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6631B1 - 가랑이부를 갖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 Google Patents

가랑이부를 갖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631B1
KR100706631B1 KR1020027010092A KR20027010092A KR100706631B1 KR 100706631 B1 KR100706631 B1 KR 100706631B1 KR 1020027010092 A KR1020027010092 A KR 1020027010092A KR 20027010092 A KR20027010092 A KR 20027010092A KR 100706631 B1 KR100706631 B1 KR 100706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ella
support
muscle
muscles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4344A (ko
Inventor
후지이타카코
오야마마코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Publication of KR20030004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8Trousers specially adapted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Ladde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축성을 갖고, 신체에 밀착되어 착용되는 하지부를 서포트하는 가랑이부를 갖는 피복으로서, 상기 피복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갖고, 상기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무릎관절의 윗쪽에 있어서는, 적어도 대퇴부 길이의 1/4 이상의 길이를 갖고, 허벅다리근,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를 갖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효율적으로 무릎을 보호하고, 무릎관절을 안정되게 유지하며, 무릎관절의 움직임의 자유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착용감도 양호하며, 무릎통증 등의 예방, 경감, 스포츠 그 외에 발생하는 내측 측부인대 손상의 예방에 유용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랑이부를 갖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LEG PORTIONS SUPPORTING WEAR HAVING THIGH PORTIONS}
본 발명은, 가랑이부를 갖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본 발명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특정부분에 갖는 신축성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에 관한 것이다.
나이가 듬에 의해 무릎을 떠받치는 근육이나 인대의 쇠약이나, 스포츠 등에 의한 무릎의 상해 등, 무릎은 정형외과 관계에서 가장 트러블이 많은 부위이다.
최근 이러한 무릎 상해의 치료나 보호를 위하여, 인체의 필요부분에 테이핑을 실시하거나, 코르셋을 착용하는 것은 종종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테이핑은 자기 스르로 실시하는 것은 곤란해서, 다른 사람에게 테이핑을 받을 필요가 있지만, 아마추어는 테이핑을 할 수 없으므로, 전문가에게 일일이 테이핑을 받을 필요가 있어 착탈이 불편하다. 또한, 장시간 착용할 수 없고, 피부장해로 이어지는 일도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 무릎관절을 고정해버려, 무릎관절의 움직임의 자유도가 상당히 저하한다. 한편, 코르셋을 이용했을 경우에는 슬개골을 충분히 자유롭게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무릎관절의 움직임의 자유도가 상당히 저하된다.
최근은, 특정한 근육을 서포트하는 각종의 피복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공개 평4-343868호, 일본 특허공개 평4-57902호, 일본 특허공개 평4-50302호, 일본 특허공개 평8-81807호, 일본 특허공개 평9-241906호, 일본 특허공개 평10-280209호 등).
이러한 근육 서포트 기능을 갖는 피복으로서는, 통상, 서포트하고 싶은 근육 위, 또는 그 근육의 옆쪽에 긴체력이 비교적 강한 부분을 설치한 피복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근육 서포트 기능을 갖는 피복은, 그다지 무릎의 보호라고 하는 점에 주목받아서 설계되어 있지 않다.
인간은 서 있는 것 만으로도 무릎이 외반하고자 하는 경향에 있다. 즉, 다리부는 무릎관절 내측 측면을 정점으로 하여 내측 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지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고,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이하, 이것을 내측 측부인대라고 칭한다)에 텐션이 보다 많이 걸려 온다. 내측 측부인대는, 그 위를 허벅다리근,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의 아래쪽 힘줄 부분으로 덮어져 있어 보호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근육이 피로하거나, 나이가 듬에 따라 근력이 저하되면 인대만으로는 전부 견딜 수 없게 되어 무릎이 불안정해진다.
그런데, 지금까지 인체의 무릎관절 내측 측부인대에 주목해서 이것을 서포트하기 위한 피복에 대해서는, 거의 검토되어 오지 않고 있다. 그런데 무릎관절질환 중에서도 무릎 내측 측부인대 손상은 통계적으로 상당히 많은 질환이다. 따라서, 무릎의 움직임의 자유도는 확보하고, 게다가 무릎의 서포트를 충분히 행하기 위해 서는, 내측 측부인대를 주체로 검토해야 하는 것을 알았다.
내측 측부인대는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에 있어서, 대퇴골 하단부 근방과 경골(頸骨) 상단부 근방을 연결하는 것 같은 형태로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 다소 뒤쪽에 존재하고 있다. 내측 측부인대와 반대측의 무릎관절의 외측측면에는 외측 측부인대가 존재하고, 무릎관절의 외측측면에 있어서 대퇴골 하단부 근방과 장딴지뼈 상단부 근방을 연결하는 식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외측 측부인대 질환은, 내측 측부인대 질환에 비해서 상당히 적고, 내측 측부인대 질환이 많다. 그 이유로서는, 내측 측부인대는 외측 측부인대에 비해서 인장강도가 작고, 단열(斷裂)에 이르기까지 연장도 작기 때문이다. 즉, 강인성과 탄력성에 있어서 내측 측부인대는 외측 측부인대에 비해서 뒤떨어지고 있다.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내측 측부인대는, 그 위를 허벅다리근,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혹은 대퇴박근의 아래쪽의 힘줄 부분으로 덮어져 있고, 게다가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약간 뒤쪽에 존재하므로, 지금까지 근육 서포트 피복의 제안에 있어서는,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에 주목해서 이것을 구체적으로 이용한 것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를 중심으로 검토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무릎을 보호하고, 무릎관절을 안정되게 유지하며, 게다가 무릎관절의 움직임의 자유도를 그다지 저하시키지 않고, 착용감도 양호해서, 무릎의 불안정함으로부터 생기는 무릎통증 등의 예방이나, 경감, 나아가서는 스포츠 그 외에 생기는 내측 측부인대 손상의 예방에도 유용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하기에 있어서의 [ ]안에 몇개의 청구항에 상당하는 내용의 기재 앞에 보조적 표제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본 발명의 내용을 참조할 때에 편리하도록 표기한 보조적 표제이며, 조금도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가랑이부를 갖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전반]
(1) 신축성을 갖고, 신체에 밀착해서 착용되는 하지부를 서포트하는 가랑이부를 갖는 피복으로서, 상기 피복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갖고, 상기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무릎관절의 윗쪽에 있어서는, 적어도 대퇴부 길이의 1/4이상의 길이를 갖고, 허벅다리근,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을 갖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본 발명의 가랑이부를 갖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가 내측 측부인대를 서포트하고, 또한 (A)가 무릎관절의 윗쪽에서 상기 내측 측부인대 위에 존재해서 윗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허벅다리근,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서포트하고 있고, 이와 같이 윗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으로 내측 측부인대를 서포트 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식의 파워가 작용하므로, 보다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력이 향상하고, 또한, 내측 측부인대와 함께 무릎관절을 서포트하고 있는 허벅다리근,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서포트하므로 이 양자의 종합작용으로부터, 무릎을 보호하고, 무릎관절을 안정되게 유지하며, 게다가 무릎관절의 움직임의 자유도를 그다지 저하시키지 않고, 착용감도 양호해서, 무릎의 불안정함으로부터 생기는 무릎통증 등의 예방이나, 경감, 나아가서는, 스포츠 그 외에 생기는 내측 측부인대 손상의 예방에도 유용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다.
(2) 신축성을 갖고, 신체에 밀착해서 착용되는 하지부를 서포트하는 가랑이부를 갖는 피복으로서, 상기 피복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갖고, 상기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무릎관절의 윗쪽에 있어서는 적어도 대퇴부 길이의 1/2 이상의 길이를 갖고, 허벅다리근,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따라 설치되어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를 갖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본 발명의 이 가랑이부를 갖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은, 대퇴부를 커버하는 길이가 적어도 대퇴부 길이의 1/2이상의 길이로 함으로써, (1)항에서 진술한 대퇴부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으로 내측 측부인대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가 보다 강하게 작용하므로, 보다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이 제공될 수 있어 바 람직하다.
[가랑이부를 갖고 웨이스트 라인으로부터 복사뼈 윗쪽까지의 길이를 갖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3)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이, 적어도 웨이스트 라인으로부터 복사뼈 윗쪽까지의 길이를 갖고, 가랑이부를 갖는 피복인 상기 (1)항 또는 (2)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이, 적어도 웨이스트 라인으로부터 복사뼈 윗쪽까지의 길이를 가지므로 (1)항에서 진술한 대퇴부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으로 내측 측부인대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가 더욱 강하게 작용하므로, 보다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게다가 가랑이부를 갖는 타이츠 형상의 피복이므로, 착용이 용이해서 스포츠용으로도 바람직하다.
(4)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4 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 및/또는 비근의 측방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그 내측으로부터 앞측을 지나 외측을 향해서 거의 허벅다리근를 따라서 더욱 넙다리곧은근 중의 윗쪽부분을 지나, 대전자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인 상기(3)항 에 기재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해 슬개골을 아래쪽에서 끌어올리도록 서포트할 수 있어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또한 허벅다리근을 서포트하고, 대퇴부를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비스듬히 대전자에 이르기까지 나선상으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존재하므로, 내측 측부인대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가 더욱 한층 강화될 수 있어, 보다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측부인대의 기능을 보조하고 있는 허벅다리근을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5)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로 표시되는 부분이,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 웨이스트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1)를 더 갖고 있는 상기(4)항에 기재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 웨이스트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1-1)를 더 갖고 있으므로, 상기 (4)항의 기능이 더욱 강화되고, 또, 대전자를 누르는 기능이 부여되어 있고, 대퇴골 머리와 관골구의 결합을 양호하게 하고,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발휘되어 바람직하다.
(6)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로 표시되는 부분이,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에서 슬개골의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 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인 상기(4)항 또는 (5)항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가, 또한 슬개골의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도 커버하고 있으므로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양쪽으로부터 무릎관절의 서포트를 할 수 있어, 보다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7)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로 표현되는 부분이, 또한 내측의 비복근 측방으로부터 슬개골 아래쪽의 주위 부근을 지나서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해 슬개골의 외측 측방에 이르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1-2)를 갖고 있는 상기(4)∼(6)항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더욱 슬개골 주위를 내측의 비복근 측방으로부터 즉 내측 아래쪽으로부터 감싸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끌어 올리는 것 같은 파워가 작용하여, 보다 한층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8) 또,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 슬개골의 외측 측부측에 이르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외측의 비복근 및/또는 비근의 측방을 지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를 갖고 있는 상기(4)∼(7)항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를 더 갖고 있으므로, 대퇴부 및 하퇴부의 양측에서 무릎과 다리부를 서포트하고, 게다가 비복근 및/또는 비근의 활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그 측방으로부터 비복근 및/또는 비근을 서포트할 수 있다. 또, 대전자를 누르는 기능이 더 한층 강화되어 있고, 대퇴골 머리와 관골구의 결합을 보다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화된다.
(9)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4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 및/또는 비근의 측방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근육을 따라서 가랑이 아래 내지 엉덩이홈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인 상기 (3)항에 기재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해 슬개골을 아래쪽으로부터 끌어 올리도록 서포트할 수 있어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또한 대퇴부 내측에 존재하는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의 1종 이상의 근육을 서포트하고, 내측 측부인대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가 강화되어, 보다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측부인대의 기능을 보조 하고 있는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의 1종 이상의 근육을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10)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로 표시되는 부분이,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에서 슬개골의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인 상기 (9)항에 기재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가, 또한 슬개골의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도 커버하고 있으므로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양쪽으로부터 무릎관절의 서포트가 가능하여, 보다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11)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4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 및/또는 비근의 측방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윗쪽으로 내측에서 후방측을 거쳐서 외측을 향하고, 또한 거의 반힘줄모양근 및/또는 반막모양근를 따라서, 더욱 대퇴이두근을 경사지게 지나 대전자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3)인 상기 (3)항에 기재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내측의 비복근 및/또는 비근의 측방으로부터 위로 연장되고, 대퇴부 내측에서 후방측을 거쳐서 외측을 향해서 비 스듬히 대전자 근방에 이르기까지 나선상으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존재하므로, 슬개골을 아래쪽으로부터 끌어 올리도록 서포트할 수 있어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내측 측부인대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가 더욱 강해져서, 보다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측부인대의 기능을 보조하고 있는 반힘줄모양근 및/또는 반막모양근을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12)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3)로 표시되는 부분이,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에서 슬개골의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3-1)인 상기 (1l)항에 기재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3)가, 또한 슬개골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도 커버하고 있으므로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양쪽으로부터 무릎관절의 서포트를 할 수 있어, 보다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13) 또한, 웨이스트 옆측에서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대전자 근방을 지나가고,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슬개골의 외측 측부측에 이르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 또는, 슬개골의 위쪽 부분 및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외측의 비복근 및/또는 비근의 측방을 지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을 갖고 있는 상기(9)∼(12)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하 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을 더 갖고 있으므로, 대퇴부 및 하퇴부의 양측에서 무릎과 다리부를 서포트하고, 게다가 비복근 및/또는 비근의 활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그 측방에서 비복근 및/또는 비근을 서포트할 수 있다. 또, 대전자를 누르는 기능이 더욱 한층강화되고 있고, 대퇴골 머리와 관골구의 결합을 보다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화된다.
(14)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이고, 상기 (Al)의 무릎관절 위쪽에서 또한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근육를 따라서 가랑이 아래 내지 엉덩이홈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을 갖는 상기 (4)항∼(8)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대퇴부를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비스듬히 대전자에 이르기까지 나선상으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존재함과 아울러, 무릎관절 위쪽에서, 두갈래로 나누어져서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l종의 근육를 따라서 가랑이 아래 내지 엉덩이홈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를 더 가지므로, 내측 측부인대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가 이 양자의 작용에 의해 더 한층 강화되어, 보다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이 제공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측부인대의 기능을 보조하고 있는 허벅다리근과 함께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근육을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웨이스트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갖고 있으므로, 대전자를 누르는 기능이 부여되고 있고, 대퇴골 머리와 관골구의 결합을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발휘되어 바람직하다.
(15)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2 또는 그 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 및/또는 비근의 측방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근육를 따라서 가랑이 아래 내지 엉덩이홈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이며, 또한, 웨이스트 옆측에서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대전자 근방을 지나가고,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슬개골의 외측 측부측에 이르며, 슬개골의 인체 외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2 또는 그 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외측의 비복근 및/또는 비근의 측방을 지 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을 갖고 있는 상기(3)항에 기재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대퇴부 전면측의 가쪽넓은근, 안쪽넓은근의 활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대퇴부 및 하퇴부의 양측에서 무릎과 다리부를 서포트하고, 게다가 무릎관절을 감싸는 것 같이 주위에서 서포트하고 있으므로, 보다 한층의 무릎관절의 서포트를 행할 수 있고, 또한, 대전자를 억누르는 기능이 더 한층 강화되고 있고, 대퇴골 머리와 관골구의 결합을 보다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화되어 바람직하다.
(16)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의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 외측방향으로 향한 2개의 볼록부 위치가, 이것과 상대하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의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 내측방향으로 향한 2개의 볼록부의 위치보다도 각각 약간 아래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고, 또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의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을 덮는 정면측에서 보이는 면적이, 조금 큰 상기 (15)항에 기재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상기 (15)항에 기재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하퇴부에 있어서는 내측은 근육이 적고, 경골(頸骨)이 체표면에 접하고 있고, 한편, 하퇴부 외측은 비복근이 장딴지뼈의 외측에 붙어 있으므로, 보다 근육이 적은 내측을 보다 많이 아래로부터 끌어 올리도록 무릎관절을 서 포트할 수 있어,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도 강화되어 바람직하다.
(17) 또한, 인체의 후방측에 있어서 요추로부터 선골에 이르는 어느 하나의 위치로부터 좌우의 큰볼기근의 거의 중간부에서 거의 큰볼기근의 근섬유 방향를 따라서 엉덩이부의 융기부 정점 또는 그 근방을 지나 적어도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C)와 인체 앞측에서 하복부의 배곧은근상의 위치부터 좌우의 배속빗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를 따라서 비스듬히 아래방향을 향해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D)를 갖는 상기 (2)∼(16)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C)를 갖고 있으므로, 확실히 큰볼기근을 그 근섬유 방향으로 서포트할 수 있다. 따라서, 허리의 선회운동을 서포트하여 허리의 선회각도의 감소를 방지하고, 골반의 전후방향에의 안정에 큰 역할을 다할 수 있고, 고령자에 있어서는 전도의 방지에 유효하다. 또 주행, 점프, 슬로프를 오를 때의 고관절의 전후 방향으로의 확장에 큰 역할을 다할 수 있다. 또, (D)을 갖고 있으므로 배곧은근의 일부와 배속빗근을 서포트하고, 요추전만을 약화시키고, 양호한 자세를 유지하여 체형이 젊게 보이고, 요통 등의 아픔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가랑이부를 갖고 웨이스트 라인으로부터 무릎 아래까지의 길이를 갖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18)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이, 적어도 웨이스트 라인으로부터 무릎 아래까지의 길이를 갖고, 가랑이부를 갖는 피복인 상기 (1)항 또는 (2)항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이, 적어도 웨이스트 라인으로부터 무릎 아래까지의 길이를 가지므로 (l)항에서 진술한 대퇴부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에서 내측 측부인대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윗쪽으로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가 강하게 작용하므로, 보다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게다가 가랑이부를 갖는 타이츠형상의 피복이므로 착용이 용이하여 스포츠용으로도 바람직하다. 특히, 기온이 높은 지역이나 더운 시즌에 착용하는데 바람직하다. 또한, 적어도 무릎 아래까지의 길이를 갖는다는 것은, 적어도 슬개골의 하단 내지는 그것보다 아래까지 옷자락이 연장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옷자락의 위치가, 적어도 슬개골의 하단에서 3∼5cm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9)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4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 상부측방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그 내측에서 앞측을 지나 외측을 향해서 거의 허벅다리근를 따라서 더욱 넙다리곧은근 중의 윗쪽부분을 지나, 대 전자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인 상기 (18)항에 기재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해 슬개골을 아래쪽으로부터 끌어 올리도록 서포트할 수 있어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허벅다리근을 더욱 서포트하고, 대퇴부를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비스듬히 대전자에 이르기까지 나선상으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존재하므로, 내측 측부인대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가 더 한층 강화되어, 보다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측부인대의 기능을 보조하고 있는 허벅다리근을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20)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로 표시되는 부분이, 더욱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웨이스트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1)를 갖고 있는 상기(19)항에 기재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더욱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웨이스트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1)를 갖고 있으므로, 상기 (19)항의 기능이 더욱 강화되고, 또한, 대 전자를 억누르는 기능이 부여되어 있고, 대퇴골 머리와 관골구의 결합을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발휘되어 바람직하다.
