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478B1 - 접속 부재, 전기 기판, 광 주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접속 부재, 전기 기판, 광 주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478B1
KR101185478B1 KR1020070078869A KR20070078869A KR101185478B1 KR 101185478 B1 KR101185478 B1 KR 101185478B1 KR 1020070078869 A KR1020070078869 A KR 1020070078869A KR 20070078869 A KR20070078869 A KR 20070078869A KR 101185478 B1 KR101185478 B1 KR 101185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ource terminal
electric substrate
substrate
en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2596A (ko
Inventor
게이이치 사토우
야스오 요시다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2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2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9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baseless lamp bul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 B41J2/47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 B41J2/47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using multiple light beams, wavelengths or colou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3Multibeam scanners, e.g. using multiple light sources or beam split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by means of a moun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2Coupling device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06Light emitting diode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25Sockets, i.e. female type connectors comprising metallic connector elements integrated in, or bonded to a common dielectric suppor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431Details of mounted components
    • H05K2201/10439Position of a single component
    • H05K2201/10484Obliquely moun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621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contacts
    • H05K2201/10651Component having two leads, e.g. resistor, capaci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쪽 단부(端部) 측으로부터 상기 광원(光源)의 광원 단자(端子)가 삽입되는 동시에, 다른 쪽 단부 측이 상기 전기 기판을 관통하는 광원 단자 삽입부를 구비하는 광 빔(beam)을 사출(射出)하는 광원과 전기 기판을 접속하는 접속 부재가 제공되고 있다.
Figure R1020070078869
화상 형성 장치, 배출 트레이, 감광체 드럼, 현상 장치

Description

접속 부재, 전기 기판, 광 주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CONNECTION MEMBER, ELECTRIC SUBSTRATE,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접속 부재, 전기 기판, 광 주사(走査)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 주사 장치에 있어서, 레이저 다이오드와 전기 기판의 접속은, 레이저 다이오드의 핀을, 전기 기판을 관통하는 부착 구멍에 통과시켜서 납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와 전기 기판을 직접 납땜하면, 납땜 불량에 의한 레이저 다이오드나 전기 기판의 손상 등의 불량이 발생한 경우, 레이저 다이오드와 전기 기판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으므로, 리사이클이 곤란하다.
그래서, 전기 기판에 직접 레이저 다이오드를 납땜하지 않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공개평 제06-08271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0-252578호 공보를 참조).
그러나, 광원(光源)과 전기 기판을 접속하는 접속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광원을 전기 기판에 접속하는 접속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접속 부재는, 광 빔(beam)을 사출(射出)하는 광원과 전기 기판을 접속하는 접속 부재로서, 한쪽 단부(端部)측으로부터 상기 광원의 광원 단자가 삽입되는 동시에, 다른 쪽 단부측이 상기 전기 기판을 관통하는 광원 단자 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접속 부재에서는, 광원 단자 삽입부의 다른 쪽 단부를 전기 기판에 관통시켜서 납땜함으로써, 접속 부재는 전기 기판과 접속한다. 또한, 광원 단자 삽입부의 한쪽 단부측으로부터 광원의 광원 단자가 삽입된다. 따라서, 전기 기판에 관통된 다른 쪽 단부측으로부터 땜납을 유입시켜서, 광원 단자와 광원 단자 삽입부를 납땜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을 전기 기판에 접속하는 접속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광원과 전기 기판을 직접 납땜하지 않으므로, 광원과 전기 기판을 접속한 후에라도, 광원만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전기 기판은, 상기 접속 부재와, 상기 광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전기 기판에서는, 접속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광원을 전기 기판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전기 기판은, 상기 접속 부재를 복수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전기 기판에서는, 복수의 광원을 전기 기판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전기 기판에 복수의 광원을 접속할 수 있으므로, 광원끼리를 근접시켜서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광원 장치는, 상기 전기 기판과, 상기 접속 부재의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에 상기 광원 단자가 삽입되고, 상기 전기 기판에 접속된 상기 광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광원 장치에서는, 광원이 전기 기판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으므로, 광원 장치의 조립성이 양호하다.
삭제
광원 장치는,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광원 단자는 상기 접속 부재의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에 삽입되기 전에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광원 장치에서는, 광원 단자는 접속 부재의 광원 단자 삽입부에 삽입되기 전에 구부러져 있으므로, 광원으로부터 사출되는 광 빔이 전기 기판에 대해서 비스듬히 사출 가능해진다.
광원 장치는,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광원 단자는 복수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광원 단자를 서로 평행해지도록 동일 방향으로 구부리고, 또한, 그 광원 단자의 구부러진 부분 중 인접하는 당해 부분끼리를 거의 등간격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광원 장치에서는, 복수의 광원 단자를 서로 평행해지도록 동일 방향으로 구부리고, 또한, 광원 단자의 구부러진 부분 중 인접하는 당해 부분끼리를 거의 등간격으로 했기 때문에, 단자간에 접촉하는 일이 없어, 안전하게 접속 가능하다. 또한, 전기 기판의 납땜 부분의 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7 항에 기재된 접속 부재는 광 빔을 사출하는 광원과 전기 기판을 접속하는 접속 부재로서,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며, 제 1 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헤드부와,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광원의 광원 단자를 둘러싸도록 상기 광원 단자가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광원 단자가 삽입되면 그 광원 단자를 구부리는 광원 단자 삽입부와, 상기 헤드부에서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7 항에 기재된 접속 부재에서는, 광원 단자 삽입부에 광원의 광원 단자가 삽입되면 광원 단자를 구부리기 때문에, 광 빔이 전기 기판에 대해서 비스듬히 사출되도록 광원을 전기 기판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광원과 전기 기판을 직접 납땜하지 않으므로, 광원과 전기 기판을 접속한 후에라도, 광원만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제 8 항에 기재된 접속 부재는, 제 7 항에 기재된 구성에서, 상기 광 빔에 대해서 경사 방향으로 상기 전기 기판을 슬라이드시켜서, 상기 광원의 상기 광원 단자를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에 삽입 가능하게 되며, 상기 광 빔에 대해서 경사 방향으로 상기 전기 기판을 슬라이드시켜서 상기 광원 단자를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에 삽입하면, 그 광원 단자를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를 따라 구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8 항에 기재된 접속 부재에서는, 광 빔에 대해서 경사 방향으로 전기 기판을 슬라이드시켜서, 광원의 광원 단자를 광원 단자 삽입부에 삽입하면, 광원 단자를 광원 단자 삽입부를 따라 구부린다. 따라서, 광 빔이 전기 기판에 대해서 비스듬히 사출되도록 광원을 전기 기판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제 9 항에 기재된 접속 부재는,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기재된 구성에서,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는 단면(斷面)이 V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9 항에 기재된 접속 부재에서는, 광원 단자는 V자의 선단부(先端部)에 의해 가이드되고, 광원 단자 삽입부를 따라 진행되어 구부러진다.
