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093B1 - 컨테이너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093B1
KR102140093B1 KR1020180101115A KR20180101115A KR102140093B1 KR 102140093 B1 KR102140093 B1 KR 102140093B1 KR 1020180101115 A KR1020180101115 A KR 1020180101115A KR 20180101115 A KR20180101115 A KR 20180101115A KR 102140093 B1 KR102140093 B1 KR 102140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link
assembly
containe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4029A (ko
Inventor
조현일
한광희
조재민
Original Assignee
한광희
조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광희, 조재민 filed Critical 한광희
Priority to PCT/KR2018/01275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045737A1/ko
Publication of KR20190054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적재 또는 하역시 잠금 또는 풀림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운전자의 불편을 해소하고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4개가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길이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되어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록킹어셈블리; 상기 록킹어셈블리와 연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록킹어셈블리의 체결 또는 체결해제 작동을 유도하는 가이드어셈블리; 및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 중앙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어셈블리를 구동시키는 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결속장치{Container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컨테이너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의 적재 또는 하역시 잠금 또는 풀림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운전자의 불편을 해소하고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라 함은 운반용기의 일종으로 육로수송 또는 선적수송을 위해 만들어진 대용량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일정 규격의 용기로서, 화물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송하기 위한 적재함을 일컫는다. 또한 대량화물의 규격화된 수용구이다.
이러한 컨테이너를 육상에서는 컨테이너 차량에 탑재하여 운송하고, 해상의 경우에는 컨테이너를 적재하기 위한 대형 컨테이너 선박을 이용하여 대량의 컨테이너를 운송하고 있다.
컨테이너를 육로로 운반하기 위한 운송수단으로 트레일러(Trailer)라는 차량에 이용되는데, 이 트레일러는 일반적으로 주행용 동력장치나 제어장치를 가지지 않고 트랙터에 편성되어 이끌리게 된다.
트레일러는 규격화된 컨테이너를 탑재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의 크기에 알맞게 설계되고, 또한 컨테이너에 화물을 적재한 상태의 중량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이렇게 설계된 트레일러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컨테이너를 탑재하게 되는데, 운송 중에 발생하는 급제동, 곡선도로, 경사도로, 기타 돌발상황에서 컨테이너가 트레일러에서 이탈되는 경우를 방지하고, 또한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트레일러의 상부에 컨테이너를 고정시키는 록킹장치가 설치된다.
도1a 및 도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수동방식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수동방식의 록킹장치는,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에 구비된 상부프레임(1)의 다수곳에 레버(3)의 회전 및 승강 동작에 의해 잠금 또는 풀림 작용을 하는 록커(2)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의 정해진 위치에 컨테이너(4)를 탑재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상기 록커(2)의 레버(3)를 조작함에 따라, 록커(2)의 상단에 구비된 헤드부(2')가 컨테이너의 저면에 형성된 결속구멍(5)으로 삽입 및 체결된다.
즉, 상기 수동방식의 록킹장치는 트레일러와 이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일체로 결속되게 하여 운송 도중 안정성을 도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운전자는 컨테이너를 적재한 상태에서 록킹장치의 조작이 번거롭다는 이유로 잠금조작을 하지 않은 채 운행하는 사례가 보편화 되어 있으며, 특히 노면이 불량한 도로나 급커브에서 컨테이너의 록킹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운행할 경우 트레일러로부터 컨테이너가 이탈 또는 추락되는 등의 대형사고가 유발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6762호와 같은 자동방식의 록킹장치가 제안된 있다.
