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519B1 - 작업차의 조향조작구조 - Google Patents

작업차의 조향조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519B1
KR960003519B1 KR1019910006498A KR910006498A KR960003519B1 KR 960003519 B1 KR960003519 B1 KR 960003519B1 KR 1019910006498 A KR1019910006498 A KR 1019910006498A KR 910006498 A KR910006498 A KR 910006498A KR 960003519 B1 KR960003519 B1 KR 960003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power
shaft
gea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6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6194A (ko
Inventor
데루오 미나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구보다
미노 시게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34307A external-priority patent/JP263580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380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64160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구보다, 미노 시게가즈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920006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5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1/00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 B62D11/02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 B62D11/06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 B62D11/08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using brakes or clutches as main steering-effe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Of Trailers, Or Other Stee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작업차의 조향조작구조
제1도에서 제4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의 전동구조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제1도는 제2절환밸브 및 가변 릴리이프 밸브와 각부와의 연계상태를 표시하는 도면.
제2도는 미션 케이스의 종단정면도.
제3도는 콤바인 전반부의 측면도.
제4도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절환밸브 및 가변 릴리이프 밸브와 각 부와의 연계상태를 표시하는 도면.
제5도에서 제8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의 전동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제5도는 미션 케이스의 종단 정면도.
제6도는 절환밸브, 감속용 및 역전용 유압 클러치 등의 연계상태를 표시하는 도면.
제7도는 제2절환밸브 및 가변릴리이프 밸브조작용의 각아암을 표시하는 정면도.
제8도는 제7도에 있어서의 Ⅰ-Ⅰ 방향에서 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제1스프로켓 15 : 입력축
16,37 : 약전전동기구 18,19 : 정회전 전동기구
20 : 출력축 21L,23L : 좌축출력 전동기구
21R,23R : 우측출력 전동기구 22R,22L : 차측
26R,29R : 우측중간 전동기구 27 : 중간측
28 : 사이드 브레이크 29L,26L : 좌측중간 전동기구
30 : 유압클러치 26 : 소압조정기구
38 : 제2스프로켓 42 : 저속용 클러치
43 : 저속용 전동기구
본 발명은 좌우 한쌍의 크로러식(crawler type) 또는 다륜식 주행장치를 장비한 작업차로서, 작업차를 조향하기 위하여 이 주행장치를 위한 좌우 한쌍의 차측을 각각 독립하여 구동하는 전동구조에 관한다.
상기와 같은 작업차의 일예로서 크로러식 주행장치를 장비한 콤바인이 있다. 이와같은 콤바인에 있어서는, 한쪽 주행장치를 정회전 시키는 동시에 다른 한쪽의 주행장치를 역회전함으로써 급격한 선회를 행하는 초신지선회(超信地旋回)와 한쪽 주행장치를 정회전 시킴과 아울러 다른 쪽의 주행장치를 제동하여 선회를 하는 신지선회(信地旋回)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영농작업 등에 사용되는 경우 선회시에 농지를 망치지 않도록 조용한 선회도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한쪽 주행장치를 정회전 시킴과 아울러 다른쪽 주행장치를 보다 저속으로 정회전시켜 그 상대적인 속도차로서 조용한 선회를 하는 완선회(緩旋回)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초신지선회를 위하여 필요한 역전전동기구와 신지선회에 필요한 사이드 브레이크에 첨가하여 완선회에 필요한 저속전동기구를 같은 전동구조중에 수용하면 그 구조가 커져서 종래 작업차에 주어진 공간에는 대단한 무리가 따르게 되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초신지선회를 위해 필요한 역전전동기구, 신지선회에 필요한 사이드 브레이크 및 완선회에 필요한 저속전동기구를 가능한 한 소형화 시킨 전동기구를 제공하는 일이다.
