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119B1 - 진동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진동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119B1
KR101814119B1 KR1020137000347A KR20137000347A KR101814119B1 KR 101814119 B1 KR101814119 B1 KR 101814119B1 KR 1020137000347 A KR1020137000347 A KR 1020137000347A KR 20137000347 A KR20137000347 A KR 20137000347A KR 101814119 B1 KR101814119 B1 KR 101814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housing
shaft
coil
weigh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0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1515A (ko
Inventor
마사야 엔도
신 오다지마
요시히데 도노가이
Original Assignee
니덱 코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49419A external-priority patent/JP534251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80506A external-priority patent/JP5815264B2/ja
Application filed by 니덱 코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덱 코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1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1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alternate energisation of two coi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진동 액츄에이터는 하우징의 진동 축선을 따라 배치되어 하우징의 진동 축선 방향에서의 양단에 설치된 단벽에 양단이 고정된 샤프트와, 샤프트가 관통함과 동시에 샤프트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마그넷과, 샤프트의 연장 방향으로 마그넷에 인접하여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샤프트가 관통함과 동시에 마그넷과 일체로 이동 가능한 추 부분을 가진 이동 가능 소자와, 이동 가능 소자와 단벽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 가능 소자를 진동 축선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코일은 진동 축선을 중심으로 환형으로 감겨져 진동 축선 방향으로 병설된 제1 코일과 제2 코일로 이루어지고, 제1 코일과 제2 코일은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다르다.

Description

진동 액츄에이터{Oscillating actuator}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휴대전화 등 휴대 무선 장치의 착신을 이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진동 발생원이나, 터치 패널의 조작 감촉이나 놀이기구의 실제감을 손가락이나 손에게 전달하기 위한 진동 발생원 등에 이용되는 소형 진동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분야의 기술로서 일본실개평5-60158호 공보가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된 진동 액츄에이터는 원통형 본체에 수용된 자석과 추 부분으로 이동 가능 소자가 구성되고, 이 이동 가능 소자가 원통형 본체의 축선 방향으로 선형으로 진동하는 것이다. 이 진동 액츄에이터에서는, 하우징의 외주에 오목부가 설치되고 이 오목부에 코일이 배설(配設)되어 있다. 오목부의 내경 부분에는 축선 방향을 따라 자석이 배치된다. 이 자석은 오목부의 내경 부분에서 원통형 본체의 안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연장 돌출된 자석의 일단에는 추 부분이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자석 및 추 부분으로 구성된 이동 가능 소자의 양단은, 스프링을 끼워 원통형 본체의 단판(端板)에 지지되어 있다.
또 이러한 분야의 기술로서 하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원통형 하우징 내에 샤프트가 고정되고 이 샤프트를 따라 이동 가능 소자가 진동하는 진동 액츄에이터가 알려져 있다. 이 진동 액츄에이터의 이동 가능 소자는, 샤프트상에 배설된 컵 모양의 요크와, 요크의 외주 저면에 접착된 추 부분과, 요크 내에 배치된 마그넷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요크, 추 및 마그넷이 샤프트와 동축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동 가능 소자는 축선 방향의 양측에서 코일 스프링에 의해 유지된다. 컵 모양의 요크와 마그넷 사이에는, 마그넷을 포위하도록 코일 보빈 및 구동 코일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 가능 소자는 진동 시 샤프트를 따라 슬라이딩한다. 또한 샤프트의 일부에서 직경이 축소된 단부를 설치함으로써 이동 가능 소자의 마그넷을 단부로부터 이간시켜 단부에 마그넷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로써 이동 가능 소자와 샤프트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줄인다.
특허문헌 1: 일본실개평5-6015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특개2003-220363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진동 액츄에이터는 자석 및 추 부분으로 구성된 이동 가능 소자를 스프링에 의해 단순히 지지하는 구조이므로, 추 부분은 원통형 본체 내에서 축선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비교적 자유롭게 흔들릴 수 있다. 따라서 추 부분의 중심 위치가 축선에서 어긋나거나 추 부분이 낙하 충격에 의해 원통형 본체에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안정적인 진동을 확보하기 어렵고 낙하 충격 내성이 낮은 구조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낙하 충격 시에 추 부분에 가해지는 큰 관성력에 의해 원통형 본체에서 단판이 벗어나서 이동 가능 소자가 튀어나오는 사태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
또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진동 액츄에이터에서는 요크에 대한 마그넷 고정 방법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요크에 대한 마그넷 고정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마그넷의 위치가 샤프트의 직경 방향으로 벗어남으로써 마그넷이 샤프트의 직경 방향으로 흔들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안정적인 진동을 확보하면서 낙하 충격 내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진동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샤프트의 직경 방향에서의 마그넷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진동을 확보할 수 있는 진동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진동 액츄에이터는, 통형 하우징 내에 배치된 코일과, 이 코일에 포위되어 하우징 내에 배치된 마그넷과의 협동에 의해 마그넷이 하우징의 진동 축선을 따라 선형으로 진동하는 진동 액츄에이터에서, 하우징의 진동 축선을 따라 배치되어 하우징의 진동 축선 방향에서의 양단에 설치된 단벽(端壁)에 양단이 고정된 샤프트와, 샤프트가 관통함과 동시에 샤프트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마그넷과, 샤프트의 연장 방향에서 마그넷에 인접하여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샤프트가 관통함과 동시에 마그넷과 일체로 이동 가능한 추 부분를 가진 이동 가능 소자와, 이동 가능 소자와 단벽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 가능 소자를 진동 축선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코일은 진동 축선을 중심으로 환형으로 감겨져 진동 축선 방향으로 병설된 제1 코일과 제2 코일로 이루어지고, 제1 코일과 제2 코일은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진동 액츄에이터에 의하면, 마그넷 및 추 부분이 하우징의 진동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마그넷과 마그넷을 포위하는 코일과의 협동에 의해, 마그넷과 추 부분를 가진 이동 가능 소자가 탄성 부재로부터의 가압력을 받으면서 하우징의 진동 축선을 따라 선형으로 진동한다. 여기에서, 마그넷 및 추 부분에는 하우징의 진동 축선 방향에서의 양단에 설치된 단벽에 양단이 고정된 샤프트가 관통하고 있다. 이 고정된 샤프트에 안내되면서 마그넷 및 추 부분이 일체가 되어 진동한다. 따라서 추 부분의 중심 위치가 진동 축선에서 어긋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진동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낙하 충격이 발생한 경우라도 추 부분이 하우징에 충돌하는 것이 방지되어 낙하 충격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하우징이 진동 축선을 분할하는 방향에서 2분할 이상 된 파트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일 형태와 같이 샤프트의 양단이 하우징의 양단벽에 고정되어 있으면 하우징을 구성하는 각 파트의 연결 강도가 상승한다. 따라서 낙하 충격 시에 하우징이 진동 축선 방향으로 분단되어 하우징에서 추 부분나 마그넷이 튀어나오는 사태를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샤프트는 연결 바의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마그넷에서 제1 코일로 향하는 자로와 제2 코일에서 마그넷으로 돌아오는 자로가 형성되어 양쪽 자로에서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일 코일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큰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또 추 부분은 진동 축선 방향에서 마그넷의 양측에 배치된 제1 추 부분과 제2 추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탄성 부재는 제1 추 부분과 하우징의 한쪽 단벽(端壁) 사이에 배치된 제1 압축 스프링과, 제2 추 부분과 하우징의 다른 쪽 단벽 사이에 배치된 제2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마그넷과 제1 추 부분 및 제2 추 부분 사이에는 환형의 폴 요크가 각각 배치되어 있는 형태여도 좋다.
