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239B1 - 컨테이너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239B1
KR102531239B1 KR1020210089517A KR20210089517A KR102531239B1 KR 102531239 B1 KR102531239 B1 KR 102531239B1 KR 1020210089517 A KR1020210089517 A KR 1020210089517A KR 20210089517 A KR20210089517 A KR 20210089517A KR 102531239 B1 KR102531239 B1 KR 102531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assembly
container
driv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4817A (ko
Inventor
한광희
조재민
조현일
Original Assignee
한광희
조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광희, 조재민 filed Critical 한광희
Publication of KR20220014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 B60P7/132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twist-locks for container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60P1/641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적재 또는 하역시 잠금 또는 풀림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운전자의 불편을 해소하고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4개가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길이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되어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록킹어셈블리; 상기 록킹어셈블리와 연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록킹어셈블리가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어셈블리; 및 상기 록킹어셈블리와 상기 구동어셈블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록킹어셈블리의 체결 상태를 유지시키는 로크홀딩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잠금장치{Container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컨테이너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의 적재 또는 하역시 잠금 또는 풀림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운전자의 불편을 해소하고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라 함은 운반용기의 일종으로 육로수송 또는 선적수송을 위해 만들어진 대용량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일정 규격의 용기로서, 화물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송하기 위한 적재함을 일컫는다. 또한 대량화물의 규격화된 수용구이다.
이러한 컨테이너를 육상에서는 컨테이너 차량에 탑재하여 운송하고, 해상의 경우에는 컨테이너를 적재하기 위한 대형 컨테이너 선박을 이용하여 대량의 컨테이너를 운송하고 있다.
컨테이너를 육로로 운반하기 위한 운송수단으로 트레일러(Trailer)라는 차량에 이용되는데, 이 트레일러는 일반적으로 주행용 동력장치나 제어장치를 가지지 않고 트랙터에 편성되어 이끌리게 된다.
트레일러는 규격화된 컨테이너를 탑재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의 크기에 알맞게 설계되고, 또한 컨테이너에 화물을 적재한 상태의 중량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이렇게 설계된 트레일러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컨테이너를 탑재하게 되는데, 운송 중에 발생하는 급제동, 곡선도로, 경사도로, 기타 돌발상황에서 컨테이너가 트레일러에서 이탈되는 경우를 방지하고, 또한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트레일러의 상부에 컨테이너를 고정시키는 록킹장치가 설치된다.
도1a 및 도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수동방식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수동방식의 록킹장치는,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에 구비된 상부프레임(1)의 다수곳에 레버(3)의 회전 및 승강 동작에 의해 잠금 또는 풀림 작용을 하는 록커(2)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의 정해진 위치에 컨테이너(4)를 탑재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상기 록커(2)의 레버(3)를 조작함에 따라, 록커(2)의 상단에 구비된 헤드부(2')가 컨테이너의 저면에 형성된 결속구멍(5)으로 삽입 및 체결된다.
즉, 상기 수동방식의 록킹장치는 트레일러와 이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일체로 결속되게 하여 운송 도중 안정성을 도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운전자는 컨테이너를 적재한 상태에서 록킹장치의 조작이 번거롭다는 이유로 잠금조작을 하지 않은 채 운행하는 사례가 보편화 되어 있으며, 특히 노면이 불량한 도로나 급커브에서 컨테이너의 록킹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운행할 경우 트레일러로부터 컨테이너가 이탈 또는 추락되는 등의 대형사고가 유발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6762호와 같은 자동방식의 록킹장치가 제안된 있다.
도2a 및 도2b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방식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방식의 록킹장치는,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장착되는 통체로 된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탄성스프링(22)의 탄력과 외부의 하중에 의해 상향으로 출몰되는 중공부(21)를 가진 작동구(20)와, 상기 작동구(20)의 중공부(21)에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컨테이너에 삽입 체결되는 헤드부(31)를 구비하되 작동구(20)의 몰입동작시 접촉되어 연동되는 걸림턱(32)을 구비한 록커(30)와, 상기 록커(30)의 내부에 그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소정의 깊이 만큼 관형홈(40)이 형성되어 있되 이관형홈(40)에 형성되어 록커(30)가 하강될 때 일정범위로 회전되게 유도하는 곡면을 가진 슬릿홈(41)과, 상기 관형홈(40)의 내부에 탄성스프링(52)을 매개로 자유로이 슬라이딩 되게 하우징(10)의 저면에 결합한 덮개(11)에 고정설치된 지지축(50)과, 상기 지지축(50)의 상단 외주연에 형성되어 슬릿홈(41)에 삽입된 지점을 고정축으로 슬릿홈(41)을 따라 승강되는 록커(30)의 방향을 변위되게 하는 핀(51)을 포함한다.
