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920A - 전기-기계-음향변환기 및 휴대단말장치 - Google Patents

전기-기계-음향변환기 및 휴대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920A
KR19980042920A KR1019970064384A KR19970064384A KR19980042920A KR 19980042920 A KR19980042920 A KR 19980042920A KR 1019970064384 A KR1019970064384 A KR 1019970064384A KR 19970064384 A KR19970064384 A KR 19970064384A KR 19980042920 A KR19980042920 A KR 19980042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oustic transducer
electromechanical
mechanical
electro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4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2305B1 (ko
Inventor
사이키슈지
우스키사와코
구제미쓰카즈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요이치
마쓰시타덴키산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요이치, 마쓰시타덴키산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요이치
Publication of KR19980042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2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3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1/00Transducers of moving-armature or moving-core type
    • H04R11/02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3Transducers capable of generating both sound as well as tactile vibration, e.g. as used in cellular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7Suspension between moving magnetic core and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전기-기계-음향변환기 및 휴대단말장치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강력한 진동을 발생하고, 음을 재생할 수 있는 전기음향변환기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서는, 자기회로부재에 추를 부착함으로써, 또는 추를 자기회로부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기계진동계의 질량을 크게 하고,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서 큰 진동을 낼 수 있는 구조로 한 것이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교류 전기신호에 의해 진동 또는 발음의 동작을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와, 이것을 부착한 휴대단말장치에 사용됨.

Description

전기-기계-음향변환기 및 휴대단말장치
본 발명은, 교류 전기신호에 의해 진동 또는 발음의 동작을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와, 이것을 부착한 휴대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장치라는 것은, 예를들면 휴대전화기, 호출기, 송수신기가 부착된 컴퓨터 등,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또는 사용자의 부근에 두면서, 떨어져 있는 상대와의 통신을 행하는 장치인 것이다.
종래, 휴대전화기등의 휴대단말장치에서는, 착신을 알리는 수단으로서, 벨음을 발생하는 소형발음체와, 진동을 일으키는 회전축에 편심하여 추를 설치한 마이크로모터가 개별적으로 휴대단말장치에 설치되어 있었다.
휴대단말장치의 소형화,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 단품점수의 삭감을 목적으로 하여, 발음과 진동을 하나의 유니트로 실현하는 선행기술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가 고안되고, 일본국 실개평 5-8519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그 선행기술에서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구비되어 있는 보이스코일에 교류 전기신호가 입력되면, 보이스코일과 자기회로부 사이에 힘이 작용한다. 보이스코일에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교류 전기신호이기 때문에 그 힘의 크기는 변화한다. 따라서, 이 자기회로부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서스펜션으로 지지된 마그네트가 진동한다. 이 진동은 서스펜션을 통하여 케이스에 전달된다. 이 결과, 케이스가 진동한다.
기계진동계의 진동 크기(magnitude of vibration)는, 기계진동계를 구성하는 마그네트와 서스펜션의 질량의 합에 비례한다. 서스펜션의 질량은 작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마그네트의 질량만으로 결정된다. 그러나, 마그네트의 질량은 그다지 크지 않기 때문에, 보이스코일에 입력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가 기계진동계의 공진주파수와 일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기계진동계의 진동을 충분하다고 할 수는 없었다. 이 때문에, 질량이 150g에 가까운 휴대전화기에 이 전기-기계-음향변환기를 설치한 경우에, 사용자에게 충분히 강력한 진동에 의해 착신을 알리는 것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커다란 진동력을 발휘할 수 있고, 소리도 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소형 전기-기계-음향변환기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제 1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평면도,
도2는 도1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II-II'단면의 단면도,
도3은 제 2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평면도,
도4는 도3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IV-IV'단면의 단면도,
도5는 제 3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평면도,
도6은 휴대단말장치의 개체를 더한 도5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IV-IV'단면의 단면도,
도7은 마그네트와 요크의 치수상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제 4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평면도,
도9는 도8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IX-IX'단면의 단면도,
도10은 도8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분해사시도,
도11은 제 5 실시예의 서스펜션의 평면도,
도12는 도11의 서스펜션의 XII-XII'단면의 단면도,
도13은 다른 서스펜션의 평면도,
도14는 제 6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분해사시도,
도15는 도14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배플을 제거한 평면도,
도16은 배플을 첨가한 도15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XVI-XVI'단면의 단면도,
도17은 제 7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주요부의 분해사시도,
도18은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평면도,
도19는 도18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XIX-XIX'단면의 단면도,
도20은 서스펜션과 자기회로부가 맞닿은 과대입력시에 있어서의 도18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XIX-XIX'단면의 단면도,
도21은 제 8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전기신호를 입력하는 블럭도,
도22는 제 9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를 설치한 휴대전화기의 사시도,
도23은 제 10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전기신호를 입력하는 블럭도,
도24는 도23의 주파수검출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5는 제 11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전기신호를 입력하는 블럭도,
도26은 제 12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전기신호를 입력하는 블럭도,
도27은 제 13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전기신호를 입력하는 블럭도,
도28은 제 14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전기신호를 입력하는 블럭도,
도29는 제 15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전기신호를 입력하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진동판 2 : 지지부재
3, 42, 62 : 요크 4 : 마그네트
5 : 플레이트 6, 18 : 추
7, 25, 26, 43, 51, 51', 63, 64, 72 : 서스펜션
7a, 7b : 서스펜션의 끝단 7c, 7d, 7e : 아암
8 : 보이스코일 9, 27, 71 : 자기회로부
10 : 가동부 11 : 자기갭
19 : 공기빠짐구멍 20 : 진동판
21, 61 : 지지부재 22 : 플레이트
22' : 센터폴 23 : 마그네트
24 : 여자코일 28 : 가동부
31a : 요크부 31b : 추부
41, 74 : 지지부재 41a, 41b, 41c, 41d, 74a, 74b : 수납부
43c, 63a, 63b, 73a, 73b : 고정부
45, 65 : 입력단자 62c : 홈부
63c, 63d, 72c, 72d : 아암부 63e, 72e : 지지부
66 : 배플 211a : 제 1 전기신호 발생장치
211b : 제 2 전기신호 발생장치
212, 222, 230 : 전기-기계-음향변환기
213 : 검출장치 221 : 휴대전화기 본체
223 : 소리구멍 224 : 외측 케이스
225 : 안테나 226 : 수신신호처리부
227 : 리시버 228 : 전기신호 발생장치
229 : 증폭기 231 : 주파수 검출기
232 : 오피앰프 233 : 브리지회로
234, 237 : 리미터 235 : 로우패스필터
236 : 하이패스필터 310 : 통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진동판과, 진동판에 대항하여 배치된 자기회로부재와, 자기회로부재와 일체로 또는 자기회로부재로서 부착된 추와, 자기회로부재와 추를 포함하는 가동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과, 진동판과 서스펜션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진동판과 자기회로부재를 구동하는 힘을 발생하는 구동장치를 구비한다. 자기회로부재는 마그네트와 플레이트와 요크를 가지며, 상기 구동장치는 자기회로부재의 자기 공극에 삽입되어 일단이 진동판에 접합된 보이스코일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하는 전동형 장치이다. 다른 관점의 발명에서는, 자기회로부재는 센터폴을 가지는 플레이트와 마그네트를 가지고, 상기 구동장치가 센터폴 외주에 배치된 자기코일 및 자기회로부재와 공극을 설치하여 배치된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진동판 사이에 자기력을 발생하는 전자형 구동장치이다. 여기서, 전동형 구동장치인 경우에는 추를 요크의 외주부에 설치하고, 전자형 구동장치인 경우에는 플레이트 외주부에 추를 설치한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큰 진동을 발생할 수 있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서는 가동부와 서스펜션에 의해 기계진동계를 구성하고, 기계진동계의 진동의 파워의 크기는 기계진동계의 질량과 가속도의 곱에 비례한다. 상기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서는 자기회로부재와 일체로 혹은 자기회로부재에 별도의 부품으로 하여 추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기계진동계의 질량은 커진다. 따라서,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큰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전동형 또는 전자형 구동장치는, 자기회로부재와 추로 구성되는 가동부를 진동시킴과 동시에 진동판을 진동시키기 때문에, 이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음을 발생할 수 있다.