이 경우, 추 부분, 폴 요크 및 마그넷은 제1 압축 스프링과 제2 압축 스프링에 의해 양측에서 가압력을 받으면서 진동하므로, 안정적인 진동을 확실하고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추 부분, 폴 요크 및 마그넷은 대향하는 제1 압축 스프링과 제2 압축 스프링을 채용함으로써 진동 축선 방향에서 서로 압착되어 일체화되므로,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아도 각 부품끼리 연결시켜 놓을 수 있다. 특히 추 부분, 마그넷, 폴 요크에는 샤프트가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접착제가 비어져 나와 있으면, 접착제와 샤프트가 서로 비벼짐으로써 마찰 저항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이러한 사태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진동 액츄에이터는 통형 하우징 내에 배치된 코일과 이 코일에 포위되어 하우징 내에 배치된 마그넷과의 협동에 의해 마그넷이 하우징의 진동 축선을 따라 선형으로 진동하는 진동 액츄에이터에서, 진동 축선을 따라 배치되어 진동 축선 방향에서의 하우징 양단에 설치된 단벽에 양단이 고정된 샤프트와, 샤프트가 관통함과 동시에 샤프트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마그넷과,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샤프트가 관통함과 동시에 마그넷과 일체로 이동 가능한 추 부분을 가진 이동 가능 소자와, 이동 가능 소자와 단벽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 가능 소자를 진동 축선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추 부분은 샤프트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베어링부를 가지고, 이동 가능 소자에는 추 부분에 대해 마그넷이 샤프트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진동 액츄에이터에 의하면, 마그넷 및 추 부분를 가진 이동 가능 소자가 탄성 부재로부터의 가압력을 받으면서 샤프트의 연장 방향, 즉 진동 축선 방향으로 진동한다. 여기에서 추 부분은 샤프트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베어링부를 가지고 있고, 마그넷과 샤프트 사이에는 소정 간격이 있게 된다. 그래서 마그넷은 이동 규제부에 의해, 베어링부를 가진 추 부분에 대해 샤프트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샤프트의 직경 방향에서의 마그넷의 흔들림을 베어링부를 가진 추 부분과의 협동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또 이동 가능 소자는 샤프트가 관통함과 동시에 마그넷과 추 부분 사이에 배치된 요크를 가지고, 이동 규제부는 추 부분과 요크의 요철 감합 및 요크와 마그넷의 요철 감합에 의해 마그넷이 샤프트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형태여도 좋다. 이 경우, 이동 가능 소자를 구성하는 부재끼리의 요철을 감합함으로써 마그넷의 직경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추 부분, 요크, 마그넷의 각 접합 단면의 형상 변경만으로도 마그넷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간단한 구성에 의해 마그넷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요크는 샤프트의 주위에 배치되는 제1 환형부와, 제1 환형부의 외주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제1 환형부에 대해 진동 축선 방향으로 어긋나 배치되는 제2 환형부를 갖는 형태여도 좋다. 이 경우, 제1 환형부와 제2 환형부에 의해 진동 축선 방향에서의 요철 형상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요철 형상을 가진 요크의 접합 단면과 추 부분 및 마그넷 각각의 접합 단면과의 요철을 감합함으로써 마그넷의 직경 방향으로의 이동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 이동 규제부는 추 부분과 마그넷의 요철 감합에 의해 마그넷이 샤프트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형태여도 좋다. 이 경우 이동 가능 소자를 구성하는 부재끼리의 요철 감합에 의해 마그넷의 직경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추 부분 및 마그넷의 각 접합 단면의 형상 변경만으로도 마그넷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간단한 구성에 의해 마그넷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마그넷과 샤프트 사이에는 빈틈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여도 좋다. 이 경우 마그넷이 샤프트에 접촉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 추 부분은 적어도 일부가 코일에 의해 포위된 소경부를 가지고 있고, 소경부 및 마그넷의 진동 축선 방향에서의 길이는 코일의 진동 축선 방향에서의 길이보다 긴 형태여도 좋다. 이 경우 진동 축선 방향에서의 코일의 일단에서 추 부분 및 마그넷을 코일 내에 삽입하면, 진동 축선 방향에서의 코일의 타단에서 마그넷이 노출된다. 따라서 그 후 부품을 쉽게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안정적인 진동을 확보하면서 낙하 충격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샤프트의 직경 방향에서의 마그넷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진동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진동 액츄에이터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동 액츄에이터의 사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진동 액츄에이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진동 액츄에이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진동 액츄에이터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진동 액츄에이터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진동 액츄에이터의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진동 액츄에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 중의 이동 가능 소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 중의 마그넷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진동 액츄에이터의 제5 실시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진동 액츄에이터의 제6 실시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진동 액츄에이터의 제7 실시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진동 액츄에이터의 제8 실시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진동 액츄에이터의 제9 실시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진동 액츄에이터의 제10 실시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진동 액츄에이터의 제11 실시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진동 액츄에이터의 제12 실시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진동 액츄에이터의 제13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이동 가능 소자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도면의 설명에 대해 동일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 액츄에이터(1)는 직경이 약 4.5㎜인 원통형 하우징(2)을 가지고 있다. 이 하우징(2) 내에는 하우징(2)의 진동 축선(A)을 중심으로 환형으로 감겨진 코일(3)과, 이 코일(3)에 포위된 원통형 마그넷(4)과, 하우징(2)의 진동 축선(A) 방향에서 마그넷(4)의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1 및 제2 추 부분(6, 7)이 수용되어 있다. 이 진동 액츄에이터(1)에서는 마그넷(4)과 제1 및 제2 추 부분(6, 7)으로 이루어진 이동 가능 소자(8)가 일체가 되어 코일(3)과 마그넷(4)의 협동에 의해 하우징(2)의 진동 축선(A)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진동한다.
하우징(2)은 진동 축선(A)을 분할하는 방향에서 2분할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우징(2)의 제1 하우징(10)은 하우징(2)의 진동 축선(A) 방향의 일단에 위치하는 원판형 단벽(10a)과, 이 단벽(10a)에서 진동 축선(A) 방향으로 원통형으로 연장된 주벽(周壁)(10b)으로 제1 추 부분(6), 코일(3) 및 마그넷(4)을 수용하고 있다. 하우징(2)의 제2 하우징(11)은 제1 하우징(10)에 진동 축선(A)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 제2 하우징(11)은 하우징(2)의 진동 축선(A) 방향의 타단에 위치하는 원판형 단벽(11a)과, 이 단벽(11a)에서 진동 축선(A) 방향으로 원통형으로 연장된 주벽(11b)으로 제2 추 부분(7)를 수용하고 있다. 제1 및 제2 하우징(10, 11)은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11) 사이에서, 수지제 보빈(12)의 일부를 이루는 단자대(12d)가 노출되어 있다.
보빈(12)은 제1 및 제2 하우징(10, 11)의 주벽(10b, 11b)보다 직경이 작고 주벽(10b) 내에 삽입되어 코일(3)이 감겨지는 통형부(12a)와, 통형부(12a)의 진동 축선(A) 방향에서의 양단에 연결 설치된 플랜지부(12b, 12c)와, 두꺼운 플랜지부(12b)의 단부에서 주벽(11b)을 따라 연장되는 단자대(12d)를 가지고 있다. 통형부(12a)는 진동 축선(A) 방향에서의 하우징(2)의 대략 중앙에 위치한다. 한쪽 플랜지부(12c)는 제1 하우징(10)의 주벽(10b) 내주면에 맞닿아 있다. 다른 쪽 플랜지부(12b)는 주벽(10b, 11b) 사이에서 노출된다. 주벽(11b)의 표면측으로 연장되는 단자대(12d)에는 단자(13)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하우징(10, 11)의 주벽(10b, 11b)의 단부끼리는 보빈(12)의 두꺼운 부분(12b)이 노출되는 부분을 제외한 위치에서 대면하고 있고, 여러 곳의 용접부(D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도 1 참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벽(10a, 11a) 각각의 중심 위치에는 샤프트 유지 구멍(16, 17)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샤프트 유지 구멍(16, 17) 주위에는 버링 가공에 의해 단벽(10a, 11a)에서 하우징(2)의 안쪽을 향해 돌출되는 링형 돌기(18, 1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샤프트 유지 구멍(16, 17)에 직경 약 0.6㎜의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샤프트(20)의 양단이 압입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20)의 단부는 용접부(D2)(도 1 참조)에 의해 양단벽(10a, 11a)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샤프트(20)는 하우징(2)의 진동 축선(A)을 따라 배치됨과 동시에 진동 축선(A) 방향에 대해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11)을 견고하게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샤프트(20)는 전술한 마그넷(4), 제1 추 부분(6) 및 제2 추 부분(7)으로 이루어진 이동 가능 소자(8)를 관통하고 있다.
이동 가능 소자(8)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마그넷(4)에는 진동 축선(A) 방향으로 S극과 N극이 착자(着磁)되어 있다. 마그넷(4)에는 샤프트(20)의 외경보다 직경이 약간 큰 샤프트 관통 구멍(4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마그넷(4)은 보빈(12)의 통형부(12a)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마그넷(4)과 그 진동 축선(A) 방향의 양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추 부분(6, 7) 사이에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링형 폴 요크(21, 22)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폴 요크(21, 22)는 코일(3), 마그넷(4) 및 제1 하우징(10)과 일체가 되어 자기회로를 효율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추 부분(6)은 보빈(12)의 통형부(12a)의 한쪽 개구에서 삽입된 보디부(6a)와, 제1 하우징(10)의 단벽(10a)측에서 보디부(6a)보다 직경이 확대된 플랜지부(6b)를 가지고 있다. 제2 추 부분(7)은 보빈(12)의 통형부(12a)의 다른 쪽 개구에서 삽입된 보디부(7a)와, 제2 하우징(11)의 단벽(11a)측에서 보디부(7a)보다 직경이 확대된 플랜지부(7b)를 가지고 있다. 보빈(12)의 플랜지부(12b)가 두껍게 형성되어 샤프트(20)의 연장 방향의 공간을 점유하는 만큼 제2 추 부분(7)의 플랜지부(7b)는 제1 추 부분(6)의 플랜지부(6b)보다 연장 방향에서의 두께가 얇아지고 있다. 추 부분(6, 7)에 플랜지부(6b, 7b)가 형성됨으로써 매우 작은 하우징(2) 내에서도 추 부분(6, 7)의 중량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제1 추 부분(6)의 보디부(6a) 및 제2 추 부분(7)의 보디부(7a)는 플랜지부(6b) 및 플랜지부(7b)보다 직경이 작은 소경부이다. 보디부(6a) 및 보디부(7a) 각각의 마그넷(4)측 단부는 코일(3)에 의해 포위되어 있다. 즉, 보디부(6a)의 적어도 일부는 코일(3)에 의해 포위되어 있다. 보디부(7a)의 적어도 일부는 코일(3)에 의해 포위되어 있다.
