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563A - 차량 도어, 특히 차량 슬라이딩 도어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 특히 차량 슬라이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563A
KR20200053563A KR1020207010572A KR20207010572A KR20200053563A KR 20200053563 A KR20200053563 A KR 20200053563A KR 1020207010572 A KR1020207010572 A KR 1020207010572A KR 20207010572 A KR20207010572 A KR 20207010572A KR 20200053563 A KR20200053563 A KR 20200053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upling device
vehicle
control unit
vehicl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0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잉가 하인첸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00053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5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E05F15/65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enabling manual drive, e.g. in case of power fail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E05F15/659Control circui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4Disengaging means
    • E05Y2201/216Clu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74Specific positions
    • E05Y2800/75Specific positions intermediat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화된 드라이브(3, 4)와 문짝(1)에 대해 작용하기 위해 후속하는 커플링 장치(5)를 구비하고, 드라이브(3, 4)와 커플링 장치(5)를 위한 제어 유닛(6)을 구비한 차량 도어, 특히 차량 슬라이딩 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플링 장치(5)는 일반적으로 맞물림 해제되어 있고, 문짝(1)의 동력화된 구동을 위해서만 맞물려진다.

Description

차량 도어, 특히 차량 슬라이딩 도어
본 발명은 동력화된 드라이브와, 문짝에 작용하기 위해 후속하는 커플링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드라이브와 커플링 장치를 위한 제어 유닛을 구비한 차량 도어, 특히 차량 슬라이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차량 도어 및 특히 차량 슬라이딩 도어는 원칙적으로 수동으로 움직여질 수 있지만, 실제로 이것들은 종종 드라이브 및 후속하는 커플링 장치를 구비한다. 제어 유닛에 의해, 커플링 장치는 '맞물린'위치와 '맞물림 해제된'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커플링 장치가 '맞물려' 있고 드라이브가 제어 유닛에 의해 작용을 받는다면, 커플링 장치에 연결된 문짝이 앞뒤로 움직여질 수 있다. 원칙적으로, 이것은 원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차량 내부에 위치된 스위치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신뢰할 만한 것임이 일반적으로 입증되었다. 드라이브의 자기 잠금력(self-locking force)은 적어도 기울어짐이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지 않는 한 그 기울어짐의 결과로서 커플링 장치가 맞물려 있을 때 문짝이 자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기계적인 도어의 작동은 커플링 장치가 맞물려 있을 때 자기 잠금력에 의해 더욱 어려워진다; 이런 기계적인 도어의 작동은 커플링 장치가 맞물려 있을 때 비상 개방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커플링 장치가 '맞물림 해제된' 위치에 있다면, 문짝은 순수히 기계적인 문짝과 같이 거동하여서 수동 개방이 손쉽게 가능하다.
사실, DE 198 13 513 A1에 따른 일반적인 최신 기술에서, 그 절차는 그 중에서도 제어 유닛이 문짝을 정지시키기 위해 커플링 장치와 맞물리고 및/또는 맞물림 해제되는 것이다. 이것은 문짝이 기계적으로 움직여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더하여, 그 자중에 의한 문짝의 움직임은 그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출력 신호에 의해 이런 식으로 검출될 수 있다. 이것은 차량의 기울어짐에 관한 결론들이 도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차량의 기울어짐이 궁극적으로 문짝의 움직임을 통해 파악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DE 198 13 513 A1에 따른 알려져 있는 교시에서, 초점은 문짝의 움직임 과정에서 센서나 다른 적절한 장치들 없이 차량 바디의 길이방향에 대한 관계에서 차량 몸체의 기울어짐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런 관계에서, 커플링 장치는 전기자기적으로 작동하며 항상 '맞물린' 위치에 있다. 커플링 장치는 앞서 설명된 바디의 기울어짐 검출에 대해서만 '맞물림 해제'된다.
DE 10 2008 008 178 A1에 따른 다른 종래 기술에서, 손으로 움직여질 수 있는 차량의 바디 구성품의 작동을 지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설명되어 있다. 바디 구성품은 무엇보다도 제어 가능한 전기 드라이브에 의한 작동 요소의 검출된 힘 및/또는 검출된 접촉의 상관관계로서 자동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바디 구성품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데에 필요한 힘이 전체적으로 감소되어야 한다.
최신의 기술은 제어 유닛, 이것이 작용하는 드라이브, 그리고 그것에 연결된 문짝에 대해 작용하는 후속하는 커플링 장치의 사용과 관련하여 유용한 것임이 일반적으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문제가 발생하며 그 결과로 아직까지 만족스럽게 극복되지 않은 작동 상황들로 이끌어진다.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맞물린 커플링 장치와 함께 작동하는 이전의 접근법은, 이 위치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드라이브 및/또는 전기 모터의 고장의 경우에 문짝이 더 큰 수동적으로 적용되는 힘으로 기계적으로만 움직여질 수 있다는 사실에 대응한다. 이것은 그리 실용적이지 않다.
