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0252A - 점착 시트 - Google Patents

점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0252A
KR20160040252A KR1020167005420A KR20167005420A KR20160040252A KR 20160040252 A KR20160040252 A KR 20160040252A KR 1020167005420 A KR1020167005420 A KR 1020167005420A KR 20167005420 A KR20167005420 A KR 20167005420A KR 20160040252 A KR20160040252 A KR 20160040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meth
substrate
pressure
adhes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5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1753B9 (ko
KR102351753B1 (ko
Inventor
에이이치 이모토
요시오 나카가와
겐이치 니시카와
야스노리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2461066&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6004025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40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753B1/ko
Publication of KR10235175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753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9J7/0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50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5003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halogens
    • C08G18/5015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halogens hav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2Polymers of est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7/0264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0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protecting painted surfaces, e.g. of ca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presence of a co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 C09J2475/006Presence of polyurethane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표면 미끄럼성 및 내오염성을 갖는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점착 시트는, 적어도 기재와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로서, 기재의 정마찰계수가 0.05 이상 1.50 이하이고, 또한 해당 기재의 ΔL*값의 절대값이 0.01 이상 45.00 이하이다. 이 기재의 5% 신장 시의 하중은 1N/cm 이상 15N/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기재를 10%까지 신장시키고, 그 상태로 신장을 정지하고 나서 600초 경과 후의 응력 완화율은 40%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점착 시트{ADHESIVE SHEET}
본 발명은 점착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면 미끄럼성 및 내오염성을 갖는 보호용의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 항공기 업계에 있어서는, 자동차 등의 바디의 도장면의 손상 방지를 위해서, 또는 마킹 등을 위해서, 점착 시트가 첩부되는 경우가 있다. 이 점착 시트는 스퀴지(squeegee)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도장면에 직접 첩부되지만, 점착 시트의 표면을 스퀴지가 미끄러지지 않기 때문에 점착 시트에 주름이나 흠집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표면을 보호하는 등을 위해서 첩착되는 점착 시트에는, 오염이 부착되거나, 오염을 포함한 빗물이 부착되거나, 오염 제거에 사용된 세정수 등이 부착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표면의 내오염성이 요구된다.
일본 특허공개 소59-41376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은 표면 미끄럼성을 갖고 있고, 또한 내오염성도 우수한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적어도 기재와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로서, 상기 기재의 정마찰계수가 0.05 이상 1.50 이하이고, 또한 해당 기재의 ΔL*값의 절대값이 0.01 이상 45.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기재의 5% 신장 시의 하중은 1N/cm 이상 15N/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를 10%까지 신장시키고, 그 상태로 신장을 정지하고 나서 600초 경과 후의 응력 완화율은 40%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해당 기재가 표면 보호층 및 기재층을 갖고, 해당 표면 보호층은 상기 점착 시트의 최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측정 각도 20도에 있어서의 글로스값이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적어도 우레테인계 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기재층을 구성하는 우레테인계 폴리머는 에스터계 열가소성 폴리우레테인 또는 에터계 열가소성 폴리우레테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쇼어 경도는 80A 이상 65D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면 보호층은 아크릴계 수지, 불소계 수지 또는 우레테인계 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수산기값 20∼120(KOHmg/g)인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느 점착 시트는 피착체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시트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호한 표면 미끄럼성을 갖고 있고, 또한 우수한 내오염성을 갖는 점착 시트를 실현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더욱이 곡면 추종성도 갖고 있어 삼차원 곡면을 가진 부위에 있어서도 양호하게 추종할 수 있고, 첩부한 후에 반발하거나 뜨거나 하지 않고 깔끔하게 첩부할 수 있는 점착 시트도 실현할 수 있었다.
도 1은 정마찰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기재와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이며, 기재의 정마찰계수는 0.05 이상 1.50 이하인 것이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1.00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0.5 이하이다. 정마찰계수가 0.05 미만 또는 1.50보다 크면, 양호한 표면 미끄럼성을 실현할 수 없다. 한편, 정마찰계수의 측정 방법은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기재의 ΔL*값(각도 20도)의 절대값은 0.01 이상 45.0 이하인 것이 필요하고, 0.01 이상 3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이상 15.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0.01 이상 8.0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내오염성의 지표로서 ΔL*값을 채용한다. 단, ΔL*값의 측정은 이하와 같이 해서 행한다. 즉, 기재를 아크릴 소부 백색 도판에 첩부한 후, 다각도 분광 측색계를 이용하여, 초기의 L*값(수광 각도 15도, 25도, 45도, 75도, 110도의 평균값)을 측정한다. 한편, 기재의 한쪽 면에 두께 50μm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점착 시트를 제작하고, 이 점착 시트를 아크릴 소부 백색 도판에 롤러를 이용해서 첩부해도 된다.
그 후, 기재(ex. 점착 시트) 상에 오염수(JIS Z-8901-84)를 도포한 후 건조시키는 공정을 8사이클 실시한 후, 수세하면서 오염수 도포막을 세정한 기재(ex. 점착 시트)에 대하여, 다각도 분광 측색계를 이용하여, 시험 후의 L*값(수광 각도 15도, 25도, 45도, 75도, 110도의 평균값)을 측정한다. 이들 수치를 다음 식에 대입하여, ΔL*값을 산출한다.
ΔL*값 = 시험 후의 L*값-초기의 L*값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기재의 5% 신장 시의 하중이 15N/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하한치는 1N/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N/cm 이상 12N/c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N/cm 이상 10N/cm 이하이다. 단, 기재의 5% 신장 시의 하중은,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기재에 50μm 두께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설치한 상태에서 측정한 것이다. 기재의 5% 신장 시의 하중이 특정 범위에 있는 것에 의해, 삼차원 곡면을 가진 부위에 대한 곡면 추종성이 우수한 점착 시트가 실현되기 쉬워진다.
또한, 기재는 특정 응력 완화성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10% 신장시킨 후, 신장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600sec 방치했을 때의 응력 완화율이 40%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단, 기재의 응력 완화율은,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기재에 50μm 두께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설치한 상태에서 측정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재는 기재층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시트여도 되지만, 기재층과 표면 보호층을 갖는 적층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표면 보호층은 점착 시트의 최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에 내후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기재는 무황변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층 시트 구조라면 표면 보호층 및 기재층의 각각이 무황변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5% 신장 시의 하중이 1∼15N/cm 및 응력 완화율이 40∼100%를 만족시키는 기재라면, 기재층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기재층은 적어도 우레테인계 폴리머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우레테인계 폴리머로서는, 에스터계 열가소성 폴리우레테인 또는 에터계 열가소성 폴리우레테인인 것이 바람직하고, 에스터계 열가소성 폴리우레테인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나아가 내연료유성도 고려하면, 기재층의 재료는 에스터계 열가소성 폴리우레테인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에스터계 열가소성 폴리우레테인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디페이트-에스터계 열가소성 폴리우레테인, 폴리카프로락톤-에스터계 열가소성 폴리우레테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재층은 쇼어 경도(JIS K6253: 2006)가 80A 이상 65D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5A 이상 97A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층의 두께는 목적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되지만, 50μ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μm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두께의 상한치는 1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바디를 보호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칩핑(chipping) 용도인 경우에는, 50∼800μ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00∼600μ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항공기 용도인 경우에는, 50∼1,000μm 정도, 더 바람직하게는 200∼800μm 정도이다. 또한, 자동 이륜 용도인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50∼800μm 정도, 더 바람직하게는 100∼600μm 정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재가 상기 SS 물성의 수치 범위를 만족시키도록, 적절히 기재층의 쇼어 경도 및 두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재를 구성하는 기재층으로서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와 우레테인 폴리머를 함유하는 복합 필름일 수 있다.
