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879A -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879A
KR20130004879A KR1020120070586A KR20120070586A KR20130004879A KR 20130004879 A KR20130004879 A KR 20130004879A KR 1020120070586 A KR1020120070586 A KR 1020120070586A KR 20120070586 A KR20120070586 A KR 20120070586A KR 20130004879 A KR20130004879 A KR 20130004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on
projection unit
unit
projector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0083B1 (ko
Inventor
료 니시마
노리히사 야마모토
코우이치 가와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제이브이씨 켄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제이브이씨 켄우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제이브이씨 켄우드
Publication of KR20130004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4Cooling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6Cooling; Preventing overhe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프로젝터(10)에 있어서, 투사 유닛(12)은, 화상을 투사하는 투사 기구(22)와, 투사 기구(22)에 포함되는 광원(54)이 발하는 열의 방열에 이용하는 공기를 취입 또는 배출하는 통기공(32a)을 갖는다. 케이스체(14)는, 투사 유닛(12)이 화상의 투사를 행하지 않는 수납 위치에 있을 때는 통기공을 차폐하고, 투사 유닛(12)이 화상의 투사를 행하는 투사 위치에 있을 때는 통기공의 차폐를 해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동 기구(24)는, 투사 유닛(12) 또는 차폐 부재를 이동시킨다. 전자 제어부(70)는, 소정의 투사 준비 요구를 취득했을 때는 화상의 투사를 행하는 투사 위치까지 투사 유닛(12)을 이동시키고, 소정의 수납 요구를 취득했을 때는 화상의 투사를 행하지 않는 수납 위치까지 투사 유닛(12)을 이동시키도록 구동 기구(24)를 제어한다.

Description

프로젝터{PROJECTOR}
본 발명은,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화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는, 소망하는 피(被)투사면에 화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로 투사 방향을 향하는 것이 요구된다. 여기에서, 비(非)투사 상태가 선택되었을 때는, 화상을 투사하기 위한 개구부가 지지 부재에 의해 차폐되도록 투사 기구를 포함하는 케이스체를 회전시키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공개특허공보 2011-107282호) 참조).
최근, 프로젝터는 비즈니스의 용도뿐만 아니라 영화의 투사 등 가정용의 용도로도 급격히 확대되고 있으며, 투사 화상의 화질의 요구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그 한편, 이러한 프로젝터의 광원은 많은 열을 발하는 점에서, 그 방열을 위해 통기공을 통한 외부로부터의 공기의 취입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외부의 공기에는 분진 등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것이 투사 기구의 렌즈나 거울에 부착되면, 투사 화상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1-107282호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통기공으로부터 프로젝터 내부로의 분진의 침입을 억제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프로젝터는, 화상을 투사하는 투사 기구와, 투사 기구의 방열에 이용하는 공기를 취입 또는 배출하는 통기공을 갖는 투사 유닛과, 투사 유닛을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와, 소정의 투사 준비 요구를 취득했을 때는, 화상의 투사가 가능한 투사 위치까지 투사 유닛을 이동시키고, 소정의 투사 회피 요구를 취득했을 때는, 화상의 투사를 회피해야 할 투사 회피 위치까지 투사 유닛을 이동시키도록 구동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투사 유닛이 투사 회피 위치에 있을 때는 통기공을 차폐하고, 투사 유닛이 투사 위치에 있을 때는 통기공의 차폐를 해제하도록 형성된 차폐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기공으로부터 프로젝터 내부로의 분진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a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측면 투과도이다.
도 2a는 투사 유닛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투사 유닛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측면 투과도이다.
도 3a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측면 투과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P-P 단면도이다.
도 4는 연직 상방으로 화상을 투사할 때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측면 투과도이다.
도 5a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측면 투과도이다.
도 6a는 수납 위치에 있을 때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수납 위치에 있을 때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측면 투과도이다.
도 7a는 팬을 부착했을 때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필터를 추가로 부착했을 때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9a는 전방(前方)으로부터 본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후방으로부터 본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9c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측면 투과도이다.