도2a 및 도2b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방식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방식의 록킹장치는,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장착되는 통체로 된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탄성스프링(22)의 탄력과 외부의 하중에 의해 상향으로 출몰되는 중공부(21)를 가진 작동구(20)와, 상기 작동구(20)의 중공부(21)에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컨테이너에 삽입 체결되는 헤드부(31)를 구비하되 작동구(20)의 몰입동작시 접촉되어 연동되는 걸림턱(32)을 구비한 록커(30)와, 상기 록커(30)의 내부에 그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소정의 깊이 만큼 관형홈(40)이 형성되어 있되 이관형홈(40)에 형성되어 록커(30)가 하강될 때 일정범위로 회전되게 유도하는 곡면을 가진 슬릿홈(41)과, 상기 관형홈(40)의 내부에 탄성스프링(52)을 매개로 자유로이 슬라이딩 되게 하우징(10)의 저면에 결합한 덮개(11)에 고정설치된 지지축(50)과, 상기 지지축(50)의 상단 외주연에 형성되어 슬릿홈(41)에 삽입된 지점을 고정축으로 슬릿홈(41)을 따라 승강되는 록커(30)의 방향을 변위되게 하는 핀(51)을 포함한다.
즉, 상기 자동방식의 록킹장치는 컨테이너를 적재 또는 하역하는 과정에서 그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잠금 및 풀림 작용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중량이 과중한 컨테이너를 안전하게 록킹한 상태에서 운송함은 물론 록커의 조작으로 인한 불편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트레일러의 규격에 따라 상부프레임에는 록킹장치가 일정 간격으로 4개에서 12개까지 설치되며, 6개이상의 록킹장치가 설치된 트레일러의 경우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크기에 따라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록킹장치가 달라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다수개의 록킹장치를 잠금 및 풀림 작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므로 작업 시간이 길어져 작업 능률이 저하되고, 특히 작업이 번거로운 이유로 인해 잠금조작을 제대로 하지 않은 채 운행하여 대형사고가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자동방식의 록킹장치로 대체한다 하더라도 기존의 수동방식의 록킹장치를 모두 제거하고 자동방식의 록킹장치를 재설치해야 하므로 상당한 교체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덧붙여, 자동방식의 록킹장치는 잦은 고장으로 인해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역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고, 수리가 완료되기 전까지는 트레일러의 운행이 불가능하여 상당한 영업 손실을 초래함은 물론 수리 비용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트레일러와 컨테이너 간의 단차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의 전방에 형성된 코너캐스팅에는 수평 방향으로 수평체결장치가 결속되는데, 종래의 경우 수평 방향으로 결속되는 수평체결장치를 잠금 및 풀림 작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므로 작업 시간이 길어져 작업 능률이 저하되고, 작업이 번거로운 이유로 인해 잠금조작을 제대로 하지 않은 채 운행하여 대형사고가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0-0056538 A KR 10-0182902 B1
앞선 배경기술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다수개의 록킹유닛이 컨테이너의 적재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잠금 및 풀림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자동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편리하게 사용 가능함은 물론 컨테이너가 록킹유닛에 결속 또는 분리되는 시간을 절약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자동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기설치된 수동방식의 록킹유닛을 자동화함으로써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자동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방식의 록킹유닛이 고장이나 파손 등으로 작동 불가 상태가 되더라도 해당 록킹유닛을 수동방식으로 용이하게 전환함으로써 작동 불가로 인한 영업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자동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4개가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길이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되어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록킹어셈블리; 상기 록킹어셈블리와 연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록킹어셈블리의 체결 또는 체결해제 작동을 유도하는 가이드어셈블리; 및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 중앙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어셈블리를 구동시키는 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록킹어셈블리는, 상하 이동하는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회전각에 따라 컨테이너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헤드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 일측에서 파지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회전레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록킹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록킹어셈블리는, 컨테이너의 코너캐스팅에 형성된 관통공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핀 형태의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록킹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레버부의 단부에는 결속핀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어셈블리의 일단부에 형성된 결속홀에 삽입 및 삽입해제되며, 상기 결속홀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결속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록킹유닛은, 상기 몸체부 일부를 소정 간극 이격되게 감싸는 수평밀림방지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와 상기 헤드부의 