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619B1 -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619B1
KR101012619B1 KR1020070071009A KR20070071009A KR101012619B1 KR 101012619 B1 KR101012619 B1 KR 101012619B1 KR 1020070071009 A KR1020070071009 A KR 1020070071009A KR 20070071009 A KR20070071009 A KR 20070071009A KR 101012619 B1 KR101012619 B1 KR 101012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flat conductor
terminal
housing
balan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8250A (ko
Inventor
하루히코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8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소형화이고, 평형 도체의 빠짐 방지를 확실히 도모할 수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수단) 복수의 단자 (12) 를 배열 유지하는 절연재의 하우징 (11) 에, 평형 도체 (1) 를 위한 수용 공간 (15D) 이 형성되고, 수용 공간 (15D) 에 삽입되는 평형 도체 (1) 의 접속 부분과 접촉하는 단자 (12) 의 접촉부 (18A) 가 배열되고, 하우징 (11) 에는 단자 (12) 의 배열 방향 단부에 금구 (13) 가 장착되고, 가압 부재 (14) 에 의해 평형 도체 (1) 의 접속 부분과 단자 (12) 의 접촉부의 접압을 높이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금구 (13) 는 하우징 (11) 에 장착되는 피장착부 (23) 와, 단자 (12) 의 배열 범위 외에서 피장착부 (23) 로부터 평형 도체 (1) 의 측단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아암부 (24) 와, 아암부 (24) 로부터 단자 (12) 의 배열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 돌출부 (25) 를 가지며, 연장 돌출부 (25) 가 평형 도체 (1) 의 측가장자리부 근방까지 연장되어, 평형 도체 (1) 의 두께 방향에서 연장 돌출부 (25) 가 평형 도체 (1) 와 중복되는 범위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본 발명은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평형 도체로는, 플렉시블 기판 (FPC), 플랫 케이블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평형 도체는 회로 기판에 장착된 전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경우가 많다.
평형 도체는 커넥터에 접속되어야 하는 선단부의 접속 부분의 반대면에 보강 시트가 점착된다. 커넥터로부터의 빠짐 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이 보강 시트의 양측 가장자리에 걸림단부, 예를 들어 귀부나 노치 오목부를 형성하고, 커넥터의 대응 걸림 부재와 서로 걸려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에서는, 커넥터의 하우징이 평형 도체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가지며, 그 수용 공간의 단자 배열 방향 양단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 볼록부는, 하우징의 일부로서 그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평형 도체의 접속 부분이 상기 수용 공간으로 소정 깊이까지 삽입되었을 때, 그 평형 도체의 측가장자리에 돌출되어 형성된 귀부와 걸려 고정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사용시에는, 평형 도체는 그 접속 부분이 전방을 향하여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귀부가 상기 볼록부를 타고 넘어, 상기 평형 도체의 접속 부분이 수용 공간 내에 들어가고,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된 단자의 접촉부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상기 귀부의 후면이 상기 볼록부의 전면 (前面) 과 대향하고, 평형 도체는 예기치 않게 그 발출 방향으로 당겨져도, 귀부와 볼록부가 동 방향에서 서로 걸려 고정되어 평형 도체는 빠지지 않는다. 또한, 특허 문헌 1 의 커넥터는, 평형 도체를 단자의 접촉부와의 접압을 높이기 위해, 가동 (可動) 인 가압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16495호
