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077B1 - 반도체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077B1
KR101231077B1 KR1020100098603A KR20100098603A KR101231077B1 KR 101231077 B1 KR101231077 B1 KR 101231077B1 KR 1020100098603 A KR1020100098603 A KR 1020100098603A KR 20100098603 A KR20100098603 A KR 20100098603A KR 101231077 B1 KR101231077 B1 KR 101231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base layer
layer
contact
sourc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3449A (ko
Inventor
카즈나리 나카타
아쓰시 나라자키
시게토 혼다
카오루 모토나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796966&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3107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3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01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780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01L29/7813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with trench gate electrode, e.g. UMOS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84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or junctions between the regions
    • H01L29/0692Surface layout
    • H01L29/0696Surface layout of cellular field-effect devices, e.g. multicellular DMOS transistors or IGB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1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not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1095Body region, i.e. base region, of DMOS transistors or IGB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17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1725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1766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with at least part of the source or drain electrode having contact below the semiconductor surface, e.g. the source or drain electrode formed at least partially in a groove or with inclusions of conductor inside the semi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674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6671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01L29/66727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with a step of recessing the sourc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674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6671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01L29/66734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with a step of recessing the gate electrode, e.g. to form a trench gat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트렌치 게이트 구조 및 트렌치 콘택 구조를 갖는 반도체장치에 있어서, 낮은 온 저항이면서, 셀의 사이즈를 가능한한 작게 할 수 있는 반도체장치를 제공한다. 반도체장치는, 제 1 도전형을 갖는 베이스층(3)과, 제 1 베이스층(3) 위에 형성되고, 제 2 도전형을 갖는 소스층(4)과, 소스층(4) 위에 형성되는 절연막(5)을 갖는다. 더구나, 베이스층(3)을 관통하는 복수의 게이트 구조 GT와, 절연막(5) 및 소스층(4)을 관통하고, 소스층(4) 및 베이스층(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도전부(8)를 갖는다. 또한, 게이트 구조 GT는, 평면에서 볼 때,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전부(8)가 베이스층(3)과 접속하는 부분은, 평면에서 볼 때 스트라이프 형상이고, 게이트 구조 GT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더구나, 게이트 구조 GT와 도전부(8) 사이에 있어서, 소스층(4)과 베이스층(3)이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치수는, 0.36㎛ 이상이다.

Description

반도체장치{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렌치 게이트 구조를 갖는 전력용 반도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 증폭회로나 전원회로 등의 스위칭 소자에 사용되는 반도체장치로서, 예를 들면 파워 MISFET(Metal Insulator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등의 고전압 소자를 갖는 반도체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한, 파워 MISFET에 있어서, 「종형」이나 「횡형」으로 불리는 것이 알려져 있다. 더구나, 「종형」에 있어서는, 트렌치 게이트 구조로 불리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 MISFET란, 채널 형성 영역(반도체)과 게이트 전극 사이에, 게이트 절연막이 개재된 절연 게이트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말한다. 이때, 게이트 절연막이 산화 실리콘막으로 이루어진 것은, 일반적으로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로 불리고 있다.
또한, 전류가 반도체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흐르는 것이 「종형」이고, 전류가 반도체 기판의 표면 방향으로 흐르는 것이 「횡형」이다.
또한,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 사이의 채널 형성 영역에, 전자의 채널이 생기는 것이 「n형」이고, 정공의 채널이 생기는 것이 「p형」이다.
또한, 트렌치 게이트 구조란, 반도체 기판의 주면에 설치된 홈의 내부에, 게이트 절연막을 개재하여 게이트 전극이 설치된 게이트 전극 구조를 말한다.
트렌치 게이트 구조의 MOSFET에 있어서는, 세대마다 셀의 미세화가 진행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셀이 미세화함으로써, 단위면적당의 채널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온 저항을 저감하는 것에 이어져, 도통시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n형 MOSFET를 고려한 경우, n+ 소스 영역과 p+ 콘택 영역을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하면, p+ 영역에서는 채널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온 저항의 저감에 한계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관한 기술이 존재한다. 특허문헌 2에 관한 기술에서는, 트렌치 게이트 구조 이외에, 콘택부도 트렌치 구조(이하 본 명세서 중에서는, 트렌치 콘택 구조라고 칭한다)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디자인룰에서, 단위면적당의 채널 밀도를 높게 할 수 있어, 낮은 온 저항이 실현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 2001-1574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 2009-81323호 공보
