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853A - 광학투명점착시트, 적층체 및 접합 구조물 - Google Patents

광학투명점착시트, 적층체 및 접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853A
KR20200033853A KR1020207001794A KR20207001794A KR20200033853A KR 20200033853 A KR20200033853 A KR 20200033853A KR 1020207001794 A KR1020207001794 A KR 1020207001794A KR 20207001794 A KR20207001794 A KR 20207001794A KR 20200033853 A KR20200033853 A KR 20200033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optically transparent
adhesive sheet
sheet
transparent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1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키 나이토
다이스케 다카기
Original Assignee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33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8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08G18/2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 C08G18/24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tin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9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21Two or more polyisocyanate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08G18/73 - C08G18/80
    • C08G18/725Combination of polyisocyanates of C08G18/78 with other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08G18/75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5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 C08G18/75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and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a secondary carbon atom of the cycloaliphatic ring, e.g. isophorone diisocya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806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 C08G18/7818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containing ureum or ureum derivative groups
    • C08G18/7837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containing ureum or ureum derivative groups containing allophanat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9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791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 C08G18/792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aliphatic and/or cycloaliphatic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5/00Other materials containing non-metallic in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2B2311/00 - B32B2313/04
    • B32B2315/08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33/00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B32B2333/04Polymers of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5/00Polyureas;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C09J2201/3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76Releas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10T428/2891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alpha-beta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etc.] Or derivative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96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nitrogen containing condensation polymer [e.g., polyurethane, polyisocyanate,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연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고온·고습환경하에 있어서의 딜레이드 버블의 발생이 억제된 광학투명점착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제1표면점착제층과, 중간점착제층과, 제2표면점착제층을 이 순서대로 구비하고, 85℃에 있어서의 상기 제1표면점착제층 및 상기 제2표면점착제층의 저장탄성률은, 85℃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점착제층의 저장탄성률보다도 높고, 85℃에 있어서의 상기 제1표면점착제층 및 상기 제2표면점착제층의 저장탄성률은, 3.0×104Pa 이상, 30.0×104Pa 이하이고, 85℃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점착제층의 저장탄성률은, 1.0×104Pa 이상, 15.0×104Pa 이하이며, 상기 중간점착제층은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광학투명점착시트이다.

Description

광학투명점착시트, 적층체 및 접합 구조물
본 발명은, 광학투명점착시트, 상기 광학투명점착시트를 구비하는 적층체 및 상기 광학투명점착시트를 구비하는 접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광학투명점착(OCA : Optically Clear Adhesive) 시트는, 광학부재의 접합에 이용되는 투명한 점착시트이다. 최근에 스마트폰, 태블릿 PC, 휴대형 게임기, 카 내비게이션 장치 등의 분야에서 터치패널의 수요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고, 이에 수반하여 터치패널을 다른 광학부재에 접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OCA 시트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터치패널을 구비한 표시장치는, 통상적으로는 액정패널 등의 표시패널, ITO(산화인듐주석)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도전막을 표층(表層)에 구비하는 투명부재(터치패널 본체) 및 투명도전막을 보호하는 커버패널 등의 광학부재가 적층된 구조를 구비하고, 이들 광학부재 사이의 접합에 OCA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다만 표시패널과 터치패널 본체의 사이는, 표시패널의 프레임인 베젤(bezel)의 단부(端部)가 존재하여 다른 광학부재와의 간격보다도 넓기 때문에 OCA 시트에 의하여 접합되지 않아, 에어갭(air gap)이라고 불리는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OCA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계 수지 조성물이나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리콘 수지를 사용한 OCA 시트는, 점착력이 낮기 때문에 광학부재 사이에 공기가 들어가, 예를 들면 표시화면의 시인성(視認性)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었다.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이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 조성물인 경우에는, 자외선을 조사할 때에 아크릴계 수지의 표층부에서 반응에 필요한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이 소비되어 버림으로써 바닥부가 경화되지 않기 때문에, 후막(厚膜)의 OCA 시트를 얻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한 최근에 물성(物性), 조성(組成) 등이 서로 다른 복수의 층을 적층한 다층(多層)의 OCA 시트가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1종 이상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베이스 수지로 하고, 시트 전체의 압입경도(壓入硬度)가 소정의 범위 내이며, 점착위치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 내인 투명양면점착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투명양면점착시트는, 서로 다른 점탄성 거동을 나타내는 2층 이상의 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하고, 각 층은 모두 1종 이상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베이스 수지로 하는 층이며, 온도범위 0℃∼100℃의 전체 온도영역에 있어서, 주파수 1Hz에 있어서의 중간층의 저장전단탄성률(貯藏剪斷彈性率)(G′(A))이 어느 일방의 표면층의 저장전단탄성률(G′(B))보다도 높고, 또한 시트 전체의 압입경도가 소정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2에는, 접착제층(A) 및 점착제층(B)이 적층된 점접착시트로서, 상기 접착제층(A)의 온도 40℃ 및 주파수 1.0Hz에서 측정한 저장탄성률(G′a40)이 1.0×104Pa 이상이고, 또한 상기 접착제층(A)의 온도 70℃ 및 주파수 1Hz에서 측정한 저장탄성률(G′a70)이 1.0×104Pa 미만이며, 상기 점착제층(B)의 온도 40℃ 및 주파수 1.0Hz에서 측정한 저장탄성률(G′b40)이 1.0×104Pa 이상이고, 또한 상기 점착제층(B)의 온도 70℃ 및 주파수 1Hz에서 측정한 저장탄성률(G′b70)이 1.0×104Pa 이상인 점접착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 : 국제공개 WO 2011/129200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5-224320호 공보
