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5557B1 - Igbt 및 전력변환 장치 - Google Patents

Igbt 및 전력변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5557B1
KR100745557B1 KR1020000005888A KR20000005888A KR100745557B1 KR 100745557 B1 KR100745557 B1 KR 100745557B1 KR 1020000005888 A KR1020000005888 A KR 1020000005888A KR 20000005888 A KR20000005888 A KR 20000005888A KR 100745557 B1 KR100745557 B1 KR 100745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layer
region
type
semiconducto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5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6628A (ko
Inventor
오야마카즈히로
사카노준이치
모리무쯔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00076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2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 H01L29/739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controlled by field-effect, e.g. bipolar static induction transistors [BSIT]
    • H01L29/7393Insulated gate bipolar mode transistors, i.e. IGBT; IGT; COMFET
    • H01L29/7395Vertical transistors, e.g. vertical IGBT
    • H01L29/7396Vertical transistors, e.g. vertical IGBT with a non planar surface, e.g. with a non planar gate or with a trench or recess or pillar in the surface of the emitter, base or collector region for improving current density or short circuiting the emitter and base regions
    • H01L29/7397Vertical transistors, e.g. vertical IGBT with a non planar surface, e.g. with a non planar gate or with a trench or recess or pillar in the surface of the emitter, base or collector region for improving current density or short circuiting the emitter and base regions and a gate structure lying on a slanted or vertical surface or formed in a groove, e.g. trench gate IGB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03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 H01L29/0607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 H01L29/0611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 biased devices
    • H01L29/0615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 biased devices by the doping profile or the shape or the arrangement of the PN junction, or with supplementary regions, e.g. junction termination extension [JTE]
    • H01L29/0619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 biased devices by the doping profile or the shape or the arrangement of the PN junction, or with supplementary regions, e.g. junction termination extension [JTE] with a supplementary region doped oppositely to or in rectifying contact with the semiconductor containing or contacting region, e.g. guard rings with PN or Schottky jun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84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or junctions between the regions
    • H01L29/0692Surface layo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1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not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1095Body region, i.e. base region, of DMOS transistors or IGB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yristor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인접하는 절연게이트 사이의 간격이 좁은 영역과 넓은 영역을 설치하여, 넓은 간격의 영역에서는 p형 베이스층보다도 깊은 p형 웰층이 설치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인접하는 절연게이트 사이의 간격이 좁은 영역과 넓은 영역을 설치하여도 내압이 저하하지 않는다.

Description

IGBT 및 전력변환 장치{IGBT AND POWER CONVERS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2는 실시예의 효과를 설명하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제2의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제3의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실시예의 종단구성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6은 도 5, 도 8, 도 9에서의 A-A' 단면도,
도 7은 도 5, 도 8, 도 9에서의 B-B'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트렌치 게이트구조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다른 트렌치 게이트구조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압접형소자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압접형소자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절연게이트형 트렌치형 IGBT를 사용한 3상인버터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회로도,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제8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14는 도 13에서의 A-A'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제9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관한 제9의 실시예의 입체사시도 이다.
(부호의 설명)
1 n형 베이스층 2 콜렉터층
3 n형 버퍼층 4 p형 베이스층
5 n형 소스층 6 p+
7 트렌치 절연게이트 8 n형 반도체층
9,12,13,62,63,91,151 p형 웰층
10 에미터전극 11 콜렉터전극
61 게이트배선 64,161,71 절연막
171 전극
65 게이트 보강배선 66 금속전극
67 콘택트영역 152 La 교차영역
231,232 압접전극 C 콜렉터단자
G 게이트단자 E 에미터단자
D1 제너 다이오드 La 좁은 영역(La)
Lb 넓은 영역(Lb) Lc p형 웰층(9) 깊이
Le p형 웰층(9) - 트렌치 절연게이트(7) 간거리
Lp p형 웰층(62) - p형 웰층(63) 간거리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렌치 절연게이트 구조를 가지는 절연게이트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것을 이용한 전력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력용 반도체 소자로서 절연게이트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이하 IGBT라고 칭함)가 알려져 있다. IGBT는 온 동작시에 pnp 트랜지스터가 동작하여 전도도 변조를 일으키므로, 온 전압을 낮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트랜지스터 동작이므로 사이리스터 동작에 비해 전도도 변조가 충분하지 않고, GTO 사이리스터 등에 비해 온 전압이 높다.
최근 전력용 반도체 소자로서, 트렌치 절연게이트형 IGBT가 주목되기 시작하고 있다. 트렌치형 IGBT는 절연게이트가 반도체에 매립된 구조를 하고 있다. 기본적 구성으로서, 먼저 고저항의 n형 베이스층의 한쪽의 면에 n형 버퍼층을 끼워서 p형 콜렉터층이 형성되어 있다. n형 베이스층의 다른쪽 면측에는 p형 베이츠층이 형성되어 있다. p형 베이스층에는 평면형상이 스트라이프 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같은 형상을 가지는 트렌치 게이트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트렌치 게이트전극은 전극과 그 주의를 절연막으로 덮은 형상을 하고 있다. 따라서, 트렌치 게이트전극의 측벽이 MOS 채널이 되는 구조를 하고 있다.
트렌치 절연게이트형 IGBT는 절연게이트를 플레이너 IGBT에 비해서, 조밀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결과, 채널 폭이 넓고, 채널 저항이 낮다. 그 때문에 종래의 플레이너 IGBT에 비해, 낮은 온 전압(온 전압 : 콜렉터-에미터간 포화전압)이 얻어진 다.
그러나, 트렌치 절연게이트형 IGBT는 채널 폭의 증대와 함께 포화전류가 크게 되며, 단락 내양(耐量)이 낮게 된다.