인접부위에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밀림방지블록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대응 삽입되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가이드어셈블리와 연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구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를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구동링크가 관통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지지브래킷과, 상기 구동링크의 일단부와 상기 지지브래킷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링크를 탄성지지하는 복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어셈블리는, 일단부는 상기 제1록킹유닛의 회전레버부와 결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어셈블리의 구동링크와 힌지결합되는 회동링크와, 상기 회동링크가 상기 구동링크의 움직임에 따라 일정 반경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링크의 일측을 지지하는 회전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어셈블리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1록킹유닛의 회전레버부와 결속되는 제1가이드링크와, 일단부는 상기 제1가이드링크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어셈블리의 구동링크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구동링크의 움직임에 따라 일정 반경 회동하는 제2가이드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어셈블리는, 상기 제1록킹유닛의 회전레버부와 상기 제2가이드링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가이드링크가 슬라이딩 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블록은 상기 제2가이드링크의 회동 반경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제1가이드링크가 직선 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블록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링크의 일부분을 수용하며, 상기 공간부에는 베어링이 마련되어 상기 제1가이드링크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어셈블리는, 상기 제1록킹유닛의 회전레버부와 상기 가이드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가이드링크가 슬라이딩 되도록 지지하는 위치고정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고정블록은 상기 제2가이드링크의 회동 반경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제1가이드링크의 이동 반경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 중앙부에 마련되는 감속모터와, 상기 감속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스크류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어셈블리는, 상기 스크류 샤프트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하는 너트블록과, 일단부는 상기 제1록킹유닛의 회전레버부와 결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너트블록에 결합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어셈블리는, 일단부는 상기 제2록킹유닛의 체결부재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도록 결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바와 연결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가이드바의 움직임에 따라 일정 반경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회전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다수개의 록킹어셈블리가 자동으로 잠금 및 풀림 작동되므로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역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록킹어셈블리의 잠금 및 풀림이 자동 방식으로 구현되므로 운전자가 편리하게 사용 가능함은 물론 컨테이너가 상부프레임에 결속되는 시간을 절약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기존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기설치된 수동방식의 록킹어셈블리를 재활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교체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교체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고장이나 파손 등으로 작동 불가 상태가 되더라도 수동방식으로 용이하게 전환함으로써 작동 불가로 인한 영업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수직방향으로 결속되는 제1록킹유닛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 결속되는 제2록킹유닛도 자동화를 구현함으로써 컨테이너가 상부프레임에 견고히 고정됨은 물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a 및 도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수동방식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2a 및 도2b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방식의 록킹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결속장치를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록킹유닛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5는 도4의 제1록킹유닛에서 더 부가될 수 있는 일례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어셈블리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7은 도6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어셈블리에서 가이드블록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가이드어셈블리에서 더 부가될 수 있는 일례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어셈블리와 구동어셈블리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10은 도9의 가이드어셈블리에서 더 부가될 수 있는 일례와 이와 연동하는 제2록킹유닛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결속장치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록킹어셈블리(100)와 가이드어셈블리(300) 및 구동어셈블리(500)를 포함한다.