즉, 상기 자동방식의 록킹장치는 컨테이너를 적재 또는 하역하는 과정에서 그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잠금 및 풀림 작용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중량이 과중한 컨테이너를 안전하게 록킹한 상태에서 운송함은 물론 록커의 조작으로 인한 불편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트레일러의 규격에 따라 상부프레임에는 록킹장치가 일정 간격으로 4개에서 12개까지 설치되며, 6개이상의 록킹장치가 설치된 트레일러의 경우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크기에 따라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록킹장치가 달라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다수개의 록킹장치를 잠금 및 풀림 작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므로 작업 시간이 길어져 작업 능률이 저하되고, 특히 작업이 번거로운 이유로 인해 잠금조작을 제대로 하지 않은 채 운행하여 대형사고가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의 자동방식의 록킹장치는 컨테이너의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잠금 및 풀림 상태로 전환되는데, 운행 중 코너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컨테이너가 기울어질 경우 코너 바깥쪽의 컨테이너 일부가 들려져 자중이 제거됨으로 인해 해당 부분의 록킹장치가 풀림 상태로 전환하게 되므로 컨테이너가 이탈되어 전복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동방식의 록킹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비용이 상승되고, 복잡한 구조로 인한 잦은 고장이 유발되어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역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고, 수리가 완료되기 전까지는 트레일러의 운행이 불가능하여 상당한 영업 손실을 초래함은 물론 수리 비용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자동방식의 록킹장치로 대체한다 하더라도 기존의 수동방식의 록킹장치를 모두 제거하고 자동방식의 록킹장치를 재설치해야 하므로 상당한 교체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0-0056538 A KR 10-0182902 B1
앞선 배경기술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다수개의 록킹어셈블리가 컨테이너의 적재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잠금 및 풀림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운행 중 코너 회전시에 컨테이너가 기울어지더라도 록킹어셈블리가 풀림 상태로 전환되지 않고 잠금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의 고장이나 파손 등으로 자동방식의 록킹어셈블리가 작동 불가 상태가 되더라도 해당 록킹어셈블리를 수동방식으로 용이하게 전환함으로써 작동 불가로 인한 영업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설치비용을 절감될 수 있도록 하고, 기존에 설치된 수동방식의 록킹장치를 제거하지 않고도 자동방식으로 보완설치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설비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4개가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길이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되어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록킹어셈블리; 상기 록킹어셈블리와 연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록킹어셈블리가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어셈블리; 및 상기 록킹어셈블리와 상기 구동어셈블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어셈블리의 일부분 또는 상기 구동어셈블리의 일부분을 직접적으로 속박하여 움직임을 제한하는 로크홀딩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잠금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크홀딩어셈블리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외부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록킹어셈블리 또는 상기 구동어셈블리의 일측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걸림바와, 상기 걸림바가 상기 록킹어셈블리 또는 상기 구동어셈블리의 일측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이동시키는 홀딩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록킹어셈블리에 결속되는 구동링크와, 상기 상부프레임에 마련되어 컨테이너의 탑재 여부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구동링크를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크홀딩어셈블리는, 상기 구동링크와 연동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재가 왕복 이동함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걸림블록과,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외부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걸림블록의 일측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걸림바와, 상기 걸림바가 상기 걸림블록의 일측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이동시키는 홀딩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딩제어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바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탄성지지된 걸림바와 연결되어 장력을 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홀딩와이어와, 기설정된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홀딩와이어에 장력을 가하거나 해제하여 상기 걸림바가 왕복 이동되도록 하는 전동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딩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에 걸이 형태로 마련되는 걸이부재와, 상기 홀딩와이어의 일측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걸이부재에 걸림고정 또는 걸림해제되는 고리 형태의 고리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동구동부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면 상기 홀딩와이어에 가해지는 외부 수동 장력에 의해 상기 고리부재를 상기 걸이부재에 걸림고정시키는 수동 구동 방식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다수개의 록킹어셈블리가 자동으로 잠금 및 풀림 작동되므로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역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운행 중 코너 회전시에 컨테이너가 기울어지더라도 로크홀딩어셈블리가 록킹어셈블리의 체결 상태를 유지시키므로 록킹어셈블리가 풀림 상태로 전환되지 않고 잠금 상태가 항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고장이나 파손 등으로 작동 불가 상태가 되더라도 록킹어셈블리와 로크홀딩어셈블리 각각을 개별 수동방식으로 손쉽게 전환할 수 있으므로 작동 불가로 인한 영업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기존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기설치된 수동방식의 록킹어셈블리를 재활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방식으로 보완설치가 가능하므로 교체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교체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a 및 도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수동방식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2a 및 도2b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방식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잠금장치를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록킹유닛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5는 제1록킹유닛과 구동어셈블리와의 연결 관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잠금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잠금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잠금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잠금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잠금장치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록킹어셈블리(100)와 구동어셈블리(500) 및 로크홀딩어셈블리(300)를 포함한다.
