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834A - 응집 침전 장치 - Google Patents

응집 침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834A
KR20190053834A KR1020197000875A KR20197000875A KR20190053834A KR 20190053834 A KR20190053834 A KR 20190053834A KR 1020197000875 A KR1020197000875 A KR 1020197000875A KR 20197000875 A KR20197000875 A KR 20197000875A KR 20190053834 A KR20190053834 A KR 20190053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tank
plate
center well
floc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잇페이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53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8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3Making of sedimentation devices, structural details thereof, e.g. prefabricat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Sedimentation tank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 B01D21/0033Vertical, perforated partitio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8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provided with flocculating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트럭 등에 탑재하여 운반하는 것이 용이한 응집 침전 장치가 제공된다. 원수는, 응집 반응조 (11) 에 도입되고, 무기 응집제, pH 조정제 및 카티온성 폴리머 응집제가 첨가되고, 교반기 (15) 로 교반되어 응집 반응액이 된다. 응집 반응액은, 이류 트레이 (17) 에 유출되고, 아니온성 폴리머 응집제가 첨가된 후, 센터 웰 (18) 의 확경부 (18A) 내에 접선 방향으로 공급되고, 디스트리뷰터 (19) 로부터 그 회전 방향 후류측을 향하여 유출된다. 슬러지 블랭킷 (S) 을 통과한 처리수는, 침전조 (12) 내를 상승하고, V 노치 (25a) 로부터 트로프 (25) 내에 유입되고, 취출용 배관 (26) 을 통하여 응집 침전 장치 (1) 밖으로 취출된다. 오니는, 오니 수용조 (13) 로부터 레이크판 (35) 에 의해 취출구 (30) 에 배출된다.

Description

응집 침전 장치
본 발명은, 피처리수로부터 미세한 현탁 물질 등을 응집 분리시키는 응집 침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장 폐수, 하수 등의 원수 (피처리수) 에 무기 응집제를 첨가한 후, 아니온계 고분자 응집제 및 카티온계 고분자 응집제를 첨가하여, 고액 분리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미세한 SS 를 함유하는 원수에 무기 응집제, 카티온계 고분자 응집제 및 아니온계 고분자 응집제를 첨가하는 라인 혼합 장치와, 라인 혼합 장치의 하류측에 형성된 조립형 응집 침전조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에는, 무기 응집제를 첨가하여 교반하는 제 1 교반조와, 침강 촉진제 및 고분자 응집제를 첨가하여 교반하는 제 2 교반조와, 고분자 응집제를 첨가하여 교반하는 제 3 교반조와, 플록 형성조와, 침전조를 일체화한 응집 침전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14/03853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237123호
본 발명은, 트럭 등에 탑재하여 운반하는 것이 용이한 응집 침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응집 침전 장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장방형인 조체 (槽體) 와, 그 조체 내가 칸막이판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형성된 응집 반응조 및 침전조와, 그 침전조에 대해 오니의 일류판 (溢流板) 을 개재하여 인접하는 오니 수용조를 갖고, 그 조체는, 폭 2.2 m 이하, 길이 5.6 m 이하, 높이 2.6 m 이하의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응집 침전 장치에서는, 상기 침전조 내에 센터 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응집 반응조 내의 응집 반응액을 그 센터 웰에 유입시키는 이송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응집 침전 장치에서는, 상기 센터 웰의 하부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디스트리뷰터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그 센터 웰을 축심 둘레로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응집 침전 장치에서는, 상기 오니 수용조 내의 오니를 취출하기 위한 오니 취출구가 조체의 벽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오니 수용조 내의 바닥면을 따라 그 오니 취출구를 향하여 이동하는 레이크판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응집 침전 장치에서는, 상기 레이크판은, 무단 구동하는 체인에 장착되어 있고, 그 체인은, 오니 수용조의 바닥면을 따르는 왕동측과, 그것보다 상방에 배치된 복동측을 갖도록 구동측 스프로킷 휠 및 종동측 스프로킷 휠 사이에 놓여져 있고, 상기 레이크판이 그 체인에 의해 복동할 때의 레이크판의 상단은, 상기 일류판의 상측 가장자리보다 하위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응집 침전 장치는, 그 조체가, 4 t 트럭 (최대 적재 하중이 4 t 인 트럭) 에 탑재할 수 있는 크기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장방형인 것이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하다. 또, 미리 응집 침전 장치의 제조 공장에 있어서 교반기, 센터 웰, 디스트리뷰터, 그 밖의 부속 설비를 일체화해 둠으로써, 응집 침전 장치의 설치 작업이 현저하게 용이해진다.
