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210B1 -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에서의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에서의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210B1
KR101334210B1 KR1020127019039A KR20127019039A KR101334210B1 KR 101334210 B1 KR101334210 B1 KR 101334210B1 KR 1020127019039 A KR1020127019039 A KR 1020127019039A KR 20127019039 A KR20127019039 A KR 20127019039A KR 101334210 B1 KR101334210 B1 KR 101334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ock lever
lock
engaging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9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6938A (ko
Inventor
토모하루 나가오카
유야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미츠이 긴조쿠 액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이 긴조쿠 액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이 긴조쿠 액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6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4Protection against weather or dirt, e.g. against water ingre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2Lock cas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8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모터 구동에 의한 기어의 회동으로, 로크 레버를 로크 위치 및 언로크 위치로 확실하게 이동시킨다. 로크 레버(19)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 웜 휠(18)이 모터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걸림결합 돌출부(182)가 제 1 걸림결합 아암(191)에 그 회동 방향으로 맞닿아, 로크 레버(19)는 언로크 위치로 회동하며, 계속해서 제 2 걸림결합 돌출부(183)가 제 2 걸림결합 아암(192)의 회동 단부(192a)에 맞닿아 웜 휠(18)은 제 1 정지 위치에 정지한다. 또한, 로크 레버(19)가 언로크 위치에 있을 때, 웜 휠(18)이 모터에 의해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2 걸림결합 돌출부(184)가 제 2 걸림결합 아암(192)에 그 회동 방향으로 맞닿아, 로크 레버(19)는 로크 위치로 회동하며, 계속해서 제 1 걸림결합 돌출부(181)가 제 1 걸림결합 아암(191)의 회동 단부(191a)에 맞닿아 웜 휠(18)이 제 2 정지 위치에 정지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에서의 액추에이터{ACTUATOR FOR VEHICLE DOOR LATCH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를 로크 상태 및 언로크 상태로 조작 가능한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에서의 액추에이터에 있어서는, 케이싱에, 모터와,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 가능한 기어(웜 휠)와, 도어에 설치되는 로크·언로크 조작용 수동 조작 수단(키 실린더 및 로크 노브 등)에 의한 수동 조작 및 모터 구동에 의해 로크 위치 및 언로크 위치로 이동 가능한 로크 레버(액티브 레버)를 설치하고, 기어의 일면측(양측의 회전면 중 일방의 회전면)을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기어의 타면측(양측의 회전면 중 타방의 회전면)을 로크 레버에 선택적으로 걸림결합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어의 회전에 의해, 로크 레버를 로크 위치 및 언로크 위치로 회동시키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특허공보 제3736267호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에서의 액추에이터에 있어서는, 특히 모터 구동에 의해 기어를 회동시켜 로크 레버를 로크 위치 또는 언로크 위치로 이동시킬 때, 로크 레버가 로크 위치 또는 언로크 위치로 이동하여 그 이상의 회동이 강제적으로 저지되었을 때에, 기어에 대해 회전 축선 방향을 향하는 힘이 작용하여, 기어가 회전 축선 방향으로 부상하는 거동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거동이 발생하면, 기어의 베어링 부분에 과대한 하중이 작용하여 기어가 회전 축선 방향으로 경사지며, 기어와 모터에 설치된 웜 기어와의 맞물림이 불확실하게 되어, 기어의 회동에 의해, 로크 레버를 로크 위치 및 언로크 위치로 이동시킬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모터 구동에 의한 기어의 회동으로, 로크 레버를 로크 위치 및 언로크 위치로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에서의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도어 래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어 래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어 래치 장치의 실내측 측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어 래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어 래치 장치에서의 맞물림 유닛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도어 래치 장치에서의 맞물림 유닛의 이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의 VII-VII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로크 상태에서의 조작 유닛의 차 내측 측면도이다.
도 9는 언로크 상태에서의 조작 유닛의 차 내측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어 래치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조작 유닛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조작 유닛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3에서의 XIII-XIII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웜 휠 및 로크 레버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15는 로크 레버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의 웜 휠 및 로크 레버의 차 내측 측면도이다.
도 16은 로크 레버가 중간 위치에 정지했을 때의 웜 휠 및 로크 레버의 차 내측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2에서의 XVII-XVII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3에서의 XVIII-XVIII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9는 인사이드 레버가 작동했을 때의 제 1 작동 설명도이다.
도 20은 인사이드 레버가 작동했을 때의 제 2 작동 설명도이다.
도 21은 차 내측에서 본 제 1, 2 리프트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차 외측에서 본 제 1, 2 리프트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차 내측에서 본 조립 도중의 제 1, 2 리프트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패닉 상태가 발생했을 때의 주요부의 제 1 작동 설명도이다.
도 25는 패닉 상태가 발생했을 때의 주요부의 제 2 작동 설명도이다.
도 26은 패닉 상태가 발생했을 때의 주요부의 제 3 작동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에서의 도면 안쪽 및 도 3에서의 좌측을 「전방」이라고 하고, 도 2에서의 도면 앞측 및 도 3에서의 우측을 「후방」이라고 하고, 도 2에서의 우측 및 도 3에서의 도면 안쪽을 「차 외측」이라고 하며, 도 2에서의 좌측 및 도 3에서의 도면 앞측을 「차 내측」이라고 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래치 장치(1)는, 자동차의 프런트 도어(이하, '도어'라고 함)의 후단 내측에 부착되는 동시에, 도어를 폐쇄 상태로 구속하기 위한 맞물림 유닛(2)과, 맞물림 유닛(2)에 조립되는 조작 유닛(3)을 구비한다.
또한,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림 유닛(2)은, 3개의 볼트(4)에 의해 도어 후단 내측의 패널에 고정되는 합성 수지제의 바디(5)와, 바디(5)의 후면측(표면측)의 개구를 폐색하는 금속제의 커버 플레이트(6)와, 바디(5) 내에서 바디(5)와 커버 플레이트(6)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도어의 폐쇄 시에 차체측에 고정부착된 스트라이커(S)와 걸림결합 가능한 래치(8)와, 바디(5) 내에서 바디(5)와 커버 플레이트(6)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래치(8)에 걸림결합·걸림결합 해제 가능한 래칫(10)과, 바디(5)의 전면(이면)에 설치되는 금속제의 백 플레이트(11)와, 바디(5)와 백 플레이트(11) 사이에 배치되어 래칫(10)과 일체적으로 회동 가능한 오픈 레버(15)를 포함한다. 참고로, 도 5는, 바디(5) 내의 내부 구조를 명시하기 위하여, 커버 플레이트(6)를 생략하고 있다.
바디(5)에는, 각 볼트(4)가 각각 삽입되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 삽입 구멍(51)이 설치되고, 그 후면에는, 도어의 폐쇄 시에 스트라이커(S)가 진입 가능한 스트라이커 진입 홈(52)이 설치되며, 또한, 그 전면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칫(10)을 피봇지지하기 위한 래칫 축(9)이 삽입되는 축 구멍(53)의 주위에 있어서, 백 플레이트(11)를 향해 돌출되는 원통 지지부(54)가 설치되어 있다. 참고로, 원통 지지부(54)의 돌출량은, 오픈 레버(15)의 판 두께보다 근소하게 커지도록 설정된다.
래치(8)는, 전후 방향을 향하는 래치 축(7)에 의해 바디(5) 내에 피봇지지되는 동시에, 래치 축(7)의 주위에 설치된 스프링(16)의 가세력(付勢力)에 의해 상시 도 5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대기 위치(8A)로 가세되어 있다.
래칫(10)은, 전후 방향을 향하는 래칫 축(9)에 의해 바디(5) 내에 피봇지지되는 동시에, 래칫 축(9)의 경사 하방에 있어서 바디(5)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돌축부(55; 突軸部)에 지지된 스프링(12)의 가세력에 의해 상시 도 5에 도시하는 걸림결합 위치로 가세되어 있다. 래칫(10)의 측면에는, 오픈 레버(15)에 설치되는 절곡(折曲) 걸림결합부(151)가 걸림결합하는 걸림결합 구멍(101)이 천설(穿設)되어 있다.
도 7에 명시된 바와 같이, 래칫 축(9)은, 커버 플레이트(6)에 설치된 축 구멍(62), 바디(5)의 축 구멍(53) 및 백 플레이트(11)에 설치되는 축 구멍(113)에 삽입되는 동시에, 래칫 축(9)에서의 커버 플레이트(6)측으로 노출되는 일단 및 백 플레이트(11)측으로 노출되는 타단은, 커버 플레이트(6)의 축 구멍(62) 및 백 플레이트(11)의 축 구멍(113) 주위에 각각 코킹 고정된다.
도 5에 명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2)은, 일단(121)이 바디(5)에 걸림고정되며, 타단(122)이 래칫(10)의 전면에서의 걸림결합 구멍(101)의 주변에 돌출설치된, 정면에서 봤을 때 U자 형상의 돌출부(103)에 걸림고정됨으로써, 래칫(10)에 대해 걸림결합 방향(래치(8)에 걸림결합하는 방향)의 가세력을 부여하며, 상기 가세력은, 래칫(10)을 통해 오픈 레버(15)에 전달된다.
도어가 폐쇄 상태에 있고, 래치(8)가 스트라이커(S)와 걸림결합한 도 5에 실선으로 도시한 풀 래치(full-latch) 위치에 있을 때에는, 래칫(10)의 선단부에 설치된 걸림결합부(102)가 래치(8)의 걸림결합 클로(82)에 걸림결합하여 래치(8)를 풀 래치 위치로 구속하며, 또한, 도어가 개방 상태에 있고, 래치(8)가 스트라이커(S)로부터 이탈한 대기 위치(8A)에 있을 때에는, 래칫(10)의 걸림결합부(102)는, 래치(8)의 걸림결합 클로(82)로부터 벗어나 외측 둘레 가장자리에 맞닿는다. 참고로, 래치(8)가 대기 위치(8A)에 있을 때의 래칫(10)의 정지 위치와, 래치(8)가 풀 래치 위치에 있을 때의 래칫(10)의 정지 위치는, 거의 동일하다.
