 용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킨 다음에, SiO2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회색을 띤 백색 고체 (200 mg, 28%)로서의 생성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06
실시예 20: 단계 b
6-[6-(2-프로필-티아졸-5-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107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7: 단계 b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08
실시예 21
6-(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벤조옥사졸- 2-일아민
Figure 112008048437075-PCT00109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10
실시예 22
3-(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메틸)-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111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12
실시예 23
3-(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메틸)-6-(3-메틸-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113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14
실시예 24
3-벤질-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115
표제 화합물을 페닐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0.67 mmol) 및 3-클로로-6-티오펜-2-일-피리다진 (0.21 mmol)으로부터 실시예 1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16
실시예 25
3-(4-메톡시-벤질)-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117
표제 화합물을 4-메톡시-페닐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1.39 mmol) 및 3-클로로-6-티오펜-2-일-피리다진 (0.32 mmol)으로부터 옅은 오렌지색 고체로서 실시예 1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18
실시예 26
3-(4-플루오로-벤질)-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119
표제 화합물을 4-플루오로페닐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1.04 mmol) 및 3-클로로-6-티오펜-2-일-피리다진 (0.52 mmol)으로부터 옅은 베이지색 고체로서 실시예 1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20
실시예 27
3-(4-니트로-벤질)-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121
실시예 27: 단계 a
4-니트로페닐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Figure 112008048437075-PCT00122
무수 디클로로메탄 (10 mL) 중의 4-니트로페닐아세트산 (2.81 mmol)의 용액을 시린지를 통해 2 N 염화옥살릴 용액 (3.0 mL) 및 DMF (0.02 mL)로 처리하여, 반응물을 주위온도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하에 농축 건조시켜, 조생성물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20 mL)에 용해시키고, 시린지를 통해 무수 히드라진 (11.1 mmol)으로 처리하여, 주위온도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얻어진 현탁액을 여과하여, 고체를 디클로로메탄으로 린스하고, MeOH/CH2Cl2에 용해시켜, 여과하여, 여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오렌지색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23
실시예 27: 단계 b
3-(4-니트로-벤질)-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124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6: 단계 b의 방법에 의해, 바로 전단계의 생성물 (0.52 mmol) 및 실시예 17: 단계 a에서 제조된 3-클로로-6-티오펜-2-일-피리다진 (0.27 mmol)으로부터 옅은 황갈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25
실시예 28
4-(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페닐아민
Figure 112008048437075-PCT00126
바로 전 실시예의 생성물 (0.20 mmol)을 주위 온도 및 압력에서 2 일간 2:1 EtOH/THF (12 mL) 중에서 탄소 (9 mg) 상의 10 wt.% 팔라듐 (0)에서 수소화하여, 셀라이트 521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켜, 분취용 TLC (실리카 상의 10% MeOH/CH2Cl2)로 2회 정제하여, 옅은 황색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27
실시예 29
N-[4-(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페닐]-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08048437075-PCT00128
바로 전 실시예의 생성물 (0.09 mmol)을 주위 온도에서 24 시간 동안 무수 CH2Cl2 (5 mL) 중에서 염화아세틸 (0.14 mmol) 및 트리에틸아민 (1.43 mmol)로 처리하여, 농축시켜, 분취용 TLC (실리카 상에서 10% MeOH/CH2Cl2)로 정제하여, 담황색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29
실시예 30
1-에틸-3-[4-(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페닐]-우레아
Figure 112008048437075-PCT00130
실시예 32의 생성물 (0.12 mmol)을 주위 온도에서 18 시간 동안 무수 CH2Cl2 (5 mL) 중에서 이소시안산에틸 (0.19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72 mmol)로 처리하여, 농축시켜, 분취용 TLC (실리카 상에서 10% MeOH/CH2Cl2 후에, 7.5% MeOH/CH2Cl2)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31
실시예 31
3-(6-메톡시-피리딘-3-일메틸)-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132
실시예 31: 단계 a
(6-메톡시-피리딘-3-일)-메탄올
Figure 112008048437075-PCT00133
무수 메탄올 (60 mL) 중의 메틸 6-메톡시-니코티네이트 (50 mmol)의 용액을 0℃에서 수소화붕소나트륨 (122 mmol)으로 처리하여, 주위 온도로 18 시간 동안 가온한 다음에, 6 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불완전한 반응생성물을 진공하에 농축 건조시켜, 무수 1,4-디옥산 (70 mL)에 용해시키고, 수소화붕소나트륨 (122 mmol)으로 처리하여, 18 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주위 온도로 냉각한 후에, 반응물을 메탄올로 켄칭하여 (quenching), 조 (coarse) 글래스 프릿을 통해 여과하고, 고체를 메탄올로 세정하여, 여액을 농축시켰다. 잔사를 반복해서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여과시켜, 고체가 남아있지 않을 때까지 진공하에서 농축시킨 다음에, 10% MeOH/CH2Cl2로 트리튜레이션하여, 여과시켜, 농축시켰다. 그 다음에, 불순한 생성물을 실리카 겔에 흡착시키고, 실리카 겔의 9.5 × 5.5 cm 플러그에 부어, 0 내지 15% MeOH/CHCl3의 그래디언트로 용리하고, 순수한 분획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담황색 오일로서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34
실시예 31: 단계 b
황산 6-메톡시-피리딘-3-일메틸 에스테르 메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48437075-PCT00135
바로 전단계의 생성물 (31.3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30 mL) 및 트리에틸아민 (6.5 mL)에 용해시키고, 주위 온도에서 염화메탄술포닐 (38.7 mmol)로 적하하여 처리하여, 반응물을 2 일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수세하고, 수층을 CH2Cl2로 3회 추출하여,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로 건조시켜, 여과하여, 여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황색 오일로서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36
실시예 31: 단계 c
(6-메톡시-피리딘-3-일)-아세토니트릴
Figure 112008048437075-PCT00137
바로 전단계의 생성물 (17.0 mmol)을 무수 아세토니트릴 (35 mL)에 용해시키고, 시안화나트륨 (41.6 mmol)으로 처리하여, 2 일간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물을 진공하에 농축 건조시켜, 조생성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그래디언트 용리, 0 내지 30% EtOAc/CHCl3)로 정제하고, 순수한 칼럼 분획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백색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38
실시예 31: 단계 d
(6-메톡시-피리딘-3-일)-아세트산
Figure 112008048437075-PCT00139
바로 전단계의 생성물 (14.2 mmol)을 시약 에탄올 (35 mL)에 용해시키고, 물 (35 mL) 중의 수산화칼륨 (56.7 mmol)의 용액으로 처리하여, 20 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물을 진공하에 농축 건조시켜, 잔사를 물에 용해시키고, 10% v/v HCl 수용액으로 pH 5로 산성화시켜, 다시 진공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조생성물을 10% MeOH/CHCl3로 트리튜레이션하고, 여과시켜, 여액을 진공하에서 하룻밤 동안 농축 건조시켜, 고 흡습성 담황색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40
실시예 31: 단계 e
(6-메톡시-피리딘-3-일)-아세트산메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48437075-PCT00141
바로 전단계의 생성물 (7.88 mmol)을 아르곤하에 무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10℃로 냉각시켜, 시린지를 통해 염화티오닐 (20.5 mmol)로 처리하였다. 주위 온도로 가온하여, 하룻밤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잔사를 CH2Cl2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NaHCO3 포화 수용액 및 염수로 세정하여,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여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담황색 오일로서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42
실시예 31: 단계 f
(6-메톡시-피리딘-3-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Figure 112008048437075-PCT00143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7: 단계 b의 방법에 의해 바로 전단계의 생성물 (5.34 mmol)로부터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44
실시예 31: 단계 g
3-(6-메톡시-피리딘-3-일메틸)-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145
표제 화합물을 바로 전단계의 생성물 (1.40 mmol) 및 3-클로로-6-티오펜-2-일-피리다진 (0.58 mmol)으로부터 담황색 고체로서 실시예 1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46
실시예 32
5-(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1H-피리딘-2-온
Figure 112008048437075-PCT00147
바로 전 실시예의 생성물 (0.23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10 mL)에 용해시키고, CH2Cl2 중의 1 N 삼브롬화붕소 용액 (4.0 mL)으로 처리하여, 2 일간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물을 진공하에 농축 건조시켜, EtOAc에 용해시키고, NaHCO3 수용액 및 NaCl로 추출하였다. 합한 수층을 진공하에 농축 건조시켜, 10% MeOH/CH2Cl2로 트리튜레이션하여, 여과하고, 증발된 여액을 분취용 TLC (실리카 상에서 15% MeOH/CH2Cl2)로 정제하여, 담황색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48
실시예 33
3-피리딘-4-일메틸-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149
표제 화합물을 4-피리딘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1.81 mmol) 및 3-클로로-6-티오펜-2-일-피리다진 (0.58 mmol)로부터 담황색 고체로서 실시예 1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50
실시예 34
3-(1-옥시-피리딘-4-일메틸)-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151
바로 전 실시예의 생성물 (0.20 mmol)을 0℃에서 CHCl3 중의 3-클로로퍼옥시벤조산 (0.26 mmol)으로 처리하여, 5 시간에 걸쳐서 실온으로 가온하고, NaHCO3, 수용액, 물, 및 염수로 세정하하여, 합한 수층을 CH2Cl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증발된 여액을 분취용 TLC (실리카 상에서 10% MeOH/CH2Cl2)로 정제하여, 담황색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52
실시예 35
3-벤조푸란-5-일메틸-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153
실시예 35: 단계 a
5-브로모메틸-벤조푸란
Figure 112008048437075-PCT00154
N-브로모숙신이미드 (5.0 mmol)를 사염화탄소 (100 mL) 중의 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아세트산 (5.0 mmol) 및 과산화벤조일 (1O mg)의 용액에 가해, 3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여과하여 농축시켰다. 생성물을 아세트산에틸:헥산 (2:1)으로 재결정하여, 백색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55
실시예 35: 단계 b
벤조푸란-5-일-아세트산
Figure 112008048437075-PCT00156
N-브로모숙신이미드 (0.89 g, 5.0 mmol)를 사염화탄소 (100 mL) 중의 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아세트산 (0.89 g, 5.0 mmol) 및 과산화벤조일 (1O mg)의 용액에 가해, 3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여과하여 농축시켰다. 생성물을 아세트산에틸:헥산 (2:1)으로 재결정하여, 백색 고체 0.39 g (44%)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57
실시예 35: 단계 c
벤조푸란-5-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Figure 112008048437075-PCT00158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7: 단계 b의 방법에 의해 바로 전단계의 생성물 (1.15 mmol)로부터 황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59
실시예 35: 단계 d
3-벤조푸란-5-일메틸-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160
표제 화합물을 바로 전단계의 생성물 (0.63 mmol) 및 3-클로로-6-티오펜-2-일-피리다진 (0.34 mmol)으로부터 담황색 고체로서 실시예 1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61
실시예 36
3-벤조[b]티오펜-5-일메틸-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실시예 36: 단계 a
벤조[b]티오펜-5-일-아세트산
Figure 112008048437075-PCT00163
표제 화합물을 사염화탄소 중의 NBS로 처리된 5-메틸벤조티오펜에 의해 제조한 다음에, DMF 중의 시안화나트륨으로 처리하여, 에탄올 중에서 수산화나트륨 수 용액으로 환류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64
실시예 36: 단계 b
벤조[b]티오펜-5-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Figure 112008048437075-PCT00165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7: 단계 b의 방법에 의해 바로 전단계의 생성물 (1.08 mmol)로부터 황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66
실시예 36: 단계 c
3-벤조[b]티오펜-5-일메틸-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167
표제 화합물을 바로 전단계의 생성물 (0.53 mmol) 및 3-클로로-6-티오펜-2-일-피리다진 (0.26 mmol)으로부터 담황색 고체로서 실시예 1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68
실시예 37
3-벤조[1,3]디옥솔-5-일메틸-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169
실시예 37: 단계 a
벤조[1,3]디옥솔-5-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Figure 112008048437075-PCT00170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7: 단계 b의 방법에 의해 3,4-(메틸렌디옥시)-페닐아세트산 (1.74 mmol)으로부터 연분홍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71
실시예 37: 단계 b
3-벤조[1,3]디옥솔-5-일메틸-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172
표제 화합물을 바로 전단계의 생성물 (0.39 mmol) 및 3-클로로-6-티오펜-2-일-피리다진 (0.21 mmol)으로부터 백색 고체로서 실시예 1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73
실시예 38
6-(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벤조티아졸-2-일아민
Figure 112008048437075-PCT00174
실시예 38: 단계 a
(2-아미노-벤조티아졸-6-일)-아세트산에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48437075-PCT00175
무수 에탄올 (10 mL) 중의 (2-아미노-벤조티아졸-6-일)-아세트산 (0.61 mmol, Meyer et al. in J. Med. Chem. 1997, 40, 1060에 의해 제조됨)의 용액을 진 한 H2SO4 3 방울 및 무수 4 Å 분자체 약 1 g으로 처리하여, 3 일간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물을 진공하에 농축 건조시켜, CH2Cl2와 포화 NaHCO3 수용액에 분배하고, 여과하여, 상분리를 행하였다. 수층을 CH2Cl2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정하여, Na2SO4로 건조시켜,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황색 고체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76
실시예 38: 단계 b
(2-아미노-벤조티아졸-6-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Figure 112008048437075-PCT00177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7: 단계 b의 방법에 의해 바로 전단계의 생성물 (0.40 mmol)로부터 황색 고체로서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78
실시예 38: 단계 c
6-(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벤조티아졸-2-일아민
Figure 112008048437075-PCT00179
표제 화합물을 바로 전단계의 생성물 (0.36 mmol) 및 3-클로로-6-티오펜-2-일-피리다진 (0.22 mmol)으로부터 황색 고체로서 실시예 1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80
실시예 39
6-(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181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82
실시예 40
3-(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메틸)-6-(5-모르폴린-4-일메틸-푸란-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183
실시예 40: 단계 a
6-클로로-3-(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184
(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633 mg, 3.3 mmol) 및 3,6-디클로로피리다진 (Aldrich, 447 mg, 3.0 mmol)을 혼합하여, 부탄올 (120 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120℃로 가열시켰다. 반응 혼합물은 황변하여 흐리게 변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에, 반응물을 여과하고, MeOH로 세정하여, 황갈색 고체로서의 원하는 생성물 (816 mg, 95%)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85
실시예 40: 단계 b
5-[3-(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푸란-2-카브알데히드
Figure 112008048437075-PCT00186
실시예 1에 기재된 스즈키 크로스 커플링에 대한 일반적인 절차를 2-카브알데히드-푸란-5-보론산 (24 mg, 0.7 mmol) 및 6-클로로-3-(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41 mg, 0.14 mmol)을 사용하여 행하였다. ESI-MS (m/z): C19H14N4O3에 대한 계산치: 347.2; 실측치: 346.11 (M+H).
실시예 40: 단계 c
3-(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메틸)-6-(5-모르폴린-4-일메틸-푸란-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187
5-[3-(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푸란-2-카브알데히드 (21.6 mg, 0.06 mmol), 모르폴린 (6.5 ㎕, 0.07 mmol) 및 AcOH (2 방울)을 DCM (1 mL)에서 혼합하였다. 이것에 트리아세톡시수소화붕소나트륨 (19 mg, 0.09 mmol)을 가해, 반응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HPLC (35 분간에 걸쳐서 5 내지 65% CH3CN)로 정제하여,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 (5.9 mg, 27%)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88
실시예 41
3-(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메틸)-6-(3-메톡시-피리딘-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189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90
실시예 42
3-(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메틸)-6-(5-모르폴린-4-일메틸-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191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92
실시예 43
6-(6-이미다졸-1-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193
6-(6-클로로-[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이미다졸, 및 탄산칼륨의 혼합물을 DMF (3 mL) 중에서 100℃에서 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Cl 수용액 (0.5 N)을 가해, 휘발물을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HPLC (45 분간에 걸쳐서 5 내지 35% B)로 정제하여, TFA 염으로서의 생성물을 얻었다. 잔사를 1 N HCl 수용액 (5 mL)에 용해시키고, 휘발물을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2회 반복 후에, 생성물-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글래스상 고체 (53 mg, 44% 수율)를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94
실시예 44
6-[6-(4-브로모-이미다졸-1-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195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96
실시예 45
4-(6-이미다졸-1-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페놀
Figure 112008048437075-PCT00197
실시예 45: 단계 a
4-(6-클로로-[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페놀
Figure 112008048437075-PCT00198
(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10 g, 0.06 mol) 및 3,6-디클로로피리다진 (Aldrich, 8.96 g, 0.06 mol)을 혼합하여, 부탄올 (120 mL)에 용해시 켰다. 반응 혼합물을 100℃로 하룻밤 동안 가열시켰다. 반응 혼합물은 황변하여 흐리게 변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에, 반응물을 여과하고, MeOH로 세정하여, 황갈색 고체로서의 원하는 생성물 (11.5 g, 36%)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199
실시예 45: 단계 b
4-(6-이미다졸-1-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페놀
Figure 112008048437075-PCT00200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3에 기재된 바와 같이, 4-(6-클로로-[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페놀 (실시예 45: 단계 a) 및 이미다졸로부터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01
실시예 46
4-(6-피라졸-1-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페놀
Figure 112008048437075-PCT00202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03
실시예 47
(4-메틸-피페라진-1-일)-[5-(3-퀴놀린-6-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티오펜-일]-메탄온
Figure 112008048437075-PCT00204
실시예 47: 단계 a
6-(6-클로로-[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205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06
실시예 47: 단계 b
5-(3-퀴놀린-6-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티오펜-2-카 복실산에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48437075-PCT00207
실시예 47: 단계 a에서 제조된 6-(6-클로로-[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625 mg, 2.11 mmol) 및 Pd(PPh3)4 (120 mg, 0.10 mmol)를 포함하는 플라스크에, 아르곤하에서 5-에톡시카보닐티오페닐-2-브롬화아연 (THF 중의 0.5 M, 12.7 mL, 6.35 mmol)을 가하였다. 용액을 68℃로 3 시간 동안 가열하고, 그 동안에 출발물질이 LC-MS로 소모되었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메탄올 (5 mL)에 이어서 3 N HCl (6 mL)를 가해 켄칭하였다. 추가의 메탄올 (5 mL) 및 이소프로판올 (5 mL)을 교반하면서 가한 후, 2 N NaOH로 pH ∼8로 조절하였다.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ppt를 수집하여, 아연염으로 오염된 표제 화합물 (480 mg, 54%)을 얻었다. 이 물질을 추가의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08
실시예 47: 단계 c
(4-메틸-피페라진-1-일)-[5-(3-퀴놀린-6-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티오펜-일]-메탄온
Figure 112008048437075-PCT00209
THF (4 mL) 및 MeOH (2 mL) 중의 실시예 47: 단계 b에서 제조된 5-(3-퀴놀린-6-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티오펜-2-카복실산에틸 에스테르 (100 mg, 0.24 mmol)의 현탁액에 2 N NaOH (0.25 mL, 0.5 mmol)를 가해, 혼합물을 어둡게 하나, 더욱 균일하게 하였다.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1 N HCl를 가해 pH ∼2로 되게 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여 잔사를 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켰다. 잔사에 HBTU (114 mg, 0.3 mmol) 및 HOBt (70 mg, 0.5 mmol)를 가한 후에, DMF (3 mL)르 가하였다. DIEA (265 ㎕, 1.5 mmol)를 교반 현탁액에 가해, 균일성을 향상시켰다. 30 분간 교반한 후에, 1-메틸피페라진 (110 ㎕, 1 mmol)을 가해, 반응물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1 mL)을 가해, 휘발성 성분을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잔사를 RP-HPLC (45 분간에 걸쳐서 5 내지 35% B)로 정제하였다. 생성물-TFA 염을 1:1 MeOH/2 N HCl (15 mL)에 3회 용해시키고 농축시켜, 담황색 고체로서의 생성물-염산염 (41 mg, 36%)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10
실시예 48
5-[3-(4-하이드록시-벤질)-[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티오펜- 2-카복실산에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48437075-PCT00211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12
실시예 49
5-[3-(4-하이드록시-벤질)-[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티오펜-2-카복실산 (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Figure 112008048437075-PCT00213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14
실시예 50
{5-[3-(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 진-6-일]-티오펜-2-일}-(4-메틸-피페라진-1-일)-메탄온
Figure 112008048437075-PCT00215
실시예 50: 단계 a
5-[3-(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티오펜-2-카복실산에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48437075-PCT00216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17
실시예 50: 단계 b
{5-[3-(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티오펜-2-일}-(4-메틸-피페라진-1-일)-메탄온
Figure 112008048437075-PCT00218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19
실시예 51
5-[3-(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티오펜-2-카복실산 비스-(2-메톡시-에틸)-아미드
Figure 112008048437075-PCT00220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21
실시예 52
5-[3-(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티오펜-2-카복실산 (2-모르폴린-4-일-에틸)-아미드
Figure 112008048437075-PCT00222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23
실시예 53
5-[3-(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티오펜-2-카복실산 (3-메틸-부틸)-아미드
Figure 112008048437075-PCT00224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25
실시예 54
(1,1-디옥소-1λ6-티오모르폴린-4-일)-[5-(3-퀴놀린-6-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티오펜-2-일]-메탄온
Figure 112008048437075-PCT00226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27
실시예 55
(4-이소프로필-피페라진-1-일)-[5-(3-퀴놀린-6-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티오펜-2-일]-메탄온
Figure 112008048437075-PCT00228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29
실시예 56
(4-메탄술포닐-피페라진-1-일)-[5-(3-퀴놀린-6-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티오펜-2-일]-메탄온
Figure 112008048437075-PCT00230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31
실시예 57
6-[디플루오로-(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232
실시예 57: 단계 a
옥소-퀴놀린-6-일-아세트산메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48437075-PCT00233
디옥산 (30 mL) 중의 메틸 6-퀴놀린아세테이트 (1.2 g, 6 mmol)의 용액에, 이산화셀렌 (1.65 g, 15 mmol)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3일간 가열 환류시켜,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여, 농축시켰다. 잔사를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 내지 클로라이드 중의 5% 아세트산에틸)로 백색 고체 (0.75 g, 58%)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34
실시예 57: 단계 b
디플루오로-퀴놀린-6-일-아세트산메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48437075-PCT00235
0℃에서 염화메틸렌 (20 mL) 중의 옥사-퀴놀린-6-일-아세트산메틸 에스테르 (0.72 g, 3.3 mmol)의 용액에, (디메틸아미노)황 트리플루오라이드 (mL, 41 mmol)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일간 교반하고, 얼음에 부어, 염화메틸렌 (50 mL × 3)로 추출하였다. 염화메틸렌 용액을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로 건조시켜, 여과하여, 농축시켰다. 잔사를 크로마토그래피 (염화메틸렌 중의 0 내지 10% 아세트산에틸)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 (0.68 g, 87%)를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36
실시예 57: 단계 c
디플루오로-퀴놀린-6-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Figure 112008048437075-PCT00237
메탄올 (20 mL) 중의 디플루오로-퀴나졸린-6-아세트산메틸 아세테이트 (670 mg, 2.83 mmol)의 용액에, 무수 히드라진 (2 mL)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키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농축시키고, 고 진공하에 건조시켜, 연한 오렌지색 고체 (680 mg, 100%)를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38
실시예 57: 단계 d
6-[디플루오로-(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239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 단계 b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40
실시예 58
3-[디플루오로-(4-메톡시-페닐)-메틸]-6-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241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42
실시예 59
6-[디플루오로-(6-피리딘-3-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243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44
실시예 60
6-[디플루오로-(6-피리딘-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 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245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46
실시예 61
6-{디플루오로-[6-(1-메틸-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247
실시예 61: 단계 a
6-요오도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248
디옥산 (15 mL) 중의 요오드화나트륨 (4.32 g, 28.8 mmol), 요오드화구리(I) (137 mg, 0.72 mmol) 및 N,N'-디메틸-사이클로헥산-1,2-디아민 (0.227 mL, 1.44 mmol) 및 6-브로모퀴놀린 (3 g, 14.4 mmol)을 25 mL 마이크로파관에 주입하였다. 마이크로파관을 질소로 플러싱하여, 테플론 셉텀 (septum)으로 밀봉시키고, 질소를 용액 중에서 10 분간 버블링하여, 가스를 니들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니들을 제거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110℃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에, 그린 현탁액을 실온에 이르게 하고, 빙수에 부어,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수집하여,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여,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조혼합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CH2Cl2 100% 및 CH2Cl2/MeOH : 95/5로 크로마토그래프로 분석하여, 담황색 고체로서의 6-요오도퀴놀린을 3.56 g (97%)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49
실시예 61: 단계 b
디플루오로-퀴놀린-6-일-애시드에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48437075-PCT00250
무수 DMSO (97 mL) 중의 6-요오도퀴놀린 (10.2 g, 40 mmol) 및 구리 (0) (나노분말, 5.59 g, 88 mmol)의 현탁액에, 에틸 브로모디플루오로아세테이트 8.93 g (44 mmo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하에 55℃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 이르게 하여, 혼합물을 염화암모늄 용액에 부었다. 아세트산에틸을 가해, 얻어진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유기층을 수집하여,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여,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조혼합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CH2Cl2 100% 및 CH2Cl2/MeOH : 95/5로 크로마토그래프로 분석하여, 담황색 오일로서의 디플루오로-퀴놀린-6-일-아세트산에틸 에스테르를 5.07 g (50%)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51
실시예 61: 단계 c
디플루오로-퀴놀린-6-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Figure 112008048437075-PCT00252
메탄올 (85 mL) 중의 디플루오로-퀴놀린-6-일-아세트산에틸 에스테르 (5.5 g, 21.9 mmol)의 용액에, 히드라진 수화물 (5.3 mL, 109.5 mmol)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45℃로 10 분간 가열하여, 실온으로 냉각하고, 농축시켜,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켰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연한 오렌지색 고체 (4.4 g, 85%)를 얻었다.