제1 및 제2 추 부분(6, 7)의 보디부(6a, 7a)에는 샤프트(20)의 외경보다 직경이 약간 큰 샤프트 관통 구멍(23, 24)이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 관통 구멍(23, 24)의 연장 방향에서의 중간부에는 샤프트 관통 구멍(23, 24)의 벽면에서 직경 방향 안쪽을 향해 링형으로 돌출된 베어링부(25, 26)가 형성되고, 각 베어링부(25, 26)는 샤프트(20)를 따라 슬라이딩한다. 또 제1 및 제2 추 부분(6, 7)의 플랜지부(6b, 7b)에는 보디부(6a, 7a)의 샤프트 관통 구멍(23, 24)보다 더 직경이 확대된 원주 형상의 스프링 수용 구멍(27, 28)이 샤프트 관통 구멍(23, 24)에 연통됨과 동시에 샤프트 관통 구멍(23, 24)과 동축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추 부분(6)과 단벽(10a) 사이에는 스프링 수용 구멍(27)에 삽입된 제1 압축 코일 스프링(30)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압축 코일 스프링(30) 안을 샤프트(20)가 관통한다. 제2 추 부분(7)과 단벽(11a) 사이에는 스프링 수용 구멍(28)에 삽입된 제2 압축 코일 스프링(31)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압축 코일 스프링(31) 안을 샤프트(20)가 관통한다. 여기에서 제1 압축 코일 스프링(30) 및 제2 압축 코일 스프링(31)으로서는 동일한 부품이 이용되고 있다. 제1 및 제2 압축 코일 스프링(30, 31)의 일단에는 샤프트 유지 구멍(16, 17) 주위에 형성된 전술한 돌기(18, 19)가 박아 넣어져 있다. 이로써 제1 및 제2 압축 코일 스프링(30, 31)이 샤프트(20)에 닿지 않고 확실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압축 코일 스프링(30, 31)의 타단은 제1 및 제2 추 부분(6, 7)의 스프링 수용 구멍(27, 28) 안에 삽입되어 있다. 제1 및 제2 압축 코일 스프링(30, 31)의 타단은 스프링 수용 구멍(27, 28)과 샤프트 관통 구멍(23, 24) 사이에 형성된 링형 단부(32, 33)에 맞닿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1 및 제2 추 부분(6, 7), 폴 요크(21, 22) 및 마그넷(4)은 같은 축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압축 코일 스프링(30, 31)에 의해 진동 축선(A)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 가압력에 의해 서로 압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추 부분(6, 7), 폴 요크(21, 22) 및 마그넷(4)을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들 부품으로 구성된 이동 가능 소자(8)는 제1 및 제2 압축 코일 스프링(30, 31)에 의한 가압력을 양측에서 받으면서 샤프트(20)를 따라 진동 축선(A)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플랜지부(7b)의 마그넷(4)측에는 샤프트(20)의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링형 단면(7c)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면(7c)은 보빈(12)의 플랜지부(12b)에서의 단벽(11a)측 단면(12e)에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7b)의 단면(7c)에서 마그넷(4)의 단벽(10a)의 단면(4b)까지의 길이는 플랜지부(12b)의 단면(12e)에서 플랜지부(12c)의 단벽(10a)측 단면(12f)까지의 길이와 대략 동일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 액츄에이터(1)의 조립 시에 제2 하우징(11)에 샤프트(20)를 압입하고, 이 샤프트(20)에 제2 압축 코일 스프링(31), 제2 추 부분(7), 폴 요크(22) 및 마그넷(4)을 통과시켜 중첩시키고, 이들을 보빈(12) 내에 삽입하면서 보빈(12)을 제2 하우징(11)에 부착하면, 마그넷(4)의 단면(4b)이 플랜지부(12c)의 개구에서 노출된다. 따라서 그 후 폴 요크(21)나 제1 추 부분(6)을 쉽게 조립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추 부분(7)의 보디부(7a) 및 마그넷(4)의 진동 축선(A) 방향에서의 길이는 코일(3)의 진동 축선(A) 방향에서의 길이보다 길어진다. 이로써 진동 축선(A) 방향에서의 코일(3)의 일단에서 제2 추 부분(7) 및 마그넷(4)을 코일(3) 내에 삽입하면, 진동 축선(A) 방향에서의 코일(3)의 타단에서 마그넷(4)이 노출된다. 따라서 그 후 부품을 쉽게 조립할 수 있다.
한편 보빈(12)의 통형부(12a)에 감겨진 코일(3)은 진동 축선(A) 방향으로 다소 이간되어 병설된 제1 코일(34)과 제2 코일(35)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코일(34, 35)은 주벽(10b)에 내접(內接)하도록 하여 주벽(10b)으로 포위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코일(34, 35)은 보빈(12)의 통형부(12a)와 주벽(10b)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B)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코일(34)과 제2 코일(35)에는 감겨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전류가 흐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진동 액츄에이터(1)에서는 외부에서 리드선(L) 및 단자(13)를 통해 코일에 통전되면 코일(34, 35)에 의해 자계가 형성되고, 마그넷(4)이 이 자계에 흡인·반발하여 제1 및 제2 추 부분(6, 7), 폴 요크(21, 22) 및 마그넷(4)이 일체가 되어 진동 축선(A) 방향에 선형으로 진동하여 진동 액츄에이터(1)가 탑재된 휴대전화 등의 기기류에 진동을 발생시킨다.
진동 액츄에이터(1)에 의하면, 하우징(2)의 각 단벽(10a, 11a)에 각각의 단이 고정된 샤프트(20)는 마그넷(4) 및 추 부분(6, 7)을 관통하여 고정된 샤프트(20)에 안내되면서 마그넷(4) 및 추 부분(6, 7)이 일체가 되어 진동한다. 따라서 추 부분(6, 7)의 중심 위치가 진동 축선(A)에서 어긋나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진동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낙하 충격이 발생한 경우에도 추 부분(6, 7)이 하우징(2)에 충돌하는 것이 방지되어 낙하 충격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1 하우징(10) 및 제2 하우징(11)으로 이루어진 하우징(2)과 같이, 진동 축선(A)을 분할하는 방향에서 하우징(2)은 2분할되어 있다. 샤프트(20)의 양단이 하우징(2)의 양단벽(10a, 11a)에 고정되어 있으면 샤프트(20)가 연결 바로서 기능한다. 이로써 하우징(2)을 구성하는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11)의 연결 강도가 상승한다. 따라서 낙하 충격 시에 하우징(2)이 진동 축선(A) 방향으로 분단되어 하우징(2)에서 추 부분(6, 7)이나 마그넷(4)이 튀어나오는 사태를 막을 수 있다.
또 제1 코일(34)과 제2 코일(35)은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마그넷(4)에서 제1 코일(34)을 향하는 자로(磁路)와, 제2 코일(35)에서 마그넷(4)으로 돌아오는 자로가 형성되어 양쪽 자로에서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일 코일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큰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추 부분(6, 7), 폴 요크(21, 22) 및 마그넷(4)은 제1 압축 코일 스프링(30)과 제2 압축 코일 스프링(31)에 의해 양측에서 가압력을 받으면서 진동하므로, 안정적인 진동을 확실하고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추 부분(6, 7), 폴 요크(21, 22) 및 마그넷(4)은 대향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30)과 압축 코일 스프링(31)을 채용함으로써 진동 축선(A) 방향에서 서로 압착되어 일체화된다. 따라서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아도 각 부품끼리 연결시킬 수 있다. 특히 추 부분(6, 7), 마그넷(4), 폴 요크(21, 22)에는 샤프트(20)가 관통하기 때문에 접착제가 비어져 나오면 접착제와 샤프트(20)가 서로 비벼짐으로써 마찰 저항을 일으킨다. 그러나 진동 액츄에이터(1)에서는 이러한 사태를 막을 수 있다.
또 진동 축선(A) 방향에 대해 마그넷(4)의 양측에 배치된 제1 추 부분(6)과 제2 추 부분(7)을 구비하기 때문에 한층 더 안정적인 진동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추 부분(6, 7) 각각에는 베어링부(25, 2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샤프트(20)를 따라 균형 잡힌 진동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베어링부(25, 26)는 샤프트 관통 구멍(23, 24)의 연장 방향에서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 가능 소자(8)의 진동 시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가능한 한 줄일 수 있다.