먼저, 록킹어셈블리(100)는 적어도 4개가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길이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되어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된다.
여기서, 상기 록킹어셈블리(100)는 컨테이너에 수직방향으로 결속되는 제1록킹유닛(120)과, 컨테이너에 수평방향으로 결속되는 제2록킹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록킹유닛(12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이동하는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122)와, 상기 몸체부(122)의 상단에 형성되어 회전각에 따라 컨테이너(C)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헤드부(124)와, 상기 몸체부(122)의 하단 일측에서 파지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124)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회전레버부(12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록킹유닛(120)을 이루는 몸체부(122)와 헤드부(124) 및 회전레버부(126)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함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함체에는 컨테이너(C)를 완충 지지하는 완충유닛(190)이 마련되어 컨테이너(C)가 적재 또는 하역될 때 좌우 밸런스가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컨테이너(C)의 적재 또는 하역시 좌우 밸런스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록킹유닛(120)의 헤드부(124) 회전에 의한 간섭이 사전에 예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완충유닛(190)은 함체 내부에 마련되어 컨테이너(C)를 완충 지지하는 지지부재(192)와, 상기 지지부재(192)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함체 하부에 관통 결합되는 결합부재(196)와, 상기 지지부재(192)의 하단과 상기 함체의 하부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지지부재(192)를 탄성지지하는 고압축 스프링(19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충유닛(190)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변형 가능한 다른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1록킹유닛(120)의 몸체부(122) 일부를 소정 간극 이격되게 감싸는 수평밀림방지블록(128)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수평밀림방지블록(128)은 함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록킹유닛(120)의 몸체부(122)를 이격되게 감싸므로 상기 몸체부(122)에 직접적으로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여 파손이나 틀어짐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1록킹유닛(1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결합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하여 기능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록킹유닛(140)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C)의 코너캐스팅이 위치하는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10) 모퉁이에 마련되어 컨테이너(C)가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10)에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2록킹유닛(140)은, 컨테이너(C)의 코너캐스팅에 형성된 관통공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바 형태의 슬라이딩체결부(142)와, 상기 슬라이딩체결부(142)를 상기 관통공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누름레버부(144)와, 상기 누름레버부(144)와 함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누름레버부(144)를 탄성지지하는 구동스프링(145)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구동어셈블리(500)는 상기 록킹어셈블리(100)와 연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록킹어셈블리(100)를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도록 구동시켜 상기 록킹어셈블리(100)가 컨테이너(C)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어셈블리(500)는, 도6 내지 도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10)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록킹어셈블리(100)에 결속되는 구동링크(580)와, 상기 상부프레임(10)에 마련되어 컨테이너의 탑재 여부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구동링크(580)를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재(590)를 포함한다.