이러한 전기 커넥터는, 평형 도체가 매우 가는 도체를 극소 피치로 가요 띠형상으로 정렬하여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에 대응하여 단자가 극소 피치로 배열되어 있다. 즉, 단자의 배열 방향에서의 커넥터의 소형화가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 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평형 도체의 귀부와 서로 걸려 고정되는 볼록부가 하우징과 일체적으로, 즉 하우징과 동일한 재질의 합성 수지로 제조되어 있고, 평형 도체의 예기치 않은 발출력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상기 볼록부는 충분히 큰 것이어야 한다. 이 볼록부는 평형 도체의 측가장자리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가 커진다는 것은, 단자의 배열 방향에서의 커넥터 치수를 그만큼 크게 하는 것을 의미하여, 동 방향에서의 상기 소형화와는 역행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단자의 배열 방향에서의 커넥터의 소형화를 저해하지 않고, 평형 도체의 예기치 않은 발출력에 충분히 대항할 수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단자를 배열 유지하는 절연재의 하우징에, 평형 도체를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그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상기 평형 도체의 접속 부분과 접촉하는 단자의 접촉부가 배열되고, 하우징에는 단자의 배열 방향 단부에 금구가 장착되어 있고, 그 접촉부에 대하여 상기 평형 도체의 접속 부분을 배치한 후, 하우징, 단자, 그리고 금구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가동으로 지지된 가압 부재를 소정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평형 도체의 접속 부분과 단자의 접촉부의 접압을 높이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금구는, 하우징에 장착되는 피장착부와, 단자의 배열 범위 외에서 그 피장착부로부터 평형 도체의 측단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아암부와, 그 아암부로부터 단자의 배열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 돌출부를 가지며, 그 연장 돌출부가 평형 도체의 측가장자리부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고, 또한 그 평형 도체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연장 돌출부가 평형 도체와 중복되는 범위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평형 도체의 측가장자리부에 귀부나 오목부를 이루는 걸림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금구의 연장 돌출부가 평형 도체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걸림단부와 중복되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평형 도체가 소정 위치로의 설정 후에, 후방, 즉 발출 방향으로 예기치 않게 당겨져도, 상기 연장 돌출부의 전면과 걸림단부의 대응면이 상기 평형 도체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중복되는 범위에서 맞닿아 평형 도체의 발출이 저지된다.
상기 연장 돌출부는 금속이기 때문에 그 강도는 크고, 상기 예기치 않은 발출 방향의 힘에 대하여, 치수를 크게 하지 않아도 충분히 대항할 수 있다. 이것은, 연장 돌출부의 연장 돌출 방향, 그리고 두께 방향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연장 돌출부가 평형 도체의 양측 가장자리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위치해도 단자 배열 방향으로 커넥터가 대형화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두께 방향에서는, 연장 돌출부는 평형 도체의 두께와 중복되어 있기 때문에, 이 방향에서의 대형화도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금구는 금속판을 가공하여 제조되어 있고, 아암부의 판면이 평형 도체의 측단면과 평행하고, 연장 돌출부의 판면이 평형 도체의 접속 부분의 면과 평행하게 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단자의 배열 방향에서의 아암부의 치수, 그리고 평형 도체의 두께 방향에서의 연장 돌출부의 치수 모두를 상기 금속판의 두께로 할 수 있고, 금속판의 두께는 통상 그다지 크지 않기 때문에, 커넥터는 대형화되지 않는다. 또한, 연장 돌출부는 그 판면에 평행한 방향에서, 평형 도체로부터의 힘을 받기 때문에, 이 힘에 대한 강성이 크고 강도는 충분하다.
연장 돌출부는 평형 도체의 측가장자리부에 돌출 형성된 귀부 또는 몰입 형성된 오목부를 이루는 걸림단부와 평형 도체의 두께 방향에서 중복되는 면이 그 걸림단부의 대응면과 평행한 걸림면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연장 돌출부의 걸림면은 평형 도체의 걸림단부와 면접촉된다. 따라서, 평형 도체를 예기치 않게 발출하고자 하는 힘이 다소 커도, 연장 돌출부의 걸림면, 그리고 걸림단부의 대응면에서의 응력은 작아진다.
