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317B1 - 공정 유닛 - Google Patents

공정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317B1
KR102096317B1 KR1020170091724A KR20170091724A KR102096317B1 KR 102096317 B1 KR102096317 B1 KR 102096317B1 KR 1020170091724 A KR1020170091724 A KR 1020170091724A KR 20170091724 A KR20170091724 A KR 20170091724A KR 102096317 B1 KR102096317 B1 KR 102096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tate
camera module
module
proces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1135A (ko
Inventor
최상진
Original Assignee
(주)인스케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스케이프 filed Critical (주)인스케이프
Priority to CN201820301461.6U priority Critical patent/CN208120166U/zh
Publication of KR20180101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모듈이 설치되며 전면이 정사각형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의 가장자리와 접하는 측면들 중 하나인 제1 측면에는 상기 지지 부재가 설치 가능한 제1 결합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의 가장자리와 접하는 측면들 중 상기 제1 측면과 접하는 제2 측면에는 상기 지지 부재가 설치 가능한 제2 결합 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제1 결합 구조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1 상태 및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제2 결합 구조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2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로 사용된다.

Description

공정 유닛{process unit}
본 발명은 공정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설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공정 유닛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단말기나 휴대용 컴퓨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는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는 모델들이 있으며,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 기능을 추가하는 요구는 갈수록 늘어가고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카메라는 소형의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는데, 최근에는 이러한 카메라 모듈의 자동 생산하는 생산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카메라 모듈의 생산 시스템은 복수의 카메라 모듈들이 수납된 카메라 모듈 어레이를 이송시키며 다양한 공정들을 수행하는데, 이송 편의성, 공정 편의성, 공정 장비의 제작 편의성 등으로 인해 카메라 모듈 어레이는 카메라 모듈의 광축이 상방을 향한 상태로 이송되며 처리된다.
그러나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의 실사용 환경은 카메라 모듈의 광축이 대략 수평에 가깝게 사용된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의 실사용 환경과 유사하게 카메라 모듈의 광축이 수평한 상태로 공정이 진행되는 생산 환경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필요에 따라 설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공정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모듈이 설치되며 전면이 정사각형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의 가장자리와 접하는 측면들 중 하나인 제1 측면에는 상기 지지 부재가 설치 가능한 제1 결합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의 가장자리와 접하는 측면들 중 상기 제1 측면과 접하는 제2 측면에는 상기 지지 부재가 설치 가능한 제2 결합 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제1 결합 구조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1 상태 및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제2 결합 구조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2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로 사용된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측면 또는 상기 제2 측면에 적어도 3개 이상 설치되는 지지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일렬로 배열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에서 각각 개폐 방향이 동일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개폐 방향이 동일하도록,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경첩의 일측이 장착되는 제1 경첩 결합 구조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경첩의 일측이 장착되는 제2 경첩 결합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경첩의 타측이 장착되는 제1 경첩 수용부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경첩의 타측이 장착되는 제2 경첩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구비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에는 피공정 대상물이 상기 하우징 내로 진입할 수 있는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공정 대상물은, 상기 제1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상기 투입구로 진입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상기 투입구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피공정 대상물은, 상기 제1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반출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반출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는 반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공정 대상물은 상기 반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반출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 하우징 내로 반입된 상기 피공정 대상물을 상기 하우징 내에서 이동시키는 이송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 모듈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피공정 대상물이 수직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에서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피공정 대상물을 측부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피공정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그립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필요에 따라 공정 유닛의 설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공정 유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의 내부에 장착되는 모듈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이송 모듈과 컨택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이송 모듈의 카메라 모듈 어레이 및 그립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컨택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오토 포커싱 캘리브레이션 모듈이 장착된 갠트리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커싱 캘리브레이션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테스트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의 하우징과 지지 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이 제1 상태로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이 제2 상태로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의 하우징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이 제1 상태로 사용될 때 도어와 하우징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이 제2 상태로 사용될 때 도어와 하우징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복수의 공정 유닛이 적층되어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복수의 공정 유닛이 적층되어 사용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1)은 하우징(50), 도어(10) 및 복수의 지지 부재(20, 40)를 포함한다.