트렌치 게이트 구조 및 트렌치 콘택 구조를 갖는 반도체장치에 있어서, 낮은 온 저항을 유지하면서, 셀의 미세화가 더욱 더 진행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트렌치 게이트 구조 및 트렌치 콘택 구조를 갖는 반도체장치에 있어서, 소스 전극에 대한 와이어본드 처리를 실시하면, 게이트·소스 사이에서 전기적 쇼트를 일으키는 일이 있었다. 따라서, 게이트‥소스 사이에 있어서의 전기적 쇼트를 억제하면서, 셀의 미세화가 더욱 더 진행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렌치 게이트 구조 및 트렌치 콘택 구조를 갖는 반도체장치에 있어서, 낮은 온 저항이면서, 셀의 사이즈를 가능한한 작게 할 수 있는 반도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트렌치 게이트 구조 및 트렌치 콘택 구조를 갖는 반도체장치에 있어서, 게이트·소스 사이에 있어서의 전기적 쇼트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셀의 사이즈를 가능한한 작게 할 수 있는 반도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반도체장치는, 제 1 도전형을 갖는 베이스층과, 상기 제 1 베이스층 위에 형성되고, 제 2 도전형을 갖는 소스층과, 상기 소스층 위에 형성되는 절연막과, 상기 베이스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게이트 구조와, 상기 절연막 및 상기 소스층을 관통하고, 상기 소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도전부와, 상기 절연막 위에 형성되고, 상기 도전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소스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게이트 구조는, 평면에서 볼 때,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전부가 상기 베이스층과 접속하는 부분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게이트 구조 사이에서 해당 게이트 구조와 이격되고, 해당 게이트 구조의 상기 스트라이프 형상의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게이트 구조와 상기 도전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소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이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치수는, 0.36㎛ 이상 0.43㎛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반도체장치는, 제 1 도전형을 갖는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위에 형성되고, 제 2 도전형을 갖는 소스층과, 상기 소스층 위에 형성되는 절연막과, 상기 베이스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게이트 구조와, 상기 절연막 및 상기 소스층을 관통하고, 상기 소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도전부와, 상기 절연막 위에 형성되고, 상기 도전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소스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게이트 구조는, 평면에서 볼 때,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전부가 상기 베이스층과 접속하는 부분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게이트 구조 사이에서 해당 게이트 구조와 이격되고, 해당 게이트 구조의 상기 스트라이프 형상의 방향으로 섬 형상으로 늘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전부가 상기 베이스층과 접속하고 있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조 사이의 상기 소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이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치수는, 0.36㎛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반도체장치는, 제 1 도전형을 갖는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위에 형성되고, 제 2 도전형을 갖는 소스층과, 상기 소스층 위에 형성되는 절연막과, 상기 베이스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게이트 구조와, 상기 절연막 및 상기 소스층을 관통하고, 또한, 상기 소스층 상면과 접촉하고 있고, 상기 소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부와, 상기 절연막 위에 형성되고, 상기 도전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소스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소스층 상면과 상기 도전부가 접촉하는 부분의 치수는, 10nm 이상, 40nm 이하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 2에 기재된 반도체장치에서는, 소위 소스 영역 폭이 적어도 0.36㎛∼0.43㎛이다. 따라서, 트렌치 게이트 구조를 갖는 반도체장치에 있어서, 낮은 온 저항이면서, 셀의 사이즈를 가능한한 작게 할 수 있는 반도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반도체장치에서는, 소스 상면에 있어서 도전부의 일부가 접촉하고 있고, 해당 접촉부의 치수가 적어도 10nm∼40nm이다. 따라서, 소스 전극에 대한 와이어본드시에 발생하는 응력의 일부가, 도전부와 접촉하는 소스층의 상면에서 흡수된다. 따라서, 게이트·소스간 쇼트를 억제하면서, 셀의 사이즈를 가능한한 작게 할 수 있는 반도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관한 반도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관한 반도체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 2에 관한 반도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2에 관한 반도체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 3에 관한 반도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4에 관한 반도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4에 관한 반도체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것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실시예 1에 관한 반도체장치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n+형」이란, 「n형」과 동일한 도전형이며, 해당 「n형」보다도 불순물 농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n-형」이란, 「n형」과 동일한 도전형이며, 해당 「n형」보다도 불순물 농도가 낮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p+형」이란, 「p형」과 동일한 도전형이며, 해당 「p형」보다도 불순물 농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이때, 이하의 설명에서는, 「p-형」은 언급하지 않으므로, 해당 「p-형」의 설명도 생략한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장치는, 반도체 기판(1), 에피택셜층(2), 베이스층(3), 소스층(4), 절연막(5), 게이트 전극(6), 게이트 절연막(7), 도전부(8), 소스 전극(9) 및 드레인 전극(10)을 구비하고 있다.
반도체 기판(1)은, n+형이며, 드레인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반도체 기판(1)의 하면측에는, 드레인 전극(1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해당 반도체 기판(1) 상면에는, 에피택셜 성장에 의해, 에피택셜층(드리프트층으로 이해할 수 있다)(2)가 형성되어 있다. 해당 에피택셜층(2)은, n-형이다. 해당 에피택셜층(2)의 위쪽에는, 트렌치 게이트형 MISFET(또는 MOSFET)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에피택셜층(2) 위에는, 베이스층(3)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베이스층(3)은, p형이다. 또한, 해당 베이스층(3) 위에는, 소스층(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소스층(4)은, n+형이다. 또한, 소스층(4) 및 베이스층(3)을 관통하는, 복수의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가 형성되어 있다.
해당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는, 다음의 공정에 의해 작성된다. 우선, 사진제판처리 및 에칭처리에 의해, 소스층(4) 및 베이스층(3)을 관통하는, 복수의 트렌치가 형성된다. 그리고, 해당 트렌치 내부에 게이트 절연막(7)을 성막하고, 해당 게이트 절연막(7) 위에 폴리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진 게이트 전극(6)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트렌치 내부를 충전하도록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가 형성된다. 즉, 게이트 절연막(7)을 개재하여, 게이트 전극(6)은, 베이스층(3)의 측면 및 소스층(4)의 측면과 접촉하고 있다. 이때,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의 저부는, 에피택셜층(2)의 상부에 이르고 있다.
