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181B1 - 시인창을 갖는 동축 커넥터, 및 그 동축 커넥터를 사용한 동축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시인창을 갖는 동축 커넥터, 및 그 동축 커넥터를 사용한 동축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181B1
KR102291181B1 KR1020170068829A KR20170068829A KR102291181B1 KR 102291181 B1 KR102291181 B1 KR 102291181B1 KR 1020170068829 A KR1020170068829 A KR 1020170068829A KR 20170068829 A KR20170068829 A KR 20170068829A KR 102291181 B1 KR102291181 B1 KR 102291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core wire
coaxial connector
installation
installa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0971A (ko
Inventor
아츠히로 미야자키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0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심선의 접속 작업 중에 장치를 뒤집지 않고 접속 상태의 확인을 실시할 수 있는, 시인창을 갖는 동축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단자와, 상기 단자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덮는 도체 쉘을 구비한다. 단자는, 동축 케이블의 심선이 설치되는 설치부를 갖는다. 하우징은, 설치부를 향하여 절곡 가능하게 형성된 가압부를 갖는다. 가압부는, 설치부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에 가압부와 설치부 사이에 끼워넣어지는 심선에 대해 설치부와는 반대측에 심선을 시인 가능하게 하는 창을 갖는다.

Description

시인창을 갖는 동축 커넥터, 및 그 동축 커넥터를 사용한 동축 커넥터 장치{COAXIAL CONNECTOR HAVING VIEWING WINDOW AND COAXIAL CONNECTOR APPARATUS USING THE COAXIAL CONNECTOR}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의 심선을 시인 가능하게 하는 창을 갖는 동축 커넥터, 및 그 동축 커넥터를 사용한 동축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에, 동축 케이블의 심선을 시인 가능하게 하는 창을 가진 종래의 동축 커넥터, 및 그 동축 커넥터를 사용한 동축 커넥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7 은,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동축 커넥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은, 특히, 동축 커넥터 (110) 에 동축 케이블 (111) 의 일단부를 장착하는 과정, 여기서는 삽착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동축 커넥터 장치 (110) 는, 동축 케이블 (111) 의 심선 (112) 과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컨택트 부재 (120) 와, 동축 케이블 (111) 의 외측 도체 (114) 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그라운드 컨택트 부재 (121) 와, 컨택트 부재 (120) 와 그라운드 컨택트 부재 (121) 를 상호 절연 상태로서 지지하는 절연 하우징 부재 (122) 를 포함한다.
심선 (112) 을 고정 부분 (150) 에 접속할 때, 먼저, 고정 부분 (150) 에 동축 케이블 (111) 의 심선 (112) 을 재치 (載置) 하고, 이어서, 절연 하우징 부재 (122) 의 절곡 맞닿음부 (140) 를 절곡함으로써, 가동 부분 (151) 을 가압하여 고정 부분 (150) 을 향하여 변위시키고, 가동 부분 (51) 과 고정 부분 (150) 에 의해 동축 케이블 (111) 의 심선 (112) 을 협지한다.
동축 케이블 (111) 의 심선 (112) 을 육안으로 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동축 커넥터 장치 (110) 에는, 고정 부분 (150) 을 유지하는 유지부 (141) 의 바닥면 부분에 투공 (透孔) (155) 이 형성되어 있다. 이 투공 (155) 등을 통하여 육안으로 보면서, 예를 들어, 심선 (112) 을 고정 부분 (150) 에 접속하고, 또 그 접속 상태의 확인을 실시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43441호
그러나, 상기의 종래 장치에서는, 심선 (112) 을 시인 가능하게 하는 투공 (창) (142) 이, 절곡 맞닿음부 (140) 가 고정 부분 (150) 을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에 절곡 맞닿음부 (140) 와 고정 부분 (150) 사이에 끼워넣어지는 심선 (112) 에 대해 고정 부분 (150) 과 동일한 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심선 (112) 을 고정 부분 (150) 에 접속하고 있는 접속 작업 중에는 장치 (110) 를 뒤집음으로써만, 혹은, 일련의 접속 작업이 종료된 후에만, 심선의 접속 상태의 확인을 실시할 수 있고, 이 때문에 확인 작업이 매우 번잡한 것이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심선의 접속 작업 중에 장치를 뒤집지 않고 접속 상태의 확인을 실시할 수 있는, 시인창을 갖는 동축 커넥터, 및 그 동축 커넥터를 사용한 동축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동축 커넥터는, 단자와, 상기 단자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덮는 도체 쉘을 구비하고, 상기 단자는, 동축 케이블의 심선이 설치되는 설치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설치부를 향하여 절곡 가능하게 형성된 가압부를 갖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설치부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에 상기 가압부와 상기 설치부 사이에 끼워넣어지는 상기 심선에 대해 상기 설치부와는 반대측에 상기 심선을 시인 가능하게 하는 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서 갖는다.
이 양태의 동축 커넥터에 의하면, 접속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창이, 설치부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에 설치부와의 사이에 끼워넣어지는 심선에 대해 설치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가압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심선의 접속 작업 중에 장치를 뒤집지 않고 접속 상태의 확인을 실시할 수 있고, 따라서, 접속 상태의 확인이 용이한 시인창을 갖는 동축 커넥터가 얻어진다.
상기 양태의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도체 쉘은, 상기 가압부를 향하여 절곡 가능하게 형성된 압착편을 갖고, 상기 압착편은, 상기 가압부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에 상기 압착편과 상기 설치부 사이에 끼워넣어지는 상기 심선에 대해 상기 설치부와는 반대측에, 상기 가압부의 창과 연통하여 상기 심선을 시인 가능하게 하는 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의 동축 커넥터에 의하면, 도체 쉘에 가압부와 연통하는 창을 형성함으로써, 가압부의 창의 주변에 있어서도 도체 쉘을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양태의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설치부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에 상기 가압부의 가압면과 상기 설치부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의 동축 커넥터에 의하면, 간극을 확보함으로써 여러 가지 직경을 갖는 심선에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양태의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가,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상기 심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일방의 측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가압부가,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상기 심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각 측에 형성된 쌍의 가압부로 이루어져도 된다.
