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938B1 -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938B1
KR101755938B1 KR1020150178266A KR20150178266A KR101755938B1 KR 101755938 B1 KR101755938 B1 KR 101755938B1 KR 1020150178266 A KR1020150178266 A KR 1020150178266A KR 20150178266 A KR20150178266 A KR 20150178266A KR 101755938 B1 KR101755938 B1 KR 101755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pin
plunger
housing
movement path
retur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0578A (ko
Inventor
김현호
이준재
이재훈
정현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사마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사마스전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8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938B1/ko
Priority to US15/213,605 priority patent/US9847189B2/en
Priority to CN201610635122.7A priority patent/CN106876201B/zh
Priority to DE102016114637.4A priority patent/DE102016114637B4/de
Publication of KR20170070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01H13/56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making use of a heart shaped c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 H01H1/245Spring wir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5/00Springs
    • H01H2235/01Spiral spring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고, 내부에 이동경로가 구비되는 플런저와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이동경로와 상호 간섭되어 상기 플런저의 슬라이드 이동을 규제하는 락핀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플런저에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락핀을 가압하여 상기 락핀이 상기 이동경로 상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리턴스프링 및 상기 플런저에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플런저의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된 고정단자와 접촉되는 가동단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Push lock switch apparatus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가 절감 및 구조 단순화를 이룰 수 있는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고급화와 함께 자동차에 탑재되는 전장품의 수가 상당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그에 따라 각 전장품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의 종류 및 형태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스위치 중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는 푸쉬 락 스위치가 있으며, 이러한 푸쉬 락 스위치는 반복적인 푸쉬 작동으로서 온/오프가 반복 작동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자동차 실내등, 에어컨 작동용 스위치, 각종 산업용 기기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등에는 점, 소등(온,오프)의 작동을 위한 푸쉬 락 스위치가 결합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푸쉬 락 스위치는 노브, 플런저, 케이스 및 상기 연결단자를 갖는 상부 덮개로 구성되고, 케이스의 내부 저면에는 판스프링 록킹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푸쉬 락 스위치는 자동차의 실내등에 조립되어 노브에 의해 플런저를 밀어주면, 플런저가 전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플런저의 가동접지판이 덮개의 고정접지판에 접지되어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실내등을 온(ON)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노브에 의해 플런저를 또 다시 밀어주면, 리턴스프링에 의해 플런저가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플런저의 가동접지판이 덮개의 고정접지판과 어긋나게 되고, 그에 따라 전원이 단속되어 실내등이 오프(OFF) 된다,
이러한 푸쉬 락 스위치 장치는 상기와 같은 동작을 위하여 많은 부품들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고, 그에 따라 구조 또한 복잡해지기 때문에, 푸쉬 락 스위치 제조 시 부품의 수를 절약하여 구조의 단순화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82792호(2008.09.12.)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의 내부에 락핀을 일체형으로 설치하고, 스위치에 결합되는 외부 단자를 이용하여 가동단자와 고정단자가 접촉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락핀의 위치 고정의 위한 별도의 부재 및 가동단자와 고정단자가 접촉되도록 하는 단자 연결부의 구성을 삭제할 수 있어서, 스위치 제작에 따른 원가 절감 및 구조 단순화를 이룰 수 있는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는 하우징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고, 내부에 이동경로가 구비되는 플런저와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이동경로와 상호 간섭되어 상기 플런저의 슬라이드 이동을 규제하는 락핀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플런저에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락핀을 가압하여 상기 락핀이 상기 이동경로 상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리턴스프링 및 상기 플런저에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플런저의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된 고정단자와 접촉되는 가동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측을 관통하여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이동 경로 및 락핀 가압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단자가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케이스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가동단자는 상기 케이스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플런저의 하강 시 돌출된 일단부가 탄성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고정단자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락핀 가압부는 상기 이동경로에 걸림 위치된 상기 락핀의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이동경로의 내부에서 시계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경사를 가지며 형성된다.
한편, 상기 락핀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리턴스프링의 하부에 타단부가 위치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일단부가 상기 이동경로에 삽입되며, 상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몸체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리턴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가 상기 이동경로 상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리턴스프링과 마주하는 일면이 경사를 가지며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단자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 락핀을 일체형으로 설치하고, 스위치에 결합되는 외부 단자를 이용하여 가동단자와 고정단자가 접촉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락핀의 위치 고정의 위한 별도의 부재 및 가동단자와 고정단자가 접촉되도록 하는 단자 연결부의 구성을 삭제할 수 있어서, 스위치 제작에 따른 원가 절감 및 구조 단순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조립이 간단하고,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공정 자동화를 통해 푸쉬 락 스위치 장치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에 대한 락핀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에 대한 락핀의 락킹(locking)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에 대한 락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에 대한 락핀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에 대한 자유 상태에서의 가동단자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에 대한 누름 상태에서의 가동단자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에 대한 락핀의 자유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에 대한 락핀의 락킹(locking)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는 플런저(100), 락핀(200) 및 리턴스프링(300)을 포함한다.