또 제1 하우징(10)의 주벽(10b)이 자기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요크판을 겸하고 있기 때문에 코일(34, 35)을 포위하는 요크판을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어 직경 방향에서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또한 제1 압축 코일 스프링(30)과 제2 압축 코일 스프링(31)은 동일한 부품이므로 부품의 공유화가 도모된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액츄에이터(1A)의 종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 액츄에이터(1A)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진동 액츄에이터(1)(도 3 참조)에서의 제1 및 제2 코일 스프링(30, 31) 대신에 판스프링(36, 37)을 이용하였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추 부분의 플랜지부(6b, 7b)에는 스프링 수용 구멍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그만큼 추 부분(6, 7)의 중량을 늘릴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액츄에이터(1A)에서도 진동 액츄에이터(1)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6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액츄에이터(1B)의 종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 액츄에이터(1B)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진동 액츄에이터(1)(도 3 참조)에서의 제2 추 부분(7)을 없애고, 그만큼 용적을 늘린 제1 추 부분(6)을 설치하였다. 이 변경에 따라 진동 액츄에이터(1B)에서는 마그넷(4) 및 코일(34, 35)이 설치되는 위치가 진동 축선(A) 방향에 대해 단벽(11a)측에 치우쳐 있다. 또 샤프트 관통 구멍(23)과 스프링 수용 구멍(27)은 연통되지 않고, 샤프트 관통 구멍(23)과 스프링 수용 구멍(27) 사이에 대형 베어링부(25)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진동 액츄에이터(1B)에서도 진동 액츄에이터(1)와 동일하게 하여 안정적인 진동을 확보함과 동시에 낙하 충격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1~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이동 가능 소자(8)를 가압하는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를 이동 가능 소자(8)의 양측이 아닌 한쪽에만 설치하고, 이 탄성 부재를 단벽 및 이동 가능 소자에 연결해도 좋다. 탄성 부재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나 판스프링으로 한정되지 않고, 단벽 및 이동 가능 소자에 연결된 인장 코일 스프링이어도 좋다. 하우징은 2분할 이상이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추 부분(6, 7), 폴 요크(21, 22) 및 마그넷(4)이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서로 연결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진동 액츄에이터의 조립 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보빈(12) 내에 삽입된 마그넷(4)의 단면(4b)이 보빈(12)의 플랜지부(12c)의 개구로부터 노출되기 때문에 폴 요크(21) 및 제2 추 부분(6)을 확실하고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다.
도 7은 진동 액츄에이터의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진동 액츄에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 중의 이동 가능 소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 액츄에이터(100)는 직경이 약 4.5㎜인 원통형 하우징(2)을 가지고 있다. 이 하우징(2) 내에는 하우징(2)의 진동 축선(A)을 중심으로 환형으로 감겨진 코일(3)과, 이 코일(3)에 포위된 원통형 마그넷(104)과, 하우징(2)의 진동 축선(A) 방향에 대해 마그넷(104)의 양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추 부분(106, 107)이 수용되어 있다. 마그넷(104)과 제1 및 제2 추 부분(106, 107) 사이에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링형 폴 요크(14, 15)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폴 요크(14, 15)는 코일(3), 마그넷(104) 및 제1 하우징(10)과 일체가 되어 자기회로를 효율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 진동 액츄에이터(100)에서는, 마그넷(104), 제1 및 제2 추 부분(106, 107) 및 폴 요크(14, 15)로 이루어진 이동 가능 소자(108)가 일체가 되어 코일(3)과 마그넷(104)의 협동에 의해 하우징(2)의 진동 축선(A)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진동한다.
하우징(2)은 진동 축선(A) 방향에 대해 2분할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2)의 제1 하우징(10)은 하우징(2)의 진동 축선(A) 방향의 일단에 위치하는 원판형 단벽(10a)과, 이 단벽(10a)에서 진동 축선(A) 방향으로 원통형으로 연장된 주벽(10b)에 의해 제1 추 부분(106), 코일(3), 마그넷(104) 및 폴 요크(14, 15)를 수용하고 있다. 하우징(2)의 제2 하우징(11)은 제1 하우징(10)에 진동 축선(A)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 제2 하우징(11)은 하우징(2)의 진동 축선(A) 방향의 타단에 위치하는 원판형 단벽(11a)과, 이 단벽(11a)에서 진동 축선(A) 방향으로 원통형으로 연장된 주벽(11b)에 의해 제2 추 부분(107)을 수용하고 있다. 제1 및 제2 하우징(10, 11)은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11) 사이로부터 수지제 보빈(112)의 일부를 이루는 단자대(112d)가 노출되어 있다.
보빈(112)은 제1 및 제2 하우징(10, 11)의 주벽(10b, 11b)보다 직경이 작고, 주벽(10b) 내에 삽입되어 코일(3)이 감겨지는 통형부(112a)와, 통형부(112a)의 진동 축선(A) 방향에서의 양단에 연결 설치된 플랜지부(112b, 112c)와, 두꺼운 플랜지부(112b)에 연결 설치되어 하우징(2)에서 돌출되는 단자대(112d)를 가지고 있다. 통형부(112a)는 진동 축선(A) 방향에서의 하우징(2)의 대략 중앙에 위치한다. 한쪽 플랜지부(112c)는 제1 하우징(10)의 주벽(10b) 내주면에 맞닿아 있다. 다른 쪽 두꺼운 부분의 플랜지부(112b)는 주벽(10b, 11b)의 각 단부의 내주면에 맞닿아 있다. 단자대(112d)에는 단자(13)가 고정되고, 단자(13)에는 코일(3)의 단부가 얽혀 있다.
제1 및 제2 하우징(10, 11)의 주벽(10b, 11b)의 단부끼리는 보빈(112)의 단자대(112d)가 노출되는 부분을 제외한 위치에서 서로 대면하고 있고 여러 곳의 용접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양단벽(10a, 11a) 각각의 중심 위치에는 샤프트 유지 구멍(16, 17)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샤프트 유지 구멍(16, 17) 주위에는 버링 가공에 의해 단벽(10a, 11a)에서 하우징(2)의 안쪽을 향해 돌출되는 링형 돌기(18, 1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샤프트 유지 구멍(16, 17)에, 직경 약 0.6㎜의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샤프트(20)의 양단이 압입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20)의 단부는 용접에 의해 양단벽(10a, 11a)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샤프트(20)는 하우징(2)의 진동 축선(A)을 따라 배치됨과 동시에, 진동 축선(A) 방향에 대해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11)을 견고히 연결하고 있다. 이 샤프트(20)는 전술한 마그넷(104), 제1 및 제2 추 부분(106, 107) 및 폴 요크(14, 15)로 이루어진 이동 가능 소자(108)에 관통하고 있다.
이동 가능 소자(108)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마그넷(104)에는 진동 축선(A) 방향으로 S극과 N극이 착자되어 있다. 마그넷(104)에는 샤프트(20)의 외경보다 직경이 약간 큰 샤프트 관통 구멍(104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마그넷(104)은 보빈(112)의 통형부(112a)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추 부분(106)은 보빈(112)의 통형부(112a)의 한쪽 개구에서 삽입된 보디부(106a)와, 제1 하우징(10)의 단벽(10a)측에서 보디부(106a)보다 직경이 확대된 플랜지부(106b)를 가지고 있다. 제2 추 부분(107)은 보빈(112)의 통형부(112a)의 다른 쪽 개구에서 삽입된 보디부(107a)와, 제2 하우징(11)의 단벽(11a)측에서 보디부(107a)보다 직경이 확대된 플랜지부(107b)를 가지고 있다. 보빈(112)의 플랜지부(112b)가 두껍게 형성되어 샤프트(20)의 연장 방향의 공간을 점유하는 만큼 제2 추 부분(107)의 플랜지부(107b)는 제1 추 부분(106)의 플랜지부(106b)보다 연장 방향에서의 두께가 얇아진다. 추 부분(106, 107)에 플랜지부(106b, 107b)가 형성됨으로써 매우 작은 하우징(2) 내에서도 추 부분(106, 107)의 중량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제1 추 부분(106)의 보디부(106a) 및 제2 추 부분(107)의 보디부(107a)는 플랜지부(106b) 및 플랜지부(107b)보다 직경이 작은 소경부이다. 보디부(106a) 및 보디부(107a) 각각의 마그넷(104)측 단부는 코일(3)에 의해 포위되어 있다. 즉, 보디부(106a)의 적어도 일부는 코일(3)에 의해 포위되어 있다. 보디부(107a)의 적어도 일부는 코일(3)에 의해 포위되어 있다.
제1 및 제2 추 부분(106, 107)의 보디부(106a, 107a)에는 샤프트(20)의 외경보다 직경이 약간 큰 샤프트 관통 구멍(23, 24)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추 부분(106, 107)의 플랜지부(106b, 107b)에는 보디부(106a, 107a)의 샤프트 관통 구멍(23, 24)보다 더 직경이 확대된 원주 형상의 스프링 수용 구멍(27, 28)이 샤프트 관통 구멍(23, 24)에 연통됨과 동시에 샤프트 관통 구멍(23, 24)과 동축에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수용 구멍(27, 28) 내에는 원통형의 베어링(베어링부)(125, 126)이 압입되어 있다. 베어링(125, 126)의 외주면은 스프링 수용 구멍(27, 28)의 주위면에 맞닿음과 동시에 베어링(125, 126)의 내주면은 샤프트(20)에 맞닿아 있다. 베어링(125, 126)의 마그넷(104)측 단면은 스프링 수용 구멍(27, 28)과 샤프트 관통 구멍(23, 24) 사이에 형성된 링형 단부(32, 33)에 맞닿아 있다. 베어링(125, 126)은 제1 및 제2 추 부분(106, 107)을 지지하면서 샤프트(20)를 따라 슬라이딩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추 부분(106, 107)이 상기 베어링(125, 126)을 가짐으로써 마그넷(104) 및 폴 요크(14, 15)와 샤프트(20)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150)(도 10 참조)을 갖게 된다.
