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179B1 -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179B1
KR101657179B1 KR1020150084108A KR20150084108A KR101657179B1 KR 101657179 B1 KR101657179 B1 KR 101657179B1 KR 1020150084108 A KR1020150084108 A KR 1020150084108A KR 20150084108 A KR20150084108 A KR 20150084108A KR 101657179 B1 KR101657179 B1 KR 101657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unit
casing
dispensing
foc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진
남명우
홍지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인즈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인즈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인즈아이
Priority to KR1020150084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1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전화 단말기나 태블릿 피씨 등 휴대용 기기에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의 초점을 조절하고, 불량을 검사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 모듈 어레이에 탑재된 여러 개의 카메라 모듈을 보다 효율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 어레이에 수용된 카메라 모듈의 포커스를 조절하는 포커싱 수단을 포함하는 포커싱 유닛;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 어레이에 수용된 카메라 모듈에 접착제를 디스펜싱 하기 위한 디스펜싱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펜싱 유닛;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최종 테스트를 위한 폰 테스트 수단을 포함하는 폰 테스트 유닛;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 어레이를 다수 수용하는 매거진 카세트 유닛; 상기 포커싱 유닛, 디스펜싱 유닛, 폰 테스트 유닛 및 매거진 카세트 유닛의 후면쪽에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 어레이를 각각의 유닛에 로딩하거나 각각의 유닛으로부터 언로딩하는 이송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포커싱 유닛, 디스펜싱 유닛, 폰 테스트 유닛 및 매거진 카세트 유닛의 케이싱은 모두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어 상하좌우방향으로 적층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Apparatus Inspecting and Manufacturing Compact Camera Module}
본 발명은 휴대전화 단말기나 태블릿 피씨 등 휴대용 기기에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의 초점을 조절하고, 불량을 검사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 모듈 어레이에 탑재된 여러 개의 카메라 모듈을 보다 효율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통해 입사한 이미지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부품으로서 휴대전화 단말기나 태블릿 피씨 등 휴대용 기기에는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어 있으며 2010년 정도부터 널리 보급된 스마트폰에는 양면에 각각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렌즈 모듈(lens module), IR-filter, Package 등의 부품으로 구성되는데,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의 제작 공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웨이퍼를 공급받는 단계, 2)공급된 웨이퍼를 적절한 크기로 절단해서 센서 칩을 제작하는 단계, 3) 제작된 칩을 PCB에 부착하는 단계, 4) 칩과 PCB를 gold wire로 연결하는 단계, 5) 렌즈와 AFA 기구물을 접착하는 단계, 6) 개별 모듈로 분리하는 단계, 7) FPBC 접합단계, 8) 렌즈의 초점 조절 단계, 9) 에폭시를 주입하고 경화시켜 렌즈의 초점을 고정하는 단계, 10) 화상/색상 검사 및 셋팅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의 제작공정을 전공정과 후공정으로 세분화할때 후공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PCB aray를 개별 유닛으로 분리하는 Singulation, 2) 렌즈와 홀더 사이에 에폭시를 도포하는 Dispensing, 3) 렌즈를 최적 포커스 상태로 맞추는 Focusing, 4) 포커싱된 렌즈를 고정하는 UV Curing, 5) 카메라 모듈의 해상력, 이물, 노이즈 등의 성능 테스트를 하는 Final Test, 6) 제품 외관의 불량을 검사하는 Exterior Inspection, 7) 제품에 보호 테잎를 부착하는 Tape attaching, 8) Packing, 9) Shipment 순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컴팩트 카메라 모듈의 제조공정은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 또는 자동화 설비에 의해 진행되는데 최근 인건비 상승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자동화 설비의 요구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 제조방식에서는 PCB array 상태에서 작업자가 카메라 모듈을 개별적으로 분리(singulation)하여 50개 내지 100개 단위로 트레이에 옮겨 담아 제품을 각 공정에 분배하고 카메라 모듈 한 개씩을 각각의 설비에 투입하여 각각의 공정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작업자에 의한 컴팩트 카메라 모듈의 focusing 작업을 위한 장비에는 작업자가 렌즈를 돌릴 수 있는 보조 도구를 이용하여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는 수동장비와 작업자가 카메라 모듈을 장비에 투이한 후 모터의 구동장치와 포커싱 프로그램(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렌조의 초점을 맞추는 반자동 장비가 있다. 현재까지 수작업 focusing 공정에서는 작업자가 한 번에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장비에 삽입하고, 하나의 카메라 모듈에 대한 focusing 작업이 이루어진 후 작업이 완료된 카메라 모듈을 장비에서 꺼내고 초점 조절이 필요한 새로운 카메라 모듈을 장비에 투입하는 방식이었다. 전술한 focusing 공정 이외의 다른 후공정 작업에서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에 대한 작업을 하나의 장비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을 이용해왔다. 따라서 작업속도에 한계가 컸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작업속도와 수율이 결정되었다.