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5487B1 - 이동통신 단말기,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5487B1
KR101125487B1 KR1020100095186A KR20100095186A KR101125487B1 KR 101125487 B1 KR101125487 B1 KR 101125487B1 KR 1020100095186 A KR1020100095186 A KR 1020100095186A KR 20100095186 A KR20100095186 A KR 20100095186A KR 101125487 B1 KR101125487 B1 KR 101125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mergency mode
mobile communication
camera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래
유정화
유지현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1020100095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487B1/ko
Priority to EP19195313.2A priority patent/EP3595341B1/en
Priority to CN201180047778.2A priority patent/CN103202041B/zh
Priority to EP21161526.5A priority patent/EP3852408A1/en
Priority to US13/876,906 priority patent/US9462445B2/en
Priority to CN201710144890.7A priority patent/CN107124582B/zh
Priority to EP11829607.8A priority patent/EP2611225B1/en
Priority to PCT/KR2011/007214 priority patent/WO2012044101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487B1/ko
Priority to US15/267,901 priority patent/US971298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 및 긴급모드(Emergency Mode) 시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주위를 촬영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Mobile Terminal, Safety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a having program source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단말기 및 통신망의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다.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 인터넷 서비스 등이 제공되고 있으며, 아울러 이동성이 우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성을 이용하여 친구 찾기 서비스 및 길안내 서비스 등의 위치 기반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본 발명은 납치, 사고 등의 긴급 상황에서 사용자의 위치 및 주변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 및 긴급모드(Emergency Mode) 시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주위를 촬영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부와 이동통신(Mobile Communication)을 수행하는 기능부 및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와 상기 기능부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으로 서로 통신하고, 상기 카메라는 긴급모드(Emergency Mode) 시 사용자의 명령입력에 무관하게 주위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안심 서비스 시스템은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 1 단말기, 제 2 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말기가 긴급모드(Emergency Mode)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 1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위를 촬영하고, 촬영한 자료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안심 서비스 방법은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1 단말기가 긴급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위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자료와 상기 제 1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서버를 통해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은 긴급모드(Emergency Mode)에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위를 촬영하고, 촬영한 자료 및 그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고 용이하게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안심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내지 도 3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11은 긴급모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 내지 도 16은 화각 변경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 내지 도 18은 촬영 자료의 저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또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 내지 도 24는 전원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5 내지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안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7 내지 도 41은 화각을 변경하는 또 다른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42는 주기적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이를 이용한 안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안심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안심 서비스 시스템은,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103)와,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100~103)를 관리하는 서버(110)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103)는 휴대전화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지만, 이동통신이 가능하고 영상 또는 동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선(Navigation) 장치도 이동통신 단말기(100~103)에 해당할 수 있다.
서버(110)는 통신 사업자 측의 서버일 수 있다. 서버(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103)들 사이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서버(110)는 임의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긴급모드에서 촬영한 영상을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 혹은 다른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안심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103)는 카메라(200), 제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103)가 긴급모드(Emergency Mode)로 설정되는 경우 카메라(200)를 제어하여 주위를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2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103)가 긴급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무관하게 카메라(200)를 제어하여 주위를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긴급모드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기(100~103)는 화각 변경부(220), 전송부(230), 저장부(240) 및 전원(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각 변경부(22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200)의 화각(Angle of view)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화각 변경부(220)는 카메라(200)에 장착되는 모터(Motor)일 수 있다. 아울러, 화각 변경부(220)는 카메라(200)와 결합하여 모듈(Module)화 될 수 있다.
전송부(230)는 카메라(200)가 촬영한 자료, 즉 영상 또는 동영상을 외부, 예컨대 서버 또는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카메라(200)가 촬영한 자료를 저장할 수 있다.
전원(25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103)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다음,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휴대전화에 적용되는 경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103)는 카메라(200)와 기능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부(300)는 제어부(210), 화각 변경부(220), 전송부(230), 저장부(240), 전원(250), 수신부(260), 음성출력부(270) 및 표시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260)를 외부, 예컨대 서버 또는 다른 단말기로부터 음성 정보, 문자 정보, 데이터 정보, 영상 정보, 동영상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270)는 수신부(260)가 수신한 음성 정보를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280)는 수신부(260)가 수신한 문자 정보, 데이터 정보, 영상 정보 및 동영상 정보를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카메라(200)가 촬영한 영상 또는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으며, 아울러 수신부(260)가 수신한 다양한 정보를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긴급모드 시 카메라(200)를 제어하여 주위를 촬영하도록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음성 통화 및 정보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10)는 카메라(200), 수신부(260), 전송부(230), 저장부(240), 음성 출력부(270), 화각변경부(220), 전원(250) 및 표시부(28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부(3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103)에서 카메라(200)를 제외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이동통신 단말기(200~103)는 납치, 사고 등의 긴급 상황에서 긴급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긴급모드에서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200)가 주위를 촬영할 수 있고, 아울러 촬영한 영상 또는 동영상을 전송부(230)를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저장부(240)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긴급모드에서는 카메라(200)가 일정 주기 마다 주위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긴급모드 설정 시 미리 설정된 소정 횟수에 따라 카메라가 주위를 촬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카메라(200)의 촬영효과를 높이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103)에서는 카메라를 기능부(300)로부터 독립된 모듈(Module)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능부(300)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를 구성하고, 카메라(200)는 기능부(300)로부터 분리시켜 하나의 독립된 카메라 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의 시야가 확보되는 위치에 장착할 수 있다.
긴급모드가 아닌 상황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103)가 일반모드(Normal Mode)로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일반모드에서는 긴급모드와는 다르게 카메라(200)를 이용한 강제적인 영상 또는 동영상의 촬영, 전송 및 저장은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한 긴급모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4 내지 도 11은 긴급모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긴급모드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영역(안전영역(Safety Zone, SZ))을 벗어나는 경우에 설정될 수 있다.
도 4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는 임의의 영역을 안전영역(SZ)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에서 어둡게 표시된 영역이 안전영역(SZ)이다.
이러한 경우, 도 4의 경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안전영역(SZ)을 벗어난 지점(A1)에 위치하게 되면, 안전영역(SZ)을 벗어나게 되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긴급모드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부모가 자녀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정영역(SZ)을 도 4와 같이 집(P1), 학교(P2), 학원1(P3), 도서관(P4) 및 학원2(P5)가 포함되는 영역으로 설정하고, 설정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자녀가 안전영역(SZ)을 벗어나는 경우에 서버는 자녀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안정영역(SZ)을 벗어난 것을 인식하고, 자녀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긴급모드 설정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녀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긴급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안정영역(SZ)을 벗어나는 경우에 그 이동통신 단말기를 관리하는 서버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긴급모드 설정 명령을 전송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를 긴급모드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안전영역(SZ) 이탈 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를 긴급모드로 설정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자신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하여 자신의 위치가 안정영역(SZ)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여 긴급모드를 발동시킬 수 있다.
안정영역(SZ)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주소를 이용하는 방법, 지도상에서 임의의 영역을 선택하여 지정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서울시 관악구 남현동 100번지부터 200번지까지를 안정영역(SZ)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사용자가 지도상에서 마우스를 드래그(Drag)하는 방법으로 임의의 영역을 안전영역(SZ)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사용자가 지도상에서 임의의 블록(Block)을 선택하여 안전영역(SZ)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안전영역(SZ)을 설정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긴급모드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영역(위험영역(Dangerous Zone, DZ))에 위치하는 경우에 설정될 수 있다.
도 5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는 임의의 영역을 위험영역(DZ)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에서 어둡게 표시된 영역이 위험영역(DZ)이다.