상기 양태의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쌍의 가압부는 각각, 상기 설치부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에 서로 맞대어지는 맞댐면을 갖고, 적어도 일방의 가압부의 맞댐면에, 상대측의 가압부의 맞댐면을 넘어 상기 상대측의 가압부의 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의 동축 커넥터에 의하면,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설치부에 설치되는 심선의 폭 방향「β」에 있어서의 가압부의 가압면의 길이를 길게 하여, 심선을 보다 확실하게 압착할 수 있다.
상기 양태의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일부가 상기 가압부의 가압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의 동축 커넥터에 의하면, 볼록부의 일부를 가압면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심선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양태의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여, 상대측의 상기 가압부의 맞댐면에, 상기 볼록부와 맞물리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의 동축 커넥터에 의하면, 볼록부와 오목부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장치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양태의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가 상기 가압부의 가압면보다 그 가압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측을 향하여 패인 패임부여도 된다.
오목부를 이와 같은 패임부로서 형성함으로써, 볼록부를, 가압면과 동일하거나 또는 가압면보다 설치면에 보다 가까운 측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양태의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에, 그 볼록부의 선단을 향함에 따라 상기 가압부의 가압면에 접근하는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퍼를 형성함으로써, 가압부를 맞댈 때에 볼록부가 상대측의 가압부와 충돌할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양태의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쌍의 가압부의 각각에, 상기 볼록부 및/또는 상기 오목부가,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상기 심선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 및/또는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와 오목부를 교대로 배치함으로써, 설치부에 설치되는 심선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 지점에서 심선을 보다 확실하게 압착할 수 있다.
상기 양태의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창이,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상기 심선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1 개 또는 복수의 상기 볼록부, 및/또는 1 개 또는 복수의 상기 오목부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양태의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쌍의 가압부의 쌍방에 상기 창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쌍의 가압부가 상기 설치부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에, 상기 쌍의 가압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창이,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상기 심선의 폭 방향에 있어서 연결되어도 된다.
이 양태의 동축 커넥터에 의하면, 쌍의 가압부의 쌍방에 형성된 창을 심선의 폭 방향「β」에 있어서 연결시킴으로써, 보다 큰 범위에서 심선의 접속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양태의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상기 심선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창보다 상기 심선의 선단측에, 상기 가압부의 가압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의 동축 커넥터에 의하면, 심선의 선단측을 압착시킴으로써, 창을 통하여 편차가 발생하기 쉬운 심선의 선단측이 외부로 튀어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양태의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맞댐면이 맞닿음면이어도 된다.
이 양태의 동축 커넥터에 의하면, 맞댐면을 맞닿게 함으로써, 서로 맞댄 가압부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양태에 의한 동축 커넥터 장치는, 단자와, 상기 단자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덮는 도체 쉘과, 동축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단자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심선이 설치된 설치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설치부를 향하여 절곡된 가압부를 갖고, 상기 가압부는, 그 가압부와 상기 설치부 사이에 끼워넣어진 상기 심선에 대해 상기 설치부와는 반대측에 상기 심선을 시인 가능하게 하는 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서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심선의 접속 작업 중에 장치를 뒤집지 않고 접속 상태의 확인을 실시할 수 있는, 접속 상태의 확인이 용이한 시인창을 갖는 동축 커넥터, 및 그 동축 커넥터를 사용한 동축 커넥터 장치가 제공된다.
도 1 은 동축 커넥터와 기판측 장치와의 발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동축 커넥터를 동축 케이블과 함께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동축 케이블을 설치한 직후의 동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평면도이다.
도 5 는 조립 완료 후의 동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평면도이다.
도 7 은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4 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4 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10 은 도 8 이나 도 14 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1 은 도 9 나 도 15 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2 는 도 6 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13 은 도 6 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14 는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동축 케이블을 설치한 직후의 동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5 는 도 14 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조립 완료 후의 동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6 은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동축 케이블을 설치한 직후의 동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7 은 종래의 동축 커넥터의 커넥터 구조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동축 커넥터, 및 그 동축 커넥터를 사용한 동축 커넥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만을 나타내지만, 물론,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 (3) 에 동축 케이블 (10) 의 일단을 접속한 동축 커넥터 장치 (1) 를, 그 장치 (1) 와 끼워맞춤/발거 가능한 동축 커넥터 (9) 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은, 특히, 동축 커넥터 장치 (1) 와 동축 커넥터 (9) 의 발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동축 커넥터 (9) 는, 도시와 같이 기판 접속형이어도 되지만, 동축 커넥터 장치 (1) 와 마찬가지로, 케이블 접속형이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동축 케이블 (10) 의 연장 방향을「α」방향, 동축 케이블 (10) 의 폭 방향을「β」방향, 동축 커넥터 장치 (1) 와 동축 커넥터 (9) 가 끼워맞춤/발거되는 방향을「γ」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동축 커넥터 (9) 는, 회로 기판 (도시되어 있지 않음) 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동축 커넥터 (9) 는, 주로 절연성의 하우징 (93) 과, 원환상의 외부 도체 (91) 와, 봉상의 중심 도체 (92) 를 포함한다. 외부 도체 (91) 와 중심 도체 (92) 는, 하우징 (93) 과 일체 성형되어 있다. 외부 도체 (91) 는 외부 접속부 (94) 를 통하여 회로 기판에 접속 가능하고, 중심 도체 (92) 는, 외부 접속부 (95) 를 통하여 회로 기판에 접속 가능하다. 동축 커넥터 (9) 와 동축 커넥터 장치 (1) 의 끼워맞춤시에, 중심 도체 (92) 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내부에 형성된 단자와 접속되고, 외부 도체 (91) 는, 동축 커넥터 장치 (1) 의 외부를 덮는 도체 쉘 (70) 에 형성된 대략 환상의 끼워맞춤부 (72) 에 접속된다. 이 접속을 통하여, 동축 커넥터 장치 (1) 는, 회로 기판의 소정 부분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2 에, 동축 커넥터 장치 (1) 의 분해 사시도, 바꾸어 말하면, 동축 커넥터 (3) 의 분해 사시도를 동축 케이블 (10) 과 함께 나타낸다. 또, 도 3 에 동축 커넥터 (3) 에 동축 케이블 (10) 을 설치한 직후의 사시도, 도 4 에 그 평면도를, 또한 도 5 에 조립 완료 후의 동축 커넥터 장치 (1) 의 사시도, 도 6 에 그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동축 커넥터 (3) 는, 주로 단자 (20) 와, 그 단자 (20) 를 지지하는 하우징 (40) 과, 그 하우징 (40) 의 외부를 덮는 도체 쉘 (70) 을 포함하고, 동축 커넥터 장치 (1) 는, 추가로 동축 케이블 (10) 을 포함한다. 도 7 은, 하우징 (40) 단체의 사시도를, 도 2 와는 각도를 바꾸어 나타낸 것이다. 특별히 설명하는 점을 제외하고, 동축 커넥터 (3) 및 동축 커넥터 장치 (1) 는 기본적으로 좌우 대칭 형상인 것으로 생각해도 된다. 이하, 필요에 따라 부호「A」또는「B」를 사용함으로써 좌우를 구별하여 설명을 실시한다.