걸림단부가 귀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대응하도록, 금구는 연장 돌출부의 기부에 인접하여, 아암부 상부 가장자리에 평형 도체의 귀부를 수용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단부는 가장 단순한 형태의 귀부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에 대응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귀부가 홈부에 수용되면, 그 위치가 안정됨과 함께, 연장 돌출부 전면과의 접촉 면적도 커진 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연장 돌출부는 연장 돌출 방향 선단의 단면이 평형 도체의 측단면과 평행한 규제면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형 도체는 귀부 등의 걸림단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도 있고, 이러한 평형 도체에 대해서는, 상기 규제면은 평형 도체를 그 폭방향, 즉 단자 배열 방향에서 위치를 규제하여, 평형 도체를 동 방향에서 정규 위치하에 단자의 접촉부 상에 가져온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하우징에 금구를 장착하고, 그 금구의 아암부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연장 돌출부가, 평형 도체의 측가장자리부와 걸려 고정되도록 했기 때문에, 금구가 고강도이므로, 평형 도체의 예기치 않은 발출력에 대하여, 작은 금구라도 이 발출력에 충분히 대항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커넥터의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소형화에 공헌한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전체를 나타내는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 커넥터 (10) 로 화살표 A 로 나타나는 전방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평형 도체 (1) 는, 도체 자체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도면에서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가는 도체가 인접하여 상기 X 방향에 직각인 Y 방향에 배열된 상태에서 일체화되어 띠형상 케이블체 (2) 를 이루고 있다. 그 평형 도체 (1) 는 선단 (우단) 하면에서 각 케이블이 노출되어 접속 부분을 형성하고 있고, 상면에는 보강 시트 (3) 가 점착되 어 있다. 이러한 평형 도체 (1) 의 보강 시트 (3) 의 선단측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귀형상의 걸림단부 (4)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 은 후술하는 가압 부재 (14) 가 개방 위치, 도 2 는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평형 도체 (1) 가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 (10) 는,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상에 배치되는 전기 절연재의 하우징 (11) 과, 그 하우징 (11) 에 의해 배열 유지된 복수의 평판 형상의 단자 (12) 와, 단자 배열 방향에서 양측 단부에 위치하는 단자에 인접하여 하우징 (11) 에 장착된 금구 (13) 와, 단자 (12), 그리고 하우징 (11) 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절연재의 가압 부재 (14) 를 갖고 있다.
단자 (12) 의 위치에서 그 판면에 평행한 면에서의 단면도인 도 3 및 하우징 (11) 의 상벽 (11B) 의 일부와 가압 부재 (14) 의 일부분을 파단한 평면도인 도 4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우징 (11) 에는 단자 수용 홈 (15) 이 형성되어 있다. 그 단자 수용 홈 (15) 은, 금속판으로 제조된 평상 (平狀) 의 단자 (12) 의 판두께에 상당하는 홈 폭의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3 에 있어서 지면에 평행한 면으로 연장되고, 지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정피치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도 4 도 참조). 상기 단자 수용 홈 (15) 은, 도 3 에서, 좌단측에서 좌측에, 좌측 절반부에서 상방에, 우단측에서 우측에, 각각 개구된 좌부 개구 (15A), 상부 개구 (15B), 그리고 우부 개구 (15C) 를 갖고 있다. 복수의 단자 수용 홈 (15) 의 상부 개구 (15B) 는 지면에 직각 방향으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의 단자 수용 홈 (15) 에 수용되는 단자 (12) 는, 금속판을 외형 가공하여 평판 형상으로 제조되어 있고, 도 3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우부 개구 (15C) 에 압입되는 장착부 (16), 이 장착부 (16) 에 대하여 역방향에서 좌측으로 연장되는 접속 아암 (17), 이 접속 아암 (17) 보다 상방에서 그 접속 아암 (17) 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접촉 아암 (18), 장착부 (16) 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후에 굴곡하여 좌측으로 연장되는 지지 아암 (19) 을 갖고 있다.
단자 (12) 는, 가압 부재 (14) 가 아직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도 3 에서, 좌측으로부터 상기 단자 수용 홈 (15) 에 삽입되고, 장착부 (16) 가 우부 개구 (15C) 에 진입하고, 그 장착부 (16) 에 형성된 걸림부 (16A) 가 상기 우부 개구 (15C) 의 상벽면에 파고 들어가 빠짐 방지를 도모하고 있고, 또 접속 아암 (17) 의좌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접속부 (17A) 의 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고정 홈 (17B) 이 하우징 (11) 의 저벽의 좌단에 끼워 장착되고, 여기에서도 단자 (12) 는 하우징 (11) 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접속부 (17A) 의 하측 가장자리는 하우징 (11) 의 하벽 (11A) 의 저면보다 약간 하방으로 나와 있어 회로 기판 상에서의 대응 접속 회로부와의 땜납 접속을 확실하게 하고 있다.