이러한 경우, 도 5의 경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험영역(DZ) 내의 지점(A2)에 위치하게 되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긴급모드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부모가 자녀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험영역(DZ)을 유흥업소가 밀집되는 영역으로 설정하고, 설정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자녀가 위험영역(DZ)을 진입하는 경우에 서버는 자녀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위험영역(DZ)에 진입한 것을 인식하고, 자녀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긴급모드 설정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녀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긴급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녀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긴급모드로 설정되면, 자녀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가 주위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 또는 동영상을 서버를 통해 부모의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부모는 긴급모드로 설정된 자녀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주위의 상황, 주위 배경, 주위 건물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부모는 경찰에 신고하는 등의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자녀를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위험영역(DZ) 진입 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를 긴급모드로 설정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를 근거로 하여 자신의 위치가 위험영역(DZ)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여 긴급모드를 발동시킬 수 있다.
위험영역(DZ)의 설정 방법은 앞선 안정영역(SZ)의 설정 방법에 대한 설명을 통해 충분히 유추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는, 긴급모드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이동경로를 벗어나는 경우에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6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는 임의의 영역 내에서 집(P1)에서부터 학교(P2)까지 제 1 루트(R1), 학교(P2)부터 학원1(P3)까지 제 2 루트(R2), 학원1(P30)부터 도서관(P4)까지 제 3 루트(R3) 및 도서관(P4)부터 학원2(P5)까지 제 4 루트(R4)를 이동 경로(Route)로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각각의 경유지에 대한 경유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6에서 각각의 요소에 표시된 숫자(①②③④)는 사용자가 경유하는 경유지의 순서이다.
이러한 경우, 도 7의 경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제 1, 2, 3, 4 (R1, R2, R3, R4)가 아닌 제 5 루트(R5)를 경유하여 집(P1)으로부터 학원2(P5)까지 이동한다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긴급모드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부모가 자녀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경로(R1, R2, R3, R4)를 미리 설정하고, 설정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자녀가 미리 설정된 이동경로(R1, R2, R3, R4)를 벗어나서 다른 경로로 이동하는 경우에 서버는 자녀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이동경로를 벗어난 것을 인식하고, 자녀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긴급모드 설정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녀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긴급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이동경로 이탈 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를 긴급모드로 설정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를 근거로 하여 자신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이동경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여 긴급모드를 발동시킬 수 있다.
또는, 긴급모드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이동경로 상의 이동순서를 벗어났을 경우에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6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는 임의의 영역 내에서 집(P1)으로부터 학교(P2)까지 이동(①)한 이후에, 학교(P2)로부터 학원1(P3)까지 이동(②)하고, 이후 학원1(P3)부터 도서관(P4)까지 이동(③)하고, 이후 도서관(P4)부터 학원2(P5)까지 이동(④)하는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8의 경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이동경로 상의 순서가 아닌 다른 순서, 예컨대 집(P1)으로부터 도서관(P4)까지 이동(①)한 이후에, 도서관(P4)로부터 학원1(P3)까지 이동(②)하고, 이후 학원1(P3)부터 학교(P2)까지 이동(③)하고, 이후 학교(P2)부터 학원2(P5)까지 이동(④)하는 순서로 이동한다면, 해당 이동신 단말기가 긴급모드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부모가 자녀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경로 상의 이동순서(①②③④)를 미리 설정하고, 설정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자녀가 미리 설정된 이동경로 상의 이동순서가 아닌 다른 순서로 이동하는 경우에 서버는 자녀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이동순서를 벗어난 것을 인식하고, 자녀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긴급모드 설정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녀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긴급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이동경로 상의 이동순서의 이탈 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를 긴급모드로 설정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를 근거로 하여 자신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이동경로 상의 이동순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여 긴급모드를 발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선 도 6과 같은 이동순서를 따르면 학교(P2)를 경유하는 시점이 도서관(P4)을 경유하는 시점보다 더 이전이다. 반면에, 도 8과 같은 이동순서를 따르면 도서관(P4)을 경유하는 시점이 학교(P2)를 경유하는 시점보다 더 이전이 된다. 이처럼 각각의 경유지의 경유시점을 비교하면 각각의 경유지의 경유순서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근거로 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를 긴급모드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직접 긴급모드 설정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불량배들에게 포위당한 상태에서 신변의 위협을 느끼는 등 긴급한 상황에서 자신이 직접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긴급모드 설정 버튼을 누르는 등의 방법으로 긴급모드 설정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가 촬영한 주위의 불량배들의 영상 또는 동영상이 서버로 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범죄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거나 혹은 공격자들을 검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타 단말기로부터 긴급모드 설정 명령을 수신하여 긴급모드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부모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 인터넷, 유선전화 등을 이용하여 자녀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긴급모드 설정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자녀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또는 동영상은 서버를 통해 부모에게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모는 자녀가 현재 처한 상황 혹은 정밀한 위치 등의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에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를 긴급모드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도보로 이동 중 차에 치이는 교통사고를 당하거나 혹은 타인에게 공격을 당하는 등의 이유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대적으로 큰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에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는 긴급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9의 경우와 같이, 충격센서(99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충격센서(990)는 외부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0~103)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충격센서(990)가 감지한 충격량을 이용하여 긴급모드의 설정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210)는 충격센서(990)가 감지한 충격량이 미리 설정한 임계값(Critical Value, CV)보다 큰 경우에 긴급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경우와 같이, D1 기간 동안 외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임계값(Critical Value)보다 큰 충격이 가해지면,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긴급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로 충격이 가해지는 시점부터 카메라로 주위 상황을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사고의 사후처리 등이 용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10)는 충격센서(990)가 감지한 충격량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 긴급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의 경우와 같이, 충격이 제 1 패턴(B1)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가해지는 경우에는 현재 충격량과 이전 충격량의 차이(△im1)가 상대적으로 작다. 반면에, 충격이 제 2 패턴(B2)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가해지는 경우에는 현재 충격량과 이전 충격량의 차이(△im2)가 제 1 패널(B1)에 비해 더 크다. 이러한 경우, 제 2 패턴(B2)에 따른 충격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가해지는 경우에 긴급모들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패턴(B1)에 따른 충격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가해지는 경우에는 긴급모드가 아닌 일반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제 1 패턴(B1)에 따른 충격은 사용자가 달리기, 승마 등 규칙적인 동작을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충격 패턴일 가능성이 크다.
반면에, 제 2 패턴(B2)에 따른 충격은 이전 충격과 비교하여 과도하게 큰 충격이 순간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가해지는 경우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제 1 패턴(B1)에 비해 제 2 패턴(B2)에 따른 충격이 사고 등의 긴급 상황에 따른 충격일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기 때문에 제 2 패턴(B2)에 따른 충격이 가해질 때 이동통신 단말기를 긴급모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미리 충격량의 변화에 대한 임계값을 설정하고, 현재 충격량과 이전 충량의 차이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보다 더 큰 경우에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를 긴급모드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긴급모드 설정 조건들 중 적어도 2가지 이상 함께 적용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에서 설명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긴급모드 설정 조건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는 알림부(991)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알림부(991)는 긴급모드 시 긴급모드의 설정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소리, 빛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긴급모드가 설정되었다는 것을 인지하도록 알릴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표시부에 긴급모드의 설정여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긴급모드의 설정을 알리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알림부(991)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 내지 도 16은 화각 변경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살펴보면, 먼저 긴급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1200)할 수 있다.
판단결과, 긴급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일반모드로 설정(1240)할 수 있다.
반면에, 판단결과 긴급모드인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위를 촬영(1210)할 수 있다.
이후, 카메라의 화각을 변경(1220)한 이후에 다시 촬영(1230)할 수 있다.