또한 제1 추 부분(106)과 단벽(10a) 사이에는 스프링 수용 구멍(27)에 삽입된 제1 압축 코일 스프링(30)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압축 코일 스프링(30) 내를 샤프트(20)가 관통한다. 제2 추 부분(107)과 단벽(11a) 사이에는 스프링 수용 구멍(28)에 삽입된 제2 압축 코일 스프링(31)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압축 코일 스프링(31) 내를 샤프트(20)가 관통한다. 제1 압축 코일 스프링(30) 및 제2 압축 코일 스프링(31)으로서는 동일한 부품이 이용되고 있다.
제1 및 제2 압축 코일 스프링(30, 31)의 일단에는 샤프트 유지 구멍(16, 17) 주위에 형성된 전술한 돌기(18, 19)가 박아 넣어져 있다. 이로써 제1 및 제2 압축 코일 스프링(30, 31)이 샤프트(20)에 닿지 않고 확실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압축 코일 스프링(30, 31)의 타단은 제1 및 제2 추 부분(106, 107)의 스프링 수용 구멍(27, 28) 내에 삽입되어 있다. 제1 및 제2 압축 코일 스프링(30, 31)의 타단은 상기의 베어링(125, 126)에 압접되어 있다.
여기에서 진동 액츄에이터(100)에서는, 이동 가능 소자(108)의 마그넷(104)은 제1 및 제2 추 부분(106, 107)에 대해 샤프트(20)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링형 폴 요크(14)는 샤프트(20) 주위에 배치되는 제1 환형부(14a)와, 제1 환형부(14a)의 외주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제1 환형부(14a)에 대해 진동 축선(A) 방향으로 단벽(10a)측으로 어긋나 배치되는 제2 환형부(14b)를 가지고 있다. 링형 폴 요크(15)는 샤프트(20) 주위에 배치되는 제1 환형부(15a)와, 제1 환형부(15a)의 외주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제1 환형부(15a)에 대해 진동 축선(A) 방향에서 단벽(11a)측으로 어긋나 배치되는 제2 환형부(15b)를 가지고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환형부(14a, 15a)와 제2 환형부(14b, 15b) 사이에는 마그넷(104)측에서 샤프트(20)의 직경 방향 바깥쪽에 접하는 링형의 계단형 면(14c, 15c)이 형성된다. 제1 환형부(14a, 15a)와 제2 환형부(14b, 15b) 사이에는 제1 및 제2 추 부분(106, 107)측에서 샤프트(20)의 직경 방향 안쪽에 접하는 링형의 계단형 면(14d, 15d)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폴 요크(14, 15)는 다른 직경의 환형부 경계에서 계단식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샤프트(20)의 연장 방향에 대해 요철 형상을 이루고 있다. 폴 요크(14, 15)로서는 동일한 부품이 이용되고 있으며 부품의 공유화가 도모된다.
마그넷(104)의 양단에는 계단형 면(14c, 15c)에 맞닿음과 동시에 제2 환형부(14b, 15b)에 맞닿는 링형 돌출부(104b, 104c)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추 부분(106)의 보디부(106a)에는 계단형 면(14d)에 맞닿음과 동시에 제1 환형부(14a)에 맞닿는 원주형 돌출부(106c)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추 부분(107)의 보디부(107a)에는 계단형 면(15d)에 맞닿음과 동시에 제1 환형부(15a)에 맞닿는 원주형 돌출부(107c)가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추 부분(106)과 폴 요크(14) 사이의 접합 단면(C), 폴 요크(14)와 마그넷(104) 사이의 접합 단면(D), 제2 추 부분(107)과 폴 요크(15)의 접합 단면(E), 그리고 폴 요크(15)와 마그넷(104)의 접합 단면(F)은 각각 계단식 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폴 요크(14)에 대해 제1 추 부분(106) 및 마그넷(104)의 요철이 감합됨과 동시에 폴 요크(15)에 대해 제2 추 부분(107) 및 마그넷(104)의 요철이 감합된다. 이러한 요철 감합에 의해 마그넷(104)은 베어링(125, 126)을 가진 제1 및 제2 추 부분(106, 107)에 대해서 샤프트(20)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폴 요크(14), 돌출부(104b) 및 돌출부(106c)에 의해 이동 규제부(136)가 구성되고, 폴 요크(15), 돌출부(104c) 및 돌출부(107c)에 의해 이동 규제부(137)가 구성되어 있다(도 8 및 도 9 참조).
상기 구성에 의해 제1 및 제2 추 부분(106, 107), 폴 요크(14, 15) 및 마그넷(104)은 같은 축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압축 코일 스프링(30, 31)에 의해 진동 축선(A)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 가압력에 의해 서로 압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이동 규제부(136, 137)에 의해 제1 및 제2 추 부분(106, 107), 폴 요크(14, 15) 및 마그넷(104)이 같은 축상에 센터링되어 있다. 따라서 마그넷(104)이나 폴 요크(14, 15)가 샤프트(20)의 직경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마그넷(104)의 내벽(104d)과 샤프트(20) 사이에는 간격(150)(즉, 빈틈(15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마그넷(104)이나 폴 요크(14, 15)가 샤프트(20)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1 및 제2 추 부분(106, 107), 폴 요크(14, 15) 및 마그넷(104)을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여기에서, 플랜지부(107b)의 마그넷(104)측에는 샤프트(20)의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링형 단면(107c)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면(107c)은 보빈(112)의 플랜지부(112b)에서의 단벽(11a)측 단면(112e)에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107b)의 단면(107c)에서 마그넷(104)의 돌출부(104b)의 표면까지의 길이는 플랜지부(112b)의 단면(112e)에서 플랜지부(112c)의 단벽(10a)측 단면(112f)까지의 길이와 대략 동일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진동 액츄에이터(100)의 조립 시에 제2 하우징(11)에 샤프트(20)를 압입하고, 이 샤프트(20)에 제2 압축 코일 스프링(31), 베어링(126), 제2 추 부분(107), 폴 요크(15) 및 마그넷(104)을 통해 중첩시키고 이것들을 보빈(112) 내에 삽입하면서 보빈(112)을 제2 하우징(11)에 부착하면, 마그넷(104)의 돌출부(104b) 표면이 플랜지부(112c)의 개구에서 노출된다. 따라서 그 후 폴 요크(14)나 제1 추 부분(106) 등을 쉽게 조립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추 부분(107)의 보디부(107a) 및 마그넷(104)의 진동 축선(A) 방향에서의 길이는 코일(3)의 진동 축선(A) 방향에서의 길이보다 길어진다. 이로써 진동 축선(A) 방향에서의 코일(3)의 일단에서 제2 추 부분(107) 및 마그넷(104)을 코일(3) 내에 삽입하면, 진동 축선(A) 방향에서의 코일(3)의 타단에서 마그넷(104)이 노출된다. 따라서 그 후 부품을 쉽게 조립할 수 있다.
또 보빈(112)의 통형부(112a)에 감겨진 코일(3)은 진동 축선(A) 방향으로 다소 이간되어 병설된 제1 코일(34)과 제2 코일(35)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및 제2 코일(34, 35)은 주벽(10b)에 내접하도록 하여 주벽(10b)에 의해 포위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코일(34, 35)은 보빈(112)의 통형부(112a)와 주벽(10b)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B)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코일(34)과 제2 코일(35)에는 감겨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전류가 흐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진동 액츄에이터(100)에서는 외부에서 리드선(미도시) 및 단자(13)를 통해 코일(3)에 통전되면 코일(34, 35)에 의해 자계가 형성되고, 마그넷(104)이 이 자계에 흡인·반발하여 이동 가능 소자(108)가 베어링(125, 126)에 의해 지지되면서, 제1 및 제2 압축 코일 스프링(30, 31)에 의한 가압력을 양측에서 받으면서 진동 축선(A) 방향으로 선형으로 진동한다. 이로써 진동 액츄에이터(100)가 탑재된 휴대전화 등의 기기류에 진동을 발생시킨다.