작업차를 조향하기 위해 좌우 한쌍의 차축을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전동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전변속(前變速)된 동력이 전달하는 입력축]
상기한 입력축 평행하게 설치된 중간축과 출력축, 상기한 차축을 독립적을 재동하는 사이드 브레이크, 상기한 입력축에서 중간축으로 동력을 감속 전달하는 클러치가 부설되어 있는 저속용 전동기구, 상기한 입력축에서 중간축으로 동력을 역전 전달하는 클러치가 부설되어 있는 역전 전동기구, 상기한 출력축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한 중간축으로 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가 부설된 좌측중간 전동기구, 상기한 입력축으로 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정회전 전동기구, 상기한 정전전동기구와 좌측중간 전동기구로 부터 선택적으로 동력을 좌측차측에 전달하는 좌측추력 전동기구, 상기한 정회전 전동기구와 우측중간 전동기구로 부터 선택적으로 동력을 우측차측에 전달하는 우측출력 전동기구, 이 구성에서는 입력축과 중간축과 출력축의 3개의 축에 정회전 전동기구, 역전전동기구, 그리고 저속전동기구를 설치했기 때문에 전동구조가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적당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역전전동기구의 크러치는 유압클러치로서 형성되고, 상기한 유압클러치에는 유압클러치의 압력을 완만하게 상승시키는 소압조정기구가 장비되고, 상기한 저속전동기구의 클러치가 차단조작되는 동시에 상기한 유압클러치의 유압이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예컨대 유압클러치를 연결 조작한 다음의 초신지선회중에, 저속 전동기구를 작동시켜 완선회를 행하려고 할 경우, 유압클러치가 충분히 이격상태로 되어 있지 않음에도 저속전동기구에 의해 정회전의 저속동력이 전달된다고 하는 2중 전동이 발생하여 전동계에 파손이 발생해 버린다고 하는 위험이 방지된다. 그 밖의 특징은 다음에 설명하는 도면을 사용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제2도는 작업차의 하나인 콤바인 주행계의 미션케이스(8) 내의 구조를 표시하고 있고, 엔진(도면의)으로 부터의 동력이 텐션클러치를 장비한 벨트 전동기구(비도시)를 개재하여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1)의 입력폴리(2)에 전달되는 동시에 정 유압식 무단변속장치(1)의 출력축(2)으로 부터의 동력이 제1기어대우(9)로 부터 원웨이 클러치(5) 제1전동축(4) 및 출력풀리(7)을 거쳐 제3도에 도시하는 에취부에 전달된다.
제1기어대우(0)로 부터의 제2전동축(11)에 전달되고, 이 제2전동축(11)에 제1고속기어(12)가 상대회전 자재하게 의감됨과 아울러 시프트기어(14)가 스플라인 구조로서 슬라이드 자재하게 밖에서 끼워져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제3전동축(15)에는 제2고소기어(16) 및 저속기어(17)가 고정되며, 제1고속기어(12)가 제2고속기어(16)에 맞물려 있다.
또한 제3전동축(15A) 중속기어(18)가 고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하여 시프트기어(14)를 슬라이드 조작하여 제1고속기어(12), 종속기어(18), 저속기어(17)에 맞물림으로서 동력을 고ㆍ중ㆍ저의 3단으로 변속할 수 있는 것이고, 이 동력은 중속기어(18)에 맞물리는 제3기어(19)에 전달된다. 제3기어(19)를 지지하는 지지축(20)에는 우측사이드 기어(21R) 및 좌측사이드기어(21L)가 상대회전 자재하게 밖에서 끼워짐과 아울러 좌우의 차측(22L), (22R)의 입력기어(23R), (23L)가 좌우사이드기어(21L), (21R)에 상시 맞물려져 있는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우측 또는 좌측사이드기어(21R), (21L)를 제3기어(19)에 대하여 슬라이드 조작하여 맞물림, 이간시켜, 제3도에 도시하는 크로러식 주행장치(24)의 구동 스프로켓(24a)에 대하여 동력전달의 연결, 차단 조작을 하는 것이고, 제3기어(19)와 좌우사이드기어(21L), (21R) 사이에서 사이드 클러치(25R), (25L)가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한쪽 차량(22R) 또는 (22L)에 재동을 거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하듯이, 지지축(20)에 우측 제4기어(26R) 및 좌측 제4기어(26L)가 상대회전자재하게 베어링 지지됨과 아울러 제4전동축(27)에 고정된 한쌍의 제5기어(29L), (29R)가 우측 제4기어(26R) 및 좌측 제4기어(26L)에 맞물려 있다.
