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6256A - 보호자 디바이스,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보호자 디바이스,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6256A
KR20160096256A KR1020150017296A KR20150017296A KR20160096256A KR 20160096256 A KR20160096256 A KR 20160096256A KR 1020150017296 A KR1020150017296 A KR 1020150017296A KR 20150017296 A KR20150017296 A KR 20150017296A KR 20160096256 A KR20160096256 A KR 20160096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ed
cameras
protected device
camera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7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백영준
하희진
김승균
Original Assignee
(주)싸이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싸이월드 filed Critical (주)싸이월드
Priority to KR1020150017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6256A/ko
Publication of KR20160096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2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3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child or item is loc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자 디바이스,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통신방식에 따른 위치신호를 발생시키는 피보호자 디바이스; 피보호자 디바이스의 소유자를 촬영하여 모니터링 영상을 생성하며, 자신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위치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카메라; 피보호자 디바이스와 복수의 카메라에서 발생된 위치신호를 수신하고, 위치신호를 이용하여 피보호자 디바이스와 복수의 카메라의 위치를 파악하여 복수의 카메라 중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에 인접한 카메라로부터 피보호자 디바이스가 촬영된 모니터링 영상을 제공받는 보호자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보호자가 영상을 통해 피보호자를 직접 모니터링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호자 디바이스,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GUARDIAN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PROTEGE}
본 발명은 보호자 디바이스,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자가 영상을 통해 움직이는 피보호자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자 디바이스,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어린이, 치매 어르신, 반려동물 등의 피보호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위치 추적 시스템은, 피보호자가 보호자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면, 피보호자 및/또는 보호자에게 알림으로써, 미아 발생을 방지하거나 미아를 신속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위치 추적 기술로는, 일반적으로 RFID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 등을 이용한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RFID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 피보호자 단말기에 RFID 태그를 설치하고, 보호자 단말기에 RFID 리더기를 장착함으로써, 피보호자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한다. RFID 기술은 10m 이내의 정밀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지만, RFID 신호의 송수신 거리가 짧고 장애물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설치 환경이 제한적이고, 대량의 RFID 리더기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 구축 비용이 높다.
GPS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 보호자 단말기와 피보호자 단말기에 각각 GPS 모듈을 장착함으로써, 보호자와 피보호자가 상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피보호자와 보호자가 GPS 모듈을 탑재한 단말기를 구비해야 하므로, 단말기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실내에서는 사용이 어렵기 때문에 실내에서 측위가 가능한 다른 기술을 적용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위치 추적 기술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의 경우, 피보호자의 위치만을 알 수 있을 뿐, 보호자가 피보호자의 상태를 직접 관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보호자가 피보호자를 직접 관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보호자가 영상을 통해 움직이는 피보호자를 직접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자 디바이스,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목적은, 미리 설정된 통신방식에 따른 위치신호를 발생시키는 피보호자 디바이스;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의 소유자를 촬영하여 모니터링 영상을 생성하며, 자신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위치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카메라; 및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서 발생된 위치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에 인접한 카메라로부터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가 촬영된 모니터링 영상을 제공받는 보호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미리 설정된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위치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는 피보호자 디바이스;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의 소유자를 촬영하여 모니터링 영상을 생성하며,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복수의 카메라; 및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서 측정한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선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상기 모니터링 영상을 제공받는 보호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피보호자가 소지하는 피보호자 디바이스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위치신호와,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각각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파악단계;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산출단계;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에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판단하는 선택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상기 피보호자에 대한 모니터링 영상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보호자 모니터링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피보호자가 소지하는 피보호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위치신호와 복수의 카메라로부터의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위치신호 수신모듈과,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각각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에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판단하는 추적모듈과, 상기 복수의 카메라 및 다른 보호자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제공받은 모니터링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앱 제어모듈을 갖는 모니터링 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피보호자 디바이스와 인접한 카메라에서 촬영된 피보호자의 모니터링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움직이는 피보호자를 용이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미리 구비하지 않아도 피보호자의 모니터링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피추적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시간과, 서비스 이용을 위한 준비 시간이 절약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보호자 디바이스의 구성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의 블럭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자 디바이스의 블럭구성도,
도 5는 추적모듈에서 피보호자 디바이스와 각 카메라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보호자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업체 인증 화면,
도 7은 본 발명의 보호자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피보호자 디바이스 ID 입력화면,
도 8은 본 발명의 보호자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영상 선택화면,
도 9는 본 발명의 보호자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모니터링 영상 화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디바이스의 구성블럭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모니터링 영상 화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디바이스의 구성블럭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중 카메라의 구성블럭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피보호자를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블럭도이다.