기계진동계의 질량을 크게 하기 위해, 전기회로부재에 별도의 부품으로 하여 설치하는 추는 적어도 철보다도 비중이 큰 고비중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계진동계의 질량을 크게 하고 마그네트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이 자기포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동형 구동장치인 경우, 추와 일체로 된 요크는, 마그네트에서 발생하는 자속이 자기포화하지 않는 정도로 형성되고, 실질적으로 자로를 형성하는 자속통과부와 자기회로부재의 질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추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형 구동장치인 경우, 플레이트는, 마그네트에서 발생하는 자속이 자기포화하지 않는 정도로 한정되고, 실질적으로 자로를 형성하는 자속통과부와 자기회로부재의 질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추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회로부재와 일체로 자기회로부재를 형성한 경우의 자기회로부재 혹은 자기회로부재에 별도의 부품으로서 추를 설치한 경우의 추의 외주 형상을, 사각형상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자기회로부재의 질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전동형 구동장치인 경우에는 보이스코일과 지기회로부재가 접촉하여 보이스코일이 파손하지 않도록, 자기회로부재의 자기공극 폭이 보이스코일 또는 가동부의 최대 진폭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가변부가 안정하여 진동할 수 있도록, 가동부의 진동판측과 진동판의 반대측 2개소에 서스펜션을 배치하여 가동부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기계-음향가변기는, 진동판, 진동판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추가 일체로 되며, 요크와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자기회로부재와, 한쌍의 고정부를 가지고 자기회로부재의 진동판측에 설치된 제 1 서스펜션과, 한쌍의 고정부를 가지고 그 고정부가 제 1 서스펜션의 고정부와 다른 위치가 되도록 자기회로부재의 진동판과 반대측에 설치된 제 2 서스펜션과, 진동판에 결합되고, 두 개의 개구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제 1 및 제 2 서스펜션의 고정부와 결합하는 4개의 수납부를 구비한 지지부재와, 자기회로부재가 형성하는 자기공극에 삽입되고, 진동판에 결합된 보이스코일 및 지지부재의 개구부에 장착된 배플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진동을 발생할 수 있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서는 전기회로부재와 서스펜션이 기계진동계를 구성하고 있으며, 그 기계진동계의 진동의 파워 크기는, 기계진동계의 질량과 가속도와의 곱에 비례한다. 상기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서는 자기회로부재와 일체로 추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기계진동계의 질량은 커진다. 따라서,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큰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보이스코일에는 진동판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음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자기회로부재를 진동판측과 진동과는 반대측의 2개소에 서스펜션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자기회로부재가 안정하여 진동할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을 자기회로부재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원호상으로 형성하면, 서스펜션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서스펜션의 변위특성에서의 선형성이 확보되고, 탄성한계가 충분한 내측에서의 사용으로 되며,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서스펜션으로서 양단의 폭에 대하여 중앙부의 폭이 좁은 박판형상을 가지는 서스펜션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서스펜션의 제 1 예는, 양단에서 중앙부에 폭이 대략 연속적으로 좁아지는 박판형상을 가진다. 다른 예는, 양단에서 중앙부에 폭이 직선적이며 연속적으로 좁아지는 박판형상을 가진다. 또 다른 예는, 중앙부에 양단 폭에 대하여 폭이 좁은 일정폭을 가진다. 이와 같은 서스펜션에서는, 종래의 균일폭의 서스펜션으로 양단의 고정부에 집중하고 있던 응력을 분산할 수 있으며, 변위특성에서의 선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자기회로부재가 자기회로부재의 최대 허용진폭시에 있어서의 서스펜션의 변형상태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이스코일과 자기회로부재와의 간격보다도 자기회로부의 외주와 배플과 지지부재와의 간격을 좁게 설정하여 자기회로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공극을 형성함으로써,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액시덴탈한 낙하시에 자기회로와 보이스코일이 충돌하여 보이스코일과 진동판이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는, 상기 전기-기계-음향변환기와, 다른 주파수 또는 주파수대역의 적어도 두 개의 전기신호를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입력하는 전기신호발생장치 및 전기신호발생장치의 신호를 절환하는 절환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전기신호발생장치가, 착신을 알리기 위한 진동을 일으키는 전기신호 및 착신을 알리기 위한 방음을 발생시키는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또는 상기 전기신호발생장치가, 착신을 알리기 위한 진동을 일으키는 전기신호와, 착신을 알리기 위한 발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기신호 및 수화음을 재생하기 위한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착신을 알리기 위한 진동을 일으키는 전기신호는, 130Hz 근방의 주파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착신을 알리기 위한 발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기신호주파수는, 1kHz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화음을 재생하기 위한 전기신호주파수는 대략 200Hz 이상의 주파수대역폭의 전기신호가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신호발생장치가 출력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 또는 주파수대역의 중앙값 중 어느 것이,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기계진동계의 공진주파수와 일치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신호발생장치가 출력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 또는 주파수대역의 중앙값 중 어느 것이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진동판의 진동 공진주파수와 일치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의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와,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공진주파수를 검출하는 검출장치 및 검출장치에서 검출한 공진주파수의 전기신호를 전기-기계-음향변환기로 출력하는 전기신호발생장치를 구비한다. 검출장치로 검출하는 공진주파수는 예를들면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기계진동계의 공진주파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의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와,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공진주파수를 포함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전기신호발생장치와,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공진주파수에 있어서의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장치 및 검출장치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입력하는 증폭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의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와,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공진주파수에 있어서의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장치 및 노이즈 및 검출장치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입력하는 증폭장치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기-기계-음향변환기가 놓여져 있는 환경변화에 따라,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공진주파수가 변화한 경우라도, 항상 안정한 진동과 발음을 낼 수 있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한 휴대단말장치는,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전기-음향변환장치가 휴대단말장치의 외측 케이스 또는 회로기판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대하여, 도1 및 도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 도1은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평면도이며, 도2는 도1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II-II'단면의 단면도이다.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진동판(1)이 그 외주부에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링형상의 지지부재(2)에 부착되어 있다. 진동판(1)은, 티탄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재로 이루어지고 두께 10μm에서 50μm 정도의 박막이다. 지지부재(2)로서는 내충격성에 뛰어난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크(3)는 연철 등의 강자성체로, 짧은 원통형상의 외주부와 바닥면부를 가진다. 마그네트(4)는 페라이트와 네오디뮴(neodymium) 등의 영구자석으로, 원판형상을 하고 있으며, 요크(3)의 바닥면부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다. 플레이트(5)는 강자성체로, 원판형상을 하고 있고, 마그네트(4)의 진동판(1)측의 면에 접착되어 있다. 요크(3), 마그네트(4) 및 플레이트(5)는 자기회로부(magnetic circuit unit)(9)를 구성한다. 추(6)가 요크(3)의 바닥면과 외주면 위를 둘러싸도록 고정 장착되어 있다. 추(6)와 자기회로부(9)는 지지부재(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진동하는 가동부(10)를 구성한다. 요크(3)의 내주면과 플레이트(5)의 외주면에서 자기갭(11)이 형성된다. 원통형상의 보이스코일(8)이 이 자기갭(11)에 삽입되고, 보이스코일(8)의 일단면은 진동판(1)에 고정되어 있다.
서스펜션(7)은, 지지부재(2)의 외주 원과 공통 곡률원의 중심을 가지는 원호형상의 3개의 아암(7c, 7d 및 7e)를 가진다. 서스펜션(7)의 일끝단(7a)이 추(6)에 고정되고, 그 타측 끝단(7b)이 지지부재(2)에 고정되어 있다. 서스펜션(7)과 가동부(10)는 기계진동계를 구성한다. 그리고, 서스펜션(7)의 아암은 2개 이상이라면 좋지만, 가동부(10)의 롤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서스펜션(7)이 도시한 아암(7a, 7b 및 7c)와 같은 3개이상의 아암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대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보이스코일(8)에 예를들면 교류의 전기신호 전류가 입력된다. 보이스코일(8)에 교류의 전류가 흐름으로써, 보이스코일(8)과 자기회로부(9) 사이에는 구동력이 발생한다. 보이스코일(8)과 자기회로부(9) 사이에 발생하는 힘의 크기는, 교류 전류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교류 전류에 따라 크기의 변화하는 힘이, 서스펜션(7)에 지지된 자기회로부(9)를 포함하는 가동부(10)에 작동하고, 가동부(10)가 진동한다. 이 가동부(10)의 진동이 서스펜션(7)을 통하여 지지부재(2)에 전달되고, 지지부재(2)가 진동한다. 이와 같이,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진동을 발생한다.
보이스코일(8)에는, 교류 전류에 따라 크기의 변화하는 힘이 작동하고, 이 힘에 의해 보이스코일(8)이 부착된 진동판(1)은 진동한다. 진동판(1)이 가청 주파수대역의 신호로 진동하면 음을 발생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음을 발생한다.
보이스코일(8)에 입력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가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가동부(10)와 서스펜션(7)으로 구성되는 기계진동계의 공진주파수와 일치할 경우, 기계진동계는 가장 크게 진동하고,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서 가장 큰 진동을 낼 수 있다. 상기 공진주파수는 200Hz 이하의 주파수로 설정한 것이다.
또,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기계진동계의 진동 크기는, 기계진동계의 가동부(10)의 질량과 가속도의 곱에 비례한다. 제 1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서는 자기회로부(9)에 추(6)를 설치함으로써 가동부(10)를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계진동계의 질량은 커지고, 이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같은 치수의 종래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비해 보다 큰 진동을 발생한다.
특히, 추(6)의 재료로서, 철보다도 비중이 큰, 예를들면 동, 탄탈, 텅스텐 등의 고비중재료를 사용한 경우,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기계진동계의 질량을 더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같은 치수의 종래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비해 보다 큰 진동을 발생한다.
또한, 보이스코일(8)에 입력되는 전류의 주파수가 200Hz 이상의 주파수인 경우, 가동부(10)와 서스펜션(7)으로 구성되는 기계진동계의 공진주파수 대역밖이 되기 때문에, 가동부는 거의 진동하지 않고 그에 응답하여 진동판(1)이 가청주파수로 진동하며,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음을 발생한다.
이상과 같이, 동일한 유니트로 진동과 음을 발생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2
제 2 실시예에서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대하여, 도3 및 도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 도3은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평면도이고, 도4는 도3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IV-IV'단면의 단면도이다.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진동판(20)이 그 외주부에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21)에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진동판(20)은, 두께 0.1mm에서 0.2mm정도의 파마로이등의 고투자율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이다. 지지부재(21)로서는 내충격성에 뛰어난 유리섬유 강화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22)는, 강자성체로, 진동판(20)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부에 센터폴(22')을 가지는 형상이다. 마그네트(23)는, 페라이트와 네오디뮴 등의 영구자석으로, 링형상을 하고 있으며, 플레이트(22)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 여자코일(24)은 플레이트(22)의 센터폴(22')과 마그네트(23) 사이에 삽입되고, 플레이트(22)의 센터폴(22')에 부착되어 있다. 플레이트(22)와 마그네트(23)와 여자코일(24)은 자기회로부(27)를 구성한다. 추(18)는, 플레이트(22)와 마그네트(23)의 외주면상에 부착되어 있다. 추(18)에는 축방향으로 공기빠짐구멍(19)이 설치되어 있다. 추(18)와 자기회로부(27)는 지지부재(2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진동하는 가동부(28)를 구성한다. 서스펜션(25) 및 (26)은 지지부재(21)의 외주원과 공통 곡률원의 중심을 가지는 원호형상의 3개의 아암을 가진다. 서스펜션(26)은, 일끝단이 추(18)의 진동판(20)의 반대측(상측)에 고정되고 타측끝단이 지지부재(21)에 고정되어 있다. 서스펜션(25)은, 서스펜션(26)과 아암의 방향이 평면도(도3)에 있어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되도록, 일끝단이 추(18)의 진동판(20)측에 고정되고, 타측끝단이 지지부재(21)에 고정되어 있다. 서스펜션(25) 및 (26)과 가동부(28)는 기계진동계를 구성한다. 그리고, 서스펜션(25)의 윤곽선은 정확하게는 서스펜션(26)의 윤곽선 바로 아래에 있어 평면도에서는 표시할 수 없으므로 도시의 편의상 약간 어긋나게 표시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대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여자코일(24)에 예컨대 교류 전기신호의 전류가 입력된다. 여자코일(24)에 입력된 전류가 교류이기 때문에, 진동판(20)과 자기회로부(27) 사이의 전자력에 의한 흡인력의 크기가 교류 전류에 따라 변화한다. 교류 전류에 따라 크기가 변화하는 흡인력이, 서스펜션(25) 및 (26)에 지지된 자기회로부(27)를 포함하는 가동부(28)에 작동하기 때문에, 가동부(28)는 진동한다. 이 가동부(28)의 진동이 서스펜션(25 및 26)을 통하여 지지부재(21)에 전달되고, 지지부재(21)가 진동한다. 이와 같이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진동을 발생한다.
한편, 진동판(20)에도, 상기 흡인력의 반작용 힘으로서 교류 전류에 따라 크기가 변화하는 흡인력이 작동하고, 이 흡인력에 의해 진동판(20)이 진동한다. 진동판(20)은 가청주파수로 진동함으로써 음을 발생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음을 발생한다.
여자코일(24)에 입력하는 전기신호 주파수가,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가동부(28)와 서스펜션(25 및 26)에서 구성되는 기계진동계 공진주파수와 일치하는 경우에, 기계진동계는 가장 크게 진동하고,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서 가장 큰 진동을 낼 수 있다. 상기 공진주파수는 200Hz 이하의 주파수로 설정하는 것이다.
또,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기계진동계 진동의 크기는, 기계진동계의 가동부(28)의 질량과 가속도의 곱에 비례한다. 제 2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서는 자기회로부(27)에 추(18)을 부착함으로써 가동부(20)를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계진동계의 질량은 커지고, 이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같은 치수의 종래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비해 보다 큰 진동을 발생한다.
특히, 추(18)의 재료로서, 철보다도 비중이 큰 예컨대 동, 탄탈, 텅스텐 등의 고비중재료를 사용한 경우,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기계진동계의 질량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같은 치수의 종래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비해 보다 큰 진동을 발생한다.
