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912B1 - 하체의 균형된 자세와 근파워를 증가시겨주는 기능성 의류 - Google Patents

하체의 균형된 자세와 근파워를 증가시겨주는 기능성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912B1
KR101223912B1 KR1020110031916A KR20110031916A KR101223912B1 KR 101223912 B1 KR101223912 B1 KR 101223912B1 KR 1020110031916 A KR1020110031916 A KR 1020110031916A KR 20110031916 A KR20110031916 A KR 20110031916A KR 101223912 B1 KR101223912 B1 KR 101223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functional clothing
attached
bone
mus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5766A (ko
Inventor
천종숙
지정우
Original Assignee
지정우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정우,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지정우
Publication of KR20120095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67Trousers with reinforcement p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반, 대퇴골, 경(비)골, 족근골, 중족골, 지절골 등의 골격 기능과 관련 근육기능을 반영하여, 골반 및 하지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로 하체의 균형과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 의류(이하 “기능성 의류”라 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하체 골격근의 형태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직물근육인 길항근을 설계함으로써 하체 골격근의 운동방향에 대한 “상반된 장력”인 길항작용으로 인간이 어떤 활동을 하라도 균형된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고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체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하체의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상기 직물천골부 아래에 이격되어 고관절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고관절 부위를 감싸는 띠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고관절부; 옷본에서 무릎관절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무릎관절 부위를 감싸는 띠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무릎관절부; 옷본에서 발목관절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발목관절 부위를 감싸는 띠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발목관절부; 옷본에서 장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며, 장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장골부; 천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천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장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천골부; 미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미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천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미골부; 좌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좌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장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좌골부; 치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치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좌골부의 중앙부와 연결되는 직물치골부; 대퇴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대퇴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좌골부 일측, 상기 직물치골부 일측, 상기 직물장골부 일측과 연결되는 직물대퇴골부; 경골 및 비골의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경골 및 비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대퇴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경(비)골부; 족근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족근골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경(비)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족근골부; 중족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옷본에서 중족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직물족근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중족골부; 지절골의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옷본에서 지절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족근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지절골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체의 균형된 자세와 근파워를 증가시겨주는 기능성 의류{Functional wear to balance and strengthen for lower body}
본 발명은 골반, 대퇴골, 경(비)골, 족근골, 중족골, 지절골 등의 골격 기능과 관련 근육기능을 반영하여, 골반 및 하지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로 하체의 균형과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 의류(이하 “기능성 의류”라 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하체 골격근의 형태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직물근육인 길항근을 설계함으로써 하체 골격근의 운동방향에 대한 “상반된 장력”인 길항작용으로 인간이 어떤 활동을 하라도 균형된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고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이다.
자세 이상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질환 및 장애는 최근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바르지 않은 자세(나쁜자세)가 체형으로 고착화됨으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은 산업재해 질환 중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나쁜자세에서 바른자세로 교정될 수 있도록 하고, 나쁜자세에 따른 통증이나 질환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나쁜자세의 고착화를 방지하는 일상적인 방법으로는 근육의 피로를 풀어주는 스트레칭 운동이나 바른자세를 만들어주는 재활의료 보장기의 사용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장기들은 주로 자세(재활)의학 이나 정형외과 환자들이 주로 착용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
척추 측만증이나 자세의 교정 목적으로 개발된 자세 교정벨트 등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으며, 일반인들도 이를 구매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지나친 압박감과 고정된 틀을 제시하는 것이 제한점이다.
일반인들이 주로 착용하는 체형 보정용 피복류는 대부분 허리나 골반의 위치를 보정하거나 보호하는 거들이나 자세 교정 벨트 등이다. 이러한 제품들의 기술적인 한계는 나쁜 자세가 발생하는 원인과 관련된 인체 골격과 근육의 기능을 각각 반영하지 않고, 나쁜 고착된 자세를 바로잡기 위해 인체의 일부분을 압박하는 띠나 조작적인 모양의 탄성재질을 옷에 부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외에도 하체 형태나 자세를 보정하는 거들과 하반신 운동을 써포트하는 기능으로 골반의 연동운동과 무릎의 회전 운동의 퍼포먼스를 향상시키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으나 이들로도 인체의 골격과 근육의 형태 및 기능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가 없어 나쁜 고착된 자세를 바로잡는 데는 상당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일상생활, 산업별 작업 및 운동에서 발생하는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골격근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인 “장력효과”로 균형되고 안정성이 있는 자세 유지와 인체 항상성유지가 가능한 "기능성 의류"가 필요하다.
즉, 인체의 골격에 대한 근육의 기능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인체의 새로운 길항적인 골격근 기능의 “기능성 의류”가 요망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인간공학 평가도구(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OWAS (Ovako Working Posture Analysis System) 등)로 바른자세를 도출하여 3D 스캐너로 스캔 후 이 제원을 하체의 옷본으로 설계하고, 옷본에 골반 및 하지 등(等)의 근골격기능이 발휘되도록 인체의 근골격의 형태와 동일하게 직물 근골격을 설계하되 인체 근육의 힘 방향과 일치시키기 위하여 일부 직물 근골격의 경우에는 그 형태를 변형시켰다.
본 발명의 직물근육은 인체근육에 대한 길항작용을 하여 기존 인체의 길항근과는 독립적으로 새로운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일상 활동과 산업별 작업 및 운동 시 인체근육의 힘과 정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몸의 균형을 안정되게 바로 잡아줌으로써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시켜주며, 직물근육(길항적 역할)이 복원할 때 인체의 해당근육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는 균형을 잡아주는 상반된 장력만큼 근 파워가 증가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골반, 대퇴골, 경(비)골, 족근골, 중족골, 지절골 등의 골격기능과 관련 근육기능을 반영하되, 하체의 골격과 근육의 형태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직물로 설계된 직물 골격근이 인체의 하체 골격근에 대한 길항근으로 새로운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일상활동시 인간공학 평가도구에 의해 설계된 직물근육이 길항적인 작용으로 나쁜자세를 제어시키고, 균형된 자세로 돌아오도록 함으로써 각종 근골격계 질환예방을 가능하게 하체 근골격을 보정하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산업별 작업 및 운동 시 움직이는 하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이 길항적인 역할을 함으로써 조기에 균형이 유지된 인체의 항상성에 의해 근파워가 증가되어 적은 근력으로도 작업 및 운동이 가능하며, 이로 인한 근 피로도의 감소 및 근육통 예방이 가능한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하체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하체의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장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며, 장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장골부; 천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천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장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천골부; 옷본에서 상기 직물천골부 아래에 이격되어 고관절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고관절 부위를 감싸는 띠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고관절부; 미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미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천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미골부; 좌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좌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장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좌골부; 치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치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좌골부의 중앙부와 연결되는 직물치골부; 대퇴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대퇴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좌골부 일측, 상기 직물치골부 일측, 상기 직물장골부 일측과 연결되는 직물대퇴골부; 옷본에서 무릎관절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무릎관절 부위를 감싸는 띠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무릎관절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물근육은, 부체꼴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장골부 상단에 부착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고관절부 하단이며 직물대퇴골부의 상단에 부착되는 직물장골근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직물치골부 하단 좌우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후면 좌우측 직물대퇴골부 상단에서 1/4지점 까지에 부착되는 직물단내전근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직물치골부 상단 좌우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대퇴골부 상단 1/4지점에서 2/4지점에 부착되는 직물장내전근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치골부 좌우측 하단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대퇴골부(46) 전면(全面)에 부착되는 직물대내전근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치골부와 직물좌골부 좌우측 하단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경골(비골)부 상단 내측면에 부착되는 직물박근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옷본 상단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대퇴골부 상단 내측면에 부착되는 직물요근부; 인체대둔근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천골 및 직물미골의 외측면과 직물장골상단 1/4지점까지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대둔근부의 직물장경인대와 직물대퇴골 좌우측 상단 1/6지점까지 외측면에 부착되는 직물대둔근부; 사각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장골 상단 전방(前方)으로 2/8지점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고관절 하단 직물대퇴골의 최상단 전방(前方)에 위치한 직물장경인대에 부착되는 직물대퇴근막장근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 직물천골부(42)의 좌우측 중앙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 좌우측 직물고관절부 하단인 직물대퇴골부 최상단에 부착되는 직물이상근부; 부채꼴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측면 직물장골 상단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측면 직물고관절 하단 직물대퇴골의 최상단에 부착되는 직물중둔근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다.
또한, 본 발명은, 하체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하체의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장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며, 장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장골부; 좌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좌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장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좌골부; 대퇴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대퇴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좌골부 일측, 상기 직물장골부 일측과 연결되는 직물대퇴골부; 경골 및 비골의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경골 및 비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대퇴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경(비)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물근육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前面)의 좌우측 직물장골부(41) 상단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 내측면에 부착되는 직물봉공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좌골부 좌우측 하단 외측면(全面)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경(비)골부 좌우측 상단 외측면에 부착되는 직물대퇴이두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좌골부(44) 하단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 내측면에 부착되는 직물반양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장골부 하단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하단 중앙면에 부착되는 직물대퇴직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대퇴골부 상단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 중앙면에 부착되는 직물대퇴삼두근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하체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하체의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대퇴골 대응 부위에 위치되며, 대퇴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대퇴골부; 경골 및 비골의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경골 및 비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대퇴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경(비)골부; 옷본에서 발목관절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발목관절 부위를 감싸는 띠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발목관절부; 족근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족근골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경(비)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족근골부; 중족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옷본에서 중족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직물족근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중족골부; 지절골의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옷본에서 지절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족근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지절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물근육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에서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에서 좌우측 직물중족골부 상단 중앙면에 부착되는 직물전경골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지절골부에서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네 개의 발가락사이사이에 부착되는 직물장지신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경(비)골부 중앙 하단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중족골부 하단면에 부착되는 직물제삼비골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대퇴골부 상단 외측면과 내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족근골 상단 중앙면에 부착되는 직물비복가자미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경(비)골부 최상단 뒷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중족골부 하단면에 부착되는 직물장비골근부; 2개의 삼각형이 무릎관절 대응 부위에서 꼭지점을 맞대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과, 상기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에서 1/2까지의, 외측면, 내측면 중앙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지절골부의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네 개의 발가락사이에 부착되는 직물후경장지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경(비)골부 상단 2/4지점에서 3/4지점까지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지절골부 엄지발가락에 부착되는 직물장무지신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에서 2/4지점에서 3/4지점까지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지절골부 엄지발가락 전면에 부착되는 직물장무지굴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경(비)골부 상단에서 3/5지점에서 4/5지점까지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중족골부 하단면에 부착되는 직물단비골근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하체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하체의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상기 직물천골부 아래에 이격되어 고관절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고관절 부위를 감싸는 띠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고관절부; 옷본에서 무릎관절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무릎관절 부위를 감싸는 띠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무릎관절부; 옷본에서 발목관절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발목관절 부위를 감싸는 띠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발목관절부; 옷본에서 장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며, 장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장골부; 천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천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장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천골부; 미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미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천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미골부; 좌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좌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장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좌골부; 치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치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좌골부의 중앙부와 연결되는 직물치골부; 대퇴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대퇴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좌골부 일측, 상기 직물치골부 일측, 상기 직물장골부 일측과 연결되는 직물대퇴골부; 경골 및 비골의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경골 및 비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대퇴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경(비)골부; 족근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족근골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경(비)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족근골부; 중족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옷본에서 중족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직물족근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중족골부; 지절골의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옷본에서 지절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족근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지절골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에 따르면, 골반, 대퇴골, 경(비)골, 족근골, 중족골, 지절골 등의 골격기능과 관련 근육기능을 반영하여 하체 골격근의 형태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직물근육을 설계하여 인체 해당 골격근에 대한 길항근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직물근육이 길항적인 역할을 발휘하게 되어 골반, 대퇴골, 경(비)골, 족근골, 중족골, 지절골을 바르게 잡아주고,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시켜준다. 여기에서 직물근육의 “길항적 기능 및 역할”이란 하체의 골격근에 대한 직물근육의 “상반된 장력”으로 인간이 어떤 활동을 하던 간에 자동적으로 본래의 균형된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직물근육에 해당되는 인체근육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는 되돌아오는 상반된 장력만큼 주동근의 근 파워를 증가시켜준다.