도 10a는 투사 유닛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10b는 투사 유닛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측면 투과도이다.
도 11a는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11b는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측면 투과도이다.
도 12는 연직 상방으로 화상을 투사할 때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측면 투과도이다.
도 13은 투사 유닛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측면 투과도이다.
도 14a는 전방으로부터 본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14b는 후방으로부터 본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15a는 투사 위치에 있는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상면 투과도이다.
도 15b는 수납 위치에 있는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상면 투과도이다.
도 16a는 커버가 투사 위치에 있는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16b는 커버가 투사 위치에 있는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상면 투시도이다.
도 17a는 커버가 수납 위치에 있는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17b는 커버가 수납 위치에 있는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상면 투시도이다.
도 18은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투사 유닛이 투사 위치에 있을 때의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상면 투시도이다.
도 20은 투사 유닛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의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상면 투시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도 1a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0)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0)의 측면 투과도이다. 프로젝터(10)는, 투사 유닛(12) 및 케이스체(14)를 갖는다. 투사 유닛(12)은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심축이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케이스체(14)에 지지된다. 이때 케이스체(14)는, 투사 유닛(1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케이스체(14)는 투사 유닛(12)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 기능한다.
투사 유닛(12)은, 섀시(20), 투사 기구(22) 및, 구동 기구(24)를 갖는다. 섀시(20)는, 원통 형상 부분(30) 및 2개의 측벽(32)을 갖는다. 측벽(32)은, 원통 형상 부분(30)의 양단의 개구를 각각이 덮도록 형성된다. 도 1b는, 투사 유닛(12)의 내부가 보이도록 측벽(32)이 원통 형상 부분(30)으로부터 벗어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원통 형상 부분(30)을 대신하여, 다른 형상의 통 형상 부분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단면 형상이 정육각형이나 정팔각형 등의 정다각형이 되는 통 형상 부분이라도 좋다.
섀시(20)는, 투사 기구(22)를 수용한다. 투사 기구(22)는, 섀시(20)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원통 형상 부분(30)에는 개구부(30a)가 형성되어 있으며, 투사 기구(22)는, 이 개구부(30a)를 통하여 화상을 외부에 투사한다.
개구부(30a)는, 섀시(20) 내부로의 이물질의 침입을 저지하기 위한 투명 커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덮여 있다. 투명 커버는, 섀시(20)가 그리는 원보다도 돌출되면 섀시(20)의 회전이 방해되기 때문에, 섀시(20)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개구부(30a)보다도 원통 형상 부분(30)의 내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투명 커버는, 와이드 컨버전 렌즈 등의 렌즈 기능을 포함해도 좋다.
구동 기구(24)는, 모터(40), 전달 기구(42) 및, 샤프트(44)를 갖는다. 2개의 측벽(32)의 각각의 중심에는 삽입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관통공에 샤프트(44)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관통된다. 이렇게 하여 케이스체(14)는, 투사 유닛(1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원통 형상 부분(30)은, 그 중심축이 투사 유닛(12)의 회전축이 된다. 샤프트(44)의 양단부는 케이스체(14)에 고정된다. 모터(4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모터 베이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섀시(20)에 고정된다. 모터(40)는, 기어를 포함하는 전달 기구(42)를 통하여 샤프트(44)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한다. 샤프트(44)는 케이스체(14)에 고정되어 있어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40)가 작동함으로써 섀시(20)가 샤프트(44)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모터(40)는, 섀시(20)를 케이스체(14)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로서 기능한다.
섀시(20)는, 투사 기구(22)뿐만 아니라 구동 기구(24)도 수용한다. 이와 같이 구동 기구(24)를 섀시(20)가 수용함으로써, 투사 유닛(12)의 외부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어, 디자인성이 높은 프로젝터(10)를 제공할 수 있다.
투사 기구(22)는, 광학 유닛(52) 및 광원(54)을 갖는다. 광학 유닛(52)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한다. 광원(54)은, 반도체 발광 소자인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한다. 또한, 광원(54)에, 수은 방전등 등의 방전등이나, 필라멘트를 이용한 백열등이 채용되어도 좋다.