이 복합 필름 중의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와 우레테인 폴리머의 중량 비율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우레테인 폴리머 = 1/99∼80/2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함유 비율이 1/99 미만이면, 전구체 혼합물의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고, 80/20을 초과하면, 필름으로서의 유연성이나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복합 필름을 구성하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적어도 (메트)아크릴산계 모노머, 및 단작용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성분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Tg)가 0℃ 이상인 단작용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Tg)가 0℃ 미만인 단작용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를 추가로 포함하는 아크릴 성분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산계 모노머란, 카복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이고,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크로톤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특히 아크릴산이 바람직하다. 이 (메트)아크릴산계 모노머의 함유량은, 후술하는 복합 필름 전구체 중, 1중량% 이상 15중량% 이하이고, 2중량% 이상 1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계 모노머의 함유량이 1중량% 미만이면, 반응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고, 필름화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며, 또한 필름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메트)아크릴산계 모노머의 함유량이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흡수(吸水)율이 커져, 내수성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기재로서 복합 필름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메트)아크릴산계 모노머는 우레테인 성분, 아크릴 성분과의 상용성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이어서, 극히 중요한 기능을 갖는 필수 구성 요소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필름」이라고 하는 경우에는, 시트를 포함하고, 「시트」라고 하는 경우에는, 필름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메트)아크릴산계 모노머와 같이, 「(메트)아크릴」이라고 표시하는 경우에는, 메타아크릴, 아크릴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한다. 또한, 「아크릴」이라고 표시한 경우라도, 일반 상식상 문제가 없으면, 메타아크릴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Tg가 0℃ 이상인 단작용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일 모폴린, 아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다이사이클로펜탄일 아크릴레이트, t-뷰틸 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Tg가 0℃ 이상인 단작용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로서, 아크릴로일 모폴린, 아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및 다이사이클로펜탄일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크릴로일 모폴린 및/또는 아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로일 모폴린 및/또는 다이사이클로펜탄일 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특히 아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g가 0℃ 이상인 단작용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의 함유량은, 아크릴 성분 중, 20중량% 이상 99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중량% 이상 98중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단작용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의 함유량이 20중량% 미만이면, 필름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고, 99중량%를 초과하면, 필름의 강성이 지나치게 높아져 취성이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Tg가 0℃ 미만인 단작용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n-뷰틸, 아크릴산 2-에틸헥실, 아크릴산 아이소옥틸, 아크릴산 아이소뷰틸, 2-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플루오로퓨릴 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3-메톡시뷰틸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Tg가 0℃ 미만인 단작용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로서, 아크릴산 n-뷰틸을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Tg가 0℃ 미만인 단작용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는 함유되어 있지 않아도 되지만(함유량이 0중량%), 함유되어 있는 경우의 함유량은, 아크릴 성분 중, 0중량%보다 많고 5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0중량%보다 많고 45중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단작용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의 함유량이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는 우레테인과의 상용성, 방사선 등의 광경화 시의 중합성이나, 얻어지는 고분자량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종류, 조합, 사용량 등이 적절히 결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와 함께, 아세트산 바이닐, 프로피온산 바이닐, 스타이렌, 아크릴아마이드, 메타크릴아마이드, 말레산의 모노 또는 다이에스터, 및 그의 유도체, N-메틸올 아크릴아마이드,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N,N-다이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N,N-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아마이드,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N-다이메틸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에틸아크릴아마이드, 이미드 아크릴레이트, N-바이닐피롤리돈, 올리고 에스터 아크릴레이트, ε-카프로락톤 아크릴레이트, 다이사이클로펜탄일 (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사이클로펜텐일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화 사이클로도데카트라이엔 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등의 모노머를 공중합해도 된다. 한편, 이들 공중합되는 모노머의 종류나 사용량은 복합 필름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된다.
또한, 특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다작용 모노머를 첨가할 수도 있다. 다작용 모노머로서는, 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헥세인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우레테인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다작용 모노머는 아크릴계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이상 20중량부 이하 포함될 수 있다. 다작용 모노머의 함유량이 1중량부 이상이면, 복합 필름의 응집력은 충분하고, 20중량부 이하이면, 탄성률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일이 없고, 피착체 표면의 요철에 추종할 수 있다.
복합 필름을 구성하는 우레테인 폴리머는 다이올과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진다. 다이올의 수산기와 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반응에는, 일반적으로는 촉매가 이용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이뷰틸틴 다이라우레이트, 옥토산 주석과 같은 환경 부하가 생기는 촉매를 이용하지 않아도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저분자량의 다이올로서는, 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뷰틸렌 글리콜, 헥사메틸렌 글리콜 등의 2가의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고분자량의 다이올로서는,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을 부가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에터 폴리올, 또는 전술의 2가의 알코올, 1,4-뷰테인다이올, 1,6-헥세인다이올 등의 알코올과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바크산 등의 2가의 염기산의 중축합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터 폴리올이나, 아크릴 폴리올, 카보네이트 폴리올, 에폭시 폴리올, 카프로락톤 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리콜(PTMG),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다이올(PCD)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해당 아크릴 폴리올로서는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의 공중합체 외, 수산기 함유물과 아크릴계 모노머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해당 에폭시 폴리올로서는 아민 변성 에폭시 수지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합 필름을 구성하는 우레테인 폴리머는 가교 구조를 포함하지 않는다. 우레테인 폴리머의 형성에 사용되는 다이올은 선상(리니어)의 다이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우레테인 폴리머에 가교 구조를 형성시키지 않는다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한에 있어서, 다이올은 측쇄상의 다이올 또는 분기 구조를 포함하는 다이올이어도 된다. 즉,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을 구성하는 우레테인 폴리머는 가교 구조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며, 따라서 IPN 구조와는 구조적으로 완전히 상이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다이올을, 아크릴계 모노머에 대한 용해성, 아이소사이아네이트와의 반응성 등을 고려하여, 단독 또는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강도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저분자량 다이올에 의한 우레테인 하드 세그먼트량을 증가시키면 효과적이다. 신도를 중시하는 경우에는, 분자량이 큰 다이올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터 폴리올은 일반적으로 염가이고 내수성이 양호하며, 폴리에스터 폴리올은 강도가 높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용도나 목적에 따라서 폴리올의 종류나 양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또한 도포하는 기재 등의 특성, 아이소사이아네이트와의 반응성, 아크릴과의 상용성 등의 관점에서도 폴리올의 종류, 분자량이나 사용량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서는 방향족, 지방족, 지환족의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이들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이량체, 삼량체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지방족, 지환족의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TDI), 다이페닐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MDI), 자일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XDI), 나프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NDI), 페닐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PPDI), m-테트라메틸자일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TMXDI), 메틸사이클로헥세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수소화 TDI), 다이사이클로헥실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수소화 MDI), 사이클로헥세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수소화 PPDI), 비스(아이소사이아네이토메틸)사이클로헥세인(수소화 XDI), 노보넨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NBDI), 아이소포론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IPDI),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HDI), 뷰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2,4-트라이메틸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2,4,4-트라이메틸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이량체, 삼량체나, 폴리페닐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가 이용된다. 삼량체로서는,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형, 바이우렛형, 알로파네이트형 등을 들 수 있고,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특히 메틸사이클로헥세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수소화 TDI), 다이사이클로헥실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수소화 MDI), 사이클로헥세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수소화 PPDI), 비스(아이소사이아네이토메틸)사이클로헥세인(수소화 XDI), 노보넨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NBDI), 아이소포론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IPDI),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HDI), 뷰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2,4-트라이메틸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2,4,4-트라이메틸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지환족계의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벤젠환을 포함하는 방향족계의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를 사용하면, 광 반응에 의해서 공액 구조를 갖는 착색 물질이 생성되기 쉬우므로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벤젠환을 포함하지 않는, 난황변형, 무황변형의 지방족, 지환족계의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들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류는 단독 또는 병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복합 필름이 적용되는(도포 등 되는) 지지체 등의 특성, 아크릴계 모노머에 대한 용해성, 수산기와의 반응성 등의 관점에서,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종류, 조합 등을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복합 필름을 구성하는 우레테인계 폴리머가,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HDI), 수첨 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HTDI), 수첨 4,4-다이페닐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HMDI), 아이소포론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IPDI) 및 수첨 자일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HXDI)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첨 자일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복합 필름에 있어서, 우레테인 폴리머를 형성하기 위한 다이올 성분과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성분의 사용량은, NCO/OH(당량비)가 1.1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12 이상 1.6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1.15 이상 1.4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NCO/OH(당량비)가 1.1 미만이면, 우레테인 폴리머의 분자량이 지나치게 커져서, 복합 필름 전구체(시럽 용액)의 점도가 커져, 후속의 시트화 공정에서 작업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NCO/OH(당량비)가 2.0을 초과하면, 우레테인 폴리머의 분자량이 작아져, 파단 강도가 저하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복합 필름을 형성하는 아크릴 성분과 우레테인 성분의 비율은, 중량비로, 아크릴 성분/우레테인 성분이 0.25 이상 4.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4 이상 2.4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1.9 이하이다. 아크릴 성분/우레테인 성분이 0.25 미만이면, 시럽 용액의 점도가 커져, 후속의 시트화 공정에서 작업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아크릴 성분/우레테인 성분이 4.00을 초과하면, 복합 필름 중의 우레테인 폴리머량이 25% 미만이 되어, 인장의 파단 강도가 저하되어, 실용에 견디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우레테인 폴리머에 대하여, 수산기 함유 아크릴 모노머를 첨가해도 된다. 수산기 함유 아크릴 모노머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우레테인 프리폴리머의 분자 말단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도입할 수 있어,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와의 공중합성이 부여되고, 우레테인 성분과 아크릴 성분의 상용성이 높아지며, 파단 강도 등의 S-S 특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수산기 함유 아크릴 모노머로서는, 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이용된다. 수산기 함유 아크릴 모노머의 사용량은, 우레테인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이다.