제 10 항에 기재된 접속 부재는,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기재된 구성에서,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는 단면이 반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10 항에 기재된 접속 부재에서는, 광원 단자는 반원의 정점부(頂点部)에 의해 가이드되고, 광원 단자 삽입부를 따라 진행되어 구부러진다.
제 11 항에 기재된 전기 기판은,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속 부재와, 상기 광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11 항에 기재된 전기 기판에서는, 접속 부재를 구비하기 때문에, 광원을 전기 기판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제 12 항에 기재된 전기 기판은, 제 11 항에 기재된 구성에서, 상기 접속 부재를 복수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12 항에 기재된 전기 기판에서는, 복수의 광원을 전기 기판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전기 기판에 복수의 광원을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광원끼리를 근접시켜서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제 13 항에 기재된 광원 장치는,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기재된 전기 기판과, 상기 접속 부재의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에 광원 단자가 삽입되고, 상기 전기 기판과 접속된 상기 광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13 항에 기재된 광원 장치에서는, 광원이 전기 기판에 용이하게 접속되므로, 광원 장치의 조립성이 양호하다.
제 14 항에 기재된 광원 장치에서는, 제 13 항에 기재된 구성에서, 상기 광원 단자는 복수 구비되며, 상기 접속 부재의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는 상기 복수의 광원 단자를 서로 평행해지도록 동일 방향으로 구부리고, 또한, 그 광원 단자의 구부러진 부분 중 인접하는 당해 부분끼리를 거의 등간격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14 항에 기재된 광원 장치에서는, 상기 접속 부재의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는 복수의 광원 단자를 서로 평행해지도록 동일 방향으로 구부리고, 또한, 광원 단자의 구부러진 부분 중 인접하는 당해 부분끼리를 거의 등간격으로 했기 때문에, 단자간에 접촉하는 일이 없어, 안전하게 접속이 가능하다. 또한, 전기 기판의 납땜 부분의 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광 주사 장치는, 제 13 항,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원 장치와, 상기 광원 장치를 수용하는 광학 상자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 상자는 상기 광원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전기 기판이 부착되는 부착면과, 상기 광원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광원이 부착되는 기준면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면은 상기 부착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광 주사 장치에서는, 광원 장치를 구성하는 전기 기판이 부착되는 광학 상자의 부착면은, 광원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광원이 부착되는 기준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기준면과 부착면의 각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광 빔이 다른 각도의 광 주사 장치에 기판을 전용(轉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사출되는 광 빔을 각각 다른 각도로 할 때에도, 1매의 전기 기판을 공용할 수 있다.
또한, 전기 기판을 광학 상자의 측벽과 평행하게 설치할 수 있고, 투영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광 주사 장치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광원의 광원 단자가 광원 단자 삽입부에 삽입될 때, 광원 단자를 구부리는 구성으로 하면, 미리 광원의 광원 단자를 구부리는 일 없이,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상 유지체에 형성된 정전잠상(靜電潛像)을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제 13 항,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원 장치와, 상기 광원 장치를 수용하는 광학 상자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 상자는 상기 광원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광원이 부착되는 기준면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면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사출되는 광 빔이 상기 광원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전기 기판의 법선(法線) 방향과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광원 장치를 구성하는 광원이 부착되는 기준은, 광원으로부터 사출되는 광 빔이 광원 장치를 구성하는 전기 기판의 법선 방향과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기준면과 전기 기판의 각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광 빔이 다른 각도의 광 주사 장치에 기판을 전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사출되는 광 빔을 각각 다른 각도로 할 때에도, 1매의 전기 기판을 공용할 수 있다.
또한, 전기 기판을 광학 상자의 측벽과 평행하게 설치할 수 있고, 투영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광원의 광원 단자가 광원 단자 삽입부에 삽입될 때, 광원 단자를 구부리는 구성으로 하면, 미리 광원의 광원 단자를 구부리는 일 없이,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원을 전기 기판에 접속하는 접속 작업이 보다 용이해진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의 개략 구성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는 탠덤형의 풀 컬러 프린터로서 구성되고, 화상 형성 장치(1)의 본체(9)의 내부에는 광 주사 장치(12)와, 풀 컬러의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유닛인 프린트 헤드 디바이스(Print Head Device)(14)가 설치되어 있다.
광 주사 장치(12)는 광학 상자(하우징)(24)를 구비하고 있다. 이 광학 상자(24)의 내부에는, 회전 다면경(회전 반사경, 폴리곤 미러)(26), 주사 렌즈(fθ 렌즈)(28), 폴딩(folding) 미러(29), 분리 다면경(분리 미러, 분리부)(30), 반사경(32) 및 실린드리컬(cylindrical) 미러(광학 소자)(34Y, 34M, 34C, 34K)(도 2 참조) 등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광학 상자(24)의 내부에 레이저 광속(光束)(10Y~10K)(도 2 참조)을 사출(射出)하는 레이저 광원(41Y, 41M, 41C, 41K)도 배치되어 있다.
광학 상자(24)에는 방진(防塵) 윈도(24a)(도 2 참조)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레이저 광속(10Y~10K)(도 2 참조)은 방진 윈도(24a)(도 2 참조)를 투과하여, 상 유지체로서의 4개의 감광체 드럼(16, 18, 20, 22) 각각에 입사된다.
이와 같이 하여, 광 주사 장치(12)는 4개의 감광체 드럼(16, 18, 20, 22)에 대한 화상의 노광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린트 헤드 디바이스(14)는 옐로(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색에 대응하는 상 유지체로서의 4개의 감광체 드럼(16, 18, 20, 22)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감광체 드럼(16, 18, 20, 22) 각각은 현상 장치(23)를 갖는다.