또한, 소스층(4) 위에는, 절연막(5)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막(5) 및 소스층(4)을 관통하는, 복수의 도전부(8)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단면도인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절연막(5) 내부에 있어서의 도전부(8)의 폭은, 소스층(4) 내부에 있어서의 도전부(8)의 폭보다 크다. 따라서, 도전부(8)의 일부는, 소스층(4)의 상면과 접촉하고 있다.
또한, 해당 도전부(8)의 저부는, 베이스층(3)의 상면(보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층(3)의 표면에 형성된 p+형의 콘택 영역(1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트렌치 콘택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콘택 영역(11)은, 주지와 같이, 베이스층(3)의 일부 구성으로서, 도전부(8)와 베이스층(3)의 전기적 접촉 저항 저감의 목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도전부(8)의 측면부는, 소스층(4)과도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해당 도전부(8)(트렌치 콘택 구조)는, 다음의 공정에 의해 작성된다. 우선, 사진제판처리 및 에칭처리에 의해, 절연막(5) 및 소스층(4)을 관통하는, 복수의 트렌치가 형성된다. 그리고, 해당 트렌치 내부에, 도전체의 적층 구조를 충전한다. 이에 따라,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트렌치 내부를 충전하도록 도전부(8)가 형성된다(즉, 트렌치 콘택 구조가 형성된다). 이때, 적층 구조를 구성하는 도전체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티타늄, 질화 티타늄, 텅스텐 등이다.
또한, 절연막(5) 위에는, 소스 전극(9)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절연막(5)은, 소스 전극(9)과 게이트 전극(6)이 전기적으로 절연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소스 전극(9)의 하면과 도전부(8)의 상면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도전부(8)를 거쳐, 소스 전극(9)은, 베이스층(3)의 상면 및 소스층(4)의 측면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반도체장치를 위쪽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 도면 간략화의 관점에서, 소스 전극(9), 절연막(5) 및 도전부(8)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때, 도 2의 A-A 단면이,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평면에서 볼 때,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는,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는, 도 1의 표리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평면에서 볼 때, 도전부(8)와 베이스층(3)이 접속되는 부분(콘택 영역(11))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전부(8)와 베이스층(3)이 접속되는 부분(콘택 영역(11))은,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와 도 2의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떼어 형성되어 있다. 더구나, 도전부(8)와 베이스층(3)이 접속하는 부분(콘택 영역(11))의 스트라이프의 방향은,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의 스트라이프의 방향과 평행하다. 더구나, 도 2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 사이에, 1개의 도전부(8)와 베이스층(3)이 접속되는 부분(콘택 영역(1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평면에서 볼 때, 도 2의 좌우 방향을 따라, 스트라이프 형상의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 스트라이프 형상의 소스층(4), 스트라이프 형상의 도전부(8)와 베이스층(3)이 접속되는 부분(콘택 영역(11), 스트라이프 형상의 소스층(4) 및 스트라이프 형상의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가, 해당 순서로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콘택 영역(11)이 나타나 있는 부분은, 소스층(4)과 접촉하지 않는 베이스층(3)의 부분이다(즉, 도전부(8)와 접촉하고 있는 베이스층(3)의 부분이다). 이것에 대해, 도 2에 있어서 소스층(4)이 나타나 있는 부분은, 소스층(4)과 베이스층(3)이 접촉하고 있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장치에서는, 소스 영역 폭 L의 치수는, 0.36㎛ 이상이다. 여기에서, 소스 영역 폭 L이란, 1개의 선 형상의 소스층(4)의 폭, 즉, 1개의 소스층(4)의 도 2의 좌우 방향의 폭으로서, 도 2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와 도전부(8)(콘택 영역(11)) 사이에 있어서, 소스층(4)과 베이스층(3)이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치수를 말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소스 영역 폭 L의 치수는, 0.36㎛ 이상이다. 따라서, 반도체장치 셀의 미세화에 의한 채널 밀도 향상이 가능하여, 낮은 온 저항을 실현할 수 있다.
도 3은, 소스 영역 폭 L과 반도체장치의 온 저항의 관계를 나타낸 데이터 도면이다. 도 3의 횡축은, 소스 영역 폭 L(㎛)이고, 도 3의 종축은, 트랜지스터 셀의 온 저항값(임의 단위)이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소스 영역 폭 L이 0.36㎛ 이상일 때, 낮은 온 저항이 실현되고, 소스 영역 폭 L이 0.36㎛보다 작아지면, 급격하게, 약 10배 정도, 온 저항은 상승한다. 이와 같이, 소스 영역 폭 L이 0.36㎛보다 작아지면 급격하게 온 저항이 상승하는 것은, 소스 영역 폭 L이 좁아짐으로써, 소스층(4)으로부터 베이스층(3)으로의 전자의 공급량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바꿔 말하면, 소스 영역 폭 L이 0.36㎛ 이상이면, 소스층(4)으로부터 베이스층(3)으로 전자의 공급을 확보할 수 있다.
해당 도 3의 데이터로부터, 온 저항을 허용할 수 있는 크기의 범위에서, 소스 영역 폭 L을 가능한한 작게 할 수 있는, 해당 소스 영역 폭 L은, 0.4㎛ 이상, 0.43㎛ 이하이다. 해당 범위에서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온 저항은 다소 증가하기는 하지만, 해당 온 저항의 상승은 허용가능한 범위이다. 이때, 이때, 0.43㎛보다도 큰 소스 영역 폭 L을 채용한 것으로 하여도, 낮은 온 저항이 유지되지만, 디바이스의 미세화의 요청에 반한다.