또 트렌치 절연게이트를 채용한 구조가 일본특허공개 평 5-24356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것은 홀의 n형 베이스층으로의 주입효과를 높이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등간격 또는 폭 넓게 형성된 트렌치 절연게이트를 가지는 트렌치 절연게이트형 IGBT에서, 트렌치 절연게이트의 측벽에 형성하는 채널의 수를 감소시켜 채널 폭을 좁게 한다. 또한, 다른 쪽 면에 위치하는 채널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측의 p형 베이스층은 절연막으로 덮고, 주 전극과 격리되어 있다. 이 구조가 주입효과를 높여 사이리스터에 가까운 전도도 변조가 얻어진다고 말하고 있다. 그 결과, 채널 저항은 증가하지만, n형 베이스층에서의 저항이 낮게 되며, 낮은 온 전압이 얻어진다. 그러나 게이트의 입력용량이 크고, 그 때문에 스위칭이 늦으므로 특히 고주파에서 스위칭 손실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또 구동전압이 크다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구조가 일본특허공개 평 10-17817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 구조의 특징은 채널을 형성하지 않는 쪽의 게이트의 간격이 형성한 쪽의 간격보다 넓고, 그들이 반복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게이트 입력용량, 스위칭 손실, 구동전력의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충분한 저손실화를 위해서는 채널을 형성하지 않는 쪽의 게이트 간격을 넓게 취하지 않으면 안되고, 소자의 내압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행한 것이며,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트렌치 절연게이트형의 반도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장치는 제1 도전형의 제1 반도체층과, 제1 반도체층과 인접하는 제2 도전형의 제2 반도체층과, 제2 반도체층과 인접하는 제1 도전형의 제3 반도체층과, 제3 반도체층을 관통하여 제2 반도체층에 도달하는 복수의 절연게이트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반도체 장치는 인접하는 절연게이트 사이의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가지며, 제1 영역에서의 제3 반도체층 내에서, 절연게이트에 접하는 제2 도전형의 제4 반도체층을 구비한다. 제1의 영역에서의 제3 반도체층 및 제4 반도체층에는 제1 주 전극의 주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 제1 반도체층에는 제2 주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여기서, 제2 영역에서의 인접하는 절연게이트 사이의 간격(Lb)은 제1 영역에서의 인접하는 상기 절연게이트 사이의 간격(La)보다도 크다. Lb/La>1로 하는 것에 의해, 낮은 온 전압을 확보하면서 포화전류 밀도가 저감된다. 낮은 온 전압을 위해서는 6>Lb>La>2가 바람직하다. 또한 La≤5㎛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2 영역에서 제3 반도체층보다도 깊은 제1 도전형의 제5 반도체층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5 반도체층에 의하면 제2 영역에서의 인접하는 절연게이트 사이의 간격을 제1 영역에서의 인접하는 절연게이트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하여도, 내압이 그다지 저하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의 반도체 장치는 제2 영역에서의 인접하는 절연게이트 사이의 간격을 제1 영역에서의 인접하는 절연게이트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함으로써, 포화전류 밀도를 저감하여 단락 내양을 향상하는 효과, 혹은 온 전압 또는 전력손실을 저감하는 효과를 구비할 수 있다. 단, 충분한 단락 내양을 얻기 위해서는 포화전류 밀도가 1000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온 전압 또는 전력손실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제2 영역의 제3 반도체층 및 제5 반도체층과 제1 주 전극이 절연막에 의해 절연되어 있는 것이나. 또 제1 영역의 제3 반도체층과 제2 영역의 상기 제3 반도체층이 분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 영역에서 제2 반도체층이 제1 반도체층 측의 제1 부분과, 제1 부분보다도 고불순물 농도의 제3 반도체층 측의 제2 부분을 가지는 것도, 온 전압 또는 전력손실의 저감에 유효하다. 다른 한편, 턴오프 손실의 저감이나 턴오프 시간의 단축 등과 같은 턴오프 성능의 향상을 위해서는 제5 반도체층과 제1 주 전극과의 사이에 제너 다이오드가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턴오프 시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제너 다이오드가 브레이크 오버하여 전류가 흐르는 것에 의해, 깊은 제5 반도체층에서 반도체 장치 내의 축적 캐리어가 빠져나간다. 이 때문에 턴오프 성능이 향상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의 반도체 장체에서 제1 도전형 및 제2 도전형은 p형 또는 n형이며, 서로 반대 도전형이다. 절연게이트로서는 제3 반도체층을 관통하여 제2 반도체층에 도달하는 홈을 형성하고, 홈 내의 측벽 및 바닥면을 덮는 절연막에 의해서 절연되는 게이트전극이 홈 내에 형성되게 즉, 트렌치 홈 내에 형성되는 트렌치 절연게이트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제2 반도체층이 제1 반도체층과 접촉하는 제1 부분과, 제1 부분보다도 저불순물 농도의 제3 반도체층 측의 제2 부분 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이 제1 부분은 이른바, 버퍼층에 상당한다.
상술한 구성의 중, 다음의 구성 a, b, c는 제5 반도체층의 유무에 관계없이 각각 단독으로도 그 효과를 나타낸다.
a. 제2 영역의 제3 반도체층과, 제1 주 전극이 절연막에 의해 절연되며, 또한 제1 영역의 제3 반도체층과 제2 영역의 제3 반도체층이 분리되어 있다.
b. 제1 영역에서 제2 반도체층이 제1 반도체층 측의 제1 부분과, 제1 부분보다도 고불순물 농도의 제3 반도체층 측의 제2 부분을 가진다.
c. 제2 영역의 제3 반도체층과 제1 주 전극과의 사이에 제너 다이오드가 접속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또 제2 영역의 제3 반도체층과 제1 주 전극이 절연막에 의해 절연된다.
즉, 이들의 각 구성은 제1 도전형의 제1 반도체층과, 제1 반도체층과 인접하는 제2 도전형의 제2 반도체층과, 제2 반도체층과 인접하는 제1 도전형의 제3 반도체층과, 제3 반도체층을 관통하여 제2 반도체층에 도달하는 복수의 절연게이트와, 인접하는 절연게이트 사이의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과, 제1 영역에서의 제3 반도체층 내에서 절연게이트에 접하는 제2 도전형의 제4 반도체층과, 제1 영역에서 제3 반도체층 및 제4 반도체층에 접촉하는 제1 주 전극과, 제1 반도체층에 접촉하는 제2 주 전극을 구비하며, 제2 영역에서 인접하는 절연게이트 사이의 간격이 제1 영역에서의 인접하는 절연게이트 사이의 간격보다도 큰 반도체 장치에 적용되어 각각 단독으로 효과를 발생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장치는 반도체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에 의해 전력 의 변환을 행하는 전력변환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이 전력변환 장치는 한쌍의 직류단자와, 직류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복수의 반도체 스위칭 소자가 직렬 접속되는 복수의 직렬 접속회로와, 복수의 직렬 접속회로의 각 직렬 접속점에 접속되는 복수의 교류단자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들 복수의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장치로 한다. 이와 같은 전력변환 장치에 의하면, 전력변환 장치의 신뢰성이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력변환 장치로서는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나,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이며, 트렌치 절연게이트형 IGBT의 셀의 단면도이다.