도어가 폐쇄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S)는, 바디(5) 및 커버 플레이트(6)의 스트라이커 진입 홈(52, 61) 내로 진입하여 래치(8)의 걸림결합 홈(81)에 걸림결합한다. 이에 따라, 래치(8)는, 스프링(16)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피봇축(7)을 중심으로 대기 위치(8A)로부터 풀 래치 위치로 회동하며, 래칫(10)은, 스프링(12)의 가세력에 의해 래치(8)의 걸림결합 클로(82)에 걸림결합하고, 래치(8)의 대기 위치(8A)를 향하는 방향의 회동을 저지하여 도어를 폐쇄 상태로 구속한다.
또한, 도어가 폐쇄 상태로 구속되어 있는 상태일 때, 도어의 차 외측에 설치되는 도어 개방 조작 핸들을 이루는 아웃사이드 핸들(도시 생략) 또는 도어의 차 내측에 설치되는 인사이드 핸들(도시 생략)이 조작되면, 해제 작동 수단을 이루는 후술하는 제 1, 2 리프트 레버(20, 21)의 해제 작동에 근거하는 오픈 레버(15)의 회동에 의해 래칫(10)이 스프링(12)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해제 방향(도 5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래칫(10)의 걸림결합부(102)가 래치(8)의 걸림결합 클로(82)로부터 이탈하여 도어의 개방을 가능하게 한다.
도 6, 7에 명시된 바와 같이, 백 플레이트(11)는, 바디(5)의 전면에 고정되는 동시에, 도어 패널, 커버 플레이트(6) 및 바디(5)에 삽입되는 각 볼트(4)가 각각 나사결합하는 암나사 구멍(111)과, 바디(5)의 원통 지지부(54)의 선단부에 맞닿는 지지부(112)와, 지지부(112)에서 래칫 축(9)이 삽입되는 축 구멍(113)을 형성하고 있다.
오픈 레버(15)는, 바디(5)의 전면(이면)과 백 플레이트(11)의 지지부(112) 사이에 끼움지지된 상태로, 래칫(10)과 동축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바디(5)의 원통 지지부(54)에 축 구멍(154)이 피봇끼움되어, 오픈 레버(15)의 차 외측을 향하는 일단부에는, 바디(5)를 향해 절곡된 절곡 걸림결합부(151)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차 내측을 향하는 타단부에는, 피(被)해제부(153)가 설치되며, 피해제부(153)의 선단에는, 후방으로 절곡된 캔슬부(152)가 설치된다.
오픈 레버(15)에서의 차 외측의 일단부측은, 바디(5)의 전면과 백 플레이트(11)의 지지부(112) 사이에 끼움지지되며, 절곡 걸림결합부(151)는, 바디(5)에 설치된 래칫 축(9)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구멍(56)을 통해 바디(5) 내로 진입하여 래칫(10)의 걸림결합 구멍(101)에 걸림결합한다. 이에 따라, 오픈 레버(15)와 래칫(10)은, 상시 일체적으로 회동하도록 연결된다.
오픈 레버(15)의 피해제부(153)에는, 언로크 상태일 때 조작 유닛(3)의 제 2 리프트 레버(21)의 해제부(211)가 맞닿을 수 있으며, 또한, 캔슬부(152)에는, 로크 상태일 때 조작 유닛(3)의 캔슬 레버(23)가 맞닿을 수 있다.
오픈 레버(15)의 타단부측에 설치되는 캔슬부(152) 및 피해제부(153)는, 백 플레이트(11)의 지지부(112)보다 전방(바디(5)의 이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다. 즉, 조작 유닛(3)의 구성 요소에 대해 맞닿는 관계에 있는 오픈 레버(15)의 캔슬부(152) 및 피해제부(153)는, 바디(5)와 백 플레이트(11)의 지지부(112) 사이에 끼움지지되지 않고, 지지부(112)보다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픈 레버(15)를 바디(5)의 원통 지지부(54)에 피봇지지하는 동시에, 오픈 레버(15)의 축 구멍(154)의 주변을 포함하는 일측부측을, 바디(5)의 전면과 백 플레이트(11)의 지지부(112) 사이에 끼움지지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는다. (1) 와셔나 스페이서 등을 래칫 축(9)에 일절 부착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오픈 레버(15)의 회전 축선 방향(래칫 축(9)의 축선 방향)으로의 덜컥거림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2) 와셔나 스페이서 등을 래칫 축(9)에 일절 부착하지 않는 구성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삭감하여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래칫 축(9)의 축방향의 길이를 단축하여, 도어 래치 장치(1)에서의 전후 방향의 두께(t; 도 7 참조)를 얇게 할 수 있다. (3) 래칫 축(9)의 일단을 커버 플레이트(6)의 축 구멍(62), 타단을 백 플레이트(11)의 축 구멍(113)에 각각 코킹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래칫 축(9)을 커버 플레이트(6) 및 백 플레이트(11)에 대해 강고하게 고정부착하여, 래칫(10) 및 오픈 레버(15)의 지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조작 유닛(3)에 대해 설명한다. 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유닛(3)은, 바디(5)의 전면에 부착되는 합성 수지제의 케이싱(13)과, 케이싱(13)의 차 내측을 향하는 개구를 폐색하는 합성 수지제의 커버(14)를 구비하고, 케이싱(13)에는, 로크, 언로크 조작용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17)와, 웜 휠(18; 기어)과, 로크 레버(19)와, 제 1, 2 리프트 레버(20, 21)와, 인사이드 레버(22)와, 캔슬 레버(23)와, 제 1 키 레버(24)와, 제 2 키 레버(25)와, 연계 레버(26)와, 아웃사이드 레버(27)와, 스위치 단자(40) 등이 설치된다. 모터(17), 웜 휠(18) 및 로크 레버(19)는, 도어 래치 장치(1)를 전동으로 로크 상태, 언로크 상태로 조작 가능한 액추에이터를 구성한다.
케이싱(13)은, 바디(5)의 전면을 덮는 제 1 케이싱부(13A)와, 차 내측을 향하는 제 2 케이싱부(13B)를 일체적으로 형성하며, 제 1 케이싱부(13A)는 바디(5)에 고정되고, 제 2 케이싱부(13B)의 차 내측을 향하는 개구는, 커버(14)에 의해 폐색된다.
케이싱(13)에서의 제 2 케이싱부(13B)의 하부에는, 로크 레버(19)의 연결부(193) 및 인사이드 레버(22)의 연결부(221), 및 각 연결부(193, 221)에 연결되는 조작력 전달 부재(30, 32)를 은폐하는 덮개 부재(130)가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다. 덮개 부재(130)는, 케이싱(13)에 각 부품을 조립하는 작업 중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되며, 조작력 전달 부재(30, 32)를 로크 레버(19), 인사이드 레버(22)의 연결부(193, 221)에 각각 연결한 후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된다.
제 1 키 레버(24)는, 제 2 케이싱부(13B) 내의 최상부에 차 내외측 방향을 향하는 축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피봇지지되는 동시에, 도어의 차 외측에 설치되는 수동 조작 수단을 이루는 키 실린더(도시 생략)의 로크 조작에 근거하여, 도 8, 9에 도시하는 중립 위치로부터 로크 방향(도 8, 9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며, 또한 마찬가지로 언로크 조작에 근거하여, 중립 위치로부터 언로크 방향(도 8, 9에서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한다.
제 2 키 레버(25)는, 제 2 케이싱부(13B)와 커버(14) 사이에 제 2 케이싱(13B)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차 내외측 방향을 향하는 지축(31; 支軸)에 의해 피봇지지되는 동시에, 상부에 설치한 상하 방향의 긴 구멍(251)에는, 제 1 키 레버(24)의 하단부에 설치한 돌출부(241)가 걸림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 2 키 레버(25)는, 제 1 키 레버(24)의 동작에 동기하여, 도 8, 9에 도시하는 중립 위치로부터 로크 방향(도 8, 9에서 시계 방향) 및 언로크 방향(도 8, 9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한다.
제 2 케이싱부(13B) 내에서의 제 2 키 레버(25)의 주변에는, 키 스위치(41)가 설치된다. 키 스위치(41)는, 그 검지 아암(411)이 제 2 키 레버(25)에 걸림결합함으로써, 제 1, 2 키 레버(24, 25)가 중립 위치로부터 언로크 방향으로 회동한 것 및 로크 방향으로 회동한 것, 즉 키 실린더가 언로크 조작된 것 및 로크 조작된 것을 검출한다.
연계 레버(26)는, 제 2 키 레버(25)와 동축상에 피봇지지되어 도 8에 도시하는 로크 위치와 도 9에 도시하는 언로크 위치로 회동 가능한 동시에, 제 2 키 레버(25)와 중합하는 면에는, 제 2 키 레버(25)의 회동 방향에 대해 소정의 여유를 두고 맞닿을 수 있는 피맞닿음부(261)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케이싱부(13B) 내에서의 연계 레버(26)의 근방에는, 연계 레버(26)의 각 위치, 즉 로크 상태 및 언로크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 스위치(42)가 설치된다.
연계 레버(26)의 하부에는, 로크 레버(19)에 연결되는 상하 방향의 긴 구멍(262)이 설치되며, 그 상단부에는, 피검지부(263)가 설치된다. 연계 레버(26)의 로크, 언로크 위치는, 연계 레버(26)의 회동에 따라 피검지부(263)가 위치 검출 스위치(42)에 접촉하거나 떨어지거나 함으로써 위치 검출 스위치(42)에 의해 검출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계 레버(26)가 로크 위치에 있는 경우, 제 1, 2 키 레버(24, 25)가 키 실린더의 언로크 조작에 근거하여 중립 위치로부터 언로크 방향으로 회동하면, 제 2 키 레버(25)가 연계 레버(26)의 피맞닿음부(261)의 일측부에 맞닿음으로써, 연계 레버(26)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9에 도시하는 언로크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계 레버(26)가 언로크 위치에 있는 경우, 제 1, 2 키 레버(24, 25)가 키 실린더의 로크 조작에 근거하여 중립 위치로부터 로크 방향으로 회동하면, 제 2 키 레버(25)가 연계 레버(26)의 피맞닿음부(261)의 타측부(일측부와 반대측 부분)에 맞닿음으로써, 연계 레버(26)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8에 도시하는 로크 위치로 회동한다.