먼저, 록킹어셈블리(100)는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10)에 마련되어 컨테이너(C)의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것으로 적어도 4개가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10)에 길이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되며, 가이드어셈블리(300)와 구동어셈블리(500)는 상기 록킹어셈블리(100)를 개별 또는 동시에 구동시켜 잠금 동작과 풀림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록킹어셈블리(100)는 컨테이너에 수직방향으로 결속되는 제1록킹유닛(120)과, 컨테이너에 수평방향으로 결속되는 제2록킹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록킹유닛(12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이동하는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122)와, 상기 몸체부(122)의 상단에 형성되어 회전각에 따라 컨테이너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헤드부(124)와, 상기 몸체부(122)의 하단 일측에서 파지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124)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회전레버부(12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록킹유닛(120)을 이루는 몸체부(122)와 헤드부(124) 및 회전레버부(126)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함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함체에는 컨테이너(C)를 완충 지지하는 완충유닛(190)이 마련되어 컨테이너(C)가 적재 또는 하역될 때 좌우 밸런스가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컨테이너(C)의 적재 또는 하역시 좌우 밸런스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록킹유닛(120)의 헤드부(124) 회전에 의한 간섭이 사전에 예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완충유닛(19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 내부에 마련되어 컨테이너(C)를 완충 지지하는 지지부재(192)와, 상기 지지부재(192)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함체 하부에 관통 결합되는 결합부재(196)와, 상기 지지부재(192)의 하단과 상기 함체의 하부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지지부재(192)를 탄성지지하는 고압축 스프링(19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충유닛(190)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변형 가능한 다른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2록킹유닛(140)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C)의 코너캐스팅이 위치하는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 모퉁이에 마련되어 컨테이너(C)가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2록킹유닛(140)은 컨테이너(C)의 코너캐스팅 측면에 형성된 관통공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핀 형태의 체결부재(142)와, 상기 체결부재(142)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블록(144)을 포함하는 것으로, 체결부재(142)의 단부가 코너캐스팅의 관통공 내부에 삽입되면 컨테이너(C)가 체결 고정되고 반대로 체결부재(142)의 단부가 코너캐스팅의 관통공 외부로 이탈되면 컨테이너(C)가 체결해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142)의 관통공 반대측 단부에는 누름블록(14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블록(144)과 상기 누름블록(148) 사이에는 탄성부재(146)가 개재되어 상기 체결부재(142)를 탄성지지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가이드어셈블리(300)는 상기 록킹어셈블리(100)와 연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록킹어셈블리(100)의 체결 또는 체결해제 작동을 유도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구동어셈블리(500) 이후에 개시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구동어셈블리(500)는 상기 상부프레임(10)의 폭 중앙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어셈블리(300)를 구동시킨다.
이러한 구동어셈블리(5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어셈블리(300)와 연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구동링크(510)와, 상기 구동링크(510)를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모터(530)를 포함하며, 가이드어셈블리(300)와의 연결 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링크브래킷(590)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동어셈블리(500)는 구동링크(510)가 구동모터(530)에 의해 자동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가이드어셈블리(300)를 작동시키게 되고 이렇게 작동되는 가이드어셈블리(300)는 록킹어셈블리(100)를 구동시켜 컨테이너(C)의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 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530)는 제어모듈(미도시)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자동으로 작동하는 구동어셈블리(500)를 구현할 수 있게 되며, 이때 상기 제어모듈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패널 등이 트레일러의 외측이나 차량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구성들의 구동을 전기적으로 감지하여 연동하는 센서모듈과 경고램프 등이 더 부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한 구동어셈블리(500)의 구동모터(530)와 인접한 위치에는 센서가 구비되어 동작 여부를 감지하여 작동 중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고, 제1록킹유닛(120)의 헤드부(124)와 인접한 위치에도 센서가 구비되어 잠금 또는 풀림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어모듈로 전송되어 보다 확장된 신호처리로 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고램프는 구동모터 동작할 때 주의를 표시하는 색상이 점멸될 수 있고, 또한 상기 경고램프에는 