이 트렌치 절연게이트형 IBGT는 고저항의 n형 베이스층(1)(제2 반도체층)의 한쪽의 면에 n형 베이스층(1)보다도 고불순물 농도의 n형 버퍼층(3)을 끼워서 p형 콜렉터층(2)(제1 반도체층)이 형성된다. n형 베이스층(1)의 다른 쪽 면측에는 p형 베이스층(4)(제3 반도체층)이 형성된다.
p형 베이스층(4)에는 평면형상이 스트라이프 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같은 형상을 가지는 트렌치 절연게이트 전극(7)(절연게이트)이 n형 베이스층(1)에 도달하는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트렌치 절연게이트 전극(7)은 p형 베이스층(4)의 표면에서 n형 베이스층(1)까지 도달하는 홈 내에 게이트전극이 매립되어, 게이트전극의 주위가 절연막으로 덮여진 형상을 하고 있다. 이들의 트렌치 절연게이트 전극(7)은 인접하는 트렌치 절연게이트의 상호 간격이 좁은 La와 넓은 Lb가 서로 번갈아 반복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트렌치 홈의 측벽을 기점으로 하여 상호 간격을 나타내고 있지만, 트렌치 절연게이트의 폭방향의 중심을 기점으로 해도 좋다.
영역 La 내에는 트렌치 절연게이트에 접하여 p형 베이스층(4)보다도 고불순물 농도의 n형 소스층(5)(제4 반도체층)이 평면형상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불순물 확산에 의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p형 베이스층(4)의 측면이 트렌치 게이트전극(7)에 의해 제어되는 채널 영역이 되는 n 채널 MOSFET부가 구성된다. 또 영역 La에는 n형 소스층(5)에 끼워져 p형 베이스층(4)보다도 고불순물 농도의 p+층(6)이 n형 소스층(5)보다 깊게 형성된다.
영역 Lb 내에는 영역 La과 같은 깊이로 p형 베이스층(4)이 영역 La에서의 p형 베이스층과는 분리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p형 베이스층(4)의 중앙부에 p형 웰층(9)(제5 반도체층)이 p형 베이스층(4)보다도 깊고, 또한 트렌치 절연게이트 전극(7)과 동등하던지, 혹은 그것보다 깊게(Lc≥0)되도록 형성된다. 또 트렌치 게이트 전극(7)의 바닥부에서의 트렌치 게이트전극(7)과 p형 웰층(9)의 거리(Le)는 소자의 내압이 낮게되지 않는 넓이로 설정하고 있다.
주 전극(10)(에미터전극, 제1 주 전극)은 La 내에서, n형 소스층(5)과 p+층(6)에 동시에 접촉한다. 다른 주 전극(11)(콜렉터전극, 제2 주 전극)은 p형 콜렉터층(2)에 접촉한다. 영역 Lb에서, 주 전극(10)은 절연막에 의해 p형 베이층(4) 및 p형 웰층(9)으로 절연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동작은 이하와 같다. 주 전극(11)의 전위를 주 전극(10)의 전위보다 높고, 또한 트렌치 절연게이트 전극(7)의 전위가 주 전극(10)보다 높게되도록 전압을 인가한다. 트렌치 절연게이트 전극(7)의 전압이 문턱치전압을 초과하면 p형 베이스층(4)의 게이트 절연막과 접하는 표면에 n채널이 형성하고, n형 소스층(5)에서 채널을 통해 n형 베이스층(1)에 전자가 흘러들어 온(on) 한다. 이때 p형 콜렉터층(2)에서 홀이 n형 베이스층(1)에 주입되어 n형 베이스층(1)에서 전도도 변조가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역 Lb에 채널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깊은 전도도 변조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소자는 낮은 온 전압의 특징을 가진다. 또한 La<Lb로 하는 것에 의해, 게이트가 점유하는 면적이 저감하므로 게이트 입력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주된 도통영역은 La 영역이지만, p형 콜렉터층(2)이 영역 La에서 영역 Lb으로 연장하고 있기 때문에, 영역 Lb에서의 p형 콜렉터층(2)에서도 홀이 n형 베이스층(1)으로 주입된다. 이 홀도 전도도 변조에 기여한다. 또한, 주 전극(11)이 영역 Lb에서도 p형 콜렉터층(2)과 오믹 접촉하고 있으므로 보다 많은 홀이 영역 Lb의 p형 콜렉터층(2)에서 주입된다.
채널저항은 거의 채널 폭의 넓이에 반비례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트렌치 IGBT에 비해 채널 폭이 작게 되며, 채널 저항이 증가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구조를 취하는 것에 의해, n형 베이스층(1)의 온 전압이 저감하며, 채널저항의 증가분은 상쇄된다. 그 결과, 게이트의 입력용량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낮은 온 전압을 얻을 수 있다.
오프 상태에서는 n형 베이스층(1)과 p형 베이스층(4)의 접합으로 내압을 유 지한다. 트렌치 절연게이트(7)는 n형 베이스층(1) 내에 돌출하고 있으므로 전계강도는 트렌치 절연게이트(7)의 각(角)으로 세게 된다. Lb>La 에서 전계강도는 Lb 측이 세게 된다. 고내압의 소자일수록 충분한 손실저감 및 단락내양 확보를 위해서는 Lb를 넓게 취하는 것이 유효하지만, 소자의 내압이 Lb 측의 전계강도에 의해 결정되도록 Lb를 넓게 취하면 소자의 내압이 저하하여 버린다. p형 웰층(9)의 트렌치 절연게이트(7) 바닥부로부터의 깊이(Lc)를 Lc≥0으로 하고, 트렌치 절연게이트(7)와 p형 웰층(9)의 거리(Le)를 조정하면, Lb 측의 전계강도를 약하게 할 수 있으므로 소자의 내압이 저하하지 않는다.