(21)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로 표시되는 부분이,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에서 슬개골의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인 상기 (19)항 또는 (20)항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가, 또한 슬개골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도 커버하고 있으므로 슬개골 아래쪽 부분과 양쪽으로부터 무릎관절의 서포트를 할 수 있어, 보다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22) 또한,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슬개골의 외측 측부측에 이르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외측의 비복근 상부측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2)를 갖고 있는 상기 (19)∼(21)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2)를 더 갖고 있으므로, 무릎을 양측에서 서포트할 수 있어 무릎관절의 서포트가 보다 강화된다. 또한, 대전자를 억누르는 기능이 더 한층 강화되어 있어, 대퇴골 머리와 관골구의 결합을 보다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화된다.
(23)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4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의 상부측방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근육를 따라서 가랑이 아래 내지 엉덩이홈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인 상기 (18)항에 기재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슬개골을 아래쪽으로부터 끌어 올리도록 서포트할 수 있어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또한 대퇴부의 내측에 존재하는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내지는 대퇴박근의 1종 이상의 근육을 서포트하고, 내측 측부인대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가 강화되어, 보다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측부인대의 기능을 보조하고 있는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내지는 대퇴박근의 적어도 1종의 근육을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24)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로 표시되는 부분이, 또한, 슬개골 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에서 슬개골의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1)인 상기 (23)항에 기재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가, 또한 슬개골의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도 커버하고 있으므로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양쪽으로부터 무릎관절의 서포트를 할 수 있어, 보다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25)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4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 상부측방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윗쪽으로 내측에서 후방측을 거쳐서 외측을 향하고, 또한 거의 반힘줄모양근 및/또는 반막모양근에 따라, 더욱 대퇴이두근을 경사지게 지나 대전자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3)인 상기 (18)항에 기재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대퇴부 내측 하부에서 후방측을 거쳐서 외측으로 향해서 경사 위쪽으로 대전자에 이르기까지 나선상으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존재하므로, 슬개골을 아래쪽으로부터 끌어 올리도록 서포트할 수 있어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내측 측부인대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가 더욱 강화되어, 보다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측부인대의 기능을 보조하고 있는 반힘줄모양근 및/또는 반막모양근을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26)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3)로 표시되는 부분이,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에서 슬개골의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3-1)인 상기 (25)항에 기재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3)가, 또한 슬개골의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도 커버하고 있으므로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양쪽으로부터 무릎관절의 서포트를 할 수 있고, 보다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27) 또한, 웨이스트 옆측에서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대전자 근방을 지나고,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슬개골의 외측 측부측에 이르며,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 또는, 슬개골의 위쪽 부분 및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외측의 비복근의 상부측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2)를 갖고 있는 상기 (23)∼(26)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2)를 더 갖고 있으므로, 무릎의 양측에서 무릎관절을 서포트하고, 따라서 무릎관절의 서포트를 보다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대전자를 억누르는 기능이 더 한층 강화되어 있고, 대퇴골 머리와 관골구의 결합을 보다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화된다.
(28)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이며, 상기 (A21)의 무릎관절 위쪽에서, 더욱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근육를 따라서 가랑이 아래 내지 엉덩이홈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를 갖는 상기 (19)∼(22)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대퇴부를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서 비스듬히 대전자에 이르기까지 나선상으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존재함과 아울러, 무릎관절 위쪽에서, 두갈래로 갈라져서,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근육를 따라서 가랑이 아래 내지 엉덩이홈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를 더 가지므로, 내측 측부인대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가 이 양자의 작용에 의해 더욱 한층 강화되어, 보다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측부인대의 기능을 보조하고 있는 허벅다리근과 함께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근육을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웨이스트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갖고 있으므로, 대전자를 억누르는 기능이 부여되고 있어, 대퇴골 머리와 관두골의 결합을 양호하게 하고,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발휘되어 바람직하다.
(29)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2 또는 그 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 상부측방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서는,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근육를 따라서 가랑이 아래 내지 엉덩이홈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이며, 또한, 웨이스트 옆측에서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대전자 근방을 지나고,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슬개골의 외측 측부측에 이르며, 슬개골의 인체 외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2 또는 그 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위쪽 부분의 적어 도 일부를 커버하여, 외측의 비복근 상부측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2')을 갖고 있는 상기 (18)항에 기재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대퇴부 전면측의 가쪽넓은근, 안쪽넓은근의 활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대퇴부 및 하퇴부의 양측에서 무릎과 다리부를 서포트하고, 게다가 무릎관절을 감싸도록 주위에서 서포트하고 있으므로, 더 한층 무릎관절의 서포트를 행할 수 있고, 또한, 대전자를 억누르는 기능이 더 한층 강화되고 있고, 대퇴골 머리와 관골구의 결합을 보다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화되어 바람직하다.
(30)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의 슬개골 아래쪽 부분과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 외측방향으로 향한 2개의 볼록부의 위치가, 이것과 대향하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2')의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 내측방향으로 향한 2개의 볼록부의 위치보다도 각각 약간 아래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고, 또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의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을 덮는 볼록부의 정점의 위치가 슬개골의 중심 또는 그것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29)항에 기재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상기 (29)항에서 기재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하퇴부에 있어서는 내측은 근육이 적고, 경골이 체표면에 접하고 있고, 한편, 하퇴부 외측은 비복근이 장딴지뼈의 외측에 붙어 있으므로, 보다 근육이 적은 내측을 보다 많이 아래로부터 끌어 올리도록 무릎관절을 서포트할 수 있고,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도 강화되어 바람직하다.
(31) 또한, 인체의 후방측에 있어서 요추로부터 선골에 이르는 어느 하나의 위치로부터 좌우의 큰볼기근의 거의 중간부에서 거의 큰볼기근의 근섬유 방향를 따라서 엉덩이부의 융기부 정점 또는 그 근방을 지나 적어도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C)와 인체 앞측에서 하복부의 배곧은근상의 위치로부터 좌우의 배속빗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서 경사 아래방향을 향해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D)를 갖는 상기 (18)∼(30)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C)를 갖고 있으므로 확실히 큰볼기근을 그 근섬유 방향으로 서포트할 수 있다. 따라서, 허리의 선회운동을 서포트하여 허리의 선회각도의 감소를 방지하고, 골반의 전후방향으로의 안정에 큰 역할을 다할 수 있고, 고령자에 있어서는 전도의 방지에 유효하다. 또한, 주행, 점프, 슬로프를 오를 때의 고관절의 전후 방향으로의 확장에 큰 역할을 다할 수 있다. 또, (D)을 갖고 있으므로 배곧은근의 일부와 배속빗근을 서포트하고, 요추전만을 약화시키고, 양호한 자세를 유지하여 체형이 젊게 보이고, 요통 등의 아픔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랑이부를 갖고 웨이스트 라인으로부터 복사뼈 윗쪽까지의 길이를 갖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롱타이츠 타입)의 일실시형태의 배면도,
도 2는, 도 l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6은, 도 5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8은, 도 6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10은, 도 9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14는, 도 13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15는, 도 14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l7은,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18은, 도 17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19는, 도 18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20은, 도 18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22는, 도 21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23은, 도 22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24는, 도 22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26은, 도 25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27은, 도 26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28은, 도 26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30은, 도 29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31은, 도 30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32는, 도 30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34은, 도 33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35는 도 34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36은, 도 34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38은, 도 37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39는, 도 38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40은, 도 38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 41은,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42는, 도 41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43은, 도 42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44는, 도 42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 45는,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46은, 도 45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47은, 도 46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48은, 도 46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 49은,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50은, 도 49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51은, 도 50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52는, 도 50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 53은,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54는, 도 53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55는, 도 54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56은, 도 54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 57은,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58은, 도 57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59는, 도 58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60은, 도 58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 61은,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62는, 도 61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63은, 도 62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64는, 도 62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 65는,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66은, 도 65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67은, 도 66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68은, 도 66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 69는,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70은, 도 69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71은, 도 70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72는, 도 70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 73은,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74는, 도 73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75는, 도 74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76은, 도 74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 77은,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78은, 도 77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79는, 도 78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80은, 도 78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 81은,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82는, 도 81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83은, 도 82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84는, 도 82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 85는,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86은, 도 85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85는, 도 86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88은, 도 86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 89는, 본 발명의 세미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90은, 도 89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91은, 도 90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92는, 도 90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 93은, 본 발명의 세미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94는, 도 93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95는, 도 94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96은, 도 94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 97은, 본 발명의 세미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98은, 도 97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99는, 도 98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00은, 도 98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 101은, 본 발명의 세미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102는, 도 101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103은, 도 102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04는, 도 102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 105는, 본 발명의 세미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106은, 도 105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107은, 도 106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08은, 도 106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 109는, 본 발명의 세미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110은, 도 109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111은, 도 110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12는, 도 110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 113은, 본 발명의 세미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114는, 도 113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정면도,
도 115는, 도 114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16은, 도 114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우측면도,
도 117은, 도 7의 도면에, 다리부를 통형상으로 형성하는 피복본체의 봉제라인을 기입한 피복본체의 봉제라인 위치의 일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8은, 도 8의 도면에, 다리부를 통형상으로 형성하는 피복본체의 봉제라인을 기입한 피복본체의 봉제라인 위치의 다른 일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9는, 도 80의 도면에, 다리부를 통형상으로 형성하는 피복본체의 봉제라인을 기입한 피복본체의 봉제라인 위치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0은, 환편에서 컷보스편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념공정도,
도 121은, 환편에서 컷보스성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념공정도,
도 122는, 컷보스편성 방법에 의해 얻어진 환편 생지의 단면개념도,
도 123은, 오른쪽 절반이 인체 하지부의 전면측에서 본 골격도, 또한, 왼쪽 절반이 인체 하지부의 전면측에서 본 근육도,
도 124는, 왼쪽 절반이 인체 하지부의 후면측에서 본 골격도, 또한, 오른쪽 절반이 인체 하지부의 후면측에서 본 근육도,
도 125는, 인체의 오른쪽 하지부의 외측 측면측에서 본 일부골격이 붙은 근육도,
도 126은, 인체의 오른쪽 하지부의 내측 측면측에서 본 일부골격이 붙은 근육도,
도 127은, 무릎관절을 뒷쪽에서 본 무릎관절 근방의 골격과 인대의 부분 배면도,
도 128은, 무릎관절을 인체 내측에서 본 무릎관절 근방의 골격과 인대의 부분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의 형태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어느 부분에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배치되어 있을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배치되어 있는 피복상에 있어서의 위치의 설명에 신체의 일부나 근육이나 골격 상당부분의 명칭을 사용하고 있는 부분도 있어서,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우선, 본 발명에서 긴체력이 강한 부분의 위치 등의 설명에 사용하는 골격이나 근육의 인체에 있어서의 위치를 설명해 둔다.
도 123은 도면의 오른쪽 절반이 인체 하지부의 전면측에서 본 골격도, 또한, 왼쪽 절반이 인체 하지부의 전면측에서 본 근육도이다. 도 124는 도면의 왼쪽 절반 이 인체 하지부의 후면측에서 본 골격도, 또한, 오른쪽 절반이 인체 하지부의 후면측에서 본 근육도이다. 또한, 도 125는 인체의 오른쪽 하지부의 외측 측면측에서 본 일부골격이 붙은 근육도, 또한, 도 126은 인체의 오른쪽 하지부의 내측 측면측에서 본 일부골결이 붙은 근육도이다. 한편, 도 123∼도 126에 있어서, 본 발명의 설명에 특별히 필요 없는 부분의 근육이나 골격은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도 123∼도 126에 있어서, 701이 중간볼기근, 702가 큰볼기근, 703이 대전자, 704가 가쪽넓은근, 705가 엉덩정강근막띠, 706이 큰 모음근, 707이 반막모양근, 708이 반힘줄모양근, 709이 대퇴이두근, 710이 대퇴박근, 711이 허벅다리근, 712가 안쪽넓은근, 713이 대퇴골의 외측관절융기, 714가 대퇴골의 내측관절융기, 715가 무릎덮개부(슬개골), 716이 앞경골근, 717이 경골, 718이 비근(718a가 외측의 비근이고 718b가 내측의 비근), 719가 비복근(719a가 외측의 비복근이고 719b가 내측의 비복근), 720이 긴 장딴지뼈근, 721이 가쪽복사, 722가 안쪽복사, 723이 넙다리곧은근, 724가 대퇴골, 725가 장딴지뼈, 726이 장딴지뼈 머리, 727이 대퇴골 머리, 728이 관골구, 729가 선골이다. 한편, 요추는, 제1요추로부터 제5요추가 있고, 이들 요추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 있지만, 선골(729) 위에 존재하고 있다. 또한, 배곧은근, 배밖빗근, 배속빗근에 대해서도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배곧은근은 복부 중앙에 세로방향으로 가슴 아래의 복부 상부에서 하복부에 걸쳐서 존재하는 근육이며, 배밖빗근은 배곧은근의 좌우의 옆측에 존재하고, 근섬유 방향이 옆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상향의 근육이며, 배속빗근은 거의 배곧은근과 배밖빗근의 배면측에 존재하고, 근섬유 방향은 인체 앞중심으로부터 좌우로 각기 거의 비스듬히 하 향방향이다.
다음에 내측 측부인대 등을 설명하기 위하여, 무릎관절 근방의 골격과 인대의 부분도로서, 도 127과 도 128를 표시하였다.
도 127은, 무릎관절을 뒷쪽에서 본 배면도에 상당하고, 화살표 A측이 인체의 내측이며, 화살표 B측이 외측이다. 또한, 도 128은 무릎관절을 내측(화살표 A측)에서 본 측면도에 상당하고, 화살표 D측이 인체 앞쪽이며, 화살표 E측이 뒤쪽이다. 도 128은 무릎을 접어 구부리고 있는 상태이다. 800이 내측 측부인대, 801이 외측측부인대, 803이 경골의 내측관절융기, 804가 장딴지뼈의 외측관절융기, 805가 안쪽반달, 806이 가쪽반달, 807이 후십자인대, 709'은 대퇴이두근의 힘줄 부분의 일부이며, 윗쪽의 근육은 도시하고 있지 않다.
이들 도면으로부터도 명확한 바와 같이, 내측 측부인대는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에 있어서, 대퇴골 하단부 근방과 경골 상단부 근방을 연결하는 식의 형태로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 약간 뒷부분에 존재하고 있다.
한편, 이들 골격이나 근육의 위치, 형태, 크기는 개체 각각에 따라서 약간 상위하므로, 상기 근육 및 골격도는 대표예의 하나로서 나타낸 것이다.
또한, 각 근육의 근섬유 방향은, 도시의 각 근육중에 표시한 세선(細線)의 길이방향이며, 이 근섬유의 방향이 근육의 수축 방향이다. 또한, 이들의 골격이나 근육의 위치, 형태, 크기는 개체 각각에 따라서 약간 상위하므로 상기 근육 및 골격도는 대표예의 하나로서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골격이나 근육의 위치, 형태, 크기는 개체 각각에 따라서 상위하고, 인체 전체의 크기도 다르므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와 비교적 긴체력의 약한 부분이 배치되어 있는 피복상에 있어서의 위치가 소정의 지정된 위치부터 다소의 차이가 있어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는 지장이 없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구체적 실시의 형태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은, 도시한 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에 있어서, 상기 피복의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인체의 근육이나 인대, 힘줄, 뼈 등의 명칭을 사용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 등이, 인체의 해당 근육이나 인대, 힘줄, 뼈 등이 존재하는 부분 위 또는 그 근방 위를 지나가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상기 근육이나 뼈 등의 명칭을 사용해서 약술한 것이다. 또, 피복에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 이외의 부분은, 봉합라인의 부분이라든가, 특히 신축성이 적거나 또는 신축성이 없는 생지를 사용하는 소부분을 제외하고, 주된 부분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에 비하여, 그것보다 비교적 긴체력이 약한 신축성의 생지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사항은, 이하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라는 것은, 내측 측부인대의 전부를 커버하고 있지 않아도 대부분을 커버하고 있으면 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무릎관절보다 위쪽의 내측 측부인대는 거의 커버되고, 무릎관절보다 아래쪽은 슬개골의 하단에 상당하는 위치까지 내측 측부인대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로 커버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이하의 본 발명의 피복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각 도면에 있어서, 도 1∼도 4을 대표예로서 들어 설명하면, 1은 슬개골이 존재하는 위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슬개골의 크기가 이 크기인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것은 또한, 무릎관절의 중심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도 이용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복의 실시형태의 배면도에 있어서도, 슬개골이 존재하는 위치에 마크를 해두는 것은, 각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피복의 이해를 쉽게 하므로, 배면도에 있어서도 슬개골이 존재하는 위치를 쇄선의 동그라미로 나타내었다. 또, 각각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나 측면도에도, 슬개골이 존재하는 위치를 반원으로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랑이부를 갖고 웨이스트 라인으로부터 복사뼈 윗쪽까지의 길이를 갖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이하, 이러한 긴 형상의 피복을 「롱타이츠 타입」이라고 약칭하는 일이 있다.)의 일실시형태의 배면도, 도 2은 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4은 정면도를 기준으로 한 경우의 정면도(이 경우는 도 2)의 오른쪽에서 보았을 경우에 상당하는 피복의 측면도이다. 이하, 이러한 정면도의 오른쪽에서 보았을 경우에 상당하는 측면도를 단지 우측면도라 약칭한다.