록킹어셈블리(100)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 여부를 표시하는 색상이 서로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나 작업자들이 구동어셈블리(500)의 작동 상태는 물론 컨테이너(C)의 결속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전한 작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 구동어셈블리(500)는, 상기 구동링크(510)가 관통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0) 상에 설치되는 지지브래킷(550)과, 상기 구동링크(510)의 일단부와 상기 지지브래킷(55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링크(510)를 탄성지지하는 복귀부재(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구동링크(510)가 구동모터(530)에 의해 급격하게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고 구동링크(510)가 보다 유연하게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복귀부재(570)의 탄성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한 구동링크(510)가 원위치로 이동할 때 구동모터(530)의 구동력 없이도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구동링크(510)가 원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고 보다 정확하게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구동어셈블리(500)에 의해 작동하는 가이드어셈블리(300)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일단부는 제1록킹유닛(120)의 회전레버부(126)와 결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어셈블리(500)의 구동링크(510)와 힌지결합되는 회동링크(310)와, 상기 회동링크(310)가 상기 구동링크(510)의 움직임에 따라 일정 반경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링크(310)의 일측을 지지하는 회전축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3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어셈블리(300)는, 구동링크(510)의 왕복 이동에 따라 회동링크(310)가 회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회동링크(310)의 일단부에 결속된 제1록킹유닛(120)의 회전레버부(126)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이와 연동하는 제1록킹유닛(120)의 몸체부(122)와 헤드부(124)가 잠금 동작과 풀림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어셈블리(300)는, 상부프레임(10)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일단부가 제1록킹유닛(120)의 회전레버부(124)와 결속되는 제1가이드링크(320a)와, 일단부는 상기 제1가이드링크(320a)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어셈블리(500)의 구동링크(510)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구동링크(510)의 움직임에 따라 일정 반경 회동하는 제2가이드링크(32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어셈블리(300)는 상기 제1록킹유닛(120)의 회전레버부(126)와 상기 제2가이드링크(320b)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가이드링크(320a)가 슬라이딩 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블록(362)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블록(362)은 상기 제2가이드링크(320b)의 회동 반경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제1가이드링크(320a)가 직선 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7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블록(362)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링크(320a)의 일부분을 수용하며, 상기 공간부에는 베어링(350)이 마련되어 상기 제1가이드링크(320)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가 가이드블록(362)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가이드링크(320a)는 측면이 절개되어 상기 제1가이드링크(320a)와 상기 제2가이드링크(320b)가 연결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링크(320a)는 '⊥' 형태의 받침부재(370)에 의해 지지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으며, 상기 베어링(350)은 상기 제1가이드링크(320a)의 하단부와 상기 받침부재(370) 사이의 공간에 개재되어 상기 제1가이드링크(320a)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유도한다.
더하여, 상기 가이드어셈블리(300)는 상기 제1록킹유닛(120)의 회전레버부(126)와 상기 가이드블록(36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가이드링크(320a)가 슬라이딩 되도록 지지하는 위치고정블록(382)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고정블록(382)은 상기 제2가이드링크(320b)의 회동 반경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제1가이드링크(320a)의 이동 반경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6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어셈블리(300)는, 구동링크(510)의 왕복 이동에 따라 제2가이드링크(320b)가 회동하게 되면 이와 연결된 제1가이드링크(320a)는 직선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1가이드링크(320a)의 일단부에 결속된 제1록킹유닛(120)의 회전레버부(126)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이와 연동하는 제1록킹유닛(120)의 몸체부(122)와 헤드부(124)가 잠금 동작과 풀림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나아가, 도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회동링크(310) 또는 제1가이드링크(320a)의 일단부에는 제1록킹유닛(120)의 회전레버부(126) 단부에 형성된 결속핀(127)의 결속을 용이하게 하는 결속홀(312,322)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결속홀(312,322)은 상기 회전레버부(126)의 결속핀(127)과 마주하는 면이 테이퍼(taper)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회전레버부(126)의 결속핀(127)이 상기 결속홀(312,322)에 탈거된 상태에서 다시 결속될 때 정확한 위치가 아니더라도 테이퍼진 빗면을 통해 슬라이딩되어 