진동 액츄에이터(100)에 의하면, 제1 및 제2 추 부분(106, 107)은 샤프트(2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베어링(125, 126)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마그넷(104)과 샤프트(20)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된다. 마그넷(104)은 이동 규제부(136, 137)에 의해 베어링(125, 126)을 가진 제1 및 제2 추 부분(106, 107)에 대해 샤프트(20)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샤프트(20)의 직경 방향에서의 마그넷(104)의 흔들림이 베어링(125, 126)을 가진 제1 및 제2 추 부분(106, 107)과의 협동에 의해 방지되어 있다. 따라서 마그넷(104)과 샤프트(20) 사이의 공간이 확보되어 마그넷(104)이 샤프트(20)에 접촉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 이동 규제부(136, 137)는 제1 및 제2 추 부분(106, 107)과 폴 요크(14, 15)의 요철 감합 및 폴 요크(14, 15)와 마그넷(104)의 요철 감합에 의해 마그넷(104)이 샤프트(20)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이와 같이 이동 가능 소자(108)를 구성하는 부재끼리의 요철을 감합에 의해, 마그넷(104)의 직경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추 부분(106, 107), 폴 요크(14, 15), 마그넷(104)의 각 접합 단면(도 8의 각 접합 단면(C)~(F))의 형상 변경만으로도 간단한 구성에 의해 마그넷(104)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또 폴 요크(14, 15)는 제1 환형부(14a, 15a)와, 제1 환형부(14a, 15a)의 외주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제1 환형부(14a, 15a)에 대해 진동 축선(A)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제2 환형부(14b, 15b)를 가진다. 제1 환형부(14a, 15a)와 제2 환형부(14b, 15b)에 의해 진동 축선(A) 방향에서의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요철 형상을 가진 폴 요크(14, 15)의 접합 단면과, 제1 및 제2 추 부분(106, 107) 및 마그넷(104) 각각의 접합 단면과의 요철 감합에 의해 마그넷(104)의 직경 방향으로의 이동이 확실하게 규제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의 각 단벽(10a, 11a)에 각각의 끝이 고정된 샤프트(20)는 마그넷(104) 및 추 부분(106, 107)을 관통하여 고정된 샤프트(20)에 안내되면서 마그넷(104) 및 추 부분(106, 107)가 일체가 되어 진동한다. 따라서 추 부분(106, 107)의 중심 위치가 진동 축선(A)에서 어긋나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진동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낙하 충격이 발생한 경우에도 추 부분(106, 107)이 하우징(2)에 충돌하는 것이 방지되어 낙하 충격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진동 축선(A)을 분할하는 방향에 대해 하우징(2)은 2분할되어 있다. 샤프트(20)의 양단이 하우징(2)의 양단벽(10a, 11a)에 고정되어 있으면, 샤프트(20)가 연결 바로서 기능한다. 이로써 하우징(2)을 구성하는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11)의 연결 강도가 상승한다. 따라서 낙하 충격 시에 하우징(2)이 진동 축선(A) 방향으로 분단되어 하우징(2)에서 추 부분(106, 107)이나 마그넷(104)이 튀어나오는 사태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추 부분(106, 107), 폴 요크(14, 15) 및 마그넷(104)은 제1 압축 코일 스프링(30)과 제2 압축 코일 스프링(31)에 의해 양측에서 가압력을 받으면서 진동하므로, 안정적인 진동을 확실하고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추 부분(106, 107), 폴 요크(14, 15) 및 마그넷(104)은 대향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30)과 압축 코일 스프링(31)을 채용함으로써 진동 축선(A) 방향에서 서로 압착되어 일체화된다. 따라서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아도 각 부품끼리 연결시킬 수 있다. 특히 추 부분(106, 107), 마그넷(104), 폴 요크(14, 15)에는 샤프트(20)가 관통하기 때문에 접착제가 비어져 나오면, 접착제와 샤프트(20)가 서로 비벼짐으로써 마찰 저항을 일으킨다. 그러나 진동 액츄에이터(100)에서는 이러한 사태를 막을 수 있다.
또 진동 축선(A) 방향에 대해 마그넷(104)의 양측에 배치된 제1 추 부분(106)과 제2 추 부분(107)을 배치시키기 때문에 더욱 안정적인 진동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추 부분(106, 107)은 베어링부(125, 126)를 통해 샤프트(20)를 따라 이동시키기 때문에 샤프트(20)를 따라 균형 잡힌 진동을 얻을 수 있다.
또 제1 하우징(10)의 주벽(10b)이 자기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요크판을 겸하고 있기 때문에 코일(34, 35)을 포위하는 요크판을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어 직경 방향에서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또한 제1 압축 코일 스프링(30)과 제2 압축 코일 스프링(31)은 동일한 부품이므로 부품의 공유화가 도모된다.
도 11은 진동 액츄에이터의 제5 실시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진동 액츄에이터(100A)가 도 7에 도시한 제4 실시 형태의 진동 액츄에이터(100)와 다른 점은 제2 추 부분(107)이 없고, 제1 추 부분(106A)이 한쪽에만 배치된 이동 가능 소자(108A)를 구비한 점이다. 제2 압축 코일 스프링(31)은 폴 요크(15)를 직접 가압하고 있다. 이 진동 액츄에이터(100A)에 의해서도 상기 마그넷(104)의 흔들림 방지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도 12는 진동 액츄에이터의 제6 실시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진동 액츄에이터(100B)가 도 7에 도시한 제4 실시 형태의 진동 액츄에이터(100)와 다른 점은 제2 추 부분(107)이 없고, 베어링부(51a)가 형성된 제1 추 부분(51)이 한쪽에만 배치됨과 동시에 제1 추 부분(51)과 마그넷(104) 사이에 컵 모양의 폴 요크(14B)가 설치된 이동 가능 소자(108B)를 구비한 점과, 보빈(112)이 없고 코일(3) 대신에 폴 요크(14B)와 마그넷(104) 사이에 배치된 공심(空芯) 코일(3B)을 구비한 점과, 제2 압축 코일 스프링(31)의 착좌(着座)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한 오목부(50)가 형성된 제2 하우징(11B)을 구비한 점이다. 이 진동 액츄에이터(100B)에 의해서도 상기 마그넷(104)의 흔들림 방지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도 13은 진동 액츄에이터의 제7 실시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진동 액츄에이터(100C)가 도 7에 도시한 제4 실시 형태의 진동 액츄에이터(100)와 다른 점은 제1 및 제2 압축 코일 스프링(30, 31) 대신에 제1 판스프링(30C) 및 제2 판스프링(31C)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추 부분(106, 107)을 지지한 점이다. 각 베어링(125, 126)은 판스프링(30C, 31C)의 스프링 베어링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제1 판스프링(30C) 및 제2 판스프링(31C)은 동일 형상을 가지고, 원판에 복수의 원호형 슬릿과 중앙 개구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원추 부분 사다리꼴의 스프링으로 되어 있다. 아울러 원추 코일 스프링의 적용도 가능하다. 이 진동 액츄에이터(100C)에 의해서도 상기 마그넷(104)의 흔들림 방지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도 14는 진동 액츄에이터의 제8 실시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진동 액츄에이터(100D)가 도 7에 도시한 제4 실시 형태의 진동 액츄에이터(100)와 다른 점은 제1 및 제2 추 부분(106, 107) 대신에 베어링부(60a, 70a)가 형성된 제1 및 제2 추 부분(60, 70)를 가진 이동 가능 소자(108D)를 구비한 점이다. 제4~제7 실시 형태와 같은 각 베어링(125, 126)은 설치되지 않고, 제1 및 제2 압축 코일 스프링(30, 31)이 제1 및 제2 추 부분(60, 70)을 직접 가압하고 있다. 이 진동 액츄에이터(100D)에 의해서도 상기 마그넷(104)의 흔들림 방지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도 15는 진동 액츄에이터의 제9 실시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진동 액츄에이터(100E)가 도 11에 도시한 제5 실시 형태의 진동 액츄에이터(100A)와 다른 점은 제1 추 부분(106A) 대신에 베어링부(61a)가 형성된 제1 추 부분(61)을 가진 이동 가능 소자(108E)를 구비한 점이다. 베어링(125)은 설치되지 않고, 제1 압축 코일 스프링(30)이 제1 추 부분(61)을 직접 가압한다. 이 진동 액츄에이터(100E)에 의해서도 상기 마그넷(104)의 흔들림 방지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도 16은 진동 액츄에이터의 제10 실시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한 진동 액츄에이터(100F)가 도 12에 도시한 제6 실시 형태의 진동 액츄에이터(100B)와 다른 점은 제1 추 부분(51) 대신에 베어링부(62a)가 형성된 제1 추 부분(62)을 가진 이동 가능 소자(108F)를 구비한 점이다. 베어링(125)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제1 압축 코일 스프링(30)이 제1 추 부분(62)을 직접 가압하고 있다. 이 진동 액츄에이터(100F)에 의해서도 상기 마그넷(104)의 흔들림 방지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도 17은 진동 액츄에이터의 제11 실시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7에 도시한 진동 액츄에이터(100G)가 도 13에 도시한 제7 실시 형태의 진동 액츄에이터(100C)와 다른 점은 제1 및 제2 추 부분(106, 107) 대신에 베어링부(63a, 73a)가 형성된 제1 및 제2 추 부분(63, 73)을 가진 이동 가능 소자(108G)를 구비한 점이다. 각 베어링(125, 126)은 설치되지 않고, 제1 및 제2 판스프링(30C, 31C)이 제1 및 제2 추 부분(63, 73)을 직접 가압하고 있다. 이 진동 액츄에이터(100G)에 의해서도 상기 마그넷(104)의 흔들림 방지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도 18은 진동 액츄에이터의 제12 실시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8에 도시한 진동 액츄에이터(100H)가 도 8에 도시한 제4 실시 형태의 진동 액츄에이터(100)와 다른 점은 이동 규제부(136, 137) 대신에 요철 형상이 폴 요크(14, 15)와는 반대로 되어 있는 폴 요크(54, 55)를 가진 이동 가능 소자(108H)를 구비한 점이다. 폴 요크(54, 55)에서는, 제1 환형부(54a, 55a)에 대해 제2 환형부(54b, 55b)가 마그넷(41)측으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 이 변경에 따라 마그넷(4)1에는 원주형 돌출부(41b, 41c)가 형성됨과 동시에 제1 및 제2 추 부분(64, 74)에는 링형 돌출부(64c, 74c)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동 규제부(136, 137)는 이동 규제부(56, 57)로 변경되어 있다. 