도공의 점도 조정을 위해 소량의 용제를 가해도 된다. 용제로서는, 통상 사용되는 용제 중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아세트산 에틸, 톨루엔, 클로로폼, 다이메틸폼아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합 필름은, 예를 들면, 아크릴계 모노머를 희석제로 해서, 이 아크릴계 모노머 중에서 다이올과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반응을 행하여 우레테인 폴리머를 형성하고, 아크릴계 모노머와 우레테인 폴리머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혼합물을 지지체(필요에 따라서 박리 처리되어 있음) 등의 위에 도포하고, 광중합 개시제의 종류 등에 따라서, α선, β선,γ선, 중성자선, 전자선 등의 전리성 방사선이나 자외선 등의 방사선, 가시광선 등을 조사하여 경화시키고, 그 후, 지지체 등을 박리 제거하는 것에 의해, 복합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지지체 등을 박리 제거하지 않고서, 지지체 등의 위에 복합 필름이 적층된 형태로 얻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이올을 아크릴계 모노머에 용해시킨 후,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을 첨가하여 다이올과 반응시켜 점도 조정을 행하고, 이것을 지지체 등에, 또는 필요에 따라서 지지체 등의 박리 처리면에 도공한 후, 저압 수은 램프 등을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복합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아크릴계 모노머를 우레테인 합성 중에 한번에 첨가해도 되고, 몇회로 분할하여 첨가해도 된다. 또한,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를 아크릴계 모노머에 용해시킨 후, 다이올을 반응시켜도 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분자량이 한정되는 일은 없고, 고분자량의 폴리우레테인을 생성할 수도 있으므로,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우레테인의 분자량을 임의의 크기로 설계할 수 있다.
이때, 산소에 의한 중합 저해를 피하기 위해서, 기판 시트 등의 위에 도포한 혼합물 상에, 박리 처리한 시트(세퍼레이터 등)를 올려 산소를 차단해도 되고, 불활성 가스를 충전한 용기 내에 기재를 넣어, 산소 농도를 낮추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사선 등의 종류나 조사에 사용되는 램프의 종류 등은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형광 케미컬 램프, 블랙 라이트, 살균 램프 등의 저압 램프나, 메탈 할라이드 램프, 고압 수은 램프 등의 고압 램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자외선 등의 조사량은 요구되는 필름의 특성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자외선의 조사량은 100∼5,000mJ/cm2, 바람직하게는 1,000∼4,000mJ/cm2, 더 바람직하게는 2,000∼3,000mJ/cm2이다. 자외선의 조사량이 100mJ/cm2보다 적으면, 충분한 중합률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5,000mJ/cm2보다 많으면, 열화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자외선 등을 조사할 때의 온도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고 임의로 설정할 수 있지만,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중합열에 의한 정지 반응이 일어나기 쉬워져, 특성 저하의 원인이 되기 쉬우므로, 통상은 7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다.
복합 필름의 형성에 이용되는 우레테인 폴리머와 아크릴계 모노머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혼합물에는, 광중합 개시제가 포함된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 α-하이드록시 케톤계 광중합 개시제, α-아미노 케톤계 광중합 개시제, 아실포스핀 옥사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싸이오잔톤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인 에터계 광중합 개시제,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방향족 설폰일 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광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2,2-다이메톡시-1,2-다이페닐에탄-1-온(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것으로서는, 지바스페셜티케미칼즈사제의 「일가큐어 651」 등) 등을 들 수 있다.
α-하이드록시 케톤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것으로서는, 지바재팬사제의 「일가큐어 184」 등),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것으로서는, 지바재팬사제의 「다로큐어 1173」 등),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것으로서는, 지바재팬사제의 「일가큐어 2959」 등) 등을 들 수 있다.
α-아미노 케톤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2-메틸-1-[4-(메틸싸이오)페닐]-2-모폴리노프로판-1-온(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것으로서는, 지바재팬사제의 「일가큐어 907」 등), 2-벤질-2-다이메틸아미노-1-(4-모폴리노페닐)-뷰탄온-1(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것으로서는, 지바재팬사제의 「일가큐어 369」 등) 등을 들 수 있다.
아실포스핀 옥사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2,4,6-트라이메틸벤조일 다이페닐포스핀 옥사이드(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것으로서는, BASF사제의 「루시린 TPO」 등)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인 에터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인 메틸 에터, 벤조인 에틸 에터, 벤조인 프로필 에터, 벤조인 아이소프로필 에터, 벤조인 아이소뷰틸 에터, 2,2-다이메톡시-1,2-다이페닐에탄-1-온, 아니솔 메틸 에터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2,2-다이에톡시아세토페논, 2,2-다이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 4-페녹시다이클로로아세토페논, 4-(t-뷰틸)다이클로로아세토페논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설폰일 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2-나프탈렌 설폰일 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고, 광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1-페닐-1,1-프로페인다이온-2-(o-에톡시카보닐)-옥심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인 등을 들 수 있고,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질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 벤조일벤조산, 3,3'-다이메틸-4-메톡시벤조페논, 폴리바이닐벤조페논, α-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싸이오잔톤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싸이오잔톤, 2-클로로싸이오잔톤, 2-메틸싸이오잔톤, 2,4-다이메틸싸이오잔톤, 아이소프로필싸이오잔톤, 2,4-다이아이소프로필싸이오잔톤, 도데실싸이오잔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재는 기재층과 표면 보호층을 갖는 적층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표면 보호층은 점착 시트의 최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표면 보호층은 불소계 수지, 우레테인계 폴리머, 아크릴계 수지 등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유효 성분으로 한다는 것은, 그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형성 후의 표면 보호층에 있어서 해당 수지 성분이 50중량%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말하고, 바람직하게는 55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 차지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 성분이라고 표시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한다.
표면 보호층에 이용되는 불소계 수지로서는, 플루오로에틸렌 바이닐 에터 교대 공중합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하기 식(I)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에틸렌 바이닐 에터 교대 공중합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I)]
Figure pct00001
상기 식(I) 중, X는 불소, 염소 또는 브로민을 나타내고, Ra는 수소 또는 C1∼C1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b는 C1∼C16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c는 C1∼C16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m 및 n은 각각 정수이며, 플루오로에틸렌 바이닐 에터 교대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2,000,000이 되는 범위에서 선택된다.
플루오로에틸렌 바이닐 에터 교대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2,000,000, 바람직하게는 5,000∼1,000,000, 더 바람직하게는 10,000∼500,000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I) 중의 m 및 n은 플루오로에틸렌 바이닐 에터 교대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2,000,000이 되는 범위에서 선택된다.
플루오로에틸렌 바이닐 에터 교대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GPC법의 측정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즉, 플루오로에틸렌 바이닐 에터 교대 공중합체를 THF 용액을 이용하여 2.0g/L가 되도록 조정한 후, 12시간 정치한다. 그 후, 이 용액을 0.45μm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고, 분석 장치로서 도소(주)제의 「HLC-8120GPC」를 이용하여, 하기 측정 조건 하, 여과액에 대해서 GPC 측정을 행한다.