도 1∼4에 표시된 롱타이츠 타입의 본 발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2)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3)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1)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l/4이상(여기서는 약1.7/4)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일부(4)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 및 비근의 측방(15)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그 내측에서 앞측을 지나 외측을 향해서 거의 허벅다리근(6)를 따라 더욱 넙다리곧은근 중 윗쪽부분(7)을 지나고, 대전자 근방(8)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121)로 이루어지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갖고 있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이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1)가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의 일부(4)를 커버하여 슬개골(1)을 아래쪽으로부터 끌어올리도록 서포트할 수 있어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또한 허벅다리근(6)을 서포트하여 대퇴부를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서 비스듬히 대전자(8)에 이르기까지 나선상으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1)가 존재하므로, 내측 측부인대(3)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를 더 한층 강화할 수 있어, 보다 내측 측부인대(3)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측부인대(3)의 기능을 보조하고 있는 허벅다리근(6)을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5∼8은,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5은 그 배면도, 도 6은 그 정면도, 도 7은 도 6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8은 그 우측면도이다.
이 형태에 있어서는, 도l∼도 4에 나타낸 형태에 있어서의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로 표시되는 부분(121)이, 더욱 대전자 근방(8)으로부터 엉덩정강근막띠(9)를 따라서 웨이스트 근방(10)에까지 연장되어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1)(122)를 갖고 있는 점이 도 1∼도 4가 나타내는 형태와 다르다. 따라서, 도 1∼도 4가 나타낸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이하, 도면의 각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특히 단정하지 않는 한, 앞의 도면에 나타낸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또한 대전자 근방(8)으로부터 엉덩정강근막띠(9)를 따라서 웨이스트 근방(10)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1)(122)을 갖고 있으므로, 상기 도 1∼도 4를 이용해서 설명한 것과 같은 기능이 더욱 강화되고, 또 대전자(8)를 보다 강하게 억누르는 기능이 강화되고 있으며, 대퇴골 머리와 관골구의 결합을 양호하게 하고, 따라서 더욱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발휘되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9∼12은,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은 그 배면도, 도 10은 그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2는 그 우측면도이다.
이 형태의 피복은, 도 5∼도 8에서 제시한 형태의 피복의 변형형태이며,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로 표시되는 부분(121)이, 또한 슬개골(1)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에서 슬개골(1)의 위쪽 부분(11)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이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상기 도 5∼도 8을 이용해서 설명한 피복과 같은 기능이 발휘되는 동시에,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121)가, 또한 슬개골(1)의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11)도 커버하고 있으므로,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4)과 양쪽으로부터 무릎관절의 서포트가 가능하고, 보다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13∼도 16은,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은 그 배면도, 도 14는 그 정면도, 도 15는 도 14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6은 그 우측면도이다.
이 형태의 피복은, 도 1∼도 4에서 제시한 형태의 피복의 변형형태이며,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121)로 표시되는 부분이, 또한, 내측의 비복근 측방으로부터 슬개골 아래쪽의 주위 부근(12)을 지나서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해 슬개골(1)의 외측 측방(13)에 이르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2)(123)를 갖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도 1∼도 4로 나타낸 형태와 같은 기능이 발휘되는 동시에, 또한 슬개골(1) 주위를 내측의 비복근 측방으로부터 즉 내측 아래쪽으로부터 감싸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끌어올리는 것 같은 파워가 작용하여, 보다 한층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17∼도 20은,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17은 그 배면도, 도 18은 그 정면도, 도 19는 도 18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20은 그 우측면도이다.
이 형태의 피복은, 도 5∼도 8에서 제시한 형태의 피복의 변형형태이며, 도 5∼도 8에서 제시한 형태의 피복에 다음에 설명하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가 더 부가된 형태이다. 즉, 대전자 근방(8)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거의 엉덩정강근막띠(9)를 따라서 슬개골(1)의 외측 측부측에 이르고, 슬개골의 외측에서 아래쪽 부분(14)의 일부를 커버하여 외측의 비복근 및 비근의 측방(15)을 지나서 가쪽복사의 위쪽(16)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 축성부(B)(124)를 갖고 있다.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124)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121)와 합체된 윗쪽부분(Al-1)(122)의 부분은, 도 5∼도 8에 나타낸 것에 비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의 폭이 약간 굵어져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도 5∼도 8에 나타낸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과 같은 기능이 발휘되는 동시에,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124)를 더 갖고 있으므로, 대퇴부 및 하퇴부에 있어서 양측으로부터 무릎과 다리부를 서포트하고, 게다가 비복근 및 비근의 활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그 측방으로부터 비복근 및 비근을 서포트할 수 있다. 또한, 대전자(8)를 억누르는 기능이 더 한층 강화되고 있어, 대퇴골 머리와 관골구의 결합을 보다 양호하게 하고,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화된다.
다음에, 도 21∼24는,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1은 그 배면도, 도 22는 그 정면도, 도 23은 도 22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24는 그 우측면도이다.
이 형태의 피복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3)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1)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슬개골 주위의 거의 1/4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4)의 일부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 및 비근의 측방(5)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21)을 따라서 엉덩이홈 근방(22)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30)로 이루어지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갖고 있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이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30)가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4)의 일부를 커버해 슬개골(1)을 아래쪽으로부터 끌어올리도록 서포트할 수 있어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또한 대퇴부의 내측에 존재하는 반힘줄모양근(21)을 서포트하고, 내측 측부인대(3)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를 강화할 수 있어, 보다 내측 측부인대(3)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측부인대의 기능을 보조하고 있는 반힘줄모양근을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25∼28은,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25는 그 배면도, 도 26은 그 정면도, 도 27은 도 26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28은 그 우측면도이다.
이 형태의 피복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3)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1)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슬개골 주위의 거의 1/4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4)의 일부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 및 비근의 측방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거의 대퇴박근(23)을 따라서 가랑이 아래 근방(24)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31)로 이루어지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갖고 있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이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31)가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4)의 일부를 커버해 슬개골(1)을 아래쪽으로부터 끌어올리도록 서포트할 수 있어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또한 대퇴부의 내측에 존재하는 대퇴박근(23)을 서포트하고, 내측 측부인대(3)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를 강화할 수 있어, 보다 내측 측부인대(3)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측부인대의 기능을 보조하고 있는 대퇴박근을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29∼32는,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29는 그 배면도, 도 30은 그 정면도, 도 31은 도 30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32는 그 우측면도이다.
이 형태의 피복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3)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1)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슬개골 주위의 거의 1/4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4)의 일부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 및 비근의 측방(5)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과 대퇴박근의 양자(25)를 따라서 가랑이 아래 근방(24) 및 엉덩이홈 근방(22)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32)로 이루어지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갖고 있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이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32)가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4)의 일부를 커버해 슬개골(1)을 아래쪽으로부터 끌어올리도록 서포트할 수 있어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또한 대퇴부의 내측에 존재하는 반힘줄모양근과 대퇴박근의 양자(25)를 서포트하여, 내측 측부인대(3)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를 강화할 수 있어, 보다 내측 측부인대(3)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측부인대의 기능을 보조하고 있는 반힘줄모양근과 대퇴박근의 양자를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33∼36은,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33은 그 배면도, 도 34는 그 정면도, 도 35는 도 34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36은 그 우측면도이다.
이 형태의 피복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3)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1)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슬개골(1)의 주위의 거의 1/4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의 일부(4)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 및 비근의 측방(5)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윗쪽으로 내측으로부터 후방측을 거쳐서 외측을 향하고, 또한 거의 반힘줄모양근 및 반막모양근(26)에 따르고, 또한 대퇴이두근(27)을 비스듬히 지나 대전자 근방(8)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3)(133)로 이루어지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갖고 있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이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내측의 비복근 및 비근의 측방(5)으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대퇴부 내측에서 후방측을 거쳐서 외측을 향해서 비스듬히 대전자 근방(8)에 이르기까지 나선상으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3)(133)가 존재하므로, 슬개골(1)을 아래쪽으로부터 끌어올리도록 서포트할 수 있어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내측 측부인대(3)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를 더욱 강화할 수 있어, 보다 내측 측부인대(3)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측부인대의 기능을 보조하고 있는 반힘줄모양근 및 반막모양근을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37∼40은,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37은 그 배면도, 도 38은 그 정면도, 도 39는 도 38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40은 그 우측면도이다.
이 형태의 피복은 도 5∼8에 나타낸 형태의 피복과 도 21∼24에 나타낸 형태의 피복의 특징을 아울러 갖는 피복이다. 즉,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3)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1)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4이상(여기서는 약1.7/4)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일부(4)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 및 비근의 측방(5)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그 내측에서 앞측을 지나 외면을 향해서 거의 허벅다리근(6)를 따르고 또한 넙다리곧은근 중 윗쪽부분(7), 대전자 근방(8)에 이르며(Al)(121), 또한 대전자 근방(8)으로부터 엉덩정강근막띠(9)를 따라서 웨이스트 근방(10)에까지 연장되어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1-1)(122)를 갖고 있는 동시에,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l21)의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 분기점(31)으로부터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21)를 따라서 엉덩이홈 근방(22)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40)를 더 갖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대퇴부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향해서 비스듬히 대전자(8)을 넘어서 웨이스트 근방(10)에 이르기까지 나선상으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121)와 신축성부(A1-1)(122)이 존재함과 아울러,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 두갈래로 갈라져서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21)을 따라서 엉덩이홈 근방(22)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40)를 더 가지므로, 내측 측부인대(3)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가 이 양자의 작용에 의해 더욱 한층 강화되어, 보다 내측 측부인대(3)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이 제공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측부인대(3)의 기능을 보조하고 있는 허벅다리근(6)과 함께 반힘줄모양근(21)의 근육도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더욱이 대전자 근방(8)으로부터 엉덩정강근막띠(9)를 따라서 웨이스트 근방(10)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1)(122)를 갖고 있으므로, 대전자를 억누르는 기능이 부여되고 있고, 대퇴골 머리와 관골구의 결합을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발휘되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41∼44는,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41은 그 배면도, 도 42는 그 정면도, 도 43은 도 42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44는 그 우측면도이다.
이 형태의 피복은 도 5∼8에 나타낸 형태의 피복과 도 25∼28에 나타낸 형태의 피복의 특징을 아울러 갖는 피복이다. 즉,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3)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1)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4이상(여기서는 약1.7/4)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일부(4)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 및 비근의 측방(5)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그 내측에서 앞측을 지나가 외면을 향해서 거의 허벅다리근(6)를 따르고 또한 넙다리곧은근 중 윗쪽부분(7), 대전자 근방(8)에 이르러(Al)(121), 또한 대전자 근방(8)으로부터 엉덩정강근막띠(9)를 따라서 웨이스트 근방(10)에까지 연장되어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1)(122)를 갖고 있는 동시에,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121)의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 분기점(31)으로부터 대퇴부를 거의 대퇴박근(23)을 따라서 가랑이 아래 근방(24)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41)를 더 갖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대퇴부를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서 비스듬히 대전자(8)를 넘어서 웨이스트 근방(10)에 이르기까지 나선상으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121)와 신축성부(A1-1)(122)가 존재하는 동시에,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 두갈래로 갈라져서, 대퇴부를 거의 대퇴박근(23)을 따라서 가랑이 아래 근방(24)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41)를 더 가지므로, 내측 측부인대(3)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가 이 양자의 작용에 의해 더욱 한층 강화되어, 보다 내측 측부인대(3)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측부인대(3)의 기능을 보조하고 있는 허벅다리근(6)과 함께 대퇴박근(23)의 근육도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대전자 근방(8)으로부터 엉덩정강근막띠(9)를 따라서 웨이스트 근방(10)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1)(122)를 갖고 있으므로, 대전자를 억누르는 기능이 부여되고 있고, 대퇴골 머리와 관골구의 결합을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발휘되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45∼48은,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45는 그 배면도, 도 46은 그 정면도, 도 47은 도 46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48은 그 우측면도이다.
이 형태의 피복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3)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1)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1) 주위의 거의 1/2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4)과 위쪽 부분(11)의 일부를 커버하고, 내측의 비복근 및 비근의 측방(5)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 및 대퇴박근을 따라서 가랑이 아래 근방(24) 내지 엉덩이홈 근방(22)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42)이며, 또한, 웨이스트 근방(10)의 옆측에서 거의 엉덩정강근막띠(9)를 따라서 대전자 근방(8)을 지나고, 거의 엉덩정강근막띠(9)를 따라서 슬개골(1)의 외측 측부측에 이르며, 슬개골(1)의 인체 외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2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32)과 위쪽 부분(33)의 일부를 커버하고, 외측의 비복근 및 비근의 측방(15)을 지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143)를 갖고 있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이다.
그리고 이 형태에 있어서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42)의 슬개골(1) 아래쪽 부분(4)과 위쪽 부분(11)의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 내측 방향으로 향한 2개의 볼록부의 위치 4와 11이, 이것과 마주보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143)의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32)과 위쪽 부분(33)의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 외측 방향으로 향한 2개의 볼록부의 위치 32, 33보다도 각각 약간아래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고, 또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42) 의 슬개골(1) 아래쪽 부분(4)을 덮는 정면측에서 보이는 면적이, 조금 크게 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대퇴부 전면측의 가쪽넓은근, 안쪽넓은근의 활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대퇴부 및 하퇴부의 양측에서 무릎과 다리부를 서포트하고, 게다가 무릎관절을 감싸도록 주위에서 서포트하고 있으므로, 무릎관절의 서포트를 더 한층 행할 수 있고, 또 대전자(8)을 억누르는 기능이 더 한층 강화되고 있어, 대퇴골 머리와 관골구의 결합을 보다 양호하게 하고,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화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하퇴부에 있어서는 내측은 근육이 적어 경골이 체표면에 접하고 있고, 한편, 하퇴부 외측은 비복근이 장딴지뼈의 외측에 붙어 있으므로, 보다 근육이 적은 내측을 보다 많게 아래로부터 끌어올리도록 무릎관절을 서포트할 수 있고,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도 강화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이 형태에 있어서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42)의 슬개골(1) 아래쪽 부분(4)과 위쪽 부분(11)의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 외측 방향으로 향한 2개의 볼록부의 위치 4와 11이, 이것과 마주보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143)의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32)과 위쪽 부분(33)의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 내측 방향으로 향한 2개의 볼록부의 위치 32, 33은, 볼록부의 위치 4가 볼록부의 위치 32보다도 약간 아래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고, 게다가 볼록부의 위치 11이 볼록부의 위치 33보다도 약간 아래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는 것이, 보다 근육이 적은 내측을 보다 많이 아래로부터 끌어올리도록 무릎관절을 서포트할 수 있고,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도 강화되어 바람직하지만, 볼록부의 위치 4가 볼록부의 위치 32와 같은 높이의 위치이거나, 볼록부의 위치 11이 볼록부의 위치 33과 같은 높이의 위치이거나 하는 것은 관계없다. 또한, 인체 외측방향으로 향한 2개의 볼록부의 위치 4와 11이 다리부 앞쪽의 중심라인보다 더욱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것과 마주보는 볼록부의 위치 32와 33이 다리부 앞쪽의 중심라인보다 더욱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좋고, 혹은 2개의 볼록부의 위치 4와 32가 연결되어 있거나, 마찬가지로 볼록부의 위치 11과 33이 연결된 형태이여도 개의치 않는다. 나아가서는, 볼록부의 위치 4가 볼록부의 위치 32보다도 약간 위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고, 게다가 볼록부의 위치 11이 볼록부의 위치 33보다도 약간 위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는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도 49∼52은,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49는 그 배면도, 도 50은 그 정면도, 도 51은 도 50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52는 그 우측면도이다.
이 형태의 피복은, 도 17∼도 20에서 나타낸 형태의 피복의 변형형태이며, 도 17∼도 20에서 나타낸 형태의 피복에 다음에 설명하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 (C)와 (D)의 응용 타입의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더 부가된 형태이다. 따라서, 도 17∼도 20에서 나타낸 형태와 같은 부분의 설명은, 도면중에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도 17∼도 2O에서 나타낸 형태와 거의 같은 부분에 있어서도, 약간 다른 점이 있고, 도 17∼도 20의 비교적 긴체 력이 강한 신축성부(B)(124)는, 가쪽복사뼈의 위쪽(l6)에까지 이르고 있지만, 도 49∼52에 나타낸 형태의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124')는, 외측의 비복근 및 비근의 측방에 이르고 있는 부분에서 멈추고 있고, 가쪽복사뼈의 위쪽(16)에까지 이르고 있지 않은 점이 약간 다르다.
그 이외의 점은, 도 17∼도 20에서 나타낸 형태의 피복과 거의 같고, 또한 다음에 설명하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더 마련되어져 있다.
후방측의 인체의 제4요추로부터 선골에 상당하는 위치(35)에 있어서 좌우 부분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위치(35)로부터 좌우의 큰볼기근의 거의 중간부에서 거의 큰볼기근의 근섬유 방향를 따라서 엉덩이부의 융기부 정점 또는 그 근방을 지나 적어도 대전자(8)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C)(145)를 갖고, 거의 웨이스트부의 뒤중심위치 근방에 있어서 좌우부분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웨이스트부의 뒤중심위치 근방으로부터 좌우의 넓은 등근 및 중간볼기근 및 배밖빗근의 일부에 접촉되어 적어도 옆 위치까지의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46)를 갖고 있으므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C)(145)에 의해, 확실히 큰볼기근을 그 근섬유 방향으로 서포트할 수 있다. 따라서, 허리의 선회운동을 서포트하여 허리의 선회각도의 감소를 방지하고, 골반의 전후 방향으로의 안정에 큰 역할을 다할 수 있고, 고령자에 있어서는 전도의 방지에 유효하다. 또한, 주행, 점프, 슬로프를 오를 때의 고관절의 전후 방향으로의 확장에 큰 역할을 다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46)에 의해, 웨이스트부의 뒤중심위치 근방으로부터 좌우의 넓은 등근 및 중간볼기근 및 배밖빗근을 보다 강력하게 서포트하여, 골반의 뒤로기움을 방지하고, 골반의 위치를 안정된 위치에 유지하는 기능을 보조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 형태의 피복은, 또한, 복부의 배곧은근(36)상에 있어서 좌우부분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복부의 배곧은근상의 위치로부터 좌우의 배속빗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를 따라서 비스듬히 아래방향을 향해 대전자(8)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D)(147)와, 복부의 배곧은근(36)상에 있어서 좌우부분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복부의 배곧은근(36)상에서 좌우의 배밖빗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를 따라서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해 적어도 옆까지의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48)를 갖고 있다.
