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7873A - 다관절 플랫 링크 체인 - Google Patents

다관절 플랫 링크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7873A
KR20020077873A KR1020027006308A KR20027006308A KR20020077873A KR 20020077873 A KR20020077873 A KR 20020077873A KR 1020027006308 A KR1020027006308 A KR 1020027006308A KR 20027006308 A KR20027006308 A KR 20027006308A KR 20020077873 A KR20020077873 A KR 20020077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hain
link chain
plate link
r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1687B1 (ko
Inventor
안드레 린넨브루게르
오스왈드 크론인제르
크라우스 쉬에유페레
안드레 테유베르트
Original Assignee
룩라멜렌운트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룩라멜렌운트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카게 filed Critical 룩라멜렌운트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카게
Publication of KR20020077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7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6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9/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9/0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 F16H9/1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 F16H9/125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ntrolling the geometrical interrelationship of pulleys and the endless flexible member, e.g. belt alignment or position of the resulting axial pulley force in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pulley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LMAKING METAL CHAINS
    • B21L15/00Finishing or dressing chains or chain links, e.g. removing burr material, calib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LMAKING METAL CHAINS
    • B21L15/00Finishing or dressing chains or chain links, e.g. removing burr material, calibrating
    • B21L15/005Pre-stretching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16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F16G5/18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consisting of several parts in the form of l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9/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9/2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chains or toothed belts, belts in the form of links; Chains or belts specially adapted to such gea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63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 Y10T29/49874Prestressing rod, filament or str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단 가변 원추형 풀리 기어용 다관절 플랫 링크 체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서로 지지되는 로커 표면을 가진 로커 부재의 쌍으로서 형성되고, 플레이트 패킷으로 구성된 개별 체인 링크들을 연결하는 조인트 부재를 가진 다관절 플랫 링크 체인은 조립된 상태에서 신장된다.

Description

다관절 플랫 링크 체인{flat link articulated chain}
종래의 플레이트 링크 체인(plate link chain)은 선행 기술, 예컨대 DE 197 08 865 및 그의 인용참증인 EP 0518 478 및 EP 0741 255에 공지되어있다.
종래의 플레이트 링크 체인에서는 플레이트와 로커 부재가 조립된 후 지지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연결이 풀린 상태에서 상당한 신장력의 공급 하에 직선 레일에서 편장형(prolate)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신장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그로 인해 일련의 모든 플레이트의 로커 부재들과 플레이트 사이에서 플레이트들의 마찰 범위가 균등하고 탄력있게 변형된다. 직선 레일에서의 신장시 마찰 범위 내에서 플레이트들이 균등하고 탄력있게 변형됨에 따라, 일련의 플레이트들은 그 폭에 걸쳐서 동일하게 늘어나거나,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이 경우, 무단 가변 기어의 구동시 플레이트 링크 체인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체인이 최적의 수명 및 성능을 나타내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히 CVT-기어와 같은 무단 가변 원추형 풀리 기어(cone pulley gear)용 다관절 플랫 링크 체인(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라고도 함. 이하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라 한다 )에 관한것이다. 원추형 풀리 기어의 조인트 부재는 플레이트 패킷(plate packet) 혹은 플랫 링크 스택(flat link stack)으로 구성된 개별 체인 링크들을 연결하고,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의 리세스(recess) 내에 삽입된 로커 부재들(rocker members)의 쌍으로서 형성되며, 이 로커 부재는 서로 지지되는 로커 표면(rocker surface)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체인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2 개의 플레이트로 연결된 공지된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측면도이다.
도 2는 공지된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또 다른 구조적 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 3 개의 플레이트로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 3에 상응하게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을 신장시키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플레이트의 위치와 체인의 길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도 7은 플레이트의 위치와 체인의 길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도 8은 플레이트의 위치와 체인의 길이차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도 9는 플레이트의 리세스내에 수용되는 로커 부재를 가진 체인에서 플레이트의 신장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a,9b는 도 9의 도시된 플레이트의 접촉면(F)과 체인 횡방향(Q)사이의 각도(α)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접촉면(F)과 체인 횡방향(Q) 사이의 각도(α)와 플레이트의 위치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도 11은 신장율과 플레이트의 위치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도 12는 플레이트 내폭의 길이와 플레이트의 위치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도 13은 로커 부재를 가진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레이트 링크 체인과 관련하여 더 높은 동작 하중을 견디거나 동일한 하중에서 더 높은 수명을 가지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플레이트 링크 체인에서,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 조립된 상태에서 신장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플레이트 링크 체인에서, 상기 플레이트가 체인 폭의 함수로서 상이한 플레이트 내폭을 가짐으로서 달성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라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 감기(wrapping) 장치에서 조립된 상태로 신장될 때 구현될 수 있다.
플레이트 내부폭의 개념은, 플레이트에서 양쪽 외측 로커 부재가 접하는 외곽선의 간격에 상응한다. 따라서 플레이트 내폭은 플레이트가 로커 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1 개의 중심 개구를 갖는지, 아니면 2 개의 개구를 갖는지의 여부와는 상관이 없는 간격이다. 더 자세한 것은 도면 설명에 기술된다.
