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089B1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089B1
KR101275089B1 KR1020110127573A KR20110127573A KR101275089B1 KR 101275089 B1 KR101275089 B1 KR 101275089B1 KR 1020110127573 A KR1020110127573 A KR 1020110127573A KR 20110127573 A KR20110127573 A KR 20110127573A KR 101275089 B1 KR101275089 B1 KR 101275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gear
transmission unit
power transmission
horizontal membe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1329A (ko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KR1020110127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089B1/ko
Priority to PCT/KR2012/010280 priority patent/WO2013081404A1/en
Publication of KR20130061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5Release mechanisms, e.g. but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누름부재와,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수평부재의 이동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피니언기어와,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피니언기어와 반대로 회전하는 제2피니언기어와, 상기 제1피니언기어에 제1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2피니언기어에 제2단이 연결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내부에 끼워지는 이동부재와, 상기 수평부재가 걸리는 걸림홈이 상하방향을 따라 두개 이상 형성된 스테이로드를 포함하여, 장치를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하나의 누름부재를 통해 헤드레스트의 상하 및 전후 이동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이동장치{Apparatus for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car headrests}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누름부재와,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수평부재의 이동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피니언기어와,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피니언기어와 반대로 회전하는 제2피니언기어와, 상기 제1피니언기어에 제1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2피니언기어에 제2단이 연결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내부에 끼워지는 이동부재와, 상기 수평부재가 걸리는 걸림홈이 상하방향을 따라 두개 이상 형성된 스테이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헤드레스트 전후 이동장치는 코일스프링(30)이 외주면에 결합되는 원봉형상의 이동체(20)와, 이 이동체의 일측부가 코일스프링(30)과 함께 관통되어 활주되며 이 코일스프링의 일측부 선단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홈(51)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측부를 감싸서 지지하는 관형상의 제1지지부재(50)와,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측부를 감싸주며 이 타측부의 선단이 삽입 안내되는 간격부(42)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손잡이(41)가 연장된 작동부재(40)와,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측부를 작동부재(40)내에 지지하는 관형상의 제2지지부재(60)와, 주면에는 작동부재(40)의 손잡이(41)가 삽입되어 회동되는 공간부(11)가 형성되고 제1,제2지지부재(50)(60)와 작동부재(40)를 함께 감싸주어 지지하는 관형상의 결합부재(10)로 구성된다.
작동부재(40)는 판재를 관형상으로 되게 만곡하여 되는 것으로서, 일단은 간격부(42)를 갖도록 격리하고 타단은 손잡이(41)가 되도록 수직 연장하여 된다.
제2지지부재(60)의 일측단부는 2단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측단은 작동부재(40)의 타단과 맞닿게 된다.
전후이동장치는, 작동부재(40)의 손잡이(41)가 결합부재(10)의 공간부(11)를 통해 외측으로 하향 노출되게 결합되며, 코일스프링(30)의 일측부는 제1지지부재(50)에 감싸지고 타측부는 작동부재(40)에 삽입 지지된다.