그리하여 제4전동축(27)의 일단에 다판유압조작식 사이드 브레이크(28)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우측 사이드기어(21R) 또는 좌측 사이드기어(21L)를 제3기어에서 이간시키고, 우측 제4기어(26R) 또는 좌측 제4기어(26I)에 맞물림 시키는 동시에 사이드 브레이크(28)를 연결조작 함으로써 한쪽차량(22R) 또는 (22L)에 제동을 걸 수가 있다. 이것이 신지선회상태이다.
다음에 한쪽차량(22R) 또는 (22L)을 역전시키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하듯이 제3전동축(15)의 제2고속기어(16)에 맞물리는 제6기어(37)가 제4전동축(27)에 상대회전 자제하게 밖에서 끼워짐과 아울러 제6기어(37)가 제4전동축(27)과의 사이에 유압클러치(30)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우측사이드 기어(21R) 또는 좌측 사이드기어(21L)를 상기와 같이 우측 제4기어(26R) 또는 좌측 제4기어(26L)에 맞물림시킨 상태에서 유압클러치(30)를 넣어 조작하면 제2고속기어(16)로 부터의 동력이 역전상태로 또한 1/2로 감속되어 차측(22R) 또는 (22L)에 전달되어진다. 이것이 초신지선회상태이다.
다음에 한쪽차량(22R) 또는 (22L)을 다른 쪽보다도 저속으로 정회전 구동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하듯이 제3전동축(15)에 제1스프로켓(13)이 고정됨과 아울러, 제4전동축(27)에 제2스프로켓(38)이 상대회전 자재하게 밖에서 끼워지고, 제1 및 제2스프로켓(13), (38)에 전동체인(40)이 권회되어 저속전동기구(43)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하여 제4전동축(27)에 시피트부재(41)가 스폴라인 구조로서 슬라이드조작 자재하게 밖에서 끼워져 있다.
이것에 의하여 시프트부재(41)를 제2스프로켓(38)에 맞물린 상태에서 우측 또는 좌측 사이드기어(21R), (21L)를 우측 또는 좌측 제4기어(26R), (26L)에 맞물리면, 제3전동축(15)으로 부터의 정회전 동력이 1/2로 감속되어 차축(22R) 또는 (22L)에 전달되어 간다. 또 시프트부재(41)에는 이것을 제2스프로켓(38)에서 이격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42)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좌우측 사이드 기어(21L), (21R)의 슬라이드 조작을 하는 유압실린더(31R), (31L), 사이드 브레이크(28) 및 유압 클럽치(30)에의 작동유 공급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하듯이 펌프(32)로 부터의 작동유가 제1절환밸브(33)를 거쳐 좌우사이드 기어(21L), (21R)에 대한 유압실린더(31R)(31L)에 공급되는 동시에 유압실린더(31R), (31L)의 측면에서의 유로(34)가 사이드브레이크(28) 및 유압클러치(30)에 대한 제2절환밸브(35)에 접속되어 있다. 또 유로(34)에는 사이드 브레이크(28) 및 유압클러치(30)에 대한 가변 릴리이프 밸브(36)(승압조절기구에 상당함)가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제1절환밸브(33), 제2절환밸브(35), 가변릴리이프밸브(36)의 조작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표시하듯이 좌우로 조작자재한 조작레버(39)와 제1절환밸브(33) 및 가변릴리이프밸브(36)용의 조작아암(45)이 와이어(48) 등을 개재하여 기계적으로 연기되어 있다. 또 제2절환밸브(35) 및 제2도의 시프트 부재(41)조작의 절환레버(44)가 장비되어 있다.
