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422B1 - 롤러 이격장치 - Google Patents

롤러 이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422B1
KR100433422B1 KR10-2002-0042667A KR20020042667A KR100433422B1 KR 100433422 B1 KR100433422 B1 KR 100433422B1 KR 20020042667 A KR20020042667 A KR 20020042667A KR 100433422 B1 KR100433422 B1 KR 100433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pacer
shaft
photosensitive drum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2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8929A (ko
Inventor
이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2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422B1/ko
Priority to CNB031239390A priority patent/CN100504630C/zh
Priority to US10/454,590 priority patent/US6882813B2/en
Publication of KR20040008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8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4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means in the developing zone having an interaction with the image carrying member, e.g. distance hold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소정 압력으로 가압 밀착된 상태로 회전 구동하는 제 1 및 제 2 롤러부재를 구비하는 롤러기구에서, 이 롤러기구가 장시간 사용되지 않을 때, 제 1 및 제 2 롤러부재가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1 및 제 2 롤러부재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키는 롤러 이격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롤러 이격장치는, 일부분이 D-컷 처리된 제 1 및 제 2 롤러부재 중 어느 하나의 롤러부재의 축에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위치에서 다른 하나의 롤러부재에 결합된 구동기어의 외주면 일측단과 겹치면서 상기 제 1 롤러부재와 제 2 롤러부재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이격돌기를 갖춘 이격부재; 및 상기 이격부재를 상기 축상의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격부재 이동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롤러기구가 장기간 구동하지 않을 때, 제 1 및 제 2 롤러부재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비접촉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롤러부재가 정지된 상태에서 장시간동안 소정 압력으로 접촉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제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롤러 이격장치{Roller spacing device}
본 발명은 소정 압력으로 가압 밀착된 상태로 회전 구동하는 롤러기구 및 이 롤러기구를 구비하는, 예컨대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매체와 현상롤러, 감광매체와 전사롤러 또는 감광매체와 대전롤러와 같은 구동관계에 있는 롤러기구를 갖춘 시스템에서, 롤러기구가 장시간 사용되지 않을 때 롤러들이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롤러들을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키는 롤러 이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롤러기구, 즉 제 1 및 제 2 롤러부재가 소정 압력으로 가압 밀착된 상태로 회전 구동하는 롤러기구에서, 각각의 롤러부재는 이들이 구동하는 경우나 그렇지 않은 경우 모두 소정 압력으로 가압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이들 롤러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롤러 모두가, 소정의 탄성을 갖는, 예컨대 고무롤러로 구성된 경우, 장기간 가압 접촉된 상태로 방치됨으로써 영구압축변형을 일으키면서 롤러의 형상이 왜곡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요구되는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된다.
특히,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롤러나 전사롤러 또는 대전롤러의 경우, 감광매체로서의 감광드럼에 소정 압력으로 가압 밀착되어 회전 구동하게 되며, 또한, 이들 롤러들은 그 특성상 탄성을 갖는 고무롤러로 구성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장시간 방치하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영구압축변형에 의한 롤러의 형상 왜곡이 발생되어, 화상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현상롤러, 전사롤러 및 대전롤러의 성분 중 저분자 유기물이 롤러 표면으로 배어 나와 현상제와 뒤엉킴으로써 화상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롤러기구를 갖는 것으로써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참조부호 10은 감광매체로서의 감광드럼, 20은 대전장치, 30은 노광장치, 40은 현상장치, 50은 전사장치, 60은 정착장치, 70은 급지장치, 그리고, 80은 본체 프레임이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신호가 입력되면, 대전장치(20)의 방전에 의해 감광드럼(10)의 표면이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된다. 