이때는 코일스프링(30)이 면접촉과 점접촉이 복합된 상태로 이동체(20)를 붙잡고 있게되므로, 이 이동체는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작동부재(40)의 손잡이(41)를 돌려서 이동체(20)를 붙잡고 있는 코일스프링(30)의 직경이 커지게 하면 인접 코일간의 간격도 벌어져서 상기 이동체를 놓아주게 되므로, 이 이동체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방해를 받지 않고 제1,제2지지부재(50)(60)의 중공부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헤드레스트 전후이동장치는 손잡이 하나를 이동시킴으로 인해 헤드레스트를 전후방향으로만 이동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손잡이를 손으로 작동시키지 않고 와이어를 연결하여 작동시키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와 같이 와이어를 이용할 경우에는 작동편차가 발생하게 되고, 구조도 복잡해지게 되며, 장치의 전체적인 가격도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장치를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하나의 누름부재를 통해 헤드레스트의 상하 및 전후 이동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누름부재와,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수평부재의 이동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피니언기어와,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피니언기어와 반대로 회전하는 제2피니언기어와, 상기 제1피니언기어에 제1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2피니언기어에 제2단이 연결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내부에 끼워지는 이동부재와, 상기 수평부재가 걸리는 걸림홈이 상하방향을 따라 두개 이상 형성된 스테이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피니언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제2피니언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동력전달부는 상기 수평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1피니언기어에 치합되는 제1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상기 수평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랙기어에 일측이 치합되는 평기어와, 상기 평기어 타측에 치합되며 상기 수평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랙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재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와 상기 스테이로드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피니언기어와 상기 제2피니언기어에는 이동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테이로드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력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부에는 상기 탄력지지부를 둘러싸서 지지하는 스냅링이 끼워지고, 상기 수평부재에는 상기 스테이로드의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부에 강판이 인서트 사출성형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누름부재와,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수평부재의 이동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피니언기어와,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피니언기어와 반대로 회전하는 제2피니언기어와, 상기 제1피니언기어에 제1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2피니언기어에 제2단이 연결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내부에 끼워지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누름부재와,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수평부재의 이동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피니언기어와,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피니언기어와 반대로 회전하는 제2피니언기어와, 상기 제1피니언기어에 제1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2피니언기어에 제2단이 연결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내부에 끼워지는 이동부재와, 상기 수평부재가 걸리는 걸림홈이 상하방향을 따라 두개 이상 형성된 스테이로드를 포함하여, 장치를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하나의 누름부재를 통해 헤드레스트의 상하 및 전후 이동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은 와이어를 이용하지 않고 누름부재를 이용하여, 작동편차를 방지하고, 구조도 단순해지며, 장치의 전체적인 가격도 저렴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피니언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제2피니언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동력전달부는 상기 수평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1피니언기어에 치합되는 제1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상기 수평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랙기어에 일측이 치합되는 평기어와, 상기 평기어 타측에 치합되며 상기 수평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랙기어를 포함하여, 동력전달부의 구조가 단순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와 상기 스테이로드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여,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 이동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고, 상기 제1피니언기어와 상기 제2피니언기어에는 이동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장치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테이로드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력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부에는 상기 탄력지지부를 둘러싸서 지지하는 스냅링이 끼워져서, 상기 스테이로드를 유격없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스냅링으로 인해 보강되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스냅링이 스테이로드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게 되어 마찰로 인한 소음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재에는 상기 스테이로드의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부에 강판이 인서트 사출성형되어, 상기 걸림부를 보강할 수 있는 동시에 스테이로드와 강판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게 되어 마찰로 인한 소음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후이동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수평부재 전방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제1,2피니언기어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제1,2피니언기어 결합 사시도.
도 7은 도 3의 가이드부재 사시도.
도 8은 도 7의 A-A단면도.
도 9는 도 3에서 커버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결합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B-B단면도.
도 12는 헤드레스트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3은 헤드레스트의 위치가 이동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4는 헤드레스트가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헤드레스트가 상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누름부재(220)와, 상기 누름부재(220)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수평부재(200)와, 상기 수평부재(200)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400)과, 상기 수평부재(200)의 이동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500)와, 상기 동력전달부(5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피니언기어(600)와, 상기 동력전달부(5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피니언기어(600)와 반대로 회전하는 제2피니언기어(700)와, 상기 제1피니언기어(600)에 제1단(811)이 연결되며, 상기 제2피니언기어(700)에 제2단(812)이 연결되는 스프링(810)과, 상기 스프링(810) 내부에 끼워지는 이동부재(820)와, 상기 수평부재(200)가 걸리는 걸림홈(411)이 상하방향을 따라 두개 이상 형성된 스테이로드(40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장치를 둘러싸는 커버(100)를 포함한다.