로크 레버(19)는, 제 2 케이싱부(13B)와 커버(14) 사이에 제 2 케이싱부(13B)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차 내외측 방향을 향하는 지축(29)에 의해 피봇지지되며, 키 실린더 및 도어의 차 내측에 설치된 차 내측의 수동 조작 수단을 이루는 로크, 언로크 조작용 로크 노브(도시 생략)의 조작, 또한 모터(17) 구동에 의한 웜 휠(18)의 회동에 근거하여, 제 2 케이싱부(13B)에 설치된 로크용 스토퍼부(135)에 맞닿는,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하는 로크 위치와, 로크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여 제 2 케이싱부(13B)에 설치된 언로크용 스토퍼부(136)에 맞닿는,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언로크 위치로 회동 가능하고, 제 2 케이싱(13B)에 지지된 스프링(43)의 가세력에 의해 로크 위치 및 언로크 위치로 탄성 유지된다. 지축(29)의 선단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핑 나사(38; tapping screw)에 의해 커버(14)의 내면에 고정된다.
도 8,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레버(19)의 하단부에 설치된 연결부(193)는, 로크 노브의 조작을 전달 가능한 케이블 등에 의해 형성되는 조작력 전달 부재(30)의 단부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로크 노브가 로크, 언로크 조작되면, 로크 레버(19)는, 로크 위치, 언로크 위치로 회동한다.
로크 레버(19)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작동 아암부(194)가 설치된다. 이 작동 아암부(194)의 단부의 일측면(차 외측을 향하는 면)에는, 차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1 돌출부(195; 도 12 참조)가 설치된다. 제 1 돌출부(195)는, 연계 레버(26)의 긴 구멍(262)에 걸림결합됨으로써, 로크 레버(19)와 연계 레버(26)는, 서로 동기하여 로크 위치 및 언로크 위치로 이동하도록 연결된다. 이에 따라, 로크 레버(19) 및 연계 레버(26)가 로크 위치에 있는 경우, 키 실린더가 차 외측으로부터 언로크 조작되면, 이 언로크 조작은, 제 1 키 레버(24), 제 2 키 레버(25) 및 연계 레버(26)를 통해 로크 레버(19)에 전달되고, 로크 레버(19)는, 스프링(43)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로 회동한다. 또한, 로크 레버(19) 및 연계 레버(26)가 언로크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키 실린더가 로크 조작되면, 이 로크 조작은, 제 1 키 레버(24), 제 2 키 레버(25) 및 연계 레버(26)를 통해 로크 레버(19)에 전달되고, 로크 레버(19)는, 스프링(43)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언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회동한다.
또한, 작동 아암부(194)에서의 제 1 돌출부(195)가 설치된 면과 반대측 면에는, 차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 2 돌출부(196)가 설치된다. 제 2 돌출부(196)는, 제 1 리프트 레버(20)에 설치되는 제 1 긴 홈(2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림결합함으로써, 로크 레버(19)와 제 1 리프트 레버(20)를 연계한다.
또한, 로크 레버(19)에는, 지축(29)으로부터 원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2 걸림결합 아암(191, 192)이 설치된다. 제 1 걸림결합 아암(191)과 제 2 걸림결합 아암(192)은, 도 11~13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웜 휠(18) 양측의 회전면을 사이에 두도록 지축(29)의 축선 방향으로 이격되는 동시에, 주로 도 8,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방향으로도 소정 각도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 1 걸림결합 아암(191)은, 회전면이 웜 휠(18)의 일방의 회전면(커버(14)에 대향하는 면)에 근접 대향하여, 웜 휠(18)의 일방의 회전면에 설치되는 제 1 걸림결합 돌출부(181, 182)에 대해 맞닿을 수 있다. 또한, 제 2 걸림결합 아암(192)은, 회전면이 웜 휠(18)의 타방의 회전면(제 2 케이싱부(13B)에 대향하는 면)에 근접 대향하여, 웜 휠(18)의 타방의 회전면에 설치되는 제 2 걸림결합 돌출부(183, 184)에 대해 맞닿을 수 있다. 참고로, 제 1, 2 걸림결합 아암(191, 192)은, 로크 레버(19)가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 및 그 반대로 회동할 때, 웜 휠(18)의 회전 축선을 횡단하는 일이 없는 길이로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로크 레버(19)에서의 웜 휠(18)의 일방의 회전면에 근접 대향하는 제 1 걸림결합 아암(191)과, 상기 웜 휠(18)의 타방의 회전면에 근접 대향하는 제 2 걸림결합 아암(192)에 의해, 웜 휠(18) 양측의 회전면을 사이에 끼우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웜 휠(18)의 회전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킬 때에, 웜(171)과 웜 휠(18)의 맞물림 부분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발생하는, 웜 휠(18)이 회전 축선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거동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작용 효과를 얻는다. 이 작용 효과는, 웜 휠(18)의 양 회전면이 로크 레버(19)의 제 1 걸림결합 아암(191) 및 제 2 걸림결합 아암(192)에 각각 맞닿음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로크 레버(19)가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 및 그 반대로 회동할 때, 제 1, 2 걸림결합 아암(191, 192)은, 웜 휠(18)의 회전 축선을 횡단하는 일이 없는 길이로 설정되기 때문에, 웜 휠(18)을 케이싱(1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축(28)을, 케이싱(13)에 일체로 형성하며, 또한 선단을 커버(14)에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축(28)의 강도를 향상시켜, 웜 휠(18)을 케이싱(13)에 확실하게 회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15, 16에 명시한 바와 같이, 로크 레버(19)의 제 1, 2 걸림결합 아암(191, 192)에서의 외곽의 선단을 형성하는 부분을 선단 외곽부(191a, 192a; 회동 단부)로 하여, 상기 외곽의 내측부를 형성하는 부분을 내측 외곽부(191b, 192b)로 정의한다.
웜 휠(18)은, 제 2 케이싱부(13B)와 커버(14) 사이에 제 2 케이싱부(13B)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차 내외측 방향을 향하는 지축(28)에 의해 피봇지지되는 동시에, 모터(17)의 회전축에 부착된 웜(171)에 맞물림으로써, 모터(17)의 회전에 의해 정역회전한다. 참고로, 지축(28)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가 커버(14)에 설치되는 오목부(141)에 끼움결합한다.
웜 휠(18)의 일방의 회전면(커버(14)에 대향하는 면)에는, 로크 레버(19)의 제 1 걸림결합 아암(191)에 맞닿을 수 있는 제 1 걸림결합 돌출부(181, 182)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타방의 회전면(제 2 케이싱부(13B)에 대향하는 면)에는, 제 2 걸림결합 아암(192)에 맞닿을 수 있는 제 2 걸림결합 돌출부(183, 184)가 설치된다. 제 1 걸림결합 돌출부(181, 182) 및 제 2 걸림결합 돌출부(183, 184)는, 서로 동일 형상이며, 또한 웜 휠(18) 양측면의 대칭 위치에 설치된다.
제 1 걸림결합 돌출부(181, 182)는, 웜 휠(18)의 일방의 회전면에 있어서 그 회전 중심에 대해 대칭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제 2 걸림결합 돌출부(183, 184)는, 웜 휠(18)의 타방의 회전면에 있어서 그 회전 중심에 대해 대칭 위치에 설치된다.
각 걸림결합 돌출부(181, 182, 183, 184)는, 지축(28)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회전면의 폭이 점차 감소하는 뾰족한 형상을 이루며, 또한 지축(28)에 근접하는 부분이 잘록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특히 도 15, 16에 명시된 바와 같이, 각 걸림결합 돌출부(181, 182, 183, 184)에는, 지축(28) 근처, 즉 웜 휠(18)의 회전 중심 근처의 잘록한 부분(181a, 182a, 183a, 184a)과, 잘록한 부분(181a, 182a, 183a, 184a)보다 원심측의 경사부(181b, 182b, 183b, 184b)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레버(19)가 로크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로크 레버(19)의 제 1 걸림결합 아암(191)은, 웜 휠(18)의 제 1 걸림결합 돌출부(181, 182)의 회동 궤적 내에 위치하고, 제 2 걸림결합 아암(192)은, 웜 휠(18)의 제 2 걸림결합 돌출부(183, 184)의 회동 궤적 밖에 위치하고, 웜 휠(18)의 제 1 걸림결합 돌출부(181)는, 제 1 걸림결합 아암(191)의 선단 외곽부(191a)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하며, 제 1 걸림결합 돌출부(182)는, 제 1 걸림결합 아암(191)의 선단 외곽부(191a)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로크 상태에 있어서, 키 실린더 또는 로크 노브가 언로크 조작되면, 로크 레버(19)는,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방향(도 8에서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며, 도 9에 도시하는 언로크 위치로 이동하여 정지한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하는 제 1 정지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웜 휠(18)의 제 1, 2 걸림결합 돌출부(181, 182, 183, 184)는, 로크 레버(19)에서의 제 1 걸림결합 아암(191, 192)의 선단 외곽부(191a, 192a)의 회동 궤적 밖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로크 레버(19)가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로 회동해도, 제 1, 2 걸림결합 아암(191, 192)이 제 1, 2 걸림결합 돌출부(181, 182, 183, 184)에 대해 슬라이딩 접촉하는 경우는 있어도 맞닿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로크 레버(19)의 회동에 따라, 웜 휠(18)은 역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키 실린더 및 로크 노브의 언로크 조작은, 웜 휠(18), 모터(17)를 역회전시키는 저항을 받는 일 없이 적은 힘으로 행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실린더 및 로크 노브의 언로크 조작에 근거하여, 로크 레버(19)가 언로크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는, 로크 레버(19)의 제 1 걸림결합 아암(191)이 웜 휠(18)의 제 1 걸림결합 돌출부(181, 182)의 회동 궤적 밖으로 이동하여, 제 2 걸림결합 아암(192)이 웜 휠(18)의 제 2 걸림결합 돌출부(183, 184)의 회동 궤적 내로 이동한다.
