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971B1 -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971B1
KR102615971B1 KR1020230069968A KR20230069968A KR102615971B1 KR 102615971 B1 KR102615971 B1 KR 102615971B1 KR 1020230069968 A KR1020230069968 A KR 1020230069968A KR 20230069968 A KR20230069968 A KR 20230069968A KR 102615971 B1 KR102615971 B1 KR 102615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us
bus driver
driver termi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9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자
Original Assignee
이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자 filed Critical 이문자
Priority to KR1020230069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9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9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2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mass transport vehicles, e.g. buses, trains or aircra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노선, 정류소, 교차로(노드), 도로(링크), 노선별 정류소, 노선별 도로 정보 등을 포함하는 버스기반정보를 버스운전자 단말기가 아닌 클라우드 환경에서 무선통신으로 받아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버스운전자 단말기 장비를 고도화장비가 아닌 상대적으로 저렴한 장비로도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공급할 수 있고, 기존에 저장장치에 빈번한 접속으로 인해 발생되던 버스운전자 단말기에 대한 장애발생 문제로 인한 서비스 중단 발생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유지보수를 단순화하며, 단순화된 데이터 수집 및 제공으로 표준화된 버스정보시스템 구현으로 기능 추가 및 개선시 반영이 용이한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Method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bus information through a virtual bus driver terminal in a cloud server environment}
본 발명은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기반정보를 버스운전자 단말기가 아닌 클라우드 환경에서 무선통신으로 받아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버스운전자 단말기 장비를 고도화장비가 아닌 상대적으로 저렴한 장비로 공급하면서도 그에 따라 저장장치에 빈번한 접속으로 인해 발생되던 버스운전자 단말기에 대한 장애발생 문제로 인한 서비스 중단 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역시와 같은 대도시는 물론 지역 대도시를 중심으로 관할 지역의 버스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버스정보안내시스템(BIS/BMS, Bu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이 구축되고 있다.
이러한 버스정보 안내시스템은 운행되는 버스의 위치를 교통정보센터에서 실시간 수집하여 정류장 도착 예상 시간, 노선별 현 운행 버스 위치, 뒤차와의 거리, 환승 정보 등과 같은 교통정보로 생성하고, 생성된 교통정보를 각 정류장 안내기를 통해 제공하거나 인터넷망 등을 통해 개인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버스정보 안내시스템은 국내 등록특허 제10-0847350호 등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한편, 버스정보 안내 시스템에서 정류장에 설치되는 정류장 안내기는 교통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로서 대부분 LED 표시장치 또는 LCD 표시장치가 적용되고 있으며, 소비 전력량이 많아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가동될 수 있게 구축되어 있다.
따라서, 정류장 안내기를 신규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상용 전원을 쉽게 공급받을 수 있는 위치로 제한되거나 많은 비용을 들여 상용 전원을 인입받을 수 있게 구축해야하는 제약이 있었다.
관련해서, 대한민국 특허 제10-1768210호(2017.08.08 등록, 발명의 명칭 : 양방향 버스정보안내 단말기)에서는, "각 버스 정류장에 마련된 양방향 버스정보안내 단말기로서, 버스 정류장을 경유하는 노선버스 정보가 표시되는 노선버스 정보 필드와, 민원 등록을 할 수 있는 민원 등록 필드가 포함된 터치스크린 화면; 교통관제센터 서버로부터 버스 정류장을 경유하는 노선버스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노선버스 정보 필드에 표시하는 노선버스 정보 관리부; 및 상기 민원 등록 필드를 통해서 입력되는 민원을 정부기관 서버에 등록하는 민원 등록 관리부;를포함하는 기술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41114호(2016.12.08. 공개, 발명의 명칭 :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및 안내 방법)에서는, "버스와 관련된 정보들을 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구비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및 안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동시에 도착하거나 짧은 시간차를 두고 접근하는 버스에 탑승하는 탑승자를 분산시킬 수 있는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및 안내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버스정보 안내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버스정보 안내 단말기에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버스차량내에 고가의 네비게이션 형태의 운전자 단말기로 자체에 운행 기준 정보를 가지고 운전자가 운행시작전에 노선번호를 입력 후 운전자 단말기에 부착된 GPS 정보를 기준으로 정류장의 도착, 출발 이벤트와 교차로 통과 이벤트를 자체 판단하여 버스정보센터의 수집서버에 전송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도 1은 버스정보 제공 시스템과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버스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과거에는 버스기사들이 버튼을 눌러서 수동으로 안내방송을 내보내거나 출입문 동작과 연동되는 시스템이라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자동안내 방식이 개발되었는데, 초기에는 정류장 주변의 전신주나 도로표지판 등에 송신기를 장착하고, 버스가 통과할 때 신호를 수신해서 안내방송을 내보내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정류장마다 송신기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고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최근 안내 시스템에는 GPS가 활용된다. 각 버스의 차량장치에는 노선별 경유 지점의 GPS 좌표가 입력되어 있다. 인공위성으로부터 받은 GPS 신호와 사전에 입력된 GPS 좌표가 일치하는 지점을 버스가 통과하면, 교통정보센터에 해당 정보가 실시간으로 전달된다. 이후 교통정보센터에서는 수집된 버스 위치와 도착 위치 사이의 도로 조건, 과거 소요 시간 등을 계산한 뒤 도착예정시간을 도출한다. 이 데이터는 다시 시각·청각 자료로 변환되어 “○○○번 버스가 잠시 후 도착합니다”라는 멘트로 승객들에게 전달되는 것이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버스에 장착된 단말기의 성능이 그리 뛰어나지 않았다. 기껏해야 현재 정거장과 다음 정거장 정도만 송출할 수 있었고, 2G 데이터망을 사용했기 때문에 정보가 갱신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으며, GPS가 자주 끊겨서 시스템의 정보와 실제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많았다. 특히 국토교통부(고속도로 및 국도 교통정보 수집), 경찰청(도심부 도로 교통정보 수집 및 교통단속), 지방자치단체(관할 지역 내 교통정보 수집), 민간교통정보사업자 등이 개별적으로 시스템을 구축했기 때문에 정보의 양에 비해 시민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품질이 낮은 편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서울시에서는 2005년부터 Seoul TOPIS(Transport Operation & Information Service) 센터를 구축하기 시작했다. 이 센터는 서울시 도시고속도로 교통정보, 버스운행정보, 교통카드 이용정보, 경찰청 교통/영상정보, 무인단속정보, 한국도로공사 고속도로정보, 소방방재영상, 교통방송 등 서울시의 개별 시스템에서 수집되는 모든 교통정보를 연계하고 서울의 교통상황을 총괄 운영·관리·제공하는 종합 교통정보 서비스센터다.