제1도에 표시하는 상태는 절환레버(44)를 신지선회위치로 조작하고 있는 상태이고 제2절환밸브(35)가 사이드브레이크(28)에의 작동유 공급이치(35a)로 조작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조작레버(39)를 중립위치(N)에서 우측 제1선회위치(R1) 또는 좌측 제1선회위치(L1)로 조작하면 제1절환밸브(33)만 조작되어 유압실린더(31R) 또는 (31L)에 의해 우측 또는 좌측의 조작부(46R), (46L)를 개재하여 제3기어에 맞물려 있던 우측 또는 좌측 사이드기어(21R), (21L)가 제3기어(19)에서 이탈되어 우측 또는 좌측 제4기어(26R), (26L)에 맞물린다. 이 경우 가변 릴리이프 밸브(36)는 전계상태에 있고, 사이드 브레이크(28) 및 유압 클러치(30)의 양자는 공히 차단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우측 또는 좌측의 차측(22R), (22L)으로의 진동이 차단된 상태(사이드 클러치(25R) 또는 (25L)의 이격상태)로 되어 기체는 우측 또는 좌측으로 완만하게 선회해 간다. 또 유로(34)에 설치되어 있는 시이퀸스밸브(47)는 우측 또는 좌측사이드 기어(21R), (21L)가 우측 또는 좌측 제4기어(26R), (26L)에 완전히 맞물리는데 필요한 압력을, 유압실린더(31R), (31L)에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조작레버(39)를 우측 또는 좌측 제1선회위치(R1), (L1)에서 우측 또는 좌측 제2선회위치(R2), (L2)로 조작하면 우측 또는 좌측사이드 기어(21R), (21L)가 우측 또는 좌측 제4기어(26R), (26L)에 맞물리고, 또한 제2절환밸브(35)가 사이드 브레이크(28)에의 작동유 공급위치(35a)로 조작된 상태에서 와이아(48)가 조작레바(39)측으로 끌어당김 조작되는 가변 릴리이프밸브(36)가 전개상태에서 서서히 폐쇄축으로 조작되어 간다. 이에 따라 사이드 브레이크(28)가 작용하기 시작하여 우측 또는 좌측의 차측(22R), (22L)에 서서히 제동이 걸려 기체는 우측 또는 좌측으로 신지선회해 간다. 그리하여 조작레버(39)의 우측 또는 좌측 제2선회위치(R2), (L2)에 있어서 사이드 브레이크(28)의 제동력은 최대가 된다.
다음에 절환레버(44)를 초신지선회위치로 조작하면 제2절환밸브(35)가 유압클러치(30)로의 작동유 공급위치(35b)로 절환 조작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레버(39)를 중립위치(N)에서 우측 또는 좌측 제1선회위치(R1), (L1)로 조작하면, 상기와 같이 우측 또는 좌측 사이드클러치(25R), (25L)의 차단상태가 나타난다.
다음에 조작레버(39)를 우측 또는 좌측 제1선회위치(R1), (L1)에서 우측 또는 좌측 제2선회위치(R2), (L2)로 조작해 가면, 우측 또는 좌측사이드 기어(21R), (21L)가 우측 또는 좌측 제4기어어(26R), (26L)에 맞물리고, 또한 제2절환밸브(35)가 유압클러치(30)에의 작동유의 공급위치(35b)로 조작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가변릴리이프 밸브(36)가 전계상태에서 서서히 폐쇄축으로 조작되어 간다.
이로 인해 주행장치(24), (24)중의 한쪽이 역전 구동되어 초신지선회를 할 수 있다. 제1도에 도시하듯이 가변릴리이프 밸브(36)용 조작아암(45)에 대하여 축심(P1) 주위로 요동자재한 견제아암(49)이 배치됨과 아울러, 이 견제아암(49)과 절환레버(44)에 걸쳐 와이어(50)가 접속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하여 절환레버(44)를 신지 또는 초신지선의 위치로 조작하고 있으면, 외이어(50)의 끌어당기는 작용에 의하여 견제아암(49)은 제1도의 실선으로 표시하는 위치에 있다.
따라서 이 상태로 조작아암(45)이 폐색축으로 조작 가능하고, 사이드 브레이크(28) 또는 유압클러치(30)가 연결조작된다. 그리고 절환레버(44)를 완선회 위치로 조작하면, 제2도에 표시하는 시피트 부재(41)가 제2스프로켓(38)에 맞물림과 아울러 와이어(50)가 복귀조작되어 스프링(51)에 의해 견제아암(49)이 지면(紙面)하방으로 회동조작된다. 이로 인하여 가변 릴리이프 밸브(36)용 조작아암(45)이 전개위치로 강제적으로 복귀되어 유지되는 것이고, 제2절환 밸브(35)의 조작위치에 관계없이 사이드 브레이크(28) 및 유압클러치(30)의 양자 모드가 차단조작된다.