부하단락 상태에서는 영역 La 내에 위치하는 n채널 MOSFET가 핀치오프하여 주 전극(10)과 주 전극(11)에는 포화전류가 흐른다. 포화전류는 채널 폭의 크기에 거의 비례한다. 종래의 트렌치 IGBT에 비하여 채널 폭이 작기 때문에 포화전류가 종래의 트렌치 절연게이트형 IGBT보다 낮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게이트의 입력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게이트 절연막의 소자에서의 총 면적이 작기 때문에 소자의 제조 수율이 향상하는 이점도 동시에 가진다.
여기서 본 실시예와 종래의 트렌치 절연게이트형 IGBT의 비교를 위해 도 2에서 특성의 간격비(Lb/La) 의존성을 나타낸다. 값은 종래의 트렌치 절연게이트 IGBT를 1로 규격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는 온 전압(Von), 게이트 입력용량(Cin), 포화전류(Icsat), 소자내압(VBCEO, VBCEO2)의 본 실시예의 간격비(Lb/La) 의존성을 나 타내고 있다. 소자내압(VBCEO2)은 도 1과 같이 영역 Lb에 p형 웰층(9)이 형성되는 경우이며, 소자내압(VBCEO)은 p형 웰층(9)이 형성되지 않고 p형 베이스층이 연속하여 형성되는 경우이다. 또한 본 발명자의 검토에 의하면, 온 전압, 게이트 입력용량 및 포화전류는 p형 웰층의 유무에 관계없이 도 2와 같은 간격비(Lb/La) 의존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자의 검토에 의하면, La≤5㎛를 만족했을 때 도 2에 나타내는 경향의 특성을 얻을 수 있다. Lb/La>1에서는 Lb/La가 크게 됨에 따라서 입력용량(Cin)과 포화전류(Icsat)가 작게 되며, Lb/La=12에서 거의 극소로 된다. 즉, Lb/La>1에서는 트렌치 절연게이트형 IGBT의 고속 스위칭 성능 및 단락 내량이 향상한다. 더욱이 12>Lb/La>1에서는 온 전압이 저감한다. 즉 12>Lb/La>1에서는 낮은 온 저항이라는 트렌치 절연게이트형 본래의 특성이 손실되지 않고 오히려 향상되면서 입력용량(Cin)과 포화전류(Icsat)가 저감한다. 또한 6≥Lb/La≥2로 하는 것에 의해 온 전압이 극소로 된다.
도 2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의 IGBT에서 p형 웰층(9)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Lb/La를 크게 하면 소자내압(VBCEO)이 저하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소자내압(VBCEO)의 저하가 실용상 영향이 없으면, p형 웰층(9)이 없어도 상술한 바와 같은 Lb/La를 크게 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다른 한편, 도 2에서의 VBCEO2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p형 웰층(9)에 의하면, Lb/La를 크게 하여도 소자내압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술한 Lb/La에 의한 온 전압 저감이 보다 유효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인버터 장치 등의 전력변환 장치에서는 사고 시의 전원단락에 대하여, IGBT로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인버터 장치의 과도한 파괴를 방지하는 것이 행하여져 있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버터 장치의 용량, 전원, 전압에 의하지 않고, IGBT가 단락상태에서 10 마이크로초 이상 견디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의 검토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IGBT에서 10 마이크로초 이상을 얻도록 하기 위해서는 포화전류 밀도를 1000A/㎠ 이하로 하면 된다. 예를들면 600V의 내압을 가지는 소자에서 La=3.2㎛, Lb=23.2㎛일때, 온 전압은 종래의 트렌치 절연게이트 IGBT보다도 낮고, 게이트의 입력용량은 1/3배로 감소하며, 또한 포화전류를 1000A/㎠로 할 수 있다.
1200V의 내압을 가지는 소자는 Lb를 보다 넓게 취하여 31.8㎛로 한다. 포화전류는 750A/㎠가 된다. 그 때문에 이 2개의 소자는 함께 단락 내양을 확보하기 위해서 최대 전류를 제한하는 IC 등을 IGBT 칩 내에 집적 또 외부에는 부가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 결과, 종래의 트렌치 절연게이트 IGBT에 비하여,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상 본 실시예와 같이 트렌치 절연게이트를 다른 간격으로 배치하고, 트렌치 상호 간격의 넓은 쪽에 채널을 형성하며, P형 웰층을 트렌치 상호 간격의 넓은 쪽에 형성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소자 내압의 저하를 동반치 않고, 게이트의 입력용량을 종래의 트렌치 절연게이트를 등간격으로 배치한 IGBT에 비하여 저감하며, 스위칭 손실이 작고, 트렌치 절연게이트형 IGBT와 동등한 낮은 온 전압에서 포화전 류가 종래의 트렌치 절연게이트형 IGBT보다 낮은 절연게이트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실현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의 구조를 가지는 소자는 소자 내압의 저하를 동반치 않고, 고주파 영역에서도 손실이 작은 소자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이며, 기본 구성은 제1의 실시예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역 La 내에 위치하는 p형 베이스층(4)과 n형 베이스층(1)과의 사이에 n형 베이스층(1)보다 불순물 농도가 높은 n형 반도체층(8)이 설치되어 있다. p형 베이스층(4)의 아래에 균일한 n형 반도체층(8)을 형성하기 위해, n형 반도체층(8)의 일부가 Lb 내에 도달해도 좋고, 트렌치 절연게이트(7) 바닥부보다 아래에 도달해도 좋다.
p형 콜렉터층(2)에서 n형 베이스층(1)에 주입된 홀은 영역 La 내의 n형 소스층(5)에서 배출된다. 홀의 이동경로중 n형 반도체층(8)에 의해 홀은 p형 베이스층(4)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며, n형 반도체층(8)의 근처의 n형 베이스층(1) 중에 축적하여 전도도 변조가 촉진된다. 그 결과 온 전압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턴오프 상태에서는 주 전극(11)에 고전압이 인가되고, n형 반도체층(8)은 공핍화하기 때문에 홀 통과의 장해는 되지 않고, 턴오프 손실은 크게 되지 않는다.