접촉 아암 (18) 은, 비교적 짧지만 가늘게 형성되어 있고, 도 3 에서 상하 방향으로 휨 탄성을 가지며, 선단에는 상방을 향한 돌출부 형상의 접촉부 (18A) 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아암 (19) 은, 상부 가장자리가 하우징 (11) 의 상벽 (11B) 의 내면에 근접해 있고, 선단측이 상기 상벽 (11B) 보다 앞쪽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부 개구 (15B) 의 위치까지 미치고 있다. 이 지지 아암 (19) 의 선단측은 역 U 자 형상 으로 굴곡되며, 그 홈부가 가압 부재 (14) 를 위한 회전 운동 지지부 (20) 를 형성하고 있다. 이 선단측은, 상부 개구 (15B) 내에 있으며, 가요성을 갖고 있다.
상기 접촉 아암 (18) 과 지지 아암 (19) 사이에서는, 상기 단자 수용 홈 (15) 은, 도 3 에 있어서, 지면에 직각 방향으로 연통되어 있고, 좌측으로부터 평형 도체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수용 공간 (15D) 을 형성하고 있다.
가압 부재 (14) 는, 도 1, 도 2, 그리고 도 4 에 나타나는 평판 형상, 도 3 에서 보면 레버 형상을 하고 있다. 이 가압 부재 (14) 는 단자 (12) 의 배열 범위를 충분히 커버하는 폭을 갖고 있다. 그 가압 부재 (14) 는, 도 3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평형 도체 (1) 의 선단부 (접속 부분) 를 단자 (12) 의 접촉부 (18A) 상에 위치하도록 좌부 개구 (15A) 로부터 삽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개방 위치로부터, 도 2 에 나타나는 수평 자세를 취하는 폐쇄 위치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가압 부재 (14) 는, 단자 (12) 의 회전 운동 지지부 (20) 에 의해 회전 운동 지지되어 있다.
가압 부재 (14) 는, 단자 (12) 의 배열 방향에서 그 단자 (12) 에 대응하는 위치에 슬릿 형상의 홈 (21) 이 형성되어 있어, 단자 (12) 의 지지 아암 (19) 의 선단부의 진입을 허용하고 있다. 이 홈 (21) 내에는 도 3 과 같이, 섬형상의 축부 (22)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축부 (22) 가 단자 (12) 의 회전 운동 지지부 (20) 에서 회전 운동 안내된다 (도 4 도 참조). 또, 가압 부재 (14) 는, 상기 축부 (22) 의 근방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가 회전 운동시에 평형 도체를 누르는 가압부 (23) 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압 부재 (14) 는, 상기 축부 (22) 뿐만 아니라, 도 4 에서 양단 (도 4 에서는 우단측에만 도시) 에 형성된 부축부 (22A) 에서 하우징 (11) 의 대응 지지부 (11C) 에 의해서도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이 가압 부재의 가동 지지는, 단자 (12), 하우징 (11), 금구 (13) 중 적어도 하나로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도 2, 그리고 도 4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금구 (13) 가 하우징 (11) 에 장착되어 있다.
이 금구 (13) 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금속판을 가공하여 제조되어 있고, 하우징 (11) 에 장착되는 피장착부 (23) (도 4 참조) 와, 그 피장착부 (23) 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아암부 (24) 와, 그 아암부 (24) 의 후부로부터 굴곡 형성된 연장 돌출부 (25) 를 갖고 있다. 상기 피장착부 (23) 는, 상기 아암부 (24) 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예를 들어 하우징의 대응 장착 홈 (11D) 으로 압입 장착된다. 이 대응 장착 홈 (11D) 은 수용 공간과의 사이에 강도를 유지하는 데 충분한 두께의 하우징 부분을 확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암부 (24) 는, 단자 (12) 의 배열 범위 외에서 상기 피장착부 (23) 로부터 후방을 향해 하우징 (11) 밖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아암부 (24) 의 판면이 평형 도체의 측단면과 평행, 그리고 단자 (12) 의 판면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아암부 (24) 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하기 서술하는 연장 돌출부 (25) 에 인접하여 홈부 (24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 (24A) 는, 기술한 평형 도체 (1) 의 귀형상의 걸림단부 (4) 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크기로 되어 있다.