이 점에서, 비상 작동을 통해 커플링 장치를 그 '맞물림 해제된' 기능 위치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접근법들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비상 작동을 위한 추가적인 요소들을 필요로 하는데, 이것은 한편으로는 그것들이 장비된 문짝의 중량을 증가시키며, 다른 한편으로는 전체적으로 드라이브의 비용에서 사소하지 않은 증가로 귀결되기도 한다.
이에 더하여, 문짝이 예컨대 그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중간 위치에 있고 동시에 차량이 경사면 상에 있을 때 문제가 생겨날 수 있다. 이 경우 커플링 장치가 '맞물림 해제'되자마자, 이것은 차량 바디의 기울어짐을 뜻하기 위해 DE 198 13 513 A1에 따른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문짝이 자동적으로 움직임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접근법은 상대적을 신뢰성 있지 않은데, 이는 예컨대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문짝에 대한 가이드들이 종종 움직이기 어려우며, 특히 가이드들의 시효 효과(aging effect)가 재현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또한 제어되지 않은 도어 움직임들로 귀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체로서 이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동 비상 작동이 간단한 방식으로 작은 힘으로 수행되며, 차량 바디의 어떠한 기울어짐도 손쉽게 감안될 수 있는 방식으로 이런 차량 도어 및 특히 차량 슬라이딩 도어를 개발하는 기술적인 문제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에 더하여, 이것은 전체적으로 감소된 디자인 및 재무 비용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포괄적인 차량 도어 및 특히 차량 슬라이딩 도어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커플링 장치가 일반적으로 맞물림 해제되어 있고, 문짝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에 대해서만 맞물리는 점에서 특징지워진다. 이런 맥락에서, 커플링 장치가 일반적으로 맞물림 해제되어 있고 문짝을 구동하기 위해 모터에 대해서만 맞물린다는 사실은, 도어가 폐쇄되어 있을 때 커플링 장치가 항상 맞물림 해제되어 있고, 동력화된 드라이브 움직임의 시작시에 맞물리며, 동력화된 드라이브 움직임 과정에서 맞물린 채로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력화된 드라이브 움직임이 종료된 이후에, 커플링 장치는 맞물린 채로 유지될 수 있거나 문짝이 폐쇄 위치 이외의 다른 위치에 있다면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문짝이 동력화된 드라이브에 의해 폐쇄 위치로 움직여지면, 커플링 장치는 한번 더 맞물림 해제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커플링 장치의 '맞물림 해제' 위치를 취함으로써 문짝이 추가적인 드라이브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것과 같이 기계적으로 앞뒤로 움직여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문짝의 동력화된 작동이 없고 및/또는 조작자에 의해 그것이 원해지지 않는 한 항상 사실이다. 이 모든 것은 일반적으로 복잡한 비상 작동 장치들이 필요 없이 작동한다. 문짝에 대한 동력화된 조정 및/또는 작용이 필요할 때에만, 제어 유닛은 한편으로는 커플링 장치가 그 '맞물린' 위치를 취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드라이브가 작용을 받는 것을 보장한다. 드라이브는 결과적으로 맞물린 커플링 장치에 작용하는데, 이것은 순차로 연결된 문짝을 모터에 의해 움직이게 한다.
한 실시예에서, 본 디자인은 유리하게는, 문짝이 모터에 의한 작동에 따라 그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정적인 중간 위치를 취하고 있을 때에도 커플링 장치가 통상적으로 그 맞물린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문짝이 모터에 의한 작동에 따라 그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정적인 중간 위치를 취하고 있을 때에도 커플링 장치가 통상적으로 그 맞물린 위치를 유지한다는 사실은, 커플링 장치가 문짝의 변위 경로의 전체 길이를 따라 미리 정해진 범위에서 정적인 중간 위치들에 대해 맞물린 위치를 유지하는 한편, 상기 미리 정해진 범위는 변위 거리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절반보다 많은, 유리하게는 2/3보다 많은 부분을 채운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 유닛이 이것을 수행한다. 이 경우, 문짝은 휴지 상태에 있다. 드라이브의 자기-잠금(self-locking)으로 인해, 커플링 장치가 맞물려 있을 때 이 중간 위치에서 차량 도어가 중간 위치로부터 뜻하지 않게 빠져나가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차량이 평탄한 표면 위에 있고 문짝이 모터 움직임 이후에 휴지 상태에 있어서 더 이상 모터에 의해 구동되지 않는다면, 커플링 장치는 다시 그 '맞물림 해제된' 기능 위치로 전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문짝의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는 이것에 대응한다. 차량이 경사면에 주차되어 있다면, 커플링 장치는 현재의 문짝의 위치와 무관하게 그 '맞물린' 기능 위치를 균형적으로 유지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문짝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정지될 수 있는 식으로 조작자가 제어 유닛을 통해 후속하는 커플링 장치를 구비한 드라이브에 대해 작용할 수 있다는 인식으로부터 시작된다. 그 결과, 종래 기술에 제공된 바와 같은 단부 위치에 대한 별도의 도어 구속기(door arrester)가 불필요한데, 이것은 디자인 복잡성을 감소시킨다.