그러나 다른 한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들이 예컨대 레이저 등을 이용하는 천공 프로세스나 절삭 프로세스와 같은 상이한 제조 프로세스에서 제조되고, 각각의 플레이트는 동일하게 또는 상이하게 신장되어 서로 조립되거나, 또는 조립된 체인이 감기 장치에서 신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또 다른 한 실시예에서는, 천공 공정에서 동일한 플레이트 내폭을 가진 플레이트들이 제조되고 상이하게 신장되어 서로 조립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 실시예에서도 신장 프로세스는 조립되기 전에 개별 플레이트에 대해 수행되거나, 감기 장치에서 조립된 체인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개념에 따르면, 전술한 플레이트 링크 체인에서 상기 플레이트가 체인 폭의 함수로서 상이한 신장율을 가짐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플레이트 내폭을 가진 플레이트들이 상이한 신장율로 신장되어 서로 조립됨으로써 이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감기 장치에서 신장되는 경우에도 이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개념에 따르면, 전술한 플레이트 링크 체인에서 상기 플레이트들이 체인 폭의 함수로서 체인의 세로 방향에 대해 횡으로 볼 때 접촉 영역와 축 사이의 상이한 각도를 가짐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될 수도 있다. 그로 인해 체인의 구동시 부분적으로 휘어지는 로커 부재에 플레이트가 비교적 잘 매칭 또는 정렬되게 하는 상기 각이 체인 폭에 걸쳐서 변조 또는 변동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개념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플레이트 링크 체인에서 상기 플레이트가 신장 프로세스시 플레이트의 세로 방향에 관하여 변동하는 각도로 신장 하중을 받음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로 인해 플레이트들은 상이한 위치에 있는 로커 부재와의 접촉 영역 내에서 신장되고, 그럼으로써 체인 구동시 부하 상태에 있는 플레이트들이 원추형 풀리 쌍들 사이의 직선 레일에서뿐만 아니라 원추형 풀리 쌍의 영역에서도 충분한 강도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특히 플레이트들이 개별적으로 신장된 다음 서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2 개의 원추형 풀리 세트 사이에 임의의 장치를 배치할 때 특히 감기 장치에서처럼 폐쇄된 체인이 조립된 상태에서 플레이트가 신장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조인트마다 각각의 원추형 풀리의 반대편에 놓인, 로커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전면이 상기 원추형 풀리와 플레이트 링크 체인간에 마찰력을 전달하는 플레이트 체인 링크에 관한 것이다. 즉, 실시예의 적용예에 따라서 상기 로커 부재가 동일한 길이를 갖거나 상이한 길이를 갖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로커 부재에 추가로, 원추형 풀리와 상기 플레이트 링크 체인간에 마찰력을 전달하는 횡 볼트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특히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에지에 인접한 플레이트가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중앙에 배치된 플레이트보다 더 많이 늘어나고, 또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에지에 인접한 플레이트가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중앙에 배치된 플레이트보다 더 큰 플레이트 내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장 프로세스를 통해 로커 부재와 플레이트의 접촉 영역이, 접촉 영역과 체인의 종방향에 대해 횡인 방향 사이에 각이 형성되도록 탄성있게 변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레이트 링크 체인은,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에지에 인접한 플레이트의 접촉 영역이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중앙에 배치된 플레이트의 접촉 영역보다 더 많이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체인의 전체 폭에 걸쳐서 볼 때, 플레이트의 접촉 영역의 탄성 변형은 호형 곡선 또는 접촉 영역의 n차 다항식 형태의 곡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 링크 체인은 신장 과정에서 2 개의 원추형 풀리 쌍 사이의 간격 내로 수용되고, 플레이트 링크 체인에 회전수 및/또는 회전 토크가 가해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축 하중 하의 신장 과정시 원추형 풀리가 가압됨으로써 및/또는 원추형 풀리 쌍의 축의 확장에 의해 플레이트 링크 체인에 하중이 가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그에 상응하여 플레이트 링크 체인을 신장시키기 위한 장치와도 관련이 있다. 이 경우, 원추형 풀리 쌍의 원추형 풀리들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 되거나 고정되는 것이 유용하다.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신장시, 신장 과정동안 공급될 수 있는 회전 토크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 장착된 기어가 동작하는 동안의 정격 회전 토크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장 과정동안 공급될 수 있는 회전 토크는 0에서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 장착된 기어가 동작하는 동안의 정격 회전 토크의 10배 사이의 범위에 놓이거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격 회전 토크의 3배 내지 5배인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신장 과정동안 체인의 벨트 내에서의 신장력은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 장착된 기어가 동작하는 동안의 정격 신장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레이트 링크 체인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신장 방법에도 관련된다.
그 밖의 본 발명의 주요 특징 및 세부 사항들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하기의 설명에 제시된다.
도 1 및 도 3은 일반적인 체인플레이트(1) 및 플레이트(2)를 가진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일부분에 대한 측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폭(B)을 고려하여 배치되고, 배치 패턴에 따라 반복된다. 플레이트는 연속하는 플레이트 패킷을 형성한다. 플레이트(1 및 2)로 형성된 체인 링크는 로커(rocker) 부재(3)의 쌍으로 구성된 조인트 부재에 의해 서로 관절식으로 연결되고, 로커 부재는 플레이트의 홈(4) 내에 삽입되고 연동 조인트(5)에 의해 각 관련 플레이트와 회전식으로 연결된다. 각 플레이트에는 양쪽 링크용 로커부재를 수용하기 위하여 2 개의 홈(4)이 형성될 수도 있고, 단 하나가 형성될수도 있다. 로커 부재(3)는 서로를 향한 적어도 2,3 개의 오목한 로커 표면(6)을 가진다. 이 로커 표면(6)을 통해 로커 부재들이 서로 풀릴 수 있고, 이에 의해 인접한 체인 링크들의 관절식 운동이 제공될수있다. 로커 표면(6)은 양쪽 모두 오목하거나, 하나는 평탄 또는 오목하고 다른 하나는 오목할 수 있다.
