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091B1 - 방향지시등용 레그 조작장치 및 이를 설치한 개인형 동력이동장치 - Google Patents

방향지시등용 레그 조작장치 및 이를 설치한 개인형 동력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091B1
KR102343091B1 KR1020210077959A KR20210077959A KR102343091B1 KR 102343091 B1 KR102343091 B1 KR 102343091B1 KR 1020210077959 A KR1020210077959 A KR 1020210077959A KR 20210077959 A KR20210077959 A KR 20210077959A KR 102343091 B1 KR102343091 B1 KR 102343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body
pressing
indicator
leg
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학수
채윤지
Original Assignee
채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학수 filed Critical 채학수
Priority to KR1020210077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091B1/ko
Priority to PCT/KR2022/007824 priority patent/WO202226527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5Direction indicators
    • B62J6/055Electrical means, e.g. lamps
    • B62J6/056Electrical means, e.g. lamps characterised by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16Arrangement of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형 동력이동장치에 설치되는 방향지시등의 작동을 위한 운전자의 조작성을 향상시켜 높은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레그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핸들부분이 아닌 운전자의 다리부분에 의해 방향시시등이 작동될 수 있으면서, 상호 독립적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11)의 양 측면 또는 양측 발판에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지시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향지시등용 레그 조작장치 및 이를 설치한 개인형 동력이동장치{A DEVICE FOR OPERATING A TURN SIGNAL WITH A LEG AND A PERSONAL VEHICLE EQUIPPED WITH THAT}
본 발명은 오토바이나 전동킥보드와 같은 개인형 동력이동장치에 설치되는 방향지시등의 조작 장치와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인형 동력이동장치의 방향전환 내지 진행방향을 외부에서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점멸 작동하는 방향지시등의 작동을 위한 운전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터사이클, 모터바이크, 바이크 등으로 불리는 오토바이는 자전거와 같은 이륜구조에 내연기관 또는 전기모터 등의 동력장치에 의해 구동되도록 한 이동장치로서, 기어변속의 필요성 유무에 따라 속칭 스쿠터와 메뉴얼바이크로 나뉘어진다.
오토바이는 일자형 핸들의 작동 내지 상기 핸들에 설치된 각종 장치의 조작을 통해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의 진행, 속도의 가감 및 정지, 헤드 라이트 내지 방향지시등의 점멸 등이 이루어진다.
즉 핸들의 우측에는 속도 가감을 위한 스로틀 그립, 프론트 브레이크 레버를 비롯하여 시동버튼, 엔진정지 스위치 등이 위치하고, 핸들의 좌측에는 클러치 레버와 함께 헤드라이트 상하 전환스위치, 방향 지시등 스위치, 혼 버튼 등이 위치하여, 운전을 위한 대부분의 조작은 핸들에 설치된 각종 장치에 대한 운전자의 손에 의해 이루어지며, 메뉴얼바이크의 경우에도 운전자의 발에 의해 조작되는 것은 기어 변속을 위한 시프트 레버와 리어 브레이크 페달일 뿐이다.
한편 오토바이는 두 바퀴만으로 자동차의 속도와 비슷하게 고속 운행되는 것인 반면,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 모두가 외부로 개방되어 있어 조그만 사고에도 탑승자는 매우 심한 중상을 입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울러 많은 비중의 오토바이 사고는 소위 '칼치기'라고 불리는 '방향지시등을 켜지 않고, 빠른 속도로 차선을 변경하거나 좌회전 또는 우회전 하는 과정 중에 발생한다.
이와 같이 방향지시등의 사용은 오토바이의 안전운행에 매우 중요하나, 오토바이 이용자 중 대단히 많은 비율의 운전자들은 이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 이는 운전자의 안이한 태도에 기인하기도 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들의 작은 면적 내에 여러 버튼과 함께 설치되어 있어 그의 적시 사용을 불편하게 하는 점도 방향지시등이나 비상등의 사용을 감소시키는 원인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헬멧에 센서를 장착하여 운전자의 머리가 운전중에 움직이는 방향을 따라 좌,우측 방향지시등이 점멸되도록 하는 방안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9-0082512호로 제안한 바 있으나, 이는 운전자가 좌우 전방을 확인하기 위한 경우에도 방향지시등이 작동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통상적인 오토바이에서의 방향지시등에 관한 문제점은 전동킥보드 등에도 그대로 야기되고 있으며, 이는 도로교통의 커다란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KR 10-2012-0007766 A KR 10-2019-0082512 A KR 10-217624 B1
본 발명은 종래기술들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핸들에 집중되어 있는 조작장치를 분산시키면서, 오토바이나 전동킥보드의 개인형 동력이동장치의 방향전환 등을 위한 지시버튼의 조작과 그에 따른 운전자 신체의 움직임에 관한 인식이 상호 연계되도록 함으로써 방향지시등에 대한 운전자의 조작성을 향상시켜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지시등용 레그 조작장치 및 이를 설치한 개인형 동력이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바디와 발판이 포함된 본체부와, 핸들이 포함된 핸들부 및, 2개 이상의 바퀴로 이루어진 개인형 동력이동장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운전자의 다리부분에 의해 방향시시등이 작동될 수 있으면서, 상호 독립적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11)의 양 측면 또는 양측 발판(12)에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지시버튼(1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등용 레그 조작장치가 제공된다.