또한, 여자코일(24)에 입력되는 전류 주파수가, 200Hz 이상의 주파수인 경우, 가동부(28)와 서스펜션(25) 및 (26)에서 구성되는 기계진동계의 공진주파수 대역외가 되므로, 가동부는 거의 진동하지 않고, 그에 응답하여 진동판(20)이 가청주파수로 진동하고,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음이 발생한다.
이상과 같이, 동일한 유니트로 진동과 음을 발생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를 실현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가동부(28)를 서스펜션(25) 및 (26)에 의해 지지하고 있다. 가동부(28)의 지지점이 가동부(28)의 진동방향에 관하여 떨어진 위치에 있기 때문에, 가동부(28)의 진동에 기울기가 생기고 가동부(28)가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추(18)에 공기빠짐구멍(19)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판(20)과 가동부(28) 사이의 공실의 실압이 가동부(28) 또는 진동판(20)의 진동에 의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공실의 실압 상승에 의해, 가동부(28) 또는 진동판(20)의 진동이 억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실시예는, 가동부를 지지하는 서스펜션을 2개소에 구비한 예이다. 이것을 제 1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적용한 경우에도, 가동부의 진동에 기울기가 생기고, 가동부가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2 실시예는, 추에 공기빠짐구멍을 설치한 경우이다. 이것을 제 1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적용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공실의 실압 상승에 따른 가동부 혹은 진동판의 진동의 억제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대하여 도5, 도6 및 도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 도5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평면도이고, 도6은 휴대단말장치의 개체를 첨가한 도5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VI-VI' 단면이 단면도이고, 도7은 요크와 마그네트와의 치수상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구조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와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그리고, 제 1 실시예와 동일부품에 대해서는, 동일번호를 부여하고, 제 1 실시예의 설명이 적용가능하기 때문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요크(3)와 추(6)를 별도의 부품으로 하여 전기-기계-음향변환기를 구성하였다. 이에 대하여, 제 3 실시예에서는, 자기회로부의 자로를 실질적으로 형성하는 요크부(31a)와 자기회로부의 자로를 실질적으로 형성하지 않은 추부(31b)를 일체로 형성하여 요크(31)를 형성하고 있다. 구동회로(100)는 보이스코일(8)에 전기신호를 첨가하기 위한 것이다.
요크(31)와 마그네트(4)의 치수상의 관계에 대하여 도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7에서는, 요크(31)의 하면 구조와 상면 구조 양쪽을 명시하기 위해 요크(31)를 사하면도와 사상면도 양쪽으로 나타내었다.
마그네트(4)의 윗면 면적을 S1로 한다. 요크(31)의 바닥면이 마그네트 상면에 접하는 부분에서 요크(31)의 상면까지 수직으로 올라간 가상원주의 통면의 면적을 S2로 한다. 요크(31)의 하향에 연장하여 보이스코일(8)을 감싸는 바깥 폴을 형성하는 원통형상 부분의 평면적 단면의 면적을 S3으로 한다. 요크(31)는, 마그네트(4)에서 발생한 자속이 자기포화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이하의 치수상의 관계를 만족한다. S2를 S1 이상으로 설정하고, S3을 S2이상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통상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서는 S2와 S3을 실질적으로 일치시키고 있지만, 제 3 실시예의 요크(31)에서는 추부(31b)를 형성하기 위해, S3이 S2를 크게 넘도록 S3을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S2와 같은 면적S3을 주는 가상의 통면(310)(반경rb)보다 바깥 부분은, 마그네트(4)의 자속에 의한 자속포화에 필요한 영역 외측에 있다. 이 반경(rb)의 가상통면 외측부분은 종래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요크에는 없는 추으로서 설계되어 있지만, 상기 반경(rb)에서 안의 요크부(31a)와 일체로 만들어져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동작은, 제 1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작동과 실질적으로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예와 같이, 제 3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동일한 유니트로 진동과 음을 발생할 수 있다.
보이스코일(8)에 입력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를,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기계진동계의 공진주파수와 일치시킨 경우에, 기계진동계는 가장 크게 진동하고,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서 가장 큰 진동을 낼 수 있다.
또한,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기계진동계의 진동 크기는, 기계진동계의 가동부의 질량과 가속도의 곱에 비례한다. 종래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서는, 가동부를 구성하는 요크는 실질적으로 자기회로부의 자로를 형성하는 부분뿐이었다. 이에 대하여, 제 3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서는, 가동부를 구성하는 요크(31)가 실질적으로 자기회로부의 자로를 형성하는 요크부(31b)와 자로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추부(31b)로 구성된다. 이 때문에,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가동부의 질량은, 종래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가동부 질량보다 크다. 그런 이유로 이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같은 치수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비해 보다 큰 진동을 발생한다.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단말장치의 개체(32)에 전기-기계-음향변환기를 부착한 경우, 진동에 의해 착신을 알리는 기능 및 음(호출음, 음성, 음악소오스 등)을 발생하는 기능의 양쪽을 가지는 휴대단말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4
제 4 실시예에서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대하여, 도8, 도9 및 도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 도8은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평면도이고, 도9는 도8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IX-IX'단면의 단면도이며, 도10은 도8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구성부품을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구조에 대해서는, 제 1 및 제 3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와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3 실시예와 동일부품에 대해서는, 동일번호를 부여하고, 제 1 및 제 3 실시예의 설명이 적용가능하기 때문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요크(42)는,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자기회로부의 자로를 실질적으로 형성하는 요크부와 자기회로부의 자로를 실질적으로 형성하지 않은 추부를 일체 형성한 것으로, 바닥면에 원형의 구멍을 가진다. 그리고, 요크(42)와 마그네트(4)는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치수상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제작되어 있다.
지지부재(41)는, 내충격성에 뛰어난 유리섬유강화수지 등으로, 외주부가 구형이며 중앙부에 원통형상의 공동을 가지는 형상이다. 지지부재(41)는 후술하는 서스펜션의 고정부와 접합되는 수납부(41a,41b,41c 및 41d)를 가진다. 지지부재(41)에는, 그 외주부의 일부에 보이스코일(8)의 양끝단의 리드선이 접속되는 입력단자(45)부착 접속 하우징이 부착되어 있다.
서스펜션(43)은, 탄성을 가지는 스텐레스 또는 동합금 등으로, 소용돌이형상으로 홈이 들어간 얇은 평판 형상이다. 서스펜션(43)은, 요크(42)의 진동판과 반대측에 접합되는 프레임형상의 지지부(43a)와, 원호형상을 가지는 두 개의 아암부(43b), 및 지지부재(41)의 수납부(41a 및 41c)에 접합되어 서스펜션(43)의 중심에 관하여 대상 위치에 있는 대략 사각형상의 두 개의 고정부(43c)로 이루어진다. 서스펜션(44)은, 탄성을 가지는 스텐레스 또는 동합금 등으로, 서스펜션(43)과 같은 형상이다. 서스펜션(44)은, 요크(42)의 진동판측에 접합되는 프레임형상의 지지부와, 원호형상을 가지는 두 개의 아암부(44b) 및 지지부재(41)의 수납부(41b 및 41d)에 접합되어 서스펜션(44)의 중심에 관하여 대상 위치에 있는 대략 사각형상의 두 개의 고정부(44c)로 이루어진다. 또한, 서스펜션(44)은 서스펜션(43)에 대하여, 평면적으로 보아, 90°회전한 방향으로 지지부재(41)에 접합되어 있다. 서스펜션(43) 및 (44)은 평면적으로 보아 가동부의 면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요크(42)가 진동시에 서스펜션(43) 및 (44)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요크(42)는, 서스펜션(43)의 아암부(43b) 및 서스펜션(44)의 아암부(44b)와 대향하는 부분이 깎여져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동작은, 제 1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동작과 실질적으로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예와 같이 제 4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동일한 유니트로 진동과 음을 발생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와 같이, 가동부를 구성하는 요크(42)는, 실질적으로 자기회로부의 자로를 형성하는 요크부[어느 반경(rb)에서 내측부] 외에, 자로형성에 필요한 상기 반경 부분보다도 외측의 추부를 가진다. 이런 이유로 가동부의 질량은, 종래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가동부의 질량보다 크고, 이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같은 치수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비해 보다 큰 진동을 발생한다.
또, 서스펜션(43) 및 (44)은, 가동부 외형에 따른 원호(아치)형상의 아암부를 가진다. 이 때문에, 가동부 면내에 수납된 형상이라는 조건에 있어서, 서스펜션(43) 및 (44)의 아암부를 길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서스펜션의 변위특성에 있어서의 선형성이 확보되고, 이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같은 치수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비해 보다 큰 진동을 발생한다. 또한 서스펜션(43) 및 (44)의 아암부가 길기 때문에, 아암부 양끝단의 변위량이 작아지고 양끝단에 집중하는 응력을 작게 할 수 있으며, 재료가 약해진 데서 발생하는 서스펜션의 파단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서스펜션(43) 및 (44)의 아암부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부가 진동할 때 발생하는 진동의 경사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5
제 5 실시예에서의 서스펜션에 대하여, 도11, 도12 및 도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 도11은 서스펜션의 평면도이고, 도12는 도11의 서스펜션의 XII-XII'단면의 단면도이다. 도13은 다른 서스펜션의 평면도이다.
서스펜션(51)은 예컨대 125μm 정도 두께의 스텐레스판을 이용한 판스프링이다. 서스펜션(51)은, 그 양끝단부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폭이 직선적이며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이다. 일예로서, 서스펜션(51)의 양끝단 폭을 X1, 중앙부 폭을 X2, 서스펜션의 전체길이를 X3으로 하고, X1을 1.3mm, X2를 0.25mm, X3을 8.5mm로 한다.
서스펜션(51)의 끝단변(a)을 고정하고, 다른 끝단변(a')에 대하여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힘(F)을 수직으로 가한다. 서스펜션(51)은, 힘(F)의 증가와 함께 힘의 방향으로 굽어진다. 서스펜션(51)이 굽은 상태에서의 판면의 응력분포에 대하여, 서스펜션(51)과 전체길이가 같고 서스펜션(51)의 양끝단폭과 같은 일정 폭의 서스펜션과 비교하여 설명한다. 일정한 폭을 가지는 서스펜션의 경우, 고정된 양끝단에 응력이 집중한다. 이에 대하여, 서스펜션(51)은 양끝단보다 중앙부가 폭이 좁기 때문에, 폭이 넓은 양끝단부분에 비해 폭이 좁은 중앙부근의 부분이 변형하기 쉽고, 서스펜션(51)에 발생하는 응력은 중앙부 방향으로 분산한다. 따라서, 일정한 폭을 가지는 서스펜션에 비해, 국소적으로 서스펜션(51)의 양끝단에 발생하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서스펜션은, 폭이 좁아지는 만큼 굽어지기 쉽기 때문에, 일정 폭의 형상을 가지는 서스펜션에 비해 힘(F) 대 변위특성의 선형성이 향상한다.
이와 같이 양끝단부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폭이 직선적이며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는 서스펜션은, 일정 폭의 형상을 가지는 서스펜션에 있어서 서로 받아들이지 않는 성질로 되어 있던, 서스펜션에 가해진 힘 대 변위특성의 선형성의 향상과, 국부적으로 응력이 집중하는 것에 따른 재료의 약해짐에서 발생하는 서스펜션의 파단의 해소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도13에 나타낸 서스펜션(51')은, 예를들면 122μm 두께의 스텐레스이다. 서스펜션(51)은 중앙부에 일정폭 부분을 가지고, 그 양끝단부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폭이 직선적이며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이다. 일예로서, 서스펜션(51')의 양끝단 폭을 X4, 중앙부 폭을 X5, 일정폭 부분의 길이를 X6, 전체 길이를 X7로 하고, X4를 1.3mm, X5를 0.5mm, X6을 2.7mm, X7을 8.5mm로 한다.