플런저(100)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10)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이러한 플런저(100)의 내부에는 락핀(200)의 이동을 위한 이동경로(P)가 구비된다.
여기서, 플런저(100)는 로드(110) 및 케이스(120)로 형성된다.
먼저, 로드(110)는 스위치 온/오프 조작을 위한 조작버튼(미도시)과 연결되는 것으로,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되, 하우징(10)의 개구된 일측을 관통하여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케이스(120)는 로드(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이동경로(P) 및 락핀 가압부(122)가 구비된다.
락핀(200)은 하우징(10)의 바닥부에 힌지 결합되고, 이동경로(P)와 상호 간섭되어 플런저(100)의 슬라이드 이동을 규제한다.
이러한 락핀(200)은 플런저(100)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하우징(10) 내부에서 하강하는 경우, 플런저(100)의 슬라이드 이동을 규제하여 플런저(100)가 락킹(locking) 상태가 되게 할 수 있다.
즉, 락핀(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100)가 하강함에 따라 이동경로(P)에 삽입된 일단부가 이동경로(P)의 테두리를 따라 이동되다가 락킹이 이루어지는 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이동경로(P) 상에서 걸림되는 형태로 플런저(100)와 상호 간섭된다.
만일, 플런저(100)의 락킹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재차 누름 동작에 따라 플런저(100)가 다시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락핀 가압부(122)가 락킹 지점에 위치된 락핀(200)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가압에 의해 락핀(200)이 락킹 지점에서 이탈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리턴스프링(300)에 의해 플런저(100)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락핀(200) 또한 플런저(100)의 복귀에 따라 이동경로(P)에서 이동하여 이동경로(P)의 하단부에 걸림 위치되게 된다.
여기서, 락핀 가압부(122)는 락핀(200)의 단부를 가압하여 락핀(200)이 용이하게 이동경로(P) 내부의 락킹 지점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리턴스프링(300)은 길이를 가지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고, 플런저(100)의 슬라이드 이동 시 탄성력을 제공하며, 락핀(200)을 가압하여 락핀(200)이 이동경로(P) 상에서 회전되도록 하는데, 여기서 락핀(200)은 리턴스프링(300)에 의한 회전 시 이동경로(P)의 단부를 따라 움직이게 되며, 이러한 이동경로(P)는 락핀(200)의 회전 경로를 가이드 하기 위하여 소정의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락핀(200)의 회전 시 역회전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에 대한 락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에 대한 락핀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는 락핀(200)을 포함한다.
이러한 락핀(200)은 결합부(210) 및 몸체부(220)를 구비한다.
먼저, 결합부(210)는 하우징(10)의 바닥부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리턴스프링(300)의 하부에 타단부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위치된다.
즉, 결합부(210)는 하우징(10)의 바닥부에 힌지 결합되어 고정 설치되고, 그에 따라 락핀(200)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부재가 삭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종래에는 하우징(10)의 내측면과 락핀(200) 사이에 별도의 판 스프링을 구비하여 락핀(200)이 이동경로(P)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210)를 하우징(10)에 바닥부에 결합시켜 고정을 위한 별도의 부재를 삭제할 수 있기 때문에, 푸쉬 락 스위치 장치 제작에 따른 원가 절감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스프링(300)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하여 몸체부(220)의 일단부가 이동경로(P)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리턴스프링(300)의 하부와 마주하는 일면이 경사면(A)을 가지며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리턴스프링(300)의 가압력이 경사면(A)에 작용하게 되면, 락핀(200)은 경사면(A)에 작용하는 리턴스프링(300)의 가압력에 의해 결합부(210)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이와 같이 리턴스프링(300)의 가압력이 작용할 경우 그 가압력에 의해 락핀(200)이 결합부(21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락핀(200)의 결합부(210)에서, 리턴스프링(300)의 하측으로 위치되어 리턴스프링(300)을 지지함과 동시에 리턴스프링(300)의 가압력을 받게 되는 결합부의 일면이 한쪽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는, 플런저(100)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리턴스프링(300)이 압축되면, 그에 따른 가압력이 결합부(210)의 경사면(A)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몸체부(220)가 이동경로(P) 상에서 락킹 또는 락킹 해제 지점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리턴스프링(300)의 가압력이 결합부(210)의 경사면(A)에 작용할 경우, 락핀(200)이 결합부(21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이때 락핀(200)의 몸체부(220)가 플런저(100)에 구비된 이동경로(P) 상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몸체부(220)는 상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일단부가 이동경로(P)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결합부(210)의 길이방향 상에 수직하게 일체로 결합되고, 락핀 가압부(122)와 마주하는 일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에 대한 자유 상태에서의 가동단자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에 대한 누름 상태에서의 가동단자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는 가동단자(400)를 포함한다.