도6 내지 도9에 예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재(590)는 베어링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기 상부프레임(10)에 힌지결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베어링에 의해 축 부분이 견고히 지지되어 축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동어셈블리(500)는 컨테이너가 상부프레임(10)에 적재될 때에는 상부로 돌출된 구동부재(590)의 상단부가 눌러져 구동부재(590)가 회동하게 되고, 컨테이너가 상부프레임(10)에서 하역될 때에는 눌러져 있던 구동부재(590)가 가이드어셈블리(200)의 가이드스프링(270)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링크(580)는 구동부재(590)가 회동함에 따라 상부프레임(10)의 폭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어셈블리(200)를 구동시켜 록킹어셈블리(100)가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체결 또는 결속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5를 참조하면, 제1록킹유닛(120)과 구동어셈블리(500) 사이에는 가이드어셈블리(20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어셈블리(200)는, 상기 제1록킹유닛(120)의 회전레버부(126)가 결속되는 결속홀(212)이 형성된 작동부재(210)와, 상기 작동부재(210)에 고정결합되는 제1고정부재(250)와, 일단부는 상기 제1고정부재(250)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고 타단부는 구동링크(580)와 연결되는 제2고정부재(290)와, 상기 제1고정부재(250)와 상기 제2고정부재(290) 사이에 개재되는 가이드스프링(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가이드어셈블리(200)는, 구동부재(590)의 동작 반경에 따라 왕복 이동하는 구동링크(580)의 텐션이 상기 가이드스프링(270)에 의해 유지 및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제1록킹유닛(120)의 회전레버부(126)가 원활히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작동부재(210)의 결속홀(212)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레버부(126)의 단부에 형성된 결속핀(127)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결속홀(212)은 상기 결속핀(127)과 마주하는 면이 테이퍼(taper)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결속핀(127)이 상기 결속홀(212)에 탈거된 상태에서 다시 결속될 때 정확한 위치가 아니더라도 테이퍼진 빗면을 통해 슬라이딩되어 결속홀(21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록킹유닛(120)의 회전레버부(126)는 볼팅부재(125)에 의해 몸체부(122)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상기 회전레버부(126)와 상술한 가이드어셈블리(200) 간의 결속을 해제시켜 제1록킹유닛(120)과 구동어셈블리(500)가 서로 연동하지 않게 함으로써 상기 제1록킹유닛(120)의 동작을 자동에서 수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제1록킹유닛(120)을 사용하지 않거나 고장으로 인해 작동이 불가능해져 수동 전환이 필요할 때 볼팅부재(125)를 해제함으로써 수동 작동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록킹유닛(120)의 수동 전환을 위한 구조는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가지는 구조로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회전레버부(126)에 형성된 결속핀(127)이 볼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레버부(126)의 단부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로크홀딩어셈블리(300)는 상기 록킹어셈블리(100)와 상기 구동어셈블리(5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어셈블리(100)의 일부분 또는 상기 구동어셈블리(500)의 일부분을 직접적으로 속박하여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으로, 도6 내지 도8은 제1록킹유닛(120)에 실시된 로크홀딩어셈블리(300)를 예시한 것이고, 도9는 제2록킹유닛(140)에 실시된 로크홀딩어셈블리(300)를 예시한 것이다.
컨테이너가 적재된 상태의 트레일러는 코너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컨테이너가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부프레임(10)의 폭방향으로 대향하는 바깥쪽 부분이 작은 간극을 두고 들려지게 된다. 따라서 컨테이너가 들려지면서 눌러져 있던 구동부재(590)가 잠금해제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와 연동하는 록킹어셈블리(100) 또한 풀림 동작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본 발명의 로크홀딩어셈블리(300)는 도6 내지 도9의 실시예와 같이 적용되어 록킹어셈블리(100)가 풀림 동작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잠금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잠금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여기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는 제1록킹유닛(120)에 적용된 로크홀딩어셈블리(300)를 나타낸 것이다.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로크홀딩어셈블리(300)는, 하우징(350)과, 상기 하우징(350) 내부에서 외부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록킹어셈블리(100) 또는 상기 구동어셈블리(500)의 일측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걸림바(330)와, 상기 걸림바(330)가 상기 록킹어셈블리(100) 또는 상기 구동어셈블리(500)의 일측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이동시키는 홀딩제어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잠금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잠금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여기서, 제3실시예는 제1록킹유닛(120)에 적용된 로크홀딩어셈블리(300)를 나타낸 것이고, 제4실시예는 제2록킹유닛(140)에 적용된 로크홀딩어셈블리(300)를 나타낸 것이다.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 따른 로크홀딩어셈블리(300)는, 구동링크(580)와 연동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재(590)가 왕복 이동함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며, 일측에 걸림홈(312)이 형성된 걸림블록(310)과, 하우징(350)과, 상기 하우징(350) 내부에서 외부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걸림블록(310)의 걸림홈(312)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걸림바(330)와, 상기 걸림바(330)가 상기 걸림홈(312)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이동시키는 홀딩제어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딩제어부(380)는, 상기 하우징(350)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바(33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82)와, 상기 탄성부재(382)에 탄성지지된 걸림바(330)와 연결되어 장력을 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홀딩와이어(384)와, 기설정된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홀딩와이어(384)에 장력을 가하거나 해제하여 상기 걸림바(330)가 왕복 이동되도록 하는 전동구동부(38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동구동부(390)는 