컴퓨터 또는 스캐너로부터 입력된 화상신호는 노광장치(30)에 의해 광신호로변환되어 감광드럼(10)으로 주사되며, 이에 의해 감광드럼(10)에는 화상신호에 따른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이후, 현상장치(40)에 의해 토너가 감광드럼(10)의 정전잠상 부위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정전잠상은 토너에 의한 가시화상으로 현상되며, 이 때, 급지장치(70)에서 공급되는 인쇄용지(P)가 전사장치(50)로 진입할 때 전사장치(50)에 인가되는 고압에 의해 감광드럼(10)의 토너화상이 인쇄용지(P)로 이동하게 된다. 인쇄용지(P)로 이동된 토너화상은 정착장치(60)를 통과하면서 정착장치(60)의 열과 압력에 의해 인쇄용지(P)에 정착되고, 인쇄용지(P)는 배지롤러(9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현상장치(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통(41), 현상롤러(42), 토너공급롤러(43) 및 규제블레이드(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토너는 토너공급롤러(43)에 의해 현상롤러(42)로 공급되며, 현상롤러(42)가 회전함에 따라 감광드럼(10)과 현상롤러(42)의 접촉에 의해 형성된 현상닙(Nip)부(N)로 반송된다. 이 때, 현상롤러(42)의 상측부에 설치된 규제블레이드(44)에 의해 현상롤러(42)에 일정한 두께의 토너층이 유지되며, 이 토너층이 회전하는 감광드럼(10)의 정전잠상 형성부위에 부착됨으로써 감광드럼(10)상에 가시적인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현상장치(40)는 현상롤러(42)와 감광드럼(10) 사이의 현상닙(N)을 형성하기 위해 현상장치(40)의 양단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감광드럼(10)과 현상롤러(42)가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현상롤러(42)는 상기와 같은 이유로 탄성을 갖는 고무롤러가 주로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접촉 현상방식 현상장치(4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감광드럼(10)과 현상롤러(42)가 소정의 현상닙(N)을 유지하여 서로 대향하고 있고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상기 현상닙(N)은 현상롤러(42)를 포함하는 현상장치(40)의 양단에 작용하는 소정의 압력에 의해 결정되며, 현상장치 생산라인에서 조립, 검사, 포장된 현상장치는 소비자에게 전달될까지 정지상태에서 감광드럼(10)과 현상롤러(42)가 소정의 접촉 압력을 받게 된다.
생산라인에서 조립된 현상장치는 일반 소비자에게 전달될까지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한다. 특히, 원거리의 수출용인 경우 여러 경로의 물류 시스템을 거쳐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와 같이 현상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장시간 방치하게 되면,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의 현상롤러(42)가 현상닙부(N)에서 영구압축변형을 일으키면서 롤러 형상이 왜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롤러의 형상이 왜곡되면 화상에 현상롤러 주기로 수평방향의 밴드가 발생되는 등 화상 품질이 저하된다. 특히, 현상장치를 고온에서 장시간 방치하게 되면, 현상닙부(N)에는 열과 압력이 동시에 작용하기 때문에, 현상롤러의 성분 중 고점도의 저분자 유기물이 롤러 표면으로 배어 나와 현상롤러상의 토너와 뒤엉키게 되며, 이에 의해 화상에 현상롤러 주기로 수평방향의 밴드가 발생됨으로써 화상 불량의 원인이 되므로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장치(50) 및 대전장치(20)를 구성하는 전사롤러 및 대전롤러 역시 상기 현상롤러(42)와 같은 구조로 감광드럼(10)과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전사롤러 및 대전롤러의 경우에도 현상롤러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그대로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소정 압력으로 가압 밀착되어 회전 구동하는 롤러기구에서, 이 롤러기구가 장시간 구동되지 않을 때, 롤러들을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비접촉 상태로 유지시키는 롤러 이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형성장치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때, 감광매체와 현상롤러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현상롤러의 영구압축변형에 의한 롤러의 형상 왜곡 현상 및 현상롤러의 저분자 유기물이 표면으로 배어 나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롤러 이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상형성장치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때, 감광매체와 전사롤러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전사롤러의 영구압축변형에 의한 롤러의 형상 왜곡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 이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상형성장치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때, 감광매체와 대전롤러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대전롤러의 영구압축변형에 의한 롤러의 형상 왜곡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대전롤러 이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러 이격장치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롤러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조립 상태 단면도로서, 감광드럼과 현상롤러가 밀착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감광드럼과 현상롤러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에 의한 현상롤러 이격장치의 이격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에 의한 현상롤러 이격장치의 제 1 회전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에 의한 현상롤러 이격장치의 제 2 회전부재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에 의한 현상롤러 이격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감광드럼 110;구동기어