광학부재 사이에 공기층인 에어갭이 존재하면, 공기층 및 광학부재의 굴절율의 차에 의하여 계면반사가 일어나기 때문에, 표시패널의 시인성이 저하된다. 이 때문에, 표시패널과 터치패널 본체의 접합에 적당한 후막의 OCA 시트가 요구되고 있었다. 또한 표시패널과 터치패널 본체의 접합에 사용되는 OCA 시트에는, 베젤의 두께로 인하여 형성되는 단차를 피복할 수 있을 것도 요구된다. 따라서 단차추종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후막화가 가능한 OCA 시트가 요구되고 있었다. 또한 OCA 시트를 사용한 표시장치는, 다양한 환경하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상정되기 때문에, 상온·상습환경하에서만이 아니라 고온·고습환경하에 있어서도 안정된 품질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자들은, OCA 시트의 품질에 대하여 검토한 바, OCA 시트를 기재(基材)에 첩부(貼付)한 후에 고온·고습환경하에 방치하면, OCA 시트와 기재의 사이에 기포(딜레이드 버블(delayed bubble))가 발생하여 점착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OCA 시트를 글라스 기재와 수지기재와 같이 환경변화에 의한 신축성이 서로 다른 기재 상호간의 접합에 사용하는 경우에, OCA 시트가 기재 사이의 치수변화를 추종할 수 없어 박리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자들은, 검토를 거듭한 결과, 단차를 추종할 수 있는 유연성(단차추종성) 및 기재의 치수변화를 추종할 수 있는 유연성(신축추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OCA 시트의 저장탄성률을 낮게 하면, 딜레이드 버블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한편 딜레이드 버블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저장탄성률을 높게 하여 OCA 시트를 딱딱하게 하면, 단차추종성 및 신축추종성이 저하됨으로써 기재 상호간의 신축에 따른 변형을 흡수하는 것이 곤란해져, OCA 시트와 기재가 박리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현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유연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고온·고습환경하에 있어서의 딜레이드 버블의 발생이 억제된 광학투명점착시트, 상기 광학투명점착시트를 구비하는 적층체 및 상기 광학투명점착시트를 구비하는 접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고온·고습환경하에 있어서도 안정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광학투명점착시트에 대하여 검토하고, 유연성의 향상과 딜레이드 버블의 억제라고 하는 상반된 성능을 양립시키기 위하여 광학투명점착시트를 복층구조로 하는 것에 착안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검토를 거듭하여, 저장탄성률이 낮아 유연성이 높은 점착제층을 중간점착제층으로서 사용하고, 상기 중간점착제층의 양면에 저장탄성률이 높아 딱딱한 표면점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유연성과 기재에 대한 밀착성을 양립시키면서 고온·고습환경하에 있어서의 딜레이드 버블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光學透明粘着sheet)는, 제1표면점착제층과, 중간점착제층과, 제2표면점착제층을 이 순서대로 구비하고, 85℃에 있어서의 상기 제1표면점착제층 및 상기 제2표면점착제층의 저장탄성률(貯藏彈性率)은, 85℃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점착제층의 저장탄성률보다도 높고, 85℃에 있어서의 상기 제1표면점착제층 및 상기 제2표면점착제층의 저장탄성률은, 3.0×104Pa 이상, 30.0×104Pa 이하이고, 85℃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점착제층의 저장탄성률은, 1.0×104Pa 이상, 15.0×104Pa 이하이며, 상기 중간점착제층은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0℃에 있어서의 상기 제1표면점착제층 및 상기 제2표면점착제층의 저장탄성률은, 30℃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점착제층의 저장탄성률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30℃에 있어서의 상기 제1표면점착제층 및 상기 제2표면점착제층의 손실정접(損失正接; loss tangent)은, 30℃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점착제층의 손실정접보다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85℃에 있어서의 상기 제1표면점착제층 및 상기 제2표면점착제층의 손실정접은, 85℃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점착제층의 손실정접보다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85℃에 있어서의 상기 제1표면점착제층 및 상기 제2표면점착제층의 손실정접은, 0.5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점착제층은, 상기 제1표면점착제층 및 상기 제2표면점착제층보다도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표면점착제층 및 상기 제2표면점착제층은, 폴리우레탄 또는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점착제층은, 열경화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와, 상기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일방(一方)의 면을 덮는 제1이형필름과, 상기 광학투명점착시트의 타방(他方)의 면을 덮는 제2이형필름이 적층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접합 구조물은, 글라스 기재를 구비하는 제1피착체와, 수지기재를 구비하는 제2피착체와, 상기 글라스 기재 및 상기 수지기재를 접합하는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에 의하면, 유연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고온·고습환경하에 있어서의 딜레이드 버블의 발생이 억제된 광학투명점착시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의하면,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취급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접합 구조물에 의하면, 고온·고습환경하에 있어서도 박리가 발생하기 어려워, 고온·고습환경하에 있어서의 딜레이드 버블의 발생이 억제된 접합 구조물을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적층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를 사용한 터치패널을 갖는 표시장치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는, 점착력의 평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광학투명점착시트]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제1표면점착제층과, 중간점착제층과, 제2표면점착제층을 순서대로 구비하고, 85℃에 있어서의 상기 제1표면점착제층 및 상기 제2표면점착제층의 저장탄성률은, 85℃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점착제층의 저장탄성률보다도 높고, 85℃에 있어서의 상기 제1표면점착제층 및 상기 제2표면점착제층의 저장탄성률은, 3.0×104Pa 이상, 30.0×104Pa 이하이고, 85℃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점착제층의 저장탄성률은, 1.0×104Pa 이상, 15.0×104Pa 이하이며, 상기 중간점착제층은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10)는, 제1표면점착제층(11)과 중간점착제층(12)과 제2표면점착제층(13)을 순서대로 구비한다.
〈표면점착제층〉
85℃에 있어서의 제1표면점착제층(11) 및 제2표면점착제층(13)의 저장탄성률은, 85℃에 있어서의 중간점착제층(12)의 저장탄성률보다도 높다. 저장탄성률이 낮은(가교밀도가 낮아 부드럽다) 점착제층은, 우수한 유연성을 구비하는 한편 기재(基材)에 대한 밀착성이 낮아, 단층(單層)으로 사용하면 기재와의 계면에서 들뜸이나 박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저장탄성률을 낮추면, 고온·고습환경하에 있어서 딜레이드 버블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그래서 저장탄성률이 낮은 점착제층을 중간점착제층(12)으로서 사용하고, 중간점착제층(12)의 양면(兩面)에 저장탄성률이 높은(가교밀도가 높아 딱딱하다) 표면점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유연성과 기재에 대한 밀착성을 양립시키면서 고온·고습환경하에 있어서의 딜레이드 버블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저장탄성률은, 예를 들면 안톤파(Anton Paar Germany GmbH) 제품인 점탄성 측정장치「Physica MCR301」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측정조건으로서, 측정 플레이트에 PP12를 사용하고, 비틀림 0.1%, 주파수 1Hz, 셀 온도 25℃∼100℃(승온속도 3℃/분)로 하여 측정하고, 원하는 온도에 있어서의 측정값을 채용할 수 있다.
85℃에 있어서의 제1표면점착제층(11) 및 제2표면점착제층(13)의 저장탄성률(G′85℃)은, 3.0×104Pa 이상, 30.0×104Pa 이하이다. 상기 제1 및 제2표면점착제층의 G′85℃가 3.0×104Pa 미만이면, 상기 제1 및 제2표면점착제층이 지나치게 부드럽기 때문에, 중간점착제층의 내부발포를 억제할 수 없다. 또한 수지기재에 첩부(貼付)한 경우에는, 수지기재로부터 발생하는 수분을 충분히 흡수할 수 없어, 히트사이클 시험에 있어서 박리가 발생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표면점착제층의 G′85℃가 30.0×104Pa을 초과하면, 상기 제1 및 제2표면점착제층이 지나치게 딱딱하기 때문에, 기재에 대한 밀착성이 저하되어 박리되기 쉬워진다. 특히 글라스 기재와 수지기재의 접합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재 상호간의 신축성의 차가 크기 때문에 환경변화에 기인하는 기재 상호간의 비틀림을 흡수할 수 없어, 히트사이클 시험에 있어서 박리가 발생한다. 상기 제1 및 제2표면점착제층의 G′85℃의 바람직한 하한은 5.0×104Pa이며, 바람직한 상한은 25.0×104Pa이다. 상기 제1 및 제2표면점착제층의 G′85℃는, 15.0×104Pa을 초과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20.0×104Pa이다.
30℃에 있어서의 제1표면점착제층(11) 및 제2표면점착제층(13)의 저장탄성률은, 30℃에 있어서의 중간점착제층(12)의 저장탄성률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30℃에 있어서도, 우수한 유연성과 기재에 대한 밀착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30℃에 있어서의 제1표면점착제층(11) 및 제2표면점착제층(13)의 저장탄성률(G′30℃)은, 예를 들면 15.5×104Pa 이상, 35.5×104Pa 이하이더라도 좋다. 상기 제1 및 제2표면점착제층의 G′30℃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7.5×104Pa이고, 더 바람직한 상한은 30.0×104Pa이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20.0×104Pa이다.
85℃에 있어서의 제1표면점착제층(11) 및 제2표면점착제층(13)의 손실정접은, 85℃에 있어서의 중간점착제층(12)의 손실정접보다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유연성이 높은 중간점착제층(12)의 양면에 저장탄성률이 높아 딱딱한 표면점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유연성과 기재에 대한 밀착성을 양립시키면서 딜레이드 버블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85℃에 있어서의 제1표면점착제층(11) 및 제2표면점착제층(13)의 손실정접(tanδ85℃)은, 0.5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표면점착제층의 tanδ85℃가 0.54를 초과하면, 상기 제1 및 제2표면점착제층이 지나치게 부드럽기 때문에, 상기 중간점착제층의 내부발포를 억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수지기재에 첩부한 경우에는, 상기 수지기재로부터 발생하는 수분을 충분히 흡수할 수 없어, 히트사이클 시험에 있어서 박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제1 및 제2표면점착제층의 tanδ85℃의 하한은, 예를 들면 0.1이다. 상기 제1 및 제2표면점착제층의 tanδ85℃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5이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0.2이다. 상기 손실정접은, 상기 저장탄성률과 동일한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동일한 측정조건으로 측정할 수 있고, 원하는 온도에 있어서의 측정값을 채용할 수 있다.