이렇게 제공되는 교통정보를 통해 서울시는 과학적 교통정책을 수립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 2010년 무렵에는 약 95%의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LTE 통신망과 여러 IT의 발전으로 현재 대한민국의 버스정보시스템은 세계 최고 수준의 정확성과 편리함을 자랑하고 있다.
한편 도 2 및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으로, 종래의 버스운전자 단말기는 중앙처리장치(10), 정보저장장치(20), 전원장치(30), 다수의 확장모듈(40, 50, 60) 및 센서, 통신, 화면 입출력 및 기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다수의 확장모듈(40, 50, 60)은 차량단말기(On-board Equipment, OBE)와 운행기록장치(Digital Tachograph, DTG) 및 자동승객계수장치(Automatic Passenger Counter, APC) 등이다.
이러한 종래 버스운전자 단말기에서 정보저장장치(20)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선 데이터, 정류장 데이터, 버스운행 데이터, DTG 데이터, 이벤트 및 GIS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이러한 종래 버스운전자 단말기내의 부품은 기본적으로는 일반 노트북과 같은 PC형태로 CPU, 메모리, 저장장치, 표출부(보통 LCD)가 구성되고, 외부장치로는 GPS, 문열림 센서, 노선안내기, 승객계수장치가 시리얼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해당 운전자 단말기는 MS윈도우, 리눅스, 안드로이드 OS가 설치되어 운영중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운전자 단말기의 경우 버스정보센터에서 다운로드한 버스 기반정보를 자체 저장장치인 정보저장장치(20)에 저장하고 운행 중 GPS 기준으로 기반정보를 조회하는 방식으로 계속적으로 운전자 단말기내부에 구성된 정보저장장치(20) 접속이 발생되게 되는데, 이러한 정보저장장치(20)에 대한 빈번한 접속으로 인해 운전자 단말기에 구성된 정보저장장치(20)의 장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운전자가 보는 표출부 화면에 정보를 표출하기 위하여 자체 프로그램을 통하여 화면을 그리기 때문에 컴퓨터에서와 마찬가지로 CPU인 중앙처리장치(10)의 부하와 많은 양의 메모리가 필요한 상황이고, 승객이 탑승 또는 하차하는 문의 개폐 스위치와 연결되어 정류장의 위치에서 정상적으로 문을 열고 닫았는지와 개문 발차등의 위반 상황을 고가의 운전자 단말기의 CPU에서 스스로 판단하여 인터페이스(70)에 연결된 통신부를 통해 버스정보 센터에 전송하게 되는데, GPS정보의 속도정보를 기준으로 기반정보 중 노드-링크의 제한속도를 스스로 판단하여 과속 여부를 버스정보 센터로 전송하고, 버스정보 센터에서는 이렇게 전송받은 주행 이벤트 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버스의 앞 뒷차간의 간격정보를 산출하여 버스내 운전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운전자 단말기는 표출부 화면에 앞 뒷차 간격정보를 표출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운전자 버스단말기는 CPU, 메모리 등은 물론 저장장치 등 약 300만원대의 고가라는 문제는 물론, 저장장치에 빈번한 접속으로 인해 버스운전자 단말기에 대한 장애발생 문제로 인한 서비스 중단 발생 문제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할 것이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98483호 선행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33941호 선행문헌 3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0750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노선, 정류소, 교차로(노드), 도로(링크), 노선별 정류소, 노선별 도로 정보 등을 포함하는 버스기반정보를 버스운전자 단말기가 아닌 클라우드 환경에서 무선통신으로 받아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버스운전자 단말기 장비를 고도화장비가 아닌 상대적으로 저렴한 장비로도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공급할 수 있고, 기존에 저장장치에 빈번한 접속으로 인해 발생되던 버스운전자 단말기에 대한 장애발생 문제로 인한 서비스 중단 발생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유지보수를 단순화하며, 단순화된 데이터 수집 및 제공으로 표준화된 버스정보시스템 구현으로 기능 추가 및 개선시 반영이 용이한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버스노선 정보, 버스정류소 정보, 버스 운행 교차로(노드) 정보, 버스운행 도로(링크)정보, 버스 노선별 정류소 정보 및 버스 노선별 도로 정보를 포함하는 버스기반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운행 중인 버스의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운행 중인 버스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수집하여 실시간 업데이트하며, 상기 운행정보에 따라 가상환경의 버스운전자 단말기들을 가상영역(206)을 생성하여 어플리케이션으로 운영하며, 상기 실시간 업데이트된 운행정보에 따라 정류소에 설치된 버스정보 안내단말기(300)로 노선정보, 버스위치정보, 도착시간정보, 목적지 소요 예상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버스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버스정보 센터의 클라우드 서버(200); 및 운행하고자 하는 버스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무선 네트워크로 접속되어 상기 버스기반정보를 수신하여 화면표출부(101)에 표출하고, 상기 화면표출부(101)에 표출된 버스기반정보에서 운행할 버스노선 관리번호가 선택되는 것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로부터 선택된 버스 노선정보를 수신하여 운행 중인 버스의 화면표출부(101)에 해당 버스의 노선정보를 표출하며, 상기 노선정보로 운행 중인 버스의 GPS정보, 문열림 센서 정보를 포함하는 버스운행 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로 실시간 전송하도록 구성된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버스운전자 