본 발명의 기능성의류는 일상활동과 산업별 작업 및 운동 시 자세를 바로 잡아주는 “인간공학 평가도구”에 의해 바른자세에서 설계된 직물근육이 길항적인 작용으로 나쁜자세를 제어시키고, 균형된 자세로 돌아오도록 함으로써 각종 근골격계 질환예방을 가능하게 하체 근골격을 보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에 따르면, 일상활동과 산업별 작업 및 운동 시 인체근육에 대한 길항작용에 의해 조기에 유지되는 항상성으로 필요한 근력보다 적은 힘의 근육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젖산 등의 찌거기가 근육 내에 적게 쌓이게 함으로써 근피로의 감소는 물론, 근섬유 및 건초의 파열과 Trigger Point(통증 유발점)에 의한 근육통 예방이 가능하다.
나쁜자세로 인한 중력의 편중은 하체의 각종 관절에 부하가 심하게 작용되어 근육, 인대, 연골, 뼈, 신경(중추 및 자율) 등에 나쁜 영향을 끼치고 신체의 혈액순환에도 방해가 되는데,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는 자세 불균형에 대한 치료하는 것 외에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하체 모든 관절의 교정하게 되므로 이를 통해 키가 커지는 효과가 있다.
둘째, 성장기에 있는 연령층은 성장을 촉진시켜준다.
셋째, 만성소화불량, 허약체질의 경우처럼 정밀검사를 해봐도 특별한 효과가 없는 사람에게도 효과가 있다.
넷째, 신경계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신지대사가 잘 이루어지게 한다. 이를 통해 식욕, 정력, 활력 등을 되찾게 해준다.
다섯째, 관절이 닿거나 비정상적으로 자라게 되는 퇴행성 변이를 예방하고 인체의 유연성을 극대화하여 갑작스럽게 상해를 입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여섯째, 모든 세포의 생명력, 치유력, 재생능력, 성장력 등을 향상시켜 이상적인 건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곱째, 건강미가 흐르는 아름다운 몸매를 만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체균형 및 항상성을 유지시켜주는 기능성 의류에 적용되는 인체의 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의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에서 직물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장골근부(401)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단내전근부(402)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장내전근부(403)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대내전근부(404)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박근부(405)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요근부(406)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대둔근부(407)와 직물장경인대(400-1)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대퇴근막장근부(408)와 직물장경인대(400-1)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이상근부(409)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중둔근부(410)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봉공근부(501)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대퇴이두근부(502)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대퇴반양근부(503)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대퇴직근부(504)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대퇴삼두근부(505)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전결골근부(601)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장지신근부(602)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제삼비골근부(603)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비복가자미근부(604)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장비골근부(605)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후경장지근부(606)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장무지신근부(607)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장무지굴근부(608)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단비골근부(609)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체균형 및 항상성을 유지시켜주는 기능성 의류에 적용되는 인체의 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로, 도 1은 위치에 따라 보이는 골격의 형태로서, 도 1의 (a)는 골반 및 하지의 세부 골격 중, 전면골격을 설명하며, 도1 (b)는 골반 및 하지의 세부 골격 중, 후면골격을 설명하며, 도1 (c)는 골반 및 하지의 세부 골격 중, 측면골격을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성 의류”에 적용되는 골반 및 하지골격은 도 1의 위치에 따라 보이는 골격의 형태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에 적용되는 골반 및 하지의 전· 후· 측면 골격을 나타내며, 본 발명에 적용하는 전· 후· 측면 골격에는 골반골격인 장골, 천골, 좌골, 치골, 고관절과 하지골격인 대퇴골, 무릎관절, 경골(비골), 발목관절, 족근골, 중족골, 지절골 등이 있다.
장골(Ilium)은 골반 중 가장 크고 위쪽에 위치하여 바깥을 향해 퍼져있어 둔부의 돌출부위를 형성한다. 이 돌출부위의 가장자리를 장골능(iliac crest)이라 하며 장골 앞쪽의 매끈하고 오목한 면은 장골와(iliac fossa)라고 한다.
천골(Sacrum)은 골반을 구성하는 뼈로 5개의 천추가 융합해서 된 것으로 척주를 구성하는 척추뼈 중에서 가장 크다.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쐐기 모양을 이룬다. 전면은 오목해져 골반강을 향하고 네가닥의 가로선이 있다. 천추는 제5요추의 몸통과 결합하고, 관절돌기는 제5요추의 아래관절돌기와 관절을 만든다.
좌골(Ischium)은 골반뼈의 가장 아래부위를 형성하여 각을 이룬 L자 모양이며 뒤쪽아래에 좌골조면(ischial tuberosity)이 있다. 이 조면은 표면이 거칠며 하지의 근육과 인대가 부착하는 장소가 된다. 또한 앉아 있는 동안 체중을 지탱한다. 좌골조면위의 장골과 좌골의 경계 근처에 좌골극(ischial spine)이라고 하는 날카로운 돌출부가 있다. 천골갑각과 같이 좌골극은 질검사를 통해 촉지될 수 있어 골반크기를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좌골극 사이의 거리는 골반출구(pelvic outlet)의 가장 짧은 직경에 해당된다.
치골(Pubis)은 골반뼈의 앞 부위를 형성한다. 두 개의 치골은 정중선에서 치골결합을 형성하여 서로만난다. 치골결합(symphysis pubis) 아래에서 이 뼈들이 형성하는 각을 치골궁(pubic arch)이라고 한다. 이 뼈들 사이에는 인체 골격 중 가장 큰 구멍인 폐쇄공(obturator foramen)이 있다. 이 구멍은 패쇄막에 의해 덮여 막혀있다.
고관절(Hip Joint)은 대퇴골의 골두와 컵모양의 관절구(골반골절구 acetabulum)로 구성되어 있는 절구관절이다. 대퇴골의 골두에 있는 소와(pit : 대퇴골두와 fovea capitis)와 관절구 내에 있는 결합조직에는 인대[대퇴골두인대 ligamentum capitis(femoris)]가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이 연결은 관절을 이루는 뼈들을 함께 결합시키는 데에는 크게 중요하지 않으며, 오히려 대퇴골 골두의 혈액공급에 중요하다. 관절구의 테두리를 따라 있는 말발굽 모양의 섬유연골의 고리가 관절구의 공간을 더 깊게 해준다. 이 구조는 대퇴골두를 둘러싸며, 골두가 제자리에 위치하도록 해준다. 또한 다른 인대들에 의해 강화된 실린더 모양의 관절낭은 관절구조를 둘러싸 주며, 대퇴골의 목부분을 관절구의 테두리에 연결시켜 준다. 고관절에 있는 주요인대에는 장골대퇴인대(iliofemoral ligament), 치골대퇴인대(pubofemoral ligament), 좌골대퇴인대(ischiofemoral ligament) 등이 있다.
대퇴골(Femur)은 우리 몸에서 가장 긴뼈로 둔부로부터 무릎까지 뻗어있다. 대퇴골의 근위단에는 크고 둥근 대퇴골두(head)가 관골의 관절구를 행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대퇴골두에는 인대가 부착하는 골두와(fovea capitis)라고 하는 오목한 홈이 있다. 대퇴골두의 바로 아래에는 좁은 대퇴골경(neck)이 있으며 이곳에는 2개의 큰 돌기 즉, 위쪽 외측의 대전자(greater trochanter)와 아래쪽 내측의 소전자(lesser trochanter)가 있다. 이러한 돌기들에는 하지와 둔부의 근육들이 부착한다. 대퇴골 몸통의 중간 1/3되는 부위의 뒷면에는 거친선(조면, linea aspera)이라고 하는 세로로 된 능선이 있다. 이 거친 부위에는 근육들이 부착한다. 대퇴골의 원위단에는 경골과 관절을 이루는 외측관절구(lateral condyle)와 내측관절구(medial condyle)의 두 둥근 돌기가 있다. 또한 대퇴골의 원부위 앞면은 슬개골과 관절을 이룬다. 원단위의 내측면에는 내측상과(medial epicondyle)가, 외측면에는 외측상과(lateral epicondyle)가 있다. 이러한 돌기들에는 근육과 인대가 부착된다.
무릎관절(Knee Joint)은 윤활관절 중 가장 크고 복잡하다. 이 관절은 대퇴골 원위단에 있는 내측 및 외측관절구와 경골의 원위단에 있는 내측 및 외측관절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대퇴골은 앞쪽으로는 슬개골과 관절을 이루고 있다. 무릎의 기능은 주로 경첩관절(굴곡과 신전운동이 가능)이 담당하지만, 대퇴골과 경골 사이의 관절은 타원관절(condyloid jont)이며 (무릎을 구부렸을 때 약간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함), 대퇴골과 슬개골 사이의 관절은 활주관절(gliding jont)이다. 무릎의 관절낭은 상대적으로 얇지만 인대와 일부 근육의 힘줄에 의해 강화된다. 예를 들면, 다리(thigh)에 있는 일부 근육의 융합되어 힘줄이 관절낭의 전면을 덮어 주고, 슬개골로 내려가 부분적으로 슬개골을 덮고, 아래쪽으로 경골까지 이어진다. 관절낭은 대퇴골 관절구(femoral condyle)와 경골 관절구(tibial condyle) 사이의 가장자리에 부착된다. 무릎관절에서 관절낭과 연관되어 있는 인대에는 무릎인대(patellar legament), 사슬와인대(oblique popliteal ligament), 궁상슬와 인대(arcuate popliteal ligament), 내측측부인대(tibial collateral ligament, medial collateral ligament), 외측측부인대(fibular collateral ligament, lateral collateral ligament) 등이 있다.
경골(Tibia)은 두 개의 다리뼈 중 더 크며 내측에 위치한다. 경골의 근위단은 표면이 볼록하며 내측과(medial condyle)와 외측과(lateral condyle)를 형성하여 대퇴골의 과(condyle)와 관절을 이루고 있다. 과의 아래 앞면에는 경골조면(tibial tuberosity)이라고 하는 융기부가 있으며 이곳에 슬개골인대(patellar ligament, 슬개골을 갖고 있는 인대의 연속)가 부착한다. 뚜렷한 전능선(anterior crest)이 조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있으며 여기에는 결합조직이 부착되어있다. 경골의 원위단은 팽대되어 내측복사뼈(medilal malleolus))라고 하는 내측 발목의 돌기를 형성하며 이 부분에는 인대가 부착되어있다. 외측에는 비골과 관절을 이루는 오목한 부위가 있다. 경골 원위단의 아래면은 발에 있는 큰 뼈(거골, 목발뼈 talus)와 관절을 이룬다.
비골(Fibula)은 경골의 외측에 위치한 길고 가느다란 뼈이다. 비골의 양쪽 끝은 약간 팽대되어 근위부는 비골두(head)를, 원위부는 외측복사뼈(lateral malleolus)를 형성한다. 비골두는 외측과 바로 아래에서 경골과 관절을 이루나 무릎관절의 형성에는 참여하지 않아 체중의 부하를 받지 않는다. 외측복사뼈는 발목과 관절을 이루며 외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발목관절(Ankle Joint)은 경골의 아래관절면과 돌기관절면, 발목뼈의 내과면, 외과면, 상면 사이에 있는 관절을 말한다.
족근골(Tarsal bone)은 7개로 발목을 형성하고, 이 뼈들은 경골 및 비골과 관절하는 곳에서 이들 중 하나인 거골(목발뼈, talus)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배열되어 발목을 형성한다. 족근골 중 가장 큰 종골(calcaneus) 또는 발꿈치뼈(heel bone)는 거골의 아래에 위치하며 뒤로 돌출되어 발꿈치의 바닥을 형성한다. 종골은 체중을 지탱하고 발을 움직이는데 사용되는 근육들이 부착하는 장소가 된다.
중족골(Metatarsal Bone)은 발목과 관절을 이루는 5개의 길죽한 발등의 뼈로써 내측에서부터 1~5번까지 번호를 붙인다. 이 뼈들의 원위단에 있는 머리는 발바닥에서 족구(ball)을 형성한다. 족근골과 중족골은 인대에 의해 결합되고 발바닥이 아치(arch)를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다. 세로궁(longitudinal arch)은 발꿈치로부터 엄지발가락까지 뻗어있으며 가로궁(transverse arch)은 발을 가로질러 뻗어있다. 이러한 아치는 안정되고 탄성이 있는 바닥이 된다. 그러나 때때로 중족골의 결합이 느슨해져 아치가 내려앉아 평발(flat foot)이 되는 경우도 있다.
지절골(Phalanx)은 길이가 짧으나 손가락에서와 유사하게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중족골과 관절을 이룬다. 각각의 발가락은 근위지절골, 중간지절골, 원위지절골의 3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다. 예외적으로 엄지발가락은 중간지절골이 없이 2개의 지절골로만 이루어진다.
장경인대(腸脛靭帶)는 허벅지 바깥쪽을 따라 길게 뻗어 있는 인대로, 보다 상세히는 장경인대는 근막장근 근막과 대둔근, 중둔근, 외측 광근의 근막이 합쳐져서 대퇴부의 외측을 따라서 아래로 주행하여 대퇴 외측에 일부 부착되고 주로 외상과를 지나 경골의 저디씨 돌기(Gerdy's tubercle)와 무릎관절 슬개골의 외측면에 부착된다. 장경인대는 근막장근의 고관절 외전을 도와주고 내전근들의 고관절 내전을 조절해주는 역활을 하며 슬관절에서는 슬관절의 전방외측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활을 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인간공학 평가도구(REBA, OWAS)로 골반 및 대퇴골의 골격과 이들을 움직이는 근육을 설계하여 하체의 해당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로 골반 및 대퇴골의 균형을 유지시켜주고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믐 "기능성의류”이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인체골격에서 실시예 1에 해당하는 골반 및 대퇴골의 골격은 도 1과 같다.
도 1의 골반 및 대퇴골의 골격에 있어서, 실시예 1에 해당하는 직물골격은 사람이 바른자세를 유지하고, 일상생활과 산업현장에서 작업 또는 운동 시 동적인 근육수축이 가능한 근육의 기시와 종지를 고려하여 “기능성 의류”에 반영한 것이다.
반면 동적인 근육수축이 가능한 골반 및 대퇴골의 골격의 각 근육을 설계에 반영 시 “고관절”의 경우에는 인체의 해당위치인 관골구(장골, 좌골, 치골의 경계)에 설계가 불가능하여 인체 고관절 주변에 부착되는 근육의 기능구현을 위해 인체와는 변형된 “직물 고관절”을 인체 골반의 좌골 및 치골 하단을 연하여 기능성의류에 설계하였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의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에서 직물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도 2a는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의 전면부, 도 2b는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의 후면부, 도 2c는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의 측면부에서 직물골격을 설계하고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실시예 1에 해당하는 직물골격을 "기능성 의류"의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옷본(1)은 하의에 대한 옷본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하, 옷본이라 한다. 옷본(1)은 인간공학 평가도구(REBA, OWAS 등)로 도출한 하체의 바른자세를 3D 스캐너로 스캔하여 산출된 제원에 의해 설계된 틀이다. 옷본(1)의 상단부를 편의상 '허리선'이라 한다.
직물장골부(41)는 인체의 장골을 의류에 제작한 부분으로, 인체장골의 장골와로부터 대퇴골 소전자 등에 부착되는 인체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장골과 동일한 형태로, 도 2a 내지 도 2c에서와 같이, 옷본(1)의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에 직물장골부(41)를 위치시킨다.
즉, 직물장골부(41)는 옷본에서 장골부위에 위치되며, 옷본(1)의 전면부에는 인체 전면에서 본 장골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전면부 직물장골부가 위치되며, 옷본(1)의 후면부에는 인체 후면에서 본 장골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후면부 직물장골부가 위치되며, 옷본(1)의 좌우 측면부에는 인체 측면에서 본 장골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측면부 직물장골부가 위치된다. 전면부 직물장골부, 후면부 직물장골부, 측면부 직물장골부의 상단은 옷본(1)의 허리선에 장착된다. 직물장골부의 하단은 옷본에서 대퇴골 소전자 대응와 연결되며, 직물장골부의 장골와를 이루는 부분도 옷본에서 인체의 장골와 대응부에 부착된다.
직물천골부(42)는 인체의 천골을 의류에 제작한 부분으로, 인체의 천추, 미추, 장골의 후면으로부터 대퇴골의 후면과 대퇴근막 등에 부착되는 인체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천골과 동일한 형태로, 도 2a 내지 도 2c에서와 같이, 옷본(1)의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에 직물천골부(42)를 위치시킨다.
즉, 직물천골부(42)는 옷본에서 천골부위에 위치되며, 옷본(1)의 전면부에는 인체 전면에서 본 천골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전면부 직물천골부가 위치되며, 옷본(1)의 후면부에는 인체 후면에서 본 천골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후면부 직물천골부가 위치되며, 옷본(1)의 측면부에는 인체 측면에서 본 천골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측면부 직물천골부가 위치된다. 직물천골부의 상단은 옷본의 허리선에 부착되며, 직물천골부의 중앙부가 직물장골부의 중앙부의 후면에 연결되며, 또한 직물천골부의 하단이 직물미골부(43)의 상단과 연결된다.
직물고관절부(10)는 인체의 고관절과 변형된 형태로 직물좌골부(44) 및 직물치골부(45) 하단을 연하여 기능성의류에 제작한 부분으로, 인체 요추의 추체와 가로돌기로부터 대퇴골의 소전자 등에 부착되는 인체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고관절과 동일한 형태로 도 2a 내지 도 2c에서와 같이, 옷본(1)의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에 직물고관절부(10)를 위치시킨다.
즉, 직물고관절부(10)는 고관절 부위를 감싸는 띠형태로 이루어지되, 직물좌골부(44) 및 직물치골부(45) 하단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직물미골부(43)는 인체의 미골을 의류에 제작한 부분으로, 인체의 천추, 미추와 장골후면으로부터 대퇴골의 후면과 대퇴근막 등에 부착되는 인체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미골과 동일한 형태로 도 2a 내지 도 2c에서와 같이, 옷본(1)의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에 직물미골부(43)를 위치시킨다.
직물좌골부(44)는 인체의 좌골을 의류에 제작한 부분으로, 인체의 좌골결절로부터 대퇴골 후면 등에 부착되는 인체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좌골과 동일한 형태로, 도 2a 내지 도 2c에서와 같이, 옷본(1)의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에 직물좌골부(44)를 위치시킨다.
즉, 직물좌골부(44)는 옷본에서 좌골부위에 위치되며, 옷본(1)의 전면부에는 인체 전면에서 본 좌골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전면부 직물좌골부가 위치되며, 옷본(1)의 후면부에는 인체 후면에서 본 좌골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후면부 직물좌골부가 위치된다. 직물좌골부는 직물장골부(41)의 하단에 연결되어 위치되며 직물치골부와도 연결되어 있다.
직물치골부(45)는 인체의 치골을 의류에 제작한 부분으로, 인체의 치골결합 근처의 치골로부터 대퇴골 후면 등에 부착되는 인체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치골과 동일한 형태로 도 2a 내지 도 2c에서와 같이, 옷본(1)의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에 직물치골부(45)를 위치시킨다.
직물치골부(45)는 치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치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직물좌골부의 중앙부와 연결되어 있다.
직물대퇴골부(46)는 인체의 대퇴골을 의류에 제작한 부분으로, 인체장골의 장골와로부터 대퇴골 소전자 등에 부착되는 인체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대퇴골과 동일한 형태로, 도 2a 내지 도 2c에서와 같이, 옷본(1)의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에 직물대퇴골부(46)를 위치시킨다.
즉, 직물대퇴골부(46)는 대퇴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대퇴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직물좌골부 일측, 직물치골부 일측,직물장골부 일측과 연결된다.
직물무릎관절부(20)는 인체의 무릎관절을 의류에 제작한 부분으로, 인체의 좌골결절과 대퇴골 조선으로부터 비골머리와 경골의 외측 등에 부착되는 인체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무릎관절과 동일한 형태로 에서와 같이, 옷본(1)의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에 직물무릎관절부(20)를 위치시킨다.
즉, 직물무릎관절부(20)는 옷본에서 무릎관절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무릎관절 부위를 감싸는 띠형태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1에 의해 "기능성 의류"에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인체근육과 인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의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인체근육으로, 설계목적상 골격근을 피부접촉 근육인 겉근육, 골격 내의 근육인 골격 내재근, 겉근육과 골격 내재근 사이의 근육인 안근육 등의 종류로 구분하되 설계반영에 의미가 없는 골격 내재근은 제외하고, 안근육 및 겉근육 만을 직물근육으로 “기능성 의류” 설계에 반영하고자 한다. 따라서 도 2a 내지 도 2c의 인체골반 및 대퇴골격 근육을 정리하면 표 1과 같다.

