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6679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6679A
KR20240076679A KR1020230134115A KR20230134115A KR20240076679A KR 20240076679 A KR20240076679 A KR 20240076679A KR 1020230134115 A KR1020230134115 A KR 1020230134115A KR 20230134115 A KR20230134115 A KR 20230134115A KR 20240076679 A KR20240076679 A KR 20240076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shaped portion
terminal
receiving hole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4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슌스케 타사카
šœ스케 타사카
요시노부 야마모토
린타로 카토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76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667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01R13/4362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상대측 단자가 삽입되는 상자모양부를 갖추는 단자와, 상자모양부를 수용하는 수용 구멍을 가지는 하우징과, 수용 구멍으로의 상자모양부의 삽입 방향과 교차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하우징에 부착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취할 수 있는 리테이너를 갖춘 커넥터로서, 수용 구멍의 상면에는 하면을 향하여 돌출하는 가압편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면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가 형성되고, 리테이너는 수용 구멍의 연장 위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추고, 리테이너가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자모양부는 수용 구멍으로의 삽입이 가능하게 되고, 수용 구멍에 삽입된 상자모양부는 가압편에 밀려 상기 교차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상자모양부의 단차부가 돌기에 걸려 빠짐 방지됨과 아울러, 상자모양부의 후단이 돌출부에 걸리는 것에 의해서도 빠짐 방지되어 1차 걸음 상태가 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단자를 가걸음(假係止)하는 1차 걸음 상태와 본걸음하는 2차 걸음 상태의 2개의 상태를 취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이 종류의 커넥터의 종래예로서 특허문헌 1(일본 특개 2000-26891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 1에서는 커넥터는 분해 상태의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10)은 암형의 단자 금구(30)를 후방에서 삽입 가능한 캐비티(11)를 갖추고, 캐비티(11)의 전단부 전면벽(12)에는 상대방의 수형의 단자 금구의 탭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캐비티(11)의 전반부는 단자 금구(30)를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상방)으로 변위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캐비티(11)의 내면 상부에는 걸음 단차부(14)가 하방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10)의 하면에는 리테이너 장착 개구(15)가 형성되어 있고, 리테이너 장착 개구(15)를 덮도록 리테이너(20)가 부착되어 있다. 리테이너(20)는 랜스(lance)(21)를 갖추고, 랜스(21)는 리테이너(20)에 앞 가장자리측을 자유단으로 하여 캔틸레버 모양으로 설치되고, 선단에는 걸어맞춤 돌출부(21a)가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리테이너(20)는 도 1에서는 가걸음 위치에 위치한 상태로 되어 있고, 캐비티(11)의 바닥면과 면이 일치하게 되어 있다.
단자 금구(30)는 접속 설편부(31)와, 이것을 에워싸는 각통 형상을 이루는 상자모양부(32)와, 전선(33)의 심선(33a)에 클림핑 접속되는 와이어 배럴(34)과, 전선(33)의 절연 피막 부분에 클림핑 고정되는 인슐레이션 배럴(35)을 갖추고 있다.
도 2(a)∼(c)는 단자 금구(30)가 캐비티(11)에 삽입되어 본걸음 위치로 이행하는 과정을 차례로 도시한 것으로, 리테이너(20)를 가걸음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단자 금구(30)를 커넥터 하우징(10)의 캐비티(11) 내에 삽입하면, 단자 금구(30)의 선단이 리테이너(20)의 걸어맞춤 돌출부(21a)에 부딪치고, 랜스(21)를 하방으로 휨 변형시키면서 전방으로 진출한다(도 2(a) 참조).
그리고, 단자 금구(30)의 상자모양부(32)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 구멍(36)이 걸어맞춤 돌출부(21a)와 일치하면, 걸어맞춤 돌출부(21a)가 탄성적으로 복귀하여 걸어맞춤 구멍(36)과 걸어맞추어지고, 단자 금구(30)가 리테이너(20)에 유지된다(도 2(b) 참조).