플레이트 링크 체인은, 적어도 2,3 개의 로커 부재가 그의 체인 링크에 종속된 플레이트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회전 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별 조인트들은 중심에서 중심까지, 일반적으로 체인 섹션이라고 말하는 거리(7)를 갖는다. 이 체인 섹션(7)의 길이는 체인 진행 방향(8)으로 이루어지는 로커 부재(3)의 연장 및 개별 홈들(4)간에 요구되는 거리에 따라 좌우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체인 섹션(7)은 전체 체인 길이에 걸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체인의 잡음 발생에 유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어느정도 불규칙적으로 형성될수도 있다.
로커 부재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측면 단부 영역에 전면을 가지며, 이 전면은 기어 동작시 원추형 풀리와 마찰 접촉될 수 있다. 양쪽 로커 부재는 두 로커 부재 모두가 원추형 풀리와 접촉될 수 있도록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로커 부재의 길이가 서로 상이함에 따라 조인트마다 단 하나의 로커 부재만이 원추형 풀리와 마찰 접촉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 3에 따른 평면도에서는 체인이 소위 이중 플레이트 연결로 조립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인접한 체인 플레이트의 각각 2 개의 반경 방향 종단 이음부(9 또는 10)가 2 쌍의 로커 부재(3) 사이에 차례로 배치됨으로써 로커 부재 쌍들로 형성된 조인트의 거리가 그에 상응하게 정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4에 따른 평면도에서는, 체인이 어떻게 3중 플레이트 연결로 설계되는지를 알 수 있다. 여기서는 체인의 전체 폭에 걸쳐서 볼 때, 일반적인 플레이트(11) 및 외측 플레이트(12)가 체인 진행 방향으로 각각 한 구획만큼 서로 반대로 변위되며, 그로 인해 체인이 진행 방향에 대해 횡으로 확장된다. 그러나 다른 한 편으로는 로커 부재(13)의 쌍으로 형성된 조인트들간의 거리는 도 3에 따른 행 플레이트 연결에 비해 더 줄어들 수 있다.
도 4에 따른 평면도는 도 2의 측면도에 도시된, 일반적인 플레이트(11) 및 외측 플레이트(12)를 가진 체인의 또 다른 구조적 형태에 대한 것으로, 이 때 조인트 부품들은 로커 부재의 쌍(13)으로 형성된다. 로커 부재(13)는 2 개의 위치(14 및 15)에서만 플레이트 홈(16)에 인접하는 방식의 형태를 가진다. 이 접촉 위치(14 및 15) 사이에서는 로커 부재(13)가 체인의 플레이트(11, 12)로부터 자유롭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링크 체인(32)을 신장시키기 위한 장치(50)를 나타내며, 여기서 플레이트 링크 체인(32)은 2 개의 원추형 풀리 세트의 원추형 풀리 간격(48) 내에 수용된다. 하나의 원추형 풀리 세트는 서로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양쪽 2 개의 원추형 풀리(24, 25)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한 쪽의 원추형 풀리(25)가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화살표 30 참고). 원추형 풀리 세트에 대해 체인을 축방향 변위시키고 압착하기 위해 조정 실린더(28)가 사용된다.
또 다른 원추형 풀리 세트는 서로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양쪽 2 개의 원추형 풀리(26, 27)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한 쪽의 원추형 풀리(27)가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화살표 31 참고). 원추형 풀리 세트에 대해 체인을 축방향 변위시키고 압착하기 위해 조정 실린더(29)가 사용된다. 구동 샤프트(22) 및 피동 샤프트(23)에 의해 회전수 및/또는 회전 토크가 조정될 수 있다.
플레이트 링크 체인을 신장시키기 위한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이 장치의 축 또는 샤프트가 압력에 의해 서로 신장됨으로써 원추형 풀리의 간격 내에서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 고정되고, 플레이트 링크 체인과 원추형 풀리간의 힘의 전달이 바람직한 값에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추형 풀리 쌍의 원추형 풀리가 반드시 서로 축방향으로 변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원추형 풀리들이 서로 고정되어 배치되는 것도 효과적일 수 있다.