광원(54)은, 점등함으로써 열을 발하고, 수명의 단축화를 회피하기 위해, 방열이 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섀시(20)에는, 추가로 방열 기구(60)가 형성되어 있다. 방열 기구(60)는, 덕트(62) 및 히트 싱크(64)를 갖는다. 덕트(62)는, 단면이 직사각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측벽(32)에는, 덕트(62)의 단면과 대략 동일 형상의 직사각형의 통기공(32a)이 형성되어 있다. 통기공(32a)은, 투사 기구(22)의 광원(54)의 방열에 이용하는 공기를 취입 또는 배출한다. 덕트(62)는, 그 양단의 덕트 개구부가 통기공(32a)과 겹치도록 섀시(20)의 내부에 배치된다. 덕트(62)에는, 팬(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 있어, 광원(54)이 점등할 때는 이 팬이 작동하여 한쪽의 통기공(32a)으로부터 공기를 취입하고, 덕트(62)의 내부를 통하여 다른 한쪽의 통기공(32a)으로부터 배출한다. 따라서, 덕트(62) 내부가 공기 통과 영역이 된다. 또한, 2개의 통기공(32a)의 한쪽이 흡기공이 되고, 한쪽이 배기공이 된다.
히트 싱크(64)는, 플레이트부(64a)의 한쪽의 면으로부터 다수의 방열 핀(64b)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히트 싱크(64)는, 알루미늄 등 열 전달성이 높은 방열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방열 부재로서 기능한다.
히트 싱크(64)는, 광원(54)의 방열에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플레이트부(64a) 중 방열 핀(64b)이 형성되는 면과 반대의 면에 광원(54)이 부착된다. 이렇게 하여, 광원(54)이 발하는 열을 히트 싱크(64)의 플레이트부(64a)가 회수하고, 회수한 열을 방열 핀(64b)으로부터 방산시킨다.
덕트(62)에는, 히트 싱크(64)를 삽입하기 위한 부착공(62a)이 형성되어 있다. 히트 싱크(64)는, 방열 핀(64b)을 선두로 이 부착공(62a)에 삽입된다. 부착공(62a)의 형상은 플레이트부(64a)의 외형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으며, 부착공(62a)에 플레이트부(64a)가 삽입되어, 히트 싱크(64)가 덕트(62)에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히트 싱크(64)는, 광원(54)과, 통기공(32a)으로부터 취입되거나 또는 배출되는 공기와 쌍방에서 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히트 싱크(64)의 플레이트부(64a)는, 투사 기구(22)가 형성된 섀시(20)의 내부 영역으로의 공기의 유입을 억제하도록, 내부 영역과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 통과 영역을 나눈다. 이와 같이 공기 통과 영역과 섀시(20)의 내부 영역을 나눔으로써, 통기공(32a)으로부터 섀시(20)의 내부 영역으로의 분진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분진에 의한 광학 유닛(52) 등으로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덕트(62)와 히트 싱크(64)와의 사이 및, 덕트(62)와 통기공(32a)과의 사이는, 극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극간의 발생을 회피하기 위해, 이들 사이에 우레탄의 스폰지나 고무 등의 시일재가 배치되어도 좋다.
프로젝터(10)에는, 전자 제어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제어부(70)는 케이스체(14)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지만, 투사 유닛(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전자 제어부(70)는, 각종의 연산을 실행하는 CPU, 각종의 제어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ROM 및, 데이터 격납이나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워크 에어리어로서 이용되는 RAM을 갖는다. 전자 제어부(70)는, 구동 제어부로서 기능하여, 구동 기구(24)에 의한 섀시(20)의 회전을 제어한다. 또한, 전자 제어부(70)는, 화상 제어부로서도 기능하여, 외부로 투사해야 할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투사 기구(22)는, 공간 변조 소자(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전자 제어부(70)는, 예를 들면 DVD(Digital Versatile Disc)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에, 공간 변조 소자에 투영하기 위한 화상 처리를 시행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공간 변조 소자는, 생성된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한다. 이렇게 하여 표시된 화상의 투사광이 투사 기구(22)로부터 개구부(30a)를 통하여 외부에 투사된다. 개구부(30a)로부터 투사된 화상은, 프로젝터(10)의 외부에 형성된 스크린(도시하지 않음) 상에 결상된다. 전자 제어부(70)는, 광원(54)의 점등, 소등 및, 광원(54)이 발하는 빛의 휘도도 제어한다.