이전에 언급된 문짝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정적인 중간 위치가 이것에 대응한다. 이런 정적인 중간 위치는 센서들에 의해 손쉽고 유리하게 파악될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제어 유닛에 연결된 위치 센서가 문짝에 장비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위치 센서에 의해, 문짝의 위치가 바디에 대한 관계에서 파악될 수 있으며, 적어도 3개의 기본 위치들, '개방 위치',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임의의 중간 위치'가 정확히 검출되고 서로와 구별될 수 있다. 그러면 제어 유닛은 위치 센서로부터의 대응하는 신호들에 따라 커플링 장치 상에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한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정적인 중간 위치가 미리 정해진 폭 이내에서 있을 때 커플링 장치와도 맞물림 해제되도록 규정된다. 이 문맥에서, '규정되다'는 제어 유닛이 그에 맞춰 프로그램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미리 정해진 폭은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특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사람이 언제든 차량을 빠져나갈 수 있도록 선택된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해진 폭은 50cm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구성은 차량 도어가 탈출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하게 넓은 범위에서 수동적으로 움직여질 수 있고, 비상 탈출이 따라서 보장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평탄한 표면에 있는 차량에서 문짝이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에 있다면, 드라이브는 한 작동이 미리 이루어진 후에 스위치 오프되며, 동시에 커플링 장치는 '맞물림 해제'된다. 다른 한편으로, 문짝이 조작자의 명령에 따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원하는 중간 위치를 취하거나 차량이 경사면 상에 있다면, 제어 유닛은 일반적으로 커플링 장치를 그 '맞물린' 기능 위치로 남겨둔다.
그 결과, 위에서 언급된 기계적인 도어 구속기가 제거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도어는 문제의 중간 위치에 정확히 유지된다. 커플링 장치의 '맞물린' 위치에서의 문짝의 이 유지 위치 및/또는 중간 위치는 본질적으로 드라이브 또는 옵션적으로 제공된 기어 장치의 자기-잠금에 의해 설명된다. 이것은, 이것이 비상 작동의 과정에서 필요하다면 문짝이 중간 위치에서 수동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앞뒤로 움직여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중요한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이 추가적으로 경사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커플링 장치에 대해 추가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 경우, 제어 유닛은 조작자로부터의 임의의 작동 명령들과 이전에 언급된 문짝 상의 또는 문짝 내의 위치 센서로부터의 신호들뿐만 아니라 경사 센서로부터의 신호들도 평가한다. 이런 경사 센서는 현대적인 차량들에서 어쨌든 통상적으로 존재하며, 예컨대 차량에 존재하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그 신호들을 요청받을 수 있다.
예컨대 주차 브레이크는 전형적으로 차량 운전자가 경사면 상에서 운전을 시작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사 센서에 의해 활성화된다. 본 발명은 이 점에서 이 경사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추가적으로 사용하는데, 이것은 문짝을 구동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어쨌든 존재하거나 요구된다. 이것은,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 디자인이, 문짝이 정적인 중간 위치에서 휴지 상태로 있고 동시에 경사 센서가 차량 기울어짐을 나타낸다면, 제어 유닛이 경사 센서로부터의 신호들에 따라 커플링 장치를 '맞물린' 위치로만 유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더하여, 경사 센서는 문짝이 그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정적인 중간 위치에 있을 때 커플링 장치에 작용하는 제어 유닛에 의해서만 사용되고 평가된다. 이것은 문짝이 동력화된 드라이브에 의해 문제의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드라이브가 강제적으로 스위치 오프되며 커플링 장치가 그 '맞물림 해제된' 위치로 전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폐쇄 위치에서 문짝이 차량 도어 록(door lock)에 의해 고정되고 폐쇄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 문짝이 개방 위치를 취하고 있다면, 예컨대 순수히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문짝과 유사하게 문짝이 조작자에 의해 앞뒤로 움직여질 수 있기 때문에 커플링 장치의 '맞물림 해제된' 기능 위치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어 유닛에 의한 경사 센서의 신호들의 추가적인 요청은, 문짝이 그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정적인 중간 위치를 취할 때 커플링 장치가 그 '맞물림 해제된' 기능 위치를 취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어느 경우이든, 이것은 경사 센서가 차량 기울어짐이 완전히 없거나 실제적으로 없는 것을 나타내는 한 적용된다. 그 결과, 이 경우에 커플링 장치가 그 '맞물림 해제된' 기능 위치를 취하기 때문에, 문짝은 문제의 중간 위치에 도달된 이후에 아무런 문제없이 수동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앞뒤로 움직여질 수 있다.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로로부터 시작하여 중간 위치까지 문짝의 움직임 과정에서 커플링 장치는 모터에 의해 문짝을 움직일 수 있도록 물론 그 '맞물린' 위치에 있다.