소자내압은 n형 반도체층(8) 중의 불순물 농도에 의존한다. p형 베이스층(4)과 n형 반도체층(8)의 접합 근방에서의 전계강도가 n형 반도체층(8) 중의 불순물 농도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자의 검토에 의하면, n형 반도체층(8) 중의 불 순물 농도가 높게 될수록 온 전압은 저하한다. 그러나 1 ×1012/㎠를 초과하면 크게 소자내압이 저하한다. 따라서 n형 반도체층(8) 중의 캐리어 농도는 1 ×1012/㎠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이며, 기본 구성은 제1의 실시예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p형 웰층(9)과, 주 전극(10)과의 사이에 제너 다이오드(D1)가 접속된다.
본 실시예는 p형 베이스층(4)과, 주 전극(10)과의 사이에 제너 다이오드(D1)를 설치함으로써, 트렌치 절연게이트(7)와 영역 La 내에 위치하는 p형 베이스층(4)의 사이의 전위차의 상한을 설정할 수 있고, 절연막(71)의 내압을 초과하는 전계집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턴오프 시, n형 베이스층(4) 중의 홀은 p형 웰층(9)을 통과하여 주 전극(10)에 흐른다. 그 때문에 n형 베이스층(4) 중의 홀을 적게 할 수 있고, 턴오프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영역 La 내의 n형 소스층에서 배출되는 홀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래치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관한 트렌치 절연게이트형 IGBT의 셀 및 셀 종단의 평면도이다. 도 6, 도 7은 각각 도 5의 A-A', B-B'의 단면도이다.
트렌치 절연게이트(7)의 채널 폭 방향(도 7 참조)에는 트렌치 절연게이트(7)의 종단에 접하여 P형 베이스층(4)과 분리되도록, p형 베이스층(4)과 거리(Lp)를 두고 p형 웰층(91)이 형성된다. 거리(Lp)는 p형 베이스층(4)과 p형 웰층(91)이 IGBT의 전압저지 상태에서 펀치스루(punch-through)하는 거리로 설정하고 있다. 트렌치 절연게이트(7)의 채널 장방향(도6 참조)에는 최외주의 p형 베이스층(4)과 접하는 p형 웰층(9)과 분리되도록 p형 웰층(9)과 거리(Lp)를 두고 p형 웰층(91)이 형성된다. 거리(Lp)는 p 웰층(9)과 p형 웰층(91)이 IGBT의 전압저지 상태에서 펀치스루하는 거리로 설정하고 있다. p형 웰층(91)은 전극(66)을 통해서 주 전극(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최 외주의 p 웰층(9)에는 턴오프 시 홀을 빼내기 때문에 콘택트(67)와 같이 전극(10)과 콘택트를 취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 전극(11)에 플러스, 주 전극(10)에 마이너스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p형 베이스층(4) 및 p형 웰층(9)과 p형 웰층(91)이 펀치스루 하고 있고, p형 베이스층(4)의 종단에서 전계의 집중이 방지되어 내압의 감소가 방지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주 내압을 감소시키지 않고, 영역 Lb 내에 위치하는 p형 베이스층(4)을 p형 웰층(91)과 전기적으로 절연할 수 있어 p형 베이스층(4)에 축적된 홀이 소자 밖으로 배출함 없이 온 전압이 낮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의 평면형상이며, 기본 구성은 제1의 실시예와 같다. 도 8의 A-A', B-B'에서의 단면형상은 각각 도 6, 도 7에 나타낸 것으로 된다.
영역 La - 영역 Lb과 같이 서로 번갈아 반복하도록 형성된 트렌치 절연게이트(7)가 제2의 실시예에 나타낸 트렌치 절연게이트(7)와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트렌치 절연게이트는 실제의 소자에서는 합쳐서 100에서 20000개 정도 형성된다. 영역 Lb 내에는 p형 웰층(9)을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게이트 배선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전극 패드 또는 게이트 입력단자에서 가까운 IGBT와 먼 IGBT에서의 게이트신호의 지연의 차가 작게 되기 때문에 소자 내에서 스위칭 동작의 균일성이 향상된다. 이 때문에 불균일 동작에 따른 전류집중에 의한 소자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좁은 영역 La 2개가 교차하는 영역(101)에 트렌치 절연게이트 전극을 구성할 수도 있고, 또한 게이트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의 실시예이며, IGBT 칩의 단면도이다. 기본 구성은 제 1의 실시예와 같다. 트렌치 절연게이트는 도 8과 같이, 평면형상은 메시(mesh)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231, 232는 각각 에미터 전극부재, 콜렉터 전극부재이다. 에미터 전극부재(231)와 콜렉터 전극부재(232)는 각각 주 전극(10,11)을 가압하므로서 접촉시키고 있다. 이들 전극부재는 본 실시예에서는 반도체층에 열팽창 계수가 가까운 몰리브덴(Mo)을 재료로 하고 있다. 61은 게이트배선으로, 가압부와는 분리되어 전도성의 금속배선(65)을 붙여 저(低) 저항화하고 있다. 주 전극(10)의 아래에는 절연막(161)이 게이트배선(61)과 그 주위의 절연막보다도 두껍거나 혹은 높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주 전극(10)의 정부(頂部)는 게이트배선(61) 상의 금속배선(65)보다도 높게 형성되며, 에미터 전극부재(231)는 게이트배선 상의 금속배선(65)과 접촉하지 않는다. 게이트배선 저항을 저감하기 위한, 금속배선(65)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IGBT에 전달되는 게이트신호의 지연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 패드(G)에 가까운 IGBT 유닛과, 떨어진 IGBT 유닛과의 스위칭 지연이 작게 되며, IGBT 유닛으로의 전류집중 및 그것에 의한 열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트렌치 절연게이트(7)가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구조에서 게이트의 입력용량을 저감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게이트신호의 지연을 억제할 수 있고, 주 전극(10,11)을 가압으로서 각각 에미터전극과 콜렉터전극을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7의 실시예이며, IGBT 칩의 단면도이다. 기본 구성은 제 6의 실시예와 같다. 절연막(161)의 하방에서 p형 베이스층(4) 및 p형 웰층(9)과는 절연막에 의해 분리되도록, 트렌치 절연게이트 전극과 접촉하며 영역 Lb 상에서 절연게이트 사이를 연결하는 전극(171)이 형성되어 있다. 전극(171)은 주 전극(10)을 높게 유지하여 게이트를 보다 저 저항으로 한다. 게이트의 입력용량은 증가하므로, 게이트의 입력용량과 귀환용량의 차는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본 구조의 채용으로 더욱 게이트신호의 지연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주 전극(10,11)을 가압으로 각각 에미터전극과 콜렉터전극을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트렌치 절연게이트형 IGBT를 사용한 전력변환 장치의 일예인 유도전동기를 구동하는 3상 인버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IGBT의 콜렉터-에미터 사이에 극성을 역으로 하여 병렬로 부하전류를 귀환시키는 다이오드와, 게이트-에미터 사이에는 게이트 드라이버가 접속되어 있다. 2개 직렬로 접속된 IGBT는 병렬로 3상분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IGBT를 사용함으로써, 입력용량이 저감하기 때문에 게이트 드라이버의 출력용량을 작게 할 수 있고, 게이트 드라이버의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다. 또 포화전류가 종래의 플레이너 IGBT와 동등하기 때문에 전류제한 회로를 부가할 필요가 없고, 간단한 회로로 고신뢰성의 손실이 적은 인버터 회로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8의 실시예이며, 트렌치 절연게이트형 IGBT의 셀 및 셀의 종단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A'의 단면도이다.
