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150Y1 - 엘리베이터의 도어록(door lock)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도어록(door lock)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150Y1
KR920002150Y1 KR2019910025204U KR910025204U KR920002150Y1 KR 920002150 Y1 KR920002150 Y1 KR 920002150Y1 KR 2019910025204 U KR2019910025204 U KR 2019910025204U KR 910025204 U KR910025204 U KR 910025204U KR 920002150 Y1 KR920002150 Y1 KR 920002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movement
rolle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52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쓰오 우메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시키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17940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22791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시키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20199100252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21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1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도어록(door lock)장치
제 1 도는 이 고안은 제1의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카를 내부에서 본 엘리베이터의 도어록장치의 요부정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제1의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도어록장치의 동작설명도.
제 3 도는 이 고안의 제2실시예의 엘리베이터카를 내부에서 본 엘리베이터의 도어록장치의 요부정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제2실시예의 엘리베이터 도어록장치의 동작설명도.
제 5 도는 이 고안의 제3의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카를 내부에서 본 엘리베이터의 도어록장치의 요부정면도.
제 6 도에서 제 8 도는 제 5 도의 제 3 도의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의 도어록장치의 동작설명도.
제 9 도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도어록장치의 요부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카도어 16, 46 : 규제부재
23 : 롤러암(arm) 23a : 롤러
23b : 암부재 22, 42 : 이동선택부재
24, 44 : 보지수단 30 : 캠본체
이 고안은 엘리베이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엘리베이터카(이하 카로약칭한다)의 도어를 잠그거나 여는 엘리베이터의 도어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엘리베이터의 도어록장치로서, 일본국 특공소 59-17031호 공보에 개재된 기술이 있다.
제 9 도는 상기 공보로 개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도어록장치의 요부설명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승강로, 2는 이것을 승강하는 카, 3은 여닫이문으로 된 엘리베이터카 도어, 4은 도어(3)에 설치된 돌기부, 5는 카(2)에 중간부가 축지된 가동체로 된 걸어맞춤장치인데, 일단에는 돌기부(4)에 맞닿는 접촉부(5a)가, 또 타단에는 롤러(5b)가 부착되어 있다.
6은 걸어맞춤장치(5)를 제 9 도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탄력을 가하는 탄성체 7은 카(2)에 설치되어 걸어맞춤장치(5)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소정위치에서 억제하는 스토퍼, 8은 카(2)의 승강중에 내장하는 솔레노이드가 작동되어 걸서 맞춤장치(5)의 접촉부(5a)를 흡인하는 전자석으로 된 보지장치, 9는 승강로(1)에 설치되어서 카도어(3)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대응되지 않는 구간, 즉, 카도어(3)의 정규정지구간밖에 배치된 캠이다.
지금 카도어(3)가 정상적으로 정지구간에 정지되어 있다고 하면 보지장치(8)의 작동이 정지되며, 또 캠(9)이 배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탄성체(6)의 탄력에 의하여 걸어맞춤장치(5)는 제 9 도에 점쇄선으로 표시한 A위치, 즉 비걸어맞춤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걸어맞춤장치(5)가 A위치에 있을때는 접촉부(5a)와 돌기부(4)가 대향되어 있지 않으므로 카도어(3)가 개방될수 있다.
그리고 카(2)가 승강하기 시작하면 보지장치(8)가 작동하게 된다.
또, 캠(9)에 의하여 롤러(5b)가 변위하면 걸어맞춤장치(5)는 제 9 도의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B위치가 되며, 접촉부(5a)가 돌기부(4)에 대향하고, 걸어맞춤위치가 되어 도어(3)의 개방이 저지된다.
또 접촉부(5a)가 보지장치(8)에 흡인되고 이로 인하여 접촉부(5a)가 보지되어 걸어맞춤장치(5)는 제 9 도의 실선으로 표시한 c위치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접촉부(5a)가 돌기부(4)에 대향된 걸어맞춤위치로 되기 때문에 카도어(3)의 개방이 저지된다. 또, 정규정지구역밖에서 보지장치(8)의 솔레노이드가 정전등으로 인하여 비여자로 되었을 경우에도 접촉부(5a)가 돌기부(4)에 대향되어 걸어맞춤위치로 되기 때문에 카도어(3)의 개방이 저지된다.