동축 케이블 (10) 에는, 종래 일반의 동축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동축 케이블 (10) 은, 최외각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외피 (11), 외부 도체 (12), 절연체 (13), 심선 (14) 을 포함한다.
단자 (20) 는, 동축 케이블 (10) 의 축선 방향「α」를 따라 길이 부분을 갖는다. 단자 (20) 의 전방에는 접촉부 (22) 가, 단자 (20) 의 후방에는 설치부 (24)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 (22) 는, 동축 커넥터 장치 (1) 가 기판측의 동축 커넥터 (9) 와 끼워맞춰졌을 때에, 기판측의 동축 커넥터 장치 (9) 의 중심 도체 (92) (도 1 참조) 와 접속된다. 접촉부 (22) 는, 기판측의 동축 커넥터 장치 (9) 와의 끼워맞춤측을 향하여 세워 형성된 2 개의 탄성편 (22a) 을 포함한다. 기판측 장치 (9) 의 중심 도체 (92) 는, 이들의 탄성편 (22a) 의 사이에 끼워넣어진다. 물론,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간단한 삽입공으로 해도 된다.
설치부 (24) 에는, 동축 커넥터 장치 (1) 의 조립시에, 동축 케이블 (10) 의 심선 (14) 이 설치, 접속된다. 이 결과, 단자 (20) 를 통하여 심선 (14) 과, 기판측의 중심 도체 (92) 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설치부 (24) 를 형성하는 면은 대략 평탄하지만, 끼워맞춤/발거 방향「γ」를 따라 약간 돌출 혹은 패인 상태로 해도 된다. 이로써, 심선 (14) 과의 접촉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패임부 (24a) 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40) 은, 주로 조립 완료시에 대략 직방 형상이 되는 본체 (46) 와, 본체 (46) 의 전측에 위치하는 원형부 (47) 를 포함한다. 본체 (46) 와 원형부 (47) 는, 판상의 넥부 (48) 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하우징 (40) 은 단자 (20) 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실제상, 이들을 분리할 수는 없다. 도 2 는, 편의상 이들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하우징 (40) 과 단자 (20) 가 일체 성형된 후에도, 단자 (20) 의 일부, 즉 접촉부 (22) 와 설치부 (24) 및 이들의 주변부는, 하우징 (40) 의 외부로 노출된 채이다. 접촉부 (22) 는, 하우징 (40) 의 원형부 (47) 에 형성된 환상 돌출부 (44) 의 관통공 (43) 에 배치된다. 관통공 (43) 에 있어서, 접촉부 (22) 는, 끼워맞춤/발거 방향「γ」를 따라 직립하고 있다.
설치부 (24) 는, 끼워맞춤/발거측의 면을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배치된다. 설치부 (24) 의 바닥부측은, 하우징 (40) 의 본체 (46) 에 형성한 패임부 (64) 에 끼워넣어진다. 설치부 (24) 의 상방에는, 지지편 (53) 을 통하여 본체 (46) 에 연결된 가압부 (50) 가 배치된다. 가압부 (50) 는, 쌍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쌍을 이루는 이들의 가압부 (50A, 50B) 는 각각, 설치부 (24) 에 설치되는 심선 (14) 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각 측에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 (50A, 50B) 는, 지지편 (53A, 53B) 을 이용하여, 설치부 (24) 를 향하여 절곡할 수 있다. 절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지지편 (53A, 53B) 은 박판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부 (50A, 50B) 를 설치부 (24) 를 향하여 절곡했을 때, 심선 (14) 은 가압부 (50A, 50B) 와 설치부 (24) 사이에 끼워넣어진다. 가압부 (50A, 50B) 에는 각각, 심선 (14) 을 시인 가능하게 하는 창 (60A, 60B)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창 (60A, 60B) 은, 가압부 (50A, 50B) 가 설치부 (24) 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에 가압부 (50A, 50B) 와 설치부 (24) 사이에 끼워넣어지는 심선 (14) 에 대해 설치부 (24) 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들의 창 (60A, 60B) 을 통하여, 심선 (14) 의 접속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쌍의 가압부 (50A, 50B) 가 설치부 (24) 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 쌍의 가압부 (50A, 50B) 에 각각 형성된 창 (60A, 60B) 은, 설치부 (24) 에 설치되는 심선 (14) 의 폭 방향「β」에 있어서 연결된다. 이와 같이 2 개의 창 (60A, 60B) 을 연결시킴으로써, 창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도체 쉘 (70) 은 한 장의 판상 금속을 타발하여,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체 쉘 (70) 은, 전방에 형성된 대략 환상의 끼워맞춤부 (72) 에 더하여, 후방을 향하여, 압착편 (80), 압착 배럴 (83), 및 압착 배럴 (84) 을 이것들의 순으로 갖는다. 압착편 (80) 은, 동축 케이블 (10) 의 심선 (14) 을 압착하기 위한 것, 압착 배럴 (83) 은, 외부 도체 (12) 를 압착하기 위한 것, 압착 배럴 (84) 은, 외피 (11) 를 압착하기 위한 것이다.