따라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D)(147)에 의해 배곧은근의 일부와 배속빗근을 서포트하고, 요추전만을 약화시키고, 양호한 자세를 유지하여 체형이 젊어 보이고, 요통 등의 아픔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48)에 의해, 배곧은근의 일부와 배밖빗근을 서포트하고, 요추전만을 약화시키고, 양호한 자세를 유지하여 체형이 젊어 보이고, 요통 등의 아픔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 (C)(145, 146), (D)(147 혹은 148) 등은 필요에 따라서 다른 형태의 피복의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도 53∼56은,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53은 그 배면도, 도 54는 그 정면도, 도 55는 도 54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56은 그 우측면도이다.
이 형태의 피복은,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3)보다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는, 도 1∼4에 표시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과 거의 동일하지만, 그것보다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의 위치가 도 1∼4의 피복과 다르다. 즉, 비교적 긴체력의 강한 신축성부 (A)로 표시되는 부분(2)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3)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1)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4이상(여기서는 약1.7/4)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일부(4)를 커버하고 있지만, 그것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50)는, 하지부 앞면을 비스듬히 외측으로 가쪽복사뼈 방향(16')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50)는,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그 내측에서 앞측을 지나가 외면을 향해서 거의 허벅다리근(6)를 따르고 또한 넙다리곧은근 중 윗쪽부분(7)을 지나 대전자 근방(8)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무릎관절 위쪽의 부분은, 도 1∼4의 경우와 같은 기능을 발휘함과 아울러, 내측 측부인대(3)를 상하부분 모두 비스듬히 외측으로 잡아당기도록 긴체력이 작용하므로, 내측 측부인대(3)를 보다 확실히 서포트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7∼60은,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57은 그 배면도, 도 58은 그 정면도, 도 59는 도 58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60은 그 우측면도이다.
이 형태의 피복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51)가 슬개골(1)의 아래쪽을 둘러싸고 있는 형태는 도 13∼도 16에 나타낸 형태와 매우 닮아 있다. 다른 점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내측의 비복근 측방으로부터 슬개골의 아래쪽의 주위 부근(12)을 지나 경사 위쪽을 향해 슬개골(1)의 외측 측방(13)을 지나 가쪽넓은근(37) 및 엉덩정강근막띠(9)를 따라서 윗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대퇴부를 그 내측에서 앞측을 지나 외면을 향해서 거의 허벅다리근(6)를 따라서 더욱 넙다리곧은근 중 윗쪽부분(7)을 지나 더욱 대전자 근방(8)으로부터 엉덩정강근막띠(9)를 따라서 웨이스트 근방(10)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와 합류점(38)에서 합류되어 있는 점이다.
이 형태로 함으로써, 도 13∼도 16로 나타낸 피복과 같은 기능이 발휘됨과 동시에, 무릎관절을 보다 안정되게 서포트할 수 있다. 또한, 도 13∼도 16에서 나타낸 피복에 비하여, 대전자 근방(8)으로부터 엉덩정강근막띠(9)를 따라서 웨이스트 근방(10)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더 가지므로, 대전자(8)를 보다 강하게 억누르는 기능이 강화되어 있고, 대퇴골 머리와 관골구의 결합을 양호하게 하고, 따라서 고관절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기능이 발휘되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61∼64는,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61은 그 배면도, 도 62는 그 정면도, 도 63은 도 62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64는 그 우측면도이다.
이 형태의 피복은, 도 57∼도 60에 나타낸 형태의 변형형태이며, 도 57∼도 60에 나타낸 형태의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51)에 또한, 분기점(39)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외측의 비복근 및 비근의 측방을 지나고, 가쪽복사뼈의 윗쪽(16)에 이르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52)가 더 마련되어져 있는 점이다.
이 형태로 함으로써, 도 57∼도 60으로 나타낸 피복과 같은 기능이 발휘되는 동시에, 비복근 및 비근의 활동을 저해하지 않고, 비복근 및 비근을 옆측에서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65∼68은,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65는 그 배면도, 도 66은 그 정면도, 도 67은 도 66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68은 그 우측면도이다.
이 형태의 피복은, 도 13∼도 16에 나타낸 형태의 변형응용형태이다.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53)가 슬개골(1)의 주위를 완전히 둘러싸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것에 의해, 무릎의 안정성을 보다 한층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53)의 상기 이외의 점은, 도l3∼도 16에 나타낸 형태의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와 같은 형태이다.
이 형태로 함으로써, 도 13∼도 16으로 나타낸 피복과 같은 기능이 발휘되는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무릎관절을 보다 안정되게 서포트할 수 있다.
다음에, 도 69∼72는,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69는 그 배면도, 도 70은 그 정면도, 도 7l은 도 70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72는 그 우측면도이다.
이 형태의 피복은, 도 1∼도 4에 나타낸 형태의 변형응용형태이다. 즉,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현되는 부분(2)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3)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1)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4이상(여기서는 약1.7/4)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일부(4)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 및 비근의 측방(5)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그 내측에서 앞측을 지나가 외면을 향해서 거의 허벅다리근(6)를 따라서 더욱 넙다리곧은근 중 윗쪽부분(7)을 지나고, 대전자 근방(8)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12l)로 이루어지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갖고 있는 점은, 도 1∼4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과 공통되고 있고, 이 형태에 있어서는, 대략 삼각형상의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54)가 슬개골(1)의 외측 아래쪽에 더 설치되어 있고,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1)의 슬개골(1) 아래쪽 부분의 일부(4)의 볼록부의 정점과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54)의 정점(4O)이 슬개골(1) 아래에서 접하고 있고, 좌우 및 아래쪽에서 무릎을 서포트하고 있다. 따라서 도 1∼4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과 같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무릎을 아래에서 서포트하는 기능이 강화되어 있다. 또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1)의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의 일부(4)의 볼록부의 정점과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54)의 정점(40)은 정점에서 접할 뿐만 아니라, 서로 겹친 모양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에, 도 73∼76은,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73은 그 배면도, 도 74는 그 정면도, 도 75는 도 74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76은 그 우측면도이다.
이 형태의 피복은, 도 5∼도 8에 나타낸 형태의 변형응용형태이다. 즉,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2)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3)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1)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4이상(여기서는 약1.7/4)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일부(4)를 커버하고, 내측의 비복근 및 비근의 측방(5)로부터 더욱 내측의 비복근 및 비근의 아래쪽의 측방(41)을 통해 안쪽복사뼈 윗쪽(42)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그 내측에서 앞측을 지나가 외면을 향해서 거의 허벅다리근(6)를 따라서 더욱 넙다리곧은근 중 윗쪽부분(7)을 지나고, 대전자 근방(8)을 경유해서 엉덩정강근막띠(9)를 따라서 웨이스트 근방(10)에까지 연장되어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1+122)와 유사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2')을 갖는다.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2')가, 도 5∼도 8의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1+122)와 약간 다른 점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2')가, 내측의 비복근 및 비근의 측방(5)으로부터 더욱 내측의 비복근 및 비근의 아래쪽의 측방(41)을 지나 안쪽복사뼈 윗쪽(42)에 이르고 있는 점이다.
그리고 이 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슬개골(1)의 윗쪽에서, 슬개골(1)의 외측을 돌아 슬개골의 아래쪽(32)을 커버하고, 또한 외측의 비복근 및 비근의 측방(43)을 지나 아래쪽의 가쪽복사뼈 윗쪽(16)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 성부(155)를 더 갖고 있다.
따라서, 도 5∼도 8의 형태의 피복과 동등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또한, 무릎관절을 내측과 외측에서 서포트하여, 무릎관절의 보다 안정된 서포트에 기여함과 아울러,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비복근 및 비근의 내측과 외측의 측방을 지나고 있으므로, 비복근 및 비근의 활동을 저해하지 않고 이들의 근육을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77∼80은,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77은 그 배면도, 도 78은 그 정면도, 도 79는 도 78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80은 그 우측면도이다.
이 형태의 피복은, 도 9∼도 12에 나타낸 형태의 응용형태이다. 즉,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2)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3)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1)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4이상(여기서는 약1.7/4)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일부(4)와 슬개골(1)의 위쪽 부분(11)의 일부를 커버해 내측의 비복근 및 비근의 측방(5)으로부터 더욱 내측의 비복근 및 비근의 아래쪽의 측방(41)을 지나 아래쪽의 안쪽복사뼈 윗쪽(42)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그 내측에서 앞측을 지나 외면을 향해서 거의 허벅다리근(6)을 따르고 또한 넙다리곧은근 중 윗쪽부분(7)을 지나, 대전자 근방(8)을 경유해서 엉덩정강근막띠(9)를 따라서 웨이스트 근방(10)에까지 연장되어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1+122)와 유사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56)를 갖는다.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56)가, 도 9∼도 12의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1+122)와 약간 다른 점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56)의 내측 아래쪽 부분이 내측의 비복근 및 비근의 측방(5)으로부터 더욱 내측의 비복근 및 비근의 아래쪽 측방(41)을 지나 안쪽복사뼈 윗쪽(42)에 이르고 있는 점이다.
그리고, 본 형태의 피복이, 도 9∼도l2의 피복의 형태와 크게 다른 점은, 본 형태의 피복의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56)가, 분기점(44)으로부터, 또한, 다리부 외측을 하강해서 가쪽복사뼈(16)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점이다.즉,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56)는, 분기점(44)으로부터, 또한, 거의 엉덩정강근막띠(9)를 따라서 슬개골(1)의 외측 측부측에 이르고, 슬개골(1)의 인체 외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2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32)과 위쪽 부분(33)의 일부를 커버하고, 외측의 비복근 및 비근의 측방(43)을 지나 아래쪽의 가쪽복사뼈 윗쪽(16)에 이르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도 9∼도 12의 형태의 피복과 동등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또한, 내측 측부인대(3)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를 더 한층 강화할 수 있어, 보다 한층 내측 측부인대(3)의 서포트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무릎관절을 내측과 외측에서 서포트하여, 무릎관절의 보다 안정된 서포트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비복근 및 비근의 내측과 외측의 측방을 지나고 있으므로, 비복근 및 비근의 활동을 저해하지 않고 이들의 근육을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81∼84는,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81은 그 배면도, 도 82는 그 정면도, 도 83은 도 82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84는 그 우측면도이다.
이 형태의 피복은, 도 17∼도 20에서 나타낸 형태의 피복의 변형형태이며, 도 17∼도 20에서 나타낸 형태의 피복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 (A)(121)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 (B)(124')가 슬개골의 아래쪽에서 접하고 있는 형태이다. 따라서, 도 17∼도 20에서 나타낸 형태와 같은 부분의 설명은, 도면중에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도 17∼도 20에서 나타낸 형태와 거의 같은 부분에 있어서도, 약간 다른 점이 있고, 도 17∼도 20의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 (B)(124)는, 가쪽복사뼈의 위쪽(16)에까지 이르고 있지만, 도 81∼84에 나타낸 형태의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 (B)(124')는, 외측의 비복근 및 비근의 측방에 이르고 있는 부분에서 멈추고 있어, 가쪽복사뼈의 위쪽(16)에까지 이르지 않고 있는 점이 약간 다르다.
상술 이외의 점은, 도 17∼도 20에서 나타낸 형태의 피복과 거의 같다.
즉,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1)의 슬개골(1) 아래쪽 부분의 일부(4)의 볼록부의 정점과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4')의 슬개골(1) 아래쪽 부분의 일부(14)의 볼록부의 정점이 슬개골(1) 아래에서 접하고 있고, 좌우 및 아래쪽에서 무릎을 서포트하고 있다. 따라서 도 17∼20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과 같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무릎을 아래에서 서포트하는 기능이 강화되어 있다.
다음에, 도 85∼88은,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85는 그 배면도, 도 86은 그 정면도, 도 87은 도 88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88은 그 우측면도이다.
이 형태의 피복은, 도 81∼도 84에서 나타낸 형태의 피복의 변형형태이며, 도 81∼도 84에서 나타낸 형태의 피복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 (A)(121)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 (B)(124')가 슬개골의 아래쪽에서 접하고 있는 부분이 점접촉이 아니라 약간 폭이 넓게 되어서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다. 따라서, 도 81∼도 84에서 나타낸 형태와 같은 부분의 설명은, 도면중에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즉,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1)의 슬개골(1) 아래쪽 부분의 일부(4)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4')의 슬개골(1) 아래쪽 부분의 일부(14)가 슬개골(1) 아래에서 연결되어 있고, 좌우 및 아래쪽에서 무릎을 서포트하고 있다. 따라서 도 81∼84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과 같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무릎을 밑에서부터 서포트하는 기능이 한층 강화되어 있다.
또한, 이 형태의 경우,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형성하는데, 피복본체에 소정 형상의 신축성 생지를 포개서 그것을 봉합함으로써 형성할 경우 등에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1)의 슬개골(1) 아래쪽 부분의 일부(4)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4')의 슬개골(1) 아래쪽 부분의 일부(14)의 연결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1)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4')를 연속한 1장의 천으로 형성해서 미리 이 부분이 연결된 하나의 생지를 사용해도 좋고,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1)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4')는 각각 별개인 생지로 작성하고, 상기 별개의 생지의 4와 14로 나타낸 부분이 겹쳐져서 봉합됨으로써 연결부가 형성된 것이라도 좋다.
이상,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에 관한 구체예를 들어서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목적이 저해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상반신 부분이 더 부가된 설계로 하는 것을 조금도 제외하는 것이 아니다.
다음에,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서, 가랑이부를 갖고 웨이스트 라인으로부터 무릎 아래까지의 길이를 갖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이하, 이들을 세미롱타이츠 타입이라 약칭하는 일이 있다.)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무릎 아래까지의 길이를 갖는다」라는 것은, 적어도 슬개골의 하단 또는 그보다 아래까지 옷자락이 연장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옷자락의 위치가, 적어도 슬개골의 하단에서 3∼5cm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가장 옷자락이 긴 것이라도 피복의 하단의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무릎관절로부터 아래쪽의 하퇴부 길이의 절반까지의 위치이거나 또는 그것보다 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본 발명은 이것보다 더욱 긴 옷자락 기장을 갖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89∼92는, 본 발명의 세미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89는 그 배면도, 도 90은 그 정면도, 도 91은 도 90 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92는 그 우측면도이다.
이 형태의 피복은, 도 5∼도 8에 나타낸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1)의 슬개골(1) 아래쪽 부분의 일부(4)의 장소에서 그것보다 아래쪽 부분이 잘려진 설계의 세미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에 상당하는 것이다.
즉,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2)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3)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1)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4이상(여기서는 약1.7/4)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일부(4)를 커버하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그 내측에서 앞측을 지나 외면을 향해서 거의 허벅다리근(6)을 따르고 또한 넙다리곧은근 중 윗쪽부분(7)을 지나, 대전자 근방(8)에 이르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121a)와 더욱 대전자 근방(8)으로부터 엉덩정강근막띠(9)를 따라서 웨이스트 근방(10)에까지 연장되어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1)(122a)를 갖는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옷자락 하단은 슬개골의 하단에서 5cm의 위치에 있다(이하의 세미롱타이츠 타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특별히 단정하지 않는 한, 옷자락 하단의 위치에 대해서는 같다.).
도 89∼92에 표시된 세미롱타이츠 타입의 본 발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은,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121a)가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의 일부(4)를 커버해 슬개골(1)을 아래쪽으로부터 끌어올리도록 서포트할 수 있어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또한 허벅다리근(6)을 서포트하고, 대퇴부를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서 비스듬히 대전자(8)에 이르기까지 나선상으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1a)가 존재하므로, 내측 측부인대(3)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를 더 한층 강화할 수 있어, 보다 내측 측부인대(3)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또한, 내측 측부인대(3)의 기능을 보조하고 있는 허벅다리근(6)을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121a가 윗쪽으로 더욱 연장되어 대전자 근방(8)으로부터 엉덩정강근막띠(9)를 따라서 웨이스트 근방(10)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1)(122a)를 갖고 있으므로, 대전자(8)을 보다 강하게 억누르는 기능이 강화되고 있어, 대퇴골 머리와 관골구의 결합을 양호하게 하고, 따라서, 고관절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기능이 발휘되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93∼96은, 본 발명의 세미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93은 그 배면도, 도 94는 그 정면도, 도 95는 도 94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96은 그 우측면도이다.
이 형태의 피복은, 도 89∼도 92에서 나타낸 형태의 피복의 변형형태이며, 도 89∼도 92에서 나타낸 형태의 피복에 다음에 설명하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2)(124a)가 더 부가된 형태이다. 즉, 또한, 대전자 근방(8)으로부터 아래쪽 을 향하여 거의 엉덩정강근막띠(9)를 따라서 슬개골(1)의 외측 측부측에 이르고, 슬개골의 외측에서 아래쪽 부분(14)의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2)(124a)를 갖고 있다.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2)(124a)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121a)와 합체한 윗쪽 부분(A21-1)(122a)의 부분은, 도 89∼92에 나타낸 것에 비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의 폭이 약간 넓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도 89∼92에 나타낸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과 같은 기능이 발휘되는 동시에,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2)(124a)를 더 갖고 있으므로, 무릎을 양측에서 서포트할 수 있고, 무릎관절의 서포트가 보다 강화된다. 또한, 대전자(8)을 억누르는 기능이 더 한층 강화되고 있어, 대퇴골 머리와 관골구의 결합을 보다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화된다.