X6의 값을 2.5mm보다 짧게 한 경우, 응력이 서스펜션의 양끝단부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단. 한편, X6의 값을 2.9mm보다 길게 한 경우, 응력이 중앙부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X6의 값에는, 2.5mm-2.9mm가 접합하며, 최적인 값은 2.7mm이다. 서스펜션(51')은, 도11의 서스펜션(5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진다.
이상과 같이, 서스펜션의 형상을 양끝단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폭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서스펜션에 가해지는 힘에 대한 변위특성에서의 선형성의 향상과, 국부적으로 응력이 집중함에 따른 재료의 약해짐이 발생하는 서스펜션의 파단의 해소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6
제 6 실시예에서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대하여 도14, 도15 및 도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 도14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5는 도14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배플을 제거한 평면도이며, 도16은 배플을 첨가한 도15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XVI-XVI'단면의 단면도이다.
제 6 실시예에서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구조에 대해서는, 제 1 및 제 3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와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3 실시예와 동일부품에 대해서는 동일번호를 부여하고, 제 1 및 제 3 실시예의 설명이 적용가능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부재(61)는, 플라스틱으로, 외주부가 사각형상이며 중앙부에 원통형상의 공동을 가지는 형상이다. 지지부재(61)는, 후술하는 서스펜션(63) 및 (64)의 고정부와 접합되는 수납부(61a,61b,61c 및 61d)를 가진다. 지지부재(61)에는 그 외주부의 일부에 입력단자(65)가 부착된 접속하우징이 설치되어 있다. 입력단자(65)에 보이스코일(8)의 리드선 양끝단이 설치된다. 배플(66)은, 프레임형상을 하고 있고, 지지부재(61)에 설치되어 있다.
요크(62)는 연철 등의 강자성체로, 외주가 원통형상이며 바닥면을 가지는 형상이다. 요크(62)는, 제 3 실시예와 같이, 자기회로부의 자로를 실질적으로 형성하는 요크부와 자기회로부의 자로를 실질적으로 형성하지 않는 추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요크(62)는 제 3 및 제 4 실시예와 다르고, 보이스코일(8)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16에서 단면을 나타낸 바와 같이 홈부(62c)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요크(62)와 마그네트(4)는 제 3 실시예에서 도7을 이용하여 설명한 치수상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제작되어 있다.
서스펜션(63)은, 탄성을 가지는 스텐레스 또는 동합금등으로, 제 5 실시예에서 설명한 양끝단부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폭이 감소하며 중앙부에 일정폭 부분을 가지는 형상의 아암부(63c) 및 (63d)를 가지는 얇은 평판 형상이다. 서스펜션(63)은, 요크(62)와 마그네트(4)와 플레이트(5)를 포함하는 자기회로부(67)의 진동판(1)과 반대측에 접합되는 프레임형상의 지지부(63e), 두 개의아암부(63c) 및 (63d) 및 지지부재(61)의 수납부(61c) 및 (61a)에 접합되고, 서스펜션(63)의 중심점에 관하여 대상 위치에 있는 대략 사각형의 두 개의 고정부(63a) 및 (63b)를 가진다. 서스펜션(64)은, 탄성을 가지는 스텐레스 또는 동합금등으로, 서스펜션(63)과 마찬가지로 제 5 실시예에서 설명한 양끝단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폴이 감소하며 중앙부에 일정폭 부분을 가지는 형상의 아암부(64c 및 64d)를 가지는 얇은 평판 형상이다. 서스펜션(64)은, 자기회로부(67)의 진동판(1)측에 접합된 프레임형상의 지지부(64e), 두 개의 아암부(64c) 및 (64d) 및 지지부재(61)의 수납부(61d) 및 (61b)에 접합되고, 서스펜션(64)의 중심점에 관하여 대상의 위치에 있는 대략 사각형의 두 개의 고정부(64a) 및 (64b)를 가진다. 또, 서스펜션(64)은 서스펜션(63)에 대하여 평면적으로 보아 90°회전한 방향으로 지지부재(61)에 부착되어 있다. 또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스펜션(63) 및 (64)은 평면적으로 보아 자기회로부(67) 면내에 들어간다. 그리고 요크(62)는 진동시에 서스펜션(63) 및 (63)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서스펜션(63) 및 (63)의 아암부에 대향하는 부분이 깎여져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동작은, 제 1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동작과 실질적으로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예와 같이 제 6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동일한 유니트로 진동과 음을 발생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와 같이, 자기회로부(67)의 요크(62)가 자기회로부의 자로를 실질적으로 형성하는 요크부와, 자로를 형성하지 않는 추부를 가진다. 이 때문에, 가동부의 질량은 종래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가동부의 질량보다 크고, 이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같은 치수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비해 보다 큰 진동을 발생한다.
또, 서스펜션(63) 및 (64)은 제 5 실시예에서 설명한 형상의 아암부를 가진다. 이 때문에, 서스펜션(63) 및 (64)은 변위특성에서의 선형성에 뛰어나고, 아암부의 국부적인 응력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재료의 약해짐이 발생하는 서스펜션의 파단이 발생하기 어렵고, 큰 진동을 발생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서스펜션(63) 및 (64)의 아암부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회로부(67)가 진동할 때 발생하는 진동의 기울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요크(62)의 외주면과 지지부재(61)의 간격(t3)을, 자기갭내의 보이스코일(8)과 요크(62)의 내주면의 간격(t1)과, 보이스코일(8)과 플레이트(5)의 내주면의 간격(t2)과의 양쪽보다 좁게 설정함으로써, 진동시의 불규칙한 움직임에 의해 보이스코일(8)이 요크(62) 및 플레이트(5)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요크(62)에 홈부(62c)를 넣음으로써 진동시에 보이스코일(8)이 요크(62) 바닥면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이스코일(8) 및 진동판(1)이 진동시에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서스펜션(63)과 배플(66)과의 간격(t4)을 서스펜션의 아암부의 탄성한계보다 좁게 설정함으로써, 액시덴탈한 낙하충격에 의한 서스펜션(63) 및 (64)의 변형을 허용범위내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낙하충격에 대한 신뢰성이 높은 전기-기계-음향변환기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7
제 7 실시예에서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대하여 도17, 도18, 도19 및 도2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 도17은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주요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8은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평면도이고, 도19는 도18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XIX-XIX'단면의 단면도이며, 도20은 서스펜션과 자기회로부가 맞닿은 과대입력시에서의 도18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XIX-XIX' 단면의 단면도이다.
자기회로부(71)는 외주가 사각형상을 가지고,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보이스코일 또는 여자코일을 이용하여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서스펜션(72)은 탄성을 가지는 스텐레스 또는 동합금 등으로, 제 5 실시예에서 설명한 양끝단부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폭이 감소하고 중앙부에 일정폭 부분을 가지는 아암부(72c) 및 (72d)를 가지는 얇은 평판형상이다. 서스펜션(72)은, 자기회로부(71)에 접합되는 프레임형상의 지지부(72e), 두 개의 아암부(72c) 및 (72d) 및 후술하는 지지부재(74)의 수납부(74a) 및 (74b)로 이루어진다. 서스펜션(73)은 탄성을 가지는 스텐레스 또는 동합금등으로, 서스펜션(72)과 마찬가지로 제 5 실시예에서 설명한 양끝단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폴이 감소하며 중앙부에 일정폭 부분을 가지는 형상의 아암부(73c) 및 (73d)를 가지는 얇은 평판 형상이다. 서스펜션(73)은, 자기회로부(71)에 접합된 프레임형상의 지지부(73e), 두 개의 아암부(73c 및 73d) 및 지지부재(74)의 수납부(74d)에 접합되고, 서스펜션(73)의 중심에 관하여 대상의 위치에 있는 대략 사각형의 두 개의 고정부(73a) 및 (73b)로 이루어진다. 또, 서스펜션(73)은 서스펜션(72)에 대하여 평면적으로 보아 90°회전한 방향으로 지지부재(74)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자기회로부(71)는 진동시에 서스펜션(72) 및 (73)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서스펜션(72) 및 (73)의 아암부에 대향하는 부분이 S자형상으로 깎여져 있다.
지지부재(74)는 플라스틱등으로, 외주면 및 내주면이 사각형으로, 각 각의 부분에는, 기둥형상의 수납부(74a) 및 수납부(74a)보다 낮은 기둥형상의 수납부(74b)를 가진다. 대각선 위치관계에 있는 수납부의 높이는 같고, 이웃하여 만나는 위치에 있는 수납부의 높이 차는 자기회로부(71)의 두께와 대략 같다.
이상과 같이 자기회로부(71)를 사각형상으로 함으로써, 원형상의 자기회로부 질량에 비해 자기회로부(71)의 질량은 커진다. 따라서, 제 7 실시예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원형상의자기회로부를 가지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비해 큰 진동을 발생한다.
자기회로부(71), 서스펜션(72) 및 (73) 및 지지부재(74)가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고 작업성에 풍부한 전기-기계-음향변환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자기회로부(71)는, 서스펜션이 진동에 의한 변형에 견딜 수 있는 최대 허용량에 맞추어, 각 서스펜션의 아암부에 대향하는 위치가 서스펜션의 변형형상에 맞추어 깎여져 있다. 이 때문에, 보이스코일 또는 여자코일에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큰 경우, 자기회로부(71)와 서스펜션(72) 및 (73)이 맞닿고, 자기회로부(71)의 진동이 억제되고,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내구성이 향상한다.
실시예 8
상기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종래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비해 큰 진동을 낼 수 있다. 그러나,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제조시의 어긋남, 휴대단말장치로의 설치조건에 따라,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서 가장 큰 진동을 낼 수 있는 기계진동계의 공진주파수가 변화하고, 효율 좋게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서 진동을 내지 않는 경우가 있다.
제 8 실시예는, 이와 같은 경우에도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서 큰 진동을 낼 수 있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관한 것으로, 도2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 도21은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전기신호를 입력하는 블럭도이다.
도21의 블럭도는, 휴대단말장치에 부착된 전기-기계-음향변환기(212)와, 전기-기계-음향변환기(212)의 기계진동계의 공진주파수를 검출하는 검출장치(213)와, 검출장치(213)에서 검출한 주파수의 전기신호를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출력하는 제 1 전기신호발생장치(211a)와, 음성대역의 주파수 전기신호를 전기-기계-음향변환기(212)에 출력하는 제 2 전기신호발생장치(211b) 및 제 1 및 제 2 전기신호발생장치(211a) 및 (211b)의 전기신호를 절환하는 절환스위치(SW1)로 이루어진다.