도 9에 도시하는 언로크 상태에 있어서, 키 실린더 또는 로크 노브가 로크 조작되면, 로크 레버(19)는, 언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며, 도 8에 도시하는 로크 위치로 이동하여 정지한다. 이 경우에도, 웜 휠(18)의 제 1, 2 걸림결합 돌출부(181, 182, 183, 184)는, 로크 레버(19)의 제 1, 2 걸림결합 아암(191, 192)의 회동 궤적 밖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로크 레버(19)가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로 회동할 때와 마찬가지로, 웜 휠(18)은, 도 9에 도시하는 제 2 정지 위치로부터 거의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키 실린더 및 로크 노브의 언로크 조작을 적은 힘으로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에 근거하여, 로크 레버(19)가 웜 휠(18)의 회전에 의해 로크 위치 및 언로크 위치로 회동할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참고로, 도 14에 있어서는, 웜 휠(18) 및 로크 레버(19)만을 명시하고, 다른 요소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로크 레버(19)가 로크 위치, 언로크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는, 연계 레버(26), 제 1 리프트 레버(20) 및 제 2 리프트 레버(21)도 로크 레버(19)의 이동에 동기하여 로크 위치, 언로크 위치로 이동한다. 단, 제 2 리프트 레버(21)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패닉 상태가 발생한 경우에 한하여, 언로크 위치의 직전에서 일단 정지한 후에 언로크 위치로 이동한다.
도 14의 (a)는, 로크 레버(19)가 로크용 스토퍼(135)에 맞닿아 로크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로크 상태를 도시한다. 참고로, 이 로크 상태는, 도 8에 도시한 상태와 동일한 상태이다.
로크 상태에 있어서, 차 내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 또는 휴대용 조작 스위치가 언로크 조작되면, 모터(17)가 언로크 방향으로 회전하며, 웜 휠(18)은, 도 14의 (a)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언로크 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거의 80도 회동하여,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제 2 걸림결합 돌출부(182)의 잘록한 부분(182a)이 제 1 걸림결합 아암(191)에서의 선단 근처의 내측 외곽부(191b)에 맞닿는다. 이에 따라, 로크 레버(19)는,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방향으로 약간 회동한다. 또한, 웜 휠(18)이 언로크 방향으로 회동하면, 도 1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번에는, 제 1 걸림결합부(182)의 경사부(182b)가 제 1 걸림결합부(191)의 내측 외곽부(191b)에 맞닿아, 로크 레버(19)를 언로크 방향으로 크게 회동시켜 언로크용 스토퍼부(136)에 맞닿는 언로크 위치를 향해 회동시킨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 1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웜 휠(18)의 제 1 걸림결합부(182)가 로크 레버(19)의 제 1 걸림결합 아암(191)으로부터 벗어나, 제 2 걸림결합 돌출부(183)가 제 2 걸림결합 아암(192)의 선단 외곽부(192a)에 맞닿으며, 웜 휠(18)은 제 1 정지 위치에 정지하는 동시에, 로크 레버(19)는 언로크용 스토퍼(136)에 맞닿아 언로크 위치에 정지한다.
도 1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웜 휠(18)의 제 2 걸림결합 돌출부(183)가 로크 레버(19)의 제 2 걸림결합 아암(192)의 선단 외곽부(192a)에 맞닿아 웜 휠(18)의 회동이 강제적으로 정지되었을 때, 웜(171)과 웜 휠(18)의 맞물림 부분에, 웜 휠(18)을 회전 축선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하는 힘이 작용하지만, 이 힘에 의한 웜 휠(18)의 경사는, 웜 휠(18) 양측의 회전면을 사이에 끼우고 있는 로크 레버(18)의 제 1, 2 걸림결합 아암(191, 192)이 웜 휠(18)의 회전면에 각각 맞닿음으로써 억제된다.
또한, 도 14의 (d)에 도시하는 언로크 상태에 있어서, 조작 스위치가 로크 조작된 경우에는, 모터(17)가 로크 방향으로 회전하여 웜 휠(18)이 언로크 방향과 반대 방향의 로크 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하면, 웜 휠(18)의 제 2 걸림결합 돌출부(184)의 잘록한 부분(184a)에 이어 경사부(184b)가 로크 레버(19)의 제 2 걸림결합 아암(192)의 내측 외곽부(192b)에 맞닿아,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걸림결합 돌출부(181)의 경사부(181b)가, 로크 레버(19)의 제 1 걸림결합 아암(191)의 선단 외곽부(191a)에 맞닿음으로써, 웜 휠(18)은 제 2 정지 위치에 정지 하는 동시에, 로크 레버(19)는 로크용 스토퍼(135)에 맞닿아 로크 위치에 정지한다.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웜 휠(18)의 제 1 걸림결합 돌출부(181)가 로크 레버(19)의 제 1 걸림결합 아암(191)의 선단 외곽부(191a)에 맞닿아 웜 휠(18)의 회동이 강제적으로 정지되었을 때, 웜(171)과 웜 휠(18)의 맞물림 부분에, 웜 휠(18)을 회전 축선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하는 힘이 작용하지만, 이 힘에 의한 웜 휠(18)의 경사도 로크 레버(18)의 제 1, 2 걸림결합 아암(191, 192)이 웜 휠(18)의 회전면에 각각 맞닿음으로써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터(18)의 구동에 의한 웜 휠(18)의 회동에 의해, 로크 레버(19)를 언로크 위치 및 로크 위치로 회동시킬 때, 로크 레버(19)를 언로크 위치 및 로크 위치로 확실하게 회동시킬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은, 웜 휠(18)의 제 1 걸림결합 돌출부(181 또는 182)가 로크 레버(19)의 제 1 걸림결합 아암(191)의 선단 외곽부(191a)에 맞닿았을 때에, 제 1 걸림결합 돌출부(181 또는 182)로부터 로크 레버(19)에 대한 힘의 작용선이, 로크 레버(19)가 로크 방향으로 회동했을 때에는 로크 위치로 회동하는 방향이 되도록, 제 1 걸림결합 아암(191)의 선단 외곽부(191a)의 형상은 정해진다. 또한, 제 2 걸림결합 돌출부(183 또는 184)가 제 2 걸림결합 아암(192)의 외곽 선단부(192a)에 맞닿았을 때에, 제 2 걸림결합 돌출부(183 또는 184)로부터 로크 레버(19)에 대한 힘의 작용선이, 로크 레버가 언로크 방향으로 회동했을 때에는 언로크 위치로 회동하는 방향이 되도록, 제 2 걸림결합 아암(192)의 선단 외곽부(192a)의 형상을 정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구성을 도 15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로크 레버(19)의 제 1 걸림결합 아암(191)의 선단 외곽부(191a)를, 시계 방향으로 갈수록 로크 레버(19)의 회전 중심(O)으로부터의 거리(R)가 점차 감소하는 형상으로 하며, 또한 제 2 걸림결합 아암(192)의 선단 외곽부(192a)를, 반시계 방향으로 갈수록 로크 레버(19)의 회전 중심(O)으로부터의 거리(R)가 점차 감소하는 형상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도 14의 (d)에 도시하는 언로크 상태로부터 도 14의 (a)에 도시하는 로크 상태로 작동한 경우에는, 웜 휠(18)의 제 1 걸림결합 돌출부(181)가 로크 레버(19)의 제 1 걸림결합 아암(191)의 선단 외곽부(191a)에 맞닿으면,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걸림결합 돌출부(181)로부터 로크 레버(19)에 대한 힘의 작용선(F1)이, 로크 레버(19)를 반시계 방향(로크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방향이 되어, 로크 레버(19)를 로크용 스토퍼부(135)에 맞닿는 로크 위치까지 확실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참고로, 도시는 생략하지만, 웜 휠(18)의 제 1 걸림결합 돌출부(182)가 로크 레버(19)의 제 1 걸림결합 아암(191)의 선단 외곽부(191a)에 맞닿은 경우에는, 로크 레버(19)를 반시계 방향(로크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힘의 작용선(F1)은, 제 1 걸림결합 돌출부(182)로부터 로크 레버(19)로 작용한다.
또한, 도 14의 (a)에 도시하는 로크 상태로부터 도 14의 (d)에 도시하는 언로크 상태로 작동한 경우에는, 웜 휠(18)의 제 2 걸림결합 돌출부(183)가 로크 레버(19)의 제 2 걸림결합 아암(192)의 선단 외곽부(192a)에 맞닿으면, 제 2 걸림결합 돌출부(183)로부터 로크 레버(19)에 대한 힘의 작용선(F2)이, 로크 레버(19)를 시계 방향(언로크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방향이 되어, 로크 레버(19)를 언로크용 스토퍼부(136)에 맞닿는 언로크 위치까지 확실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참고로, 도시는 생략하지만, 웜 휠(18)의 제 2 걸림결합 돌출부(184)가 로크 레버(19)의 제 2 걸림결합 아암(192)의 선단 외곽부(191a)에 맞닿은 경우에는, 로크 레버(19)를 시계 방향(언로크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힘의 작용선(F2)은, 제 2 걸림결합 돌출부(184)로부터 로크 레버(19)로 작용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키 실린더 또는 로크 노브의 언로크, 로크 조작에 의한 조작 스트로크가 불충분하거나, 다른 원인에 의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레버(19)가 로크 위치와 언로크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정지하는 상태가 발생해도, 모터(17)에 의한 웜 휠(18)의 회동으로, 로크 레버(19)를 로크 위치 또는 언로크 위치로 회동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웜 휠(18)의 각 걸림결합 돌출부(181, 182)를 뾰족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로크 레버(19)가 로크 위치 및 언로크 위치에 있는 경우는 물론, 로크 위치와 언로크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정지한 경우에도, 웜 휠(18)의 제 1 걸림결합 돌출부(181, 182) 또는 제 2 걸림결합 돌출부(183, 184) 중 어느 하나가, 제 1 걸림결합 아암(191)의 내측 외곽부(191b) 또는 제 2 걸림결합 아암(192)의 내측 외곽부(192b)에 맞닿을 수 있다. 이는 도 16으로부터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로크 레버(19)가 로크 위치와 언로크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웜 휠(18)을 화살표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웜 휠(18)의 제 2 걸림결합 돌출부(184)의 경사부(184b)가, 로크 레버(19)에서의 제 1 걸림결합 아암(191)의 내측 외곽부(191b)에 맞닿음으로써, 로크 레버(19)를 중간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로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로크 레버(19)를 로크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제 1 걸림결합부(191)의 선단 외곽부(191a)와 웜 휠(18)의 제 1 걸림결합 돌출부(181)의 경사부(181)의 맞닿음에 의한 힘의 작용선이 로크 레버(19)의 지축(29)을 향하기 않기 때문에, 웜 휠(18)이 화살표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로크 레버(19)를 회동시킬 수 있다.
