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868B1 - 진동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진동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868B1
KR101388868B1 KR1020120098830A KR20120098830A KR101388868B1 KR 101388868 B1 KR101388868 B1 KR 101388868B1 KR 1020120098830 A KR1020120098830 A KR 1020120098830A KR 20120098830 A KR20120098830 A KR 20120098830A KR 101388868 B1 KR101388868 B1 KR 101388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housing
axial direction
magnet
ax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2583A (ko
Inventor
김용태
홍정택
박경수
문동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8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868B1/ko
Priority to US13/683,560 priority patent/US8941273B2/en
Priority to CN201210477012.4A priority patent/CN103683792B/zh
Publication of KR20140032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축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접촉한 상태로 축방향으로 진동하는 베어링 부재와, 상기 베어링 부재에 장착되는 요크와, 상기 요크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에 의해 상기 요크에 형성되는 전자기력과 상호작용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요크의 축방향 단부와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 면 사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 면에 구비되고, 상기 요크의 축방향 단부는 상기 마그네트의 외경보다 내경이 더 크게 구비되어 상기 요크가 축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 상기 마그네트가 상기 요크의 내부로 입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발생장치{vibratior}
본 발명은 진동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동발생장치는 전자기적 힘의 발생원리를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는 부품으로서, 휴대전화 등의 전자장치에 탑재되어 무음 착신 알림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휴대전화 등의 전자장치 시장이 급속도로 팽창되면서 여러 가지 기능이 휴대전화에 부가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전자장치 부품의 소형화, 고품질화가 요구되어지는 상황에서 진동발생장치 또한 기존제품의 단점을 개선하고 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제품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LCD 화면이 큰 휴대전화의 출시가 급증하면서, 터치스크린 방식이 채택됨에 따라 터치 시 진동을 발생시키는 용도로도 진동발생장치가 채용되고 있다.
그리고,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전화에 사용되는 진동발생장치는 첫째, 착신시 진동발생에 비하여 사용횟수가 많으므로 동작수명시간이 증가되어야 하며, 둘째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속도에 맞추어 빠른 응답속도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수명 및 응답성의 요구에 맞추어 현재 터치스크린을 채용하는 휴대전화에는 리니어 진동자가 사용되고 있다.
리니어 진동자는 모터의 회전원리를 이용한 것이 아니라, 진동자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연결된 중량체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공진주파수를 갖는 전자기력으로 가진되어 진동을 발생시킨다.
전자장치의 크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상기 리니어 전동자도 소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상기 리니어 진동자 내부에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부품이 있으므로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부품의 배치관계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리니어 진동자가 필요하다.
나아가, 리니어 진동자는 마그네트(영구자석)과 코일(전자석)의 상호작용에 의해 진동 구동력을 발생하는데 진동자에 구비되는 마그네트의 반복적인 진동 과정에서 주위의 자성체와 상호작용하여 진동 성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2-1615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서, 리니어 진동자의 내부 부품 배치를 효율적으로 개선하여 더욱 소형의 리니어 진동자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마그네트를 고정자로 구성하여 종래 진동 과정에서 주위의 자성체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리니어 진동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축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접촉한 상태로 축방향으로 진동하는 베어링 부재; 상기 베어링 부재에 장착되는 요크; 상기 요크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코일; 상기 코일에 의해 상기 요크에 형성되는 전자기력과 상호작용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요크의 축방향 단부와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 면 사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 면에 구비되고, 상기 요크의 축방향 단부는 상기 마그네트의 외경보다 내경이 더 크게 구비되어 상기 요크가 축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 상기 마그네트가 상기 요크의 내부로 입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코일은 상기 요크의 외부면에 권선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베어링 부재는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및 제2 베어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베어링 부재 사이에는 중량체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베어링 부재와 상기 중량체의 외부면은 축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요크는 상기 베어링 부재와 상기 중량체의 외부면에 상기 제1 및 제2 베어링 부재의 축방향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코일을 외부의 전원선과 연결하는 전원공급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플랙서블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플랙서블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코일과 결합하는 이동편,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에 결합하는 고정편 및 상기 이동편과 상기 고정편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 면에는 상기 마그네트가 끼움되는 