111;구동기어의 기어부 112;구동기어의 단차부
200;현상롤러 210;현상롤러의 축
211;D-커트부 300;이격부재
311,332,333,334;제 1 내지 제 4 걸림턱부
341,342;제 1 및 제 2 경사면부 350;이격돌기
400;이격부재 이동수단 410,420;제 1 및 제 2 회전부재
414,415,424,425;제 1 내지 제 4 회전턱부
430,440;제 1 및 제 2 고정부재 500;회전노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롤러 이격장치는, 소정 압력으로 가압 밀착된 상태로 회전 구동하는 제 1 및 제 2 롤러부재를 구비하는 롤러기구에서, 이 롤러기구가 장시간 사용되지 않을 때, 제 1 및 제 2 롤러부재가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1 및 제 2 롤러부재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롤러 이격장치는, 일부분이 D-컷 처리된 제 1 및 제 2 롤러부재 중 어느 하나의 롤러부재의 축에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위치에서 다른 하나의 롤러부재에 결합된 구동기어의 외주면 일측단과 겹치면서 상기 제 1 롤러부재와 제 2 롤러부재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이격돌기를 갖춘 이격부재; 및 상기 이격부재를 상기 축상의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격부재 이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이격부재는 그 양측면 상하부에 대응하도록 쌍을 이루며 각각 형성된 제 1 내지 제 4 걸림턱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턱부 사이와 상기 제 3 및 제 4 걸림턱부 사이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나선형 경사면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이격부재 이동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턱부에 걸리는 제 1 및 제 2 회전턱부를 구비하여 상기 축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부가 형성된 제 1 회전부재; 및 상기 제 3 및 제 4 걸림턱부에 걸리는 제 3 및 제 4 회전턱부를 구비하여 상기 축의 D-커트부에 이 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 2 회전부재;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격부재가 제 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격부재가 제 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롤러 이격장치는, 상기 축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축의 D-커트부에 결합되는 회전노브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회전부재는 작업자가 상기 회전노브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는 구동기어에 의해 피동 회전된다.
이에 의하면, 롤러기구가 장기간 구동하지 않을 때, 제 1 및 제 2 롤러부재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비접촉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롤러부재가 정지된 상태에서 장시간동안 소정 압력으로 접촉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제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롤러 이격장치는, 일부분이 D-컷 처리된 현상롤러의 축에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2 위치에서 감광드럼의 구동기어의 외주면 일측단과 겹치면서 상기 감광드럼과 현상롤러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이격돌기와, 그 양측면 상하부에 대응하도록 쌍을 이루며 각각 형성된 제 1 내지 제 4 걸림턱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턱부 사이와 상기 제 3 및 제 4 걸림턱부 사이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나선형 경사면부가 구비된 이격부재; 상기 이격부재의 제 1 및 제 2 걸림턱부에 걸리는 제 1 및 제 2 회전턱부를 구비하여 상기 축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부가 형성된 제 1 회전부재; 및 상기 이격부재의 제 3 및 제 4 걸림턱부에 걸리는 제 3 및 제 4 회전턱부를 구비하여 상기 축의 D-커트부에 이 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 2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현상장치가 소비자에게 전달될 때까지의 긴 시간동안 구동되지 않을 때, 감광드럼과 현상롤러를 비접촉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감광드럼과 현상롤러가 접촉된 상태로 장시간 방치됨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영구압축변형에 의한 롤러의 형상 왜곡 현상 및 현상롤러에서 고점도의 저분자 유기물이 표면으로 배어나오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 이격장치는, 일부분이 D-컷 처리된 전사롤러의 축에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위치에서 감광드럼의 구동기어의 외주면 일측단과 겹치면서 상기 감광드럼과 전사롤러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이격돌기와, 그 양측면 상하부에 대응하도록 쌍을 이루며 각각 형성된 제 1 내지 제 4 걸림턱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턱부 사이와 상기 제 3 및 제 4 걸림턱부 사이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나선형 경사면부가 구비된 이격부재; 상기 이격부재의 제 1 및 제 2 걸림턱부에 걸리는 제 1 및 제 2 회전턱부를 구비하여 상기 축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부가 형성된 제 1 회전부재; 및 상기 이격부재의 제 3 및 제 4 걸림턱부에 걸리는 제 3 및 제 4 회전턱부를 구비하여 상기 축의 D-커트부에 이 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 2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전사장치가 소비자에게 전달될 때까지의 긴 시간동안 구동되지 않을 때, 감광드럼과 