하우징(50)은 전체적으로 대략 정육면체의 박스형 외관 또는 전면이 대략 정사각형으로 형성된 박스형 외관을 갖도록 형성된다. 하우징(50)의 전면은 개방되며 개방된 전면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10)가 구비된다. 도어(10)는 대략 정사각형의 외관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에는 공정 유닛(1)을 작동 상태 등이 디스플레이 되는 패널(12)이 구비될 수 있다. 패널(12)의 아래에는 도어(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투입구(11)가 형성된다. 투입구(11)는 피공정 대상물(121)이 공정 유닛(1)의 내부로 진입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정 유닛(1)의 일례로서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소형의 카메라 모듈의 제조 공정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는 공정 유닛을 제시하며, 피공정 대상물의 일례로서 카메라 모듈(L)이 수납된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 도 5 참고)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어(10)에는 조작 스위치(13) 및 긴급 버튼(14) 등이 마련된다. 긴급 버튼(14)는 비상 상황에서 공정 유닛(1) 내의 모듈들(110, 120, 130, 140, 150)의 적어도 일부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버튼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0)의 전면의 가장자리와 접하는 측면(51, 52)들 중 하우징(50)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제1 측면(52)에는 하우징(50)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20, 40)가 결합된다.
지지 부재(20, 40)는 지지 레그(40)와 지지 롤러(20)를 포함한다.
공정 유닛(1)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 레그(40)는 제1 측면(52)에 적어도 3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레그(40)가 사각형의 제1 측면(52)의 각 코너에 설치된다.
지지 롤러(20)는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여 하우징(5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 롤러(20)는 공정 유닛(1)이 슬라이딩되는 방향에 평행하게 제1 측면(52)의 양측에 설치된다(도 10 참고)
본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1)은 90도 회전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으므로(도 12 참고), 하우징(50)의 측면(51, 52)들 중 제1 측면(52)과 접하는 다른 하나의 측면인 제2 측면(51)에는 지지 부재(20, 4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 구조(31, 32)가 형성된다.
공정 유닛(1)을 90도 회전한 상태로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의 내부에 장착되는 모듈들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이송 모듈과 컨택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카메라 모듈 어레이 및 그립퍼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컨택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오토 포커싱 캘리브레이션 모듈이 장착된 갠트리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1)의 하우징(50)의 내부에는 차트 모듈(110), 이송 모듈(120), 컨택 모듈(130), 갠트리 모듈(140) 및 오토 포커싱 캘리브레이션 모듈(150)이 장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트 모듈(110)은 MTF 차트(101)와 차트 구동 수단(102)을 포함한다.
차트 모듈(110)은 하우징(50) 내부의 상부에 조립된다. 차트 구동 수단(102)은 MTF 차트(101)를 전후좌우,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다.
이송 모듈(120)은 카메라 모듈 어레이 투입구(11)를 통해 하우징(50)의 내부로 반입된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를 하우징(5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이송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모듈(120)은 그립퍼(122), 제1 슬라이딩 레일(123a) 및 제2 슬라이딩 레일(123b)를 포함한다.
그립퍼(122)는 제1 슬라이딩 레일(123a)을 따라 이동한다. 이송 모듈(120)은 그립퍼(122)를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더 구동 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퍼(122)의 상부에는 일정 범위 내에서 승강하며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의 일측을 잡는 파지조(122a)가 구비된다. 파지조(122a)는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가 공정 유닛(1)의 내부로 진입하면 상승하고,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의 일측이 파지조(122a)의 아래에 위치하면 하강하여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의 일측을 잡는다.