다음에, 도 97∼100은, 본 발명의 세미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97은 그 배면도, 도 98은 그 정면도, 도 99는 도 98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00은 그 우측면도이다.
이 형태의 피복은, 도 21∼도 24에서 나타낸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1)의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의 일부(4)의 장소에서 그것보다 아래쪽 부분이 잘려진 설계의 세미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에 상당하는 것이다.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3)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1)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1) 주위의 거의 1/4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의 일부(4)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의 상부 측방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21)를 따라서 엉덩이홈 근방(22)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130a)로 이루어지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갖고 있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이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30a)가 슬개골 아래쪽 부분의 일부(4)를 커버해 슬개골(1)을 아래쪽으로부터 끌어올리도록 서포트할 수 있어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또한 대퇴부의 내측에 존재하는 반힘줄모양근(21)을 서포트하고, 내측 측부인대(3)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를 강화할 수 있어, 보다 내측 측부인대(3)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측부인대의 기능을 보조하고 있는 반힘줄모양근을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101∼1O4는, 본 발명의 세미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101은 그 배면도, 도 102는 그 정면도, 도 103은 도 102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04는 그 우측면도이다.
이 형태의 피복은, 도 25∼도 28에서 나타낸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31)의 슬개골(1) 아래쪽 부분의 일부(4)의 곳에서 그것보다 아래쪽 부분이 잘려진 세미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에 상당하는 것이다.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3)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1)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1) 주위의 거의 1/4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의 일부(4)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의 상부 측방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거의 대퇴박근(23)를 따라서 가랑이 아래 근방(24)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31a)로 이루어지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갖고 있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이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31a)가 슬개골 아래쪽 부분의 일부(4)를 커버해 슬개골(1)을 아래쪽으로부터 끌어올리도록 서포트할 수 있어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또한 대퇴부의 내측에 존재하는 대퇴박근(23)을 서포트하고, 내측 측부인대(3)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를 강화할 수 있어, 보다 내측 측부인대(3)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측부인대의 기능을 보조하고 있는 대퇴박근을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105∼108은, 본 발명의 세미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 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105는 그 배면도, 도 106은 그 정면도, 도 107은 도 106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08은 그 우측면도이다.
이 형태의 피복은, 도 45∼도 48에서 나타낸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에 있어서, 슬개골(1) 외측의 아래쪽 부분의 일부(32)의 부분에서 그것보다 아래쪽 부분이 잘려진 설계의 세미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에 상당하는 것이다.
이 형태의 피복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3)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1)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1) 주위의 거의 1/2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4)과 위쪽 부분(11)의 일부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의 상부 측방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 및 대퇴박근을 따라서 가랑이 아래 근방(24) 내지 엉덩이홈 근방(22)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142a)이며, 또한, 웨이스트 근방(10)의 옆측에서 거의 엉덩정강근막띠(9)를 따라서 대전자 근방(8)을 지나고, 거의 엉덩정강근막띠(9)를 따라서 슬개골(1)의 외측 측부측에 이르며, 슬개골(1)의 인체 외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슬개골 주위의 거의 1/2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32)과 위쪽 부분(33)의 일부를 커버하고, 외측의 비복근의 상부 측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2')(143a)를 갖고 있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이다.
그리고 이 형태에 있어서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142a)의 슬개골(1) 아래쪽 부분(4)과 위쪽 부분(11)의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 내측 방향으로 향한 2개의 볼록부의 위치 4와 11이, 이것과 마주보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2')(143a)의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32)과 위쪽 부분(33)의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 외측방향으로 향한 2개의 볼록부의 위치 32, 33보다도 각각 약간 아래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고, 또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142a)의 슬개골(1) 아래쪽 부분(4)을 덮는 정면측에서 보이는 면적이, 조금 크게 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대퇴부 전면측의 가쪽넓은근, 안쪽넓은근의 활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대퇴부 및 하퇴부의 양측에서 무릎과 다리부를 서포트하고, 게다가 무릎관절을 감싸도록 주위에서 서포트하고 있으므로, 무릎관절의 서포트를 더 한층 행할 수 있고, 또한, 대전자(8)을 억누르는 기능이 더욱 한층 강화되어 있어, 대퇴골 머리와 관골구의 결합을 보다 양호하게 하고,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화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하퇴부에 있어서는 내측은 근육이 적어 경골이 체표면에 접하고 있고, 한편, 하퇴부 외측은 비복근이 장딴지뼈의 외측에 붙어 있으므로, 보다 근육이 적은 내측을 보다 많이 밑에서 끌어올리도록 무릎관절을 서포트할 수 있고,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도 강화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이 형태에 있어서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142a)의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4)과 위쪽 부분(11)의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 외측방향으로 향한 2개의 볼록부의 위치 4와 11이, 이것과 마주보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2')(143a)의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32)과 위쪽 부분(33)의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 내측 방향으로 향한 2개의 볼록부의 위치 32, 33은, 볼록부의 위치 4가 볼록부의 위치 32보다도 약간 아래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고, 게다가 볼록부의 위치 11이 볼록부의 위치 33보다도 약간 아래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는 것이, 보다 근육이 적은 내측을 보다 많이 밑에서 끌어올리도록 무릎관절을 서포트할 수 있고,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도 강화되어 바람직하지만, 볼록부의 위치 4가 볼록부의 위치 32와 같은 높이의 위치이거나, 볼록부의 위치 11이 볼록부의 위치 33과 같은 높이의 위치이거나 하는 것은 조금도 관계없다. 또한, 인체 외측방향으로 향한 2개의 볼록부의 위치 4와 11이 다리부 앞쪽의 중심라인보다 더욱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것과 마주보는 볼록부의 위치 32와 33이 다리부 앞쪽의 중심라인보다 더욱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좋고, 또는 2개의 볼록부의 위치 4와 32이 연결되어 있거나, 마찬가지로 볼록부의 위치 11과 33이 연결된 형태이여도 관계없다. 또한, 볼록부의 위치 4가 볼록부의 위치 32보다도 약간 위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고, 게다가 볼록부의 위치 11이 볼록부의 위치 33보다도 약간 위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는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도 109∼112은, 본 발명의 세미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 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109는 그 배면도, 도 110은 그 정면도, 도 111은 도 110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12는 그 우측면도이다.
이 형태의 피복은, 도 85∼도 88에서 나타낸 형태의 피복의 변형형태이며, 도 85∼도 88에서 가리킨 형태의 피복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121a)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2)(124a)가 슬개골의 아래쪽에서 접하고 있는 형태이다. 따라서, 도 85∼도 88에서 나타낸 형태와 같은 부분의 설명은, 도면 중에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상기 이외의 점은, 도 85∼도 88에서 나타낸 형태의 피복과 거의 같다.
즉,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1a)의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의 일부(4)의 볼록부의 정점과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4a)의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의 일부(14)의 볼록부의 정점이 슬개골(1) 아래에서 접하고 있다. 따라서 도 85∼88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과 같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음과 아울러, 4와 14에서 제시한 부분이 접하고 있으므로, 무릎 하부의 피복 단부의 위치가 무릎 하부에 안정되게 머무르고, 점점 차이가 나는 등의 옷모양이 흐트러짐이 생기기 어렵다.
다음에, 도 113∼116은, 본 발명의 세미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113은 그 배면도, 도 114는 그 정면도, 도 115는 도 114의 A-A'라인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16은 그 우측면도이다.
이 형태의 피복은, 도 109∼도 112에서 나타낸 형태의 피복의 변형형태이며, 도 109∼도 112에서 나타낸 형태의 피복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121a)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2)(124a)가 슬개골의 아래쪽에서 접하고 있는 부분이 점접촉이 아니라 다소 폭이 넓게 되어서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다. 따라서, 도 109∼도 112에서 나타낸 형태와 같은 부분의 설명은, 도면중에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즉,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1a)의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의 일부(4)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4a)의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의 일부(14)가 슬개골(1) 아래에서 연결되어 있고, 좌우 및 아래쪽에서 무릎을 서포트하고 있다. 따라서 도 109∼112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과 같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음과 아울러, 무릎을 아래에서 서포트하는 기능이 다소 강화되어 있다.
또한, 이 형태의 경우,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형성하는데, 피복본체에 소정형상의 신축성 생지를 겹쳐서 그것을 봉합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경우 등에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1a)의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의 일부(4)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4a)의 슬개골(1)의 아래쪽 부분의 일부(14)의 연결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1a)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4a)를 연속된 1장의 천으로 형성해서 미리 이 부분이 연결된 일체의 생지를 이용해도 좋고,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1a)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4a)는 각각 별개인 생지로 작성하고, 상기 별개의 생지의 4와 14에서 나타낸 부분이 겹쳐져서 봉합됨으로써 연결부가 형성된 것이라도 좋다.
이상, 세미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에 대해서, 몇개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이용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먼저 도시한 각종의 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무릎 아래보다 아래쪽 부분을 자른 설계로 해서, 세미롱타이츠 타입로서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이 저해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세미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상반신 부분이 더 부가된 설계로 하는 것을 조금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혹은 본 발명의 복사뼈 기장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발바닥을 가로지르고, 양 옷자락끝을 연결하는 천이 마련되어져 있는 것 등도 조금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 혹은 세미롱타이츠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에 있어서도,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 위에 존재하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의 적어도 상기 측부인대상의 영역을, 피복본체의 봉제라인이 지나가지 않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롱타이츠 타입 혹은 세미롱타이츠 타입의 어느쪽의 타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에 있어서도, 다리부를 덮는 부분을 통형상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지만, 다리부를 통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평면상의 생지를 통형상으로 둥글게 해서 생지의 한쪽의 가장자리와 다른쪽의 가장자리끼리를 봉합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봉합에 의해 생지를 통형상으로 할 경우, 종래법은, 통상, 이 봉합라인은 다리부 내측을 지나도록 봉제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봉제라인이,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 위에 존재하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의 적어도 상기 측부인대상의 영역을 지나가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전번의 소수의 도면을 인용해서 상기 다리부를 통형상으로 형성하는 피복본체의 봉제라인에 대해서 구체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도 117은, 도 7의 도면에, 다리부를 통형상으로 형성하는 피복본체의 봉제라인을 기입한 것이다. 즉, 도 117은, 다리부를 통형상으로 형성하는 피복본체의 봉제라인(50)이 다리부의 내측을 지나가고 있을 경우의 일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다리부를 통형상으로 형성하는 피복본체의 봉제라인(50)은,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3)상에 존재하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1)의 적어도 상기 측부인대(3)상의 영역을 피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1)의 일부의 가장자리상을 지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상에 존재하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의 적어도 상기 측부인대상의 영역을 지나가지 않도록」이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의 상기 측부인대상의 영역의 가장자리상을 지나갈 경우는 허용되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물론, 상기 봉제라인이 상기 측부인대상의 영역의 가장자리상을 전혀 지나가지 않고,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의 상기 측부인대상의 영역에서 조금 벗어난 위치를 지나는 설계로 해도 좋은 것은 당연하다.
다음에, 도 118은, 피복본체의 봉제라인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상기 도 117에서 나타낸 형태와는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8의 도면에, 다리부를 통형상으로 형성하는 피복본체의 봉제라인을 기입한 것이다. 즉, 도 118은, 다리부를 통형상으로 형성하는 피복본체의 봉제라인(51)이 다리부의 외측을 지나가고 있을 경우의 일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다리부를 통형상으로 형성하는 피복본체의 봉제라인이, 다리부의 외측을 지나가고 있을 경우는,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상에 존재하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의 적어도 상기 측부인대상의 영역을 지나간다고 하는 것은 아니므로, 원칙적으로는 이러한 봉제라인은, 다리부의 외측이면 어느 위치를 지나고 있어도 상관없다. 그러나, 다리부의 외측에도, 어떠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존재할 경우에는, 가능하면,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의 영역을 피하고, 그 가장자리상을 따라서 봉제라인을 설치한다든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의 영역에서, 조금 벗어난 위치에 봉제라인이 지나가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8에 나타낸 예에서는, 다리부를 통형상으로 형성하는 피복본체의 봉제라인(51)은, 윗쪽 부분에 있어서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1)의 한쪽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설치되어 있고, 웨이스트 위치(10)로부터 피복전체의 길이의 약1/3정도 아래쪽으로 내려간 위치부터, 봉제라인(51)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21)와 조금 떨어져서, 거의 피복 옆측의 중앙부를 지나가고 있는 설계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119는, 피복본체의 봉제라인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상기 도 117∼도 118에서 나타낸 형태와는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80의 도면에, 다리부를 통형상으로 형성하는 피복본체의 봉제라인을 기입한 것이다. 즉, 도 118은, 다리부를 통형상으로 형성하는 피복본체의 봉제라인(52)이 다리부의 외측을 지나고 있을 경우의 다른 일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8에 나타낸 예에서는, 다리부를 통형상으로 형성하는 피복본체의 봉제라인(52)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56)의 뒷쪽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설치되어 있고, 이 부분에서 봉제하면, 봉제라인이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156)의 가장자리를 따르고 있으므로, 이러한 봉제라인만이 별개로 피복에 나타날 일이 없어 피복의 외관에 영향을 끼치기 어려우므로, 디자인성을 손상할 일이 없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특히,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덧천에 의해 구성될 경우에는, 이 봉제부분은, 덧천과 피복 본체천과의 봉제부분으로도 되므로, 디자인성을 손상할 일이 없고, 이러한 공통의 봉제부분으로 함으로써 적은 봉제장소로 본 발명의 하지부 서포트 피복을 만들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예는 하나의 예이지만, 이와 같이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피복의 다리부의 외측을 지나고 있는 경우이고, 거의 피복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지나고 있을 경우 등에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다리부를 통형상으로 형성하는 피복본체의 봉제라인을 설치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은 장점도 있어 바람직하다.
이상, 소수의 구체예를 들어, 다리부를 통형상으로 봉제할 경우의 피복본체의 봉제라인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도시한 구체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 위에 존재하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의 적어도 상기 측부인대상의 영역을, 피복본체의 봉제라인이 지나고 있지 않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내측 측부인대 위에 존 재하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의 적어도 상기 내측 측부인대상의 영역을, 피복본체의 봉제라인이 지나고 있으면, 봉제라인에 의해 신축성이 저하됨으로써 내측 측부인대를 서포트하는 파워가 불충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내측 측부인대 위에 존재하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의 긴체력이 충분히 발휘되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복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의 형성방법으로서는, 피복본체에 소정형상의 신축성 생지를 포개서 그것을 봉합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해도 좋고, 피복본체에 소정형상의 신축성 생지를 포개서 그것을 접착함으로써 형성해도 좋다. 특히 전자의 방법에 따르면, 용이하게 내구성이 있는 피복을 제조할 수 있다. 물론,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와 그 이외의 부분을 각각 소정형상의 부분으로 하고, 그들을 잇대어 붙여서 본 발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형성해도 좋지만, 봉제가 복잡해져 다소 손이 많이 간다.
또, 그 밖에 예를 들면, 피복본체에 소정형상의 신축성 생지를 늘려서 포개서 봉합 또는 접착하는 방법에 의해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형성해도 좋다. 이들 방법에 따르면,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에 의해 강력한 긴체력을 부여할 경우에 바람직하다.
또, 피복본체의 소정부분에 탄력성을 갖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의 용액 또는 에멀젼을 함침 또는 코팅하고 그 후 건조시키는 방법, 탄력성을 갖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 필름을 적층하는 방법에 의해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형성해도 좋다. 이들 방법에 따르면,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의 두께를 비교적 얇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탄력성을 갖는 합성수지로서는 폴리우레탄수지나 폴리에스테 엘라스토머수지 기타의 적당한 탄성수지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피복본체를 구성하는 신축성 생지의 편조직을 보다 긴체력이 강한 편조직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형성해도 좋다. 이들의 방법에 의하면, 겹쳐맞춤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의 두께를 보다 얇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편조직의 교체에 의해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형성하는 방법의 정의로는, 피복본체를 구성하는 섬유소재 중, 탄성섬유의 굵기가 다른 부분보다 굵은 탄성섬유를 사용하는 방법이나 탄성섬유의 사용밀도를 다른 부분보다 크게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형성하는 방법도 포함된다. 이 방법에 의해서도, 겹쳐맞춤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의 두께를 보다 얇게 할 수 있다.
또, 피복을 형성하는 생지로서 환편지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컷보스편성 방법에 의해,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강긴체력부의 형성방법 중에서도, 피복본체에 소정형상의 신축성 생지를 포개서 그것을 봉합함으로써 형성하는 방법과, 피복본체에 소정형상의 신축성 생지를 늘려서 포개어 봉합하는 방법이 용이하다. 또한, 이들 방법에 의하면, 피복본체에 봉합되는 신축성 생지의 긴체력은 피복본체의 신축성 생지의 긴체력보다도 약간 작아도, 같아도, 커도 좋다. 피복본체에 신축성 생지가 포개어진 결과, 포개진 부분의 긴체력이 증대하기 때문이다. 어느정도의 긴체력의 생지를 포개면 좋을지는, 피복의 종류나 사용목적, 착용자의 기호 등에 의해 적당히 선정하면 된다.
한편, 전술한 컷보스편성 방법에 의해,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참고로 도 120∼도 122를 이용해서 설명해 둔다.
도 120∼도 121은, 환편에 있어서, 컷보스편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개념공정도이다. 점선의 화살표 A로 나타낸 쪽이 환편지의 겉쪽이고, 점선의 화살표 B로 나타낸 쪽이 환편지의 안쪽이다.