가동단자(400)는 플런저(100)에 결합되어 플런저(100)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으로, 플런저(100)의 슬라이드 이동 시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된 고정단자(500)와 접촉된다.
이를 위해, 가동단자(400)는 고정부(410) 및 접촉부(420)를 구비한다.
고정부(410)는 케이스(120)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부(410)는 탄성을 가지며 설치되고, 케이스(120)에 마련된 삽입공간(미도시)에 일면이 압축된 상태로 삽입되었다가 삽입된 이후에는 탄성에 의해 펼쳐지며 케이스(12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접촉부(420)는 고정부(410)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플런저(100)의 하강 시 돌출된 일단부가 탄성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어 고정단자(500)에 접촉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에 대한 누름 상태를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런저(100)가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하강함에 따라 가동단자(400) 또한 함께 하강한다.
이때, 접촉부(420)의 일단부는 하우징(10)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하강하게 되는데, 만일 접촉부(420)가 하우징(10)의 내측면에서 개방된 개구부(B) 까지 하강하게 되면, 탄성에 의해 개구부(B)의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여기서, 개구부(B)를 이루는 하우징(10)의 내측면은 경사를 가지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된 접촉부(420)의 일단부가 경사에 의해 미끄러지며 개구부(B)의 외부로 용이하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후, 개구부(B)의 외부로 노출된 접촉부(420)의 일단부는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된 고정단자(500)와 접촉하게 되어 용이하게 푸쉬 락 스위치 장치가 온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고정단자(500)는 하우징(10)의 외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나, 별도의 커버(미도시)와 함께 하우징(10)의 외부에서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고, 그에 따라 필요에 의해 다양한 회로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가동단자(400)와 고정단자(500) 사이의 접촉 성능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이 가동단자(400)의 형상을 물리적으로 변형시키거나 않아도 되기 때문에, 친환경성이 강화된 푸쉬 락 스위치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플런저(100), 락핀(200), 리턴스프링(300) 및 가동단자(400) 간의 조립이 간단하고, 그에 따라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공정 자동화를 통해 푸쉬 락 스위치 장치의 제작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 락핀을 일체형으로 설치하고, 스위치에 결합되는 외부 단자를 이용하여 가동단자와 고정단자가 접촉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락핀의 위치 고정의 위한 별도의 부재 및 가동단자와 고정단자가 접촉되도록 하는 단자 연결부의 구성을 삭제할 수 있어서, 스위치 제작에 따른 원가 절감 및 구조 단순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조립이 간단하고,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공정 자동화를 통해 푸쉬 락 스위치 장치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0 : 하우징 100 : 플런저
110 : 로드 120 : 케이스
122 : 락핀 가압부 200 : 락핀
210 : 결합부 220 : 몸체부
300 : 리턴스프링 400 : 가동단자
410 : 고정부 420 : 접촉부
500 : 고정단자 A : 경사면
B : 개구부 P : 이동경로

Claims (7)

  1. 하우징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고, 내부에 이동경로가 구비되는 플런저;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이동경로와 상호 간섭되어 상기 플런저의 슬라이드 이동을 규제하는 락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플런저에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락핀을 가압하여 상기 락핀이 상기 이동경로 상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리턴스프링; 및
    상기 플런저에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플런저의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된 고정단자와 접촉되는 가동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락핀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리턴스프링의 하부에 타단부가 위치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일단부가 상기 이동경로에 삽입되며, 상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리턴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락핀이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가 상기 이동경로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리턴스프링과 마주하는 일면이 경사를 가지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측을 관통하여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이동 경로 및 락핀 가압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단자가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동단자는,
    상기 케이스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플런저의 하강 시 돌출된 일단부가 탄성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고정단자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락핀 가압부는,
    상기 이동경로에 걸림 위치된 상기 락핀의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이동경로의 내부에서 시계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경사를 가지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