단말기(100)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로 실시간 전송되는 버스의 GPS정보, 문열림 센서 정보를 포함하는 버스운행 정보는 상기 무선네트워크를 통한 통신불가능 시에는 통신 가능한 시점까지 임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104)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버스운행 정보는 승객계수장치 수집정보 및 DTG 수집정보가 선택적으로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버스운전자 단말기(1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버스정보 센터의 클라우드 서버(200)에 접속하여 노선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100);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구성된 중계서버(201)는 기반정보 서버(202)에서 노선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단계(S110); 상기 버스운전자 단말기(100)의 화면표출부(101)에는 노선정보가 표출되고, 상기 화면표출부(101)에 표출된 노선정보에서 노선관리번호(노선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노선관리번호(노선번호)와 버스운전자 단말기 관리번호(ID)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의 수집서버(203)에 전송되는 단계(S120); 전송된 버스운전자 단말기 관리번호(ID) 정보와 선택된 노선번호를 기준으로 상기 수집서버(203)에 의해 클라우드 환경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운용되는 가상영역(206)이 생성되고,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들과 동기화되는 복수의 가상환경의 버스운전자 단말기들(#1 내지 #n)이 생성되는 단계(S130); 생성된 가상영역(206)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수집서버(203)에 상기 버스운전자 단말기(100) 관리번호(#1 내지 #n)를 전송하고, 상기 수집서버(203)는 해당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로 접속정보와 암호화 코드(암호코드)를 전송하는 단계(S140); 상기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는 전송받은 접속정보와 암호화 코드를 기준으로 상기 가상영역(206)의 어플리케이션에 접속되는 단계(S150); 접속이 완료된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들은 GPS정보와 문열림 센서 정보를 버스 운전자 단말기(100)에 저장하지 않고, 설정된 주기에 따라 실시간으로 상기 가상영역(206)으로 전송하는 단계(S160); 상기 가상영역(206)을 운용하는 버스운전자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은 전송되는 실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각각의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들의 운행상황을 가상환경의 버스운전자 단말기들(#1 내지 #n)과 동기화하여 판단하고 상기 수집서버(203)에 운행상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70); 상기 수집서버(203)에 전송된 정보는 이벤트 정보로 하여 가공서버(204)로 전송되고, 상기 가공서버(204)는 각각의 버스운전자 단말기(100)의 앞 뒷차 이격정보를 산출하는 데이터로 가공하고, 가공된 데이터는 수집서버(203)와 제공서버(205)로 전송되며, 상기 수집서버(203)는 전송된 정보를 가상영역(206)의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하고, 상기 제공서버(205)는 상기 가공서버(204)에서 산출한 초단위의 버스 위치정보와 정류장별 도착예정정보를 각각의 버스정보 안내단말기(300)로 전송하는 단계(S180); 및 상기 가상영역(206)의 어플리케이션은 버스운전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앞 뒷차 버스의 이격정보와 이번정류장, 다음정류장의 정보를 표출하고, 표출된 정보는 상기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로 실시간 전송되어, 버스운전자 단말기(100)에서 화면과 소리로 출력되는 단계(S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앞 뒷차 버스의 이격정보는 운행 중인 버스와 앞 뒷차 버스의 거리간격과 운행 시간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버스운전자 단말기(100)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운행 중인 버스가 통신불가한 상태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통신음영 판단부(103)를 더 포함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될 운행중인 버스의 좌표정보, RSRP(신호강도)와 통신 내용을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메모리부(104)에 임시저장하고, 통신 가능 상태가 되면 상기 메모리부(104)에 저장된 운행정보를 상기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버스노선, 정류소, 교차로(노드), 도로(링크), 노선별 정류소, 노선별 도로 정보 등을 포함하는 버스기반정보를 버스운전자 단말기가 아닌 클라우드 환경에서 무선통신으로 받아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버스운전자 단말기 장비를 고도화장비가 아닌 상대적으로 저렴한 장비(CPU, 메모리 등은 물론 저장장치가 불필요)로 운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 운전자 단말기 대비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기존 300만원대라면 약 50만원대로 가능)으로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공급할 수 있다.
둘째, 단말기 자체 동작 프로세스 단순화로 장애 포인트 단순화하고,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각종센서 데이터(GPS 등) 버스정보 센터로 전송하며, 웹페이지를 통한 운전자 UI 화면전송 등 버스운전자 단말기내부에 저장장치가 없으므로 기존에 저장장치에 빈번한 접속으로 인해 발생되던 버스운전자 단말기에 대한 장애발생 문제로 인한 서비스 중단 발생 문제를 해결하였다.
셋째, 버스 운행 시 버스정보 센터내에 모든 운영데이터가 있으므로 유지보수를 단순화하였다.