따라서, 카(2)의 이동이 정규의 정지시 이외에 카도어(3)가 개방되어 생기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도어록장치의 승강운행중에는 보지장치(8)의 솔레노이드를 여자시켜 기계적으로 카도어(3)를 록 시키며 소정의 층에서 정지중에는 보지장치(8)의 솔레노이드를 비여자로서 카도어(3)의 기계적인 록을 해제시키는 것으로서, 정규정지구역이외를 보지장치(8)의 솔레노이드를 비여자로서 카도어(3)의 기계적인 록을 해제시키는 것으로서, 정규정지구역이외를 보지장치(8)의 솔레노이드를 비여자로 한 경우에는 접촉부(5a)가 돌기부(4)에 대향되어 걸어맞춤위치로 되기 때문에 카도어(3)의 개방이 저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을 실시하는데는, 정규정지구역밖에 캠(9)을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비정지구간이 길면 이 구간의 전장에 걸쳐서 캠을 설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그 부착 및 조정하는데 많은 시간을 요하게 되어 코스트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이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부착 및 조정을 용이하게 하고 고속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이 고안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도어록장치는 카도어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승강로에 설치된 캠본체와, 이 캠본체의 변위에 대응동작하는 카측에 설치된 롤러암(arm)의 회전에 의하여 대응동작하는 이동선택부재와, 상기 카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선택부재와 도어의 개폐구역밖에서 걸어맞추어 도어의 개방을 구속하는 규제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이 고안은 카도어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승강로에 설치된 캠본체와, 이 캠본체의 변위에 대응동작하는 카측에 설치된 롤러함의 회전에 의하여 대응동작하는 이동선택부재와, 상기 카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선택부재와 카도어의 개폐구역 밖에서 걸어맞추어서 도어의 개방을 구속하는 규제부재와, 상기 롤러암의 회전에 의하여 대응동작하는 이동선택부재를 전기적 제어에 의하여 그 구동을 제한하는 보지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 고안에 있어서는, 카도어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캠본체를 승강로에 설치하고 롤러가 단부에 있는 암부재로 된 카측에 설치된 롤러암에 의하여 캠본체의 변위를 검출하고 캠본체의 변위를 이동선택부재의 이동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카도어의 개폐구역밖에서는 카도어에 설치된 규제부재와의 걸어맞춤으로 도어의 개방을 구속시킨다. 카도어의 개폐구역에서는 카도어에 설치된 규제부재와의 걸어맞춤을 해제시켜 카도어 개방을 자유롭게 한다.
이 고안에 있어서는, 카도어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캠본체를 승강로에 설치하고 롤러가 단부에 있는 암부재로 된 카측에 설치된 롤러암에 의하여 캠본체의 변위를 검출하고 캠본체의 변위를 이동선택부재의 이동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카도어의 개폐구역밖에서는 카도어에 설치된 규제부재와의 걸어맞춤으로 카도어의 개방을 구속시킨다. 또 카도어의 개폐구역에서는 카도어에 설치된 규제부재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카도어의 개방을 자유롭게 한다.
그리고 보지수단을 전기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롤러암의 회전에 의하여 대응동작하는 이동선택부재를 구속시키며 롤러암의 롤러와 카도어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캠본체와의 접촉을 특정 장소까지 무접촉으로 할 수 있어 고속으로 대응할 수 있다.
제 1 도는 이 고안의 한 실시예의 카를 내부에서 본 엘리베이터의 도어록장치의 요부정면도이다.
또 제 2 도는 제 1 도의 제1실시예의 엘리베이터의 도어록장치의 동작설명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0은 엘리베이터의 좌우로 개폐하는 카도어, 11은 카를 구성하는 일부인 상부프레임, 12는 카도어(10)를 상부프레임(11)의 레임상에서 주행시키는 카도어용전동차, 13은 모터 및 감속기등을 내장하고, 그 출력측으로 카도어(10)를 개폐하는 개폐구동장치, 14는 개폐구동장치(13)의 회전출력을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크랭크부재, 15는 개폐구동장치(13)의 출력을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킨 크랭크부재(14)에 축지되고, 개폐구동장치(13)의 개폐구동력을 카도어(10)에 전달시키는 보조부재, 16은 카도어(10)에 부착된 한쪽의 보조부재에 볼트(16a)에 의하여 고착된 규제부재, 20은 축부재(21)를 회전자제하게 상부프레임(11)에 부착시키는 부착부재, 22는 축부재(21)의 개폐구동장치(13)측의 단부에 축부재(21)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였을때 규제부재(16)의 개문이동을 규제하는 이동선택부재, 23은 축부재(21)의 단부에 부착된 롤러암, 상기 롤러암(23)은 승강로(제 9 도 참조)에 설치된 캠본체(30)에 맞닿아서 캠본체(30)의 변위를 축부재(21)에 전달하는 것이다.