(미숙련 작업자의 경우 작업 속도도 느리고 불량율도 높았다) 작업자에 의한 작업이 가장 문제되는 부분은 테스트 작업인데, 작업자의 낮은 숙련도, 집중력 저하, 실수 등에 의해 정상 제품을 불량으로 분류하거나, 불량품을 정상제품으로 분류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이는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는 제품 자체(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는 스마트폰)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이유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한 번에 하나의 카메라 모듈에 대한 작업이 진행됨으로 인하여 한꺼번에 여러 개의 카메라 모듈에 대한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장비와 여러 명의 작업자가 필요하였으며 이는 제조단가 상승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수작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노력이 시도되었으며 여러 가지 형태의 자동화 설비가 개발되었다. 종래의 자동화 설비는 Dispensing, Focusing, UV Curing, Test 공정 등 설비의 기본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장비에 작업자가 카메라 모듈을 투입하는 대신에 자동 Loading-Unloading 장치를 구비하여 카메라 모듈을 하나씩 자동화 장비에 투입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864520호의 경우 각각의 공정을 하나의 라인에 배열한 소위 in-line 형태의 카메라 모듈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인데 in-line방식의 경우 하나의 공정에 카메라 모듈이 loading되고 작업이 완료되면 unloading된 후 다음 공정으로 자동으로 투입되는 방식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128087호의 경우 소위 batch 형태의 카메라 모듈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인데, batch방식의 경우 장비에 하나의 카메라 모듈이 loading되면 장비 내에서 여러 가지의 공정에 대한 작업이 진행된 후 장비로부터 카메라 모듈을 unloading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화장비도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우선 자동화 장비에 한 번에 하나의 카메라 모듈이 투입되는데 하나의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은 대략 수초 내지 수십 초 정도로 매우 짧아 loading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어렵다. (수초에 한번 loading-unloading을 반복해야 하므로 구현이 쉽지 않다.) 또한, in-line방식의 경우 각종 장비가 병렬로 배치되어 있어 작업속도가 가장 오래 걸리는 장비에 의존하게 되는 단점이 있고, batch방식의 경우 하나의 장비 내에 여러 가지의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데, 실제로 작업을 하는 장치 외에 다른 장치는 아무런 작업을 하지 않으므로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다.
또한, 일부의 장비 또는 장치에 고장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전체 공정이 정지되는 심각한 문제를 포함하고 있기도 하고, 신규 공정 추가할 경우 기존 장비와 호환성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아 공정의 확장에 제한적인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배경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다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고 공정의 추가나 제거가 비교적 자유로우며 효율적으로 카메라 모듈을 검사 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에 있어서,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 어레이에 수용된 카메라 모듈의 포커스를 조절하는 포커싱 수단을 포함하는 포커싱 유닛;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 어레이에 수용된 카메라 모듈에 접착제를 디스펜싱 하기 위한 디스펜싱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펜싱 유닛;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최종 테스트를 위한 폰 테스트 수단을 포함하는 폰 테스트 유닛;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 어레이를 다수 수용하는 매거진 카세트 유닛;
상기 포커싱 유닛, 디스펜싱 유닛, 폰 테스트 유닛 및 매거진 카세트 유닛의 후면쪽에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 어레이를 각각의 유닛에 로딩하거나 각각의 유닛으로부터 언로딩하는 이송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포커싱 유닛, 디스펜싱 유닛, 폰 테스트 유닛 및 매거진 카세트 유닛의 케이싱은 모두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어 상하좌우방향으로 적층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 어레이는 여러 개의 카메라 모듈을 수용하는 카메라 모듈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포커싱 유닛, 디스펜싱 유닛 및 폰 테스트 유닛은 각각 카메라 모듈 어레이에 수용된 여러 개의 카메라 모듈에 대해 연속적으로 포커싱 작업, 디스펜싱 작업 및 폰 테스트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치되는 상기 포커싱 유닛, 디스펜싱 유닛, 폰 테스트 유닛의 수는 각각의 유닛의 공정 속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커싱 수단은 상기 카메라 모듈과 전기적 접속을 하는 컨텍트부, MFT 챠트부, 포커스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폰 테스트 수단은 카메라 모듈과 전기적 접속을 하는 컨텍트부, MTF챠트부, 포커스 검사부, 주변 광량비 검사부, 빛번짐 검사부, 암 특성 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싱은 카메라 모듈을 수용하는 카메라 모듈 어레이를 수작업으로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투입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 전면에 마련되는 카메라 모듈 어레이 투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거진 카세트 유닛은 다수의 카메라 모듈 어레이를 수용하는 매거진 모듈, 인덱스 로봇 모듈, 로딩/언로딩 모듈 및 불량 픽업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공정을 동일한 크기의 케이싱에 수용시킴으로써 각 공정을 모듈화하고 이를 상하좌우방향으로 적층하여 배치함으로써 공간 활용도가 높고, 상대적으로 간단한 조절만으로 모듈화된 공정의 추가나 제거가 가능하며 최소한의 인력으로 작업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카메라 모듈을 제작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카메라 모듈의 제작공정 중 후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아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포커싱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은 도 3에 도시된 포커스 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펜싱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는 