아웃사이드 레버(27)는, 제 1 케이싱부(13A)의 하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후방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의 지축(133)에 피봇지지되는 동시에, 도 17에 명시된 바와 같이, 지축(133)의 주위에 설치된 링 형상부(134)의 선단과 백 플레이트(11) 사이에 축방향으로 덜컥거림 없이 끼움지지된다. 지축(133)은, 케이싱(13)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는 태핑 나사(34)에 의해 백 플레이트(11)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지축(133)의 강성을 향상시켜, 아웃사이드 레버(27)를 제 1 케이싱부(13A)에 확실하게 피봇지지할 수 있다.
아웃사이드 레버(27)의 차 내측을 향하는 단부에 설치된 차 내측 연결부(271)에는, 제 1, 2 리프트 레버(20, 21)의 하부가 소정 각도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또한 상기 차 외측의 단부에 설치된 차 외측 연결부(272)에는, 상하 방향을 향하는 조작력 전달 부재(도시 생략)를 통해 도어의 차 외측에 설치되는 아웃사이드 핸들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아웃사이드 핸들이 도어 개방 조작되면, 아웃사이드 레버(27)는, 지축(133)의 주위에 설치된 스프링(35)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대기 위치(예를 들면 도 2 참조)로부터 오픈 방향(도 2에서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한다.
또한, 아웃사이드 레버(27)에서의 차 내측 연결부(271)의 하방에는, 인사이드 레버(22)에 설치되는 해제 맞닿음부(223)가 맞닿을 수 있는 피해제 맞닿음부(273)가 설치되어 있다.
인사이드 레버(22)는, 제 2 케이싱부(13B)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차 내외측 방향을 향하는 원통형의 지축(131)에 피봇지지된다. 이 피봇지지 구조에 대해, 도 18에 근거하여 더 설명하면, 인사이드 레버(22)는, 지축(131)에 피봇지지되는 동시에, 제 2 케이싱부(13B)에서의 지축(131) 주위에 설치된 링 형상부(132)의 선단과 커버(14) 사이에 축방향으로 덜컥거림 없이 끼움지지된다.
지축(131)은, 케이싱(13)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는 태핑 나사(33)에 의해 커버(14)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지축(132)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인사이드 레버(22)를 제 2 케이싱부(13B)에 확실하게 피봇지지할 수 있다.
인사이드 레버(22)의 하단부에 설치된 연결부(221)에는, 도어의 차 내측에 설치된 인사이드 핸들(도시 생략)의 조작력을 전달 가능한 케이블 등의 조작력 전달 부재(32)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인사이드 핸들이 도어 개방 조작되면, 인사이드 레버(22)는, 예를 들면 도 8, 9에 도시하는 대기 위치로부터 오픈 방향(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한다.
인사이드 레버(22)에는, 아웃사이드 레버(27)의 피해제 맞닿음부(273)에 맞닿을 수 있는 해제 맞닿음부(223)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인사이드 핸들의 도어 개방 조작에 근거하여 인사이드 레버(22)가 대기 위치로부터 오픈 방향으로 회동하면, 해제 맞닿음부(223)가 피해제 맞닿음부(273)에 하측으로부터 맞닿음으로써, 아웃사이드 레버(27)도 대기 위치로부터 오픈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인사이드 레버(22)에는, 로크 레버(19)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 로크 레버(19)의 하단에 설치된 피맞닿음부(197)에 대향하는 맞닿음부(222)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인사이드 핸들이 도어 개방 조작되어 인사이드 레버(22)가 대기 위치로부터 오픈 방향으로 회동하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닿음부(222)가 로크 레버(19)의 피맞닿음부(197)에 직접 맞닿아, 이에 따라,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레버(19)를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로 강제적으로 회동시킨 직후, 인사이드 레버(22)의 해제 맞닿음부(223)가 아웃사이드 레버(27)의 피해제 맞닿음부(273)에 맞닿으며, 아웃사이드 레버(27)를 대기 위치로부터 오픈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로크 레버(19)가 로크 위치, 즉 도어 래치 장치(1)가 로크 상태에 있어도, 인사이드 핸들의 도어 개방 조작에 의해, 도어 래치 장치(1)를 언로크 상태로 전환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제 1 리프트 레버(20)는, 하부에 설치한 장구 형상의 구멍(202)에 아웃사이드 레버(27)의 차 내측 연결부(271)가 삽입됨으로써 차 내측 연결부(271)를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피봇지지된다.
제 1 리프트 레버(20)의 차 외측을 향하는 측면에는, 상하 방향의 제 1 긴 홈(201)이 설치된다. 제 1 긴 홈(201)에는, 로크 레버(19)의 제 2 돌출부(196)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림결합된다. 이에 따라, 로크 레버(19)가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 또는 그 반대로 회동하면, 제 1 리프트 레버(20)는, 로크 레버(19)와 함께 도 8에 도시하는 로크 위치로부터 도 9에 도시하는 언로크 위치, 또는 그 반대로 회동한다. 또한, 아웃사이드 레버(27)가 대기 위치로부터 오픈 방향으로 회동하면, 제 1 리프트 레버(20)는, 로크 레버(19)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는 로크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며, 또한 로크 레버(19)가 언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는 언로크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한다.
제 1 긴 홈(201)에는, 차 내외측 방향으로 관통하는 상하 2개의 확인 창(203, 204)이 설치되어 있다. 확인 창(203, 204)은, 조립 공정 중, 로크 레버(19)의 제 2 돌출부(196)가 제 1 리프트 레버(20)의 제 1 긴 홈(201) 내에 확실하게 걸림결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작업자가 외측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측 확인 창(203)의 위치는, 로크 레버(19) 및 제 1 리프트 레버(20)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의 제 2 돌출부(196)의 위치와 합치하며, 하측 확인 창(204)의 위치는, 로크 레버(19) 및 제 1 리프트 레버(20)가 언로크 위치에 있을 때의 제 2 돌출부(196)의 위치와 합치한다.
또한, 제 1 리프트 레버(20)의 차 내측을 향하는 측면에 있어서, 또한 제 1 긴 홈(201)보다 하방에는, 측면에서 봤을 때 거의 L자 형상의 제 2 긴 홈(205)이 설치된다. 제 2 긴 홈(205)에는, 캔슬 레버(23)에 설치되는 걸림결합부(231)가 상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림결합된다. 제 2 긴 홈(205)을 제 1 긴 홈(201)과 중합하지 않는 하방에 설치함으로써, 제 1 리프트 레버(20)의 차 내외측 방향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제 2 리프트 레버(21)는, 아웃사이드 레버(27)의 차 내측 연결부(271), 즉 제 1 리프트 레버(20)와 동축상에, 제 1 리프트 레버(20)와 제 2 리프트 레버(21)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37)의 가세력의 범위 내에서 제 1 리프트 레버(20)와 일체적으로 도 8에 도시하는 로크 위치 및 도 9에 도시하는 언로크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아웃사이드 레버(27)가 대기 위치로부터 오픈 방향으로 회동했을 때에는, 제 1 리프트 레버(20)와 함께 제 2 리프트 레버(21)도 상방으로 이동한다.
스프링(37)은, 일단이 제 1 리프트 레버(20)에 걸림고정되며, 타단이 제 2 리프트 레버(21)에 걸림고정됨으로써, 제 2 리프트 레버(21)를 제 1 리프트 레버(20)에 대해, 예를 들면 도 8, 9에서 시계 방향으로의 가세력을 부여한다. 참고로, 제 2 리프트 레버(21)는, 통상은 제 1 리프트 레버(20)에 설치되는 규제부(200)에 맞닿음으로써, 예를 들면 도 8, 9에 도시하는 통상 위치에 유지된다.
제 2 리프트 레버(21)에는, 오픈 레버(15)의 피해제부(153)에 맞닿을 수 있는 해제부(211)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 2 리프트 레버(21)가 제 1 리프트 레버(20)와 함께 언로크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면, 해제부(211)가 피해제부(153)에 맞닿음으로써 오픈 레버(15)를 대기 위치로부터 오픈 방향으로 회동시키며, 래칫(10)을 래치(8)로부터 이탈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그러나, 제 2 리프트 레버(21)가 제 1 리프트 레버(20)와 함께 로크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된 경우에는, 해제부(211)가 피해제부(153)에 대해 공진하여 오픈 레버(15)를 오픈 방향으로 회동시키지 못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없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리프트 레버(20)에 대한 제 2 리프트 레버(21) 및 스프링(37)의 조립성의 향상 및 작동을 확실하게 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은, 도 21~23에 명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프트 레버(20)에서는, 제 1 리프트 레버(20)의 일방의 면(차 내측을 향하는 면)에서의 구멍(202)의 주변에 설치되어 스프링(37)의 코일부(371)를 수용하기 위한 링 형상 홈(206)과, 링 형상 홈(206)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스프링(37)의 코일부(371)가 링 형상 홈(206)으로부터 간단하게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탈락 방지 클로(207)와, 제 1 리프트 레버(20)의 타방의 면(차 외측을 향하는 면)에서 구멍(202)의 주위에 설치되어 제 2 리프트 레버(21)에 설치된 원형의 축 구멍(212)이 회동 가능하게 피봇끼움하는 차 외측으로 소정량 돌출되는 원통 축부(208)와, 원통 축부(208)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원통 축부(208)에 피봇지지된 제 2 리프트 레버(21)가 원통 축부(208)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고정부(209, 209)와, 제 1 리프트 레버(20)의 타방의 면에서 제 2 리프트 레버(21)에 설치된 걸림결합편(214)이 맞닿고 걸림결합 가능한 규제부(200)를 갖는다. 또한, 제 2 리프트 레버(21)에서는, 축 구멍(212)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제 1 리프트 레버(20)의 원통 축부(208)를 축 구멍(212)에 삽입하여 조립할 때, 제 1 리프트 레버(20)의 걸림고정부(209)가 통과 가능한 절결부(213)를 가진다.