이어서, 리테이너(20)를 가걸음 위치부터 본걸음 위치로 밀어 넣으면, 단자 금구(30)는 캐비티(11) 안에서 상방으로 병진하고, 단자 금구(30)의 상자모양부(32)의 후측 가장자리부가 캐비티(11) 상면의 걸음 단차부(14)에 걸어맞춤하는 위치에 도달한다(도 2(c) 참조). 이 상태에서는, 단자 금구(30)는 리테이너(20)의 랜스(21)에 의해 빠짐 방지됨과 아울러, 상자모양부(32)가 캐비티(11) 내의 걸음 단차부(14)에 맞닿음으로써 빠짐 방지되어, 이중으로 걸어진 상태가 되어 큰 유지력이 얻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일본 특개 2000-268915호 공보
(발명의 개요)
상기한 종래의 커넥터에서는 리테이너(20)가 본걸음 위치에 위치하고, 단자 금구(30)가 본걸음된 상태(2차 걸음 상태)에서는 충분한 유지력이 얻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리테이너(20)가 가걸음 위치에 위치하고, 단자 금구(30)가 가걸음되어 있는 상태(1차 걸음 상태)에서는 단자 금구(30)는 리테이너(20)의 랜스(21)에 의해 빠짐 방지되어 있지만, 그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캐비티(11) 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어, 즉 자세가 안정하지 않아, 덜거덕거림이 생길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서는 1차 걸음 유지력은 충분히다고는 할 수 없고, 예를 들면, 단자 금구(30)가 덜거덕거리면, 리테이너(20)에 의한 걸음이 풀려서 단자 금구(30)가 빠져나가 버릴 가능성이 있다.
특히, 이 종류의 커넥터에서는, 커넥터의 조립 공정에서 단자를 하우징에 삽입 후,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전선을 잡아당겨 단자가 적정하게 삽입, 장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는 것과 같은 작업이 일반적으로 행해진다. 이때, 전선이 단자의 축선에 대하여 각도가 있는 상태로 잡아당겨져, 즉 전선이 움직여지면, 상기한 종래의 커넥터와 같은 구성에서는 단자가 기울어, 1차 걸음이 풀려 단자가 간단하게 빠져나가 버리는 것과 같은 상황이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단자의 1차 걸음 유지력을 종래보다 향상시켜, 1차 걸음 상태에서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전선이, 예를 들면, 움직여져도 단자가 빠져나오지 않아, 1차 걸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대측 단자가 삽입 접속되는 상자모양부를 갖추고, 전선의 단말에 부착되는 단자와, 상자모양부를 수용하는 수용 구멍을 가지는 하우징과, 수용 구멍으로의 상자모양부의 삽입 방향과 교차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하우징에 부착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취할 수 있는 리테이너를 갖추는 커넥터에 있어서, 수용 구멍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을 상면 및 하면으로 할 때, 상면에는 하면을 향해 돌출하는 캔틸레버 형상의 가압편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면을 향해 돌출하는 돌기가 형성되고, 리테이너는 수용 구멍의 연장 위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추고, 리테이너가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자모양부는 수용 구멍으로의 삽입이 가능하게 되고, 수용 구멍에 삽입된 상자모양부는 상기 가압편에 밀려서 상기 교차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상자모양부에 형성된 단차부가 상기 돌기에 걸려 빠짐 방지됨과 아울러, 상자모양부의 후단이 상기 돌출부에 걸림으로써도 빠짐 방지되어 1차 걸음 상태가 되고, 리테이너를 제1 위치부터 제2 위치로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돌출부와 상자모양부의 후단과의 걸림이 증대하여 2차 걸음 상태가 되개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에 의하면, 종래보다 단자의 1차 걸음 상태가 안정하고, 또한 종래보다 단자의 1차 걸음 유지력을 높일 수 있다. 그러므로, 1차 걸음 상태에서, 예를 들면,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전선이 잡아당겨지거나, 움직여지게 되거나 해도 1차 걸음이 풀려서 단자가 빠져나오는 것과 같은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분해 상태의 단면도.
도 2(a)는 도 1에 도시한 커넥터에 있어서 단자 금구의 삽입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b)는 단자 금구가 랜스에 걸어맞추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c)는 단자 금구를 본걸음 위치로 이행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방에서 본 사시도, (b)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단자의 도시를 생략하고 1개로 한, 도 3(a)에 도시한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단자의 도시를 생략하고 1개로 한, 도 3(b)에 도시한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6(a)는 전선의 단말에 부착된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그 측면도, (c)는 그 단면도.
도 7(a)는 단자가 부착되기 전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상방에서 본 사시도, (b)는 단자가 부착되기 전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단자의 도시를 생략하고 1개로 한, 단자의 삽입 도중의 커넥터의 배면도.
도 9(a)는 단자의 삽입 도중을 나타내는 도 8에 있어서의 A-A선의 단면도, (b)는 단자의 1차 걸음 상태를 나타내는 도 8에 있어서의 A-A선의 단면도, (c)는 단자의 2차 걸음 상태를 나타내는 도 8에 있어서의 A-A선의 단면도.