구 분

인체전면

인체후면

인체측면

골 격

요추 - 골반 - 대퇴골

겉근육
장골근, 단내전근,
장내전근, 대내전근,
박근
요근, 대둔근,
단내전근, 장내전근, 대내전근
대둔근,
대퇴근막장근

안근육

이상근

이상근, 중둔근
장골근은 대요근 외측면에 위치한 큰 부채모양 근육이다. 즉, 장골근은 장골의 안쪽면을 기시점으로 대퇴골의 더 작은 전자부와 그 바로 아래 축에 부착되어 있다.
단내전근은 전면치골에서 대퇴골까지 뻗은 짧은 삼각형 모양의 근육이다. 즉, 단내전근은 치골가지의 전면을 기시점으로 대퇴골의 치골선의 하위 2/3위치와 대퇴골 조선의 중앙 가장자리의 상위 1/2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장내전근은 전면치골에서 대퇴골까지 뻗은 긴 삼각형 모양의 근육이다. 즉, 장내전근은 전면치골을 기시점으로 대퇴골조선의 중앙 1/3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대내전근은 대퇴에서 가장 큰 내전근으로 삼각형 모양의 근육이다. 즉, 대내전근은 치골의 전체가지의 자장자리와 좌골과 좌골결절을 기시점으로 대퇴골조선의 전체길이, 내상과 가장자리와 내전근 결절에 부착되어 있다.
박근은 치골에서 경골까지 뻗어있는 긴 띠 모양의 근육이다. 즉, 박근은 치골의 하강 가지의 전중면 가장자리를 기시점으로 과상돌기 아래 경골의 전중면에 부착되어 있다.
요근은 요추에서 대퇴골까지 뻗어있는 두텁고 긴 근육이다. 즉, 요근은 요추 횡돌기의 하위경계(L1~5), 마지막 흉추 동체의 측면(T12), 요추(L1~5), 추간 섬유연골과 천골의 기부를 기시점으로 대퇴골의 더 작은 전자부와 그 바로 아래 축, 치골근선과 장치골 융기부에 부착되어 있다.
대둔근은 엉덩의 대부분을 덮고 있는 인체에서 가장 큰 근육이다. 즉, 대둔근은 장골능의 후면 1/4위치, 천골의 후면표면과 장골근처의 미골, 요추지대의 건막을 기시점으로 더 큰 전자부의 측면표면에서의 비스듬한 가장자리와 대퇴근막의 장경인대에 부착되어 있다.
대퇴근막장근은 장골에서 장경인대까지 연결되어 있으며 아래쪽으로 경골까지 이어져 있는 근육이다. 즉, 대퇴근막장근은 전면의 장골능과 능 바로아래의 장골의 표면을 기시점으로 허벅지를 따라 장경로쪽으로 가는 길의 1/4로서 전(全)측면의 경골과의 제르디의 결절위로 부착된다.
이상근은 천골 외측면에서 대퇴골두로 뻗은 근육이다. 즉, 이상근은 천골의 앞쪽 외측면을 기시점으로 대퇴골 대전자 윗면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중둔근은 대둔근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혀있는 소둔근과 유사한 기능을 갖고 있는 근육이다. 즉, 중둔근은 장골능 아래 장골의 측면표면을 기시점으로 대퇴골의 더 큰 전자부의 후면과 중앙표면에 부착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직물근육들은 사람이 어떤 활동을 하던 간에 움직임에 제한이 없어야하는 근육직물과 근육직물에 요구되는 능력을 정리하면 표 2와 같다.
Figure 112012009378813-pat00030
즉, 골반 및 대퇴골격 근육이 굴곡 및 신전 후 제자리로 자연스럽게 돌아올 수 있을 정도의 탄력이 필요하다. 탄력의 경우 안근육은 겉근육이 갖는 탄력이상을 초과하지 않아야하고, 신장율의 경우 직물겉근육인 직물장골근, 직물단내전근, 직물장내전근, 직물대내전근, 직물박근, 직물요근, 직물대둔근, 직물대퇴근막장근은 120 ~ 140%가 요구되며 직물안근육인 직물이상근, 직물중둔근는 150 ~ 170%가 요구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장골근부(401)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즉, 도 3은 직물장골근부(401)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장골근부(401)의 경우, 인체의 장골근은 인체전면(前面)에 위치하나 기능의 극대화를 위하여 직물장골근부(401)의 기시점을 인체장골의 바깥면에 해당하는 의류후면의 직물장골부(41)의 상단에 설계하고, 종지점은 인체대퇴골의 소전자에 해당하는 의류후면 직물대퇴골부(46) 상단에 설계하였다. 따라서 직물장골근부(401)는 인체의 장골근과 다소 변형된 형태 및 위치를 반영하여, 부체꼴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인체의 기시점인 의류후면의 직물장골부(41) 상단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종지점인 의류후면 좌우측 직물고관절부(10) 하단인 직물대퇴골부(46) 최상단에 부착한다. 직물장골근부(401)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후면 직물장골부(41) 상단에서 의류후면 직물대퇴골부(46) 좌우측 상단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 장골근의 수축 방향(직물장력 : 동일 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장골근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장골근부(401)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 장골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보다 쉽게 엉덩이를 굴곡시켜주고 대퇴골의 외부회전을 시켜준다. 따라서 달기기(스케이트)선수가 출발선에서 스타트하거나, 야구 내야수 및 축구선수 등이 공을 잡거나 차기위하여 정지된 자세에서 스타트 할 때 근파워를 증가시켜주어 하체의 안정성을 유지시켜 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단내전근부(402)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직물단내전근부(402)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단내전근부(402)의 경우, 인체의 단내전근은 인체전면(前面)에 위치하므로 직물단내전근부(402)의 기시점은 인체 치골전면(前面)에 해당하는 의류전면(前面)의 직물치골부(45)에 설계가 가능하다. 반면 인체의 단내전근이 인체전면(前面)에 위치하지만, 직물단내전근부(402)의 종지점은 기능의 극대화를 위하여 인체전면(前面) 대퇴골의 치골선의 하위 2/3과 대퇴골 조선의 중앙 가장자리의 상위 1/2에 해당하는 의류후면 직물대퇴골부(46) 상단에 설계하였다. 따라서 직물단내전근부(402)는 인체 단내전근 기능의 극대화를 위해 인체의 단내전근과 다소 변형된 형태 및 위치를 반영하여,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인체의 기시점인 의류전면(前面) 직물치골부(45) 하단 좌우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의 종지점인 의류후면 좌우측 직물대퇴골부(46) 상단에서 1/4지점까지 부착한다. 직물단내전근부(402)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치골부(45) 하단에서 의류후면 좌우측 직물대퇴골부(46) 상단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 단내전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단내전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 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단내전근부(402)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 단내전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보다 쉽게 엉덩이의 내전과 엉덩이를 내전할 때 외부회전을 시켜준다. 따라서 달기기(스케이트)선수가 출발선에서 스타트하거나, 야구 내야수 및 축구선수 등이 공을 잡거나 차기위하여 정지된 자세에서 스타트 할 때, 또한 사람이 침대나 낮은 승용차 등을 승하차할 경우 먼저 한쪽다리를 내리고 다른 쪽 다리를 내리게 할 때 근파워를 증가시켜주어 하체의 안정성을 유지시켜 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장내전근부(403)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직물장내전근부(403)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장내전근부(403)의 경우, 인체의 장내전근은 인체전면(前面)에 위치하므로 직물장내전근부(403)의 기시점은 인체 치골전면(前面)에 해당하는 의류전면(前面)의 직물치골부(45)에 설계가 가능하다. 반면 인체의 장내전근이 인체전면(前面)에 위치하지만, 직물장내전근부(403)의 종지점은 기능의 극대화를 위하여 인체전면(前面) 대퇴골조선의 중앙 1/3에 해당하는 의류후면 직물대퇴골부(46)의 직물장내전근부(403)하단에 설계하였다.
따라서 직물장내전근부(403)는 인체 장내전근 기능의 극대화를 위해 인체의 장내전근과 다소 변형된 형태 및 위치를 반영하여,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인체의 기시점인 의류전면 직물치골부(45) 상단 좌우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의 종지점인 의류후면 좌우측 직물대퇴골부(46) 상단 1/4지점에서 2/4지점에 부착한다. 직물장내전근부(403)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치골부(45) 상단에서 의류후면 좌우측 직물대퇴골부(46) 중앙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 장내전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장내전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 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장내전근부(403)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 장내전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보다 쉽게 엉덩이의 내전과 굴곡을 돕는다. 따라서 달기기(스케이트)선수가 출발선에서 스타트하거나, 야구 내야수 및 축구선수 등이 공을 잡거나 차기위하여 정지된 자세에서 스타트 할 때, 또한 사람이 침대나 낮은 승용차 등을 승하차할 경우 먼저 한쪽다리를 내리고 다른 쪽 다리를 내리게 할 때 근파워를 증가시켜주어 하체의 안정성을 유지시켜 준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대내전근부(404)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직물대내전근부(404)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대내전근부(404)의 경우, 인체의 대내전근은 인체후면에 위치하므로 직물대내전근부(404)의 기시점은 인체 치골과 좌골후면에 해당하는 의류후면의 직물치골부(45)와 직물좌골부(44)에 설계가 가능하다. 반면 인체의 대내전근이 인체후면에 위치하지만, 직물대내전근부(404)의 종지점은 기능의 극대화를 위하여 인체후면 대퇴골조선의 전면(全面) 및 내상과 가장자리와 내전근 결절에 해당하는 의류후면 직물대퇴골부(46) 전면(全面)에 설계하였다.
직물대내전근부(404)는 인체 대내전근 기능의 극대화를 위해 인체의 대내전근과 다소 변형된 형태 및 위치를 반영하여,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인체의 기시점인 의류후면 직물치골부(45) 좌우측 하단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의 종지점인 의류전면(前面) 좌우측 직물대퇴골부(46) 전면(全面)에 부착한다. 직물대내전근부(404)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후면 직물치골부(45) 하단에서 의류전면 좌우측 직물대퇴골부(46) 전면(全面)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 대내전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대내전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대내전근부(404)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 대내전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보다 쉽게 엉덩이의 내전과 엉덩이가 내전할 때 외부회전을 시켜준다. 따라서 달기기(스케이트)선수가 출발선에서 스타트하거나, 야구 내야수 및 축구선수 등이 공을 잡거나 차기위하여 정지된 자세에서 스타트 할 때, 또한 사람이 침대나 낮은 승용차 등을 승하차할 경우 먼저 한쪽다리를 내리고 다른 쪽 다리를 내리게 할 때 근파워를 증가시켜주어 하체의 안정성을 유지시켜 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박근부(405)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직물박근부(405)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박근부(405)의 경우, 인체의 박근은 인체전면(前面)에 위치하나 직물박근부(405)의 기시점은 기능의 극대화를 위하여 인체 치골의 하강가지 전중면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의류후면의 직물치골부(45)와 직물좌골부(44)에 설계하였다. 반면 직물박근부(405)의 종지점은 인체전면(前面) 괴상돌기 아래 경골의 전중면에 해당하는 의류전면(前面) 직물경골(비골)부(51) 상단에 설계하였다.
직물박근부(405)는 인체박근 기능의 극대화를 위해 인체의 박근과 다소 변경된 위치를 반영하여,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인체의 기시점인 의류후면 직물치골부(45)와 직물좌골부(44) 좌우측 하단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의 종지점인 의류전면(前面) 좌우측 직물경골(비골)부(51) 상단 내측면에 부착한다. 직물박근부(405)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후면 직물치골부(45)와 직물좌골부(44) 하단에서 의류전면(前面) 좌우측 직물경골(비골)부(51) 상단내측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 박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박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 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박근부(405)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박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안정되게 엉덩이의 내전 및 내부회전과 무릎을 굴곡 시켜준다. 따라서 사람이 양쪽무릎을 서로 닿게 할 경우 근파워를 증가시켜주어 하체의 양쪽무릎을 쉽게 닿게 해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요근부(406)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직물요근부(406)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요근부(406)의 경우, 인체의 요근은 인체전면(前面)에 위치하나 직물요근부(406)의 기시점은 기능의 극대화를 위하여 인체 횡근돌기의 하위경계(L1~5), 마지막 흉추 동체의 측면(T12), 요추(L1~5), 추간 섬유연골과 천골의 기부에 해당하는 의류후면의 옷본(1)상단에 설계하였다. 또한 직물요근부(406)의 종지점도 인체전면(前面) 대퇴부의 더 작은 전자부와 그 바로아래 축, 치골근선과 장치골 융기부에 해당하는 의류후면 직물대퇴골부(46) 상단에 설계하였다.