이상의 상태로 조작레버(39)를 우측 또는 좌측 제1선회위치(R1), (L1)로 조작하고, 우측 또는 좌측 사이드기어(21R), (21L)를 우측 또는 좌측 제4기어(26R), (26L)에 맞물리면 우측 또는 좌측의 차축(22R), (22L)이 1/2로 감속되어 정회전 구동된다.
이리하여 기체는 우측 또는 좌측으로 완선회하여 가는 것이다.
또 이 상태로 조작레버(39)를 우측 또는 좌측 제2선회위치(R2), (L2)로 조작하여 와이어(48)가 끌어당기게 조작되어도 융통용 스프링(52)이 늘어날 뿐이고 조작아암(45)은 폐색측으로 조작되지 않는다. 제2도에 표시하듯이 제4전동축(27)의 일단에 주차용 주브레이크(53)가 설치됨과 아울러 제1도에 표시하듯이 브레이크 페달(54)과 주브레이크(53) 및 좌우의 조작부(46R), (46L)가 기계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54)을 밟아 조작하면, 좌우의 조작부(46R), (46L)에 의해 좌우측 사이드 기어(21L), (21R)가 각각 좌측 및 우측 제4기어(26L), (26R)에 맞물리는 동시에 주브레이크(53)가 연결조작 되어 주차조작이 행해진다.
이 경우에 브레이크 페달(54)은 제2도의 시프트부재(41)와도 기계적으로 연계되어 있고, 브레이크 페달(54)을 밟아 조작하면 시프트부재(41)가 제2스프로켓(38)에서 강제적으로 이간조작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4도에는 먼저의 실시예의 변형예가 표시되어 있고 먼저의 실시예에 교하여 조작아암(45)이나 견제아암(49) 대신에 제2절환밸브(35)에 배유위치(35c)(언로우드 수단에 상당함)를 설치하고, 절환레버(44)(절환수단에 상당함)를 완선회 위치로 조작하면, 제2절환밸브(35)가 배유위치(35c)에 조작되도록 연계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이 때문에 완선회 시에는 가변릴리이프 밸브(36)용인 조작아암(45)의 위치에 관계없이 사이드 브레이크(28) 및 유압클러치(30)가 차단조작되고 있는 것이다. 또 완선회용 동력의 연결과 차단은 제2도에 표시하듯이 시프트부재(41)를 제2스프로켓(38)에 대하여 맞물림, 이간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실시하고 있지만 시프트부재(41)를 없애고 제2스프로켓(38)과 제4전동축(27) 사이에 유압클러치(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절환레버(44)를 신지 또는 초신지선회 위치로 조작했을 때에 제2스프로켓(38)과 제4전동축(27)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한 유압클러치를 인로우드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신지 및 초신지선회상태에서의 이중전동 상태를 방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5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구조의 별도의 실시예가 표시되어 있고 여기에서는 감속전동기구를 위한 클러치가 유압클러치(100)로서, 제2스프로켓(38)과 제4전동축(27)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우측 또는 좌측사이드 기어(21R), (21L)를 우측 또는 좌측 제4기어(26R), (26L)에 맞물린 상태로 이 유압클러치(100)를 연결조작하면, 제3전동축(15)으로 부터의 정전동력이 예컨대 1/2로 가속되어 차축(22R) 또는 (22L)에 전달되어 완선회상태를 만들어 내는 것은 앞서 말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것이 완선회상태이다.
다음에 좌우측 사이드 기어(21L), (21R)의 슬라이드조작을 하는 유압실린더(31R), (31L), 사이드 브레이크(28), 역전용 및 감속용 유압클러치(100), (30)으로의 작동유 공급의 별도의 실시예의 특징을 설명한다.