기본 구성은 제 4의 실시예와 같지만, 트렌치 절연게이트(7)의 채널 폭 방향에서 최외주에 위치하는 p형 웰층(9)이 없는 대신에 p형 베이스층(4)과 p형 웰층(91)이 중첩되어 접촉하고 있다. p형 베이스층(4)과 p형 웰층(91)은 콘택트(67)와 같이 주 전극(10)과 콘택트를 취하고 있다.
p형 웰층(9)과 p형 웰층(91)은 동일한 공정에서 동일 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9의 실시예이며, 기본 구성은 제 1의 실시예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p형 MOS인 M1의 소스전극이 p형 웰층(9)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드레인전극이 주 전극(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M1의 게이트전극은 트렌치 절연게이트(7)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IGBT의 턴오프 시에는 트렌치 절연게이트(7)에 마이너스 또는 0 전위를 인가한다.
IGBT의 트렌치 절연게이트(7)에 마이너스의 전위를 인가하여 오프하는 경우는 M1은 인핸스먼트, 디플리션형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0 전위를 인가하여 오프하는 경우는 M1은 디플리션형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어느 경우라도, IGBT의 온 시 에는 M1을 오프로 하고, IGBT의 오프 시에는 M1을 온으로 한다.
IGBT의 턴오프 시에는 p형 웰층(9) 및 p형 베이스층(4)에 축적된 홀이 M1을 통과한다. 그 결과, 재빠르게 홀을 소자 밖으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턴오프 손실이 작게 된다. 그 결과, P형 베이스층(4)의 전위가 높게 되는 일없이, 트렌치 절연게이트(7)의 게이트 산화막의 절연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 IGBT의 온 시에는 M1은 오프되기 때문에 홀은 M1에서 소자 밖으로는 흐르지 않는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9의 실시예이며, 입체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기본 구성은 도 1과 동일하지만, 영역 Lb 내에 p형 웰층(9)은 형성되지 않고, p형 베이스층(4)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트렌치 절연게이트(7)의 장변방향 즉 영역 La의 장변방향에 따라 n형 소스층(5)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인접하는 영역 사이에는 p형 베이스층(4)의 일부가 위치한다. 즉, n형 소스층(5)은 단속적으로 형성된다. 영역 La의 폭 방향의 거의 중앙부에는 장변방향에 따라 콘택트 홀(201)로 되는 홈이 n형 소스층(5)을 관통하는 깊이로 형성된다. 이 홈에 의해 영역 La은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이들 2개의 영역에서 n형 소스층(5)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주 전극(10)(소스전극)은 도 1과 동일하게 n형 소스층(5) 및 p형 베이스층(4)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콘택트 홀(201) 내에서도 주 전극(10)(소스전극)은 n형 소스층(5) 및 p형 베이스층(4)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컨덕터 홀(201)의 바닥부에서는 p형 베이스층(4)보다도 고불순물 농도의 p+층(6)이 형성되어 p형 베이스층(4)은 p+층(6)을 통해서 주 전극 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 Lb/La는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설정되며, 도 2를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영역 La 내에서 n형 소스층(5)이 단속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포화전류(Icsat)가 저감한다. 즉, 단락 내량이 향상한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 전압(Von)이 극소가 되는 6>Lb>La>2의 범위에서 Icsat가 Lb/La를 크게 한 경우(예를들면 Lb/La=12)와 동일하게 저감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트렌치 절연게이트형 IGBT는 Lb/La의 소자내압으로의 영향이 비교적 작은 범위에서 낮은 온 전압과 높은 단락 내량을 겸하여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p형 베이스층(4)이 컨덕터 홀(201)의 바닥부에서 주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IGBT가 턴오프 할 때에 홀 전류가 n형 소스층(5)의 근처를 거의 통과하는 일없이 주 전극(10)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턴오프 시에서의 랫치업 현상이 발생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성능의 트렌치 절연게이트형 IGBT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7)

  1. 마주보는 1쌍의 주표면을 가지는 반도체기체와, 상기 반도체기체의 한쪽의 주표면(11)에 접하는 제1도전형의 제1반도체층(2)과,
    상기 제1반도체층과 인접하는 제2도전형의 제2반도체층(1)과,
    상기 제2반도체층과 인접하고 상기 반도체기체의 다른 한쪽의 주표면과 접하는 상기 제1도전형의 제3반도체층(4)과,
    상기 반도체기체의 다른 한쪽의 주표면으로부터 상기 제3반도체층을 뚫고, 상기 제2반도체층에 도달하는 복수의 트랜치절연게이트(7)와,
    서로 이웃한 상기 트랜치절연게이트(7)간에 있으며, 상기 제3반도체층(4)내에서 상기 절연게이트(7)에 접하여 상기 반도체기체의 다른 한쪽의 주표면에 노출하는 제2도전형의 제4반도체층(5)을 가지는 제1영역(La)과,
    상기 제1영역(La)에 있어서, 상기 제3반도체층(4) 및 상기 제4반도체층(5)에 다른 한쪽의 주표면에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주전극(10)과,
    서로 이웃한 상기 트랜치절연게이트(7)간에 있으며, 상기 제3반도체층(4)과 상기 제1주전극(10)이, 절역막에 의해 절연되어 있는 제2영역(Lb)과,
    상기 한쪽의 주표면에서 상기 제1반도체층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주전극(11)을 갖추며,
    상기 제1영역(La)과 상기 제2영역(Lb)이 상기 절연게이트(7)를 통해서 번갈아 인접배치되고,
    상기 제1영역에서 서로 이웃한 상기 절연게이트간의 상기 간격을 La로 하고, 상기 제2영역에서 서로 이웃한 상기 절연게이트간의 상기 간격을 Lb로 할때, La≤5㎛ 또한 Lb/La>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6≥Lb/La≥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제3 반도체층과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제3 반도체층이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3 반도체층보다도 깊은 상기 제1 도전형의 제5 반도체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6. 마주보는 1쌍의 주표면을 가지는 반도체기체와, 상기 반도체기체의 한쪽의 주표면(11)에 접하는 제1도전형의 제1반도체층(2)과,
    상기 제1반도체층과 인접하는 제2도전형의 제2반도체층(1)과,
    상기 제2반도체층과 인접하고 상기 반도체기체의 다른 한쪽의 주표면과 접하는 상기 제1도전형의 제3반도체층(4)과,
    상기 반도체기체의 다른 한쪽의 주표면으로부터 상기 제3반도체층을 뚫고, 상기 제2반도체층에 도달하는 복수의 트랜치절연게이트(7)와,
    서로 이웃한 상기 트랜치절연게이트(7)간에 있으며, 상기 제3반도체층(4)내에서 상기 절연게이트(7)에 접하여 상기 반도체기체의 다른 한쪽의 주표면에 노출하는 제2도전형의 제4반도체층(5)을 가지는 제1영역(La)과,
    상기 제1영역(La)에 있어서, 상기 제3반도체층(4) 및 상기 제4반도체층(5)에 다른 한쪽의 주표면에서 접속하는 제1주전극(10)과,
    서로 이웃한 상기 트랜치절연게이트(7)간에 있으며, 상기 제3반도체층(4)과 상기 제1주전극(10)이, 절역막에 의해 절연되어 있는 제2영역(Lb)과,
    상기 한쪽의 주표면에서 상기 제1반도체층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주전극(11)을 갖추며,