실시예 61: 단계 d
3-클로로-6-(1-메틸-1H-피라졸-4-일)-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253
플라스크에 3,6-디클로로피리다진 (Aldrich, 23.91 g, 160.5 mmol), 1-메틸-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H-피라졸 (20 g, 96 mmol), 2.0 M Na2CO3 (96 mL) 및 디옥산 (65 mL)을 주입하였다. 질소를 반응물을 통해 60 초간 버블링한 다음에, 디클로로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 (6.75 g, 9.6 mmol)을 가하였다. 반응물을 80℃로 하룻밤 동안 가열시킨 다음에, AcOEt 및 K2CO3 용액을 사용하여 수성 워크업을 행하였다.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한 후에, 유기층을 건조시켜 (MgSO4),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화합물 (10.2 g)의 제 1 반응물을 용매 (디클로로메탄)에서 결정화하여 얻었다. 여액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CH2Cl2 100% 및 CH2Cl2/MeOH : 95/5)로 정제하였다. 2개의 분획을 수집하고,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여, 황색 고체 (12.7 g, 68%)로서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61: 단계 e
6-(디플루오로-[6-(1-메틸-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254
n-부탄올 (125 mL) 중의 3-클로로-6-(1-메틸-1H-피라졸-4-일)-피리다진 (단계 d) (4.57 g, 23.6 mmol) 및 디플루오로-퀴놀린-6-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단계 c) (5.60 g, 23.6 mmol)의 혼합물을 130℃로 하룻밤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한 다음에, AcOEt 및 K2CO3 용액을 사용하여 수성 워크업을 행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켜 (MgSO4),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시 칼럼 크 로마토그래피 (제 1 크로마토그래피: CH2Cl2 100% 및 CH2Cl2/MeOH : 88/12에 이어서, 톨루엔/iPrOH/NH4OH : 85/15/2로 다른 칼럼으로 행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5.5 g, 62%)을 얻었다. M.P. = 199.7℃
실시예 61: 염산염의 합성
MeOH (5 mL) 중의 6-(디플루오로-[6-(1-메틸-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1 g (2.65 mmol)에, 이소프로판올 중의 HCl 2 mL를 적가하였다 (5 내지 6 N). 침전물을 여과하여, 진공하에 건조시켜, 염산염 (C19H13F2N7, 1.30 HCl, 0.60 H2O) 1.01 g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55
또는,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56
실시예 62
3-(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메틸)-6-(1-메틸-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257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58
실시예 63
6-[6-(1-메틸-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1-옥사이드
Figure 112008048437075-PCT00259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60
실시예 64
6-(6-피리미딘-5-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261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62
실시예 65
6-(6-퀴놀린-3-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263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64
실시예 66
6-[디플루오로-(6-퀴놀린-3-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265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66
실시예 67
2-클로로-6-(6-피리딘-3-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267
실시예 67: 단계 a
(1-하이드록시-퀴놀린-6-일)-아세트산메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48437075-PCT00268
m-퍼클로로벤조산 (6.85 g, 39.8 mmol)을 실온에서 1,2-디메톡시에탄 중의 시판용 퀴놀린-6-일-아세트산메틸 에스테르 (5.00 g, 24.8 mmol)의 용액에 가해,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가해, 용액을 포화 탄산칼륨으로 pH 9 내지 10으로 염기성화하고, 생성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여, (1-하이드록시-퀴놀린-6-일)-아세트산메틸 에스테르를 정량적 수율로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69
실시예 67: 단계 b
(2-클로로-퀴놀린-6-일)-아세트산메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48437075-PCT00270
(1-하이드록시-퀴놀린-6-일)-아세트산메틸 에스테르 (1.O g, 4.61 mmol)을 옥시염화인 (3O mL) 중에서 25 분간 환류시켰다. 과잉량의 옥시염화인을 증발시키고, 포화 중탄산나트륨을 가해, 조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수회 추출하였다. 생성물을 헥산:아세트산에틸 (1:1) 중에서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2-클로로-퀴놀린-6-일)-아세트산메틸 에스테르 0.219 g (20%)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71
실시예 67: 단계 c
(2-클로로-퀴놀린-6-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Figure 112008048437075-PCT00272
(2-클로로-퀴놀린-6-일)-아세트산메틸 에스테르 (0.160 g, 0.679 mmol), 히드라진 (0.218 g, 6.79 mmol) 및 메탄올 (3 mL)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증발시켜, (2-클로로-퀴놀린-6-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를 얻었다. 이 화합물을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73
실시예 67: 단계 d
2-클로로-6-(6-피리딘-3-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274
(2-클로로-퀴놀린-6-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0.030 g, 0.127 mmol) 및 3-클로로-6-피리딘-3-일-피리다진 (0.024 g, 0.127 mmol)을 부탄올 (0.5 mL) 중에서 수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하여, 여과시켰다. 여액을 수중의 아세토니트릴 (0.1% TFA)로 용리하는 C18 칼럼 상에서 역상 HPLC를 통해 정제하여, 2-클로로-6-(6-피리딘-3-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0.017 g (35%)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75
실시예 68
3-(4-메톡시-벤질)-6-(6-피리딘-3-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 일메틸)-3H-퀴나졸린-4-온
Figure 112008048437075-PCT00276
실시예 68: 단계 a
6-요오도-3H-퀴나졸린-4-온
Figure 112008048437075-PCT00277
2-아미노-5-요오도-벤조산 (5.00 g, 19.0 mmol) 및 포름아미드 (3.43 g, 76.0 mmol)의 용액을 150℃로 4 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에,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물을 가해, 용액을 여과하고, 수회 수세하여, 6-요오도-1H-퀴나졸린-4-온 3.6 g (70%)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78
실시예 68: 단계 b
6-요오도-3-(4-메톡시-벤질)-3H-퀴나졸린-4-온
Figure 112008048437075-PCT00279
6-요오도-1H-퀴나졸린-4-온 (0.50 g, 1.84 mmol)을 THF (1O mL) 중의 수소화 나트륨 (0.110 g, 2.76 mmol)의 용액에 가해,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클로메틸-4-메톡시-벤젠 (0.345 g, 2.21 mmol)을 가해, 반응물을 수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가해, 조생성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여, 진공하에 증발시켰다. 생성물을 헥산:아세트산에틸 (4:1) 중에서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통해 정제하여, 6-요오도-3-(4-메톡시-벤질)-3H-퀴나졸린-4-온 0.69 g (96%)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80
실시예 68: 단계 c
2-[3-(4-메톡시-벤질)-4-옥소-3,4-디하이드로-퀴나졸린-6-일]-말론산디에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48437075-PCT00281
THF (1O mL) 중의 6-요오도-3-(4-메톡시-벤질)-3H-퀴나졸린-4-온 (0.69 g, 1.75 mmol), 말론산디에틸 에스테르 (0.56 g, 3.49 mmol), 요오드화구리 (0.0l6 g, 0.090 mmol), 비페닐-2-올 (0.029 g, 0.175 mmol) 및 탄산세슘 (0.86 g, 2.63 mmol)의 용액을 밀폐관에서 7O℃로 24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그 다음에,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포화 중탄산나트륨을 가해, 조생성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생성물을 헥산:아세트산에틸 (1:1) 중에서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를 통해 정제하여, 2-[3-(4-메톡시-벤질)-4-옥소-3,4-디하이드로-퀴나졸린-6-일]-말론산디에틸 에스테르 0.51 g (69%)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82
실시예 68: 단계 d
[3-(4-메톡시-벤질)-4-옥소-3,4-디하이드로-퀴나졸린-6-일]-아세트산메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48437075-PCT00283
수산화나트륨 [2 N] (0.59 mL)을 메탄올 (5 mL) 중의 2-[3-(4-메톡시-벤질)-4-옥소-3,4-디하이드로-퀴나졸린-6-일]-말론산디에틸 에스테르 (0.250 g, 0.590 mmol)의 용액에 가해, 실온에서 수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에, 조반응물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1 N HCl을 가하고, 생성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여, [3-(4-메톡시-벤질)-4-옥소-3,4-디하이드로-퀴나졸린-6-일]-아세트산메틸 에스테르 0.141 g을 얻었다. 이것을 톨루엔/메탄올 [8/1] (3 mL)의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트리메틸실릴디아조메탄 [2.0 M] (0.22 mL)을 실온에서 가해, 버블링이 멈출 때까지 교반하였다. 그 다음에 반응물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헥산:아세트산에틸 (1:1) 중에서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3-(4-메톡시-벤질)-4-옥소-3,4- 디하이드로-퀴놀린-6-일]-아세트산메틸 에스테르 0.119 g (60%)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LCMS, ESI pos.): C19H18N2O4에 대한 계산치: 339.1; 실측치: 340.1 (M+H).
실시예 68: 단계 e
[3-(4-메톡시-벤질)-4-옥소-3,4-디하이드로-퀴나졸린-6-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Figure 112008048437075-PCT00284
[3-(4-메톡시-벤질)-4-옥소-3,4-디하이드로-퀴나졸린-6-일]-아세트산메틸 에스테르 (0.050 g, 0.148 mmol) 및 히드라진 (0.047 g, 0.148 mmol)을 메탄올 (5 mL) 중에서 50℃에서 수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에,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여과하여, [3-(4-메톡시-벤질)-4-옥소-3,4-디하이드로-퀴나졸린-6-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0.030 g (60%)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85
실시예 68: 단계 f
3-(4-메톡시-벤질)-6-(6-피리딘-3-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3H-퀴나졸린-4-온
Figure 112008048437075-PCT00286
[3-(4-메톡시-벤질)-4-옥소-3,4-디하이드로-퀴나졸린-6-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0.024 g, 0.071 mmol) 및 3-클로로-6-피리딘-3-일-피리다진 (0.012 g, 0.063 mmol)을 부탄올 (0.5 mL) 중에서 130℃로 수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화합물을 수중의 아세토니트릴 (0.1% TFA)로 용리하는 C18 칼럼 상에서 역상 HPLC로 정제하여, 3-(4-메톡시-벤질)-6-(6-피리딘-3-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3H-퀴나졸린-4-온 0.016 g (53%)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87
실시예 69
6-(6-피리딘-3-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3H-퀴나졸린-4-온
Figure 112008048437075-PCT00288
3-(4-메톡시-벤질)-6-(6-피리딘-3-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3H-퀴나졸린-4-온 (0.010 mg, 0.021 mmol)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 mL) 및 아니솔 (0.1 mL)로 처리하여, 90℃로 18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화합물을 수중의 아세토니트릴 (0.1% TFA)로 용리하는 C18 칼럼 상에서 역상 HPLC로 정제하여, 6-(6-피리딘-3-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3H-퀴나졸린-4-온 0.0026 g (35%)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89
실시예 70
6-[6-(1-메틸-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나졸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290
실시예 70: 단계 a
2-퀴나졸린-6-일-말론산디에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48437075-PCT00291
THF (5 mL) 중의 6-요오도-퀴나졸린 (0.500 g, 1.95 mmol), 말론산디에틸 에 스테르 (0.93 g, 5.81 mmol), 요오드화구리 (0.019 g, 0.097 mmol), 비페닐-2-올 (0.033 g, 0.195 mmol) 및 탄산세슘 (0.953 g, 2.93 mmol)의 용액을 밀폐관에서 7O℃로 24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그 다음에,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포화 염화암모늄을 가해, 조생성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생성물을 헥산:아세트산에틸 (1:1) 중에서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2-퀴나졸린-6-일-말론산디에틸 에스테르 0.39 g (80%)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92
실시예 70: 단계 b
퀴나졸린-6-일-아세트산
Figure 112008048437075-PCT00293
수산화나트륨 [2 M] (0.77 mL)을 메탄올 (10 mL) 중의 2-퀴나졸린-6-일-말론산디에틸 에스테르 (0.20 g, 0.77 mmol)의 용액에 가해, 실온에서 수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증발시키고, 아세트산에틸을 가한 다음에, 화합물이 오렌지색 층이 될 때까지 1 N HCl을 적가하였다. 유기층을 증발시켜, 퀴나졸린-6-일-아세트산 0.123 g (85%)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94
실시예 70: 단계 c
퀴나졸린-6-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Figure 112008048437075-PCT00295
퀴나졸린-6-일-아세트산 (0.025 g, O.133 mmol), 염화티오닐 (O.1 mL) 및 메탄올 (2 mL)의 용액을 60℃로 6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수회 증발시켜, 퀴나졸린-6-일-아세트산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이것을 메탄올 (2 mL) 및 히드라진 (0.061 mL)의 용액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수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물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퀴나졸린-6-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를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96
실시예 70: 단계 d
6-[6-(1-메틸-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나졸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297
퀴나졸린-6-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0.032 g, 0.158 mmol) 및 3-클로로-6-(1-메틸-1H-피라졸-4-일)-피리다진 (0.031 g, 0.158 mmol)을 부탄올 (2 mL) 중에서 165℃로 5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하여, 진공하에 증발 시키고, 디클로로메탄 중의 5% 메탄올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6-[6-(1-메틸-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4,3-bl피리다진-3-일메틸]-퀴나졸린 0.0031 g (7%)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298
실시예 71
6-[6-(1-메틸-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녹살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299
실시예 71: 단계 a
6-요오도-퀴녹살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300
4-요오도-벤젠-1,2-디아민 (0.46 g, 1.96 mmol), 에탄디알 [수중의 40%] (2.25 mL), 아세트산 (1 mL) 및 에탄올 (2O mL)의 용액을 100℃로 수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에,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물을 가해, 조생성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생성물을 헥산:아세트산에틸 (1:1)으로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6-요오도-퀴녹살린 0.323 g (64%)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01
실시예 71: 단계 b
퀴녹살린-6-일-아세트산
Figure 112008048437075-PCT00302
THF (5 mL) 중의 6-요오도-퀴녹살린 (0.323 g, 1.26 mmol), 말론산디에틸 에스테르 (0.404 g, 2.52 mmol), 요오드화구리 (0.012 g, 0.063 mmol), 비페닐-2-올 (0.021 g, 0.126 mmol) 및 탄산세슘 (0.616 g, 1.89 mmol)의 용액을 밀폐관에서 70℃로 24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그 다음에,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물을 가해, 조생성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생성물을 헥산:아세트산에틸 (1:1) 중에서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2-퀴녹살린-6-일-말론산디에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2-퀴녹살린-6-일-말론산디에틸 에스테르 (0.066 g, 0.229 mmol)을 메탄올 (2 mL) 중의 수산화나트륨 [2 N] (0.229 mL)의 용액에 가해, 실온에서 수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에, 반응물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1 N HCl을 가하고, 생성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여, 퀴녹살린-6-일-아세트산 0.030 g (70%)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03
실시예 71: 단계 c
퀴녹살린-6-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Figure 112008048437075-PCT00304
트리메틸실릴디아조메탄 [헥산 중의 2.0 M] (0.08 mL)을 톨루엔/메탄올 [8/1] (0.5 mL) 중의 퀴녹살린-6-일-아세트산 (0.030 g, 0.159 mmol)의 용액에 적가하여, 버블링이 멈출 때까지 교반하였다. 그 다음에, 반응물을 증발시키고, 조생성물을 헥산:아세트산에틸 (1:1) 중에서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퀴녹살린-6-일-아세트산메틸 에스테르 0.013 g을 얻었다. 이것을 메탄올 중의 히드라진 용액 (0.10 mL)에 가해,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퀴녹살린-6-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0.019 g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05
실시예 71: 단계 d
6-[6-(1-메틸-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녹살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306
퀴녹살린-6-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0.019 g, 0.094 mmol) 및 3-클로로- 6-(1-메틸-1H-피라졸-4-일)-피리다진 (0.018 g, 0.094 mmol)을 부탄올 (2 mL) 중에서 125℃로 4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진공하에 증발시켜, 디클로로메탄 중의 5% 메탄올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6-[6-(1-메틸-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녹살린 0.0029 g (15%)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07
실시예 72
6-(6-벤조[b]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308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09
실시예 73
6-[6-(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1-올
Figure 112008048437075-PCT00310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11
실시예 74
6-[6-(5-메틸-4,5-디하이드로-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312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13
실시예 75
3-[4-(3-퀴놀린-6-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피라졸-1-일]-프로판-1-올
Figure 112008048437075-PCT00314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15
실시예 76
6-[6-(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316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17
실시예 77
6-[6-(5-클로로-4,5-디하이드로-티오펜-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318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19
실시예 78
6-[6-(3H-벤조트리아졸-5-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320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21
실시예 79
6-[6-(2-메틸-3H-벤조이미다졸-5-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322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23
실시예 80
6-[6-(1H-인돌-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324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25
실시예 81
6-(6-벤조푸란-2-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326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27
실시예 82
3-(2-메틸-벤조티아졸-6-일메틸)-6-(1-메틸-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328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29
실시예 83
5-(3-퀴놀린-6-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니코티노니 트릴
Figure 112008048437075-PCT00330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31
실시예 84
6-[6-(1H-인돌-5-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332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33
실시예 85
6-[6-(1-메틸-1H-인돌-5-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 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334
바로 전 실시예의 생성물 (0.074 g, 0.197 mmol)을 아르곤하에서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에 용해시키고, 광유 중의 60% 수소화나트륨 (0.014 g, 0.350 mmol)으로 처리하여, 주위온도에서 20 분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시린지를 통해 요오도메탄 (0.020 mL, 0.320 mmol)으로 처리하여, 추가로 18 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로 희석하여, 디클로로메탄으로 3회 및 아세트산에틸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정하여,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여액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호박색 고체를 얻었다. 이것을 고온 무수 아세토니트릴 (10 mL)에 용해시켜, 진탕시키면서 0.53 N HCl/MeCN (0.75 mL, 0.40 mmol)으로 적하 처리하여, 0℃로 냉각시켰다. 현탁액을 미세 글래스 프릿을 통해 여과하여, 고체를 에테르로 2회 세정하고, 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오렌지색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35
실시예 86
6-{디플루오로-[6-(2-메틸-피리딘-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336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37
또는, KOtBu 및 이소프로필 알콜을 함유하는 Peppsi-iPr 촉매는 디옥산 중에서 Na2CO3와 함께 Pd(PPh3)4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87
6-[6-(2-메틸-피리딘-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338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39
실시예 88
5-(3-퀴놀린-6-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피리딘-2-일아민
Figure 112008048437075-PCT00340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41
실시예 89
6-[6-(6-메톡시-피리딘-3-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342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43
실시예 90
5-(3-퀴놀린-6-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1H-피리딘-2-온
Figure 112008048437075-PCT00344
바로 전 실시예의 생성물 (0.063 g, 0.171 mmol)을 아르곤하에 무수 디클로로메탄 (5 mL)에 용해시키고, 디클로로메탄 중의 1 N 삼브롬화붕소 (1.25 mL, 1.25 mmol)으로 처리하여, 주위온도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에 의해 반응이 완료되지 않으므로, 환류 냉각기하에 50℃로 20 시간 동안 가열하고, 주위 온도로 냉각하여, 포화 NaHCO3 수용액으로 켄칭하였다. 수층을 디클로로메탄 및 아세트산에틸로 수회 추출하여, 합한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로 건조시켜, 여과하였다. 그 다음에, 증발된 여액을 실리카 겔 (20% MeOH/CH2Cl2) 상에서 분취용 TLC로 정제하여, 담황색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45
실시예 91
5-(6-피리딘-3-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346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47