오니 수용조에 레이크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침전된 오니가 원활하게 오니 취출구로부터 취출된다. 이 레이크 장치가, 오니 수용조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는 레이크판을 구비함으로써, 오니 수용조 내의 바닥면의 거의 전역으로부터 오니를 취출구측으로 긁어 모을 수 있다. 레이크판이 오니 수용조의 바닥면을 따라 취출구를 향하여 왕동하고, 체인의 복동측에서는 체인으로부터 도립하여 이동하도록 구성한 경우, 복동시에 있어서의 레이크판의 상측 가장자리를 일류판의 상측 가장자리보다 하위로 함으로써, 침전조 내의 슬러지 블랭킷에 흐트러짐을 주지 않는다.
도 1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응집 침전 장치의 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응집 침전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Ⅲ-Ⅲ 선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Ⅳ-Ⅳ 선 단면도이다.
도 5 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응집 침전 장치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응집 침전 장치 (1) 를 나타내고 있다.
이 응집 침전 장치 (1) 는, 1 쌍의 짧은 벽 (2a, 2c) 과, 1 쌍의 긴 벽 (2b, 2d) 을 가진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장방형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상) 인 조체 (2) 와, 그 조체 (2) 내에 짧은 방향 (폭 방향) 으로 형성된 칸막이판 (3, 4) 과, 칸막이판 (4) 과 조체 (2) 의 짧은 벽 (2c) 사이에, 조체 (2) 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일류판 (5) 등을 갖고 있다. 조체 (2) 는, 4 t 트럭에 탑재할 수 있도록, 폭 2.2 m 이하, 길이 5.6 m 이하, 높이 2.6 m 이하로 되어 있다. 조체 (2) 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1.0 ∼ 2.2 m 특히 1.5 ∼ 2.2 m 이다. 조체 (2) 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1.0 ∼ 5.6 m 특히 1.5 ∼ 5.6 m 이다. 조체 (2) 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1.0 ∼ 2.6 m 특히 1.5 ∼ 2.6 m 이다.
칸막이판 (3, 4) 은, 조체 (2) 의 바닥면 (2e) 으로부터 조체 (2) 의 상측 가장자리 부근에까지 일어서 있다. 칸막이판 (3, 4) 은, 조체 (2) 의 긴 벽 (2b, 2d) 에 이어져 있다. 칸막이판 (3) 과 조체 (2) 의 짧은 벽 (2a) 사이는 기계실 (10) 로 되어 있고, 제어반, 펌프, 그 밖의 기기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칸막이판 (3, 4) 사이는 응집 반응조 (11) 로 되어 있고, 칸막이판 (4) 과 조체 (2) 의 짧은 벽 (2c) 사이는 침전조 (12) 및 오니 수용조 (13) 로 되어 있다. 침전조 (12) 와 오니 수용조 (13) 는, 일류판 (5) 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응집 반응조 (11) 의 용적 V1 과 침전조 (12) 의 용적 V2 의 비 V1/V2 는 0.9 ∼ 1.2 정도가 바람직하다.