지시버튼에는 오작동 방지구조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의 오작동 방지구조는 지시버튼의 작동이 지시버튼의 외면에 구비된 누름판을 다단계 조작시킬 때 비로소 이루어지게 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오작동 방지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 레그 조작장치의 각 지시버튼은, 발판에 구비된 수용공간의 내부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를 덮어 씌울 수 있도록 그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하 및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누름체와, 상기 고정체와 누름체 사이를 탄성 연결하는 스프링부재와, 고정체에 설치되는 제1접지편 및, 상기 제1접지편에 접지 가능하도록 누름체에 설치되는 제2접지편으로 구성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일 실시예로 상기 누름체에 고정핀과 이와 이격된 가이드핀을 설치하고, 스프링부재를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는 고정되는 중심축공을 중심으로 회동선재와 고정선재가 V자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시키면서, 고정선재의 단부는 고정체의 측면에 고정시키고, 회동선재의 단부는 고정체에 ㄴ자 형상으로 구비된 가이드슬릿을 따라 이동이 가능학 상기 가이드슬릿에 삽입 고정시킬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에 삽입시켜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고정체에 가이드핀을 설치하고, 누름체에 고정체의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슬릿을 구비시키되, 상기 가이드슬릿을 가이드핀의 이동이 상하방향과 수평방향에 대하여 교대로 이루어지도록 눕혀진 Z자 형상으로 구성시키고, 상기 스프링부재를 상하방향과 좌우의 회전방향 모두에 대하여 탄성력을 가지도록 구성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지시버튼이 바디에 구비된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누름체와,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1접지편 및 누름체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수용공간의 내벽과 누름체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걸림수단과, 상기 누름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2접지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등용 레그 조작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중간걸림수단을, 누름체의 측면에 구비된 탄지홈에 삽입된 탄지스프링과 걸림구 및 수용공간의 내벽에 구비된 걸림홈으로 구성시킬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상기 누름체의 내부에는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수단을 더 구성시킬 수 있다.
상기한 탄성조절수단은, 스프링부재의 상면에 놓여지는 가압편과, 상기 가압편과 일체로 구성되는 조절너트봉 및, 누름체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헛돌음하면서 나사체결방식으로 상기 조절너트봉을 상하 이동시키는 조절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방향지시등이나 비상등을 손으로 조작하여 작동시키지 않고 발이나 무릎으로 작동시키므로 이들의 작동을 위해 종래의 스위치 위치를 눈으로 확인함에 따른 운전의 집중도 저하를 방지하고, 방향지시등이나 비상등의 작동이 이를 위한 신체의 움직임과 인식이 연계되고 지시버튼의 작동을 운전자의 신제적 여건에 맞도록 조정할 수 있어 방향지시등의 작동을 위한 운전자의 조작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면서도 오작동이 방지되므로 개인형 동력이동장치의 높은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레그 조작장치가 설치된 오토바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레그 조작장치가 설치된 오토바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레그 조작장치에 관한 부분 절개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레그 조작장치의 작동관계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레그 조작장치가 설치된 오토바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제2실시예의 레그 조작장치가 설치된 오토바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제2실시예의 레그 조작장치에 관한 부분 절개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제2실시예의 레그 조작장치의 작동관계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레그 조작장치가 설치된 오토바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제3실시예의 레그 조작장치가 설치된 오토바이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제3실시예의 레그 조작장치에 관한 부분 절개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제3실시예의 레그 조작장치의 작동관계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탄성조절수단에 관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탄성조절수단의 작동관계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방향지시등의 작동에 관한 흐름관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오토바이의 후미에는 운행과정 중 방향을 전환하고자 할 경우 이를 후방의 차량 등 주변에 알려주기 위한 방향지시등이 설치되며, 최근 급속하게 사용이 증가된 전동킥보드에도 상기한 방향지시등이 설치되기도 한다. 이러한 방향지시등의 회로는 통상적으로 방향지시 스위치와, 방향지시등, 플래셔릴레이, 표시등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이루어진다. 따라서 오토바이 또는 전동킥보드와 같은 개인형 동력이동장치의 운전자가 방향지시 스위치 내지 방향지시 레버를 작동시켜주면, 플래셔릴레이에 전원이 인가되어 방향지시등이 반복적으로 점멸함으로써 개인형 동력이동장치의 방향전환 의도를 주변에 알려주고, 이러한 상태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등에 나타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레그 조작장치가 설치된 개인형 동력이동장치는 운전자가 손이 아닌 다리, 예컨대 운전자의 무릎 또는 발로 방향지시등의 작동을 위한 지시버튼(100)을 조작하여 상기 방향지시등이 운전자가 의도하는 방향쪽에서, 또는 비상등으로 켜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방향지시등의 작동을 위해 눈으로 핸들부에 설치된 방향지시스위치의 위치를 확인하는 등 운전을 방해하는 산만함을 가지지 않고 운전에 집중할 수 있게 되는 바, 보다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방향지시등의 조작을 위한 운전자 신체의 움직임 내지 이와 관련된 인식이 개인형 동력이동장치를 전환시키고자 하는 방향과 일치성을 느끼게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방향시시등이 조작될 수 있도록 하여 방향지시등을 켜지 않고 방향전환을 하는 경우가 줄어들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레그 조작장치(10)는 핸들부(2)가 아닌 본체부(1)의 바디(11) 내지 발판(12)에 설치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레그 조작장치(10)가 설치된 오토바이는, 엔진이 장착되면서 운전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바디(11)와 상기 바디(11)의 하부에 설치되는 발판(12) 및 상기 바디(11)가 포함된 본체부(1)와, 핸들(21)이 포함된 핸들부(2) 및, 2개 이상의 바퀴(3)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오토바이와 다르지 아니하나, 핸들부에 방향지시스위치가 설치되는 일반적인 오토바이와는 달리, 발판(12)이나, 바디(11)의 발판(12) 직상부 또는 운전자의 무릎이 위치한 곳의 양측에 상호 독립적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쌍의 지시버튼(100)이 각 설치되는 구조로 방향지시등용 레그 조작장치(10)가 구비된다는 점에서 크게 차이가 있다.