프린트 헤드 디바이스(14)는 복수의 중간 전사체(36, 38, 40)를 구비하고 있다. 즉, 프린트 헤드 디바이스(14)는 감광체 드럼(16, 18) 각각에 형성된 토너상 이 다중 전사되는 중간 전사체(36)와, 감광체 드럼(20, 22) 각각에 형성된 토너상이 다중 전사되는 중간 전사체(38)와, 중간 전사체(36, 38) 각각의 다중 토너상이 더 다중 전사되는 중간 전사체(40)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1)의 본체(9)의 하부(下部)에는 기록 용지(시트)(P)가 수용되어 있는 급지(給紙) 카세트(25)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급지 카세트(25)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기록 용지(P)를 반송하는 반송 경로(K)가 형성되어 있다. 반송 경로(K)의 도중에는, 프린트 헤드 디바이스(14)의 중간 전사체(40) 및 정착 장치(27)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9)의 상면(上面)에는 정착 장치(27)에 의해 토너상이 정착된 기록 용지(P)가 배출되는 배출 트레이(11)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1)에 있어서, 광 주사 장치(12)로부터의 레이저 광속(10Y~10K)(도 2 참조)이, 대응하는 감광체 드럼(16, 18, 20, 22)에 입사되고, 이것에 의해, 감광체 드럼(16, 18, 20, 22)의 표면에 정전잠상(靜電潛像)이 형성된다. 그 후, 현상 장치(23)에 의해 현상되고, 이것에 의해, 감광체 드럼(16, 18, 20, 22)에 각 색의 토너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감광체 드럼(16)에 형성된 옐로의 토너상 및 감광체 드럼(18)에 형성된 마젠타의 토너상이, 일정한 속도로 한 방향으로 반송되는 중간 전사체(36)에 순차적으로 전사된다. 또한, 감광체 드럼(20)에 형성된 시안의 토너상 및 감광체 드럼(22)에 형성된 블랙의 토너상이, 일정한 속도로 한 방향으로 반송되는 중간 전사체(38)에 순차적으로 전사된다.
그 후, 이들 중간 전사체(36, 38)의 토너상은, 최종적으로 중간 전사체(40)에 전사된 후에, 급지 카세트(25)로부터 공급된 기록 용지(P)에 일괄하여 전사된 다. 이것에 의해 풀 컬러 토너 화상을 얻을 수 있다. 풀 컬러 토너 화상이 전사된 기록 용지(P)는 정착 장치(27)에서 정착 처리가 실시된 후에, 본체(9)의 상면인 배출 트레이(11)에 배출된다.
다음으로, 광 주사 장치(12)에 대해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광 주사 장치(12)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2는 광 주사 장치(12)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광 주사 장치(12)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광 주사 장치(12)의 광학 상자(24)는 방진 구조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광학 상자(24)는 제 1 케이스(241)와 제 2 케이스(242)를 갖는다. 즉, 광학 상자(24)의 내부 공간이 경계부(243)로 구획되어 있으며, 이 경계부(243)에 의해, 개별 공간을 갖는 제 1 케이스(241) 및 제 2 케이스(242)가 형성되어 있다. 경계부(243)에는 제 1 케이스(241)와 제 2 케이스(242)를 공간적으로 연결시키고 있는 창(244)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케이스(241)는 측벽(245)을 갖는다(측벽(245)은 기록 용지(P)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벽면을 구성함).
제 1 케이스(241)에는 제 1 광학계(600)가 배치되고, 제 2 케이스(242)에는 제 2 광학계(50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제 1 광학계(600) 및 제 2 광학계(500)는 결상(結像) 광학계라고도 할 수 있다.
이 제 1 광학계(600)는 레이저 광원(41Y, 41M, 41C, 41K)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레이저 광원(41Y, 41M, 41C, 41K)은 제 1 케이스(241)의 측벽(245)에 형성된 부착부(245a)에 부착되어 있다. 이 측벽(245)의 부착부(245a)는 측벽(245)에 대해 서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즉, 부착부(245a)는 레이저 광원(41Y, 41M, 41C, 41K)의 각각에서 발생한 레이저 광속(10Y, 10M, 10C, 10K)이 측벽(245)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진행하는 동시에, 4개의 레이저 광속(10Y~10K)이 서로 평행하게 진행하도록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레이저 광원(41Y, 41M, 41C, 41K)의 각각은 옐로(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화상 신호에 의해 구동되고, 발산 광속이 되는 레이저 광속(10Y~10K)을 출사한다.
또한, 레이저 광원(41Y, 41M, 41C, 41K)은 소켓(100Y, 100M, 100C, 100K)(도 6, 도 12 등을 참조)을 통하여, 1매의 전기 기판(LD 기판)(4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소켓(100Y, 100M, 100C, 100K)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광학계(600)에서, 레이저 광원(41Y, 41M, 41C, 41K)에서 발생한 레이저 광속(10Y~10K)의 진행 방향 순으로, 옐로(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색에 대응하는 콜리메이터(collimator) 렌즈(도시 생략), 슬릿(43Y, 43M, 43C, 43K), 제 1 반사 미러부(44Y, 44M, 44C, 44K), 제 1 렌즈계(45), 제 2 반사 미러(46), 제 2 렌즈계(47), 회전 다면경(26), 주사 렌즈(28) 및 폴딩 미러(29)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콜리메이터 렌즈, 슬릿(43Y, 43M, 43C, 43K) 및 제 1 반사 미러부(44Y, 44M, 44C, 44K)는 각 색에 대응한 것이다.
콜리메이터 렌즈는 레이저 광원(41Y, 41M, 41C, 41K)으로부터의 레이저 광속(10Y~10K)을 거의 평행화하는 것이다. 또한, 슬릿(43Y, 43M, 43C, 43K)은 감광 체 드럼(16, 18, 20, 22) 위의 레이저 광속(10Y~10K)의 집속(集束) 상태를 규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반사 미러부(44Y, 44M, 44C, 44K)는 레이저 광원(41Y, 41M, 41C, 41K)으로부터의 4개의 레이저 광속(10Y~10K)을, 각 색에 공통의 제 2 반사 미러(46)를 향하여 반사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반사 미러부(44Y, 44M, 44C, 44K)에서 반사된 4개의 레이저 광속(10Y~10K)은, 제 1 렌즈계(45)를 통과하여 제 2 반사 미러(46)에서 반사된 후에 제 2 렌즈계(47)를 통과하여, 회전 다면경(26)에 조사(照射)된다. 회전 다면경(26)은 구동원(도시 생략)에 의해 일정 속도로 회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2 반사 미러(46)로부터의 4개의 레이저 광속(10Y~10K)은 수평 방향으로 반사되어 편향 주사된다.