30℃에 있어서의 제1표면점착제층(11) 및 제2표면점착제층(13)의 손실정접은, 30℃에 있어서의 중간점착제층(12)의 손실정접보다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30℃에 있어서도, 우수한 유연성과 기재에 대한 밀착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30℃에 있어서의 제1표면점착제층(11) 및 제2표면점착제층(13)의 손실정접(tanδ30℃)은, 0.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6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0.54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표면점착제층(11)과 제2표면점착제층(13)은, 상기 G′85℃, 상기 G′30℃, 상기 tanδ85℃ 및 상기 tanδ30℃가 동일하여도 좋고, 달라도 좋다.
제1표면점착제층(11) 및 제2표면점착제층(13)은, 폴리우레탄 또는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표면점착제층(11) 및 제2표면점착제층(13)이 폴리우레탄 또는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투명성이 얻어진다. 제1표면점착제층(11) 및 제2표면점착제층(13)의 양방(兩方)이 폴리우레탄을 함유하여도 좋고, 양방이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여도 좋고, 어느 일방(一方)이 폴리우레탄을 함유하고 타방(他方)이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여도 좋다.
상기 폴리우레탄은,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경화시킨 것이다.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면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로서는, 후술하는 중간점착제층(12)에 사용하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킨 것이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이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라고도 한다)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18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CH2=CR1-COOR2;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탄소수 1∼18의 알킬기이다)이며, 상기 알킬기의 탄소수는 4∼12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기의 탄소수가 1∼18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헵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운데카(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β-카르복시에틸, (메타)아크릴산 5-카르복시펜틸, 숙신산 모노(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테르, ω-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카르복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푸마르산, 말레인산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가교제로서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가 구비하는 가교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부터 유래하는 가교성 관능기와 가교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성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사용하여도 좋다.
제1표면점착제층(11) 및 제2표면점착제층(13)의 두께는, 10㎛∼5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가 10㎛ 미만이면, 중간점착제층(12)으로부터 발생하는 내부발포를 충분히 억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두께가 500㎛를 초과하면, 비용이 상승하는 한편 내부발포의 억제효과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0㎛이고, 더 바람직한 상한은 300㎛이다. 제1표면점착제층(11) 및 제2표면점착제층(13)의 두께는 동일하여도 좋고, 달라도 좋다.
제1표면점착제층(11) 및 제2표면점착제층(13)은, 85℃에 있어서의 글라스에 대한 점착력이 1N/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85℃에 있어서의 점착력은, 180° 박리시험에 의하여 측정되는 점착력이다. 180° 박리시험의 시험방법의 상세는 후술한다. 상기 제1 및 제2표면점착제층의 85℃에 있어서의 글라스에 대한 점착력이 양방 모두 1N/25㎜ 이상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글라스 기재를 구비하는 피착체(被着體)에 대하여 고온환경하에 있어서도 충분한 점착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85℃에 있어서의 점착력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5N/25㎜이다. 85℃에 있어서의 점착력 및 후술하는 상온·상습에 있어서의 점착력이 15N/25㎜ 이하이면, 광학투명점착시트를 터치패널 등의 광학부재의 접합에 사용하는 경우에, 흔적 없이 떼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리워크성(reworkability)이 우수하다. 또한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점착력이 지나치게 커지면, 광학투명점착시트와 피착체 사이에 들어간 기포를 빼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85℃에 있어서의 점착력은, 4N/25㎜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0N/25㎜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표면점착제층(11) 및 제2표면점착제층(13)은, 상온·상습에 있어서의 글라스에 대한 점착력이 2N/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온·상습에 있어서의 점착력은, 180° 박리시험에 의하여 측정되는 점착력이다. 상기 상온·상습에 있어서의 점착력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5N/25㎜ 이하이다. 상기 상온·상습에 있어서의 점착력은, 5N/25㎜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0N/25㎜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4는, 점착력의 평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상기 180° 박리시험은, 예를 들면 길이 75㎜×폭 25㎜로 재단한 점착시트(9)를 시험편으로 하고, 이 시험편의 편면(片面)을 길이 75㎜×폭 25㎜의 슬라이드 글라스(41)에 첩부하고 압력 0.4MPa로 30분간 유지하여, 점착시트(9)와 슬라이드 글라스(41)를 접합시킨다. 다음에 도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시트(9)에 있어서 슬라이드 글라스(41)와는 반대측의 면에 PET 시트(42)를 접합시킨다. 그 후에 소정의 온도에서 일정 시간 방치한 후에, 도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ET 시트(42)를 180° 방향으로 잡아당겨 점착시트(9)를 슬라이드 글라스(41)와의 계면에서 박리시키고, 슬라이드 글라스(41)에 대한 점착시트(9)의 점착력을 측정한다. 상기 PET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두께 125㎛의 PET 시트(데이진 듀폰 필름(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제품인 「멜리넥스(MELINEX)(등록상표) 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중간점착제층〉
85℃에 있어서의 중간점착제층(12)의 저장탄성률(G′85℃)은, 1.0×104Pa 이상, 15.0×104Pa 이하이다. 중간점착제층(12)의 G′85℃가 1.0×104Pa 미만이면, 지나치게 부드럽기 때문에 내부발포가 발생하기 쉽고, 히트사이클 시험에 있어서 박리가 발생하기 쉽다. 한편 중간점착제층(12)의 G′85℃가 15.0×104Pa을 초과하면, 유연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충분한 단차추종성을 얻을 수 없다. 또한 환경변화에 따라 신축성이 서로 다른 기재 상호간의 접합에 사용하는 경우에, 기재 사이의 치수변화를 추종할 수 없어 박리된다. 중간점착제층(12)의 G′85℃의 바람직한 하한은 2.0×104Pa이며, 바람직한 상한은 14.0×104Pa이다.
30℃에 있어서의 중간점착제층(12)의 저장탄성률(G′30℃)은, 예를 들면 8.0×104Pa 이상, 33.0×104Pa 이하이더라도 좋다. 중간점착제층(12)의 G′30℃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2.0×104Pa이며, 더 바람직한 상한은 25.0×104Pa이다. 중간점착제층(12)의 G′30℃는, 20.0×104Pa 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85℃에 있어서의 중간점착제층(12)의 손실정접(tanδ85℃)은, 예를 들면 0.2 이상, 0.8 이하이더라도 좋다. 중간점착제층(12)의 tanδ85℃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54를 초과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0.7이다.
30℃에 있어서의 중간점착제층(12)의 손실정접(tanδ30℃)은, 예를 들면 0.3 이상, 0.85 이하이더라도 좋다. 중간점착제층(12)의 tanδ30℃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35이며,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0.6이다. 중간점착제층(12)의 tanδ30℃는, 0.54를 초과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중간점착제층(12)은, 제1표면점착제층(11) 및 제2표면점착제층(13)보다도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유연성이 높은 중간점착제층(12)을 두껍게 함으로써, 광학투명점착시트(10)의 단차추종성 및 신축추종성을 높일 수 있다.
중간점착제층(12)의 두께는, 100㎛∼2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가 100㎛ 미만인 경우에는, 광학투명점착시트 전체의 유연성이 저하되어,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일방의 면을 광학부재의 표면에 첩부하였을 때에 광학투명점착시트로 광학부재의 표면에 존재하는 요철 또는 단차를 피복할 수 없고, 광학투명점착시트의 타방의 면과 다른 광학부재의 표면을 충분한 접착력으로 접합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두께가 20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헤이즈나 전광선투과율(全光線透過率) 등의 광학특성을 충분히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중간점착제층(12)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50㎛이고,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200㎛이며,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250㎛이다. 중간점착제층(12)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500㎛이고,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1000㎛이다.