끼워맞춤부 (72) 는, 전단 (前端) 에 형성된 절곡편 (74a) 을 통하여, 스콥상의 재치부 (74) 에 접속된다. 도체 쉘 (70) 은, 이 절곡편 (74a) 을 중심으로 재치부 (74) 에 대해 절곡하는 것이 가능하다.
압착편 (80) 은, 가압부 (50) 에 대응하여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쌍을 이루는 이들의 압착편 (80A, 80B) 은 각각, 설치부 (24) 에 설치되는 심선 (14) 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각 측에 형성되어 있다. 압착편 (80A, 80B) 은, 하우징 (40) 의 가압부 (50A, 50B) 를 향하여 절곡할 수 있다. 압착편 (80A, 80B) 을 절곡함으로써, 가압부 (50A, 50B) 와 설치부 (24) 사이에 심선 (14) 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가압부 (50A, 50B) 를 심선 (14) 에 대해 압착, 고정시킬 수 있다.
가압부 (50A, 50B) 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에 서로 맞대어지는 압착편 (80A, 80B) 의 가장자리 (87A, 87B) 에, 가압부 (50A, 50B) 의 창 (60A, 60B) 과 연통하여 심선 (14) 을 시인 가능하게 하는 창 (81A, 81B)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창 (81A, 81B) 은, 가압부 (50A, 50B) 의 창 (60A, 60B) 과 마찬가지로, 가압부 (50A, 50B) 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에 압착편 (80A, 80B) 과 설치부 (24) 사이에 끼워넣어지는 심선 (14) 에 대해 설치부 (24) 와는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창 (81A, 81B) 은, 예를 들어, 절결이어도 된다. 사용자는, 이들의 창 (81A, 81B) 을 통하여, 심선 (14) 의 접속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쌍의 가압부 (50A, 50B) 가 설치부 (24) 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 이들의 창 (81A, 81B) 은, 설치부 (24) 에 설치되는 심선 (14) 의 폭 방향「β」에 있어서 연결된다. 이와 같이, 2 개의 창 (81A, 81B) 을 연결시킴으로써 창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압착편 (80) 에 창 (80) 을 형성하지 않고, 가압부 (50A, 50B) 의 창 (60A, 60B) 의 주변에 있어서 압착편을 제거해도 된다. 단, 창 (80A, 80B) 을 형성함으로써, 가압부 (50A, 50B) 의 창 (60A, 60B) 의 주변에 있어서도 도체 쉘을 장착하여 압착력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도 5, 도 6 에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쌍의 압착편 (80A, 80B) 을 설치부 (24) 를 향하여 절곡했을 때에, 이들 쌍의 압착편 (80A, 80B) 의 가장자리 (87A, 87B) 끼리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그것들의 사이에 소정의 거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착편 (80A, 80B) 끼리의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그것들이 간섭함으로써 발생하는 금속편 등의 찌꺼기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 그것들의 가장자리 (87A, 87B) 가 맞대어지는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하여, 그것들의 가장자리 (87A, 87B) 에, 창 (81) 과 동일한 절결 (85) 을 작게 형성해도 된다. 압착편 (80A, 80B) 끼리가 맞대어지는 길이를 줄임으로써, 압착편 (80A, 80B) 끼리가 간섭할 가능성을 줄이고, 그것들이 간섭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금속편 등의 찌꺼기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압착 배럴 (83) 은, 외부 도체 (12) 에 대해 환상으로 코킹된다. 압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압착 배럴 (83) 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 (83a) 를 형성해도 된다. 과도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압착 배럴 (83A) 에는 오목부 (83b) 를, 압착 배럴 (83B) 에는 볼록부 (83c) 를 각각 형성하고, 이들이 조합되었을 때의 내경을 조정해도 된다.
압착 배럴 (84) 은, 외피 (11) 에 대해 환상으로 코킹된다. 압착 배럴 (83) 과 마찬가지로, 압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압착 배럴 (84) 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 (84a) 를 형성해도 된다.
도 2 에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 커넥터 장치 (1) 를 조립할 때에는, 도체 쉘 (70) 에 대해, 일체 성형된 단자 (20) 및 하우징 (40) 과, 동축 케이블 (10) 을, 이것들의 순으로 장착한다. 장착은, 동축 커넥터 장치 (1) 와 기판측의 동축 커넥터 (9) 의 끼워맞춤/발거 방향「γ」를 따라 실시한다.