실시예 92
3-(2-메틸-벤조티아졸-6-일메틸)-6-피리딘-3-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348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49
실시예 93
6-[6-(1-메틸-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 -벤조티아졸-2-일아민
Figure 112008048437075-PCT00350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51
실시예 94
디메틸-{6-[6-(1-메틸-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벤조티아졸-2-일}-아민
Figure 112008048437075-PCT00352
바로 전 실시예의 생성물 (0.046 g, 0.127 mmol)을 아르곤하에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 (5 mL)에 용해시키고, 광유 중의 60% 수소화나트륨 (0.013 g, 0.325 mmol) 및 요오도메탄 (0.040 mL, 0.642 mmol)으로 처리하여, 주위온도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하에 농축 건조시켜, 10% MeOH/CH2Cl2에 용해시키고, 여과하여, 여액을 실리카 겔 (처음에 10%, 그 다음에 5% MeOH/CH2Cl2) 상에서 분취용 TLC로 2회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53
실시예 95
6-[6-(2-클로로-피리딘-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354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55
실시예 96
5-(3-퀴놀린-6-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피리딘-2-카보니트릴
Figure 112008048437075-PCT00356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57
실시예 97
{5-[3-(디플루오로-퀴놀린-6-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티오펜-2-일}-(4-메틸-피페라진-1-일)-메탄온
Figure 112008048437075-PCT00358
실시예 97: 단계 a
5-(6-클로로-피리다진-3-일)-티오펜-2-카복실산에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48437075-PCT00359
무수 디옥산 100 mL 중의 3,6-디클로로-피리다진 (2.8 g, 18.8 mmol) 및 5-에톡시카보닐티오페닐-2-브롬화아연 (THF 중의 0.5 M, 16 ml, 8 mmol)을 포함하는 건조 플라스크에, Pd(PPh3)4 (450 mg, 0.39 mmol)을 가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N2 하에 60℃로 하룻밤 동안 가열하여, 20℃로 냉각시켰다. 반응물을 메탄올 15 mL에 이어서, 3 N HC1 (10 mL)를 가해 켄칭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추가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NaHCO3 수용액을 가해, 혼합물을 중화하였다. 수성 워크업 후에, 혼합물을 CH2Cl2로 추출하여, Na2SO4로 건조시켜,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칼럼으로 정제하여, 5-(6-클로로-피리다진-3-일)-티오펜-2-카복실산에틸 에스테르 (1.4 g, 65%)를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60
실시예 97: 단계 b
5-[3-(디플루오로-퀴놀린-6-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티오펜-2-카복실산
Figure 112008048437075-PCT00361
단계 a에서 제조된 5-(6-클로로-피리다진-3-일)-티오펜-2-카복실산에틸 에스테르 (54 mg, 0.20 mmol), 디플루오로-퀴놀린-6-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실시예 57: 단계 c) (71 mg, 0.30 mmol) 및 n-부탄올 (3 mL)의 혼합물을 밀폐관에서 혼합하여, 130℃ 오일욕에서 4.5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디클로로메탄 (30 mL)으로 희석하여, 포화 NaHCO3 수용액 (1 ×)으로 세정하였다. 수층을 디클로로메탄 (2 ×)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켜, 여과하여, 진공하에 증발시켜, 조생성물을 크로마토그래프로 분석하여, 중간체 에틸 에스테르 (62.4 mg, 68% 수율)를 얻었다. 에틸 에스테르를 2:1 테트라하이드로푸란/메탄올 (3 mL)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2 N NaOH (0.14 m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고, 진공하에 증발시켜, 물 (10 mL)로 희석하고, 6 N HCl로 pH 2로 산성화시켰다. 고체 침전물을 수집하여, 건조시켜, 생성물 97a (60 mg, 100%)를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62
실시예 97: 단계 c
[5-[3-(디플루오로-퀴놀린-6-일-메틸)-[l,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티오펜-2-일}-(4-메틸-피페라진-1-일)-메탄온
Figure 112008048437075-PCT00363
무수 DMF 5 mL 중의 단계 b에서 제조된 화합물 (50 mg, 0.12 mmol)의 용액에, 각각 HATU (0.112 g, 0.29 mmol), HOBt (0.023 g, 0.17 mmol) 및 DIEA (0.1 mL, 0.57 mmol)를 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간 교반하여, N-메틸피페라진을 가하였다. 추가로 1 시간 동안 계속해서 교반하여, 물 (20 mL)을 가하였다. 디클로로메탄 (20 mL)을 가해, 층을 분리하였다. CH2Cl2 층을 MgSO4로 건조 시키고, 진공하에 증발시켜, 크로마토그래프로 분석하여 (0.1% Et3N를 갖는 CH2Cl2/MeOH), 황갈색 고체로서의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64
실시예 98
{5-[3-(디플루오로-퀴놀린-6-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티오펜-2-일}-(4-메탄술포닐-피페라진-1-일)-메탄온
Figure 112008048437075-PCT00365
무수 CH2Cl2 (100 ml) 중의 실시예 97b에서 제조된 화합물 (1.0 g, 2.3 mmol)의 용액에, 각각 1-메탄술포닐-피페라진 (460 mg, 2.8 mmol), EDC (560 mg, 2.8 mmol), DMAP (340 mg, 2.8 mmol)를 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20℃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수성 워크업 후에, 유기층을 분리하고, 염수로 세정하여, Na2SO4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시켰다. 잔사를 칼럼으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 (680 mg, 51%)로서의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66
실시예 99
6-{디플루오로-[6-(1-메탄술포닐-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367
실시예 99: 단계 a
4-(6-클로로-피리다진-3-일)-피라졸-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48437075-PCT00368
2.0 M 탄산칼륨 (10 mL, 20 mmol) 및 1,4-디옥산 (40 mL) 중의 3,6-디클로로-피리다진 (1.06 g, 6.98 mmol) 및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피라졸-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47 g, 5.0 mmol)의 혼합물을 하우스 배큠 (house vacuum)으로 15 분간 탈가스한 후에, 아르곤으로 약 10 분간 버블링한 다음에, Peppsi-ipr (340 mg, 0.5 mmol)를 가하였다. 아르곤으로 추가로 약 10 분간 플러싱한 후에, 혼합물을 70℃에서 4 시간 동안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고체를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분리하였다. 수용액을 CH2Cl2로 추출하여, 합한 유기상을 Na2SO4로 건조시켜, 농축시키고, 칼럼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0.65 g (46%)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69
실시예 99: 단계 b
6-{디플루오로-[6-(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370
이소프로판올 40 mL 중의 3-클로로-6-(피라졸-1-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피리다진 (140 mg, 0.5 mmol), 디플루오로-퀴놀린-6-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130 mg, 0.55 mmol) 및 3 N HCl 촉매량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100 ml 플라스크를 80℃로 하룻밤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aHCO3로 중화하여, CH2Cl2로 추출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고, 잔사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110 mg (61%)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71
실시예 99: 단계 c
6-{디플루오로-[6-(1-메탄술포닐-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372
CH2Cl2 (6 mL) 중의 6-{디플루오로-[6-(1H-피라졸-3-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110 mg, 0.303 mmol), 트리에틸아민 (120 mg, 1.2 mmol)을 포함하는 5O mL 건조 플라스크에 염화메탄술포닐 (138 mg, 1.21 mmo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TLC에 의해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낼 때까지 0℃에서 90 분간 교반하였다. 그 다음에, 혼합물을 포화 NaHCO3로 중화하고, CH2Cl2로 추출하여, Na2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시켜, 칼럼으로 정제하여, 표적 화합물 113 mg (85%)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73
실시예 100
6-{[6-(2-에티닐-피리딘-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디플루오로-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374
실시예 100: 단계 a
3-클로로-6-(2-클로로-피리딘-4-일)-피리다진
Figure 112008048437075-PCT00375
2.0 M 탄산칼륨 (10 mL, 20 mmol) 및 1,4-디옥산 (20 mL) 중의 3,6-디클로로-피리다진 (1.04 g, 6.98 mmol) 및d 2-클로로피리딘 보론산 (1.00 g, 6.37 mmol)의 혼합물을 약 10 분간 아르곤으로 버블링한 다음에, 비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II) 디클로라이드 (236 mg, 0.336 mmol)를 가하였다. 추가로 약 10 분간 아르곤으로 플러싱한 후에, 혼합물을 80℃에서 18 시간 동안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고체를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분리하였다. 수용액을CH2Cl2로 추출하여, 합한 유기상을 건조시켜, 농축시키고, 칼럼으로 정제하여, 고체로서의 100a를 296 mg (21%)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76
실시예 100: 단계 b
6-{[6-(2-클로로-피리딘-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디플루오로-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377
부탄올 (7 mL) 중의 3-클로로-6-(2-클로로-피리딘-4-일)-피리다진 (200 mg, 0.884 mmol) 및 디플루오로-퀴놀린-6-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314 mg, 1.32 mmol)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압력관을 아르곤으로 플러싱한 다음에, 밀폐시켰다. 102℃에서 64 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고, 잔사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00b를 134 mg (37%)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78
실시예 100: 단계 c
6-{[6-(2-에티닐-피리딘-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디플루오로-메틸}-퀴놀린
DMF (0.7 mL) 및 Et2NH (0.45 mL) 중의 100b (60 mg, 0.15 mmol)의 혼합물을 아르곤으로 약 5 분간 탈가스한 다음에, 트리페닐포스핀 (8 mg, 0.031 mmol), CuI (3 mg, 0.016 mmol) 및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II) 디클로라이드 (10 mg, 0.014 mmol)를 가하였다. 탈가스를 약 5 분간 계속하여, 트리메틸실릴아세틸렌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120℃에서 50 분간 마이크로웨이브하여,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6-{디플루오로-[6-(2-트리메틸실라닐에티닐-피리딘-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10 mg (14%)을 얻었다. THF (1.2 mL) 중의 상기 생성물 (10 mg, 0.021 mmol)을 0.1 M NaOH (0.2 mL, 0.02 mmol)로 1 시간 동안 처리하여, 농축시켰다. 잔사를 CH2Cl2과 물에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크로마토그래프로 분석하여, 100을 8 mg (94%)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79
실시예 101
4-[3-(디플루오로-퀴놀린-6-일-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피리딘-2-카보니트릴
Figure 112008048437075-PCT00380
DMF (4 mL) 중의 6-{[6-(2-클로로-피리딘-4-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디플루오로-메틸}-퀴놀린 (실시예 100b 참조) (50 mg, 0.122 mmol) 및 Zn(CN)2 (43 mg, 0.367 mmol)의 혼합물을 하우스 배큠으로 약 5 분간 탈가스한 다음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13.4 mg, 0.012 mmol)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190℃에서 20 분간 마이크로웨이브하였다. 수성 워크업 후에,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표적 화합물 21 mg (41%)을 칼럼으로 정제하여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81
실시예 102
{5-[3-(벤조푸란-5-일-디플루오로-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티오펜-2-일}-(4-메틸-피페라진-1-일)-메탄온
Figure 112008048437075-PCT00382
실시예 102: 단계 a
(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옥소-아세트산에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48437075-PCT00383
고체 AlCl3 (5.55 g, 0.042 M)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80 mL) 중의 디하이드로벤조푸란 (5.0 g, 0.042 M) 및 에틸 옥살릴 클로라이드 (4.5 mL, 0.042 M)의 냉각 (0℃) 용액에 조금씩 가하였다. 첨가 완료 후에, 다크 용액을 실온으로 가온시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서서히 진한 HCl/빙수 용액 (5 mL/200 mL)에 부었다. 수성 혼합물을 20 분간 교반하여, 디클로로메탄 (150 mL)을 가하였다. 층을 분리하였다. 수층을 디클로로메탄 (1 ×)로 추출하였다. 합한 CH2Cl2 추출물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조제의 오일을 크로마토그래피 (헥산/EtOAc)로 정제하여, 오일 (4.8 g, 54%)로서의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84
실시예 102: 단계 b
벤조푸란-5-일-옥소-아세트산에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48437075-PCT00385
N-브로모숙신이미드 (3.88 g, 0.022 M)를, 사염화탄소 (80 mL) 중의 단계 a에서 제조된 화합물 (4.8 g, 0.022 M) 및 과산화벤조일 (0.030 g, 0.12 mmol)의 용액에 서서히 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하에 3 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실온으로 냉각시켜, 증발시키고, 건조시켜, 크로마토그래프 (헵탄/EtOAc)로 분석하여, 오일 (3.8 g, 100%)로서의 생성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86
실시예 102: 단계 c
벤조푸란-5-일-디플루오로-아세트산에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48437075-PCT00387
디클로로메탄 (10 mL) 중의 단계 b에서 제조된 화합물 (0.895 g, 4.1 mmol)의 냉각 용액 (0℃)에, (디에틸아미노)황 트리플루오라이드 (DAST) (5 g, 31.0 mmol)를 서서히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켜, 24 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그 다음에, 반응 혼합물을 빙수 (100 mL)에 부어, CH2Cl2 (2 × 1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CH2Cl2 추출물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크로마토그래프 (헥산/CH2Cl2)로 분석하여, 원하는 생성물 (0.8 g, 79%)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88
실시예 102: 단계 d
벤조푸란-5-일-디플루오로-아세트산 하이드라지드
Figure 112008048437075-PCT00389
무수 메탄올 (3 mL) 중의 단계 c에서 제조된 화합물 (127 mg, 0.53 mmol) 및 히드라진 (0.28 mL, 8.9 mmol)의 혼합물을 환류하에 3 시간 동안 교반시켜,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진공하에 증발시켜, 반고체 생성물 (0.12 g, 99%)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90
실시예 102: 단계 e
5-[3-(벤조푸란-5-일-디플루오로-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티오펜-2-카복실산에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48437075-PCT00391
n-부탄올 (3 mL) 중의 단계 d에서 제조된 화합물 (0.115 g, 0.51 mmol) 및 실시예 97a에서 제조된 화합물 (165 mg 0.61 mmol)의 혼합물에, 3 N HCl 한 방울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130℃ 오일욕에서 3 시간 동안 가열하여,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디클로로메탄 (20 mL)으로 희석시켜, 포화 NaHCO3 (1 ×)로 세정하였다. CH2Cl2 추출물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켜, 진공하에 증발시켰다. 조제의 잔류 반고체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35 mg, 16%)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92
실시예 102: 단계 f
{5-[3-(벤조푸란-5-일-디플루오로-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티오펜-2-일}-(4-메틸-피페라진-1-일)-메탄온
Figure 112008048437075-PCT00393
단계 e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2:1 THF/메탄올 (3 mL)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2 N NaOH (0.15 m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여, 진공 하에 증발시키고, 물 (10 mL)로 희석하여, 6 N HCl로 pH 2로 산성화시켰다. 백색 고체 침전물을 수집하여, 감압하에 건조시켜, DMF (2 mL)에 용해시키고, 각각 HATU (0.062 g, 0.16 mmol), HOBt (0.013 g, 0.09 mmol) 및 DIEA (0.06 mL, 0.32 mmol)로 처리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간 교반하여, N-메틸피페라진 (0.014 mL, 0.14 mmol)을 가하였다. 교반을 추가로 1 시간 동안 계속하여, 물 (20 mL)을 가하였다. 디클로로메탄 (20 mL)을 가해, 층을 분리하였다. CH2Cl2 층을 MgSO4로 건조시켜,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크로마토그래프 (CH2Cl2/0-10% MeOH)로 분석하여, 고체 생성물을 얻었다. EtOAc로 재결정하여, 회색을 띤 백색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94
실시예 103
(5-{3-[(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디플루오로-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티오펜-2-일)-(4-메틸-피페라진-1-일)-메탄온
Figure 112008048437075-PCT00395
실시예 103: 단계 a
(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디플루오로-아세트산에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48437075-PCT00396
디클로로메탄 (20 mL) 중의 실시예 102의 단계 a에서 제조된 화합물 (1.0 g, 4.54 mmol)의 냉각 용액 (0℃)에, (디에틸아미노)황 트리플루오라이드 (DAST) (5 g, 31.0 mmol)을 서서히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켜, 교반을 24 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그 다음에, 반응 혼합물을 빙수 (80 mL)에 부어, CH2Cl2 (2 × 1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CH2Cl2 추출물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크로마토그래프 (헥산/EtOAc)로 분석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97
실시예 103: 단계 b
5-{3-[(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디플루오로-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티오펜-2-카복실산에틸 에스테르
Figure 112008048437075-PCT00398
CH3OH (10 mL) 중의 단계 a에서 제조된 화합물 (0.30 g, 1.24 mmol)의 용액 을 히드라진 (0.58 mL, 18.6 mmol)으로 처리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환류하에 2.5 시간 동안 교반시켜,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증발시켜 건조시켰다. 잔사 (0.28 g, 1.22 mmol)를 n-부탄올 (5 mL) 중의 실시예 97의 단계 a에서 제조된 화합물 (0.66 g, 2.4 mmol)과 혼합하고, 130℃ 오일욕에서 3 시간 동안 가열하여,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디클로로메탄 (20 mL)으로 희석시켜, 포화 NaHCO3 (1 ×)로 세정하였다. CH2Cl2 추출물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크로마토그래프 (CH2Cl2/0-10% MeOH)로 분석하여, 원하는 생성물 (78 mg, 14%)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399
실시예 103: 단계 c
(5-{3-[(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디플루오로-메틸]-[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6-일}-티오펜-2-일)-(4-메틸-피페라진-1-일)-메탄온
Figure 112008048437075-PCT00400
단계 b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2:1 THF/메탄올 (3 mL) 혼합물에 용해시켜, 2 N NaOH (0.15 m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고, 진공하 에 증발시켜, 물 (10 mL)로 희석하여, 6 N HCl로 pH 2로 산성화시켰다. 백색 고체 침전물을 수집하여, 감압하에 건조시키고, DMF (3 mL)에 용해시켜, 각각 HATU (0.12 g, 0.31 mmol), HOBt (24 mg, 0.18 mmol) 및 DIEA (0.1 mL, 1.04 mmol)로 처리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간 교반하여, N-메틸피페라진 (0.027 mL, 0.24 mmol)을 가하였다. 교반을 추가로 1 시간 동안 계속하여, 물 (20 mL)을 가하고, 디클로로메탄 (20 mL)을 가해, 층을 분리하였다. CH2Cl2 층을 MgSO4로 건조시켜, 진공하에 증발시켰다. 잔사를 역상 HPLC (Varian Prostar HPLC, Pursuit prep column, 0.1% TFA를 함유하는 CH3CN/H2O)로 정제하였다. 최종 화합물을 HCO3 카트리지를 통해 여과하고, 감압하에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401
실시예 104
6-{디플루오로-[6-(2-프로필-티아졸-5-일)-[1,2,4]트리아졸로[4,3-b]피리다진-3-일]-메틸}-퀴놀린
Figure 112008048437075-PCT00402
부탄올 (2 mL) 중의 3-클로로-6-(2-프로필-티아졸-5-일)-피리다진 (실시예 20, 단계 a) (36 mg, 0.15 mmol) 및 디플루오로-퀴놀린-6-일-아세트산 하이드라지 드 (71 mg, 0.30 mmol)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압력관을 아르곤으로 플러싱한 다음에, 밀폐시켰다. 95℃에서 64 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시켜, 잔사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담갈색 고체로서의 8을 60 mg (95%) 얻었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403
생물 활성
하기의 대표적인 분석 시험을 본 발명의 범위 내의 화합물의 생물 활성을 측정하는데 행하였다. 이들은 본 발명을 비한정적인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주어진다.
실시예 A
재조합 c- Met 단백질의 클로닝 , 발현, 및 정제
본 실시예는 c-Met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활성을 갖는 c-Met의 세포질 도메인의 클로닝, 발현, 및 정제를 기재한다. 세포질 도메인은 435개의 아미노산을 가지며, 티로신 키나제의 SRC 패밀리와 고 상동성을 나타낸다 (Park et al., 1987, Proc Natl Acad Sci U S A. 84(18):6379-83).
티로신 키나제 영역을 포함하는 Met 수용체의 세포질 도메인에 대한 cDNA를 PCR로 증폭하였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Gibco-BRL (Carlsbad, CA)로 통상적으로 합성하였다. 포워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metkinF2는 3073과 3078 사이의 뉴클레오티드가 클로닝 목적을 위해 BamHI 부위를 형성하도록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는, NM_000245에 리스트된 뉴클레오티드 배열의 뉴클레오티드 3068 - 3097과 동일하다. 리버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metkinR2a는 4372-4367의 뉴클레오티드가 클로닝 목적을 위해 XhoI 부위 (밑줄이 그어짐)를 형성하도록 변경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NM_000245에 리스트된 상보적 뉴클레오티드 배열의 뉴클레오티드 4378-4348와 동일하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퀵 클론 (Quick Clone) 태반 cDNA (Clontech; Palo Alto, CA)의 Met 수용체 세포질 도메인 cDNA를 증폭하는 PCR 프라이머로서 사용하였다. 50 ㎕ 체적으로 Taq DNA 폴리메라아제 (Gibco-BRL; Carlsbad, CA), 각각 dNTP 1.25 mM, 각각 올리고 200 nM을 사용하여, 증폭을 행하였다. 서모사이클 프로필은 퍼킨 엘머 (Perkin Elmer) 9600 서모사이클러 (thermocyler)에서 각각 94℃를 30초간, 60℃를 30 초간, 72℃를 1 분간 포함하는 30개의 사이클이었다.
Met 수용체의 세포질 도메인의 증폭된 cDNA를 발현 벡터 상에 클론하였다. PCR 산물을 BamHI (New England Biolabs; Beverly, MA) 및 XhoT (New England Biolabs)로 소화시켰다. 소화된 1.3 kb 산물을 분리하여, 진 크린 (Gene Clean; Qbiogene; Irvine, CA)을 이용하여, 1% 아가로스 겔로 정제하였다. 벡터 pFastBacHTa (Gibco-BRL)를 BamHI 및 XhoI (New England Biolabs)로 소화시키고, 4.7 kb 선형 단편을 진 클린 (Bio101)을 이용하여 1% 아가로스 겔로 정제하였다. 1.3 kb Met cDNA 단편을 10 ㎕의 최종 체적으로 T4 DNA 리가아제 (New England Biolabs)로 4℃에서 16 시간 동안 pFastBacHTa 벡터에 라이게이션 (ligation)하였 다. N-말단 His 태그 단백질을 발현시키도록 Met 세포질 도메인 cDNA 클론의 pFastBacHTa의 BamHI 부위로의 클로닝을 벡터의 His-6 tag로 cDNA 인프레임 (in-frame)에 위치시켰다. 라이게이션 혼합물 절반 (5 ㎕)을 사용하여, 50 ㎕ DH5α 컴피턴트 대장균 세포 (Gibco-BRL)를 형질전환시켰다. 형질전환 혼합물을 100 ㎍/ml 암피실린을 포함하는 LB 아가로스 플레이트에 놓고, 37℃에서 16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콜로니를 이들 플레이트로부터 정선하여, 100 ㎍/ml 암피실린을 함유하는 LB 브로스에서 16 시간 동안 성장시켰다. 플라스미드 DNA를 Qiagen 플라스미드 DNA 정제 시약 (Qiagen; Valencia, CA) 및 BamHI/XhoI를 이용한 소화에 의해 스크린된 클론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소화로부터 방출된 적절한 사이즈의 단편을 갖는 3개의 클론을 DNA 배열 분석을 위해 ACGT, Inc.에 제출하였다.