제6도에 표시하듯이 펌프(32)로 부터의 작동유가 제1절환밸브(33)를 개재하여 좌우사이드 기어(21L) (21R)에 대한 유압실린더(31R), (31L)에 공급되는 동시에 유압실린더(31R), (31L)의 측면에서의 유로(34)가 사이드 브레이크(28) 감속용 및 역전용 유압클러치(100), (30)에 대한 절환밸브(3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유로(34)에는 사이드 브레이크(28), 감속용 및 역전용 유압클러치(100), (30)에 대한 가변 릴리이프 밸브(36)(송압조절기구에 상당)가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절환밸브(35) 및 가변 릴리이프 밸브(36)의 조작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 7, 8도에 표시하듯이 절환레버(18)와 제2절환레버(35)가 조작아암(141), 조작축(142), 조작아암(143), 와이어(44)를 개재하여 연동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레버(39)와 가변릴리이프 밸브(36)가 조작아암(145), 조작축(142)에 상대회전자재하게 외감된 원통축(149), 조작아암(150), 와이어(48)를 개재하여 연계되어 있다. 또 조작레버(39)와 제1절환밸브(33)는, 먼저 실시예와 같이 기계적으로 인계되어 있다.
제6도에 표시하는 상태는 절환레버(18)를 신지선회 위치로 조작하고 있는 상태이고, 절환밸브(35)가 사이드 브레이크(28)로의 작동유 공급위치(135a)에 조작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조작레버(39)를 중립위치(N)로 부터 우측 제1선회위치(R1) 또는좌측 제1선회위치(L1)로 조작하면 절환밸브(33)만 조작되어 유압실린더(31R) 또는 (31L)에 의하여 우측 또는 좌측의 조작부(46R), (46L)를 개재하여, 제3기어(19)에 맞물려 있던 우측 또는 좌측 사이드 기어(21R), (21L)가 제3기어(19)로 부터 이탈하여 우측 또는 좌측 제4기어(26R), (26L)에 맞물린다. 이 경우에 가변릴리이프 밸브(36)는 전개상태에 있고 사이드 브레이크(28)가 차단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우측 또는 좌측의 차축(22R), (22L)에의 전동이 단절된 상태(사이드 클러치(25R) 또는 (25L)의 단절상태)가 되어 기체는 우측 또는 좌측으로 완만하게 선회해 간다.
다음에 조작레버(39)를 우측 또는 좌측 제1선회위치(R1), (L1)에서 우측 또는 좌측 제2선회위치(R2), (L2)로 조작해가면 우측 또는 좌측 사이드 기어(21R), (21L)가 우측 또는 좌측 제4기어(26R), (26L)에 맞물리고, 또한 절환밸브(35)가 사이드 브레이크(28)로의 작동유 공급위치(135a)에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와이어(48)의 견인 작용 및 조작아암(145)의 미는 작용에 의하여, 가변 릴리이프 밸브(36)가 전개상태에서 서서히 폐색축으로 조작되어 간다. 이에 따라 사이드 브레이크(28)가 작용하기 시작하여 우측 또는 좌측의 차축(22R)(22L)에 서서히 제동이 걸려 기체는 우측 또는 좌측으로 신지선회해간다. 조작레버(39)의 우측 또는 좌측 제2선회위치(R2), (L2)에 있어서 사이드 브레이크(28)의 제동력은 최대로 된다.
다음에 절환레버(18)를 초신지선회위치로 조작하면 복귀스프링(161)의 작용에 의해 절환밸브(35)가 역전용 유압클러치(30)로의 작동유 공급위치(135b)로 절환조작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레버(39)를 중립위치(N)에서 우측 또는 좌측 제1선회위치(R1), (L1)로 조작하면 상기와 같이 우측 또는 좌측 사이드 클러치(25R), (25L)의 차단상태가 나타난다.
다음에 조작레버(39)를 우측 또는 좌측 제1선회위치(R1), (L1)에서 우측 또는 좌측 제2선회위치(R2), (L2)로 조작해가면 우측 또는 좌측 사이드 기어(21R), (21L)가 우측 또는 좌측 제4기어(26R), (26L)에 맞물리고, 또한 절환밸브(35)가 유압클러치(30)에의 작동유 공급위치(135b)로 조작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가변 릴리이프 밸브(36)가 전개상태에서 서서히 폐색축으로 조작되어 간다. 조작레버(39)의 조작위치에 따라 유압클러치(30)의 연결상태를 변화시켜 초신지선회의 선회반경을 미묘하게 조절하는 것이다.
제7도 및 제8도에 표시하듯이 조작축(142)에 아암(162)이 상대회전자재하게 외감됨과 아울러 암(162)에 고정된 핀(162a)이 절환밸브(35)용 조작아암(141)의 장공(141a)에 개입되어 있다.