도 3에 도시된 폰 테스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이송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매거진 카세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어레이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포커싱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은 도 3에 도시된 포커스 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펜싱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는 도 3에 도시된 폰 테스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이송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매거진 카세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어레이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피씨, 디지털 카메라 등의 부품으로 사용되는 컴팩트 카메라 모듈(CCM;Compact Camera Module)의 성능 테스트와 함께 카메라 모듈에 사용되는 렌즈의 촛점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최적화된 자동화 공정으로 진행되는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는 포커싱 유닛(100), 디스펜싱 유닛(200), 폰 테스트 유닛(300), 매거진 카세트 유닛(400), 이송 유닛(500) 및 서버용 피PC(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모듈(1)의 기판에 결합하는 전기 단자가 카메라 렌즈와 다른 면에 형성된 카메라 모듈(1)을 검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포커싱 유닛(100), 디스펜싱 유닛(200), 폰 테스트 유닛(300), 매거진 카세트 유닛(400)은 각각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싱(101, 201, 301, 401)을 포함하고 있는데, 각각의 케이싱은 모두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어 상하좌우방향으로 적층되는 형태로 배치되는데, 이처럼 배치된 상태의 하나의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배치되는 포커싱 유닛(100), 디스펜싱 유닛(200), 폰 테스트 유닛(300), 매거진 카세트 유닛(400)의 갯수는 각각의 유닛의 공정 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포커싱 유닛(100)의 공정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포커싱 유닛(100)의 수를 다른 유닛에 비하여 많이 배치해서 가장 효율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공정 속도란 하나의 카메라 모듈 어레이(10)에 수용된 카메라 모듈에 대한 포커스 작업, 디스펜싱 작업 등을 완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포커싱 유닛(100)의 공정속도는 10분, 나머지 유닛의 공정속도는 5분이라면 포커싱 유닛(100)의 수를 다른 유닛의 수보다 2배 많이 배치한다. 만약 포커싱 유닛(100)이 한 대라면, 나머지 유닛은 포커싱 유닛(100)의 한 공정이 끝날때마다 5분씩 가동을 못하지만, 포커싱 유닛(100)을 두 대 배치함으로써 나머지 유닛들이 쉬는 시간없이 가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1)은 카메라 모듈 어레이(10)에 탑재된 상태로 포커싱 유닛(100), 디스펜싱 유닛(200), 폰 테스트 유닛(300), 매거진 카세트 유닛(400)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하나의 카메라 모듈 어레이(10)에는 3개 열, 15개 행, 총 45개의 카메라 모듈(1)이 탑재되며, 포커싱 유닛(100), 디스펜싱 유닛(200), 폰 테스트 유닛(300) 중 어느 하나의 유닛에 투입되면 45개의 카메라 모듈(1)에 대해 연속적으로 포커싱 작업, 디스펜싱 작업 또는 폰 테스트 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포커싱 유닛(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1)과 케이싱(101) 내에 수용되는 컨텍트부(110), MFT 챠트부(120) 및 포커스 조절부(130)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에는 xyz 세 개의 축이 표시되어 있으며, 화살표가 있는 방향을 (+) 방향, 그 반대방향을 (-)방향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서 +x축 방향이라 함은 x축에서 화살표가 있는 방향을 의미하며 -x축은 x축에서 화살표가 없는 방향을 의미한다. y축이나 z축도 마찬가지로 방향을 설정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싱(101)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02, 103)가 마련되는데 후면에 형성되는 투입구를 도면부호 102, 전면에 형성되는 투입구를 도면부호 103으로 표시하였다. 이하에서 후면에 형성된 투입구는 후면 투입구(102), 전면에 형성된 투입구는 전면 투입구(103)라 호칭하기로 한다.
이송 유닛(500)은 후면 투입구(102)를 통해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케이싱(101)의 내부로 투입하게 되며, 전면 투입구(103)는 이송 유닛에 문제가 있을 경우 사람에 의해(manually)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투입할 때 사용한다. 이처럼 투입구를 두 개 만들어 둠으로써 이송 유닛에 문제가 생긴 경우에도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생긴다.
상기 컨택트 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모듈(1)과 전기적 접속을 하는 구성이다. 컨텍트 부(110)는 카메라 모듈(1)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핀 모듈(113)과 상기 핀 모듈(113)을 수용하여 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핀 테이블(111), 핀 테이블(111)을 z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핀 구동수단(112), 핀 모듈(113)과 카메라 모듈(1)의 전기적 접속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카메라 모듈을 가압하는 핀 프레스(114), 핀 프레스(114)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프레스 구동수단(115)을 포함한다. 핀 구동수단(112)과 프레스 구동수단(115)으로는 리니어 모터 등 직선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제조 및 검사 대상인 카메라 모듈(1)은 렌즈와 전기 단자가 기판의 다른 면에 결합하고 있어 렌즈(1)는 +z축을 향하고 있고, 전기 단자는 -z축을 향하고 있다.
상기 핀 테이블(111)은 핀 구동수단(112)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카메라 모듈(1)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위치와 접속이 해제되는 위치사이에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핀 테이블(111)이 도면상 위쪽 방향(+z방향)으로 움직이면 카메라 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되고, 아래쪽 방향(-z방향)으로 움직이며 카메라 모듈과의 전기적 접속이 해제된다.