그러나 경사 센서가 제어 유닛으로 차량의 어떠한 상당한 기울어짐도 보고하지 않는다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정적인 중간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커플링 장치는 제어 유닛에 의해 그 '맞물림 해제된' 기능 위치로 전환된다. 이 시나리오에서 경사 센서가 차량의 상당한 기울어짐을 검출하는 경우에만, 그리고 특정적으로 문짝이 그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정적인 중간 위치에 도달했을 때, 제어 유닛은 커플링 장치가 그 '맞물린' 기능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런 식으로, 문짝이 특히 경사면 상에서 정지하게 되고 혼자서 움직이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이런 식으로, 부상 또는 불필요한 기능적인 상태가 별도의 기계적인 도어 록 없이 신뢰성 있게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평탄한 표면 상에 있을 때 커플링 장치가 모든 중간 위치들에서 맞물림 해제된 채로 유지되도록 규정된다. 이 맥락에서, '평탄한 표면'은 0 ± 0.5도의 경사가 경사 센서를 통해 파악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평탄한 표면이 작업장에서 발견되며, 이 실시예에서 차량 도어를 맞물림 해제하기 위한 별도의 방법 단계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차량이 검증되는 소위 작업장 모드(workshop mode)를 취하는 것이 이런 식으로 용이해질 수 있다.
문제의 중간 위치에서 전기 고장이 있다면, 커플링 장치는 그 기능 위치에서 '맞물린' 채로 남아 있고, 문짝은 드라이브의 자기-잠금에 의해 중간 위치에 유지된다. 이 경우에 문짝은 이미 개방되어 있고 조작자는 비상 작동의 과정에서 수동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문짝을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결정적이지 않다. 이 점에서 작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커플링 장치에 비상 작동 요소가 장비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비상 작동 요소에 의해, 커플링 장치는 예시된 경우에 그 '맞물린' 기능 위치로부터 '맞물림 해제된' 위치로 움직여져서 문짝이 매우 작은 힘으로, 그리고 원하는 대로 기계적으로 그리고 수동적으로 움직여질 수 있다.
커플링 장치에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커플링 드라이브가 장비되는 것이 유용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 디자인으로 인해,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커플링 드라이브는 제어 유닛에 의해 직접적으로 응답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커플링 드라이브는 커플링 장치가 제어 유닛으로부터의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그 '맞물린' 또는 '맞물림 해제된' 위치를 취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 목적을 위해,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커플링 드라이브는 제어 유닛에 연결된다.
이에 더하여, 이 맥락에서 커플링 장치가 기계적으로 작동하고 '맞물린' 위치 및 '맞물림 해제된' 위치가 현존하는 및/또는 부족한 확동 연결(positive connection)에 대응한다면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이론적으로, 커플링 장치는 또한 예컨대 마그네틱 커플링으로서 디자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10에 설명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차량 도어 및 특히 차량 슬라이딩 도어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과도 관련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차량 도어 및 특히 차량 슬라이딩 도어, 그리고 이런 차량 도어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에 의해 가상적으로 실제 발생하는 모든 시나리오들이 작은 노력만으로 대표될 수 있다. 사실, 이 점에서 예컨대 도어 록은 문짝의 비상 작동을 위한 복잡한 수단만큼 불필요하다. 본질적으로, 본 발명은 커플링 장치가 일반적으로 맞물림 해제되어 있고 문짝이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야만 할 때에만 맞물리는 점에서 이것을 성취한다.