이때, 도 1, 도 2에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 소스 영역 폭 L을 0.36㎛으로 함으로써, 낮은 온 저항을 유지하면서, 트랜지스터 셀의 사이즈가 최소가 되는 반도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반도체장치를 위쪽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 도면 간략화의 관점에서, 소스 전극(9), 절연막(5) 및 도전부(8)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때, 도 4의 B-B 단면이, 도 1의 단면도이다. 이때, 도 1의 단면 구조의 설명은, 실시예 1을 참조하기 바란다.
도 2, 도 4의 비교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실시예 1에 관한 반도체장치와 실시예 2에 관한 반도체장치는, 평면에서 볼 때의 구조가 상위하다. 양 실시예에 있어서, 도전부(8)와 베이스층(3)이 접속하는 부분의 형태가 다르다.
도 4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평면에서 볼 때,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는,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는, 도 1의 표리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평면에서 볼 때, 도전부(8)와 베이스층(3)이 접속되는 부분(콘택 영역(11))이, 섬 형상으로 점재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전부(8)와 베이스층(3)이 접속되는 부분(콘택 영역(11))은,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와, 도 4의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떼어 형성되어 있다. 더구나, 도전부(8)와 베이스층(3)이 접속되는 부분(콘택 영역(11))은,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의 스트라이프의 방향을 따라 늘어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4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 사이에, 상기 스트라이프 방향을 따라 늘어서 있는 복수의, 도전부(8)와 베이스층(3)이 접속되는 부분(콘택 영역(11))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평면에서 볼 때, 도 4의 B-B 단면선을 따라서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 소스층(4), 도전부(8)와 베이스층(3)에 접속되는 부분(콘택 영역(11)), 소스층(4) 및 스트라이프 형상의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가, 해당 순서로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평면에서 볼 때, 도 4의 C-C선을 따라서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 소스층(4) 및 스트라이프 형상의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가, 해당 순서로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 콘택 영역(11)이 나타나 있는 부분은, 소스층(4)과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이스층(3)의 부분이다(즉, 도전부(8)와 접촉하고 있는 베이스층(3)의 부분이다). 이것에 대해, 도 4에 있어서 소스층(4)이 나타나 있는 부분은, 소스층(4)과 베이스층(3)이 접촉하고 있는 부분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도전부(8)와 베이스층(3)이 접속되는 부분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사각형 형상이다. 여기에서, 도 4에서는,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직사각형인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장치에서는, 2종류의 소스 영역 폭 L1, L2가 존재한다. 여기에서, 소스 영역 폭 L1이란, 1개의 소스층(4)에 있어서 도 4의 좌우 방향에 주목하여,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와 도전부(8)(콘택 영역(11)) 사이에 있어서, 소스층(4)과 베이스층(3)이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치수를 말한다. 한편, 소스 영역 폭 L2란, 1개의 소스층(4)에 있어서 도 4의 좌우 방향에 주목하여,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 사이에 있어서의 소스층(4)의 폭이다. 즉, 소스 영역 폭 L2는, 도전부(8)가 베이스층(3)과 접촉하고 있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 사이의, 소스층(4)과 베이스층(3)이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치수를 말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장치에서는, 소스 영역 폭 L2의 치수는, 0.36㎛ 이상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소스 영역 폭 L2의 치수는, 0.36㎛ 이상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소스 영역 폭 L1이 0.36㎛보다 작은 경우라도, 소스 영역 폭 L2가 0.36㎛ 이상을 확보하고 있으므로, 반도체장치 셀의 미세화에 의한 채널 밀도 향상이 가능하여, 낮은 온 저항을 실현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예를 들어 소스 영역 폭 L1이 0.36㎛보다 작은 경우에도, 소스 영역 폭 L2가 0.36㎛ 이상을 확보하고 있으므로, 도 3에 나타낸 급격한 온 저항의 상승을 회피할 수 있다.
도 5는, 소스 영역 폭 L1과 반도체장치의 온 저항의 관계를 나타낸 데이터 도이다. 여기에서, 도 5의 횡축은, 소스 영역 폭 L1(㎛)이고, 도 5의 종축은, 트랜지스터 셀의 온 저항값(임의 단위)이다. 또한, 도 5의 데이터에서는, 소스 영역 폭 L2는 0.36㎛ 이상이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소스 영역 폭 L2가 0.36㎛ 이상 확보되어 있으면, 소스 영역 폭 L1이 0.36㎛보다 작아져도, 낮은 온 저항이 실현되어, 급격한 온 저항 상승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때, 도 5에서는, 소스 영역 폭 L1이 0.3㎛까지의 데이터가 기재되어 있지만, 소스 영역 폭 L1이 0.3㎛보다 작아지더라도, 낮은 온 저항은 유지된다.