본 피보호자 모니터닝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카메라와 피보호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피보호자와 인접한 카메라에서 촬영된 모니터링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보호자가 용이하게 피보호자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본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피보호자가 소지하는 피보호자 디바이스(10), 피보호자를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30), 피보호자 디바이스(10)와 복수의 카메라(30)의 위치를 파악하여 피보호자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30)로부터 피보호자의 영상을 제공받는 보호자 디바이스(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보호자 디바이스(10)는, 피보호자가 소지하게 되며, 피보호자의 위치를 알리기 위해 위치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피보호자는 아동, 치매 어르신, 반려동물 등 보호가 필요한 피보호자가 될 수 있다.
보호자 디바이스(50)는, 피보호자의 부모, 교사, 소유자 등 보호자가 소지한 디바이스로서, 별도의 장치로 마련될 수도 있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복수의 카메라(30)는, CCTV로서, 각 CCTV는 일정 범위내에서 상하좌우 회전이 가능하여 촬영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한정된 공간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치원, 학교, 카페, 놀이공원 등에 설치되어 피보호자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보호자 디바이스의 구성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보호자 디바이스(10)는, 위치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위치신호 발생부(15)를 구비하며, 피보호자 디바이스(10)의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 또는 버튼, 피보호자 디바이스(1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위치신호 발생부(15)는, 피보호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위치신호를 발생시키며, 이때, 위치신호는 비콘신호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비콘신호는 비콘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따라, 사운드 기반의 저주파 비콘신호, LED 비콘신호, 와이파이 비콘신호, 블루투스 비콘신호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최근에는 블루투스 저전력 통신 프로토콜인 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방식을 이용한 아이비콘(iBeacon)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콘 기술에 의해 발생되는 위치신호는 최대 50m, 안정적으로는 20-30m 거리까지 도달할 수 있으며, 위치신호에는 피보호자 디바이스(10)의 식별정보, 예를 들면 ID가 포함되어 브로드캐스트된다. 이에 따라, 보호자 디바이스(50)에서는 위치신호를 수신하면 피보호자 디바이스(10)의 ID를 파악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의 블럭구성도이다.
각 카메라(30)는, 촬영범위내의 공간을 촬영하여 모니터링 영상을 생성하며, 촬영부(31), 영상저장부(33), 무선통신부(35), 위치신호 생성부(37), 카메라 제어부(39)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31)는, 모니터링 영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줌인(Zoom-in) 촬영이 가능하도록 줌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저장부(33)는 촬영부(31)에서 촬영된 모니터링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35)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보호자 디바이스(50)와 통신하며, 촬영부(31)에서 촬영된 실시간 모니터링 영상 또는 영상저장부(33)에 저장된 모니터링 영상을 보호자 디바이스(50)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35)는 LTE, WiMAX, 3G, WiFi, 블루투스, LTE-A 통신방식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호자 디바이스(50)에서 선택한 모니터링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위치신호 생성부(37)는, 피보호자 디바이스(10)의 위치신호 발생부(15)와 마찬가지로, BLE 통신방식에 의한 비콘신호를 이용한 위치신호를 발생시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위치신호에는 각 카메라(30)의 고유한 식별정보, 예를 들면, ID가 포함되어 브로드캐스트된다. 위치신호 생성부(37)는, 카메라(30)가 턴온되면 자동적으로 동작하여 ID를 포함하는 위치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게 된다.
카메라 제어부(39)는 촬영부(31)에서 촬영된 모니터링 영상을 영상저장부(33)로 저장하고, 무선통신부(35)를 통해 보호자 디바이스(50)로부터 모니터링 영상이 요청되면, 해당 모니터링 영상을 보호자 디바이스(5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자 디바이스의 블럭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자 디바이스(50)는, 피보호자 디바이스(10)의 위치와, 각 카메라(30)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피보호자에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30)로부터 모니터링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보호자 디바이스(50)에는, 피보호자의 모니터링 영상을 제공받기 위해 동작하는 모니터링 앱(Application)(60)이 설치되어 있으며, 모니터링 앱(60)의 실행 상태 및 피보호자로부터의 입력을 위해, 디스플레이부(55)가 마련되어 있다.