검출장치(213)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212)의 기계진동계의 공진주파수를 검출한다. 검출장치(213)는, 검출한 공진주파수 값을 제 1 전기신호발생장치(211a)에 입력한다. 제 1 전기신호발생장치(211a)와 전기-기계-음향변환기(212)가 접속되도록 절환스위치(SW1)가 절환되고, 제 1 전기신호발생장치(211)는 검출장치(213)에서 입력된 값의 주파수 전기신호를 전기-기계-음향변환기(212)에 입력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전기-기계-음향변환기(212)의 공진주파수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주파수의 전기신호가 전기-기계-음향변환기(212)에 입력된다. 이 때문에, 전기-기계-음향변환기(212)의 제조시 어긋남, 휴대단말장치로의 설치조건에 따라, 전기-기계-음향변환기(212)의 기계진동계의 공진주파수가 변화한 경우라도, 전기-기계-음향변환기(212)에서 큰 진동을 낼 수 있다.
제 2 전기신호발생장치(211b)와 전기-기계-음향변환기(212)가 접속되도록 절환스위치(SW1)가 절환된 경우, 제 2 전기신호발생장치(211b)에서 전기-기계-음향변환기(212)에 전기신호가 입력되면, 전기-기계-음향변환기(212)는 입력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음을 발생한다.
이 구성에 따라, 진동에 의한 착신호출을 하고, 호출음에 의한 착신호출을 하며, 음향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9
제 9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전기-기계-음향변환기를 내장한 휴대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전화기를 예로 하여, 도2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 도22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를 내장한 휴대전화기의 일부파단사시도이다.
전기-기계-음향변환기를 내장한 휴대전화기는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휴대전화기 본체(221)는, 소리구멍(223)을 가지는 외측 케이스(224)를 구비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전기-기계-음향변환기(222)가, 진동판이 외측 케이스(224)의 소리구멍(223)에 대향하도록 지지부재로 외측 케이스(224)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외측 케이스(224)에 부착하는 대신에 휴대단말장치의 회로기판에 부착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휴대전화기에 대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휴대전화기가 호출신호를 수신할 경우, 휴대전화기에 구비된 전기신호발생장치에 의해, 전기-기계-음향변환기(222)에, 전기-기계-음향변환기(222)의 기계진동계의 공진주파수에 가까운 주파수성분을 포함하는 전기신호가 입력된다. 전기-기계-음향변환기(222)에 입력되는 전기신호 주파수가 전기-기계-음향변환기(222)의 기계진동계 주파수와 실질적으로 일치하기 때문에, 전기-기계-음향변환기(222)는 크게 진동한다. 이 진동이, 전기-기계-음향변환기(222)에서 휴대전화기의 외측 케이스(224)에 전달되고, 휴대전화기의 외측 케이스(224)는 크게 진동한다. 이 때문에, 휴대전화기를 가지는 사용자는 휴대전화기의 외측 케이스(224)의 진동에 의해 착신을 알릴 수 있다.
휴대전화기가 호출신호를 수신한 경우, 휴대전화기에 구비된 전기신호발생장치에 의해, 전기-기계-음향변환기(222)에, 가청역 주파수, 특히 사람의 귀에 감도가 높은 주파수의 전기신호가 입력된다. 전기-기계-음향변환기(222)에 구비된 진동판은 진동하여 음을 발생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호출음에 의해 착신을 알 수 있다.
휴대전화기가 음성신호를 수신한 경우, 휴대전화기에 구비된 전기신호발생장치에 의해, 전기-기계-음향변환기(222)에 음성대역 주파수의 전기신호가 입력된다. 전기-기계-음향변환기(222)에 구비된 진동판은 진동하여 수화음을 재생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착신한 내용을 들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휴대전화기가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전기-기계-음향변환기를 내장함으로써, 하나의 공통 변환기가 진동에 의해 착신을 알리는 기능, 호출음에 의해 착신을 알리는 기능 및 수화음을 재생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휴대전화기를 실현할 수 있다.
휴대전화기가 진동에 의해 착신을 알리기 위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전기신호발생장치, 호출음에 의해 착신을 알리기 위한 전기신호 또는 음성 혹은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전기신호발생장치, 및 제 1 전기신호발생장치와 제 2 전기신호발생장치의 출력을 절환하는 장치를 내장하는 경우에는, 휴대전화기는, 진동에 의한 착신호출, 호출음에 의한 착신호출, 및 수화음의 재생 3개의 동작을 절환할 수 있다.
진동은 주파수대역에 의해 체감효과가 다르고, 200Hz이하의 낮은 주파수에 고감도의 주파수가 존재한다. 특히, 130Hz부근의 주파수대역폭이 체감효과가 높기 때문에, 진동에 의해 착신을 알리는 것에 이용하는 전기신호 주파수로서는, 이 주파수대역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사람의 귀에는 이 진동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음이 감도가 높기 때문에, 호출음에 의해 착신을 알리는 데 이용하는 전기신호 주파수로서는, 1kHz이상의 주파수대역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의 명료도의 관점에서, 아래난의 이 주파수대역이 바람직하다. 수화음을 재생하는 데 이용하는 전기신호 주파수로서는, 대략 200Hz이상의 주파수대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0
제 10 실시예에서의 휴대단말장치에 대하여,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전기신호를 입력하는 블럭도인 도2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23의 블록도의 회로는, 착신을 알리는 수신신호와, 송신자의 음성으로 만들어진 수화음신호를 포함하는 착신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225)와, 안테나(225)가 수신한 이들 착신신호를 처리하는 수신신호처리부(226)와, 수신신호처리부(226)에 의해 처리된 수화음신호를 재생하는 소형스피커인 리시버(227)와, 전기-기계-음형변환기의 적어도 하나의 공진주파수의 신호성분을 포함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전기신호발생장치(228)와,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229), 수신신호처리부(226)에서의 신호에 의해 온과 오프가 제어되는 스위치(SW2), 증폭기(229)에서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전기-기계-음향변환기(230), 및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공진주파수로 급준하게 변화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전기임피던스를 검출하고 공진주파수에 있어서의 신호를 증폭기(229)에 출력하는 주파수검출기(231)를 구비한다. 여기서 전기신호발생장치(228)가 출력하는 전기신호의 신호레벨은 직접 전기-기계-음향변환기(230)에 입력된 경우에, 사용자에게 진동음을 전달할 수 없는 레벨로 선택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휴대단말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안테나(225)가, 송신측 휴대단말장치에서 송신된 착신신호를 수신하고, 그것이 수신신호처리부(226)에 출력된다. 수신신호처리부(226)는, 이 착신신호를 신호처리하고, 착신을 알리는 수신신호에 응답하여 신호(C)를 발생하며, 스위치(SW2)에 입력한다. 스위치(SW2)는 신호(C)에 의해 제어되어 전기신호발생장치(228)를 증폭기(229)에 접속한다. 전기신호발생장치(228)가 출력하는 전기신호가 증폭기(229)에 입력된다. 증폭기(229)는 입력된 전기신호를 증폭하고, 전기-기계-음향변환기(230)로 출력한다. 주파수검출기(231)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공진주파수에 있어서 급격하게 변화하는 전기 임피던스를 검출하고, 공진주파수의 신호를 증폭기(229)로 출력한다. 이 신호가 다시 증폭기(229)에서 증폭된다. 이것을 되풀이함으로써,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진동 및 발음중 어느것 또는 양쪽 주파수로 자려적으로 발진하기에 이른다.
휴대단말장치의 휴대자가 착신을 알고, 수신가능상태로 조작하면, 수신신호처리부(226)는 신호(C)를 출력하는 것을 멈춘다. 수신신호처리부(226)는 수화음신호를 처리하여 리시버(227)로 처리한 수화음신호를 출력하고, 리시버는 수화음을 재생한다.
이상과 같이, 전기-기계-음향변환기(230)가 놓여져 있는 환경변화에 의해, 전기-기계-음향변환기(230)의 공진주파수가 변화한 경우라도, 전기신호발생장치(228)에서의 전기신호 발진은 계속하여 행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새로이 공진주파수가 검출되고,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진동 및 발음의 어느것 또는 양쪽 주파수로 자려적으로 발진한다. 따라서, 항상 안정한 진동과 발음을 낼 수 있는 휴대단말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도23의 주파수검출기(231)의 상세를 주파수검출기(231)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인 도2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브리지회로(233)는, 브리지용 부하임피던스소자(Z2, Z3 및 Z4) 및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보이스코일의 전기임피던스를 등가적으로 나타낸 임피던스소자(Z1)로 이루어진다. 각 임피던스소자(Z1, Z2, Z3 및 Z4)의 임피던스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공진주파수에서 떨어진 주파수성분을 가지는 전기신호에 대하여, 브리지회로(233)의 출력단자(B1, B2)에서의 출력을 미소하게 하도록 선택하고 있다. 브리지회로(233)의 출력은 오피앰프(232)에 입력되고, 오피앰프(232)의 출력이 리미터(234)에 입력된다. 리미터(234)의 출력이 증폭기(229)에 출력된다.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공진주파수의 전기신호가 증폭기(229)에서 전기-기계-음향변환기(230)에 입력되면, 임피던스소자(Z1)의 임피던스값이 급격히 변화하고, 브리지회로(233)의 평형상태가 무너지고, 오피앰프(232)에서의 출력이 증대한다. 오피앰프(232)에서의 출력은 리미터(234)에 입력되고, 리미터(234)에서 스위치(SW2)를 거쳐 증폭기(229)에 입력된다. 이와 같이 정귀환을 되풀이함으로써,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진동 및 발음의 어느것 또는 양쪽 주파수로 자려적으로 발진할 수 있다.
리미터(234)를 주파수검출기(231)의 출력측에 설치함으로써, 주파수검출기(231)에서의 출력레벨을 제한할 수 있으며, 증폭기(229) 및 전기-기계-음향변환기(230)로의 과대입력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11
제 11 실시예에서의 휴대단말장치에 대하여,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전기신호를 입력하는 블럭도인 도2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휴대단말장치의 회로구성에 대해서는, 제 10 실시예의 휴대단말장치의 회로구성과 다른 점만 설명한다. 그리고, 제 10 실시예와 동일부품에 대해서는, 동일번호를 부여하고 제 10 실시예의 설명이 적용가능하기 때문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1 실시예의 휴대단말장치는, 전기신호발생장치(228)를 구비하지 않고, 증폭기(229) 및 주파수검출기(231)의 회로내의 열잡음등의 노이즈를 이용하고 있다. 열잡음등의 노이즈는 광대역의 주파수성분을 포함하고, 일반적으로 신호성분에 비해 저레벨이다.
제 10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위치(SW2)에 수신신호처리부(226)에서 신호(C)가 입력되고, 이 신호(C)에 의해 스위치(SW2)는 제어되어 온이 된다. 열잡음등의 노이즈가 증폭기(229)에 의해 증폭되고, 전기-기계-음향변환기(230)에 입력된다. 전기-기계-음향변환기(230)에 노이즈가 입력된 후, 제 10 실시예와 같이,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입력된 신호가 정귀환에 의해 다시 증폭되며, 전기-기계-음향변환기는 진동 및 발음의 어느것 또는 양쪽 주파수로 자려적으로 발진할 수 있다.