문짝이 그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를 취하고 차량 기울어짐이 또한 나타내어질 때, 커플링 장치의 맞물린 위치가 추가적으로 그리고 유리하게 유지된다. 그 결과, 문짝은 한편으로는 필요하다면 기계적으로 그리고 수동적으로 움직여질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임의의 위치로의 동력화된 움직임이 가능하다. 이 모든 것들은 차량이 기울어져 있을 때에도 문짝이 제어되지 않은 움직임을 만드는 것 없이 가능하다. 본질적인 장점들을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이 단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로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 특히 차량 슬라이딩 도어를 개략적인 개관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차량 슬라이딩 도어인 차량 도어가 개략적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것은 예컨대 화살표로 표시된 앞뒤로 선형적으로 움직여질 수 있는 문짝(1)을 구비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 도어를 개방하고 닫기 위해 문짝(1)의 피벗 움직임도 가능하다. 이 목적을 위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문짝(1)은 유연성 연결 수단(2)을 통해 후속하는 커플링 장치(5)를 가진 동력화된 드라이브 및/또는 전기 동력 드라이브(3, 4)로 연결된다. 후속하는 커플링 장치(5)를 구비한 드라이브(3, 4)는 예컨대 차량 바디 내에서 정적인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문짝이 앞뒤로 움직여진다. 이론적으로, 커플링 장치(5)를 포함한 드라이브(3, 4)를 문짝(1) 내부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문짝(1)의 최대 변위에서 차량 도어의 최대 개방 폭은 1200 mm x 800 mm의 크기를 가진 유로풀 팰릿(Europool pallet)이 기울어지지 않은 채로 차량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기본 구조는 또한 한편으로는 드라이브(3, 4)의 구성품으로서 모터 및/또는 전기 모터(3)에, 그리도 다른 한편으로는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커플링 드라이브(7)에 작용하고 제어하는 제어 유닛(6)도 포함한다. 제어 유닛(6)은 문짝(1) 내부에 배치되거나 차량 바디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는데, 이것은 명확히 나타내어져 있지는 않다.
도 1에 2개의 센서들(8, 9)이 나타내어져 있다. 센서(8)는 드라이브(3, 4) 상에 또는 그 안에 배치되고 차량 도어 바디에 대한 관계에서 문짝(1)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8)이다. 위치 센서(8)는 예컨대 홀 센서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위치 센서(8)는 차량 도어 바디에 대한 관계에서 문짝(1)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검출하기에 적합한 다른 센서, 예컨대 속도 센서, 광학 센서 또는 스텝 카운터(step counter)일 수 있다. 위치 센서(8)에 의해 차량 바디에 있는 개구에 대해 문짝(1)의 적어도 하나의 개방 위치, 하나의 폐쇄 위치 및 또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가 파악될 수 있다.
센서(9)는 경사 센서(9)로서 실시예에 따라 디자인된다. 이런 경사 센서(9)는 도입부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전형적으로 어쨌든 임의의 차량에 존재하고 제공된다. 경사 센서(9)로부터의 신호는 예컨대 차량 내에 있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제어 유닛(6)으로 송신될 수 있다.
모터 및/또는 전기 모터(3)는 옵션인 후속하는 기어 장치(4)를 통해 커플링 장치(5)에 대해 작동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플링 장치(5)는 기계적인 것으로 디자인되고 적어도 '맞물린' 위치와 '맞물림 해제된' 위치를 취한다. '맞물린' 위치에서, 커플링 장치(5) 내에 확동 연결이 존재하여서, 예컨대 전기 모터(M)의 회전 움직임이 기어 장치(4) 및 맞물린 커플링 장치(5)를 통해 유연성 연결 수단(2)으로 전달된다. 유연성 연결 수단(2)은 유리하게는 보덴 케이블(2)인데, 이것은 권취 드럼으로 감기고 그로부터 풀려나올 수 있으며, 이것은 이어서 회전을 만들어내기 위해 드라이브(3, 4) 및 후속하여 연결된 커플링 장치(5)에 의해 작용을 받는다. 대안적인 구성에서, 유연성 연결 수단(2)은 예컨대 타이밍 벨트 또는 타이밍 벨트와 유사하게 기능하는 고정식 보덴 케이블(2)로서 디자인될 수 있다. 문짝(1)이 유연성 연결 수단 및/또는 보덴 케이블(2)의 한 단부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문짝(1)은 앞뒤로 움직여질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문제의 보덴 케이블(2)은 그에 맞춰 권취 드럼에 의해 감겨 들어가거나 그로부터 풀려나온다. 이런 슬라이딩 도어 드라이브의 상세는 종래 기술에서 잘 알려져 있는데, 예시로서 출원인의 DE 197 02 698 C2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커플링 장치(5)는 설정된 '맞물린' 위치 또는 '맞물림 해제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전류 없이 실현되도록 구성된다. 바꾸어 말해, 전류는 상기 위치들 사이의 변화를 위해서만 필요하다.