커버(100)는 장치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커버(110)와 장치의 후방에 배치되어 전방커버(110)에 결합되는 후방커버(12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커버(110)의 상하부 및 양측 둘레에는 체결후크(111)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커버(120)에는 체결후크(111)가 삽입되는 체결구멍(1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체결후크(111) 및 체결구멍(121)으로 인해 전방커버(110)와 후방커버(120)는 가조립이 가능해져서 조립이 용이해진다.
전방커버(110) 및 후방커버(120)에는 서로 결합되고, 타 부재가 내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 등이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10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100) 하부에는 스테이로드인출공(101)이 형성되어 있다.
후방커버(120)의 측면 하부에는 누름부재가이드(122)가 형성되어 있다.
누름부재가이드(12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수평이동가이드홈(123)이 형성되어 있다.
누름부재(220)는 후방커버(120)의 누름부재가이드(122)에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누름부재(220)는 버튼으로 구비되며, 외주면에 수평이동가이드홈(123)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22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누름부재(220)의 끝단 외주면 양측에는 후크(222)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후방커버(120)에 한번의 끼움 공정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재(220)의 끝단 내부에는 축(223)이 누름부재(220)의 누름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누름전달부재(22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누름전달부재(224)는 롤러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누름전달부재(224)로 인해 사용자가 누름부재(220)의 정중앙을 누르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누르는 힘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고, 누름부재(220)와 이하 서술되는 수평부재(200)와의 마찰소음도 감소시킬 수 있다.
수평부재(200)는 누름부재(220)의 누르는 힘에 의해 수평이동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재(20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끝단에 누름부재(220)의 누름전달부재(222)와 접촉하는 접촉부(205)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접촉부(205)의 하부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다.
수평부재(200)는 상부 및 하부에 접촉돌기(20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촉돌기(201)는 반원형상(또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접촉되는 타 부재와 선접촉되어 접촉마찰 및 마찰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수평부재(200)의 양측에는 스테이로드관통공(202)이 형성되며, 스테이로드관통공(202) 일측에 배치되도록 걸림부(203)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203)는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수평부재(200)에는 걸림부(203) 내부에 배치되도록 강판(207)이 인서트 사출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강판(207)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강판(207)은 띠형상으로 판으로 구비되고, 관통공이 한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수평부재(200)에는 중앙부분의 상부에 돌기(208)가 십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수평부재(200)의 중앙부분에는 스프링지지판(209)이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스프링지지판(209)은 수평부재(200)의 일부가 절개되어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스프링지지판(209)에는 복귀스프링(400)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복귀스프링(4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208)와 스프링지지판(209)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수평부재(200)의 양측에는 홀(206)이 각각 형성된다.
복귀스프링(400)은 수평부재(200)를 복귀시킨다.
복귀스프링(400)은 스프링지지판(209) 형성으로 인해 절개된 부분을 통해 삽입되어 스프링지지판(209)에 의해 일단이 지지된다.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재(200)를 가이드하는 수평부재가이드부(210)가 더 구비되어, 수평부재(200)가 좌우방향으로 더욱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수평부재가이드부(21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전후 및 일측 둘레에 가이드돌기(216)가 형성된다.
나아가, 수평부재가이드부(210)의 타측에는 수평부재(200)의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21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평부재가이드부(210)의 전방 및 후방 양측에는 타부재에 볼트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212)가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수평부재가이드부(210)의 전방 양측에는 체결후크(213)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수평부재가이드부(210)의 후방 양측에는 타부재의 체결후크가 체결되는 체결공(217)이 형성된다.
수평부재가이드부(210)의 양측에는 스테이로드관통공(202)에 연통되도록 관통공(215)이 형성되어 있다.
수평부재가이드부(210)의 내벽에는 스테이로드(400)에 접촉되는 접촉돌기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돌기는 세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부재가이드부(210)에는 상기 접촉돌기가 형성된 위치에 근접하도록 상하로 관통된 홀이 형성된다.