직물요근부(406)는 인체요근 기능의 극대화를 위해 인체의 요근과 다른 위치에 반영하여,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인체의 기시점인 의류후면 좌우측 옷본(1)상단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의 종지점인 의류후면 좌우측 직물대퇴골부(46) 상단 내측면에 부착한다. 직물요근부(406)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후면 옷본(1)상단에서 의류후면 좌우측 직물대퇴골부(46) 상단내측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요근의 수축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요근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요근부(406)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요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안정되게 엉덩이의 굴곡과 대퇴골의 외부회전을 시켜준다. 따라서 사람이 오르막을 오를 때 근파워를 증가시켜주어 쉽게 오르게 해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대둔근부(407)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직물대둔근부(407)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대둔근부(407)의 경우, 인체의 대둔근은 인체후면에 위치하므로 직물대둔근부(407)의 기시점은 장골능의 후면 1/4, 천골의 후면표면과 장골근처의 미골, 요추지대의 건막에 해당하는 의류후면의 직물천골(42) 및 직물미골(43) 전면(全面)과 직물장골(41)에 설계하였다. 또한 직물대둔근부(407)의 종지점은 인체후면 대퇴부의 더 큰 전자부의 측면표면에서의 비스듬한 가장자리와 대둔근의 장경인대에 해당하는 의류후면 직물대둔근부(407)의 직물장경인대(400-1)와 직물대퇴골(46)에 설계하였다.
직물대둔근부(407)는 인체대둔근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인체대둔근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인체의 기시점인 의류후면 좌우측 직물천골(42) 및 직물미골(43)의 외측면과 직물장골(41)상단 1/4지점까지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의 종지점인 의류후면 좌우측 직물대둔근부(407)의 직물장경인대(400-1)와 직물대퇴골(46) 좌우측 상단 1/6지점까지 외측면에 부착한다. 직물대둔근부(407)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후면 직물천골(42) 및 직물미골(43)의 외측면과 직물장골(41) 상단에서 의류후면 좌우측 직물대둔근부(407)의 직물장경인대(400-1)와 직물대퇴골부(46) 상단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대둔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대둔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대둔근부(407)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대둔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안정되게 엉덩이의 신장과 외부회전을 시켜준다. 따라서 사람이 앉았다가 일어날 때 근파워를 증가시켜주어 쉽게 일어나게 해준다.
직물장경인대(400-1)는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직물대둔근부(407)의 상단 외측에 장착되고 다른 일측은 직물무릎관절부(20)의 하단에 장착되되, 경우에 따라서, 그 중간 부분에 만나는 직물고관절부(10)에 일부 부착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대퇴근막장근부(408)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직물대퇴근막장근부(408)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대퇴근막장근부(408)의 경우, 인체의 대퇴근막장근은 인체측면에 위치하므로 직물대퇴근막장근부(408)의 기시점은 장골능과 능 바로 아래의 장골의 표면에 해당하는 의류측면의 직물장골(41)에 설계하였다. 또한 직물대퇴근막장근부(408)의 종지점은 인체측면 허벅지를 따라 아래로 장경로쪽으로 가는 길의 1/4로서 전(全)측면의 경골과의 제로디의 결절위에 해당하는 의류측면의 직물대퇴골부(46)에 위치한 직물장경인대(400-1)에 설계하였다.
직물대퇴근막장근부(408)는 인체대퇴근막장근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사각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인체의 기시점인 의류측면 직물장골(41)상단 전방(前方)으로 2/8지점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의 종지점인 의류측면 직물고관절(10)하단 직물대퇴골(46)의 최상단 전방(前方)에 위치한 직물장경인대(400-1)에 부착한다. 직물대퇴근막장근부(408)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측면 직물장골(41) 상단전방(前方)에서 의류측면 직물대퇴골부(46) 상단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대퇴근막장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대퇴근막장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 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대퇴근막장근부(408)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대퇴근막장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안정되게 엉덩이의 외전 및 굴곡과 엉덩이가 굴곡될 때 엉덩이를 내부적으로 회전시켜주는 경향을 보이게 해준다. 따라서 사람이 걸을 때 근파워를 증가시켜주어 하체의 안정을 유지시켜준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이상근부(409)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직물이상근부(409)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이상근부(409)의 경우, 인체의 이상근은 인체후면에 위치하므로 직물이상근부(409)의 기시점은 인체천골의 앞쪽 외측면에 해당하는 의류후면의 직물천골부(42)에 설계하였다. 반면 인체의 이상근은 인체후면에 위치하나 직물이상근부(409)의 종지점은 기능의 극대화를 위하여 인체후면 대퇴골 대전자 윗면의 내측면에 해당하는 의류전면(前面)의 직물대퇴골부(46) 상단에 설계하였다.
직물이상근부(409)는 인체이상근 기능의 극대화를 위해 인체의 이상근과 다소 변경된 위치를 반영하여,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인체의 기시점인 의류후면 직물천골부(42)의 좌우측 중앙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의 종지점인 의류전면(前面) 좌우측 직물고관절부(10)하단인 직물대퇴골부(46) 최상단에 부착한다. 직물이상근부(409)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후면 직물천골부(42) 좌우측 중앙 외측에서 의류전면(前面) 좌우측 직물대퇴골부(46) 최상단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이상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이상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이상근부(409)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이상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안정되게 대퇴부의 외회전과 고관절이 90°로 굴곡되어 있을 때 대퇴부를 수평외전하의 90°이상에서는 내회전하는 경향을 보이게 해준다. 따라서 사람이 양쪽무릎을 서로 닿게 할 경우 양쪽무릎을 쉽게 닿게 해준다. 사람이 침대나 낮은 승용차에서 내리기 위해 밖으로 다리를 내밀 때 근파워를 증가시켜주어 하체의 안정성을 유지시켜 준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중둔근부(410)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2은 직물중둔근부(410)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중둔근부(410)의 경우, 인체의 중둔근은 인체측면에 위치하므로 직물중둔근부(410)의 기시점은 장골능 바로 아래 장골의 측면표면에 해당하는 의류측면의 직물장골(41)에 설계하였다. 또한 직물중둔근부(410)의 종지점은 대퇴골의 더 큰 전자부의 후면과 중앙표면에 해당하는 의류측면의 직물대퇴골부(46) 상단에 설계하였다.
직물중둔근부(410)는 인체중둔근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부채꼴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인체의 기시점인 의류측면 직물장골(41) 상단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의 종지점인 의류측면 직물고관절(10) 하단 직물대퇴골(46)의 최상단에 부착한다. 직물중둔근부(410)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측면 직물장골(41) 상단에서 의류측면 직물대퇴골부(46) 상단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중둔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중둔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중둔근부(410)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중둔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안정되게 엉덩이의 외전과 엉덩이가 외전할 때 외부회전(후면섬유들) 및 내부회전(전면섬유들)을 해준다. 따라서 사람이 낮은 담장 같은 장애물 등을 옆으로 넘을 때 근파워를 증가시켜주어 하체의 안정성을 유지시켜준다.
상기 기술된 직물 골격부는 순서 없이 설계가 가능하나, 직물골격근부는 안근육으로부터 겉근육 순으로 설계하며 그 순서는 다음과 같다.
인체의 골격근은 옷본(1)상에 ①직물이상근부(409) ②직물중둔근부(410) ③직물장골근부(401) ④직물요근부(406) ⑤직물대둔근부(407) ⑥직물대퇴근막장근부(408) ⑦직물단내전근부(402) ⑧직물장내전근부(403) ⑨직물대내전근부(404) ⑩직물박근부(405) 순으로 설계한다. 이는 본 발명을 이로써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기능상에 문제가 없다면 순서가 바뀔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성의류에 반영된 직물골격근은 골반 및 대퇴골의 해당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로 자세의 균형 및 항상성이 유지된다. 이는 사람이 어떠한 활동을 하더라도 조기에 골반 및 대퇴골의 균형을 유지시켜주고 근파워를 증가시켜줌으로써 근피로 및 근육통 예방을 가능하게 하고, 골반 및 대퇴골의 안정성을 유지되게 하여준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인간공학 평가도구(REBA, OWAS)로 경(비)골의 골격과 이를 움직이는 근육을 설계하여 인체의 해당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로 다리의 균형유지와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 의류"이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인체골격에서 실시예 2에 해당하는 대퇴골, 경골 및 비골의 골격은 도 1과 같다.
도 1의 인체골격에 있어서, 실시예 2에 해당하는 인체의 대퇴골, 경골 및 비골의 직물골격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근육의 기시와 종지를 고려하여 “기능성 의류”에 반영한 것이다.
반면 동적인 근육수축이 가능한 대퇴골, 및 경골 및 비골의 각 근육을 설계에 반영 시 “경골과 비골”의 경우에는 인체의 해당위치에서 구분이 곤란하나 인체 근골격의 기능구현은 가능하여 경골과 비골을 통합한 직물골격으로 설계하였다.
도 2a 내지 도 2c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직물골격의 설계 및 설명도로써 실시예 2에 해당하는 직물골격을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기능성 의류"의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직물경(비)골부(51)는 인체의 경골 및 비골을 통합하여 의류에 제작한 부분으로, 인체의 좌골 및 대퇴골로부터 경골 및 비골 등에 부착되는 인체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경골과 비골을 통합된 형태로 도 2a 내지 도 2c에서와 같이, 옷본(1)의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에 직물경(비)골부(51)를 위치시켰다.
즉, 직물경(비)골부(51)는 옷본에서 장골부위에 위치되며, 옷본(1)의 전면부에는 인체 전면에서 본 경골 및 비골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전면부 직물경(비)골부가 위치되며, 옷본(1)의 후면부에는 인체 후면에서 본 경골 및 비골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후면부 직물경(비)골부가 위치되며, 옷본(1)의 좌우 측면부에는 인체 측면에서 본 경골 및 비골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측면부 직물경(비)골부가 위치된다. 전면부 직물장골부, 후면부 직물장골부, 측면부 직물장골부의 상단은 옷본(1)의 허리선에 장착된다. 직물경(비)골부의 상단은 직물대퇴골부(46)의 하단에 연결되며, 직물경(비)골부의 하단은 직물족근골의 상단과 연결된다.
직물경(비)골부의 상단과 직물대퇴골부(46)의 하단의 연결부의 전면에는 직물무릎관절부(20)이 위치되며, 직물경(비)골부의 하단과 직물족근골의 상단의 연결부의 전면에는 직물발목관절부(20)가 위치된다.
인체 전후면의 옷본(1), 직물장골부(41), 직물좌골부(44), 직물대퇴골부(46)는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에 의해 "기능성 의류"에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인체근육과 인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의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실시예 2에 적용된 인체근육 및 골격계로, 도 2a 내지 도 2c의 인체골반, 대퇴골 및 경(비)골의 골격 근육을 정리하면 표 3와 같다.