측정 조건:
컬럼 TSKgel GMH-H(S)×2
컬럼 사이즈 7.8mmI.D.×300mm
용리액 THF
유량 0.5mL/min
검출기 RI
컬럼 온도 40℃
주입량 100μL
표면 보호층의 형성에 이용되는 우레테인계 폴리머로서는, 수계 우레테인 폴리머 또는 용제계 우레테인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우레테인 폴리머는 가공 등을 위해서 액상화할 필요가 있는데, 톨루엔 등의 유기 용제를 이용하여 액상화된 우레테인을 용제계 우레테인 폴리머라고 말하고, 우레테인 폴리머의 대부분은 유기 용제계이다. 한편, 수계 우레테인 폴리머란 유기 용제 대신에 물을 사용하여 액상화된 우레테인이고, 수계 우레테인 폴리머는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서 액상으로 할 수 있으므로, 환경 친화적인 재료라고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수계 우레테인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카보네이트계의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계의 폴리머, 에스터계의 폴리머, 에터계의 폴리머, 에스터/아크릴계의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보네이트계의 수계 우레테인 폴리머로서는, 다이이치공업제약주식회사제의 상품명 「F-8082D」(100% 모듈러스 24N/mm2), 상품명 「슈퍼플렉스 420」(100 모듈러스 17N/mm2), 상품명 「F-2954D」(100% 모듈러스 5N/mm2), 상품명 「F-2954D-5」(100% 모듈러스 12N/mm2), 상품명 「슈퍼플렉스 470」(100% 모듈러스 2.5N/mm2), 상품명 「슈퍼플렉스 460」(100% 모듈러스 0.9N/mm2), 「F-2968D」(100% 모듈러스 1.5N/mm2) 등을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것으로서 들 수 있고, 에스터계의 수계 우레테인 폴리머로서는, 주식회사 ADEKA제의 상품명 「HUX 232」(100% 모듈러스 25N/mm2), 상품명 「HUX-380」(100 모듈러스 8.4N/mm2), 상품명 「HUX-210」(100% 모듈러스 2.1N/mm2) 등을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것으로서 들 수 있고, 폴리카보네이트계의 수계 우레테인 폴리머로서는, 주식회사 ADEKA제의 상품명 「HUX-561」(100% 모듈러스 5N/mm2), 상품명 「HUX-564」 등을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것으로서 들 수 있고, 에터계의 수계 우레테인 폴리머로서는, 주식회사 ADEKA제의 상품명 「HUX-350」(100% 모듈러스 25N/mm2), 상품명 「HUX-550」(100% 모듈러스 27N/mm2(10%)) 등을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것으로서 들 수 있으며, 에스터/아크릴계의 수계 우레테인 폴리머로서는, 주식회사 ADEKA제의 상품명 「HUX 401」(100% 모듈러스 19N/mm2) 등을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 보호층이 아크릴계 수지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경우에는, 해당 아크릴계 수지는 수산기값 20∼120(KOHmg/g)인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해당 표면 보호층은 수산기값 20∼120(KOHmg/g)인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와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가교체를 함유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수산기값은 20∼100(KOHmg/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80(KOHmg/g)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30∼70(KOHmg/g)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40∼60(KOHmg/g)이다. 수산기값이 20∼120(KOHmg/g)인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표면 보호층의 가교 밀도를 높여, 기재에 용제가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수산기값이 20(KOHmg/g) 미만인 경우에는 내용제성의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수산기값이 120(KOHmg/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용제성은 우수하지만 가요성이 부족해지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로서는, 수산기값이 20∼120(KOHmg/g)인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는,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는 아크릴계 수지로서는, 헐스 하이브리드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헐스 하이브리드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반응형의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HALS: Hinderd Amine Light Stabilizer)와 반응형의 UVA(자외선 흡수제)를 공중합한 아크릴계 폴리머이다. 헐스 하이브리드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표면 보호층에 장기 내후성을 부여할 수 있다.
내후성 향상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UVA(자외선 흡수제)를 비롯하여, 각종 내후성 향상제를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산화 방지제, 과산화물 분해제, ?처(quencher)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와 자외선 흡수제의 효과는 크며, 따라서 이들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범용 플라스틱 제품의 베이스 수지인 올레핀, 우레테인, 폴리에스터 등의 수지의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광안정제 및/또는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는 필수이고, 이들은 극히 유효하게 작용한다. 그러나, 광안정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는 성형 가공 시에 고온에서 휘산(揮散)되거나, 장기간의 폭로로, 접촉하는 액체(물, 세제 등)로 용출되거나 하므로, 그 효과의 저하는 면할 수 없다. 게다가, 코팅막의 형태의 경우에는, 코팅막의 두께가 수μm∼수십μm의 두께밖에 안되므로, 이행하기 쉬운 첨가형의 광안정제나 첨가형의 자외선 흡수제에서는 단시간에 용출되어, 효과의 지속성이 뒤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광안정제나 자외선 흡수제의 휘산이나 용출을 막고, 더욱이 이들 첨가제의 기능을 유효하게 끌어내기 위해서는, 반응형의 광안정제나 반응형의 자외선 흡수제를 바인더인 폴리머와 잘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재를 구성하는 표면 보호층은, 상기 표면 보호층의 형성 수지(불소계 수지, 우레테인계 폴리머, 아크릴계 수지)에 가교제를 첨가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희석 용매 등도 첨가하여 도포액을 조정하고, 이것을 기재층 등에 도포하는 것에 의해 표면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표면 보호층을 임시 지지체 상에 형성하여 필름상으로 하고 나서, 기재층에 중첩시키는 것에 의해 기재를 형성해도 되고,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기재 및 표면 보호층의 적층체를 형성해도 된다. 즉,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및 가교제 등을 함유하는 도포액을 기재층의 적어도 편면에 도포하고, 열경화시켜 삼차원 가교 구조의 가교체로 해서 표면 보호층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층의 형성에 이용되는 가교제로서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수첨 자일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아이소포론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수첨 다이페닐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에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4-테트라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트라이메틸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노보넨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듀라네이트 AE700(아사히카세이케미칼즈(주)제) 등의 2작용 아이소사이아네이트, 데스모듀르 N3200(스미카바이에르우레탄(주)제), 코로네이트 L(닛폰폴리우레탄(주)제), 코로네이트 HL(닛폰폴리우레탄(주)제), 코로네이트 HX(닛폰폴리우레탄(주)제), 타케네이트 D-140N(미쓰이가가쿠폴리우레탄(주)제), 타케네이트 D-127(미쓰이가가쿠폴리우레탄(주)제), 타케네이트 D-110N(미쓰이가가쿠폴리우레탄(주)제), 듀라네이트 TSE-100(아사히카세이케미칼즈(주)제), 듀라네이트 E402(아사히카세이케미칼즈(주)제), 듀라네이트 E405(아사히카세이케미칼즈(주)제), 스미듀르 N3300(스미카바이에르우레탄(주)제) 등의 3작용 아이소사이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무황변형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를 적합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또한, 지방족계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나 옥사졸린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포크로스 WS-700((주)닛폰쇼쿠바이제) 등을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것으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 보호층은 추가로 촉매를 함유할 수 있다. 이용되는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다이뷰틸주석 다이라우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도쿄파인케미칼주식회사제의 상품명 「OL1」을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용매를 사용하여 표면 보호층용 도포액을 형성할 수 있다. 이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톨루엔, 메틸 에틸 케톤, 헥세인, 자일렌, 아세트산 에틸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재가, 기재층의 적어도 한쪽 면에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인 경우에는, 기재층과 표면 보호층 사이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재층 표면에 각종 방전 처리, 앵커 코팅 처리 등을 실시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 보호층의 두께는 2∼5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40μm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8∼30μm이다. 표면 보호층의 두께가 2μm 미만이면, 핀홀 등, 표면 보호층이 형성되지 않는 결함 부위가 발생하기 쉽고, 또한 표면 보호층의 특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50μm를 초과하면, 표면 보호층의 물성이 기재층의 물성을 저하시켜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각 층에는, 즉, 예를 들면 기재층, 표면 보호층, 점착제층 등에는, 필요에 따라서, 통상 사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면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노화 방지제, 충전제, 안료, 착색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광안정제, 레벨링제, 증점제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그 종류에 따라서 통상의 양으로 이용된다.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자외선 흡수제는 기재층 또는 표면 보호층에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UVA)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트라이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로서, 2-(2-하이드록시-5-tert-뷰틸페닐)-2H-벤조트라이아졸(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TINUVIN PS」), 벤젠프로판산과 3-(2H-벤조트라이아졸-2-일)-5-(1,1-다이메틸에틸)-4-하이드록시(C7∼C9의 측쇄 및 직쇄 알킬)의 에스터 화합물(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TINUVIN 384-2」), 옥틸-3-[3-tert-뷰틸-4-하이드록시-5-(5-클로로-2H-벤조트라이아졸-2-일)페닐]프로피오네이트와 2-에틸헥실-3-[3-tert-뷰틸-4-하이드록시-5-(5-클로로-2H-벤조트라이아졸-2-일)페닐]프로피오네이트의 혼합물(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TINUVIN 109」), 2-(2H-벤조트라이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페놀(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TINUVIN 900」), 2-(2H-벤조트라이아졸-2-일)-6-(1-메틸-1-페닐에틸)-4-(1,1,3,3-테트라메틸뷰틸)페놀(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TINUVIN 928」), 메틸-3-(3-(2H-벤조트라이아졸-2-일)-5-ter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폴리에틸렌 글리콜 300의 반응 생성물(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TINUVIN 1130」), 2-(2H-벤조트라이아졸-2-일)-p-크레졸(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TINUVIN P」), 2-[5-클로로(2H)-벤조트라이아졸-2-일]-4-메틸-6-(tert-뷰틸)페놀(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TINUVIN 326」), 2-(2H-벤조트라이아졸-2-일)-4,6-다이-tert-펜틸페놀(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TINUVIN 328」), 