우선, 도 1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사(61)와 이면사(62)를 공급해서 환편기로 뜰 때에, 컷보스 방법에 의해 비교적 긴체력을 강하게 하고 싶은 부분에 중간사(63)를 표면사(61)와 이면사(62) 사이에 삽입하고, 표면사(61)와 중간사(63)와 이면사(62)를 맞춰서 공급해서 환편기로 짜넣는다. 이 부분은 화살표 64a∼64b 사이와 화살표 64c∼64d 사이의 부분이다(또한, 중간사(63)는, 이해하기 쉽도록 1점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화살표 64b∼64c 사이의 부분과 같이, 비교적 긴체력이 약한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은, 중간사(63)가 표면사(61)와 이면사(62)의 사이에 삽입되지 않도록 중간사(63)를 이면측에 뜨게 하고, 표면사(61)와 이면사(62)만으로 편성한다. 이어서 화살표 64a, 64b, 64c, 64d의 곳에서 이면측에 뛰워진 중간사(63)를 자르고, 도 120에 나타낸 바와 같은 Z1과 Z3의 부분이 중간사(63)가 삽입되어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되고 、 Z2의 부분 이 표면사(1)와 이면사(2)만으로 짜여진 비교적 긴체력이 약한 신축성부가 된다.
도 122에, 상술의 컷보스편성 방법에 의해 얻어진 환편생지의 단면개념도를 나타내었다. 61a가 표면사(61)가 나타나 있는 환편생지의 표면측, 62a가 이면사(62)가 드러나 있는 환편생지의 이면측, 63a가 중간사(63)로 구성된 보강층이며, Z1과 Z3의 부분이,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되고, Z2의 부분이 비교적 긴체력이 약한 부분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와 비교적 긴체력의 약한 신축성부를 컷보스편성 방법만으로 형성해도 좋지만, 또한, 환편지에 있어서의 동일코스 내에서의 번째조정에 의해, 긴체력의 변화를 부여하는 방법을 병용해도 좋다.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의 긴체력으로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지만, 대략 그 길이방향에서 0.3N∼4N의 긴체력을 갖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긴체력의 범위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능이 효과적으로 발휘되고, 또, 압박감이 아주 지나치게 강한 것도 아니고 착용감이 양호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비교적 긴체력이 약한 신축성부의 긴체력이 0.3N을 넘는 일이 있어도, 상기 피복중에 설치되어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 보다도, 그 긴체력이 작으면 관계없다.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나 비교적 긴체력이 약한 신축성부 등의 생지의 긴체력을 측정할 경우에는, 다음의 인장시험을 행하여 측정한다.
소재 지름방향(웰방향)이 시험편의 길이방향이 되도록 폭2.5cm×길이16.0cm의 시험편을 작성하고, 그 길이방향을 상하방향을 향해서 그 양단을 클립으로 고정한다. 상부 고정길이를 2.5cm, 하부 고정길이를 3.5cm로 하고, 따라서 고정간격은 10.0cm로 하여 정속신장형 인장시험기(시마즈세이사쿠소 제품 "오토그래프" AG-500D)에 부착하여, 30±2cm/분의 속도로 시험편을 신도 80%까지 늘린다. 이때, 신도 30%시점에서 시험편에 작용하고 있는 응력을 기록해 이것을 신장력(단위N), [1gf≒0.0098N]으로 하고, 다음에 신도 80%까지 늘린 시험편에 작용하는 응력을 제거하면, 시험편이 원래의 길이로 돌아가려고 하여 수축하지만, 신도 30%까지 회복했을 때의 시험편에 걸리는 응력을 긴체력(단위N)이라고 한다. 이들 값은, 상기 인장시험기에 의해 자동적으로 기록되도록 설정해 둔다. 또한, 신장력, 긴체력 모두 이들 데이터는 시험편 2개의 평균치를 구해서 각각 신장력, 긴체력으로 하였다.
여기에서, 신도(%)란, 늘린 상태에서 신장방향의 생지의 길이를 d, 늘리기 전의 시료의 원래의 길이(즉 고정간격)을 e라고 하면,
[(d-e)/e]×1OO의 값이다.
또한, 신장력이나 긴체력의 측정시에 시험편의 크기로서는, 상술과 같은 크기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크기의 시료가 측정대상의 의류로부터 잘라낼 수 없는 경우에는 그것보다 작아도 관계없다. 단지, 시료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측정오차가 커지므로, 잘라낼 수 있는 범위에서 가능한 한 큰 시료를 채취해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복에 있어서의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의 폭은, 그 존재 부위, 사용하는 소재의 긴체력의 강도,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의 형성수단, 피복의 사용목적(예를 들면 착용자의 무릎관절의 장해의 정도나 장해부위, 또는 장해예방의 목적, 행하는 스포츠의 종류 등), 어른인가 아이인가 등에 따라 적당히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범위에서 적당한 폭으로 하면 되고, 또, 부위에 따라서 당연히 폭이 달라지므로, 통틀어서 수치로 규정하는 것은 곤란하지만, 선형상과 같이 폭이 좁은 것에서는 의미가 없고, 예를 들면, 평균으로 2cm이상의 폭인 것이 바람직하고, 평균으로 3cm이상의 폭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장 폭이 넓은 부분은 보통 15cm정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cm정도 이하가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범위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의 폭은, 부위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좁은 폭으로 되거나, 넓은 폭으로 되거나 하는 일이 있는 것은 조금도 지장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여러가지 설명한 근육을 서포트하기 위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는, 특수한 세부를 제외하고 주로 근육이나 인대의 섬유방향에 거의 따른 방향을 향해서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형태로 함으로써 근육이나 인대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고 근육의 수축이나 인대의 기능을 조장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피복은, 신축성 생지로서, 피복 본체부분이나 각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에 있어서, 신축성을 갖는 폴리우레탄섬유 함유 러셀편물인 폴리우레탄섬유 함유 파워네트나, 폴리우레탄섬유 함유 트리콧편물인 폴리우레탄섬유 함유 투웨이트리콧편물, 폴리우레탄섬유 함유 환편물 등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비교적 두꺼운 천 파일지나 네오프렌시트 등을 이용하는 서포터 등에 비하여, 통상의 의복의 재료를 작성할 때에 사용되고 있는 정도의 두께, 예를 들면 약 0.3∼0.8mm의 두께의 생지를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착용시의 균형 등의 외관의 저하가 적고, 신체에 잘 밀착되며, 통기성도 비교적 양호한 피복을 제공할 수 있다. 파워네트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면, 플레인파워넷트, 새틴파워네트, 투웨이러셀, "트리스킨"(우라베 주식회사의 상표) 등을 들 수 있다.
또, 각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의 긴체력은 모두 동일할 필요는 없고, 부위에 따라서 다른 긴체력으로 하여도 좋다.
피복의 생지를 구성하는 섬유사의 종류도, 특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으로 대표되는 각종의 합성섬유사, 목면, 울, 비단 등으로 대표되는 천연섬유사, 레이온 등으로 대표되는 반합성섬유사, 폴리우레탄섬유사 등으로 대표되는 탄성섬유사, 혹은, 이들의 적어도 2종류의 섬유가 혼재한 혼합섬유로 이루어지는 실, 커버링얀, 흡수속건성사, 그 밖의 가공사 등 각종의 섬유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탄성사를 사용할 경우에는, 탄성섬유만으로 만들어진 실을 이용해도 좋지만, 목적에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흡수속건성사, 발수성이 우수한 합성섬유사 혹은 천연섬유사 등의 다른 섬유로 커버링된 탄성사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복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이 제공된다.
(1) 즉, 본 발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은, 신축성을 갖고, 신체에 밀착해서 착용되는 하지부를 서포트하는 가랑이부를 갖는 피복으로서, 상기 피복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갖고, 상기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무릎관절의 윗쪽에 있어서는, 적어도 대퇴부 길이의 1/4이상의 길이를 갖고, 허벅다리근,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랑이부를 갖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가 내측 측부인대를 서포트하고, 또한 (A)가 무릎관절의 윗쪽에서 상기 내측 측부인대 위에 존재해서 윗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허벅다리근,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서포트하고 있고, 이와 같이 윗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으로 내측 측부인대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식의 파워가 작용하므로, 보다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력이 향상하고, 또한, 내측 측부인대와 함께 무릎관절을 서포트하고 있는 허벅다리근,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서포트하므로 이 양자의 종합작용으로부터, 무릎을 보호하고, 무릎관절을 안정되게 유지하며, 게다가 무릎관절의 움직임의 자유도를 그다지 저하시키지 않고, 착용감도 양호해서, 무릎의 불안정함으로부터 생기는 무릎통증 등의 예방이나, 경감, 나아가서는, 스포츠 그 외에 생기는 내측 측부인대 손상의 예방에도 유용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다.
(2) 또, 신축성을 갖고, 신체에 밀착해서 착용되는 하지부를 서포트하는 가랑이부를 갖는 피복으로서, 상기 피복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갖고, 상기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무릎관절의 윗쪽에 있어서는 적어도 대퇴부 길이의 1/2 이상의 길이를 갖고, 허벅다리근,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따라 설치되어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를 갖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커버하는 길이가 적어도 대퇴부 길이의 1/2이상의 길이로 함으로써, (1)항에서 진술한 대퇴부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으로 내측 측부인대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가 보다 강하게 작용하므로, 보다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이 제공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3) 또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이, 적어도 웨이스트 라인으로부터 복사뼈 윗쪽까지의 길이를 갖고, 가랑이부를 갖는 피복인 상기 (1)항 또는 (2)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이, 적어도 웨이스트 라인으로부터 복사뼈 윗쪽까지의 길이를 가지므로 (1)항에서 진술한 대퇴부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으로 내측 측부인대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가 더욱 강하게 작용하므로, 보다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 복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게다가 가랑이부를 갖는 타이츠 형상의 피복이므로, 착용이 용이해서 스포츠용으로도 바람직하다.
(4) 또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4 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내측의 비복근 및/또는 비근의 측방에 이르고 있어,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그 내측으로부터 앞측을 지나 외측을 향해서 거의 허벅다리근를 따라서 더욱 넙다리곧은근 중의 윗쪽부분을 지나, 대전자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인 상기(3)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해 슬개골을 아래쪽에서 끌어올리도록 서포트할 수 있어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또한 허벅다리근을 서포트하고, 대퇴부를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비스듬히 대전자에 이르기까지 나선상으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존재하므로, 내측 측부인대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가 더욱 한층 강화될 수 있어, 보다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측부인대의 기능을 보조하고 있는 허벅다리근을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5) 또,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로 표시되는 부분이,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 웨이스트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1)를 더 갖고 있는 상기(4)항에 기재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더욱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엉덩정강근막때를 따라 웨이스트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1)를 갖고 있으므로, 상기 (4)항의 기능이 더욱 강화되고, 또, 대전자를 누르는 기능이 부여되어 있고, 대퇴골 머리와 관골구의 결합을 양호하게 하고,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발휘되어 바람직하다.
(6) 또,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로 표시되는 부분이,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에서 슬개골의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인 상기(4)항 또는 (5)항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가, 또한 슬개골의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도 커버하고 있으므로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양쪽으로부터 무릎관절의 서포트를 할 수 있어, 보다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7) 또,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로 표현되는 부분이, 또한 내측의 비복근 측방으로부터 슬개골 아래쪽의 주위 부근을 지나서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해 슬개골의 외측 측방에 이르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1-2)를 갖고 있는 상기(4)∼(6)항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더욱 슬개골 주위를 내측의 비복근 측방으로부터 즉 내측 아래쪽으로부터 감싸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끌어 올리는 것 같은 파워가 작용하여, 보다 한층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8) 또,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 슬개골의 외측 측부측에 이르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외측의 비복근 및/또는 비근의 측방을 지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를 갖고 있는 상기(4)∼(7)항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를 더 갖고 있으므로, 대퇴부 및 하퇴부의 양측에서 무릎과 다리부를 서포트하고, 게다가 비복근 및/또는 비근의 활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그 측방으로부터 비복근 및/또는 비근을 서포트할 수 있다. 또, 대전자를 누르는 기능이 더 한층 강화되어 있고, 대퇴골 머리와 관골구의 결합을 보다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화된다.
(9) 또,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4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 및/또는 비근의 측방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근육을 따라서 가랑이 아래 내지 엉덩이홈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인 상기 (3)항에 기재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해 슬개골을 아래쪽으로부터 끌어 올리도록 서포트할 수 있어 무 릎관절의 안정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또한 대퇴부 내측에 존재하는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의 1종 이상의 근육을 서포트하고, 내측 측부인대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가 강화되어, 보다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측부인대의 기능을 보조하고 있는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의 1종 이상의 근육을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10) 또,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로 표시되는 부분이,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에서 슬개골의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인 상기 (9)항에 기재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가, 또한 슬개골의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도 커버하고 있으므로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양쪽으로부터 무릎관절의 서포트가 가능하여, 보다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11) 또,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4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 및/또는 비근의 측방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윗쪽으로 내측에서 후방측을 거쳐서 외측을 향하고, 또한 거의 반힘줄모양근 및/또는 반막모양근를 따라서, 더욱 대퇴이두근을 경사지게 지나 대전자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 이 강한 신축성부(A3)인 상기 (3)항에 기재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내측의 비복근 및/또는 비근의 측방으로부터 위로 연장되고, 대퇴부 내측에서 후방측을 거쳐서 외측을 향해서 비스듬히 대전자 근방에 이르기까지 나선상으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존재하므로, 슬개골을 아래쪽으로부터 끌어 올리도록 서포트할 수 있어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내측 측부인대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가 더욱 강해져서, 보다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측부인대의 기능을 보조하고 있는 반힘줄모양근 및/또는 반막모양근을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12) 또,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3)로 표시되는 부분이,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에서 슬개골의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3-1)인 상기 (1l)항에 기재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3)가, 또한 슬개골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도 커버하고 있으므로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양쪽으로부터 무릎관절의 서포트를 할 수 있어, 보다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13) 그리고 또한, 웨이스트 옆측에서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대전자 근방을 지나가고,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슬개골의 외측 측부측에 이르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 또는, 슬개골의 위쪽 부분 및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외측의 비복근 및/또는 비근의 측방을 지나고 있는 비교 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을 갖고 있는 상기(9)∼(12)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을 더 갖고 있으므로, 대퇴부 및 하퇴부의 양측에서 무릎과 다리부를 서포트하고, 게다가 비복근 및/또는 비근의 활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그 측방에서 비복근 및/또는 비근을 서포트할 수 있다. 또, 대전자를 누르는 기능이 더욱 한층강화되고 있고, 대퇴골 머리와 관골구의 결합을 보다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화된다.
(14) 또,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l)이고, 상기 (Al)의 무릎관절 위쪽에서 또한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근육를 따라서 가랑이 아래 내지 엉덩이홈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을 갖는 상기 (4)항∼(8)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대퇴부를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비스듬히 대전자에 이르기까지 나선상으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존재함과 아울러, 무릎관절 위쪽에서, 두갈래로 나누어져서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l종의 근육를 따라서 가랑이 아래 내지 엉덩이홈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를 더 가지므로, 내측 측부인대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가 이 양자의 작용에 의해 더 한층 강화되어, 보다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 트용 피복이 제공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측부인대의 기능을 보조하고 있는 허벅다리근과 함께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근육을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웨이스트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갖고 있으므로, 대전자를 누르는 기능이 부여되고 있고, 대퇴골 머리와 관골구의 결합을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발휘되어 바람직하다.
(15)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2 또는 그 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 및/또는 비근의 측방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근육를 따라서 가랑이 아래 내지 엉덩이홈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이며, 또한, 웨이스트 옆측에서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대전자 근방을 지나가고,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슬개골의 외측 측부측에 이르며, 슬개골의 인체 외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2 또는 그 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외측의 비복근 및/또는 비근의 측방을 지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을 갖고 있는 상기(3)항에 기재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대퇴부 전면측의 가쪽넓은근, 안쪽넓은근의 활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대퇴부 및 하퇴부의 양측에서 무릎과 다리부를 서포트하고, 게다가 무릎관절을 감싸는 것 같이 주위에서 서포트하고 있으므로, 보다 한층의 무릎관절의 서포트를 행할 수 있고, 또한, 대전자를 억누르는 기능이 더 한층 강화되고 있고, 대퇴골 머리와 관골구의 결합을 보다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화되어 바람직하다.
(16) 또,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의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 외측방향으로 향한 2개의 볼록부 위치가, 이것과 상대하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B')의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 내측방향으로 향한 2개의 볼록부의 위치보다도 각각 약간 아래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고, 또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의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을 덮는 정면측에서 보이는 면적이, 조금 큰 상기 (15)항에 기재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상기 (15)항에 기재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하퇴부에 있어서는 내측은 근육이 적고, 경골(頸骨)이 체표면에 접하고 있고, 한편, 하퇴부 외측은 비복근이 장딴지뼈의 외측에 붙어 있으므로, 보다 근육이 적은 내측을 보다 많이 아래로부터 끌어 올리도록 무릎관절을 서포트할 수 있어,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도 강화되어 바람직하다.
(17) 또한, 인체의 뒷쪽에서 요추로부터 선골에 이르는 어느 하나의 위치로부터 좌우의 큰볼기근의 거의 중간부에서 거의 큰볼기근의 근섬유 방향를 따라서 엉덩이부의 융기부 정점 또는 그 근방을 지나 적어도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C)와 인체 앞측에서 하복부의 배곧은근상의 위치부터 좌우의 배속빗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를 따라서 비스듬히 아래방향을 향해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D)를 갖는 상기 (2)∼(16)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C)를 갖고 있으므로, 확실히 큰볼기근을 그 근섬유 방향으로 서포트할 수 있다. 따라서, 허리의 선회운동을 서포트하여 허리의 선회각도의 감소를 방지하고, 골반의 전후방향에의 안정에 큰 역할을 다할 수 있고, 고령자에 있어서는 전도의 방지에 유효하다. 또 주행, 점프, 슬로프를 오를 때의 고관절의 전후 방향으로의 확장에 큰 역할을 다할 수 있다. 또, (D)을 갖고 있으므로 배곧은근의 일부와 배속빗근을 서포트하고, 요추전만을 약화시키고, 양호한 자세를 유지하여 체형이 젊게 보이고, 요통 등의 아픔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18) 또,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이, 적어도 웨이스트 라인으로부터 무릎 아래까지의 길이를 갖고, 가랑이부를 갖는 피복인 상기 (1)항 또는 (2)항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이, 적어도 웨이스트 라인으로부터 무릎 아래까지의 길이를 가지므로 (l)항에서 진술한 대퇴부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에서 내측 측부인대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윗쪽으로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가 강하게 작용하므로, 보다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게다가 가랑이부를 갖는 타이츠형상의 피복이므로 착용이 용이하여 스포츠용으로도 바람직하다. 특히, 기온이 높은 지역이나 더운 시즌에 착용하는데 바람직하다.