상기 핀 프레스(114)는 핀 모듈(113)이 카메라 모듈(1)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위치에 있을때 그 전기적 접속을 유지할 수 있도록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가압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모듈 어레이(10)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어서 카메라 모듈(1)이 핀 모듈(113)과 전기적으로 접속을 할 때에는 도면상 아래쪽 방향(-z방향)으로 움직이고, 그 반대인 경우에는 위쪽 방향(+z방향)으로 움직이는데 프레스 구동수단(115)에 의해 핀 프레스(114)가 z축 방향을 따라 움직인다.
상기 MTF 챠트부(120)는 MTF 챠트와 광원, MTF 챠트를 x축과 z축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구동수단은 리니어 모터나, 모터/벨트 조합 등 직선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사용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와 벨트의 조합을 사용한다.
상기 포커스 조절수단(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리메이터 렌즈(131), 포커스 콘(132), 포커스 콘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포커스 콘 회전수단은 모터(133)와 벨트(134)로 구성된다.
카메라 모듈(1)에 포함된 렌즈는 콜레메이터 렌즈(131)를 통해 MFT챠트를 촬영하게 되며 촬영된 이미지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포커스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체크하게 되며, 포커스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카메라 모듈(1)의 렌즈와 결합한 포커스 콘(132)을 회전시켜 가면서 반복해서 MFT챠트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다시 포커스가 제대로 맞추어졌는지를 확인하게 되며 포커스가 제대로 맞추어질때까지 이러한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포커스 콘(132)은 모터(133)의 회전이 벨트(134)에 의해 전달되어 이를 구동력으로 회전하게 된다.
어느 하나의 카메라 모듈(1)에 대한 포커스 조절 작업이 완료되면 카메라 모듈 어레이에 탑재된 다른 카메라 모듈(1)에 대한 포커스 조절작업을 해야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구성을 적절히 이동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하나의 행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1) 중 어느 하나의 포커싱 작업과 필요한 검사가 완료되면 MTF 챠트부(120)와 포커스 조절부(130)을 이동시켜 포커싱 작업이 완료된 카메라 모듈(1)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카메라 모듈의 포커싱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MTF 챠트부(120)는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고, 포커스 조절부(130)은 포커스 조절부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구동된다. 포커싱 유닛 구동수단은 도시상의 편의를 위하여 별도로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리니어 모터 등 직선운동을 유발하는 구동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싱 유닛(2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01)과 케이싱(201)의 내부에 수용되는 디스펜싱 수단(2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디스펜싱 유닛의 케이싱(201)은 포커싱 유닛(100), 폰 테스트 유닛(300), 매거진 카세트 유닛(400)의 케이싱(101,301,401)과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며,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투입하기 위한 전면 투입구(203)와 후면 투입구(202)를 포함한다. 후면 투입구(202)는 이송 유닛(500)에 의해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투입할 때 사용하고, 전면 투입구(203)는 이송 유닛(500)이 작동하지 않을때 수작업에 의해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투입할 때 사용한다.
디스펜싱이란 카메라 모듈(1)에 사용되는 렌즈의 포커스를 맞추는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더 이상 렌즈가 움직이지 않도록 접착제를 제 위치에 도포(dispense)하는 것을 의미한다.
디스펜싱 수단(210)은 니들(21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니들(211)에 의해 접착제(에폭시)를 카메라 모듈(1)의 렌즈쪽에 도포하며,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를 경화시킨다.
포커싱 유닛(100)과 마찬가지로 디스펜싱 유닛(200)에도 여러 개의 카메라 모듈이 탑재된 카메라 모듈 어레이를 수용하는 카메라 모듈 어레이(10)가 투입되므로 순차적으로 카메라 모듈(1)에 대한 디스펜싱 작업을 하게 되는데, 디스펜싱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하여 디스펜싱 수단(210)을 적절히 이동시키면서 디스펜싱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폰 테스트 유닛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싱(301)과 폰 테스트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폰 테스트 수단은 케이싱(301)의 내부에 마련되어 카메라 모듈(1)의 최종 테스트를 하는 구성으로서, 카메라 모듈과 전기적 접속을 하는 컨텍트부(310), MTF챠트부(320), 포커스 검사부, 주변 광량비 검사부, 빛번짐 검사부, 암 특성 검사부를 포함한다.
폰 테스트 유닛의 케이싱(301)은 포커싱 유닛(100)이나 디스펜싱 유닛(200), 매거진 카세트 유닛(400)의 케이싱(101,201,401)과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며,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투입하기 위한 전면 투입구(303)와 후면 투입구(302)를 포함한다. 후면 투입구(302)는 이송 유닛(500)에 의해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투입할 때 사용하고, 전면 투입구(303)는 이송 유닛(500)이 작동하지 않을 때 수작업에 의해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투입할 때 사용한다.