상기 연장 돌출부 (25) 는, 도 1, 그리고 도 2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아암 부 (24) 의 후단측에서 기립한 후에 단자 (12) 의 배열 범위 내측을 향해 굴곡되어, 그 연장 돌출부 (25) 의 판면이 평형 도체의 면과 평행하도록 연장되고, 그 선단부가 하방으로 굴곡되어 있다. 그 선단부는, 바람직한 형태로서, 하우징 상면 (11E) 에 형성한 오목부 (11F)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하우징 상면 (11E) 상에 배치된 평형 도체는 그 걸림단부가 연장 돌출부의 전면과 확실하게 걸려 고정된다. 도 4 에서의 일점쇄선 P 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 연장 돌출부 (25) 의 연장 돌출 방향 선단면 (규제면 (25B)) 은 평형 도체 (1) 의 측단 가장자리가 접하는 수용 공간 (15D) 의 내측 벽면과 상기 연장 돌출 방향에서 거의 일치하는 위치에 있다. 이 연장 돌출부 (25) 는, 평형 도체 (1) 가 커넥터에 대하여 정규 위치에 삽입 배치되었을 때, 그 평형 도체 (1) 의 보강 시트 (3) 와 그 두께 방향에서 중복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평형 도체 (1) 가 정규 위치까지 삽입되어, 그 귀형상의 걸림단부 (4) 가 금구 (13) 의 아암부 (24) 에 형성된 홈부 (24A) 에 수용되면, 그 걸림단부 (4) 의 후면이 상기 연장 돌출부 (25) 의 복수의 전면에서 형성된 걸림면 (25A) 과 대면하게 된다. 또, 이 연장 돌출부 (25) 의 연장 돌출 방향 선단면에서 형성된 규제면 (25B) 은 평형 도체 (1) 의 측단면과 대면한다. 또, 상기 연장 돌출부 (25) 로부터 아암부 (24) 에 걸쳐, 상기 금구 (13) 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회로 기판에 땜납에 의해 고정 장착이 이루어지는 고정부 (13A) 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사용 요령에 관해서 설명한다.
(1) 먼저, 커넥터 (10) 를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 고, 단자 (12) 의 접속부 (17A) 를 대응 회로부에 땜납 접속함과 함께, 금구 (13) 의 고정부 (13A) 를 회로 기판의 대응부에 땜납 고정시킨다. 또, 한편에서는, 상기 커넥터 (10) 에 접속되는 평형 도체 (1) 를 준비한다. 평형 도체 (1) 는, 보강 시트 (3) 를 형성하기 전에 있어서의 폭 (단자 배열 방향) 치수가, 동 방향 양단의 금구 (13) 의 연장 돌출부 (25) 의 규제면 (25B) 끼리간의 간격과 거의 동일한 것이 준비되고, 이 평형 도체의 선단측의 하면에서 도체가 노출되고, 상면에 보강 시트 (3) 가 장착되어 접촉 부분을 형성한다. 보강 시트 (3) 는, 그 폭이 평형 도체 (1) 의 폭과 거의 동일한데, 일부에서 귀형상으로 돌출되어 걸림단부 (4)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단부 (4) 의 돌출량은 평형 도체 (1) 가 커넥터의 정규 위치에 삽입되었을 때, 커넥터의 금구 (13) 의 아암부 (24) 에 형성된 홈부 (24A) 까지 도달하고, 여기에 수용되는 형상, 그리고 치수로 형성된다.
(2) 다음으로, 가압 부재 (14) 를 도 1, 그리고 도 3 에 나타나는 개방 위치로 하고, 커넥터의 좌부 개구 (15A) 를 크게 개구시켜 놓는다.
(3) 다음으로, 평형 도체 (1) 를 상방 및 화살표 A 방향의 경사 상방향으로부터 삽입하여, 그 귀형상의 걸림단부 (4) 가 금구 (13) 의 연장 돌출부 (25) 를 타고 넘어 홈부 (24A) 에 수용되도록 배치한다. 걸림단부 (4) 가 홈부 (24A) 에 수용되면, 평형 도체 (1) 의 접속 부분의 하면에서 노출되는 케이블은 자연히 단자 (12) 의 접촉부 (18A)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 시점에서, 평형 도체 (1) 는 후방을 향하여 힘을 받아도, 상기 걸림단부 (4) 가 홈부 (24A) 로부터 빠지지 않는 한, 발출되지는 않는다.