모니터링 앱(60)은,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업체의 인증을 위한 인증모듈(61), 피보호자 디바이스(10)와 각 카메라(30)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위치신호 수신모듈(63), 피보호자 디바이스(10)와 각 카메라(30)의 위치를 파악하여 피보호자 디바이스(10)에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30)를 판단하는 추적모듈(65), 카메라(30) 및 인접한 다른 보호자 디바이스(5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67), 디스플레이부(55)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모듈(69), 카메라(30)에서 제공된 모니터링 영상과 피보호자 디바이스(10)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모듈(71), 선택된 카메라(30)로 모니터링 영상을 요청하고 수신된 모니터링 영상을 디스플레이부(55)에 표시하는 앱 제어모듈(73)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모듈(61)은, 보호자가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공간, 즉 유치원, 학교, 카페, 놀이공원 등의 장소에 입장하면, 해당 공간을 운영하는 업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보호자가 업체로부터 제공받은 업체의 ID를 입력하면, 인증모듈(61)은 저장모듈(71)에 미리 저장된 업체 정보와 비교하여 업체를 인증할 수 있다. 저장모듈(71)에 업체 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외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경우, 인증모듈(61)은 외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업체 정보를 제공받아 인증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신호 수신모듈(63)은, 피보호자 디바이스(10)에서 생성된 위치신호와, 복수의 카메라(30) 중 통신범위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30)에서 생성된 위치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위치신호 수신모듈(63)은, BLE 통신방식 기반의 위치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추적모듈(65)은, 피보호자 디바이스(10)와 각 카메라(3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신호를 이용하여 보호자 디바이스(50)와 피보호자 디바이스(10) 간의 거리, 보호자 디바이스(50)와 각 카메라(30)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추적모듈(65)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거리를 산출할 수 있으며, 그 중 RSS(Received Signal Strength) 방식을 사용할 경우, 수신된 위치신호의 세기에 따라 위치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한 피보호자 디바이스(10) 또는 카메라(30)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추적모듈(65)은, 보호자 디바이스(50)에 인접한 2개의 다른 보호자 디바이스로부터 각각의 다른 보호자 디바이스와 피보호자 디바이스(10)간의 거리, 및 다른 보호자 디바이스와 각 카메라(30) 간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적모듈(65)은, 3개의 보호자 디바이스(50)에서 각각 산출된 각 보호자 디바이스(50)와 피보호자 디바이스(10) 간의 거리, 각 보호자 디바이스(50)와 각 카메라(30)와의 거리를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피보호자 디바이스(10)와 각 카메라(30)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도 5는 추적모듈에서 피보호자 디바이스와 각 카메라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Pa, Pb, Pc는 제1 내지 제3보호자 디바이스이고, F는 피보호자 디바이스, Ca, Cb는 제1 및 제2카메라를 나타낸다. 여기서, 제1보호자 디바이스 Pa에서 피보호자 디바이스 F에 인접한 카메라를 추적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보호자 디바이스 Pa의 추적모듈(65)은, 제1 내지 제2카메라 Ca, Cb와 피보호자 디바이스 F로부터 위치신호가 수신되면, 제1보호자 디바이스 Pa와 피보호자 디바이스 F와의 거리 a1, 제1보호자 디바이스 Pa와 제1카메라 Ca 간의 거리 a2, 제1보호자 디바이스 Pa와 제2카메라 Cb 간의 거리 a3를 각각 산출한다.
제2보호자 디바이스 Pb의 추적모듈(65)도, 제1 내지 제2카메라 Ca, Cb와 피보호자 디바이스 F로부터 위치신호가 수신되면, 제2보호자 디바이스 Pb와 피보호자 디바이스 F와의 거리 b1, 제2보호자 디바이스 Pb와 제1카메라 Ca 간의 거리 b2, 제2보호자 디바이스 Pb와 제2카메라 Cb 간의 거리 b3를 각각 산출한다.
제3보호자 디바이스 Pc의 추적모듈(65)도, 제1 내지 제2카메라 Ca, Cb와 피보호자 디바이스 F로부터 위치신호가 수신되면, 제3보호자 디바이스 Pc와 피보호자 디바이스 F와의 거리 c1, 제3보호자 디바이스 Pc와 제1카메라 Ca 간의 거리 c2, 제3보호자 디바이스 Pc와 제2카메라 Cb 간의 거리와의 거리 c3를 각각 산출한다.