아울러 운전자의 지시버튼(100) 조작에 의해 발생한 각종 작동신호를 전달받아 오토바이의 각 기계.전기적 장치에 상기 작동신호에 따른 동작을 명령하는 제어장치는 상기 본체부(1) 또는 핸들부(2)에 내장된다.
본 발명의 레그 조작장치(10)가 설치된 전동킥보드 역시 상기의 레그 조작장치(10)가 설치된 오토바이와 다르지 않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개인형 동력이동장치 중 오토바이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4는 이러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레그 조작장치가 설치된 오토바이에 관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이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이를 위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제1실시예에 의한 레그 조작장치(1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상기 레그 조작장치(10)의 작동관계를 설명한 것이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의 레그 조작장치(10)는 스쿠터와 같이 발판(12)이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발판(12)에 구비된 수용공간(101)에 지시버튼(100)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공간(101)은 발판(12) 자체에 직접 구비될 수도 있으나, 수용공간(101)이 형성된 부재를 발판(12)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별도의 부재를 설치하는 방식의 후자에 의하는 경우에는 핸들부에 방향 지시등 스위치가 설치된 기존의 오토바이에도 쉽게 장착하여 사용 가능하게 한다. 이는 후술하는 제2,3실시예에서도 다르지 않다.
상기 지시버튼(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01)의 내부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된 고정체(120)와, 상기 고정체(120)를 덮어 씌울 수 있도록 그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하 및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누름체(11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체(120)의 둘레에는 발판(12)의 상면과의 사이에 삽입슬릿(102)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체(110)에는 하부가 개방되어 고정체(120)가 출몰할 수 있도록 인입공간(111)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지시버튼(100)의 작동은 지시버튼(100)의 외면에 구비된 누름판(116)을 발로 눌러 누름체(110)를 하방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시작된다.
고정체(120)와 누름체(110) 사이는 스프링부재(130)에 의해 탄성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부재(13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실시예의 하나로 중심축공(131)을 중심으로 고정선재(132)와 회동선재(133)가 V자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프링부재(130)는 양측의 삽입슬릿(102)에 위치하여 누름체(110)의 탄성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누름체(110)에는 회동의 중심축이 되는 고정핀(113)과 이에 이격되어 누름체(110)의 회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핀(114)이 각 설치된다. 상기 고정핀(113)에는 스프링부재(130)의 중심축공(131)이 삽입 고정되고 가이드핀(114)에는 회동선재(133)의 단부가 고정된다. 아울러 스프링부재(130)의 고정선재(132) 단부는 고정체(120)의 측면에 고정된다. 또한 고정체(120)에는 가이드핀(114)이 삽입 이동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ㄴ자 형상의 가이드슬릿(121)이 구비된다.