이처럼, 카메라의 화각을 변경시키면서 주위를 촬영하게 되면 주위의 상황을 보다 명학하게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사고의 처리, 보다 정밀한 위치 정보 획득 등이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의 (a)와 같이, 화각을 변경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보행 중 차에 치이는 사고를 당해 기절했을 경우, 타인의 도움이 없다면 사용자의 긴급모드로 작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는 한정된 영역의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사고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그 지역의 랜드 마크(Land Mark), 예컨대 빌딩(BLD)을 촬영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정밀한 사고 위치를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반면에, 도 13의 (b)와 같이, 긴급모드 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의 화각을 변경시키게 되면 사용자가 기절한 상황에서도 그 지역의 랜드 마크를 촬영할 가능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정밀한 사고 위치의 획득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4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는 2가지의 화각으로 주위를 촬영할 수 있다. 즉, 카메라의 화각은 제 1 화각(θ1) 및 제 2 화각(θ2)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카메라가 제 1 화각(θ1)으로 먼저 주위를 촬영한 이후, 화각을 제 1 화각(θ1)에서 제 2 화각(θ2)으로 변경한 이후에 다시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카메라가 제 1 화각(θ1)으로 촬영한 영상 또는 동영상과 제 2 확각(θ2)으로 촬영한 영상 또는 동영상이 연속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제 1 화각(θ1)과 제 2 화각(θ2)은 서로 중첩(Overlap)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4에서 제 1 화각(θ1)과 제 2 화각(θ2)이 중첩하는 각도를 θ3으로 표시하였다.
아울러, 보다 넓은 영역의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제 1 화각(θ1)과 제 2 화각(θ2)이 중첩되는 각도(θ3)는 제 1 화각(θ1) 중 제 2 화각(θ2)과 중첩되는 않는 각도(θ4) 및 제 2 화각(θ2) 중 제 1 화각(θ1)과 중첩되지 않는 각도(θ5)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물론, 카메라의 이동범위의 한계로 인해 화각 변화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제 1 화각(θ1)과 제 2 화각(θ2)이 중첩되는 각도(θ3)가 제 1 화각(θ1) 중 제 2 화각(θ2)과 중첩되는 않는 각도(θ4) 및 제 2 화각(θ2) 중 제 1 화각(θ1)과 중첩되지 않는 각도(θ5)보다 넓은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5를 살펴보면, 카메라의 화각을 적어도 3가지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화각은 제 1 화각(θ10), 제 2 화각(θ11) 및 제 3 화각(θ12)을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는 화각의 변경을 순차적으로 하기 위해 제 1 화각(θ10), 제 2 화각(θ11), 제 1 화각(θ10), 제 3 화각(θ12), 제 1 화각(θ10)의 순서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또는 동영상의 연속성을 위해 제 1 화각(θ10)과 제 2 화각(θ11)은 서로 중첩(Overlap)하고, 제 1 화각(θ10)과 제 3 화각(θ12)도 서로 중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화각(θ10), 제 2 화각(θ11) 및 제 3 화각(θ12)이 서로 동일한 각도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화각의 제어가 용이할 수 있다.
반면에, 제 1 화각(θ10), 제 2 화각(θ11), 제 3 화각(θ12)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와 다른 경우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중앙에 해당하는 제 1 화각(θ10)은 제 2 화각(θ11) 및 제 3 화각(θ12) 중 적어도 하나보다 넓은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화각(θ10)과 제 2 화각(θ11)이 중첩되는 각도(θ13) 및 제 1 화각(θ10)과 제 3 화각(θ12)이 중첩되는 각도(θ14)는 제 1 화각(θ10) 중 제 2 화각(θ11) 및 제 3 화각(θ12)과 중첩되지 않는 각도(θ15)보다 좁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다 넓은 영역의 영상 또는 동영상의 촬영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 1 화각(θ10)과 제 2 화각(θ11)이 중첩되는 각도(θ13) 및 제 1 화각(θ10)과 제 3 화각(θ12)이 중첩되는 각도(θ14)는 제 2 화각(θ11) 중 제 1 화각(θ10)과 중첩되지 않는 각도(θ16)보다 좁을 수 있다. 또한, 제 1 화각(θ10)과 제 2 화각(θ11)이 중첩되는 각도(θ13) 및 제 1 화각(θ10)과 제 3 화각(θ12)이 중첩되는 각도(θ14)는 제 3 화각(θ12) 중 제 1 화각(θ10)과 중첩되지 않는 각도(θ17)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화각이 중첩되는 각도(θ14, θ13)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는 카메라의 화각은 작지만, 카메라의 화각 변경이 용이한 경우에 적합할 수 있다.
또는, 도 16의 경우와 같이, 제 1 화각(θ10)과 제 2 화각(θ11)이 중첩되는 각도(θ13) 및 제 1 화각(θ10)과 제 3 화각(θ12)이 중첩되는 각도(θ14)는 제 1 화각(θ10) 중 제 2 화각(θ11) 및 제 3 화각(θ12)과 중첩되지 않는 각도(θ15)보다 넓은 경우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넓은 영역의 영상 또는 동영상의 촬영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 1 화각(θ10)과 제 2 화각(θ11)이 중첩되는 각도(θ13) 및 제 1 화각(θ10)과 제 3 화각(θ12)이 중첩되는 각도(θ14)는 제 2 화각(θ11) 중 제 1 화각(θ10)과 중첩되지 않는 각도(θ16)보다 넓을 수 있다. 또한, 제 1 화각(θ10)과 제 2 화각(θ11)이 중첩되는 각도(θ13) 및 제 1 화각(θ10)과 제 3 화각(θ12)이 중첩되는 각도(θ14)는 제 3 화각(θ12) 중 제 1 화각(θ10)과 중첩되지 않는 각도(θ17)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화각이 중첩되는 각도(θ14, θ13)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는 카메라의 화각은 크지만, 카메라의 화각 반경이 작아서 큰 화각 변경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 적합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8은 촬영 자료의 저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살펴보면, 긴급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1600)한 이후, 긴급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카메라가 주위를 촬영(1610)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의 화각이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촬영 이후에 촬영한 자료를 저장부에 저장(1620)할 수 있다. 아울러, 촬영한 자료를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무관하게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즉 강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긴급모드 시에 카메라가 촬영한 자료를 보호하기 위해 긴급모드 시에 촬영한 자료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야기도주(뺑소니) 등의 사고 현장의 자료를 타인이 조작하거나 혹은 삭제하기 어렵게 하기 위해 긴급모드 시에 촬영한 자료는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부에는 암호화한 촬영 자료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8의 경우와 같이, 저장부(240)는 제 1 저장부(241)와 제 2 저장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긴급모드 시에 촬영한 자료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부(243)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저장부(241)는 긴급모드 시 카메라가 촬영한 자료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제 1 저장부(241)는 암호화된 촬영 자료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제 2 저장부(242)는 긴급모드가 아닌 일반모드 시 카메라가 촬영한 자료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또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는, 이동통신 단말기 중 휴대전화의 구성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도 19 내지 도 20의 내용이 휴대전화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비게이션 등의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9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능부(300)와 카메라(200)를 포함하고, 카메라(200)와 기능부(300)는 서로 별개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기능부(300)에 대해서는 앞선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아울러, 카메라(200)와 기능부(300)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능부(300)의 제어부와 카메라가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200)를 제어하는 제어부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카메라(200)를 제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카메라(200)와 기능부(300)의 각각에는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부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메라(200)와 기능부(300)는 무선통신 방식 중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카메라(200)와 기능부(300)간의 무선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방식이 바람직하나, 적외선 통신 등의 다른 무선통신 방식도 가능할 수 있다.
이처럼, 카메라(200)와 기능부(300)가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하면 카메라(200)의 설치 위치의 선정이 보다 자유로워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0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경(1900)에 카메라(200)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시각방향에 따라 카메라(200)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긴급모드 시 보다 유용한 영상 또는 동영상의 획득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카메라(200)를 목걸이 형태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카메라(200)를 착용하는 것이 매우 용이해질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200)와 기능부(300)가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하게 되면, 카메라(200)를 모자, 가방 등의 물건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유용한 영상 또는 동영상 자료를 획득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4는 전원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을 살펴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250)은 제 1 전원(251)과 제 2 전원(252)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전원(251)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일반모드 및 긴급모드 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 1 전원(251)이 소모되어 Off된 경우, 제 2 전원(252)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긴급모드 시에 On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전원(250)의 구동에 대해 살펴보면 도 22의 경우와 같다.
도 21을 살펴보면, 먼저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가 일반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2100)한다.