돌출부가 축방향으로 돌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축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접촉한 상태로 축방향으로 진동하는 베어링 부재; 상기 베어링 부재에 장착되는 요크; 상기 요크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코일; 상기 코일에 의해 상기 요크에 형성되는 전자기력과 상호작용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도록 하우징의 축방향 양면에 각각 장착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요크의 축방향 단부와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 면 사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축방향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상기 마그네트는 축방향으로 상호 반대로 착자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 면에 구비되고, 상기 요크의 축방향 단부는 상기 마그네트의 외경보다 내경이 더 크게 구비되어 상기 요크가 축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 상기 마그네트가 상기 요크의 내부로 입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리니어 진동자의 내부 부품 배치를 효율적으로 개선하여 더욱 소형의 리니어 진동자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마그네트를 고정자로 구성하여 진동 과정에서 주위의 자성체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리니어 진동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반단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진동 모습을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반단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반단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진동 모습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100)는 일예로서, 하우징(110), 마그네트(120), 샤프트(130), 베어링 부재(140), 요크(150), 코일(160), 탄성부재(180) 및 전원공급수단인 플랙서블 인쇄회로기판(1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구성에서 일부를 제외하거나 추가로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축 방향(길이 방향)은 도 1에서 볼 때, 상,하 방향, 즉 하우징(110)의 일측에서부터 타측을 향하는 방향 또는 하우징(110)의 타측에서 일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반경 방향(폭 방향)은 도 1에서 볼 때,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원주방향은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 부재의 내주면 또는 외부면을 따라 하는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한편, 고정부는 하우징(110), 마그네트(120), 샤프트(130)를 포함하는 고정되어 있는 부재이고, 진동부는 상기 고정부에 상대적으로 진동하는 부재로서 베어링 부재(140), 요크(150), 코일(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80)와 플랙서블 인쇄회로기판(190)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진동부를 연결하고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진동하는 부재이다.
하우징(110)은 내부공간을 가지며, 진동발생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일측이 개구되며 내부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112)와, 케이스(112)의 일측에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브라켓(114)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12)는 자기 폐회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외부 자기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자성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비자성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 특히 상기 케이스(112)는 플랙서블 인쇄회로기판(190)의 이동편(193)의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상기 이동편(193)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관통공(113)을 축방향으로 길게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2)는 강판의 소성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가령, 프레스 가공 등), 다른 소재를 이용한 다이캐스팅 방식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면 양단에는 끼움부(112a)(114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112a)(114a)는 홈 또는 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112a)(114a)에는 각각 샤프트(130)의 양단이 끼움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면 양단에는 안내홈(112b)(114b)이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112)에는 탄성부재(180)의 단부가 삽입되는 안내홈(112b)이 형성되고, 브라켓(114)에도 탄성부재(180)의 단부가 삽입되는 안내홈(114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2)의 안내홈(112b)은 강판의 소성 과정 또는 다른 소재를 다이캐스팅 과정에서 간단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면 양단 중 적어도 어느 일단에는 마그네트(120)가 끼워지도록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2c)(114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12c)(114c)는 상기 케이스(112) 또는 브라켓(114)의 제조 과정에서 프레스 가공 또는 다이캐스팅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114)은 케이스(112)에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성 가공 또는 다이캐스팅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브라켓(114)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의 내면 양단 및 요크(150)를 포함하는 진동부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단에는 댐퍼(155)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진동부가 상기 내부공간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진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과 접촉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충격 흡수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하우징(110)의 축방향 양단면에는 마그네트(120)가 구비되므로