응집 반응조 (11) 에는, 약주 장치 (도시 생략) 에 의해 무기 응집제와 카티온성 폴리머 응집제가 첨가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조내액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 (15) 가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판 (4) 의 상부에는, 응집 반응액의 유출구 (16) 가 형성되고, 그 유출구 (16) 에 이어지도록 이송 부재로서 이류 트레이 (배관이어도 된다) (17) 가 칸막이판 (4) 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 이류 트레이 (17) 에는, 아니온성 폴리머 응집제를 첨가하기 위한 약주 장치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있다.
침전조 (12)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대략 정방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침전조 (12) 내의 중앙부에 센터 웰 (18) 이 형성되어 있다. 센터 웰 (18) 은 원통상이고, 상부에 확경부 (18A)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류 트레이 (17) 의 선단부는, 그 확경부 (18A) 내에 응집 반응액을 대략 접선 방향으로 유출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센터 웰 (18) 의 하부에는 디스트리뷰터 (19) 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트리뷰터 (19) 는, 센터 웰 (18) 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관상체로 이루어지고, 그 회전 방향 후류측을 향하여 유출구 (19a) 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트리뷰터 (19) 에는 하방을 향하여 레이크 (19b) 가 형성되어 있지만, 생략되어도 된다.
센터 웰 (18) 은, 그 축 지지부 (20) 에 의해 조체 바닥면 (2e) 에 지지되고,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센터 웰 (18) 의 상부는, 브래킷 (21) 을 개재하여 구동 장치 (22) 의 회전축 (22a) 에 이어져 있다. 센터 웰 (18) 의 상하 방향의 중간 부근에는, 교반 날개 (23) 가 장착되어 있다.
침전조 (12) 내의 상부에는, 상청수 (처리수) 를 취출하기 위한 트로프 (25) 가 형성되어 있다. 트로프 (25) 는 연직 단면 형상이 U 자형이고,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V 노치 (25a) 를 통하여 침전조 (12) 내의 상청수가 트로프 (25) 내에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트로프 (25) 는, 센터 웰 (18) 을 둘러싸도록 둘레 프레임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트로프 (25) 는 조체 (2) 의 긴 벽 (2b) 및 짧은 벽 (2c) 그리고 칸막이판 (4) 을 따라, 또한 그것들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장되어 있다. 이들 부분에서는, 트로프 (25) 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센터 웰 (18) 측 (둘레 프레임의 내측) 에만 V 노치 (25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트로프 (25) 는, 일류판 (5) 보다 센터 웰 (18) 측의 상방에 있어서, 조체 (2)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부분에서는, 트로프 (25) 의 상측 가장자리 중 센터 웰 (18) 측 (둘레 프레임의 내측) 및 오니 수용조 (13) 측 (둘레 프레임의 외측) 의 쌍방에 각각 V 노치 (25a) 가 형성되어 있다.
트로프 (25) 에는, 처리수 토출용 배관 (26) 이 접속되어 있다. 트로프 (25) 의 V 노치 (25a) 가 침전조 (12) 내의 액면 레벨이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확경부 (18A) 는 그 액면 레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단, 확경부 (18A) 는 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침전조 (12) 내의 바닥부에 있어서는, 조체 (2) 의 긴 벽 (2b) 및 짧은 벽 (2c), 그리고 칸막이판 (4) 및 일류판 (5) 의 하부와, 조체 (2) 의 바닥면 (2e) 의 교차 우각부에, 침전조 (12) 의 중앙측을 향하여 하향 구배로 경사지도록 경사판 (28) 이 형성되어, 액이나 오니의 정체역을 해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류판 (5) 은, 바닥면 (2e) 으로부터 침전조 (12) 내의 액면 높이의 50 ∼ 80 % 정도의 높이까지 일어서는 높이를 갖고 있다. 침전조 (12) 내에는, 이 일류판 (5) 의 상측 가장자리 높이까지 슬러지 블랭킷 (S) 이 형성된다.