상기 컨택트부(310)는 카메라 모듈(1)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1)과 전기적으로 접속을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핀 모듈(313)과 상기 핀 모듈(313)을 수용하여 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핀 테이블(311), 핀 테이블(311)을 z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핀 구동수단(312), 핀 모듈(313)과 카메라 모듈(1)의 전기적 접속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카메라 모듈을 가압하는 핀 프레스(314), 핀 프레스(314)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프레스 구동수단(315)을 포함한다. 폰 테스트 수단의 컨택트부(310)는 포커싱 수단에 사용되는 컨택트부(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구동과 관련된 설명은 앞서 포커싱 수단의 컨택트부(110)의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상기 MTF 챠트부(320)는 MTF 챠트와 광원, MTF 챠트를 x축과 y축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컨택트부(310)와 마찬가지로 앞서 설명한 포커싱 수단의 MTF 챠트부(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포커스 검사부는 포키서 수단에서 포커스 조절이 완료된 카메라 모듈(1)의 포커싱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는지를 최종 테스트 하는 구성으로서 컬리메이터 렌즈(3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콜레메이터 렌즈(330)를 통하여 카메라 모듈의 렌즈로 입사한 MTF 챠트의 영상을 분석하여 카메라 모듈(1)의 포커싱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를 검사한다. 또한, 매크로 챠트(331)을 촬영한 이미지를 파악함으로써 근거리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포커싱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 확인한다.
상기 주변 광량비 검사부는 카메라 모듈(1)의 렌즈가 동일한 세기의 빛을 발하는 이미지 테스트 라이트(340)를 촬영하여 렌즈 중앙부와 렌즈 주변부의 휘도 값을 비교하여 적절한 보정을 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Lens Shading Callibration이라고도 명칭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빛 번짐 검사부는 카메라 모듈(1)의 렌즈가 플레어 라이팅(350)을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의 빛이 얼마나 번지는지를 확인하는 구성이다.
상기 암 특성 검사부는 카메라 모듈(1)의 렌즈가 흑판(black plate, 360)을 촬영한 이미지를 테스트하는 구성이다. 암 특성 검사부는 흑판(360)과 렌즈가 완전히 밀착된 상태에서 촬영하는 암흑 특성 테스트와, 흑판(360)가 렌즈가 1cm떨어진 상태에서 촬영하는 저조도 검사를 수행한다.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330), 매크로 챠트(331), 이미지 테스트 라이트(340), 플레어 라이팅(350), 흑판(360)은 마운팅(370)에 결합되어 있고 마운팅은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하여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폰 테스트 유닛(300)에 로딩되어 검사를 받는 카메라 모듈(1)의 경우에도 카메라 모듈 어레이(10)에 수용된 형태이고, 순차적으로 테스트를 받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마운팅(370)과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적절하게 이동시켜 가면서 모든 카메라 모듈(1)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콜리메이터 렌즈(330)가 카메라 모듈(1)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MTF 챠트를 촬영하여 원거리와 근거리에 대한 포커스 검사가 완료되면 마운팅을 y축과 x축 방향으로 적절히 이동시켜 카메라 모듈(1)이 매크로 챠트(331)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여 근접거리에 대한 포커스 능력을 검사한다. 이후 암 특성 검사를 위해 마운트(370)을 x축과 y축 방향으로 적절히 이동시켜,흑판(360)을 카메라 모듈의 렌즈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다시 z축방향으로 이동시켜 렌즈와 밀착된 상태를 만들기도 하고, 렌즈와 1cm떨어진 상태를 만들기도 하는 등의 방식으로 카메라 모듈(1)에 대한 여러 가지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다. 어느 하나의 카메라 모듈에 대한 검사가 완료되면 마운트(370)를 적절히 이동시켜 다른 카메라 모듈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매거진 카세트 유닛(4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싱(40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케이싱(401)의 내부에는 카메라 모듈(1)이 수용된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다수 수용하는 구성으로서 매거진 랙 모듈(410), 인덱스 로봇 모듈(420), 로딩/언로딩 모듈(430), 불량 픽업 모듈(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매거진 랙 모듈(410)은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수용하는 구성으로서, 여러 개의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수용할 수 있는 여러 개의 카메라 모듈 어레이 수용부(41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 각각의 카메라 모듈 어레이 수용부(411)에는 대략 10개 내외의 카메라 모듈 어레이(10)가 수용된다. 도 11은 카메라 모듈 어레이 수용부(411)만을 별도로 도시하여 카메라 모듈 어레이 수용부(411)에 카메라 모듈 어레이(10)가 투입되거나 제거되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인덱스 로봇 모듈(420)은 카메라 모듈 어레이 수용부(411)으로부터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로딩/언로딩 모듈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송 유닛(500)이 카메라 모듈 어레이 수용부(411)로부터 직접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운반해야 하는 경우 매우 미세한 조절이 필요하므로 인덱스 로봇 모듈(420)이 로딩/언로딩 모듈(430)으로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이송하고, 이송 유닛(500)은 로딩/언로딩 모듈(430)로부터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이송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카메라 모듈 어레이(10)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인덱스 로봇 모듈(420)은 핑거 유닛(421)과 핑거 구동 유닛(422)로 구성된다.