클론화 c-Met 세포질 도메인에 돌연변이체를 포함하지 않는 하나의 클론, pFastBacHTmetkin-15을 사용하여, 발현용 재조합 바큘로바이러스를 생성시켰다. 제조업자에 의해 규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재조합 바큘로바이러스를 Gibco BRL Bac-To-Bac계를 이용하여 생성시켰다. 간략하게, DH1OBac 세포를 pFastBacHTmetkin-15로 형질전환시키고, 클론을 선택하여, 바이러스 DNA를 분리하고, Met cDNA 인서트용 PCR로 스크린하였다. Sf9 곤충 세포를 재조합 바큘로바이러스 DNA로 트랜스펙션하였다. PO 바이러스 스톡을 함유하는 매질을 수집하여, 2개의 후속 바이러스 증폭 라운드에 사용하였다.
다수의 증폭된 바이러스 스톡 농축물을 사용하여, Sf9 세포를 감염시켰다. 세포를 트랜스펙션 24, 48, 및 72 시간 후에 수확하였다. 감염된 Sf9 세포를 50 mM 트리스-HCl pH 8.0, 150 mM NaCl, 150 mM 이미다졸, 1.0 mM PMSF, 0.5% NP40, 3.5 ㎍/ml 류펩틴, 3.5 ㎍/ml 아프로티닌 및 BCA 분석 (Pierce; Rockford, DL)에서 측정된 전체 단백질 농도 주에 용해시켰다. 세포 용해물을 4-15% SDS-PAGE에서 분리한 다음에, 면역 블롯 분석을 위해 니트로셀룰로스막으로 이동시켰다. 니트로셀룰로스 블롯을 안티 His6 항체로 프로브하여, His 태그 met 키나제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최적 바이러스 농도/Sf9 세포 비를 상이한 감염 조건으로부터 수집된 용해물을 조사하여 측정하였다. 최대 단백질 회수는 감염 48 시간 후에 일어났다.
Met 수용체의 His 태그 세포질 도메인의 소규모 발현/정제를 행하였다. Met 수용체의 His 태그 세포질 도메인을 발현하는 재조합 바큘로바이러스로 트랜스펙션된 Sf9 곤충 세포를 50 mM 트리스-HCl pH 8.0, 150 mM NaCl, 150 mM 이미다졸, 1.0 mM PMSF, 0.5% NP40, 3.5 ㎍/ml 류펩틴, 3.5 ㎍/ml 아프로티닌을 함유하는 완충액에 용해시켰다. 용해물을 4℃에서 회전하는 PBS 중의 Ni-아가로스 비드 (Qiagen)의 50% 용액 5 ml로 2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His 태그 단백질을 포획하였다. Ni-아가로스 비드에 결합된 His 태그 단백질을 함유하는 용해물을 10 ml 칼럼에 로딩하였다. Ni-아가로스 비드를 패킹하여, 상청액을 통과시켰다. 그 다음에, 패킹된 칼럼을 세정 완충액 (용해 완충액과 동일) 60 ml로 세정하였다. 용출 완충액 (50 mM 트리스-HCl pH 8, 150 mM NaCl, 150 mM 이미다졸, 1.0 mM PMSF) 5 ml를 칼럼에 가해, 10개의 분획 (각각 0.5 ml 체적)을 수집하였다. 각 분획의 소량의 일정 분량을 4-15% SDS-PAGE로 분리하여, 면역 블롯 분석을 위해 니트로셀룰로스에 이동시키거나, 쿠마시 염색 (Bio-Safe Safe Coomassie, Bio-Rad)을 위해 처리하였다. 쿠마시 염색 겔 상의 주요 단백질 밴드는 면역 블롯에 의해 검출되는 His 태그 단백질에 대응하는 His6-MetKin (52 kD)에 대하여 적절한 사이즈를 갖는다. 쿠마시 염색 겔로부터 평가된 단백질 농도는 약 2 mg/ml이었다.
재조합 바이러스 스톡을 하이 스루풋 스크리닝에 충분한 양으로 His6-MetKin의 대규모 발현 및 정제를 위해 콘트랙트 lab, Pan Vera (Madison, WI)에 이송하였다. 60 L 스케일업 및 4 단계 정제 반응 도식에 의해, 순도가 95%를 초과하는 단백질 98.4 mg을 얻었다.
실시예 B
c- Met 에 대한 Delfia 자기인산화 ( autophosphorylation ) 키나제 분석
그리하여, 자기인산화를 감소시켜서 c-Met의 키나제 활성을 감소시키는 화합물의 스크리닝을 위해 DELFIA 시간 분해 형광 분석을 진행하였다. DELFIA 분석은 비방사성을 나타낸다. c-Met의 자기인산화를 유로퓸 태그에 결합되는 항포스포티로신 항체에 의해 측정한다.
이러한 포맷의 주요 이점은 재조합 Met 키나제에 헥사-his 태그에 결합시키는 Ni-킬레이트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자기인산화 분석을 진행시킨다는 것이다. 자기인산화 분석에 의해, 인산화를 위한 공지된 기질, Met 키나제 자체를 사용할 수 있다. DELFIA Met 자기인산화 분석은 50:1을 초과하는 신호 대 잡음 비에 매우 민감하다.
스크리닝을 위한 분석 절차는 하기와 같다. c-Met의 정제된 His6 태그 세포질 도메인을 효소 희석 완충액 (50 mM 트리스-HCl, pH 8.0, 0.1% BSA) 중에 500 ng/ml의 농도로 희석하여, 웰당 50 ㎕의 체적으로 분석 플레이트에 분배하였다. 검은 불투명 HisGrab 니켈로 코팅된 96개의 웰 플레이트 (Pierce, Rockford, H)를 사용을 위해 선택하였다. 다음에, 40% DMSO 중의 화합물 2.5 ㎕를 테스트 웰에 가하고, 40% DMSO 2.5 ㎕ 만을 네가티브 컨트롤 웰에 가하였다. 50 mM 트리스-HCl, pH 8.0, 10 mM MgCl2, 0.1 mM Na3VO4, 1 mM DTT, 1 μM ATP의 반응 완충액 50 ㎕를 가해, 자기인산화 반응을 개시하였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다음에, PBS의 200 ㎕/웰로 2회 세정하였다. 유로퓸 컨쥬게이트된 항포스포티로신 항체, Eu-PY20 (Perkin Elmer)를 Delfia AB 완충액 (Perkin Elmer, Boston, MA) 중에서 50 ng/ml로 희석하고, 100 ㎕/웰의 체적으로 96개의 웰 분석 플레이트에 가해,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다음에, 분석 플레이트를 각각 Delfia 세정 완충액 (Perkin Elmer) 200 ㎕/웰로 4회 세정하였다. 최종 세정 후에, Delfia 인핸스먼트 용액 (Perkin Elmer) 150 ㎕를 분석 플레이트의 각 웰에 가해,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360 여기, 620 발광, 및 410 이색성의 필터 세팅을 갖는 LJL 애널리스트 인스트루먼트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에서 플레이트를 리딩하였다. IC50값을 그래프패드 프리즘 소프트웨어 (Graphpad Prism software; Graphpad Software; San Diego, CA)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실시예 C
c- Met 인산화에 대한 세포에 기초한 ELISA 분석
세포에 기초한 ELISA 분석을 행하여, 세포에서의 HGF 자극 c-Met 인산화를 억제하는 화합물의 능력을 평가하였다.
S114 세포를 웰당 5 × 104의 농도로 96개의 웰 조직 배양 처리된 디쉬에 시딩하였다. 16 내지 20 시간 인큐베이션한 후에, 배지를 제거하여, 0.5% BSA로 보충된 무혈청 배지로 교체하였다. 그 다음에, 테스트 화합물을 가해, 세포로 60 분간 인큐베이션한 후에, 2.5 ㎍/㎕로 15 분간 1 ㎕ HGF를 가하였다. 그 다음에, 세포를 아이스 콜드 3× RIPA 완충액 (50 mM 트리스 HCl, pH 7.5, 1% 트리톤, 1% IGEPAL, 0.25% 데옥시콜산, 150 mM NaCl, 1 mM 소듐 오르토바니데이트, 1 mM 플루오르화나트륨, 및 1정 프로테아제 칵테일 저해제 (Boheringer Mannheim, cat. #1697498) 25 ㎕를 가해 용해시켰다. 그 다음에, 세포 용해물을 항 c-Met 수용체 항체 AF276 (R&D Systems)로 코팅된 NUNC Maxisorp 플레이트로 이송하였다. 용해물을 항체로 코팅된 플레이트로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플레이트를 Delfia 세정 완충액 (Perkin Elmer, Boston, MA) 및 0.25 ㎍/ml 유로퓸으로 컨쥬게이트된 PT66 항포스포티로신 항체 (Perkin Elmer, Boston, MA) 100 ㎕로 세정하였다. 추가로 실온에서 1 시간 인큐베이션한 후에, 플레이트를 Delfia 세정 완충액 (Perkin Elmer)로 3회 세정하였다. 최종 세정 후에, Delfia 인핸서 용액 (Perkin Elmer) 150 ml를 가해, 60 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플레이트를 360 여기, 620 발광, 및 410 이색성의 필터 세팅을 갖는 LJL 애널리스트 인스트루먼트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에서 플레이트를 리딩하였다. IC50값을 그래프패드 프리즘 소프트웨어 (Graphpad Software; San Diego, CA)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실시예 D
HepG2 세포 스캐터 분석
도입
인간 성장 인자 (HGF) 및 이의 수용체 (c-Met)는 세포 운동성에 관여한다. 실제로, HGF는 또한 특정 세포형에 대한 이의 강한 운동 효과에 기초한 산란 인자 (SF)로서 동정되었다. 세포 운동성은 종양 질환의 병리 과정, 가장 중요하게는 원발 종양 및 신혈관 형성 (혈관신생)과 거리가 있는 전이 병소의 형성에 중요하다. 하나의 치료 가설은 이러한 세포 종류의 운동이 c-Met 키나제 저해제의 사용에 의해 둔화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문헌: Jiang, W.C, Martin, T.A., Parr, C, Davies, G., Matsumσto, K. and Nakamura, T. Critical Reviews in Oncology/Hematology 53 (2005) 35-69. 및 본 명세서에 인용된 참조문헌을 참조한다.). 또한 특히 혈관신생에 관한 세포 운동성이 기타 병상에서도 중요하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방법
세포 스캐터를 리얼 타임 셀 전자 센싱 시스템 (RT-CES) (ACEA Biosciences Inc. 제; San Diego, CA)으로 측정하였다. RT-CES 시스템은 세포 상태를 리얼 타임으로 비침습적으로 정량화하도록 특수화한 RT-ACE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cat:RCD96, ACEA Biosciences Inc.)를 사용한다. 마이크로일렉트로닉 센서 어레이와 일체화된 플레이트 표면과 세포의 상호작용에 의해, 세포-전극 임피던스 응답 생성을 유도한다. 임피던스값이 높으면, 강한 세포 접착을 나타내므로, 세포 스캐터가 덜하다.
분석 배지 (10% FBS, 2 mM L-글루타민, 1.5 g/L 중탄산나트륨, 1 mM 피루브산나트륨, 및 0.1 mM 비필수 아미노산으로 보충된 MEM) 50 ㎕를 96개의 웰 RT-ACE 플레이트에 가해, RT-CES에서 30 분간 기록하였다. HepG2 세포 (cat: HB-8065, ATCC) 50 ㎕를 각각의 웰 (50㎕ @ 104 세포/ml = 5000 세포/웰)에 가하였다. 플레이트를 RT-CES에서 리딩하여, 20 내지 24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20 내지 24 시간 인큐베이션한 후에, 상이한 농도의 테스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석 배지 50 ㎕를 각각의 웰에 가해, 1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최종적으로, HGF 160 ng/ml를 함유하는 분석 배지 50 ㎕를 각각의 웰 (200 ㎕ 중의 40 ng/ml)에 가하였다. 플레이트를 인큐베이션하여, RT-CES에서 매 15분 마다의 기록 시간으로 20 내지 내지 24 시간 동안 리딩하였다. 포지티브 컨트롤은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HGF이고, 네가티브 컨트롤은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비 HGF이었다. 모든 측정을 이중 웰에서 행하고, IC50값을 그래프패드 프리즘 소프트웨어 (Graphpad Software; San Diego, CA)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실시예 E
U87MG 교아세포종 이종 이식 모델
도입
U87MG 교아세포종 세포계 (Piedmont Research Center LLC)는 c-Met 수용체를 발현하여, 인간 성장 인자 (HGF)에 반응한다. 본 연구는 c-Met의 저해제를 이용한 처리가 U87MG 교아세포종 이종 이식 모델에 유효한 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15 마리의 누드 마우스 그룹에 있어서의 경구 (p.o.) 화합물 단독 요법을 테스트하도록 종양 증식 저해율 (TGI) 분석을 이용하였다. 대조군을 비히클, 20% 하이드록시프로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HPBCD)으로 처리하였다. 모든 처리를 입증된 피하 (s.c.) U87MG 종양에 걸린 마우스에서 1일째 (D1)에 개시하였다.
방법 및 재료
마우스
암컷 무흉선 누드 마우스 (Harlan)는 연구 D1에 BW 범위가 18.1 내지 25.0 g인 10 내지 11주령이었다. 동물에게 물 (역삼투, 1 ppm Cl), 및 18.0% 조단백질, 5.0% 조지방, 및 5.0% 조섬유로 구성되는 NIH 31 변성 및 조사된 Lab Diet®를 자유 로이 섭취시켰다. 마우스를 21 내지 22℃ (70 내지 72℉) 및 40 내지 60% 습도에서 12 시간의 라이트 사이클로 스타틱 마이크로아이솔레이터의 조사된 ALPHA-dri® bed-o-cobs® 래보러터리 애니멀 베딩 (Laboratory Animal Bedding)에 수용하였다. 모든 동물을 국제실험동물인증협회 (American Association for Assessment and Accreditation of Laboratory Animal Care; AAALAC)에 의해 충분히 공인된 실험 동물 의학 시설 (Laboratory Animal Medicine facility)에 수용하였다. 동물을 포함한 모든 절차를 실험 동물 관리 및 이용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에 관한 NIH 가이드에 따라 행하고, 모든 프로토콜은 동물실험위원회 (Inter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IACUC)에 의해 승인되었다.
종양 이식
이종 이식편을 무흉선 누드 마우스에서의 연속 이식에 의해 유지되는 U87MG 인간 교아세포종 단편으로부터 개시하였다. 각각의 테스트 마우스는 우측에서 이식된 피하 U87MG 종양 단편 (1 mm3)을 수용하고, 평균 크기가 200 mm3에 접근함에 따라, 종양 성장을 모니터하였다. 12일 후에, 연구 1 일째에. 동물을 개별 종양 체적이 172 내지 352 mm3의 범위이고, 그룹 평균 종양 체적이 216 mm3인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n = 12 내지 15 마우스/그룹). 종양 체적을 하기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404
여기서, w = 폭이고, l = 종양의 길이 (mm)이다. 종양 중량은 1 mg이 종양 체적의 1 mm3에 해당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평가될 수 있다.
약물 치료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 용액을 수중의 20% 하이드록시프로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HPBCD)으로 구성되는 비히클에서 매주 새로 제조하였다. 모든 그룹에서, 0.2 mL/20-g 마우스의 투여 체적을 각 동물의 체중으로 스케일하였다. 투여량은 화합물의 HCl 염 형태를 고려하여 주어졌다.
종양 증식 저해율 ( TGI ) 분식
TGI를 하기 관계식에 의해 비히클 처리된 대조군의 평균 종양 체적의 비율로서 나타내는 비히클 처리된 마우스의 평균 종양 체적과 약물 처리된 마우스의 평균 종양 체적 사이의 차로부터 계산하였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405
MTV (n)은 그날에 연구에 남아있는 동물의 수, n에 대한 평균 종양 체적 (MTV)으로서 정의된다.
독성
연구 조사 개시 후 최초 5일간 매일 및 그 다음에는 주 2회로 동물의 체중을 재었다. 마우스에 대하여 불리한 약물 관련된 부작용이 공공연하게 자주 조사되었으며, 독성의 임상적 증상이 관찰될 때마다 기록하였다. 허용가능한 독성은 연구 조사 시에 20% 미만의 그룹 평균 체중 (BW) 감소로서 정의되며, 10 마리의 동물 중 에서 치료 관련(TR)사는 1 마리 이하이었다. 임상적 증상 및/또는 부검에 의해 명백한 바와 같이 치료 부작용에 기인하거나 투여 기간 중이나 최후 투여 10일 이내에 원인 불명의 이유로 인한 것인 경우에는 사망은 TR로서 분류된다. 사망이 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증거가 없는 경우에는 사망은 비치료 관련 (NTR)으로서 분류된다. 사망은 사인이 알려지지 않는 경우에는 비치료 관련 원인불명 (NTRu)으로 분류된다.
통계 분석 및 도표 분석
평균값의 분석을 위해 만-휘트니 U 검정 (Mann-Whitney U-test)을 이용하여, MTVs 사이의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측정하였다. 윈도에 관한 프리즘 3.03 (GraphPad)을 통계 분석 및 도표에 의한 보고에 사용하였다. 종양 증식을 본 연구에서 각 그룹에 대하여, 시간에 대한 평균 종양 체적으로서 플롯하였다. 또한, 최종 종양 체적 및 최종 종양 증식 저해율 (%TGI)도 그래프 또는 개별 바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 = p ≤ 0.05, ** = p ≤ 0.01 , *** = p ≤ 0.001). U87MG 종양 증식 연구 조사의 결과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낸다.
도 1: 실시예 1은 21일간 연속해서 1일 2회 (b.i.d)로 30 및 50 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되었다. 두 용량은 무흉선 누드 마우스의 피하에 증식된 U87MG 종양 증식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용량 의존적 저해율을 산출하였다. 치료 최종일 (21일째)에, 30 및 50 mg/kg 용량은 비히클 처리된 그룹의 평균 종양 체적과 비교하여, 평균 종양 체적을 각각 66% (p< 0.001) 및 97% (p< 0.001)로 감소시켰다. 종양 퇴화는 50 mg/kg 용량에서 관찰되었다.
도 2: 실시예 61은 25, 50, 및 75 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되었다. 모든 용량은 무흉선 누드 마우스의 피하에 증식된 U87MG 종양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종양 증식 저해율을 산출하였다 (p< 0.01). 종양 퇴화도 모든 3개의 용량에서 관찰되었다. 25 mg/kg 용량을 1일째에 1일 1회 (q.d.), 12일까지 1일 2회 투여하였다. 50 mg/kg 용량을 7일간 1일 2회, 24 시간 중지, 그 다음에 12일까지 1일 1회 투여하였다. 50 mg/kg 용량과 마찬가지로, 75 mg/kg 용량을 7일간 1일 2회, 24 시간 중지, 그 다음에 12일까지 1일 1회 투여하였다.
도 3: 실시예 61은 25, 50, 및 75 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되었다. 치료 최종일 (12일째)에, 평균 종양 체적은 각각 25, 50, 및 75 mg/kg의 용량에서 94% (p < 0.01), 96% (p < 0.01) 및 97% (p < 0.01)로 감소되었다. 25 mg/kg 용량을 1일째에 1일 1회 (q.d.), 12일까지 1일 2회 투여하였다. 50 mg/kg 용량을 7일간 1일 2회, 24 시간 중지, 다음에 12일까지 1일 1회 투여하였다. 50 mg/kg 용량과 마찬가지로, 75 mg/kg 용량을 7일간 1일 2회, 24 시간 중지, 그 다음에 12일까지 1일 1회 투여하였다.
실시예 F
S114 종양 모델
방법
마우스
암컷 무흉선 누드 마우스 (CD-I, nu/nu, 9 내지 10주령)를 Charles River Laboratories (Wilmington, MA)로부터 얻어, NIH 기준에 따라 유지하였다. 모든 마우스는 21 내지 22℃ 및 40 내지 50% 습도로 유지되는 룸에서의 12 시간의 명암 사이클에 대한 무균 마이크로아이솔레이터 케이지에 클린 룸 조건하에 수용된 그룹 (마우스 5 마리/케이지)이었다. 마우스에서 방사선 조사된 표준 설치류 다이어트 및 물을 자유로이 섭취시켰다. 모든 동물을 국제실험동물인증협회 (American Association for Assessment and Accreditation of Laboratory Animal Care; AAALAC)에 의해 충분히 공인된 실험 동물 의학 시설 (Laboratory Animal Medicine facility)에 수용하였다. 동물을 포함한 모든 절차를 실험 동물 관리 및 이용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에 관한 NIH 가이드에 따라 행하고, 모든 프로토콜은 동물실험위원회 (Inter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IACUC)에 의해 승인되었다.
S114 종양
인간 성장 인자 (HGF) 및 인간 c-Met 수용체를 과잉 발현하도록 엔지니어링된 뮤린 NIH 3T3 유도성 세포계 S114를 DMEM 배지 (Life Technologies, Bethesda, MD)에서 증식시켰다. 도입 직전에, 세포를 세정하고, 카운트하여, PBS에 재현탁시켰다. 체중이 20 내지 21 g이나 되는 암컷 무흉선 누드 마우스를 0.1 mL의 전달 체적에 5 × 106개의 세포를 갖는 대퇴부의 좌서혜부에 피하 접종하였다. 종양을 5일간 성장시켰다.