이와 같이, 소스 영역 폭 L1이 0.36㎛보다 작아지더라도 온 저항이 유지되는 것은, 소스 영역 폭 L2가 0.36㎛ 이상이므로, 소스층(4)으로부터 베이스층(3)으로의 전자의 공급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도 1, 도 4에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 소스 영역 폭 L2를 0.36㎛으로 함으로써, 낮은 온 저항을 유지하면서, 트랜지스터 셀의 사이즈가 최소가 되는 반도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6은,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반도체장치의 위쪽 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도면 간략화의 관점에서, 소스 전극(9), 절연막(5) 및 도전부(8)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때, 도 6의 D-D 단면이 도 1의 단면도이다. 이때, 도 1의 단면 구조의 설명은, 실시예 1을 참조하기 바란다.
도 4, 도 6의 비교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실시예 2에 관한 반도체장치와 실시예 3에 관한 반도체장치는, 섬 형상으로 점재하고 있는, 도전부(8)와 베이스층(3)이 접속되는 각 부분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상위하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에서는, 도전부(8)와 베이스층(3)이 접속되는 각 부분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사각형이었다(도 4에서는 직사각형을 예시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 실시예 3에서는, 도전부(8)와 베이스층(3)이 접속되는 각 부분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형이다(도 6에서는 타원형을 예시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평면에서 볼 때,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는,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는, 도 1의 표리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평면에서 볼 때, 도전부(8)와 베이스층(3)이 접속되는 부분(콘택 영역(11))이, 섬 형상으로 점재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전부(8)와 베이스층(3)이 접속되는 부분(콘택 영역(11))은,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와, 도 6의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떼어 형성되어 있다. 더구나, 도전부(8)와 베이스층(3)이 접속되는 부분(콘택 영역(11))은,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의 스트라이프의 방향을 따라 늘어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6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 사이에, 상기 스트라이프 방향을 따라 늘어서 있는 복수의, 도전부(8)와 베이스층(3)에 접속되는 부분(콘택 영역(11))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평면에서 볼 때, 도 6의 D-D 단면선을 따라서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 소스층(4), 도전부(8)와 베이스층(3)에 접속되는 부분(콘택 영역(11)), 소스층(4) 및 스트라이프 형상의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가, 해당 순서로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평면에서 볼 때, 도 6의 E-E선을 따라서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 소스층(4) 및 스트라이프 형상의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가, 해당 순서로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콘택 영역(11)이 나타나 있는 부분은, 소스층(4)과 접촉하고 있지 않은 베이스층(3)의 부분이다(즉, 도전부(8)와 접촉하고 있는 베이스층(3)의 부분이다). 이것에 대해, 도 6에 있어서 소스층(4)이 나타나 있는 부분은, 소스층(4)과 베이스층(3)이 접촉하고 있는 부분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도전부(8)와 베이스층(3)이 접속되는 부분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여기에서, 도 6에서는,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타원 형상인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장치에서는, 적어도 2종류의 소스 영역 폭 L11, L12가 존재한다. 여기에서, 소스 영역 폭 L11이란, 1개의 소스층(4)에 있어서 도 6의 좌우 방향에 주목하여,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와 도전부(8)(콘택 영역(11)) 사이에 있어서, 소스층(4)과 베이스층(3)이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최대 치수를 말한다. 한편, 소스 영역 폭 L12란, 1개의 소스층(4)에 이어서 도 6의 좌우 방향에 주목하여,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 사이에 있어서의 소스층(4)의 폭이다. 즉, 소스 영역 폭 L12는, 도전부(8)가 베이스층(3)과 접촉하고 있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 사이의, 소스층(4)과 베이스층(3)이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치수를 말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장치에서는, 소스 영역 폭 L12의 치수는, 0.36㎛ 이상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소스 영역 폭 L12의 치수는, 0.36㎛ 이상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 2에서 설명한 것과 동등한 효과를 나타낸다. 즉, 예를 들어 소스 영역 폭 L11이 0.36㎛보다 작은 경우에도, 소스 영역 폭 L12가 0.36㎛ 이상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반도체장치 셀의 미세화에 의한 채널 밀도 향상이 가능하여, 낮은 온 저항을 실현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예를 들어 소스 영역 폭 L11이 0.36㎛보다 작은 경우에도, 소스 영역 폭 L12가 0.36㎛ 이상을 확보하고 있으므로, 도 3에 나타낸 급격한 온 저항의 상승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스 영역 폭 L11이 0.36㎛보다 작아졌다고 하더라도 낮은 온 저항이 유지되는 것은, 소스 영역 폭 12가 0.36㎛ 이상이므로, 소스층(4)으로부터 베이스층(3)으로의 전자의 공급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도 1, 도 6에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 소스 영역 폭 L12를 0.36㎛으로 함으로써, 낮은 온 저항을 유지하면서, 트랜지스터 셀의 사이즈가 최소가 되는 반도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도전부(8)를 형성함에 있어서, 도전부(8)를 구성하는 도전 재료가 충전되는 콘택홀이 형성된다. 해당 콘택홀의 형성에는, 사진제판처리와 에칭처리가 실시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도전부(8)와 베이스층(3)의 콘택 평면 형상을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패턴 미세화를 행하였다고 하더라도, 해당 사진제판처리와 해당 에칭처리에 있어서 프로세스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장치의 확대 단면도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은, 도 1의 도전부(8) 주변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의 단면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에 기재한 것과 같다. 즉, 본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장치에 있어서도,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트렌치 게이트 구조와 트렌치 콘택 구조를 갖는다.