제1보호자 디바이스 Pa는, 제2보호자 디바이스 Pb와 제3보호자 디바이스 Pc로부터 각각 제2보호자 디바이스 Pb와 피보호자 디바이스 F와의 거리 b1, 제2보호자 디바이스 Pb와 제1카메라 Ca 간의 거리 b2, 제2보호자 디바이스 Pb와 제2카메라 Cb 간의 거리 b3, 제3보호자 디바이스 Pc와 피보호자 디바이스 F와의 거리 c1, 제3보호자 디바이스 Pc와 제1카메라 Ca 간의 거리 c2, 제3보호자 디바이스 Pc와 제2카메라 Cb 간의 거리 c3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그런 다음, 제1보호자 디바이스 Pa의 추적모듈(65)은 제1보호자 디바이스 Pa와 피보호자 디바이스 F와의 거리 a1, 제2보호자 디바이스 Pb와 피보호자 디바이스 F와의 거리 b1, 제3보호자 디바이스 Pc와 피보호자 디바이스 F와의 거리 c1을 삼각측량법에 대입하여 피보호자 디바이스 F의 위치정보, 예를 들어 위치좌표를 산출한다.
또한, 제1보호자 디바이스 Pa의 추적모듈(65)은, 제1보호자 디바이스 Pa와 제1카메라 Ca 간의 거리 a2, 제2보호자 디바이스 Pb와 제1카메라 Ca 간의 거리 b2, 제3보호자 디바이스 Pc와 제1카메라 Ca 간의 거리 c2를 삼각측량법에 대입하여 제1카메라 Ca의 위치정보를 산출한다.
마찬가지로, 제1보호자 디바이스 Pa의 추적모듈(65)은, 제1보호자 디바이스 Pa와 제2카메라 Cb 간의 거리 a3, 제2보호자 디바이스 Pb와 제2카메라 Cb 간의 거리 b3, 제3보호자 디바이스 Pc와 제2카메라 Cb 간의 거리 c3를 삼각측량법에 대입하여 제2카메라 Cb의 위치정보를 산출한다.
이렇게 각각 피보호자 디바이스 F, 제1카메라 Ca, 제2카메라 Cb의 위치정보가 산출되면, 제1보호자 디바이스 Pa의 추적모듈(65)은, 피보호자 디바이스 F와 제1카메라 Ca 간의 거리 FCa와, 피보호자 디바이스 F와 제2카메라 Cb간의 거리 FCb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보호자 디바이스 Pa는 피보호자 디바이스 F에 가장 인접한 카메라(30)가 제1카메라 Ca임을 파악할 수 있다. 만약, 피보호자 디바이스 F와 인접한 카메라(30)가 여러 대 있는 경우, 제1보호자 디바이스 Pa에서는 여러 대의 카메라(30) 중 원하는 카메라(30)를 선택하여 해당 카메라(30)로부터 수신된 모니터링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통신모듈(67)은, 보호자 디바이스(50)와 카메라(30) 간의 통신과, 보호자 디바이스(50)와 다른 보호자 디바이스(50) 간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모듈(67)은, 보호자 디바이스(50)와 카메라(30)의 통신 방식, 예를 들면, LTE, WiMAX, 3G, WiFi, 블루투스, LTE-A 통신방식 중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통신모듈(67)을 통해, 보호자 디바이스(50)는 카메라(30)로부터 모니터링 영상을 실시간 스트리밍받거나 다운로드받을 수 있고, 다른 보호자 디바이스(50)로부터 다른 보호자 디바이스(50)와 피보호자 디바이스(10)와의 거리, 다른 보호자 디바이스(50)와 각 카메라(30)와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저장모듈(71)에는 카메라(30)로부터 제공된 모니터링 영상과, 모니터링 영상 중 캡쳐된 화면이 저장되고, 보호자 디바이스(50)와 페어링된 피보호자 디바이스(10)의 식별정보인 ID가 저장된다. 또한, 저장모듈(71)에는 업체명, 업체 ID 등을 포함하는 업체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69)은 모니터링 앱(60)에서 수행되는 동작 중 보호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부(55)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공간에 입장하면, 보호자 디바이스(50)는 해당 공간을 운영하는 업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해야 하며,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 모듈(69)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업체 인증 화면(600)을 제공한다. 업체 인증 화면(600)에는 모니터링 앱(60)을 통한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업체를 인증하기 위해, 업체의 ID를 입력하는 란이 제공된다.
업체의 ID를 입력하고, 해당 업체가 인증되면, 피보호자에게는 피보호자 디바이스(10)가 제공되며, 각 피보호자 디바이스(10)에는 ID가 부여되어 있다. 보호자 디바이스(50)는, 피보호자 디바이스(10)를 추적하기 위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보호자 디바이스(10)의 ID를 입력하는 피보호자 디바이스 ID 입력화면(700)이 제공된다. 보호자가 업체로부터 제공받은 피보호자 디바이스(10)의 ID를 입력하면, 해당 ID 정보는 저장모듈(71)에 저장된다.