도 10(a)는 단자의 삽입 도중을 나타내는 도 8에 있어서의 B-B선의 단면도, (b)는 단자의 1차 걸음 상태를 나타내는 도 8에 있어서의 B-B선의 단면도, (c)는 단자의 2차 걸음 상태를 나타내는 도 8에 있어서의 B-B선의 단면도.
도 11(a)는 도 10(a)에 도시한 상태의 커넥터의 측면도, (b)는 (a)의 E-E선 단면도, (c)는 도 10(c)에 나타낸 상태의 커넥터의 측면도, (d)는 (c)의 F-F선 단면도.
도 12(a)는 도 9(b)에 도시한 단면에서 전선이 하방을 향해 움직여져, 단자가 기운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도 10(b)에 도시한 단면에서 전선이 하방을 향해 움직여져, 단자가 기운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a)는 도 9(b)에 도시한 단면에서 전선이 상방을 향해 움직여져, 단자가 기운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도 10(b)에 도시한 단면에서 전선이 상방을 향하여 움직여져, 단자가 기운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4 및 5는 도 3에 도시한 커넥터를 각 부분으로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커넥터는 이 예에서는 수지제의 하우징(40)과 다수의 단자(50)와 수지제의 리테이너(6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중, 80은 단자(50)에 접속되어 있는 전선을 나타낸다. 또, 도 4 및 5에서는 전선(80)의 단말에 부착된 단자(50)를 1개만 나타내고 다른 단자(50)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하우징(40)은 도 4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 형상을 이루고, 전후 방향으로 다수의 수용 구멍(4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수용 구멍(41)은 각진 구멍으로 되어 있고, 이 예에서는 상하 2단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상하 2단의 수용 구멍(41)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40)의 하면에는 오목부(42)가 좌우 방향(폭 방향)으로 횡단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각 수용 구멍(41)은 오목부(42)를 사이에 낀 상태에서 전후로 2분되어 있다.
각 수용 구멍(41)의 전단측의 내면의 서로 대향하는 상하면에는 가압편(43)과 돌기(44)(후술하는 도 9, 10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편(43)은 캔틸레버 모양을 이루고 수용 구멍(41)의 상면(41a)에, 자유단(43a)이 하면(41b)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자유단(43a)은 수용 구멍(41)의 전단에 위치하고, 기단은 수용 구멍(41)의 전단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돌기(44)는 수용 구멍(41)의 하면(41b)에, 상면(41a)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가압편(43)의 기단측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수용 구멍(41)의 하면(41b)의 귀퉁이부에는 협폭의 홈(45)이 수용 구멍(41)의 연신 방향으로 연신되어 형성되어 있다. 홈(45)은 수용 구멍(41)의 후단으로부터 오목부(42)를 사이에 끼고 오목부(42)보다 앞에 위치하는 수용 구멍(41)에 약간 위치하도록 연신되어 형성되어 있다(도 10(a) 참조).
하우징(40)의 전측은 후측보다 약간 협폭으로 되어 있고, 이 협폭 부분의 양측면(40a, 40b)에는 각각 돌출부(46)와 발톱(47)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6)와 발톱(47)은 상하 방향에 배열되고 돌출부(46)는 발톱(47)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40)의, 이 협폭 부분의 하면의 전반부(40c)는 후반부(40d)보다 안으로 들어간 형상으로 되어 있고, 즉 1단 높게 되어 있다.
리테이너(60)는 바닥판부(61)와 전면판부(62)와 양측판부(63, 64)와 후방 블록부(65)로 이루어진다. 전면판부(62)에는 하우징(40)의 수용 구멍(41)과 대응하여 다수의 삽입 구멍(66)이 배열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부(61)에는 하우징(40)의 협폭 부분의 하면의 후반부(40d)가 들어가는 크기의 개구(67)가 형성되어 있다. 후방 블록부(65)는 이 개구(67)보다 뒷쪽의 바닥판부(61) 위에 위치하고, 하우징(40)의 오목부(42)에 끼워지는 형상을 가진다.