넷째, 버스노선, 정류소, 교차로(노드), 도로(링크), 노선별 정류소, 노선별 도로 정보 등을 포함하는 버스기반정보에 따른 변경절차가 버스 운행 시마다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전송받음으로써 버스기반정보 변경절차가 단순화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섯째, 단순화된 데이터 수집 및 제공으로 표준화된 버스정보시스템 구현 가능하다. 즉 기능 추가 및 개선시 반영이 용이하다.
여섯째, 버스정보 센터의 가상영역내 프로그램 수정만으로 전체 현장의 버스운전자 단말기 반영이 가능하며, 클라우드 영역으로 데이터 전송시 통신감도를 동시 전송하여 통신 음영 지점을 쉽게 파악하고 통신사에 해결 요청이 가능하다.
일곱째,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이 LTE나 5G로 이루어지므로 버스위치정보 전송이 초단위로 가능하므 버스도착안내 역시 초단위로 제공 가능한 효과가 있다.
삭제
도 1은 버스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운전자버스 단말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의 클라우드 서버 환경에서 버스운전자 단말기 화면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에서 버스운전자 단말기의 사용자 메뉴(메인화면)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에서 버스운전자 단말기의 화면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환경을 통한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의 실시예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스정보 안내 단말기(BIT, Bus Information Terminal)(300)에 제공하고자 하는 버스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하기 위하여 버스운전자 단말기(100)와 클라우드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기본적으로 본 발명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는 화면표출부(101), 통신부(102), 통신음영 판단부(103), 메모리부(104) 및 주제어부(10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운전자 단말기의 동작 영역은 GPS(110), 문열림 센서(120), 승객 계수 장치(130), 운행기록계(DTG)(140) 및 노선안내기(150)를 포함한다.
화면표출부(101)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포함하며, 운전자가 노선을 선택하면 노선정보와 운행상황을 표출한다. 이러한 동작은 기본적으로 버스운전자 단말기(100)에 전원이 공급되면 터치스크린 기능을 포함하는 화면표출부(101)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버스정보 센터에서 구성한 클라우드 환경 즉 클라우드 서버(200)에 접속하여 운행을 시작할 노선 정보를 화면에 표출하며, 운전자가 운행할 노선을 선택하게 한다. 그리고 운전자의 선택에 따른 노선관리번호가 운전자단말기 관리번호와 함께 클라우드 서버(200)에 전송된다
버스정보 센터의 클라우드 서버(200)는 이렇게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정보와 선택되어진 노선번호를 기준으로 클라우드 환경의 해당 버스운전자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영역, 즉 가상영역에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생성한다.
통신부(102)는 클라우드 서버(200)와 4G 또는 5G로 통신하며, 운전자가 선택한 노선정보에 대한 요청과 그에 따른 노선정보 수신 및 선택노선정보를 송신하고, GPS정보(위치좌표, 속도, 진행각도), 문열림 센서 정보와 선택적으로 승객계수장치 및 DTG 수집정보를 포함하는 버스운행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한다.
통신음영 판단부(103)는 클라우드 서버(200)와 4G 또는 5G로 데이터 송수신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운행 중인 버스가 통신불가한 상태(예로써 음영지역 등)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통신부(102)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될 운행중인 버스의 좌표정보, RSRP(신호강도)와 통신 내용을 메모리부(104)에 임시저장되도록 한다.
메모리부(104)는 통신음영 상태에서 통신음영 판단부(103)로부터 전송되는 운행중인 버스의 좌표정보, RSRP(신호강도)와 통신 내용 등을 임시로 저장한다.
주제어부(105)는 화면표출부(101), 통신부(102), 통신음영 판단부(103) 및 메모리부(104)를 제어하여 화면표출부(101)에 통신부(102)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노선정보와 운행상황을 표출하도록 제어하고, 음영지역 등에 따른 통신불가시 버스의 좌표정보, RSRP(신호강도)와 통신 내용 등이 메모리부(104)에 임시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통신환경 복구 시 메모리부(104)에 임시저장된 통신부(102)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참고로 클라우드 서버(200)는 버스정보 센터에서 운용한다.
GPS(110)는 운행 중인 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이다.
문열림 센서(120)는 운행 중인 버스의 도어 열림을 감지한다.
승객 계수 장치(130)는 운행 중인 버스 승객의 교통카드 접촉에 따른 승객 계수를 측정하는 것으로 자동승객계수장치(Automatic Passenger Counter, APC)로 구성될 수 있다.
운행기록계(140)는 운행 중인 버스의 운행을 기록하는 운행기록장치(Digital Tachograph, DTG)이다.
노선안내기(150)는 운행 중인 버스의 노선을 안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를 통해 정류장의 승객들은 정확한 운행 방향을 인식하는데 도움이 된다.
클라우드 서버(200)의 실시예는 중계서버(201), 기반정보 서버(202), 수집서버(203), 가공서버(204) 및 제공서버(2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수집서버(203)는 복수의 버스운전자 단말기(100) 각각에서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운행정보(운행상황) 데이터와 선택된 노선번호를 기준으로 클라우드 환경에서 복수의 버스운전자 단말기(100) 각각에 대하여 어플리케이션 영역에 가상의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를 가상영역(206)에 생성한다. 이러한 운행정보로는 버스의 위치정보(좌표정보), RSRP(신호강도)와 통신 내용을 포함한다.
중계서버(201)는 버스가 운행하고자 버스운전자 단말기(100)에 전원이 공급되면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는 통신부(101)를 통해 버스정보 센터 즉 클라우드 서버(200)의 중계서버(201)로 노선정보를 요청하게 되는데, 그와 같은 노선정보 요청을 수신한 중계서버(201)는 기반정보 서버(202)로 노선정보를 조회하고, 노선정보를 버스운전자 단말기(100)의 통신부(101)로 전송한다.