감기(wrapping) 장치에서 체인을 신장시키는 경우, 플레이트 링크 체인은 개별 플레이트가 조립된 후 로커 부재에 의해 폐쇄된다. 이어서 이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 도 5에 따른 변속 기어 내에 삽입된다. 로커 부재와 원추형 풀리 사이에서의 압착에 의해 및/또는 회전 토크의 전달을 통해 체인이 감기 장치에서 신장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기어 내에서 발생하는 보통의 압착력 및/또는 회전 토크의 배수가 설정되고, 체인이 예컨대 변속 기어에 의해 더 적은 횟수로 회전함에 따라 플레이트 및 로커 부재와 같은 각각의 체인 부재는 변속기 내에서 적어도 1 회 또는 수 회 회전된다. 체인은 자동차의 기어 내 변속비보다 더 느리게 그리고 더 적은 수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언더드라이브에서는 기어의 회전 토크가 0 내지 최대 변속기 토크, 즉 기어에서 발생하는 최대 회전 토크의 정상 회전 토크의 10 배까지의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는 신장 프로세스가 실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토크가 최대 변속기 토크의 약 3 배의 범위 내에서 설정된다. 또한, 신장 프로세스동안 체인의 벨트(70)에서의 신장력은 기어 구동시보다 더 큰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이 신장력은 기어의 정상 구동시 최대 신장력에 비해 적어도 2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되면 플레이트 링크 체인은 분당 약 0.5 회전 내지 약 500 회전, 바람직하게는 분당 약 10 회전 내지 50 회전 범위의 낮은 회전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플레이트 링크 체인당 1 내지 20 회의 회전이 실시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신장 프로세스 동안 기어비가 변동될 수도 있다.
그로 인해 자동차의 언더드라이브에서 전체 하중에 상응하는 하중 분배가 조절된다. 그러나 신장 프로세스에서 예컨대 오버드라이브-기어 비 또는 변동 기어비와 같이 다른 기어비가 설정될 수도 있다. 감기 장치에서의 신장 프로세스의 장점은, 구동시 체인이 휘어질 때마다 체인이 신장되므로 하중 분배가 기어 구동시 실제 하중 분배와 유사하다는 것이다.
감기 장치에서의 신장과정을 통해 압착 및/또는 회전 토크 부하에 따라 체인에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로커 부재가 풀리 세트의 축과 관련하여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볼 때 탄성적으로 변형되거나 휘어지게 된다. 그로 인해 체인의 폭에 걸쳐서 볼 때 바깥쪽에 배치된 플레이트가 플레이트 체인의 중앙에 배치된 플레이트보다 더 강하게 가압된다. 그 결과, 외측 플레이트 또는 가장자리에 배치된 플레이트가 안쪽에 배치된 플레이트보다 더 많이 늘어나고, 외측 플레이트는 내측 플레이트보다 더 높은 신장율을 얻는다. 신장율은 파괴 하중에 대한 비율로 신장될 때하중 사이의 비를 의미한다.
이 경우 조립시 한 플레이트 열의 플레이트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플레이트는 폭의 함수로서 상이하게 늘어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한 플레이트 열의 플레이트는 조립시 이미 상이한 길이 또는 상이한 플레이트 내폭을 가짐으로써, 체인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플레이트가 중앙의 플레이트보다 더 큰 플레이트 내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감기 장치에서 신장이 이루어지지 않고 플레이트들이 조립되기 전에 신장된 다음 체인에 서로 장착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그렇게 되면 상이한 플레이트 내폭을 가진 플레이트들이 조립됨에 따라, 중앙에서보다 가장자리에서 더 긴 플레이트 내폭을 갖는 체인이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대한 예시가 도 12에 도시되어있다. 도면에서 플레이트 위치의 함수로서의 플레이트 내폭이 중앙부에서보다 가장자리에서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감기 장치에서의 신장 프로세스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상이한 길이의 플레이트의 조립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는 조립 이전에 신장 프로세스에서 상이한 신장율로 신장될 수 있고, 조립시에는 플레이트가 체인의 가장자리에서 더 높은 신장율로 배치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외측 플레이트 또는 가장자리에 배치된 플레이트가 안쪽에 배치된 플레이트보다 더 강하게 가소화(可塑化)되고 더 높은 하중을 받을 수 있으며, 외측 플레이트는 내측 플레이트보다 더 높은 신장율을 얻는다. 이에 대한 예시가 도 11에 도시되어있다. 도면에서 플레이트의 위치 함수로서 신장율이 중앙부에서보다 가장자리에서 더 크다. 이는 감기 장치에서의 신장 프로세스뿐만 아니라본 발명에 따른 상이한 강도로 신장된 플레이트의 조립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체인의 폭 전체에 걸쳐서 볼 때 배치의 함수로서 플레이트의 길이의 특성을 도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7의 y축에는 체인의 길이 내지는 체인의 양쪽 접촉 영역의 간격의 길이(L)가 도시되어있다. 길이(L)는 체인의 내폭을 나타내기도 한다. 도 8에는 신장되지 않은 상태와 본 발명에 따라 신장된 상태간의 플레이트의 길이차(△L)가 도시되어있다. x축은 도 6 내지 도 8에서 각각 체인의 전체 폭에 걸친 플레이트의 위치를 나타낸다. 위치 1은 체인의 한 쪽 측면에서의 플레이트의 위치에 해당하고, 위치 14는 체인의 다른 한 쪽 측면에서의 플레이트의 위치에 해당한다. 위치 2 내지 13은 에지 플레이트(1 및 14) 사이에 있는 플레이트의 위치에 해당한다. 도면에는 특히, 체인의 전체 폭에 걸쳐서 14 개의 플레이트 위치를 갖는 체인이 실시예로서 도시되어있는데, 이 실시예에서는 다른 체인 변형체도 일반적인 제한없이 고려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신장되지 않은 체인 또는 곧은 상태로 뻗어있는 개방된 체인의 도표를 나타낸다. 플레이트 위치(1 내지 14)의 함수로서 길이(L)는 전반적으로 동일하고 일정하다.