침전조 (12) 내에 형성된 슬러지 블랭킷 (S) 은 처리에 수반하여 양이 증가하지만, 슬러지 블랭킷 (S) 의 레벨 (오니 계면) 이 일류판 (5) 의 높이를 초과하면, 슬러지 블랭킷 (S) 의 오니 (펠릿) 는, 일류판 (5) 을 오버플로하여 오니 수용조 (13) 내에 낙하한다. 오니 수용조 (13) 내의 바닥면에는, 경사판 (29)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판 (29) 은, 긴 벽 (2d) 으로부터 일류판 (5) 을 향하여 하향 구배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 과 같이, 짧은 벽 (2c) 의 하부에는, 오니 수용조 (13) 내의 오니 (펠릿) 를 취출하기 위한 오니 취출구 (30) 가 형성되어 있다. 오니 수용조 (13) 내에는, 오니 (펠릿) 를 오니 취출구 (30) 를 향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레이크 장치 (31)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레이크 장치 (31) 는, 일류판 (5) 및 긴 벽 (2d) 에 각각 형성된 구동측 스프로킷 휠 (32) 및 종동측 스프로킷 휠 (33) 과, 각 스프로킷 휠 (32, 33) 사이에 놓여져 무단 회동하는 체인 (34) 과, 체인 (34, 34) 사이에 걸쳐져 설치되고, 각 체인 (34) 에 고정되어 있는 레이크판 (35) 과, 구동측 스프로킷 휠 (32) 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 (36) 를 갖는다. 레이크판 (35) 은 바람직하게는 2 장 이상 형성된다.
레이크판 (35) 이 경사판 (29) 을 따라 칸막이판 (4) 측으로부터 오니 취출구 (30) 측을 향하여 이동 (왕동) 함으로써, 오니 수용조 (13) 내의 바닥부의 오니 (펠릿) 가 오니 취출구 (30) 에 긁어 모아진다.
레이크판 (35) 이 칸막이판 (4) 측으로부터 취출구 (30) 측으로 왕동하는 경우, 레이크판 (35) 은 체인 (34) 으로부터 수하한 자세가 된다. 레이크판 (35) 이 취출구 (30) 로부터 칸막이판 (4) 측을 향하여 복동하는 경우, 레이크판 (35) 은 체인 (34) 으로부터 기립한 상태가 된다. 이 기립 상태의 레이크판 (35) 의 상단은, 일류판 (5) 의 상측 가장자리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하위에 위치한다. 또, 수하 상태의 레이크판 (35) 의 하변부는 경사판 (29) 의 면을 따르는 각도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응집 침전 장치 (1) 에 있어서, 원수는 배관 (도시 생략) 에 의해, 응집 반응조 (11) 에 도입되고, 무기 응집제, pH 조정제 및 카티온성 폴리머 응집제가 첨가되고, 교반기 (15) 로 교반되어 응집 반응액이 된다.
이 응집 반응액은, 이류 트레이 (17) 에 유출되고, 아니온성 폴리머 응집제가 첨가된 후, 센터 웰 (18) 의 확경부 (18A) 내에 접선 방향으로 공급되고, 확경부 (18A) 내를 선회하면서 센터 웰 (18) 에 흘러 들어가고, 센터 웰 (18) 내를 유하하여 디스트리뷰터 (19) 에 유입되고, 유출구 (19a) 로부터 디스트리뷰터 (19) 의 회전 방향 후류측을 향하여 유출된다.
또한, 피드 웰 (18) 이 확경부 (18A) 를 갖고 있지 않고, 응집 처리액이 피드 웰 (18) 에 직접 도입되면, 응집 처리액에 대기 중의 공기가 말려 들어가 기포가 침전조 (12) 에 혼입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침전조 (12) 가 비교적 소형이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기포가 혼입되면 슬러지 블랭킷 (S) 의 슬러지를 말아 올릴 우려가 크다. 그래서 피드 웰 (18) 에 확경부 (18A) 를 형성하여, 응집 처리액을 확경부 (18A) 에 접선 방향으로 유입시켜 선회시키고, 이 동안에 기포를 응집 처리액으로부터 대기 중에 방출시킴으로써, 피드 웰 (18) 에 기포가 혼입되지 않게 된다.