    상기 제1영역에서 서로 이웃한 상기 절연게이트간의 상기 간격을 La로 하고, 상기 제2영역에서 서로 이웃한 상기 절연게이트간의 상기 간격을 Lb로 할때, La≤5㎛ 또한 Lb/La>1이며,
    상기 제2영역(Lb)에, 상기 제3반도체층(4)보다도 깊은, 상기 제1도전형의 제5반도체층(9)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영역(Lb)의 상기 제3반도체층(4) 및 제5반도체층(9)과 제1주전극(10)이, 절연막에 의해 절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제3 반도체층과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제3 반도체층이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반도체층과 상기 제1 주 전극과의 사이에 제너 다이오드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제2반도체층이, 상기 제1반도체층측의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보다도 고불순물농도의 상기 제3반도체층측의 제2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의 상기 제3반도체층과 상기 제1주전극과의 사이에 제너 다이오드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17. 한 쌍의 직류단자와,
    상기 직류단자 사이에 접속되며, 복수의 반도체 스위칭소자가 직렬 접속되는 복수의 직렬접속회로와,
    상기 복수의 직렬접속회로의 각 직렬접속점에 접속되는 복수의 교류단자를 갖추고,
    상기 복수의 반도체 스위칭소자가 온·오프함으로써 전력의 변환을 행하는 전력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스위칭소자의 각각이, 청구항 1, 2, 6, 15 및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도체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KR1020000005888A 1999-02-17 2000-02-09 Igbt 및 전력변환 장치 KR1007455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816699 1999-02-17
JP99-038166 1999-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628A KR20000076628A (ko) 2000-12-26
KR100745557B1 true KR100745557B1 (ko) 2007-08-02

Family

ID=12517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888A KR100745557B1 (ko) 1999-02-17 2000-02-09 Igbt 및 전력변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3) EP1811572B1 (ko)
KR (1) KR100745557B1 (ko)
DE (1) DE60044992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308B1 (ko) * 2008-05-20 2011-06-2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파워 반도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8333A (ja) * 1999-09-30 2001-06-22 Toshiba Corp トレンチゲート付き半導体装置
TW200302618A (en) * 2001-11-02 2003-08-01 Aker Wade Power Technologies Llc Fast charger for high capacity batteries
US7301308B2 (en) 2001-11-02 2007-11-27 Aker Wade Power Technologies, Llc Fast charger for high capacity batteries
JP4085781B2 (ja) * 2002-11-01 2008-05-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界効果型半導体装置
JP4136778B2 (ja) * 2003-05-07 2008-08-20 富士電機デバイス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絶縁ゲート型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
JP4799829B2 (ja) * 2003-08-27 2011-10-26 三菱電機株式会社 絶縁ゲート型トランジスタ及びインバータ回路
JP4703138B2 (ja) * 2004-06-18 2011-06-15 株式会社東芝 絶縁ゲート型半導体装置
JP4731848B2 (ja) 2004-07-16 2011-07-27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半導体装置
JP5017850B2 (ja) * 2005-11-30 2012-09-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用半導体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力変換装置
JP5044950B2 (ja) 2006-03-14 2012-10-10 株式会社デンソー 半導体装置
EP2003694B1 (en) * 2007-06-14 2011-11-23 Denso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JP4644730B2 (ja) * 2008-08-12 2011-03-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力変換装置
EP2342753B1 (en) 2008-09-30 2018-01-17 Ixys Corporatio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JP5423018B2 (ja) * 2009-02-02 2014-02-19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20120273897A1 (en) * 2010-01-04 2012-11-01 Hitachi,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ic Power Conversion Device Using Same
WO2013004829A1 (en) * 2011-07-07 2013-01-10 Abb Technology Ag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JP6026528B2 (ja) * 2011-07-14 2016-11-16 アーベーベー・テヒノロギー・アーゲー 絶縁ゲート型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
JP5720805B2 (ja) * 2011-11-28 2015-05-20 富士電機株式会社 絶縁ゲート型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73730B2 (ja) 2012-01-05 2016-08-23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Ie型トレンチゲートigbt
KR101311538B1 (ko) * 2012-01-19 2013-09-25 주식회사 케이이씨 전력 반도체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JP6072445B2 (ja) 2012-06-28 2017-02-01 株式会社 日立パワーデバイス 半導体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力変換装置
JP6228542B2 (ja) 2012-09-07 2017-11-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変換用スイッチング素子および電力変換装置
JPWO2016113865A1 (ja) * 2015-01-14 2017-07-13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6460016B2 (ja) 2016-03-09 2019-01-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素子
JP6299789B2 (ja) 2016-03-09 2018-03-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素子
JP6588363B2 (ja) 2016-03-09 2019-10-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素子
JP6804379B2 (ja) * 2017-04-24 2020-12-23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CN107464839B (zh) * 2017-08-17 2020-02-04 电子科技大学 一种防止关断失效的栅控晶闸管器件