도 7은 감기 장치 내에서 조립된 상태로 역동적으로 신장된 체인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길이(L)는 체인 위치(1 내지 14)의 함수로서 변하고, 이 때 위치 1 내지 3 및 위치 12 내지 14에 있는 에지 플레이트가 중앙의 플레이트 위치 4 내지 11에 있는 플레이트보다 더 많이 신장된다. 이는 로커 부재가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으로휨으로써, 그리고 에지 위치에 있는 플레이트 또는 에지 근처에 배치된 플레이트의 접촉 영역이 그에 상응하는 강도로 가소화됨으로써 일어난다.
도 8은 감기 장치 내에서 조립된 상태로 역동적으로 신장된 체인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길이차(△L)는 체인 위치(1 내지 14)의 함수로서 변하고, 이 때 위치 1 내지 3 및 위치 12 내지 14에 있는 에지 플레이트가 중앙의 플레이트 위치 4 내지 11에 있는 플레이트보다 더 많이 신장된다. 이는 감기 장치 내에서 로커 부재가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휨으로써, 그리고 에지 위치 또는 에지 근처에 배치된 플레이트의 접촉 영역이 그에 상응하는 강도로 가소화됨으로써 일어난다. 도 8의 도면은 체인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훨씬 더 명확히 묘사하고 있다.
측정 오류로 인해 중앙 영역에서의 길이(L) 내지는 길이차(△L)에 있어서 미세한 변동이 나타난다.
신장 프로세스동안 플레이트가 늘어남으로써 플레이트와 로커 부재 사이의 접촉 영역 내에서 플레이트가 가소성을 갖게 된다.
특히 반경방향 및/또는 원주방향으로 로커 부재가 휘어짐으로써 주행 방향과 로커 부재간의 각도에 적합한 플레이트 가소화가 실시된다.
도 9는 플레이트(103 내지 113)의 리세스(120) 내에 수용되는 로커 부재(101 및 102)를 가진 체인(10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로커 부재는 예컨대 풀리 쐐기에서처럼, 감기 장치에서의 다이내믹한 신장 프로세스시 휘어질 수 있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휘어져 있다. 물론 도면은 설명을 위해 약간 과장되어 도시되었다.
접촉 영역(103a 내지 113a)은 로커 부재(101 및 102)의 휘어짐에 의해 가소화되고, 그 외곽선 내에서 상기 로커 부재에 매칭된다. 예컨대 107과 같은 중앙의 플레이트에서보다 외측 플레이트가 더 많이 늘어나며, 가소화로 인해 접촉면(F)과 체인 횡방향(Q) 사이의 각도(α)가 더 커진다. 도 9a 및 도 9b는 이를 각각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각 α는 체인의 중앙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도 10은 플레이트 위치의 함수로서 상기 각 α를 절대값(│α│)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각도는 바깥쪽의 에지로 갈수록 증가하고, 중앙 영역에서는 영점으로 되돌아간다. 이는 본 발명에 따라 감기 장치에서의 신장을 통해,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개념에 따라 조립 이전에 상기 방식으로 신장된 플레이트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는 각 α에서 상이하게 신장된 후 체인으로 서로 조립된다.
에지 근처에 위치한 플레이트는 직선 레일에서의 신장 프로세스의 경우보다 본 발명에 따른 신장시 더 많은 하중을 받는다. 그로 인해 에지에 위치한 플레이트가 더 많이 늘어나고, 신장율이 상승한다.
상기 체인은 신장 프로세스에서 하중에 따른 신장을 통해, 추후 기어에서 체인이 구동될 때 하중이 균일해지고 그로 인해 수명이 증가되는 방식으로 미리 조절된다.
또한 도 3에 따라 두 영역의 접촉부(80, 81)에서 플레이트로의 로커 부재의 힘 도입이 상기 두 영역으로도 균일화됨으로써 체인의 하중이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특허출원 DE 30 27 834에서 참조하였으며, 상기 출원의 공개 내용은 본 특허 출원의 내용에 명백히 포함된다.
도 13은 로커 부재(201 및 202)를 가진 플레이트(200)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신장 프로세스에서 신장력(210)의 힘의 도입이 플레이트의 종방향 내지는 체인의 종방향에 대해 각 ψ로 조정되는 방식으로 플레이트가 신장된다. 이 때 신장 프로세스동안 각 ψ는 약 60˚에서 -60˚까지 변함으로써, 접촉 영역(230)이 넓은 각도 범위에 걸쳐서 신장되고 가소화된다.
도 14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300)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며, 여기서는 플레이트(301, 302 및 303) 및 로커 부재(310)의 옆에 원추형 풀리와 체인간의 회전 토크 전달을 위한 횡 나사(320)가 조인트로서 존재한다. 이 횡나사의 전면(321)을 통해 마찰력 전달이 이루어진다.
출원과 함께 제출된 특허 청구항은 포괄적인 특허권 보호의 획득을 위한 선례가 없는 작성 제안이다. 출원인측은 지금까지 명세서 및/또는 도면에만 공개된 추가의 특징 조합을 청구하는 것을 보류하고 있다.
