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5707A -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 Google Patents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5707A
KR20180005707A KR1020177035792A KR20177035792A KR20180005707A KR 20180005707 A KR20180005707 A KR 20180005707A KR 1020177035792 A KR1020177035792 A KR 1020177035792A KR 20177035792 A KR20177035792 A KR 20177035792A KR 20180005707 A KR20180005707 A KR 20180005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insert
mounting seat
screw
enlarged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5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5534B1 (ko
Inventor
요시미츠 나가시마
야스히로 기우치
요시유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히타치 쓰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히타치 쓰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히타치 쓰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5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 B23C5/1009Ball nose end mills
    • B23C5/1027Ball nose end mills with one or more removable cutting inserts
    • B23C5/1036Ball nose end mills with one or more removable cutting inserts having a single cutting insert, the cutting edges of which subtend 180 degrees
    • B23C5/22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04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 B23C5/2208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 B23C5/2213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having a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16Fixation of inserts or cutting bits in the tool
    • B23C2210/165Fixation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이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에서는, 인서트 장착 시트에 절삭 인서트가 착좌되고 클램프 나사에 의해 협지됨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인서트 본체에는, 인서트 장착 시트의 장착 시트 바닥면에 맞닿음 가능한 착좌면과, 인서트 본체를 관통하는 관통공과, 이 관통공이 개구되는 2 개의 측면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인서트 본체의 상기 2 개의 측면에 대한 개구부 중 적어도 일방에, 클램프 나사의 원통부가 맞닿게 되는 부분보다 내경이 큰 확경부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REPLACEABLE CUTTING EDGE CUTTING TOOL}
본 발명은, 공구 본체의 선단부에 형성된 슬릿상의 인서트 장착 시트에, 절삭날이 형성된 인서트 본체를 갖는 절삭 인서트가 착좌 (着座) 되어지고, 클램프 나사에 의해 협지됨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5년 12월 1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2015-234767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이와 같은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공구 본체의 선단부에 슬릿상으로 형성한 중공부의 인서트 장착 시트에 절삭 인서트를 협지하고, 체결 부재에 의해 고정시키는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에 있어서, 공구 본체의 인서트 장착 시트 측면부에는 체결 부재의 헤드부 원추면에 대응하는 부분에, 체결 부재의 중심선에 대하여, 공구 본체 후단 방향으로 편심된 원추 수용면을 형성하고, 다른 인서트 장착 시트 측면부에는, 체결 부재의 원통부 수용 구멍 및 그 측벽과 이 측벽에 이어지고 체결 부재의 수나사부에 대응하는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절삭 인서트의 고정을 인서트 장착 시트 측면부에 의한 가압과, 체결 부재의 원통부에 의한 절삭 인서트의 핀홀 측면으로부터 공구 본체의 후단측으로의 가압에 의해 실시하여, 또한, 원통부 수용 구멍의 측벽과 체결 부재의 원통부를 맞닿게 하여 장착 기준면으로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여기서, 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공구 본체의 인서트 장착 시트 측면부의 체결 부재 헤드부 원추면에 대응하는 부분에, 체결 부재의 중심선에 대하여 공구 본체 후단 방향으로 편심된 원추 수용면을 형성함으로써, 체결 부재를 비틀어 넣음으로써 체결 부재의 헤드부측이 공구 본체 후단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체결 부재를 휘게 하고, 체결 부재의 원통부에 의해 절삭 인서트의 핀홀 측면을 공구 본체 후단측으로 가압하고 있다.
그리고, 원통부 수용 구멍의 측벽과 체결 부재의 원통부를 맞닿게 하여 장착 기준면으로 하고 있으므로, 이렇게 하여 체결 부재를 휘게 했을 때의 원통부 하단과 원통부 수용 구멍 선단측 측벽 사이의 가압에 의해 원통부에 의한 절삭 인서트의 가압력을 안정시킬 수 있어, 공구 사용중의 여러 가지 방향, 크기의 하중에 대해서도 절삭 인서트의 장착 정밀도를 고정밀도로 유지할 수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3971522호