먼저, 일체 성형된 단자 (20) 및 하우징 (40) 을, 도체 쉘 (70) 에 설치한다. 이 때, 하우징 (40) 의 단면 대략 역사다리꼴 부분 (66) (도 2, 도 9, 도 11, 도 13 참조) 의 주변에 형성된 패임부 (66a) 에, 도체 쉘 (70) 의 단면 대략 역 ハ 자상의 한 쌍의 절기부 (切起部) (86A, 86B) 가 끼워넣어지고, 이로써 하우징 (40) 은 도체 쉘 (70) 의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하우징 (40) 의 단면 대략 역사다리꼴 부분 (66) (도 2, 도 9, 도 11, 도 13 참조) 은, 하우징 (40) 의 본체 (46) 에 있어서, 가압부 (50) 를 형성한 측과는 설치부 (24) 에 대해 반대측에 패임부 (66a) 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 도체 쉘 (70) 의 한 쌍의 절기부 (86A, 86B) 는, 설치부 (24) 에 설치되는 심선 (14) 의 폭 방향「β」에 있어서 도체 쉘 (70) 의 한 쌍의 압착편 (80A, 80B) 사이에 배치되고, 평탄한 바닥판 (82) 을 대략 コ 자상으로 잘라냄으로써 형성된 설편의 자유단 (86b) 을 밑동 (86a) 부근에 있어서 하우징 (40) 의 설치측을 향하여, 또한 그것들 설편의 자유단 (86b) 끼리가 선단을 향함에 따라 서로 이간되도록 각도를 부여하여 세워 형성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끼워맞춤부 (72) 를, 재치부 (74) 와 연결된 절곡편 (74a) 을 중심으로, 하우징 (40) 의 환상 돌출부 (44) 를 향하여 절곡한다. 도 2 는, 끼워맞춤부 (72) 를 이미 절곡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의 조립시에는, 재치부 (74) 에 하우징 (40) 의 원형부 (47) 를 설치한 후에, 끼워맞춤부 (72) 를 재치부 (74) 의 측으로 절곡한다.
그 후, 동축 케이블 (10) 을, 하우징 (40) 이나 도체 쉘 (70) 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고, 도체 쉘 (70) 의 압착편 (80), 압착 배럴 (83), 및 압착 배럴 (84) 을 각각 절곡하거나, 또는 코킹한다. 또한, 하우징 (40) 에 형성된 창 (60) 이나 압착편 (80) 에 형성된 창 (81) 은, 가압부 (50) 가 설치부 (24) 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에 설치부 (24) 와의 사이에 끼워넣어지는 심선 (14) 에 대해 설치부 (24) 와는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구성에 의하면, 접속 작업 중에 장치를 뒤집지 않고 심선 (14) 의 접속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 및 도 7 을 참조하여, 하우징 (40) 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우징 (40) 의 본체 (46) 에 형성된 쌍의 가압부 (50A, 50B) 에는, 각각, 설치부 (24) 에 설치되는 심선 (14) 의 연장 방향「α」를 따라,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대략 직방 형상의 전부 (前部) (54A, 54B), 패임상의 창 (60A, 60B), 평판상의 덮음부 (55A, 55B) 가 이들의 순으로 형성되어 있다. 덮음부 (55A, 55B) 는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후부 입벽 (59A, 59B) 의 상방에 미치고 있다.
전부 (54A, 54B) 는, 설치부 (24) 에 설치되는 심선 (14) 의 연장 방향「α」에 있어서, 창 (60A, 60B) 보다 더욱 심선 (14) 의 선단 (14a)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편차가 발생하기 쉬운 심선 (14) 의 선단 (14a) 측을, 전부 (54A, 54B) 의 가압면 (52A, 52B) 에 의해 압착하고, 심선 (14) 이 창 (60) 을 통한 심선 (14) 의 외부로의 튀어나옴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압부 (50A, 50B) 가 설치부 (24) 를 향하여 도시「β1」방향으로 절곡되었을 때, 전부 (54A, 54B) 는, 넥부 (48) 에 형성된 압입 돌기 (41) 에 압입된다. 압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압입 돌기 (41) 에, 전부 (54A, 54B) 를 안내하는 테이퍼 (41a) 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부 (54A, 54B) 와 덮음부 (55A, 55B) 는, 각각, 가압부 (50A, 50B) 가 설치부 (24) 를 향하여「β1」방향으로 절곡되었을 때에「β」방향에 있어서 서로 맞대어지는 맞댐면 (51A, 51B) 을 구성할 수 있다. 이들의 맞댐면 (51A, 51B) 은 맞닿음면으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맞댐면 (51A, 51B) 을 서로 맞닿는 맞닿음면으로 함으로써, 도체 쉘 (70) 에 상관없이, 가압부 (50A, 50B) 의 접촉 상태를 소정의 힘으로 유지할 수 있다.
덮음부 (55A) 의 바닥면측에, 맞댐면 (51A) 으로부터 돌출된 볼록부 (56A) 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 (56A) 는, 가압부 (50A, 50B) 가 설치부 (24) 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에 덮음부 (55A) 에 있어서의 맞댐면 (51A) 보다 맞댐 방향「β」에 있어서 상대방의 가압부 (50B) 의 측으로 돌출되고, 상대측의 가압부 (50B) 의 맞댐면 (51B) 을 넘어 상대측의 가압부 (50B) 의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덮음부 (55B) 의 바닥면측에, 맞댐면 (51B) 으로부터 돌출된 볼록부 (56B, 56B')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볼록부 (56B, 56B') 는, 가압부 (50A, 50B) 가 설치부 (24) 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에 덮음부 (55B) 에 있어서의 맞댐면 (51B) 보다 맞댐 방향「β」에 있어서 상대방의 가압부 (50A) 의 측으로 돌출되고, 상대측의 가압부 (50A) 의 맞댐면 (51A) 을 넘어 상대측의 가압부 (50A) 의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들 볼록부 (56A, 56B, 56B') 를 형성함으로써, 가압부 (50A, 50B) 가 설치부 (24) 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에, 설치부 (24) 에 설치되는 심선 (14) 의 폭 방향「β」에 있어서의 가압부 (50) 의 가압면 (52) 의 길이를 길게 하여, 심선 (14) 을 보다 확실하게 압착시킬 수 있다.