디스트리뷰터 (19) 및 교반 날개 (23) 가 구동 장치 (22) 에 의해 천천히 회전됨으로써, 침전조 (12) 내가 천천히 교반되고, 응집 플록 및 슬러지 블랭킷 (S) 중의 오니 (펠릿) 의 생성 및 성장이 촉진됨과 함께, 안정적인 슬러지 블랭킷 (S) 이 생성된다. 디스트리뷰터 (19) 의 회전 속도는 0.6 ∼ 1.4 rpm 정도가 바람직하다.
응집 반응액이 슬러지 블랭킷 (S) 을 통과하는 동안에 응집 플록은 슬러지 블랭킷 중의 오니 (펠릿) 에 고착되어 청징한 처리수가 된다. 슬러지 블랭킷 (S) 을 통과한 청징한 처리수는, 침전조 (12) 내를 상승하고, V 노치 (25a) 로부터 트로프 (25) 내에 유입되고, 취출용 배관 (26) 을 통하여 응집 침전 장치 (1) 밖으로 취출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일류판 (5) 측의 트로프 (25) 에 있어서는, 침전조 (12) 의 중앙측 및 오니 수용조 (13) 측의 쌍방의 변부에 V 노치 (25a) 를 형성하고, 일류판 (5) 측 이외의 트로프 (25) 에 있어서는, 침전조 (12) 중앙측의 변부에만 V 노치 (25a) 를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침전조 (12) 내의 상향류 LV 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일류판 (5) 측의 트로프의 오니 수용조 (13) 측에 V 노치를 형성함으로써, 침전조 (12) 내의 액의 일부가 오니 수용조 (13) 를 향하여 흘러 상향류를 형성하여 V 노치로부터 처리수로서 배출된다. 이로써, 트로프 (25) 근방의 상향류 LV 은 침전조 (12) 내의 상향류 LV 보다 약간 작아져 안정적인 수질의 처리수를 얻기 쉬워진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침전조 (12) 내에서 센터 웰 (18) 의 확경부 (18A) 전체가 수면보다 상위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확경부 (18A) 의 하부가 수면 아래가 되도록 배치한 경우에 비해, 침전조 (12) 내의 상향류 LV 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침전조 (12) 내의 상향류 LV 을 5 ∼ 20 m/hr, 특히 8 ∼ 15 m/hr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슬러지 블랭킷 (S) 의 오니 (펠릿) 의 계면 높이가 일류판 (5) 보다 높아지면, 오니 (펠릿) 가 일류판 (5) 을 오버플로하여 오니 수용조 (13) 에 흘러 들어가고, 오니 수용조 (13) 의 바닥부에 침전된다. 이 오니 (펠릿) 는, 레이크판 (35) 에 의해 취출구 (30) 측으로 긁어 모아지고, 그 취출구 (30) 로부터 취출 배관 및 오니 펌프 (도시 생략) 를 통하여 응집 침전 장치 (1) 밖으로 취출된다. 이 오니 펌프는, 오니 수용조 (13) 내의 오니 계면 높이를 검출하는 계면계 또는 타이머에 의해 ON/OFF 제어된다.
이 응집 침전 장치 (1) 의 조체 (2) 는, 4 t 트럭에 탑재할 수 있는 크기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장방형인 것이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하다. 또, 미리 제조 공장에 있어서 교반기, 센터 웰, 디스트리뷰터, 그 밖의 부속 설비를 일체화해 둠으로써, 응집 침전 장치 (1) 의 설치 작업이 현저하게 용이해진다.