그런데, 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의 체결 부재에서는, 절삭 인서트의 핀홀 측면이 체결 부재의 중심선 방향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원통부와 맞닿기 때문에, 체결 부재가 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핀홀 측면이 체결 부재의 중심선 방향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원통부와 맞닿음으로써, 이들 핀홀 측면과 원통부의 접촉 면적도 커지고, 원통부가 핀홀 측면을 공구 본체 후단측으로 가압할 때의 마찰 저항도 커져, 체결 부재의 체결시에 절삭 인서트가 어긋나게 움직여 버릴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절삭 인서트의 가압력의 안정화를 도모하면서도, 체결 부재 (클램프 나사) 를 휘기 쉽게 함과 함께, 체결시에 절삭 인서트가 어긋나게 움직이는 사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공구 본체의 선단부에 형성된 슬릿상의 인서트 장착 시트에, 절삭날이 형성된 인서트 본체를 갖는 절삭 인서트가 착좌되고, 클램프 나사에 의해 협지됨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로서, 상기 인서트 본체에는, 상기 인서트 장착 시트의 장착 시트 바닥면에 맞닿음 가능한 착좌면과, 그 인서트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클램프 나사가 삽입 통과되는 관통공과, 이 관통공이 개구되는 2 개의 측면이 형성되고, 상기 2 개의 측면을 가압하는 상기 인서트 장착 시트의 서로 대향한 2 개의 장착 시트 벽면 중, 일방의 장착 시트 벽면에는 장착 기준공과 나사공이 형성됨과 함께, 타방의 장착 시트 벽면에는 상기 나사공의 중심선에 대하여 공구 본체 후단측으로 편심된 중심선을 갖는 원추상 수용면이 공구 본체 선단측에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 나사의 일단부에는 상기 나사공에 비틀어 넣어지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원추상 수용면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한 원추면상의 외주면을 갖는 헤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와 헤드부 사이에는, 그 클램프 나사의 상기 일단부측의 외주면이 상기 장착 기준공의 공구 본체 선단측의 내주면에 맞닿게 됨과 함께, 상기 장착 기준공보다 타단부측의 외주면이 상기 인서트 본체의 관통공에 있어서의 공구 본체 후단측의 내주면에 맞닿게 되는 원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본체의 관통공에는, 그 인서트 본체의 상기 2 개의 측면에 대한 개구부 중 적어도 일방에, 상기 클램프 나사의 원통부가 맞닿게 되는 부분보다 내경이 큰 확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에서는, 클램프 나사를 비틀어 넣어 절삭 인서트를 장착할 때, 클램프 나사의 수나사부가 형성된 일단부측에 있어서의 원통부의 외주면이 상기 장착 기준공의 공구 본체 선단측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게 되므로, 이들 내외주면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에 있어서의 장착 기준면으로서 작용한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와 동일하게, 절삭 인서트의 가압력을 안정시켜, 절삭 가공시의 여러 가지 방향, 크기의 하중에 대해서도 절삭 인서트의 장착 정밀도를 고정밀도로 유지하여, 높은 가공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구성의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에서는, 인서트 본체의 관통공에 있어서의 상기 2 개의 측면에 대한 개구부 중 적어도 일방에, 클램프 나사의 원통부가 맞닿게 되는 부분보다 내경이 큰 확경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확경부에 있어서는 관통공과 클램프 나사의 원통부 사이에 간격을 둘 수 있어, 절삭 인서트를 협지하여 고정시킬 때, 클램프 나사를 휘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적은 비틀어 넣는 힘으로도 절삭 인서트를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인서트 장착 시트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와 같이 확경부에 있어서 관통공과 원통부 사이에 간격이 있음으로써, 클램프 나사의 원통부와 관통공의 접촉 면적을 저감시킬 수 있고, 이에 수반하여 클램프 나사가 관통공을 공구 본체 후단측으로 가압할 때의 마찰 저항도 저감되므로, 클램프 나사의 체결시 (클램프 나사의 체결이 완료되기 직전) 에 인서트 본체가 어긋나게 움직이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절삭 인서트의 장착 정밀도를 한층 고정밀화할 수 있어, 가공 정밀도의 추가적인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상기 확경부를 상기 인서트 본체의 2 개의 측면 중, 적어도 상기 일방의 장착 시트 벽면에 의해 가압되는 측면에 대한 상기 관통공의 개구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클램프 나사의 원통부가, 장착 기준공이 형성된 이 일방의 장착 시트 벽면에 의해 가압되는 측면측에서 관통공에 접촉하는 경우가 없어진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원통부와, 이 원통부가 맞닿게 되는 부분의 관통공의 클리어런스가 작은 경우에 클램프 나사를 조여 넣었을 때, 이러한 접촉에 의해 인서트 본체의 장착 어긋남 정밀도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것과는 반대로, 상기 확경부를 상기 인서트 본체의 2 개의 측면 중, 적어도 상기 타방의 장착 시트 벽면에 의해 가압되는 측면에 대한 상기 관통공의 개구부에 형성해도 된다. 이로써, 클램프 나사의 휨에 의해 원통부의 외주면이 관통공과 접촉하는 위치를, 클램프 나사의 장착 기준면이 되는 원통부의 일단부측 외주면에 근접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클램프 나사의 휨량이 동일해도, 이 일단부측 외주면을 지지점으로 하여 원통부가 관통공에 접촉하는 위치에 작용하는 가압력을 강하게 할 수 있어, 더욱 강고하게 절삭 인서트 (3) 를 인서트 장착 시트 (2) 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클램프 나사가 크게 휘는 측에 확경부가 형성되므로, 휨량 자체도 크게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확경부를 인서트 본체의 측면의 쌍방에 형성해도 되며, 그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쌍방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확경부가 형성된 상기 인서트 본체의 측면으로부터의 그 확경부의 깊이를, 상기 관통공의 중심선에 대한 반경 방향의 상기 확경부의 확경량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클램프 나사의 원통부와 관통공의 접촉 면적을 확실하게 저감시키면서, 확경부에 의해 관통공의 개구부가 필요 이상으로 크게 깎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클램프 나사에 의해 가압된 인서트 본체에 관통공으로부터 균열 손상이 발생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클램프 나사에 의한 절삭 인서트의 가압력을 안정화시키면서도, 확실하고 고정밀도로 절삭 인서트를 인서트 장착 시트에 장착할 수 있어, 한층 고정밀도의 절삭 가공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의 선단부의 측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있어서의 ZZ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1 에 있어서의 ZZ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1 에 있어서의 ZZ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는, 날끝 교환식의 엔드 밀, 특히 볼 엔드 밀이며, 