또한, 수평부재가이드부(210)에는 수평부재(200)의 홀(206)에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평부재가이드부(210)의 중심부에는 복귀스프링(400)의 타단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판(214)이 형성된다.
스프링지지판(214)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수평부재가이드부(210)에는 복귀스프링(400)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500)는 수평부재(200)의 이동을 타부재에 전달한다.
동력전달부(500)는 이하 서술되는 제1피니언기어(600)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와 제2피니언기어(700)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동력전달부는 수평부재(200)에 연결되어, 제1피니언기어(600)에 치합되는 제1랙기어(510)를 포함한다.
제1랙기어(510)에는 수평부재(200)의 돌기(208)가 삽입되는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제1랙기어(510)는 수평부재(200)에 고정된다.
따라서, 수평부재(20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랙기어(510)도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수평부재(2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랙기어(510)에 일측이 치합되는 평기어(520)와, 평기어(520) 타측에 치합되며 수평부재(20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랙기어(530)를 포함한다.
제1랙기어(510) 및 제2랙기어(530)는 상부 및 평기어(520)와 마주보는 면에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다.
평기어(520)는 축이 수평부재(200)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회동가능해진다.
제2랙기어(530)의 하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동력전달부(500)가 구비되어, 구조가 단순해지는 이점이 있다.
제1피니언기어(600)는 동력전달부(5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상세하게는, 수평부재(200)가 이동함에 따라 제1랙기어(510)도 동시에 이동하게 되어 제1피니언기어(600)는 제1랙기어(510)에 치합되어 회전한다.
제2피니언기어(700)는 상기 동력전달부(5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피니언기어(600)와 반대로 회전한다.
상세하게는, 평기어(520)가 제1랙기어(510)에 치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평기어(520)에 치합된 제2랙기어(530)도 회전하게 되어, 제2피니언기어(700)는 제2랙기어(530)에 치합되어 제1피니언기어(600)와 반대로 회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피니언기어(600)와 제2피니언기어(700)에는 이하 서술되는 이동부재(820)가 관통하는 관통공(602,702)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1피니언기어(600)와 제2피니언기어(700)의 기어이는 온둘레를 따라 형성되지 않고, 하부에만 형성되어 부채꼴모양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피니언기어(600)와 제2피니언기어(700)가 형성되어 장치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피니언기어(600)는 내벽에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이에 치합되는 기어이가 외주면에 형성된 연결부재(611)가 더 구비된다.
연결부재(611)는 이동부재(820)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전방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차부는 연결부재(611)의 기어이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2피니언기어(700)에는 상기 단차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관통공(702)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스프링(810)은 상기 제1피니언기어(600)에 제1단(811)이 연결되며, 상기 제2피니언기어(700)에 제2단(812)이 연결된다.
제1피니언기어(700)의 연결부재(611)의 내벽과 제2피니언기어(800)의 내벽에는 제1,2단(811, 812)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부재(820)는 봉형상으로 구비되어 스프링(810) 내부에 끼워진다.
이동부재(820)는 전방브라켓(130)을 통해 전방커버(110)에 설치되고, 후방브라켓(140)을 통해 후방커버(120)에 설치된다.
전방브라켓(130)은 전방브라켓(130)과 이동부재(82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공과 전방브라켓(130)과 전방커버(11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후방브라켓(140)은 후방브라켓(130)과 이동부재(82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공이 형성된다. 또한, 후방브라켓(140)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방커버(120)에 둘레가 끼워져서 후방커버(120)에 결합된다.
따라서, 이동부재(8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방커버(110) 및 후방커버(120)도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로드(400)는 상기 수평부재(200)가 걸리는 걸림홈(411)이 상하방향을 따라 두개 이상 형성된다.
스테이로드(400)는 수평부재(420)와 수평부재(420)의 양측에 연결되는 수직부재(410)를 포함한다.