전사롤러를 비접촉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감광드럼과 전사롤러가 접촉된 상태로 장시간 방치됨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영구압축변형에 의한 롤러의 형상 왜곡 현상 및 전사롤러에서 고점도의 저분자 유기물이 표면으로 배어나오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의 대전롤러 이격장치는, 일부분이 D-컷 처리된 대전롤러의 축에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위치에서 감광드럼의 구동기어의 외주면 일측단과 겹치면서 상기 감광드럼과 대전롤러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이격돌기와, 그 양측면 상하부에 대응하도록 쌍을 이루며 각각 형성된 제 1 내지 제 4 걸림턱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턱부 사이와 상기 제 3 및 제 4 걸림턱부 사이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나선형 경사면부가 구비된 이격부재; 상기 이격부재의 제 1 및 제 2 걸림턱부에 걸리는 제 1 및 제 2 회전턱부를 구비하여 상기 축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는 감광드럼의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부가 형성된 제 1 회전부재; 및 상기 이격부재의 제 3 및 제 4 걸림턱부에 걸리는 제 3 및 제 4 회전턱부를 구비하여 상기 축의 D-커트부에 이 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 2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대전장치가 소비자에게 전달될 때까지의 긴 시간동안 구동되지 않을 때, 감광드럼과 대전롤러를 비접촉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감광드럼과 대전롤러가 접촉된 상태로 장시간 방치됨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영구압축변형에 의한 롤러의 형상 왜곡 현상 및 대전롤러에서 고점도의 저분자 유기물이 표면으로 배어나오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참고로 도시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롤러 이격장치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도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 둔다.
도 3에서 참조부호 100은 제 1 롤러부재로서의 감광매체인 감광드럼, 200은 제 2 롤러부재로서의 현상롤러, 300은 이격부재, 그리고, 400은 이격부재 이동수단을 각각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드럼(100)과 현상롤러(200)는 도시되지 않은 현상롤러 가압수단에 의해 소정 압력으로 가압 밀착된 상태로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감광드럼(100)에는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기어(110)가 구비된다. 이 구동기어(110)의 외주면에는 기어부(111)와 단차부(11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현상롤러(200)의 축(210)에는 그 단부측에 D-커트부(211)가 구비된다.
상기 이격부재(300)는 상기 축(210)에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격부재(300)는 상기 제 2 위치에서 감광드럼(100)의 구동기어(110)의 단차부(112)와 겹치면서 상기 감광드럼(100)과 현상롤러(200)를 일정간격(g)(도 5 참조)으로 이격시키는 이격돌기(350)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 1 위치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상롤러(200)가 감광드럼(100)으로부터 이격되지 않는 위치이며, 상기 제 2 위치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상롤러(200)가 감광드럼(100)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위치이다. 또한, 상기 이격부재(300)는 도 6a 내지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몸체(310)의 중앙부에는 축공(320)이 형성되고, 그 양측면의 상하부에는 제 1 및 제 2 걸림턱부(331)(332)와 제 3 및 제 4 걸림턱부(333)(334)가 대응하도록 쌍을 이루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턱부(331)(332) 사이와 제 3 및 제 4 걸림턱부(333)(334) 사이에는 제 1 및 제 2 나선형 경사면부(341)(342)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상기 경사면부(341)(342)는 회전 대칭구조의 산부분과 골부분을 가지는 2개의 파트로 분리되며, 이 2개 파트로 분리된 각 경사면부(341)(342)의 경계부에 상기 제 1 내지 제 4 걸림턱부(321∼324)가 위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격부재(300)는 이격부재 이동수단(400)에 의해 축(210)상에서 제 1 및 제 2 위치로 이동된다. 이러한 상기 이격부재 이동수단(400)은 제 1 회전부재(410)와 제 2 회전부재(420)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회전부재(410)는 상기 축(210)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회전부재(420)는 상기 축(210)의 D-커트부(211)에 이 축(21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부재(410)(420)는 각각 고정부재(430)(440)에 의해 축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기 제 1 회전부재(410)는 도 7a 내지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몸체(411)의 중앙부에는 축공(412)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기어(110)의 기어부(111)와 맞물리는 기어부(4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회전부재(410)의 일측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격부재(300)를 향하는 측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턱부(331)(332)에 걸리는 제 1 및 제 2 회전턱부(414)(415)가 소정 높이로 돌설된다.