(4) 그리고 나서, 가압 부재 (14) 를, 도 2 에 나타나는 폐쇄 위치로 회전 운동한다. 가압 부재 (14) 는, 그 가압부 (23) 에 의해 평형 도체 (1) 를 단자 (12) 에 눌러 그 접촉부 (18A) 와 접압을 높인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 가압 부재 (14) 는 평형 도체 (1) 의 상부에 매우 가깝게 있기 때문에, 평형 도체 (1) 는 커넥터 (10) 와 전기적으로 확실히 접속되고, 또한 커넥터 (10) 로부터 들뜨는 것이 방지된다.
(5) 평형 도체 (1) 는 그 걸림단부 (4) 의 후측 가장자리가 금구 (13) 의 연장 돌출부 (25) 의 앞측 가장자리의 판두께면인 걸림면 (25A), 즉 홈부 (24A) 의 후측 가장자리와 대향하고 있어, 가압 부재 (14) 가 개방 상태일 때 평형 도체 (1) 가 삽입 직후의 상태에 있거나, 폐쇄 상태에서 평형 도체 (1) 가 단자 (12) 와 접속 상태에 있어도, 평형 도체 (1) 가 후방으로 당겨졌을 때, 걸림단부 (4) 가 연장 돌출부 (25) 의 판두께면에 맞닿아 빠지는 것이 저지되는 것은 물론, 접촉부 (18A) 와 평형 도체 (1) 의 도체의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는 정규의 위치로부터 어긋나지도 않는다.
(6) 다음으로, 평형 도체 (1) 가 보강 시트 (3) 에 귀부 등의 걸림단부를 갖지 않은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도 5 와 같이, 평형 도체 (1), 그리고 보강 시트 (3) 의 폭을 금구 (13) 의 연장 돌출부 (25) 끼리간 거리의 치수로 설정 또는 선정한다.
평형 도체 (1) 의 폭이 상기 거리와 동일하고, 귀부 등의 걸림단부를 갖지 않을 때에는, 가압 부재 (14) 를 개방 위치로 한 상태에서, 평형 도체 (1) 를 커넥 터 내에 삽입하면 평형 도체 (1) 는 그 측가장자리에서 상기 연장 돌출부 (25) 의 규제면 (25B) 으로 안내되면서 폭방향에서 정규 위치에 유지되어 삽입된다. 그리고 나서, 가압 부재 (14) 를, 도 5 에 나타나는 폐쇄 위치로 회전 운동하여 평형 도체 (1) 를 단자 (12) 에 누른다.
또, 평형 도체 (1) 의 폭이 상기 거리보다 작을 때에는, 평형 도체 (1) 에 장착되는 보강 시트 (3) 를 상기 거리의 치수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보강 시트에 귀부 등의 걸림단부를 형성하면, 빠짐 방지가 완전하게 되고, 형성하지 않을 때에도, 삽입시에 상기 규제면에 의해 안내되어 폭방향의 위치가 설정된다.
이와 같이, 연장 돌출부는, 평형 도체에 걸림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그리고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어느 경우에도 겸용되어 유효하게 작용한다.