제어모듈(미도시)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자동으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패널(미도시) 등이 트레일러의 외측이나 차량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상술한 구성들의 구동을 전기적으로 감지하여 연동하는 센서와 제어모듈 및 경고램프 등이 더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구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센서가 구비되어 동작 여부를 감지하여 작동 중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록킹어셈블리(100)와 인접한 위치에도 센서가 구비되어 잠금 또는 풀림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어모듈로 전송되어 보다 확장된 신호 처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고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경고램프는 전동구동부가 동작할 때 주의를 표시하는 색상이 점멸되고, 록킹어셈블리(100)의 잠금 또는 풀림 여부를 표시하는 색상이 서로 다르게 표시된다. 따라서 운전자나 작업자들이 록킹어셈블리(100)의 작동 상태는 물론 컨테이너의 고정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전한 작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전동구동부가 동작할 때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스피커가 상기 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로크홀딩어셈블리(300)는 전동구동부(390)가 고장으로 인해 작동이 불가능해질 경우를 대비해 수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로크홀딩어셈블리(300)의 수동 전환을 위해서, 상기 걸림바(330)는 탄성부재(382)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상기 홀딩와이어(380)는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와이어에 수동으로 장력을 가하거나 해제함으로써 상기 걸림바(330)를 상기 걸림블록(310)으로부터 이격시키거나 밀착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로크홀딩어셈블리(300)의 수동 전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하우징(350)의 일측에 걸이 형태로 마련되는 걸이부재(372)와, 상기 홀딩와이어(384)의 일측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걸이부재(372)에 걸림고정 또는 걸림해제되는 고리 형태의 고리부재(37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동구동부(386)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면 상기 홀딩와이어(384)에 가해지는 외부 수동 장력에 의해 상기 고리부재(374)를 상기 걸이부재(372)에 걸림고정시킴으로써 수동 구동 방식으로의 전환을 손쉽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다수개의 록킹어셈블리가 자동으로 잠금 및 풀림 작동되므로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역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운행 중 코너 회전시에 컨테이너가 기울어지더라도 로크홀딩어셈블리가 록킹어셈블리의 체결 상태를 유지시키므로 록킹어셈블리가 풀림 상태로 전환되지 않고 잠금 상태가 항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고장이나 파손 등으로 작동 불가 상태가 되더라도 록킹어셈블리와 로크홀딩어셈블리 각각을 개별 수동방식으로 손쉽게 전환할 수 있으므로 작동 불가로 인한 영업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기존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기설치된 수동방식의 록킹어셈블리를 재활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방식으로 보완설치가 가능하므로 교체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교체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 컨테이너
10: 상부프레임
100: 록킹어셈블리
120: 제1록킹유닛
122: 몸체부
124: 헤드부
125: 볼팅부재
126: 회전레버부
127: 결속핀
128: 수평밀림방지블록
140: 제2록킹유닛
142: 슬라이딩체결부
144: 누름레버부
145: 구동스프링
190: 완충유닛
192: 지지부재
194: 고압축 스프링
196: 결합부재
200: 가이드어셈블리
210: 작동부재
212: 결속홀
250: 제1고정부재
270: 가이드스프링
290: 제2고정부재
300: 로크홀딩어셈블리
310: 걸림블록
312: 걸림홈
330: 걸림바
350: 하우징
372: 걸이부재
374: 고리부재
380: 홀딩제어부
382: 탄성부재
384: 홀딩와이어
386: 전동구동부
500: 구동어셈블리
580: 구동링크
590: 구동부재

Claims (6)

  1. 적어도 4개가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길이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되어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록킹어셈블리;
    상기 록킹어셈블리와 연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록킹어셈블리가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어셈블리; 및
    상기 록킹어셈블리와 상기 구동어셈블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어셈블리의 일부분 또는 상기 구동어셈블리의 일부분을 직접적으로 속박하여 움직임을 제한하는 로크홀딩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록킹어셈블리에 결속되는 구동링크와, 상기 상부프레임에 마련되어 컨테이너의 탑재 여부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구동링크를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로크홀딩어셈블리는 상기 구동링크와 연동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재가 왕복 이동함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걸림블록과,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외부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걸림블록의 일측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걸림바와, 상기 걸림바가 상기 걸림블록의 일측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이동시키는 홀딩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잠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제어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바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탄성지지된 걸림바와 연결되어 장력을 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홀딩와이어와,
    기설정된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홀딩와이어에 장력을 가하거나 해제하여 상기 걸림바가 왕복 이동되도록 하는 전동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잠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에 걸이 형태로 마련되는 걸이부재와,
    상기 홀딩와이어의 일측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걸이부재에 걸림고정 또는 걸림해제되는 고리 형태의 고리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동구동부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면 상기 홀딩와이어에 가해지는 외부 수동 장력에 의해 상기 고리부재를 상기 걸이부재에 걸림고정시키는 수동 구동 방식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잠금장치.