상기 제 2 회전부재(420)는 도 8a 내지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몸체(421)의 중앙부에는 상기 축(210)의 D-커트부(211)에 대응되는 축공(422)이 형성되고, 일측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격부재(300)를 향하는 측면에는 상기 제 3 및 제 4 걸림턱부(333)(334)에 걸리는 제 3 및 제 4 회전턱부(424)(425)가 소정 높이로 돌설된다.
상기한 제 1 내지 제 4 회전턱부(414)(415)(424)(425)는 이격부재(300)의 제 1 내지 제 4 걸림턱부(331)(332)(333)(334)에 접촉된 상태로 조립되며, 그들의 단부는 이격부재(300)의 제 1 및 제 2 경사면부(341)(342)의 골부분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회전부재(420)를 회전시키게 되면, 이 회전부재(420)의 제 3 및 제 4 회전턱부(424)(425)가 상기 제 2 경사면부(342)를 따라 회전하게 되므로, 이격부재(300)는 축(210)상의 제 2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회전부재(410)를 회전시키게 되면, 이 회전부재(420)의 제 1 및 제 2 회전턱부(414)(415)가 상기 제 1 경사면부(341)를 따라 회전하게 되므로, 이격부재(300)는 축(210)상의 제 1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회전부재(420)의 회전은 작업자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현상롤러 이격장치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축(210)의 D-커트부(211)에 삽입되는 회전노브(500)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노브(500)를 축(210)에 삽입하여 축을 회전시키면, 이 축(210)과 제 2 회전부재(420)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회전부재(410)는 화상형성장치의 작동시 감광드럼(100)이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해 회전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롤러 이격장치의 작용을 도 4 및 도 5와 도 9a 내지 9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생산라인에서 조립 완료된 현상장치는 화상 품질 검사 등을 위해 소량의 시험 인쇄를 실시한다. 이 때, 감광드럼(100)과 현상롤러(20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격부재(300)가 축(210)상의 제 1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소정 압력으로 가압 밀착된 상태로 회전 구동하게 된다.
검사가 끝나 포장되는 현상장치는 소비자에게 전달될때까지 구동되지 않는 상태로 장시간 방치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감광드럼(100)과 현상롤러(200)가 접촉된 상태로 방치됨으로써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되는 바, 본 발명의 롤러 이격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감광드럼(100)과 현상롤러(200)를 비접촉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우선 검사가 끝난 현상장치의 현상롤러 축(210)에 회전노브(500)를 결합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돌린다. 그러면, 축(210)과 함께 제 2 회전부재(4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2 회전부재(420)의 제 3 및 제 4 회전턱부(424)(425)가 이격부재(300)의 제 2 경사면(342)을 따라 회전하면서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격부재(300)를 도면에서 좌측으로, 즉 축(210)상의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격부재(300)의 위치 이동으로 이 이격부재(300)의 이격돌기(350)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광드럼(100)의 구동기어(110)의 단차부(112)에 겹치면서 감광드럼(100)과 접촉하고 있던 현상롤러(200)를 이격돌기(350)의 높이만큼 이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조립되어 포장된 현상장치는 소비자에게 전달될때까지롤러 이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소비자에게 전달된 현상장치는 소비자가 현상장치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고 전원을 인가하면, 화상형성장치의 메인 구동장치가 동작하고 이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이 감광드럼(100)의 구동기어(110)를 통해 제 1 회전부재(410)로 전달되어 상기 제 1 회전부재(410)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1 회전부재(410)의 제 1 및 제 2 회전턱부(414)(415)가 이격부재(300)의 제 1 경사면부(341)를 따라 회전하면서 축(210)의 제 2 위치에 있던 이격부재(300)를 제 1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격부재(300)의 위치 이동으로 이격돌기(350)는 감광드럼(100)의 구동기어(110)의 단차부(112)에서 이탈되고 이격되어 있던 현상롤러(200)는 다시 감광드럼(100)과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이격부재(300)가 180도 까지 회전하기 전에는 그의 제 3 및 제 4 걸림턱부(333)(334)에 제 2 회전부재(420)의 제 3 및 제 4 회전턱부(424)(425)가 걸리지 않기 때문에, 제 2 회전부재(420) 및 현상롤러(200)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 후, 제 1 회전부재(410)가 한바퀴 이상 회전하게 되면, 이격부재(300)도 180도 이상 회전하게 되므로, 이격부재(300)의 제 3 및 제 4 걸림턱부(333)(334)에 제 2 회전부재(420)의 제 3 및 제 4 회전턱부(424)(425)가 걸리게 되어, 제 1 회전부재(410)의 회전력이 제 2 회전부재(420)에 전달되어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2 회전부재(420)와 함께 현상롤러(2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드럼(100)과 현상롤러(200)가 밀착된 상태로 회전구동하면서 소정의 현상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인쇄가 종료되어 화상형성장치의 메인 구동장치가 정지하게 되면, 작업자가 회전노브(500)를 이용하여 현상롤러(200) 축(210)을 임의로 회전시키기 않는 한, 제 1 회전부재(410)의 제 1 및 제 2 회전턱부(414)(415), 제 2 회전부재(420)의 제 3 및 제 4 회전턱부(4244)(425) 및 이와 상호 작용하는 이격부재(300)의 이격돌기(350)는 도 9c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며, 따라서 메인 구동장치가 다시 구동하게 되면 메인 구동장치의 구동력이 바로 현상롤러(200)로 전달되어 동작상의 어떠한 