한편, 추적모듈(65)에 의해 피보호자 디바이스(10)와 인접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카메라(30)가 선택되면, 통신모듈(67)을 통해 해당 카메라(30)로부터 모니터링 영상을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받거나 다운로드받게 된다. 그러면, 인터페이스 모듈(69)은 앱 제어모듈(73)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선택화면(800)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55)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에는 복수의 카메라(30)에서 제공받은 모니터링 영상의 화면이 정지화면 상태로 표시되고, 각 카메라(30)의 ID, 피보호자 디바이스(10)와 각 카메라(30)와의 거리, 피보호자 디바이스(10)의 위치, 피보호자 디바이스(10)가 위치하는 장소의 온도와 습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 중 하나의 모니터링 영상을 선택하면, 인터페이스 모듈(69)은 해당 모니터링 영상 화면(900)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55)의 전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 영상 화면(900)의 측부에는 모니터링 영상을 녹화할 수 있는 영상 녹화 버튼(910)과, 모니터링 영상의 한 장면을 사진 형태로 저장할 수 있는 캡쳐 버튼(920)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자가 영상 녹화 버튼(910)이나 캡쳐 버튼(920)을 선택하면, 해당 영상이나 사진을 저장모듈(71)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자는 추후에 영상이나 사진을 다시 볼 수 있다.
앱 제어모듈(73)은,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여 보호자에게 피보호자의 모니터링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앱 제어모듈(73)은, 앱의 구동시 인터페이스 모듈(69)을 동작시켜 보호자의 선택에 부합되는 화면을 제공하며, 보호자가 업체 ID를 입력하면 인증모듈(61)을 동작시켜 업체의 인증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앱 제어모듈(73)은 피보호자 디바이스(10)와 각 카메라(30)로부터 위치신호가 수신되면, 추적모듈(65)을 동작시켜 피보호자 디바이스(10)에 인접한 카메라(30)를 선별하고, 통신모듈(67)을 통해 해당 카메라(30)로 모니터링 영상을 요청할 수 있다.
모니터링 영상이 수신되면, 앱 제어모듈(73)은 디스플레이부(55)를 통해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앱 제어모듈(73)은 모니터링 앱(60)이 구동하는 동안, 수집되거나 생성된 정보, 예를 들어, 피보호자 디바이스(10)와 각 카메라(30)간의 거리, 피보호자 디바이스(10) 정보, 모니터링 영상, 및 캡쳐된 사진 등을 저장모듈(71)에 저장할 수 있다.
앱 제어모듈(73)은,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추적모듈(65)을 동작시켜 실시간으로 피보호자 디바이스(10)에 인접한 카메라(30)를 선별함으로써, 피보호자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디바이스의 구성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디바이스(150)는, 피보호자 디바이스(150)에 음성신호를 전달하고, 필요에 따라 피보호자 디바이스(10)에서 진동이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보호자 디바이스(150)는, 모니터링 앱(160), 스피커(180), 마이크(181), 디스플레이부(55)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앱(160)은 피추적 통신모듈(17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 앱(160)은 상술한 모니터링 앱(60)이 구비하는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도록 한다.