도 1a 및 도 1b는, 투사 유닛(12)이 수평 투사 위치에 있을 때의 프로젝터(10)를 나타내고 있다. 투사 유닛(12)의 수평 투사 위치는, 투사 기구(22)에 의한 화상의 수평 방향으로의 투사가 가능한 투사 위치이다. 투사 유닛(12)이 수평 투사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투사 유닛(12)은, 광축(X)이 수평이고 그리고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투사 유닛(12)이 수평 투사 위치에 있을 때, 개구부(30a)는 케이스체(14)의 상단(14a)보다도 상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케이스체(14)는, 투사 유닛(12)이 수평 투사 위치에 있을 때에 개구부(30a)의 차폐를 해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통기공(32a)도 또한 케이스체(14)의 상단(14a)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케이스체(14)는, 투사 유닛(12)이 수평 투사 위치에 있을 때는 통기공(32a)의 차폐도 또한 해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a는, 투사 유닛(12)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0)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투사 유닛(12)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0)의 측면 투과도이다. 수납 위치는, 투사 기구(22)에 의한 화상의 투사를 회피해야 할 투사 회피 위치라고도 할 수 있다. 수납 위치에 있을 때, 투사 유닛(12)은, 광축(X)이 수평이고 그리고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투사 유닛(12)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 개구부(30a)는 케이스체(14)의 상단(14a)보다도 하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케이스체(14)는, 투사 유닛(12)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개구부(30a)를 차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통기공(32a)도 또한 케이스체(14)의 상단(14a)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케이스체(14)는, 투사 유닛(12)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는 통기공(32a)도 차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체(14)는, 차폐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케이스체(14)는, 투사 유닛(12)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는 2개의 통기공(32a)의 한쪽을 차폐하고, 투사 유닛(12)이 수평 투사 위치에 있을 때는 당해 한쪽의 통기공(32a)의 차폐를 해제해도 좋다. 이때, 다른 한쪽의 통기공(32a)은, 항상 차폐되지 않고 외부와 연통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개구부(30a) 또는 통기공(32a)을 차폐하는 부재는, 케이스체(14)와 별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투사 유닛(12)이 수납 위치에 배치되어 개구부(30a)가 차폐됨으로써, 개구부(30a)에 형성된 투명 커버가 외기(outdoor air)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프로젝터(10)를 이용하지 않는 사이, 개구부(30a)에 형성된 투명 커버에 이물질이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30a)를 통하여 섀시(20)의 내부 영역으로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통기공(32a)이 차폐됨으로써, 통기공(32a)을 통하여 섀시(20)의 내부 영역으로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프로젝터(10)에는 컨트롤러 패널(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컨트롤러 패널에, S/E(Start/End) 버튼(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 있다. 프로젝터(10)의 전원이 오프일 때에 S/E 버튼이 눌린 경우, 전자 제어부(70)를 포함하는 각 부에 전력이 공급되고, 전자 제어부(70)는, 투사 기구(22)에 의한 화상의 투사가 가능한 투사 준비 상태로 하는 것을 요구하는 투사 준비 요구를 취득한다. 투사 준비 요구를 취득한 경우, 전자 제어부(70)는, 수평 투사 위치까지 섀시(20)를 회전시키도록 구동 기구(24)를 제어한다.