문제도 야기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롤러 이격장치는 회전노브를 이용하여 현상롤러의 축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감광드럼과 현상롤러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비접촉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감광드럼과 현상롤러가 접촉된 상태로 장기간 방치됨으로써 야기되는 현상롤러의 형상 왜곡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롤러 이격장치는, 비접촉 상태에 있는 감광드럼과 현상롤러를 접촉시키기 위해 소비자의 어떠한 조작도 전혀 요구하지 않으며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동시키면 자동으로 비접촉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 사용상의 편의성을 저하시키기 않으면서 일반적인 현상장치에서 문제가 되었던 롤러의 형상 왜곡 현상 등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롤러 이격장치가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롤러에 적용된 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롤러 이격장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 및 대전롤러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그외에도 서로소정 압력으로 가압 밀착된 상태로 회전 구동하는 각종 롤러기구나 이러한 롤러기구를 가지는 전기전자제품 등의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롤러기구가 장기간 구동하지 않을 때, 제 1 및 제 2 롤러부재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비접촉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롤러부재가 정지된 상태에서 장시간동안 소정 압력으로 접촉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롤러의 형상 왜곡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롤러 이격장치를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롤러나 전사롤러 또는 대전롤러에 적용하는 경우, 현상장치나 전사장치 또는 대전장치가 소비자에게 전달될까지의 긴 시간동안 구동되지 않을 때,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감광드럼과 전사롤러 또는 감광드럼과 대전롤러를 비접촉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감광드럼과 전사롤러 또는 감광드럼과 대전롤러가 접촉된 상태로 장시간 방치됨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영구압축변형에 의한 롤러의 형상 왜곡 현상 및 롤러에서 고점도의 저분자 유기물이 롤러 표면으로 배어나오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롤러의 형상 왜곡 및 저분자 유기물이 롤러 표면으로 배어 나오는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화상 불량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된 화상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소정 압력으로 가압 밀착된 상태로 회전 구동하는 제 1 및 제 2 롤러부재를 구비하는 롤러기구에서, 이 롤러기구가 장시간 사용되지 않을 때, 제 1 및 제 2 롤러부재가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1 및 제 2 롤러부재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장치로서,
    일부분이 D-컷 처리된 상기 제 1 및 제 2 롤러부재 중 어느 하나의 롤러부재의 축에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위치에서 다른 하나의 롤러부재에 결합된 구동기어의 외주면 일측단과 겹치면서 상기 제 1 롤러부재와 제 2 롤러부재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이격돌기를 갖춘 이격부재; 및
    상기 이격부재를 상기 축상의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격부재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이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그 양측면 상하부에 대응하도록 쌍을 이루며 각각 형성된제 1 내지 제 4 걸림턱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턱부 사이와 상기 제 3 및 제 4 걸림턱부 사이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나선형 경사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격부재 이동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턱부에 걸리는 제 1 및 제 2 회전턱부를 구비하여 상기 축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부가 형성된 제 1 회전부재; 및
    상기 제 3 및 제 4 걸림턱부에 걸리는 제 3 및 제 4 회전턱부를 구비하여 상기 축의 D-커트부에 이 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 2 회전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제 2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격부재가 제 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격부재가 제 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이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축의 D-커트부에 결합되는 회전노브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회전부재는 작업자가 상기 회전노브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는 구동기어에 의해 피동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이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부재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이며, 상기 제2 롤러부재는 현상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이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부재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이며, 상기 제 2 롤러부재는 전사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이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부재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이며, 상기 제 2 롤러부재는 대전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이격장치.