결속홀(312,32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 덧붙여, 상기 제1록킹유닛(12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22) 일부를 소정 간극 이격되게 감싸는 수평밀림방지블록(128)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몸체부(122)와 헤드부(124)의 인접부위에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돌기(124a)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밀림방지블록(128)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방지돌기(124a)가 대응 삽입되는 회전방지홈(128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되지 않는 제1록킹유닛(120)이 컨테이너에 의해 눌러져 있게 되면 상술한 회전레버부(126)의 결속핀(127)이 결속홀(312,322)로부터 탈거되는데, 이때 상기 제1록킹유닛(120)의 헤드부(124)와 몸체부(122)가 컨테이너(C)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으로 인해 회전하게 되면 회전레버부(126)도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결속핀(127)과 결속홀(312,322) 간의 위치가 어긋나게 되고, 이로 인해 탈거된 결속핀(127)이 결속홀(312,322)에 재삽입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수평밀림방지블록(128)은 제1록킹유닛(120)이 컨테이너에 의해 눌러져 있는 상태에서 헤드부(124)와 몸체부(122)가 수평하중으로 인해 회전하거나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결속핀(127)과 결속홀(312,322) 간의 위치가 어긋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평밀림방지블록(128)은 함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록킹유닛(120)의 몸체부(122)를 이격되게 감싸므로 컨테이너(C)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결합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하여 기능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술한 가이드어셈블리(300)와 제1록킹유닛(120)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링크(또는 제1가이드링크)의 결속홀(312,322)과 회전레버부(126) 간의 결속이 해제되어 상기 제1록킹유닛(120)이 자동으로 동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특정 제1록킹유닛(120)을 사용하지 않거나 작동 불가능한 제1록킹유닛(120)의 수동전환이 필요할 때 결속홀(312,322)과 회전레버부(126) 간에 조여진 볼팅부재(125)를 해제함으로써 제1록킹유닛(120)의 수동 작동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록킹유닛(120)의 수동 전환을 위한 구조는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가지는 구조로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회전레버부(126)에 형성된 결속핀(127)이 볼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레버부(126)의 단부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도9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어셈블리(500)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 중앙부에 마련되는 감속모터(540)와, 상기 감속모터(54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스크류 샤프트(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속모터(540)는 감속기가 포함된 모터를 말하며, 감속기와 모터가 별개로 구비되어 연결된 구성으로도 대체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샤프트(520)는 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도9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스크류 샤프트(520)는 양측 단부가 한 쌍의 지지프레임(564)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회전하며, 상기 스크류 샤프트(520)와 상기 지지프레임(564)의 접촉면 사이에는 베어링(566)이 개재되어 상기 스크류 샤프트(520)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564)은 지지봉(562)에 의해 상기 감속모터(540)에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도9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어셈블리(300)는, 상기 스크류 샤프트(520)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스크류 샤프트(5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하는 너트블록(364)과, 일단부는 상기 제1록킹유닛(120)의 회전레버부(126)와 결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너트블록(364)에 결합되는 가이드바(3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감속모터(540)가 작동하여 스크류 샤프트(520)를 회전시키게 되면 너트블록(364)이 상부프레임(10)의 폭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너트블록(364)의 이동 반경에 연동하는 가이드바(340)가 제1록킹유닛(120)의 회전레버부(126)를 회전시킴으로써 잠금 및 풀림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564)에는 각각 근접센서(580a,580b)가 마련되어 상기 너트블록(364)의 위치 및 이동 반경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감속모터(540)와 연동하는 가이드어셈블리(300)의 구동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록킹어셈블리(100)의 잠금 및 풀림 동작이 오차없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어셈블리(300)는 제2록킹유닛(14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일단부는 상기 제2록킹유닛(140)의 체결부재(142)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도록 결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바(340)와 연결되는 회동부재(342)와, 상기 회동부재(342)가 상기 가이드바(340)의 움직임에 따라 일정 반경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부재(342)의 일측을 지지하는 회전축부재(3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록킹유닛(140)과 상기 가이드바(340)의 결속을 위해, 상기 체결부재(142)의 관통공 반대측 단부에는 누름블록(148)에는 결속부재(39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결속부재(390)는, 