그 작동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 유닛(6)은 한편으로는 드라이브(3, 4)에 대해 작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커플링 장치(5) 및/또는 연관된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커플링 드라이브(7)에 대해 작용하도록 기능하는데, 이 커플링 드라이브에 의해 커플링 장치(5)가 그 기본적인 '맞물린'또는 '맞물림 해제된' 기능 위치들로 전환될 수 있다. 이론적으로, 커플링 장치(5)는 출원인의 DE 10 2009 014 404 A1에 따른 차량 록킹 장치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된 방식으로 디자인되고 작동할 수 있다.
이것은, 커플링 장치(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계적으로 작동하고, '맞물린' 위치가 예컨대 연관된 상호 접촉하는 디스크들의 확동 연결에 대응하는 한편 '맞물림 해제된' 기능 위치는 확동 연결의 부재를 가리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더하여, 커플링 장치(5)에는 비상 작동 요소(상세히 도시하지 않음)가 장비될 수 있는데,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커플링 드라이브(7)에 의한 것이 아니라 이에 의해 '맞물린' 및 '맞물림 해제된' 기능 위치들이 수행될 수 있다.
커플링 장치(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일반적으로 맞물림 해제되어 있다. 커플링 장치(5)는 모터가 문짝(1)에 대해 작용하도록만 맞물린다. 이 목적을 위해, 조작자는 예컨대 대응하는 명령을 제어 유닛(6)으로 줄 수 있다. 이것은 리모트 컨트롤 또는 차량 바디에 있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문짝(1)의 원하는 동력화된 작동은,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커플링 드라이브(7)에 의해 커플링 장치(5)를 일반적으로 취해진 '맞물림 해제된' 위치로부터 '맞물린' 기능 위치로 먼저 전환하는 제어 유닛(6)으로 이어진다. 이것은, 전기 모터(3)가 이어서 작용을 받을 때 예시적으로 그 회전 움직임이 궁극적으로 후속하는 기어 장치(4) 및 이어진 커플링 장치(5)를 통해 위에서 언급된 드라이브 드럼으로 전달되도록, 커플링 장치(5)의 확동 연결에 대응한다. 회전 드라이브 드럼은, 유연성 연결 수단 및/또는 보덴 케이블(2)이 그것에 감기거나 그로부터 풀려나오고, 그 결과 유연성 연결 수단(2)의 한 단부에 연결된 문짝(1)이 차량 바디에 대해 원하는 선형적인 움직임을 수행하도록 기능한다.
조작자는 이제 문짝(1)을 차량 바디에 대한 관계에서 그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원하는 중간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이것은, 조작자가 제어 유닛(6)으로 송신하는 대응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문짝(1)이 이 정적인 중간 위치를 취하는 것은, 이제 전기 모터(3)가 제어 유닛(6)에 의해 더 이상 작용을 받지 않고, 동시에 제어 유닛(6)이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커플링 드라이브(7)를 통해 커플링 장치(5)가 문짝(1)의 움직임 과정에서 취해진 그 '맞물린' 위치를 떠나고 '맞물림 해제된' 위치로 전환하는 것을 보장한다는 사실에 대응한다.
그러나, 이것은 제어 유닛(6)에 의한 경사 센서(9)의 요청이 앞서 차량 바디의 기울어짐이 없다고 나타낸 경우에만 배타적으로 적용된다. 바꾸어 말해, 차량이 수평적이면, 문짝(1)이 그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중간 위치를 취하고 있는 것은 커플링 장치(5)가 맞물림 해제되어 있고 전기 모터(3)가 정지되어 있는 것에 대응한다. 이것의 결과로서, 문짝(1)은 예컨대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문짝처럼 매우 작은 힘으로 조작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앞뒤로 손쉽게 움직여질 수 있다.
제어 유닛(6)이 경사 센서(9)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커플링 장치(5)에 대해 추가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경사 센서(9)에 의해 나타내어진 차량 기울어짐은 제어 유닛(5)이 이 경우 '맞물린' 위치에 커플링 장치(5)를 유지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즉, 문짝(1)이 그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휴지 상태에 있고 경사 센서(9)가 동시에 차량의 기울어짐을 나타내고 있다면, 제어 유닛(6)은 커플링 장치(5)가 그 '맞물린' 기능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것의 결과는, 문짝(1)이 중간 위치에 도달한 이후에 경사면 상에서 어떤 방향으로도 자동적으로 움직여지지 않으며, 자기-잠금력에 의해 이 중간 위치에 유지된다는 것이다. 이 경우, 커플링 장치(5)는 그 '맞물린' 기능 위치를 유지하며, 드라이브(3, 4)의 연관된 자기-잠금력이 추가적인 기계적인 잠금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문짝(1)이 중간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드라이브(3, 4)는 자기-잠금력이 30% (± 10%)의 경사에서 문짝(1)을 차단하기에 충분하도록 선택된다.