30은 승강로에 설치되고 카도어(10)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위치에 설치된 캠본체이다. 또한 제 2 도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의 도어록장치의 구조 및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이동선택부재(22)는 축부재(21)에 볼트(22a)를 체결함으로써 개구하는 상호간에 협지시키고 있다.
또 이동선택부재(22)는 v자형 벤자리부(22b)를 갖고 있으며 상기 v자형 벤자리부(22b)에 의하여 상부돌기부(22c)및 하부돌기부(22d)가 형성되어 있다.
롤러암(23)은 축부재(21)에 설치된 암부재(23b)와 롤러(23a)로 되어 있다.
제 2 도의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에 있을때, 즉, 캠본체(30)가 롤러암(23)의 롤러(23a)에 맞닿았을대 이동선택부재(22)의 v자형 벤자리부(22b)는 규제부재(16)의 개문이동을 규제함이 없이 자유로이 개문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 2 도의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위치에 있을때 즉, 캠본체(30)와 롤러암(23)의 롤러(23a)가 맞닿아 있지 않을때 이동선택부재(22)의 하부돌기부(22d)는 규제부재(16)의 개문이동을 규제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의 도어록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승강로에 설치된 카도어(10)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위치에 설치된 캠본체(30)가 존재하지 않는 장소에서는 캠본체(30)와 롤러암(23)의 롤러(23a)가 맞닿지 않고 제 2 도의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위치로 된다.
이때 이동선택부재(22)의 하부돌기부(22d)는 규제부재(16)의 개문이동을 규제하고 있으므로 카도어(10)에 일체로 부착된 보조부재(15)의 이동을 구속시키며 카도어(10)는 개폐구동장치(13)및 인력으로 개폐시킬 수 없다.
즉, 정전등 전력공급이 되지 않는 경우에 카도어(10)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위치에 설치된 캠본체(30)가 존재하지 않는 장소에서는 카도어(10)가 열리지 않는다. 또 승강로에 설치된 카도어(10)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위치에 설치된 캠본체(30)가 존재하는 장소에서는 캠본체(30)의 롤러암(23)의 롤러(23a)가 맞닿아서 제 2 도의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로 된다.
이때 이동선택부재(22)의 v자형 벤자리부(22b)는 규제부재(16)의 개문이동을 규재하지 않기 때문에 카도어(10)에 일체로 부착된 보조부재(15)의 이동은 자유롭게 되며 카도어(10)는 개폐구동장치(13)및 인력으로 개폐시킬수 있다.
즉, 정전등 전력공급이 되지 않는 경우에도 카도어(10)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위치에 설치된 캠본체(30)가 존재하는 장소에서는 카도어(10)를 인력으로 개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캠본체(30)와 롤러암(23)의 롤러(23a)가 카도어(10)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위치에 설치된 캠본체(30)가 존재하는 장소에서는 카의 정지 여하에 관계없이 맞닿게 된다.
이 상태의 고속엘리베이터에서는 노이즈(noise)가 발생한다.
그래서, 이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한 것이 제2실시예의 엘리베이터의 도어록장치인 것이다.
제 3 도는 이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카의 내부에서 본 엘리베이터의 도어록장치의 요부정면도이다.
또, 제 4 도는 제 3 도의 제 2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의 도어록장치의 요부정면도이다.