볼록부 (56A, 56B, 56B') 는 각각, 가압부 (50A, 50B) 가 설치부 (24) 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에「γ」방향에 있어서 설치부 (24) 와 대면하는 가압면 (52A, 52B) 을 구성할 수 있다. 가압부 (50A, 50B) 가 설치부 (24) 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에, 설치부 (24) 에 설치된 심선 (14) 은, 이들 가압부 (50A, 50B) 의 가압면 (52A, 52B) 과 설치부 (24) 사이에 끼워넣어진다. 이와 같이 볼록부 (56A, 56B, 56B') 의 일부를 가압면 (52A, 52B) 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심선 (14) 을 보다 효과적으로 압착시킬 수 있다.
볼록부 (56A) 에 대응하여, 상대측의 가압부 (50B) 의 맞댐면 (51B) 에, 볼록부 (56A) 와 맞물리는 오목부 (58B) 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58B) 는, 가압부 (50A, 50B) 가 설치부 (24) 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에, 덮음부 (55B) 에 있어서의 맞댐면 (51B) 보다, 맞댐 방향「β」에 있어서 덮음부 (55A) 에 있어서의 맞댐면 (51A) 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패여 있다.
마찬가지로, 볼록부 (56B, 56B') 에 대응하여, 상대측의 가압부 (50A) 의 맞댐면 (51A) 에, 볼록부 (56B, 56B') 와 맞물리는 오목부 (58A, 58A') 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58A, 58A') 는, 가압부 (50A, 50B) 가 설치부 (24) 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에, 덮음부 (55A) 에 있어서의 맞댐면 (51A) 보다, 맞댐 방향「β」에 있어서 덮음부 (55B) 에 있어서의 맞댐면 (51B) 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패여 있다.
이들 볼록부 (56A, 56B, 56B') 와 오목부 (58B, 58A, 58A') 는, 가압부 (50A, 50B) 가 설치부 (24) 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에 서로 맞물리고, 이로써 장치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오목부 (58B) 는, 가압부 (50B) 의 가압면 (52B) 측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가압부 (50B) 의 가압면 (52B) 보다 가압면 (52B) 으로부터 떨어지는 측을 향하여 패인 패임부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동일하게, 오목부 (58A, 58A') 는, 가압부 (50A) 의 가압면 (52A) 측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가압부 (50A) 의 가압면 (52A) 보다 가압면 (52A) 로부터 떨어지는 측을 향하여 패인 패임부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오목부 (58B, 58A, 58A') 를 가압면 (52B, 52A) 측을 개방시킨 패임부로서 형성함으로써, 가압부 (50A, 50B) 가 설치부 (24) 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에, 볼록부 (56A, 56B, 56B') 를, 가압면 (52B, 52A) 과 동일하거나 또는 가압면 (52B, 52A) 보다 설치부 (24) 에 보다 가까운 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볼록부 (56A, 56B, 56B') 에, 볼록부 (56A, 56B, 56B') 의 선단 (56a) 을 향함에 따라 가압부 (50A, 50B) 의 가압면 (52A, 52B) 에 접근하는 테이퍼 (65A, 65B, 65B') 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퍼 (65A, 65B, 65B') 를 형성함으로써, 볼록부 (56A, 56B, 56B') 와 오목부 (58B, 58A, 58A') 를 서로 맞물리게 할 때에, 볼록부 (56A, 56B, 56B') 가 상대측의 가압부와 충돌할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볼록부나 오목부의 수는, 물론,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이들은 교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와 오목부를 교대로 배치함으로써, 설치부 (24) 에 설치되는 심선 (14) 의 연장 방향「α」를 따라 복수 지점에서 심선 (14) 을 보다 확실하게 압착시킬 수 있다. 또, 도시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창 (60) 은, 어느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창 (60) 은, 설치부 (24) 에 설치되는 심선 (14) 연장 방향「α」에 있어서, 1 개 또는 복수의 볼록부, 및/또는 1 개 또는 복수의 오목부와 서로 이웃하여 배치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3 을 참조하여, 심선 (14) 의 압착 과정을 설명한다. 도 8 은 도 4 의 A-A 선 단면도, 도 9 는 도 4 의 B-B 선 단면도로서, 모두 동축 케이블 (10) 을 설치한 직후의 동축 커넥터 장치 (1) 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12 는 도 6 의 A-A 선 단면도, 도 13 은 도 6 의 B-B 선 단면도로서, 모두 조립 완료 후의 동축 커넥터 장치 (1) 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 은 도 8 이나 도 12 에 상당하는 단면도, 도 11 은 도 9 나 도 13 에 상당하는 단면도 로서, 이들의 도중 단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 도 9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 (10) 을 설치부 (24) 에 설치할 때, 가압부 (50A, 50B) 는 모두 개방 위치에 있다. 동축 케이블 (10) 이 설치부 (24) 에 설치된 후, 지그 등을 사용하여, 도 10,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 쉘 (70) 의 압착편 (80A, 80B) 이 각각, 가압부 (50A, 50B) 를 향하여 도시「β1」방향으로 절곡되고, 이 결과, 압착편 (80A, 80B) 과의 접촉을 통하여, 하우징 (40) 의 가압부 (50A, 50B) 가 각각, 지지편 (53A, 53B) 을 중심으로 설치부 (24) 를 향하여 절곡된다. 이 때, 가압부 (50A) 의 볼록부 (56A) 는 가압부 (50B) 의 오목부 (58B) 와, 가압부 (50B) 의 볼록부 (56B') 는 가압부 (50A) 의 오목부 (58A') 와, 가압부 (50B) 의 볼록부 (56B) 는 가압부 (50A) 의 오목부 (58A) 와 각각 맞물린다. 이 결과, 볼록부 (56A, 56B', 56B) 의 압착면 (52A, 52B) 은, 설치부 (24) 에 설치된 심선 (14) 에 이르러, 도 12,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선 (14) 은, 압착편 (80A, 80B) 과 설치부 (24) 사이에 끼워넣어진다. 이와 같이, 볼록부 (56) 를 형성함으로써, 설치부 (24) 에 설치되는 심선 (14) 의 폭 방향「β」에 있어서의 가압부 (50) 의 가압면 (52A) 의 길이를 길게 하여, 심선 (14) 을 보다 확실하게 압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부 (50) 는, 설치부 (24) 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에 가압부 (50) 의 가압면 (52) 과 설치부 (24) 사이에 간극「d」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여러 가지 직경의 심선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4, 도 15 에, 도 1 등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4, 도 15 는 각각, 도 3, 도 5 에 상당한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도 1 등과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또, 변경한 부재에는,「C」의 문자를 부여하고 있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앞의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생각해도 된다. 이 변형예에서는, 가압부 (50C) 가 설치부 (24) 에 설치되는 심선 (14) 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일방의 측에만 형성되어 있다. 심선 (14) 을 보다 광범위하게 압착시키기 위하여, 가압부 (50C) 는, 도 1 등의 가압부 (50A, 50B) 와 비교하여 길게 설정되어 있다. 창 (60C) 은, 가압부 (50C) 에만 형성되어 있다.