이때, 도 7에 있어서, 한쪽의 트렌치 게이트 구조로부터, 다른 트렌치 게이트 구조를 향하는 방향을,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부른다. 즉, 도 7의 좌우 방향을,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부른다.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도전부(8)는, 절연막(5) 및 소스층(4)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전부(8)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소스 전극(9)과, 소스층(4) 및 베이스층(3)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 도전부(8)는 2종류의 폭 Da, Db를 갖는다. 소스층(4) 내부에 존재하는 도전부(8)의 수평 방향의 폭 Db는, 절연막(5) 내부에 존재하는 도전부(8)의 수평 방향의 폭 Da보다도 작다(Db<Da).
따라서,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소스층(4)의 상면의 일부에 있어서, 도전부(8)가 접촉하고 있다. 즉, 폭 Da로부터 폭 Db를 뺀 부분의 도전부(8)가, 소스층(4)의 상면과 접하고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소스층(4)의 상면과 도전부(8)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치수는, 10nm 이상이다. 즉, 도 7에 표시되어 있는 각 치수 d1은, 10nm 이상이다.
해당 도 7의 구성은, 다음의 공정에 의해 작성 가능하다. 우선, 절연막(5) 및 소스층(4)에 대해, 관통공을 형성한다. 그후, 절연막(5) 내부의 관통공의 수평 방향 폭을 넓히기 위해, 예를 들면 불화 수소산 등을 사용하여 절연막(5)에 대해서만 에칭을 실시한다. 이것에 의해, 절연막(5) 및 소스층(4) 내부에, 2종류의 폭을 갖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절연막(5) 내부의 관통공의 폭은, 소스층(4) 내부의 관통공의 폭보다도 크다. 그후, 해당 2종류의 폭을 갖는 관통공에 대해 도전체를 충전한다. 이상에 의해, 2종류의 폭 Da, Db를 갖는 도전부(8)가, 절연막(5) 및 소스층(4) 내부에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도전부(8)의 일부가 소스층(4)의 상면과 접하고 있고, 각 해당 접하고 있는 부분의 치수 d1은, 10nm 이상이다. 즉, 소스층(4)과 도전부(8)가 접촉하는 접촉 폭을, 10nm 이상 확보한다.
이에 따라, 소스 전극(9)에 대한 와이어본드시에 발생하는 응력이, 도전부(8)와 접촉하는 소스층(4)의 상면에서 흡수된다. 따라서, 게이트·소스간 쇼트를 저감할 수 있다.
해당 효과를 도 8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소스층(4)의 상면과 도전부(8)가 접촉하는 부분의 치수(접촉 폭) d1과, 와이어본드시의 게이트·소스간의 쇼트 불량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횡축은, 치수(접촉 폭) d1(nm)이다. 한편, 도 8의 종축은, 소스 전극(9)에 대한 와이어본드시에 발생하는 게이트·소스간 쇼트에 의한 불량률(5)이다.
도 8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치수(접촉 폭) d1이 10nm 이상인 경우에는, 불량률은 5% 이하로 낮고, 치수(접촉 폭) d1이 10nm 미만으로 되면, 불량률은 급격하게 상승한다. 소스층(4)의 상면과 도전부(8)가 전혀 접촉하지 않는 경우, 즉 소스층(4) 내부의 도전부(8)의 수평 방향 폭과 절연막(5) 내부의 도전부(8)의 수평 방향 폭이 동일한 경우에는(d1=0인 경우), 불량률은 60%에 이른다.
상기한 것과 같이 불량률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은, 치수(접촉 폭) d1이 10nm 미만인 경우에는, 소스 전극(9)에 대한 와이어본드 처리시에 발생하는 응력이, 도전부(8)의 저부인 베이스층(3)(구체적으로, 콘택 영역(11))에 집중하여 버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해당 응력의 집중에 의해, 베이스층(3)과 도전부(8)의 접촉부 부근의 구성이 변형하고, 해당 변형이, 도전부(8) 등을 거쳐 소스 전극(9)과 게이트 전극(6)의 전기적 쇼트를 일으킨다.
한편, 치수(접촉 폭) d1이 10nm 이상인 경우에는, 와이어본드 처리시에 발생하는 응력이 소스층(4) 상면에도 분산되어, 베이스층(3)(콘택 영역(11))에 미치는 응력은 완화된다. 베이스층(3)에 미치는 응력은 환화되기 때문에, 상기 변형을 억제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게이트·소스간 쇼트에 의한 불량률을 상당히 작게 할 수 있다.
도 8의 데이터로부터, 게이트·소스간 쇼트에 의한 불량률을 허용할 수 있는 크기의 범위에서, 치수(접촉 폭) d1을 가능한한 작게 할 수 있는, 해당 치수(접촉 폭) d1은, 10nm 이상, 40nm 이하이다. 해당 범위에서는,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게이트·소스간 쇼트에 의한 불량률은 다소 증가하기는 하지만, 해당 불량률의 상승은 허용가능한 범위이다. 이때, 40nm보다 큰 치수(접촉 폭) d1을 채용하였다고 하더라도, 게이트·소스간 쇼트에 의한 불량률은 0%로 할 수가 있지만, 디바이스의 미세화의 요청에는 반한다.
이때, 도 1, 도 7에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 치수(접촉 폭) d1을 10nm로 함으로써, 상기 게이트·소스간 쇼트 불량률을 억제하면서, 트랜지스터 셀의 사이즈가 최소가 되는 반도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치수 d1이 10nm 이상인 구성과, 실시예 1, 2, 3에서 설명한 소스 영역 폭 L, L2가 0.36㎛ 이상인 구성을 조합하여도 되고, 본 실시예에 관한 전자의 구성만을, 도 1, 도 7에 나타낸 구조체에 적용하여도 된다.