그리하여 제8도에 있어서 아암(162) 및 핀(162a)이 장공(141a)의 지면(紙面) 우측에 위치하도록 부세하는 코일 스프링(163)에 부착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가변 릴리이프 밸브(36)용 조작아암(145)에 핀(145a)이 고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하여 절환레버(18)를 완선회위치로 절환 조작해가면 와이어(44)가 절환레버(18)축으로 견인조작되어 제8도에 표시하듯이 조작아암(41)과 아암(162)이 함께 지면 오른쪽으로 요동해 간다. 그리하여 아암(162)이 핀(145a)에 맞닿아 가변 릴리이프 밸브(36)를 스트로크엔드(최대압력에 상당)에 까지 미는 동시에 (초기압이 높혀진 상태) 조작아암(141)이 절환밸브(35)를 유압클러치(100)에의 작동유 공급위치(135c)로 절환조작한다. 이 경우, 조작레버(39)가 중립위치(N)에 있으면, 절환밸브(33)가 중립위치에 있고 사이퀸스 밸브(47)가 닫혀 있기 때문에 제1유압클러치(12)의 압력은 0가 되어 있다. 또 아암(162)을 코일스프링(162)으로 부세하는 것은 가변 릴리이프 밸브(36)가 스트로크 앤드에 달한 후 절환밸브(35)가 공급위치(135c)로 절환조작될 경우에 있어서 그 스트로크의 차이를 흡수하기 위해서이다,
이상의 상태에서 조작레버(39)를 중립위치(N)에서 우측 또는 좌측 제1선회위치(R1), (L1)로 조작하면, 절환밸브(33)가 조작되어 유압실린더(31R) 또는 (31L)에 의해 우측 또는 좌측사이드 기어(21R), (21L)가 슬라이드 조작된다. 이 동안에 우측 또는 좌측사이드(21R), (21L)가 우측 또는 좌측 제4기어(26R), (26L)에 대략 맞물릴 때 까지는 시이퀸스 밸브(47)는 닫혀있는 까닭에 감속용 유압클러치(100)의 압력은 상승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우측 또는 좌측사이드 기어(21R), (21L)가 우측 또는 좌측 제4기어(26R), (26L)에 대략 맞물려 시이퀸스밸브(47)가 열리면 가변릴리이프밸브(36)가 닫혀있기 때문에 유압클러치(100)의 압력이 급상승하여 연결상태가 되어서 지체없이 완선회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는 별도의 실시예에서는 절환레버(18)를 완선회위치로 조작하면 가변릴리이프밸브(36)가 최대 압력상태로 까지 조작되도록 구성했지만 절환레버(18)를 완선회 위치로 조작하면 가변릴리이프 밸브(36)가 최저 및 최대 압력상태의 중간상태로까지 조작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조작레버(39)를 우측 또는 좌측 제1선회위치(R1), (L1)로 조작해서, 시이퀸스 밸브(47)가 열린 시점에서 유압클러치(100)가 반(半)클러치 상태로 된다.
이 경우 가변릴리이프 밸브(36)와 조작레버(39)를 연계하는 와이어(48)가 다소 느슨해지는 까닭에 우측 또는 좌측 제1선회 위치(R1), (L1)에서 잠시 압력이 변화하지 않는 상태가 발생한다.
그 후 조작레버(39)의 조작위치에 따라서 가변릴리이프 밸브(36)가 폐색측으로 조작되어 유압클러치(100)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이다.