따라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1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누름판(116)을, 발로 눌러주면 누름체(110)의 수직외면을 형성하는 측편(112)이 상기 삽입슬릿(102)사이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인입공간(111)을 통해 고정체(120)가 누름체(110)에 덮어 씌워지도록 누름체(110)가 하방으로 회동한다. 이때 가이드핀(114)은, 도 4의 (b)에서와 같이 가이드슬릿(121)의 수직방향의 최하단으로 이동하여 누름체(110)로 하여금 전방으로의 수평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누름체(110)의 수평방향 이동에 대한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누름판(116)에 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편(11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고정체(120)의 후단면에는 제1접지편(141)이 설치되고 누름체(110)의 내면, 보다 구체적으로 인입공간(111)의 후단쪽 내면에는 상기 제1접지편(141)에 접지 가능하도록 제2접지편(142)이 설치된다. 고정체(120)와 발판(12)의 사이에 형성된 삽입슬릿(102) 중 전방쪽의 삽입슬릿(102)의 폭은 누름체(110)가 수평방향 이동에 따른 제2접지편(142)의 이동폭만큼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체(110)를 전방으로 수평 이동시키면 제2접지편(142)은 제1접지편(141)에 접지되며, 이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동신호가 제어장치에 전달되어, 각 상황에 따른 제어장치의 명령에 따라 방향지시등이 켜지거나 꺼지게 된다. 제어장치의 명령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레셔릴레이에 대하여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누름판(116)으로부터 발을 이격시키면 스프링부재(130)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핀(114)이 수평방향으로 경사진 가이드슬릿(121)을 따라 이동하면서 누름체(110)를 다시 상부로 회동시켜 원상태로 복귀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누름판(116)을 발로 밟아 1차적으로 누름체(110)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누름체(110)로 하여금 고정체(120)와 수평이 되게 한 후, 2차적으로 누름체(110)를 전방으로 수평 이동시킴으로써 작동신호가 제어장치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러한 누름판(116)에 대한 다단계 조작구조는 운전자의 의도하지 아니한 부주의에 의해서는 지시버튼(100)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오작동 방지구조를 형성한다.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레그 조작장치가 설치된 오토바이에 관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도 5는 이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이를 위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제2실시예에 의한 레그 조작장치(1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8는 상기 레그 조작장치(10)의 작동관계를 설명한 것이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의 레그 조작장치(10) 역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쿠터와 같이 발판(12)이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발판(12)에 구비된 수용공간(101)에 지시버튼(100)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레그 조작장치(10)의 지시버튼(100) 역시 누름판(116)에 대한 다단계 조작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다단계 조작구조에 의한 오작동 방지구조가 형성된다는 점에서도 제1실시예와 같다.
제2실시예의 지시버튼(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101)의 내부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면서 발판(12)과의 사이에 삽입슬릿(102)을 형성시키는 고정체(120)와, 상기 고정체(120)를 덮어 씌울 수 있도록 그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삽입슬릿(102)을 통하여 상하 및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누름체(110)와, 상기 고정체(120)와 누름체(110) 사이를 탄성 연결하는 스프링부재(130)와, 고정체(120)에 설치되는 제1접지편(141) 및, 상기 제1접지편(141)에 접지 가능하도록 누름체(110)에 설치되는 제2접지편(142)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다르지 않다.
다만 제2실시예에서는 고정체(120)와 누름체(110)의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누름체(11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고정체(120)는 원주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에 제1접지편(141)이 설치되며, 누름체(110)는 상기 고정체(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인입공간(111)을 가지는 원형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인입공간(111) 내부의 저면에 제2접지편(142)이 설치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서 누름체(110)의 수평방향 움직임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인 반면, 제2실시에서는 누름체(110)의 수평방향 움직임이 좌우로 회동하는 형상을 가진다.
원형 단면을 가지는 누름체(110)의 상면은 그 자체가 운전자의 발이 놓여질 수 있는 누름판(116)이 될 수도 있으나, 누름체(110)의 상면에 별도의 누름판(116)을 부착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은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뒤에서 설명할 제3실시예서도 같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누름판(116)의 양측에 종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편(115)을 구비시킴으로써 지시버튼(100)의 조작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누름체(110)는 인입공간(111) 내에서 고정체(120)에 대하여 스프링부재(130)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고 좌우로 회전하는 다단계 동작과정을 통해 방향지시등의 작동을 위한 작동신호가 제어장치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나, 운전자가 누름판(116)을 눌렀던 힘을 제거하면 스스로 원상태로 되돌아 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스프링부재(130)가 상하방향은 물론 좌우의 회전방향 모두에 대하여 탄성력을 가지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레그 조작장치(10)는, 운전자가 발로 누름판(116)을 눌러 누름체(110)로 하여금 하부로 이동하여 제1접지편(141)이 제2접지편(142)에 접지되도록 하면 방향지시등을 켜거나 끄도록 하기 위한 작동신호가 발생하게 되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역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누름판(116)에 대한 다단계 조작을 통해 제1접지편(141)이 제2접지편(142)에 접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한 실시예의 하나로, 고정체(120)에는 가이드핀(114)이 설치되고, 누름체(110)에는 상기 가이드핀(114)이 삽입 이동 가능한 가이드슬릿(121)이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슬릿(121)은 가이드핀(114)의 이동이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에 대하여 교대로 이루어지도록 눕혀진 Z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서의 레그 조작장치(10)의 작동관계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의 (a)는 누름판(116)이 눌러지지 아니한 일반적인 상태이다. 이때에는 가이드핀(114)이 가이드슬릿(121)의 최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운전자가 발로 누름판(116)을 누르게 되면, 누름체(110)가 하향 이동하나, 가이드핀(114)이 1차 상승할 수 있는 구간(a)까지만 일부 이동이 가능하게 될 뿐이다. 따라서 운전자가 의도치 않게 부주의로 누름판(116)을 누르더라도 누름체(110)가 더 이상 하향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제1접지편(141)과 제2접지편(142)은 이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작동신호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방향지시등을 켜거나 끄기 위한 작동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누름판(116)을 가이드핀(114)의 1차 이동 구간(a)만큼 하향 이동시킨 후, 누름체(110)를 회전시켜 가이드핀(114)을 가이드슬릿(121) 내의 2차 상승이 가능한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상태에서 누름판(116)을 더 눌러주어,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체(110)를 가이드핀(114)의 2차 이동구간(b)까지 하향 이동시킴으로써 제1접지편(141)에 제2접지편(142)이 접지되도록 해야 한다.