도 16 에, 도 1 등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도면은, 도 3 이나 도 14 에 상당하는 사시도이다. 앞의 실시형태와의 주된 상이는, 압착편 (89A) 이, 동축 케이블의 연장 방향「α」에 있어서, 큰 절결 (88A) 에 의해 압착편 (89Aa) 과 압착편 (89Ab) 으로 분리되어 있는 점, 마찬가지로, 압착편 (89B) 이, 큰 절결 (88B) 에 의해 압착편 (89Ba) 과 압착편 (89Bb) 으로 분리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도 1 등과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앞의 실시형태와 실질적 동일한 것으로 생각해도 된다.
압착편 (89) 을「β1」방향에 있어서 하우징 (40) 을 향하여 절곡했을 때, 압착편 (89Aa, 89Ba) 에 대해서는, 하우징 (40) 의 유지부 (67) 와 간섭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충분한 절곡을 실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압착편 (89Aa, 89Ba) 은, 하우징 (40)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약간 뜬 상태에서 압착된다. 만일, 압착편 (89Aa) 과 압착편 (89Ab) 이나, 압착편 (89Ba) 과 압착편 (89Bb) 이 충분히 분리되어 있지 않으면, 압착편 (89Ab, 89Bb) 역시, 압착편 (89Aa, 89Ba) 의 영향을 받아 불충분한 상태에서 압착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교적 큰 창, 즉 압착편 (80) 을 절곡하여 박스상으로 형성했을 때에 측면까지 미치는 절결 (88A, 88B) 을 형성하고, 절곡의 기능에 관하여 각각의 압착편 (89) 의 독립성을 높여,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적어도 압착편 (89Ab, 89Bb) 에 대해서는, 유지부 (67) 와의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고, 하우징 (40) 을 향하여 충분한 절곡 각도를 가지고 절곡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밖에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1 : 케이블측의 동축 커넥터 장치
9 : 기판측의 동축 커넥터
10 : 동축 케이블
14 : 심선
20 : 단자
24 : 설치부
40 : 하우징
50 : 가압부
51 : 맞댐면
52 : 가압면
53 : 지지편
60 : 창
70 : 도체 쉘
80, 80 : 압착편
81 : 창
83 : 압착 배럴

Claims (16)

  1. 단자와,
    상기 단자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덮는 도체 쉘을 구비하고,
    상기 단자는, 동축 케이블의 심선이 설치되는 설치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설치부를 향하여 절곡 가능하게 형성된 가압부를 갖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설치부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에 상기 가압부와 상기 설치부 사이에 끼워넣어지는 상기 심선에 대해 상기 설치부와는 반대측에 상기 심선을 시인 가능하게 하는 창을 갖고,
    상기 도체 쉘은, 상기 가압부를 향하여 절곡 가능하게 형성된 압착편을 갖고,
    상기 압착편은, 상기 가압부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에 상기 압착편과 상기 설치부 사이에 끼워넣어지는 상기 심선에 대해 상기 설치부와는 반대측에, 상기 가압부의 창과 연통하여 상기 심선을 시인 가능하게 하는 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설치부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에 상기 가압부의 가압면과 상기 설치부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동축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가,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상기 심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일방의 측에만 형성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가,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상기 심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각 측에 형성된 쌍의 가압부로 이루어지는 동축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쌍의 가압부는 각각, 상기 설치부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에 서로 맞대어지는 맞댐면을 갖고,
    적어도 일방의 가압부의 맞댐면에, 상대측의 가압부의 맞댐면을 넘어 상기 상대측의 가압부의 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일부가 상기 가압부의 가압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여, 상대측의 상기 가압부의 맞댐면에, 상기 볼록부와 맞물리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가 상기 가압부의 가압면보다 그 가압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측을 향하여 패인 패임부인 동축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에, 그 볼록부의 선단을 향함에 따라 상기 가압부의 가압면에 접근하는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쌍의 가압부의 각각에, 상기 볼록부 및/또는 상기 오목부가,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상기 심선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 및/또는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창이,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상기 심선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1 개 또는 복수의 상기 볼록부, 및/또는 1 개 또는 복수의 상기 오목부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쌍의 가압부의 쌍방에 상기 창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쌍의 가압부가 상기 설치부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에, 상기 쌍의 가압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창이,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상기 심선의 폭 방향에 있어서 연결되는 동축 커넥터.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상기 심선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창보다 상기 심선의 선단측에, 상기 가압부의 가압면이 형성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맞댐면이 맞닿음면인 동축 커넥터.
  16. 단자와,
    상기 단자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덮는 도체 쉘과,
    동축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단자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심선이 설치된 설치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설치부를 향하여 절곡된 가압부를 갖고,
    상기 가압부는, 그 가압부와 상기 설치부 사이에 끼워넣어진 상기 심선에 대해 상기 설치부와는 반대측에 상기 심선을 시인 가능하게 하는 창을 갖고,
    상기 도체 쉘은, 상기 가압부를 향하여 절곡 가능하게 형성된 압착편을 갖고,
    상기 압착편은, 상기 가압부를 향하여 절곡되었을 때에 상기 압착편과 상기 설치부 사이에 끼워넣어지는 상기 심선에 대해 상기 설치부와는 반대측에, 상기 가압부의 창과 연통하여 상기 심선을 시인 가능하게 하는 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장치.