따라서, 그립퍼(122)가 제1 슬라이딩 레일(123a)을 따라 이동하면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는 그립퍼(122)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제1 슬라이딩 레일(123a)과 제2 슬라이딩 레일(123b)은 하우징(5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호 나란하게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딩 레일(123a)은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의 일측 하부에 위치하고, 제2 슬라이딩 레일(123b)은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의 타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1 슬라이딩 레일(123a)과 제2 슬라이딩 레일(123b)의 일측은 투입구(11)에 인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50)의 후면에는 제1 슬라이딩 레일(123a)과 제2 슬라이딩 레일(123b)의 타측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반출구(13, 도 12 참고)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레일(123a)과 제2 슬라이딩 레일(123b)을 따라 이동하며 하우징(50) 내에서 공정이 완료된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는 반출구(13)를 통해 공정 유닛(1)으로부터 반출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50) 내에서 공정이 완료된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는 제1 슬라이딩 레일(123a)과 제2 슬라이딩 레일(123b)을 따라 다시 제1 슬라이딩 레일(123a)과 제2 슬라이딩 레일(123b)의 일측으로 이동되어 투입구(11)를 통해 반출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는 복수의 열과 행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L)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도 5에는 3*15의 배열로 복수의 카메라 모듈(L)을 수용하는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가 도시되었으나, 수용되는 카메라 모듈(L)의 수 또는 배열 방식은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의 타입에 따라 달라지거나 카메라 모듈(L)의 타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모듈(120)에 의해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는 컨택 모듈(130)이 위치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 모듈(130)은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에 배열된 카메라 모듈(L)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카메라 모듈(L)의 초기화/제어 등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카메라 모듈(L)이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 컨택 모듈(130)은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의 하나의 행에 위치한 카메라 모듈(L)의 위치에 각각 대응하도록 개구(132a)가 형성된 스위칭 보드(미부호)를 포함한다. 스위칭 보드에는 하나의 행에 위치한 카메라 모듈(L)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접속 핀(132c)이 형성된다.
컨택 모듈(130)은 스위칭 보드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133)을 포함한다.
도 6에는 스위칭 보드가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의 상부에 위치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 스위칭 보드는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승하며 접속 핀(132c)이 카메라 모듈(L)에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위칭 보드는 승강 블록(132) 상에 고정되어 승강 블록(132)에 의해 상승/하강할 수 있다.
스위칭 보드의 접속 핀(132c)과 접속한 카메라 모듈(L)은 개구(132a)를 통해 MTF 차트(101)를 촬영한다. MTF 차트(101)를 촬영한 이미지는 스위칭 보드를 통해 외부로 전송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갠트리 모듈(140)에는 오토 포커싱 캘리브레이션 모듈(150)이 장착될 수 있다.
갠트리 모듈(140)은 오토 포커싱 캘리브레이션 모듈(150)을 XYZ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갠트리 모듈(140)은 오토 포커싱 캘리브레이션 모듈(150)이 장착되며 장착된 오토 포커싱 캘리브레이션 모듈(150)을 Z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 슬라이더(144)과, Z 슬라이딩 블록(144)을 X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 슬라이더(142) 및 X 슬라이더(142)를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 슬라이더(141)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오토 포커싱 캘리브레이션 모듈(150)은 무나사 방식의 AF(Auto Focus)형 카메라 모듈(L)에 사용되는 포커싱 캘리브레이션 모듈이다. AF형 카메라 모듈(L)은 전류 또는 전압을 인가하여 액츄에이터(actuator)를 작동시켜 포커스를 변화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토 포커싱 캘리브레이션 모듈(150)은 콜리메이터 렌즈(151)를 포함한다.
갠트리 모듈(140)은 오토 포커싱 캘리브레이션 모듈(150)을 XYZ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스위칭 보드의 개구(132a)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콜리메이터 렌즈(151)가 위치하도록 한다. 카메라 모듈(L)은 개구(132a)를 통해 콜리메이터 렌즈(151)로 투영된 MTF 차트(101)의 이미지를 촬영하게 된다.
오토 포커싱 캘리브레이션 모듈(150)은 스위칭 보드의 접속 핀(132c)과 접속한 하나의 열에 있는 메라 모듈(L)의 상부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며 각 카메라 모듈(L)이 순서대로 MTF 차트(101)를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커싱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포커싱 캘리브레이션 모듈(250)은 나사방식의 AF(Auto Focus)형 카메라 모듈(L)과 FF(Fixed Focus)형 카메라 모듈(L)에 사용되는 포커싱 캘리브레이션 모듈이다.