상기 핑거 유닛(421)은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파지하고 도 10의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와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 어레이(10)가 y축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것은 카메라 모듈 어레이 수용부(411)로부터 나오거나 카메라 모듈 어레이 수용부(411)에 들어가거나, 카메라 모듈 어레이(10)가 로딩/언로딩 유닛으로 이송되도록 움직이는 것이다.
상기 핑거 구동 유닛(422)은 핑거 유닛(421)을 도 10의 z축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로딩/언로딩 모듈(430)은 로딩 모듈(431)과 언로딩 모듈(432)로 구성된다.
상기 로딩 모듈(431)은 검사를 해야되는 카메라 모듈이 탑재된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포커싱 유닛(100)으로 이송할 때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임시로 수용하다가 이송 유닛(500)으로 이송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언로딩 모듈(432)은 검사를 모두 마친 카메라 모듈이 탑재된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임시로 수용했다가 인덱스 로봇 모듈(420)으로 이송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로딩 모듈(431)과 언로딩 모듈(432)에는 각각 컨베이어 벨트가 마련되어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로딩 모듈(431)과 언로딩 모듈(432)은 z축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카메라 모듈 어레이(10)가 투입되는 방향이 카메라 모듈 어레이 수용부(411)에 수용되는 방향과 다를 경우에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이다.
상기 불량 픽업 모듈(440)은 공정이 완료된 카메라 모듈이 수용된 카메라 모듈 어레이(10)에 탑재된 카메라 모듈 중 제조 공정 중에 불량이 발생하였거나 검사 결과 불량으로 판정된 제품을 픽업하여 별도로 분리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불량 픽업 모듈(440)에는 픽업부와 픽업 구동부가 마련되어 있는데 픽업 구동부에 의하여 픽업부가 움직이게 되며, 픽업부는 진공흡입 방식으로 불량인 카메라 모듈을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로부터 분리하며, 별도의 보관함으로 옮긴다.
상기 매거진 카세트 유닛의 케이싱(401)은 포커싱 유닛(100)이나 디스펜싱 유닛(200), 폰 테스트 유닛의 케이싱(101,201,301)과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며, 카메라 모듈 어레이를 투입하기 위한 전면 투입구와 후면 투입구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 유닛(500)은 상기 포커싱 유닛(100), 디스펜싱 유닛(200), 폰 테스트 유닛(300), 매거진 카세트 유닛(400)의 후면 쪽에 마련되어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각각의 블록에 로딩하거나 각각의 유닛으로부터 언로딩하는 구성으로서 이송 로봇이다.
이송 유닛(5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510), 제1무빙 프레임(520), 제2무빙 프레임(530), 암(5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510)은 앞서 설명한, 포커싱 유닛(100), 디스펜싱 유닛(200), 폰 테스트 유닛(300) 및 매거진 카세트 유닛(400) 전체를 감쌀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포커싱 유닛(100), 디스펜싱 유닛(200), 폰 테스트 유닛(300) 및 매거진 카세트 유닛(400)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증설될 경우를 대비하여 적층/설치되어 있는 포커싱 유닛(100), 디스펜싱 유닛(200), 폰 테스트 유닛(300) 및 매거진 카세트 유닛(400)의 크기에 비하여 크게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무빙 프레임(520)은 메인 프레임(510)에 설치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프레임이고, 상기 제2무빙 프레임(530)은 제1무빙 프레임(520)에 설치되어 z축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프레임이다.
상기 제1무빙 프레임(520)과 제2무빙 프레임(530)은 각각의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데 제1무빙 프레임(520)과 제2무빙 프레임(530)을 직선운동시키기는 것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이 가능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평균 정도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충분히 구현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암(540)은 상기 제2무빙 프레임(530)에 설치되어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포커싱 유닛(100), 디스펜싱 유닛(200), 폰 테스트 유닛(300) 및 매거진 카세트 유닛(400)에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로딩하거나 포커싱 유닛(100), 디스펜싱 유닛(200), 폰 테스트 유닛(300) 및 매거진 카세트 유닛(400)으로부터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언로딩하게 된다.
상기 암(54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퍼(541)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리퍼(541)가 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카메라 모듈 어레이(10)과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카메라 모듈 어레이(10)의 로딩 또는 언로딩을 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을 검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작업자가 매거진 카세트 유닛(400)에 카메라 모듈(1)이 탑재된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여러 개 투입하며, 투입하는 주기는 작업속도와 하나의 카메라 모듈 어레이(10)에 수용되는 카메라 모듈(1)의 수를 고려하여 결정하면 된다.
이송 유닛(500)은 매거진 카세트 유닛(400)에 수용된 어느 하나의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포커싱 유닛(100)으로 이송한다.
포커싱 유닛(100)은 이송된 카메라 모듈 어레이(10)에 수용된 카메라 모듈(1)에 대한 포커싱 작업을 수행한다. 카메라 모듈 어레이(10)에는 여러 개의 카메라 모듈(1)이 수용되어 있는데 순차적으로 모든 카메라 모듈(1)에 대해 포커싱 작업을 수행한다.