2-(2H-벤조트라이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뷰틸)페놀(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TINUVIN 329」),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라이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뷰틸)페놀](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TINUVIN 360」), 메틸-3-(3-(2H-벤조트라이아졸-2-일)-5-ter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와 폴리에틸렌 글리콜 300의 반응 생성물(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TINUVIN 213」), 2-(2H-벤조트라이아졸-2-일)-6-도데실-4-메틸페놀(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TINUVIN 571」), 2-[2-하이드록시-3-(3,4,5,6-테트라하이드로프탈이미드-메틸)-5-메틸페닐]벤조트라이아졸(예를 들면 스미토모가가쿠사제의 「Sumisorb 250」), 2,2'-메틸렌비스[6-(벤조트라이아졸-2-일)-4-tert-옥틸페놀](예를 들면 ADEKA제의 「ADKSTAB LA31」)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분산형 벤조트라이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주)ADEKA제의 「UC-606」 등을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또한, 하이드록시페닐트라이아진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2-(4,6-비스(2,4-다이메틸페닐)-1,3,5-트라이아진-2-일)-5-하이드록시페닐과 [(C10∼C16, 주로 C12∼C13의 알킬 옥시)메틸]옥시레인의 반응 생성물(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TINUVIN 400」), 2-(2,4-다이하이드록시페닐)-4,6-비스-(2,4-다이메틸페닐)-1,3,5-트라이아진과 (2-에틸헥실)-글리시드산 에스터의 반응 생성물(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TINUVIN 405」), 2,4-비스[2-하이드록시-4-뷰톡시페닐]-6-(2,4-다이뷰톡시페닐)-1,3,5-트라이아진(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TINUVIN 460」), 2-(4,6-다이페닐-1,3,5-트라이아진-2-일)-5-[(헥실)옥시]-페놀(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TINUVIN 1577」), 2-(2-하이드록시-4-[1-옥틸옥시카보닐에톡시]페닐)-4,6-비스(4-페닐페닐)-1,3,5-트라이아진(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TINUVIN 479」)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로서, 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CHIMASSORB 81」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2,4-다이-tert-뷰틸페닐-3,5-다이-tert-뷰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TINUVIN 120」)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자외선 흡수제를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병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가 기재층에 첨가되는 경우, 자외선 흡수제의 총 사용량은, 기재층 100중량%에 대하여 0.1중량% 이상 4.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중량% 이상 2.0중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0.1중량% 이상이면, 열화나 착색을 야기하는 자외광의 흡수가 충분하고, 4.0중량% 이하이면, 자외선 흡수제 자체에 의한 착색을 야기하는 경우는 없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안정제로서는,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HALS), 수분산형 광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석신산 다이메틸과 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딘 에탄올의 중합물(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TINUVIN 622」), 석신산 다이메틸과 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딘 에탄올의 중합물과 N,N',N'',N'''-테트라키스-(4,6-비스-(뷰틸-(N-메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트라이아진-2-일)-4,7-다이아자데케인-1,10-다이아민의 1 대 1의 반응 생성물(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TINUVIN 119」), 다이뷰틸아민·1,3-트라이아진·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6-헥사메틸렌다이아민과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뷰틸아민의 중축합물(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TINUVIN 2020」), 폴리[{6-(1,1,3,3-테트라메틸뷰틸)아미노-1,3,5-트라이아진-2,4-다이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TINUVIN 944」),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와 메틸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의 혼합물(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TINUVIN 765」),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TINUVIN 770」), 데케인이산 비스(2,2,6,6-테트라메틸-1-(옥틸옥시)-4-피페리딘일)에스터(1,1-다이메틸에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와 옥테인의 반응 생성물(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TINUVIN 123」),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3,5-비스(1,1-다이메틸에틸)-4-하이드록시페닐]메틸]뷰틸 말로네이트(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TINUVIN 144」), 사이클로헥세인과 과산화 N-뷰틸-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아민-2,4,6-트라이클로로-1,3,5-트라이아진의 반응 생성물과 2-아미노에탄올의 반응 생성물(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의 「TINUVIN 152」),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와 메틸-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의 혼합물(예를 들면 지바재팬사제 「TINUVIN 292」)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분산형 광안정제로서는, (주)ADEKA제의 「UC-606」 등을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것으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재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재층에 다른 필름을 적층할 수 있다. 다른 필름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터계 수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이미드(PI), 폴리에터 에터 케톤(PEEK), 폴리염화바이닐(PVC), 폴리염화 바이닐리덴계 수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폴리우레테인계 수지, 폴리스타이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불소계 수지, 셀룰로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 외, 열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기재가 기재층과 표면 보호층을 갖는 구성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기재의 최표면층으로서 표면 보호층이 배치되어 있고, 기재의 다른 쪽 면 상에, 즉 기재층 상에 점착제층을 갖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아크릴계, 고무계, 실리콘계 등, 일반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저온에서의 접착성이나 고온에서의 유지성, 비용면 등을 고려하면 아크릴계의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점착제로서는, 아크릴산 에스터를 주체로 하는 모노머 성분에, 카복실기나 하이드록실기 등의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 성분을 공중합한 아크릴계 공중합체(2종류 이상이어도 됨)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아크릴산 에스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n-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sec-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운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타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나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이코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1-아다만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에 하기 모노머 성분을 공중합할 수 있다.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크로톤산, 푸마르산, 카복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카복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모노머;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 3-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4-하이드록시뷰틸, (메트)아크릴산 6-하이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산 8-하이드록시옥틸, (메트)아크릴산 10-하이드록시데실, (메트)아크릴산 12-하이드록시라우릴,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틸 아크릴레이트 등의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글리시딜기 함유 모노머; 아크릴로나이트릴, 메타아크릴로나이트릴 등의 사이아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N,N-다이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N-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메틸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에틸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아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아마이드, (메트)아크릴로일 모폴린, N-바이닐-2-피페리돈, N-바이닐-3-모폴리논, N-바이닐-2-카프로락탐, N-바이닐-2-피롤리돈, N-바이닐-1,3-옥사진-2-온, N-바이닐-3,5-모폴린다이온, 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N-아크릴로일피롤리딘, t-뷰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함질소 모노머, 스타이렌이나 스타이렌의 유도체, 아세트산 바이닐 등의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모노머를 필요에 따라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메트)아크릴산 에스터에 공중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점착제는 아크릴산 2-에틸헥실 및 아크릴산 아이소노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점착제는 아크릴산 2-에틸헥실, 아크릴산 아이소노닐 등을 주모노머로 하고,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의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공중합한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고 임의로 설정할 수 있지만, 통상은 20μ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30μ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0μm 이상이다. 단, 상한치는 통상 100μ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제층은, 예를 들면, 기재층에 용제계, 에멀션계의 점착제를 직접 도포하고, 건조하는 방법, 이들 점착제를 박리지에 도포하여 미리 점착제층을 형성해 두고, 이 점착제층을 기재층 등에 첩합하는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를 기재층에 도포하고, 점착제층과 필름의 양쪽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기재층과 점착제층을 동시에 경화시켜 형성하는 방법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용도에 따라서는, 피착체에 첩착되었을 때에 눈에 띄지 않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피착체에 점착 시트를 첩착하더라도, 마치 점착 시트가 붙어 있지 않은 것 같은 외관을 나타낼 수 있는 점착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은 외관 특성은 글로스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용도의 경우에는, 기재의 글로스값이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5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8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글로스값이 70 미만이면, 피착체에 점착 시트를 첩착했을 때에, 첩착된 점착 시트가 눈에 띄어, 시인되기 쉽고, 점착 시트를 첩부한 것이 인식되기 쉽다.