나사방색의 AF/FF형 카메라 모듈(L)은 렌즈를 회전시키며 초점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이를 위해 나사방색의 AF/FF형 카메라 모듈(L)에 사용되는 포커싱 캘리브레이션 모듈(250)은 콜리메이터 렌즈(251)와 함께 콜리메이터 렌즈(251)의 하부에 위치하는 포커스 콘(미도시)을 포함한다. 포커스 콘은 카메라 모듈(L)의 렌즈와 접촉하여 렌즈를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포커싱 캘리브레이션 모듈(250)을 사용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L)은 포커스 콘에 의해 렌즈가 회전되며 MTF 차트(101)를 반복하며 촬영한다. 촬영된 이미지를 기초로 카메라 모듈(L)의 포커스가 제대로 맞춰지면 포커스 콘은 렌즈의 회전을 중지하여 카메라 모듈(L)의 초점을 고정시킨다.
도 9는 테스트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1)은 갠트리 모듈(140)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모듈이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갠트리 모듈(140)에는 오토 포커싱 캘리브레이션 모듈(150)과 포커싱 캘리브레이션 모듈(250)이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테스트 모듈(350)이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테스트 모듈(350)은 포커스가 조절된 카메라 모듈(L)의 포커스, 이미지 불량, LSC(Lens Shading Calibration)를 최종적으로 확인하는 모듈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모듈(350)은 콜리메이터 렌즈(351), 플레어 검사부(352), 근접 촬영 검사부(353) 및 LSC 검사부(354)을 포함한다.
플레어 검사부(352)와 LSC 검사부(354)는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LED 광원을 포함한다.
근접 촬영 검사부(353)에는 광원과 매크로 차트가 구비된다.
갠트리 모듈(140)은 테스트 모듈(350)을 XYZ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스위칭 보드의 개구(132a)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콜리메이터 렌즈(351)가 위치하도록 한 후, 카메라 모듈(L)이 콜리메이터 렌즈(351)를 통해 MTF 차트(101)를 촬영하도록 한다.
또한, 갠트리 모듈(140)은 테스트 모듈(350)을 XYZ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스위칭 보드의 개구(132a)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플레어 검사부(352)가 위치하도록 한 후, 카메라 모듈(L)이 플레어 검사부(352)의 LED 광원들로부터 출사되는 광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한다. 하나의 행에 위치하는 카메라 모듈(L)은 동시에 플레어 검사부(352)의 LED 광원들로부터 출사되는 광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L)이 촬영한 이미지를 통해 각 카메라 모듈(L)의 빛 번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갠트리 모듈(140)은 테스트 모듈(350)을 XYZ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스위칭 보드의 개구(132a)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LSC 검사부(354)가 위치하도록 한 후, 카메라 모듈(L)이 LSC 검사부(354)의 LED 광원들로부터 출사되는 광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한다. 하나의 행에 위치하는 카메라 모듈(L)은 동시에 플레어 검사부(352)의 LED 광원들로부터 출사되는 광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L)이 촬영한 LSC 검사부(354)의 광 이미지를 통해 렌즈의 중앙부와 주변부의 휘도값을 비교하고, LSC(Lens Shading Calibration)이라 불리는 중앙부와 주변부의 휘도값이 균일하게 출력되도록 하는 보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갠트리 모듈(140)은 테스트 모듈(350)을 XYZ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이동시켜서 스위칭 보드의 개구(132a)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근접 촬영 검사부(353)의 매크로 차트가 위치하도록 한 후, 카메라 모듈(L)이 매크로 차트를 촬영하도록 한다.
카메라 모듈(L)이 촬영한 매크로 차트의 이미지를 통해 근접 촬영을 위한 포커싱이 적절히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1)은 포커싱 모듈(150, 250)과 테스트 모듈(350)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 공정 유닛(1)에 의해 진행되는 공정의 종류에 따라, 차트 모듈(110), 이송 모듈(120), 컨택 모듈(130) 및 갠트리 모듈(140) 등도 다른 기능을 갖는 모듈로 교체될 수 있다.