  7. 구동기어를 갖춘 감광드럼과 이 감광드럼에 소정 압력으로 가압 밀착하도록 설치되어 감광드럼의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롤러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서, 이 화상형성장치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때, 감광드럼과 현상롤러가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감광드럼과 현상롤러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키는 현상롤러 이격장치로서,
    일부분이 D-컷 처리된 상기 현상롤러의 축에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위치에서 구동기어의 외주면 일측단과 겹치면서 상기 감광드럼과 현상롤러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이격돌기와, 그 양측면 상하부에 대응하도록 쌍을 이루며 각각 형성된 제 1 내지 제 4 걸림턱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턱부 사이와 상기 제 3 및 제 4 걸림턱부 사이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2 나선형 경사면부가 구비된 이격부재;
    상기 이격부재의 제 1 및 제 2 걸림턱부에 걸리는 제 1 및 제 2 회전턱부를 구비하여 상기 축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부가 형성된 제 1 회전부재; 및
    상기 이격부재의 제 3 및 제 4 걸림턱부에 걸리는 제 3 및 제 4 회전턱부를 구비하여 상기 축의 D-커트부에 이 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 2 회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격부재가 제 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격부재가 제 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롤러 이격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축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축의 D-커트부에 결합되는 회전노브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회전부재는 작업자가 상기 회전노브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는 구동기어에 의해 피동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롤러 이격장치.
  9. 구동기어를 갖춘 감광드럼과 이 감광드럼에 소정 압력으로 가압 밀착하도록 설치되어 감광드럼의 토너화상을 인쇄용지로 전사하는 전사롤러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서, 이 화상형성장치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때, 감광드럼과 전사롤러가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감광드럼과 전사롤러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전사롤러 이격장치로서,
    일부분이 D-컷 처리된 상기 전사롤러의 축에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위치에서 구동기어의 외주면 일측단과 겹치면서 상기 감광드럼과 전사롤러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이격돌기와, 그 양측면 상하부에 대응하도록 쌍을 이루며 각각 형성된 제 1 내지 제 4 걸림턱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턱부 사이와 상기 제 3 및 제 4 걸림턱부 사이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나선형 경사면부가 구비된 이격부재;
    상기 이격부재의 제 1 및 제 2 걸림턱부에 걸리는 제 1 및 제 2 회전턱부를 구비하여 상기 축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부가 형성된 제 1 회전부재; 및
    상기 이격부재의 제 3 및 제 4 걸림턱부에 걸리는 제 3 및 제 4 회전턱부를 구비하여 상기 축의 D-커트부에 이 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 2 회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격부재가 제 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격부재가 제 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 이격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축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축의 D-커트부에 결합되는 회전노브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회전부재는 작업자가 상기 회전노브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는 구동기어에 의해 피동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 이격장치.
  11. 구동기어를 갖춘 감광드럼과 이 감광드럼에 소정 압력으로 가압 밀착하도록 설치되어 감광드럼의 표면을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서, 이 화상형성장치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때, 감광드럼과 대전롤러가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감광드럼과 대전롤러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키는 대전롤러 이격장치로서,
    일부분이 D-컷 처리된 상기 대전롤러의 축에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위치에서 구동기어의 외주면 일측단과 겹치면서 상기 감광드럼과 대전롤러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이격돌기와, 그 양측면 상하부에 대응하도록 쌍을 이루며 각각 형성된 제 1 내지 제 4 걸림턱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턱부 사이와 상기 제 3 및 제 4 걸림턱부 사이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나선형 경사면부가 구비된 이격부재;
    상기 이격부재의 제 1 및 제 2 걸림턱부에 걸리는 제 1 및 제 2 회전턱부를 구비하여 상기 축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부가 형성된 제 1 회전부재; 및
    상기 이격부재의 제 3 및 제 4 걸림턱부에 걸리는 제 3 및 제 4 회전턱부를 구비하여 상기 축의 D-커트부에 이 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 2 회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격부재가 제 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격부재가 제 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대전롤러 이격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축의 D-커트부에 결합되는 회전노브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회전부재는 작업자가 상기 회전노브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제 1 회전부재는 구동기어에 의해 피동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대전롤러 이격장치.