회전 다면경(26)에 조사된 4개의 레이저 광속(10Y~10K)은 반사 편향면에서 반사 편향되고, 2매 세트의 주사 렌즈(28)를 통과하여 폴딩 미러(29)에 입사된다. 주사 렌즈(28)는 회전 다면경(26)에 의해 편향 주사된 4개의 레이저 광속(10Y~10K)의 주사 속도를 보정하는 동시에 감광체 드럼(16, 18, 20, 22)(도 2 참조)의 근방에 레이저 광속(10Y~10K)을 결상시키는 것이다. 폴딩 미러(29)는 4개의 레이저 광속(10Y~10K)이 경계부(243)의 윈도(244)를 통과하여 제 2 광학계(500)로 진행되도록 반사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광학계(500)는 분리 다면경(30), 반사경(32)및 최종 미러인 실린드리컬 미러(34Y, 34M, 34C, 34K)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1 광학계(600)로부터의 4개의 레이저 광속(10Y~10K)은, 분리 다면경(30)에 의해 감광체 드럼(16, 18, 20, 22)의 배열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분리된다. 분리된 4개의 레이저 광속(10Y~10K) 각각은, 대응하는 반사경(32)의 각각에 반사된 후에, 실린드리컬 미러(34Y, 34M, 34C, 34K)에 의해, 대응하는 감광체 드럼(16, 18, 20, 22)으로 유도된다.
도 4는 레이저 광속(10Y~10K)이 회전 다면경(26)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반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반사 미러(46)(도 3 참조)로부터의 4개의 레이저 광속(10Y~10K)은 회전 다면경(26)의 반사 편향면(26a)에 입사된다. 여기서, 반사 편향면(26a)에는 반사 편향면(26a)의 폭(d1)보다 폭이 넓은 빔 폭(d2)의 레이저 광속(10Y~10K)이 입사된다. 그리고, 회전 다면경(26)의 반사 편향면(26a)에 의해 레이저 광속(10Y~10K)의 일부가 주사 렌즈(28)에 반사되어 주사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오버필드(overfilled) 광학계를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오버필드 광학계는 언더필드(underfilled) 광학계보다도 회전 다면경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면 수를 증가시켜도 회전 다면경의 대경화(大徑化)를 피할 수 있어, 경량화 및 관성 모멘트의 감소화에 의해 고속 회전화 대응이 가능해진다. 즉, 화상 형성 장치(1)의 프로세스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오버필드 광학계 쪽이 대응하기 쉬워 적합하다.
도 6은 레이저 광속(10Y~10K)의 광로(光路)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 광원(41Y, 41M, 41C, 41K)으로부터의 레이저 광속(10Y~10K)은, 서로 평행하게 제 1 반사 미러부(44Y, 44M, 44C, 44K)로 진 행한다. 그리고, 레이저 광속(10Y~10K) 각각의 발광점으로부터 회전 다면경(26)까지의 광로 길이는 동일하다. 레이저 광속(10Y~10K)은 발산 광이며, 그 발산 각은 서로 동일하다. 이 때문에, 오버필드 광학계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레이저 광원(41Y, 41M, 41C, 41K)을 전기 기판(48)에 접속하는 소켓(100Y, 100M, 100C, 100K)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모든 소켓(100Y, 100M, 100C, 100K)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기 때문에, Y, M, C, K를 구별하지 않고 설명한다.
도 7과 도 8의 (a) 내지 도 8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켓(100)은 원반 형상의 헤드부(102)를 갖고 있다. 헤드부(102)에는 3개의 관통 구멍(104A, 104B, 104C)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04A, 104B, 104C)은 화살표(Y1) 방향(후술하는 레이저 광원(41)의 핀(61)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보면 등간격으로 되어 있다(도 8의 (c) 참조). 또한, 평면에서 보면 관통 구멍(104A, 104B, 104C)으로 정삼각형을 구성한다(관통 구멍(104A, 104B, 104C) 각각의 거리는 같다).
또한, 화살표(Y1) 방향으로 관통 구멍(104A, 104B, 104C)에 각각 연결되는 절삭부(106A, 106B, 106C)가 형성되어 있다. 절삭부(106A, 106B, 106C)는 서로 평행하다. 또한, 헤드부(102)는 절연성을 갖고 있다.
헤드부(102)의 관통 구멍(104A, 104B, 104C)에는 접속 핀(108A, 108B, 108C)이 삽입되어 있다. 접속 핀(108A, 108B, 108C)은 단면(斷面)이 반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도 9의 (a)와 도 9의 (b)도 참조). 그리고, 반원 형상의 개구(開口)가 절 삭부(106A, 106B, 106C)와 일치하도록, 헤드부(102)의 관통 구멍(104A, 104B, 104C)에 삽입된다. 접속 핀(108A, 108B, 108C)은, 한쪽 단부가 헤드부(102)의 상면과 거의 동일면까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 쪽 단부는 헤드부(102)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접속 핀(108A, 108B, 108C)은 헤드부(102)에 삽입된 후에 빠지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접속 핀(108A, 108B, 108C)은 금속 등의 도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켓(100)의 접속 핀(108A, 108B, 108C)이 전기 기판(48)을 관통하고 있는 부착 구멍(150)에 삽입되어, 납땜에 의해 전기 기판(48)에 접속된다. 또한, 땜납은 부호(H)로 나타내고 있다(소켓(100)이 접속되어 있는 면과 반대측 면의 도면인 도 21도 참조).
또한, 도 12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 기판(48)에는 4개의 소켓(100Y, 100M, 100C, 100K)이 각 레이저 광원(41Y, 41M, 41C, 41K)의 배치 위치에 맞추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 기판(48)의 소켓(100)이 접속되어 있는 면과 반대측 면에는, 각 레이저 광원(41Y, 41M, 41C, 41K)을 구동(발광)시키기 위한 각종 전자 부품으로 구성된 구동 회로(15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광학 상자(24)의 측벽(245)에는, 레이저 광원(41Y, 41M, 41C, 41K)(이하, Y, M, C, K를 구별하지 않고 「레이저 광원(41)」으로 할 경우가 있음)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245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부착부(245a)는 레이저 광원(41)을 소정의 위치 관계에서 부착하는 것이 가능한 계단 형상으로 형 성되어 있다.