공정 유닛(1) 내에 장착되는 모듈들은 각 모듈에 따른 ID를 갖도록 구성되고, 공정 유닛(1)의 제어부는 공정 유닛(1)에 장착된 모듈의 ID를 인식하여, 공정 유닛(1) 내에 장착된 모듈들을 파악하고, 파악된 모듈의 기능에 따라 공정 유닛(1)이 수행하는 공정을 자동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각 모듈의 ID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 모터의 드라이버에 이식될 수 있고, 구동 모터가 없는 모듈의 경우에는 칩셋 등에 ID를 이식하여 제어부가 해당 모듈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의 하우징과 지지 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1)의 하우징(50)은 제1 측면(52)과 제2 측면(51)에 각각 지지 부재(20, 40)가 설치 가능한 결합 구조(31, 32)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측면(52)에 형성된 결합 구조(31, 32)를 제1 결합 구조라 하고, 제2 측면(51)에 형성된 결합 구조(31, 32)를 제2 결합 구조라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결합 구조(31, 32)는 지지 레그(40)가 결합되는 레그 결합 구조(32)와 지지 롤러(20)가 결합되는 롤러 결합 구조(31)를 포함한다. 레그 결합 구조(32)는 제1 측면(52)과 제2 측면(51)의 각 코너부에 형성될 수 있고, 롤러 결합 구조(31)는 제1 측면(52)과 제2 측면(51)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제1 측면(52)과 제2 측면(51)에 지지 부재(20, 40)가 각각 결합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지지 부재(20, 40)는 필요에 따라 제1 측면(52)과 제2 측면(51) 중 어느 하나에만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지지 롤러(20)와 지지 레그(40) 중 어느 하나만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이 제1 상태로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0)의 제1 측면(52)이 하우징(50)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상태를 제1 상태라고 정의한다.
제1 상태에서 지지 부재(20, 40)는 제1 측면(52)에 결합되어 공정 유닛(1)의 하중을 지지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L)이 수납된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는 수평 상태로 카메라 모듈 어레이 투입구(11)를 통해 하우징(50) 내부로 진입하고, 이송 모듈(120)에 의해 수평 상태로 이송되며 공정이 진행된다.
하우징(50) 내부에서 공정이 완료된 모듈 어레이(121)는 하우징(50)의 후면에 형성된 반출구(13, 도 12 참고)를 통해 수평 상태로 반출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50) 내부에서 공정이 완료된 모듈 어레이(121)는 도어(11) 측으로 이동되어 투입구(11)를 통해 반출될 수도 있다.
수평 상태는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에 수납된 카메라 모듈(L)의 광축이 상방을 향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이 제2 상태로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0)의 제2 측면(51)이 하우징(50)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상태를 제2 상태라고 정의한다.
제2 상태에서 지지 부재(20, 40)는 제2 측면(51)에 결합되어 공정 유닛(1)의 하중을 지지한다. 제2 상태는 공정 유닛(1)이 제1 상태에서 90도 회전된 상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1)은 하우징(50)이 대략 정육면체 또는 정면이 정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도어(10)가 대략 정사각형의 외관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제1 상태와 제2 상태에서 공정 유닛(1)의 외관 사이즈는 거의 동일하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L)이 수납된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는 수직 상태로 카메라 모듈 어레이 투입구(11)를 통해 하우징(50) 내부로 진입하고, 이송 모듈(120)에 의해 수직 상태로 이송되며 공정이 진행된다.
하우징(50) 내부에서 공정이 완료된 모듈 어레이(121)는 하우징(50)의 후면에 형성된 반출구(13)를 통해 수직 상태로 반출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50) 내부에서 공정이 완료된 모듈 어레이(121)는 도어(11) 측으로 이동되어 투입구(11)를 통해 반출될 수도 있다.
수직 상태는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에 수납된 카메라 모듈(L)의 광축이 측방을 향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1)은 하우징(50) 내에서 그립퍼(122)가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의 일측을 파지한 상태로 이송시키므로, 제2 상태에서도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가 수직 상태로 하우징(50) 내에서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1)을 사용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가 수직 상태로 하우징(50) 내에서 이송되며 처리 및/또는 검사가 진행되므로, 카메라 모듈(L)의 실사용 태양과 유사한 상태에서 생산 및/또는 검사가 진행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공정 유닛(1)을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공정 유닛(1) 내에서 진행되는 공정에 따라 보다 적합한 설치 상태를 선택할 수 있어 공정 유연성이 향상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의 하우징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1)의 하우징(50)의 전면에는 제1 경첩 결합 구조(54a, 54b)와 제2 경첩 결합 구조(53a, 53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첩 결합 구조(54a, 54b)와 제2 경첩 결합 구조(53a, 53b)에는 필요에 따라 도어(10)의 개폐를 위한 경첩(60, 도 14 또는 도 15 참고)이 결합된다.