종속항에서 사용된 재인용은 독립 청구항의 대상을 각각의 종속항의 특징들을 통해 추가로 설명함을 가리키는 것이며, 재인용된 종속항의 특징 조합의 독립적이고 구체적인 특허권 보호의 획득을 포기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종속항의 대상은 종래 기술의 관점에서 우선권일에 독자적이고 독립적인 발명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출원인은 독립 청구항의 대상을 위한 발명 또는 분할 선언을 보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종속항의 대상은 선행 종속항의 대상에 종속되지 않는 형태를 가진 독립적인 발명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본 명세서의 범주 내에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특히 상기와 같은 변형물, 구성 요소 및 조합물 및/또는 재료들은 예컨대 일반적인 명세서와 실시예 및 청구항에 기술되고 도면에 제시되는 각각의 특징들이나 요소들 또는 공정 단계들의 조합 또는 변형을 통해 목적 달성의 관점에서 전문가들에게 제시될 수 있고, 조합 가능한 특징들을 통해 새로운 대상 또는 새로운 공정단계 내지는 공정 단계 시퀀스를 도출시키며, 또한 대체로 제조 방법, 검사 방법 및 작업 방법에 연관된다.

Claims (23)

  1. 플레이트의 리세스 내로 삽입되고, 서로 지지되는 로커 표면을 가진 로커 부재의 쌍으로서 형성되는, 플레이트 패킷으로 구성된 개별 체인 링크들을 연결하는 조인트 부재를 가진, 특히 무단 가변 원추형 풀리 기어용 플레이트 링크 체인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링크 체인은 조립된 상태에서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2. 플레이트의 리세스 내로 삽입되고, 서로 지지되는 로커 표면을 가진 로커 부재의 쌍으로서 형성되는, 플레이트 패킷으로 구성된 개별 체인 링크들을 연결하는 조인트 부재를 가진, 특히 무단 가변 원추형 풀리 기어용 플레이트 링크 체인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체인 폭의 함수로서 상이한 플레이트 내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3. 제 2항에 있어서,
    상이한 플레이트 내폭을 가진 상기 플레이트가 제조 과정에서 제조되고, 동일하게 또는 상이하게 신장되어 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4. 제 2항에 있어서,
    동일한 플레이트 내폭을 가진 상기 플레이트가 천공프로세스에서 제조되고, 상이하게 신장되어 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5. 플레이트의 리세스 내로 삽입되고, 서로 지지되는 로커 표면을 가진 로커 부재의 쌍으로서 형성되는, 플레이트 패킷으로 구성된 개별 체인 링크들을 연결하는 조인트 부재를 가진, 특히 무단 가변 원추형 풀리 기어용 플레이트 링크 체인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체인 폭의 함수로서 상이한 신장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이한 신장율로 신장되고, 동일한 또는 상이한 플레이트 내폭을 가진 플레이트가 천공프로세스에서 제조되어 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7. 플레이트의 리세스 내로 삽입되고, 서로 지지되는 로커 표면을 가진 로커 부재의 쌍으로서 형성되는, 플레이트 패킷으로 구성된 개별 체인 링크들을 연결하는 조인트 부재를 가진, 특히 무단 가변 원추형 풀리 기어용 플레이트 링크 체인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체인 폭의 함수로서 체인의 세로 방향에 대해 횡으로 볼 때 로커 부재와 플레이트의 접촉 영역과 축 사이에서 상이한 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8. 플레이트의 리세스 내로 삽입되고, 서로 지지되는 로커 표면을 가진 로커 부재의 쌍으로서 형성되는, 플레이트 패킷으로 구성된 개별 체인 링크들을 연결하는 조인트 부재를 가진, 특히 무단 가변 원추형 풀리 기어용 플레이트 링크 체인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신장 프로세스시 플레이트의 세로 방향에 관하여 변동하는 각을 갖는 신장 하중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9. 전술한 항들 중 특히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개별적으로 유연하게 늘어난 후, 예컨대 신장된 후 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10. 전술한 항들 중 특히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폐쇄된 체인이 조립된 상태에서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11. 제 1항, 2항, 5항, 7항 및 8항 중 특히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원추형 풀리의 반대편에 놓인, 로커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전면이 조인트마다 상기 원추형 풀리들과 플레이트 링크 체인 간에 마찰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12. 제 1항, 2항, 5항, 7항 및 8항 중 특히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들은 로커 부재에 추가로, 원추형 풀리들과 플레이트 링크 체인 간에 마찰력을 전달하는 횡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13. 전술한 항들 중 특히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에지에 인접한 플레이트가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중앙에 배치된 플레이트보다 더 많이 늘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14. 전술한 항들 중 특히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프로세스를 통해, 로커 부재와 플레이트의 접촉 영역이 체인의 세로 방향에 대해 횡인 방향과 상기 접촉 영역 사이의 각이 형성되도록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15. 전술한 항들 중 특히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영역의 탄성 변형은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중앙에 배치된 플레이트보다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에지에 인접한 플레이트에서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16. 전술한 항들 중 특히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접촉 영역의 탄성 변형은 체인의 폭에 걸쳐서 볼 때 호형 곡선 또는 n차 다항식의 곡선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17. 전술한 항들 중 특히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링크 체인은 2 개의 원추형 풀리 쌍 사이의 간격 내로 수용되고, 상기 플레이트 링크 체인에는 회전수 및/또는 회전 토크가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링크 체인은 축 하중 하에 원추형 풀리가 가압됨으로써 또는 원추형 풀리 쌍의 축이 확장됨으로써 하중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19. 플레이트 링크 체인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풀리 쌍의 각각의 풀리들이 서로 상대적으로 변위되거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20. 전술한 항들 중 특히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장 프로세스동안 공급될 수 있는 회전 토크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 장착된 기어가 구동되는 동안의 정격 회전 토크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21. 