도면중, 제 1 도 및 제 2 도와 동일부호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는 제2실시예와 상이점만을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24는 롤러암(23)의 회전에 의하여 대응동작하는 이동선택부재(22)를 전기적제어에 의해 그 구동을 제한하는 보지수단으로서, 솔레노이드(24a)및 그것을 지지하고 자로를 형성하는 요크(24b), 솔레노이드(24a)에 삽입된 가동철심(24c), 상기 가동철심(24c)에 끼워맞추어서 축지되고 축부재(21)에 부착된 회동암(24d)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본적으로 전자석으로 회전암(24d)의 회전을 제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의 도어록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솔레노이드(24a)의 통전을 차단시켜 보지수단(24)을 비여자상태로 하였을때 가동철심(24c)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되어 제1실시예와 동일한 동작을 한다. 또 솔레노이드(24a)에 통전시켜 보지수단(24)을 여자상태로 하였을때 가동철심(24c)은 솔레노이드(24a)에 의하여 흡인되어 회전암(24d)은 솔레노이드(24a)축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회전암(24d)을 부착시킨 축부재(21)는 회전하여 캠본체(30)와 롤러암(23)의 롤로(23a)의 사이가 간격 T만큼 벌어진다.
그러므로, 보지수단(24)을 여자상태로 하였을때 캠본체(30)와 롤러암(23)의 롤로(23a)간의 접촉을 회피하고 카를 이동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카이동시의 제어는 카이동개시에서 부터 지시된 소정층 직전까지 보지수단(24)을 여자상태로 하며 지시된 층직전에서 보지수단(24)을 비여자상태로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정전 또는 이상 상태에 의하여 전력이 차단되었을 경우에는 보지수단(24)을 비여자상태로 함으로써 캠본체(30)와 롤러암(23)의 롤러(23a)와의 접촉상태에 의하여 카도어(10)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위치가 판단되며 캠본체(30)가 존재하는 장소에서는 카도어(10)를 인력으로 개방시킬수 있다.
또 제 5 도는 이 발명의 제3실시예의 카 내부에서 본 엘리베이터의 도어록장치의 요부정면도이다.
제 6 도에서 제 8 도는 제 5 도의 제3실시예의 엘리베이터도어록장치의 동작설명도이다.
도면중 제 1 도에서 제 4 도까지와 동일기호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동일부분을 표시한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상이점만을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41은 케이블로서, 외피(41a)및 심재(41b)로 되어 있다.
상기 심재(41b)의 단부는 롤러암(23)의 암부재(23b)에서 돌출된 부착부(23c)에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외피(41a)는 상부프레임(11)에 부착되어 있다.
42는 지점부재(42a)로 지지된 이동선택부재로서, 카도어(10)의 상부에 설치된 규제부재(46)와 걸어맞춤 또는 걸어맞춤 해제를 행하는 것이다.
상기 케이블(41)의 심제(41b)의 타단은 이 이동선택부재(42)에 부착되어 있으며 롤러암(23)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선택부재(42)가 회전하며 또 이동선택부재(42)의 회전에 의하여 롤러암(23)이 회전하도록 연계되어 있다.
상기 이동선택부재(42)에는 제1걸림부(42b)및 제2걸림부(42c)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1걸림부(42b)와 제2걸림부(42c)는 지점부재(42a)를 중심으로 서로 역동작하도록 위치가 결정되어 있다.
또 이동선택부재(412)의 제1걸림부(42b)및 제2걸림부(42c)에 대응시켜 규제부재(46)에 상기 제1걸림부(42b)와 맞닿는 제1접촉부(46a)및 제2걸림부(42c)와 맞닿는 제2접촉부(46b)를 갖고 있다. 그리고, 43은 스토퍼로서, 이동선택부재(42)의 회전을 제한하고 있다.
상기 이동선택부재(42)의 지점부재(42a)를 중심으로 하였을때 케이블(41)의 심재(41b)가 부착된 반대측에는 접속보조부재(44b)를 통해 전기적 제어에 의하여 그 구동을 제한하는 보지수단(44)을 구성하는 가동철심(44a)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접속보조부재(44b)와 가동철심(44a)및 접속보조부재(44b)와 이동선택부재(42)는 지지되어 있다.
상기 보지수단(44)은 솔레노이드 및 이것을 지지하며 자로를 형성하는 쵸크, 솔레노이드에 삽입된 가동철심(44a), 상기 가동철심(44a)에 지지되어 있는 접속보조부재(44b)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지수단(44)은 전기적 제어에 의하여 그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45는 보지수단(44)을 제어할 경우와, 제어하지 않은 경우를 선택하는 스위치이다. 이 스위치(45)가 오프(off)의 경우에는 보지수단(44)이 비여자로 되어 작용하지 않는다. 온(on)의 경우에는 보지수단(44)이 여자되어 다른 제어장치등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할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의 도어록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또 기본동작은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간단하게 설명한다.