도25와 같이 전기-기계-음향변환기를 구성한 경우, 제 10 실시예의 기술이점에 부가하여, 전기신호발생장치를 삭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 때문에, 휴대단말장치의 코스트다운이 도모됨과 동시에, 휴대단말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12
제 12 실시예에서의 휴대단말장치에 대하여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전기신호를 입력하는 블럭도인 도2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휴대단말장치의 회로구성에 대해서는, 제 10 및 11 실시예의 휴대단말장치의 회로구성과 다른 점만 설명한다. 그리고, 제 10 및 11 실시예와 동일부품에 대해서는, 동일번호를 부여하고, 제 10 및 11 실시예의 설명이 적용가능하기 때문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2 실시예의 휴대단말장치에서는, 증폭기(226)와 주파수검출기(231) 사이에 로우패스필터(235)와 하이패스필터(236)가 설치되고, 주파수검출기(231)의 출력을 절환하는 스위치(SW3)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전기-기계-음향변환기(230)는, 주파수가 낮게 호출용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 1 공진주파수와, 주파수가 높게 가청주파수음을 발생시키는 제 2 공진주파수의 적어도 두 개의 공진주파수를 가진다.
사용자가, 진동에 의한 착신호출과 호출음에 의한 착신호출을 휴대단말장치에 부착된 스위치를 이용하여 선택한다. 수신신호처리부(226)는 이에 따라 신호(D)를 발생하고, 신호(D)를 스위치(SW3)에 출력한다.
사용자가, 진동에 의한 착신호출을 선택한 경우, 스위치(SW3)는, 수신신호처리회로(226)에서 입력되는 신호(D)에 따라 A측으로 스위치한다. 주파수검출기(231)의 출력이 로우패스필터(235)에 입력된다. 로우패스필터(235)는, 제 2 공진주파수 신호를 통과시키지 않고, 주파수가 낮은 제 2 공진주파수 신호만을 증폭기(229)에 통과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단말장치는 착신호출하기 위한 진동을 발생한다.
또, 사용자가 호출음에 의한 착신호출을 선택한 경우, 스위치(SW3)는, 수신신호처리회로(226)에서 입력되는 신호(D)에 따라 B측으로 스위치한다. 주파수검출기(231)의 출력이 하이패스필터(236)에 입력된다. 하이패스필터(236)는 제 1 공진주파수의 신호를 통과시키지 않고, 제 2 공진주파수신호만을 증폭기(229)에 통과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단말장치는 착신호출을 위한 호출음을 발생한다.
또, 사용자가, 진동 및 호출음 양쪽에 따른 착신호출을 선택한 경우, 스위치(SW3)는, 수신신호처리회로(236)에서 입력되는 신호(D)에 따라 A측 및 B측으로 번갈아 스위치한다. 주파수검출기(231)의 출력이 로우패스필터(235) 및 하이패스필터(236)로 번갈아 입력된다. 이 경우, 휴대단말장치는 착신호출을 위한 호출음과 진동을 번갈아 발생한다.
그리고, 로우패스필터(235) 및 하이패스필터(236)의 어느 한쪽만을 이용하고, 제 1 및 제 2 공진주파수신호를 증폭기(229)에 출력한 경우, 휴대단말장치는 착신호출을 위한 호출음과 진동을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 전기-기계-음향변환기가 3개이상인 공진주파수를 가지는 경우, 진동에 적합한 낮은 주파수와 호출음에 적합한 가청주파수와의 두 개의 공진주파수를 통과시키는 밴드패스필터를, 로우패스필터(235) 및 하이패스필터(236) 대신에 이용해도 좋다.
이상의 구성에 따라, 대상으로 되어 있지 않은 주파수에서의 자려발진을 방지할 수 있고, 진동에 의한 착신호출과 호출음에 의한 착신호출을 주의하여 선택할 수 있는 휴대단말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13
제 13 실시예에서의 휴대단말장치에 대하여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전기신호를 입력하는 블럭도인 도2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휴대단말장치의 회로구성에 대해서는, 제 12 실시예의 휴대단말장치의 회로구성과 다른 점만 설명한다. 제 10, 제 11 및 제 12 실시예와 동일부품에 대해서는 동일번호를 부여하고, 제 10, 제 11 및 제 12 실시예의 설명이 적용가능하기 때문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3 실시예의 휴대단말장치에서는, 주파수검출기(231)와 스위치(SW3) 사이에 리미터(237)가 설치되어 있다.
리미터(237)를 주파수검출기(231)의 출력측에 설치함으로써, 주파수검출기(231)에서의 출력레벨을 소정레벨까지 제한할 수 있으며, 증폭기(229) 및 전기-기계-음향변환기(230)로의 과대입력에 따른 휴대단말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14
제 14 실시예에서의 휴대단말장치에 대하여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전기신호를 입력하는 블럭도인 도2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휴대단말장치의 회로구성에 대해서는, 제 13 실시예의 휴대단말장치의 회로구성과 다른 점만 설명한다. 제 10, 제 11, 제 12 및 제 13 실시예와 동일부품에 대해서는 동일번호를 부여하고, 제 10, 제 11, 제 12 및 제 13 실시예의 설명이 적용가능하기 때문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4 실시예의 휴대단말장치에서는, 수신신호처리부(226)와 리시버(227) 사이에 스위치(SW4)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휴대단말장치에 설치된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재생음을 리시버(227) 또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230)의 어느것으로부터 출력시키는 지를 선택한다.
사용자가 리시버(227)에서 재생음을 출력시키는 것을 선택한 경우, 수신신호처리부(226)에서 스위치(SW4)에 입력되는 신호(E)에 의해, 스위치(SW4)는 A'측으로 스위치한다. 리시버(227)는 수신처리회로부(226)에서 입력된 수화음신호를 소리로 변환한다.
사용자가, 전기-기계-음향변환기(230)에서 재생음을 출력시키는 것을 선택한 경우, 수신신호처리부(226)에서 스위치(SW4)에 입력되는 신호(E)에 의해, 스위치(SW4)는 B'측으로 스위치한다. 증폭기(229)는, 수신처리회로부(226)에서 입력된 음성음신호를 소정의 조정된 증폭율로 증폭하고, 전기-기계-음향변환기(230)에 출력한다. 전기-기계-음향변환기(230)는, 증폭기(229)에서 입력된 신호를 소리로 변환한다.
통상, 리시버는 사람의 귀에 붙인 상태로 재생되기 때문에, 리시버에서 재생되는 음압은 낮고, 휴대단말장치를 귀에서 떼어낸 상태에서는 수화음을 들을 수 없다. 게다가, 리시버로부터의 과대한 음압은 귀의 손상에 관계가 있기 때문에, 크게 하는 것은 법적으로 규제되어 있다.
제 14 실시예의 휴대단말장치에서는 수화음의 재생을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서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귀에서 떼어낸 상태라도 수화음을 들을 수 있다. 리시버(227)와 전기-기계-음향변환기(230)에서 재생하는 신호는 수화음에 한정되지 않고, 음악신호와 전언메시지라도 좋다.
실시예 15
제 15 실시예에서의 휴대단말장치에 대하여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전기신호를 입력하는 블럭도인 도2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 15 실시예의 휴대단말장치에서는 제 14 실시예와 다르고, 스위치(SW4)의 출력이 직접 전기-기계-음향변환기(230)에 입력된다.
수신신호처리회로부(226)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230)에 입력된 전기신호를 수화음을 재생하는 데 필요한 음압레벨로 증폭한다. 따라서, 제 14 실시예와 다르고 증폭기(229)의 증폭율 조정은 불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를 구비하는 것만으로 진동과 음(호출음, 음성, 음악소오스 등)을 발생하는 휴대단말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52)

  1.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에 대향하여 배치된 자기회로부재와,
    상기 자기회로부재와 일체로 또는 별도 부품으로서 부착된 추와,
    상기 자기회로부재와 상기 추는 가동부를 구성하는 것과,
    상기 가동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한 개의 서스펜션과,
    상기 진동판과 상기 서스펜션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진동판과 상기 자기회로부재를 구동하는 힘을 발생하는 구동장치를 구비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가, 마그네트와 플레이트와 요크를 가지는 상기 자기회로부재의 자기공극에 삽입되고, 상기 진동판에 접합된 보이스코일인 전기-기계-음향변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가, 중앙부에 센터폴을 가지는 플레이트와 마그네트를 가지는 상기 자기회로부재의 상기 센터폴의 외주에 배치된 여자코일 및 상기 자기회로부재와 공극을 설치하여 대향배치된 자성체를 구비한 전기-기계-음향변환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상기 요크의 외주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적어도 철보다도 비중이 큰 고비중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가 상기 자기회로부재의 자기회로의 자로를 실질적으로 형성하는 자속통과부와 상기 자기회로의 자로를 실질적으로 형성하지 않은 추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부재의 외주를 사각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부재 외주를 사각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공극 폭이 상기 보이스코일 또는 상기 가동부의 최대진폭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
  11.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에 대향하여 배치된 추가 일체로 된 요크와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자기회로부재와,
    한쌍의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자기회로부재의 진동판측에 설치된 제 1 서스펜션과,
    한쌍의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 1 서스펜션의 고정부와 평면적으로 보아 다른 위치가 되도록 상기 자기회로부재의 진동판과 반대측에 설치된 제 2 서스펜션과,
    상기 진동판에 결합되고, 두 개의 개구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제 1 및 제 2 서스펜션의 고정부와 수용결합하는 4개의 수납부를 구비한 지지부재와,
    상기 자기회로부재가 형성하는 자기공극에 삽입되고, 상기 진동판에 결합된 보이스코일 및
    상기 지지부재의 개구부에 장착된 배플을 구비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은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자기회로부재의 외형형상을 실질적으로 따른 형상으로 탄성을 가지는 아암부 및 상기 아암부에 연결되고 상기 자기회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부재의 외주가 사각형상이며, 상기 서스펜션은 원호상의 아암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
  14. 다른 두 개의 부재에 고정 장착되는 양끝단부 폭에 대하여 중앙부의 폭이 좁은 박판형상을 가지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적합한 서스펜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양끝단에서 중앙부로 폭이 대략 연속적으로 좁아지는 박판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적합한 서스펜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양끝단에서 중앙부로 폭이 직선적이며 연속적으로 좁아지는 박판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적합한 서스펜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중앙부가 양끝단의 폭에 대하여 폭이 좁은 일정한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적합한 서스펜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부재가 상기 자기회로부재의 진동의 최대허용진폭에 있어서의 서스펜션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를 사각형상으로 하고, 대각의 위치관계에 있는 상기 수납부를 동일한 높이의 기둥형상으로 하고, 이웃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수납부의 높이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코일과 상기 자기회로부재와의 간격보다 상기 자기회로부재의 외주와 상기 배플 또는 상기 지지부재와의 간격을 좁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기.