약물 치료
마우스에게 20% HPBCD 중의 100 mg/kg 화합물 또는 비히클 (20% HPBCD, 대조군)로 경구 투여하였다. 4일간 연속해서 투여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20% HPBCD 중의 클리어 용액으로서 매일 새로이 제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투여하였다. 체중을 연구 조사 종료시에 측정하고, 체중 감소율 >10%를 화합물 내약성 (tolerability)의 부족 표시로서 사용하였다. 허용불가능한 독성을 연구 조사시에 체중 감소율 > 20%로서 정의하였다. 마우스를 불리한 약물 관련 부작용의 공공연한 임상적 증상에 대하여 각 용량에서 면밀하게 조사하였다
분석
연구 종료일에, 각 동물에 대하여 최종 종양 체적 및 최종 체중을 얻었다. 마우스를 100% CO2를 사용하여 안락사시키고, 종양을 즉시 그대로 절제하여, 중량을 재고, 최종 종양 습중량 (그램)은 일차 유효성 엔드포인트 (primary efficacy endpoint)로서 작용한다. 윈도에 관한 프리즘 3.03 (GraphPad)을 통계 분석 및 도표에 의한 보고에 사용하였다. S114 종양 연구의 결과는 도 4에 나타낸다.
도 4: 실시예 61은 4일간 연속해서 100 mg/kg의 용량으로 1일 1회 경구로 투여되었다. S114 종양은 실시예 61로 처리된 모든 5 마리의 마우스에서 퇴화되었다. 또한, 5 마리의 마우스 중 3 마리에 있어서의 종양은 연구 종료시까지 손으로 만져서 알 수 없고 검출불가능한 종양으로 퇴화되었다.
생물학적 데이터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의 활성은 하기 도표에 나타낸다. 모든 활성은 μM으로 나타내며, 데이터는 그래프패드 프리즘에 의해 계산된 95% 신뢰구간이 IC50의 2배 이내인 경우에는 타당한 것으로서 인정된다.
Figure 112008048437075-PCT00406
Figure 112008048437075-PCT00407
Figure 112008048437075-PCT00408
Figure 112008048437075-PCT00409
Figure 112008048437075-PCT00410
치료/예방 방법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측면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세포 또는 대상에 있어서 c-Met 활성을 포함하여 티로신 키나제 활성 또는 발현을 억제하고, c-Met 활성을 포함하여 키나제 활성 또는 발현을 감소시켜, c-Met 발현을 조절하거나, 대상에 있어서의 c-Met 키나제 활성 또는 발현에 관련된 장애를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c-Met 활성의 억제는 c-Met 발현을 간접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측면에 대한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세포를 일반식 I의 화합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에서 c-Met 키나제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억제시켜, c-Met 발현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일반식 I의 화합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에서 c-Met 키나제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억제시켜, c-Met 발현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세포 또는 대상에 있어서의 c-Met 키나제 활성 또는 발현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 예컨대 본 명세서에 기재된 c-Met 키나제 분석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세포에 있어서의 c-Met 키나제 활성의 억제도 ELISA 분석 포맷, 예컨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을 이용하여 c-Met 인산화 레벨을 측정하거나, 웨스턴 블로팅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대상"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이 되는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접촉"은 세포에 의해 화합물이 흡수되도록 화합물을 세포에 첨가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측면에 대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세포 증식 질환 또는 c-Met 관 련 질환에 걸릴 위험이 있는 (또는 걸리기 쉬운) 대상을 치료하는 예방적 및 치료적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질환은 c-Met 발현 (또는 과잉 발현) 및/또는 c-Met 돌연변이에 관련된 기존 증상을 포함한다.
일례를 들면, 본 발명은 일반식 I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예방적 유효량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세포 증식 질환 또는 c-Met 관련 질환을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예방제의 투여는 세포 증식 질환 또는 c-Met 관련 질환의 특징을 나타내는 증상의 발현 전에 일어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일반식 I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세포 증식 질환 또는 c-Met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치료제의 투여는 치료제가 세포 증식 질환 또는 c-Met 관련 질환을 보상하는 요법으로서 작용하도록 질환의 특징을 나타내는 증상의 발현과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를 들면, 본 발명은 c-Met 발현 또는 c-Met 활성 레벨의 조절이 세포 증식 질환 또는 c-Met 관련 질환을 개선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도록, 일반식 I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세포 증식 질환 또는 c-Met 관련 질환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어 "예방적 유효량"은 대상에서 연구원, 수의사, 의사 또는 다른 임상의에 의해 발견된 질환의 발병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활성 화합물 또는 약제의 양을 말한다.
용어 "치료적 유효량"은 치료할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을 경감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연구원, 수의사, 의사 또는 다른 임상의에 의해 발견되는 대상에서의 생물학적 또는 의약적 반응을 이끌어내는 활성 화합물 또는 약제의 양을 말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치료적 및 예방적 유효량을 결정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조성물"은 특정량의 특정 성분을 포함하는 생성물 및 특정량의 특정 성분의 배합으로 직간접적으로 유도된 모든 생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c-Met 관련 질환" 또는 "c-Met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관련 질환"은 c-Met 활성, 예를 들면 c-Met 과활성과 관련되거나 관계가 있는 질환, 및 이러한 질환에 수반되는 증상을 포함할 것이다. 용어 "c-Met 과활성"은 1) c-Met를 정상적으로 발현하지 않는 세포에서의 c-Met 발현; 2) 활성 c-Met를 정상적으로 갖지 않는 세포에 의한 c-Met 활성; 3) 바람직하지 못한 세포 증식을 유도하는 증가된 c-Met 발현; 또는 4) c-Met의 구성적 활성화를 유도하는 돌연변이를 말한다. "c-Met 관련 질환"의 예로는 비정상적으로 높은 c-Met 또는 c-Met의 돌연변이로 인한 c-Met의 자극 과도로 인한 질환, 또는 비정상적으로 높은 c-Met 또는 c-Met의 돌연변이로 인한 비정상적으로 높은 c-Met 활성으로 인한 질환을 들 수 있다.
c-Met의 과활성이 다수의 질환, 예컨대 세포 증식 질환, 종양성 질환 및 암의 병인에 관여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용어 "세포 증식 질환"은 다세포 생물에게 악영향 (즉, 불쾌감 또는 감소된 평균수명)을 끼치는 다세포 생물에서 세포의 하나 이상의 서브세트의 바람직하지 못한 세포 증식을 말한다. 세포 증식 질환은 상이한 타입의 동물 및 인간에서 발생할 수 있다. 세포 증식 질환은 종양성 질환 (본 명세서에 사용된 "종양성 질환"은 이상 세포 증식 또는 제어되지 않는 세포 증식으로 인한 종양을 말한다) 및 다른 세포 증식 질환을 포함한다.
c-Met 관련 세포 증식 질환의 예로는 종양 및 암, 예를 들면, 유전성 및 산발성 인간 유두상 신세포암, 유방암, 결장직장암, 위암, 신경 교종, 난소암, 간세포암, 두경부 편평상피암, 고환암, 기저세포암, 간암, 육종, 악성 흉막 중피종, 흑색종, 다발성 골수종, 골육종, 췌장암, 전립선암, 활막 육종, 갑상선암, 비소세포폐암 (NSCLC) 및 소세포폐암, 방광 이행상피세포암, 고환암, 기저세포암, 간암 - 백혈병, 림프종, 및 골수종을 포함 - 예를 들면,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ALL), 급성 골수성 백혈병 (AML), 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 (APL),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CLL), 만성 골수성 백혈병 (CML), 만성 호중구성 백혈병 (CNL), 급성 미분화 백혈병 (AUL), 미분화 대세포 림프종 (ALCL), 전림프구성 백혈병 (PML), 연소형 골수단구성 백혈병 (JMML), 성인 T 세포 ALL, 3혈구계 골수이형성을 갖는 AML (AML/TMDS), 혼합계통 백혈병 (MLL), 골수이형성 증후군 (MDSs), 골수증식성 질환 (MPD), 다발성 골수종, (MM), 골수성 육종, 비호지킨 림프종 및 호지킨병 (호지킨 림프종으로 불리움) - 및 새로운 혈관계의 형성과 관련된 질환, 예컨대 류머티즘, 관절염, 및 망막증을 들 수 있다.
c-Met의 과활성이 이들의 병인과 관련되어 있는 다른 세포 증식 질환은 c-Met가 과잉발현되지 않거나 아니면 변형되지 않는 암을 포함하여, c-Met 활성이 침윤성/전이성 표현형의 원인이 되는 암을 포함한다
이러한 측면에 대한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대상에서의 세포 증식 질환 또는 c-Met 관련 질환의 발병을 치료하거나 억제하는 병용 요법을 포함한다. 병용 요법은 일반식 I의 화합물의 치료적 또는 예방적 유효량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화학 요법, 방사선 요법, 유전자 요법 및 면역 요법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항 세포 증식 요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화학 요법과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화학 요법은 화학요법제를 포함하는 치료법을 말한다. 다양한 화학요법제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병용 요법에 사용될 수 있다. 예시될 수 있는 화학요법제는 백금 화합물 (예를 들면, 시스플라틴, 카보플라틴, 옥살리플라틴); 탁산 화합물 (예를 들면, 파클리탁셀, 도세탁솔); 캄포토테신 화합물 (이리노테칸, 토포테칸); 빈카 알칼로이드 (예를 들면, 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 비노렐빈); 항종양 뉴클레오시드 유도체 (예를 들면, 5-플루오로우라실, 류코보린, 젬시타빈, 카페시타빈); 알킬화제 (예를 들면, 사이클로포스파미드, 카르무스틴, 로무스틴, 티오테파); 에피포도필로톡신/포도필로톡신 (예를 들면, 에토포시드, 테니포시드); 아로마타제 저해제 (예를 들면, 아나스트로졸, 레트로졸, 엑세 메스탄); 항에스트로겐 화합물 (예를 들면, 타목시펜, 풀베스트란트), 항엽산제 (예를 들면, 프레메트렉스트 디소듐); 메틸화 억제제 (예를 들면, 아자시티딘); 생물 제제 (예를 들면, 젬투자맙, 세툭시맙, 리툭시맙, 페르투주맙, 트라스투주맙, 베바시주맙, 에를로티닙); 항생제/안트라사이클린 (예를 들면, 이다루비신, 악티노마이신 D, 블레오마이신, 다우노루비신, 독소루비신, 미토마이신 C, 닥티노마이신, 카르미노마이신, 다우노마이신); 대사길항물질 (예를 들면, 클로파라빈, 아미노프테린, 사이토신 아라비노시드, 메토트렉세이트); 투불린 결합제 (예를 들면, 콤브레타스타틴, 콜키신, 노코다졸); 토포아이소머라제 저해제 (예를 들면, 캄프토테신); 분화유도약 (예를 들면, 레티노이드, 비타민 D 및 레티노산); 레티노산 대사 차단제 (RAMBA) (예를 들면, 아큐테인); 키나제 저해제 (예를 들면, 플라보페리돌, 메실산이매티닙, 게피티닙); 파네실트랜스페라아제 저해제 (예를 들면, 티피파닙);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제; 유비퀴틴-프로테아좀 경로의 저해제 (예를 들면, 보르테조밉, 욘델리스)를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가의 유용한 약제로는 용인된 화학요법제에 대하여 내성을 갖는 종양 세포에서의 화학요법제 감수성을 부여하고, 약물 감수성 악성 종양에서의 이들 화합물의 효능을 증강하도록 항종양약과 병용하는 것이 유용한 것으로 밝혀진 칼슘 길항제, 베라파밀을 들 수 있다 (Simpson WG, The calcium channel blocker verapamil and cancer chemotherapy. Cell Calcium. 1985 Dec;6(6):449-67). 또한, 아직 출시되지 않은 화학요법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과 병용하는 것이 유용한 것으로 고려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방사선 요법과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방사선 요법"은 방사선 치료가 필요한 대상을 방사선에 노출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요법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적당한 방사선 요법 계획은 방사선 요법이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다른 화학요법제와 병용하여 사용되는 임상 치료에서 이미 사용된 것과 유사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유전자 요법과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유전자 요법"은 종양 증식에 관여하는 특정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요법을 말한다. 가능한 유전자 요법 전략으로는 결함을 갖는 암 저해 유전자의 복원, 성장 인자 및 아의 수용체를 코딩하는 유전자에 대응하는 안티센스 DNA에 의한 세포 형질도입 또는 트랜스펙션, RNA에 기초한 전략, 예컨대 리보자임, RNA 디코이, 안티센스 메신저 RNA 및 저분자 간섭 RNA (siRNA) 분자, 및 소위 '자살 유전자'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면역 요법과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면역 요법"은 종양 증식에 관여하는 특정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를 통해 당해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요법을 말한다. 예를 들면, 혈관내피세포증식인자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가 암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이외에 제 2 약제가 사용되는 경우, 2개의 약제는 동시에 (예를 들면, 분리된 조성물 또는 단위형 조성물로서), 거의 동일한 시간에 임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또는 별개의 투약 스케쥴에 따라 투여될 수 있다. 후자의 경 우에, 2개의 화합물은 유리한 효과 또는 상승 효과가 달성되는 것을 확보하기에 충분한 기간, 양, 방식으로 투여될 것이다. 각각의 병용 성분에 대한 바람직한 투여방법 및 순서, 각각의 용량 및 용법이 본 발명의 화합물과 병용하여 투여되는 특정한 화학요법제, 이의 투여 경로, 치료할 특정 종양 및 치료할 특정 숙주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당업자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화학요법제의 적절한 용량은 일반적으로 화학요법제가 단독으로 또는 다른 화학요법제와 병용하여 투여되는 임상 치료에 이미 사용된 용량과 유사하거나 적을 것이다.
투여의 최적 방법 및 순서, 용량 및 용법은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고, 본 명세서에 제시된 정보를 고려하여,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단지 일례로서, 백금 화합물은 1 내지 500 mg/㎡ (체표면적), 예를 들면, 50 내지 400 mg/㎡의 용량으로, 특히 시스플라틴의 경우 치료 과정당 약 75 mg/㎡, 카보플라틴의 경우 약 300 mg/㎡의 용량으로 유리하게 투여된다. 시스플라틴은 경구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정맥내, 피하, 종양내 또는 복강내 주사를 통해 전달되어야 한다.
단지 일례로서, 탁산 화합물은 50 내지 400 mg/㎡ (체표면적), 예를 들면 75 내지 250 mg/㎡의 용량으로, 특히 파클리탁셀의 경우 치료 과정당 약 175 내지 250 mg/㎡, 도세탁셀의 경우 약 75 내지 150 mg/㎡의 용량으로 유리하게 투여된다.
단지 일례로서, 캄프토테신 화합물은 0.1 내지 400 mg/㎡ (체표면적), 예를 들면, 1 내지 300 mg/㎡의 용량으로, 특히 이리노테칸의 경우 치료 과정당 약 100 내지 350 mg/㎡, 토포테칸의 경우 약 1 내지 2 mg/㎡의 용량으로 유리하게 투여된다.
단지 일례로서, 빈카 알칼로이드는 2 내지 30 mg/㎡ (체표면적)의 용량으로, 특히 빈블라스틴의 경우 치료 과정당 약 3 내지 12 mg/㎡, 빈크리스틴의 경우 약 1 내지 2 mg/㎡, 비노렐빈의 경우 약 10 내지 30 mg/㎡의 용량으로 유리하게 투여될 수 있다.
단지 일례로서, 항종양 뉴클레오시드 유도체는 200 내지 2500 mg/㎡ (체표면적), 예를 들면, 700 내지 1500 mg/㎡의 용량으로 유리하게 투여된다. 5-플루오로우라실 (5-FU)은 통상 200 내지 500 mg/㎡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mg/kg/day)의 용량으로 정맥내 투여를 통해 사용된다. 젬시타빈은 치료 과정당 약 800 내지 1200 mg/㎡, 카페시타빈은 약 1000 내지 2500 mg/㎡의 용량으로 유리하게 투여될 수 있다.
단지 일례로서, 알킬화제는 100 내지 500 mg/㎡ (체표면적), 예를 들면, 120 내지 200 mg/㎡의 용량으로, 특히 사이클로포스파미드의 경우 치료 과정당 약 100 내지 500 mg/㎡, 클로람부실의 경우 약 0.1 내지 0.2 mg/kg (체중), 카르무스틴의 경우 약 150 내지 200 mg/㎡, 로무스틴의 경우 약 100 내지 150 mg/㎡의 용량으로 유리하게 투여될 수 있다.
단지 일례로서, 포도필로톡신 유도체는 30 내지 300 mg/㎡ (체표면적), 예를 들면, 50 내지 250 mg/㎡의 용량으로, 특히 에토포시드의 경우 치료 과정당 약 35 내지 100 mg/㎡, 테니포시드의 경우 약 50 내지 250 mg/㎡의 용량으로 유리하게 투 여될 수 있다.
단지 일례로서, 안트라사이클린 유도체는 10 내지 75 mg/㎡ (체표면적), 예를 들면, 15 내지 60 mg/㎡의 용량으로, 특히 독소루비신의 경우 치료 과정당 약 40 내지 75 mg/㎡, 다우노루비신의 경우 약 25 내지 45 mg/㎡, 이다루비신의 경우 약 10 내지 15 mg/㎡의 용량으로 유리하게 투여될 수 있다.
단지 일례로서, 항에스트로겐 화합물은 특정 약제 및 치료할 증상에 따라 매일 약 1 내지 100 mg의 용량으로 유리하게 투여될 수 있다. 타목시펜은 1일 2회 5 내지 50 mg,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mg의 용량으로 유리하게 경구 투여되며, 치료 효과를 달성하고 유지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요법을 지속적으로 행한다. 토레미펜은 1일 1회 약 60 mg의 용량으로 유리하게 경구 투여되며, 치료 효과를 달성하고 유지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요법을 지속적으로 행한다. 아나스트로졸은 1일 1회 약 1 mg의 용량으로 유리하게 경구 투여된다. 드롤록시펜은 1일 1회 약 20 내지 100 mg의 용량으로 유리하게 경구 투여된다. 랄록시펜은 1일 1회 약 60 mg의 용량으로 유리하게 경구 투여된다. 엑세메스탄은 1일 1회 약 25 mg의 용량으로 유리하게 경구 투여된다.
단지 일례로서, 생물 제제는 약 1 내지 5 mg/㎡ (체표면적)의 용량으로, 또는 상이한 경우 당업계에 공지된 바에 따라 유리하게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라스투주맙은 치료 과정당 1 내지 5 mg/㎡, 특히 2 내지 4 mg/㎡의 용량으로 유리하게 투여된다.
용량은 치료 과정당 1회, 2회 이상 투여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7, 14, 21 또는 28일마다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대상에게 전신 투여, 예를 들면 정맥내 투여, 경구 투여, 피하 투여, 근육내 투여, 피내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대상에게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국소 전달 시스템의 비한정적인 예로는 혈관내 약물 전달 카테터, 와이어, 약리학적 스텐트 및 관내 페이빙 (endoluminal paving)을 포함하는 관강내 의료 기구의 사용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표적 부위에서 화합물의 높은 국소 농도를 달성하기 위해 표적 약제와 병용하여 대상에게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수 시간 내지 수 주간에 걸쳐서 약물 또는 약제를 표적 조직과 접촉시켜 유지시키기 위해 급속 방출 또는 지속 방출용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함께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화합물 약 0.1 mg 내지 1000 mg,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500 mg을 함유하며, 선택된 투여 방법에 적합한 어떤 형태로도 제형화될 수 있다.
어구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은 동물, 또는 필요에 따라 인간에게 투여되는 경우 부작용, 알레르기 반응 또는 다른 유해 반응을 낳지 않는 분자적 실체 (molecular entity) 및 조성물을 말한다. 수의학적 용도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제제는 임상적 및/또는 수의학적 용도를 위한 제제를 포함한다.