도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는 상기 누름블록(148)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바(340)의 결속홀에 삽입되는 바 형태의 누름레버(392)와, 상기 누름레버(392)의 타단부에 리벳 또는 볼트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바(340)가 상기 누름레버(392)에 걸림결속되도록 하는 걸림편(394)을 포함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결속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다수개의 록킹어셈블리가 자동으로 잠금 및 풀림 작동되므로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역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록킹어셈블리의 잠금 및 풀림이 자동 방식으로 구현되므로 운전자가 편리하게 사용 가능함은 물론 컨테이너가 상부프레임에 결속되는 시간을 절약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기존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기설치된 수동방식의 록킹어셈블리를 재활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교체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교체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고장이나 파손 등으로 작동 불가 상태가 되더라도 수동방식으로 용이하게 전환함으로써 작동 불가로 인한 영업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수직방향으로 결속되는 제1록킹유닛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 결속되는 제2록킹유닛도 자동화를 구현함으로써 컨테이너가 상부프레임에 견고히 고정됨은 물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 컨테이너
10: 상부프레임
100: 록킹어셈블리
120: 제1록킹유닛
122: 몸체부
124: 헤드부
124a: 회전방지돌기
125: 볼팅부재
126: 회전레버부
127: 결속핀
128: 수평밀림방지블록
128a: 회전방지홈
140: 제2록킹유닛
142: 체결부재
144: 지지블록
146: 탄성부재
148: 누름블록
190: 완충유닛
192: 지지부재
194: 고압축스프링
196: 결합부재
300: 가이드어셈블리
310: 회동링크
312(322): 결속홀
320a: 제1가이드링크
320b: 제2가이드링크
330: 회전축부재
340: 가이드바
342: 회동부재
344: 회전축부재
350: 베어링
362: 가이드블록
364: 너트블록
370: 받침부재
382, 384: 위치고정블록
390: 결속부재
392: 누름레버
394: 걸림편
500: 구동어셈블리
510: 구동링크
520: 스크류 샤프트
530: 구동모터
540: 감속모터
550: 지지브래킷
562: 지지봉
564: 지지프레임
566: 베어링
570: 복귀부재
580a, 580b: 근접센서
590: 링크브래킷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적어도 4개가 트레일러의 상부프레임에 길이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되어 컨테이너의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록킹어셈블리;
    상기 록킹어셈블리와 연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록킹어셈블리의 체결 또는 체결해제 작동을 유도하는 가이드어셈블리; 및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 중앙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어셈블리를 구동시키는 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어셈블리는,
    상하 이동하는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회전각에 따라 컨테이너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속구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헤드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 일측에서 파지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회전레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록킹유닛;과
    컨테이너의 코너캐스팅에 형성된 관통공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핀 형태의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록킹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가이드어셈블리와 연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구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를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구동링크가 관통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지지브래킷과,
    상기 구동링크의 일단부와 상기 지지브래킷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링크를 탄성지지하는 복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어셈블리는,
    일단부는 상기 제1록킹유닛의 회전레버부와 결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어셈블리의 구동링크와 힌지결합되는 회동링크와,
    상기 회동링크가 상기 구동링크의 움직임에 따라 일정 반경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링크의 일측을 지지하는 회전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어셈블리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1록킹유닛의 회전레버부와 결속되는 제1가이드링크와,
    일단부는 상기 제1가이드링크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어셈블리의 구동링크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구동링크의 움직임에 따라 일정 반경 회동하는 제2가이드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어셈블리는,
    상기 제1록킹유닛의 회전레버부와 상기 제2가이드링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가이드링크가 슬라이딩 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블록은 상기 제2가이드링크의 회동 반경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제1가이드링크가 직선 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록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링크의 일부분을 수용하며,
    상기 공간부에는 베어링이 마련되어 상기 제1가이드링크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어셈블리는,