마이크(181)는 보호자가 피보호자에게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생성한 음성신호를 입력받으며, 스피커(180)는 피보호자 디바이스(10)로부터 수신된 피보호자의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피추적 통신모듈(175)은, LTE, WiMAX, 3G, WiFi 통신방식, 블루투스, LTE-A 통신 방식 중 하나를 사용하여 보호자 디바이스(150)와 피보호자 디바이스(10)가 양방향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앱 제어모듈(73)은 마이크(181)를 통해 보호자의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피추적 통신모듈(175)을 통해 보호자의 음성신호를 피보호자 디바이스(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앱(160)은 피보호자의 선택에 따라, 피보호자를 진동시킬 것을 명령하는 신호를 피추적 통신모듈(175)을 통해 피보호자 디바이스(10)로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69)은, 모니터링 앱(160)의 구동 중, 보호자가 음성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영상 화면(1100)에 스피커 아이콘(113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모듈(69)은, 보호자의 음성신호가 피보호자 디바이스(10)에서 출력되는 동안 피보호자 디바이스(10)가 진동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선택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영상 화면(1100)에 진동 아이콘(1140)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진동 아이콘(1140) 없이 음성신호가 피보호자 디바이스(10)에서 출력되는 동안 진동이 자동으로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디바이스의 구성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보호자 디바이스(110)는, 상술한 실시예에 개시된 위치신호 발생부(15)와 함께, 보호자 디바이스(50)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피추적 통신부(123), 보호자 디바이스(50)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19), 보호자 디바이스(50)로 송신되는 음성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117),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121), 피보호자 디바이스(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피추적 제어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신호 발생부(15)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마이크(117)에서 입력된 피보호자의 음성신호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직접 보호자 디바이스(50)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위치신호 발생부(15)에서 위치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음성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피추적 통신부(123)는, 단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사용하여 보호자 디바이스(50)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피추적 통신부(123)는 보호자 디바이스(50)에서 입력된 보호자의 음성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자 디바이스(50)에서 입력된 보호자의 음성신호는 보호자인 보호자 등이 피보호자인 피보호자에게 주의를 주거나 공지를 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피추적 통신부(123)는 보호자 디바이스(50)와 피보호자 디바이스(110) 간의 양방향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추적 통신부(123)는 LTE, WiMAX, 3G, WiFi, 블루투스, LTE-A 통신방식 등을 지원할 수 있으며, 피추적 통신부(123)의 통신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피추적 제어부(125)는, 피추적 통신부(123)를 통해 보호자 디바이스(50)로부터 음성신호가 수신되면, 피추적 제어부(125)는 수신된 음성신호가 스피커(119)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피추적 제어부(125)는, 보호자 디바이스(50)로부터 음성신호가 수신되어 스피커(119)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보호자 디바이스(50)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진동부(121)를 동작시켜 진동이 발생되도록 한다. 즉, 피추적 통신부(123)를 통해 진동부(121)를 동작시키라는 명령신호가 수신되면, 피추적 제어부(125)는 음성신호와 함께 진동부(121)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렇게 음성신호와 진동을 함께 발생시킬 경우, 피보호자는 진동을 느끼면, 스피커(119)를 통해 음성신호가 출력됨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음성신호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아동이나 치매 어르신의 경우에는 스피커(119)를 통해 음성이 출력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간과할 수 있으므로, 진동부(121)를 통해 주의를 끌어 음성신호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진동부(121)는 휴대폰 등 소형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소형의 진동모터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중 카메라의 구성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각 카메라(130)에서 피보호자 디바이스(10)의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각 카메라(130)에서 피보호자 디바이스(10)와 각 카메라(130)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 정보를 보호자 디바이스(50)로 전달하여 피보호자 디바이스(10)의 모니터링 영상을 촬영한 카메라(130)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130)는, 상술한 촬영부(31), 영상저장부(33), 무선통신부(35), 위치신호 발생부(145), 카메라 제어부(39)와 함께 위치신호 수신부(141)와 거리 산출부(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부(31), 영상저장부(33), 무선통신부(35), 위치신호 발생부(145), 카메라 제어부(39)는 상술하였으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위치신호 수신부(141)는, 피보호자 디바이스(10)에서 생성되는 위치신호를 수신하며, 거리 산출부(143)에서는 수신된 위치신호의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피보호자 디바이스(10)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위치신호 발생부(145)는, 카메라(130)의 ID와, 피보호자 디바이스(10)와의 거리를 위치신호에 포함시켜 브로드캐스트한다.
또는, 카메라 제어부(39)에서 무선통신부(35)를 통해 카메라(130)의 ID, 및 카메라(130)와 피보호자 디바이스(10)와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보호자 디바이스(50)로 전송할 수 있다.
보호자 디바이스(50)의 추적모듈(65)에서는, 두 대 이상의 카메라(130)에서 제공한 피보호자 디바이스(10)와 각 카메라(130)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피보호자 디바이스(10)와 근접한 거리에 있는 카메라(130)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보호자 디바이스(50)에서는 해당 카메라(130)로 모니터링 영상을 요청하고, 제공받은 모니터링 영상을 디스플레이부(55)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피보호자를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호자 디바이스(50)의 모니터링 앱에 업체 식별정보가 입력되고, 업체의 인증이 이루어지면, 피보호자에게 부여된 피보호자 디바이스(10)에 대한 정보를 보호자 디바이스(50)에 입력한다.
피보호자 디바이스(10)가 턴온되면, 피보호자 디바이스(10)와, 업체의 서비스 공간내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30)로부터 위치신호가 발생되어 브로드캐스트된다(S1400). 이와 동시에, 복수의 카메라(30)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서는 피보호자를 촬영하여 모니터링 영상을 생성한다.