판단결과 현재 상태가 일반모드인 경우에는 제 1 전원(251)을 주전원으로 사용(2110)할 수 있다. 만약, 판단결과 현재 상태가 일반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현재 상태가 긴급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2130)할 수 있다.
이후, 제 1 전원(251)이 소모되어 Off되었는지를 판단(2120)한 결과, 제 1 전원(251)이 소모된 경우에는 저전력 대기모드로 설정(2180)될 수 있다.
여기서, 저전력 대기모드는 일반모드에서의 음성통화, 데이터 송수신은 차단하여 전력 소모를 실질적으로 최소화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저전력 대기모드에서는 긴급모드가 발동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최소한의 전력은 사용할 수 있다.
저전력 대기모드에서 긴급모드가 발동되는지를 판단(2130)하여, 발동되는 경우 현재 제 1 전원(251)이 사용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2140)하고, 제 1 전원(251)이 사용가능하지 않은 경우에 제 2 전원(252)을 On(2150)시킬 수 있다.
이후, 저전력 대기모드에서 제 2 전원(252)을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이에 따라 카메라가 촬영(2170)이 가능할 수 있다.
만약, 제 2140단계에서 제 1 전원(251)이 사용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긴급모드에서 제 1 전원(251)을 사용(2160)하여 촬영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일반모드에서는 제 2 전원(252)은 사용하지 않으며 제 1 전원(251)을 사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전원(251)의 On상태에서는 긴급모드가 발동되더라도 제 1 전원(215)을 사용하여 촬영을 진행하고, 제 1 전원(251)이 소모되어 버리는 경우에는 저전력 대기모드 상태에서 긴급모드가 발동될 때까지 전력소모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대기할 수 있다.
아울러, 저전력 대기모드 상태에서 긴급모드가 발동되는 경우에는 일반모드에서 사용하지 않았던 제 2 전원(252)을 On시켜 긴급모드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주전원이 소모된 이후에도 일정기간동안 긴급모드를 대비한 보조전원을 유지한 상태에서 긴급모드가 발동되면 보조전력을 사용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 전원(252)은 제 1 전원(251)이 소모되어 버리는 경우를 대비한 비상전원이기 때문에, 제 2 전원(252)의 용량은 제 1 전원(251)의 용량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음, 도 23을 살펴보면, 긴급모드 시를 대비한 전원이 따로 구비되지 않고, 하나의 전원 내에서 긴급모드 시를 대비한 전력량을 비축해 두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3과 같이, 하나의 전원(250)은 일반모드 및 긴급모드에서 사용하는 주전력과, 주전력의 소모 시에 긴급모드에서 사용할 보조전력으로 분할될 수 있다. 아울러, 주전력은 전체 전원(250) 전력의 대략 90%정도로 설정되고, 보조전력은 전체 전원(250) 전력의 대략 10%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전원(250)의 구동에 대해 살펴보면 도 24의 경우와 같다. 이하에서는 도 22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24를 살펴보면, 앞선 도 22의 경우와 비교하여 전원(250)을 주전력과 보조전력으로 분할(2300)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원(250)을 주전력과 보조전력으로 분할한 이후에는 앞선 도 22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앞선 도 22에서 제 1 전원(251)은 주전력, 제 2 전원(252)은 보조전력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안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예컨대, 이하에서 설명한 단말기는 앞선 도 1 내지 도 24에서 설명은 단말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단말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5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안심 서비스 시스템은 서버(110),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10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서버(110)가 2대의 단말기(100, 101)를 관리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지만, 하나의 서버(110)가 관리하는 단말기(100, 101)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단말기(100)를 피보호자 단말기(100)라 하고, 제 2 단말기(101)를 보호자 단말기(101)라 하겠다. 물론, 제 1 단말기(100)가 보호자 단말기가 되고, 제 2 단말기(101)가 피보호자 단말기가 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제 1 단말기(100)가 피보호자 단말기(100)이고, 제 2 단말기(101)를 보호자 단말기(101)라는 조건하에 제 1 단말기(100)는 긴급모드 시 주위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단말기(101)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나 카메라를 포함하지 않아도 관계없다.
아울러, 제 2 단말기, 즉 보호자 단말기(101)는 제 1 단말기, 즉 피보호자 단말기(100)로 긴급모드 설정 명령을 전송하여, 피보호자 단말기(100)를 강제적으로 긴급모드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는 피보호자 단말기(100)가 긴급모드 설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아서 긴급모드로 설정되지는 않았지만, 피보호자 단말기(100)를 긴급모드로 설정할 필요가 있을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보호자 단말기(100)가 긴급모드로 설정되지는 않았지만, 피보호자 단말기(100)를 소유한 자녀와 연락이 되지 않을 때, 보호자 단말기(101)를 소유한 부모가 자녀의 피보호자 단말기(100)를 강제적으로 긴급모드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피보호자 단말기(100)가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방법으로 긴급모드로 설정되는 경우에 피보호자 단말기(10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위의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아울러, 피보호자 단말기(100)가 촬영한 자료는 서버(110)를 통해 보호자 단말기(101)로 전달되거나 혹은 보호자 단말기(101)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피보호자 단말기(100)와 보호자 단말기(101)는 서버(110)를 매개체로 하여 통신을 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서버(110)는 피보호자 단말기(100) 및 보호자 단말기(101)에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1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의 위치 정보를 피보호자 단말기(100) 및 보호자 단말기(101)에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서버(110)는 보호자 단말기(101)로 피보호자 단말기(100)가 긴급모드로 설정되었다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보호자 단말기(101)의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피보호자 단말기(100)가 긴급모드로 설정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아울러 피보호자 단말기(100)가 촬영한 자료를 확인함으로써 피보호자 단말기(100) 사용자의 주변 상황 및 상세한 위치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 단말기(101)의 사용자는 서버(110)가 제공하는 피보호자 단말기(100)의 GPS 기반의 위치 정보와 피보호자 단말기(100)가 촬영한 영상 또는 동영상 자료를 비교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피보호자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26과 같이, 서버(110)는 긴급모드로 설정된 피보호자 단말기(100)가 촬영한 자료 및 피보호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제 1 서버(2500), 예컨대 경찰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경찰서버(2500)에서는 순찰중인 순찰차(2510) 등에 피보호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 및 촬영 자료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근거로 하여 순찰차(2510)는 피보호자 단말기(100)의 상세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빠르고 안전하게 피보호자 단말기(100)의 사용자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서버(110)가 경찰 서버(2500)에 긴급모드로 설정된 피보호자 단말기(100)가 촬영한 자료 및 피보호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서버(110)는 긴급모드로 설정된 피보호자 단말기(101)가 촬영한 자료 및 피보호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경찰과 다른 보안업체 서버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27과 같이, 서버(110)는 긴급모드로 설정된 피보호자 단말기(101)가 촬영한 자료 및 피보호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제 2 서버(26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서버(2600)는 케이블 TV 등의 방송 사업자 서버(2600)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버(2600)에서는 보호자 단말기(101)의 사용자와 연관된 TV, 모니터 등의 표시수단(2610)에 긴급모드로 설정된 피보호자 단말기(100)가 촬영한 자료 또는 피보호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면, 보호자 단말기(101)의 사용자가 TV를 시청하는 과정에서 피보호자 단말기(100)가 긴급모드로 설정되었다는 정보, 설정된 피보호자 단말기(100)가 촬영한 자료 및 피보호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도 27에서 제 2 서버(2600)가 CCTV 운용 서버인 경우에는 표시수단(2610)은 CCTV 화면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긴급모드로 설정된 피보호자 단말기(100)가 촬영한 자료 및 피보호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다양한 다른 서버에 제공함으로써 피보호자 단말기(100) 사용자의 신변확보를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피보호자 단말기(100) 사용자를 위험으로부터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안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긴급모드로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촬영한 영상 또는 동영상을 이용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긴급모드로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촬영한 영상 또는 동영상을 이용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서버(110)가 소정의 영상지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영상지도는 사용자들이 찍은 사진 또는 동영상, 인공위성 사진, 입체 도면 등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울시 강남역'의 영상지도는 '강남역'주변의 건물, 간판, 도로 표지판, 버스 정류장 등의 '강남역'을 연상시키는 개체들을 촬영한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8과 같이, 임의의 영역 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유한 사용자가 위치한 제 10 지점(P10)의 부근에 그 지역의 랜드 마크로서 '로얄빌딩'이 위치하고, 제 10 지점(P10)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제 20 지점(P20)의 부근에는 그 지역의 랜드 마크로서 '로얄탑'이 위치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사용자의 위치를 획득하는 방법으로는 통신 사업자의 기지국들을 이용하여 대략적인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위치 확인 방법은 상대적으로 큰 오차를 유발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28의 경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제 사용자의 위치는 제 10 위치(P10) 부근인데 반해, 서버(110)가 기지국들을 이용하는 방법 등을 통해 확인한 사용자의 위치는 제 20 위치(P20)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긴급모드로 설정되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 주위의 사진을 찍어서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서버(110)로 전송한 사진을 대략 도 29와 유사할 것이다. 즉, 사용자의 위치가 '로얄빌딩' 부근의 제 10 위치(P10)이기 때문에 긴급모드로 설정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촬영한 사진은 그 지역 랜드 마크인 '로얄빌딩'을 담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반면에, 서버(110)가 확인한 사용자의 위치, 즉 제 20 위치(P20)의 영상지도에는 제 20 위치(P20)의 랜드 마크인 '로얄탑'이 담겨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서버(110)는 영상지도 상에서 사용자의 실체 위치인 제 10 위치(P10)의 랜드 마크인 '로얄빌딩'을 검색하고, '로얄빌딩'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보다 정밀한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31과 같이, 긴급모드로 설정된 임의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촬영 자료를 서버(110)로 전송하면, 서버(110)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영상지도와 긴급모드로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촬영 자료를 비교(3000)한다.