기반정보 서버(202)는 종래의 버스운전자 단말기 각각에 저장되어 있던 버스기반정보 데이터 즉 버스노선 정보, 정류소 정보, 교차로(노드)정보, 도로(링크)정보, 노선별 정류소 정보, 노선별 도로 정보 등을 포함하는 버스기반정보 데이터가 저장되고, 업데이트 된다.
수집서버(203)는 복수의 버스운전자 단말기(100) 각각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운행 정보와 운전자가 운행할 노선을 선택하게 되는 경우에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노선관리 번호와 버스운전자 단말기(100) 고유의 관리번호(식별정보 ID)가 전송되면, 노선번호를 기준으로 클라우드 환경에서 해당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들의 어플리케이션 영역에 가상의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가상영역(206)에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가상영역(206)의 어플리케이션은 수집서버(203)에 접속 정보와 버스운전자 단말기(100) 관리번호(ID)를 전송하고, 수집서버(203)는 해당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로 각각의 접속 정보와 암호화 코드(암호코드)를 전송한다.
그에 따라 각각의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는 전송받은 접속정보와 암호화 코드를 기준으로 가상영역(206)의 어플리케이션에 접속된다. 접속이 완료된 각각의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는 GPS정보(위치좌표, 속도, 진행각도), 문열림 센서 정보와 선택적으로 승객계수장치 및 DTG 수집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수집서버(203)에서 생성한 가상영역(206)에 전송한다.
이렇게 가상영역(206)으로 전송된 복수의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로부터의 실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정류장 도착, 출발, 교차로 통과, 노선이탈, 운행위반 상황을 가상영역(206)의 어플리케이션에서 판단하고 해당 상황정보는 수집서버(203)로 전송된다. 그리고 가공서버(204)에서 산출한 앞 뒷차의 이격정보(간격, 시간차 등)에 따라 가상영역(206)의 어플리케이션은 버스운전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앞 뒷차의 이격정보(간격, 시간차 등)와 이번정류장, 다음정류장의 정보를 표출한다. 가상영역(206)에 표출된 정보는 버스운전자 단말기(100)의 화면표출부(101)에 화면과 소리로 웹페이지 표출 방식으로 표출된다. 이러한 정보에 따라 운전자는 자신이 운행하는 버스의 운행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가공서버(204)는 수집서버(203)에 생성된 복수의 버스운전자 단말기(100) 각각으로부터 전송되는 운행 정보(이벤트 정보)와 초단위의 버스 위치정보를 받아, 앞 뒷차의 이격정보(간격, 시간차 등)를 산출한다.
제공서버(205)는 가공서버(204)에서 산출한 초단위의 버스 위치정보와 정류장별 도착예정정보를 각각의 버스정보 안내단말기(300)로 전송한다.
한편 버스가 통신이 불가능지역을 운행중에는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할 데이터가 메모리부(104)에 임시저장되고 통신이 가능한 지역에 들어가면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되므로, 클라우드 서버(200)는 해당 통신이 불가능지역에 대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통신음역 지역을 파악하여 LTE(4G)나 5G 서비스를 제공 중인 통신사로 통신 음영 해결을 요청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운전자버스 단말기의 개략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운전자버스 단말기의 개략적인 실시예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데, 운전자버스 단말기 외함(100a)에는 일측에 화면표출부(101)가 운전자를 향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외함(100a)는 ECU/APC나 버스 외부의 행선지 안내기, 즉 노선안내기(150)와 같은 버스내 장비와 전기적으로 연계되고, 앞문, 뒷문 열림감지 센서, RPB, 브레이크, 가속도, 배터리 등의 외부장치와 인터페이스되고, LTE/5G 통신을 위한 모뎀이 구성된다.
즉 이러한 버스운전자 단말기(차량단말기)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제어부, 디스플레이부(터치스크린)(7인치 LCE 모니터), 인터페이스부(외부장치 확장 및 유지보수용 포트), 통신인터페이스(외장 모뎀 연결) 등으로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의 클라우드 서버 환경에서 버스운전자 단말기 화면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의 클라우드 서버 환경에서 버스운전자 단말기의 화면의 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데, 도 6(a)에서와 같이 운행정보, 돌발상황, 단말기 설정, 관리자 모드, 취소 등과 같은 사용자 메뉴 화면, 도 6(b)에서와 같은 현재 운행 중인 버스의 운행정보화면, 도 6(c)와 같은 운행이력정보 화면, 도 6(d)에서와 같이 수신된 메시지의 개수, 앞뒤 메시지 확인을 위한 버튼, 버스 운전자가 해당 메시지를 확인하였다는 확인 버튼 등으로 구성되는 메시지 정보 화면, 도 6(e)에서와 같은 공차, 막차, 대차 입력, 노선번호 입력 등의 운행설정화면, 도 6(f)에서와 같은 긴급 통보, 고장, 사고 입력과 같은 돌발상황 화면 등으로 구성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에서 버스운전자 단말기의 사용자 메뉴(메인화면)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에서 버스운전자 단말기의 화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에서 버스운전자 단말기의 사용자 메뉴(메인화면)의 실시예는 도 7에서와 같이 운행정보, 운행이력, 메시지정보, 운행설정, 돌방상황, 단말기 설정, DTG 정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운행정보는 기본화면, 배차정보,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운행이력은 운행이력정보, 소통정보를 포함하며, 메시지 정보는 메시지 시각, 메시지 종류, 메시지로 구성되고, 운행설정은 공차입력, 막차/대차입력, 노선번호 입력으로 구성되며, 돌발상황은 긴급통보, 고장입력, 사고 입력으로 구성되고, 단말기 설정은 화면밝기, 음량조절, 내정보 보기로 구성되고, DTG(운행기록) 정보는 기본정보 및 부가 정보로 구성된다.