광학투명점착시트로서의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1표면점착제층(11), 중간점착제층(12) 및 제2표면점착제층(13)의 각 층은, 모두 헤이즈가 1% 이하인 것, 전광선투과율이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 중에서 헤이즈 및 전광선투과율은, 예를 들면 닛폰 덴쇼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NIPPON DENSHOKU INDUSTRIES CO., LTD.) 제품인 탁도계「HazeMeter NDH2000」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헤이즈는 JIS K 7136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되고, 전광선투과율은 JIS K 7361-1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된다.
중간점착제층(12)은 폴리우레탄을 함유한다. 중간점착제층(12)이 폴리우레탄을 함유하여 유연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인장응력을 가했을 때에 잘 신장되어, 끊어지기가 매우 힘들다. 이 때문에, 흔적 없이 잡아떼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중간점착제층(12)이 폴리우레탄을 함유하기 때문에 유전율이 높아,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종래의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광학투명점착시트보다도 높은 정전용량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패널의 접합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중간점착제층(12)이 폴리우레탄을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투명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고온·고습환경하에 있어서도 백화(白化)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중간점착제층(12)은, 열경화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경화 폴리우레탄은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성막(成膜)할 수 있기 때문에, 중간점착제층(12)이 열경화 폴리우레탄을 함유함으로써, 중간점착제층(12)의 후막화(厚膜化)가 가능해진다. 또한 중간점착제층(12)이 열경화 폴리우레탄을 함유함으로써, 후막으로 형성하더라도 우수한 유연성 및 투명성을 구비함과 아울러 고온·고습환경하에 있어서도 백화가 일어나기 어려운, 신뢰성이 높은 광학투명점착시트를 얻을 수 있다.
열경화 폴리우레탄은,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경화물이다. 상기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폴리올 성분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경화 폴리우레탄은, 예를 들면 폴리올 성분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고, 하기 식(A)에 나타내는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A)에서, R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중 NCO기를 제외한 부위를 나타내고, R′은 폴리올 성분 중 OH기를 제외한 부위를 나타내고, n은 반복단위수를 나타낸다.
열경화 폴리우레탄은, 아크릴 변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고, 주쇄(主鎖) 중에 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등으로부터 유래하는 부위가 포함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열경화 폴리우레탄이 아크릴 변성되면 소수화(疎水化)되기 때문에, 고온·고습하에 있어서 수분의 응집이 생기기 쉬워진다. 이 수분의 응집은 백화, 발포 등을 야기하여, 광학특성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열경화 폴리우레탄을 아크릴 변성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함으로써, 고온·고습하에 있어서 백화, 발포 등에 의한 광학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 폴리우레탄은, 폴리올 성분으로부터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부터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합계량이, 열경화 폴리우레탄 전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단위의 80mol%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올 성분으로부터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부터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만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폴리올 성분 및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서는, 양방 모두 상온(23℃)에서 액체인 것을 사용할 수 있어,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열경화 폴리우레탄을 얻을 수 있다. 태키파이어(tackifier) 등의 다른 성분은, 폴리올 성분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중의 어느 하나에 첨가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올 성분에 첨가된다. 열경화 폴리우레탄에 의하여 중간점착제층(12)을 제작하는 경우에, 용제를 제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균일한 시트를 두껍게 형성할 수 있어, 후막의 중간점착제층(12)을 제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투명도전막을 표층(表層)에 구비하는 투명부재(터치패널)와 표시패널의 접합에 중간점착제층(12)을 구비한 광학투명점착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베젤의 단차를 피복할 수 있다. 또한 중간점착제층(12)은 두껍게 형성하더라도 광학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투명성(헤이즈)의 저하, 착색, 발포(피착체와의 계면에서의 기포의 발생)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중간점착제층(12)은, 유연함과 아울러 후막화가 가능하다는 점으로부터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중간점착제층(12)을 구비한 광학투명점착시트는, 투명도전막을 표층에 구비하는 투명부재와 커버패널의 접합에 사용할 수 있고, 또 다른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투명도전막을 표층에 구비하는 투명부재 또는 표시패널과, 다른 부재의 접합에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 성분]
상기 폴리올 성분은, 올레핀 골격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주쇄가 폴리올레핀 또는 그 유도체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올레핀 골격을 구비하는 폴리올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1,2-폴리부타디엔폴리올, 1,4-폴리부타디엔폴리올, 1,2-폴리클로로프렌폴리올, 1,4-폴리클로로프렌폴리올 등의 폴리부타디엔계 폴리올이나 폴리이소프렌계 폴리올, 그들의 이중결합을 수소 또는 할로겐 등으로 포화화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 성분은, 폴리부타디엔계 폴리올 등에 스티렌, 에틸렌, 아세트산비닐, 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의 올레핀 화합물을 공중합시킨 폴리올이나 그 수소첨가물이더라도 좋다. 상기 폴리올 성분은, 직쇄구조를 구비하는 것이어도 좋고, 분기구조를 구비하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 폴리올 성분은, 1종류만이 사용되어도 좋고, 2종류 이상 사용되어도 좋다. 상기 폴리올 성분은, 올레핀 골격을 구비하는 폴리올 성분을 80mol%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올레핀 골격을 구비하는 폴리올 성분만으로 이루어진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구비하는 지방족 및/또는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에틸렌옥사이드 유닛을 구비하는 에테르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변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족 및/또는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함으로써, 착색이나 변색이 보다 발생하기 어려워, 장기간에 걸쳐 광학투명점착시트의 투명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에틸렌옥사이드 유닛을 구비하는 에테르 화합물을 반응시킨 변성체로 함으로써,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친수성 부분(에틸렌옥사이드 유닛)의 작용에 의하여 백화를 억제할 수 있고, 소수성 부분(그 외의 유닛)의 작용에 의하여 저극성(低極性)의 태키파이어, 가소제 등과의 상용성을 발휘할 수 있다.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α비(폴리올 성분으로부터 유래하는 OH기의 mol수/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부터 유래하는 NCO기의 mol수)가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α비가 1 미만인 경우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배합량이 폴리올 성분의 배합량에 대하여 과잉이기 때문에 열경화 폴리우레탄이 딱딱해져, 광학투명점착시트에 요구되는 유연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광학투명점착시트를 구성하는 중간점착제층의 유연성이 낮으면, 특히 터치패널 등의 광학부재를 접합시키는 경우에, 접합면에 존재하는 요철 및 단차를 피복할 수 없다. 또한 광학투명점착시트에 요구되는 점착력을 확보할 수 없다. α비는, 1<α<2.0을 만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α비가 2.0 이상인 경우에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이 충분히 경화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태키파이어]
상기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태키파이어(점착부여제)를 더 함유하여도 좋다. 태키파이어는, 점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하는 첨가제로서, 통상 분자량이 수백∼수천인 무정형(無定型)의 올리고머로, 상온에서 액상(液狀) 또는 고형(固形)인 열가소성 수지이다.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이 태키파이어를 함유함으로써, 열경화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중간점착제층(12)은 그 양면에 있어서 충분한 점착력을 갖는다.
[가소제]
상기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가소제를 더 함유하여도 좋다. 상기 가소제로서는, 열경화 폴리우레탄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용성 및 내후성(耐候性)의 관점에서 카르복시산계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매]
상기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촉매를 더 함유하여도 좋다. 촉매로서는, 우레탄화 반응에 사용되는 촉매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디라우르산디-n-부틸주석, 디라우르산디메틸주석, 디부틸주석옥사이드, 옥탄산주석 등의 유기주석화합물; 유기티탄화합물; 유기지르코늄화합물; 카르복시산주석염; 카르복시산비스무트염; 트리에틸렌디아민 등의 아민계 촉매를 들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에는,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요구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착색제, 안정제, 산화방지제, 곰팡이방지제, 난연제 등의 각종 첨가제가 첨가되어 있어도 좋다.