마그네트(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의 축방향 양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120)는 상기 진동부에 구비되는 코일(160)과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진동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마그네트(120)은 원기둥형상을 가지며, 축공을 구비하여 내주면에 샤프트(130)가 끼움된다. 상기 샤프트(130)는 상기 마그네트(120)와 접하거나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120)는 상기 하우징(110)에서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2c)(114c)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120)는 축 방향으로 일측에 N극 타측에 S극이 착자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에 축방향 양측으로 각각 장착되는 상기 마그네트(120)는 축방향으로 상호 반대로 착자된 것일 수 있다. 즉, 축방향을 따라 N극과 S극으로 착자된 순서가 상이할 수 있다. 그래야만 마그네트(120)가 진동방향 양측에 구비되더라도 진동 구동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120)의 단부(요크(150) 방향)에는 요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마그네트(120)에 의한 구동력 발생에 대한 메카니즘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코일(160)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코일(160)과 인접하는 요크(150)가 전자석으로 변하게 되고, 상기 요크(150)와 마그네트(120)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으로 구동력이 발생된다. 이때, 코일(160)에는 교류전류가 공급되며, 이에 따라 코일(160)과 마그네트(120)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력은 축 방향으로 일측을 향하는 힘과 타측을 향하는 힘이 교번적으로 발생된다. 따라서, 요크(150)를 포함하는 진동부가 축 방향으로 진동될 수 있다.
샤프트(13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축방향(즉, 도 1의 상,하 방향)으로 가로질러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10)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끼움부(112a)(114a)에 양단이 끼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진동자에서 진동부의 진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베어링 부재(140)는 상기 샤프트(130)의 외부면과 접촉한 상태로 진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베어링 부재(140)는 상기 샤프트(13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베어링 부재(140)는 마그네트(120)와 코일(160)의 상호작용에 의해 샤프트(130)를 따라 축 방향으로, 다시 말해 도 1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부재(140)는 요크(150)의 대략 축방향 중심 부분 내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요크(150)가 상기 샤프트(130)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부재(140)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부재(140)는 샤프트(130)의 외부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내주면이 원 형상의 관통공을 가질 수 있다.
요크(150)는 상기 베어링 부재(14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요크(150)는 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관통공에 상기 베어링 부재(140)가 끼움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요크(150)는 상기 베어링 부재(140)의 외부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요크(150)는 자성체 재질로 구비되어 외부면에 장착되는 코일(16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전자석으로 바뀔 수 있다.
상기 요크(150)는 축방향 단부에서 상기 마그네트(120)의 외경보다 내경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요크(150)가 상기 마그네트(120)와 겹치는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요크(150)와 상기 마그네트(120)는 접촉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요크(150)는 진동발생시 중량체의 역할도 수행하므로 최대한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요크(150)는 진동시 상기 요크(150)가 상기 마그네트(120)와 겹치는 부분 이외에는 반경방향으로 두껍게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요크(150)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베어링 부재(140)의 끼움구(151) 이외의 부분도 상기 샤프트(130)와 접촉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반경방향으로 두껍게 구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요크(150)는 축방향으로 갈수록 단차진 형상일 수 있다.
코일(160)은 상기 요크(150)의 외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일(160)은 셀프 본딩 와이어를 사용하여 별도 권선 후 요크(150)의 외부면에 끼워 넣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요크(150)의 외부면에 직접 권선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와이어가 상기 요크(150)의 외부면에 직접 권선되는 경우에는 상기 요크(150)의 외부면에 권선홈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일(160)은 외부의 전원선과 연결되는 전원공급수단, 즉, 플랙서블 인쇄회로기판(190)과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예일 뿐 다른 전원공급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탄성부재(180)는 상기 진동부의 양단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 양단에 고정되어 상기 진동부에 진동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탄성부재(180)는 상기 요크(150)의 단부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80)는 축방향으로 탄성력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상기 탄성부재(180)는 코일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80)는 상기 샤프트(130)가 축방향 중심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진동부의 진동에 있어서 축방향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반경 방향으로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탄성부재(180)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110)의 안내홈(112b)(114b)에 끼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80)의 타단은 상기 요크(150)의 양단에 구비되는 단차끼움부(153)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코일(160)의 인출선을 외부 전원과 연결하여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플랙서블 인쇄회로기판(190)일 수 있다.