프로젝터(10)의 전원이 온일 때에 S/E 버튼이 눌린 경우, 전자 제어부(70)는, 프로젝터(10)의 전원을 오프로 하여 투사 기구(22)에 의한 화상의 투사를 회피해야 할 투사 회피 상태로 하는 것을 요구하는 투사 회피 요구를 취득한다. 투사 회피 요구를 취득한 경우, 전자 제어부(70)는, 수납 위치까지 섀시(20)를 회전시키도록 구동 기구(24)를 제어한다. 또한, 프로젝터(10)와는 별체의 리모컨에 S/E 버튼이 형성되어도 좋다. 전자 제어부(70)는, 리모컨으로의 조작 입력을 무선으로 취득 가능하게 형성되어도 좋다.
구동 기구(24)는, 섀시(20)를 예를 들면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좋다. 이 경우, 전자 제어부(70)는, 소정의 투사 준비 요구를 취득했을 때는, 화상의 투사가 가능한 투사 위치까지 섀시(2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전자 제어부(70)는, 소정의 투사 회피 요구를 취득했을 때는, 화상의 투사를 회피해야 할 투사 회피 위치까지 섀시(2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 기구(24)를 제어한다.
(제2 실시 형태)
도 3a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00)의 측면 투과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P-P 단면도이다. 이하,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개소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프로젝터(100)는, 측벽(32)을 대신하여 측벽(106)이 형성되고, 방열 기구(60)를 대신하여 방열 기구(102)가 형성된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측벽(106)은, 통기공(32a)을 대신하여, 통기공(32a)과 위치가 상이한 통기공(106a)이 형성된 이외는, 측벽(32)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통기공(106a)은, 통기공(32a)보다도 개구부(30a)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방열 기구(102)는, 히트 싱크(64) 및 덕트(104)를 갖는다. 덕트(104)는, 히트 싱크 부착부(104a), 접속부(104b) 및, 덕트 개구부(104c)를 갖는다. 히트 싱크 부착부(104a)에는, 제1 실시 형태의 부착공(62a)과 동일한 부착공(104d)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착공(104d)에 히트 싱크(64)가 부착된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히트 싱크(64)는, 광원(54)과, 통기공(106a)으로부터 취입되거나 또는 배출되는 공기와 쌍방에서 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히트 싱크(64)의 플레이트부(64a)는, 섀시(20)의 내부 영역으로의 공기의 유입을 억제하도록, 내부 영역과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 통과 영역을 나눈다. 또한, 방열 기구(102)에 팬(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팬이 광원(54)의 점등시에 작동하는 점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접속부(104b)는, 덕트 개구부(104c)가 히트 싱크(64)보다도 개구부(30a) 가까이에 위치하도록, 접속부(104b)의 단부와 덕트 개구부(104c)를 접속한다. 이렇게 하여, 덕트(104)는 투사 기구(22)를 둘러싸도록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통기공(106a)은, 덕트(104)의 덕트 개구부(104c)와 겹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통기공(106a)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통기공(32a)보다도 개구부(30a)의 가까이에 배치된다.
컨트롤러 패널에는, 화상을 대략 수평으로 투사하는 수평 투사 위치와 화상을 연직 상방으로 투사하는 연직 투사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지시를 발하는 전환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다. 유저는 이 전환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화상의 투사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투사 유닛(12)이 수평 투사 위치에 있을 때의 프로젝터(100)를 나타내고 있다. 투사 유닛(12)이 수평 투사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투사 유닛(12)은, 광축(X)이 수평이고 그리고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투사 유닛(12)이 수평 투사 위치에 있을 때, 개구부(30a)는 케이스체(14)의 상단(14a)보다도 상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케이스체(14)는, 투사 유닛(12)이 수평 투사 위치에 있을 때에 개구부(30a)의 차폐를 해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통기공(106a)도 또한 케이스체(14)의 상단(14a)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케이스체(14)는, 투사 유닛(12)이 수평 투사 위치에 있을 때는 통기공(106a)의 차폐도 또한 해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자 제어부(70)는, 투사 유닛(12)을 수납 위치에 이동시키는 경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광축(X)이 수평이고 그리고 후방을 향하도록 투사 유닛(12)을 회전시킨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투사 유닛(12)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 개구부(30a)는 케이스체(14)의 상단(14a)보다도 하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케이스체(14)는, 투사 유닛(12)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개구부(30a)를 차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통기공(32a)도 또한 케이스체(14)의 상단(14a)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케이스체(14)는, 투사 유닛(12)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는 통기공(106a)도 차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연직 상방으로 화상을 투사할 때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00)의 측면 투과도이다. 투사 유닛(12)이 수평 투사 위치에 있을 때에 전환 스위치가 눌린 경우, 전자 제어부(70)는, 투사 유닛(12)을 연직 투사 위치까지 회전시키도록 구동 기구(24)를 제어한다.