단, 이 글로스값은 마이크로 글로스계를 이용하여 측정되는데,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해서 측정된다. 즉, 기재의 한쪽 면에 두께 50μm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한 점착 시트를, 강판에 산 에폭시 가교형 아크릴계 도료를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도막에, 시공액을 이용해서 첩부한 후, 마이크로 글로스계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피착체의 도장면의 색 등을 그대로 외관에 반영시키기 위해서는 투명할 것이 요구되지만, 안료 등을 사용하여 도장면의 색과 동일한 색으로 착색하거나, 다른 색으로 착색하거나 해서, 도장 대체 점착 시트로서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점착 시트의 첩부 작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면 첩부 위치 결정 등을 위해서, 어플리케이션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표면 미끄럼성이 우수하므로, 첩부 시에 스퀴지 등에 의한 흠집이나 주름이 발생하기 어려워, 양호한 외관이 요구되는 보호용 점착 시트로서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내오염성이 우수하므로, 흙때 등이 심한 부위나 손때 등에 의해 더러워지기 쉬운 부위 등에 대한 보호용 점착 시트로서도 적합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곡면에 대한 추종성도 우수한 점착 시트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점착 시트는 삼차원 곡면이 심한 피착물에 대해서도 우수한 첩부 작업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대면적의 피착체(피착물), 심한 삼차원 곡면을 갖는 피착물의 보호용 점착 시트로서 적합하다. 수송 기계, 예를 들면, 자동 이륜, 자전거, 철도 차량, 선박, 스노모빌, 곤돌라, 리프트, 에스컬레이터, 자동차, 항공기 등, 특히 자동차, 항공기, 자동 이륜 등의 도장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용의 점착 시트, 휴대 전화의 도광 필름, 전극 기판의 봉지 재료, 에스컬레이터의 난간의 장식용 필름, 투명 유리와 조합하여 이용하는 투명 필름 등의 용도에 적합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기술 상식상 문제가 없는 범위 내에서, 부는 중량부를 의미하고, %는 중량%를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된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을 하기에 나타낸다. 하기 내오염성의 평가에 있어서, 표준 시험판으로서 사용한 아크릴 소부 백색 도판(닛폰테스트패널(주)제)은 L*값이 95.68∼98.56, a*값이 -1.26∼-1.01, b*값이 0.16∼1.52의 값을 나타내는 것을 이용했다.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
(1) 유연성의 평가(5% 신장 시 하중의 측정)
기재의 한쪽 표면에 두께 50μm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점착 테이프를 제작했다. 이 점착 테이프를 폭 10mm×길이 160mm로 절단하고, 인장 속도 200mm/min, 척간 거리 100mm, 23℃에서 인장 시험을 실시하여, 응력-변형 곡선을 구했다. 점착 시트의 5% 신장 시에 있어서의 하중을 구했다.
(2) 응력 완화성의 평가(응력 완화율의 측정)
기재의 한쪽 표면에 두께 50μm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이 점착 시트를 폭 10mm×길이 160mm로 절단하고, 인장 속도 200mm/min, 척간 거리 100mm, 23℃에서, 척간 거리가 110mm가 될 때까지 계속 잡아당겨 10% 늘린 상태에서 정지했다. 그 정지로부터 600초 경과한 후의 부하(잔류 응력)를 측정하고, 하기 산출식을 이용하여 응력 완화율을 구했다.
응력 완화율(%) = {(10% 신장 시 하중-10% 신장의 600초 경과 후의 하중)/10% 신장 시 하중}×100
(3) 정마찰계수의 측정
기재를 폭 80mm×길이 100mm의 사이즈로 절단하고, 이 기재를 지지체에 첩부하고, 이 지지체를 양면 점착 테이프 등으로 표준 시험판(JIS G3141: 닛폰테스트패널주식회사제) 상에 첩착하고, 기재 상에 미끄럼편을 올려, JIS K7125에 준하여 최표면층(ex. 표면 보호층)의 정마찰계수를 측정했다. 한편, 미끄럼편의 접촉 면적은 63mm×63mm, 미끄럼편의 전체 질량을 200g(1.96N)으로 하고, 미끄럼편의 기재 표면과의 접촉면에는 스퀴지 크로스를 첩부하여, 미끄럼 속도 100mm/min의 조건에서 미끄럼편을 잡아당겨 측정을 행했다. 정마찰계수는 JIS K7125에 준하는 하기 산출식을 이용하여 구했다. 한편, 기재의 기재층면에 두께 50μm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점착 시트로서 지지체에 첩부해도 된다.
μ = Fs/Fp
(μ: 정마찰계수, Fs: 정마찰력(N), Fp: 미끄럼편의 질량에 의해서 생기는 법선력(=9.8N/kg×0.2kg))
도 1의 (a) 및 (b)는 정마찰계수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료(1)(ex. 기재, 점착 시트)의 측정면이 위를 향하도록, 시료(1)를 상대재(2)(ex. 표준 시험판) 상에 양면 점착 테이프 등을 개재해서 점착하여 고정하고, 시료(1)의 측정면 상에 미끄럼편(접촉 면적 63mm×63mm)을 배치하고, 미끄럼편을 시험 속도 100mm/min으로 잡아당긴다. 법선력은 미끄럼편에 의해서 생기게 되므로, 균일한 압력 분포를 가하기 위해서, 미끄럼편의 저면을 탄력성이 있는 재료(펠트 등)로 덮는다. 한편, 시료(1)는 직접 상대재(1)에 고정해도 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체 등의 보조판에 부착하여 고정해도 된다.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또한 미끄럼편은 스프링을 통하여 로드 셀에 접속해도 된다.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힘은 직선적으로 증가해서 마찰을 부여하고, 최대 하중에 도달한다. 이 피크가 정마찰력(Fs)을 나타낸다. 정마찰계수는 상기 산출식(μ = Fs/Fp)으로부터 구해진다.
(4) 내오염성의 평가
기재의 기재층면에 두께 50μm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이 점착 시트를 아크릴 소부 백색 도판(닛폰테스트패널(주)제, 표준 시험판)에 롤러를 이용하여 첩부한 후, 다각도 분광 측색계(MA68II, 엑스라이트(주)제)를 이용하여, 초기의 L*값(수광 각도 15도, 25도, 45도, 75도, 110도의 평균값)을 측정했다.
그 후, 점착 시트 상에 오염수(JIS Z-8901-84 8종 더스트(dust)/물/카본 블랙/옐로우 오커(ocher) = 1.3/98/0.5/0.2의 질량비로 혼합한 것)를 도포한 후, 50℃에서 10분간 건조시키고, 이 공정을 8사이클 실시한 후, 수세하면서 래그(rag)로 일정한 힘으로 오염수 도포막을 세정했다. 이 점착 시트에 대하여, 다각도 분광 측색계(MA68II, 엑스라이트(주)제)를 이용하여, 시험 후의 L*값(수광 각도 15도, 25도, 45도, 75도, 110도의 평균값)을 측정했다. 다음 식에 의해 ΔL*값을 산출하고, 그 수치로부터 내오염성의 평가를 행했다.
ΔL*값 = 시험 후의 L*값-시험 전의 L*값
(5) 글로스값의 측정(외관 특성의 평가)
기재의 기재층면에 두께 50μm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이 점착 시트를, 강판에 산 에폭시 가교형 아크릴계 도료(간사이페인트주식회사제, 상품명 「KINO1210TW」)를 도장하여 이루어지는 도막에, 상품명 「FILM-ON」(CP Films inc.사제)을 0.4중량부와 물을 99.6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용액을 시공액으로 하고, 스퀴지를 이용하여 첩부한 후, 마이크로 트라이 글로스계(BYK가드너사제)를 이용하여 글로스값(측정 각도 20도)을 측정했다.
이하와 같이 해서, 기재에 있어서의 표면 보호층(B층)용의 수지 조성물(b1∼b4)을 조정했다.
(제조예 1: 수지 조성물 b1의 조정)
아크릴계 수지의 아세트산 에틸에 의한 43% 농도 용액((주)닛폰쇼쿠바이제, 상품명 「헐스 하이브리드 UV-G301」,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수산기값 45(KOHmg/g))을 100부,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가교제(아사히카세이케미칼즈(주)제, 상품명 「듀라네이트 TSE-100」)를 28.07부, 희석 용매로서 아세트산 에틸을 108.8부 첨가하여, 표면 보호층용의 수지 조성물 b1을 조정했다.
(제조예 2: 수지 조성물 b2의 조정)
아크릴계 수지의 아세트산 뷰틸에 의한 70% 농도 용액(Nuplex Resins GmbH제, 상품명 「SETALUX D A 870BA」,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수산기값 99(KOHmg/g))을 100부,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가교제(스미카바이에르우레탄(주)제, 상품명 「스미듀르 N3300」)를 34.00부, 희석 용매로서 아세트산 에틸과 자일렌의 혼합 용제(아세트산 에틸/자일렌 = 1/1wt%)를 51.31부 첨가하여, 표면 보호층용의 수지 조성물 b2를 조정했다.
(제조예 3: 수지 조성물 b3의 조정)
플루오로에틸렌/바이닐 에터 교대 공중합체의 자일렌 및 톨루엔에 의한 50% 농도 용액(아사히가라스(주)제, 상품명 「루미플론 LF600」)을 100부,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가교제(닛폰폴리우레탄(주)제, 상품명 「코로네이트 HX」)를 9.51부, 희석 용매로서 아세트산 에틸을 76.46부를 첨가하여, 표면 보호층용의 수지 조성물 b3을 조정했다.