오니 수용조 (13) 에 레이크 장치 (31) 가 설치되어 있어, 침전된 오니 (펠릿) 가 원활하게 오니 취출구 (30) 로부터 취출된다. 이 레이크 장치 (31) 는, 경사판 (29) 을 따라 이동하는 레이크판 (35) 을 구비하고 있어, 오니 수용조 (13) 내의 바닥면의 거의 전역으로부터 오니 (펠릿) 를 취출구 (30) 측으로 긁어 모을 수 있다. 레이크판 (35) 은, 경사판 (29) 을 따라 취출구 (30) 를 향하여 왕동하고, 체인 (34) 의 복동측에서는 체인 (34, 34) 으로부터 기립하여 이동한다. 이 복동시에 레이크판 (35) 의 상측 가장자리가 일류판 (5) 의 상측 가장자리보다 충분히 하위를 지나므로, 침전조 (12) 내의 슬러지 블랭킷 (S) 에 흐트러짐을 주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침전조 (12) 와 오니 수용조 (13) 가 조체 (2) 의 짧은 방향으로 인접 배치되어 있지만, 도 5 의 응집 침전 장치 (1') 와 같이, 오니 수용조 (13) 가 침전조 (12) 의 짧은 벽 (2c) 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도 5 의 응집 침전 장치 (1') 의 그 밖의 구성은 도 1 ∼ 4 의 응집 침전 장치와 동일하며, 동일 부호는 동일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응집 침전 장치 (1, 1') 는, 일체의 조체 (2) 의 내부를 칸막이판 (3, 4) 에 의해 일류판 (5) 으로 구획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기계실 (10), 응집 반응조 (11), 침전조 (12) 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조하고, 이들 독립된 실 및 조를 연결함으로써 일체적인 조체 (2) 를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칸막이판 (3) 은, 기계실 (10) 과 응집 반응조 (11) 사이에 놓이는 벽면이 해당하고, 칸막이판 (4) 은 응집 반응조 (11) 와 침전조 (12) 사이에 놓이는 벽면이 해당한다.
[응집제]
무기 응집제는, PAC, 폴리철 (폴리황산제2철), 염철 (염화제2철) 혹은 황산반토 등 수산화물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소 함유수나 인산 함유수에서는, 소석회 등의 칼슘 화합물도 무기 응집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무기 응집제의 첨가량은 20 ∼ 2000 ㎎/ℓ 특히 50 ∼ 1500 ㎎/ℓ 정도가 바람직하다.
카티온성 폴리머 (카티온계 고분자 응집제) 는 아크릴아미드계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카티온기 비율은 10 ∼ 50 몰%, 특히 15 ∼ 40 몰%, 더욱이 15 ∼ 30 몰% 가 바람직하다. 카티온계 고분자 응집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200 만 ∼ 2500 만 특히 1500 만 ∼ 2200 만 정도가 바람직하다. 카티온계 고분자 응집제의 첨가량은 0.1 ∼ 3 ㎎/ℓ 특히 0.5 ∼ 2 ㎎/ℓ 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카티온성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카티온성 모노머와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카티온성 모노머의 구체예로는,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나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하, 양 화합물을 아울러「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의 산염 혹은 그 4 급 암모늄염,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나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이하, 양 화합물을 아울러「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의 산염 혹은 그 4 급 암모늄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티온성 폴리머의 제품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분말품, W/O 형 에멀션, 혹은, 고염류 농도의 수계 매체 중에 카티온성 고분자 응집제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디스퍼전 등, 배수의 응집 처리용으로 일반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아니온성 폴리머 (아니온계 고분자 응집제) 는 아크릴아미드계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아니온기 비율은 5 ∼ 30 몰% 특히 5 ∼ 20 몰% 가 바람직하다. 아니온성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900 만 ∼ 2000 만 특히 1000 만 ∼ 1800 만 정도가 바람직하다. 아니온계 고분자 응집제의 첨가량은 0.2 ∼ 8 ㎎/ℓ 특히 0.5 ∼ 6 ㎎/ℓ 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아니온성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아니온성 모노머와 아크릴 아미드의 공중합물, 또는, 폴리아크릴아미드의 가수 분해물을 사용할 수 있다. 아니온성 모노머의 구체예로는, 아크릴산 혹은 그 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니온성 모노머로서, 아크릴산 혹은 그 염과 함께,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혹은 그 염을 사용하여 아크릴아미드와 공중합한 중합물은, 넓은 pH 범위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는 모두 본 발명의 일례이며, 본 발명은 도시 이외의 형태가 되어도 된다.