  21. 제 1 항에 기재된 전기-기계-음향변환기와,
    상기 전기-기계-음향변환기로 적어도 두 개의 전기신호를 입력하는 전기신호발생장치, 및
    상기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출력신호를 절환하는 절환수단을 구비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신호발생장치가, 착신을 알리기 위한 진동을 일으키는 전기신호 및 착신을 알리기 위한 발음을 발생시키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신호발생장치가, 착신을 알리기 위한 진동을 일으키는 전기신호와, 착신을 알리기 위한 발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기신호 및 수화음을 재생하기 위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을 알리기 위한 진동을 일으키는 전기신호 주파수가, 130Hz 근방의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을 알리기 위한 진동을 일으키는 전기신호 주파수가 130Hz근방의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을 알리기 위한 발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기신호 주파수가, 1kHz이상의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을 알리기 위한 발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기신호 주파수가, 1kHz이상의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음을 재생하기 위한 전기신호 주파수가 실질적으로 200Hz 이상의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
  2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신호발생장치가 출력하는 전기신호 주파수 또는 주파수대역 중앙값이,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기계진동계의 공진주파수와 일치하도록 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
  30.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신호발생장치가 출력하는 전기신호 주파수 또는 주파수대역의 중앙값이,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진동판의 진동의 공진주파수와 일치하도록 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
  31. 제 1 항에 기재된 전기-기계-음향변환기와,
    상기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공진주파수를 검출하는 검출장치, 및
    상기 검출장치에 의해 검출된 주파수값 신호를 상기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입력하는 전기신호발생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
  32.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기계-음향변환기,
    상기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상기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공진주파수를 포함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전기신호발생장치,
    상기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공진주파수에서의 신호를 검출하는 주파수검출장치, 및
    상기 주파수검출장치에서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고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입력하는 증폭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적어도 하나의 공진주파수를 통과시키는 로우패스필터를 상기 주파수검출장치와 상기 증폭장치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적어도 하나의 공진주파수를 통과시키는 하이패스필터를 상기 주파수검출장치와 상기 증폭장치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적어도 하나의 공진주파수를 통과시키는 밴드패스필터를 상기 주파수검출장치와 상기 증폭장치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
  36.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검출장치의 출력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를 상기 주파수검출장치의 출력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
  37. 제 1 항에 기재된 전기-기계-음향변환기와,
    상기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공진주파수에 있어서의 신호를 검출하는 주파수검출장치, 및
    노이즈 및 상기 주파수검출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한 신호를 상기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입력하는 증폭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적어도 하나의 공진주파수를 통과시키는 로우패스필터를 상기 주파수검출장치와 상기 증폭장치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적어도 하나의 공진주파수를 통과시키는 하이패스필터를 상기 주파수검출장치와 상기 증폭장치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
  40.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적어도 하나의 공진주파수를 통과시키는 밴드패스필터를 상기 주파수검출장치와 상기 증폭장치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
  41.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검출장치의 출력을 제한하는 리미터를 상기 주파수검출장치의 출력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
  42. 제 1 항에 기재된 전기-기계-음향변환기와,
    착신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에서 입력되는 착신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수신신호처리장치와,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공진주파수에서의 신호를 검출하는 주파수검출장치, 및
    상기 수신신호처리장치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주어지고 있는 동안에, 노이즈 및 상기 주파수검출장치에서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한 신호를 전기-기계-음향변환기에 입력하는 증폭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적어도 하나의 공진주파수를 통과시키는 로우패스필터를 상기 주파수검출장치와 상기 증폭장치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적어도 하나의 공진주파수를 통과시키는 하이패스필터를 상기 주파수검출장치와 상기 증폭장치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
  45.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계-음향변환기의 적어도 하나의 공진주파수를 통과시키는 밴드패스필터를 상기 주파수검출장치와 상기 증폭장치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
  46.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검출장치의 출력을 제한하는 리미터를 상기 주파수검출장치 출력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
  47. 제 21 항에 기재된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를 내장한 휴대단말장치.
  48. 제 31 항에 기재된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를 내장한 휴대단말장치.
  49. 제 32 항에 기재된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를 내장한 휴대단말장치.
  50. 제 37 항에 기재된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를 내장한 휴대단말장치.
  51. 제 42 항에 기재된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를 내장한 휴대단말장치.
  52.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휴대단말장치의 외측케이스 또는 휴대단말장치의 회로기판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
KR1019970064384A 1996-11-29 1997-11-29 전기-기계-음향변환기,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및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를내장한휴대단말장치 KR100272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896696 1996-11-29
JP96-318966 1996-11-29
JP154117 1997-06-11
JP97-154117 1997-06-11
JP15411797 1997-06-11
JP15630497 1997-06-13
JP97-156304 1997-06-13
JP156304 1997-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920A true KR19980042920A (ko) 1998-08-17
KR100272305B1 KR100272305B1 (ko) 2000-11-15

Family

ID=2732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4384A KR100272305B1 (ko) 1996-11-29 1997-11-29 전기-기계-음향변환기,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및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를내장한휴대단말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08237B1 (ko)
EP (1) EP0845920B1 (ko)
KR (1) KR100272305B1 (ko)
CN (2) CN1144499C (ko)
DE (1) DE69736051T2 (ko)
HK (2) HK1015603A1 (ko)
TW (1) TW353849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903B1 (ko) * 2004-06-23 2006-02-13 삼성전기주식회사 판 스프링을 구비하는 선형 진동모터 및 상기 판 스프링의공진주파수 보정 방법
WO2021210699A1 (ko) * 2020-04-14 2021-10-21 주식회사 엠플러스 진동 및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KR102596461B1 (ko) * 2023-03-23 2023-10-31 아이모스시스템 주식회사 스피커와 진동기가 복합적으로 구현되는 액추에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8487B1 (en) 1996-09-03 2003-09-09 New Transducers Limited Electro-dynamic exciter
DE69804199T2 (de) 1997-01-09 2002-07-18 New Transducers Ltd Lautsprecher
US6259935B1 (en) * 1997-06-24 2001-07-10 Matsushita Electrical Industrial Co., Ltd. Electro-mechanical-acoustic transducing device
JP3680562B2 (ja) * 1997-10-30 2005-08-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機械−音響変換器及びその製造法
ID25920A (id) * 1998-01-08 2000-11-09 Sanyo Electric Co Peralatan peringatan dan sistem komunikasi tanpa kabel yang mengandungnya
CN1277625C (zh) * 1998-02-06 2006-10-04 并木精密宝石株式会社 电磁式驱动器及其安装构造
KR100594674B1 (ko) * 1998-06-29 2006-06-30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전기-기계/음향 변환기 및 이것을 이용한 전기-기계/음향 변환 장치
JP4276315B2 (ja) * 1998-11-17 2009-06-10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電磁型発音体
TW475315B (en) * 1999-04-13 2002-02-01 Tokin Corp Vibration actuator having three vibration modes
DE60040763D1 (de) * 1999-04-14 2008-1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ktromechanischer akustischer Wandler
TW472494B (en) * 1999-05-14 2002-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omagnetic transducer a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3344385B2 (ja) * 1999-10-22 2002-11-11 ヤマハ株式会社 振動源駆動装置
US6487300B1 (en) * 1999-12-17 2002-11-2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Vibration speaker
JP2001218296A (ja) * 2000-02-04 2001-08-10 Star Micronics Co Ltd 電磁音響変換器
JP2001353471A (ja) * 2000-04-14 2001-12-25 Tokin Corp 多機能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4630957B2 (ja) * 2000-06-16 2011-02-09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電磁誘導型アクチュエータ装置並びに携帯用通信機器
JP2002119912A (ja) * 2000-10-12 2002-04-23 Nec Saitama Ltd 複合音響アクチュエータ駆動回路及び携帯情報端末
JP3830022B2 (ja) * 2000-12-15 2006-10-04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多機能型発音体
US6560347B2 (en) * 2000-12-19 2003-05-0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 actuator
US7019621B2 (en) * 2001-01-02 2006-03-28 Stanley E. Woodard Methods and apparatus to increase sound quality of piezoelectric devices
JP2002345084A (ja) * 2001-05-16 2002-11-29 Citizen Electronics Co Ltd スピーカ
JP2002361174A (ja) * 2001-06-11 2002-12-17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振動アクチュエータ装置
EP1271998B1 (en) * 2001-06-28 2008-04-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peaker system, mobile termin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7194287B2 (en) * 2001-07-25 2007-03-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ic-mechanical-acoustic-transducer a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FI20020283A (fi) * 2001-08-17 2003-02-18 Samsung Electro Mech Monitoimielin
KR100419161B1 (ko) * 2001-08-22 2004-02-18 삼성전기주식회사 다기능 액츄에이터
JP3997280B2 (ja) * 2001-11-16 2007-10-24 株式会社ケンウッド 光音響変換装置の振動板構造
WO2003057375A1 (en) * 2001-12-28 2003-07-17 Namiki Seimitsu Houseki Kabushiki Kaisha Multi-functional vibrating actuator
DE10201232A1 (de) * 2002-01-09 2003-07-17 Valeo Schalter & Sensoren Gmbh Tongeber
KR100497084B1 (ko) * 2002-05-10 2005-07-01 (주)에스더블유피신우전자 다기능 전자음향변환기
WO2004006620A1 (ja) * 2002-07-04 2004-01-15 Nec Tokin Corporation 電気音響変換器
EP1543702A2 (en) * 2002-09-26 2005-06-22 Seiko Epson Corporation Drive mechanism
AU2003272919A1 (en) * 2002-10-25 2004-05-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uspension and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ing the suspension
CN2595101Y (zh) * 2002-12-03 2003-12-24 李金传 防背景噪音的免持听筒结构
JP4630958B2 (ja) * 2003-02-27 2011-02-09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多機能型アクチュエータ及び携帯端末機器
US7841533B2 (en) 2003-11-13 2010-11-30 Metrologic Instruments, Inc. Method of capturing and processing digital images of an object within the field of view (FOV) of a hand-supportable digitial image capture and processing system
JP4475993B2 (ja) * 2004-03-22 2010-06-09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多機能型振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携帯端末機器
US10158337B2 (en) 2004-08-10 2018-12-18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US11431312B2 (en) 2004-08-10 2022-08-30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US8284955B2 (en) 2006-02-07 2012-10-09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US10848118B2 (en) 2004-08-10 2020-11-24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KR100661921B1 (ko) * 2005-04-15 2006-12-27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요크
JP4592088B2 (ja) * 2005-05-30 2010-12-01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振動体