구분

인체전면

인체후면

골격

골반 - 대퇴골 - 경(비)골

겉근육

봉공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 반건양근, 반막양근

안근육

외측광근, 중간광근, 내측광근

-
봉공근은 대퇴의 앞부분을 가로질러 비스듬하게 내측면까지 내려가는 긴 띠모양의 근육이다. 즉, 봉공근은 전면 상위의 장골 척주와 척주 바로 아래 오늬를 기시점으로 경골의 전면 내상과에 부착되어 있다.
대퇴직근은 대퇴사두근 중의 한 근육이다. 즉, 장골의 전면 하위의 장골척주의 관골구 상위 가장자리를 기시점으로 슬개골의 상위면과 경골결절 조면쪽의 슬개골 건에 부착되어 있다.
대퇴이두근은 무릎굴곡근 중의 한 근육이다. 즉, 긴두부의 좌골결절과 짧은 두부의 대퇴골 조선의 하위 1/2과 측면 과상관절 융기부를 기시점으로 경골의 측면과상돌기와 비골의 두부에 부착되어 있다.
반건양근도 무릎굴곡근 중의 한 근육이다. 즉, 좌골결절을 기시점으로 경골의 상위 전면의 중앙표면에 부착되어 있다.
반막양근도 무릎굴곡근 중의 한 근육이다. 즉, 좌골결절을 기시점으로 중앙의 경골과의 후중면에 부착되어 있다.
외측광근은 전술한 대퇴직근과 같이 대퇴사두근 중의 한 근육이다. 즉, 전자간선, 더 큰 전자부의 전면경계와 하위경계, 둔근 결절조면, 대퇴골 조선의 상위 1/2과 전체 측면 근간 견막을 기시점으로 슬개골의 측면경계와 경골 결절쪽으로의 슬개골 건에 부착되어 있다.
중간광근도 대퇴사두근 중의 한 근육이다. 즉, 대퇴골의 전면의 상위 2/3를 기시점으로 슬개골의 상위경계와 경골결절 조면쪽으로의 슬개골 건에 부착되어 있다.
내측광근도 대퇴사두근 중의 한 근육이다. 즉, 대퇴골조선과 안쪽관절융기의 전체길이를 기시점으로 슬개골의 상위경계의 중앙 1/2과 경골 결절조면으로의 슬개골 건에 부착되어 있다.
실시예 2의 상기 인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과 사람이 어떤 활동을 하던 간에 움직임에 제한이 없어야하는 근육직물과 근육직물에 요구되는 능력을 정리하면 표 4과 같다.

구 분

직물의 요구 신장율 (%)

탄 력




직물
근육


직물 겉근육

직물봉공근,
직물대퇴직근,
직물대퇴이두근,
직물반양근


120~140


대퇴골 및 경(비)골격 근육이 굴곡 및 신전 후 제자리로 자연스럽게 돌아올 수 있을 정도의 탄력
※ 단, 직물 안근육은 직물 겉근육이 갖는 탄력이상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안근육 ≤ 겉근육)

직물
안근육


직물대퇴삼두근


150~170
탄력의 경우 안근육은 겉근육이 갖는 탄력이상을 초과하지 않아야하고, 신장율의 경우 직물겉근육인 직물봉공근, 직물대퇴직근, 직물대퇴이두근, 직물반양근은 120 ~ 140%, 직물안근육인 직물대퇴삼두근은 150 ~ 170%가 요구된다. 또한 인체의 안근육인 외측광근, 중간광근, 내측광근은 모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의류의 활동성과 편의성을 고려하여 직물대퇴삼두근으로 통합하여 제작하였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봉공근부(501)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직물봉공근부(501)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봉공근부(501)의 경우, 인체의 봉공근은 인체전면(前面)에 위치하므로 직물봉공근부(501)의 기시점은 전면상위의 장골척주와 척주 바로 아래 오늬에 해당하는 의류전면(前面)의 직물장골부(41)에 설계하였다. 또한 직물봉공근부(501)의 종지점은 경골의 전면 내상과에 해당하는 의류전면(前面)의 직물경(비)골부(51) 상단에 설계하였다.
직물봉공근부(501)는 인체봉공근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인체의 기시점인 의류전면(前面) 좌우측 직물장골부(41) 상단 외측면(全面)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의 종지점인 의류전면(前面) 좌우측 직물경(비)골부(51) 상단 내측면에 부착한다. 직물봉공근부(501)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전면(前面) 직물장골부(41) 상단 외측면에서 의류전면(前面) 좌우측 직물경(비)골부(51) 상단 내측면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봉공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봉공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봉공근부(501)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봉공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안정되게 엉덩이의 굴곡, 무릎의 굴곡과 엉덩이와 무릎을 굴곡할 때 허벅지의 외부회전을 시켜준다. 따라서 사람이 책상다리로 앉을 때 근파워를 증가시켜주어 안정성을 유지시켜준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대퇴이두근부(502)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직물대퇴이두근부(502)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대퇴이두근부(502)의 경우, 인체의 대퇴이두근은 인체후면에 위치하므로 직물대퇴이두근부(502)의 기시점은 긴두부의 좌골결절과 짧은 두부의 대퇴골 조선의 하위 1/2과 측면 과상관절 융기부에 해당하는 의류후면의 직물좌골부(44)에 설계하였다. 또한 직물대퇴이두근부(502)의 종지점은 경골의 측면과상돌기와 비골의 두부에 해당하는 의류후면의 직물경(비)골부(51) 상단에 설계하였다.
직물대퇴이두근부(502)는 인체대퇴이두근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인체의 기시점인 의류후면 직물좌골부(44) 좌우측 하단 외측면(全面)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의 종지점인 의류후면 직물경(비)골부(51) 좌우측 상단 외측면에 부착한다. 직물대퇴이두근부(502)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후면 직물좌골부(44) 하단 외측면에서 의류후면 직물경(비)골부(51) 좌우측 상단 외측면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대퇴이두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대퇴이두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대퇴이두근부(502)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대퇴이두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안정되게 엉덩이의 신장 및 외부회전, 무릎의 굴곡 및 외부회전을 시켜준다. 따라서 달리기를 할 때나, 다리를 앞으로 뻗는 과정 끝에 뒤넙다리근이 작용하여 다리의 올림을 감속하며, 고관절을 중심으로 몸통이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때 근파워를 증가시켜주어 하체의 안정성을 유지시켜준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반양근부(503)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직물반양근부(503)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인체의 반건양근과 반막양근은 인체에 있어서 그 기능이 동일하기 때문에 의류에 반영 시에는 착용의 불편감 등 제한요소의 개연성이 상존하므로 이를 배제하기 위해서 두 근육을 통합한 직물반양근부(503)를 제작하였으며, 이는 인체후면에 위치하므로 직물반양근부(503)의 기시점은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좌골결절에 해당하는 의류후면의 직물좌골부(44)에 설계하였다. 또한 직물반양근부(503)의 종지점은 반건양근의 경골상위 전면(前面)의 중앙표면과 반막양근의 중앙 경골과의 후중면에 해당하는 의류후면의 직물경(비)골부(51) 상단에 설계하였다.
직물반양근부(503)는 인체의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인체의 기시점인 의류후면 좌우측 직물좌골부(44) 하단 외측면(全面)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의 종지점인 의류후면 좌우측 직물경(비)골부(51) 상단 내측면에 부착한다. 직물반양근부(503)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후면 직물좌골부(44) 하단 외측면에서 의류후면 좌우측 직물경(비)골부(51) 상단 내측면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의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의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반양근부(503)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의 반건양근 및 반막양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안정되게 엉덩이의 신장 및 내부회전과 무릎의 굴곡 및 내부회전을 시켜준다. 따라서 대퇴이두근의 경우와 동일하게 달리기를 할 때나, 다리를 앞으로 뻗는 과정 끝에 뒤넙다리근이 작용하여 다리의 올림을 감속하며, 고관절을 중심으로 몸통이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때 근파워를 증가시켜주어 하체의 안정성을 유지시켜준다.
도 16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대퇴직근부(504)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6는 직물대퇴직근부(504)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대퇴직근부(504)의 경우, 인체의 대퇴직근은 인체전면(前面)에 위치하므로 직물대퇴직근부(504)의 기시점은 장골의 전면 하위의 장골척주의 관골구 상위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의류전면(前面)의 직물장골부(41)에 설계하였다. 또한 직물대퇴직근부(504)의 종지점은 슬개골의 상위면과 경골결절 조면쪽의 슬개골 건에 해당하는 의류전면(前面)의 직물경(비)골부(51) 상단에 설계하였다.
직물대퇴직근부(504)는 인체대퇴직근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인체의 기시점인 의류전면(前面) 좌우측 직물장골부(41) 하단 외측면(全面)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의 종지점인 의류전면(前面) 좌우측 직물경(비)골부(51) 하단 중앙면에 부착한다. 직물대퇴직근부(504)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전면(前面) 직물장골부(41) 하단 외측면에서 의류전면(前面) 좌우측 직물경(비)골부(51) 중앙면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대퇴직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대퇴직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대퇴직근부(504)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대퇴직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안정되게 엉덩이의 굴곡, 무릎을 신장 시켜준다. 따라서 사람이 서서 걷거나 자전거를 탈 때 근파워를 증가시켜주어 하체의 안정성을 유지시켜준다.
도 17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대퇴삼두근부(505)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7는 직물대퇴삼두근부(505)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인체의 외측광근, 중간광근, 내측광근은 인체에 있어서 그 기능이 동일하기 때문에 의류에 반영 시에는 불필요하게 중복된 설계로 인하여 의류 활동성 등 제한요소의 개연성이 상존하므로 이를 배제하기 위해서 세 근육을 통합한 직물대퇴삼두근부(505)를 제작하였으며, 이는 인체전면(前面)에 위치하므로 직물대퇴삼두근부(505)의 기시점은 외측광근의 전자간선, 더 큰 전자부의 전면경계와 하위경계, 둔근 결절조면, 대퇴골 조선의 상위 1/2과 전체 측면 근간 견막, 중간광근의 대퇴골의 전면의 상위 2/3, 내측광근의 대퇴골조선과 안쪽관절융기의 전체길이에 해당하는 의류전면(前面)의 직물대퇴골부(46) 상단에 설계하였다. 또한 직물대퇴삼두근부(505)의 종지점은 외측광근의 슬개골의 측면경계와 경골 결절쪽으로의 슬개골 건, 중간광근의 슬개골의 상위경계와 경골결절 조면쪽으로의 슬개골 건, 내측광근의 슬개골의 상위경계의 중앙 1/2과 경골 결절조면으로의 슬개골 건에 해당하는 의류전면(前面)의 직물경(비)골부(51)에 상단 중앙에 설계하였다.
직물대퇴삼두근부(505)는 인체의 외측광근, 중간광근, 내측광근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인체의 기시점인 의류전면(前面) 좌우측 직물대퇴골부(46) 상단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의 종지점인 의류전면(前面) 좌우측 직물경(비)골부(51) 상단 중앙면에 부착한다. 직물대퇴삼두근부(505)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전면(前面) 직물대퇴골부(46) 상단 외측면에서 의류전면(前面) 좌우측 직물경(비)골부(51) 상단 중앙면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의 외측광근, 중간광근, 내측광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의 외측광근, 중간광근, 내측광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대퇴삼두근부(505)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의 외측광근, 중간광근, 내측광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무릎을 신장 시켜준다. 따라서 대퇴직근의 경우와 동일하게 사람이 서서 걷거나 자전거를 탈 때 근파워를 증가시켜주어 하체의 안정성을 유지시켜준다.
상기 기술된 직물 골격부는 순서 없이 설계가 가능하나, 직물골격근부는 안근육으로부터 겉근육 순으로 설계하며 그 순서는 다음과 같다.
인체의 골격근은 옷본(1)상에 ①직물대퇴삼두근부(505) ②직물대퇴직근부(504) ③직물봉공근부(501) ④직물대퇴이두근부(502) ⑤직물반양근부(503) 순으로 설계한다. 이는 본 발명을 이로써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기능상에 문제가 없다면 순서가 바뀔 수도 있다.
따라서 실시예 2의 기능성 의류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사람이 어떠한 활동을 하더라도 조기에 다리의 균형을 유지시켜주고 근파워를 증가시켜줌으로써 근피로 및 근육통 예방을 가능하게 하고, 다리의 안정성을 유지되게 하여준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인간공학 평가도구(REBA, OWAS)로 족근골, 중족골, 지절골의 골격과 이들을 움직이는 근육을 설계하여 하지의 해당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로 발의 균형을 유지시켜주고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기능성의류”이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인체골격에서 실시예 3에 해당하는 경골, 비골, 족근골, 중족골, 지절골 의 골격은 도 1과 같다.
도 1의 인체골격에 있어서, 실시예 3에 해당하는 인체의 경골, 비골, 족근골, 중족골, 지절골의 직물골격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근육의 기시와 종지를 고려하여 “기능성 의류”에 반영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실시예 3에 해당하는 직물골격을 "기능성 의류"의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직물발목관절부(30)는 인체의 발목관절을 의류에 제작한 부분으로, 인체의 대퇴골과 경골 및 비골로부터 족근골 등에 부착되는 인체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발목관절과 동일한 형태로, 도 2a 내지 도 2c에서와 같이, 옷본(1)의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에 직물발목관절부(30)를 위치시켰다.
즉, 직물발목관절부(30)는 옷본에서 발목관절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발목관절 부위를 감싸는 띠형태로 이루어진다.
직물족근골부(61)는 인체의 족근골을 의류에 제작한 부분으로, 인체대퇴골 및 경골부터 종골의 후면 등에 부착되는 인체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족근골과 동일한 형태로, 도 2a 내지 도 2c에서와 같이, 옷본(1)의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에 직물족근골부(61)를 위치시켰다.
즉, 직물족근골부(61)는 족근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족근골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경(비)골부의 하단에 연결된다.
직물중족골부(62)는 인체의 중족골을 의류에 제작한 부분으로, 인체의 비골로부터 중족골 등에 부착되는 인체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중족골과 동일한 형태로, 도 2a 내지 도 2c에서와 같이, 옷본(1)의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에 직물중족골부(62)를 위치시켰다.
직물중족골부(62)는 중족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옷본에서 중족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직물족근골부의 하단에 연결된다.
직물지절골부(63)는 인체의 지절골을 의류에 제작한 부분으로, 인체의 경골 및 비골로부터 지절골 등에 부착되는 인체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지절골과 동일한 형태로 도 2a 내지 도 2c와 같이, 옷본(1)의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에 직물지절골부(63)를 위치시켰다.
즉, 직물지절골부(63)는 지절골의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옷본에서 지절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족근골부의 하단에 연결된다.
인체 전· 후· 측면의 옷본(1), 직물대퇴골부(46), 직물경(비)골부(51)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3에 의해 "기능성 의류"에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인체근육과 인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의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실시예 3에 적용된 인체근육 및 골격계로, 도 2a 내지 도 2c의 인체 대퇴골, 경골, 비골, 족근골, 중족골, 지절골의 골격 근육을 정리하면 표 5와 같다.