양측에 있는 수직부재(410)에는 일측에 걸림홈(4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부재(820)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940)와 스테이로드(400)의 수직부재(410)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910)가 형성되는 가이드부재(900)를 더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900)는 양측에 제2가이드부(910)가 각각 형성되고, 제2가이드부(910) 사이에 상기 제1가이드부(940)가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부(940)는 동력전달부(500) 및 제1,2피니언기어(600,700)를 둘러싸는 하우징부(911)와 하우징부(911)의 양측에 배치되어 이동부재(820)의 전후방향이동을 가이드하는 전후가이드부를 포함한다.
하우징부(911)는 동력전달부(500) 및 제1,2피니언기어(600,700)의 전후방 및 양측을 둘러싸는 벽체를 포함하며, 상기 벽체의 하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좌우가이드돌출부(91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벽체에는 이동부재(820)가 관통되는 이동부재관통공(912)이 형성되어 있다.
좌우가이드돌출부(919)는 제2랙기어(530)에 형성된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제2랙기어(530)의 좌우방향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전후가이드부는 이동부재(820)가 전후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920)과 베어링(920)이 설치될 수 있는 브라켓(913)을 포함한다.
베어링(920)에는 전단 및 후단이 전방커버(110) 및 후방커버(120)에 연결되는 가이드봉(930)이 삽입되어, 이동부재(820)는 안정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91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가이드부(910)는 스테이로드(400)의 수직부재(410)의 형상에 따라 본실시예에서와 같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테이로드(400)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경우에는 헤드레스트를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면 자동적으로 전방으로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900)로 인해 헤드레스트가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더욱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제2가이드부(910)의 내벽에는 스테이로드(400)의 상하방향 이동이 원활하도록 접촉돌기(915) 세개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이러한 접촉돌기(915)로 인해 스테이로드(4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안정적으로 이동하면서도 소음 및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제2가이드부(910)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스테이로드(400)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력지지부(917)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탄력지지부(917)의 끝단에 접촉돌기(915)가 배치되도록 탄력지지부(917)는 형성된다.
이러한 탄력지지부(917)는 수직부재(410)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두개가 형성된다.
또한, 제2가이드부(910)에는 탄력지지부(917)를 외측에서 둘러싸서 지지하는 스냅링(917)이 끼워진다.
이러한 스냅링(917)이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탄력지지부(917)의 외주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스냅링(917)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후크가 형성된다.
이러한, 탄력지지부(917) 및 스냅링(917)으로 인해 스테이로드(400)를 더욱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탄력지지부(917)도 보강될 수 있다.
나아가, 가이드부재(900)는 전방 양측에는 수평부재가이드부(210)의 체결후크(213)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후방 양측에는 수평부재가이드부(210)의 체결공(217)에 체결되는 체결후크(916)가 형성되고, 수평부재가이드부(210)의 고정돌기(212)와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체결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걸림턱 및 체결후크(916)가 형성되어, 가이드부재(900)는 수평부재가이드부(210) 및 수평부재(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평부재가이드부(210)에 결합된다. 따라서, 하부에서부터 수평부재가이드부(210),수평부재(200), 가이드부재(90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결합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헤드레스트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다음과 같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로드(400)의 수직부재(410)가 제2가이드부(910) 및 스테이로드관통공(202) 및 관통공(215)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수평부재(200)의 걸림부(203)가 스테이로드(400)의 걸림홈(411)에 삽입된다.이로 인해, 스테이로드(40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하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걸림부(203) 내부에는 강판(207)이 인서트성형되어 헤드레스트의 하중 및 충격에도 파손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강판(207)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서 강판(207)과 스테이로드(400)가 마찰되지 않게 되어 소음이 발생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평부재(200)는 복귀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그 위치가 고정된다. 이로 인해, 제1,2피니언(600,700)도 회전하지 않게 되어 스프링(810)은 이동부재(820)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부재(820)는 스프링(810)과의 마찰력으로 인해 그 위치가 고정된다.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사용자가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귀스프링(400)의 탄성력보다 더 큰 힘으로 누름부재(220)를 누르게 되면 누름전달부재(224)를 통해 수평부재(200)에 전달된다.