포커싱 유닛(100)으로 투입된 카메라 모듈 어레이(10)의 모든 카메라 모듈(1)에 대한 포커싱 작업이 완료되면, 이송 유닛(500)에 의해 포커싱 유닛(100)으로부터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언로딩하고, 이를 디스펜싱 유닛(200)으로 이송한 후 로딩하게 된다.
디스펜싱 유닛(200)에서는 로딩된 카메라 모듈 어레이(10)에 수용된 카메라 모듈(1)에 대한 디스펜싱 작업을 순차적으로 진행하게 되며, 모든 카메라 모듈(1)에 대한 디스펜싱 작업이 완료되면 이송 유닛(500)에 의해 디스펜싱 유닛(200)으로부터 카메라 모듈 어레이(10)를 언로딩한다.
디스펜싱 유닛(200)으로부터 언로딩된 카메라 모듈 어레이(10)은 폰 테스트 유닛(300)으로 이송되어 로딩되며, 폰 테스트 유닛(300)은 이송된 카메라 모듈 어레이(10)의 카메라 모듈(1)에 대해 순차적으로 여러 가지 검사를 시행하며, 모든 카메라 모듈(1)에 대한 검사가 완료되면 이송 유닛(500)에 의해 언로딩 되어 다시 매거진 카세트 유닛(400)으로 이송된다.
포커싱 유닛(100), 디스펜싱 유닛(200), 폰 테스트 유닛(300)은 반복적으로 로딩되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작업을 하게 되며, 이송 유닛(500)이 계속해서 각각의 유닛으로 작업 전의 카메라 모듈 어레이를 로딩하고, 각각의 유닛으로부터 작업이 완료된 카메라 모듈 어레이를 언로딩한다.
본 발명에서는 여러 개의 작업 유닛을 상하좌우로 유닛을 적층할 수 있도록 함으로 인하여 좁은 공간에 많은 작업 유닛을 배치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정을 추가하는 경우 필요한 유닛을 기존의 유닛 좌우 또는 상하로 적층하는 방식으로 간단히 유닛의 추가가 가능하므로 폭넓은 공정의 확장성을 보장하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카메라 모듈 어레이에 수십 개의 카메라 모듈(1)을 탑재하여 각각의 유닛에서 공정을 진행하도록 하는데 하나의 카메라 모듈 어레이의 모든 카메라 모듈(1)에 대한 작업 시간이 적어도 몇 분 이상이 소요됨으로 인하여 이송 유닛(500)에 가해지는 속도의 부담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종래의 자동화 설비의 경우 하나의 작업 유닛에서 하나의 카메라 모듈에 대한 작업(포커싱, 디스펜싱, 각종 검사 등)을 진행하며, 하나의 카메라 모듈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은 수 초 내지 수 십초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송 유닛이 적어도 수십 초에 한번은 카메라 모듈을 이송해야 하는데 이럴 경우 이송 유닛이 빠른 주기로 카메라 모듈을 이송시켜야 하므로 속도에 대한 부담이 크고 단위 시간에 움직이는 횟수가 많아서 오작동의 우려도 있다. 그런데 본 발명과 같이 여러 개의 카메라 모듈을 카메라 모듈 어레이에 탑재한 상태로 작업 유닛에 로딩 함으로써 하나의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카메라 모듈의 수 * 하나의 카메라 모듈 작업에 필요한 시간)만큼 확보되므로 이송 유닛의 이송 주기가 길어지게 되어 보다 여유 있게 움직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형태의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로 구체화될 수 있다.
1 : 카메라 모듈 10 : 카메라 모듈 어레이
100 : 포커싱 유닛 200 : 디스펜싱 유닛
300 : 폰 테스트 유닛 400 : 메거진 카세트 유닛
500 : 이송 유닛

Claims (7)

  1.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에 있어서,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 어레이에 수용된 카메라 모듈의 포커스를 조절하는 포커싱 수단과 카메라 모듈을 수용하는 카메라 모듈 어레이를 수작업으로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투입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 전면에 마련되는 카메라 모듈 어레이 투입구를 포함하는 포커싱 유닛;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 어레이에 수용된 카메라 모듈에 접착제를 디스펜싱 하기 위한 디스펜싱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펜싱 유닛;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최종 테스트를 위한 폰 테스트 수단을 포함하는 폰 테스트 유닛;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 어레이를 다수 수용하는 매거진 카세트 유닛;
    상기 포커싱 유닛, 디스펜싱 유닛, 폰 테스트 유닛 및 매거진 카세트 유닛의 후면쪽에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 어레이를 각각의 유닛에 로딩하거나 각각의 유닛으로부터 언로딩하는 이송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포커싱 유닛, 디스펜싱 유닛, 폰 테스트 유닛 및 매거진 카세트 유닛의 케이싱은 모두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어 상하좌우방향으로 적층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배치되는 상기 포커싱 유닛, 디스펜싱 유닛, 폰 테스트 유닛의 수는 각각의 유닛의 공정 속도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 어레이는 여러 개의 카메라 모듈을 수용하며, 상기 포커싱 유닛, 디스펜싱 유닛 및 폰 테스트 유닛은 각 구동수단에 의해 카메라 모듈 어레이와 포커스, 디스펜스, 폰테스트를 위한 구성을 상대이동시키면서 카메라 모듈 어레이에 수용된 여러 개의 카메라 모듈에 대해 연속적으로 포커싱 작업, 디스펜싱 작업 및 폰 테스트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수단은 상기 카메라 모듈과 전기적 접속을 하는 컨텍트부, MFT 챠트부, 포커스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폰 테스트 수단은 카메라 모듈과 전기적 접속을 하는 컨텍트부, MTF챠트부, 포커스 검사부, 주변 광량비 검사부, 빛번짐 검사부, 암 특성 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 카세트 유닛은 다수의 카메라 모듈 어레이를 수용하는 매거진 모듈, 인덱스 로봇 모듈, 로딩/언로딩 모듈 및 불량 픽업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