우선, 보지수단(44)이 비동작상태일때 승강로에 설치된 카도어(10)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위치에 설치된 캠본체(30)가 존재하지 않는 장소에서는 제 7 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캠본체(30)와 롤러암(23)의 롤러(23a)가 맞닿지 않으며, 케이블(41)의 심재(41b)가 당겨져서 이동선택부재(42)와 심재(41b)의 접속부를 제 6 도의 상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토퍼(43)에서 이동선택부재(42)의 회전을 제한하고 있다.
이때 이동선택부재(42)의 제2걸림부(4c)와 제2접촉부(46b)가 맞닿아서 카도어(10)의 개방을 구속시킨다. 따라서 카도어(10)는 개폐구동장치(13)및 인력으로 개폐시킬수 없다.
즉, 정전등으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카도어(10)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위치에 설치된 캠본체(10)가 존재하지 않는 장소에서는 카도어(10)가 열리지 않는다. 또, 보지수단(44)이 비동작상태일때, 승강로에 설치된 카도어(10)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위치에 설치된 캠본체(30)가 존재하는 장소에서는 캠본체(30)와 롤러암(23)의 롤러(23a)가 맞닿으며, 롤러암(23) 및 이동선택부재(42)는 제 6 도에서 표시한 위치로 된다.
즉, 캠본체(30)와 롤러암(23)의 롤러(23a)가 맞닿으며 케이블(41)의 심재(41b)에 의하여 이동선택부재(42)의 제1걸림부(42b) 및 제2걸림부(42c)가 규제부재(46)의 제1접촉부(46a)및 제2접촉부(46b)와 맞닿지 않는 수평위치로 된다.
이때 이동선택부재(42)와 구제부재(46)가 맞닿지 않으므로 카도어(10)가 자유롭게 개폐된다.
따라서 카도어(10)는 개폐구동장치(13)및 인력으로 개폐시킬수 있다.
즉, 정전등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카도어(10)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위치에 설치된 캠본체(30)가 존재하는 장소에서는 카도어(10)를 개방할수 있다.
그리고 보지수단(44)에 전력이 공급되어 동작상태일때 가동철심(44a)은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흡입된다. 이로 인하여 가동철심(44a)에 접속된 접속보조부재(44b)는 이동선택부재(42)와의 접속장소를 제 8 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상승시킨다. 이때 이동선택부재(42)의 제1걸림부(42b)와 제1접촉부(46a)가 맞닿아서 카도어(10)의 개방을 구속시킨다.
또 이동선택부재(42)는 케이블(41)의 심재(41b)를 아래쪽으로 잡아당겨 캠본체(30)를 검출하는 롤러암(23)을 회전시키며 캠본체(30)와 롤러(23a)를 거리 T만큼 이격시켜 캠본체(30)와 롤러(23a)를 비접촉으로 한다.
따라서, 카도어(10)는 개폐구동장치(13)및 인력으로 개폐할 수 없다.
즉, 카가 승강중이기 때문에 카도어(10)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위치에 설치된 캠본체(30)가 존재하여도 캠본체(30)를 검출함이 없이 카도어(10)의 개방을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정전 또는 이상에 의하여 보지수단(44)에 전력이 차단되었을 경우에는 가동철심(44a)의 흡인력이 해방되어 이동선택부재(42)를 회전자재하게 하므로 이때의 캠본체(30)의 롤러(23a)의 관계에 의하여 롤러암(23)의 위치가 결정되며 또한 이동선택부재(42)의 위치가 정해지므로 카도어(10)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위치에 설치된 캠본체(30)가 롤러(23a)와 맞닿는 장소에서는 카도어(10)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 캠본체(30)가 롤러(23a)와 맞닿지 않는 장소에서는 카도어(10)의 개폐가 구속된다. 따라서 정전등으로 인하여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카도어(10)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위치에 설치됨 캠본체(30)가 존재하는 장소에서는 카도어(10)를 인력시킬수 있다.
또 캠본체(30)가 롤러(23a)와 맞닿지 않는 카도어(10)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위치 이외에서는 카도어(10)의 개폐를 구속시킴으로 카에서 피난하는 사람이 승강로에 낙하할 위험을 피할수 있다.