이때 상기한 누름체(110)의 회전방향은 운전자의 발조작 움직임에 관한 인식과 상호 연계되는 방향으로 설정함으로써 조작의 용이성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좌회전의 경우에는 지시버튼(100)을 왼쪽 발판(12)에 위치시키고 아울러 누름판(116) 및 누름체(110)의 회전이 반시계방향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등 오토바이의 전환방향과 발의 조작방향에 관한 인식 내지 인지상태를 일치시킬 수 있다.
도 9 내지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레그 조작장치가 설치된 오토바이에 관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도 9는 이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이를 위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11은 제3실시예에 의한 레그 조작장치(1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상기 레그 조작장치(10)의 작동관계를 설명한 것이다.
상기 제3실시예에서의 레그 조작장치(10)는 메뉴얼 바이크와 같이 발판(12)의 면적이 매우 협소한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지시버튼(100)이 발판(12)이 아닌 바디(11)의 양 측면 설치됨으로써 방향지시등을 위한 지시버튼(100)의 조작이 운전자의 무릎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바디(11)의 발판(12) 직상부에 본 실시예에 의한 레그 조작장치(10)의 지시버튼(100)을 설치하여 운전자 발로 조작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지시버튼(100)은 수용공간(101)의 내부에서 상하방향(본 실시예에서의 상하방향이라 함은 누름체(110)가 수용공간(101) 내에서 출몰하는 방향을 의미한다)으로 움직이는 누름체(110)와 상기 누름체(110)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부재(130), 상기 누름체(110)에 의해 상호 접지되는 제1접지편(141)과 제2접지편(142) 및, 상기 누름체(110)의 하방으로의 움직임을 일시 정지시키는 중간걸림수단(150)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상기 스프링부재(130)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수단(16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접지편(141)은 수용공간(101)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된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01)의 내부 바닥면에 직접 설치되도록 할 수 있으나, 제1,2실시예에 처럼 수용공간(101)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체(120)를 구비시키고 이를 매개로 하여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제2접지편(142)은 누름체(110)의 저면에 설치되어 누름체(110)의 완전한 하부 이동이 완료되면 제1접지편(141)에 접지되어 제어장치에 보낼 작동신호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 의한 레그 조작장치(10) 역시 제1,2실시예에서와 같이 지시버튼(100)의 외면에 구비된 누름판(116)을 다단계 조작시킴으로써 지시버튼(100)이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오작동 방지수단은 수용공간(101)의 내벽과 누름체(110) 사이에 중간걸림수단(150)이 설치되어 누름체(110)가 하방으로 움직일 때 이를 일시 정지시킴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누름체(11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지시버튼(100)의 작동이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게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지시버튼(100) 작동은, 누름판(116)을 눌러 누름체(110)가 중간걸림수단(150)의 위치까지 1차 이동하여 정지되면, 누름판(116)을 다시 눌러 누름체(110)가 중간걸림수단(150)을 이탈하여 2차 이동하게 함으로써 그 저면의 제2접지편(142)이 수용공간(101) 내부 바닥면의 제1접지편(141)에 접지되게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오작동 방지를 위하여 누름판(116)의 움직임을 일시 정지시키는 상기의 중간걸림수단(150)은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실시예의 하나로, 누름체(110)의 측면에 탄지홈(151)을 구비시키고, 상기 탄지홈(151)에 구슬 형상의 걸림구(152)와 탄지스프링(153)을 삽입하여 걸림구(152)가 탄지스프링(153)에 의해 누름체(110)의 측면에 출몰되게 하고, 수용공간(101)의 내벽에는 상기 걸림구(152)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홈(154)을 구비시킴으로써,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체(110)가 하부로 이동하는 과정 중에 걸림구(152)가 걸림홈(154)에 걸려 그 이동이 일시 정지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레그 조작장치(10)는 운전자의 무릎 내측으로 지시버튼(100)을 가압하여 조작하도록 하고 있는 바, 운전자에 따라 누름판(116)을 편하게 가압할 수 있는 가압력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누름체(110) 하부에 위치한 스프링부재(130)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수단(160)을 더 구비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신체적 차이에 불구하고 누구나 쉽게 지시버튼(100)을 작동시키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조절수단(160) 역시 다양한 위치 및 구조로 구성시킬 수 있으나, 이를 누름체(110)의 내부에 구비시키고 나사체결방식으로 스프링부재(13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 및 조절의 용이성을 도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 14는 본 실시예에서 예시하고 있는 누름체(110)의 내부에 상기와 같이 나사체결방식으로 스프링부재(130)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수단에 관하여 각 도시한 것으로서, 도 13은 탄성조절수단(160)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누름체(110)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상기 탄성조절수단(160)의 작동에 관하여 도면으로 설명한 것이다.