DE102005025671B3 (de) * 2005-06-03 2006-12-21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essung der spezifischen Dichte eines gasförmigen oder flüssigen Mediums
JP2007194907A (ja) * 2006-01-19 2007-08-02 Citizen Electronics Co Ltd 電気振動変換器
JP4551448B2 (ja) * 2006-01-24 2010-09-2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加速度発生装置及び擬似力覚発生装置
US10069471B2 (en) 2006-02-07 2018-09-04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US10701505B2 (en) 2006-02-07 2020-06-30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digitally processing a head related audio transfer function
US11202161B2 (en) 2006-02-07 2021-12-14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digitally processing a head related audio transfer function
US9615189B2 (en) 2014-08-08 2017-04-04 Bongiovi Acoustics Llc Artificial ear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generating a head related audio transfer function
US10848867B2 (en) 2006-02-07 2020-11-24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EP1841278B1 (en) * 2006-03-27 2008-12-10 Jui-Chen Huang Loudspeaker with low-frequency oscillation
JP4784398B2 (ja) * 2006-05-29 2011-10-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音響加振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
CN200947673Y (zh) * 2006-09-13 2007-09-12 山西太微电声科技有限公司 一种肤触式电容振动拾音器
JP2008107374A (ja) * 2006-10-23 2008-05-08 Citizen Electronics Co Ltd 振動体
KR100726325B1 (ko) * 2006-11-28 2007-06-08 최성식 진동 스피커 및 그에 사용되는 페이스 플레이트 및 이를구비한 휴대 단말기
WO2008093728A1 (ja) * 2007-02-02 2008-08-07 Namiki Seimitsu Houseki Kabushikikaisha 多機能型振動アクチュエータ
KR100842093B1 (ko) * 2007-03-14 2008-06-30 주식회사 예일전자 감각 신호 출력 장치
JP4486134B2 (ja) * 2008-01-11 2010-06-23 株式会社アイ信 体感音響装置用電気−機械振動変換器
KR101009112B1 (ko) * 2009-05-04 2011-01-18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 장치
EP2432252B1 (en) 2009-05-12 2016-05-2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peaker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1931843A (zh) * 2009-06-25 2010-12-29 幻响神州(北京)科技有限公司 音频振动装置
EP2355544A1 (en) * 2009-12-21 2011-08-10 Nxp B.V. Suspension member for a vibration actuator
EP2387251B1 (en) * 2010-05-11 2013-07-17 Nxp B.V. Sound reproduction and detection
JP2012060505A (ja) 2010-09-10 2012-03-22 On Semiconductor Trading Ltd 振動スピーカの駆動制御回路
JP2014504108A (ja) 2010-12-23 2014-02-13 ニーデルマン,ポール 薄型スピーカー
CN102026074A (zh) * 2010-12-29 2011-04-20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微型换能器件
TWI442788B (zh) 2011-01-19 2014-06-21 Speaker structure improvement
US8890375B2 (en) * 2012-07-05 2014-11-18 Aac Acoustic Technologies (Shenzhen) Co., Ltd. Multi-function vibrating device
EP2996208A4 (en) 2013-05-08 2016-04-20 Sumitomo Wiring Systems INTERCONNECTS
US9883318B2 (en) 2013-06-12 2018-01-30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stereo field enhancement in two-channel audio systems
US9264004B2 (en) 2013-06-12 2016-02-16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narrow bandwidth digital signal processing
US9906858B2 (en) 2013-10-22 2018-02-27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CN103747399B (zh) * 2013-12-31 2018-02-16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多功能电声器件
CN104954934A (zh) * 2014-03-24 2015-09-3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音频播放方法及电子设备
US10060881B2 (en) * 2014-04-16 2018-08-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urface sensing method for corrosion sensing via magnetic modulation
US10639000B2 (en) 2014-04-16 2020-05-05 Bongiovi Acoustics Llc Device for wide-band auscultation
US9615813B2 (en) 2014-04-16 2017-04-11 Bongiovi Acoustics Llc. Device for wide-band auscultation
US10820883B2 (en) 2014-04-16 2020-11-03 Bongiovi Acoustics Llc Noise reduction assembly for auscultation of a body
WO2015191047A1 (en) 2014-06-10 2015-12-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Mechanical amplifier for energy harvester
US9861905B2 (en) 2014-07-16 2018-01-09 Traxxas Lp On-board audio system for a model vehicle
US9564146B2 (en) 2014-08-01 2017-02-07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in deep diving environment
USD834111S1 (en) 2014-10-01 2018-11-20 Traxxas Lp Transducer mount
US10009693B2 (en) * 2015-01-30 2018-06-26 Sonion Nederland B.V. Receiver having a suspended motor assembly
US9638672B2 (en) 2015-03-06 2017-05-02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acoustic information from a resonating body
CN204733374U (zh) * 2015-06-23 2015-10-28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扬声器
CN204741558U (zh) * 2015-06-23 2015-11-04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扬声器
WO2017087495A1 (en) * 2015-11-16 2017-05-26 Bongiovi Acoustics Llc Surface acoustic transducer
US9621994B1 (en) * 2015-11-16 2017-04-11 Bongiovi Acoustics Llc Surface acoustic transducer
US9998820B2 (en) * 2016-01-19 2018-06-12 Donald Pierce Bearden Acoustic resonator for audio headphones
KR20170114471A (ko) 2016-04-05 2017-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 장치
US10219079B2 (en) 2016-03-28 2019-02-26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vibrating panel
KR102663406B1 (ko) * 2016-04-04 2024-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양면 표시 장치
KR101704517B1 (ko) 2016-03-28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DE102016108690A1 (de) * 2016-05-11 2017-11-16 Lofelt Gmbh Vibrierender Aktor
CN207369288U (zh) * 2017-08-31 2018-05-15 深圳市爱的声音响科技有限公司 一种一体化设计的骨传导驱动器
US10462560B2 (en) * 2018-01-08 2019-10-29 Skullcandy, Inc. Driver assemblies, headphones including driver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JP2021521700A (ja) 2018-04-11 2021-08-26 ボンジョビ アコースティックス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オーディオ強化聴力保護システム
US20190379982A1 (en) * 2018-06-11 2019-12-12 Innovation Sound Technology Co., Ltd. Resonant loudspeaker for preventing dropping
US10959035B2 (en) 2018-08-02 2021-03-23 Bongiovi Acoustics Ll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digitally processing a head related audio transfer function
KR102080213B1 (ko) * 2018-11-02 2020-04-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0848875B2 (en) 2018-11-30 2020-11-24 Google Llc Reinforced actuators for distributed mode loudspeakers
US10462574B1 (en) * 2018-11-30 2019-10-29 Google Llc Reinforced actuators for distributed mode loudspeakers
WO2020186488A1 (zh) * 2019-03-20 2020-09-24 深圳市集名科技有限公司 一种超薄发声震动驱动器、其u铁固定部件及线圈部件
CN210120658U (zh) * 2019-03-29 2020-02-28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发声器件
WO2021000143A1 (zh) * 2019-06-30 2021-01-07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振动激励器
EP4005238A1 (en) 2019-07-31 2022-06-01 Google LLC Actuator module with improved damage resistance
US11843912B2 (en) * 2019-08-30 2023-12-12 Google Llc Suspension for moving magnet actuator
CN116799485B (zh) * 2023-06-09 2024-02-20 武汉理工大学 一种超低频天线***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491A (ja) 1982-07-12 1984-01-25 株式会社山武 ロボツトハンド
JPS5994997A (ja) 1983-10-22 1984-05-31 Bodeisonitsuku Kk 電気−機械振動変換器
JPS60145778A (ja) 1984-01-07 1985-08-01 Casio Comput Co Ltd ドツトマトリクス液晶表示パネルの駆動回路
JPS6121699A (ja) 1984-07-10 1986-01-30 Pioneer Electronic Corp 体感音響振動装置
JPH03274832A (ja) 1990-03-23 1991-12-05 Murata Mfg Co Ltd ブザー・アラーム切換装置
US5172092A (en) 1990-04-26 1992-12-15 Motorola, Inc. Selective call receiver having audible and tactile alerts
JP2768545B2 (ja) 1990-09-20 1998-06-25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X線光源装置
JPH04145874A (ja) 1990-10-01 1992-05-19 Koji Toda 振動子型アクチュエータの駆動回路
WO1992019018A1 (en) 1991-04-17 1992-10-29 Motorola, Inc. Piezo-electric resonant vibrator for a selective call receiver
US5528697A (en) 1991-05-17 1996-06-18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Integrated vibrating and sound producing device
JPH0558192A (ja) 1991-09-03 1993-03-09 Toyota Motor Corp 居眠り運転検出装置
DE69220342T2 (de) 1991-12-20 1997-11-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autsprecherapparat zur Basswiedergabe
JPH05206989A (ja) 1992-01-29 1993-08-13 Aiphone Co Ltd 通話装置
JPH0716277B2 (ja) 1992-06-11 1995-02-22 株式会社ユピテック 振動発生体の構造および音響装置
JP2905350B2 (ja) 1992-11-18 1999-06-14 スター精密 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
JP2733814B2 (ja) 1992-12-25 1998-03-30 株式会社ユピテック 音響振動発生装置
US5554096A (en) 1993-07-01 1996-09-10 Symphonix Implantable electromagnetic hearing transducer
JPH0757159A (ja) 1993-08-11 1995-03-03 Sayama Precision Ind Co 携帯装置の為の無音警報用振動発生装置
JPH07140984A (ja) 1993-11-17 1995-06-02 Tdk Corp 発音装置
US5524061A (en) 1994-08-29 1996-06-04 Motorola, Inc. Dual mode transducer for a portable receiver
US5546069A (en) 1994-11-17 1996-08-13 Motorola, Inc. Taut armature resonant impulse transducer
JPH08206599A (ja) 1995-02-07 1996-08-13 Seiko Instr Inc 振動による信号報知装置
JP3614937B2 (ja) 1995-06-05 2005-01-26 アスモ株式会社 移動体通信端末の呼出装置
JP3366507B2 (ja) 1995-09-05 2003-01-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JP3493592B2 (ja) 1996-02-20 2004-02-03 Necトーキン株式会社 ペイジャー用振動アクチュエー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903B1 (ko) * 2004-06-23 2006-02-13 삼성전기주식회사 판 스프링을 구비하는 선형 진동모터 및 상기 판 스프링의공진주파수 보정 방법
WO2021210699A1 (ko) * 2020-04-14 2021-10-21 주식회사 엠플러스 진동 및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KR102596461B1 (ko) * 2023-03-23 2023-10-31 아이모스시스템 주식회사 스피커와 진동기가 복합적으로 구현되는 액추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01737A (zh) 2004-06-02
CN1144499C (zh) 2004-03-31
TW353849B (en) 1999-03-01
DE69736051T2 (de) 2007-01-04
HK1063705A1 (en) 2005-01-07
EP0845920A3 (en) 1999-05-26
DE69736051D1 (de) 2006-07-20
CN1198071A (zh) 1998-11-04
KR100272305B1 (ko) 2000-11-15
EP0845920B1 (en) 2006-06-07
EP0845920A2 (en) 1998-06-03
US6208237B1 (en) 2001-03-27
HK1015603A1 (en) 1999-10-15
CN1239044C (zh) 200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2305B1 (ko) 전기-기계-음향변환기,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및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를내장한휴대단말장치
JP3492983B2 (ja) 振動スピーカ
JP3680562B2 (ja) 電気−機械−音響変換器及びその製造法
JP2930070B2 (ja) 電気−機械−音響変換器
US6611605B2 (en) Speaker having a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sound and vibration
EP1194002B1 (en) Electromagnetic transducer a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P1179285B1 (en) Electromagnetic transducer a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O2005091673A1 (ja) 多機能型振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携帯端末機器
KR20090040952A (ko) 전자음향변환기
JP3851109B2 (ja) 板ばね及びこれを用いた振動発生装置
JP2929579B2 (ja) 電気−機械−音響変換器及び携帯端末装置
JP2963917B2 (ja) 電気−機械−音響変換器及び携帯端末装置
JP3412813B2 (ja) 電磁型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2012119845A (ja) 電磁型電気音響変換器
JP3186540B2 (ja) 質量励磁音響装置
US11589167B1 (en) Multifunctional electromagnetic transducer
JP3655726B2 (ja) 電気−機械−音響変換器、及びそれを使用した携帯端末装置
JP4565130B2 (ja) 多機能型発音体と携帯端末機
JP2008258794A (ja) 多機能型音響装置
JP3149412B2 (ja) 電磁型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4662522B2 (ja) 電磁形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携帯端末装置
KR20020045666A (ko) 진동 스피커
KR100355849B1 (ko) 진동 스피커
JP3883265B2 (ja) 携帯端末装置
WO2009038246A1 (en) Ultra slim type acoustic transdu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