투사 유닛(12)이 연직 투사 위치에 있을 때, 개구부(30a)는 케이스체(14)의 상단(14a)보다도 상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케이스체(14)는, 투사 유닛(12)이 연직 투사 위치에 있을 때에 개구부(30a)를 해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통기공(106a)도 또한 케이스체(14)의 상단(14a)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케이스체(14)는, 투사 유닛(12)이 연직 투사 위치에 있을 때는 통기공(106a)의 차폐도 또한 해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통기공(106a)을 개구부(30a)의 가까이에 배치함으로써, 개구부(30a)의 차폐가 해제되어 있을 때는, 마찬가지로 통기공(106a)의 차폐도 해제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통기공(106a)에 의한 공기의 취입 및 배출을 가능하게 한 채로 투사 유닛(12)을 보다 많이 각도 회전시킬 수 있어, 광축(X)이 향하는 방향을 폭넓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전환 스위치에 의해 광축(X)이 향하는 방향은 연직 상방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 제어부(70)는, 투사 유닛(12)이 수평 투사 위치에 있을 때에 전환 스위치가 눌린 경우, 수평 투사 위치보다도 광축(X)이 수평 방향에 대하여 큰 각도 상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사 위치까지 투사 유닛(12)을 회전시켜도 좋다.
(제3 실시 형태)
도 5a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50)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50)의 측면 투과도이다. 이하, 전술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개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프로젝터(150)는, 투사 유닛(152) 및 케이스체(154)를 갖는다. 투사 유닛(152)은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심축이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케이스체(154)에 지지된다. 이때 케이스체(154)는, 투사 유닛(15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케이스체(154)는 지지 부재로서 기능한다.
투사 유닛(152)은, 섀시(160), 투사 기구(170) 및, 구동 기구(24)를 갖는다. 섀시(160)는, 원통 형상 부분(30) 및 2개의 측벽(162)을 갖는다. 측벽(162)은, 원통 형상 부분(30)의 양단의 개구를 각각이 덮도록 형성된다. 도 5b는, 투사 유닛(12)의 내부가 보이도록 측벽(162)이 원통 형상 부분(30)으로부터 벗어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원통 형상 부분(30)을 대신하여, 다른 형상의 통 형상 부분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단면 형상이 정육각형이나 정팔각형 등의 정다각형이 되는 통 형상 부분이라도 좋다.
섀시(160)는, 투사 기구(170)를 수용한다. 투사 기구(170)는, 섀시(160)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투사 기구(170)는, 광학 유닛(172) 및 광원(54)을 갖는다. 광학 유닛(172)은, 제1 광학 유닛(174), 미러(176) 및, 제2 광학 유닛(178)을 갖는다. 제1 광학 유닛(174)은, 공간 변조 소자를 갖는다. 광원(54)에 의한 빛은, 제1 광학 유닛(174)의 공간 변조 소자를 투과하여 변조되고, 미러(176)에 의해 반사된다. 미러(176)에서 반사된 빛은, 제2 광학 유닛(178)을 통과하여 개구부(30a)로부터 투사된다. 이때, 제1 광학 유닛(174)의 광축(X1)과 제2 광학 유닛(178)의 광축(X2)이 직각이 되도록, 미러(176)이 의해 빛이 반사된다. 개구부(30a)로부터 투사된 빛은, 외부에 형성된 스크린 상에서 결상된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광학 유닛(174)의 광축(X1)과 제2 광학 유닛(178)의 광축(X2)은, 투사 유닛(152)의 회전축, 즉 샤프트(44)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이 때문에, 광원(54)은, 개구부(30a)와, 샤프트(44)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광학 유닛(172)이 구성되는 경우, 화상을 투사하기 위해 개구부(30a)가 상방에 위치하도록 투사 유닛(152)을 회전시키면, 광원(54)은 샤프트(44)보다도 하방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제1,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케이스체(154)의 상단을 대략 동일 수평면 상에 형성하면, 개구부(30a)를 케이스체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시켰을 때에, 광원(54)을 케이스체(154)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시키는 것이 곤란해지고, 광원(54)의 방열을 위한 덕트(62)의 양단의 덕트 개구부도 또한 케이스체(154)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 때문에,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스체(154)는, 2개의 연통공(154a)을 갖는다. 2개의 연통공(154a)은, 케이스체(154)의 우측면 및 좌측면의 각각에 형성된다.