즉 축선 (O) 을 중심으로 하는 외형 대략 원주상의 공구 본체 (1) 의 선단부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의 좌측 부분) 에 형성된 슬릿상의 인서트 장착 시트 (2) 에, 원호상의 절삭날 (3a) 이 형성된 인서트 본체 (3b) 를 갖는 절삭 인서트 (3) 가 착좌되고, 클램프 나사 (4) 에 의해 협지됨 (클램프 나사 (4) 를 체결함으로써 절삭 인서트 (3) 가 인서트 장착 시트 (2) 에 협지됨) 으로써, 절삭 인서트 (3) 가 인서트 장착 시트 (2) 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는, 공구 본체 (1) 후단측의 도시되지 않은 섕크부가 공작 기계의 주축에 파지되어, 축선 (O) 둘레로 회전되어지면서 통상적으로는 축선 (O) 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보내지고, 상기 절삭날 (3a) 에 의해 금형 등의 피삭물을 절삭 가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축선 (O) 의 연장되는 방향 중, 공구 본체 (1) 의 섕크부로부터 인서트 장착 시트 (2) 로 향하는 방향을 선단측 (도 1, 2 의 좌측) 이라고 하고, 인서트 장착 시트 (2) 로부터 섕크부로 향하는 방향을 후단측 (도 1, 2 의 우측) 이라고 한다. 또, 축선 (O) 에 직교하는 방향을 직경 방향이라고 한다. 직경 방향 중 축선 (O) 에 접근하는 방향을 직경 방향 내방이라고 하고, 축선 (O) 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을 직경 방향 외방이라고 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나사 사이즈가 M2 내지 M8 의 범위인 클램프 나사 (4) 를 구비하는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를 주로 대상으로 하는데, 이후에는 나사 사이즈가 M8 인 클램프 나사 (4) 를 구비하는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에 대해 기술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의 클램프 나사 (4) 의 나사 사이즈는 상기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절삭 인서트 (3) 의 인서트 본체 (3b) 는, 초경 합금 등의 경질 재료에 의해 판상으로 형성되고, 2 개의 서로 평행한 측면 (3c) 과, 이들 측면 (3c) 에 수직인 착좌면 (3d) 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원호상 (대략 반원상) 의 절삭날 (3a) 이 공구 본체 (1) 의 선단부 외주 (선단측 및 직경 방향 외방) 로 돌출되고, 그 축선 (O) 둘레에 형성되는 회전 궤적이 그 축선 (O) 상에 중심을 갖는 반구상이 되도록 인서트 장착 시트 (2) 에 장착된다. 바꾸어 말하면, 절삭날 (3a) 이 이루는 원호의 중심이 축선 (O) 을 지나도록 인서트 본체 (3b) 가 인서트 장착 시트 (2) 에 장착된다. 또, 인서트 본체 (3b) 에는, 상기 절삭날 (3a) 이 이루는 원호의 대략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을 갖고 인서트 본체 (3b) 를 관통하는 단면 원형의 관통공 (3e) 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2 개의 측면 (3c) 에 개구되어 있다.
한편, 공구 본체 (1) 와 클램프 나사 (4) 는, 인서트 본체 (3b) 보다는 저경도이고 탄성 변형 가능한 강재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중, 공구 본체 (1) 의 선단부는, 절삭 인서트 (3) 가 장착된 상태로, 축선 (O) 과 인서트 본체 (3b) 의 관통공 (3e) 의 상기 중심선의 교점을 중심으로 하는 반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이 공구 본체 (1) 의 선단부가 형성하는 반구의 반경은, 절삭날 (3a) 의 상기 회전 궤적이 형성하는 반구의 반경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이러한 공구 본체 (1) 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인서트 장착 시트 (2)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선 (O) 과 인서트 본체 (3b) 의 관통공 (3e) 의 상기 중심선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공구 본체 (1) 의 선단측에 U 자형으로 개구되는 슬릿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즉 서로 평행하고 또한 축선 (O) 에도 평행한 대향하는 2 개의 장착 시트 벽면 (2a, 2b) 과, 이들 장착 시트 벽면 (2a, 2b) 에 수직이고 축선 (O) 에 직교하는, 공구 본체 (1) 의 선단측을 향하는 장착 시트 바닥면 (2c) 을 구비하고 있다.
2 개의 장착 시트 벽면 (2a, 2b) 은 축선 (O) 으로부터 서로 동등한 거리에 있고, 이들 장착 시트 벽면 (2a, 2b) 사이의 간격은, 양 장착 시트 벽면 (2a, 2b) 에 인서트 본체 (3b) 의 상기 2 개의 측면 (3c) 을 각각 슬라이딩 접촉시켜 인서트 본체 (3b) 를 끼워 넣기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인서트 본체 (3b) 를 끼워 넣어 상기 착좌면 (3d) 을 장착 시트 바닥면 (2c) 에 맞닿게 함으로써, 절삭 인서트 (3) 는, 관통공 (3e) 의 중심선이 축선 (O) 과 직교하도록 하여 인서트 장착 시트 (2) 에 착좌된다.
또, 2 개의 장착 시트 벽면 (2a, 2b) 중 일방의 장착 시트 벽면인 제 1 장착 시트 벽면 (도 2 에 있어서의 하측의 장착 시트 벽면) (2a) 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절삭 인서트 (3) 를 인서트 장착 시트 (2) 에 착좌시킨 상태로, 제 1 장착 시트 벽면 (2a) 에 슬라이딩 접촉한 인서트 본체 (3b) 의 측면 (3c) 에 있어서의 상기 관통공 (3e) 의 개구부에 면하도록, 장착 기준공 (5) 과 나사공 (6) 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착 기준공 (5) 이 장착 시트 벽면 (2a) 에 개구되도록 형성됨과 함께, 이 장착 기준공 (5) 의 구멍 바닥 (직경 방향 외방) 에 나사공 (6)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 나사공 (6) 은, 그 중심선 (L1) 이 축선 (O) 과 직교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또, 장착 기준공 (5) 은, 축선 (O)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상 (長孔狀) 을 이루고 있고, 즉 장착 시트 벽면 (2a) 에 평행한 단면에 있어서, 1 개의 원을 그 직경에서 축선 (O) 방향으로 분할한 2 개의 반원 사이를, 이 직경과 동등한 폭의 방형 (정방형) 으로 연결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반원 중 공구 본체 (1) 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반원의 중심은 나사공 (6) 의 중심선 (L1) 상에 위치하고 있고, 이 선단측의 반원을 따른 장착 기준공 (5) 의 반원통면상의 내주면은 공구 본체 (1) 측의 장착 기준면 (5a) 이 된다. 또한, 이들 반원의 내경 (상기 1 개의 원의 직경) 은, 나사공 (6) 의 내경 (나사공 (6) 의 나사의 골의 직경) 보다 약간 크다.