도 5는 레이저 광원(41)을 부착한 부착부(245a) 부근을 확대 단면으로 부분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레이저 광원(41)은 발광 소자(반도체 레이저)(64)와, 발광 소자(64)를 유지하는 홀더(62)를 구비하고 있다. 발광 소자(64)는 3개의 핀(61a, 61b, 61c)을 갖는다. 이들 핀(61a, 61b, 61c) 각각은, 전기 기판(48)에 접속된 소켓(100)의 접속 핀(108A, 108B, 108C)의 한쪽 단부로부터 각각 끼워 넣어진다. 또한, 핀(61a, 61b, 61c)은 소켓(100) 중에서 각각 도중에 일방향으로 구부러진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전기 기판(48)은 광학 상자(24)의 측벽(245)의 외벽면(245c)(이후, 부착면(245c)으로 기재함)(도 3도 참조)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광학 상자(24)에서, 전기 기판(48)을 부착하는 측벽(245)의 부착면(245c)과 레이저 광원(41)의 부착부(245a)(기준면)는 서로 평행하지 않고, 소정의 각도(α)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부착부(245a)는 레이저 광원(41)으로부터 사출되는 레이저 광속(10)이 전기 기판(48)의 법선 방향과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레이저 광속(10)은 전기 기판(48)에 대해서 각도(α)를 가지고 (비스듬히) 사출된다.
또한, 부착부(245a)에는 돌출하는 위치 결정부(245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62)는 이 위치 결정부(245b)에 걸어 맞춤으로써, 홀더(62)를 부착부(245a)에 대해서 위치 결정하는 오목부(63)를 갖는다.
또한, 복수의 레이저 광원(41Y, 41M, 41C, 41K)은 레이저 광속(10)의 광축(光軸) 조정을 하고나서 고정한다.
다음으로, 소켓(100)(전기 기판(48))과 레이저 광원(41)의 접속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1의 (a)에 나타낸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광원(41)을 부착부(245a)에 부착한다(도 5 참조). 또한, 이 상태에서는, 핀(61a, 61b, 61c)은 구부러지지 않는다.
전기 기판(48)을 화살표(Y2)로 슬라이드시켜서, 소켓(100)의 절삭부(106A, 106B, 106C)(도 7 등을 참조)로부터 핀(61a, 61b, 61c)을 삽입한다. 또한, 화살표(Y2)는 화살표(Y1)(도 7 등을 참조)와 반대 방향이며, 화살표(Y2)와 레이저 광속(10)은 각도(α)로 되는 각도이다.
도 11의 (b)와 도 1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 기판(48)을 더 슬라이드시키면, 핀(61a, 61b, 61c)이 접속 핀(108A, 108B, 108C)의 반원 정점부(109)(도 9의 (a)와 도 9의 (b)도 참조)에 닿는다. 또한, 전기 기판(48)을 슬라이드하면, 핀(61a, 61b, 61c)이 접속 핀(108A, 108B, 108C)에 삽입되는 동시에, 핀(61a, 61b, 61c)의 선단부(先端部)가 정점부(109)를 따라 진행됨으로써, 핀(61a, 61b, 61c)이 구부러진다.
또한,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c)에서는, 1개의 레이저 광원(41)이 소켓(100)에 접속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4개의 레이저 광원(41Y, 41M, 41C, 41K) 모두 동일하게 동시에 접속된다. 즉, 전기 기판(48)의 1회 슬라이드 동작으 로, 4개의 레이저 광원(41Y, 41M, 41C, 41K) 모두 소켓(100Y, 100M, 100C, 100K)을 통하여 전기 기판(48)과 접속한다.
그리고, 전기 기판(48)을 부착면(245c)에 고정하는 동시에, 접속 핀(108A, 108B, 108C)의 다른 쪽 단부로부터 땜납(H)을 유입시켜서, 접속 핀(108A, 108B, 108C)과 핀(61a, 61b, 61c)을 땜납(H)에 의해 고정한다. 또한, 땜납(H)은 모세관(毛細管) 현상에 의해, 접속 핀(108A, 108B, 108C)과 핀(61a, 61b, 61c)의 틈에 침투된다.
또한, 3개의 핀(61a, 61b, 61c)의 각 벤딩(bending)점(B)은 1개소(個所)이며, 핀(61a, 61b, 61c)을 벤딩점(B)에서 동일 방향으로 구부리면, 핀(61a, 61b, 61c)의 각 벤딩점(B)보다도 선단측의 부분(D)은 서로 평행하며, 또한, 인접하는 부분(D)끼리가 거의 등간격이 된다.
또한, 전기 기판(48)의 소켓(100)에 레이저 광원(41)을 접속한 것을 광원 장치(155)로 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소켓(100)을 통하여, 복수의 레이저 광원(41Y, 41M, 41C, 41K)을 1매의 전기 기판(48)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레이저 광원(41Y, 41M, 41C, 41K)을 근접시켜서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레이저 광원(41Y, 41M, 41C, 41K)과 전기 기판(48)을 직접 납땜하지 않으므로, 레이저 광원(41Y, 41M, 41C, 41K)만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전기 기판(48)을 슬라이드시켜서 레이저 광원(41Y, 41M, 41C, 41K)의 핀(61a, 61b, 61c)을 소켓(100)의 접속 핀(108A, 108B, 108C)에 삽입함으로써, 핀(61a, 61b, 61c)이 접속 핀(108A, 108B, 108C)을 따라 진행되어 구부러진다. 따라서, 미리 레이저 광속(10)의 광축 조정을 하여 고정된 복수의 레이저 광원(41Y, 41M, 41C, 41K)을, 1매의 전기 기판(48)에 대해서, 광속(10)이 전기 기판(48)에 대해서 각도(α)를 가지도록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핀(61a, 61b, 61c)의 각 벤딩점(B)은 1개소이다. 이와 같이 핀(61a, 61b, 61c)을 벤딩점(B)에서 동일 방향으로 구부리면, 핀(61a, 61b, 61c)의 각 벤딩점(B)보다도 선단측의 부분(D)은 서로 평행하며, 또한, 인접하는 부분(D)끼리 거의 등간격이 된다. 따라서, 단자간에 접촉하는 일 없이, 안전하게 접속 가능하다. 또한, 전기 기판의 납땜 부분의 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기 기판(48)을 부착하는 부착면(245c)과 레이저 광원(41)이 부착되는 부착부(245a)(기준면)는 서로 평행하지 않고, 소정의 각도(α)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환언하면, 부착부(245a)는 레이저 광원(41)으로부터 사출되는 레이저 광속(10)이 전기 기판(48)의 법선 방향과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있음). 따라서, 부착면(245c)과 부착부(245a)의 각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이저 광속(10)이 다른 각도의 광 주사 장치에도, 이 전기 기판(48)을 전용(轉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레이저 광원(41Y, 41M, 41C, 41K)으로부터 사출되는 레이저 광속(10Y, 10M, 10C, 10K)을 각각 다른 각도로 할 때에도, 1매의 전기 기판(48)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기 기판(48)을 광학 상자(24)의 측벽(외주면, 외주벽)(245)과 평행하게 설치할 수 있고, 투영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광 주사 장치(12) 및 화상 형성 장치(1)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소켓(100)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 1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 도 15의 (a) 내지 도 15의 (c), 도 16의 (a) 내지 도 1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변형예의 소켓(200)에서는, 접속 핀(208A, 208B, 208C)의 단면이 V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V자 형상의 개구가 절삭부(206A, 206B, 206C)와 일치하도록, 헤드부(202)의 관통 구멍(204A, 204B, 204C)에 삽입된다. 또한, 절삭부(206A, 206B, 206C)는 개구측이 넓어진 V자 형상을 하고 있다.