상기 플랙서블 인쇄회로기판(190)은 상기 코일(160)의 인출선과 연결되고 상기 진동부(상세하게는, 요크(150))의 외부면에 고정되는 이동편(193),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리드 와이어와 상기 하우징(110)(상세하게는, 케이스(112))의 외부면에 고정되는 고정편(191) 및 상기 고정편(191)과 상기 이동편(193)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편(19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편(193)과 상기 코일(160)의 인출선 및 상기 고정편(191)과 상기 리드 와이어는 솔더링, 용접, 본딩 접착 등 다양한 접속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10)(상세하게는, 케이스(112))에 구비되는 관통공(113)의 폭은 상기 연결편(195)의 폭보다 더 크게 구비되어 상기 연결편(195)에 상기 케이스(112)가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113)은 축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편(195)도 축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13)과 상기 연결편(195)이 나란하게 구비되어 진동부의 진동에 의하더라도 상기 연결편(195)과 상기 관통공(113)이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편(193)은 상기 케이스(112)의 내주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100)의 진동모습을 설명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진동발생장치(100)의 진동부는 축방향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고정부에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진동부가 축방향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진동부가 축방향 하측으로 이동하면, 진동발생장치(100)의 구성 중 플랙서블 인쇄회로기판(190)을 제외한 나머지 부재는 반경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고 축방향으로만 이동하거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만, 상기 플랙서블 인쇄회로기판(190)의 연결편(195)은 반경방향 외측(도면의 도시상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만, 상기 연결편(195)의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은 리드 와이어(199)의 반경방향 최외각보다는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편(195)이 다른 부재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도 3b를 참조하면, 진동발생장치(100)의 진동부는 축방향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고정부에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진동부가 축방향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진동부가 축방향 상측으로 이동하면, 진동발생장치(100)의 구성 중 플랙서블 인쇄회로기판(190)을 제외한 나머지 부재는 반경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고 축방향으로만 이동하거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만, 상기 플랙서블 인쇄회로기판(190)의 연결편(195)은 반경방향 내측(도면의 도시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만, 상기 연결편(195)의 반경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은 탄성부재(180)의 최외각보다는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편(195)이 탄성부재(180)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상기 연결편(195)이 탄성부재(180)와 접촉하더라도 면접촉에 해당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반단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200)는 일예로서, 하우징(110), 마그네트(120), 샤프트(130), 베어링 부재(140), 요크(150), 코일(160), 중량체(170), 탄성부재(180) 및 전원공급수단인 플랙서블 인쇄회로기판(1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구성에서 일부를 제외하거나 추가로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200)는 상기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발생장치(100)보다 중량체(170)를 더 포함하고, 베어링 부재(140)가 분리되어 한 쌍으로 구비된다는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200)에서 상기 베어링 부재(140)는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및 제2 베어링 부재(146)(147)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베어링 부재(146)(147) 사이에는 중량체(1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부재(140)를 축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베어링 부재(146)(147)로 구분하여 구비함으로써 진동부의 축방향 평행도를 더욱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베어링 부재(146)(147) 사이에는 중량체(1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베어링 부재(146)(147)와 상기 중량체(170)의 외부면은 축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 부재(140) 및 중량체(170)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상기 요크(150)는 상기 베어링 부재와 상기 중량체의 외부면에 상기 제1 및 제2 베어링 부재(146)(147)의 축방향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요크(150)의 축방향 양단부는 마그네트(120)의 외경보다 내경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요크(150)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며 축방향으로 구비되는 끼움구(151)에는 베어링 부재(140)와 중량체(170)가 끼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중량체(170)는 코일(160)과 구동 마그네트(120)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구동력이 