본 발명은,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평형 도체의 걸림단부는 도시된 귀형상부인 것이 아니어도, 평형 도체의 측가장자리에 형성된 오목부이어도 된다. 요컨대, 연장 돌출부의 전면과 걸려 고정되는 후면을 갖는 단형상 부분이 걸림단부로서 형성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금구의 연장 돌출부는, 도시하는 형태와 같이 금속판을 굴곡 형성한 것이 아니어도 되고, 금구가 금속 부재이고, 평형 도체와 그 두께 방향에서 중복되어 있으면 된다. 즉, 부분적으로라도 연장 돌출부의 전면이 평형 도체에 점착된 보강 시트의 걸림단부의 후면과, 전후 방향에서 대면하고 있으면 된다. 즉, 연장 돌출부는 매우 단순한 평판 형상이어도 되고, 도시하는 형태와 같이 연장 돌출 방향 선단이 굴곡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연장 돌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측 가장자리 를 굴곡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아암부나 홈부보다 높이 방향으로 높게 형성된 연장 돌출부의 선단측을 후방, 즉 하우징 내측을 향해 굴곡시키거나, 또는 하우징 내측을 향해 굴곡시키고 나서 추가로 아암부측을 향해 굴곡시켜 연장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커넥터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가압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고, 평형 도체의 삽입 전을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로서, 평형 도체의 삽입 후, 가압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커넥터의 단자에 평행한 면에서의 이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가압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는 도 1 의 커넥터의 부분 파단 평면도로서, 가압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고, 평형 도체를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5 는 도 2 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평형 도체가 걸림단부를 갖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평형 도체
4 : 걸림단부
10 : 커넥터
11 : 하우징
12 : 단자
13 : 금구
14 : 가압 부재
15D : 수용 공간
18A : 접촉부
23 : 피장착부
24 : 아암부
24A : 홈부
25 : 연장 돌출부
25A : 걸림면
25B : 규제면

Claims (5)

  1. 복수의 단자를 배열 유지하는 절연재의 하우징에, 평형 도체를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그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상기 평형 도체의 접속 부분과 접촉하는 단자의 접촉부가 배열되고, 하우징에는 단자의 배열 방향 단부에 금구가 장착되어 있고, 그 접촉부에 대하여 상기 평형 도체의 접속 부분을 배치한 후, 하우징, 단자, 그리고 금구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가동으로 지지된 가압 부재를 소정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평형 도체의 접속 부분과 단자의 접촉부의 접압을 높이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금구는, 하우징에 장착되는 피장착부와, 단자의 배열 범위 외에서 그 피장착부로부터 평형 도체의 측단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아암부와, 그 아암부로부터 단자의 배열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 돌출부를 가지며, 그 연장 돌출부가 평형 도체의 측가장자리부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고, 또한 그 평형 도체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연장 돌출부가 평형 도체와 중복되는 범위를 가지며,
    상기 연장 돌출부는 평형 도체의 측가장자리부에 돌출 형성된 귀부 또는 몰입 형성된 오목부를 이루는 걸림단부와 평형 도체의 두께 방향에서 중복되는 면이 그 걸림단부의 대응면과 평행한 걸림면을 갖고,
    상기 연장 돌출부의 걸림면의 적어도 일부가 평형 도체의 대응면과 걸리며, 걸리는 부분은 상기 수용 공간의 외부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구는 금속판을 가공하여 제조되어 있고, 아암부의 판면이 평형 도체의 측단면과 평행하고, 연장 돌출부의 판면이 평형 도체의 접속 부분의 면과 평행인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부가 귀부에 의해 형성되고, 금구는 연장 돌출부의 기부에 인접하여, 아암부 상부 가장자리에 평형 도체의 귀부를 수용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5.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연장 돌출부는 연장 돌출 방향 선단의 단면이 평형 도체의 측단면과 평행한 규제면을 갖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20070071009A 2006-07-18 2007-07-16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10126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95201 2006-07-18
JP2006195201A JP4179624B2 (ja) 2006-07-18 2006-07-18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250A KR20080008250A (ko) 2008-01-23
KR101012619B1 true KR101012619B1 (ko) 2011-02-09

Family

ID=38565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009A KR101012619B1 (ko) 2006-07-18 2007-07-16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73125B2 (ko)
EP (1) EP1881563B1 (ko)
JP (1) JP4179624B2 (ko)
KR (1) KR101012619B1 (ko)
CN (1) CN101110503B (ko)
DE (1) DE602007005732D1 (ko)
TW (1) TW20080782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53101T3 (es) * 2004-10-20 2015-12-04 Endorecherche Inc. Precursor de esteroides sexuales en combinación con un modulador selectivo del receptor de estrógenos para la prevención y tratamiento de atrofia vaginal en mujeres postmenopáusicas
US8268806B2 (en) 2007-08-10 2012-09-18 Endorecherche,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8267717B2 (en) * 2007-11-29 2012-09-18 Fci FPC connector having rotating actuator
JP4514802B2 (ja) * 2008-02-05 2010-07-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4548803B2 (ja) * 2008-04-24 2010-09-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5020899B2 (ja) * 2008-06-20 2012-09-0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電気コネクタ