이후, 미리 저장되어 있는 영상지도와 긴급모드로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촬영 자료가 매칭되는지의 여부를 판단(3010)한다.
판단결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영상지도와 긴급모드로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촬영 자료가 매칭되는 경우에는 서버(110)가 확인한 현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출력(3060)할 수 있다. 출력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타 단말기 혹은 타 서버에 제공될 수 있다.
반면에, 판단결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영상지도와 긴급모드로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촬영 자료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에는 서버(110)가 현재 확인한 사용자의 위치, 즉 제 20 위치(P20)로부터 반경 R1범위 내의 영상지도를 긴급모드로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촬영 자료와 다시 매칭(3030)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 제 20 위치(P20)로부터 반경 R1 내의 영상지도와 긴급모드로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촬영 자료가 매칭되는 경우에는 서버(110)는 매칭된 개체가 있는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라고 판단하고, 판단한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 정보로 출력(3060)할 수 있다.
반면에, 판단결과 제 20 위치(P20)로부터 반경 R1 범위 내의 영상지도와 긴급모드로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촬영 자료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에는 서버(110)가 현재 확인한 사용자의 위치, 즉 제 20 위치(P20)로부터 R1보다 큰 반경 R2범위 내의 영상지도를 긴급모드로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촬영 자료와 다시 매칭(3050)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 제 20 위치(P20)로부터 반경 R2 내의 영상지도와 긴급모드로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촬영 자료가 매칭되는 경우에는 서버(110)는 매칭된 개체가 있는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라고 판단하고, 판단한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 정보로 출력(306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9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촬영 자료에 나타나 있는 '로얄빌딩'을 제 20 위치(P20)로부터 반경 R2 범위 내의 영상지도에서 검색하고, '로얄빌딩'이 위치한 지점을 사용자의 위치라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서버(110)가 최초에 판단한 사용자의 위치는 제 20 위치(P20)였지만,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촬영자료 및 영상지도를 이용하여 보정한 사용자의 위치는 실제 사용자의 위치에 근접한 '로얄빌딩' 부근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20 위치(P20)로부터 반경을 증가시키면서 매칭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미리 저장되어 있는 영상지도와 긴급모드로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촬영 자료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에는 긴급모드로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의 화각을 변경시킬 수 있다. 카메라의 화각 변경 방법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 있다.
예를 들면, 도 32의 경우와 같이, 제 20 위치(P20)로부터 반경 R2 내의 영상지도와 긴급모드로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촬영 자료가 매칭되는지의 여부를 판단(3050)한 결과, 매칭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의 화각을 변경하고 재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버(110)에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카메라 화각 변경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화각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서버(110)는 제 20 위치(P20)로부터 반경 R2 내의 영상지도와 긴급모드로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촬영 자료가 매칭되지 않는다는 정보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카메라의 화각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임의의 위치로부터 소정 반경 범위 내의 영상지도를 이동통신 단말기가 촬영한 자료를 비교한 이후에 카메라의 화각을 변경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경을 증가시키면서 영상지도와 이동통신 단말기가 촬영한 자료를 비교하는 것과는 무관하게 카메라의 화각을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1에서 제 3020 단계에서 영상지도 내의 반경을 변경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카메라의 화각을 변경시켜 재촬영하고, 재촬영한 영상을 영상지도와 비교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실제로 제 20 위치(P20)에 위치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해당이동통신 단말기가 촬영한 영상 또는 동영상 내에 제 20 위치(P20) 부근의 랜드 마크인 '로얄탑'이 담겨있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카메라의 화각을 변경하여 재촬영하는 방법이 효과적일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위치 정보 보정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시간에 따라 서버(110)가 판단한 사용자의 위치와 시간차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시점에서 획득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제 1 시점과 다른 제 2 시점에서 획득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서버(110)는 미리 저장된 영상지도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촬영한 자료를 비교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보정하는 방법은 앞선 도 28 내지 도 32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카메라의 화각을 변경하여 재촬영하는 방법, 영상지도 내의 반경을 넓혀가면서 매칭시키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3과 같이, 서버(110)가 제 1 시점(T1)에서 획득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는 제 10 위치(P10)이고, 제 1 시점(T1)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흐른 제 2 시점(T2)에서 획득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제 20 위치(P20)라고 가정하여 보자.
여기서,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의 시간 차이가 대략 10초이고, 제 10 위치(P10)와 제 20 위치(P20) 사이의 실제 거리가 대략 10km인 경우라면, 서버(110)가 판단한 사용자의 위치는 잘못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사람이 10초 내에 10km를 이동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카메라의 화각을 변경하거나 영상지도 내의 반경을 증가시키면서 매칭작업을 재실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 시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임계값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10)는 1분에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의 임계값을 대략 2km로 설정하고,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의 시간 차이가 대략 1분이고, 제 10 위치(P10)와 제 20 위치(P20) 사이의 실제 거리가 2km보다 짧다면 서버(110)가 판단한 사용자의 위치정보가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판단하여 타 이동통신 단말기 혹은 타 서버로 전송하고, 제 10 위치(P10)와 제 20 위치(P20) 사이의 실제 거리가 2km보다 긴 경우에는 서버(110)는 사용자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34의 경우와 같이, 서버(110)는 제 1 시점(T1)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획득(3200)하고, 제 1 시점(T1) 이후의 제 2 시점(T2)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획득(3210)할 수 있다.
이후,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에서의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비교(3220)하여,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제 2 시점(T2)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현재 사용자의 위치정보로서 출력(3230)할 수 있다.
반면에,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에서의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비교(3220)하여,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제 2 시점(T2)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부정확한 것으로 인식하고, 카메라의 화각을 변경하여 재촬영하거나 혹은 제 2 시점(T2)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소정 반경 내의 영상지도와 긴급모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촬영한 자료를 비교/매칭시키는 작업을 수행(3240)할 수 있다.