발생되는 경우 진동이 지속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중량체(170)는 비중이 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서 비자성 재질인 황동 등의 동계나 텅스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200)에서 댐퍼(155)는 상기 제1 및 제2 베어링 부재(146)(147)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300)는 일예로서, 하우징(110), 마그네트(120), 샤프트(130), 베어링 부재(140), 요크(150), 코일(160), 탄성부재(180) 및 전원공급수단인 플랙서블 인쇄회로기판(1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구성에서 일부를 제외하거나 추가로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300)는 상기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발생장치(100)와 비교하여 마그네트(120)를 축방향 일측에만 구비한다는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300)는 축방향 일측에만 마그네트(1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마그네트(120)가 구비되지 않는 축방향 타측에는 빈 공간을 남기지 않고 요크(150)가 최대한 많은 부피로 채워질 수 있다. 진동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즉, 도 1 내지 도 3b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100)는 전원공급수단을 제외하고는 대략 축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로 대칭 형상으로 구비된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300)는 마그네트(120)를 축방향 일측에만 구비하므로 축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로 비대칭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형상은 진동발생장치를 더욱 소형으로 제작하는 경우에 용이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400)는 일예로서, 하우징(110), 마그네트(120), 샤프트(130), 베어링 부재(140), 요크(150), 코일(160), 중량체(170), 탄성부재(180) 및 전원공급수단인 플랙서블 인쇄회로기판(1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구성에서 일부를 제외하거나 추가로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200)는 상기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발생장치(200)와 비교하여 마그네트(120)를 축방향 일측에만 구비한다는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400)는 축방향 일측에만 마그네트(1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마그네트(120)가 구비되지 않는 축방향 타측에는 빈 공간을 남기지 않고 중량체(170)가 최대한 많은 부피로 채워질 수 있다. 진동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즉,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200)는 전원공급수단을 제외하고는 대략 축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로 대칭 형상으로 구비된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400)는 마그네트(120)를 축방향 일측에만 구비하므로 축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로 비대칭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형상은 진동발생장치를 더욱 소형으로 제작하는 경우에 용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 진동발생장치
110 : 하우징
120 : 마그네트
130 : 샤프트
140 : 베어링 부재
150 : 요크
160 : 코일
170 : 중량체
180 : 탄성부재
190 : 플랙서블 인쇄회로기판

Claims (12)

  1.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축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접촉한 상태로 축방향으로 진동하는 베어링 부재;
    상기 베어링 부재에 장착되는 요크;
    상기 요크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코일;
    상기 코일에 의해 상기 요크에 형성되는 전자기력과 상호작용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요크의 축방향 단부와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 면 사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 면에 구비되고, 상기 요크의 축방향 단부는 상기 마그네트의 외경보다 내경이 더 크게 구비되어 상기 요크가 축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 상기 마그네트가 상기 요크의 내부로 입출되는 진동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요크의 외부면에 권선되는 진동발생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는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및 제2 베어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베어링 부재 사이에는 중량체가 구비되는 진동발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와 상기 중량체의 외부면은 축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요크는 상기 베어링 부재와 상기 중량체의 외부면에 상기 제1 및 제2 베어링 부재의 축방향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진동발생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을 외부의 전원선과 연결하는 전원공급수단을 더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플랙서블 인쇄회로기판인 진동발생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랙서블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코일과 결합하는 이동편,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에 결합하는 고정편 및 상기 이동편과 상기 고정편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 면에는 상기 마그네트가 끼움되는 돌출부가 축방향으로 돌출 구비되는 진동발생장치.