이로 인해, 수평부재(200)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제1랙기어(510)도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랙기어(510)에 평기어(520)가 치합되어 회전하게 되고, 평기어(520)에 치합되는 제2랙기어(530)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1랙기어(510)에 치합된 제1피니언기어(6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랙기어(530)에 치합된 제2피니언기어(70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스프링(810)의 제1단(811) 및 제2단(812)의 사이 간격이 넓어지게 되어 스프링(810)의 직경이 커지게된다. 따라서, 스프링(810)과 이동부재(820) 사이의 마찰이 없어지게 되어 헤드레스트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동시에, 수평부재(20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스테이로드(400)의 걸림홈(411)에 끼워져 있던 걸림부(203)는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헤드레스트의 상하방향이동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누름부재(220)를 누른 상태에서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누름부재(22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헤드레스트의 위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된 상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부피를 최소화 하는 동시에 하나의 누름부재(220)를 통해 헤드레스트의 상하 및 전후 이동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은 와이어를 이용하지 않고 누름부재를 이용하여, 작동편차를 방지하고, 구조도 단순해지며, 장치의 전체적인 가격도 저렴해지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누름부재(220)와, 상기 누름부재(220)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수평부재(200)와, 상기 수평부재(200)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400)과, 상기 수평부재(200)의 이동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500)와, 상기 동력전달부(5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피니언기어(600)와, 상기 동력전달부(5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피니언기어(600)와 반대로 회전하는 제2피니언기어(700)와, 상기 제1피니언기어(600)에 제1단(811)이 연결되며, 상기 제2피니언기어(700)에 제2단(812)이 연결되는 스프링(810)과, 상기 스프링(810) 내부에 끼워지는 이동부재(820)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통해서는 사용자가 누름부재(220)를 누르면, 수평부재(200)가 이동하게 되고, 수평부재(200)가 이동함에 따라 동력전달부(500)를 통해 제1피니언기어(600)와 제2피니언기어(700)에 동력이 전달된다. 이로 인해, 제1피니언기어(600)와 제2피니언기어(700)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이동부재(820)를 구속하고 있던 스프링(810)의 양단이 벌어지게 되어 이동부재(820)는 이동가능해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누름부재(220)를 누름으로 인해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커버 110 : 전방커버
120 : 후방커버 130 : 전방브라켓
140 : 후방브라켓 200 : 수평부재
210 : 수평부재가이드부 220 : 누름부재
400 : 스테이로드 500 : 동력전달부
510 : 제1랙기어 520 : 평기어
530 : 제2랙기어 600 : 제1피니언기어
700 : 제2피니언기어 810 : 스프링
820 : 이동부재 900 : 가이드부재

Claims (7)

  1. 누름부재;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
    상기 수평부재의 이동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피니언기어;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피니언기어와 반대로 회전하는 제2피니언기어;
    상기 제1피니언기어에 제1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2피니언기어에 제2단이 연결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 내부에 끼워지는 이동부재;
    상기 수평부재가 걸리는 걸림홈이 상하방향을 따라 두개 이상 형성된 스테이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피니언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제2피니언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동력전달부는 상기 수평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1피니언기어에 치합되는 제1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상기 수평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랙기어에 일측이 치합되는 평기어와, 상기 평기어 타측에 치합되며 상기 수평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와 상기 스테이로드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피니언기어와 상기 제2피니언기어에는 이동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테이로드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력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부에는 상기 탄력지지부를 둘러싸서 지지하는 스냅링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에는 상기 스테이로드의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부에 강판이 인서트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7. 누름부재;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
    상기 수평부재의 이동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피니언기어;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피니언기어와 반대로 회전하는 제2피니언기어;