여기에서, 도 1, 도 7에 나타낸 구조체란, 베이스층(3), 소스층(4), 절연막(5) 및 소스 전극(9)을 해당 순서로 적층하고, 절연막(5) 및 소스층(4)을 관통하여 도전부(8)가 형성된 구조이다. 이때, 도전부(8)는, 베이스층(3) 및 소스층(4)과 소스 전극(9)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해당 도전부(8)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 한쪽의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와 다른 쪽의 트렌치 게이트 구조 GT 사이에 존재한다. 즉, 도 1, 도 7에 나타낸 구조체란, 특별히 소스 영역 폭을 한정하지 않는, 트렌치 게이트 구조와 트렌치 콘택 구조를 갖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한 각 실시예 1∼4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1), 에피택셜층(2) 및 소스층(4)의 각 도전형을 n형으로 하고, 베이스층(3) 및 콘택 영역(11)의 각 도전형을 p형으로 하였다. 그렇지만, 반도체 기판(1), 에피택셜층(2) 및 소스층(4)의 각 도전형을 p형으로 하고, 베이스층(3) 및 콘택 영역(11)의 각 도전형을 n형으로 하여도 된다. 이때, 해당 경우에는, 반도체 기판(1)의 도전형은 p+형으로 되고, 에피택셜층(2)의 도전형은 p-형으로 되고, 소스층(4)의 도전형은 p+형으로 되고, 베이스층(3)의 도전형은 n형으로 되고, 콘택 영역(11)의 도전형은 n+형으로 된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예 1∼4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1), 에피택셜층(2), 베이스층(3)(콘택 영역(11) 포함) 및 소스층(4)은, 반도체 재료(특히, 실리콘 또는 탄화 실리콘)로 이루어진다.
1 반도체 기판, 2 에피택셜층, 3 베이스층, 4 소스층, 5 절연막, 6 게이트 전극, 7 게이트 절연막, 8 도전부, 9 소스 전극, 10 드레인 전극, 11 콘택 영역, L, L1, L2, L11, L12 소스 영역 폭, GT 트렌치 게이트 구조, d1 치수(접촉 폭)

Claims (6)

  1. 제 1 도전형을 갖는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위에 형성되고, 제 2 도전형을 갖는 소스층과,
    상기 소스층 위에 형성되는 절연막과,
    상기 베이스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게이트 구조와,
    상기 절연막 및 상기 소스층을 관통하고, 상기 소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도전부와,
    상기 절연막 위에 형성되고, 상기 도전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소스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게이트 구조는,
    평면에서 볼 때,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전부가 상기 베이스층과 접속하는 부분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게이트 구조 사이에서 해당 게이트 구조와 이격되고, 해당 게이트 구조의 상기 스트라이프 형상의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게이트 구조와 상기 도전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소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이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치수는,
    0.36㎛ 이상 0.4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2. 제 1 도전형을 갖는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위에 형성되고, 제 2 도전형을 갖는 소스층과,
    상기 소스층 위에 형성되는 절연막과,
    상기 베이스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게이트 구조와,
    상기 절연막 및 상기 소스층을 관통하고, 상기 소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도전부와,
    상기 절연막 위에 형성되고, 상기 도전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소스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게이트 구조는,
    평면에서 볼 때,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전부가 상기 베이스층과 접속하는 부분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게이트 구조 사이에서 해당 게이트 구조와 이격되고, 해당 게이트 구조의 상기 스트라이프 형상의 방향으로 섬 형상으로 늘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전부가 상기 베이스층과 접속하고 있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조 사이의 상기 소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이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치수는,
    0.36㎛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는,
    상기 소스층 상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절연막 및 상기 소스층을 관통하고 있고,
    상기 소스층 상면과 상기 도전부가 접촉하는 부분의 치수는,
    10nm 이상, 4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가 상기 베이스층과 접촉하는 부분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5. 제 1 도전형을 갖는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위에 형성되고, 제 2 도전형을 갖는 소스층과,
    상기 소스층 위에 형성되는 절연막과,
    상기 베이스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게이트 구조와,
    상기 절연막 및 상기 소스층을 관통하고, 또한, 상기 소스층 상면과 접촉하고 있고, 상기 소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부와,
    상기 절연막 위에 형성되고, 상기 도전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소스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소스층 상면과 상기 도전부가 접촉하는 부분의 치수는,
    10nm 이상, 4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6.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은,
    실리콘 또는 탄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KR1020100098603A 2009-10-20 2010-10-11 반도체장치 KR101231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41266A JP2011091086A (ja) 2009-10-20 2009-10-20 半導体装置
JPJP-P-2009-241266 2009-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449A KR20110043449A (ko) 2011-04-27
KR101231077B1 true KR101231077B1 (ko) 2013-02-07

Family

ID=43796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603A KR101231077B1 (ko) 2009-10-20 2010-10-11 반도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47867B2 (ko)
JP (1) JP2011091086A (ko)
KR (1) KR101231077B1 (ko)
CN (1) CN102044565A (ko)
DE (1) DE1020100426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420B1 (ko) 2010-09-16 2017-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반도체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841445B1 (ko) 2011-12-06 2018-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저항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9559198B2 (en) 2013-08-27 2017-01-31 Nxp Usa,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for
US9653598B2 (en) * 2013-11-15 2017-05-16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Transistor component