담체는 결합제, 현탁화제, 윤활제, 향미제, 감미제, 방부제, 염료 및 코팅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필수적이고 불활성인 약제학적 부형제를 포함한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조성물은 환약, 정제, 캐플릿, 캡슐 (각각 즉효성, 지효성 및 서방성 제제를 포함함), 과립, 분제 등의 고체 형태; 용액, 시럽, 엘릭시르, 유제, 현탁제 등의 액체 형태를 포함한다. 비경구 투여에 유용한 형태는 멸균 용액, 유제 및 현탁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지속 방출을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서방성 담체 (전형적으로, 폴리머 담체) 및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서방성 생분해성 담체는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다. 서방성 생분해성 담체는 활성 화합물(들)을 그 안에 포획하여, 적절한 환경 (예를 들면, 수성, 산성, 염기성 등) 하에서 느리게 분해/용해함으로써, 체액 중에 분해/용해시켜, 그 안의 활성 화합물(들)을 방출하는 입자를 형성할 수 있는 물질이다.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나노입자 (즉, 약 1 내지 500 nm 범위의 직경,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200 nm 범위의 직경,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0 nm의 직경)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활성 성분으로서의 일반식 I의 화합물은 통상의 약제학적 배합 기술에 따라 약제학적 담체와 잘 혼합되며, 담체는 예를 들면, 경구 또는 비경구, 이를 테면 근육내 투여를 위해 바람직한 제제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경구 제형의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모든 통상적인 약제학적 매질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현탁제, 엘릭시르, 용액 등의 액체 경구 제제에 관해서는, 적절한 담체 및 첨가제는 물, 글리콜, 오일, 알콜, 향미제, 방부제, 착색제 등을 포함하고; 분제, 캡슐, 캐플릿, 젤캡, 정제 등의 고체 경구 제제에 관해서는, 적절한 담체 및 첨가제는 전분, 당, 희석제, 조립제, 윤활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포함한다. 이의 투여의 용이성 때문에, 정제 및 캡슐은 가장 유리한 경구 단위 제형을 나타내며, 이 경우에 고체 약제학적 담체가 명백히 사용된다. 필요에 따라, 정제는 표준 기술에 의해 당의정 또는 장용제로 될 수 있다. 비경구 제제의 경우, 담체는 예를 들면, 용해성을 촉진시키는 것 등의 목적으로 또는 보존을 위해 다른 성분이 포함될 수 있지만, 통상 멸균수를 포함할 것이다. 주사용 현탁제도 제조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적절한 액체 담체, 현탁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서방성 제제를 제조함에 있어서, 먼저, 서방성 담체, 전형적으로 폴리머 담체, 및 본 발명의 화합물을 유기용매에 용해시키거나 분산시킨다. 그 다음에, 얻어진 유기 용액을 수용액에 가해, 수중유형 유제를 얻는다. 바람직하게는, 수용액은 계면활성제(들)를 포함한다. 이어서, 유기용매를 수중유형 유제로부터 증발시켜, 서방성 담체 및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입자의 콜로이드 현탁액을 얻는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예를 들면, 정제, 캡슐, 분제, 주사제, 티스푼펄 (teaspoonful) 등의 용량 단위당 상술한 유효량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활성 성분의 양을 함유할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예를 들면, 정제, 캡슐, 분제, 주사제, 좌제, 티스푼펄 등의 용량 단위당 1일에 약 0.01 내지 200 mg/kg(체중)을 함유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범위는 1일에 약 0.03 내지 약 100 mg/kg(체중), 가장 바람직하게는, 1일에 약 0.05 내지 약 10 mg/kg(체중)이다. 화 합물은 1일에 1 내지 5회의 처방으로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용량은 환자의 요건, 치료할 증상의 중증도 및 사용된는 화합물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매일 투여 또는 간헐적 투여 (post-periodic dosing)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조성물은 단위 제형, 예컨대 정제, 환약, 캡슐, 분제, 과립, 멸균 비경구 용액 또는 현탁제, 정량 에어로졸 (metered aerosol) 또는 액체 스프레이, 드롭, 앰풀, 자기 주사기 (auto-injector device), 또는 좌제로서; 경구, 비경구, 비강내, 설하 또는 직장 투여, 또는 흡입 또는 취입 투여를 위한 것이다. 또는, 조성물은 주 1회 또는 월 1회 투여에 적합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활성 화합물의 불용성 염, 예컨대 데카노산염을 사용하여, 근육 주사용 데포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정제 등의 고체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주요 활성성분은 약제학적 담체, 예를 들면, 통상적인 정제화 성분, 예컨대 옥수수 전분, 락토스, 수크로스, 소르비톨, 탤크,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제이인산칼슘 또는 검, 및 다른 약제학적 희석제, 예컨대 물과 혼합되어,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균일 혼합물을 함유하는 고체 예비제형 조성물을 형성한다. 이러한 예비제형 조성물을 균일하다고 말하는 경우는, 활성 성분이 조성물을 통해 균등하게 분산되어, 조성물이 동일하게 효과적인 제형, 예컨대 정제, 환약, 및 캡슐로 용이하게 분할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 다음에, 이러한 고체 예비제형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활성 성분 0.1 내지 약 500 mg을 함유하는 상술한 타입의 단위 제형으로 분할된다. 신규한 조성물의 정제 또는 환약은 코팅되거나, 아니면 배합되어, 지효성의 이점을 지닌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 제 또는 환약은 내부 조제 성분 및 외부 조제 성분을 포함하며, 후자가 전자의 외피를 이룰 수 있다. 2개의 성분은 위장 내에서의 분해에 저항하고, 내부 성분이 원래대로 십이지장에 이송되거나 방출을 지연시킬 수 있는 장용층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각종 물질이 이러한 장용층 또는 코팅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물질은 셸락, 아세틸 알콜,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등의 물질과 함께 다수의 폴리머산을 포함한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이 경구 투여 또는 주사를 위해 혼입될 수 있는 액체 형태로는 수용액, 적당히 풍미를 낸 시럽,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및 식용유, 예컨대 면실유, 참기름, 코코넛유 또는 땅콩유로 풍미를 낸 유제, 엘릭시르 및 유사한 약제학적 비히클을 들 수 있다. 수성 현탁액에 적합한 분산제 또는 현탁화제는 합성 및 천연 검, 예를 들면, 트래거캔스, 아카시아, 알긴산염, 덱스트란, 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메틸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젤라틴을 포함한다. 적당히 풍미를 낸 현탁화제 또는 분산제 중의 액체 형태도 합성 및 천연 검, 예를 들면, 트래거캔스, 아카시아, 메틸셀룰로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에 관해서는 멸균 현탁액 및 용액이 바람직하다. 정맥내 투여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적절한 방부제를 함유하는 등장제가 사용된다.
유리하게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은 1일 1회로 투여되거나, 1일 총투여량은 1일 2, 3 또는 4회로 분할하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적절한 비내 비히클의 국소 사용 또는 당업자에게 주지된 경피 피부용 패치제를 통해 비내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경피 전달 시스템의 형태로 투여되기 위해서는, 용법 용 량을 통해 간헐적이기보다는 오히려 연속적으로 투여량이 투여될 것이다.
예를 들면, 정제 또는 캡슐 형태의 경구 투여에 관해서는 활성 약물 성분은 경구용 무독성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불활성 담체, 예컨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배합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적절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착색제도 혼합물에 혼입될 수 있다. 적절한 결합제로는 전분, 젤라틴, 천연당, 예컨대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스, 옥수수 감미제, 천연 및 합성 검, 예컨대 아카시아, 트래거캔스 또는 올레인산나트륨, 스테아르산나트륨,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벤조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염화나트륨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붕해제는 전분, 메틸 셀룰로스, 한천, 벤토나이트, 크산탄 검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품의 1일 투여량은 성인의 경우 1일 1 내지 5000 mg의 넓은 범위에 걸쳐서 변화될 수 있다. 경구 투여에 관해서는, 조성물은 치료할 환자에게 증상에 따른 투여량 조절을 위해 활성 성분 0.01, 0.05, 0.1, 0.5, 1.0, 2.5, 5.0, 10.0, 15.0, 25.0, 50.0, 100, 150, 200, 250 및 500 밀리그램을 함유하는 정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물의 유효량은 대개 1일에 약 0.01 mg/kg 내지 약 200 mg/kg(체중)의 투여량 레벨로 공급된다. 특히, 1일 약 0.03 내지 약 15 mg/kg(체중)의 범위, 특히 1일 약 0.05 내지 약 10 mg/kg(체중)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1일 4회 이하 또는 그 이상의 횟수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일에 1 또는 2회 투여된다.
투여할 최적 용량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사용된 특정 화합 물, 투여 방법, 제제의 세기, 투여 방법 및 병상의 진행 정도에 따라 변화할 것이다. 또한, 환자의 연령, 체중, 식이 및 투여 시간을 포함한 치료할 특정 환자와 관련된 인자가 용량을 조절하는데 필요할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리포솜 전달 시스템, 예컨대 작은 단층 소포 (small unilamellar vesicle), 큰 단층 소포 및 다층 소포 (multilamellar vesicle)의 형태로도 투여될 수 있다. 리포솜은 양친매성 지질, 예컨대 포스파티딜콜린, 스핑고미엘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콜린, 카디오리핀,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드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디아실 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 디아실 디메틸암모늄 프로판, 및 스테아릴아민, 중성 지방, 예컨대 트리글리세리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 각종 지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은 콜레스테롤을 함유하거나, 콜레스테롤을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국소 투여될 수도 있다. 전달 기구, 예컨대 혈관내 약물 전달 카테터, 와이어, 약리학적 스텐트 및 관내 페이빙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구용 전달 시스템은 투여자에 의해 조절되는 속도로 화합물을 전달하는 국소 주입 카테터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관강내 의료 기구, 바람직하게는 스텐트 및 치료 용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기구를 제공한다.
용어 "스텐트"는 카테터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모든 기구를 의미한다. 스텐트는 통상 신체적 기형, 예컨대 외과 수술에 의한 외상으로 인한 혈관 조직의 불 필요한 내부 성장으로 인한 혈관 폐쇄를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이는 종종 관강 내에 남아서 폐색 해제에 적합한 튜브상 팽창형 격자 타입 구조를 갖는다. 스텐트는 내강벽 접촉면 및 내강 노출면을 갖는다. 내강벽 접촉면은 튜브의 외부면이고, 내강 노출면은 튜브의 내부면이다. 스텐트는 폴리머, 금속, 또는 폴리머 및 금속제일 수 있고, 임의로 생분해성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텐트는 비팽창 형태로 관강에 삽입된 다음에, 자율적으로 또는 원위치에서의 제 2 기구의 도움으로 팽창된다. 전형적인 팽창 방법은 혈관의 벽 성분과 관련된 폐색을 전단하고 붕괴하여, 팽창된 관강을 얻도록 협착 혈관 또는 신체 통로내에서 팽창되는 카테터가 부착된 혈관형성술용 벌룬을 이용하여 행한다. U.S. 6,776,796 (Falotico et al.)에 기재된 자기 팽창식 (self-expanding) 스텐트도 이용될 수 있다. 스텐트와, 염증 및 증식을 예방하는 약물, 제제 또는 화합물의 조합은 혈관형성술후 재협착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수의 방법으로 몇 가지 생체적합성 물질을 사용하여 스텐트 내로 혼입되거나 가해질 수 있다. 전형적인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합물은 폴리머 매트릭스, 예컨대 중합체 폴리피롤에 직접 혼입되고, 그 후에 스텐트의 외부면에 코팅된다. 화합물은 폴리머를 통한 확산에 의해 매트릭스로부터 용리된다. 스텐트 및 스텐트 상의 약물 코팅법은 당업계에 상세하게 논의되어 있다. 또 하나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우선, 스텐트를 화합물, 에틸렌-코-비닐아세테이트 및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용액을 포함하는 베이스층으로 코팅한다. 그 다음에, 스텐트를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만을 포함하는 외부층으로 코팅한다. 외부층은 확산 장벽으로 작용하여 화합물이 너무 빠르게 용출되어 주변 조직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준다. 외부층 또는 탑코트 (topcoat)의 두께에 의해 화합물이 매트릭스로부터 용출되는 속도가 결정된다. 스텐트 및 코팅 방법은 WIPO 공개서 WO9632907, 미국 특허공개 제2002/0016625호 및 본 명세서에 개시된 참조문헌에 자세히 논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액 및 생체적합성 물질/폴리머는 다양한 방법으로 스텐트에 또는 스텐트 상에 혼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액이 스텐트 상에 스프레이되거나, 스텐트가 용액에 침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액이 스텐트 상에 스프레이된 다음에, 건조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액은 하나의 극성으로 전하를 띨 수 있으며, 스텐트는 전기적으로 반대 극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액과 스텐트는 서로 인력이 작용할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스프레이 과정을 이용함에 있어서, 폐기물을 줄일 수 있고, 더욱 조절된 코팅 두께를 달성할 수 있다.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조직과 접촉시키는 스텐트의 외부면에만 부착된다. 그러나, 일부의 화합물에 관해서는, 전체 스텐트는 코팅될 수 있다. 스텐트에 사용되는 화합물의 용량과, 약물의 방출을 조절하는 폴리머 코팅의 배합은 약물의 유효성에 있어서 중요하다.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3일 이상 약 6개월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일 내지 30일간 스텐트에 남아있다.
일부의 비침식성 생체적합성 폴리머는 본 발명의 화합물과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이한 폴리머가 상이한 스텐트에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특히 주목할 만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에틸렌-코-비닐아세테이트 및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매트릭스는 스텐레스강제 스텐트와 잘 맞는다. 다른 폴리머는 다른 물질로 제조된 스텐트와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 물질은 초탄성을 나타내는 물질, 예컨대 니켈과 티타늄의 합금을 포함한다.
재협착은 관상동맥 성형술 후의 상당한 사망률과 사상자수의 원인이 된다. 재협착은 탄성 수축력, 혈전 형성, 내막 과형성 및 세포외 매트릭스 리모델링을 포함하는 4가지 과정의 조합을 통하여 발생한다. 몇몇 성장인자는 최근에 재협착을 유도하는 이들 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참조 문헌: Schiele TM et. al., 2004, "Vascular restenosis - striving for therapy." Expert Opin Pharmacother. 5(11):2221-32). 혈관 평활근 세포 (VSMC)는 c-Met 수용체를 발현한다. 간세포 증식 인자, c-Met의 리간드에 노출되면, 이러한 세포를 자극하여, 이주 표현형을 나타낸다 (참조 문헌: Taher et.al., Hepatocyte growth factor triggers signaling cascades mediating vascular smooth muscle cell migration.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2) 298(1):80-6; Morishita R, Aoki M, Yo Y, Ogihara T. Hepatocyte growth factor as cardiovascular hormone: role of HGF in the pathogenesis of cardiovascular disease. Endocr J. (2002) Jun;49(3):273-84). 매질에서 동맥 내막으로의 VSMC 이주가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및 재협착을 발병시키는데 역할을 하므로, c-Met 키나제 활성의 길항제는 이들 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실행가능한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의 관강내 의료 기구, 예컨대 스텐트로부터의 방출에 의한 조절된 전달을 포함하는, 혈관벽의 재협착, 내 막 과형성 또는 염증을 포함하는 c-Met 관련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체관강으로 스텐트를 도입하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화합물로 코팅된 스텐트는 바람직하게는 카테터를 이용하여 도입된다. 당업자에게 인지되는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스텐트 이식의 위치에 기초하여 약간 변화될 것이다. 관상동맥 스텐트 이식을 위하여, 스텐트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는 관상동맥으로 삽입되고, 스텐트는 원하는 부위에 위치된다. 벌룬은 팽창되어, 스텐트를 확장시킨다. 스텐트가 넓혀짐에 따라, 스텐트는 내강벽에 접촉한다. 일단 스텐트가 위치되면, 벌룬은 수축되어, 제거된다. 스텐트는 내강벽과 직접 접촉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내강 접촉면과 함께 적소에 위치하고 있다. 스텐트 이식은 필요에 따라 항응고 요법을 수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텐트에 사용하는 화합물의 전달을 위한 최적 조건은 사용된 상이한 국소 전달 시스템 뿐만 아니라, 사용된 화합물의 특성 및 농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최적화될 수 있는 조건은 예를 들면, 화합물의 농도, 전달 체적, 전달 속도, 혈관벽의 침투 깊이, 인접 팽창 압력, 천공량과 크기, 및 약물 전달 카테터벌룬의 적합도를 포함한다. 조건은 예를 들면, 평활근 세포의 증식능 또는 혈관 저항 또는 내경의 변화에 의해 측정되는, 재협착으로 인한 상당한 동맥 폐색이 발생하지 않도록 손상 부위에서의 평활근 세포 증식 억제를 위해 최적화될 수 있다. 최적 조건은 루틴한 계산법을 이용하여 동물 모델 연구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기 위한 다른 대체 방법은 화합물을 원하는 작용 부위, 즉, 혈관 내피 세포, 또는 종양 세포에 컨쥬게이트를 유도하는 표적 약제에 컨쥬게이팅하는 것이다. 항체 및 비항체 표적 약제가 사용될 수 있다. 표적 약제와 대응하는 이의 결합 파트너 사이의 특이성 상호작용 때문에, 본 발명의 화합물은 표적 부위에 또는 그 근처에 높은 국소 농도로 투여될 수 있으므로, 표적 부위의 질환을 더욱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항체 표적 약제는 종양 세포, 종양 혈관계 또는 종양 간질의 표적화가능하거나 접근가능한 성분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한다. 종양 세포, 종양 혈관계 또는 종양 간질의 "표적화가능하거나 접근가능한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표면 발현, 표면 접근가능하거나 표면 국소 성분이다. 항체 표적 약제는 또한 괴사성 종양 세포에서 방출되는 세포내 성분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항체는 투과가능하게 유도될 수 있는 세포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종양성 및 정상 세포의 유령 세포에 존재하는 불용성 세포내 항원(들)에 결합하는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이지만, 포유동물의 정상 생세포의 외부에 접근가능하거나 존재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항체"는 광범위하게 면역학적 결합제, 예컨대 IgG, IgM, IgA, IgE, F(ab')2, 1가 단편, 예컨대 Fab', Fab, Dab, 및 개변 항체, 예컨대 재조합 항체, 인간화 항체, 이중 특이성 항체 등을 말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항체는 모노클로날 항체가 바람직하지만, 폴리클로날 항체 또는 모노클로날 항체일 수 있다. 실질적으로 고형 종양 타입의 세포 표면에 면역학적 특이성을 갖는 당업계에 공지된 매우 광범위한 항체가 존재한다 (미국 특허 제5,855,866호 (Thorpe et al.)의 고형 종양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에 대한 집계 테이블을 참조한다). 종양에 대한 항체를 생산하여 분리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5,855,866호 (Thorpe et al.) 및 미국 특허 제6,342,219호 (Thorpe et al.)).
항체에 치료 부분을 컨쥬게이팅하는 기술은 공지이다 (예를 들면, Amon et al., "Monoclonal Antibodies For Immunotargeting Of Drugs In Cancer Therapy", in Monoclonal Antibodies And Cancer Therapy, Reisfeld et al. (eds.), pp. 243-56 (Alan R. Liss, Inc. 1985); Hellstrom et al., "Antibodies For Drug Delivery", in Controlled Drug Delivery (2nd Ed.), Robinson et al. (eds.), pp. 623-53 (Marcel Dekker, Inc. 1987); Thorpe, "Antibody Carriers Of Cytotoxic Agents In Cancer Therapy: A Review", in Monoclonal Antibodies '84: Biological And Clinical Applications, Pinchera et al. (eds.), pp. 475-506 (1985)를 참조한다). 유사 기술은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비항체 표적 약제에 부착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당업자는 비항체 표적 약제, 예컨대 소분자, 올리고펩티드, 다당류 또는 다른 다중 음이온성 화합물과 컨쥬게이트를 형성하는 방법을 인지하거나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혈액 중에 상당히 안정한 결합 부분이 본 발명의 화합물을 표적 약제에 결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생물학적으로 해제가능한 결합 및/또는 선택적으로 분할가능한 스페이서 또는 링커가 바람직하다. "생물학적으로 릴리스가능한 결합" 및 "선택적으로 분할가능한 스페이서 또는 링커"는 순환시에, 또는 우선적으로 특 정 조건하에서, 즉, 특정 환경 내에서, 또는 특정 약제와의 접촉하에서 상당한 안정성을 가지나, 다만 릴리스가능하거나, 분할가능하거나, 가수분해가능하다. 이러한 결합은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474,765호 및 제5,762,918호에 기재된 디술파이드 결합, 트리술파이드 결합 및 산에 불안정한 결합, 및 미국 특허 제5,474,765 및 5,762,918호에 기재된 펩티드 결합, 에스테르, 아미드, 포스포디에스테르 및 글리코시드를 포함하는 효소 감수성 결합을 포함한다. 이러한 선택적 릴리스 디자인 특성에 의해, 원하는 표적 부위에서 컨쥬게이트로부터의 화합물의 지속 방출이 촉진된다.
본 발명은 표적 약제에 컨쥬게이트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효량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표적 약제에 컨쥬게이트된 일반식 I의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c-Met 관련 질환, 특히 종양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단백질, 예컨대 항체 또는 성장 인자, 또는 다당류가 표적 약제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주사가능 조성물의 형태로 투여된다. 주사가능한 항체 용액은 2분 내지 약 45분, 바람직하게는 10분 내지 20분에 걸쳐서 정맥, 동맥 또는 척수액으로 투여될 것이다. 특정 경우에는, 피내 및 강내 투여는 피부의 특정 영역 및/또는 특정 체강에 근접한 영역에 제한된 종양에 대하여 유리하다. 또한, 수막강내 투여는 뇌에 위치한 종양에 이용될 수 있다.
표적 약제에 컨쥬게이트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개인, 질병 종류, 병상, 투여 방법 및 다른 임상적 변수에 의존한다. 유효량은 동물 모델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결정가능하다. 고형 종양을 갖는 실험 동물은 종종 임상 환경에 옮기기 전에 적절한 치료 용량을 최적화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모델은 효과적인 항암 전략을 예측하는데 매우 신뢰할 만하다고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고형 종양을 갖는 마우스는 최저 독성으로 유리한 항종양 효과를 부여하는 치료제의 작용 범위를 결정하도록 전임상 테스팅에 널리 사용된다.
상술한 명세서가 예시하기 위해 주어진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는 하기 청구의 범위 및 이의 동등물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통상적인 변형, 응용 및/또는 개량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Claims (48)

  1. 일반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N-옥사이드, 프로드럭,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및 입체화학 이성질체:
    Figure 112008048437075-PCT00411
    상기식에서,
    R1은 단환식 또는 이환식 헤테로아릴, 또는 피리딘-2-온-일이고, 헤테로아릴은 1, 2 또는 3개의 Ra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며;
    Ra는 -NH2, 할로겐, 알콕시, 알킬에테르, 알킬티오, 알킬술포닐, 페닐술포닐, 헤테로아릴술포닐, 헤테로사이클릴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알킬, 아미노알킬, 알킬아미노, 페닐, 헤테로아릴, 시아노, 알케닐,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CO2-알킬, -C(O)-Rb, -C(1-4)알킬-모르폴리닐, -C(1-4)알킬-피페리디닐, -C(1-4)알킬-피페라지닐, -C(1-4)알킬-N'-메틸피페라지닐, -C(1-4)알킬-Rb, -C(O)NH-C(1-4)알킬-Rb, 또는 -C(O)NRcRd이고;
    Rb는 헤테로사이클릴, 알킬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OH, -O알킬, -NH2, -NH알킬, 또는 -N(알킬)2이며;
    Rc 및 Rd는 H, 페닐, 헤테로아릴, 또는 C1 - 6알킬 (여기서, C1 - 6알킬은 -N(CH3)2,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N-메틸피페라지닐, 알킬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하이드록실, 및 알콕시 중에서 선택되는 1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c 및 Rd는 함께 임의로 O, NH, N(알킬), SO, SO2, 또는 S 중에서 선택되는 제 2 헤테로 부분을 포함하는 5원 내지 7원 복소환을 형성할 수 있고; Rc-Rd 복소환은 알킬, -SO2알킬, 또는 -C(O)알킬로 임의로 치환되며;
    A는 페닐, 단환식 또는 이환식 헤테로아릴, 3-(4-메톡시-벤질)-3H-퀴나졸린-4-온-6-일, 퀴나졸린-4-온-6-일, 및 벤조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환이고; 페닐, 헤테로아릴, 또는 벤조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은 -OH, 알킬, 페닐, 헤테로아릴, 알콕시, -CN, 할로겐, 니트로, -NH2, -N(CH3)2, -NHC(O)NHC1-6알킬, 및 -NHC(O)C1- 6알킬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며;
    R5 및 R6는 H, F, C1 - 6알킬, -OH, -OC1 - 6알킬, -NHC1 - 6알킬, 또는 -N(C1 - 6알킬)2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5 및 R6는 함께 C3 - 5사이클로알킬환, 아지리디닐환, 또는 에폭시딜환을 형성할 수 있고;
    R7 및 R8은 H, 할로겐 또는 C1 - 6알킬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1은 단환식 또는 이환식 헤테로아릴, 또는 피리딘-2-온-5-일이고, 헤테로아릴은 1, 2 또는 3개의 Ra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며;
    R7 및 R8은 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제 2 항에 있어서, Rc 및 Rd는 H, 페닐, 헤테로아릴, 또는 C1 - 6알킬 (여기서, C1-6알킬은 -N(CH3)2,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N-메틸피페라지닐, 알킬술포닐, -SO2NH2, 알킬술폰아미드, 하이드록실, 및 알콕시 중에서 선택되는 1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c 및 Rd는 함께 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및 피페라지닐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5원 내지 7원 복소환을 형성할 수 있고, 피페라지닐은 알킬, -SO2알킬, 또는 -C(O)알킬로 임의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제 3 항에 있어서, R5 및 R6는 H, F, 또는 CH3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5 및 R6는 함께 사이클로프로필환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5. 제 4 항에 있어서, A는 페닐, 단환식 또는 이환식 헤테로아릴, 3-(4-메톡시-벤질)-3H-퀴나졸린-4-온-6-일, 퀴나졸린-4-온-6-일, 및 벤조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환이고; 페닐, 헤테로아릴, 또는 벤조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은 -OH, 알킬, 페닐, 헤테로아릴, 알콕시, -CN, 할로겐, 니트로, -NH2, -N(CH3)2, -NHC(O)NHC1-6알킬, 및 -NHC(O)C1- 6알킬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6. 제 5 항에 있어서, A는 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 퀴놀린-6-일, 퀴놀린-6-일-N-옥사이드, 2-아미노 벤조티아졸-6-일, 4-메톡시페닐, 3-(4-메톡시-벤질)-3H-퀴나졸린-4-온-6-일, 퀴나졸린-4-온-6-일, 및 4-하이드록시 페닐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7. 제 6 항에 있어서, R1은 단환식 또는 이환식 헤테로아릴, 또는 피리딘-2-온-5-일이고, 헤테로아릴은 1개의 Ra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 합물.