이를 도 8 및 도 9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메뉴는 운행정보 메뉴, 운행설정 메뉴, 돌발상황 메뉴, 단말기 설정, 관리자 모드 등이 표출되도록 구성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운행정보 메뉴는 기본화면, 운행이력, 메시지 조회로 구성되고, 운행설정 메뉴는 공차, 막차, 노선번호, 대차입력으로 구성되며, 돌발상황 메뉴는 긴급, 고장, 사고이력을 보조메뉴로 하여 구성되고, DTG 메뉴는 DTG 정보 확인을 위한 메뉴로 수정 불가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운전자가 운행정보를 터치하면 운행정보 화면이 표출되는데, 운행정보 화면은 운행시작과 함께 표출되는 운전자 기본 화면으로, 배차정보, 위치정보 등이 표출된다. 여기서 배차정보는 앞앞/앞/내/뒤/뒤뒤차 차량번호가 표출되고, 위치정보는 앞앞/앞/뒤/뒤뒤 정류소명, 소통정보가 표출된다. 또한 GPS 속도, 소통/부가정보, 노선번호, 현재시각 등이 표출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운전자가 운행이력을 터치하면 운행이력정보와 해당노선 교통소통정보 표출되는데, 운행이력정보는 운행개시시각, 운행시간, 운행거리, 운행 정류장 수, 잔여 예상 소요시간, 잔여 정류장 수가 표출되고, 도로 상황에 따라 원활(녹색), 지체(노랑), 정체(빨강) 등으로 버스운행과 관련된 소통정보가 표출되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운전자가 단말기 설정을 터치하면, 단말기의 밝기, 음량 조절 및 내 정보 보기의 세부 메뉴 화면이 표출되고, 밝기 조절은 화면의 밝기를 예로써 6단계로 조절하도록 구성하였고, 음량 조절 역시 단말기의 음량을 6단계로 조절하도록 구성하였으며, 내 정보 보기는 단말기 ID, 차량번호, S/W버전 등이 표출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DTG(운행기록) 정보를 알고자 DTG를 터치하면, DTG 기본 정보 및 MMI 부가기능 정보 보기가 실행되는데, 기본정보는 S/W 버전, 형식승인번호, 제작번호 등으로 구성되고, MMI 부가기능으로는 현재속도, RPM, 주행거리, 연속주행시간, 전원공급 및 고장, 오류상태 표시 및 안내, 무선통신 전송 시간설정 및 기타 전송 기능 설정을 위한 화면이 표출되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운행 중 버스정보 센터(클라우드 서버)나 버스회사부터 메시지가 오게 되면 화면에 메시지정보 수신화면이 표출되는데, 최초 선택시 가장 최근에 수신된 메시지 정보 표출되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메시지 정보는 메시지 전송위치, 메시지 종류, 메시지 수신 시각 및 내용 등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운행설정 메뉴는 운행 중 발생하는 운행 변경사항의 버스정보 센터(클라우드 서버) 전송을 위한 항목으로, 공차상태 전환을 전송하는 공차 입력, 운행이 해당차량의 마지막 운행임을 전송하는 막차 입력, 원 배차 차량의 대차 투입 확인을 전송하는 대차 입력과, 변경 운행할 노선번호 재입력을 전송하는 노선번호 입력 등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돌발상황 메뉴는 운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차량의 이상상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고장이나 사고가 아닌 위급상황을 통보하는 긴급통보, 운행 중이던 차량의 고장상태 임을 버스정보 센터에 통보하기 위한 고장 입력 및 차량의 사고상태 임을 버스정보 센터에 통보하는 사고 입력 등으로 구성하였다.
한편 운행노선과 불일치시에는 버스정보 센터에서 버스운전자 단말기 화면에 “노선이탈 표시”를 함으로써 운전사가 즉각적으로 조치할 수 있도록 화면을 구성하였고, 노선입력과 동일한 형태의 코스 입력 화면 처리를 통해 당일 운행 코스번호를 입력하는 기능도 구성하였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환경을 통한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환경을 통한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의 실시예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데, 도 4에서와 같은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이 구축되고, 버스에는 도 5에서와 같은 버스운전자 단말기(100)가 설치된다.
우선 버스운전자 단말기(100)에 전원이 공급되면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버스정보 센터의 클라우드 서버(200)에 접속하여 노선정보를 요청한다(S100). 이때, 도 4에서와 같은 중계서버(201)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200)에 접속되고, 무선네트워크는 LTE나 5G 환경으로 구축된다.
그러면 중계서버(201)는 기반정보 서버(202)에서 노선정보를 획득하여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110).
그에 따라 버스운전자 단말기(100)의 화면표출부(101)에는 노선정보가 표출되고, 운전자에 의해 화면표출부(101)에 표출된 노선정보에서 노선관리번호(노선번호)가 선택(터치)되면,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는 선택된 노선관리번호(노선번호)와 버스운전자 단말기 관리번호(ID)가 버스정보 센터, 즉 클라우드 서버(200)의 수집서버(203)에 전송된다(S120).
수집서버(203)는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버스운전자 단말기 관리번호(ID) 정보와 선택된 노선번호를 기준으로 클라우드 환경에 해당 버스운전자 단말기들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상영역(206)을 생성하고, 해당 가상영역(206)에 가상의 버스운전자 단말기들(#1 내지 #n)을 생성한다(S130).