US9837526B2 (en) 2014-12-08 2017-12-05 Nxp Usa, Inc. Semiconductor device wtih an interconnecting semiconductor electrode between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electrode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for
US9472662B2 (en) * 2015-02-23 2016-10-18 Freescale Semiconductor, Inc. Bidirectional power transistor with shallow body trench
US10348295B2 (en) 2015-11-19 2019-07-09 Nxp Usa, Inc. Packaged unidirectional power transistor and control circuit therefore
JP6526591B2 (ja) * 2016-03-16 2019-06-0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JP6632513B2 (ja) * 2016-12-07 2020-01-22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0861931B2 (en) * 2016-12-08 2020-12-08 Cree, Inc. Power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gate trenches and buried edge terminations and related methods
JP6871747B2 (ja) * 2017-01-30 2021-05-12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0340352B2 (en) * 2017-03-14 2019-07-02 Globalfoundries Inc.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 T-shaped gate electrode
CN110729342A (zh) * 2018-07-17 2020-01-24 上海宝芯源功率半导体有限公司 一种半导体开关器件及其制作方法
JP7458257B2 (ja) * 2020-07-09 2024-03-29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インバータ回路、駆動装置、車両、及び、昇降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0760A (ja) * 2000-08-03 2002-02-15 Sanyo Electric Co Ltd 絶縁ゲート型電界効果半導体装置
KR20050032753A (ko) * 2003-10-02 2005-04-08 주식회사 케이이씨 트렌치 모스 및 그 제조 방법
JP2008124511A (ja) * 2008-02-12 2008-05-29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0863B2 (ja) * 1987-03-12 1997-03-12 日本電装株式会社 導電変調型mosfet
JP3161767B2 (ja) * 1991-08-13 2001-04-2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US6204533B1 (en) * 1995-06-02 2001-03-20 Siliconix Incorporated Vertical trench-gated power MOSFET having stripe geometry and high cell density
US5719409A (en) * 1996-06-06 1998-02-17 Cree Research, Inc. Silicon carbide metal-insulator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JP3647676B2 (ja) 1999-06-30 2005-05-18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JP3356162B2 (ja) * 1999-10-19 2002-12-09 株式会社デンソー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024503B2 (ja) * 2001-09-19 2007-12-19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55803A (ja) * 2002-07-19 2004-02-19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
JP3640945B2 (ja) 2002-09-02 2005-04-20 株式会社東芝 トレンチゲート型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867083B2 (en) * 2003-05-01 2005-03-15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Method of forming a body contact of a transistor and structure therefor
JP2006059940A (ja) * 2004-08-19 2006-03-02 Fuji Electric Device Technology Co Ltd 半導体装置
JP5031996B2 (ja) * 2005-03-28 2012-09-26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812409B2 (en) * 2006-12-04 2010-10-12 Force-Mos Technology Corp. Trench MOSFET with cell layout, ruggedness, truncated corners
JP2009043966A (ja) * 2007-08-09 2009-02-26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417699B2 (ja) 2007-09-27 2014-02-19 富士電機株式会社 Mos型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98630B2 (ja) * 2007-12-20 2012-12-12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35360A (ja) * 2007-12-03 2009-06-18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13436B2 (ja) * 2009-06-04 2012-08-29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用半導体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0760A (ja) * 2000-08-03 2002-02-15 Sanyo Electric Co Ltd 絶縁ゲート型電界効果半導体装置
KR20050032753A (ko) * 2003-10-02 2005-04-08 주식회사 케이이씨 트렌치 모스 및 그 제조 방법
JP2008124511A (ja) * 2008-02-12 2008-05-29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47867B2 (en) 2012-08-21
US20110089487A1 (en) 2011-04-21
JP2011091086A (ja) 2011-05-06
KR20110043449A (ko) 2011-04-27
CN102044565A (zh) 2011-05-04
DE102010042691A1 (de) 201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077B1 (ko) 반도체장치
US9214526B2 (en) Semiconductor device
US7973363B2 (en) IGBT semiconductor device
WO2013030943A1 (ja) 半導体装置
JP6356803B2 (ja) 絶縁ゲート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
US20200295150A1 (en) Semiconductor device
WO2012131768A1 (ja) 炭化珪素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087611A (ja) スイッチング素子とその製造方法
US11088276B2 (en) Silicon carbide semiconductor device
JP2010232335A (ja) 絶縁ゲート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
US8395211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7063082A (ja) 絶縁ゲート型スイッチング素子とその製造方法
JP5463725B2 (ja) 炭化珪素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327672B2 (ja) 半導体装置
JP6245107B2 (ja)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WO2013161568A1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764998B2 (ja) 半導体装置
CN111092114A (zh) 半导体装置及半导体装置的制造方法
JP7486399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7257912B2 (ja) 半導体装置
JP5023423B2 (ja) 縦型絶縁ゲート型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158317B2 (ja) 半導体装置
JP6782213B2 (ja) 半導体装置
KR20150142220A (ko) 전력 반도체 소자
JP7321820B2 (ja) 半導体装置、インバータ回路、駆動装置、車両、及び、昇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