보호자 디바이스(50)와, 근처의 다른 보호자 디바이스(50)에서 피보호자 디바이스(10)와 복수의 카메라(30)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하면, 보호자 디바이스(50)와 다른 보호자 디바이스(50)는 추적모듈(65)을 동작시켜, 자신과 피보호자 디바이스(10)와의 거리, 자신과 복수의 카메라(30)와의 거리를 산출한다(S1410). 그런 다음,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복수의 보호자 디바이스(50)에서 수집된 보호자 디바이스(50)와 피보호자 디바이스(10)와의 거리, 보호자 디바이스(50)와 각 카메라(30)와의 거리를 이용하여 피보호자 디바이스(10)와 각 카메라(30)의 위치를 파악한다(S1420).
측량이 완료되면, 피보호자 디바이스(10)와 각 카메라(30)의 위치를 이용하여 피보호자 디바이스(10)와 각 카메라(30)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S1430), 피보호자 디바이스(10)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30)를 선택한다(S1440). 그런 다음, 피보호자 디바이스(10)는 해당 카메라(30)에 무선접속하여 모니터링 영상을 실시간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받는다(S1450). 피보호자 디바이스(10)에 인접한 카메라(30)가 여러 대일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 선택화면(800)이 제공되고, 보호자 디바이스(50)에서 특정 영상이 선택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니터링 영상 화면(900)이 디스플레이된다(S1460).
이렇게 모니터링 영상이 플레이되는 중, 보호자가 영상 녹화 버튼(910)이나 캡쳐 버튼(920)을 선택하면, 앱 제어모듈(73)은 해당 영상이나 사진을 저장모듈(71)에 저장하여 나중에도 볼 수 있다.
한편, 보호자 디바이스(50)에서 모니터링 영상이 플레이되는 중, 보호자가 피보호자에게 주의나 지시 등을 주고 싶은 경우, 모니터링 영상 화면(1100)에서 스피커 아이콘(1130)을 선택하여 음성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고, 진동 아이콘(1140)을 선택하여 피보호자 디바이스(10)에서 진동이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피보호자 디바이스(10)에서 발생한 음성신호를 수신받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피보호자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피보호자 디바이스(10)와 카메라(30)의 위치를 모르는 상태에서도 피보호자 디바이스(1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피보호자 디바이스(10)와 인접한 카메라(30)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피보호자 디바이스(10)와 인접한 카메라(30)에서 촬영된 피보호자의 모니터링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보호자를 용이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카메라(3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미리 구비하지 않아도 피보호자의 모니터링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업체에서는 카메라(30) 위치 정보를 미리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보호자 디바이스(50)에서는 카메라(30) 위치 정보를 일일이 다운로드받아야 할 필요가 없으므로, 피추적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시간과, 서비스 이용을 위한 준비 시간이 절약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자 디바이스(50)와 피보호자 디바이스(10) 간에 음성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므로, 피보호자의 상태를 보다 정확히 알 수 있으며, 피보호자가 다친다던지 하는 비상상황에 보다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피보호자 디바이스 15 : 위치신호 발생부
30 : 카메라 31 : 촬영부
33 : 영상저장부 35 : 무선통신부
37 : 위치신호 생성부 39 : 카메라 제어부
50 : 보호자 디바이스 55 : 디스플레이부
60 : 모니터링 앱 61 : 인증모듈
63 : 위치신호 수신모듈 65 : 추적모듈
67 : 통신모듈 69 : 인터페이스 모듈
71 : 저장모듈 73 : 앱 제어모듈

Claims (21)

  1. 미리 설정된 통신방식에 따른 위치신호를 발생시키는 피보호자 디바이스;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의 소유자를 촬영하여 모니터링 영상을 생성하며, 자신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위치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카메라; 및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서 발생된 위치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에 인접한 카메라로부터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가 촬영된 모니터링 영상을 제공받는 보호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는 상기 위치신호로서 비콘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치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는,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위치신호 수신모듈과,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각각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판단하는 추적모듈과,
    상기 복수의 카메라 및 다른 보호자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제공받은 모니터링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앱 제어모듈을 갖는 모니터링 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모듈은,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에서 제공된 위치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적어도 두 개의 다른 보호자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된 상기 다른 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모듈은,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서 제공된 위치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적어도 두 개의 다른 보호자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된 상기 다른 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모듈은,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의 위치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에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앱 제어모듈은, 상기 추적모듈에서 판단된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 모니터링 영상을 요청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제공받은 모니터링 영상이 외부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앱 제어모듈은,
    상기 모니터링 영상의 플레이 중 상기 모니터링 영상을 레코딩하거나 상기 모니터링 영상의 한 장면을 캡쳐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는,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와의 양방향 통신을 위한 피추적 통신부;
    상기 피추적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의 소유자로부터 생성된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부는 상기 피추적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명령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11. 미리 설정된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위치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는 피보호자 디바이스;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의 소유자를 촬영하여 모니터링 영상을 생성하며,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복수의 카메라; 및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서 측정한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선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상기 모니터링 영상을 제공받는 보호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와의 거리 정보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각각의 식별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위치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와의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며,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와의 거리 정보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각각의 식별정보를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14. 피보호자가 소지하는 피보호자 디바이스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위치신호와,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각각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파악단계;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산출단계;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에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판단하는 선택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상기 피보호자에 대한 모니터링 영상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보호자 모니터링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파악단계는,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에서 제공된 위치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적어도 두 개의 다른 보호자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된 상기 다른 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보호자 모니터링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파악단계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서 제공된 위치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적어도 두 개의 다른 보호자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된 상기 다른 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보호자 모니터링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산출단계는,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의 위치와 상기 각 카메라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각 카메라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보호자 모니터링 방법.