(19) 또,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4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 상부측방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그 내측에서 앞측을 지나 외측을 향해서 거의 허벅다리근를 따라서 더욱 넙다리곧은근 중의 윗쪽부분을 지나, 대전자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인 상기 (18)항에 기재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해 슬개골을 아래쪽으로부터 끌어 올리도록 서포트할 수 있어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허벅다리근을 더욱 서포트하고, 대퇴부를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비스듬히 대전자에 이르기까지 나선상으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존재하므로, 내측 측부인대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가 더 한층 강화되어, 보다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측부인대의 기능을 보조 하고 있는 허벅다리근을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20) 또,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로 표시되는 부분이, 더욱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웨이스트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1)를 갖고 있는 상기(19)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더욱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웨이스트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1)를 갖고 있으므로, 상기 (19)항의 기능이 더욱 강화되고, 또한, 대전자를 억누르는 기능이 부여되어 있고, 대퇴골 머리와 관골구의 결합을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발휘되어 바람직하다.
(21) 또,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로 표시되는 부분이,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에서 슬개골의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인 상기 (19)항 또는 (20)항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가, 또한 슬개골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도 커버하고 있으므로 슬개골 아래쪽 부분과 양쪽으로부터 무릎관절의 서포트를 할 수 있어, 보다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22) 그리고 또한,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슬개골의 외측 측부측에 이르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 를 커버하여 외측의 비복근 상부측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2)를 갖고 있는 상기 (19)∼(21)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2)를 더 갖고 있으므로, 무릎을 양측에서 서포트할 수 있어 무릎관절의 서포트가 보다 강화된다. 또한, 대전자를 억누르는 기능이 더 한층 강화되어 있어, 대퇴골 머리와 관골구의 결합을 보다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화된다.
(23) 또,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4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의 상부측방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근육를 따라서 가랑이 아래 내지 엉덩이홈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인 상기 (18)항에 기재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슬개골을 아래쪽으로부터 끌어 올리도록 서포트할 수 있어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또한 대퇴부의 내측에 존재하는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내지는 대퇴박근의 1종 이상의 근육을 서포트하고, 내측 측부인대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가 강화되어, 보다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측부인대의 기능을 보조하고 있는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내지는 대퇴박근의 적어도 1종의 근육을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24) 또,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로 표시되는 부분이,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에서 슬개골의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1)인 상기 (23)항에 기재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가, 또한 슬개골의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도 커버하고 있으므로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양쪽으로부터 무릎관절의 서포트를 할 수 있어, 보다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25) 또,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4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 상부측방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윗쪽으로 내측에서 뒤측을 거쳐서 외측을 향하고, 또한 거의 반힘줄모양근 및/또는 반막모양근에 따라, 더욱 대퇴이두근을 경사지게 지나 대전자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 부(A23)인 상기 (18)항에 기재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대퇴부 내측 하부에서 뒤측을 거쳐서 외측으로 향해서 경사 위쪽으로 대전자에 이르기까지 나선상으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존재하므로, 슬개골을 아래쪽으로부터 끌어 올리도록 서포트할 수 있어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내측 측부인대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가 더욱 강화되어, 보다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측부인대의 기능을 보조하고 있는 반힘줄모양근 및/또는 반막모양근을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26) 또,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3)로 표시되는 부분이,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에서 슬개골의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3-1)인 상기 (25)항에 기재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3)가, 또한 슬개골의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도 커버하고 있으므로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양쪽으로부터 무릎관절의 서포트를 할 수 있고, 보다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27) 그리고 또한, 웨이스트 옆측에서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대전자 근방을 지나고,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슬개골의 외측 측부측에 이르며, 슬 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 또는, 슬개골의 위쪽 부분 및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외측의 비복근의 상부측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2)를 갖고 있는 상기 (23)∼(26)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2)를 더 갖고 있으므로, 무릎의 양측에서 무릎관절을 서포트하고, 따라서 무릎관절의 서포트를 보다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대전자를 억누르는 기능이 더 한층 강화되어 있고, 대퇴골 머리와 관골구의 결합을 보다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화된다.
(28) 또,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이며, 상기 (A21)의 무릎관절 위쪽에서, 더욱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근육를 따라서 가랑이 아래 내지 엉덩이홈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를 갖는 상기 (19)∼(22)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대퇴부를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서 비스듬히 대전자에 이르기까지 나선상으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존재함과 아울러, 무릎관절 위쪽에서, 두갈래로 갈라져서,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근육를 따라서 가랑이 아래 내지 엉덩이홈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를 더 가지므로, 내측 측부인대를 서포트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잡아 당기는 것 같은 파워가 이 양자의 작용에 의해 더욱 한층 강화되어, 보다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이 향상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측부인대의 기능을 보조하고 있는 허벅다리근과 함께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근육을 서포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웨이스트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갖고 있으므로, 대전자를 억누르는 기능이 부여되고 있어, 대퇴골 머리와 관두골의 결합을 양호하게 하고,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발휘되어 바람직하다.
(29) 또,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2 또는 그 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 상부측방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서는,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근육를 따라서 가랑이 아래 내지 엉덩이홈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이며, 또한, 웨이스트 옆측에서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대전자 근방을 지나고,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슬개골의 외측 측부측에 이르 며, 슬개골의 인체 외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2 또는 그 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외측의 비복근 상부측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2')을 갖고 있는 상기 (18)항에 기재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대퇴부 전면측의 가쪽넓은근, 안쪽넓은근의 활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대퇴부 및 하퇴부의 양측에서 무릎과 다리부를 서포트하고, 게다가 무릎관절을 감싸도록 주위에서 서포트하고 있으므로, 더 한층 무릎관절의 서포트를 행할 수 있고, 또한, 대전자를 억누르는 기능이 더 한층 강화되고 있고, 대퇴골 머리와 관골구의 결합을 보다 양호하게 하여 고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화되어 바람직하다.
(30) 또,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의 슬개골 아래쪽 부분과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 외측방향으로 향한 2개의 볼록부의 위치가, 이것과 상대하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2')의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이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 내측방향으로 향한 2개의 볼록부의 위치보다도 각각 약간 아래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고, 또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의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을 덮는 볼록부의 정점의 위치가 슬개골의 중심 또는 그것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29)항에 기재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상기 (29)항에서 기 재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하퇴부에 있어서는 내측은 근육이 적고, 경골이 체표면에 접하고 있고, 한편, 하퇴부 외측은 비복근이 장딴지뼈의 외측에 붙어 있으므로, 보다 근육이 적은 내측을 보다 많이 아래로부터 끌어 올리도록 무릎관절을 서포트할 수 있고, 내측 측부인대의 서포트력도 강화되어 바람직하다.
(31) 그리고 또한, 인체의 뒤쪽에서 요추로부터 선골에 이르는 어느 하나의 위치로부터 좌우의 큰볼기근의 거의 중간부에서 거의 큰볼기근의 근섬유 방향를 따라서 엉덩이부의 융기부 정점 또는 그 근방을 지나 적어도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C)와 인체 앞측에서 하복부의 배곧은근상의 위치로부터 좌우의 배속빗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서 경사 아래방향을 향해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D)를 갖는 상기 (18)∼(30)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 함으로써,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C)를 갖고 있으므로 확실히 큰볼기근을 그 근섬유 방향으로 서포트할 수 있다. 따라서, 허리의 선회운동을 서포트하여 허리의 선회각도의 감소를 방지하고, 골반의 전후방향으로의 안정에 큰 역할을 다할 수 있고, 고령자에 있어서는 전도의 방지에 유효하다. 또한, 주행, 점프, 슬로프를 오를 때의 고관절의 전후 방향으로의 확장에 큰 역할을 다할 수 있다. 또, (D)을 갖고 있으므로 배곧은근의 일부와 배속빗근을 서포트하고, 요추전만을 약화시키고, 양호한 자세를 유지하여 체형이 젊게 보이고, 요통 등의 아픔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은, 롱 타입의 스포츠용 타이츠, 세미롱 타입의 스포츠용 타이츠 등, 효율적으로 무릎을 보호하고, 무릎관절을 안정되게 유지하며, 무릎관절의 움직임의 자유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착용감도 양호해서, 무릎통증 등의 예방, 경감, 스포츠 그 외에 발생하는 내측 측부인대손상의 예방에 유용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으로서 유용에 쓸 수 있다.

Claims (31)

  1. 신축성을 갖고, 신체에 밀착해서 착용되는 하지부를 서포트하는 가랑이부를 갖는 피복으로서, 상기 피복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갖고, 상기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무릎관절의 윗쪽에 있어서는, 적어도 대퇴부 길이의 1/4이상의 길이를 갖고, 허벅다리근,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2. 신축성을 갖고, 신체에 밀착해서 착용되는 하지부를 서포트하는 가랑이부를 갖는 피복으로서, 상기 피복은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를 갖고, 상기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가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무릎관절의 윗쪽에 있어서는 적어도 대퇴부 길이의 1/2 이상의 길이를 갖고, 허벅다리근,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3. 제2항에 있어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이, 적어도 웨이스트 라인으로부터 복사뼈 윗쪽까지의 길이를 갖고, 가랑이부를 갖는 피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4. 제3항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4 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 및/또는 비근의 측방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그 내측으로부터 앞측을 지나 외측을 향해서 거의 허벅다리근을 따르고 또한 넙다리곧은근 중의 윗쪽부분을 지나, 대전자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5. 제4항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1)로 표시되는 부분이,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 웨이스트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1-1)를 더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6. 제4항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1)로 표시되는 부분이,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에서 슬개골의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7. 제4항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1)로 표시되는 부분이, 내측의 비복근 측방으로부터 슬개골 아래쪽의 주위 부근을 지나서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해 슬개골의 외측 측방에 이르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1-2)를 더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8. 제4항에 있어서,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 슬개골의 외측 측부측에 이르고, 슬개골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외측의 비복근 및/또는 비근의 측방을 지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를 더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9. 제3항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4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 및/또는 비근의 측방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근육을 따라서 가랑이 아래 내지 엉덩이홈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10. 제9항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로 표시되는 부분이,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에서 슬개골의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11. 제3항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4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 및/또는 비근의 측방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윗쪽으로 내측으로부터 후방측을 거쳐서 외측을 향하고, 또한 거의 반힘줄모양근 및/또는 반막모양근을 따르고, 또한 대퇴이두근을 경사지게 지나 대전자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12. 제11항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3)로 표시되는 부분이,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으로부터 슬개골의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13. 제9항에 있어서, 또한, 웨이스트 옆쪽에서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대 전자 근방을 지나가고,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슬개골의 외측 측부측에 이르며,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 또는, 슬개골의 위쪽 부분 및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외측의 비복근 및/또는 비근의 측방을 지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14. 제4항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1)로서, 상기 (A1)의 무릎관절 위쪽에서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근육을 따라서 가랑이 아래 내지 엉덩이홈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15. 제3항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2 또는 그 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 및/또는 비근의 측방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근육을 따라서 가랑이 아래 내지 엉덩이홈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이며, 또한, 웨이스트 옆측에서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대전자 근방을 지나가고,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슬개골의 외측 측부측에 이르며, 슬개골의 인체 외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2 또는 그 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외측의 비복근 및/또는 비근의 측방을 지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16. 제15항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의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 외측방향으로 향한 2개의 볼록부 위치가, 이것과 마주보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의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 내측방향으로 향한 2개의 볼록부의 위치보다도 각각 약간 아래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고, 또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의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을 덮는 정면측에서 보이는 면적이 조금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17. 제2항에 있어서, 또한, 인체의 뒤쪽에서 요추로부터 선골에 이르는 어느 하나의 위치로부터 좌우의 큰볼기근 거의 중간부에서 대략 큰볼기근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서 엉덩이부의 융기부 정점 또는 그 근방을 지나 적어도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C)와 인체 앞측에서 하복부 의 배곧은근상의 위치로부터 좌우의 배속빗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를 따라서 경사 아래방향을 향해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D)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이, 적어도 웨이스트 라인으로부터 무릎 아래까지의 길이를 갖고, 가랑이부를 갖는 피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19. 제18항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대강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4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 상부측방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그 내측에서 앞측을 지나 외측을 향해서 거의 허벅다리근을 따르고 또한 넙다리곧은근 중의 윗쪽부분을 지나, 대전자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20. 제19항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로 표시되는 부분이,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웨이스트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 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1)를 더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21. 제19항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로 표시되는 부분이,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으로부터 슬개골의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22. 제19항에 있어서,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슬개골의 외측 측부측에 이르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외측의 비복근 상부측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2)를 더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23. 제18항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4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의 상부측방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근육을 따라서 가랑이 아래 내지 엉덩이홈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24. 제23항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로 표시되는 부분이,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으로부터 슬개골의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25. 제18항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4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 상부측방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 있어서는, 대퇴부를 윗쪽으로 내측에서 후방측을 지나 외측을 향하고, 또한 거의 반힘줄모양근 및/또는 반막모양근을 따르고, 또한 대퇴이두근을 경사지게 지나 대전자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26. 제25항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3)로 표시되는 부분이,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으로부터 슬개골의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27. 제23항에 있어서, 웨이스트 옆측에서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대전자 근방을 지나고,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슬개골의 외측 측부측에 이르며,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 또는, 슬개골의 위쪽 부분 및 아래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외측 비복근의 상부측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2)를 더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28. 제19항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1)로서, 상기 (A21)의 무릎관절 위쪽에서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근육을 따라서 가랑이 아래 내지 엉덩이홈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29. 제18항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로 표시되는 부분이, 인체의 무릎관절의 내측 측면의 측부인대를 실질적으로 커버하고, 또한, 슬개골의 인체 내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2 또는 그 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내측의 비복근 상부측방에 이르고 있고, 무릎관절 위쪽에서는, 대퇴부를 거의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및 대퇴박근으로 이루어지는 근육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근육을 따라서 가랑이 아래 내지 엉덩이홈 근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이며, 또한, 웨이스트 옆측에서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대전자 근방을 지나고, 거의 엉덩정강근막띠를 따라서 슬개골의 외측 측부측에 이르며, 슬개골의 인체 외측 측부측의 거의 주위 부근을 따라서 적어도 슬개골 주위의 거의 1/2 또는 그 이상을 둘러싸고 있고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외측의 비복근 상부측방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2')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30. 제29항에 있어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의 슬개골 아래쪽 부분과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 외측방향으로 향한 2개의 볼록부의 위치가, 이것과 마주보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B2')의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과 위쪽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인체 내측방향으로 향한 2개의 볼록부의 위치보다 각각 약간 아래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고, 또한,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A22')의 슬개골의 아래쪽 부분을 덮는 볼록부의 정점의 위치가 슬개골의 중심 또는 그것보다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31. 제18항에 있어서, 인체의 뒤쪽에서 요추로부터 선골에 이르는 어느 하나의 위치로부터 좌우의 큰볼기근의 거의 중간부에서 거의 큰볼기근의 근섬유 방향를 따라서 엉덩이부의 융기부 정점 또는 그 근방을 지나 적어도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C)와 인체 앞쪽에서 하복부의 배곧은근상의 위치로부터 좌우의 배속빗근의 거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서 경사 아래방향을 향해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비교적 긴체력이 강한 신축성부(D)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KR1020027010092A 2000-04-20 2001-04-18 가랑이부를 갖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KR100706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20095 2000-04-20
JP2000120095 2000-04-20
PCT/JP2001/003303 WO2001080675A1 (fr) 2000-04-20 2001-04-18 Vetement de protection de parties de jambe presentant des parties cuis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344A KR20030004344A (ko) 2003-01-14
KR100706631B1 true KR100706631B1 (ko) 2007-04-11

Family

ID=18630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092A KR100706631B1 (ko) 2000-04-20 2001-04-18 가랑이부를 갖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7229390B2 (ko)
EP (2) EP1310179B1 (ko)
JP (2) JP3737759B2 (ko)
KR (1) KR100706631B1 (ko)
CN (2) CN1253115C (ko)
AT (2) ATE355762T1 (ko)
AU (2) AU2001248775A1 (ko)
CA (1) CA2378074C (ko)
DE (2) DE60121775T2 (ko)
HK (2) HK1050615A1 (ko)
TW (1) TW475887B (ko)
WO (2) WO2001080676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829B1 (ko) 2009-09-03 2010-10-29 양재영 스포츠 태이핑 타이즈
KR101223912B1 (ko) 2011-02-21 2013-01-22 지정우 하체의 균형된 자세와 근파워를 증가시겨주는 기능성 의류
KR101403169B1 (ko) 2012-06-04 2014-06-27 지정우 하체의 근골격계 상해 예방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
KR20190029257A (ko) * 2017-09-12 2019-03-2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컴프레션 팬츠
WO2022092417A1 (ko) 2020-10-28 2022-05-05 (주)라쉬반코리아 테이핑 타이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75887B (en) * 2000-04-20 2002-02-11 Wacoal Corp Leg portions supporting wear
US7937771B2 (en) * 2002-10-31 2011-05-10 Alpinestars Research Srl Garment for motorcyclists with improved comfort
US7730552B2 (en) * 2003-04-15 2010-06-08 Wacoal Corp. Pants garment
KR100653625B1 (ko) 2003-05-01 2006-12-05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가랑이가 있는 의류
US20040236552A1 (en) * 2003-05-22 2004-11-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evaluating products using a virtual environment
JP2005095508A (ja) * 2003-09-26 2005-04-14 Nippon Sigmax Kk 腰痛帯
US7862529B2 (en) * 2004-03-08 2011-01-04 Intelliskin, Llc Neuromusculoskeletal knee support device
US8245324B2 (en) 2004-05-20 2012-08-21 Wacoal Corp. Bottom garment
ITTV20040072A1 (it) * 2004-06-24 2004-09-24 Alpinestars Res Srl Indumento per attivita' sportiva.