이와같이 제1고안의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의 도어록장치는 승강로에 설치되고 도어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캠본체(30)와, 상기 캠본체(30)의 변위체 대응동작하는 롤러(23a)를 단부에 가진 암부재(23b)로 되는 카측에 설치된 롤러암(23)과, 상기 롤러암(23)의 회전에 의하여 대응동작되는 이동선택부재(42)와, 상기 도어(10)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선택부재(22)또는 (42)와 카도어(10)의 개폐구역밖에서 걸어맞추어 카도어(10)의 개방을 구속시키는 규제부재(16)또는 (46)을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승강로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캠본체(30)의 변위를 롤러암(23)이 검출하고 그 회전에 의하여 대응동작하는 이동선택부재(42)와, 카도어(10)의 개폐구역밖에서 걸어맞추고 카도어(10)의 개방을 구속시키는 규제부재(16)또는 (46)에 의하여 카도어(10)의 개폐를 구속시키거나 혹은 해제시키는 것이므로 카도어(10)의 개폐구역에 카가 있을때 카도어(10)를 개폐시킬 수 있다.
즉, 정전등으로 인하여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는 카도어(10)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위치에 설치된 캠본체(30)가 존재하는 장소에서는 카도어(10)를 인력으로 개방시킬수 있다.
반대로, 카도어(10)의 개폐구역 밖에 카가 위치한때 카도어(10)의 개폐가 구속되어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이 고안을 실시한 경우 승강로에 설치되고 카도어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캠본체는 요()부와 철()부 또는 철()부를 가진 단체(單體)로 되는 캠부재를 설치하여도 되며 승강로에 직접 요()부 또는 철()부를 형성시켜도 된다. 어느것으로 하든지간에 도어의 개폐구역을 요()부 또는 철()부로 규정하는 것이면 된다.
제2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록장치는 승강로에 설치되고 카도어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캠본체(30)와, 상기 캠본체(30)의 변위에 대응동작되어 회전하는 롤러(23a)를 단부에 가진 암부재(23b)로 되는 카측에 설치된 롤러암(23)과, 상기 롤러암(23)의 회전에 의하여 대응동작하는 이동선택부재(42)와, 상기 카도어(10)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선택부재(22)또는 (42)와 카도어(10)의 개폐구역 밖에서 걸어맞추며, 카도어(10)의 개방을 구속시키는 규제부재(16)또는 (46)과, 상기 롤러암(23)의 회전에 의하여 대응동작하는 이동선택부재(42)를 전기적 제어에 의하여 그 구동을 제한하는 보지수단(24)또는 (44)등을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고안의 효과에 더하여 롤러암(23)의 회전에 의하여 대응동작되는 이동선택부재(22)또는(42)를 전기적 제어에 의하여 그 구동을 제한하는 보지수단(24)또는(44)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고속엘리베이터에 사용한 경우에도 쓸데없는 롤러암(23)의 롤러(23a)와 캠본체(30)와의 접촉을 피할수 있으므로 승강동작중에 이상음의 발생등에 의한 불쾌감을 받지 않는다.
그런데, 이 고안의 상기 실시예의 롤러암의 회전에 의하여 대응동작하는 이동 선택부재를 전기적 제어에 의하여 그 구동을 제한하는 보지수단을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자기적으로 롤러암과 인계되는 이동선택부재를 구속시키는 것이지만, 이 고안을 실시할 경우에는 전기적 제어에 의하여 롤러암의 캠본체로 부터 떨어지도록 제어할수 있는 것이면 되고 롤러암을 직접 구동시켜도 되며 또 그 구동원으로서 모터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 고안의 엘리베이터의 도어록장치는 승강로에 배치되고 카도어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캠본체와, 캠본체의 변위체 대응동작하는 롤러암의 회전에 의하여 대응동작하는 이동선택부재와, 상기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선택부재와 카도어의 개폐구역 밖에서 걸어맞추어 카도어의 개방을 구속시키는 규제부재와, 상기 롤러암의 회전에 의하여 대응동작하는 이동선택부재를 전기적 제어에 의하여 그 구동을 제한하는 보지수단을 구비한 것이므로 캠본체의 변위를 검출하고 캠본체의 변위를 이동선택부재의 이동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카도어의 개폐구역 밖에서는 카도어에 설치된 규제부재와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카도어의 개방을 구속시키며 또 카도어의 개폐구역에서는 카도어에 설치된 규제부재와의 걸어맞춤을 해제시켜 카도어의 개방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또 하나의 고안은 승강로에 설치되고 카도어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캠본체와, 캠본체의 변위에 대응동작하는 롤러암의 회전에 의하여 대응동작하는 이동선택부재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선택부재와 카도어의 개폐구역 밖에서 걸어맞추어 카도어의 개방을 구속시키는 규제부재와, 상기 롤러암의 회전에 의하여 대응동작하는 이동선택부재를 전기적 제어에 의하여 그 구동을 제한하는 보지수단등을 구비한 것이므로 캠본체의 변위를 검출하고 캠본체의 변위를 이동선택부재의 이동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카도어의 개폐구역 밖에서는 카도어에 설치된 규제부재와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카도어의 개방을 구속시키며 또 카도어의 개폐구역에서는 카도어에 설치된 규제부재와 걸어맞춤을 해제시켜 카도어의 개방을 자유로이 할 수 있다.