후방 블록부(65)에는 하우징(40)의 하단의 수용 구멍(41)과 대응하여 다수의 각진 구멍(68)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각 각진 구멍(68) 내부의 하면의 전단에는 돌출부(69)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69)는 각진 구멍(68)내부의 양측면 중 일방과는 연결되고, 타방과는 약간 간극(71)을 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71)은 하우징(40)의 수용 구멍(41)에 설치되어 있는 협폭의 홈(45)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후방 블록부(65)의 상면의 전단에는 하우징(40)의 상단의 다수의 수용 구멍(41)의 배열과 대응하여 다수의 돌출부(7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72)의 좌우 방향의 폭은 수용 구멍(41)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작게 되어 수용 구멍(41)의 좌우 방향의 폭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면판부(62) 및 바닥판부(61)와 연결되고, 후방 블록부(65)를 좌우에서 사이에 끼도록 위치하는 측판부(63, 64)에는 각각 후단으로부터 전단 근처까지 이르도록 2개의 절결부(73, 74)가 서로 평행하게, 또한 바닥판부(61)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양쪽 절결부(73, 74) 사이에 위치하는 긴 조각(75)은 판 두께가 약간 얇게 되어 외면은 측판부(63, 64)의 외면보다 들어간 위치에 위치하고, 내면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발톱부(76)가 형성되어 있다(후술하는 도 11 참조).
도 6은 전선(80)의 단말에 부착되어 있는 단자(50)를 도시한 것으로, 단자(50)는 상자모양부(51)와 심선 배럴부(52)와 피복 배럴부(53)를 갖추고 있다. 심선 배럴부(52)는 전선(80)의 심선(81)에 크림핑되어 심선(81)에 접속되고, 피복 배럴부(53)는 전선(80)의 피복(82)에 크림핑되어 전선(80)에 고정되어 있다.
상자모양부(51)는 상대측 커넥터의 상대측 단자(핀 단자)가 삽입 접속되는 부분이며, 금속판이 꺾어 구부려져 상자형의 외형이 구성되고, 내부에는 상대측 단자와 접촉하는 탄성 접촉편(54)이 마련되어 있다. 상자모양부(51)의 상면을 구성하는 상판부(51a)의 길이 방향(단자(50)의 축심 방향) 중간부는 절결되어 절결부(55)가 형성되고, 이 절결부(55)에 의해 상판부(51a)에는 단차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상자모양부(51)의 일방의 측판부(51b)의 후단측 부분에는 측판부(51b)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가이드편(57)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 가이드편(57) 및 측판부(51b)의 후단으로부터 구부려 연장되어 연장편(58)이 형성되어 있다. 연장편(58)은 상자모양부(51)의 후단을 구성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또한, 가이드편(57)의 상단 부분은 연장편(58)보다 위에 위치하고 있다.
커넥터의 조립은 하우징(40)에 우선 리테이너(60)가 부착되고, 다음에 전선(80)이 접속된 단자(50)가 부착된다. 이하, 도 7∼11을 참조하여 커넥터의 조립을 설명한다. 또한, 도 7∼11에서는 단자(50) 및 전선(80)의 전체 도시를 생략하고, 도 4, 5와 마찬가지로, 전선(80)이 접속된 단자(50)를 1개만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테이너(60)가 하우징(40)에 부착된다. 리테이너(60)는 하우징(40)의 하면측으로부터 하우징(40)에 부착되고, 리테이너(60)의 후방 블록부(65)는 하우징(40)의 오목부(42)에 넣어진다(도 9, 10 참조). 리테이너(60)의 전면판부(62)는 하우징(40)의 전면에 씌워지듯이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하우징(40)의 측면(40a, 40b)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46)는 리테이너(60)의 측판부(63, 64)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절결부(73, 74) 중 위에 위치하는 절결부(73)에 들어가 위치하고, 측판부(63, 64)가 돌출부(46)에 걸림으로써 리테이너(60)는 빠짐 방지됨과 아울러 하우징(40)에 위치 결정된다(도 11 (a), (b) 참조).
도 9(a)∼(c)는 하우징(40)의 수용 구멍(41)에 단자(50)가 삽입, 수용되어 2차 걸음 상태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도 8에 있어서의 A-A선 단면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10(a)∼(c)는 도 9(a)∼(c)와 동일한 과정을 도 8에 있어서의 B-B선 단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차례로 설명한다.
<도 9(a), 도 10(a)>
리테이너(60)가 도 7 및 도 11(a), (b)에 도시한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 즉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단자(50)의 상자모양부(51)가 하우징(40)의 후단으로부터 수용 구멍(41)에 삽입되어 삽입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리테이너(60)는 제1 위치에 위치하여, 퇴피해 있기 때문에, 리테이너(60)가 상자모양부(51)의 삽입을 방해하지는 않고, 더욱 상세하게 말하면 리테이너(60)에 마련되어 있는 돌출부(72(69))가 상자모양부(51)의 삽입을 방해하지도 않는다.