접속 핀(208A, 208B, 208C)은, 한쪽 단부가 헤드부(202)의 상면과 거의 동일면까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 쪽 단부가 헤드부(202)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접속 핀(208A, 208B, 208C)은 헤드부(202)에 삽입된 후에는 빠지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접속 핀(208A, 208B, 208C)은 금속 등의 도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6의 (a) 내지 도 16의 (c)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 핀(208)의 핀(61) 삽입 부분에는, 핀(61)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인 판 스프링(210)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판 스프링(210)에 의해 핀(61)이 접속 핀(208)에 유지된다.
또한, 판 스프링(210) 이외의 유지 부재로 유지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축부(212)에 의해 핀(61)을 유지하여도 좋다.
제 1 변형예의 소켓(200)도 동일한 작용을 하는데, 판 스프링(210)에 의해, 핀(61)이 더 확실하게 접속 핀(208)에 유지된다. 또한, 절삭부(206A, 206B, 206C)의 개구측이 넓어진 V자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전기 기판(48)을 슬라이드시켜서 핀(61)을 접속 핀(208A, 208B, 208C)에 삽입할 때의 작업성이 양호하다.
다음으로, 제 2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변형예의 소켓(300)에서는, 헤드부(302)의 상면(302A)이 레이저 광속(10)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접속 핀(308A, 308B, 308C)은 도중에 구부러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쪽 단부측(핀(61)의 삽입측)은 레이저 광속(10)과 동일한 방향으로 되어 있지만, 굴곡부(309A, 309B, 309C)로부터 다른 쪽 단부측(기판 삽입측)은 전기 기판(48)과 직교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다음으로, 제 3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변형예의 소켓(400)에서는, 접속 핀(408)은 원통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미리 레이저 광원(41)의 핀(61)을 구부린 상태에서 소켓(400)과 접속한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서도, 접속 핀(408)의 전기 기판(48)에 관통된 다른 쪽 단부측으로부터 땜납(H)을 유입시켜서, 레이저 광원(41)의 핀(61)과 접속 핀(408)을 납땜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광원(41)과 전기 기판(48)을 직접 납땜하지 않으므로, 레이저 광원(41)과 전기 기판(48)을 접속한 후에도, 레이저 광원(41)만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광원(41)의 핀(61)을 미리 구부리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20의 (a) 내지 도 20의 (c)는, 레이저 광원(41)의 발광 소자(64)의 핀(61a, 61b, 61c)의 벤딩 순서를 시계열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20의 (a) 내지 도 20의 (c)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벤딩 지그(70)를 단면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0의 (a) 내지 도 2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핀(61a, 61b, 61c)의 벤딩은 벤딩 지그(70)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이 벤딩 지그(70)는 핀(61a, 61b, 61c) 각각을 관통 가능하게 형성된 3개의 관통 구멍(71)과, 관통 구멍(71)의 각각에 설치되어 핀(61a, 61b, 61c)을 받아들여 관통 구멍(71)에의 삽입이 용이해지도록 구성된 면따기 형상의 수용부(72)를 갖는다. 또한, 3개의 관통 구멍(71)의 상대 위치 관계는, 발광 소자(64)의 3개의 핀의 상대 위치 관계에 대응하고 있다.
도 2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61a, 61b, 61c)이 벤딩 지그(70)의 수용부(72)에 받아들여지도록, 벤딩 지그(70)를 발광 소자(64)에 근접시켜 간다.
그리고, 도 2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61a, 61b, 61c)을 벤딩 지그(70)의 관통 구멍(71)에 삽입하여, 벤딩 지그(70)를 발광 소자(64)에 접촉시킨다.
그 후, 도 2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61a, 61b)이 핀(61c)의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벤딩 지그(70)가 발광 소자(64)에 접촉하고 있는 코너부(73)를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3개의 핀(61a, 61b, 61c) 각각에 벤딩 모멘트가 작용되어, 3개의 핀(61a, 61b, 61c)은 일방향으로 구부러진다. 부언하면, 3개의 핀(61a, 61b, 61c)의 각 벤딩점(B)은 핀의 길이 방향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핀(61a, 61b, 61c)의 각 벤딩점(B)은 1개소이다. 이와 같이 핀(61a, 61b, 61c)을 벤딩점(B)에서 동일 방향으로 구부리면, 핀(61a, 61b, 61c)의 각 벤딩점(B)보다도 선단측의 부분(D)은 서로 평행하며, 또한, 인접하는 부분(D)끼리 거의 등간격이다.
또한, 도 20의 (c)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핀(61c)이 수용부(72)를 따라 구부러져 있어, 벤딩 지그(70)로부터 핀(61a, 61b, 61c)을 뺄 수 있다. 또한, 핀(61a, 61b, 61c)을 동일 방향으로 구부리고 있기 때문에, 다른 핀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핀(61a, 61b, 61c)을 구부린 발광 소자(64)를 구비하는 레이저 광원(41)을 부착부(245a)(도 5 참조)에 부착하고, 전기 기판(48)을 화살표(X) 방향(전기 기판(48)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핀(61)을 접속 핀(408)에 삽입하여, 레이저 광원(41)과 전기 기판(48)을 접속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실시예와 변형예 1에서는, 소켓은 접속 핀의 일단(一端)측에 레이저 광원의 핀이 삽입되는 동시에, 접속 핀의 타단(他端)측이 전기 기판에 관통하여 납땜되어 있다. 그러나, 레이저 광원의 핀이 삽입되는 부분과, 전기 기판에 관통하여 납땜되는 부분은 별개의 부재로 되어 있는 구성의 소켓이라도 좋다. 또한, 이러한 구성이라도, 레이저 광원의 핀이 소켓에 삽입되면 핀이 구부러지므로, 레이저 광원과 전기 기판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례(實例)를 설명하는 목적에서 제공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그 외의 변형을 취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물론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와 실용성을 설명하기 위해 선택되어,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성과 각종 변형예에 의해 의도되는 특별한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시킨다.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청구 범위와 그 등가물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의도한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광 주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광 주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레이저 광속(光束)이 회전 다면경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반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레이저 광원을 부착한 부착부 부근을 확대 단면으로 부분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레이저 광속의 광로(光路)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7은 소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의 (a)는 소켓을 나타낸 상면도.