  18. 피보호자가 소지하는 피보호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위치신호와 복수의 카메라로부터의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위치신호 수신모듈과,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각각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에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판단하는 추적모듈과,
    상기 복수의 카메라 및 다른 보호자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제공받은 모니터링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앱 제어모듈을 갖는 모니터링 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디바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모듈은,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에서 제공된 위치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적어도 두 개의 다른 보호자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된 상기 다른 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디바이스.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모듈은,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서 제공된 위치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적어도 두 개의 다른 보호자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된 상기 다른 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디바이스.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모듈은,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의 위치와 상기 각 카메라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와 상기 각 카메라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피보호자 디바이스에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디바이스.
KR1020150017296A 2015-02-04 2015-02-04 보호자 디바이스,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962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296A KR20160096256A (ko) 2015-02-04 2015-02-04 보호자 디바이스,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296A KR20160096256A (ko) 2015-02-04 2015-02-04 보호자 디바이스,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256A true KR20160096256A (ko) 2016-08-16

Family

ID=56854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7296A KR20160096256A (ko) 2015-02-04 2015-02-04 보호자 디바이스,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625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07897A (ja) * 2016-05-18 2017-11-24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WO2018021839A1 (ko) 2016-07-28 2018-02-01 주식회사 큐어바이오 신규한 aimp1 단백질의 단편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US20220005336A1 (en) * 2020-07-02 2022-01-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5868966A (zh) * 2022-12-12 2023-03-31 北京顺源辰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智能行动辅助***和智能行动辅助方法
KR102635981B1 (ko) * 2023-02-06 2024-02-13 김영숙 양육 지원 상담 및 코칭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07897A (ja) * 2016-05-18 2017-11-24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WO2018021839A1 (ko) 2016-07-28 2018-02-01 주식회사 큐어바이오 신규한 aimp1 단백질의 단편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US20220005336A1 (en) * 2020-07-02 2022-01-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5868966A (zh) * 2022-12-12 2023-03-31 北京顺源辰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智能行动辅助***和智能行动辅助方法
KR102635981B1 (ko) * 2023-02-06 2024-02-13 김영숙 양육 지원 상담 및 코칭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7073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EP3595341B1 (en) Method, server,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10514708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unmanned aerial vehicle
KR20160096256A (ko) 보호자 디바이스, 피보호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037262A1 (en) Data storage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1689621B1 (ko) 이중 와이파이 접속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공유 시스템
US8478308B2 (en) Positioning system for adding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etadata of an image and positioning method thereof
KR101481051B1 (ko) 개인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846954B2 (en) Method for monitoring vehicle and monitoring apparatus
US1202223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data thereof
KR101145543B1 (ko) 피보호자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381886A1 (en) Camera Controll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Camera Operation
US201403337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reating and processing media files
KR101672268B1 (ko) 전시공간 제어 시스템 및 전시공간 제어방법
KR20140136278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ptz 감시 장치 및 감시 시스템
JP5098966B2 (ja) 撮像装置
JP6486654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
JP6690839B2 (ja) 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54591B2 (ja) 移動情報蓄積システム及び移動情報蓄積方法
JP5318821B2 (ja) 画像提供方法および画像提供システム
JP2019062366A (ja) 端末装置、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JP6923262B2 (ja) 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91957B2 (ja) 画像提供方法および画像提供システム
KR101986681B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20200152031A1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