Claims (8)

  1. 작업차를 조향하기 위하여 좌우 한쌍의 차측(22SL)(22R)을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전동구조에 있어서, 사전 변속된 동력이 전달되는 입력축(15)과, 상기한 입력축(15)에 평행하게 설치된 중간축(127) 및 출력축(20)과, 상기한 차축(22L), (22R)을 독립적으로 제동하는 사이드 브레이크(28)와, 상기입력축(15)으로부터 중간축(27)으로 동력을 감속 전달하는 클러치(41)가 부설된 저속용 전동기구(43)와, 상기한 입력축(15)으로부터 중간축(27)으로 동력을 역전달하는 클러치(30)가 부설된 역전 전동기구(16)(37)와, 상기한 출력축(20)에 설치됨과 아울러, 중간축(27)으로 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21L)가 부설된 좌측 중간 전동기구(29L)(26L)와, 상기한 출력축(20)에 설치됨과 아울러 중간축(27)으로 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21R)가 부설된 우측 중간 전동기구(29R)(26R)와, 상기한 입력축(15)으로 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정회전 전동기구(18)(19)와, 상기한 정회전 진동기구와 좌측 중간 전동기구로부터 선택적으로 동력을 좌측 차축(22L)에 전달하는 좌측출력 전동기구(21L)(23L)와, 상기한 정회전 전동기구와 우측중간 전동기구로 부터 선택적으로 동력을 우측 차축(22R)에 전달하는 우측출력 전동기구(21R)(23R)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조향조작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저속용 전동기구(43)는 입력축(15)에 설치된 제1스프로켓(13)과 중간축에 설치된 제2스프로켓(38)과, 이 제2스프로켓(38)과 중간축과의 사이의 동력전달을 하는 저속용 클러치(42)로 구성된 전동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조향 조작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저속용 클러치(42)가 중간축(27)상을 슬라이드하는 맞물림 클러치로서 형성되어 있는 전동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조향조작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저속용 클러치(42)가 중간축(27)상에 설치된 유압클러치로서 형성되어 있는 전동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조향조작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사이드 브레이크(28)가 중간축(27)에 설치되어 있는 전동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조향조작구조.
  6.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역전 전동기구는 입력축(15)에 고정된 기어(16)와, 이 기어(16)와 맞물림과 동시에 중간축(27)을 유전(遊轉)하고 있는 기어(37)로 구성되며, 이 유전 전동기구에 장비되어 사이한 기어(37)와 중간축(27)을 연결하는 클러치는 유압클러치(30)로서 형성되어 있는 전동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조향조작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유압클러치(30)에는 유압클러치의 압력을 완만하게 상승시키는 소압조정기구(36)가 장비되어 있는 전동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조향조작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저속전동기구(43)의 클러치(41)가 차단조작됨과 아울러 유압클러치(30)의 유압이 개방되는 전동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조향조작구조.
KR1019910006498A 1990-09-03 1991-04-23 작업차의 조향조작구조 KR9600035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34307 1990-09-03
JP2234307A JP2635807B2 (ja) 1990-09-03 1990-09-03 作業車の操向操作構造
JP2-238090 1990-09-06
JP2238090A JP2641608B2 (ja) 1990-09-06 1990-09-06 作業車の操向操作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194A KR920006194A (ko) 1992-04-27
KR960003519B1 true KR960003519B1 (ko) 1996-03-14

Family

ID=26531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6498A KR960003519B1 (ko) 1990-09-03 1991-04-23 작업차의 조향조작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5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449B1 (ko) 2020-06-08 2020-09-21 (주)한성티앤아이 고소작업차의 조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194A (ko) 199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3519B1 (ko) 작업차의 조향조작구조
JP2635808B2 (ja) 作業車の操向操作構造
JP2945562B2 (ja) 作業車の旋回操作構造
JP2694057B2 (ja)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JP2703152B2 (ja)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JP2555272Y2 (ja)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JP2574364Y2 (ja)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JPH1149022A (ja) 作業機の旋回装置
JP3498715B2 (ja) 移動農機の走行伝動装置
JP2635807B2 (ja) 作業車の操向操作構造
JP3368597B2 (ja) 移動農機の走行伝動装置
JP2622198B2 (ja) 作業車
JP2721063B2 (ja) 刈取収穫機
KR960001387B1 (ko) 작업차의 조향전동구조
JP3097632B2 (ja) 作業車輌の走行伝動装置
JP2598160B2 (ja) 作業車
JP2567509B2 (ja) 作業車の操向操作構造
JP2911720B2 (ja) 作業車の旋回操作構造
JP2641608B2 (ja) 作業車の操向操作構造
JPH03153479A (ja) 作業車
JP3630626B2 (ja) 作業機の伝動装置
JP2535940Y2 (ja) 作業車
JP2558031Y2 (ja) トラクタの前輪倍速装置用油圧制御装置
JP2641617B2 (ja) 作業車の操向操作構造
JP2559625Y2 (ja) 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3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