    상기 제1피니언기어에 제1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2피니언기어에 제2단이 연결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 내부에 끼워지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피니언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제2피니언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동력전달부는 상기 수평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1피니언기어에 치합되는 제1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상기 수평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랙기어에 일측이 치합되는 평기어와, 상기 평기어 타측에 치합되며 상기 수평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20110127573A 2011-12-01 2011-12-01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275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573A KR101275089B1 (ko) 2011-12-01 2011-12-01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PCT/KR2012/010280 WO2013081404A1 (en) 2011-12-01 2012-11-30 Apparatus for moving headr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573A KR101275089B1 (ko) 2011-12-01 2011-12-01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329A KR20130061329A (ko) 2013-06-11
KR101275089B1 true KR101275089B1 (ko) 2013-06-17

Family

ID=48535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573A KR101275089B1 (ko) 2011-12-01 2011-12-01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75089B1 (ko)
WO (1) WO20130814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094B1 (ko) * 2013-02-20 2014-04-08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EP3059117B1 (de) * 2015-02-20 2019-04-03 Grammer Ag Kopfstütze
FR3036666B1 (fr) * 2015-05-29 2018-11-02 Faurecia Sieges D'automobile Appui-tete de siege de vehicule et siege comportant un tel appui-tete
EP3383698B1 (en) * 2015-11-30 2021-04-07 B/E Aerospace, Inc. Forward translating headrest
CN108698528A (zh) 2016-10-27 2018-10-23 岱美北美汽车股份有限公司 头枕组件
WO2019200610A1 (en) 2018-04-20 2019-10-24 Daimay North America Automotive, Inc. Bushing arrangement for headrest assembly
CN109017486B (zh) * 2018-07-11 2023-08-22 安道拓(重庆)汽车部件有限公司 便于调节头枕高度的汽车座椅
CN112040811A (zh) 2018-08-06 2020-12-04 岱美北美汽车股份有限公司 包括减少bsr的锁定构造的头枕组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535Y1 (ko) * 2003-12-18 2004-04-08 정해일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20050061672A (ko) * 2003-12-18 2005-06-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US8038219B2 (en) * 2007-09-04 2011-10-18 Lear Corporation Adjustable head restraint for vehicle sea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68237A1 (de) * 2001-02-24 2002-09-06 Keiper, Gmbh & Co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US6983995B1 (en) * 2004-09-24 2006-01-10 Lear Corporation Linear adjustable head restraint
KR100903134B1 (ko) * 2008-09-19 2009-06-16 (주)현대공업 자동차시트용 무단조절식 헤드레스트 가이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535Y1 (ko) * 2003-12-18 2004-04-08 정해일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20050061672A (ko) * 2003-12-18 2005-06-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US8038219B2 (en) * 2007-09-04 2011-10-18 Lear Corporation Adjustable head restraint for vehicle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329A (ko) 2013-06-11
WO2013081404A1 (en) 2013-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089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327391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US9221581B2 (en) Cup holder
KR101383094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N104147690B (zh) 纹身装置
JP6022589B2 (ja) ヘッドレスト
KR101998897B1 (ko) 낚시용 릴
JP2012140205A (ja) 収納棚
KR20130087411A (ko) 듀얼 베어링 릴
EP2026544B1 (en) A mobile phone holder for mechanical vehicles
KR20110096999A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JP2015150633A (ja) 卓上切断機
JP4156603B2 (ja) 車両用シートのオットマン装置
KR101387947B1 (ko) 서랍 자동폐쇄장치
JP2020157381A (ja) 裁断機
KR101281655B1 (ko)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US20030019991A1 (en) Cup holder arrangement
JPS5962016A (ja) 車両用シ−トのヘツドレスト装置
KR102049775B1 (ko) 낚시용 릴
CN202021600U (zh) 用于手持式工具的环形把手
TW202005523A (zh) 紡車式捲線器
KR101198223B1 (ko) 의자 구조체
KR200445418Y1 (ko) 담배 진열장치
KR200241633Y1 (ko) 헤드레스트전후이동장치
JP5047879B2 (ja) 魚釣用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