구 분

인체전면

인체후면

인체측면

골 격

대퇴골 - 경(비)골 - 족근골, 중족골, 지절골

겉근육

전경골근, 장지신근,
제삼비골근


비복근


장비골근

안근육

후경골근, 장지굴근,
장무지신근, 장무지굴근


가자미근


단비골근
전경골근은 다리의 앞에 위치하고 있는 방추형의 긴 근육이다. 즉, 전경골근은 경골측면의 상위 2/3를 기시점으로 중앙설상골의 안쪽면과 첫 번째 중족골에 부착되어 있다.
장지신근은 전경골근 바로 뒤 다리의 외측면을 따라 위치한 근육이다. 즉, 경골의 내상과, 비골의 두부 그리고 비골의 전면(前面) 상위 2/3를 기시점으로 네 개의 작은 발가락들의 중간지골과 원위지골의 맨 윗부분에 부착되어 있다.
제삼비골근은 비골과 발의 외측면을 이어주는 근육이다. 즉, 전면(前面)비골의 원위 1/3를 기시점으로 다섯 번째 중족골의 기부에 부착되어 있다.
비복근은 다리의 후면에 위치하여 장딴지를 구성하는 근육이다. 즉, 내측 두부의 내측대퇴과의 후면과 외측두부의 외측대퇴과의 후면를 기시점으로 종골의 후면(아킬레스 건)에 부착되어 있다.
장비골근은 다리 외측면에 있는 긴 띠모양의 근육이다. 즉, 두부와 비골 측면의 상위 2/3을 기시점으로 내측 설상골의 아랫면과 첫 번째 중족근에 부착되어 있다.
후경골근은 다리 뒤쪽의 가장 심부에 있는 근육이다. 즉, 골간막의 상위 1/2의 후면과 경골과 비골의 인접면을 기시점으로 주상골과 설상골의 하위 안쪽면과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그리고 다섯 번째 중족골의 기부에 부착되어 있다.
장지굴근은 경골의 후면에서 발까지 뻗어있는 근육이다. 즉, 경골후면의 중앙 1/3을 기시점으로 네 개의 발가락 각각의 원위지골의 기부에 부착되어 있다.
장무지신근은 등면에 엄지발가락 근처에 있는 근육이다. 즉, 비골의 중앙면의 가운데 2/3를 기시점으로 엄지발가락 원위지골의 기부에 부착되어 있다.
장무지굴근은 발꿈치 근처의 아킬레스 건에 있는 근육이다. 비골의 후면도의 중앙 2/3를 기시점으로 표면 아래 엄지발가락 근위지골의 기부에 부착되어 있다.
가자미근은 비복근의 심부에 위치한 근육으로 두꺼우면서 편평한 근육이다. 즉, 근위비골의 후면과 후부 경골면의 근위 2/3을 기시점으로 종골의 후면(아킬레스 건)에 부착되어 있다.
단비골근은 다섯 번째 중족골의 근위 끝에 있는 근육이다. 즉, 비골측면의 하위 2/3를 기시점으로 다섯 번째 중족골의 결절조면에 부착되어 있다.
실시예 3의 상기 인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과 사람이 어떤 활동을 하던 간에 움직임에 제한이 없어야하는 근육직물과 근육직물에 요구되는 능력을 정리하면 표 6과 같다.
구 분 직물의 요구 신장율 (%) 탄 력








직물
근육




직물 겉근육


직물전경골근,
직물장지신근,
직물제삼비골근,
직물비복가자미근,
직물장비골근





120~140






대퇴골, 경(비)골, 족근골, 중족골, 지절골 근육이 굴곡 및 신전 후 제자리로 자연스럽게 돌아올 수 있을 정도의 탄력
※ 단, 직물 안근육은 직물 겉근육이 갖는 탄력이상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안근육 ≤ 겉근육)



직물
안근육






직물후경장지근,
직물장무지신근,
직물장무지굴근,
직물단비골근




150~170
탄력의 경우 안근육은 겉근육이 갖는 탄력이상을 초과하지 않아야하고, 신장율의 경우 직물겉근육인 직물전경골근, 직물장지신근, 직물제삼비골근, 직물비복근, 직물장비골근은 120 ~ 140%, 직물안근육인 직물후경골근, 직물장지굴근, 직물장무지신근, 직물장무지굴근, 직물단비골근은 150 ~ 170%가 요구된다. 단, 인체의 안근육인 가자미근은 비복근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므로 이들 직물근육을 의류의 활동성과 편의성을 고려하여 직물겉근육으로 통합한 직물비복가자미근을 제작하였으며, 인체의 후경골근과 장지굴근의 경우는 같은 안근육이고 동일한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이들도 의류의 활동성과 편의성을 고려하여 직물근육을 통합한 직물후경장지근으로 제작하였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전경골근부(601)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직물전경골근부(601)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전경골근부(601)의 경우, 인체의 전경골근은 인체전면(前面)에 위치하므로 직물전경골근부(601)의 기시점은 경골의 측면의 상위 2/3에 해당하는 의류전면(前面)의 직물경(비)골부(51) 상단에 설계하였다. 또한 직물전경골근부(601)의 종지점은 중앙설상골의 안쪽면과 첫 번째 중족골에 해당하는 의류전면(前面)의 직물중족골부(62) 상단에 설계하였다.
직물전경골근부(601)는 인체전경골근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인체의 기시점인 의류전면(前面) 좌우측 직물경(비)골부(51) 상단 외측면(全面)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의 종지점인 의류전면(前面) 좌우측 직물중족골부(62) 상단 중앙면에 부착한다. 직물전경골근부(601)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전면(前面) 직물경(비)골부(51) 상단 외측면에서 의류전면(前面) 직물중족골부(62) 상단 중앙면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전경골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전경골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전경골근부(601)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전경골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안정되게 발목의 배굴곡과 내반을 시켜준다. 따라서 사람이 걷거나 뛸 때, 발꿈치가 땅에 닿고 나서 발이 땅을 치는 것을 막아주며 다리를 앞으로 흔들 때 땅에서 발이 바로 떨어지게 할 때도 근파워를 증가시켜주어 발을 안정되게 작용 시켜준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장지신근부(602)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9은 직물장지신근부(602)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장지신근부(602)의 경우, 인체의 장지신근은 인체전면(前面)에 위치하므로 직물장지신근부(602)의 기시점은 경골의 내상과, 비골의 두부 그리고 비골의 전면(前面)의 상위 2/3에 해당하는 의류전면(前面)의 직물경(비)골부(51) 최상단에 설계하였다. 또한 직물장지신근부(602)의 종지점은 네 개의 작은 발가락들의 중간지골과 원위지골의 맨 윗부분에 해당하는 의류전면(前面)의 직물지절골부(63) 엄지발가락 외 전면(全面)에 설계하였다.
직물장지신근부(602)는 인체장지신근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인체의 기시점인 의류전면(前面) 좌우측 직물경(비)골부(51) 상단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의 종지점인 의류전면(前面) 좌우측 직물지절골부(63)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네 개의 발가락사이사이의 전면(全面)에 부착한다. 직물장지신근부(602)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전면(前面) 직물경(비)골부(51) 상단 외측면에서 의류전면(前面) 직물지절골부(63) 전면(全面)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장지신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장지신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장지신근부(602)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장지신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안정되게 네 개의 작은 발가락들의 신장과 발목의 배굴곡 발의 외반을 시켜준다. 따라서 사람이 선자세로 걸을 때 발가락이 바르게 딛도록 안정되게 작용 시켜준다.
도 20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제삼비골근부(603)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직물제삼비골근부(603)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제삼비골근부(603)의 경우, 인체의 제삼비골근은 인체측면에 위치하므로 직물제삼비골근부(603)의 기시점은 비골의 원위 1/3에 해당하는 의류측면의 직물경(비)골부(51) 하단에 설계하였다. 또한 직물제삼비골근부(603)의 종지점은 다섯 번째 중족골의 기부에 해당하는 의류측면의 직물중족골부(62)에 설계하였다.
직물제삼비골근부(603)는 인체제삼비골근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인체의 기시점인 의류측면 직물경(비)골부(51) 중앙 하단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의 종지점인 의류측면 직물중족골부(62) 하단면에 부착한다. 직물제삼비골근부(603)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측면 직물경(비)골부(51) 중앙 하단면에서 의류측면 직물중족골부(62) 하단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제삼비골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제삼비골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제삼비골근부(603)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제삼비골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안정되게 발의 외반 및 발목의 배굴곡을 시켜준다. 따라서 사람이 걷거나 뛸 때 발을 안정되게 작용 시켜준다.
도 21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비복가자미근부(604)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1는 직물비복가자미근부(604)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인체의 비복근과 가자미근은 인체에 있어서 그 기능이 동일하기 때문에 의류에 반영 시에는 안과 겉의 이중직물근육 설계로 인하여 착용의 불편감 등 제한요소의 개연성이 상존하므로 이를 배제하기 위해서 두개의 근육을 통합한 직물비복가자미근부(604)를 제작하였으며, 이는 인체후면에 위치하므로 직물비복가자미근부(604)의 기시점은 내측 두부의 내측대퇴과의 후면과 외측두부의 외측대퇴과의 후면에 해당하는 의류후면의 직물대퇴골부(46) 하단에 설계하였다. 또한 직물비복가자미근부(604)의 종지점은 종골의 후면(아킬레스 건)에 해당하는 의류후면의 직물족근골(61)에 상단 중앙에 설계하였다.
직물비복가자미근부(604)는 인체의 비복근과 가자미근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인체의 기시점인 의류후면 좌우측 직물대퇴골부(46) 상단 외측면과 내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의 종지점인 의류후면 좌우측 직물족근골(61) 상단 중앙면에 부착한다. 직물비복가자미근부(604)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후면 직물대퇴골부(46) 상단 내외측면에서 의류후면 좌우측 직물족근골(61) 상단 중앙면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의 비복근과 가자미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의 비복근과 가자미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비복가자미근부(604)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의 비복근과 가자미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발목의 족저 굴곡과 무릎의 굴곡을 시켜준다. 따라서 사람이 발가락 끝으로 설 때 발을 안정성있게 유지시켜준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장비골근부(605)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2은 직물장비골근부(605)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장비골근부(605)의 경우, 인체의 장비골근은 인체측면에 위치하므로 직물장비골근부(605)의 기시점은 비골두부의 측면의 상위 2/3에 해당하는 의류측면의 직물경(비)골부(51) 최상단에 설계하였다. 또한 직물장비골근부(605)의 종지점은 내측 설상골의 아랫면과 첫 번째 중족근에 해당하는 의류측면의 직물중족골부(62) 하단에 설계하였다.
직물장비골근부(605)는 인체장비골근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인체의 기시점인 의류측면 직물경(비)골부(51) 최상단 뒷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의 종지점인 의류측면 직물중족골부(62) 하단면에 부착한다. 직물장비골근부(605)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측면 직물경(비)골부(51) 최상단 뒷면에서 의류측면 직물중족골부(62) 하단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장비골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장비골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장비골근부(605)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장비골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안정되게 발의 외반 및 발목의 족저굴곡을 시켜준다. 따라서 사람이 울퉁불퉁한 길을 걸을 때 발을 안정되게 작용 시켜준다.
도 23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후경장지근부(606)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3는 직물후경장지근부(606)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인체의 후경골근과 장지굴근은 인체에 있어서 그 기능이 유사하기 때문에 의류에 반영 시에는 불필요하게 중복된 설계로 인하여 의류 활동성 등 제한요소의 개연성이 상존하므로 이를 배제하기 위해서 두개의 근육을 통합한 직물후경장지근부(606)를 제작하였으며, 이는 인체후면(後面)에 위치하므로 직물후경장지근부(606)의 기시점은 후경골근의 골간막의 사위 1/2의 후면과 경골과 비골의 인접면과 장지굴근의 경골의 후면의 중앙 1/3에 해당하는 의류전면(前面)의 직물경(비)골부(51) 상단 및 중단에 설계하였다. 또한 직물후경장지근부(606)의 종지점은 후경골근과 장지굴근 공히 네 개의 발가락 각각의 원위지골의 기부(발바닥)에 해당하는 의류후면(後面)의 직물지절골부(63)에 상단 중앙에 설계하였다.
직물후경장지근부(606)는 인체의 후경골근과 장지굴근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인체의 기시점인 의류후면(後面) 좌우측 직물경(비)골부(51) 상단전면(全面)과 상단에서 1/2까지의 외측면, 내측면 중앙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의 종지점인 의류후면(後面) 좌우측 직물지절골부(63)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네 개의 발가락사이사이의 전면(全面)에 부착한다. 직물후경장지근부(606)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후면(後面) 직물경(비)골부(51) 상단 전면(全面)에서 의류후면(後面) 좌우측 직물지절골(63) 전면(全面)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의 후경골근과 장지굴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의 후경골근과 장지굴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후경장지근부(606)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의 후경골근과 장지굴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네 개의 작은 발가락의 굴곡과 발목의 족저 굴곡 및 발의 내반을 시켜준다. 따라서 사람이 걸을 때, 특히 맨발로 울퉁불퉁한 길을 걸을 때, 발끝으로 설 때 발을 안정되게 작용 시켜준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장무지신근부(607)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4은 직물장무지신근부(607)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장무지신근부(607)의 경우, 인체의 장무지신근은 인체측면과 전면(前面)에 위치하므로 직물장무지신근부(607)의 기시점은 인체측면의 비골의 중앙면의 가운데 2/3에 해당하는 의류측면의 직물경(비)골부(51) 중앙에 설계하였다. 또한 직물장무지신근부(607)의 종지점은 엄지발가락의 원위지골의 기부에 해당하는 의류전면(前面)의 직물지절골부(63) 엄지발가락에 설계하였다.
직물장무지신근부(607)는 인체장무지신근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인체의 기시점인 의류측면 직물경(비)골부(51) 상단 2/4지점에서 3/4지점까지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의 종지점인 의류전면(前面) 좌우측 직물지절골부(63) 엄지발가락 전면(全面)에 부착한다. 직물장무지신근부(607)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측면 직물경(비)골부(51) 중앙에서 의류전면(前面) 직물지절골부(63) 엄지발가락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장무지신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장무지신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장무지신근부(607)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장무지신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안정되게 발목의 배굴곡과 엄지발가락의 신장 및 발의 약한 내반을 시켜준다. 따라서 사람이 걷거나 뛸 때, 엄지발가락이 바르고 안정되게 딛도록 한다.
도 25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장무지굴근부(608)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5은 직물장무지굴근부(608)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장무지굴근부(608)의 경우, 인체의 장무지굴근은 의류후면(後面)에 위치하므로 직물장무지굴근부(608)의 기시점은 비골의 후면도의 중앙 2/3에 해당하는 의류후면(後面)의 직물경(비)골부(51) 중앙 및 중앙하단에 설계하였다. 또한 직물장무지굴근부(608)의 종지점은 표면 아래 엄지발가락의 근위지골의 기부(발바닥)에 해당하는 의류후면(後面)의 직물지절골부(63) 엄지발가락에 설계하였다.
직물장무지굴근부(608)는 인체장무지굴근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인체의 기시점인 의류후면(後面) 좌우측 직물경(비)골부(51) 상단에서 2/4지점에서 3/4지점까지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의 종지점인 의류후면(後面) 좌우측 직물지절골부(63) 엄지발가락 전면(全面)에 부착한다. 직물장무지굴근부(608)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후면(後面) 직물경(비)골부(51) 중앙 및 중앙하단에서 의류후면(後面) 직물지절골부(63) 엄지발가락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장무지굴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장무지굴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장무지굴근부(608)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장무지굴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안정되게 엄지발가락의 굴곡과 발의 내반 및 족저굴곡을 시켜준다. 따라서 사람이 걸을 때, 특히 맨발로 울퉁불퉁한 길을 걸을 때, 바닥을 밀어낼 때, 발가락 끝으로 설 때 안정되게 작용 시켜준다.
도 26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단비골근부(609)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6은 직물단비골근부(609)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단비골근부(609)의 경우, 인체의 단비골근는 인체측면에 위치하므로 직물단비골근부(609)의 기시점은 비골의 측면의 하위 2/3에 해당하는 의류측면의 직물경(비)골부(51) 중앙 및 중앙하단에 설계하였다. 또한 직물단비골근부(609)의 종지점은 다섯 번째 중족골의 결절조면에 해당하는 의류측면의 직물중족골부(62) 하단에 설계하였다.
직물단비골근부(609)는 인체단비골근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인체의 기시점인 의류측면 직물경(비)골부(51) 상단에서 3/5지점에서 4/5지점까지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의 종지점인 의류측면 직물중족골부(62) 하단면에 부착한다. 직물단비골근부(609)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측면 직물경(비)골부(51) 중앙 및 중앙하단에서 의류측면 직물중족골부(62) 하단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단비골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단비골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단비골근부(609)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단비골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안정되게 발의 외반 및 발목의 족저굴곡을 시켜준다. 따라서 사람이 울퉁불퉁한 길을 걸을 때 안정되게 작용 시켜준다.
상기 기술된 직물 골격부는 순서 없이 설계가 가능하나, 직물골격근부는 안근육으로부터 겉근육 순으로 설계하며 그 순서는 다음과 같다.
인체의 골격근은 옷본(1)상에 ①직물장무지굴근부(608) ②직물후경장지근부(606) ③직물장지신근부(602) ④직물전경골근부(601) ⑤직물장무지신근부(607) ⑥직물단비골근부(609) ⑦직물제삼비골근부(603) ⑧직물장비골근부(605) ⑨직물비복가자미근부(604) 순으로 설계한다. 이는 본 발명을 이로써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기능상에 문제가 없다면 순서가 바뀔 수도 있다.
따라서 실시예 3의 기능성 의류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사람이 어떠한 활동을 하더라도 조기에 발의 균형을 유지시켜주고 근파워를 증가시켜줌으로써 근피로 및 근육통 예방을 가능하게 하고, 발의 안정성을 유지되게 하여준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인간공학 평가도구(REBA, OWAS)로 골반 및 대퇴골, 다리, 발의 골격과 이들을 움직여주는 근육을 설계하여 골반 및 대퇴골, 다리, 발의 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로 하체의 균형을 유지시켜주고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이다.
실시예 4는 전술한 제1 내지 실시예 3를 통합한 "기능성 의류"로 여기에 적용된 인체골격에 대한 직물골격은 옷본(1), 직물고관절부(10), 직물무릎관절부(20), 직물발목관절부(30), 직물장골부(41), 직물천골부(42), 직물미골부(43), 직물좌골부(44), 직물치골부(45), 직물대퇴골부(46), 직물경(비)골부(51), 직물족근골부(61), 직물중족골부(62), 직물지절골부(63)로 이들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었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3개의 실시예, 즉 제1 내지 실시예 3가 통합된 실시예 4의 인체 근골격계를 정리하면 표 7와 같다.
Figure 112012009378813-pat00001
또한 3개의 실시예, 즉 제1 내지 실시예 3이 통합된 실시예 4의 인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과 근육직물에 요구되는 능력을 정리하면 표 8와 같다.
구 분 직물의 요구 신장율 (%) 탄 력