이 경우 전기 전력 공급에 고장이 있는 경우, 문짝(1)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히 이미 언급된 드라이브(3, 4)의 자기-잠금력을 극복하는 것에 의해 손쉽게 앞뒤로 움직여질 수 있다. 차량이 수평이고 이 경우 전기 전력 공급이 고장나면, 커플링 장치(5)는, 문짝(1)이 어려움 없이 수동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앞뒤로 움직여질 수 있도록 그 '맞물림 해제된' 기능 위치를 취한다.
전기 전력 공급의 고장의 경우에 경사면 상에서 문짝(1)의 움직임을 간단한 방식으로 수동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커플링 장치(5) 및/또는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커플링 드라이브(7)에는 추가적인 비상 작동 요소(미도시)가 장비된다. 이 경우, 커플링 장치(5)는 비상 작동 요소에 의해 그 취해진 '맞물린' 기능 위치로부터 '맞물림 해제된' 기능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비상 작동 요소는 예컨대 커플링 드라이브(7) 상의 작은 구멍을 가진 플라스틱 케이블 또는 보덴 케이블로서 디자인될 수 있다.

Claims (12)

  1. 동력화된 드라이브(3, 4) 및 문짝(1)에 대해 작용하기 위한 후속하는 커플링 장치(5)를 구비하고, 드라이브(3, 4) 및 커플링 장치(5)를 위한 제어 유닛(6)을 구비하는 차량 도어, 특히 차량 슬라이딩 도어로서, 커플링 장치(5)는 일반적으로 맞물림 해제되어 있고 문짝(1)의 동력화된 구동을 위해서만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커플링 장치(5)는 동력화된 작동시 문짝(1)이 그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정적인 중간 위치를 취하고 있을 때에도 그 맞물린 위치를 일반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3. 제2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6)은 상기 정적인 중간 위치가 미리 정해진 폭 이내에 놓일 때 커플링 장치(5)를 맞물림 해제하도록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6)은 경사 센서(9)로부터의 신호들에 따라 커플링 장치(5) 상에 추가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5. 제4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6)은 평탄한 표면 상에 있을 때 커플링 장치(5)를 모든 중간 위치들에서 맞물림 해제되게 유지하도록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6. 제3항에 있어서, 중간 위치에서 문짝(1)이 휴지 상태에 있고 동시에 경사 센서(9)가 차량의 기울어짐을 나타낸다면, 제어 유닛(6)은 경사 센서(9)의 신호들에 따라 '맞물린' 위치에서만 커플링 장치(5)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플링 장치(5)에는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커플링 드라이브(7)가 장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8. 제5항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커플링 드라이브(7)는 제어 유닛(6)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플링 장치(5)에는 비상 작동 요소가 장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플링 장치(5)는 기계적으로 작동하며, '맞물린' 위치와 '맞물림 해제된' 위치는 확동 연결의 존재 또는 부존재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어 위치의 직접적인 또는 간접적인 검출을 위해 제어 유닛(6)에 연결된 위치 센서(8)에 의해 특징지워지는 차량 도어.