광학투명점착시트(10)는, 제1표면점착제층(11)과, 중간점착제층(12)과, 제2표면점착제층(13)을 이 순서대로 구비하고 있으면 좋고, 또 다른 층을 구비하여도 좋다. 제1표면점착제층(11) 및 제2표면점착제층(13)은, 각각 광학투명점착시트(10)의 최표면(最表面)(피착체와 접하는 면)에 위치하면 좋다.
〈광학투명점착시트〉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광학투명점착시트로서의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헤이즈가 1% 이하인 것, 전광선투과율이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헤이즈 및 전광선투과율은, 예를 들면 닛폰 덴쇼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인 탁도계「HazeMeter NDH2000」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헤이즈는 JIS K 7136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되고, 전광선투과율은 JIS K 7361-1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된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의 마이크로 고무 A 경도는, 0.5° 이상,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 고무 A 경도가 0.5° 미만인 경우에는, 사용 시(광학부재에 대한 첩부 시)의 취급성이 나빠 광학투명점착시트를 변형시켜 버리는 경우가 있다. 한편 마이크로 고무 A 경도가 2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유연성이 낮아 광학부재에 첩부할 때에 광학부재의 표면형상을 추종할 수 없어, 공기가 들어가 버림으로써 광학부재로부터 떨어지는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유연성이 낮으면, 특히 터치패널 등의 광학부재를 접합시킬 때에, 베젤의 단차를 피복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광학투명점착시트의 마이크로 고무 A 경도는, 0.5° 이상, 15°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마이크로 고무 A 경도는, 예를 들면 고분시 게이키 가부시키가이샤(KOBUNSHI KEIKI CO.,LTD.) 제품인 마이크로 고무 경도계「MD-1 타입A」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마이크로 고무 경도계「MD-1 타입A」는, 스프링식 고무 경도계(듀로미터) A형의 약 1/5의 축소모델로서 설계·제작된 경도계이며, 측정대상물의 사이즈가 얇아도 스프링식 고무 경도계 A형의 경도와 일치하는 측정값을 취득할 수 있다.
광학투명점착시트 전체의 두께는 1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투명점착시트 전체의 두께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3000㎛이다. 광학투명점착시트는, 피착체의 첩부면에 존재하는 요철 또는 단차의 높이에 대하여 3배 이상의 두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00㎛이고,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000㎛이다.
[적층체]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양면에는 이형필름(離型film)이 첩부되어도 좋다. 도2는, 본 발명의 적층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10)와, 광학투명점착시트(10)의 일방의 면을 덮는 제1이형필름(21)과, 광학투명점착시트(10)의 타방의 면을 덮는 제2이형필름(22)이 적층된 적층체(20)(이하, 「본 발명의 적층체」라고도 한다)도 또한 본 발명의 일형태이다. 본 발명의 적층체에 의하면, 제1이형필름 및 제2이형필름으로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양면을 피착체에 첩부하기 직전까지 보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에 대한 점착성의 저하 및 이물질의 부착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가 피착체 이외에 첩부되어 버리는 것도 방지되기 때문에, 취급성이 높아진다.
제1이형필름 및 제2이형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PET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제1이형필름 및 제2이형필름의 재질 및 두께는, 서로 동일하여도 좋고, 다르게 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 및 제1이형필름의 접합강도(박리강도)와,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 및 제2이형필름의 접합강도(박리강도)는,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접합강도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제1이형필름 및 제2이형필름 중의 일방(접합강도가 낮은 쪽의 이형필름)만을 본 발명의 적층체로부터 박리하여, 노출된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제1면과 제1피착체를 접합시키고, 그 후에 제1이형필름 및 제2이형필름 중의 타방(접합강도가 높은 쪽의 이형필름)을 박리하여, 노출된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제2면과 제2피착체를 접합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제1이형필름의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와 접하는 측의 표면 및 제2이형필름의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와 접하는 측의 표면 중의 적어도 일방에는, 역박리처리(이형처리)가 되어 있어도 좋다. 역박리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접합 구조물]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글라스 기재를 구비하는 제1피착체와, 수지기재를 구비하는 제2피착체와, 상기 글라스 기재 및 상기 수지기재를 접합하는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를 구비하는 접합 구조물(이하, 「본 발명의 접합 구조물」이라고도 한다)도 또한 본 발명의 일형태이다.
제1피착체는 글라스 기재를 구비한다. 제1피착체는 광학투명점착시트와 접합되는 측의 표면이 글라스 기재로 구성되어 있으면 좋고, 예를 들면 표시패널, 터치패널, 커버패널 등의 표시장치 내의 각종 패널; 글라스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를 글라스 기재에 첩부함으로써, 글라스의 비산을 방지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제2피착체는 수지기재를 구비한다. 상기 수지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을 들 수 있다. 제2피착체는 광학투명점착시트와 접합되는 측의 표면이 수지기재로 구성되어 있으면 좋고, 예를 들면 표시패널, 터치패널, 커버패널 등의 표시장치 내의 각종 패널; 편광판; 수지판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판의 첩부면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등으로 구성되고, 수지판의 첩부면은 폴리카보네이트(PC)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글라스뿐만 아니라 이들 수지에 대해서도 양호한 점착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들 수지기재는, 글라스 기재와 비교하여 온도변화에 따른 치수변화가 크다. 예를 들면 글라스 기재와 PET 필름의 신축차를 검토하면, 12인치의 표시장치에서는 대각선상으로 약 1.5㎜의 치수차가 생기는 것을 상정할 수 있고, 50인치의 표시장치에서는 대각선상으로 약 5.0㎜의 치수차가 생기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저장탄성률이 낮아 유연성이 높은 중간점착제층을 구비함으로써, 기재 사이의 치수변화를 추종할 수 있어, 상온·상습뿐만 아니라 고온·고습환경하에 있어서도 박리가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글라스 기재와 상기 수지기재의 접합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수지기재는 글라스 기재와 비교하여, 기재 내로부터 수분이나 아웃가스(outgas)가 발생하기 쉽지만,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저장탄성률이 높아 딱딱한 제1 및 제2표면점착제층을 구비하기 때문에, 기재와 광학투명점착시트의 계면에 있어서의 수분의 응집 및 딜레이드 버블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상기 글라스 기판과 상기 제1표면점착제층(11)이 접하고, 상기 수지기판과 상기 제2표면점착제층(13)이 접하도록 배치되어도 좋고, 상기 글라스 기판과 상기 제2표면점착제층(13)이 접하고, 상기 수지기판과 상기 제1표면점착제층(11)이 접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접합 구조물로서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와 표시패널과 터치패널을 구비하는, 터치패널을 갖는 표시장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표시장치 내의 각종 패널을 접합시키면, 표시장치 내의 공기층(에어갭)을 없앨 수 있어, 표시화면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를 사용한 터치패널을 갖는 표시장치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장치(100)에서는, 표시패널(30), 광학투명점착시트(10), 터치패널(ITO 투명도전막을 갖는 글라스 기판)(32), 광학투명점착시트(10) 및 투명커버패널(33)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도3에서는, 표시패널(30), 터치패널(32) 및 투명커버패널(33)의 3개의 광학부재가 2매(枚)의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10)에 의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표시패널(30)은, 표시면 측으로 개구(開口)가 형성된 베젤(표시패널(30)의 프레임)(31) 내에 수용되어 있다. 베젤(31)의 개구의 외연(外緣)에는, 베젤(31)의 두께에 대응하는 단차가 존재한다. 광학투명점착시트(10)는, 표시패널(30) 및 베젤(31)의 표시면 측을 덮어서 첩부되어 있고, 베젤(31)의 두께에 대응하는 단차를 피복하고 있다. 