KR10-2002-0042667A 2002-07-19 2002-07-19 롤러 이격장치 KR100433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667A KR100433422B1 (ko) 2002-07-19 2002-07-19 롤러 이격장치
CNB031239390A CN100504630C (zh) 2002-07-19 2003-05-22 辊子间隔装置
US10/454,590 US6882813B2 (en) 2002-07-19 2003-06-05 Roller spac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667A KR100433422B1 (ko) 2002-07-19 2002-07-19 롤러 이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8929A KR20040008929A (ko) 2004-01-31
KR100433422B1 true KR100433422B1 (ko) 2004-05-31

Family

ID=2999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2667A KR100433422B1 (ko) 2002-07-19 2002-07-19 롤러 이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882813B2 (ko)
KR (1) KR100433422B1 (ko)
CN (1) CN10050463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6654A (ja) * 2003-11-21 2005-06-16 Canon Inc 帯電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612214B1 (ko) * 2004-07-23 2006-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동력 커플링장치 및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KR100729626B1 (ko) 2005-12-28 2007-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롤러 이격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4804212B2 (ja) * 2006-04-19 2011-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生産方法及び再生産方法
JP5072276B2 (ja) * 2006-07-06 2012-11-14 株式会社リコー 帯電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222842A (ja) * 2008-03-14 2009-10-01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5334454B2 (ja) * 2008-05-20 2013-11-06 ニスカ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
US8322872B2 (en) * 2009-08-20 2012-12-04 Lexmark International, Inc. Linear light diffusing structure for document scanners
CN108549200B (zh) * 2011-05-03 2020-01-31 纳思达股份有限公司 图像形成装置、显影盒和图像形成设备
JP2015007738A (ja) 2012-08-31 2015-01-15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61288B2 (ja) 2013-11-05 2018-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1635702B2 (en) * 2019-08-26 2023-04-25 Nok Corporation Charging roll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8759A (ja) * 1992-10-27 1994-05-20 Ricoh Co Ltd 現像装置
JPH06208293A (ja) * 1993-01-11 1994-07-26 Mita Ind Co Ltd 作像ユニット
JPH0830177A (ja) * 1994-07-14 1996-02-0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15975A (ja) * 1995-06-29 1997-01-17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の現像装置
JP3432075B2 (ja) * 1996-04-24 2003-07-28 株式会社リコー 像担持体の支持装置
JP3689504B2 (ja) * 1996-09-26 2005-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549407B2 (ja) * 1998-06-08 2004-08-04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の加圧力切換機構
US6240268B1 (en) * 1999-01-14 2001-05-29 Canon Kabushiki Kaisha Gap retaining member and developing device employing the same
JP2002091265A (ja) * 2000-09-11 2002-03-27 Toshiba Tec Corp プロセス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432218B2 (ja) * 2000-10-31 2003-08-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負荷発生部材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351211A (ja) * 2001-05-30 2002-12-06 Canon Inc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69208A (zh) 2004-01-21
US20040013448A1 (en) 2004-01-22
US6882813B2 (en) 2005-04-19
KR20040008929A (ko) 2004-01-31
CN100504630C (zh) 200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3422B1 (ko) 롤러 이격장치
US8503897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mproved image transfer
JP200102218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122460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548353B2 (en) Developer cartridge
JPH10142969A (ja) 画像形成装置
JP6376070B2 (ja) 中間転写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990794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296859A (ja) 画像形成装置
JP3472947B2 (ja) 画像形成機の転写装置
JP4717274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KR100358343B1 (ko)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 오염방지 장치
JP2007187844A (ja) 画像形成装置
JPH05188738A (ja) 接触帯電装置
JP2017026908A (ja) 画像形成装置
CN103869672A (zh) 定影装置和成像设备
JP5978675B2 (ja) 画像形成装置
JP4082509B2 (ja) 画像形成装置
JPH0128523Y2 (ko)
JPH0634223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43048A (ja) 液体画像形成装置
JPH0414717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112319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191191A (ja) 回転体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3015410A (ja) 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