또는, 피보호자 단말기(100)가 긴급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보호자 단말기(101)는 피보호자 단말기(100)로 재촬영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5와 같이, 긴급모드로 설정된 제 1 단말기, 즉 피보호자 단말기(100)가 촬영한 자료를 전송(3400)하면, 제 2 단말기, 즉 보호자 단말기(101)가 이를 수신(3410)할 수 있다.
이후, 보호자 단말기(101)가 수신한 촬영 자료가 불량한지의 여부를 판단(3420)한 결과, 불량한 경우에는 보호자 단말기(101)가 피보호자 단말기(100)로 재촬영 명령을 전송(3430)할 수 있다. 그러면, 피보호자 단말기(100)는 다시 촬영한 자료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보호자 단말기(100)가 촬영한 영상 또는 동영상이 흐릿하거나 혹은 촬영한 자료로는 피보호자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기 어려울 경우, 보호자는 보호자 단말기(101)를 이용하여 피보호자 단말기(100)로 재촬영 명령을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도 36과 같이, 보호자 단말기(101)가 수신한 촬영 자료가 불량한지의 여부를 판단(3520)한 결과, 불량한 경우에는 보호자 단말기(101)가 피보호자 단말기(100)로 재촬영 명령 및 카메라 설정 변경 명령을 전송(3530)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피보호자 단말기(100)는 카메라의 화각을 변경하거나, 플래시(Flash)의 On/Off, 해상도 변경 등 촬영에 필요한 카메라의 다양한 설정을 변경한 이후 다시 촬영한 자료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6에서 도 35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7 내지 도 41은 화각을 변경하는 또 다른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의 화각을 다양한 방향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37의 경우와 같이, 카메라(200)의 화각을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카메라의 화각을 변경하는 방법은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제 1 방향은 카메라(200)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일 수 있고, 제 2 방향은 카메라(200)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일 수 있다.
여기서, 긴급모드에서 카메라(200)는 우선 수평 방향(제 1 방향)으로 화각을 변경하면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고, 이후 수직 방향(제 2 방향)으로 화각을 변경하면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보다 넓은 영역의 사진 또는 동영상의 촬영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38의 (a)의 경우와 같이, 카메라(200)의 화각을 수평 방향으로 변경하면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면 수평방향으로 보다 넓은 영역의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도 38의 (b)의 경우와 같이, 카메라(200)의 화각을 수직 방향으로 변경하면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면 수직방향으로 보다 넓은 영역의 촬영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카메라(200)의 화각을 수직 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변경하기 위해, 도 39와 같이, 카메라(200)가 향하는 방향을 상,하,좌,우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는, 카메라(200)의 축을 기울이는 방법으로 카메라(200)의 화각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 40의 경우와 같이, 카메라(200)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40의 (a)와 같이, 카메라(200)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 이동부(40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이동부(4000)는 카메라(200)의 안내를 위한 홈(4010)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도 40의 (b)와 같이, 카메라(200)는 이동부(4000)의 홈(4010)을 타고 이동하면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40의 (b)와 같이, 카메라(200)가 이동부(4000)의 홈(4010)의 상부로 이동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이후 도 40의 (c)와 같이 카메라(200)가 이동부(4000)의 홈(4010)의 하부로 이동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직 방향으로 보다 넓은 영역의 사진 또는 영상의 촬영이 가능하다.
이러한 도 40의 경우와는 다르게 이동부(4000)의 홈(4010)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는, 도 41의 (a)의 경우와 같이, 이동부(4100)는 카메라(200)가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홈(40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41의 (b)의 경우와 같이, 카메라(200)는 이동부(4000)의 홈(4010)을 타고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2는 주기적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긴급모드에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위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소정 주기(P) 마다 카메라가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촬영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2의 경우와 같이, 소정 주기(P)에 따라 공급되는 클록 신호(Clock Signal, CS)에 따라 소정 주기(P) 마다 카메라가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촬영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도 42의 경우는 긴급모드에 한정해서 카메라가 주위를 촬영하는 것이 아니고, 일반모드에서도 소정 주기 마다(P) 카메라가 주위를 촬영하는 것으로, 촬영 방법 및 전송 방법 등은 긴급모드에서 카메라가 주위를 촬영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42의 경우에 촬영된 자료는 사용자의 일상 생활에서의 동선을 관찰하는 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게임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A 단말기와 B 단말기가 게임을 실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보자.
A 단말기의 사용자가 B 단말기의 위치를 맞히거나 추정하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B 단말기에 따른 카메라가 B 단말기의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A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A 단말기 사용자가 B 단말기로 하여금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B 단말기로 촬영 명령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는, A 단말기 사용자가 게임을 실행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반면에, B 단말기 사용자가 A 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B 단말기의 위치를 맞히거나 추정하도록 하기 위해 B 단말기 사용자가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B 단말기 사용자가 게임을 실행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B 단말기에 따른 카메라가 촬영한 B 단말기의 주위의 영상 데이터가 A 단말기로 전송되면, A 단말기 사용자는 B 단말기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단말기 사용자는 B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고, 확인한 영상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B 단말기의 위치가 '강남역 7번 출구 앞' 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고, 이에 A 단말기 사용자는 B 단말기의 위치가 '강남역 7번 출구 앞'이라는 답(Answer)을 입력할 수 있다.
만약, B 단말기의 위치가 '강남역 7번 출구 앞'인 경우에는 A 단말기 사용자가 정답을 맞힌 경우이고, 이에 A 단말기에게 소정의 점수를 가산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B 단말기의 위치가 '강남역 1번 출구 앞'인 경우에는 A 단말기 사용자가 정답을 맞히지 못한 경우이고, 이에 A 단말기에게 소정의 점수를 차감할 수 있다.
상기와 다른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B 단말기에 따른 카메라가 촬영한 B 단말기의 주위의 영상 데이터가 A 단말기로 전송되면, A 단말기 사용자는 B 단말기의 위치를 소정 범위로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단말기 사용자는 B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고, 확인한 영상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B 단말기의 위치가 '강남역 부근'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고, 이에 A 단말기 사용자는 B 단말기의 위치가 '강남역 반경 100m 이내'라는 답(Answer)을 입력할 수 있다.
만약, B 단말기의 위치가 '강남역 반경 100m 이내'인 경우에는 A 단말기 사용자가 정답을 맞힌 경우이고, 이에 A 단말기에게 소정의 점수를 가산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B 단말기의 위치가 '신사역 앞'인 경우에는 A 단말기 사용자가 정답을 맞히지 못한 경우이고, 이에 A 단말기에게 소정의 점수를 차감할 수 있다.
또한, B 단말기 위치의 반경 범위에 따라 점수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B 단말기의 위치가 '강남역 7번 출구 앞'인 경우에는 A 단말기 사용자가 B 단말기의 위치를 '강남역 7번 출구 앞'으로 선택하는 경우에는 A 단말기에게 100점을 가산할 수 있고, A 단말기 사용자가 B 단말기의 위치를 '강남역 7번 출구 반경 50m 이내'로 선택하는 경우에는 A 단말기에게 50점을 가산할 수 있고, A 단말기 사용자가 B 단말기의 위치를 '강남역 7번 출구 반경 100m 이내'로 선택하는 경우에는 A 단말기에게 20점을 가산할 수 있다.
이처럼, B 단말기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파악하는 경우에 가산 점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가산된 점수는 A 단말기에게 사용요금의 감면으로 이용될 수 있고, 또는 부가 서비스의 무료 사용으로 이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게임 기능을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다 자주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A 단말기 및 B 단말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A 단말기 및 B 단말기 중 어느 하나는 보호자의 단말기이며, 나머지 하나는 피보호자의 단말기일 수 있다.