상술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도 21에 명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37)의 코일부(371)를 제 1 리프트 레버(20)의 링 형상 홈(206)에 수용하는 동시에, 탈락 방지 클로(207)를 코일부(371)에 걸림결합시킴으로써, 스프링(37)을 제 1 리프트 레버(20)에 대해 임시 조립할 수 있어, 스프링(37)의 조립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22, 23에 명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프트 레버(20)의 원통 축부(208)를 제 2 리프트 레버(21)의 축 구멍(212)에 삽입한 상태에서, 걸림고정부(209, 209)가 제 2 리프트 레버(21)에서의 축 구멍(212) 주변에 축방향으로 걸림결합함으로써, 제 2 리프트 레버(21)는 원통 축부(208)로부터 용이하게 탈락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 1 리프트 레버(20)와 제 2 리프트 레버(21)를 미리 임시 조립할 수 있어, 제 1 리프트 레버(20)와 제 2 리프트 레버(21)를 아웃사이드 레버(27)에 연결할 때의 조립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2에 명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37)의 가세력이 제 2 리프트 레버(21)에 작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 2 리프트 레버(21)의 걸림결합편(214)은, 제 2 리프트 레버(21)가 통상 위치에 정지하도록 제 1 리프트 레버(20)의 규제부(200)에 맞닿는 동시에, 제 2 리프트 레버(21)의 축방향으로의 덜컥거림을 억제하도록 규제부(200)에 걸림결합한다. 이에 따라, 제 2 리프트 레버(21)는, 통상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되고, 스프링(37)의 가세력의 범위 내에서 제 1 리프트 레버(20)와 일체적으로 이동하여 확실하게 로크, 언로크 위치 등으로 이동할 수 있다.
캔슬 레버(23)는, 제 2 케이싱부(13B)와 커버(14) 사이에서, 커버(14)에 지지된 차 내외측 방향을 향하는 지축(36)에 의해 피봇지지된다. 캔슬 레버(23)의 하단부에는, 제 1 리프트 레버(20)의 제 2 긴 홈(20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림결합하는 걸림결합부(231)가 설치되며, 또한 그 상부에는, 오픈 레버(15)의 캔슬부(152)에 맞닿을 수 있는 피캔슬부(232)가 설치된다.
캔슬 레버(23)의 피캔슬부(232)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리프트 레버(20)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는, 오픈 레버(15)의 캔슬부(152)에 근접 대향하여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있으며,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리프트 레버(20)가 언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는, 캔슬부(152)로부터 떨어져 캔슬부(152)에 맞닿을 수 없는 위치에 있다.
상술의 구성에 의해,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로크 노브를 로크 조작하여 로크 상태로 하며, 그 상태에서 도어를 폐쇄하면, 도어를 폐쇄한 시점에서 로크 상태는 캔슬되어 언로크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도어가 폐쇄될 때의 래치(8)의 회동에 따라, 래칫(10) 및 오픈 레버(15)가 대기 위치로부터 오픈 방향으로 회동하면, 오픈 레버(15)의 캔슬부(152)가 캔슬 레버(23)의 피캔슬부(232)에 하방으로부터 맞닿는다. 이에 따라, 캔슬 레버(23)는, 도 8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걸림결합부(231)가 제 1 리프트 레버(20)에서의 제 2 긴 홈(205)의 직선 부분에 걸림결합함으로써, 제 1 리프트 레버(20)를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연동하여, 제 2 리프트 레버(21), 로크 레버(19), 연계 레버(26)도 언로크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로크 노브를 로크 조작하여 로크 상태로 하며, 아웃사이드 핸들을 도어 개방 조작하면서 도어를 폐쇄한 경우에는, 로크 상태는 캔슬되지 않는다. 즉, 아웃사이드 핸들의 도어 개방 조작에 근거하여 아웃사이드 레버(27)가 오픈 방향으로 회동하고, 제 1 리프트 레버(20)가 로크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면, 캔슬 레버(23)의 걸림결합부(231)는, 제 1 리프트 레버(20)에서의 제 2 긴 홈(205)의 폭 확대 부분으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도어가 폐쇄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캔슬 레버(23)가 도 8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해도, 캔슬 레버(23)의 걸림결합부(231)는, 제 2 긴 홈(205)의 폭 확대 부분을 공동(空動)할 뿐이므로, 걸림결합부(231)의 이동은, 제 1 리프트 레버(20)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리프트 레버(20)는, 로크 위치에 유지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언로크 상태일 때 아우터 핸들 및 인사이드 핸들이 도어 개방 조작된 경우)
도어 래치 장치(1)가 언로크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레버(19), 제 1, 2 리프트 레버(20, 21) 및 연계 레버(26)는, 각각 언로크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아웃사이드 핸들이 도어 개방 조작되면, 아웃사이드 레버(27)는, 스프링(35)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대기 위치로부터 오픈 방향으로 회동하며 차 내측 연결부(271)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제 1, 2 리프트 레버(20, 21)는, 언로크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 2 리프트 레버(21)의 해제부(211)가 오픈 레버(15)의 피해제부(153)에 하방으로부터 맞닿음으로써 래칫(10) 및 오픈 레버(15)가 오픈 방향으로 회동하며, 래칫(10)이 래치(8)로부터 이탈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도어 래치 장치(1)가 언로크 상태에 있는 경우, 인사이드 핸들이 도어 개방 조작되면, 인사이드 레버(22)가 대기 위치로부터 오픈 방향으로 회동하며, 인사이드 레버(22)의 해제 맞닿음부(223)가 아웃사이드 레버(27)의 피해제 맞닿음부(273)에 맞닿아, 아웃사이드 레버(27)는, 스프링(35)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대기 위치로부터 오픈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따라, 아웃사이드 핸들이 도어 개방 조작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로크 상태일 때 아웃사이드 핸들이 조작된 경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래치 장치(1)가 로크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로크 레버(19), 제 1, 2 리프트 레버(20, 21) 및 연계 레버(26)는 각각 로크 위치에 있고, 제 2 리프트 레버(21)의 해제부(211)는, 오픈 레버(15)의 피해제부(153)에 맞닿을 수 없는 위치에 있다. 따라서, 아웃사이드 핸들의 도어 개방 조작에 근거하여, 아웃사이드 레버(27)가 오픈 방향으로 회동하며, 제 1, 2 리프트 레버(20, 21)가 로크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해도, 제 2 리프트 레버(21)의 해제부(211)는 오픈 레버(15)의 피해제부(153)에 대해 공진하기 때문에, 오픈 레버(15) 및 래칫(10)은 오픈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로크 상태에서는, 아웃사이드 핸들을 도어 개방 조작해도 도어를 개방할 수 없다.
(로크 상태일 때 인사이드 핸들이 조작된 경우)
도어 래치 장치(1)가 로크 상태에 있는 경우, 차 내로부터 인사이드 핸들이 도어 개방 조작되면, 인사이드 핸들의 도어 개방 조작은, 조작력 전달 부재(32)를 통해 인사이드 레버(22)에 전달되며, 인사이드 레버(22)는, 도 8에 도시하는 대기 위치로부터 지축(131)을 중심으로 오픈 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사이드 레버(22)의 맞닿음부(222)가 로크 위치에 있는 로크 레버(19)의 피맞닿음부(197)에 직접 맞닿는다. 이에 따라, 로크 레버(19)에 대해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를 향해 회동시킬 수 있는 힘이 작용하여, 로크 레버(19)가 언로크 위치를 향해 소정 각도 회동하면, 스프링(43)의 가세 방향이 전환하여 로크 레버(19)는 언로크 위치로 회동한다. 그리고, 그와 거의 동시에,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사이드 레버(22)의 맞닿음부(222)가 로크 레버(19)의 피맞닿음부(197)로부터 벗어나는 동시에, 해제 맞닿음부(223)가 아웃사이드 레버(27)의 피해제 맞닿음부(273)에 맞닿아, 아웃사이드 레버(27)는, 스프링(35)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대기 위치로부터 오픈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따라, 제 1, 2 리프트 레버(20, 21)는, 언로크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며, 제 2 리프트 레버(21)의 해제부(211)가 오픈 레버(15)의 피해제부(153)에 하방으로부터 맞닿아 래칫(10) 및 오픈 레버(15)가 오픈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따라, 래칫(10)이 래치(8)로부터 이탈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차 내로부터 인사이드 핸들이 도어 개방 조작된 경우에는, 로크 상태를 언로크 상태로 전환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로크 상태일 때 키 실린더가 언로크 조작된 경우)
키 실린더의 언로크 조작은, 제 1 키 레버(24)에 전달됨으로써, 제 1 키 레버(24)는, 도 8에 도시하는 중립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회동은, 제 1 키 레버(24)의 돌출부(241) 및 제 2 키 레버(25)의 긴 홈(251)을 통해 제 2 키 레버(25)에 전달되며, 제 2 키 레버(25)는, 지축(31)을 중심으로 도 8에 도시하는 중립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회동은, 피맞닿음부(261)를 통해 연계 레버(26)에 전달된다.
연계 레버(26)는, 지축(31)을 중심으로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로 회동하며, 상기 회동은, 연계 레버(26)의 긴 구멍(262) 및 로크 레버(19)의 돌출부(195)를 통해 로크 레버(19)에 전달된다. 로크 레버(19)는, 지축(29)을 중심으로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로 회동하며, 상기 회동은, 로크 레버(19)의 돌출부(196) 및 제 1 리프트 레버(20)의 제 1 긴 구멍(201)을 통해 제 1 리프트 레버(20)에 전달된다.
제 1, 2 리프트 레버(20, 21)는, 아웃사이드 레버(27)의 차 내측 연결부(271)를 중심으로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로 회동한다. 그리고, 각 레버를 언로크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제 1, 2 키 레버(24, 25)를 중립 위치로 되돌리고, 키를 키 실린더로부터 뽑아, 도 9에 도시하는 언로크 상태가 된다.
이 경우에서는, 제 1 정지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웜 휠(18)의 제 1, 2 걸림결합 돌출부(181, 182, 183, 184)는, 제 1 로크 레버(19)의 제 1, 2 걸림결합 아암(191, 192)의 회동 궤적 밖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로크 레버(19)의 제 1, 2 걸림결합 아암(191, 192)이 웜 휠(18)의 회전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일 뿐, 로크 레버(19)의 회동은 웜 휠(18)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로크 노브의 언로크 조작은, 웜 휠(18) 및 모터(17)를 역회전시키지 않고 적은 힘으로 행해진다.
(언로크 상태일 때 키 실린더가 로크 조작된 경우)
키 실린더의 로크 조작은, 제 1 키 레버(24)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 1 키 레버(24)는, 도 9에 도시하는 중립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며, 이 회동은, 제 1 키 레버(24)의 돌출부(241) 및 제 2 키 레버(25)의 긴 홈(251)을 통해 제 2 키 레버(25)에 전달된다.