이에 대하여, 2 개의 장착 시트 벽면 (2a, 2b) 중 타방의 장착 시트 벽면인 제 2 장착 시트 벽면 (도 2 에 있어서의 상측의 장착 시트 벽면) (2b) 에는, 이 제 2 장착 시트 벽면 (2b) 으로부터 떨어져 공구 본체 (1) 의 선단부 외주측 (도 2 에 있어서의 상측, 직경 방향 외방) 을 향함에 따라 내경이 점차 커지는 오목원추상 구멍 (7) 이 형성되어, 공구 본체 (1) 의 외주면에 개구되어 있다. 장착 시트 벽면 (2b) 에 평행한 공구 본체 (1) 의 단면에 있어서는, 이 오목원추상 구멍 (7) 은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원의 내경이 공구 본체 (1) 의 외주측 (직경 방향 외방) 을 향함에 따라 점차 커진다.
또한, 이 오목원추상 구멍 (7) 의 공구 본체 (1) 의 선단측의 반원을 따른 반원추면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원추상 수용면 (7a) 으로 되어 있고, 이 원추상 수용면 (7a) 의 중심선 (L2) 은, 축선 (O) 에 직교함과 함께, 나사공 (6) 의 중심선 (L1) 보다 약간 공구 본체 (1) 의 후단측으로 편심되어 있다. 또, 중심선 (L2) 은 중심선 (L1) 에 평행한다. 편심량 (중심선 (L1) 과 중심선 (L2) 의 거리) 의 바람직한 범위는 클램프 나사 (4) 의 나사 사이즈에 따라 변화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와 같이 클램프 나사 (4) 의 나사 사이즈가 M8 인 경우, 0.03 ∼ 0.1 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오목원추상 구멍 (7) 의 구멍 바닥 (오목원추상 구멍 (7) 의 직경 방향 내방단) 과 제 2 장착 시트 벽면 (2b) 사이에는, 장착 기준공 (5) 보다 큰 내경의 장공부 (7b) 가, 오목원추상 구멍 (7) 과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장공부 (7b) 는, 1 개의 원 (장착 기준공 (5) 의 반원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원) 을 그 직경에서 축선 (O) 방향으로 분할한 2 개의 반원 사이를, 이 직경과 동등한 폭의 방형으로 연결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공부 (7b) 의 상기 2 개의 반원의 중심의 중점이 나사공 (6) 의 중심선 (L1) 상에 위치하고 있다. 장공부 (7b) 는, 제 2 장착 시트 벽면 (2b) 에 슬라이딩 접촉한 인서트 본체 (3b) 의 측면 (3c) 에 있어서의 관통공 (3e) 의 개구부에 면하도록, 제 2 장착 시트 벽면 (2b) 에 개구되어 있다.
클램프 나사 (4) 에는, 그 일단부 (도 2 에 있어서의 하측 부분) 에 상기 나사공 (6) 에 비틀어 넣어지는 수나사부 (4a) 가 형성됨과 함께, 타단부 (도 2 에 있어서의 상측 부분) 에는, 수나사부 (4a) 를 나사공 (6) 에 비틀어 넣어갈 때에 상기 원추상 수용면 (7a) 과 슬라이딩 접촉 가능한, 일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축경되는 원추면상의 외주면을 갖는 헤드부 (4b) 가 형성되어 있다. 또, 헤드부 (4b) 의 단면에는, 클램프 나사 (4) 를 비틀어 넣거나 (클램프 나사 (4) 의 수나사부 (4a) 를 나사공 (6) 에 나사 결합시키거나), 또는 느슨하게 할 때에 렌치 등의 작업용 공구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구멍 (4c)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수나사부 (4a) 와 헤드부 (4b) 사이에는 원통부 (4d)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원통부 (4d) 는, 그 외주면이 클램프 나사 (4) 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을 이루고 있고, 그 외경은, 수나사부 (4a) 의 외경보다 약간 크고, 장착 기준공 (5) 의 상기 장착 기준면 (5a) 이 된 선단측의 내주면의 내경보다는 극히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수나사부 (4a) 를 나사공 (6) 에 비틀어 넣어갈 때에 원통부 (4d) 의 외주면이 장착 기준면 (5a) 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통부 (4d) 와 수나사부 (4a) 사이에는, 불완전 나사부를 포함하는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는 원통면상의 외주를 갖고, 수나사부 (4a) 의 골 직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인서트 본체 (3b) 의 상기 관통공 (3e) 에는, 이 인서트 본체 (3b) 의 상기 2 개의 측면 (3c) 에 대한 개구부 중 적어도 일방에, 이 관통공 (3e) 에 있어서 클램프 나사 (4) 의 상기 원통부 (4d) 가 맞닿게 되는 부분보다 내경이 큰 확경부 (3f)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통공 (3e) 의 2 개의 측면 (3c) 에 대한 개구부의 쌍방에, 이와 같은 확경부 (3f) 가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 (3e) 에 있어서 이들 2 개의 확경부 (3f) 사이의 부분에 상기 원통부 (4d) 가 맞닿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관통공 (3e) 은, 클램프 나사 (4) 의 원통부 (4d) 와 맞닿도록 형성된 원통면과, 원통면보다 큰 내경을 갖고 측면 (3c) 에 개구되도록 원통면의 양단에 형성된 2 개의 확경부 (3f) 로 구성된다.