제1 경첩 결합 구조(54a, 54b)는 제1 상태에서 도어(10)의 회전축이 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경첩 결합 구조(54a, 54b)가 제1 측면(52)과 접하는 측면인 제2 측면(51)의 전단에 형성된다.
제2 경첩 결합 구조(53a, 53b)는 제1 경첩 결합 구조(54a, 54b)와 90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제2 측면(51)이 제1 측면(52)에 대해 양의 90도 위치에 있는 경우, 제2 경첩 결합 구조(53a, 53b) 역시 제1 경첩 결합 구조(54a, 54b)에 대해 양의 90도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경첩 결합 구조(53a, 53b)가 제1 측면(52)과 마주하는 측면의 전단에 형성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이 제1 상태로 사용될 때 도어와 하우징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이 제2 상태로 사용될 때 도어와 하우징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의 후면에는 제1 경첩 결합 구조(54a, 54b) 및는 제2 경첩 결합 구조(53a, 53b)와 대응하는 경첩 수용부(15a, 15b, 16a, 16b)가 형성될 수 있다. 경첩 수용부(15a, 15b, 16a, 16b)는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1 경첩 수용부(16a, 16b)와 제2 경첩 수용부(15a, 15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 유닛(1)이 제1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 경첩(60)은 하우징(50)의 제1 경첩 결합 구조(54a, 54b)과 도어(10)의 제1 경첩 수용부(16a, 16b)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10)는 도 14를 기준으로 경첩(60)이 결합된 하우징(50)의 우측 전단을 회전축으로 개폐된다.
한편, 공정 유닛(1)이 제2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태와 비교하여 하우징(50)과 도어(10)가 함께 90도 회전된 채 사용될 수 있다.
공정 유닛(1)이 제2 상태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되는 경우, 경첩(60)은 하우징(50)의 제2 경첩 결합 구조(53a, 53b)과 도어(10)의 제2 경첩 수용부(15a, 15b)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10)는 도 15를 기준으로 경첩(60)이 결합된 하우징(50)의 우측 전단을 회전축으로 개폐된다. 따라서, 제1 상태와 제2 상태에서 도어(10)의 개폐 방향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만, 도 14의 상태와 비교하여 도어(10)가 90도 회전된 상태이므로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가 수직 상태로 투입구(11)를 향해 반입되게 된다(도 12 참고).
하우징(50)의 전면에 90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경첩 결합 구조(54a, 54b, 53a, 53b)가 형성되고, 도어(10)의 후면에도 90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경첩 수용부(15a, 15b, 16a, 16b)가 형성되므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상태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도어(60)의 개폐 방향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6은 복수의 공정 유닛이 적층되어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복수의 공정 유닛이 적층되어 사용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유닛(1)은 복수의 공정 유닛(1)이 적층되어 수납될 수 있는 프레임 구조체(500)에 장착될 수 있다. 지지 롤러(20)는 공정 유닛(1)이 프레임 구조체(500)에 장착될 때, 공정 유닛(1)이 용이하게 프레임 구조체(500) 내로 진입되도록 한다.
프레임 구조체(500)에 장착된 복수의 공정 유닛(1) 중 일부는 제1 상태로, 다른 일부는 제2 상태로 프레임 구조체(500)에 장착될 수 있다.