또는, A 단말기 및 B 단말기는 모두 보호자의 단말기이거나 피보호자의 단말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4)

  1.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마련된 전송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마련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마련되어, 사용자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마련되어, 긴급모드(Emergency Mode) 시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촬영한 상기 사용자 주위의 영상을 상기 전송부를 통하여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모드 시 상기 카메라의 화각(Angle of view)을 변경하는 화각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각은 제 1 화각 및 제 2 화각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각과 상기 제 2 화각은 서로 중첩(Overlap)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자료를 서버 또는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긴급모드 시 사용자의 명령입력에 무관하게 촬영한 자료를 상기 서버 또는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자료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긴급모드 시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자료를 저장하는 제 1 저장부 및 일반모드 시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자료를 저장하는 제 2 저장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부에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자료가 암호화되어 저장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와 각각 별개로 모듈(Module)화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일반모드 및 상기 긴급모드 시 전력을 공급하는 제 1 전원 및 상기 긴급모드 시 전력을 공급하는 제 2 전원을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원의 전력은 상기 제 1 전원의 전력보다 작은 이동통신 단말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은 주 전력과 보조 전력으로 분할되고,
    상기 주 전력이 소모된 상태에서 상기 긴급모드 설정 시 상기 전원은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모드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안전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 설정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모드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위험영역에 진입하는 경우에 설정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모드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이동경로를 벗어나는 경우에 설정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모드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이동경로 상의 이동궤적을 벗어나는 경우에 설정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모드는 사용자가 긴급모드 설정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 설정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모드는 외부로부터 긴급모드 설정 명령이 전파로 수신되는 경우에 설정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모드는 외부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설정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모드 시 긴급모드의 설정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3. 제1 단말기, 제2 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는 안전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에 마련된 전송부와, 상기 제1 단말기에 마련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상기 제1 단말기에 마련되어, 사용자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말기가 긴급모드(Emergency Mode)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 1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상기 영상을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안전 서비스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모드는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단말기로 긴급모드 설정 명령이 전송되는 경우에 설정되는 안전 서비스 시스템.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모드 시 상기 제 1 단말기의 위치정보 또는 상기 제 1 단말기가 촬영한 자료를 상기 서버를 통해 경찰 서버 또는 보안업체 서버에 전송하는 안전 서비스 시스템.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모드 시 상기 제 1 단말기의 위치정보 또는 상기 제 1 단말기가 촬영한 자료를 상기 서버를 통해 방송 사업자 서버에 전송하는 안전 서비스 시스템.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모드 시 상기 제 1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안전 서비스 시스템.
  28. 제 25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기 저장된 영상지도와 상기 제 1 단말기가 촬영한 자료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보정하는 안전 서비스 시스템.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판단한 상기 제 1 단말기의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영상지도와 상기 제 1 단말기가 촬영한 자료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버에 기 저장된 영상지도와 상기 제 1 단말기가 촬영한 자료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단말기가 촬영한 자료에 매칭되는 상기 영상지도 상의 위치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영상지도 상의 위치에 상기 제 1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는 안전 서비스 시스템.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제 1 시점에서 획득한 상기 제 1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제 2 시점에서 획득한 상기 제 1 단말기의 위치정보의 차이가 기 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서버는 기 저장된 영상지도와 상기 제 1 단말기가 촬영한 자료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단말기의 위치를 보정하는 안전 서비스 시스템.
  31. 제 1 단말기가 긴급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위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자료와 상기 제 1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서버를 통해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에 마련된 전송부와, 상기 제1 단말기에 마련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상기 제1 단말기에 마련되어 사용자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안전 서비스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기 설정된 안전영역을 벗어나는 이벤트,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된 위험영역에 진입하는 이벤트,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된 이동경로 상의 이동궤적을 벗어나는 이벤트,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긴급모드 설정 명령을 입력하는 이벤트, 외부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긴급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전 서비스 방법.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주위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전 서비스 방법.
  34. 제 31 항 내지 제33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00095186A 2010-09-30 2010-09-30 이동통신 단말기,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1125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186A KR101125487B1 (ko) 2010-09-30 2010-09-30 이동통신 단말기,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EP19195313.2A EP3595341B1 (en) 2010-09-30 2011-09-30 Method, server,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201180047778.2A CN103202041B (zh) 2010-09-30 2011-09-30 移动通信终端和用于使用该移动通信终端的安全服务的***和方法
EP21161526.5A EP3852408A1 (en) 2010-09-30 2011-09-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ystem and method for safety service using same
US13/876,906 US9462445B2 (en) 2010-09-30 2011-09-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ystem and method for safety service using same
CN201710144890.7A CN107124582B (zh) 2010-09-30 2011-09-30 提供安全服务的服务器及其方法
EP11829607.8A EP2611225B1 (en) 2010-09-30 2011-09-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safety service using same
PCT/KR2011/007214 WO2012044101A2 (ko) 2010-09-30 2011-09-30 이동통신 단말기,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15/267,901 US9712988B2 (en) 2010-09-30 2016-09-16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ystem and method for safety service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186A KR101125487B1 (ko) 2010-09-30 2010-09-30 이동통신 단말기,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5487B1 true KR101125487B1 (ko) 2012-03-20

Family

ID=45893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186A KR101125487B1 (ko) 2010-09-30 2010-09-30 이동통신 단말기,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462445B2 (ko)
EP (3) EP3852408A1 (ko)
KR (1) KR101125487B1 (ko)
CN (2) CN107124582B (ko)
WO (1) WO2012044101A2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190B1 (ko) * 2012-12-20 2014-02-07 최덕환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1577690B1 (ko) 2012-09-24 2015-12-15 김덕우 긴급 구난 요청 장치 및 방법
KR20160024453A (ko) * 2014-08-26 2016-03-07 아이알링크 주식회사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공부 습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9640056B2 (en) 2014-02-19 2017-05-02 Dongwon YI Method for sensing emergency in response to physical and mental shock and apparatus for sensing emergency using the method
KR101779934B1 (ko) * 2015-10-04 2017-09-1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등산 낙상 감지장치
WO2017200116A1 (ko) * 2016-05-17 2017-11-23 이동원 물리적충격과 심리적충격 및 생리적현상에 대응한 긴급상황감지방법과 이를 이용한 긴급상황감지장치
KR101895807B1 (ko) * 2017-08-21 2018-09-10 (주) 지니테크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방법
KR20190055899A (ko) * 2017-11-16 2019-05-24 박성범 Gis를 기반으로 하는 지역 종합 안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17308B (zh) * 2012-10-22 2016-06-08 张忠义 一种应用程序间接获取地理位置信息的方法
CA2947936C (en) * 2013-05-04 2023-02-21 Christopher Decharms Mobile security technology
US20150230061A1 (en) * 2014-02-10 2015-08-1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Distributed optimization for event traffic control
JP6468883B2 (ja) * 2014-04-10 2019-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07710904B (zh) * 2015-06-23 2021-01-22 株式会社富士 作业单元用电源装置