이 확경부 (3f)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서트 본체 (3b) 의 상기 측면 (3c) 에 평행하고 관통공 (3e) 의 중심선 (관통공 (3e) 의 원통면의 중심선) 을 중심으로 한 원환상의 바닥면과, 이 바닥면으로부터 그 확경부 (3f) 가 개구되는 측면 (3c) 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확경되는, 관통공 (3e) 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한 원추면상의 내주면을 구비하고 있다. 각 확경부 (3f) 는, 2 개의 측면 (3c) 측의 확경부 (3f) 끼리 동일 형상, 동일 크기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확경부 (3f) 가 형성된 측면 (3c) 으로부터 확경부 (3f) 의 상기 바닥면까지의 그 확경부 (3f) 의 깊이 (관통공 (3e) 의 중심선 방향에 있어서의 확경부 (3f) 의 길이) 는, 관통공 (3e) 의 중심선에 대한 반경 방향 (관통공 (3e) 의 중심선에 직교하는 방향) 의 확경부 (3f) 의 확경량, 즉 측면 (3c) 에 있어서의 확경부 (3f) 의 반경 (확경부 (3f) 내반경의 최대값) 과 관통공 (3e) 의 클램프 나사 (4) 가 맞닿게 되는 부분의 반경 (관통공 (3e) 의 원통면 내반경) 의 차이보다 크다. 또한, 확경부 (3f) 의 확경량의 바람직한 범위는, 클램프 나사 (4) 의 나사 사이즈에 따라 변화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와 같이 클램프 나사 (4) 의 나사 사이즈가 M8 인 경우, 확경부 (3f) 의 확경량이 확경부의 깊이의 10 ∼ 5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40 % 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인서트 본체 (3b) 의 관통공 (3e)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착좌면 (3d) 을 장착 시트 바닥면 (2c) 에 맞닿게 하여 인서트 본체 (3b) 를 인서트 장착 시트 (2) 에 착좌시킨 상태로 클램프 나사 (4) 를 삽입 통과시켜, 수나사부 (4a) 를 나사공 (6) 에 비틀어 넣기 시작했을 때에는, 클램프 나사 (4) 의 원통부 (4d) 의 외주면과 관통공 (3e) 의 원통부 (4d) 와 맞닿게 되는 부분 (원통면) 중 공구 본체 (1) 후단측 부분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극히 약간의 간격이 있도록, 관통공 (3e) 의 중심선의 위치와 원통부 (4d) 에 맞닿게 되는 부분 (관통공 (3e) 의 원통면) 의 내경이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관통공 (3e) 의 원통면의 내경은 장착 기준면 (5a) 의 반원통면상의 내주면과 대략 동일하다.
이러한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절삭 인서트 (3) 를, 그 인서트 본체 (3b) 의 관통공 (3e) 의 중심선이 축선 (O) 과 직교하도록 인서트 장착 시트 (2) 에 끼워 넣어 착좌면 (3d) 을 장착 시트 바닥면 (2c) 에 맞닿게 함으로써 착좌시키고, 이어서 오목원추상 구멍 (7) 으로부터 클램프 나사 (4) 를 관통공 (3e) 에 삽입 통과시켜 수나사부 (4a) 를 나사공 (6) 에 비틀어 넣음으로써 조립된다.
수나사부 (4a) 를 나사공 (6) 에 비틀어 넣기 시작했을 때에는, 클램프 나사 (4) 의 중심선은 나사공 (6) 의 중심선 (L1) 과 동축이지만, 클램프 나사 (4) 의 헤드부 (4b) 의 외주면이 오목원추상 구멍 (7) 의 원추상 수용면 (7a) 에 슬라이딩 접촉하면, 이 원추상 수용면 (7a) 의 중심선 (L2) 은 나사공 (6) 의 중심선 (L1) 보다 약간 공구 본체 (1) 의 후단측으로 편심되어 있으므로, 클램프 나사 (4) 는 헤드부 (4b) 가 공구 본체 (1) 의 후단측으로 쓰러지듯이 휘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클램프 나사 (4) 가 휘면, 그 원통부 (4d) 의 외주면이, 확경부 (3f) 사이의 부분 (관통공 (3e) 의 원통면) 에 있어서의 관통공 (3e) 의 공구 본체 (1) 후단측의 내주면에 맞닿아, 인서트 본체 (3b) 를 인서트 장착 시트 (2) 의 장착 시트 바닥면 (2c) 으로 가압한다. 또, 이것과 동시에, 클램프 나사 (4) 의 헤드부 (4b) 가 원추상 수용면 (7a) 에 눌러짐으로써, 인서트 장착 시트 (2) 의 2 개의 장착 시트 벽면 (2a, 2b) 사이의 간격이 좁혀져 인서트 본체 (3b) 의 2 개의 측면 (3c) 이 가압되고, 이들의 가압에 의해 절삭 인서트 (3) 가 인서트 장착 시트 (2) 에 협지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클램프 나사 (4) 가 휘기 시작할 때에는, 원통부 (4d) 의 일단부측 (수나사부 (4a) 측) 의 외주면이 장착 기준공 (5) 의 공구 본체 (1) 선단측의 장착 기준면 (5a) 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으므로, 클램프 나사 (4) 는, 이 원통부 (4d) 의 일단부측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장착 기준면 (5a) 과 슬라이딩 접촉한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헤드부 (4b) 측이 공구 본체 (1) 후단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휘어져 간다. 즉, 이 원통부 (4d) 의 장착 기준면 (5a) 과 슬라이딩 접촉한 부분이 클램프 나사 (4) 측의 장착 기준면으로서 작용하고, 공구 본체 (1) 측의 장착 기준면 (5a) 에 의해 클램프 나사 (4) 가 공구 본체 (1) 의 선단측과 외주측 (직경 방향 외방) 에 있어서 구속되므로, 절삭 가공시에 절삭날 (3a) 로부터 절삭 인서트 (3) 에 어떠한 방향으로부터 하중이 작용해도, 절삭 인서트 (3) 를 강고하게 인서트 장착 시트 (2) 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에서는, 관통공 (3e) 의 측면 (3c) 에 대한 개구부에, 클램프 나사 (4) 의 원통부 (4d) 가 맞닿게 되는 부분 (관통공 (3e) 의 원통면) 보다 내경이 큰 확경부 (3f) 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확경부 (3f) 에 있어서는 원통부 (4d) 와 관통공 (3e) 사이에 큰 간격을 둘 수 있어 클램프 나사 (4) 를 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걸어맞춤 구멍 (4c) 에 렌치 등의 작업용 공구를 걸어맞춰 클램프 나사 (4) 를 회전함으로써 수나사부 (4a) 를 나사공 (6) 에 비틀어 넣을 때의 비틀어 넣는 힘을 작게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클램프 나사 (4) 를 확실하게 휘게 하여 절삭 인서트 (3) 를 안정적으로 인서트 장착 시트 (2) 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는 관통공 (3e) 의 중심선 방향에 있어서의 확경부 (3f) 의 길이 (확경부 (3f) 의 깊이) 는, 클램프 나사 (4) 의 나사 사이즈에 따라 변화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와 같이 클램프 나사 (4) 의 나사 사이즈가 M8 인 경우, 확경부 (3f) 의 상기 길이가 관통공 (3e) 의 길이의 10 ∼ 5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40 % 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이와 같이 확경부 (3f) 와 원통부 (4d) 사이에 간격이 있음으로써, 확경부 (3f) 에서는 원통부 (4d) 가 관통공 (3e) 과 접촉하는 경우가 없어지고, 따라서 클램프 나사 (4) 와 관통공 (3e) 의 접촉 면적은 작아진다. 