도 8의 (b)는 소켓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의 (c)는 소켓을 나타낸 정면도.
도 9의 (a)는 소켓의 접속 핀을 나타낸 상면도.
도 9의 (b)는 소켓의 접속 핀을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소켓이 접속된 전기 기판의 단면도.
도 11의 (a)는 전기 기판을 슬라이드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의 (b)는 소켓에 레이저 광원의 단자를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의 (c)는 전기 기판에 레이저 광원을 접속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소켓이 접속된 전기 기판의 사시도.
도 13은 소켓이 접속된 전기 기판의 평면도.
도 14는 제 1 변형예의 소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의 (a)는 제 1 변형예의 소켓을 나타낸 상면도.
도 15의 (b)는 제 1 변형예의 소켓을 나타낸 측면도.
도 15의 (c)는 제 1 변형예의 소켓을 나타낸 정면도.
도 16의 (a)는 제 1 변형예의 소켓의 접속 핀을 나타낸 상면도.
도 16의 (b)는 제 1 변형예의 소켓의 접속 핀을 나타낸 정면도.
도 16의 (c)는 제 1 변형예의 소켓의 접속 핀을 나타낸 측면도.
도 17은 제 1 변형예의 소켓의 접속 핀의 판(板) 스프링부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제 1 변형예의 다른 예의 소켓의 접속 핀의 교축부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제 2 변형예의 소켓이 접속된 전기 기판에 레이저 광원이 접속되어 있는 단면도.
도 20의 (a)는 레이저 광원의 핀을 구부리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
도 20의 (b)는 레이저 광원의 핀을 구부리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
도 20의 (c)는 레이저 광원의 핀을 구부리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소켓이 접속된 전기 기판의 구동 회로를 구비하는 면의 평면도.
도 22는 제 3 변형예의 소켓이 접속된 전기 기판에 레이저 광원이 접속되어 있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화상 형성 장치 11 : 배출 트레이
14 : 프린트 헤드 디바이스(Print Head Device)
16, 18, 20, 22 : 감광체 드럼 23 : 현상 장치
25 : 급지 카세트 27 : 정착 장치
32 : 반사경 36, 38, 40 : 중간 전사체

Claims (2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광 빔을 사출하는 광원과 전기 기판을 접속하는 접속 부재로서,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며, 제 1 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헤드부와,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광원의 광원 단자를 둘러싸도록 상기 광원 단자가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광원 단자가 삽입되면 그 광원 단자를 구부리는 광원 단자 삽입부와,
    상기 헤드부에서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부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빔에 대해서 경사 방향으로 상기 전기 기판을 슬라이드시켜서, 상기 광원의 상기 광원 단자를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에 삽입 가능하게 하며,
    상기 광 빔에 대해서 경사 방향으로 상기 전기 기판을 슬라이드시켜서 상기 광원 단자를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에 삽입하면, 그 광원 단자를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를 따라 구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부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는, 단면이 V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부재.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는, 단면이 반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부재.
  11. 광 빔을 사출하는 광원과 전기 기판을 접속하고,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며, 제 1 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헤드부와,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광원의 광원 단자를 둘러싸도록 상기 광원 단자가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광원 단자가 삽입되면 그 광원 단자를 구부리는 광원 단자 삽입부와, 상기 헤드부에서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삭부를 포함하는 접속 부재와,
    상기 광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를 복수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판.
  13. 제 11 항에 기재된 전기 기판과,
    상기 접속 부재의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에 광원 단자가 삽입되고, 상기 전기 기판과 접속된 상기 광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단자는 복수 구비되며,
    상기 접속 부재의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는, 상기 복수의 광원 단자를 서로 평행해지도록 동일 방향으로 구부리고, 또한 그 광원 단자의 구부러진 부분 중 인접하는 당해 부분끼리를 등간격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15. 삭제
  16. 제 13 항에 기재된 광원 장치와,
    상기 광원 장치를 수용하는 광학 상자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 상자는, 상기 광원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전기 기판이 부착되는 부착면과, 상기 광원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광원이 부착되는 기준면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면은, 상기 부착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주사 장치.
  17. 삭제
  18. 상 유지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제 13 항에 기재된 광원 장치와,
    상기 광원 장치를 수용하는 광학 상자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 상자는, 상기 광원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광원이 부착되는 기준면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면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사출되는 광 빔이 상기 광원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전기 기판의 법선 방향과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삭제
  2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의 한쪽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광원 단자가 삽입되면 그 광원 단자가 구부러지며,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의 다른 쪽 단부측이 상기 전기 기판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부재.
  2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의 한쪽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광원 단자가 삽입되면 그 광원 단자가 구부러지며,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의 다른 쪽 단부측이 상기 전기 기판을 관통하고,
    상기 광원과 상기 전기 기판이 상기 접속 부재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에,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의 다른 쪽 단부측이 상기 전기 기판과 땜납으로 접속되고,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의 다른 쪽 단부측으로부터 유입된 땜납에 의해,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와 상기 광원 단자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부재.
  2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의 한쪽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광원 단자가 삽입되면 그 광원 단자가 구부러지며,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의 다른 쪽 단부측이 상기 전기 기판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판.
  2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의 한쪽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광원 단자가 삽입되면 그 광원 단자가 구부러지며,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의 다른 쪽 단부측이 상기 전기 기판을 관통하고,
    상기 광원과 상기 전기 기판이 상기 접속 부재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에,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의 다른 쪽 단부측이 상기 전기 기판과 땜납으로 접속되고,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의 다른 쪽 단부측으로부터 유입된 땜납에 의해, 상기 광원 단자 삽입부와 상기 광원 단자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판.