CN108767006B (zh) * 2018-05-31 2020-09-15 电子科技大学 一种集成电压采样功能的igbt器件
CN108493242B (zh) * 2018-05-31 2020-08-28 电子科技大学 一种优化体内电场的载流子增强型igbt器件
CN111384149B (zh) * 2018-12-29 2021-05-14 比亚迪半导体股份有限公司 沟槽型igbt及其制备方法
CN110416294B (zh) * 2019-08-29 2021-01-08 电子科技大学 一种高耐压低损耗超结功率器件
CN113793807B (zh) * 2021-11-18 2022-02-11 南京华瑞微集成电路有限公司 一种集成源漏电容的超结mos器件及其制作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8458A (ko) * 1986-12-22 1988-08-31 이반 밀러 레르너 보충 측면 절연 게이트 정류기
US5633515A (en) * 1994-03-04 1997-05-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Semiconductor component arrangement for overvoltage protection of MOSFETs and IGBTS
KR970067928A (ko) * 1996-03-20 1997-10-13 곽정소 단락 애노우드 수평형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US5703385A (en) * 1994-05-19 1997-12-30 Consorzio Per La Ricerca Sulla Microelettronica Nel Mezzogiorno Power integrated circuit ("PIC") structure with a vertical IGBT
KR19980031809A (ko) * 1996-10-31 1998-07-25 김광호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JPH118385A (ja) * 1997-06-18 1999-01-12 Hitachi Ltd 内燃機関用点火装置およびigb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09751A3 (en) * 1991-08-08 2002-07-31 Kabushiki Kaisha Toshiba Self turn-off insulated-gate power semiconductor device with injection-enhanced transistor structure
JPH08116056A (ja) * 1994-10-19 1996-05-07 Hitachi Ltd 電圧駆動型半導体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力変換装置
EP0746030B1 (en) 1995-06-02 2001-11-21 SILICONIX Incorporated Trench-gated power MOSFET with protective diodes in a periodically repeating pattern
JP2776365B2 (ja) * 1996-04-04 1998-07-16 日本電気株式会社 多段接続型半導体用キャリヤーと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DE19705276A1 (de) 1996-12-06 1998-08-20 Semikron Elektronik Gmbh IGBT mit Trench-Gate-Struktur
US6110799A (en) * 1997-06-30 2000-08-29 Intersil Corporation Trench contact process
DE19727676A1 (de) * 1997-06-30 1999-01-07 Asea Brown Boveri MOS gesteuertes Leistungshalbleiterbauelemen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8458A (ko) * 1986-12-22 1988-08-31 이반 밀러 레르너 보충 측면 절연 게이트 정류기
US5633515A (en) * 1994-03-04 1997-05-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Semiconductor component arrangement for overvoltage protection of MOSFETs and IGBTS
US5703385A (en) * 1994-05-19 1997-12-30 Consorzio Per La Ricerca Sulla Microelettronica Nel Mezzogiorno Power integrated circuit ("PIC") structure with a vertical IGBT
KR970067928A (ko) * 1996-03-20 1997-10-13 곽정소 단락 애노우드 수평형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KR19980031809A (ko) * 1996-10-31 1998-07-25 김광호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JPH118385A (ja) * 1997-06-18 1999-01-12 Hitachi Ltd 内燃機関用点火装置およびigbt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880008458
1019970067928
1019980031809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308B1 (ko) * 2008-05-20 2011-06-2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파워 반도체장치
US8258601B2 (en) 2008-05-20 2012-09-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ower semiconductor device
US8274137B2 (en) 2008-05-20 2012-09-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ower semicondu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37319A3 (en) 2010-10-27
EP1811572A3 (en) 2007-09-19
EP2237319A2 (en) 2010-10-06
EP1811572B1 (en) 2012-05-30
DE60044992D1 (de) 2010-11-04
KR20000076628A (ko) 2000-12-26
EP1032047A2 (en) 2000-08-30
EP1811572A2 (en) 2007-07-25
EP1032047B9 (en) 2011-02-09
EP2237319B1 (en) 2015-04-08
EP1032047B1 (en) 2010-09-22
EP1032047A3 (en) 200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5557B1 (ko) Igbt 및 전력변환 장치
JP4310017B2 (ja) 半導体装置及び電力変換装置
US6580108B1 (e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decreasing the gate resistance
US7235439B2 (en) Method of forming a MOS-controllable power semiconductor device for use in an integrated circuit
EP2342753B1 (e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US20070200138A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IGBT and diode
US6133607A (en) Semiconductor device
KR0160953B1 (ko) 횡형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JP4829003B2 (ja) 半導体装置及び電力変換装置
JP3257394B2 (ja) 電圧駆動型半導体装置
US6864535B2 (en) Controllable semiconductor switching element that blocks in both directions
JP3201213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08116056A (ja) 電圧駆動型半導体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力変換装置
EP2602828A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isolation trenches
GB2380604A (en) Bi-directional semiconductor switch
CN111293168A (zh) Igbt器件及其制造方法
CN112750902B (zh) 一种高抗短路能力的沟槽栅igbt
CN116247055B (zh) 半导体器件
JP5509513B2 (ja) 半導体装置
JPH1140818A (ja) 半導体装置
JPH06232392A (ja) デュアルゲート半導体装置
CN118073422A (zh) 一种高抗性SiC VDMOSFET器件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