광학투명점착시트(10)에는, 베젤의 두께에 대응하는 단차를 피복하기 위하여, 단차부를 추종할 수 있는 유연성과 베젤의 두께보다도 두꺼울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베젤(31)에 수용된 표시패널(30)과의 접합에 이용되는 광학투명점착시트의 두께는, 7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두께가 700㎛ 이상이더라도 충분한 유연성 및 광학특성(예를 들면, 투명성)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베젤에 수용된 표시패널(30)과 터치패널(32)의 접합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표시패널(30)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액정패널,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패널(유기 EL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터치패널(32)로서는, 예를 들면 저항막방식, 정전용량방식 등의 검출방식의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장치에서는,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하에서 사용하더라도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점착력이 저하되기 어려워, 장기간에 걸쳐 광학부재를 서로 밀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각 광학부재와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사이에 공극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계면반사의 증가 등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고온·고습환경하에 있어서도 백화가 생기기 어렵기 때문에, 백화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예를 들면 카 내비게이션 장치에 조립되는 표시장치 등의 차량용 표시장치, 스마트폰 등의 휴대기기용 표시장치 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는, 고온·고습환경하에 있어서도 우수한 점착성 및 시인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에 조립되는 표시장치 등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제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1표면점착제층(11), 제2표면점착제층(13) 및 중간점착제층(12)을 개별적으로 작성한 후에, 이들을 접합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제1표면점착제층(11) 및 제2표면점착제층(13)의 제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조성물 또는 우레탄 조성물에 각종 코팅장치, 바코트, 닥터 블레이드 등의 범용의 성막장치나 성막방법을 사용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원심성형법을 사용하여 중간점착제층(12)을 제작하여도 좋다. 제1표면점착제층(11) 및 제2표면점착제층(13)이 열경화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중간점착제층(12)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중간점착제층(12)의 제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조제한 후에, 이 조성물을 종래의 공지된 방법으로 열경화시키면서 성형하는 방법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올 성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태키파이어를 교반혼합하여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조제하는 공정과,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제법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먼저 소정량의 태키파이어를 폴리올 성분에 첨가하고, 가온(加溫) 및 교반하여 용해시킴으로써, 마스터 배치(master batch)를 조제한다. 계속하여 얻어진 마스터 배치, 폴리올 성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필요에 따라 촉매 등의 다른 성분을 혼합하고, 믹서 등으로 교반함으로써, 액상 또는 겔상(gel狀)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얻는다. 그 후에 바로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성형장치에 투입하고, 제1 및 제2이형필름의 사이에 끼운 상태로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이동시키면서 경화반응(가교반응)을 시킴으로써,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이 반경화되어, 제1 및 제2이형필름과 일체화된 시트를 얻는다. 그 다음에 노(爐)에서 일정 시간 가교반응을 시킴으로써, 열경화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중간점착제층이 얻어진다.
중간점착제층(12)의 제법으로서는, 경화 전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조제한 후에 각종 코팅장치, 바코트, 닥터 블레이드 등의 범용의 성막장치나 성막방법을 사용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원심성형법을 사용하여 중간점착제층(12)을 제작하여도 좋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합원료)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조제하기 위하여 사용한 배합원료는 다음과 같다.
(A) 폴리올 성분
·폴리올레핀폴리올(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Idemitsu Kosan Co.,Ltd) 제품인 「EPOL(에폴, 등록상표)」)
(B)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이소시아네이트A
HDI(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도소 가부시키가이샤(Tosoh Corporation) 제품인 「코로네이트(Coronate) 4022」)
·이소시아네이트B
(B-1) HDI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도소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인 「코로네이트 2760」)
(B-2) IPDI(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스미카 바이엘 우레탄 가부시키가이샤(Sumika Bayer Urethane Co., Ltd.) 제품인 「데스모듀어(Desmodur) I」)
(B-3) HDI 모노머(도소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인 「HDI 모노머」)
(C) 태키파이어
·수소첨가 석유수지계 태키파이어(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인 「아이마브(I-MARV) P-100」)
(D) 촉매
·디라우르산디메틸주석(Momentive 제품인 「Fomrez catalyst UL-28」)
도소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인 「코로네이트 4022」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를 출발물질로 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 유닛을 1분자당 평균 3개 이상 갖는 에테르폴리올을 반응시켜 얻어진 것이다. 또한 도소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인 「코로네이트 2760」은, 알로파네이트 변성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라이머의 혼합물이다.
(제조예1)
먼저 100∼150℃로 온도조절한 폴리올레핀폴리올(EPOL)에 고형상의 수소첨가 석유수지계 태키파이어(아이마브 P-100)를 첨가하고 교반함으로써, 폴리올레핀폴리올 중에 태키파이어를 용해시킨 마스터 배치를 얻었다. 이때에 마스터 배치에 있어서의 태키파이어의 함유량은 30중량%로 조정하였다. 다음에 α비가 1.82가 되도록 폴리올레핀폴리올(EPOL) 100중량부, 상기 이소시아네이트A를 11중량부, 태키파이어 마스터 배치, 및 촉매(디라우르산디메틸주석) 0.006중량부를 왕복회전식 교반기 아지터(AJITER)를 사용하여 교반혼합하고,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상기 태키파이어 마스터 배치는, 태키파이어의 함유량이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22.74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그 후에 얻어진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한 쌍의 이형필름(표면에 이형처리가 된 PET 필름)의 사이에 끼운 상태로 반송하면서 노 내의 온도를 50∼90℃, 노 내에서의 시간을 수 분의 조건으로 가교경화시켜, 이형필름을 갖는 시트를 얻었다. 그 다음에 가열장치로 10∼15시간 가교반응시켜, 양면에 이형필름이 형성되고 열경화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점착시트A를 제작하였다. 점착시트A의 두께는 1500㎛이었다.
(제조예2∼16)
하기 표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합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예2∼16에 관한 이형필름이 부착된 점착시트B∼P를 각각 제작하였다. 또한 점착시트B∼P의 두께는, 각각 1500㎛로 하였다.
Figure pct00002
또한 상기 표1에 있어서 「α비」는, (폴리올 성분으로부터 유래하는 OH기의 mol수)/(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부터 유래하는 NCO기의 mol수)이다.
(제조예17)
아크릴계 수지(소켄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Soken Chemical & Engineering Co., Ltd.) 제품인 「SK1838」)에,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15중량%가 되도록 에폭시계 경화제(소켄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인 「E-AX」)를 첨가하여,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이형필름에 콤마코터로 도포한 후에, 80℃∼120℃의 건조로 내에서 건조하고, 그 다음에 아크릴 점착제의 도포면에 이형필름을 포갰다. 그 후에 40℃로 1주 동안 가열함으로써 경화를 완료시켜, 두께 100㎛의 점착시트를 작성하였다. 상기 점착시트를 15매 포개어, 두께 1500㎛의 점착시트Q를 제작하였다.
(제조예18 및 19)
상기 경화제의 함유량을 각각 0.25중량%, 0.35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17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예18 및 19에 관한 점착시트R 및 S를 각각 제작하였다. 또한 점착시트R 및 S의 두께는, 각각 1500㎛로 하였다.
(점착시트의 평가)
제조예1∼19에서 제작한 점착시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1) 저장탄성률 및 손실정접을 측정하였다. 또한 고온·고습환경하에 있어서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 딜레이드 버블의 확인, (3) 히트사이클 시험, 및 (4) 백화의 확인을 하였다. 상기 (2)∼(4) 중의 어느 하나의 평가가 ×인 것은 종합평가를 ×로 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2에 나타낸다.
(1) 저장전단탄성률(G′) 및 손실정접(tanδ)의 측정
안톤파(Anton Paar Germany GmbH) 제품인 점탄성 측정장치「Physica MCR301」을 사용하여, 각 점착시트의 저장전단탄성률 및 손실정접을 측정하였다. 측정 플레이트는 PP12를 사용하고, 측정조건은 비틀림 0.1%, 주파수 1Hz, 셀 온도 25℃∼100℃(승온속도 3℃/분)로 하였다. 하기 표2에는, 30℃ 및 85℃에 있어서의 저장전단탄성률 및 손실정접의 측정값을 기재하였다.