본 출원은, 2016년 9월 23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6-185611호에 기초하고 있으며,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원용된다.
1, 1' : 응집 침전 장치
2 : 조체
3, 4 : 칸막이판
5 : 일류판
10 : 기계실
11 : 응집 반응조
12 : 침전조
13 : 오니 수용조
15 : 교반기
17 : 이류 트레이
18 : 센터 웰
18A : 확경부
19 : 디스트리뷰터
23 : 교반 날개
25 : 트로프

Claims (5)

  1.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장방형인 조체와,
    그 조체 내가 칸막이판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형성된 응집 반응조 및 침전조와,
    그 침전조에 대해 오니의 일류판을 개재하여 인접하는 오니 수용조를 갖고,
    그 조체는, 폭 2.2 m 이하, 길이 5.6 m 이하, 높이 2.6 m 이하인, 응집 침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 내에 센터 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응집 반응조 내의 응집 반응액을 그 센터 웰에 유입시키는 이송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 침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웰의 하부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디스트리뷰터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그 센터 웰을 축심 둘레로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 침전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니 수용조 내의 오니를 취출하기 위한 오니 취출구가 조체의 벽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오니 수용조 내의 바닥면을 따라 그 오니 취출구를 향하여 이동하는 레이크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 침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판은, 무단 구동하는 체인에 장착되어 있고,
    그 체인은, 오니 수용조의 바닥면을 따르는 왕동측과, 그것보다 상방에 배치된 복동측을 갖도록 구동측 스프로킷 휠 및 종동측 스프로킷 휠 사이에 놓여져 있고,
    상기 레이크판이 그 체인에 의해 복동할 때의 레이크판의 상단은, 상기 일류판의 상측 가장자리보다 하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 침전 장치.
KR1020197000875A 2016-09-23 2017-03-03 응집 침전 장치 KR201900538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85611A JP6183525B1 (ja) 2016-09-23 2016-09-23 凝集沈澱装置
JPJP-P-2016-185611 2016-09-23
PCT/JP2017/008542 WO2018055794A1 (ja) 2016-09-23 2017-03-03 凝集沈澱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834A true KR20190053834A (ko) 2019-05-20

Family

ID=5967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875A KR20190053834A (ko) 2016-09-23 2017-03-03 응집 침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183525B1 (ko)
KR (1) KR20190053834A (ko)
CN (1) CN109661261B (ko)
MY (1) MY195589A (ko)
TW (1) TWI729084B (ko)
WO (1) WO20180557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98214B2 (ja) * 2016-09-23 2020-12-09 栗田工業株式会社 凝集沈澱装置
JP6779811B2 (ja) * 2017-02-24 2020-11-04 オルガノ株式会社 凝集沈殿装置
JP6779812B2 (ja) * 2017-02-24 2020-11-04 オルガノ株式会社 凝集沈殿装置
JP6993838B2 (ja) * 2017-10-17 2022-01-14 オルガノ株式会社 凝集沈殿装置及び凝集沈殿処理方法
JP6583388B2 (ja) * 2017-11-10 2019-10-02 栗田工業株式会社 沈殿槽
CN109806625B (zh) * 2019-03-29 2024-03-12 郑州大学 一种沉淀池的结构及不均匀沉降的修复方法
CN114906980A (zh) * 2022-04-15 2022-08-16 九江礼涞生物科技有限公司 农村分散式微动力生态污水处理装置及处理***