이 때문에, 클램프 나사 (4) 가 관통공 (3e) 에 맞닿아 인서트 본체 (3b) 를 공구 본체 (1) 의 후단측으로 가압할 때의 클램프 나사 (4) 와 관통공 (3e) 사이의 마찰 저항도 작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절삭 인서트 (3) 가 완전히 고정되기 직전의 클램프 나사 (4) 의 체결시에 있어서 인서트 본체 (3b) 가 어긋나게 움직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절삭 인서트 (3) 를 한층 고정밀도로 인서트 장착 시트 (2) 에 장착하여 가공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확경부 (3f) 가 관통공 (3e) 의 2 개의 측면 (3c) 에 대한 개구부의 쌍방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원통부 (4d) 와의 접촉 면적을 한층 작게 하여 마찰 저항의 추가적인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이들 2 개의 확경부 (3f) 는 동일 형상, 동일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측면 (3c) 으로부터의 확경부 (3f) 의 상기 깊이도 동등하다. 따라서 관통공 (3e) 은 그 중심선 방향의 중앙부가 클램프 나사 (4) 의 원통부 (4d) 에 맞닿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인서트 본체 (3b) 의 두께 방향 (도 2 의 좌우 방향) 에 있어서 균형있게 절삭 인서트 (3) 를 가압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절삭 인서트 (3) 를 인서트 장착 시트 (2) 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관통공 (3e) 의 중심선 방향에 있어서의 관통공 (3e) 의 원통면의 길이의 바람직한 범위는, 클램프 나사 (4) 의 나사 사이즈에 따라 변화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와 같이 클램프 나사 (4) 의 나사 사이즈가 M8 인 경우, 관통공 (3e) 의 원통면의 상기 길이가 인서트 본체 (3b) 의 두께 (2 개의 측면 (3c) 사이의 거리) 의 10 ∼ 5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4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확경부 (3f) 가 형성된 인서트 본체 (3b) 의 측면 (3c) 으로부터의 확경부 (3f) 의 깊이가, 관통공 (3e) 의 중심선에 대한 반경 방향의 확경부 (3f) 의 확경량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확경부 (3f) 의 둘레의 관통공 (3e) 개구부 주변에 있어서의 인서트 본체 (3b) 의 두께가 필요 이상으로 깎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클램프 나사 (4) 에 의한 가압에 의해 인서트 본체 (3b) 에 균열 손상이 발생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확경부 (3f) 는, 이 확경부 (3f) 가 개구되는 측면 (3c) 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확경되는 관통공 (3e) 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한 원추면상의 내주면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클램프 나사 (4) 의 휨을 저해하는 경우가 없다. 한편으로, 이 측면 (3c) 과는 반대측의, 확경부 (3f) 에 있어서 관통공 (3e) 에 원통부 (4d) 가 맞닿게 되는 부분에 인접한 부분 (확경부 (3f) 중 관통공 (3e) 의 원통면에 인접하는 부분) 에서는, 인서트 본체 (3b) 의 두께를 크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역시 인서트 본체 (3b) 의 균열 손상 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단, 확경부 (3f) 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확경부 (3f) 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원환상의 바닥면과, 관통공 (3e) 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상의 내주면을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즉 관통공 (3e) 이 계단식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1 의 ZZ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제 2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배열하고 있다. 이 중, 도 3 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절삭 인서트 (3) 의 확경부 (3f) 가, 인서트 본체 (3b) 의 2 개의 측면 (3c) 중, 장착 기준공 (5) 이 형성된 제 1 장착 시트 벽면 (2a) 에 의해 가압되는 측면 (3c) 에 대한 관통공 (3e) 의 개구부에만 형성되어 있고, 클램프 나사 (4) 의 원통부 (4d) 는, 이 확경부 (3f) 로부터 인서트 본체 (3b) 의 제 2 장착 시트 벽면 (2b) 으로 가압되는 측면 (3c) 사이의 관통공 (3e) 의 내주면에 맞닿게 된다. 즉, 관통공 (3e) 은, 제 2 장착 시트 벽면 (2b) 으로 가압되는 측면 (3c) 에 개구되는 원통면과, 제 1 장착 시트 벽면 (2a) 으로 가압되는 측면 (3c) 에 개구되고, 원통면보다 큰 내경을 갖는 확경부 (3f) 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 2 실시형태나,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인서트 본체 (3b) 의 2 개의 측면 (3c) 중, 적어도 장착 기준공 (5) 이 형성된 제 1 장착 시트 벽면 (2a) 에 의해 가압되는 측면 (3c) 에 대한 관통공 (3e) 의 개구부에 상기 확경부 (3f) 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클램프 나사 (4) 의 원통부 (4d) 는, 이 제 1 장착 시트 벽면 (2a) 에 의해 가압되는 측면 (3c) 측에서 관통공 (3e) 에 접촉하는 경우가 없어진다. 이 때문에, 클램프 나사 (4) 를 비틀어 넣어갈 때에, 관통공 (3e) 과 원통부 (4d) 사이에는 충분한 클리어런스가 확보되므로, 원통부 (4d) 의 외주면 중 공구 본체 (1) 의 선단측을 향하는 부분이 관통공 (3e) 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접촉에 의해 인서트 본체 (3b) 가 관통공 (3e) 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장착 어긋남 정밀도에 편차가 발생해버리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 에 나타내는 제 3 실시형태는, 절삭 인서트 (3) 의 관통공 (3e) 에 있어서의 확경부 (3f) 가, 인서트 본체 (3b) 의 2 개의 측면 (3c) 중, 공구 본체 (1) 의 오목원추상 구멍 (7) 이 형성된 제 2 장착 시트 벽면 (2b) 에 의해 가압되는 측면 (3c) 에 대한 관통공 (3e) 의 개구부에만 형성되어 있다. 