<도 9(b), 도 10(b)>
상자모양부(51)가 더욱 삽입되어, 리테이너(60)의 전면판부(62)에 맞부딪칠 때까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자모양부(51)는 수용 구멍(41)에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는 가압편(43)의 자유단(43a)에 밀려 삽입 방향과 교차 방향(이 예에서는 삽입 방향과 직교 방향이며 하방)으로 변위하고, 상자모양부(51)에 마련되어 있는 절결부(55)에, 수용 구멍(41)에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는 돌기(44)가 들어간다. 또, 수용 구멍(41)의 돌기(44)가 형성되어 있는 하면(41b)과 대향하는 상자모양부(51)의 대향면은 하면(41b)에 밀어붙여진다. 이것에 의해, 상자모양부(51)는 단차부(56)가 돌기(44)에 걸림으로써 빠짐 방지된다. 또한, 상자모양부(51)에 마련되어 있는 가이드편(57)은 수용 구멍(41)에 마련되어 있는 홈(45)에 들어간다.
또한, 이와 같이 상자모양부(51)가 변위함으로써, 수용 구멍(41)의 연장 위로 돌출해 있는 리테이너(60)의 돌출부(72(69))가 상자모양부(51)의 후단에 위치하게 되고, 즉 상자모양부(51)의 연장편(58)의 뒤에 위치하게 되어, 상자모양부(51)의 후단이 이 리테이너(60)의 돌출부(72(69))에 걸리는 것에 의해서도 상자모양부(51)는 빠짐 방지된다.
이와 같이, 단자(50)가 수용 구멍(41)에 삽입되어 수용 구멍(41)으로의 단자(50)의 상자모양부(51)의 수용이 완료되고, 단자(50)가 1차 걸음된 상태에서, 이 예에서는 상자모양부(51)는 이중으로 빠짐 방지된다. 또한, 홈(45)에 들어간 상자모양부(51)의 가이드편(57)은 리테이너(60)의 후방 블록부(65)의 전면에 걸림으로써 빠짐 방지로서 기능한다.
<도 9(c), 도 10(c)>
하우징(40)에 부착되어 있는 리테이너(60)는 수용 구멍(41)으로의 상자모양부(51)의 삽입 방향과 교차 방향(이 예에서는 삽입 방향과 직교 방향이며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며, 리테이너(60)를 더욱 하우징(40)에 밀어넣음으로써, 리테이너(6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변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리테이너(60)를 변위시킴으로써, 리테이너(60)의 돌출부(72(69))가 단자(50)의 상자모양부(51)의 후단에 겹치도록 위치하는 범위가 증대하여, 즉 리테이너(60)의 돌출부(72(69))와 상자모양부(51)의 후단과의 걸림이 증대하여 단자(50)는 본걸음되고, 즉 2차 걸음 상태가 된다.
또한, 도 11(c), (d)는 리테이너(60)가 제2 위치로 변위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리테이너(60)의 긴 조각(75)의 내면에 마련되어 있는 발톱부(76)는 하우징(40)에 마련되어 있는 발톱(47)을 타고 넘어 발톱(47)의 상방에 위치하고, 이것에 의해 리테이너(60)는 빠짐 방지되어 제2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하우징(40)의 협폭 부분의 하면의 후반부(40d)는 리테이너(60)의 바닥판부(61)의 개구(67)에 끼워 넣어진 상태가 된다. 리테이너(60)의 전면판부(62)에 마련되어 있는 삽입 구멍(66)은 단자(50)의 상자모양부(51)의 전단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여, 상대측 단자의 상자모양부(51)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실시예에 의하면, 단자(50)는 1차 걸음 상태에서, 상자모양부(51)가 하우징(40)의 가압편(43)에 밀려, 수용 구멍(41)의 내면(하면(41b))에 밀어붙여져 덜거덕거리지 않고, 안정한 자세를 유지함과 아울러, 하우징(40)의 돌기(44)와 리테이너(60)의 돌출부(72(69))에 각각 상자모양부(51)의 단차부(56)와 후단(연장편(58))이 걸림으로써 빠짐 방지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즉 이중으로 걸어져 빠짐 방지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보다 단자(50)의 1차 걸음 상태는 안정하고, 또한 단자(50)의 1차 걸음 유지력을 높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1차 걸음 상태에서 단자(50)에 접속되어 있는 전선(80)이 잡아당겨져도 단자(50)가 빠져나오는 것과 같은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단자(50)의 상자모양부(51)가 2개소에서 걸어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전선(80)이 움직여져, 단자(50)가 기우는 것과 같은 힘이 단자(50)에 가해져도 단자(50)가 빠져나오는 것과 같은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 및 13은 이 모습을 나타낸 것이며, 도 12에서는 전선(80)이 하방을 향하여 움직여져, 돌기(44)에 의한 걸음이 풀리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되어도 리테이너(60)의 돌출부(72)에 의해 걸음이 유지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서는 전선(80)이 위를 향하여 움직여져, 리테이너(60)의 돌출부(72)에 의한 걸음이 풀리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되어도 하우징(40)의 돌기(44)에 의해 걸음이 유지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Claims (3)