  8. 제 7 항에 있어서, R1은 티오펜-2-일, 티아졸-2-일,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피리딘-2-온-5-일, 또는 피리딜이고, 티오펜-2-일, 티아졸-2-일,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및 피리딜은 1개의 Ra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9. 제 8 항에 있어서, R5 및 R6는 H 또는 F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0. Figure 112008048437075-PCT00412
    Figure 112008048437075-PCT00413
    Figure 112008048437075-PCT00414
    Figure 112008048437075-PCT00415
    Figure 112008048437075-PCT00416
    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및 이의 N-옥사이드, 프로드럭,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및 입체화학 이성질체.
  11. Figure 112008048437075-PCT00417
    Figure 112008048437075-PCT00418
    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및 이의 N-옥사이드, 프로드럭,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및 입체화학 이성질체.
  12. Figure 112008048437075-PCT00419
    인 화합물, 및 이의 N-옥사이드, 프로드럭,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및 입체화학 이성질체.
  13. Figure 112008048437075-PCT00420
    인 화합물, 및 이의 N-옥사이드, 프로드럭,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및 입체화학 이성질체.
  14. Figure 112008048437075-PCT00421
    인 화합물, 및 이의 N-옥사이드, 프로드럭,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및 입체화학 이성질체.
  15. Figure 112008048437075-PCT00422
    인 화합물, 및 이의 N-옥사이드, 프로드럭,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및 입체화학 이성질체.
  16. Figure 112008048437075-PCT00423
    인 화합물, 및 이의 N-옥사이드, 프로드럭,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및 입체화학 이성질체.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8.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19. 세포 증식 질환의 치료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의 용도.
  20.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의 c-Met의 키나제 활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21.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의 c-Met의 키나제 활성을 억제시키는 방법.
  22.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의 c-Met의 발현을 조절하는 방법.
  23.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예방적 유효량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c-Met 관련 질환을 예방하는 방법.
  24.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c-Met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25.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예방적 유효량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 하는 대상의 c-Met 관련 질환을 조절하는 방법.
  26. 제 23 항에 있어서, 추가로 화학요법제의 투여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 23 항에 있어서, 추가로 유전자 요법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8. 제 23 항에 있어서, 추가로 면역 요법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9. 제 23 항에 있어서, 추가로 방사선 요법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0. 제 24 항에 있어서, 추가로 화학요법제의 투여를 포함하는 방법.
  31. 제 24 항에 있어서, 추가로 유전자 요법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2. 제 24 항에 있어서, 추가로 면역 요법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3. 제 24 항에 있어서, 추가로 방사선 요법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4. 제 25 항에 있어서, 추가로 화학요법제의 투여를 포함하는 방법.
  35. 제 25 항에 있어서, 추가로 유전자 요법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6. 제 25 항에 있어서, 추가로 면역 요법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7. 제 25 항에 있어서, 추가로 방사선 요법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8.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관강내 의료 기구로부터 방출하여 전달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c-Met 관련 질환의 치료 방법.
  39.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관강내 의료 기구로부터 방출하여 전달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포 증식 질환의 치료 방법.
  40. 제 38 항에 있어서, 관강내 의료 기구는 스텐트를 포함하는 방법.
  41. 제 39 항에 있어서, 관강내 의료 기구는 스텐트를 포함하는 방법.
  42. 표적 약제에 컨쥬게이트되는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의 유효량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3. 표적 약제에 컨쥬게이트되는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c-Met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44. 화학요법제와,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의 배합물.
  45. 일반식 IV의 화합물과, 일반식 V의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항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Figure 112008048437075-PCT00424
    Figure 112008048437075-PCT00425
    상기식에서, X는 Cl, I 또는 Br이고, Y는 아연산염, 보론산, 보론산 에스테르 또는 스탄난이다.
  46. 일반식 III의 화합물과, 일반식 VI의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항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Figure 112008048437075-PCT00426
    Figure 112008048437075-PCT00427
    .
  47. 제 46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성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8. 제 47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성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087016333A 2005-12-21 2006-12-18 티로신 키나제 모듈레이터로서의 트리아졸로피리다진 KR1014126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5263405P 2005-12-21 2005-12-21
US60/752,634 2005-12-21
PCT/US2006/048241 WO2007075567A1 (en) 2005-12-21 2006-12-18 Triazolopyridazines as tyrosine kinase modula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154A true KR20080085154A (ko) 2008-09-23
KR101412675B1 KR101412675B1 (ko) 2014-07-03

Family

ID=37964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6333A KR101412675B1 (ko) 2005-12-21 2006-12-18 티로신 키나제 모듈레이터로서의 트리아졸로피리다진

Country Status (40)

Country Link
US (2) US8030305B2 (ko)
EP (1) EP1966214B9 (ko)
JP (1) JP5292102B2 (ko)
KR (1) KR101412675B1 (ko)
CN (1) CN101374843B (ko)
AP (1) AP3433A (ko)
AR (1) AR058703A1 (ko)
AU (1) AU2006331912B2 (ko)
BR (1) BRPI0620292B1 (ko)
CA (1) CA2634721C (ko)
CR (1) CR10170A (ko)
CY (1) CY1118846T1 (ko)
DK (1) DK1966214T3 (ko)
EA (1) EA015754B1 (ko)
EC (1) ECSP088573A (ko)
ES (1) ES2612377T3 (ko)
GT (1) GT200800105A (ko)
HN (1) HN2008000931A (ko)
HR (1) HRP20170103T1 (ko)
HU (1) HUE030390T2 (ko)
IL (1) IL192108A (ko)
LT (1) LT1966214T (ko)
MA (1) MA30084B1 (ko)
ME (1) ME02736B (ko)
MX (1) MX2008008277A (ko)
MY (1) MY159523A (ko)
NI (1) NI200800179A (ko)
NO (1) NO340958B1 (ko)
NZ (1) NZ568807A (ko)
PE (2) PE20070752A1 (ko)
PL (1) PL1966214T3 (ko)
PT (1) PT1966214T (ko)
RS (1) RS55630B1 (ko)
SV (1) SV2008002963A (ko)
TN (1) TNSN08278A1 (ko)
TW (1) TWI399378B (ko)
UA (1) UA98297C2 (ko)
UY (1) UY30041A1 (ko)
WO (1) WO2007075567A1 (ko)
ZA (1) ZA20080627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6438A (ko) * 2014-03-26 2016-11-29 아스텍스 테라퓨틱스 리미티드 조합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4221A (ja) * 2004-12-17 2008-07-10 バイオノボ・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Epimedium属植物の抽出液を用いた方法
US7482029B2 (en) * 2005-04-01 2009-01-27 Bionovo, Inc.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menopause
US7700136B2 (en) * 2005-11-14 2010-04-20 Bionovo, Inc. Scutellaria barbata extract for the treatment of cancer
CA2630884A1 (en) * 2005-11-30 2007-06-07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Inhibitors of c-met and uses thereof
US7645789B2 (en) 2006-04-07 2010-01-12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Indole derivatives as CFTR modulators
DK3091011T3 (en) 2006-04-07 2018-02-26 Vertex Pharma MODULATORS OF ATP BINDING CASSETTE TRANSPORT
US10022352B2 (en) 2006-04-07 2018-07-17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Modulators of ATP-binding cassette transporters
EP2032578A2 (en) * 2006-05-30 2009-03-11 Pfizer Products Incorporated Triazolopyridazine derivatives
PE20080403A1 (es) * 2006-07-14 2008-04-25 Amgen Inc Derivados heterociclicos fusionados y metodos de uso
US8217177B2 (en) * 2006-07-14 2012-07-10 Amgen Inc. Fused heterocyclic derivatives and methods of use
US8198448B2 (en) 2006-07-14 2012-06-12 Amgen Inc. Fused heterocyclic derivatives and methods of use
WO2008021781A1 (en) 2006-08-07 2008-02-21 Incyte Corporation Triazolotriazines as kinase inhibitors
KR101083177B1 (ko) * 2006-10-23 2011-11-11 에스지엑스 파마슈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트리아졸로-피리다진 단백질 키나제 조정제
JP2010507384A (ja) 2006-10-27 2010-03-11 ジヤンセン・フアーマシユーチカ・ナームローゼ・フエンノートシヤツプ キナーゼ阻害剤のプロファイリング方法
US8563573B2 (en) 2007-11-02 2013-10-22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Azaindole derivatives as CFTR modulators
ES2689444T3 (es) 2006-11-22 2018-11-14 Incyte Holdings Corporation Imidazotriazinas e imidazopirimidinas como inhibidores de la quinasa
DE102007026341A1 (de) 2007-06-06 2008-12-11 Merck Patent Gmbh Benzoxazolonderivate
EP2170894A1 (en) * 2007-06-21 2010-04-07 Janssen Pharmaceutica N.V. Polymorphic and hydrate forms, salts and process for preparing 6-{difluoro[6-(1-methyl-1h-pyrazol-4-yl)[1,2,4]triazolo[4,3-b]pyridazin-3-yl]methyl}quinoline
US20090042818A1 (en) * 2007-06-22 2009-02-12 Bionovo, Inc. Liquiritigenin and Derivatives as Selective Estrogen Receptor Beta Agonists
US20080319051A1 (en) * 2007-06-22 2008-12-25 Bionovo, Inc. Liquiritigenin and derivatives as selective estrogen receptor beta agonists
US8188083B2 (en) 2007-06-28 2012-05-29 Abbott Laboratories Triazolopyridazines
DE102007032507A1 (de) 2007-07-12 2009-04-02 Merck Patent Gmbh Pyridazinonderivate
AU2008285325A1 (en) * 2007-08-08 2009-02-12 Bionovo, Inc. Extracts of Ligustrum lucidum and uses thereof
PA8792501A1 (es) * 2007-08-09 2009-04-23 Sanofi Aventis Nuevos derivados de 6-triazolopiridacina-sulfanil benzotiazol y bencimidazol,su procedimiento de preparación,su aplicación como medicamentos,composiciones farmacéuticas y nueva utilización principalmente como inhibidores de met.
FR2919870B1 (fr) * 2007-08-09 2014-05-16 Sanofi Aventis Nouveaux derives de 6-triazolopyridazine-sulfanyl benzothiazole et benzothiazole et benzimidazole, procede,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et nouvelle utilisation comme inhibiteurs de cmet
FR2929613B1 (fr) * 2008-04-02 2010-12-31 Sanofi Aventis Nouveaux derives de 6-triazolopyridazine-sulfanyl benzothiazole et benzimidazole,leur preparation,comme medicaments et utilisation notamment comme inhibiteurs de met
DE102007038957A1 (de) * 2007-08-17 2009-02-19 Merck Patent Gmbh 6-Thioxo-pyridazinderivate
WO2009033075A1 (en) * 2007-09-07 2009-03-12 Bionovo. Inc. ESTROGENIC EXTRACTS OF Scuttelaria barbata D. DON OF THE LABIATAE FAMILY AND USES THEREOF
EP2194998A4 (en) * 2007-09-07 2012-03-21 Bionovo Inc STROGENIC EXTRACTS OF ASPARAGUS CONCHINCHINENSIS (LOUR.) MERR OF THE LILIACEAE FAMILY AND USES THEREOF
CA2698732A1 (en) * 2007-09-07 2009-03-12 Bionovo, Inc. Estrogenic extrac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fisch.bge.var.mongolicus bge. of the leguminosae family and uses thereof
US20090068299A1 (en) * 2007-09-07 2009-03-12 Bionovo, Inc. ESTROGENIC EXTRACTS OF Pueraria lobata Willd. Ohwi of the Leguminosae Family AND USES THEREOF
US20090130118A1 (en) * 2007-11-19 2009-05-21 Bionovo, Inc. Scutellaria barbata extract and combination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EP2222321A4 (en) * 2007-11-19 2013-02-13 Bionovo Inc THERAPY AGAINST CANCER WITH AN EXTRACT OF SCUTELLARIA BARBATA
WO2009067550A1 (en) * 2007-11-19 2009-05-28 Bionovo, Inc. Methods of detecting and treatment of cancers using scuttelaria barbata extract
US8197868B2 (en) * 2007-11-19 2012-06-12 Bionovo, Inc. Process of making purified extract of Scutellaria barbata D. Don
DE102007061963A1 (de) 2007-12-21 2009-06-25 Merck Patent Gmbh Pyridazinonderivate
MX2010008490A (es) * 2008-02-05 2010-08-18 Sanofi Aventis Triazolopiridazinas como inhibidores de par1, su produccion y su uso como medicamentos.
BRPI0907700A2 (pt) * 2008-02-05 2015-07-21 Sanofi Aventis Imidazopiridazinas como inibidores par1, produção das mesmas e uso como medicamentos
KR20100120139A (ko) * 2008-02-05 2010-11-12 사노피-아벤티스 Par1 억제제로서의 트리아졸륨 염, 이들의 제조방법, 및 약제로서의 용도
KR20100128305A (ko) 2008-02-28 2010-12-07 노파르티스 아게 C-met 티로신 키나제 매개 질환의 치료를 위한 이미다조[1,2-b]피리다진 유도체
JP2011516583A (ja) * 2008-04-14 2011-05-26 バイオノボ・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エストロゲン受容体β介在疾患の治療のためのカリコシン及びその類似物質
DE102008019907A1 (de) * 2008-04-21 2009-10-22 Merck Patent Gmbh Pyridazinonderivate
JP2011519947A (ja) * 2008-05-06 2011-07-14 バイオノボ・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膣および外陰の委縮を治療するために使用するエストロゲン様抽出物
SI2300455T1 (sl) 2008-05-21 2017-12-29 Incyte Holdings Corporation Soli 2-fluoro-n-metil-4-(7-(kinolin-6-il-metil)-imidazo(1,2-b)1,2,4) triazin-2-il)benzamid in postopki v zvezi z njihovo pripravo
EP2294402A2 (en) * 2008-06-05 2011-03-16 Bionovo Inc. Method of quantification of multiple bioactives from botanical compositons
WO2009148620A2 (en) * 2008-06-06 2009-12-10 Bionovo, Inc. Anthraquinones and analogs from rhuem palmatum for treatment of estrogen receptor beta-mediated conditions
DE102008028905A1 (de) 2008-06-18 2009-12-24 Merck Patent Gmbh 3-(3-Pyrimidin-2-yl-benzyl)-[1,2,4]triazolo[4,3-b]pyridazinderivate
BRPI0916464A2 (pt) * 2008-07-18 2018-06-12 Sanofi-Aventis derivados triazolo(4,3-a) piridina, o respectivo processo de preparo, a respectiva aplicação como medicamentos, composições farmacêuticas e utilização notadamente como inibidores de met
FR2941229B1 (fr) * 2009-01-21 2012-11-30 Sanofi Aventis Nouveaux derives triazolo°4,3-a!pyridin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leur application a titre de medicament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et nouvelle utilisation notamment comme inhibiteurs de met
TWI365185B (en) 2008-07-24 2012-06-01 Lilly Co Eli Amidophenoxyindazoles useful as inhibitors of c-met
DE102008037790A1 (de) 2008-08-14 2010-02-18 Merck Patent Gmbh Bicyclische Triazolderivate
UY32049A (es) 2008-08-14 2010-03-26 Takeda Pharmaceutical Inhibidores de cmet
DE102008038222A1 (de) 2008-08-18 2010-02-25 Merck Patent Gmbh Indazol-5-carbonsäurehydrazid-derivate
DE102008038221A1 (de) 2008-08-18 2010-02-25 Merck Patent Gmbh 7-Azaindolderivate
DE102008038220A1 (de) 2008-08-18 2010-02-25 Merck Patent Gmbh Oxadiazolderivate
AU2009289644A1 (en) * 2008-09-03 2010-03-11 Bionovo,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JP2012509342A (ja) 2008-11-20 2012-04-19 オーエスアイ・フアーマスーテイカルズ・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置換ピロロ[2,3−b]−ピリジンおよび−ピラジン
DE102008063667A1 (de) 2008-12-18 2010-07-01 Merck Patent Gmbh 3-(3-Pyrimidin-2-yl-benzyl)-°[1,2,4]triazolo[4,3-b]pyrimidin-derivate
KR101663335B1 (ko) 2008-12-22 2016-10-06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6-(1-메틸-1h-피라졸-4-일)-2-{3-[5-(2-모르폴린-4-일-에톡시)-피리미딘-2-일]-벤질}-2h-피리다진-3-온디히드로겐포스페이트의 신규한 다형체 및 이의 제조 방법
DE102008062825A1 (de) 2008-12-23 2010-06-24 Merck Patent Gmbh 3-(3-Pyrimidin-2-yl-benzyl)-[1,2,4]triazolo [4,3-b]pyridazin-derivate
FR2941951B1 (fr) * 2009-02-06 2011-04-01 Sanofi Aventis Derives de 6-(6-nh-substitue-triazolopyridazine-sulfanyl) benzothiazoles et benzimidazoles : preparation, application comme medicaments et utilisation comme inhibiteurs de met.
FR2941949B1 (fr) * 2009-02-06 2011-04-01 Sanofi Aventis Derives de 6-(6-o-cycloalkyl ou 6-nh-cycloalkyl- triazolopyridazine-sulfanyl)benzothiazoles et benzimidazoles preparation, application comme medicaments et utilisation comme inhibiteurs de met.
FR2941952B1 (fr) * 2009-02-06 2011-04-01 Sanofi Aventis Derives de 6-(6-substitue-triazolopyridazine-sulfanyl) 5-fluoro-benzothiazoles et 5-fluoro-benzimidazoles : preparation, application comme medicaments et utilisation comme inhibiteurs de met.
FR2941950B1 (fr) * 2009-02-06 2011-04-01 Sanofi Aventis Derives de 6-(6-o-substitue-triazolopyridazine-sulfanyl) benzothiazoles et benzimidazoles : preparation, application comme medicaments et utilisation comme inhibiteurs de met.
EP2406264A4 (en) 2009-03-09 2012-08-08 Univ California SUBSTITUTED HETEROCYCLES AND THEIR USE AS ALLOSTERIC MODULATORS OF NICOTINE AND GABAA RECEPTORS
US20100303936A1 (en) * 2009-04-28 2010-12-02 Bionovo, Inc. A Delaware Corporation Method of reducing fat accumulation and inducing weight loss
US8389526B2 (en) 2009-08-07 2013-03-05 Novartis Ag 3-heteroarylmethyl-imidazo[1,2-b]pyridazin-6-yl derivatives
CN102548995B (zh) * 2009-08-12 2015-01-28 诺华股份有限公司 杂环腙化合物以及它们治疗癌症和炎症的用途
EA201200260A1 (ru) 2009-08-12 2012-09-28 Новартис Аг Гетероциклические гидразоны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для лечения рака и воспаления
EA201200318A1 (ru) 2009-08-20 2012-09-28 Новартис Аг Гетероциклические оксимы
DE102009056886A1 (de) 2009-12-03 2011-06-09 Bayer Schering Pharma Aktiengesellschaft cMet-Inhibitoren zur Behandlung der Endometriose
CN106432225B (zh) 2009-12-31 2019-02-19 和记黄埔医药(上海)有限公司 某些***并吡啶化合物和***并吡嗪化合物、其组合物和其使用方法
BR112012019302B1 (pt) 2010-02-03 2022-06-21 Incyte Holdings Corporation Imidazo[1,2-b] [1,2,4]triazinas como inibidores de c-met, composição que as compreende e métodos in vitro de inibir a atividade de c-met cinase, de inibir a via de sinalização da hgf/c-met cinase em uma célula e de inibir a atividade proliferativa de uma célula
US8802868B2 (en) 2010-03-25 2014-08-12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Solid forms of (R)-1(2,2-difluorobenzo[D][1,3]dioxo1-5-yl)-N-(1-(2,3-dihydroxypropyl-6-fluoro-2-(1-hydroxy-2-methylpropan2-yl)-1H-Indol-5-yl)-Cyclopropanecarboxamide
SG184987A1 (en) 2010-04-22 2012-11-29 Vertex Pharma Process of producing cycloalkylcarboxamido-indole compounds
GB201007286D0 (en) 2010-04-30 2010-06-16 Astex Therapeutics Ltd New compounds
US20130072495A1 (en) 2010-05-14 2013-03-21 OSI Pharmaceuticals, LLC Fused bicyclic kinase inhibitors
AR081039A1 (es) 2010-05-14 2012-05-30 Osi Pharmaceuticals Llc Inhibidores biciclicos fusionados de quinasa
WO2012003338A1 (en) 2010-07-01 2012-01-05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COMBINATION OF A cMET INHIBITOR AND AN ANTIBODY TO HGF AND/OR cMET
AU2011278832B2 (en) * 2010-07-14 2014-03-13 Betta Pharmaceuticals Co., Ltd Novel fused heterocyclic derivatives useful as c-Met tyrosine kinase inhibitors
WO2012007500A2 (de) 2010-07-15 2012-01-19 Bayer Cropscience Ag Neue heterocyclische verbindungen als schädlingsbekämpfungsmittel
WO2012065161A2 (en) 2010-11-12 2012-05-18 Scott & White Healthcare Antibodies to tumor endothelial marker 8
GB201020179D0 (en) 2010-11-29 2011-01-12 Astex Therapeutics Ltd New compounds
CN102532141A (zh) * 2010-12-08 2012-07-04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1,2,4]***并[4,3-b][1,2,4]三嗪类化合物、其制备方法和用途
WO2012107500A1 (en) 2011-02-10 2012-08-16 Novartis Ag [1, 2, 4] triazolo [4, 3 -b] pyridazine compounds as inhibitors of the c-met tyrosine kinase
US20140088114A1 (en) 2011-05-16 2014-03-27 OSI Pharmaceuticals ,LLC Fused bicyclic kinase inhibitors
CN103958509B (zh) * 2011-09-15 2015-12-23 诺华股份有限公司 作为酪氨酸激酶抑制剂的6-取代的3-(喹啉-6-基硫代)-[1,2,4]***并[4,3-a]吡啶化合物
MX339302B (es) 2011-09-15 2016-05-19 Novartis Ag 3-(quinolin-6-il-tio)-[1,2,4]-triazolo-[4,3-a]-piridinas 6-sustituidas como cinasas de tirosina.