전술한 항들 중 특히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장 프로세스동안 공급될 수 있는 회전 토크는 0과,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 장착된 기어가 구동되는 동안의 정격 회전 토크의 10 배 사이에 놓이거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격 회전 토크의 3 배 내지 5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22. 전술한 항들 중 특히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장 프로세스동안의 상기 체인의 벨트 내 신장력은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 장착된 기어가 구동되는 동안의 정격 신장력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23. 전술한 항들 중 특히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레이트 링크 체인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0027006308A 1999-11-19 2000-10-23 다관절 플랫 링크 체인 KR1006716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55956 1999-11-19
DE19955956.2 1999-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873A true KR20020077873A (ko) 2002-10-14
KR100671687B1 KR100671687B1 (ko) 2007-01-18

Family

ID=7929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308A KR100671687B1 (ko) 1999-11-19 2000-10-23 다관절 플랫 링크 체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7320656B2 (ko)
JP (1) JP4945822B2 (ko)
KR (1) KR100671687B1 (ko)
AU (1) AU1692801A (ko)
DE (2) DE10083638B4 (ko)
FR (1) FR2801357B1 (ko)
IT (1) IT1319348B1 (ko)
NL (5) NL1016647C2 (ko)
WO (1) WO20010387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687B1 (ko) * 1999-11-19 2007-01-18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 카게 다관절 플랫 링크 체인
JP2002174303A (ja) * 2000-11-30 2002-06-21 Luk Lamellen &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リンクプレートチェーン
EP1688640A4 (en) * 2003-10-17 2009-09-02 Jtekt Corp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USING THE SAME
US20050187057A1 (en) * 2004-01-14 2005-08-25 Koyo Seiko Co., Ltd.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same
US20060058143A1 (en) * 2004-08-24 2006-03-16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Belt-driven conical-pulley transmission, method for producing it, and motor vehicle having such a transmission
NL1029042C2 (nl) 2005-05-13 2006-11-14 Gear Chain Ind Bv Inrichting voor het tot voorbij de elasticiteitsgrens oprekken van de schalmen van een transmissieketting.
DE102005022758B3 (de) * 2005-05-18 2006-09-07 Audi Ag Laschenkette für ein Kegelscheiben-Umschlingungsgetriebe
US20070087882A1 (en) * 2005-10-06 2007-04-19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Link plate for a plate-link chain
JP2009536293A (ja) * 2006-05-06 2009-10-08 ルーク ラメレン ウント クツプルングスバウ ベタイリグングス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プレートリンクチェーン及び該プレートリンクチェーンの製造のための方法
DE112007002789A5 (de) * 2006-12-15 2009-09-03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Laschenkette
NL1034882C2 (nl) 2008-01-02 2009-07-06 Gear Chain Ind Bv Inrichting voor het rekken van een transmissieketting.
JP5639135B2 (ja) * 2011-10-31 2014-12-10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チェーン式無段変速機
JP5851799B2 (ja) * 2011-10-31 2016-02-03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無段変速機のチェーン
CN104302948B (zh) * 2012-03-12 2020-11-27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用于制造接片链的方法
JP6256756B2 (ja) * 2014-02-12 2018-01-10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動力伝達チェーンの製造方法
WO2015124151A1 (de) * 2014-02-24 2015-08-2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aschenkette
RU2553529C1 (ru) * 2014-06-20 2015-06-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осковский автомобильно-дорожны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АДИ)" Цепной вариатор с автоматически изменяемым шагом
JP6298736B2 (ja) * 2014-08-08 2018-03-20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無段変速機及び無段変速機を設計する方法
DE102017102210A1 (de) 2016-09-23 2018-03-2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asche für ein als Laschenkette ausgebildetes Umschlingungsmittel, entsprechendes Umschlingungsmittel und Getriebe mit Umschlingungsmittel
WO2019005035A1 (en) * 2017-06-28 2019-01-03 Borgwarner Inc. CHAIN OF TRANSMISSION, PIN AND LINK
DE102019109537A1 (de) * 2019-04-11 2020-10-1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asche für eine Laschenkette
WO2021164805A1 (de) * 2020-02-19 2021-08-2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Wiegedruckstück für ein wiegedruckstückpaar einer laschenkette
DE102021112680A1 (de) 2021-05-17 2022-11-1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aschenkette mit einer Kettenbreite für ein Umschlingungsgetriebe
US11976726B2 (en) * 2022-04-05 2024-05-07 Dennis Zulawski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the system having different angled face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55912A (en) * 1914-04-08 1918-02-12 Morse Chain Co Machine for wearing in drive-chains.