KR1020070078869A 2006-10-10 2007-08-07 접속 부재, 전기 기판, 광 주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1854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76365 2006-10-10
JP2006276365A JP4862597B2 (ja) 2006-10-10 2006-10-10 接続部材、電気基板、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2596A KR20080032596A (ko) 2008-04-15
KR101185478B1 true KR101185478B1 (ko) 2012-10-02

Family

ID=39274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869A KR101185478B1 (ko) 2006-10-10 2007-08-07 접속 부재, 전기 기판, 광 주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080084467A1 (ko)
JP (1) JP4862597B2 (ko)
KR (1) KR101185478B1 (ko)
CN (1) CN1011633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4271B2 (ja) * 2006-03-29 2012-07-11 サミー株式会社 発光ダイオードの実装台
JP5233878B2 (ja) 2009-06-30 2013-07-1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光走査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934914B2 (ja) * 2011-05-13 2016-06-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レーザアレイ光源ユニット
US8689686B2 (en) 2011-07-31 2014-04-08 Charles Moncavage Screen printing device with infinite loop stencil
JP6667213B2 (ja) * 2014-07-16 2020-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走査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光学走査装置の組み立て方法
JP6127222B2 (ja) * 2014-11-26 2017-05-1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6248A (ja) 2000-06-20 2002-01-09 Canon Inc 光源装置
JP2003272430A (ja) 2002-01-11 2003-09-26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実装回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7992A (en) * 1963-10-21 1966-01-04 Tektronix Inc Mounting device for transistor socket and other components
US3543220A (en) * 1968-06-28 1970-11-24 Robert W Jones Integrated circuit pin-socket receptacle assemblies
US3601777A (en) * 1969-02-04 1971-08-24 Westinghouse Air Brake Co Lead separator for microminiature devices
AU7176974A (en) * 1973-08-06 1976-01-29 Hewlett Packard Co Transfer device
US4072376A (en) * 1974-12-06 1978-02-07 Amp Incorporated Socket assemblies
JPS52154091A (en) * 1976-06-17 1977-12-2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Socket
JPS57168269A (en) * 1981-04-09 1982-10-16 Ricoh Co Ltd Driving device for running optical member
JPS6113685A (ja) * 1984-06-29 1986-01-21 株式会社東芝 リ−ド端子用スペ−サ
JPS62140789A (ja) * 1985-12-17 1987-06-24 株式会社東芝 ロボツトの回転旋回機構
JPS6318858A (ja) * 1986-07-11 1988-01-26 Tamura Electric Works Ltd 公衆電話機のループ断検出方法
JPS6343461A (ja) * 1986-08-11 1988-02-24 Tamura Electric Works Ltd 相手応答検知方式
JPH0223691A (ja) * 1988-07-12 1990-01-25 Toshiba Corp 電子部品用支持具
JP2645371B2 (ja) * 1988-08-29 1997-08-25 エービービー株式会社 電気集麈装置における槌打装置
JPH0354398U (ko) * 1989-10-02 1991-05-27
JPH0423153A (ja) * 1990-05-18 1992-01-27 Fujitsu Ltd インタフェース信号異常検出装置
JP2946059B2 (ja) * 1991-02-28 1999-09-06 東海通信工業株式会社 電子部品の取付装置及び取付方法
US5169322A (en) * 1991-11-04 1992-12-08 Amp Incorporated Receptacle header of low height for connector to multiple pins
JPH0750433A (ja) * 1993-08-04 1995-02-21 Yamashita Seisakusho:Kk ランプ取付構造
JPH0846241A (ja) * 1994-08-01 1996-02-16 Oki Electric Ind Co Ltd 発光ダイオード用位置決めスペーサ構造
JPH1197745A (ja) * 1997-09-19 1999-04-09 Aisin Seiki Co Ltd 発光ダイオード用ホルダ
JP3709467B2 (ja) * 1999-01-08 2005-10-26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マルチビームレーザーダイオード回転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回転用通電体
JP2000269581A (ja) * 1999-03-15 2000-09-29 Fuji Xerox Co Ltd 発光素子取付構造
JP2001007404A (ja) * 1999-06-18 2001-01-12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US6565367B2 (en) * 2001-01-17 2003-05-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Zero insertion force compliant pin contact and assembly
JP2003174293A (ja) * 2001-12-04 2003-06-20 Pentax Corp ガイド部材及び発光素子の基板取付方法
US8824022B2 (en) * 2003-09-18 2014-09-02 Ricoh Company, Ltd. Optical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689284B2 (ja) * 2005-01-21 2011-05-25 株式会社リコー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6248A (ja) 2000-06-20 2002-01-09 Canon Inc 光源装置
JP2003272430A (ja) 2002-01-11 2003-09-26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実装回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84467A1 (en) 2008-04-10
JP4862597B2 (ja) 2012-01-25
CN101163373B (zh) 2012-06-06
JP2008097920A (ja) 2008-04-24
US20110206415A1 (en) 2011-08-25
KR20080032596A (ko) 2008-04-15
CN101163373A (zh) 200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478B1 (ko) 접속 부재, 전기 기판, 광 주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751862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3020251A (ja) 小型結像ヘッド、高速マルチヘッドレーザ結像アセンブリ、および高速マルチヘッドレーザ結像方法
US8922859B2 (en) Light source device, method of assembling light source device,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257484B2 (ja) 光源装置、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667213B2 (ja) 光学走査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光学走査装置の組み立て方法
JP4109878B2 (ja) 走査光学装置
JP2002026445A (ja) 光源装置
US20030103535A1 (en) Guide member and method for mounting light emitter to circuit board
JP2013131509A (ja) 光学ユニットの製造方法、光学ユニット、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84221B2 (ja) 光走査装置、光学箱及び画像形成装置
US9332655B2 (en) Electronic circuit, light sourc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circuit
JP4157647B2 (ja) マルチビーム走査装置及びその光源装置
JP4117984B2 (ja) 光源装置
JP6529274B2 (ja) 光学走査装置および光学走査装置システム
JP2002207183A (ja) マルチビーム光源走査装置
JP2014038219A (ja)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821618B2 (ja) マルチビーム走査光源装置
JP2003140075A5 (ko)
KR20050047451A (ko) 멀티 빔 발광소자 및 이를 채용한 광주사 장치
JP2001296492A (ja) 走査光学装置
JP2005305950A (ja) マルチビームレーザ光源装置及びマルチビーム走査光学装置
JP3579530B2 (ja) 走査光学装置
JP2003266777A (ja) マルチビーム光源装置及びこのマルチビーム光源装置を備えた光走査装置
JP2002258184A (ja) マルチビーム光源走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