(제조예 4: 수지 조성물 b4의 조정)
수계 우레테인 수지(다이이치공업제약(주)제, 카보네이트계 폴리우레테인 에멀션, 상품명 「F-2954D-5」)를 74.72부, 수계 우레테인 수지(다이이치공업제약(주)제, 카보네이트계 폴리우레테인 에멀션, 상품명 「슈퍼플렉스 460」)를 25.28부, 옥사졸린계 가교제((주)닛폰쇼쿠바이제, 상품명 「에포크로스 WS-700」)를 6.17부, 레벨링제로서 폴리에터계 변성 실록세인(빅케미재팬(주)제, 상품명 「BUK-349」)을 0.10부와 퍼플루오로 알켄일 옥시 벤젠 설폰산 나트륨((주)네오스제, 상품명 「프터젠트 100」(10% 희석 용매))을 1.00부, 증점제로서 「레올레이트 216」(엘리멘티스재팬(주)제을 1.00부, 수분산형 광안정제로서 「UC-606」((주)ADEKA제)을 0.80부, 및 수분산형 벤조트라이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로서 「UC-3140」((주)ADEKA제)을 0.20부의 비율로 혼합했다. 이어서, 디스퍼를 이용하여 회전 속도 2,000rpm으로 10분간 교반한 후, 탈포 장치(2,000rpm, 10min)를 이용하여 탈포해서, 표면 보호층의 수지 조성물 b4를 조정했다.
(실시예 1)
기재층(A층)으로서, 두께 240μm, 쇼어 경도 95A의 무황변 카프로락톤 에스터계 열가소성 폴리우레테인 필름(a1)을 사용했다. 이 필름(a1) 상에, 수지 조성물 b1을 경화 후의 두께가 10μm가 되도록 도포하고, 온도 120℃에서 2분간, 건조 및 경화시켜 기재층(A층) 상에 표면 보호층(B층)을 형성하여, 기재를 제작했다.
얻어진 기재에 대하여, 5% 신장 시 하중의 측정, 응력 완화율의 측정, 정마찰계수의 측정, 방오성의 평가 및 글로스값의 측정을 행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했다.
(실시예 2)
표면 보호층(B층)의 형성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 b1 대신에 수지 조성물 b2를 사용하고, 온도 120℃에서 3분간, 건조 및 경화시켜 표면 보호층(B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기재를 제작했다.
얻어진 기재에 대하여, 5% 신장 시 하중의 측정, 응력 완화율의 측정, 정마찰계수의 측정, 방오성의 평가 및 글로스값의 측정을 행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했다.
(실시예 3)
표면 보호층(B층)의 형성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 b2 대신에 수지 조성물 b3을 사용하여 표면 보호층(B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해서, 기재를 제작했다.
얻어진 기재에 대하여, 5% 신장 시 하중의 측정, 응력 완화율의 측정, 정마찰계수의 측정, 방오성의 평가 및 글로스값의 측정을 행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했다.
(실시예 4)
표면 보호층(B층)의 형성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 b1 대신에 수지 조성물 b4를 사용하여 표면 보호층(B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기재를 제작했다.
얻어진 기재에 대하여, 5% 신장 시 하중의 측정, 응력 완화율의 측정, 정마찰계수의 측정, 방오성의 평가 및 글로스값의 측정을 행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했다.
(실시예 5)
기재층(A층)으로서, 두께 140μm, 쇼어 경도 85A의 무황변 아디페이트 에스터계 열가소성 폴리우레테인(a2)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기재층 상에 표면 보호층을 갖는 기재를 제작했다.
얻어진 기재에 대하여, 5% 신장 시 하중의 측정, 응력 완화율의 측정, 정마찰계수의 측정, 방오성의 평가 및 글로스값의 측정을 행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했다.
(실시예 6)
기재층(A층)으로서, 두께 40μm, 쇼어 경도 95A의 무황변 카프로락톤 에스터계 열가소성 폴리우레테인(a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기재층 상에 표면 보호층을 갖는 기재를 제작했다.
얻어진 기재에 대하여, 5% 신장 시 하중의 측정, 응력 완화율의 측정, 정마찰계수의 측정, 방오성의 평가 및 글로스값의 측정을 행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했다.
(실시예 7)
기재층(A층)으로서, 두께 90μm, 쇼어 경도 85A의 무황변 카프로락톤 에스터계 열가소성 폴리우레테인(a4)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기재층 상에 표면 보호층을 갖는 기재를 제작했다.
얻어진 기재에 대하여, 5% 신장 시 하중의 측정, 응력 완화율의 측정, 정마찰계수의 측정, 방오성의 평가 및 글로스값의 측정을 행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했다.
(비교예 1∼4)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보호층을 설치하지 않고서 기재를 제작했다. 즉, 기재로서, 기재층 a1, 기재층 a2, 기재층 a3 및 기재층 a4를 비교예 1∼4의 각각의 기재로 했다.
얻어진 기재에 대하여, 5% 신장 시 하중의 측정, 응력 완화율의 측정, 정마찰계수의 측정, 방오성의 평가 및 글로스값의 측정의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했다.
Figure pct00002
표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7의 기재는 5% 신장 시 하중이 15N/cm 이하이고, 응력 완화율이 40% 이상이고, 정마찰계수가 0.05 이상 1.50 이하이며, 또한 내오염성(ΔL*값)이 0.01∼8.00의 범위 내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7의 기재를 이용하여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점착제층의 제작≫
모노머 성분으로서, 아이소노닐 아크릴레이트 90부 및 아크릴산 10부를 혼합한 혼합물에, 광중합 개시제로서, 상품명 「일가큐어 651」(지바스페셜티케미칼즈사제) 0.05부와 상품명 「일가큐어 184」(지바스페셜티케미칼즈사제) 0.05부를 배합한 후, 점도가 약 25Pa·s(BH 점도계 No. 5 로터, 10rpm, 측정 온도 30℃)가 될 때까지 자외선을 조사하여, 일부가 중합된 아크릴 조성물(UV 시럽)을 제작했다.
얻어진 UV 시럽의 100부에 대하여, 아이소노닐 아크릴레이트를 0.20부,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트라이아크릴레이트를 0.20부, 힌더드 페놀형 산화 방지제(지바스페셜티케미칼즈사제의 상품명 「일가녹스 1010」)를 1부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작했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임시 지지체 2로서 두께 50μm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박리 처리면에, 최종 제품으로서의 두께가 50μm가 되도록 도포했다.
이 위에, 세퍼레이터로서 박리 처리한 PET 필름을 겹쳐서 피복하고, 이어서 PET 필름면에 메탈 할라이드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도 290mW/cm2, 광량 4,600mJ/cm2)을 조사해 경화시켜, 임시 지지체 2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그 후, 140℃에서 3분간 건조시켜서, 미반응 잔존 아크릴계 모노머를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제작했다.
≪점착 시트의 제작≫
세퍼레이터를 제거하고, 얻어진 기재의 표면 보호층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즉 기재층면)에 점착제층이 겹치도록 첩합하여 점착 시트(임시 지지체 1/표면 보호층/기재층/점착제층/임시 지지체 2의 층 구성)를 제작했다.
실시예 1∼7의 기재를 이용하여 얻어진 각 점착 시트는, 모두 곡면 추종성이 우수하여 삼차원 곡면을 가진 부위에 있어서도 양호하게 추종할 수 있고, 첩부한 후에 반발하거나 뜨거나 하지 않고 깔끔하게 첩부할 수 있으며, 또한 양호한 표면 미끄럼성 및 우수한 내오염성도 실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 의해, 유연성, 응력 완화율, 표면 미끄럼성 및 내오염성 모두가 우수한 점착 시트를 실현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표면 미끄럼성 및 내오염성이 요구되는 보호용 점착 시트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더욱이 곡면 등에 대한 유연성도 요구되는 점착 시트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심한 삼차원 곡면을 갖는 피착체(피착물)에 대해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옥외의 기후, 용제, 먼지, 유지 및 해양 환경 등을 포함하는 유해 환경에 노출되는 도막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점착 시트 또는 장식용의 점착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바디 등의 도막을 보호하기 위한 칩핑 테이프, 바디 프로텍션 필름용의 점착 시트나 점착 시트로서도 적합하다.