  1. 상대측 단자가 삽입 접속되는 상자모양부를 갖추고, 전선의 단말에 부착되는 단자와, 상기 상자모양부를 수용하는 수용 구멍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수용 구멍으로의 상기 상자모양부의 삽입 방향과 교차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취할 수 있는 리테이너를 갖추는 커넥터로서,
    상기 수용 구멍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을 상면 및 하면으로 할 때, 상기 상면에는 상기 하면을 향하여 돌출하는 캔틸레버 형상의 가압편이 형성되고, 상기 하면에는 상기 상면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수용 구멍의 연장 위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추고,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상자모양부는 상기 수용 구멍으로의 삽입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수용 구멍에 삽입된 상기 상자모양부는 상기 가압편에 밀려 상기 교차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상기 상자모양부에 형성된 단차부가 상기 돌기에 걸려 빠짐 방지됨과 아울러, 상기 상자모양부의 후단이 상기 돌출부에 걸리는 것에 의해서도 빠짐 방지되어 1차 걸음 상태가 되고,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돌출부와 상기 상자모양부의 후단과의 걸림이 증대하여 2차 걸음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모양부는 상기 교차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상기 상자모양부의, 상기 수용 구멍의 상기 하면과 대향하는 대향면은 상기 하면에 밀어붙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의, 상기 상자모양부를 미는 자유단은 상기 수용 구멍의 전단측에 위치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자유단보다 상기 수용 구멍의 후단측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230134115A 2022-11-22 2023-10-10 커넥터 KR202400766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186540A JP2024075244A (ja) 2022-11-22 2022-11-22 コネクタ
JPJP-P-2022-186540 2022-11-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6679A true KR20240076679A (ko) 2024-05-30

Family

ID=88147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4115A KR20240076679A (ko) 2022-11-22 2023-10-10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170880A1 (ko)
EP (1) EP4376228A1 (ko)
JP (1) JP2024075244A (ko)
KR (1) KR20240076679A (ko)
CN (1) CN11807388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8915A (ja) 1999-03-17 2000-09-29 Sumitomo Wiring Syst Ltd 雌型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3128A1 (en) * 2009-12-14 2011-06-23 Fci Automotive Holding Connec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8915A (ja) 1999-03-17 2000-09-29 Sumitomo Wiring Syst Ltd 雌型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70880A1 (en) 2024-05-23
JP2024075244A (ja) 2024-06-03
CN118073886A (zh) 2024-05-24
EP4376228A1 (en) 2024-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05264A1 (en) Connector
JP3301329B2 (ja) コネクタ
US7402069B2 (en) Connector
JP3755429B2 (ja) コネクタ
JPH02244574A (ja) コネクタ
JP3311228B2 (ja) 端子係止具付きコネクタ
US6068522A (en) Block connector
JP7476808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JP2002367701A (ja) コネクタ
KR20240076679A (ko) 커넥터
JP3755432B2 (ja) コネクタ
JP7243551B2 (ja) コネクタ
JP3193271B2 (ja) コネクタ
WO2024062886A1 (ja) コネクタ
WO2022176580A1 (ja) コネクタ
WO2023021858A1 (ja) コネクタ
JPH1174016A (ja) コネクタ
JP2010140806A (ja) コネクタ
JP3266024B2 (ja) コネクタ
JP2005190821A (ja) コネクタ装置
JP2000133366A (ja) コネクタ
JPH08222321A (ja) コネクタ
TW202422952A (zh) 連接器
JPH11354185A (ja) コネクタ
JP3840927B2 (ja) コネク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