  12.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축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접촉한 상태로 축방향으로 진동하는 베어링 부재;
    상기 베어링 부재에 장착되는 요크;
    상기 요크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코일;
    상기 코일에 의해 상기 요크에 형성되는 전자기력과 상호작용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도록 하우징의 축방향 양면에 각각 장착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요크의 축방향 단부와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 면 사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축방향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상기 마그네트는 축방향으로 상호 반대로 착자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 면에 구비되고, 상기 요크의 축방향 단부는 상기 마그네트의 외경보다 내경이 더 크게 구비되어 상기 요크가 축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 상기 마그네트가 상기 요크의 내부로 입출되는 진동발생장치.
KR1020120098830A 2012-09-06 2012-09-06 진동발생장치 KR101388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830A KR101388868B1 (ko) 2012-09-06 2012-09-06 진동발생장치
US13/683,560 US8941273B2 (en) 2012-09-06 2012-11-21 Vibration generation device
CN201210477012.4A CN103683792B (zh) 2012-09-06 2012-11-21 振动产生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830A KR101388868B1 (ko) 2012-09-06 2012-09-06 진동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583A KR20140032583A (ko) 2014-03-17
KR101388868B1 true KR101388868B1 (ko) 2014-04-30

Family

ID=50186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830A KR101388868B1 (ko) 2012-09-06 2012-09-06 진동발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41273B2 (ko)
KR (1) KR101388868B1 (ko)
CN (1) CN1036837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647B1 (ko) * 2014-04-25 2015-12-30 (주)파트론 선형 진동모터
KR102202568B1 (ko) * 2017-03-02 2021-01-13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
CN106849587B (zh) * 2017-03-14 2022-04-05 歌尔股份有限公司 线性振动马达及电子设备
KR101968481B1 (ko) * 2017-11-21 2019-04-15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충격식 진동 액츄에이터
GB2572349B (en) * 2018-03-27 2021-08-11 Perpetuum Ltd An electromechanical generator for converting mechanical vibration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GB2572350B (en) * 2018-03-27 2023-01-25 Hitachi Rail Ltd An electromechanical generator for converting mechanical vibration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JP7063691B2 (ja) * 2018-04-06 2022-05-09 フォスター電機株式会社 振動アクチュエータ
CN114337179A (zh) * 2018-08-28 2022-04-12 美蓓亚三美株式会社 振动致动器及电子设备
KR102177140B1 (ko) * 2019-01-18 2020-11-10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액츄에이터
JP7457035B2 (ja) * 2019-04-05 2024-03-27 ジェネルゴ エス.アール.エル. 直線移動を生成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
JP7291246B2 (ja) 2019-04-11 2023-06-14 コンチネンタル・エンジニアリング・サーヴィシズ・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自動車内での高性能低音再生のための剛構造体用の振動アクチュエータ
WO2021000184A1 (zh) * 2019-06-30 2021-01-07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振动电机
US20210013786A1 (en) * 2019-07-08 2021-01-14 West Virginia University High frequency resonant linear machines
US20210067023A1 (en) * 2019-08-30 2021-03-04 Apple Inc. Haptic actuator including shaft coupled field member and related methods
CN113572333B (zh) * 2020-04-28 2024-03-29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致动器
JP7410791B2 (ja) * 2020-04-28 2024-01-10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CN215772886U (zh) * 2020-07-10 2022-02-08 日本电产株式会社 振动马达及触觉器件
CN216356413U (zh) * 2020-07-10 2022-04-19 日本电产株式会社 振动马达及触觉器件