이에 의한 탄성조절수단(160)은, 스프링부재(130)의 상면에 놓여지는 가압편(161)과, 상기 가압편(161)과 일체로 구성되는 조절너트봉(162) 및, 누름체(110)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너트봉(162)에 나사체결되는 조절볼트(163)로 이루어지고, 누름체(110)에는 상기 조절너트봉(162)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이동홀(164)과 상기 이동홀(164)과 연통하면서 가압판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조절슬릿(165)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탄성조절수단(160)이 구비된 레그 조작장치(10)의 지시버튼(10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체(110)에 위치가 고정된 채로 헛돌음 구조를 가지는 조절볼트(163)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나사체결된 조절너트봉(162)을 조임하여 상부로 이동시키거나 풀어주어 하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프링부재(130)의 상면에 놓여진 가압편(161)을 상부로 이동시켜 스프링부재(130)의 탄성력을 줄여주거나 가압편(161)을 하부로 이동시켜 스프링부재(130)의 탄성력을 높혀준다. 따라서 운전자는 조절볼트(163)만을 단순 회전시켜 지시버튼(100)을 자신이 누를 수 있는 적절한 탄성을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레그 조작장치(10)에 관하여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상기 레그 조작장치(10)에 의해 방향지시등이 작동되는 메커니즘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오토바이는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양측의 각 다리부분에 상호 독립적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좌우 한 쌍의 지시버튼(100)이 설치되어 있는 바, 작동을 위한 지시버튼(100)의 선택에 따라 방향지시등은 오토바이의 전환방향을 나타내거나 내지 비상상황을 나타낸다.
즉 지시버튼(100)을 통해 작동신호를 전달받은 제어장치는 플래셔릴레이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시킴으로써 그 플래셔릴레이와 연결된 방향지시등이 켜지거나 꺼지도록 한다.
도 15는 이에 관한 일 예의 흐름관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어느 한쪽 다리를 이용하여 어느 일측의 지시버튼(100)만을 작동시키거나 양쪽 다리를 모두 이용하여 양측의 지시버튼(100) 모드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시버튼(100)에 의한 작동신호를 전달받은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이 상기 작동신호가 일측의 작동신호인지 양측의 작동신호인지를 확인함과 더불어, 현재 방향지시등의 작동상태를 확인하여 각 방향지시등과 연결된 각각의 플래셔릴레이에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함으로써, 다음과 같이 방향지시등이 운전자가 의도하는 바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ⅰ) 예컨대, 작동신호가 일측의 지시버튼(100)의 작동에 의한 것이고 양측 방향지시등의 어느 것도 켜져있는 상태가 아니라면, 제어장치는 운전자가 작동시키고자 하는 쪽의 방향지시등과 연결된 일측의 플래셔릴레이에 전원을 인가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원하는 쪽의 방향지시등이 켜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지시버튼(100)과 방향지시등의 위치가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고, 운전자 신체의 움직임이 오토바이의 진행방향에 대한 인식과 연계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운전중 지시버튼(100)의 조작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 족하다.
예컨대 회동판이 구비된 지시버튼(100)이 발판(12)에 설치되고 그에 대한 조작이 운전자 발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지시버튼(100)과 방향시시등의 위치를 동일한 방향으로 일치시키고, 회동판의 회동방향을 오토바이가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쪽과 일치시켜 신체의 움직임 방향과 오토바이의 회전방향이 일치되도록 방향지시등이 선택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누름판(116)이 구비된 지시버튼(100)이 바디(11)에 설치되고 그에 대한 조작이 운전자의 무릎 내측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경우, 지시버튼(100)의 작동을 위한 무릎의 움직임이 오토바이가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과 일치하도록 지시버튼(100)과 이에 의해 작동되는 방향지시등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할 수도 있다.
ⅱ) 그러나 위와 마찬가지로 작동신호가 일측의 것인 반면, 이미 방향지시등이 켜져 있는 경우에는 켜진 방향지시등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예컨대 방향지시등이 하나만 켜져 있는 경우로서, 제어장치에 전달된 작동신호가 이미 켜져 있는 방향지시등의 작동을 위한 위치의 지시버튼(100)에 의한 것인 경우, 제어장치는 그 전달된 작동신호를 방향지시등의 끄기 위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것으로 인식하고, 현재 작동하고 있는 방향지시등에 연결된 플래셔릴레이에 대한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방향지시등이 꺼지게 한다.
또한 제어장치에 새로이 전달된 작동신호가 이미 켜져 있는 방향지시등의 작동을 위한 위치의 지시버튼(100)에 의한 것이 아닌 경우, 즉 타측의 지시버튼(100)에 의해 방향지시등이 현재 켜져 있는 경우에는, 제어장치가 상기의 새로운 작동신호를 방향지시등 변경을 위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것으로 인식하고, 현재 켜져 있는 방향지시등의 타측 플래셔릴레이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고 꺼져 있던 방향지시등의 일측 플래셔릴레이데 대하여 전원을 인가시킴으로써 점멸 작동하는 방향지시등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한다.