CN115367849B (zh) * 2022-07-20 2023-05-02 芜湖职业技术学院 一种印染纺织配套污水脱色高效处理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8537A1 (ja) 2012-09-10 2014-03-13 栗田工業株式会社 水処理方法及び装置
JP2014237123A (ja) 2013-05-07 2014-12-1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凝集沈殿装置及び凝集沈殿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5093B2 (ja) * 1989-06-15 1999-05-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タンク内堆積物の回収装置
JPH0652904U (ja) * 1992-12-25 1994-07-19 嚴一 佐藤 分離装置
JP3866439B2 (ja) * 1999-03-26 2007-01-10 オルガノ株式会社 凝集沈澱装置
JP2001120909A (ja) * 1999-10-21 2001-05-08 Japan Organo Co Ltd 凝集沈澱装置
JP2002126406A (ja) * 2000-10-25 2002-05-08 Kurita Water Ind Ltd 凝集沈殿装置
JP4524520B2 (ja) * 2000-10-25 2010-08-18 栗田工業株式会社 沈殿槽
JP2012125716A (ja) * 2010-12-16 2012-07-05 Japan Organo Co Ltd 凝集沈殿装置
JP5919605B2 (ja) * 2012-01-06 2016-05-18 アクア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スカム除去装置
JP5799940B2 (ja) * 2012-11-20 2015-10-28 栗田工業株式会社 沈殿槽及びその運転方法
CN204996822U (zh) * 2015-09-30 2016-01-27 湖南艾布鲁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重金属镉污染耕地土壤修复的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8537A1 (ja) 2012-09-10 2014-03-13 栗田工業株式会社 水処理方法及び装置
JP2014237123A (ja) 2013-05-07 2014-12-1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凝集沈殿装置及び凝集沈殿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47434A (ja) 2018-03-29
CN109661261B (zh) 2021-12-24
TW201813703A (zh) 2018-04-16
CN109661261A (zh) 2019-04-19
TWI729084B (zh) 2021-06-01
WO2018055794A1 (ja) 2018-03-29
MY195589A (en) 2023-02-02
JP6183525B1 (ja) 201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3834A (ko) 응집 침전 장치
KR102034148B1 (ko) 응집 농축 기능이 포함된 심층구조의 슬러지 수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고탁도 폐수처리시스템
US20180099890A1 (en) Automat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s
US4388195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chemical-mechanical treatment and purification of ground waters, surface waters and effluents
EP2508483B1 (en) Waste water treatment equipment
CN108689584B (zh) 一种污泥混合浓缩排放一体罐
KR100808289B1 (ko) 스크류형 경사판을 갖는 폐수설비의 침전조
JP2010207670A (ja) 濁水の処理装置
KR100946402B1 (ko) 고속 응집침전시스템
JP6798214B2 (ja) 凝集沈澱装置
CN110407417A (zh) 一种泵站前池水质高效处理一体设备
KR100379745B1 (ko) 급속반응조와 완속응집조가 연결된 고속응집 경사판침전장치
CN108421282A (zh) 一种异位土壤淋洗固液分离装置及工艺
JP3958301B2 (ja) 汚濁水処理装置
JP7450328B2 (ja) 凝集沈殿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沈殿槽
CN217264990U (zh) 一种一体式絮凝斜板沉淀池
CN210795878U (zh) 机械沉淀净水装置
CN207980535U (zh) 一种底部锥形絮凝沉淀池及絮凝沉淀***
CN208104083U (zh) 一种絮凝沉淀***及污水处理***
KR101223247B1 (ko) 하수 처리수 내의 총인 제거를 위한 일체형 하수처리장치
KR100865784B1 (ko) 와류유도수단이 구비된 침전장치
CN211971859U (zh) 一种一体化混凝沉淀设备
Prasad Sedimentation in Water and Used Water Purification
CN110422917B (zh) 混凝沉淀净水装置
KR200194158Y1 (ko) 폐수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