KR1020210089517A 2020-07-27 2021-07-08 컨테이너 잠금장치 KR102531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885 2020-07-27
KR20200092885 2020-07-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817A KR20220014817A (ko) 2022-02-07
KR102531239B1 true KR102531239B1 (ko) 2023-05-12

Family

ID=80253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517A KR102531239B1 (ko) 2020-07-27 2021-07-08 컨테이너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2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090B1 (ko) * 2017-11-10 2020-08-03 한광희 컨테이너 결속장치
KR102490073B1 (ko) * 2022-09-01 2023-01-20 엘케이시스(주) 트레일러 정보를 자율주행 이용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2902B1 (ko) 1996-08-22 1999-04-15 박병재 트레일러용 컨테이너 록킹장치
DE102007039780A1 (de) 2007-08-23 2009-02-26 Gottwald Port Technology Gmbh Vorrichtung zum Sichern eines Containers auf einer Plattform eines Transportfahrzeugs
DE202010005717U1 (de) * 2010-06-25 2011-09-30 Rmm Metternich Mechatronik Gmbh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Container
KR102140090B1 (ko) * 2017-11-10 2020-08-03 한광희 컨테이너 결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817A (ko) 202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1239B1 (ko) 컨테이너 잠금장치
KR102140093B1 (ko) 컨테이너 결속장치
KR101258612B1 (ko) 접이식 컨테이너
RU2680542C2 (ru) Запирающий узел для запирания и отпирания поддона на опор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DK2984019T3 (en) Corner piece to form a corner of a container, container provided with such corner pieces, and gripper arms and grippers capable of cooperating with such corner pieces
KR102253300B1 (ko) 선적 컨테이너를 적소에 잠금하기 위한 컨테이너 모서리 잠금 장치
JP2008511481A (ja) ツイスト・ロックハンドリングシステム
US3677599A (en) Self aligning latching mechanism on a cargo container spreader
CN110185684B (zh) 自动锁固装置和带有自动锁固装置的车辆及其锁固方法
US9428097B2 (en) Latching/locking system for truck hoist mounted cargo pods
WO2020224167A1 (zh) 自动升降钮锁及其自动钮锁方法
CN109867234A (zh) 用于具有模块化车架的物料搬运车辆的***和方法
JPH06316236A (ja) 貨物運搬用トラック
JP6547078B1 (ja) 貨物コンテナ、および貨物コンテナの荷役方法
CN114275077B (zh) 一种无人运输车
KR100306296B1 (ko) 순환식 트롤리를 갖는 갠트리크레인
KR101016138B1 (ko) 컨테이너의 자동 잠금장치
KR101678167B1 (ko)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
KR102140090B1 (ko) 컨테이너 결속장치
CN214057370U (zh) 一种无人车用功能柜及无人车
US5350210A (en) Apparatus for securing shore crane spreaders to auxiliary frames
US5236238A (en) Apparatus for securing shore crane spreaders to auxiliary frames
CN110936991B (zh) 笼车及其锁定和解锁方法
GB2412649A (en) Secure transport container for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plant
CN110304354B (zh) 硬开顶集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