US10963860B2 (en) * 2016-06-23 2021-03-30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Dynamic transaction records
CN107316068B (zh) * 2017-05-05 2020-06-02 宁波城市职业技术学院 一种智慧登山步道管理***及其控制方法
CN109121091B (zh) * 2018-09-04 2021-01-01 安徽皖新金智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学生手环监控***及监控方法
US11561100B1 (en) 2018-10-26 2023-01-24 Allstate Insurance Company Exit routes
US11343775B1 (en) * 2018-11-29 2022-05-24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of a mobile device in an emergency
JP7153089B2 (ja) * 2018-12-28 2022-10-13 株式会社Nttドコモ 位置推定システム
CN110491082A (zh) * 2019-08-15 2019-11-22 问问智能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可穿戴设备的联动处理方法和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4626A (ko) * 2008-05-30 2009-12-03 경기도시공사 가족 안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7344A (en) 1985-02-28 1989-05-02 Intel Corporation Apparatus for inserting part of one video image into another video image
US4974088A (en) * 1988-05-13 1990-11-27 Maruwa Electronic & Chemical Company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a rotating television camera base
US5423078A (en) * 1993-03-18 1995-06-06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Dual mode power amplifier for analog and digital cellular telephones
US5497149A (en) * 1993-09-02 1996-03-05 Fast; Ray Global security system
US5541845A (en) * 1994-08-02 1996-07-30 Trimble Navigation Limited Monitoring of route and schedule adherence
US5862217A (en) * 1996-03-28 1999-01-19 Fotona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camera encryption
US6685366B1 (en) * 1997-09-05 2004-02-03 Robert Bosch Gmbh Camera positioning system with optimized field of view
US7224955B2 (en) * 2001-05-18 2007-05-2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ending emergency rescue signal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079045B2 (en) * 2001-08-06 2006-07-18 Somfy Sas Remote control with change of operating mode
CN1400568A (zh) * 2001-08-08 2003-03-05 大阪合同计装株式会社 用于房屋的紧急通知***
US6766245B2 (en) * 2002-03-14 2004-07-20 Microsoft Corporation Landmark-based location of users
US20040185900A1 (en) * 2003-03-20 2004-09-23 Mcelveen William Cell phone with digital camera and smart buttons and methods for using the phones for security monitoring
JP2005026832A (ja) * 2003-06-30 2005-01-27 Ntt Infranet Co Ltd 無線カメラ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無線撮影装置
US20050014527A1 (en) * 2003-07-18 2005-01-20 Agere Systems Incorporated Retractable rotatable camera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2005045873A (ja) * 2003-07-23 2005-02-17 Ricoh Co Ltd 電源装置
KR20050122784A (ko) * 2004-06-25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사진 데이터전송방법
KR20060014765A (ko) * 2004-08-12 2006-02-1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이용한 긴급 구난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US7190263B2 (en) * 2004-09-20 2007-03-13 Motorola, Inc. Utiliz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detect motion
KR101074284B1 (ko) * 2004-09-23 2011-10-17 에이저 시스템즈 인크 파노라마 이미지 메이킹 능력을 갖는 이동 통신 장치
CN1622562A (zh) * 2004-12-23 2005-06-01 李捷逵 一种事故自动报警定位手机
JP3701961B1 (ja) * 2004-12-27 2005-10-05 有限会社ジュピターネット 緊急通報機能を備えた携帯無線機、緊急通報装置及び緊急通報システム
US20060217105A1 (en) 2005-03-25 2006-09-28 Siemens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location and multimedia data using a wireless device
JP2007142994A (ja) * 2005-11-22 2007-06-07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携帯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70139182A1 (en) 2005-12-19 2007-06-21 O'connor Jay D Emergency communications for the mobile environment
US8123599B2 (en) * 2006-02-13 2012-02-28 Microsoft Corporation Game builder for mobile device-based games
US20070254640A1 (en) * 2006-04-27 2007-11-01 Bliss Stephen J Remote control and viewfinder for mobile camera phone
CN101271002A (zh) * 2007-03-21 2008-09-24 乐金电子(昆山)电脑有限公司 车辆用导航***终端机的求救信息传送装置以及方法
JP2008250596A (ja) * 2007-03-30 2008-10-16 Nec Corp 移動端末装置を利用した緊急救助システム、移動端末装置を利用した緊急救助方法、携帯電話装置及び移動端末装置を利用して実行される緊急救助プログラム
WO2008120971A1 (en) 2007-04-02 2008-10-09 Tele Atlas B.V.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cking information together with environmental information using a personal mobile device
CN101119478A (zh) * 2007-05-09 2008-02-06 上海天卫通信科技有限公司 双镜头视频监控中的视角自动配置***和方法
CN101340562A (zh) * 2008-04-28 2009-01-07 安防科技(中国)有限公司 监控***与监控方法
US8134589B2 (en) * 2008-07-17 2012-03-13 Eastman Kodak Company Zoom by multiple image capture
KR101502012B1 (ko) 2008-10-06 2015-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매틱스 단말기 및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비상 상황 알림방법
CN101754363A (zh) * 2008-12-19 2010-06-23 英华达(上海)电子有限公司 一种识别位置的***、方法及装置
KR101593573B1 (ko) * 2009-06-19 2016-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US20120003956A1 (en) * 2010-06-30 2012-01-05 Bill Austin Real time sound/image capture and distibution to end recipient
US20120122570A1 (en) * 2010-11-16 2012-05-17 David Michael Baronoff Augmented reality gaming experience
US20120244891A1 (en) * 2011-03-21 2012-09-27 Appleton Andrew B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 mobile chat sess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4626A (ko) * 2008-05-30 2009-12-03 경기도시공사 가족 안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690B1 (ko) 2012-09-24 2015-12-15 김덕우 긴급 구난 요청 장치 및 방법
KR101358190B1 (ko) * 2012-12-20 2014-02-07 최덕환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US9640056B2 (en) 2014-02-19 2017-05-02 Dongwon YI Method for sensing emergency in response to physical and mental shock and apparatus for sensing emergency using the method
KR20160024453A (ko) * 2014-08-26 2016-03-07 아이알링크 주식회사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공부 습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55127B1 (ko) * 2014-08-26 2016-09-07 아이알링크 주식회사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공부 습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79934B1 (ko) * 2015-10-04 2017-09-1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등산 낙상 감지장치
WO2017200116A1 (ko) * 2016-05-17 2017-11-23 이동원 물리적충격과 심리적충격 및 생리적현상에 대응한 긴급상황감지방법과 이를 이용한 긴급상황감지장치
KR101895807B1 (ko) * 2017-08-21 2018-09-10 (주) 지니테크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방법
KR20190055899A (ko) * 2017-11-16 2019-05-24 박성범 Gis를 기반으로 하는 지역 종합 안내 시스템
KR102116167B1 (ko) * 2017-11-16 2020-05-27 박성범 Gis를 기반으로 하는 지역 종합 안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95341A1 (en) 2020-01-15
CN107124582B (zh) 2020-06-23
EP3852408A1 (en) 2021-07-21
US20130303105A1 (en) 2013-11-14
WO2012044101A2 (ko) 2012-04-05
CN103202041B (zh) 2017-04-05
US9462445B2 (en) 2016-10-04
EP2611225A4 (en) 2017-06-28
CN107124582A (zh) 2017-09-01
EP2611225B1 (en) 2019-11-06
EP3595341B1 (en) 2023-01-11
EP2611225A2 (en) 2013-07-03
WO2012044101A3 (ko) 2012-06-21
US9712988B2 (en) 2017-07-18
CN103202041A (zh) 2013-07-10
US20170006450A1 (en)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4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US9815333B2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a self-balancing vehicle based on providing a warning message to a smart wearable device
US20160378106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a self-balancing vehicle
KR101647950B1 (ko) 드론을 이용한 안전 경로 안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244120B2 (ja) 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映像表示用プログラム
KR101459104B1 (ko) 동작분석을 통하여 위급상황을 감지하는 지능형 cctv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급상황 감지방법
KR20170061072A (ko) 리어 뷰 프론트 지능형 안전 헬멧
EP3361723A1 (en) Monitoring vehicle involved in a collision
CN105872952A (zh) 基于可穿戴设备的信息发送方法及装置
KR101477523B1 (ko)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협력 영상기록 장치 및 그 방법
US20190042575A1 (en) Line-of-sight-based content-sharing dynamic ad-hoc networks
KR101670033B1 (ko) 스마트 블랙박스 헬멧을 이용한 스마트 블랙박스 서비스 시스템
CN106200910A (zh) 障碍提醒方法及装置
KR20220000873A (ko) 인공 지능을 이용한 관제 서비스 시스템
KR20160096256A (ko) 보호자 디바이스,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hang et al. iMace: protecting females from sexual and violent offenders in a community via smartphones
KR20140100611A (ko) 길안내 시스템의 동작 방법 및 휴대 기기의 길안내 방법
KR20220052679A (ko)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KR20180003727A (ko) 스토커 드론
CN112954663B (zh) 救助流程的触发方法、装置、服务器和交通工具
KR102262325B1 (ko) 웨어러블 통신 장치를 이용한 관제 서비스 시스템
KR101574771B1 (ko) 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15944B1 (ko) 블랙박스를 이용한 시민 안전 보호 시스템 및 방법
JP2019062366A (ja) 端末装置、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KR101458362B1 (ko)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