이 진동 액츄에이터(100H)에 의해서도 마그넷(41)의 흔들림 방지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도 19는 진동 액츄에이터의 제13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에 도시한 진동 액츄에이터(100J)가 도 8에 도시한 제4 실시 형태의 진동 액츄에이터(100)과 다른 점은 제1 및 제2 하우징(10, 11) 대신에 단면 사각형의 제1 및 제2 하우징(80, 81)으로 이루어진 하우징(2J)을 구비한 점과, 제1 및 제2 코일(34, 35) 대신에 단면 사각형의 제1 및 제2 코일부(82A, 82B)로 이루어진 코일(82)을 구비한 점과, 이동 가능 소자(108) 대신에 단면 사각형의 마그넷(83), 폴 요크(84, 85) 및 제1 및 제2 추 부분(86, 87)으로 이루어진 이동 가능 소자(108J)를 구비한 점이다. 이 변경에 따라 이동 규제부(136, 137)는 이동 규제부(66, 67)로 변경되어 있다. 접합 단면(C~F)은 사각 환형이면 서로 둘레방향으로 어긋나지 않는다. 또한 단면 형상은 다각형이어도 좋다. 또 접합 단면(C~F)도 링형, 사각을 포함한 다각 환형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 진동 액츄에이터(100J)에 의해서도 상기 마그넷(83)의 흔들림 방지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4~제13 실시 형태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폴 요크가 다른 직경의 환형부 경계에서 계단식 형상을 이루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요크와 마그넷 및 요크와 추 부분은 다른 형상을 이루는 접합 단면에서 요철이 감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 요크(94, 95)의 마그넷(90)측 면(한쪽 면)에 십자 볼록부(94a, 95a)가 형성됨과 동시에 제1 및 제2 추 부분(96, 97)측 면(다른 쪽 면)에 십자 홈(94b, 95b)이 형성되고, 이 폴 요크(94, 95)에 마그넷(90) 및 제1 및 제2 추 부분(96, 97)이 요철이 감합되어져 이루어진 이동 가능 소자(108K)여도 좋다. 이 경우 마그넷(90)의 양쪽 면에는 십자 볼록부(94a, 95a)에 접합하는 십자 홈(90a, 90b)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추 부분(96, 97)에는 십자 홈(94b, 95b)에 접합하는 십자 볼록부(96c, 97c)가 형성된다. 그리고 마그넷(90)의 십자 홈(90a)을 제외한 부분(90c), 폴 요크(94) 및 제1 추 부분(96)의 십자 볼록부(96c)에 의해 이동 규제부(76)가 형성된다. 마그넷(90)의 십자 홈(90b)을 제외한 부분(90d), 폴 요크(95) 및 제2 추 부분(97)의 십자 볼록부(97c)에 의해 이동 규제부(77)가 형성된다.
또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 규제부가 추 부분과 요크의 요철 감합 및 요크와 마그넷의 요철 감합에 의해 마그넷의 이동을 규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추 부분과 요크 및 요크와 마그넷 사이의 마찰 저항을 크게 함으로써 마찰계합에 의해 마그넷의 이동을 규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요크 표면의 마찰 계수를 증대시키는 처리를 해도 좋다.
또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추 부분, 폴 요크 및 마그넷이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연결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비접착에 한정되지 않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이것들을 접합해도 좋다.
또한 폴 요크를 이용하지 않고 자기회로를 형성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동 규제부는 추 부분과 마그넷의 요철 감합이나 마찰계합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추 부분 및 마그넷의 각 접합 단면의 형상 변경만으로 마그넷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마그넷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 가능 소자(108)를 가압하는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를 이동 가능 소자(108)의 양측이 아닌 한쪽에만 설치하고, 이 탄성 부재를 단벽 및 이동 가능 소자에 연결해도 좋다. 탄성 부재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나 판스프링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벽 및 이동 가능 소자에 연결된 인장 코일 스프링이어도 좋다. 하우징은 2분할 이상이어도 좋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안정적인 진동을 확보하면서 낙하 충격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샤프트의 직경 방향에서의 마그넷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진동을 확보할 수 있다.
1, 1A, 1B, 100, 100A~100H, 100J…진동 액츄에이터
2, 2J…하우징
3, 3B, 34, 35, 82, 82A, 82B…코일
4, 41, 83, 90, 104…마그넷
6, 7, 51, 60, 61, 62, 63, 64, 70, 73, 74, 86, 87, 96, 97, 106, 106A, 107…추 부분
8, 108, 108A~108H, 108J, 108K…이동 가능 소자
10a, 11a…단벽
20…샤프트
14, 14B, 15, 21, 22, 54, 55, 84, 85, 94, 95…폴 요크
14a, 15a, 54a, 55a…제1 환형부
14b, 15b, 54b, 55b…제2 환형부
30, 31…압축 코일 스프링
30C, 31C…판스프링
51a, 60a, 61a, 62a, 63a, 70a, 73a…베어링부
56, 57, 66, 67, 76, 77, 136, 137…이동 규제부
125, 126…베어링(베어링부)
A…진동 축선

Claims (9)

  1. 통형 하우징 내에 배치된 코일과, 이 코일에 포위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마그넷과의 협동에 의해 상기 마그넷이 상기 하우징의 진동 축선을 따라 선형으로 진동하는 진동 액츄에이터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진동 축선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진동 축선 방향에서의 양단에 설치된 단벽에 양단이 고정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가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샤프트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기 마그넷과, 상기 샤프트의 연장 방향에서 상기 마그넷에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가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마그넷과 일체로 이동 가능한 추 부분을 가진 이동 가능 소자,
    상기 이동 가능 소자와 상기 단벽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 가능 소자를 상기 진동 축선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추 부분은 상기 진동 축선 방향에서 상기 마그넷의 양측에 배치된 제1 추 부분과 제2 추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추 부분과 상기 하우징의 한쪽 단벽 사이에 배치된 제1 압축 스프링과, 상기 제2 추 부분과 상기 하우징의 다른 쪽 단벽 사이에 배치된 제2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은 상기 진동 축선을 중심으로 환형으로 감겨져 상기 진동 축선 방향으로 병설된 제1 코일과 제2 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은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액츄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과 상기 제1 추 부분 및 상기 제2 추 부분 사이에는 환형의 폴 요크가 각각 배치되어 있는 진동 액츄에이터.
  3. 하우징 내에 배치된 코일과, 이 코일에 포위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마그넷의 협동에 의해 상기 마그넷이 상기 하우징의 진동 축선을 따라 진동하는 진동 액츄에이터에서,
    상기 진동 축선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진동 축선 방향에서의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설치된 단벽에 양단이 고정된 샤프트,
    상기 마그넷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가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마그넷이 감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마그넷과 일체로 이동 가능한 추 부분을 가진 이동 가능 소자,
    상기 이동 가능 소자와 상기 단벽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 가능 소자를 상기 진동 축선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추 부분은 상기 샤프트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베어링부를 가지고,
    상기 이동 가능 소자는 상기 샤프트의 직경 방향 바깥쪽에 접하는 상기 마그넷의 면과, 상기 마그넷의 면이 감합되는 상기 추 부분의 오목부에 의해 상기 마그넷이 상기 추 부분에 대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액츄에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 소자는 상기 샤프트가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마그넷과 상기 추 부분 사이에 배치된 요크를 가지고,
    상기 추 부분과 상기 요크의 요철 감합 및 상기 요크와 상기 마그넷의 요철 감합에 의해 상기 마그넷이 상기 추 부분에 대해 유지되는 진동 액츄에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상기 샤프트의 주위에 배치되는 제1 환형부와, 상기 제1 환형부의 외주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환형부에 대해 상기 진동 축선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제2 환형부를 가진 진동 액츄에이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의 면의 직경 방향 바깥쪽에는 상기 추 부분이 연장되는 진동 액츄에이터.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과 상기 샤프트 사이에는 빈틈이 형성되어 있는 진동 액츄에이터.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 부분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코일에 의해 포위된 소경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소경부 및 상기 마그넷의 상기 진동 축선 방향에서의 길이는 상기 코일의 상기 진동 축선 방향에서의 길이보다 긴 진동 액츄에이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 부분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코일에 의해 포위된 소경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소경부 및 상기 마그넷의 상기 진동 축선 방향에서의 길이는 상기 코일의 상기 진동 축선 방향에서의 길이보다 긴 진동 액츄에이터.