직물근육























직물 겉근육

직물장골근,
직물단내전근,
직물장내전근, 직물대내전근,
직물박근,
직물요근,
직물대둔근,
직물대퇴근막장근,직물봉공근,
직물대퇴직근,
직물대퇴이두근, 직물반양근,
직물전경골근,
직물장지신근,
직물제삼비골근,
직물비복가자미근,
직물장비골근









120~140










골반 및 대퇴골, 다리, 발의 근육이 굴곡 및 신전 후 제자리로 자연스럽게 돌아올 수 있을 정도의 탄력
※ 단, 직물 안근육은 직물 겉근육이 갖는 탄력이상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안근육 ≤ 겉근육)












직물 안근육

직물이상근,
직물중둔근,
직물대퇴삼두근,
직물후경장지근,
직물장무지신근,
직물장무지굴근,
직물단비골근





150~170
실시예 4의 “기능성 의류”, 즉 제1 내지 실시예 3의 3개의 실시예의 “기능성 의류”에 적용된 인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은, 직물장골근(401), 직물단내전근(402), 직물장내전근(403), 직물대내전근(404), 직물박근(405), 직물요근(406), 직물대둔근(407), 직물대퇴근막장근(408), 직물이상근(409), 직물중둔근(410), 직물봉공근(501), 직물대퇴이두근(502), 직물반양근(503),직물대퇴직근(504), 직물대퇴삼두근(505), 직물전경골근(601), 직물장지신근(602), 직물제삼비골근(603), 직물비복가자미근(604), 직물장비골근(605), 직물후경장지근(606), 직물장무지신근(607), 직물장무지굴근(608), 직물단비골근(609)를 구비하며, 이들은 앞서 설명되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기술된 직물 골격부와 직물골격근부 설계순서 또한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실시예 4는 3개의 실시예(제1 내지 실시예 3)가 통합된 "기능성 의류"로 실시예 1 보다는 더욱 견실하게 하체를 바른자세로 유지시키고, 하체의 균형을 유지시켜준다.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는 탄성 직물(일부는 기타 탄성물질) 또는 편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무봉제 편직방법에 의한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1내지 3에서 직물골격에 부착되는 직물근육의 종지위치는 직물대퇴골·직물경(비)골·직물중족골 상에, 탄성직물로서, 밴드형태의 직물 등을 설치하여 하지 기능성의류 제작 시 직물근육의 종지 위치가 인체 상지골격근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더라도 기시에서 종지 방향을 맞추어 제작함으로써 기능상에 변화가 없도록 할 수있다.
1 : 옷본 10 : 직물고관절부 20 : 직물무릎관절부
30 : 직물발목관절부 41 : 직물장골부 42 : 직물천골부
43 : 직물미골부 44 : 직물좌골부 45 : 직물치골부
46 : 직물대퇴골부 51 : 직물경(비)골부 61 : 직물족근골부
62 : 직물중족골부 63 : 직물지절골부 401 : 직물장골근부
402 : 직물단내전근부 403 : 직물장내전근부 404 : 직물대내전근부
405 : 직물박근부 406 : 직물요근부 407 : 직물대둔근부
408 : 직물대퇴근막장근부409 : 직물이상근부 410 : 직물중둔근부
501 : 직물봉공근부 502 : 직물대퇴이두근부503 : 직물반양근부
504 : 직물대퇴직근부 505 : 직물대퇴삼두근부601 : 직물전경골근부
602 : 직물장지신근부 603 : 직물제삼비골근부604 : 직물비복가자미근부
605 : 직물장비골근부 606 : 직물후경장지근부607 : 직물장무지신근부
608 : 직물장무지굴근부 609 : 직물단비골근부

Claims (30)