다른 한편으로 방향지시등이 비상등으로 켜져 있는 경우, 즉 양측의 방향지시등이 모두 점멸 작동하고 있는 중에 어느 일측의 지시버튼(100)을 조작함으로써 제어장치에 새로이 작동신호가 전달되면, 제어장치는 그 작동신호를 비상등을 끄기 위한 운전자의 조작으로 인식하여 비상등 플래셔릴레이에 대한 전원을 차단시킴으로써 양측 방향지시등 모두가 꺼지게 한다.
ⅲ) 양측 지시버튼(100)의 조작에 의해 각 작동신호가 동시에 제어장치로 전달되면, 제어장치는 이를 비상등을 켜기 위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것으로 인식하고 비상등 플래셔릴레이에 전원을 인가시킴으로써, 양측 방향지시등이 동시 점멸작동되도록 한다.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제어장치와 플래셔릴레이 사이에는 타임릴레이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타임릴레이는 방향전환이 완료된 이후에도 방향지시등이 계속 켜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운전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 플래셔릴레이로 인가된 전원을 차단시킨다. 예컨대 타임릴레이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켜져 있던 방향지시등이 자동으로 꺼지게 함으로써 방향지시등의 불필요한 계속작동을 방지한다. 타임릴레이의 설정시간은 운전자가 임의로 조정하게 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103'은 본체부(1)와 지시버튼(100) 사이에서 전기나 열이 상호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절연재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체부 2; 핸들부
3; 바퀴 10; 레그 조작장치
11; 바디 12; 발판
21; 핸들 100; 지시버튼
101; 수용공간 102; 삽입슬릿
103; 절연재 110; 누름체
111; 인입공간 112; 측편
113; 고정핀 114; 가이드핀
115; 걸림편 120; 고정체
121; 가이드슬릿 130; 스프링부재
131; 중심축공 132; 고정선재
133; 회동선재 141; 제1접지편
142; 제2접지편 150; 중간걸림수단
151; 탄지홈 152; 걸림구
153; 탄지스프링 154; 걸림홈
160; 탄성조절수단 161; 가압편
162; 조절너트봉 163; 조절볼트
164; 이동홀 165; 조절슬릿

Claims (11)

  1. 바디(11)와 발판(12)이 포함된 본체부(1)와, 핸들(21)이 포함된 핸들부(2) 및, 2개 이상의 바퀴(3)로 이루어진 개인형 동력이동장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운전자의 다리부분에 의해 방향지시등이 작동될 수 있으면서, 상호 독립적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11)의 양 측면 또는 양측 발판(12)에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지시버튼(1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한쌍의 지시버튼(100)이 동시에 작동되면 양측의 방향지시등이 동시에 작동하여 비상등이 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등용 레그 조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버튼(100)에는 오작동 방지구조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등용 레그 조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버튼(100)의 작동은 지시버튼(100)의 외면에 구비된 누름판(116)을 다단계 조작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등용 레그 조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버튼(100)은 발판(12)에 구비된 수용공간(10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용공간(101)의 내부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된 고정체(120)와, 상기 고정체(120)를 덮어 씌울 수 있도록 그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하 및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누름체(110)와, 상기 고정체(120)와 누름체(110) 사이를 탄성 연결하는 스프링부재(130)와, 고정체(120)에 설치되는 제1접지편(141) 및, 상기 제1접지편(141)에 접지 가능하도록 누름체(110)에 설치되는 제2접지편(14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등용 레그 조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체(110)에는 고정핀(113)과 이와 이격된 가이드핀(114)이 설치되고,
    스프링부재(130)는 상기 고정핀(113)이 삽입되는 고정되는 중심축공(131)을 중심으로 회동선재(133)와 고정선재(132)가 V자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면서, 상기 회동선재(133)의 단부는 가이드핀(114)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선재(132)의 단부는 고정체(120)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체(120)에는 가이드핀(114)이 삽입 이동하는 가이드슬릿(121)이 ㄴ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등용 레그 조작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120)에는 가이드핀(114)이 설치되고, 누름체(110)에는 고정체(120)의 상기 가이드핀(114)이 삽입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슬릿(121)이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슬릿(121)은 가이드핀(114)의 이동이 상하방향과 수평방향에 대하여 교대로 이루어지도록 눕혀진 Z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부재(130)는 상하방향과 좌우의 회전방향 모두에 대하여 탄성력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등용 레그 조작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버튼(100)은 바디(11)에 구비된 수용공간(10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용공간(101)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누름체(110)와, 상기 수용공간(101)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1접지편(141) 및 누름체(110)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부재(130)와, 상기 수용공간(101)의 내벽과 누름체(110)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걸림수단(150)과, 상기 누름체(110)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2접지편(14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등용 레그 조작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걸림수단(150)은, 누름체(110)의 측면에 구비된 탄지홈(151)에 삽입된 탄지스프링(153)과 걸림구(152) 및, 수용공간(101)의 내벽에 구비된 걸림홈(15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등용 레그 조작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체(110)의 내부에는 스프링부재(130)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수단(16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등용 레그 조작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조절수단(160)은, 스프링부재(130)의 상면에 놓여지는 가압편(161)과, 상기 가압편(161)과 일체로 구성되는 조절너트봉(162) 및, 누름체(110)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헛돌음하면서 나사체결방식으로 상기 조절너트봉(162)을 상하 이동시키는 조절볼트(16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등용 레그 조작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레그 조작장치가 설치된 개인형 동력이동장치.