(2) 딜레이드 버블의 확인
이형필름을 박리한 각 점착시트를 글라스판과 플라스틱판의 사이에 삽입하여, 글라스판/점착시트/플라스틱판의 순서로 적층된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상기 글라스판으로서는, 마쓰나미 가라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Matsunami Glass Ind., Ltd.) 제품인 1.3㎜ 두께의 소다 글라스판을 사용하였다. 상기 플라스틱판으로서는, 메이한 신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Meihan Shinku Kogyo Co., Ltd.) 제품인 폴리카보네이트와 아크릴의 적층시트(두께 1㎜)를 사용하였다. 상기 적층시트는, 양면이 아크릴계의 프라이머로 처리된 것이었다. 상기 적층시트의 폴리카보네이트 측과 점착시트를 접합시켰다. 상기 시험편을 고온·고습하(85℃, 85%)에서 각각 1000시간 방치한 후에, 접합계면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기포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기포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를 ○, 기포가 확인된 경우를 ×로 하였다.
(3) 히트사이클 시험
상기 (2)의 딜레이드 버블의 확인에서와 동일하게 하여, 글라스판/점착시트/플라스틱판의 순서로 적층된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각 시험편에 대하여,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세이사쿠쇼(Hitachi, Ltd.) 제품인 히트쇼크 시험장치(ES-56L)를 사용하여 히트사이클 시험을 하였다. 상기 히트사이클 시험은, -40℃에서 30분, 85℃에서 30분을 1사이클로 하여, 1000사이클을 실시하였다. 시험편의 전체면 및 단부(端部)에 있어서 박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 적어도 시험편의 단부에 있어서 박리가 발생한 경우를 ×로 하였다.
(4) 백화의 확인
각 이형필름이 부착된 점착시트의 편면의 이형필름을 박리한 후에, 각 점착시트 측을 슬라이드 글라스(소다 글라스제)에 첩부하고, 압력 0.4MPa로 30분 동안 유지하여, 각 점착시트와 슬라이드 글라스를 접합시켰다. 그리고 슬라이드 글라스와는 반대측의 이형필름을 박리하고, 고온·고습(온도 85℃, 습도 85%)의 환경하에서 168시간 방치한 후에, 각 점착시트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백화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를 ○, 백화가 확인된 경우를 ×로 하였다.
Figure pct00003
표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층의 점착시트로는 상기 (2) 딜레이드 버블의 확인, (3) 히트사이클 시험 및 (4) 백화의 확인의 모든 평가기준을 만족하는 것은 얻을 수 없었다.
(실시예1)
실시예1에서는, 상기 제조예9에서 작성한 이형필름이 부착된 점착시트I를 제1표면점착제층 및 제2표면점착제층으로 하고, 상기 제조예3에서 작성한 이형필름이 부착된 점착시트C를 중간점착제층으로 하여, 실시예1에 관한 이형필름을 갖는 광학투명점착시트를 제작하였다.
먼저 상기 제조예9에서 작성한 이형필름이 부착된 점착시트I 2매와, 상기 제조예3에서 작성한 이형필름이 부착된 점착시트C 1매를 준비하였다. 1매째의 이형필름이 부착된 점착시트I로부터 일방의 이형필름을 박리하고, 1매째의 점착시트I의 상기 이형필름을 박리한 면에 점착시트C를 적층하였다. 그리고 2매째의 이형필름이 부착된 점착시트I로부터 일방의 이형필름을 박리하고, 상기 점착시트C의 상기 1매째의 점착시트I를 적층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2매째의 점착시트I를 적층하였다. 이에 따라 이형필름, 점착시트I, 점착시트C, 점착시트I 및 이형필름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적층체(이형필름을 갖는 광학투명점착시트)를 얻었다.
(실시예2∼5 및 비교예1∼5)
하기 표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표면점착제층, 중간점착제층 및 제2표면점착제층에 사용하는 점착시트를 변경한 것, 각 층의 두께를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2∼5 및 비교예1∼5에 관한 이형필름을 갖는 광학투명점착시트를 각각 제작하였다.
Figure pct00004
(광학투명점착시트의 평가)
실시예1∼5 및 비교예1∼5에서 제작한 광학투명점착시트에 대하여, 상기 「점착시트의 평가」와 동일한 방법 및 평가기준으로 (2) 딜레이드 버블의 확인, (3) 히트사이클 시험 및 (4) 백화의 확인을 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표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1∼5에 관한 광학투명점착시트는 상기 (2) 딜레이드 버블의 확인, (3) 히트사이클 시험 및 (4) 백화의 확인의 모든 평가가 전부 ○였다. 실시예1∼5의 제1표면점착제층, 중간점착제층 및 제2표면점착제층에 사용한 점착시트는, 단층의 경우에는 종합평가가 ×였던 것으로부터, 85℃에 있어서의 저장탄성률이 소정의 범위 내인 점착시트를 중간점착제층으로서 사용하고, 또한 85℃에 있어서의 저장탄성률이 중간점착제층보다도 높음과 아울러 소정의 범위 내인 점착시트를 제1 및 제2표면점착제층으로서 사용함으로써, 고온·고습환경하에 있어서도 충분한 내구성을 갖는 광학투명점착시트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비교예1 및 비교예2는, 제1 및 제2표면점착제층의 G′85℃가 낮기 때문에, 중간점착제층에서의 내부발포를 충분히 억제할 수 없었다고 생각된다. 비교예3은, 제1 및 제2표면점착제층이 지나치게 딱딱하기 때문에, 글라스면과 PET 필름에 대한 접착력 및 밀착성이 불충분하여, 히트사이클 시험에 있어서 박리가 발생하였다고 생각된다. 비교예4의 제1 및 제2표면점착제층에 사용한 점착시트R은, 박막이기 때문에 백화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중간점착제층에 사용한 점착시트P는 두께가 있기 때문에 백화가 확인되었다고 생각된다. 비교예5는, 중간점착제층의 G′85℃가 1.0×104Pa 미만이기 때문에, 중간점착제층에서의 내부발포가 많고 히트사이클 시험에 있어서 박리가 발생하였다. 또한 G′85℃가 1.0×104Pa 미만인 중간점착제층을 사용한 비교예1 및 비교예5는, 중간점착제층이 지나치게 부드럽기 때문에, OCA 시트를 규정 사이즈로 자를 때에 불량이 생기기 쉽다.
9 : 점착시트
10 : 광학투명점착시트
11 : 제1표면점착제층
12 : 중간점착제층
13 : 제2표면점착제층
20 : 적층체
21 : 제1이형필름
22 : 제2이형필름
30 : 표시패널
31 : 베젤
32 : 터치패널
33 : 투명커버패널
41 : 슬라이드 글라스
42 : PET 시트
100 : 표시장치

Claims (10)

  1. 제1표면점착제층과, 중간점착제층과, 제2표면점착제층을 이 순서대로 구비하고,
    85℃에 있어서의 상기 제1표면점착제층 및 상기 제2표면점착제층의 저장탄성률(貯藏彈性率)은, 85℃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점착제층의 저장탄성률보다도 높고,
    85℃에 있어서의 상기 제1표면점착제층 및 상기 제2표면점착제층의 저장탄성률은, 3.0×104Pa 이상, 30.0×104Pa 이하이고,
    85℃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점착제층의 저장탄성률은, 1.0×104Pa 이상, 15.0×104Pa 이하이며,
    상기 중간점착제층은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투명점착시트(光學透明粘着sheet).