제 2 키 레버(25)는, 지축(31)을 중심으로 도 9에 도시하는 중립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며, 상기 회동은, 피맞닿음부(261)를 통해 연계 레버(26)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연계 레버(26)는, 지축(31)을 중심으로 언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회동한다. 상기 회동은, 연계 레버(26)의 긴 구멍(262) 및 로크 레버(19)의 제 1 돌출부(195)를 통해 로크 레버(19)에 전달되어, 로크 레버(19)는, 지축(29)을 중심으로 언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회동한다. 상기 회동은, 로크 레버(19)의 제 2 돌출부(196) 및 제 1 리프트 레버(20)의 제 1 긴 홈(201)을 통해 제 1 리프트 레버(20)에 전달되어, 제 1, 2 리프트 레버(20, 21)는, 아웃사이드 레버(27)의 차 내측 연결부(271)를 중심으로 언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회동한다. 그리고, 각 레버를 로크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제 1, 2 키 레버(24, 25)를 중립 위치로 되돌리고, 키를 키 실린더로부터 뽑아, 도 8에 도시하는 로크 상태가 된다.
이 경우에서도 제 2 정지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웜 휠(18)의 제 1, 2 걸림결합 돌출부(181, 182, 183, 184)가 로크 레버(19)의 제 1, 2 걸림결합 아암(191, 192)의 회동 궤적 밖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로크 레버(19)의 제 1, 2 걸림결합 아암(191, 192)은, 웜 휠(18)의 회전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일 뿐, 로크 레버(19)의 회동은 웜 휠(18)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로크 노브의 로크 조작을 웜 휠(18) 및 모터(17)를 역회전시키지 않고 적은 힘으로 행할 수 있다.
(언로크 상태일 때 로크 노브가 로크 조작된 경우)
로크 노브의 로크 조작은, 조작력 전달 부재(30)를 통해 로크 레버(19)에 전달된다. 로크 레버(19)는, 도 9에 도시하는 언로크 위치로부터 도 8에 도시하는 로크 위치로 회동하며, 연계 레버(26), 제 1, 2 리프트 레버(20, 21)도 언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이동한다.
이 경우는, 제 2 정지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웜 휠(18)의 제 1, 2 걸림결합 돌출부(181, 182, 183, 184)가 로크 레버(19)의 제 1, 2 걸림결합 아암(191, 192)의 회동 궤적 밖에 있기 때문에, 로크 레버(19)의 제 1, 2 걸림결합 아암(191, 192)은, 웜 휠(18)의 회전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일 뿐, 로크 레버(19)의 회동은 웜 휠(18)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로크 노브의 로크 조작을 웜 휠(18) 및 모터(17)를 역회전시키지 않고 적은 힘으로 행할 수 있다.
(로크 상태일 때 로크 노브가 언로크 조작된 경우)
로크 노브의 언로크 조작은, 조작력 전달 부재(30)를 통해 로크 레버(19)에 전달되고, 로크 레버(19)는, 도 8에 도시하는 로크 위치로부터 도 9에 도시하는 언로크 위치로 회동하며, 상기 회동에 연동하여, 연계 레버(26), 제 1, 2 리프트 레버(20, 21)도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로 이동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제 1 정지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웜 휠(18)의 제 1, 2 걸림결합 돌출부(181, 182, 183, 184)는, 제 1 로크 레버(19)의 제 1, 2 걸림결합 아암(191, 192)의 회동 궤적 밖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로크 레버(19)의 제 1, 2 걸림결합 아암(191, 192)이 웜 휠(18)의 회전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일 뿐, 로크 레버(19)의 회동은 웜 휠(18)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로크 노브의 언로크 조작은, 웜 휠(18) 및 모터(17)를 역회전시키지 않고 적은 힘으로 행해진다.
(언로크 상태일 때 조작 스위치가 로크 조작된 경우)
조작 스위치가 로크 조작되어 모터(17)가 로크 방향으로 회전하면, 웜 휠(18)은, 도 9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지축(28)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웜 휠(18)이 시계 방향으로 거의 45도 회전하면, 웜 휠(18)의 제 2 걸림결합 돌출부(183)가 로크 레버(19)의 제 2 걸림결합 아암(192)의 내측 외곽부(192b)에 맞닿아, 로크 레버(19)는, 언로크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로크 레버(19)가 로크 위치로 회동하면, 웜 휠(18)의 제 1 걸림결합 돌출부(182)가 로크 레버(19)에서의 제 1 걸림결합 아암(191)의 선단 외곽부(191a)에 맞닿아, 웜 휠(18)의 회전은 정지한다. 그리고, 로크 레버(19)의 언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의 회동에 종동하여, 제 1, 2 리프트 레버(20, 21), 연계 레버(26)도 언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이동하여 로크 상태가 된다.
(로크 상태일 때 조작 스위치가 언로크 조작된 경우)
조작 스위치가 언로크 조작되어 모터(17)가 언로크 방향으로 회전하면, 웜 휠(18)은, 도 8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지축(28)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웜 휠(18)이 반시계 방향으로 거의 90도 회전하면,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웜 휠(18)의 제 1 걸림결합 돌출부(182)가 로크 레버(19)의 제 1 걸림결합 아암(191)의 내측 외곽부(191b)에 맞닿아, 로크 레버(19)는, 로크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로크 레버(19)가 도 14의 (c)의 상태를 거쳐 도 9, 도 14의 (d)에 도시하는 언로크 위치로 회동하면, 웜 휠(18)의 제 2 걸림결합 돌출부(183)가 로크 레버(19)에서의 제 2 걸림결합 아암(192)의 선단 외곽부(192a)에 맞닿아, 웜 휠(18)의 회전은 정지한다. 그리고, 로크 레버(19)가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로 회동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2 리프트 레버(20, 21), 연계 레버(26)도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로 이동한다.
(로크 상태일 때, 아웃사이드 핸들 또는 인사이드 핸들의 도어 개방 조작 직후에 조작 스위치가 언로크 조작된 경우, 소위 패닉 상태가 발생한 경우)
도어 래치 장치(1)가 로크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 아웃사이드 핸들(또는 인사이드 핸들)이 도어 개방 조작되어, 아웃사이드 레버(27)가 해제 방향으로 회동하면,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2 리프트 레버(20, 21)는, 로크 위치로부터 제 2 리프트 레버(21)의 해제부(211)가 오픈 레버(15)의 피해제부(153)에 공진한 상태에서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가 된다. 그 직후에, 조작 스위치가 언로크 조작되어 모터(17), 웜 휠(18)의 회전에 의해, 로크 레버(19)가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방향으로 회동하면,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리프트 레버(21)가 오픈 레버(15)에 맞닿아, 제 2 리프트 레버(21)가 언로크 위치 직전에 정지한 상태에서, 로크 레버(19)의 회동에 따라, 제 1 리프트 레버(20)는 스프링(37)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언로크 위치로 회동한다.
그리고, 아웃사이드 핸들(또는 인사이드 핸들)의 도어 개방 조작을 일단 중지하고, 아웃사이드 레버(27)가 대기 위치로 되돌아오면,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리프트 레버(21)는, 오픈 레버(15)로부터 벗어나, 스프링(37)의 가세력에 의해 언로크 위치로 회동한다. 그리고, 다시, 아웃사이드 핸들 또는 인사이드 핸들이 도어 개방 조작됨으로써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실시형태에 대해, 다음과 같은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i) 웜 휠(18)의 일방의 회전면에, 제 1 걸림결합 돌출부(181 또는 182) 중 어느 일방을 설치하며, 상기 타방의 회전면에, 제 2 걸림결합 돌출부(183 또는 184) 중 어느 일방을 설치한다.
(ii) 제 1 키 레버(24)와 제 2 키 레버(25)를 일체적으로 형성한다.
(iii) 모터(17)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를, 웜 휠(18)에 대신하여 평기어로 한다.
(iv) 액추에이터를 구성하는 모터(17), 웜 휠(18) 및 로크 레버(19)를, 도어 래치 장치(1)의 케이싱(13)과 분리하여 형성되는 액추에이터용 케이싱에 설치한다. 이 경우는, 로크 레버(19)는 케이블, 로드 또는 링크 등의 조작력을 전달 가능한 부재를 통해 도어 래치 장치(1)에 연결된다.

Claims (8)

  1.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장착되는 모터와;
    상기 케이싱에 피봇장착되고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로서, 일측에 제 1 회전면 및 타측에 제 2 회전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회전면 및 상기 제 2 회전면은 각각 제 1 걸림결합 돌출부 및 제 2 걸림결합 돌출부를 포함하는 기어와;
    상기 케이싱에 피봇장착되고 제 1 걸림결합 아암과 상기 제 1 걸림결합 아암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이격된 제 2 걸림결합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결합 아암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면에 대향하여 상기 기어가 상기 제 1 걸림결합 아암 및 상기 제 2 걸림결합 아암 사이에 위치되는 로크 레버를 구비한 차량용 래치 장치에서의 액추에이터로서,
    상기 로크 레버가 로크 위치 및 언로크 위치 중 어느 일방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기어가 상기 모터에 의해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1 걸림결합 돌출부가 상기 제 1 걸림결합 아암에 맞닿아 상기 로크 레버는 로크 위치 및 언로크 위치 중 어느 타방의 위치로 회동하고, 상기 제 2 걸림결합 돌출부가 상기 제 2 걸림결합 아암의 단부에 맞닿아 상기 기어는 제 1 정지 위치에 정지하며, 또한,
    상기 로크 레버가 로크 위치 및 언로크 위치 중 어느 타방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기어가 상기 모터에 의해 다른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2 걸림결합 돌출부가 상기 제 2 걸림결합 아암에 맞닿아 상기 로크 레버는 로크 위치 및 언로크 위치 중 어느 일방의 위치로 회동하고, 상기 제 1 걸림결합 돌출부가 상기 제 1 걸림결합 아암의 단부에 맞닿아 상기 기어는 제 2 정지 위치에 정지하는, 차량용 래치 장치에서의 액추에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로크 레버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 차체의 스트라이커(striker)는 래칫과 상기 래치의 걸림결합에 의해 도어의 래치로부터 걸림결합이 해제 불가능한 한편, 상기 로크 레버가 언로크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트라이커는 상기 래치로부터 걸림결합이 해제 가능한, 차량용 래치 장치에서의 액추에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는 상기 모터의 웜과 맞물리며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웜과 회전하는 웜 휠(worm wheel)을 포함하는, 차량용 래치 장치에서의 액추에이터.