또, 보지수단을 전기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롤러암의 회전에 의하여 대응동작하는 이동선택부재를 구속시키며 롤러암의 롤러와 카도어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캠본체와의 접촉을 특정장소까지 무접촉으로 할수 있어 캠본체와의 쓸데없는 접촉을 없앰으로써 고속화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승강로의 카도어 개폐구역에 설치되고 카도어의 개폐구역을 규정하는 캠본체와, 상기 캠본체의 변위에 대응동작하는 롤러가 단부에 있는 암부재로 된 카측에 설치한 롤러암과, 상기 롤러암의 회전에 의하여 대응동작하는 이동선택부재와, 상기 카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선택부재와 카도어의 개폐구역외에서 걸어맞추어 카도어 개방을 구속하는 규제부재와, 상기 롤러암의 회전에 의하여 대응동작하는 이동선택 부재를 전기적 제어에 의하여 그 구동을 제한하는 보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록 장치.
KR2019910025204U 1987-07-18 1991-12-30 엘리베이터의 도어록(door lock)장치 KR920002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5204U KR920002150Y1 (ko) 1987-07-18 1991-12-30 엘리베이터의 도어록(door lock)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9404 1987-07-18
JP62179404A JPS6422791A (en) 1987-07-18 1987-07-18 Door locking device for elevator
KR1019880008278A KR890001862A (ko) 1987-07-18 1988-07-04 엘리베이터의 도어 로크(door rock)장치
KR2019910025204U KR920002150Y1 (ko) 1987-07-18 1991-12-30 엘리베이터의 도어록(door lock)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8278A Division KR890001862A (ko) 1987-07-18 1988-07-04 엘리베이터의 도어 로크(door rock)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150Y1 true KR920002150Y1 (ko) 1992-03-28

Family

ID=27324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5204U KR920002150Y1 (ko) 1987-07-18 1991-12-30 엘리베이터의 도어록(door lock)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15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3389A (en) Two stage electromagnetic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KR97000658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743023B2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US3912049A (en) Interlock for center opening doors
US5693919A (en) Evacuation system for elevators
KR101199745B1 (ko) 엘리베이터용 안전장치
EP0763496A1 (en) Procedure for closing an elevator landing door, and a door coupler
CN1010400B (zh) 电梯的门锁装置
US6189658B1 (en) Procedure for moving the landing door of an elevator, and a door coupler
KR920002150Y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록(door lock)장치
JP2012140214A (ja) 非常止め装置の誤動作防止装置
KR101199691B1 (ko) 엘리베이터용 안전장치
JP3422654B2 (ja) エレベータ等の乗場扉戸閉装置
GB2211809A (en) A braking apparatus for a passenger conveyor
JP4038067B2 (ja) ロック装置を有するエレベーターのかご室ドア装置
EP4005960A1 (en) Elevator apparatus
JP2012006707A (ja) エレベータ装置
JP3234356B2 (ja) 二階用簡易エレベータ
JPH09272674A (ja) エレベーターの調速機ロープ振れ止め装置
KR940002173Y1 (ko) 승강기의 브레이크 장치
JP4601150B2 (ja)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装置
JP2012066907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ー装置
SU1717518A1 (ru) Лифт
JPS5921461Y2 (ja) 昇降装置
KR850001705Y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