  2. 제1항에 있어서,
    30℃에 있어서의 상기 제1표면점착제층 및 상기 제2표면점착제층의 저장탄성률은, 30℃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점착제층의 저장탄성률보다도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투명점착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30℃에 있어서의 상기 제1표면점착제층 및 상기 제2표면점착제층의 손실정접(損失正接; loss tangent)은, 30℃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점착제층의 손실정접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투명점착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85℃에 있어서의 상기 제1표면점착제층 및 상기 제2표면점착제층의 손실정접은, 85℃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점착제층의 손실정접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투명점착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85℃에 있어서의 상기 제1표면점착제층 및 상기 제2표면점착제층의 손실정접은, 0.5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투명점착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점착제층은, 상기 제1표면점착제층 및 상기 제2표면점착제층보다도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투명점착시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면점착제층 및 상기 제2표면점착제층은, 폴리우레탄 또는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투명점착시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점착제층은, 열경화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투명점착시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되어 있는 광학투명점착시트와, 상기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일방(一方)의 면을 덮는 제1이형필름과, 상기 광학투명점착시트의 타방(他方)의 면을 덮는 제2이형필름이 적층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0. 글라스 기재를 구비하는 제1피착체와, 수지기재를 구비하는 제2피착체와, 상기 글라스 기재 및 상기 수지기재를 접합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되어 있는 광학투명점착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구조물.
KR1020207001794A 2017-08-02 2018-07-11 광학투명점착시트, 적층체 및 접합 구조물 KR202000338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50276 2017-08-02
JP2017150276 2017-08-02
PCT/JP2018/026156 WO2019026577A1 (ja) 2017-08-02 2018-07-11 光学透明粘着シート、積層体、及び、貼り合わせ構造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853A true KR20200033853A (ko) 2020-03-30

Family

ID=6523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1794A KR20200033853A (ko) 2017-08-02 2018-07-11 광학투명점착시트, 적층체 및 접합 구조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67991B2 (ko)
EP (1) EP3663374A4 (ko)
JP (1) JP6510736B1 (ko)
KR (1) KR20200033853A (ko)
CN (1) CN110959031B (ko)
TW (1) TW201910118A (ko)
WO (1) WO20190265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3059A (ko) * 2020-05-19 2021-11-26 장춘 티안밍쉥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재단 특성과 단차 흡수성이 우수한 광학용 점착 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354B1 (ko) * 2017-01-31 2020-03-25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광학투명점착시트,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제조방법, 적층체 및 접합 구조물
CN109135593A (zh) * 2018-08-29 2019-01-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光学胶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JPWO2020162439A1 (ja) * 2019-02-06 2021-02-18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光学透明粘着シート、積層シート及び貼り合わせ構造物
JP2020124898A (ja) * 2019-02-06 2020-08-20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貼り合わせ構造物
JP7225994B2 (ja) * 2019-03-22 2023-02-21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フィルム状接着剤
JP6874921B1 (ja) * 2019-05-24 2021-05-19 Dic株式会社 接着シート、物品及び物品の製造方法
KR20210011552A (ko) 2019-07-22 2021-0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JP6869409B2 (ja) * 2019-10-28 2021-05-12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
CN111415589A (zh) * 2020-04-02 2020-07-1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模组
WO2022102650A1 (ja) 2020-11-11 2022-05-19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光学透明粘着シート、積層体、及び、貼り合わせ構造物
KR20230091163A (ko) 2020-11-11 2023-06-22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광학투명점착시트, 적층체 및 접합구조물
WO2024069320A1 (en) * 2022-09-27 2024-04-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lf-priming optically clear adhesives
WO2024095890A1 (ja) * 2022-10-31 2024-05-1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積層体及び表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9200A1 (ja) 2010-04-13 2011-10-20 三菱樹脂株式会社 透明両面粘着シート
JP2015224320A (ja) 2014-05-29 2015-12-14 Dic株式会社 粘接着シート、物品ならびに物品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6032A (ja) * 1993-06-11 1994-12-20 Sekisui Chem Co Ltd 両面粘着テープ
JP4837360B2 (ja) 2005-10-27 2011-12-14 株式会社サンエー化研 両面粘着フィルム
JP5174204B2 (ja) * 2010-04-13 2013-04-03 三菱樹脂株式会社 透明両面粘着シート
EP3093832B1 (en) 2010-09-06 2018-01-31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Image display device
JP5863300B2 (ja) * 2011-07-08 2016-02-1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硬質平面板貼合用樹脂シート、それを用いた積層体及び該積層体の用途
JP6030316B2 (ja) 2012-03-07 2016-11-24 三菱樹脂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用透明両面粘着シート、画像表示装置用構成部材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JP5967007B2 (ja) * 2013-04-24 2016-08-10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その使用方法並びに積層体
JP6410092B2 (ja) * 2014-10-02 2018-10-24 Dic株式会社 接着シート、物品ならびに物品の製造方法
JP6390390B2 (ja) * 2014-12-03 2018-09-19 Dic株式会社 接着シート、物品ならびに物品の製造方法
JP2016160408A (ja) * 2015-03-05 2016-09-05 旭硝子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両面粘着シート付き透明面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表示装置
CN107532044B (zh) * 2015-05-08 2020-12-22 阪东化学株式会社 光学透明粘着片、光学透明粘着片的制造方法、层叠体及带触摸屏的显示装置
JP6727786B2 (ja) * 2015-10-16 2020-07-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JP5997347B2 (ja) 2015-10-19 2016-09-28 三菱樹脂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用透明両面粘着シート、これを用いた透明両面粘着シート付き画像表示装置用構成部材及び画像表示装置
JP6417310B2 (ja) * 2015-10-30 2018-11-07 岩谷産業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
KR101871551B1 (ko) 2015-10-30 2018-06-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093354B1 (ko) * 2017-01-31 2020-03-25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광학투명점착시트,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제조방법, 적층체 및 접합 구조물
WO2018179608A1 (ja) * 2017-03-28 2018-10-04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光学透明粘着シート、光学透明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積層体、及び、貼り合わせ構造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9200A1 (ja) 2010-04-13 2011-10-20 三菱樹脂株式会社 透明両面粘着シート
JP2015224320A (ja) 2014-05-29 2015-12-14 Dic株式会社 粘接着シート、物品ならびに物品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3059A (ko) * 2020-05-19 2021-11-26 장춘 티안밍쉥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재단 특성과 단차 흡수성이 우수한 광학용 점착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63374A1 (en) 2020-06-10
CN110959031B (zh) 2022-03-15
CN110959031A (zh) 2020-04-03
JP6510736B1 (ja) 2019-05-08
EP3663374A4 (en) 2021-05-05
US20200239738A1 (en) 2020-07-30
TW201910118A (zh) 2019-03-16
WO2019026577A1 (ja) 2019-02-07
JPWO2019026577A1 (ja) 2019-08-08
US11267991B2 (en)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3853A (ko) 광학투명점착시트, 적층체 및 접합 구조물
KR102067120B1 (ko) 광학투명점착시트, 적층체, 적층체의 제조방법, 및 터치패널을 갖는 표시장치
WO2016181857A1 (ja) 光学透明粘着シート、光学透明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TWI755436B (zh) 黏著性組合物、黏著劑及黏著薄片
JP2019218455A (ja) 光学透明粘着シート、積層体及び貼り合わせ構造物
JP5987135B1 (ja) 光学透明粘着シート、光学透明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6208915B1 (ja) 光学透明粘着シート、光学透明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WO2018179608A1 (ja) 光学透明粘着シート、光学透明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積層体、及び、貼り合わせ構造物
WO2020162439A1 (ja) 光学透明粘着シート、積層シート及び貼り合わせ構造物
JP6371921B1 (ja) 光学透明粘着シート、光学透明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積層体、及び、貼り合わせ構造物
JP6371922B1 (ja) 光学透明粘着シート、光学透明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積層体、及び、貼り合わせ構造物
JP6986483B2 (ja) 光学透明粘着シート、積層シート、及び、積層体
JP7141346B2 (ja) 貼り合わせ構造物
CN116529075A (zh) 光学透明粘着片、层叠体及贴合结构物
JP2020124898A (ja) 貼り合わせ構造物
JP2020125431A (ja) 光学透明粘着シート、積層シート及び貼り合わせ構造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