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클램프 나사 (4) 의 원통부 (4d) 는, 이 확경부 (3f) 로부터 인서트 본체 (3b) 의 제 1 장착 시트 벽면 (2a) 으로 가압되는 측면 (3c) 사이의 관통공 (3e) 의 내주면에 맞닿게 된다. 즉, 관통공 (3e) 은, 제 1 장착 시트 벽면 (2a) 으로 가압되는 측면 (3c) 에 개구되는 원통면과, 제 2 장착 시트 벽면 (2b) 으로 가압되는 측면 (3c) 에 개구되고, 원통면보다 큰 내경을 갖는 확경부 (3f) 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 3 실시형태나,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인서트 본체 (3b) 의 2 개의 측면 (3c) 중, 적어도 장착 기준공 (5) 이 형성된 제 1 장착 시트 벽면 (2a) 과는 반대의 제 2 장착 시트 벽면 (2b) 에 의해 가압되는 측면 (3c) 에 대한 관통공 (3e) 의 개구부에 상기 확경부 (3f) 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2 실시형태나 관통공 (3e) 이 전체 길이에 걸쳐 원통부 (4d) 와 맞닿게 되는 경우 (확경부 (3f) 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에 비해, 클램프 나사 (4) 의 휨에 의해 원통부 (4d) 의 외주면이 관통공 (3e) 과 접촉하는 위치를, 클램프 나사 (4) 의 장착 기준면이 되는 원통부 (4d) 의 일단부측 (수나사부 (4a) 측) 외주면에 근접시킬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 나사 (4) 의 휨량이 동일해도, 이 일단부측 외주면을 지지점으로 하여 원통부 (4d) 가 관통공 (3e) 에 접촉하는 위치에 작용하는 가압력을 강하게 할 수 있어, 더욱 강고하게 절삭 인서트 (3) 를 인서트 장착 시트 (2) 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클램프 나사 (4) 가 크게 휘는 측에 확경부 (3f) 가 형성되므로, 휨량 자체도 크게 하여, 한층 강고하게 절삭 인서트 (3) 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이들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절삭 인서트 (3) 의 절삭날 (3a) 의 회전 궤적이 반구상을 형성하는 날끝 교환식의 볼 엔드 밀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동일한 날끝 교환식 엔드 밀이라도, 예를 들어 절삭날이 축선 (O) 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날과, 이 바닥날의 외주단 (직경 방향 외방단) 에 이어지는 축선 (O) 둘레의 회전 궤적이 축선 (O) 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상을 형성하는 외주날로 구성된 스퀘어 엔드 밀이나, 이들 바닥날과 외주날이 교차하는 코너부에 원호상의 코너날이 형성된 래디우스 엔드 밀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엔드 밀 이외의 절삭 공구라도, 예를 들어 날끝 교환식의 드릴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에 의하면, 절삭 인서트의 가압력을 안정화하면서 클램프 나사를 휘기 쉽게 하여, 체결시에 절삭 인서트가 어긋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 공구 본체
2 : 인서트 장착 시트
2a, 2b : 장착 시트 벽면
2c : 장착 시트 바닥면
3 : 절삭 인서트
3a : 절삭날
3b : 인서트 본체
3c : 측면
3d : 착좌면
3e : 관통공
3f : 확경부
4 : 클램프 나사
4a : 수나사부
4b : 헤드부
4c : 걸어맞춤 구멍
4d : 원통부
5 : 장착 기준공
5a : 장착 기준면
6 : 나사공
7 : 오목원추상 구멍
7a : 원추상 수용면
7b : 장공부
O : 공구 본체 (1) 의 축선
L1 : 나사공 (6) 의 중심선
L2 : 원추상 수용면 (7a) 의 중심선

Claims (4)

  1. 공구 본체의 선단부에 형성된 슬릿상의 인서트 장착 시트에, 절삭날이 형성된 인서트 본체를 갖는 절삭 인서트가 착좌되고, 클램프 나사에 의해 협지됨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로서,
    상기 인서트 본체에는, 상기 인서트 장착 시트의 장착 시트 바닥면에 맞닿음 가능한 착좌면과, 그 인서트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클램프 나사가 삽입 통과되는 관통공과, 이 관통공이 개구되는 2 개의 측면이 형성되고,
    상기 2 개의 측면을 가압하는 상기 인서트 장착 시트의 서로 대향한 2 개의 장착 시트 벽면 중, 일방의 장착 시트 벽면에는 장착 기준공과 나사공이 형성됨과 함께, 타방의 장착 시트 벽면에는 상기 나사공의 중심선에 대하여 공구 본체 후단측으로 편심된 중심선을 갖는 원추상 수용면이 공구 본체 선단측에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 나사의 일단부에는 상기 나사공에 비틀어 넣어지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원추상 수용면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한 원추면상의 외주면을 갖는 헤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와 헤드부 사이에는, 그 클램프 나사의 상기 일단부측의 외주면이 상기 장착 기준공의 공구 본체 선단측의 내주면에 맞닿게 됨과 함께, 상기 장착 기준공보다 타단부측의 외주면이 상기 인서트 본체의 관통공에 있어서의 공구 본체 후단측의 내주면에 맞닿게 되는 원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본체의 관통공에는, 그 인서트 본체의 상기 2 개의 측면에 대한 개구부 중 적어도 일방에, 상기 클램프 나사의 원통부가 맞닿게 되는 부분보다 내경이 큰 확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경부는, 상기 인서트 본체의 2 개의 측면 중, 적어도 상기 일방의 장착 시트 벽면에 의해 가압되는 측면에 대한 상기 관통공의 개구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경부는, 상기 인서트 본체의 2 개의 측면 중, 적어도 상기 타방의 장착 시트 벽면에 의해 가압되는 측면에 대한 상기 관통공의 개구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경부가 형성된 상기 인서트 본체의 측면으로부터의 그 확경부의 깊이가, 상기 관통공의 중심선에 대한 반경 방향의 상기 확경부의 확경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KR1020177035792A 2015-12-01 2016-11-18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KR1020255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34767 2015-12-01
JP2015234767 2015-12-01
PCT/JP2016/084270 WO2017094531A1 (ja) 2015-12-01 2016-11-18 刃先交換式切削工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707A true KR20180005707A (ko) 2018-01-16