생성된 가상영역(206)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수집서버(203)에 접속정보와 버스운전자 단말기(100) 관리번호를 전송하고, 수집서버(203)는 해당 버스운전자 단말기(100)에 접속정보와 암호화 코드(암호코드)를 전송한다(S140).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는 전송받은 접속정보와 암호화 코드를 기준으로 가상영역(206)의 어플리케이션에 접속을 한다(S150). 그에 따라 각각의 버스운전자 단말기(100)와 가상환경의 버스운전자 단말기들(#1 내지 #n)은 동기화가 이루어진다.
접속이 완료되어 동기화된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는 GPS정보(위치좌표, 속도, 진행각도), 문열림 센서 정보를 전송하고, 승객계수장치 및 DTG의 수집정보를 실시간으로 클라우드 서버(200)의 가상환경의 버스운전자 단말기들(#1 내지 #n)로 전송된다(S160).
가상영역(206)을 운용하는 버스운전자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은 전송되는 실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각각의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들의 운행상황을 가상환경의 버스운전자 단말기들(#1 내지 #n)과 동기화하여 판단하고 수집서버(203)에 운행상황 정보를 전송한다(S170). 이러한 운행상황 정보로는 버스의 위치정보(좌표정보), RSRP(신호강도)와 통신 내용을 포함한다.
수집서버(203)에서 전송된 정보는 이벤트 정보로 하여 가공서버(204)로 전송되고, 가공서버(204)는 각각의 버스운전자 단말기(100)의 앞 뒷차 이격정보를 산출하는 가공을 하고, 가공된 데이터는 수집서버(203)와 제공서버(205)로 전송되며, 수집서버(203)에서는 전송된 정보를 가상영역(206)의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한다(S180). 그리고 제공서버(205)는 가공서버(204)에서 산출한 초단위의 버스 위치정보와 정류장별 도착예정정보를 각각의 버스정보 안내단말기(300)로 전송한다.
가상영역(206)의 어플리케이션은 버스운전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앞 뒷차 버스와의 이격정보(간격, 시간차 등)와 이번정류장, 다음정류장의 정보를 표출하고, 표출된 정보는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로 실시간 전송되어, 버스운전자 단말기(100)에서는 화면과 소리로 출력된다(S190).
한편 버스운전자 단말기(100)의 통신음영 판단부(103)는 통신이 불가능지역을 운행중인가를 판단하여 음영지역에 운행 중인 경우에는 버스정보 센터의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할 데이터를 버스운전자 단말기(100)의 메모리부(104)에 임시저장하고, 통신이 가능한 지역에 복귀하면 메모리부(104)에 임시저장된 데이터는 가상영역(206)의 가상환경의 버스운전자 단말기로 전송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200)의 관리자는 해당 통신이 불가능지역에 대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통신음역 지역을 파악하여 LTE(4G)나 5G 서비스를 제공 중인 통신사로 통신 음영 해결을 요청한다. 그에 따라 통신장비의 문제인 경우 통신장비를 복구하고, 음영지역에 의한 문제인 경우 해당 음영지역에 추가로 통신장비를 설치하여 통신 불가능 지역에 대한 문제를 빠르게 해결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버스운전자 단말기 101 : 화면표출부
102 : 통신부 103 : 통신음영 판단부
104 : 메모리부 105 : 주제어부
110 : GPS 120 : 문열림 센서
130 : 승객 계수 장치(APC) 140 : 운행기록계(DTG)
150 : 노선안내기
200 : 클라우드 서버 201 : 중계서버
202 : 기반정보 서버 203 : 수집서버
204 : 가공서버 205 : 제공서버
206 : 가상영역
300 : 버스정보 안내단말기(BIT)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버스운전자 단말기(1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버스정보 센터의 클라우드 서버(200)에 접속하여 노선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100);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구성된 중계서버(201)는 기반정보 서버(202)에서 노선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단계(S110);
    상기 버스운전자 단말기(100)의 화면표출부(101)에는 노선정보가 표출되고, 상기 화면표출부(101)에 표출된 노선정보에서 노선관리번호(노선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노선관리번호(노선번호)와 버스운전자 단말기 관리번호(ID)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의 수집서버(203)에 전송되는 단계(S120);
    전송된 버스운전자 단말기 관리번호(ID) 정보와 선택된 노선번호를 기준으로 상기 수집서버(203)에 의해 클라우드 환경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운용되는 가상영역(206)이 생성되고,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들과 동기화되는 복수의 가상환경의 버스운전자 단말기들(#1 내지 #n)이 생성되는 단계(S130);
    생성된 가상영역(206)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수집서버(203)에 상기 버스운전자 단말기(100) 관리번호(#1 내지 #n)를 전송하고, 상기 수집서버(203)는 해당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로 접속정보와 암호화 코드(암호코드)를 전송하는 단계(S140);
    상기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는 전송받은 접속정보와 암호화 코드를 기준으로 상기 가상영역(206)의 어플리케이션에 접속되는 단계(S150);
    접속이 완료된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들은 GPS정보와 문열림 센서 정보를 버스 운전자 단말기(100)에 저장하지 않고, 설정된 주기에 따라 실시간으로 상기 가상영역(206)으로 전송하는 단계(S160);
    상기 가상영역(206)을 운용하는 버스운전자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은 전송되는 실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각각의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들의 운행상황을 가상환경의 버스운전자 단말기들(#1 내지 #n)과 동기화하여 판단하고 상기 수집서버(203)에 운행상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70);
    상기 수집서버(203)에 전송된 정보는 이벤트 정보로 하여 가공서버(204)로 전송되고, 상기 가공서버(204)는 각각의 버스운전자 단말기(100)의 앞 뒷차 이격정보를 산출하는 데이터로 가공하고, 가공된 데이터는 수집서버(203)와 제공서버(205)로 전송되며, 상기 수집서버(203)는 전송된 정보를 가상영역(206)의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하고, 상기 제공서버(205)는 상기 가공서버(204)에서 산출한 초단위의 버스 위치정보와 정류장별 도착예정정보를 각각의 버스정보 안내단말기(300)로 전송하는 단계(S180); 및