KR1020150178266A 2015-12-14 2015-12-14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 KR101755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266A KR101755938B1 (ko) 2015-12-14 2015-12-14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
US15/213,605 US9847189B2 (en) 2015-12-14 2016-07-19 Push lock switch apparatus for vehicle
CN201610635122.7A CN106876201B (zh) 2015-12-14 2016-08-04 用于车辆的推锁开关装置
DE102016114637.4A DE102016114637B4 (de) 2015-12-14 2016-08-08 Push-Lock-Schalt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266A KR101755938B1 (ko) 2015-12-14 2015-12-14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578A KR20170070578A (ko) 2017-06-22
KR101755938B1 true KR101755938B1 (ko) 2017-07-07

Family

ID=58773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266A KR101755938B1 (ko) 2015-12-14 2015-12-14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47189B2 (ko)
KR (1) KR101755938B1 (ko)
CN (1) CN106876201B (ko)
DE (1) DE102016114637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432B1 (ko) * 2016-11-03 2019-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입력장치
JP6859948B2 (ja) * 2017-12-28 2021-04-14 オムロン株式会社 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102343091B1 (ko) * 2021-06-16 2021-12-28 채학수 방향지시등용 레그 조작장치 및 이를 설치한 개인형 동력이동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8675A (ja) * 1998-07-31 2000-02-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プッシュスイッチのロック構造
KR101436383B1 (ko) * 2013-04-15 2014-09-01 전영환 푸쉬록 스위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95048B (de) 1965-10-22 1969-05-14 Markworth Gmbh Drucktasten-Schaltvorrichtung, insbesondere fuer Nachrichtengeraete
CN2052145U (zh) * 1989-03-17 1990-01-31 杨荣昌 抗电冲击电源开关
JP2001246996A (ja) 2000-03-08 2001-09-1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両用障害物検知装置の表示装置
AT412433B (de) 2000-05-11 2005-02-25 Felten & Guilleaume Kg Elektromechanischer fernschalter
KR100449957B1 (ko) 2001-10-04 2004-09-22 천원기 앰플과 열팽창 흡수장치를 이용한 이중 진공관형 태양열집열기
US7009131B2 (en) * 2003-07-18 2006-03-07 Eaton Corporation Switch assembly
KR100604653B1 (ko) 2005-06-15 2006-07-25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자동차용 푸쉬스위치 승강 구조
KR100862411B1 (ko) 2007-03-09 2008-10-08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용 푸시스위치 장치
KR100872333B1 (ko) 2007-06-22 2008-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알유체 내장형 푸쉬 락 스위치
JP4179397B1 (ja) * 2007-07-04 2008-11-12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
JP5556237B2 (ja) * 2010-02-26 2014-07-23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
KR101355664B1 (ko) 2011-07-18 2014-01-28 (주)엘이디스튜디오 자동차의 사각지대 물체 감지 경고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8675A (ja) * 1998-07-31 2000-02-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プッシュスイッチのロック構造
KR101436383B1 (ko) * 2013-04-15 2014-09-01 전영환 푸쉬록 스위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47189B2 (en) 2017-12-19
KR20170070578A (ko) 2017-06-22
CN106876201A (zh) 2017-06-20
DE102016114637A1 (de) 2017-06-14
US20170169965A1 (en) 2017-06-15
CN106876201B (zh) 2019-09-03
DE102016114637B4 (de)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938B1 (ko)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
KR101434980B1 (ko) 래치장치
US8763434B2 (en) Key with stowable insert and corresponding extension module
CN112204217B (zh) 门扇把手装置,特别是用于机动车辆的
US2523125A (en) Switch
US7334441B1 (en) Electronic vehicle key and housing assembly
US4404436A (en) Push-push mechanism of pushbutton operating shaft
KR20190078452A (ko) 차량의 usb 커넥터
CN108885955B (zh) 用于控制台组件的机构
KR101125375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어셈블리
CN108074773B (zh) 开关装置
KR101775376B1 (ko) 회로차단기의 투입스프링 차징 장치
KR101070028B1 (ko) 버튼 스위치 유니트
KR102068573B1 (ko)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KR102675893B1 (ko) 푸시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위치 유니트
US20220337000A1 (en) Connector Assembly
KR102297397B1 (ko) 직선이동 및 복귀장치
KR101126484B1 (ko) 스위치 장치
KR100843823B1 (ko) 차량의 고부하 스위치
KR101702368B1 (ko) 자동차용 썬루프 작동 스위치
KR101772104B1 (ko) 룸램프 스위치
KR101529479B1 (ko) 차량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어셈블리
KR100818849B1 (ko) 차량용 푸시스위치 장치
KR101715892B1 (ko) 자동차용 썬루프 작동 스위치
KR20170142593A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