KR1020170068829A 2016-07-22 2017-06-02 시인창을 갖는 동축 커넥터, 및 그 동축 커넥터를 사용한 동축 커넥터 장치 KR1022911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44566A JP6802654B2 (ja) 2016-07-22 2016-07-22 視認窓を有する同軸コネクタ、及び、該同軸コネクタを用いた同軸コネクタ装置
JPJP-P-2016-144566 2016-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971A KR20180010971A (ko) 2018-01-31
KR102291181B1 true KR102291181B1 (ko) 2021-08-18

Family

ID=61019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829A KR102291181B1 (ko) 2016-07-22 2017-06-02 시인창을 갖는 동축 커넥터, 및 그 동축 커넥터를 사용한 동축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02654B2 (ko)
KR (1) KR102291181B1 (ko)
CN (1) CN107645108B (ko)
TW (1) TWI7291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78705B2 (ja) * 2018-02-15 2020-11-04 Dxアンテナ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用プラグ
JP6974226B2 (ja) * 2018-03-23 2021-12-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対の圧着片を有するハウジングを備えた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JP7057968B2 (ja) * 2018-03-30 2022-04-21 マスプロ電工株式会社 同軸プラグコネクタ
CN113039442A (zh) * 2018-11-19 2021-06-25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探头
JP7143207B2 (ja) * 2018-12-21 2022-09-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対の圧着片を有するハウジングを備えた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JP7143206B2 (ja) * 2018-12-21 2022-09-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対の圧着片を有するハウジングを備えた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WO2020162370A1 (ja) * 2019-02-04 2020-08-13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
US11967789B2 (en) 2019-02-04 2024-04-23 I-Pex Inc.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with clamping feature for connecting to a cable
JP7196670B2 (ja) * 2019-02-04 2022-12-27 I-Pex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674474B1 (ko) * 2019-05-20 2024-06-12 한국전력공사 안전형 압착터미널 및 이를 구비하는 단자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1281B2 (ja) * 1992-03-30 2001-01-31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上部車体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6555A (ja) * 1996-05-20 1997-11-28 Yazaki Corp 圧着端子及び圧着端子の圧着装置
TWM316566U (en) * 2007-01-24 2007-08-01 Joinsoon Electronic Mfg Co Ltd Coaxial wire connector with compression component
CN201041829Y (zh) * 2007-03-19 2008-03-26 宣德科技股份有限公司 同轴线缆连接器
TWM324334U (en) * 2007-05-08 2007-12-21 Insert Entpr Co Ltd Microwave connector for RF communication
US8096828B2 (en) * 2008-06-24 2012-01-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terminating a coaxial cable
CN201270348Y (zh) * 2008-09-10 2009-07-08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同轴连接器
CN201340916Y (zh) * 2009-01-04 2009-11-04 陈建廷 一种高频接头
JP5152301B2 (ja) * 2010-11-15 2013-02-27 Smk株式会社 L型同軸コネクタ
JP5757153B2 (ja) 2011-05-17 2015-07-29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装置
JP5522410B2 (ja) * 2011-10-12 2014-06-18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装置
JP5922442B2 (ja) * 2012-02-29 2016-05-24 矢崎総業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CN105518947A (zh) * 2013-08-22 2016-04-20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同轴连接器以及连接部
TWM486192U (zh) * 2014-04-03 2014-09-11 Chialin Prec Ind Co Ltd 同軸連接器改良
JP6399594B2 (ja) * 2014-12-02 2018-10-0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絶縁性能を高めた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JP6379403B2 (ja) * 2014-12-02 2018-08-2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芯線の保持、固定機能を有した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1281B2 (ja) * 1992-03-30 2001-01-31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上部車体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29127B (zh) 2021-06-01
CN107645108A (zh) 2018-01-30
CN107645108B (zh) 2021-02-26
KR20180010971A (ko) 2018-01-31
TW201810838A (zh) 2018-03-16
JP6802654B2 (ja) 2020-12-16
JP2018014293A (ja)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1181B1 (ko) 시인창을 갖는 동축 커넥터, 및 그 동축 커넥터를 사용한 동축 커넥터 장치
JP4720881B2 (ja) L型同軸コネクタ
TWI656698B (zh) 具有芯線的保持、固定功能的同軸電纜連接器
CN109478750B (zh) 具有端子支承体的电连接器
WO2014054672A1 (ja) 端子及び端子の製造方法
CN108701941B (zh) 具备具有锁定机构的壳的连接器以及连接器装置
JP7021086B2 (ja) ケーブル保持体を有するケーブルコネクタ
EP0863575A1 (en) Right angle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JPH06275326A (ja) ケーブル接続コンタ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US7232341B2 (en) Connector in which a shell can be readily assembled to a connector housing
JP5053759B2 (ja) ソケット端子
JP2013258046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製造方法
US4624525A (en) Coaxial cable connector
KR102653981B1 (ko) 쌍의 압착편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한 동축 케이블 커넥터
US9768559B2 (en) Shield housing and socket connector
CN108110464B (zh) 连接器端子
KR102653983B1 (ko) 쌍의 압착편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한 동축 케이블 커넥터
JP2009193764A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雌雄同形端子
CN105826709A (zh) 同轴型电连接器
JP2006202644A (ja) 電気コネクタ用シェル、電気コネクタ及びこの製造方法
EP2937950B1 (en) Connector
JP2017027842A (ja) L型同軸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02665B2 (ja) L型同軸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886910B2 (ja) コネクタ組立体
JP3920255B2 (ja) 同軸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