    상기 가상영역(206)의 어플리케이션은 버스운전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앞 뒷차 버스의 이격정보와 이번정류장, 다음정류장의 정보를 표출하고, 표출된 정보는 상기 버스운전자 단말기(100)로 실시간 전송되어, 버스운전자 단말기(100)에서 화면과 소리로 출력되는 단계(S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앞 뒷차 버스의 이격정보는 운행 중인 버스와 앞 뒷차 버스의 거리간격과 운행 시간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운전자 단말기(100)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운행 중인 버스가 통신불가한 상태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통신음영 판단부(103)를 더 포함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될 운행중인 버스의 좌표정보, RSRP(신호강도)와 통신 내용을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메모리부(104)에 임시저장하고, 통신 가능 상태가 되면 상기 메모리부(104)에 저장된 운행정보를 상기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
KR1020230069968A 2023-05-31 2023-05-31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 KR102615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9968A KR102615971B1 (ko) 2023-05-31 2023-05-31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9968A KR102615971B1 (ko) 2023-05-31 2023-05-31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971B1 true KR102615971B1 (ko) 2023-12-19

Family

ID=89385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9968A KR102615971B1 (ko) 2023-05-31 2023-05-31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97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483A (ko) 2003-05-15 2004-11-20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운행기록을 전송하는 알에프 버스단말기 및버스관리시스템 및 운행기록 전송방법
KR100496876B1 (ko) * 2000-05-18 2005-06-22 강신란 버스 노선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33941A (ko) 2005-09-22 2007-03-27 주식회사 이비 버스 단말기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131666A (ko) * 2011-05-26 2012-12-05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스 정보 시스템 및 그의 정보 처리 방법
KR20130007501A (ko) 2012-11-23 2013-01-18 김효상 버스 운행기록 관리시스템
KR20130023812A (ko) * 2011-08-30 2013-03-08 허철영 애플리케이션 기반 버스 운행정보 제공 방법
KR20180059655A (ko) * 2016-11-25 2018-06-05 (주)에이텍티앤 노선안내가 가능한 버스결제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25737A (ko) * 2020-12-11 2023-02-23 주식회사 데이터위즈 교통 수집 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교통 수집 데이터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876B1 (ko) * 2000-05-18 2005-06-22 강신란 버스 노선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98483A (ko) 2003-05-15 2004-11-20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운행기록을 전송하는 알에프 버스단말기 및버스관리시스템 및 운행기록 전송방법
KR20070033941A (ko) 2005-09-22 2007-03-27 주식회사 이비 버스 단말기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131666A (ko) * 2011-05-26 2012-12-05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스 정보 시스템 및 그의 정보 처리 방법
KR20130023812A (ko) * 2011-08-30 2013-03-08 허철영 애플리케이션 기반 버스 운행정보 제공 방법
KR20130007501A (ko) 2012-11-23 2013-01-18 김효상 버스 운행기록 관리시스템
KR20180059655A (ko) * 2016-11-25 2018-06-05 (주)에이텍티앤 노선안내가 가능한 버스결제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25737A (ko) * 2020-12-11 2023-02-23 주식회사 데이터위즈 교통 수집 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교통 수집 데이터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30747B (zh) 一种基于云计算技术的智能网联交通服务***
US10565864B2 (en) Localized traffic data collection
CN103218910B (zh) 一种运作交通信息的***及方法
US8532851B2 (en) Train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train information display device
US6958709B2 (en)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integrating vehicle management,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s functions
JP3837695B2 (ja) 空港の陸上車両に関するリアルタイムな追跡および管理技術
CN101840634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城市实时路况交互***、装置和方法
CN104123815A (zh) 一种高速公路自启动应急救援快速处置***
KR20040026336A (ko) 단거리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버스 내 승객을 위한 정류소도착소요시간 안내 방법
CN113205701B (zh) 车路协同***、基于车路协同的高程转换更新方法
JPH04319991A (ja) 移動体の遠方監視制御装置
KR101659228B1 (ko) 스쿨버스와 셔틀버스의 위치제공 및 nfc를 이용한 푸시알람 서비스 관리시스템
CN101958054B (zh) 一种公共交通信息管理***
KR100421363B1 (ko) 차량 운행정보 안내 장치
KR102615971B1 (ko) 클라우드 서버 환경내의 가상 버스운전자 단말기를 통한 버스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
Rupert The TravTek traffic management center and traffic information network
JP3963848B2 (ja) 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
KR970049928A (ko) 대중 교통 안내 시스템
JP2001084490A (ja) 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
KR100529357B1 (ko) 버스 운행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49573B1 (ko) 지능형 버스간에 이루어지는 전광판 데이터의 양방향 전송방법 및 시스템
KR102282906B1 (ko) 대중교통 운행정보 제공 시스템
KR102397198B1 (ko) 버스 운행시간 예측 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2005059782A (ja) 列車運行管理システム
KR20010048497A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정보안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