CN102516263B (zh) * 2011-10-25 2015-04-08 南方医科大学 一种螺三环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以及含该类化合物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CN102503959B (zh) * 2011-10-25 2015-04-08 南方医科大学 一种稠三环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以及含该类化合物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GB201118652D0 (en) 2011-10-28 2011-12-07 Astex Therapeutics Ltd New compounds
GB201118656D0 (en) 2011-10-28 2011-12-07 Astex Therapeutics Ltd New compounds
GB201118675D0 (en) 2011-10-28 2011-12-14 Astex Therapeutics Ltd New compounds
GB201118654D0 (en) 2011-10-28 2011-12-07 Astex Therapeutics Ltd New compounds
KR20130091464A (ko) * 2012-02-08 2013-08-19 한미약품 주식회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억제 활성을 갖는 트리아졸로피리딘 유도체
KR101869534B1 (ko) * 2012-03-05 2018-06-20 한국화학연구원 신규한 트리아졸로 피리다진 유도체 및 그의 용도
WO2013149581A1 (en) 2012-04-03 2013-10-10 Novartis Ag Combination products with tyrosine kinase inhibitors and their use
AU2013243737B2 (en) 2012-04-03 2016-06-30 Novartis Ag Tyrosine kinase inhibitor combinations and their use
GB201209609D0 (en) 2012-05-30 2012-07-11 Astex Therapeutics Ltd New compounds
GB201209613D0 (en) 2012-05-30 2012-07-11 Astex Therapeutics Ltd New compounds
AU2013290444B2 (en) 2012-07-16 2018-04-26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R)-1-(2,2-diflurorbenzo[d][1,3]dioxol-5-yl)-N-(1-(2,3-dihydroxypropyl)-6-fluoro-2-(1-hydroxy-2-methylpropan-2-yl)-1H-indol-5-yl) cyclopropanecarboxamide and administration thereof
CA2880178C (en) * 2012-07-27 2021-10-26 Sato Pharmaceutical Co., Ltd. Difluoromethylene compound
CN103122000B (zh) 2012-09-03 2013-12-25 中美冠科生物技术(太仓)有限公司 用作抗肿瘤药物的高选择性的c-Met激酶抑制剂
US9422290B2 (en) 2012-11-13 2016-08-23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Triazolopyridazine
US9266891B2 (en) 2012-11-16 2016-02-23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Substituted [1,2,4]triazolo[4,3-A]pyrazines that are BRD4 inhibitors
GB201307577D0 (en) 2013-04-26 2013-06-12 Astex Therapeutics Ltd New compounds
WO2014174478A1 (en) 2013-04-26 2014-10-30 Novartis Ag Pharmaceutical combinations of a pkc inhibitor and a c-met receptor tyrosine kinase inhibitor
CN104250257B (zh) * 2013-06-25 2017-06-16 上海翰森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3,4‑二氢‑1H‑苯并[c][1,2]噁硼酸类化合物或其可药用盐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3524431B (zh) * 2013-09-24 2016-01-13 西安交通大学 3-苄基-4-喹唑啉酮类化合物及其合成方法和应用
GB201321745D0 (en) * 2013-12-09 2014-01-22 Ucb Pharma Sa Therapeutic agents
JP6980385B2 (ja) 2014-03-26 2021-12-15 アステックス、セラピューティックス、リミテッドAstex Therapeutics Limited Fgfr阻害剤とigf1r阻害剤の組合せ
JO3512B1 (ar) 2014-03-26 2020-07-05 Astex Therapeutics Ltd مشتقات كينوكسالين مفيدة كمعدلات لإنزيم fgfr كيناز
PL3925607T3 (pl) 2014-04-15 2023-10-30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Kompozycje farmaceutyczne do leczenia chorób, w których pośredniczy mukowiscydozowy przezbłonowy regulator przewodnictwa
TWI695837B (zh) * 2014-12-04 2020-06-11 比利時商健生藥品公司 作為激酶調節劑之***並嗒
EP3229836B1 (en) 2014-12-09 2019-11-13 Institut National de la Sante et de la Recherche Medicale (INSERM) Human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axl
NZ731770A (en) * 2014-12-11 2023-05-26 Merck Patent Gmbh Combination of a 6-oxo-1,6-dihydro-pyridazine derivative having anti-cancer activity with a quinazoline derivative
JOP20200201A1 (ar) 2015-02-10 2017-06-16 Astex Therapeutics Ltd تركيبات صيدلانية تشتمل على n-(3.5- ثنائي ميثوكسي فينيل)-n'-(1-ميثيل إيثيل)-n-[3-(ميثيل-1h-بيرازول-4-يل) كينوكسالين-6-يل]إيثان-1.2-ثنائي الأمين
WO2016135041A1 (en) 2015-02-26 2016-09-01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Fusion proteins and antibodies comprising thereof for promoting apoptosis
US10478494B2 (en) 2015-04-03 2019-11-19 Astex Therapeutics Ltd FGFR/PD-1 combination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cancer
CN106279176B (zh) * 2015-06-11 2020-09-08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氘代的3-[(6-喹啉基)二氟甲基]-6-[(1-甲基)-4-吡唑基][1,2,4]***并[4,3-b]哒嗪及其应用
AU2016284654B9 (en) 2015-06-26 2020-05-21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2,3-dihydro-4h-1,3-benzoxazin-4-one derivatives as modulators of cholinergic muscarinic M1 receptor
KR20180052631A (ko) 2015-09-23 2018-05-18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비-헤테로아릴 치환된 1,4-벤조디아제핀 및 암의 치료를 위한 이의 용도
BR112018005637B1 (pt) 2015-09-23 2023-11-28 Janssen Pharmaceutica Nv Compostos derivados de quinoxalina, quinolina e quinazolinona,composições farmacêuticas que os compreende, e uso dos referidos compostos
WO2017049711A1 (zh) 2015-09-24 2017-03-30 上海海聚生物科技有限公司 喹啉类衍生物、其药物组合物、制备方法及应用
WO2017069173A1 (ja) 2015-10-20 2017-04-27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複素環化合物
CN106924260B (zh) * 2015-12-31 2018-05-25 北京浦润奥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化合物在制备用于治疗脑胶质瘤的药物中的用途
JP7098600B2 (ja) * 2016-08-16 2022-07-11 バイエル・クロップサイエンス・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3H-イミダゾール[4,5-c]ピリジン誘導体を有機金属亜鉛-アミン塩基と反応させることによる2-(3,6-ジハロピリジン-2-イル)-3H-イミダゾール[4,5-c]ピリジン誘導体及び関連化合物の製造方法
JP7105797B2 (ja) 2016-11-28 2022-07-25 プラクシス プレシジョン メディシ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化合物及びその使用方法
US11261188B2 (en) 2016-11-28 2022-03-01 Praxis Precision Medicines, Inc. Fused heteroaryl compounds, and methods thereof for treating diseases, disorders, and conditions relating to aberrant function of a sodium channel
US11492345B2 (en) 2017-02-13 2022-11-08 Praxis Precision Medicines, Inc. Compounds and their methods of use
WO2018187480A1 (en) 2017-04-04 2018-10-11 Praxis Precision Medicines, Inc. Compounds and their methods of use
TWI774755B (zh) * 2017-04-28 2022-08-21 日商佐藤製藥股份有限公司 二氟甲烯化合物之製造法
US11278535B2 (en) 2017-08-15 2022-03-22 Praxis Precision Medicines, Inc. Compounds and their methods of use
WO2019201718A1 (en) * 2018-04-18 2019-10-24 Basf Se D-glucaro-6,3-lactone monoester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TWI831786B (zh) 2018-05-30 2024-02-11 美商普雷西斯精密藥品公司 離子通道調節劑
CN109045036B (zh) * 2018-07-19 2020-10-02 中山大学 [1,2,4]***并[4,3-b]哒嗪衍生物在制备抗肿瘤药物中的应用
EA202191541A1 (ru) 2018-12-14 2022-01-21 Бета Фарма, Инк. ЗАМЕЩЕННЫЕ ФОСФОРОРГАНИЧЕСКИМИ ГРУППАМИ СОЕДИНЕНИЯ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c-MET И ИХ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Е ПРИМЕНЕНИЯ
CN113490666A (zh) 2018-12-19 2021-10-08 奥瑞生物药品公司 作为fgfr酪氨酸激酶的抑制剂的取代的吡唑并[1,5-a]吡啶化合物
CN110156805B (zh) * 2019-05-22 2020-12-11 南京合巨药业有限公司 一种2, 3-二氢-1, 4-二氧代[2,3-b]吡啶-7-羧酸的制备方法
US11773099B2 (en) 2019-05-28 2023-10-03 Praxis Precision Medicines, Inc. Compounds and their methods of use
US11505554B2 (en) 2019-05-31 2022-11-22 Praxis Precision Medicines, Inc. Substituted pyridines as ion channel modulators
US11279700B2 (en) 2019-05-31 2022-03-22 Praxis Precision Medicines, Inc. Ion channel modulators
US11767325B2 (en) 2019-11-26 2023-09-26 Praxis Precision Medicines, Inc. Substituted [1,2,4]triazolo[4,3-a]pyrazines as ion channel modulators
WO2021222045A1 (en) * 2020-04-26 2021-11-04 Apollomics Inc. Novel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c-met inhibitor
TWI728882B (zh) 2020-07-28 2021-05-21 祥昇機電工業有限公司 自吸式抽水機之釋氣機構
WO2024032647A1 (zh) * 2022-08-09 2024-02-15 上海济煜医药科技有限公司 含氮杂环化合物作为泛素-特异性蛋白酶1抑制剂的制备方法、应用及其用途

Family Cites Families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625A (en) * 1857-02-10 Arraitg-ement of springs for vehicles
US171798A (en) * 1876-01-04 Improvement in spring attachments for cradles
US147568A (en) * 1874-02-17 Improvement in paper-folding attachments for printing-presses
US261297A (en) * 1882-07-18 Mortar for stamp-mills
US138264A (en) * 1873-04-29 Improvement in machines for cutting out planchets of sheet metal
US96322A (en) * 1869-11-02 Improvement in combined cultivator and seed-planter
US181455A (en) * 1876-08-22 Improvement in brooms
US111495A (en) * 1871-01-31 Stinb
US17309A (en) * 1857-05-12 Portable gas co
US192696A (en) * 1877-07-03 Improvement in combined cut-off and filter
NL128591C (ko) * 1965-07-02
NL130097C (ko) 1966-10-22
US3506656A (en) * 1966-10-22 1970-04-14 Boehringer Mannheim Gmbh Triazolo-tetrazolo-pyridazine derivatives
DE2030581A1 (de) 1970-06-20 1971-12-30 Boehringer Mannheim GmbH, 6800 Mannheim-Waldhof Nitrofuryl-amidin-Derivat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DE2222834A1 (de) 1972-05-10 1973-11-29 Boehringer Mannheim Gmbh Nitrofuryl-amidin-derivat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US3823137A (en) * 1970-06-20 1974-07-09 Boehringer Mannheim Gmbh Novel nitrofuran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DE2161587A1 (de) 1971-12-11 1973-06-14 Boehringer Mannheim Gmbh Nitrofuryl-triazolo eckige klammer auf 4,3-b eckige klammer zu pyridazinderivat
DE2113438A1 (de) 1971-03-19 1972-09-21 Boehringer Mannheim Gmbh Nitrofuryl-triazolo[4,3-b]pyridazinderivate
GB1324060A (en) 1971-03-19 1973-07-18 Boehringer Mannheim Gmbh Nitrofuryl-triazolo 4,3-b pyridazine derivatives
DE2147013A1 (de) 1971-09-21 1973-03-29 Boehringer Mannheim Gmbh Antimikrobiell wirksame nitrofuranderivat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JPS5612390A (en) * 1979-07-10 1981-02-06 Yoshitomi Pharmaceut Ind Ltd Triazolopyridazine derivative
US4260755A (en) * 1979-10-31 1981-04-07 American Cyanamid Company Novel 6-phenyl and substituted 6-phenyl-1,2,4-triazolo[4,3-b]pyridazines
FR2562071B1 (fr) 1984-03-30 1986-12-19 Sanofi Sa Triazolo(4,3-b)pyridazines, procede pour leur preparation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les contenant
JPS63199347A (ja) 1987-02-14 1988-08-17 Konica Corp 鮮鋭性の向上した高感度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JPS63310891A (ja) 1987-06-12 1988-12-19 Yoshitomi Pharmaceut Ind Ltd 縮合ピリダジン化合物
AU622330B2 (en) * 1989-06-23 1992-04-02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Condensed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a nitrogen atom in the bridgehead for use as fungicides
US5278161A (en) * 1990-06-28 1994-01-11 Hoffmann-La Roche Inc. Amino acid derivatives useful as renin inhibitors
CA2044564A1 (en) 1990-06-28 1991-12-29 Quirico Branca Amino acid derivatives
ATE239506T1 (de) * 1992-03-05 2003-05-15 Univ Texas Verwendung von immunokonjugate zur diagnose und/oder therapie der vaskularisierten tumoren
US5474765A (en) * 1992-03-23 1995-12-12 Ut Sw Medical Ctr At Dallas Preparation and use of steroid-polyanionic polymer-based conjugates targeted to vascular endothelial cells
DE4309285A1 (de) 1993-03-23 1994-09-29 Boehringer Ingelheim Kg Heterocyclen enthaltende Amidinderivat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JPH06331089A (ja) 1993-05-18 1994-11-29 Asahi Organic Chem Ind Co Ltd プラスチック管の電気溶着方法
TW304878B (ko) 1993-09-21 1997-05-11 Takeda Pharm Industry Co Ltd
CA2216943C (en) 1995-04-19 2003-06-17 Schneider (Usa) Inc. Drug release coated stent
US20020111495A1 (en) * 1997-04-04 2002-08-15 Pfizer Inc. Nicotinamide acids, amides, and their mimetics active as inhibitors of PDE4 isozymes
US6297235B1 (en) * 1997-08-28 2001-10-02 Merck Sharp & Dohme Ltd. Triazolopyridazine derivatives for treating anxiety and enhancing cognition
GB9718254D0 (en) * 1997-08-28 1997-11-05 Merck Sharp & Dohme Therapeutic agents
GB9801208D0 (en) * 1998-01-21 1998-03-18 Merck Sharp & Dohme Therapeutic agents
CA2315763A1 (en) * 1998-01-21 1999-07-29 Merck Sharp & Dohme Limited Triazolo-pyridazine derivatives as ligands for gaba receptors
GB9801538D0 (en) 1998-01-23 1998-03-25 Merck Sharp & Dohme Pharmaceutical product
GB9816654D0 (en) 1998-07-30 1998-09-30 Zeneca Ltd Chemical compounds
CA2372053C (en) * 1999-04-28 2008-09-02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ancer treatment by selectively inhibiting vegf
US6511987B1 (en) * 1999-11-12 2003-01-28 Neurogen Corporation Bicyclic and tricyclic heteroaromatic compounds
US6776796B2 (en) * 2000-05-12 2004-08-17 Cordis Corportation Antiinflammatory drug and delivery device
DE10038019A1 (de) 2000-08-04 2002-02-14 Bayer Ag Substituierte Triazolopyrid(az)ine
DE60203652T2 (de) 2001-01-31 2005-09-08 Pfizer Products Inc., Groton Nikotinsäureamid-Derivate und ihre Mimetika als Inhibitoren von PDE4-Isozyme
US7250518B2 (en) * 2001-01-31 2007-07-31 Pfizer Inc. Nicotinamide acids, amides, and their mimetics active as inhibitors of PDE4 isozymes
WO2002085888A1 (fr) 2001-04-20 2002-10-31 Sanofi-Synthelabo Tetrahydropyridyl-alkyl-heterocycles, procede pour leur preparation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les contenants
EP1446110A2 (en) 2001-10-16 2004-08-18 Structural Bioinformatics Inc. Organosulfur inhibitors of tyrosine phosphatases
KR20040087335A (ko) 2002-03-01 2004-10-13 야마노우치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질소 함유 복소환 화합물
AU2003255845A1 (en) 2002-08-22 2004-03-11 Piramed Limited Phosphadidylinositol 3,5-biphosphate inhibitors as anti-viral agents
MY139563A (en) * 2002-09-04 2009-10-30 Bristol Myers Squibb Co Heterocyclic aromatic compounds useful as growth hormone secretagogues
US6793457B2 (en) * 2002-11-15 2004-09-21 General Electric Company Fabricated repair of cast nozzle
US7268136B2 (en) * 2002-12-18 2007-09-11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Compositions useful as inhibitors of protein kinases
PA8595001A1 (es) * 2003-03-04 2004-09-28 Pfizer Prod Inc Nuevos compuestos heteroaromaticos condensados que son inhibidores del factor de crecimiento transforante (tgf)
JPWO2005002590A1 (ja) 2003-07-01 2006-08-10 アステラス製薬株式会社 骨量増加誘導剤
US7037909B2 (en) * 2003-07-02 2006-05-02 Sugen, Inc. Tetracyclic compounds as c-Met inhibitors
EP1643836A4 (en) * 2003-07-02 2006-12-06 Sugen Inc ARYLMETHYL TRIAZOLO AND IMIDAZOPYRAZINE C-MET INHIBITORS
US7122548B2 (en) * 2003-07-02 2006-10-17 Sugen, Inc. Triazolotriazine compounds and uses thereof
US7572807B2 (en) 2005-06-09 2009-08-1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teroaryl 11-beta-hydroxysteroid dehydrogenase type I inhibitors
CA2630884A1 (en) * 2005-11-30 2007-06-07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Inhibitors of c-met and uses thereof
EP2032578A2 (en) 2006-05-30 2009-03-11 Pfizer Products Incorporated Triazolopyridazine derivatives
PE20080403A1 (es) 2006-07-14 2008-04-25 Amgen Inc Derivados heterociclicos fusionados y metodos de us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6438A (ko) * 2014-03-26 2016-11-29 아스텍스 테라퓨틱스 리미티드 조합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98181A1 (en) 2009-04-16
NZ568807A (en) 2011-05-27
AU2006331912B2 (en) 2012-08-30
GT200800105A (es) 2008-10-10
US8030305B2 (en) 2011-10-04
JP5292102B2 (ja) 2013-09-18
EP1966214B9 (en) 2017-09-13
CR10170A (es) 2008-11-24
PT1966214T (pt) 2017-02-03
JP2009525263A (ja) 2009-07-09
HRP20170103T1 (hr) 2017-03-24
PE20070752A1 (es) 2007-08-13
ES2612377T3 (es) 2017-05-16
EA200870085A1 (ru) 2008-12-30
NI200800179A (es) 2016-01-06
EP1966214B1 (en) 2016-11-02
MY159523A (en) 2017-01-13
IL192108A0 (en) 2008-12-29
ME02736B (me) 2017-10-20
AP2008004502A0 (en) 2008-06-30
SV2008002963A (es) 2010-01-18
NO20083013L (no) 2008-09-19
MA30084B1 (fr) 2008-12-01
CN101374843B (zh) 2012-09-05
BRPI0620292A2 (pt) 2011-11-08
HN2008000931A (es) 2013-10-22
HUE030390T2 (en) 2017-05-29
EA015754B1 (ru) 2011-12-30
CA2634721A1 (en) 2007-07-05
AR058703A1 (es) 2008-02-20
EP1966214A1 (en) 2008-09-10
ECSP088573A (es) 2008-07-30
ZA200806277B (en) 2010-09-29
CA2634721C (en) 2014-06-17
AU2006331912A1 (en) 2007-07-05
LT1966214T (lt) 2017-02-10
WO2007075567A1 (en) 2007-07-05
US8173654B2 (en) 2012-05-08
AP3433A (en) 2015-10-31
UA98297C2 (en) 2012-05-10
KR101412675B1 (ko) 2014-07-03
BRPI0620292B1 (pt) 2021-08-24
NO340958B1 (no) 2017-07-31
TWI399378B (zh) 2013-06-21
PL1966214T3 (pl) 2017-04-28
CN101374843A (zh) 2009-02-25
US20070203136A1 (en) 2007-08-30
CY1118846T1 (el) 2018-01-10
IL192108A (en) 2014-02-27
TW200801007A (en) 2008-01-01
PE20110008A1 (es) 2011-01-31
RS55630B1 (sr) 2017-06-30
DK1966214T3 (en) 2017-02-13
TNSN08278A1 (en) 2009-10-30
UY30041A1 (es) 2007-05-31
MX2008008277A (es)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675B1 (ko) 티로신 키나제 모듈레이터로서의 트리아졸로피리다진
JP6785819B2 (ja) Kras g12c阻害剤及びその使用方法
JP6832430B2 (ja) 細胞代謝過程の阻害剤
KR101656382B1 (ko) 피리미딘-2,4-디아민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적 조성물
TW202039489A (zh) Mat2a之雜雙環抑制劑及用於治療癌症之使用方法
TW202039490A (zh) Mat2a之雜雙環抑制劑及用於治療癌症之使用方法
CN104837841A (zh) 用于治疗过度增殖性疾病的取代的吲唑-吡咯并嘧啶
CN104781260A (zh) 用于治疗过度增殖性障碍的取代的吲唑-吡咯并嘧啶
TW201808948A (zh) 咪唑并[4,5-c]喹啉-2-酮化合物以及它們在治療癌症中之用途
AU2014284013B2 (en) Five-membered heterocyclic pyridine compounds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KR102645237B1 (ko) 7H-피롤로[2,3-d]피리미딘-4-아민 유도체
US7662824B2 (en) Acylhydrazones as kinase modulators
RU2809987C2 (ru) Гетероциклические ингибиторы mat2a и способы применения для лечения рака
JP2024514539A (ja) 医薬化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