CN102668254A (zh) * 2009-12-23 2012-09-12 Fci连接器新加坡有限公司 柔性印刷电路连接器
JP5285118B2 (ja) * 2011-05-13 2013-09-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KR101170713B1 (ko) 2011-06-22 2012-08-03 한국광성전자 주식회사 와이어테이프 커넥터
JP5899459B2 (ja) * 2011-08-29 2016-04-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920623B1 (ko) * 2012-01-30 201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케이블, 케이블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호케이블 연결장치
US9184522B1 (en) 2014-04-25 2015-11-10 Xerox Corporation Latch apparatus for retaining a flexible circuit cable within a receptacle mounted on a circuit board
JP5901733B1 (ja) * 2014-12-09 2016-04-13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6576798B2 (ja) * 2015-11-13 2019-09-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83038B2 (ja) * 2016-01-22 2019-03-1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と実装コネクタ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コネクタ
US10505292B2 (en) * 2016-05-24 2019-12-10 Hubbell Incorporated Oxide inhibitor capsule
DE102016222319A1 (de) 2016-11-14 2018-05-1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3d-referenzierung
JP1585292S (ko) * 2017-02-02 2017-09-04
JP1585293S (ko) * 2017-02-02 2017-09-04
JP1634798S (ko) * 2018-10-24 2019-06-24
CN110149760A (zh) * 2019-05-24 2019-08-20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柔性电路板、连接器和电性连接器总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7118A1 (en) * 2002-11-14 2004-05-20 Yoshinori Takashita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2626A (en) 1978-06-22 1979-10-30 Amp Incorporated Connector clip for connecting cable conductors to circuit board conductors
JP2574041Y2 (ja) 1993-08-31 1998-06-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US6733326B2 (en) * 2002-05-23 2004-05-11 Super Link Electronics Co., Ltd.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capable of resisting against lateral pressure
JP3732157B2 (ja) * 2002-06-14 2006-01-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2005116495A (ja) * 2003-09-19 2005-04-28 Sony Corp フラットケーブルおよびコネクタならびに電子機器
CN2735564Y (zh) * 2004-08-27 2005-10-1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TWM268761U (en) 2004-09-06 2005-06-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708001B2 (ja) * 2004-11-18 2011-06-22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438329B2 (en) * 2005-01-11 2008-10-21 V&M Atlas Bradford, Lp Methods and connections for coupled pip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7118A1 (en) * 2002-11-14 2004-05-20 Yoshinori Takashita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7005732D1 (de) 2010-05-20
TWI354413B (ko) 2011-12-11
US7473125B2 (en) 2009-01-06
CN101110503B (zh) 2010-08-11
KR20080008250A (ko) 2008-01-23
CN101110503A (zh) 2008-01-23
EP1881563B1 (en) 2010-04-07
US20080020616A1 (en) 2008-01-24
JP4179624B2 (ja) 2008-11-12
EP1881563A1 (en) 2008-01-23
JP2008027593A (ja) 2008-02-07
TW200807820A (en) 200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619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JP4215265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及び平型導体付き電気コネクタ
US7001189B1 (en) Board mounted power connector
US7252549B2 (en) Connector, receptacle for connector and plug for connector
US9190750B2 (en) Board-to-board connector
JP5943774B2 (ja) コネクタ
KR101232437B1 (ko) 보드간 컨넥터
US742247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780476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US8317533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a lock member on an elastically displaceable lock arm
US7806702B2 (en) Connector for an electric device such as a board
US20110045700A1 (en) Wire to board connector with multiple contact points
JPH0531139U (ja)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US6884108B2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US6558187B2 (en) Connector for flat circuit member
US20110159739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US20090149078A1 (en) Connector
EP1159772B1 (en) Board-mounted connector
US9252516B2 (en) Connector
CN112602237B (zh) 连接器
US7955129B2 (en) Camera socket having fold-back contact terminals arranged in high density
JP7283971B2 (ja) 基板用コネクタ、及び基板用コネクタ構造
JP6714056B2 (ja) コネクタ
KR101877990B1 (ko) 전기커넥터
JP7393132B2 (ja) 基板用コネクタ、及び基板用コネクタ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