KR1020210077959A 2021-06-16 2021-06-16 방향지시등용 레그 조작장치 및 이를 설치한 개인형 동력이동장치 KR102343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959A KR102343091B1 (ko) 2021-06-16 2021-06-16 방향지시등용 레그 조작장치 및 이를 설치한 개인형 동력이동장치
PCT/KR2022/007824 WO2022265275A1 (ko) 2021-06-16 2022-06-02 방향지시등용 레그 조작장치 및 이를 설치한 개인형 동력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959A KR102343091B1 (ko) 2021-06-16 2021-06-16 방향지시등용 레그 조작장치 및 이를 설치한 개인형 동력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091B1 true KR102343091B1 (ko) 2021-12-28

Family

ID=79177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959A KR102343091B1 (ko) 2021-06-16 2021-06-16 방향지시등용 레그 조작장치 및 이를 설치한 개인형 동력이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43091B1 (ko)
WO (1) WO20222652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5275A1 (ko) * 2021-06-16 2022-12-22 채학수 방향지시등용 레그 조작장치 및 이를 설치한 개인형 동력이동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09575A (en) * 1937-11-17 1940-07-30 William Wild Foot operated signal switch
KR900018648U (ko) * 1989-04-12 1990-11-05
KR100217624B1 (ko) 1996-12-27 1999-09-01 정몽규 자동차의 회전식 컨트롤러
KR20010001492U (ko) * 1999-06-29 2001-01-15 정몽규 양팔 지체부자유자용 운전 시스템
JP2011140281A (ja) * 2010-01-08 2011-07-21 Honda Motor Co Ltd 鞍乗り型車両の方向指示装置
KR20120007766A (ko) 2010-07-15 2012-01-25 박도형 브레이크 핸들을 이용한 이륜차용 방향지시장치
KR20170070578A (ko) * 2015-12-14 2017-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
KR20170129583A (ko) * 2016-05-17 2017-11-27 주식회사 쏠리드 정전식 스위치
KR20190082512A (ko) 2018-01-02 2019-07-10 양재선 이륜차용 방향지시등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091B1 (ko) * 2021-06-16 2021-12-28 채학수 방향지시등용 레그 조작장치 및 이를 설치한 개인형 동력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09575A (en) * 1937-11-17 1940-07-30 William Wild Foot operated signal switch
KR900018648U (ko) * 1989-04-12 1990-11-05
KR100217624B1 (ko) 1996-12-27 1999-09-01 정몽규 자동차의 회전식 컨트롤러
KR20010001492U (ko) * 1999-06-29 2001-01-15 정몽규 양팔 지체부자유자용 운전 시스템
JP2011140281A (ja) * 2010-01-08 2011-07-21 Honda Motor Co Ltd 鞍乗り型車両の方向指示装置
KR20120007766A (ko) 2010-07-15 2012-01-25 박도형 브레이크 핸들을 이용한 이륜차용 방향지시장치
KR20170070578A (ko) * 2015-12-14 2017-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
KR20170129583A (ko) * 2016-05-17 2017-11-27 주식회사 쏠리드 정전식 스위치
KR20190082512A (ko) 2018-01-02 2019-07-10 양재선 이륜차용 방향지시등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5275A1 (ko) * 2021-06-16 2022-12-22 채학수 방향지시등용 레그 조작장치 및 이를 설치한 개인형 동력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5275A1 (ko)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53192B1 (en) Operation of servo devices for driving a motor vehicle-control, arrangement and method
US11597467B2 (en) Parking brake apparatus for saddled vehicle
KR102343091B1 (ko) 방향지시등용 레그 조작장치 및 이를 설치한 개인형 동력이동장치
KR20080042646A (ko) 자동차의 운전보조장치
NO327467B1 (no) Anordning for bruk av ekstra styreanordning i et kjoretoy
JP3829496B2 (ja) 電動補助自転車
US3935916A (en) Dual control system for motorcycle instruction
JP2020152177A (ja) 走行車両
US2658409A (en) Control mechanism for vehicles
JP2002285941A (ja) 四輪不整地走行車の始動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騎乗型四輪不整地走行車
CN103786577A (zh) 油门防误踩装置
US20130289831A1 (en) Tractor Park Brake Force Sensing System
JP7203156B1 (ja) 乗物及び車両の制御方法
KR200312912Y1 (ko) 장애자용 자동차 운전연습기
KR940007967Y1 (ko) 경추장애인용 자동차 핸드 콘트롤러
JPH03229051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CN101397027A (zh) 一种自动挡汽车及其驾驶方法
KR200143570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클러치 페달
KR200172769Y1 (ko) 복합기능 자동차
KR0118089Y1 (ko) 자동차의 운전자 발 받침 장치
KR200324505Y1 (ko) 차륜 가변형 스쿠터
JP3917973B2 (ja) 作業車両のライト
KR0129125Y1 (ko) 차량의 자동식 주차 브레이크장치
JPH08108881A (ja) 小型電動車
JPH0745838Y2 (ja) 自動車用安全運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