프레임 구조체(500)에 장착되는 공정 유닛(1)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다른 공정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구조체(500)에는 카메라 모듈(L)에 장착된 복수의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가 로딩된 매거진 유닛(2)이 장착될 수도 있다. 매거진 유닛(2) 중 어느 하나는 공정 유닛(1)으로 반입될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들이 로딩된 로딩 매거진 유닛으로 사용되고, 다른 하나는 공정 유닛(1)에서 공정을 마치고 반출된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들이 로딩된 언로딩 매거진 유닛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 유닛(1)들의 후방에는 각 공정 유닛(1)에서 공정을 마친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를 수취하여 다른 공정 유닛(1)으로 전달하거나 매거진 유닛(2)으로 전달하는 트랜스퍼 유닛(60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퍼 유닛(600)은 2개의 프레임 구조체(500, 700) 사이에 배치되어, 전방의 프레임 구조체(500)에 장착된 공정 유닛(1)과 후방의 프레임 구조체(700)에 장착된 공정 유닛(1) 간에 카메라 모듈 어레이(121)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공정 유닛 10: 도어
11: 카메라 모듈 어레이 투입구 15a, 15b, 16a, 16b: 경첩 수용부
20: 지지 롤러 31: 롤러 결합 구조
32: 레그 결합 구조 40: 지지 레그
50: 하우징 51: 제2 측면
52: 제1 측면 53a, 53b, 54a, 54b: 경첩 결합 구조
60: 경첩 110: 차트 모듈
120: 이송 모듈 121: 카메라 모듈 어레이
122: 그립퍼 130: 컨택 모듈
140: 갠트리 모듈 150: 포커싱 모듈

Claims (10)

  1.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모듈이 설치되며 전면이 정사각형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의 가장자리와 접하는 측면들 중 하나인 제1 측면에는 상기 지지 부재가 설치 가능한 제1 결합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의 가장자리와 접하는 측면들 중 상기 제1 측면과 접하는 제2 측면에는 상기 지지 부재가 설치 가능한 제2 결합 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제1 결합 구조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1 상태 및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제2 결합 구조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2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로 사용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에는 카메라 모듈이 수납된 카메라 모듈 어레이가 상기 하우징 내로 진입할 수 있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 어레이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상기 투입구로 진입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상기 투입구로 진입하며,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개폐 방향이 동일하도록,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경첩의 일측이 장착되는 제1 경첩 결합 구조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경첩의 일측이 장착되는 제2 경첩 결합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경첩의 타측이 장착되는 제1 경첩 수용부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경첩의 타측이 장착되는 제2 경첩 수용부가 형성되는 공정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측면 또는 상기 제2 측면에 적어도 3개 이상 설치되는 지지 레그를 포함하는, 공정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일렬로 배열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롤러를 포함하는, 공정 유닛.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는 반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 어레이는 상기 반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반출되는, 공정 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 하우징 내로 반입된 상기 카메라 모듈 어레이를 상기 하우징 내에서 이동시키는 이송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 모듈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 어레이가 수직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에서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 어레이의 측부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카메라 모듈 어레이를 이송시키는 그립퍼를 포함하는, 공정 유닛.
KR1020170091724A 2017-03-03 2017-07-19 공정 유닛 KR102096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0301461.6U CN208120166U (zh) 2017-03-03 2018-03-05 工艺单元及传送单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27516 2017-03-03
KR1020170027516 2017-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135A KR20180101135A (ko) 2018-09-12
KR102096317B1 true KR102096317B1 (ko) 2020-04-02

Family

ID=63593078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724A KR102096317B1 (ko) 2017-03-03 2017-07-19 공정 유닛
KR1020170091725A KR102069744B1 (ko) 2017-03-03 2017-07-19 공정 유닛
KR1020170135698A KR20180101149A (ko) 2017-03-03 2017-10-19 트랜스퍼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공정 장치
KR1020170135705A KR20180101150A (ko) 2017-03-03 2017-10-19 물류 장치
KR1020170136372A KR102041466B1 (ko) 2017-03-03 2017-10-20 모듈 기반의 공정 유닛, 공정 유닛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170156242A KR102142618B1 (ko) 2017-03-03 2017-11-22 카메라 모듈 테스트 공정을 위한 스위칭 보드, 스위칭 보드 기반의 공정 유닛, 및 상기 공정 유닛 제어 방법