  4. 제 1 항 있어서,
    상기 로크 레버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기어가 상기 모터에 의해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1 걸림결합 돌출부가 상기 제 1 걸림결합 아암에 맞닿아 상기 로크 레버는 언로크 위치로 회동하고, 상기 제 2 걸림결합 돌출부가 상기 제 2 걸림결합 아암의 단부에 맞닿아 상기 기어는 제 1 정지 위치에 정지하며, 또한,
    상기 로크 레버가 언로크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기어가 상기 모터에 의해 다른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2 걸림결합 돌출부가 상기 제 2 걸림결합 아암에 맞닿아 상기 로크 레버는 로크 위치로 회동하고, 상기 제 1 걸림결합 돌출부가 상기 제 1 걸림결합 아암의 단부에 맞닿아 상기 기어는 제 2 정지 위치에 정지하는, 차량용 래치 장치에서의 액추에이터.
  5. 제 1 항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상기 로크 레버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로크 레버와 접촉하는 로크용 스토퍼와, 상기 로크 레버가 언로크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로크 레버와 접촉하는 언로크용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래치 장치에서의 액추에이터.
  6. 제 1 항 있어서,
    상기 기어가 상기 제 1 및 2 정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1 및 2 걸림결합 돌출부는 상기 제 1 및 2 걸림결합 아암의 회전 궤적 밖에 있는, 차량용 래치 장치에서의 액추에이터.
  7. 제 1 항 있어서,
    상기 로크 레버의 상기 제 1 걸림결합 아암의 단부는 상기 제 1 걸림결합 아암의 단부와 상기 로크 레버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시계 방향으로 점차 감소되며, 상기 로크 레버의 상기 제 2 걸림결합 아암의 단부는 상기 제 2 걸림결합 아암의 단부와 상기 로크 레버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반시계 방향으로 점차 감소되는, 차량용 래치 장치에서의 액추에이터.
  8. 제 7 항 있어서,
    상기 제 1 걸림결합 돌출부가 상기 제 1 걸림결합 아암의 단부에 맞닿았을 때, 상기 제 1 걸림결합 돌출부로부터 상기 로크 레버로의 힘의 작용선이, 상기 로크 레버가 로크 위치 및 언로크 위치 중 어느 일방의 위치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 1 걸림결합 아암의 단부의 형상이 정해지며, 또한
    상기 제 2 걸림결합 돌출부가 상기 제 2 걸림결합 아암의 단부에 맞닿았을 때, 상기 제 2 걸림결합 돌출부로부터 상기 로크 레버로의 힘의 작용선이, 상기 로크 레버가 로크 위치 및 언로크 위치 중 어느 타방의 위치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 2 걸림결합 아암의 단부의 형상이 정해지는, 차량용 래치 장치에서의 액추에이터.
KR1020127019039A 2009-12-21 2010-09-30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에서의 액추에이터 KR101334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88867A JP4963720B2 (ja) 2009-12-21 2009-12-21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におけるアクチュエータ
JPJP-P-2009-288867 2009-12-21
PCT/JP2010/067043 WO2011077799A1 (ja) 2009-12-21 2010-09-30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におけるアクチュエ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938A KR20120096938A (ko) 2012-08-31
KR101334210B1 true KR101334210B1 (ko) 2013-11-28

Family

ID=44195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9039A KR101334210B1 (ko) 2009-12-21 2010-09-30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에서의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40037B2 (ko)
JP (1) JP4963720B2 (ko)
KR (1) KR101334210B1 (ko)
CN (1) CN102753777B (ko)
GB (1) GB2489377B (ko)
WO (1) WO20110777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67656B2 (en) 2015-03-24 2019-01-01 Hyundai Motor Company Retractable handle system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05758A1 (de) * 2011-03-18 2012-09-20 Kiekert Ag Kraftfahrzeugschloss
JP5870373B2 (ja) * 2011-09-12 2016-03-01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システム
DE102011120882A1 (de) * 2011-12-09 2013-06-13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schloss
DE202012001961U1 (de) * 2012-02-28 2013-05-29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JP5923789B2 (ja) 2012-04-05 2016-05-25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
EP2806091B1 (en) * 2012-04-17 2017-10-04 Magna Closures SpA An electrical vehicle latch
JP6003304B2 (ja) * 2012-07-06 2016-10-05 株式会社アンセイ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DE202012007326U1 (de) * 2012-07-31 2013-11-04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schloss
KR101316508B1 (ko) * 2012-11-08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워래치의 인터럽트 구조
US9428942B2 (en) * 2012-12-12 2016-08-30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Door locking device and construction machine including same
JP6424360B2 (ja) * 2014-01-24 2018-11-21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6201174B2 (ja) * 2014-02-04 2017-09-27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US20150233147A1 (en) * 2014-02-15 2015-08-20 Alfredo Martinez Actuator for vehicle latch and multi-function rack for use with the actuator
DE102015005302A1 (de) * 2014-05-16 2015-11-19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2014007525A1 (de) * 2014-05-23 2015-11-26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schloss
JP6454908B2 (ja) * 2014-07-18 2019-01-23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6364650B2 (ja) * 2014-08-05 2018-08-01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ドアラッチ用アクチュエータ
JP6535919B2 (ja) * 2014-10-29 2019-07-03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および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の組立方法
WO2016084191A1 (ja) * 2014-11-27 2016-06-02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6507407B2 (ja) 2015-01-08 2019-05-08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トランクリッド用ラッチ装置
DE102015004282A1 (de) * 2015-04-08 2016-10-13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schloss
JP6471600B2 (ja) * 2015-04-23 2019-02-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6528207B2 (ja) * 2015-07-31 2019-06-12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ドアロック装置の組立方法およびドアロック装置
KR101821243B1 (ko) * 2015-12-28 2018-01-24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JP6699233B2 (ja) 2016-02-29 2020-05-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729241B2 (ja) * 2016-09-23 2020-07-2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US10133315B2 (en) * 2016-11-08 2018-11-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dexed sequential lock
CN108082067B (zh) * 2016-11-23 2022-07-08 株式会社有信 车门边缘保护装置
JP7035709B2 (ja) * 2018-03-28 2022-03-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DE102018109898A1 (de) * 2018-04-25 2019-10-31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US11261646B2 (en) * 2018-09-24 2022-03-01 Magna Closures Inc. Clutch assembly for powered door system
CN111688454A (zh) * 2019-03-15 2020-09-22 麦格纳覆盖件有限公司 用于机动车辆的闭合面板的动力致动***
DE102019128289A1 (de) * 2019-10-21 2021-04-22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insbesondere Kraftfahrzeugtürschlos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1290A (ja) * 1994-01-11 1997-11-11 ロツクウエル ライト ビーイクル システムズ (ユーケイ) リミテツド 車両のドアロック・アクチュエータ
JP2002129802A (ja) 2000-10-25 2002-05-09 Oi Seisakusho Co Ltd 車両用ドアロックアクチュエータ
JP2002138730A (ja) 2000-10-30 2002-05-17 Oi Seisakusho Co Ltd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8357A (en) * 1992-12-24 1994-09-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closure latch having plastic coated ratchet
DE19530726C5 (de) * 1995-08-18 2009-07-02 Kiekert Ag Zentralverriegelungsanlage mit baugleichen Kraftfahrzeugtürverschlüssen
US5649726A (en) * 1996-05-21 1997-07-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closure latch
DE19702205B4 (de) * 1997-01-23 2004-12-23 Kiekert Ag Kraftfahrzeugtürschloß,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mit Zentralverriegelungs- und Diebstahlsicherungseinrichtung
EP0960246B1 (en) * 1997-02-04 2005-08-31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Vehicle door locking system with separate power operated inner door and outer door locking mechanisms
DE10112790B4 (de) * 2000-03-17 2012-09-13 Aisin Seiki K.K. Türblockier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3736267B2 (ja) 2000-03-17 2006-01-1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EP1978192B1 (en) * 2005-12-27 2015-10-21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Door-lock drive device for vehicle
JP4455646B2 (ja) * 2007-12-20 2010-04-21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1290A (ja) * 1994-01-11 1997-11-11 ロツクウエル ライト ビーイクル システムズ (ユーケイ) リミテツド 車両のドアロック・アクチュエータ
JP2002129802A (ja) 2000-10-25 2002-05-09 Oi Seisakusho Co Ltd 車両用ドアロックアクチュエータ
JP2002138730A (ja) 2000-10-30 2002-05-17 Oi Seisakusho Co Ltd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67656B2 (en) 2015-03-24 2019-01-01 Hyundai Motor Company Retractable handle system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89377A (en) 2012-09-26
US20120256429A1 (en) 2012-10-11
JP2011127383A (ja) 2011-06-30
US9140037B2 (en) 2015-09-22
KR20120096938A (ko) 2012-08-31
CN102753777B (zh) 2014-11-05
CN102753777A (zh) 2012-10-24
GB2489377B (en) 2016-02-03
JP4963720B2 (ja) 2012-06-27
GB201212894D0 (en) 2012-09-05
WO2011077799A1 (ja)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4210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에서의 액추에이터
JP6155488B2 (ja) 複数パーツを備えた爪部を有するロック装置
US6547291B1 (en) Latch assembly for vehicle hood
US8376417B2 (en) Door latch apparatus for vehicle
JP4648167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装置
US6168215B1 (en) Door lock device for vehicle
US8662545B2 (en) Vehicle door latch apparatus
US6679532B2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US10920463B2 (en) Side door occupant latch with manual release and power lock
JP5309408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US6634682B2 (en) Vehicle door lock apparatus
JP5338369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2011132694A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US5896767A (en) Automotive door latch device
JP5005047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US11384563B2 (en) Spring retaining assembly for vehicle latch actuator mechanism
US20210238896A1 (en) Vehicular door lock device
JP5309407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におけるアクチュエータ
JPH0617960Y2 (ja) 自動車用ロック装置
JP4624919B2 (ja) 中間ストッパ機構を有するスライドドア
CN113818760B (zh) 车辆用门闩装置
JP3270009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5057118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4928790B2 (ja) レバーの取付構造
KR20140052104A (ko) 도어래치 록킹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