KR1020150084108A 2015-06-15 2015-06-15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 KR101657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108A KR101657179B1 (ko) 2015-06-15 2015-06-15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108A KR101657179B1 (ko) 2015-06-15 2015-06-15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179B1 true KR101657179B1 (ko) 2016-09-27

Family

ID=57101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108A KR101657179B1 (ko) 2015-06-15 2015-06-15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1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1136A (ko) * 2017-03-03 2018-09-12 (주)인스케이프 공정 유닛
KR102058376B1 (ko) * 2018-07-06 2019-12-24 주식회사 메리테크 일체형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819A (ko) * 2004-04-20 2005-10-25 미래산업 주식회사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 및 그의 작동방법
KR100691321B1 (ko) * 2004-06-18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제품검사시스템
KR20090004142A (ko) * 2007-07-06 2009-01-12 김대봉 카메라모듈 검사장치의 제어방법
KR20150050414A (ko) * 2013-10-29 2015-05-08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웨이퍼 검사 장치의 정비용 대차 및 웨이퍼 검사 장치의 정비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819A (ko) * 2004-04-20 2005-10-25 미래산업 주식회사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 및 그의 작동방법
KR100691321B1 (ko) * 2004-06-18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제품검사시스템
KR20090004142A (ko) * 2007-07-06 2009-01-12 김대봉 카메라모듈 검사장치의 제어방법
KR20150050414A (ko) * 2013-10-29 2015-05-08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웨이퍼 검사 장치의 정비용 대차 및 웨이퍼 검사 장치의 정비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1136A (ko) * 2017-03-03 2018-09-12 (주)인스케이프 공정 유닛
KR20180101153A (ko) * 2017-03-03 2018-09-12 (주)인스케이프 카메라 모듈 테스트 공정을 위한 스위칭 보드, 스위칭 보드 기반의 공정 유닛, 및 상기 공정 유닛 제어 방법
KR20180101135A (ko) * 2017-03-03 2018-09-12 (주)인스케이프 공정 유닛
KR102069744B1 (ko) * 2017-03-03 2020-01-23 (주)인스케이프 공정 유닛
KR102096317B1 (ko) * 2017-03-03 2020-04-02 (주)인스케이프 공정 유닛
KR102142618B1 (ko) * 2017-03-03 2020-08-07 (주)인스케이프 카메라 모듈 테스트 공정을 위한 스위칭 보드, 스위칭 보드 기반의 공정 유닛, 및 상기 공정 유닛 제어 방법
KR102058376B1 (ko) * 2018-07-06 2019-12-24 주식회사 메리테크 일체형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991B1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KR101205950B1 (ko) 메모리카드용 테스트 핸들러
KR20210148027A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핸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KR101377988B1 (ko) 렌즈 어셈블리 고속 검사 장치
KR101657179B1 (ko)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및 검사 장치
KR101175770B1 (ko) 렌즈 검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렌즈 검사 방법
CN100562132C (zh) 数码相机模组的组装与测试***及方法
KR102633105B1 (ko) 이송툴모듈 및 그를 가지는 소자핸들러
KR102231146B1 (ko) 이송툴모듈, 니들핀 조립체, 및 그를 가지는 소자핸들러
KR102142618B1 (ko) 카메라 모듈 테스트 공정을 위한 스위칭 보드, 스위칭 보드 기반의 공정 유닛, 및 상기 공정 유닛 제어 방법
KR101859447B1 (ko)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
CN112153367B (zh) 用于摄像模组测试的自动检测机
CN219636290U (zh) 手机自动检测线
KR20190066159A (ko) 카메라 렌즈 모듈 제조 장치
KR100551994B1 (ko)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 및 그의 작동방법
CN210236217U (zh) 物料传输设备和检测***
CN114345729B (zh) 一种自动化蓝牙耳机测试设备及其测试方法
CN112009959A (zh) 物料传输设备及其应用
TWI467197B (zh) An electronic component operating unit for an image capturing device, and a working device for its application
KR102490592B1 (ko) 반도체 소자 이송 장치
CN112153366B (zh) 用于摄像模组组测的自动烧录机
CN210614414U (zh) Ccd视觉多功能辅料自动检测机
TW201423120A (zh) 電子元件作業單元、作業方法及其應用之作業設備
KR20180061854A (ko) 카메라 모듈용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KR20210148026A (ko)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