    상기 제1록킹유닛의 회전레버부와 상기 가이드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가이드링크가 슬라이딩 되도록 지지하는 위치고정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고정블록은 상기 제2가이드링크의 회동 반경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제1가이드링크의 이동 반경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 중앙부에 마련되는 감속모터와,
    상기 감속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스크류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어셈블리는,
    상기 스크류 샤프트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하는 너트블록과,
    일단부는 상기 제1록킹유닛의 회전레버부와 결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너트블록에 결합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어셈블리는,
    일단부는 상기 제2록킹유닛의 체결부재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도록 결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바와 연결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가이드바의 움직임에 따라 일정 반경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회전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KR1020180101115A 2017-11-10 2018-08-28 컨테이너 결속장치 KR102140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2755 WO2020045737A1 (ko) 2017-11-10 2018-10-25 컨테이너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144 2017-11-10
KR20170149144 2017-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029A KR20190054029A (ko) 2019-05-21
KR102140093B1 true KR102140093B1 (ko) 2020-08-03

Family

ID=66676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115A KR102140093B1 (ko) 2017-11-10 2018-08-28 컨테이너 결속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0093B1 (ko)
WO (1) WO20200457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420B1 (ko) * 2019-12-31 2020-06-26 주식회사 미래하이텍 트레일러용 연동식 트위스트락구조
DE102020134145A1 (de) * 2020-12-18 2022-06-23 Man Truck & Bus S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tomatisierten Ver- und/oder Entriegelung eines auf einer Ladefläche eines Fahrzeugs abgestellten austauschbaren Ladungsträgers
CN113120399A (zh) * 2021-04-14 2021-07-16 安徽晶睿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机玻璃的多功能存储装置
CN115162532B (zh) * 2022-08-26 2024-02-02 华中科技大学 隔离室支撑结构和可折叠隔离室
CN116771168B (zh) * 2023-08-02 2024-03-19 鼎华创应急装备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可快速出警的模块化消防站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167B1 (ko) * 2015-10-28 2016-11-22 조현일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4823A (ja) * 1993-06-10 1994-12-20 Shinko Electric Co Ltd 貨物運搬用車両
DE102007039780A1 (de) 2007-08-23 2009-02-26 Gottwald Port Technology Gmbh Vorrichtung zum Sichern eines Containers auf einer Plattform eines Transportfahrzeugs
CN201457214U (zh) * 2009-08-06 2010-05-12 上海世龙运输设备部件有限公司 自动扭锁装置
DE202010005717U1 (de) * 2010-06-25 2011-09-30 Rmm Metternich Mechatronik Gmbh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Container
JP2014129019A (ja) * 2012-12-28 2014-07-10 Nippon Fruehauf Co Ltd コンテナの緊締装置
US9011055B1 (en) * 2013-08-05 2015-04-21 Peck & Hale, L.L.C. Automatic lock for cargo contai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167B1 (ko) * 2015-10-28 2016-11-22 조현일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029A (ko) 2019-05-21
WO2020045737A1 (ko)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0093B1 (ko) 컨테이너 결속장치
JP6275407B2 (ja) コンテナロック
CN104684822A (zh) 锁紧装置
JPH10100787A (ja) 標準容器用自動鎖錠装置
US11529902B2 (en) Cargo restraint system
KR102531239B1 (ko) 컨테이너 잠금장치
US20070224010A1 (en) Locking device for securing loads
US20190061946A1 (en) Intelligent lock for cargo handling system
US2972175A (en) Horizontal container coupler
KR102140090B1 (ko) 컨테이너 결속장치
KR101678167B1 (ko) 전동식 컨테이너 고정장치
US10486583B2 (en) Multifunctional locking device for container of trailer
US201603620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training a Vehicle
CA2839204C (en) Sliding tarpaulin tensioning and locking system
CN112277977A (zh) 散粒货物运输车
CA2751003A1 (en) Channel and anchor assembly for securing cargo
DE202019100020U1 (de) Ladungssicherungssystem für Heckklappe
CN101143570B (zh) 用于调节集装箱锁止装置的垂直位置的装置
CN112744245A (zh) 可伸缩的自动扭锁装置
CN211364395U (zh) 货物固定装置及货运车辆
CN1358148A (zh) 用于装载甲板的装置
CN111923941A (zh) 一种移动式挡货装置
CN204577487U (zh) 一种用于列尾安全防护装置的电池锁紧结构
KR101557671B1 (ko)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
KR101627668B1 (ko) 소형 컨테이너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