KR1020170156655A KR102069749B1 (ko) 2017-03-03 2017-11-22 공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725A KR102069744B1 (ko) 2017-03-03 2017-07-19 공정 유닛
KR1020170135698A KR20180101149A (ko) 2017-03-03 2017-10-19 트랜스퍼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공정 장치
KR1020170135705A KR20180101150A (ko) 2017-03-03 2017-10-19 물류 장치
KR1020170136372A KR102041466B1 (ko) 2017-03-03 2017-10-20 모듈 기반의 공정 유닛, 공정 유닛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170156242A KR102142618B1 (ko) 2017-03-03 2017-11-22 카메라 모듈 테스트 공정을 위한 스위칭 보드, 스위칭 보드 기반의 공정 유닛, 및 상기 공정 유닛 제어 방법
KR1020170156655A KR102069749B1 (ko) 2017-03-03 2017-11-22 공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7) KR102096317B1 (ko)
CN (1) CN20812016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8539A1 (zh) * 2019-05-31 2020-12-03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物料传输设备及其应用
KR102180636B1 (ko) * 2019-08-12 2020-11-18 (주)에이피텍 카메라 모듈을 제조하는 모듈화 인라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KR102196698B1 (ko) * 2019-09-06 2020-12-30 (주)에이피텍 공정률이 개선된 카메라 모듈 제조 인라인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6395A (ja) * 2006-11-30 2008-06-19 Yamaguchi Univ 動物行動科学研究装置
KR101657179B1 (ko) * 2015-06-15 2016-09-27 주식회사 마인즈아이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8275A (ja) * 1992-10-30 1994-05-27 Ando Electric Co Ltd テストボードを用いたデバイス測定システム
KR19980030172U (ko) * 1996-11-29 1998-08-17 이종수 클로즈쇼케이스의 양방향 도어개폐구조
KR100534023B1 (ko) 2004-01-08 2005-12-07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카메라모듈 검사장치
WO2009093997A1 (en) * 2008-01-25 2009-07-30 Xcellerex, Inc. Information acquisition and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in bioreactor systems and manufacturing facilities
JP4757924B2 (ja) * 2009-02-26 2011-08-24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
KR20120015987A (ko) * 2010-08-12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처리 시스템
EP2604679B1 (en) * 2011-01-17 2016-09-28 Tokyo Women's Medical University Cell culture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on of modules for cell culture treatment system
KR20150108461A (ko) * 2014-03-17 2015-09-30 파스텍(주) 카메라모듈 검사장치
KR101714156B1 (ko) * 2015-06-08 2017-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검사장치
KR101674016B1 (ko) * 2016-02-25 2016-11-22 주식회사 제이앤에프이 카메라 모듈의 vcm 검사용 소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6395A (ja) * 2006-11-30 2008-06-19 Yamaguchi Univ 動物行動科学研究装置
KR101657179B1 (ko) * 2015-06-15 2016-09-27 주식회사 마인즈아이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744B1 (ko) 2020-01-23
KR20180101153A (ko) 2018-09-12
KR20180101150A (ko) 2018-09-12
KR102069749B1 (ko) 2020-01-23
KR20180101136A (ko) 2018-09-12
KR102142618B1 (ko) 2020-08-07
KR102041466B1 (ko) 2019-11-07
KR20180101135A (ko) 2018-09-12
KR20180101151A (ko) 2018-09-12
KR20180101149A (ko) 2018-09-12
CN208120166U (zh) 2018-11-20
KR20180101154A (ko)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317B1 (ko) 공정 유닛
US9871954B2 (en) Two part device with camera and mechanical flap
US8120693B2 (en) Imaging unit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US20100085474A1 (en) Camera module
US20100245539A1 (en) Panoramic camera with a plurality of camera modules
CN109922236A (zh) 纤薄双孔径变焦数字摄影机
EP1962496A2 (en) Imaging device with circuit board mounting image sensor and image processing circuit
KR20210148027A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핸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US10021281B2 (en) Device with split imaging system
CN110086976A (zh) 一种终端设备
KR101859423B1 (ko) 듀얼 카메라모듈 정렬유닛 및 이를 이용한 듀얼 카메라모듈 정렬방법
KR101188256B1 (ko) 플래시 모듈 및 영상 캡쳐링 장치
US10412281B2 (en) Device with split imaging system
CN104580839A (zh) 摄像头及电子设备
KR101292693B1 (ko) 촬상 유닛 및 휴대용 전자 기기
JP2005084605A (ja) 撮像装置及び該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
CN108563196B (zh) 基于模块的工艺设备、工艺设备控制装置及方法
KR101657179B1 (ko)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
CN210112133U (zh) 调焦设备
KR101883479B1 (ko) 부품 실장기
CN112824962B (zh) 光学元件驱动机构的控制方法
KR20190026159A (ko) 카메라 모듈용 소켓
TWI719643B (zh) 可變視場角鏡頭機構、其調整方法以及電子裝置
CN110557525B (zh) 多孔径成像***及其应用
KR101644329B1 (ko) 전자부품 테스트용 자동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