US1743500A (en) * 1923-06-18 1930-01-14 Whitney Mfg Co Chain
US2154648A (en) * 1937-03-29 1939-04-18 Milton T Weston Resilient driving chain
DE1118547B (de) * 1960-06-11 1961-11-30 Reimers Getriebe K G Gliederkette fuer die Reibkraftuebertragung in stufenlos verstellbaren Getrieben
DE1291580B (de) * 1963-09-26 1969-03-27 Morse Chain Co Kettenglied mit Verstaerkungen
US3213699A (en) * 1963-12-16 1965-10-26 Morse Chain Co Power transmission chain
US3581589A (en) * 1969-10-22 1971-06-01 Amsted Ind Inc Chain link plate and method
DE3027834C2 (de) * 1980-07-23 1982-11-04 P.I.V. Antrieb Werner Reimers GmbH & Co KG, 6380 Bad Homburg Laschenkette für stufenlos verstellbare Kegelscheibengetriebe
US4764158A (en) * 1985-11-27 1988-08-1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Power transmission chain
JPS6330130A (ja) * 1986-07-23 1988-02-08 Sumitomo Electric Ind Ltd 穴明き金属板の製造方法
US4911682A (en) * 1987-10-28 1990-03-27 Borg-Warner Automotive, Inc. Cambered pin CVT chain belt
US5147250A (en) * 1991-06-13 1992-09-15 Borg-Warner Automotive Transmission & Engine Components Corporation Chain design
US5147251A (en) * 1991-06-13 1992-09-15 Borg-Warner Automotive Transmission & Engine Components Corporation Chain design
US5427580A (en) * 1992-05-19 1995-06-27 Borg-Warner Automotive, Inc. Phased chain assemblies
DE4330696C1 (de) * 1993-09-10 1995-03-30 Piv Antrieb Reimers Kg Werner Laschenkette für stufenlos verstellbare Kegelscheibengetriebe
US5445570A (en) * 1994-02-15 1995-08-29 Borg-Warner Automotive, Inc. Chain guide link
NL1000294C2 (nl) * 1995-05-03 1996-11-05 Gear Chain Ind Bv Transmissieketting voor een kegeldrijfwerk.
DE19708865B4 (de) * 1996-04-03 2006-09-07 Cvt Verwaltungs Gmbh & Co. Patentverwertungs Kg Laschenkette für stufenlos übersetzungseinstellbare Kegelscheibengetriebe
DE19743676A1 (de) * 1996-10-08 1998-04-09 Luk Getriebe Systeme Gmbh Umschlingungsmittel
DE19855582A1 (de) * 1997-12-05 1999-06-10 Luk Getriebe Systeme Gmbh Laschenkette
DE10047979B4 (de) * 1999-10-13 2013-05-1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ette
KR100671687B1 (ko) * 1999-11-19 2007-01-18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 카게 다관절 플랫 링크 체인
DE10139123A1 (de) * 2000-09-06 2002-03-14 Luk Lamellen & Kupplungsbau Laschenkette
JP2002174303A (ja) * 2000-11-30 2002-06-21 Luk Lamellen &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リンクプレートチェー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45822B2 (ja) 2012-06-06
NL1018594A1 (nl) 2001-08-30
DE10083638D2 (de) 2002-10-10
KR100671687B1 (ko) 2007-01-18
NL1016647C2 (nl) 2001-07-27
NL1018596C2 (nl) 2001-12-28
US7937925B2 (en) 2011-05-10
FR2801357B1 (fr) 2006-06-09
DE10052473A1 (de) 2001-05-23
NL1018594C2 (nl) 2001-12-28
WO2001038755A1 (de) 2001-05-31
NL1018595C2 (nl) 2001-12-28
NL1018597A1 (nl) 2001-08-30
US20030036450A1 (en) 2003-02-20
DE10083638B4 (de) 2019-01-10
JP2003515076A (ja) 2003-04-22
NL1018595A1 (nl) 2001-08-30
ITMI20002489A1 (it) 2002-05-17
NL1018596A1 (nl) 2001-08-30
NL1018597C2 (nl) 2001-12-28
IT1319348B1 (it) 2003-10-10
FR2801357A1 (fr) 2001-05-25
AU1692801A (en) 2001-06-04
US7320656B2 (en) 2008-01-22
US20090192001A1 (en) 2009-07-30
NL1016647A1 (nl) 2001-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687B1 (ko) 다관절 플랫 링크 체인
DE10047979B4 (de) Kette
KR20020020201A (ko) 플레이트 링크 체인
CA1286894C (en) Chain belt
EP1884682B1 (en) Power transmission chain, method for manufacturing power transmission member of the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US6676552B2 (en) Plate-link chain
JP2002523698A (ja) クッションリングを有するローラチェーンスプロケット
JP2000314458A (ja) 伝動装置
JPH10122307A (ja) 巻掛け手段
US8636611B2 (en)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8100794B2 (en)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6592483B2 (en) CVT chain-belt having wear pads extending from wear links wherein pads are positioned at or between joint/pin ends
US5393272A (en) Chain belt wherein link plates holding load block member are shaped to avoid contact with adjacent load block members
JPH0468498B2 (ko)
JP2022535098A (ja) 最適化されたピンジョイントの幾何学的形状
WO1983004291A1 (en) Chains for continuously variable conical pulley transmissions
JP2005214345A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動力伝達装置
JPS5833320Y2 (ja) チエ−ンテンシヨナ
JP2008144824A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6305637A (ja) 産業用ロボット
JPH0712178A (ja) 摩擦式無段変速機用チェ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