JP4018682B2 (ja) * 2004-09-21 2007-12-05 株式会社アシックス スパッツ
WO2006032096A1 (en) * 2004-09-23 2006-03-30 Skins Compression Garments Pty Limited Compression garments and a method of manufacture
JP2006144210A (ja) * 2004-10-19 2006-06-08 Onyone Kk スポーツウェア
US7516498B2 (en) * 2004-12-21 2009-04-14 Alignmed, Llc Garment with enhanced knee support
US8296864B2 (en) 2004-12-21 2012-10-30 Smart Fitness Products, Llc Garment with enhanced knee support
FR2879900B1 (fr) * 2004-12-24 2007-10-12 Promiles Sa Collant a effet localise de contention pour la pratique d'un sport
JP4693513B2 (ja) * 2005-01-12 2011-06-01 小林製薬株式会社 下肢被覆材
JP4294598B2 (ja) * 2005-01-26 2009-07-15 有限会社 中澤研究室 タイツ
WO2006134875A1 (ja) * 2005-06-13 2006-12-21 Kobayashi Pharmaceutical Co., Ltd. 下肢被覆材
US20090042702A1 (en) * 2005-08-02 2009-02-12 Brian Toronto Proprioception enhancement system
US8347415B2 (en) * 2005-09-13 2013-01-08 Alpinestars Research Srl Sport garment having an improved comfortableness
JP4673182B2 (ja) * 2005-10-18 2011-04-20 アサヒマカム株式会社 衣類
AU2006317555A1 (en) * 2005-11-25 2007-05-31 Body Science International Pty Ltd A compression garment or method of manufacture
JP4908025B2 (ja) 2006-03-16 2012-04-04 株式会社ワコール 股付き衣類
GB2456682B (en) * 2006-12-15 2009-09-30 Speedo Int Ltd Swim cap
GB2444804B (en) * 2006-12-15 2009-04-01 Speedo Int Ltd Elasticated sports garments
US10264828B2 (en) 2007-05-23 2019-04-23 Intelliskin Usa, Llc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s and methods
CN101754698B (zh) * 2007-09-12 2015-06-03 株式会社华歌尔 运动用的附设裤裆的衣服
US8167829B2 (en) * 2007-10-19 2012-05-01 Bellacure Inc. Orthotic apparatus
EP2237688B1 (en) * 2008-01-15 2020-03-25 The LYCRA Company UK Limited Garment comprising a brassiere
JP5705722B2 (ja) 2008-05-02 2015-04-22 パーフェクト・クロス・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Perfect Cross, Llc 皮膚の固有受容性活性化被覆システム
EP2316288B1 (en) * 2008-07-18 2013-09-11 Mizuno Corporation Sportswear
US8256034B2 (en) * 2008-08-01 2012-09-04 Nike, Inc. Article of apparel with inner and outer layer and an insert element in between
US20100115681A1 (en) * 2008-10-06 2010-05-13 Gsm (Operations) Pty Ltd Wetsuit
CA2739671A1 (en) * 2008-10-14 2010-04-22 Samara Innovations, Llc Devices for use during physical activity
JP5297170B2 (ja) * 2008-12-02 2013-09-25 ピップ株式会社 膝用サポーター
EP2210510B1 (en) * 2009-01-23 2012-02-29 Colibri1, S.L. Protective sports garment
ATE539629T1 (de) * 2009-05-11 2012-01-15 Colibri1 S L Sportschutzkleidung
US20110000003A1 (en) * 2009-07-01 2011-01-06 Shei Chung Hsin Ind, Co. Ltd. Wetsuit made with a non-absorbent and quick drying fabric
US8214926B2 (en) 2009-07-06 2012-07-10 Intelliskin Usa, Llc Posture improving garment
US20140196190A1 (en) * 2009-08-31 2014-07-17 Intelliskin Usa, Llc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s and Methods
US20110083246A1 (en) * 2009-10-14 2011-04-14 Ranil Kirthi Vitarana Garment with Elastomeric Coating
JP4607233B1 (ja) * 2010-01-15 2011-01-05 株式会社シャルレ 下肢矯正被服
EP2552555B1 (en) * 2010-03-26 2017-08-16 Reebok International Ltd. Physical fitness garments
TWI586288B (zh) * 2010-12-28 2017-06-11 Kowa Co Leg support belt
US9345275B2 (en) 2011-02-18 2016-05-24 Nike, Inc. Lower body garment with elasticity-reducing panel
WO2012131873A1 (ja) * 2011-03-28 2012-10-04 株式会社ワコール 編地およびそれを用いた衣類
GB2480924B (en) * 2011-06-03 2012-07-25 Speedo Int Ltd Sports garment
USD654661S1 (en) * 2011-06-30 2012-02-28 Lululemon Athletica Canada Inc. Pants
US9125787B2 (en) 2011-09-30 2015-09-08 Covidien Lp Compression garment having a foam layer
US8887315B2 (en) * 2011-11-02 2014-11-18 Erin Lynn Boynton Orthopedic support garment
JP6151478B2 (ja) * 2012-03-23 2017-06-21 株式会社ワコール 下半身衣類
CA2870093C (en) * 2012-04-10 2018-10-23 Wacoal Corp. Crotched exercise garment
JP2015529574A (ja) 2012-09-17 2015-10-08 プレジデント アンド フェローズ オブ ハーバード カレッジ 人間動作を補助するための軟性外骨格スーツ
US9402779B2 (en) 2013-03-11 2016-08-02 Covidien Lp Compression garment with perspiration relief
USD746552S1 (en) 2013-03-14 2016-01-05 Intelliskin Usa, Llc Sports shirt
JP6349055B2 (ja) * 2013-03-14 2018-06-27 豊田通商株式会社 運動用タイツ
US10843332B2 (en) 2013-05-31 2020-11-24 President And Fellow Of Harvard College Soft exosuit for assistance with human motion
CA2844463A1 (en) * 2013-11-26 2015-05-26 Nygard International Partnership Pants
US11324655B2 (en) 2013-12-09 2022-05-10 Trustees Of Boston University Assistive flexible suits, flexible suit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and control thereof to assist human mobility
WO2015120186A1 (en) 2014-02-05 2015-08-13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ssisting walking for developmentally-delayed toddlers
WO2015157731A1 (en) 2014-04-10 2015-10-15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Orthopedic device including protruding members
FI125966B (fi) * 2014-05-08 2016-04-29 Vaskia Oy Asuste
FR3024020B1 (fr) 2014-07-22 2017-05-19 Rossignol Sa Vetement pour la pratique du ski alpin
US10085490B2 (en) 2014-07-30 2018-10-02 Vf Imagewear, Inc. Shirts configured for enhancing worker mobility
ES2912943T3 (es) * 2014-07-30 2022-05-30 Vf Imagewear Inc Pantalones configurados para mejorar la movilidad de un trabajador
CN118252727A (zh) 2014-09-19 2024-06-28 哈佛大学校长及研究员协会 辅助使用者的关节运动的方法和可穿戴式机器人***
JP6459692B2 (ja) * 2015-03-25 2019-01-30 株式会社ワコール 膝部を覆う着用物品
CN108024583A (zh) * 2015-06-25 2018-05-11 六点钟企业私人有限公司 具有整体无缝阻力区的阻力服装
KR101675338B1 (ko) * 2015-07-06 2016-11-2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레이닝 팬츠
USD798027S1 (en) 2015-09-03 2017-09-26 Intelliskin Usa, Llc Tights
USD780406S1 (en) 2015-09-03 2017-03-07 Intelliskin Usa, Llc Bodysuit
KR101728958B1 (ko) 2015-09-08 2017-04-20 이난엽 기능성 레깅스
USD833711S1 (en) 2016-01-07 2018-11-20 Nike, Inc. Pants
USD817600S1 (en) 2016-02-25 2018-05-15 Intelliskin Usa, Llc Shorts
USD816300S1 (en) 2016-03-10 2018-05-01 Intelliskin Usa, Llc Shirt
EP3429512A4 (en) 2016-03-13 2019-10-30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FLEXIBLE ELEMENTS FOR ANCHORING THE BODY
CN109068772A (zh) * 2016-03-30 2018-12-21 东丽株式会社 衣物
TWD183487S (zh) * 2016-06-23 2017-06-11 彪仕醫技股份有限公司 運動緊身褲
TWD183486S (zh) * 2016-06-23 2017-06-11 彪仕醫技股份有限公司 運動緊身褲
USD793037S1 (en) * 2016-07-20 2017-08-01 Nike, Inc. Garment
USD791446S1 (en) * 2016-07-20 2017-07-11 Nike, Inc. Garment
USD794911S1 (en) * 2016-07-20 2017-08-22 Nike, Inc. Garment
CN109789543B (zh) 2016-07-22 2022-09-27 哈佛大学校长及研究员协会 用于可穿戴***的控制优化
EP3287107B1 (en) * 2016-08-22 2020-07-22 Sanko Tekstil Isletmeleri San. Ve Tic. A.S. Compression garment with multiple compression forces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WO2018170170A1 (en) 2017-03-14 2018-09-20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System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3d soft microstructures
US11021819B2 (en) 2017-05-15 2021-06-01 Under Armour, Inc Athletic performance garment
US11517056B2 (en) * 2017-06-27 2022-12-06 Jeffrey Hall Twin seam panel trousers
CN107242614A (zh) * 2017-08-08 2017-10-13 李宁体育(上海)有限公司 一种髂胫束加固压缩运动裤及其制造方法
USD883651S1 (en) 2018-01-03 2020-05-12 Better Walk, Inc. Joint stabilization sock
US11484425B2 (en) * 2017-12-15 2022-11-01 Stoko Desig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a human anatomical joint
USD895815S1 (en) 2018-08-22 2020-09-08 Better Walk, Inc. Joint stabilization elbow sleeve
USD890938S1 (en) 2018-08-22 2020-07-21 Better Walk, Inc. Joint stabilization knee sleeve
USD989472S1 (en) 2021-04-02 2023-06-20 Better Walk, Inc. Sock
US11986028B2 (en) * 2021-05-06 2024-05-21 Ariat International, Inc. Equestrian pants garments
CN115399946B (zh) * 2022-08-31 2023-09-29 浙江迈兹袜业科技有限公司 一种针对性的穿着舒适且可微调的静脉曲张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2814A (ja) * 1987-10-27 1989-05-01 Toshiyasu Suzuki 自己保持機能と自己ターン・オフ機能を持つスイッチング回路と自己発振型直列インバータ回路
JPH08325813A (ja) * 1995-05-24 1996-12-10 Yamaha Motor Co Ltd モトクロスパンツ
JPH10110306A (ja) * 1996-10-07 1998-04-28 Masaru Nakazawa 下 衣
JPH10280209A (ja) * 1997-04-01 1998-10-20 Wacoal Corp 下肢部保護衣料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8209B2 (ja) * 1989-08-10 1998-10-30 アルケア株式会社 被覆装具とその製造方法
JPH0749602B2 (ja) 1990-06-19 1995-05-31 株式会社ワコール テーピング機能を有するロングガードル等下半身用被服
JPH0651921B2 (ja) 1990-06-20 1994-07-06 株式会社ワコール テーピング機能を有する下腿部用サポーターまたはストッキング
JPH0641641B2 (ja) * 1990-06-21 1994-06-01 株式会社ワコール テーピング機能を有するロングガードル等下半身用被服
JP2603769B2 (ja) 1991-05-22 1997-04-23 株式会社 ワコール 人体の体表面に圧接して着用されるテーピング機能を有する下腿部用サポーター
US5201074A (en) 1991-06-10 1993-04-13 Dicker Timothy P Exercise suit with resilient reinforcing
US5659895A (en) * 1993-02-18 1997-08-26 Ford, Jr.; Thomas J. Full-body stress transfer suit
JP2846798B2 (ja) 1993-09-14 1999-01-13 株式会社ワコール 上肢保護用衣料
JP2732394B2 (ja) 1994-09-12 1998-03-30 オンヨネ株式会社 スポーツウェア
JP2721649B2 (ja) * 1994-10-28 1998-03-04 株式会社ワコール 上肢および/または下肢部保護用衣料
JPH09149959A (ja) 1995-11-30 1997-06-10 Kiyapitaru Kogyo Kk スポーツ用スパッツ
JP3668316B2 (ja) * 1996-03-04 2005-07-06 オンヨネ株式会社 スポーツウェア
US5745917A (en) * 1996-12-30 1998-05-05 Dicker; Timothy P. Energy expenditure garment
US5737773A (en) * 1997-02-20 1998-04-14 Dicker; Timothy P. Aerobic exercise garment
JPH1112814A (ja) * 1997-06-13 1999-01-19 Descente Ltd テ−ピング機能タイツ
US5819322A (en) * 1997-06-23 1998-10-13 Dicker; Timothy P. Energy conservative/expenditure garment
US5857947A (en) * 1997-07-14 1999-01-12 Dicker; Timothy P. Energy expenditure/training garment
JP3747121B2 (ja) 1997-08-22 2006-02-22 株式会社ゴールドウインテクニカルセンター 運動用被服
US5829058A (en) * 1997-11-03 1998-11-03 Dicker; Timothy P. Energy expenditure garment
US5867827A (en) * 1997-12-08 1999-02-09 Wilkinson; William T. Energy expenditure garment
US5978966A (en) * 1998-09-11 1999-11-09 Dicker; Timothy P. Energy expenditure garment
JP3740344B2 (ja) * 2000-02-03 2006-02-01 株式会社ワコール 運動用スパッツ
TW475887B (en) * 2000-04-20 2002-02-11 Wacoal Corp Leg portions supporting wea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2814A (ja) * 1987-10-27 1989-05-01 Toshiyasu Suzuki 自己保持機能と自己ターン・オフ機能を持つスイッチング回路と自己発振型直列インバータ回路
JPH08325813A (ja) * 1995-05-24 1996-12-10 Yamaha Motor Co Ltd モトクロスパンツ
JPH10110306A (ja) * 1996-10-07 1998-04-28 Masaru Nakazawa 下 衣
JPH10280209A (ja) * 1997-04-01 1998-10-20 Wacoal Corp 下肢部保護衣料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829B1 (ko) 2009-09-03 2010-10-29 양재영 스포츠 태이핑 타이즈
KR101223912B1 (ko) 2011-02-21 2013-01-22 지정우 하체의 균형된 자세와 근파워를 증가시겨주는 기능성 의류
KR101403169B1 (ko) 2012-06-04 2014-06-27 지정우 하체의 근골격계 상해 예방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
KR20190029257A (ko) * 2017-09-12 2019-03-2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컴프레션 팬츠
KR101987964B1 (ko) 2017-09-12 2019-06-1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컴프레션 팬츠
WO2022092417A1 (ko) 2020-10-28 2022-05-05 (주)라쉬반코리아 테이핑 타이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93871A1 (en) 2007-03-16
WO2001080676A1 (fr) 2001-11-01
EP1310179A4 (en) 2004-08-25
CN1253115C (zh) 2006-04-26
EP1310179A1 (en) 2003-05-14
US20070111868A1 (en) 2007-05-17
CN1839720A (zh) 2006-10-04
KR20030004344A (ko) 2003-01-14
US7229390B2 (en) 2007-06-12
EP1380219A3 (en) 2004-08-25
CN100591229C (zh) 2010-02-24
JP3737759B2 (ja) 2006-01-25
ATE333808T1 (de) 2006-08-15
CA2378074C (en) 2005-03-22
EP1380219B1 (en) 2007-03-07
DE60121775T2 (de) 2006-11-30
DE60121775D1 (de) 2006-09-07
AU2001248774A1 (en) 2001-11-07
WO2001080675A1 (fr) 2001-11-01
DE60127185D1 (de) 2007-04-19
HK1050615A1 (en) 2003-07-04
AU2001248775A1 (en) 2001-11-07
EP1380219A2 (en) 2004-01-14
CN1380814A (zh) 2002-11-20
JP3818920B2 (ja) 2006-09-06
ATE355762T1 (de) 2007-03-15
CA2378074A1 (en) 2001-11-01
US20030101506A1 (en) 2003-06-05
TW475887B (en) 2002-02-11
EP1310179B1 (en) 200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631B1 (ko) 가랑이부를 갖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KR100527561B1 (ko) 의복
JP5905700B2 (ja) 圧縮衣料及び製造方法
JP2000328305A (ja) 運動用被服とその製造方法
KR20120042859A (ko) 가랑이가 있는 의류
KR20050120717A (ko) 가랑이가 있는 의류
JPH10110306A (ja) 下 衣
JP2007023466A (ja) 運動用スパッツ
JP4551979B1 (ja) 股付き衣類
JP2004300619A (ja) 股付き衣類
JP3666868B2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JP4425010B2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JP4425009B2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JP3808470B2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JP3666869B2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をサポート用被服
JP2003306813A (ja) 要部を緊締力の強い生地で構成したスパッツ
CA2482304C (en) Tights-type leg support garment
JP2004100143A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をサポート用被服
JP2009275305A (ja) ボトム衣料
JP2023077783A (ja) インナーウェア
JP2004044079A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JP2004044078A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JP2004076251A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JP2004027477A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JP2004044080A (ja) 股部を有する下肢部サポート用被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