JP2022049071A (ja) * 2020-09-16 2022-03-29 株式会社東芝 振動発電機
DE102020213768A1 (de) * 2020-11-02 2022-05-05 Continental Engineering Services Gmbh Aktuator zur Anregung von Schwingungen umfassend einen Antrieb mit verbesserter Dämpfung
CN112564541B (zh) * 2020-12-09 2021-09-28 上海大学 一种用于低频运动的电磁摩擦电混合式能量收集器
JP2022102878A (ja) * 2020-12-25 2022-07-07 日本電産株式会社 振動モータ、および、触覚デバイス
JP2022102876A (ja) * 2020-12-25 2022-07-07 日本電産株式会社 振動モータ、および、触覚デバイス
CN217388499U (zh) * 2021-05-06 2022-09-06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线性振动电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186B1 (ko) * 2009-06-24 2009-11-10 김성준 진동 에너지를 이용한 모듈형 발전기 및 상기 모듈형 발전기를 이용한 발전방법
KR20110088985A (ko) * 2010-01-29 2011-08-04 인창전자주식회사 진동 발생 장치
JP2012016153A (ja) * 2010-06-30 2012-01-19 Nidec Copal Corp 振動アクチュエ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7489A (ja) 2001-10-10 2003-04-22 Citizen Electronics Co Ltd 軸方向駆動の振動体
JP2003220363A (ja) 2002-01-29 2003-08-05 Citizen Electronics Co Ltd 軸方向駆動の振動体
DE60310191T2 (de) * 2002-10-16 2007-09-20 Matsushita Refrigeration Co., Kusatsu Linearmotor und diesen verwendender linear-kompressor
DE10326996A1 (de) * 2003-06-12 2005-01-05 Robert Bosch Gmbh Entikopplungsvorrichtung für Elektromotor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lektromotors
JP4400464B2 (ja) * 2005-01-19 2010-01-2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振動・ローリング両用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電動歯ブラシ
KR101025026B1 (ko) * 2008-09-12 2011-03-25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교량용 비선형 진동발전기
CN101554342B (zh) * 2009-01-05 2013-04-03 黄拔梓 电动牙刷驱动装置
CN201388144Y (zh) * 2009-02-20 2010-01-20 瑞声声学科技(常州)有限公司 扁平线性振动电机
CN201708677U (zh) * 2009-10-19 2011-01-12 常州美欧电子有限公司 扁平线性振动电机
WO2012002329A1 (ja) * 2010-06-30 2012-01-05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振動アクチュエータ
KR101821669B1 (ko) * 2011-10-19 2018-01-24 주식회사 이엠텍 선형 진동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186B1 (ko) * 2009-06-24 2009-11-10 김성준 진동 에너지를 이용한 모듈형 발전기 및 상기 모듈형 발전기를 이용한 발전방법
KR20110088985A (ko) * 2010-01-29 2011-08-04 인창전자주식회사 진동 발생 장치
JP2012016153A (ja) * 2010-06-30 2012-01-19 Nidec Copal Corp 振動アクチュエ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83792B (zh) 2017-03-01
US20140062225A1 (en) 2014-03-06
CN103683792A (zh) 2014-03-26
US8941273B2 (en) 2015-01-27
KR20140032583A (ko) 201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8868B1 (ko) 진동발생장치
KR102013737B1 (ko) 진동발생장치
KR102030597B1 (ko) 진동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KR101452103B1 (ko)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KR101090426B1 (ko) 선형 진동자
KR100985905B1 (ko) 선형 진동기
KR101354773B1 (ko) 선형진동모터
KR20110048113A (ko) 진동모터
US9515540B2 (en) Linear vibrator
CN107107112B (zh) 线性振动马达
KR20120097309A (ko) 선형 진동기
KR101141726B1 (ko) 선형진동기용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갖는 선형진동기
CN103379416A (zh) 振动产生装置
KR20100108963A (ko) 리니어 진동 모터
KR100913573B1 (ko) 수직진동자
KR20100046600A (ko) 선형 진동기
KR20110125988A (ko) 선형 진동자
KR101175356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20140032863A (ko) 진동발생장치
KR20150080673A (ko) 선형 진동 모터
KR100994999B1 (ko)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
KR101022899B1 (ko) 수평 리니어 진동자
KR100550904B1 (ko) 판 스프링 일체형 케이스를 구비하는 선형진동엑츄에이터
KR101320226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113701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