KR102025534B1 KR102025534B1 (ko) 2019-09-26

Family

ID=58797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792A KR102025534B1 (ko) 2015-12-01 2016-11-18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47746B2 (ko)
KR (1) KR102025534B1 (ko)
CN (1) CN108290234B (ko)
WO (1) WO20170945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5604A (zh) * 2021-05-07 2021-08-13 赣州澳克泰工具技术有限公司 一种铣刀及其刀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43710A1 (en) * 2019-02-20 2022-05-12 Kyocera Corporation Holder, cutting tool, method for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and method for collecting data
CN111761111B (zh) * 2019-04-01 2023-03-21 京瓷株式会社 立铣刀
JP6955682B1 (ja) * 2021-01-13 2021-10-27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工具本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9911A (ja) * 1997-12-26 1999-09-07 Hitachi Tool Eng Ltd 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JP2008183661A (ja) * 2007-01-30 2008-08-14 Kyocera Corp 切削インサート、それを用いた切削工具及び切削インサートの製造方法
JP2010089237A (ja) * 2008-10-10 2010-04-22 Tungaloy Corp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そのクランプ機構
JP2012183597A (ja) * 2011-03-03 2012-09-27 Hitachi Tool Engineering Ltd 刃先交換式ボールエンドミ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8113B2 (ja) * 2005-01-13 2011-02-09 オーエスジー株式会社 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及び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KR20120127501A (ko) * 2010-03-10 2012-11-21 가부시키가이샤 탕가로이 클램프 보조 부재 및 그 클램프 보조 부재를 구비한 절삭 공구
JP5664506B2 (ja) * 2011-09-09 2015-02-04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ヘッド交換式切削工具
JP5895648B2 (ja) * 2012-03-26 2016-03-30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ヘッド交換式切削工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9911A (ja) * 1997-12-26 1999-09-07 Hitachi Tool Eng Ltd 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JP3971522B2 (ja) 1997-12-26 2007-09-05 日立ツール株式会社 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JP2008183661A (ja) * 2007-01-30 2008-08-14 Kyocera Corp 切削インサート、それを用いた切削工具及び切削インサートの製造方法
JP2010089237A (ja) * 2008-10-10 2010-04-22 Tungaloy Corp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そのクランプ機構
JP2012183597A (ja) * 2011-03-03 2012-09-27 Hitachi Tool Engineering Ltd 刃先交換式ボールエンドミ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5604A (zh) * 2021-05-07 2021-08-13 赣州澳克泰工具技术有限公司 一种铣刀及其刀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90234B (zh) 2019-07-12
WO2017094531A1 (ja) 2017-06-08
KR102025534B1 (ko) 2019-09-26
JP6447746B2 (ja) 2019-01-16
CN108290234A (zh) 2018-07-17
JPWO2017094531A1 (ja)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3984B2 (ja) 非円形断面を有するクランプ部材を有するツールホルダ及びその中に切削インサートをクランプするための方法
KR102325723B1 (ko) 보강된 양면형 절삭 인서트 및 보강된 양면형 절삭 인서트를 구비한 절삭 공구
KR20180005707A (ko)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KR102076027B1 (ko) 미세-조정을 위해 구성되는 슬리팅 공구
JP2007223020A (ja) インサート式切削工具、インサート、及びインサート式切削工具におけるインサートの固定方法
EP3144086A1 (en) A tool body and a turning tool for grooving operations
JP2019516574A (ja) 切削インサートと機械加工用工具
JP2006272472A (ja) スローアウェイ式ドリル
JP6164389B1 (ja) 刃先交換式切削工具
JP6388798B2 (ja) 切りくず除去加工用工具及びインサート保持用ブレード並びにキー
CN103128351A (zh) 具有用于减小应力的凹座特征的切削刀具
CA2858506C (en) Tool holder and method for clamping a cutting insert therein
JP5157660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インサート着脱式切削工具
US11458553B2 (en) Cartridge and milling tool
JP4283671B2 (ja) インサート用の回転可能切削工具および固定配列体
US20160023280A1 (en) Turning and Face Grooving Tool Having a Pin Clamping Mechanism
JP2017061009A (ja) 刃先交換式切削工具
JP4170769B2 (ja) 切削加工用工具
JP2003145320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そのクランプ機構
JP2008213077A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インサート着脱式切削工具
JP2020163524A (ja) 刃先交換式切削工具、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工具本体
JP4628113B2 (ja) 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及び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2010179447A (ja) 円筒状穿孔工具
JP2007331081A (ja) スローアウェイ式回転工具
JP2005205527A (ja) 切削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