1: 시료
2: 상대재

Claims (11)

  1. 적어도 기재와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로서, 상기 기재의 정마찰계수가 0.05 이상 1.50 이하이고, 또한 해당 기재의 ΔL*값의 절대값이 0.01 이상 45.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5% 신장 시의 하중이 1N/cm 이상 15N/c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를 10%까지 신장시키고, 그 상태로 신장을 정지하고 나서 600초 경과 후의 응력 완화율이 40% 이상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당 기재가 표면 보호층 및 기재층을 갖고, 해당 표면 보호층은 상기 점착 시트의 최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측정 각도 20도에 있어서의 글로스값이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이 적어도 우레테인계 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을 구성하는 상기 우레테인계 폴리머가 에스터계 열가소성 폴리우레테인 또는 에터계 열가소성 폴리우레테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쇼어 경도가 80A 이상 65D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9.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보호층이 아크릴계 수지, 불소계 수지 또는 우레테인계 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수산기값 20∼120(KOHmg/g)인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가 피착체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시트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KR1020167005420A 2013-08-05 2014-06-23 점착 시트 KR102351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61981 2013-08-05
JP2013161981 2013-08-05
PCT/JP2014/066571 WO2015019726A1 (ja) 2013-08-05 2014-06-23 粘着シート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252A true KR20160040252A (ko) 2016-04-12
KR102351753B1 KR102351753B1 (ko) 2022-01-14
KR102351753B9 KR102351753B9 (ko) 2023-09-19

Family

ID=52461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5420A KR102351753B1 (ko) 2013-08-05 2014-06-23 점착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92533B2 (ko)
EP (1) EP3031874B1 (ko)
JP (1) JP6340257B2 (ko)
KR (1) KR102351753B1 (ko)
CN (1) CN105452409B (ko)
WO (1) WO20150197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37054B (zh) * 2013-10-18 2020-11-20 日东电工株式会社 粘合片
WO2016152631A1 (ja) * 2015-03-26 2016-09-2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塗膜保護フィルム
JP5989291B1 (ja) * 2015-03-26 2016-09-0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塗膜保護フィルム
JP6748444B2 (ja) * 2016-02-23 2020-09-02 株式会社きもと 保護フィルム
CN107674602B (zh) * 2016-08-02 2020-07-10 滕超 一种可拉伸移除的胶粘带及其制备方法
JP6700542B2 (ja) * 2016-09-30 2020-05-27 Jnc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KR102343573B1 (ko) * 2017-05-26 2021-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8221542A1 (ja) * 2017-05-31 2018-12-06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6853738B2 (ja) * 2017-06-13 2021-03-31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多層フィルム
WO2019044019A1 (ja) 2017-08-31 2019-03-07 ハリマ化成株式会社 多層膜及び二液硬化型コーティング剤
JP6886417B2 (ja) * 2018-03-14 2021-06-16 鬼怒川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リングフィルム材
WO2019180132A1 (de) * 2018-03-22 2019-09-26 Orafol Europ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chutzfolie
CN108690516B (zh) * 2018-05-30 2021-06-22 广东艺都科技有限公司 一种曲面元件的保护膜及其制备方法
WO2020032012A1 (ja) * 2018-08-10 2020-02-13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KR20210099004A (ko) * 2018-12-05 2021-08-11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표면보호필름
JP6868083B1 (ja) 2019-12-06 2021-05-12 日本マタイ株式会社 多層フィルム
JP6767596B1 (ja) 2020-03-27 2020-10-14 日本マタイ株式会社 多層フィルム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1376A (ja) 1982-08-30 1984-03-07 Daihatsu Motor Co Ltd 粘着性フイルムまたはシ−ト状物の貼着方法
JP2004291308A (ja) * 2003-03-26 2004-10-21 Nitto Denko Corp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及び粘着テープ
JP2005272558A (ja) * 2004-03-24 2005-10-06 Lintec Corp 粘着シート
KR20080012319A (ko) * 2005-04-29 2008-02-1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다층 폴리우레탄 보호 필름
WO2009139446A1 (ja) * 2008-05-14 2009-11-19 日東電工株式会社 塗膜保護用粘着シート
JP2011105858A (ja) * 2009-11-18 2011-06-02 Nitto Denko Corp 粘着シート
JP2012046723A (ja) * 2010-07-30 2012-03-08 Nitto Denko Corp アプリケーションテープ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4169A (en) * 1972-02-18 1975-07-08 Rockwell International Corp Acoustical damping structure and method of preparation
US5468532A (en) * 1992-12-10 1995-11-2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ultilayer graphic article with color layer
US5965256A (en) * 1997-10-14 1999-10-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otective films and coatings
US20030026932A1 (en) * 2001-07-30 2003-02-06 Johnson John R. Multilayer laminate
US7935375B2 (en) * 2002-08-02 2011-05-03 Basf Corporation Process and coating composition for extending the shelf life of post harvest produce
US20060177654A1 (en) * 2003-03-17 2006-08-10 Satoru Shoshi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for protecting surfac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US20050186415A1 (en) * 2003-11-21 2005-08-25 Mccormick Chris E. Protective laminate for windshields
JP4508635B2 (ja) * 2003-12-26 2010-07-2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4592535B2 (ja) * 2005-02-23 2010-12-01 日東電工株式会社 多層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の多層シートを用いた粘着シート
JP4900897B2 (ja) 2005-09-05 2012-03-2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類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70077420A1 (en) * 2005-10-05 2007-04-05 Worthen Industries Polyether aliphatic urethane film for protection of exposed surfaces
US20090009577A1 (en) * 2007-03-16 2009-01-08 Asutosh Nigam Recording media for cut sheet printer formats with at least two permanent layers and at least one transienct layer wherein the media can record metallic or semi-metallic images on an ink receptive surface and can be adhered to textile articles of comerce by an adhesive layer or applied adhesive
JP4448897B2 (ja) 2007-10-19 2010-04-1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フォトマスク保護用粘着テープ
EP2287264A4 (en) * 2008-05-14 2013-09-04 Nitto Denko Corp ADHESIVE SHEET FOR THE PROTECTION OF A COATING FILM
JP2011121359A (ja) * 2009-11-12 2011-06-23 Nitto Denko Corp 多層シート
JP2012062454A (ja) 2010-09-20 2012-03-29 Nitto Denko Corp 粘着シート
JP5791945B2 (ja) * 2011-04-15 2015-10-0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2014145034A (ja) * 2013-01-29 2014-08-14 Nitto Denko Corp 多層粘着シート
WO2014119426A1 (ja) 2013-01-29 2014-08-07 日東電工株式会社 多層粘着シート
CN105637054B (zh) * 2013-10-18 2020-11-20 日东电工株式会社 粘合片
US20150183544A1 (en) * 2013-12-30 2015-07-02 Avery Dennison Corporation Label Appl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1376A (ja) 1982-08-30 1984-03-07 Daihatsu Motor Co Ltd 粘着性フイルムまたはシ−ト状物の貼着方法
JP2004291308A (ja) * 2003-03-26 2004-10-21 Nitto Denko Corp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及び粘着テープ
JP2005272558A (ja) * 2004-03-24 2005-10-06 Lintec Corp 粘着シート
KR20080012319A (ko) * 2005-04-29 2008-02-1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다층 폴리우레탄 보호 필름
WO2009139446A1 (ja) * 2008-05-14 2009-11-19 日東電工株式会社 塗膜保護用粘着シート
JP2011105858A (ja) * 2009-11-18 2011-06-02 Nitto Denko Corp 粘着シート
JP2012046723A (ja) * 2010-07-30 2012-03-08 Nitto Denko Corp アプリケーションテー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753B9 (ko) 2023-09-19
CN105452409B (zh) 2020-11-20
JP2015052100A (ja) 2015-03-19
CN105452409A (zh) 2016-03-30
US10392533B2 (en) 2019-08-27
EP3031874A1 (en) 2016-06-15
WO2015019726A1 (ja) 2015-02-12
KR102351753B1 (ko) 2022-01-14
EP3031874A4 (en) 2017-04-12
EP3031874B1 (en) 2019-12-25
US20160168425A1 (en) 2016-06-16
JP6340257B2 (ja) 2018-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1753B1 (ko) 점착 시트
JP5374227B2 (ja) 塗膜保護用粘着シート
KR102351756B1 (ko) 점착 시트
JP7055227B2 (ja) 多層粘着シート
US20120028040A1 (en) Application tape and protect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equipped with application tape
US20120070659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JP2014145034A (ja) 多層粘着シート
US20130243605A1 (en) Protecting film for blade of wind power generator
JP2011121359A (ja) 多層シート
WO2014054542A1 (ja) コート層組成物
JP6302676B2 (ja) 多層粘着シート
JP4573630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積層フィルム及び粘着フィルム
JP2015007192A (ja) コート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