  12. 차량 도어, 특히 차량 슬라이딩 도어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에 따라 제어 유닛(6)이 모터 드라이브(3, 4) 상에 작용하고, 이것에 후속하여 거기에 연결된 문짝(1)을 가진 커플링 장치(5) 상에 작용하되, 제어 유닛(6)은 커플링 장치(5)를 그 '맞물림 해제된' 위치로 유지하고, 문짝(1)을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만 커플링 장치를 '맞물린' 위치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07010572A 2017-09-13 2018-09-07 차량 도어, 특히 차량 슬라이딩 도어 KR202000535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21150.0A DE102017121150A1 (de) 2017-09-13 2017-09-13 Kraftfahrzeugtür, insbesondere Kraftfahrzeugschiebetür
DE102017121150.0 2017-09-13
PCT/DE2018/100762 WO2019052599A1 (de) 2017-09-13 2018-09-07 Kraftfahrzeugtür insbesondere kraftfahrzeugschiebetü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563A true KR20200053563A (ko) 2020-05-19

Family

ID=63713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0572A KR20200053563A (ko) 2017-09-13 2018-09-07 차량 도어, 특히 차량 슬라이딩 도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224481A1 (ko)
EP (1) EP3695083A1 (ko)
JP (1) JP2020533505A (ko)
KR (1) KR20200053563A (ko)
CN (1) CN111212954B (ko)
DE (1) DE102017121150A1 (ko)
WO (1) WO20190525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09771A1 (de) 2020-04-08 2021-10-14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Klappen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104Y2 (ja) * 1986-11-14 1994-08-22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JP2524996Y2 (ja) * 1991-03-22 1997-02-05 株式会社大井製作所 開閉体の自動開閉装置
DE19702698C2 (de) 1996-04-02 1999-03-18 Kiekert Ag Kraftfahrzeug mit zumindest einer in einer Seitenwand angeordneten Schiebetür
JP3656788B2 (ja) 1997-03-31 2005-06-08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車輛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制御装置
JP2001193353A (ja) * 1999-10-19 2001-07-17 Nippon Cable Syst Inc 電動スライドドアの開閉制御装置
JP3835095B2 (ja) * 1999-12-27 2006-10-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オートスライドドア制御装置
JP3749964B2 (ja) * 2000-03-22 2006-03-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オートスライドドア制御装置
JP2006009486A (ja) * 2004-06-29 2006-01-12 Mitsuba Corp 車両用開閉体制御方法
EP1713160B1 (en) * 2005-04-11 2020-06-17 Delphi Technologies, Inc. Drive device for motor operated vehicle door with movement sensor
JP4774847B2 (ja) * 2005-07-21 2011-09-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ドア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100737890B1 (ko) * 2005-11-28 2007-07-12 남궁정배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
JP4958433B2 (ja) * 2005-12-14 2012-06-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ドア制御方法および車両ドア制御システム
CN101397876A (zh) * 2007-09-29 2009-04-01 台全电机股份有限公司 汽车滑门的驱动装置
DE102008008178A1 (de) 2008-02-08 2009-08-20 Daim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Unterstützung einer Bedienung eines von Hand bewegbaren Karosseriebauteils eines Fahrzeuges
CN101457616B (zh) * 2008-12-19 2012-07-04 宁波信泰机械有限公司 一种汽车电动滑门的驱动机构
DE102009014404A1 (de) 2009-03-26 2010-09-30 Kiekert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r Kraftfahrzeug-Schließeinrichtung
JP2011132771A (ja) * 2009-12-25 2011-07-07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開閉装置
JP2012219435A (ja) * 2011-04-04 2012-11-12 Asmo Co Ltd 車両用ドア開閉装置の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車両用ドア開閉装置
JP2013087511A (ja) * 2011-10-19 2013-05-13 Hi-Lex Corporation 開閉体の開閉制御装置
JP2014163095A (ja) * 2013-02-25 2014-09-08 Daihatsu Motor Co Ltd 車両用ドア制御装置
JP5788937B2 (ja) * 2013-08-30 2015-10-0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及び車両用開閉システム
JP6337440B2 (ja) * 2013-10-28 2018-06-0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2599A1 (de) 2019-03-21
EP3695083A1 (de) 2020-08-19
US20200224481A1 (en) 2020-07-16
JP2020533505A (ja) 2020-11-19
DE102017121150A1 (de) 2019-03-14
CN111212954A (zh) 2020-05-29
CN111212954B (zh) 202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8855B2 (en) Sliding-door opening control apparatus
RU2673586C1 (ru) Дверная система с модулем электропривод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7288907B2 (en) Half-open position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 opening and closing member
CN102787571B (zh) 自动检票机闸门装置及其控制方法
US4984385A (en) Powered closing assist mechanism for vehicle doors or lid members
JP4308208B2 (ja) 門駆動法及び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門駆動装置
JP3754285B2 (ja) ドアの自動開閉装置
US20160160553A1 (en) Automatic dual electric motor tailgate lift system
RU2660093C1 (ru) Дверная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бесступенчатым ограничителем открытия двери
EP2924209B1 (en) An openable roof window with active lock
US20090302637A1 (en) Vehicle door opening device
KR20200053563A (ko) 차량 도어, 특히 차량 슬라이딩 도어
EP3073034B1 (en) A manually and electrically openable roof window with a manually and electrically operable lock
JP2007315069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4872095B2 (ja) 車両用開閉体自動開閉システムおよびセンサ異常判定方法
KR101080759B1 (ko) 자동차용 도어 자동개폐장치
KR20130053032A (ko) 전기식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및 그에 적용되는 잠금장치
JP2005016214A (ja) 電動式開閉戸の防犯装置
JPH11301271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自動開閉装置
JP4376820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中間停止装置
KR101611250B1 (ko) 파워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시스템
JP3993503B2 (ja) 開閉体の動作機構
JP3656182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自動開閉装置
JP3565317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自動開閉装置
CN112814519B (zh) 机动车门驱动设备、特别是机动车滑动门驱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