  1. 하체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하체의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장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며, 장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장골부;
    옷본에서 고관절 대응 부위에 구비되며, 고관절 부위를 감싸는 띠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고관절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직물근육은, 부체꼴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장골부 상단에 부착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고관절부 하단이며 직물대퇴골부의 상단에 부착되는 직물장골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2. 하체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하체의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장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며, 장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장골부;
    좌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좌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장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좌골부;
    치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치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좌골부의 중앙부와 연결되는 직물치골부;
    대퇴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대퇴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좌골부 일측, 상기 직물치골부 일측과 연결되는 직물대퇴골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직물근육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직물치골부 하단 좌우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후면 좌우측 직물대퇴골부 상단에서 1/4지점 까지에 부착되는 직물단내전근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직물치골부 상단 좌우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대퇴골부 상단 1/4지점에서 2/4지점에 부착되는 직물장내전근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치골부 좌우측 하단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대퇴골부(46) 전면(全面)에 부착되는 직물대내전근부;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3. 하체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하체의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장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며, 장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장골부;
    좌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좌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장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좌골부;
    치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치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좌골부의 중앙부와 연결되는 직물치골부;
    경골 및 비골의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경골 및 비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대퇴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경(비)골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직물근육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치골부와 직물좌골부 좌우측 하단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 내측면에 부착되는 직물박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4. 하체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하체의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장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며, 장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장골부;
    좌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좌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장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좌골부;
    치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치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좌골부의 중앙부와 연결되는 직물치골부;
    대퇴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대퇴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좌골부 일측, 상기 직물치골부 일측과 연결되는 직물대퇴골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직물근육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옷본 상단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대퇴골부 상단 내측면에 부착되는 직물요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5. 하체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하체의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장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며, 장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장골부;
    천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천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장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천골부;
    미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미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천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미골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직물근육은, 대둔근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천골 및 직물미골의 외측면과 직물장골상단 1/4지점까지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대퇴골 좌우측 상단 1/6지점까지 외측면에 부착되는 직물대둔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무릎관절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무릎관절 부위를 감싸는 띠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무릎관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직물근육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직물대둔근부의 상단 외측에 장착되고 다른 일측은 직물무릎관절부의 하단에 장착되는 직물장경인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7. 하체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하체의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장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며, 장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장골부;
    옷본에서 상기 직물천골부 아래에 이격되어 고관절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고관절 부위를 감싸는 띠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고관절부;
    옷본에서 무릎관절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무릎관절 부위를 감싸는 띠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무릎관절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직물근육은,
    띠모양을 이루며 옷본에서 장경인대 대응부위에 위치되되, 일측은 옷본의 좌우측 상부에 장착되고 다른 일측은 직물무릎관절부의 하단에 장착되는 직물장경인대;
    사각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장골 상단 전방(前方)으로 2/8지점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고관절 하단에 위치한 직물장경인대에 부착되는 직물대퇴근막장근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8. 하체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하체의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장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며, 장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장골부;
    천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천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장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천골부;
    옷본에서 상기 직물천골부 아래에 이격되어 고관절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고관절 부위를 감싸는 띠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고관절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직물근육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 직물천골부(42)의 좌우측 중앙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 좌우측 직물고관절부 하단에 부착되는 직물이상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9. 하체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하체의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장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며, 장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장골부;
    옷본에서 상기 직물천골부 아래에 이격되어 고관절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고관절 부위를 감싸는 띠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고관절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직물근육은, 부채꼴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측면 직물장골 상단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측면 직물고관절 하단에 부착되는 직물중둔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10. 하체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하체의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장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며, 장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장골부;
    천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천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장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천골부;
    옷본에서 상기 직물천골부 아래에 이격되어 고관절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고관절 부위를 감싸는 띠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고관절부;
    미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미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천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미골부;
    좌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좌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장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좌골부;
    치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치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좌골부의 중앙부와 연결되는 직물치골부;
    대퇴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대퇴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좌골부 일측, 상기 직물치골부 일측, 상기 직물장골부 일측과 연결되는 직물대퇴골부;
    옷본에서 무릎관절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무릎관절 부위를 감싸는 띠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무릎관절부;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근육은,
    부체꼴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장골부 상단에 부착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고관절부 하단이며 직물대퇴골부의 상단에 부착되는 직물장골근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직물치골부 하단 좌우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후면 좌우측 직물대퇴골부 상단에서 1/4지점 까지에 부착되는 직물단내전근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직물치골부 상단 좌우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대퇴골부 상단 1/4지점에서 2/4지점에 부착되는 직물장내전근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치골부 좌우측 하단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대퇴골부(46) 전면(全面)에 부착되는 직물대내전근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치골부와 직물좌골부 좌우측 하단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경골과 비골의 대응부 상단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직물박근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옷본 상단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대퇴골부 상단 내측면에 부착되는 직물요근부;
    인체대둔근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천골 및 직물미골의 외측면과 직물장골상단 1/4지점까지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대퇴골의 상단에 부착되는 직물대둔근부;
    사각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장골 상단 전방(前方)으로 2/8지점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고관절 하단 직물대퇴골의 최상단 전방(前方)에 위치한 직물장경인대에 부착되는 직물대퇴근막장근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 직물천골부(42)의 좌우측 중앙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 좌우측 직물고관절부 하단인 직물대퇴골부 최상단에 부착되는 직물이상근부;
    부채꼴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측면 직물장골 상단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측면 직물고관절 하단 직물대퇴골의 최상단에 부착되는 직물중둔근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12. 하체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하체의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장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며, 장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장골부;
    좌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좌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장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좌골부;
    대퇴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대퇴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좌골부 일측, 상기 직물장골부 일측과 연결되는 직물대퇴골부;
    경골 및 비골의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경골 및 비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대퇴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경(비)골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근육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前面)의 좌우측 직물장골부(41) 상단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 내측면에 부착되는 직물봉공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좌골부 좌우측 하단 외측면(全面)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경(비)골부 좌우측 상단 외측면에 부착되는 직물대퇴이두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좌골부(44) 하단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 내측면에 부착되는 직물반양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장골부 하단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하단 중앙면에 부착되는 직물대퇴직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대퇴골부 상단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 중앙면에 부착되는 직물대퇴삼두근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14. 하체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하체의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대퇴골 대응 부위에 위치되며, 대퇴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대퇴골부;
    경골 및 비골의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경골 및 비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대퇴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경(비)골부;
    족근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족근골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경(비)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족근골부;
    중족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옷본에서 중족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직물족근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중족골부;
    를 포함하여
    상기 직물근육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에서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에서 좌우측 직물중족골부 상단 중앙면에 부착되는 직물전경골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15. 하체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하체의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대퇴골 대응 부위에 위치되며, 대퇴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대퇴골부;
    경골 및 비골의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경골 및 비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대퇴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경(비)골부;
    족근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족근골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경(비)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족근골부;
    지절골의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옷본에서 지절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족근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지절골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직물근육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지절골부에서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네 개의 발가락사이에 부착되는 직물장지신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16. 하체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하체의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대퇴골 대응 부위에 위치되며, 대퇴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대퇴골부;
    경골 및 비골의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경골 및 비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대퇴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경(비)골부;
    족근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족근골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경(비)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족근골부;
    중족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옷본에서 중족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직물족근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중족골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직물근육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경(비)골부 중앙 하단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중족골부 하단면에 부착되는 직물제삼비골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17. 하체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하체의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대퇴골 대응 부위에 위치되며, 대퇴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대퇴골부;
    경골 및 비골의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경골 및 비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대퇴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경(비)골부;
    족근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족근골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경(비)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족근골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직물근육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대퇴골부 상단 외측면과 내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족근골 상단 중앙면에 부착되는 직물비복가자미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18. 하체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하체의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대퇴골 대응 부위에 위치되며, 대퇴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대퇴골부;
    경골 및 비골의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경골 및 비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대퇴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경(비)골부;
    족근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족근골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경(비)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족근골부;
    중족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옷본에서 중족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직물족근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중족골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직물근육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경(비)골부 최상단 뒷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중족골부 하단면에 부착되는 직물장비골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19. 하체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하체의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대퇴골 대응 부위에 위치되며, 대퇴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대퇴골부;
    경골 및 비골의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경골 및 비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대퇴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경(비)골부;
    족근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족근골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경(비)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족근골부;
    지절골의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옷본에서 지절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족근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지절골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직물근육은, 2개의 삼각형이 무릎관절 대응 부위에서 꼭지점을 맞대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과, 상기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에서 1/2까지의, 외측면, 내측면 중앙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지절골부의 발바닥 면에서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네 개의 발가락사이에 부착되는 직물후경장지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20. 하체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하체의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대퇴골 대응 부위에 위치되며, 대퇴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대퇴골부;
    경골 및 비골의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경골 및 비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대퇴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경(비)골부;
    족근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족근골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경(비)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족근골부;
    지절골의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옷본에서 지절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족근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지절골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직물근육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경(비)골부 상단 2/4지점에서 3/4지점까지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지절골부 엄지발가락에 부착되는 직물장무지신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21. 하체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하체의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대퇴골 대응 부위에 위치되며, 대퇴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대퇴골부;
    경골 및 비골의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경골 및 비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대퇴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경(비)골부;
    족근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족근골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경(비)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족근골부;
    지절골의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옷본에서 지절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족근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지절골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직물근육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에서 2/4지점에서 3/4지점까지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지절골부 발바닥 면에서 엄지발가락 전면에 부착되는 직물장무지굴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22. 하체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하체의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대퇴골 대응 부위에 위치되며, 대퇴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대퇴골부;
    경골 및 비골의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경골 및 비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대퇴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경(비)골부;
    족근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족근골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경(비)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족근골부;
    중족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옷본에서 중족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직물족근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중족골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직물근육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경(비)골부 상단에서 3/5지점에서 4/5지점까지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중족골부 하단면에 부착되는 직물단비골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23. 하체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하체의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대퇴골 대응 부위에 위치되며, 대퇴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대퇴골부;
    경골 및 비골의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경골 및 비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대퇴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경(비)골부;
    옷본에서 발목관절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발목관절 부위를 감싸는 띠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발목관절부;
    족근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족근골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경(비)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족근골부;
    중족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옷본에서 중족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직물족근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중족골부;
    지절골의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옷본에서 지절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족근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지절골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근육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에서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에서 좌우측 직물중족골부 상단 중앙면에 부착되는 직물전경골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지절골부에서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네 개의 발가락사이사이에 부착되는 직물장지신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경(비)골부 중앙 하단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중족골부 하단면에 부착되는 직물제삼비골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대퇴골부 상단 외측면과 내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족근골 상단 중앙면에 부착되는 직물비복가자미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경(비)골부 최상단 뒷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중족골부 하단면에 부착되는 직물장비골근부;
    2개의 삼각형이 무릎관절 대응 부위에서 꼭지점을 맞대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과, 상기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에서 1/2까지의, 외측면, 내측면 중앙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지절골부의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네 개의 발가락사이에 부착되는 직물후경장지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경(비)골부 상단 2/4지점에서 3/4지점까지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지절골부 엄지발가락에 부착되는 직물장무지신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에서 2/4지점에서 3/4지점까지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지절골부 엄지발가락 전면에 부착되는 직물장무지굴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경(비)골부 상단에서 3/5지점에서 4/5지점까지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중족골부 하단면에 부착되는 직물단비골근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25. 하체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하체의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상기 직물천골부 아래에 이격되어 고관절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고관절 부위를 감싸는 띠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고관절부;
    옷본에서 무릎관절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무릎관절 부위를 감싸는 띠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무릎관절부;
    옷본에서 발목관절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발목관절 부위를 감싸는 띠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발목관절부;
    옷본에서 장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며, 장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장골부;
    천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천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장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천골부;
    미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미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천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미골부;
    좌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좌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장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좌골부;
    치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치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좌골부의 중앙부와 연결되는 직물치골부;
    대퇴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대퇴골 대응 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직물좌골부 일측, 상기 직물치골부 일측, 상기 직물장골부 일측과 연결되는 직물대퇴골부;
    경골 및 비골의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경골 및 비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대퇴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경(비)골부;
    족근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옷본에서 족근골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직물경(비)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족근골부;
    중족골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옷본에서 중족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직물족근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중족골부;
    지절골의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지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옷본에서 지절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상단은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족근골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물지절골부;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근육은,
    부체꼴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장골부 상단에 부착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고관절부 하단이며 직물대퇴골부의 상단에 부착되는 직물장골근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직물치골부 하단 좌우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후면 좌우측 직물대퇴골부 상단에서 1/4지점 까지에 부착되는 직물단내전근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직물치골부 상단 좌우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대퇴골부 상단 1/4지점에서 2/4지점에 부착되는 직물장내전근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치골부 좌우측 하단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대퇴골부(46) 전면(全面)에 부착되는 직물대내전근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치골부와 직물좌골부 좌우측 하단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경골(비골)부 상단 내측면에 부착되는 직물박근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옷본 상단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대퇴골부 상단 내측면에 부착되는 직물요근부;
    인체대둔근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천골 및 직물미골의 외측면과 직물장골상단 1/4지점까지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대둔근부의 직물장경인대와 직물대퇴골 좌우측 상단 1/6지점까지 외측면에 부착되는 직물대둔근부;
    사각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장골 상단 전방(前方)으로 2/8지점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고관절 하단 직물대퇴골의 최상단 전방(前方)에 위치한 직물장경인대에 부착되는 직물대퇴근막장근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 직물천골부(42)의 좌우측 중앙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 좌우측 직물고관절부 하단인 직물대퇴골부 최상단에 부착되는 직물이상근부;
    부채꼴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측면 직물장골 상단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측면 직물고관절 하단 직물대퇴골의 최상단에 부착되는 직물중둔근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27. 제 25항에 있어서,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前面)의 좌우측 직물장골부(41) 상단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 내측면에 부착되는 직물봉공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좌골부 좌우측 하단 외측면(全面)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직물경(비)골부 좌우측 상단 외측면에 부착되는 직물대퇴이두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좌골부(44) 하단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 내측면에 부착되는 직물반양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장골부 하단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하단 중앙면에 부착되는 직물대퇴직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대퇴골부 상단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 중앙면에 부착되는 직물대퇴삼두근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근육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에서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에서 좌우측 직물중족골부 상단 중앙면에 부착되는 직물전경골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 외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지절골부에서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네 개의 발가락사이사이에 부착되는 직물장지신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경(비)골부 중앙 하단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중족골부 하단면에 부착되는 직물제삼비골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대퇴골부 상단 외측면과 내측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후면의 좌우측 직물족근골 상단 중앙면에 부착되는 직물비복가자미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경(비)골부 최상단 뒷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중족골부 하단면에 부착되는 직물장비골근부;
    2개의 삼각형이 무릎관절 대응 부위에서 꼭지점을 맞대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과, 상기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에서 1/2까지의, 외측면, 내측면 중앙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지절골부의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네 개의 발가락사이에 부착되는 직물후경장지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경(비)골부 상단 2/4지점에서 3/4지점까지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지절골부 엄지발가락에 부착되는 직물장무지신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경(비)골부 상단에서 2/4지점에서 3/4지점까지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전면의 좌우측 직물지절골부 엄지발가락 전면에 부착되는 직물장무지굴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경(비)골부 상단에서 3/5지점에서 4/5지점까지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성 의류의 측면의 직물중족골부 하단면에 부착되는 직물단비골근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의 기능성 의류는 탄성 직물 또는 편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의 기능성 의류는 무봉제 편직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의 기능성 의류.


KR1020110031916A 2011-02-21 2011-04-06 하체의 균형된 자세와 근파워를 증가시겨주는 기능성 의류 KR101223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852 2011-02-21
KR20110014852 2011-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766A KR20120095766A (ko) 2012-08-29
KR101223912B1 true KR101223912B1 (ko) 2013-01-22

Family

ID=46886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916A KR101223912B1 (ko) 2011-02-21 2011-04-06 하체의 균형된 자세와 근파워를 증가시겨주는 기능성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9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925A (ko) * 2020-06-17 2021-12-24 (주)베르셰바 다기능성 하의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169B1 (ko) * 2012-06-04 2014-06-27 지정우 하체의 근골격계 상해 예방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
CN107242614A (zh) * 2017-08-08 2017-10-13 李宁体育(上海)有限公司 一种髂胫束加固压缩运动裤及其制造方法
KR101987964B1 (ko) * 2017-09-12 2019-06-1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컴프레션 팬츠
KR102074586B1 (ko) * 2018-09-10 2020-02-06 지정우 기능성 스포츠 팬티
CN110732130A (zh) * 2019-10-11 2020-01-31 苏州菠萝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体能康复训练进程以及动作质量评估方法
KR102625294B1 (ko) * 2021-11-05 2024-01-1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내족지 보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561B1 (ko) 2000-12-11 2005-11-09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의복
KR20050120717A (ko) * 2003-04-15 2005-12-22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가랑이가 있는 의류
KR100706631B1 (ko) 2000-04-20 2007-04-11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가랑이부를 갖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JP2009293145A (ja) 2008-06-03 2009-12-17 Deiigamu:Kk 衣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631B1 (ko) 2000-04-20 2007-04-11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가랑이부를 갖는 하지부 서포트용 피복
KR100527561B1 (ko) 2000-12-11 2005-11-09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의복
KR20050120717A (ko) * 2003-04-15 2005-12-22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가랑이가 있는 의류
JP2009293145A (ja) 2008-06-03 2009-12-17 Deiigamu:Kk 衣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925A (ko) * 2020-06-17 2021-12-24 (주)베르셰바 다기능성 하의류
KR102530508B1 (ko) * 2020-06-17 2023-05-10 (주)베르셰바 다기능성 하의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766A (ko) 201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912B1 (ko) 하체의 균형된 자세와 근파워를 증가시겨주는 기능성 의류
KR101064031B1 (ko) 체형교정용 바지
Daneshmandi et al. Lower extremity Malalignment and its linear relation with Q angle in female athletes
Van Gestel et al. Effect of dynamic orthoses on gait: a retrospective control study in children with hemiplegia
Bordoni et al. Anatomy, bony pelvis and lower limb, thigh quadriceps muscle
Chimera et al. The effect of isolated gastrocnemius contracture and gastrocnemius recession on lower extremity kinematics and kinetics during stance
Pannell et al. The postural and biomechanical effects of high heel shoes: A literature review
Gose et al. Iliotibial band tightness
CN110215323B (zh) 扁平足下肢矫正装具
JP3931144B2 (ja) タイツ
JP5948072B2 (ja) クライミング用トップス及びクライミング用ボトムス
KR101403169B1 (ko) 하체의 근골격계 상해 예방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
JP2008274493A (ja) インナーマッスルの活動連鎖促進用ウェア
KR101269179B1 (ko) 어깨 및 상지의 균형된 자세 유지와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 의류
JP2019123952A (ja) 靴下型サポーター
KR101369684B1 (ko) 상체의 근골격계 상해 예방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
KR102074586B1 (ko) 기능성 스포츠 팬티
Jenkins et al. Foot orthotic devices decrease transverse plane motion during landing from a forward vertical jump in healthy females
Stylianou Case Study of Physiotherapy Treatment of a Patient with the Diagnosis of Total Knee Replacement of the right knee
Trombi Case Study of Physiotherapy Treatment of a Patient after Total Knee Replacement
Comer et al. Bilateral Shoulder Pain-Baseball: 2406 Board# 325 May 28 3: 00 PM-4: 30 PM
Akhila et al. A Systemic Review Of Ilio Tibial Band Syndrome With Its Ayurved Treatment Perspective
Hanna et al. Review of preorthotic biomechanical considerations
Ioannou Case study of physiotherapy treatment of a patient with the diagnosis of pertrochanteric fracture of the left hip
Skjaanes Case Study of Physiotherapy Treatment of a Patient after total hip repla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