KR1020137000347A 2010-06-30 2011-06-27 진동 액츄에이터 KR1018141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49419A JP5342516B2 (ja) 2010-06-30 2010-06-30 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JP-P-2010-149419 2010-06-30
JPJP-P-2011-080506 2011-03-31
JP2011080506A JP5815264B2 (ja) 2011-03-31 2011-03-31 振動アクチュエータ
PCT/JP2011/064697 WO2012002329A1 (ja) 2010-06-30 2011-06-27 振動アクチュエ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515A KR20130111515A (ko) 2013-10-10
KR101814119B1 true KR101814119B1 (ko) 2018-01-02

Family

ID=45402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0347A KR101814119B1 (ko) 2010-06-30 2011-06-27 진동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169071A1 (ko)
KR (1) KR101814119B1 (ko)
CN (4) CN104901499A (ko)
TW (2) TWI600255B (ko)
WO (1) WO20120023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9854B2 (ja) * 2012-05-22 2016-11-24 ミネベア株式会社 振動子及び振動発生器
JP5622808B2 (ja) * 2012-07-31 2014-11-12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振動アクチュエータ
US8937411B2 (en) * 2012-09-06 2015-01-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Vibration generating device
KR101388868B1 (ko) * 2012-09-06 2014-04-30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JP5766748B2 (ja) * 2013-06-05 2015-08-19 Thk株式会社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5572844B1 (ja) * 2013-09-05 2014-08-20 新シコー科技株式会社 振動装置、振動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及び身体装着品
JP6023691B2 (ja) * 2013-11-18 2016-11-09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振動アクチュエータ
US10270326B2 (en) 2014-07-28 2019-04-23 Nidec Copal Corporation Linear vibration motor
JP6434028B2 (ja) * 2014-07-28 2018-12-05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リニア振動モータ
JP2016034172A (ja) 2014-07-30 2016-03-10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リニア振動モータ
JP6335754B2 (ja) * 2014-10-28 2018-05-30 アズビル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JPWO2016103930A1 (ja) * 2014-12-26 2017-10-05 ソニー株式会社 スピーカー装置
KR102259071B1 (ko) * 2014-12-30 2021-06-02 주식회사 엠플러스 선형 진동기
JP6378125B2 (ja) * 2015-04-10 2018-08-22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リニア振動モータ
JP6396261B2 (ja) * 2015-07-01 2018-09-26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リニア振動モータ
JP6421089B2 (ja) * 2015-07-29 2018-11-07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リニア振動モータ及び該リニア振動モータを備える携帯電子機器
JP6613694B2 (ja) * 2015-08-04 2019-12-0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及び電動理美容器具
JP2017063583A (ja) * 2015-09-25 2017-03-30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リニア振動モータ
JP6663762B2 (ja) * 2016-03-23 2020-03-13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リニア振動モータ
JP6712898B2 (ja) * 2016-04-28 2020-06-24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リニア振動モータ
CN109562413B (zh) * 2016-08-09 2021-09-14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线性致动器
JP6667403B2 (ja) * 2016-08-29 2020-03-18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振動モータ
JP2018038150A (ja) * 2016-08-30 2018-03-08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振動モータ
JP6301412B2 (ja) * 2016-08-30 2018-03-28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ハプティク・アクチュエータ、電子機器、および触覚フィードバックの生成方法
US11284205B2 (en) 2016-11-14 2022-03-22 Otolith Sound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vestibular conditions
US10398897B2 (en) 2016-11-14 2019-09-03 Otolith Sound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vestibular conditions
KR20180059973A (ko) * 2016-11-28 2018-06-07 (주)파트론 선형진동자
JP7032663B2 (ja) * 2016-12-20 2022-03-0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振動アクチュエータ、ウェアラブル端末及び着信通知機能デバイス
CN106849587B (zh) * 2017-03-14 2022-04-05 歌尔股份有限公司 线性振动马达及电子设备
CN109256928B (zh) * 2017-07-14 2021-02-26 讯芯电子科技(中山)有限公司 线性振动器
CN107577346A (zh) * 2017-09-04 2018-01-12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显示模组
CN111344936A (zh) * 2017-11-20 2020-06-26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振动产生装置
JP7034745B2 (ja) * 2018-01-31 2022-03-1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JP7153448B2 (ja) * 2018-01-31 2022-10-1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IT201800003406A1 (it) * 2018-03-09 2019-09-09 Powersoft S P A Sistema di controllo della vibrazione di una piattaforma
DE102018214102A1 (de) 2018-08-21 2020-02-27 nui lab GmbH Elektromagnetischer Linearaktuator
JP7313159B2 (ja) * 2019-02-27 2023-07-24 フォスター電機株式会社 振動アクチュエータ
US11569721B2 (en) * 2019-05-30 2023-01-31 Apple Inc. Haptic actuator including permanent magnet within coil passageways when unpowered and related methods
WO2021007805A1 (zh) * 2019-07-17 2021-01-21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线性振动马达
US11563364B2 (en) 2019-09-05 2023-01-24 Foxconn (Kunshan) Computer Connector Co., Ltd. Shaftless linear resonant actuator with interface between magnets and masses having blind holes for glue
CN111082630B (zh) * 2019-12-19 2021-03-30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振动装置
WO2021127912A1 (zh) * 2019-12-23 2021-07-01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线性振动电机
CN215772886U (zh) * 2020-07-10 2022-02-08 日本电产株式会社 振动马达及触觉器件
CN112090761B (zh) * 2020-10-21 2021-08-03 江苏吉达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多轴、多转子、多分离组合式选粉机
JP2022102878A (ja) * 2020-12-25 2022-07-07 日本電産株式会社 振動モータ、および、触覚デバイス
JP2022102876A (ja) * 2020-12-25 2022-07-07 日本電産株式会社 振動モータ、および、触覚デバイス
JP2022102873A (ja) * 2020-12-25 2022-07-07 日本電産株式会社 振動モータ、及び、触覚デバイス
JP2023006579A (ja) * 2021-06-30 2023-01-18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振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電気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7489A (ja) * 2001-10-10 2003-04-22 Citizen Electronics Co Ltd 軸方向駆動の振動体
JP2004073983A (ja) 2002-08-15 2004-03-11 Citizen Electronics Co Ltd 軸方向駆動の振動体
JP2004343931A (ja) * 2003-05-16 2004-12-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振動型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電動歯ブラシ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3603A (en) * 1960-11-02 1963-09-10 Reutter Jean Leon Alternating current synchronous reciprocating motor unit
JPH0560158U (ja) * 1991-12-27 1993-08-06 株式会社トーキン バイブレータ
US5809638A (en) * 1992-10-26 1998-09-22 L.H. Carbide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d parts with center interlock
JP3348124B2 (ja) * 1994-03-25 2002-11-20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可動磁石式アクチュエータ
JPH08308201A (ja) * 1995-04-27 1996-11-22 Foster Electric Co Ltd 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3412511B2 (ja) * 1998-05-25 2003-06-03 松下電工株式会社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TWI237434B (en) * 2000-09-29 2005-08-0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Linear oscillator
JP2003220363A (ja) * 2002-01-29 2003-08-05 Citizen Electronics Co Ltd 軸方向駆動の振動体
US6833639B2 (en) * 2002-12-23 2004-12-21 Cyber Industrial Ltd. Electric actuator
JP4400463B2 (ja) * 2005-01-19 2010-01-2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振動型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電動歯ブラシ
JP4400464B2 (ja) * 2005-01-19 2010-01-2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振動・ローリング両用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電動歯ブラシ
JP2006280033A (ja) * 2005-03-28 2006-10-12 Juki Corp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4899080B2 (ja) * 2005-04-14 2012-03-21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5060272B2 (ja) * 2006-12-27 2012-10-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動電子歯ブラシ
US7705493B2 (en) * 2008-08-01 2010-04-27 Van Os Ron Magnetic mirror air bearing for Michelson interferometer with lateral motion
CN201450439U (zh) * 2009-07-10 2010-05-05 冷泉芳 线性振动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7489A (ja) * 2001-10-10 2003-04-22 Citizen Electronics Co Ltd 軸方向駆動の振動体
JP2004073983A (ja) 2002-08-15 2004-03-11 Citizen Electronics Co Ltd 軸方向駆動の振動体
JP2004343931A (ja) * 2003-05-16 2004-12-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振動型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電動歯ブラ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18441A (zh) 2016-05-16
US20130169071A1 (en) 2013-07-04
CN104901502A (zh) 2015-09-09
TWI531139B (zh) 2016-04-21
TW201223083A (en) 2012-06-01
CN104901499A (zh) 2015-09-09
CN102971947B (zh) 2015-05-20
TWI600255B (zh) 2017-09-21
WO2012002329A1 (ja) 2012-01-05
CN104901501A (zh) 2015-09-09
CN104901502B (zh) 2017-08-08
CN102971947A (zh) 2013-03-13
KR20130111515A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119B1 (ko) 진동 액츄에이터
JP5989212B2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5342516B2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5815264B2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
KR101843753B1 (ko) 진동 액추에이터
US9692286B2 (en) Vibration actuator
CN113490554B (zh) 振动致动器
JP5764252B2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5677657B2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4802307B2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4883675B2 (ja) 振動体
JP5775233B2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6010149B2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6333186B2 (ja) リニア振動モータ
JP5968984B2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
WO2022003921A1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2023067105A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