도 5a는, 수평 투사 위치에 있을 때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50)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수평 투사 위치에 있을 때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50)의 측면 투과도이다. 투사 유닛(152)이 수평 투사 위치에 있을 때는, 투사 유닛(152)은, 광축(X2)이 수평이고 그리고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이때 연통공(154a)은,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기공(162a)과 중복되어 통기공(162a)과 외부를 연통시켜, 통기공(162a)의 차폐를 해제한다.
도 6a는, 수납 위치에 있을 때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50)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수납 위치에 있을 때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50)의 측면 투과도이다. 수납 위치에 있을 때, 투사 유닛(152)은, 광축(X2)이 연직 하방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통공(154a)은, 투사 유닛(152)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는 통기공(162a)과 중복되지 않으므로써 통기공(162a)을 차폐한다.
이와 같이 연통공(154a)을 형성함으로써, 개구부(30a)와 광원(54)이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는 바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투사 유닛(152)이 수평 투사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개구부(30a) 및 통기공(162a)의 쌍방의 차폐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체(154)는 원통 형상 부분(30)의 외주를 따르도록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반원부(154b)를 갖는다. 반원부(154b)는, 원통 형상 부분(30)의 양단의 각각을 따르도록 2개소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체(154)를 형성함으로써, 투사 유닛(152)과 케이스체(154)와의 외관에 있어서의 일체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연통공(154a)은, 광축(X2)이 수평보다도 상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수평 투사 위치가 변경되어도 통기공(162a)과 겹치도록, 통기공(162a)을 샤프트(44)를 중심으로 회전시킨 궤적이 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광축(X2)의 방향이 변경된 경우에 있어서도 통기공(162a)으로부터 적절히 공기를 취입 및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연통공(154a)이 원호 형상 이외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7a는, 팬(202)을 부착했을 때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50)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필터(204)를 추가로 부착했을 때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50)의 사시도이다. 전자 제어부(70)는, 팬(202)의 작동을 제어하는 팬 제어부로서도 기능한다. 팬(202)은, 덕트(62)의 양단의 덕트 개구부의 한쪽에 배치된다. 필터(204)는, 팬(202)의 외측에 부착된다. 팬(202)은, 정회전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덕트(62)의 내부에 공기를 취입하도록 회전한다. 이에 따라, 보다 많은 공기를 방열 핀(64b) 주변에 있어서 통과시킬 수 있어, 광원(54)의 열을 적절히 방산시킬 수 있다.
전자 제어부(70)는, 투사 유닛(152)이 수납 위치로부터 수평 투사 위치로 이동하여, 팬(202)이 연통공(154a)과 겹쳐 외부와 연통되었을 때에, 팬(202)의 작동을 개시한다. 또한, 전자 제어부(70)는, 투사 유닛(152)이 수평 투사 위치에 있을 때의 소정의 타이밍에서, 팬(202)을 역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필터(204)에 부착된 먼지 등을 외부에 날려 제거할 수 있다. 소정의 타이밍은, 투사 유닛(152)이 수평 투사 위치에 있을 때에 전원을 오프하기 때문에 S/E 버튼이 눌렸을 때라도 좋고, 다른 타이밍이라도 좋다.
(제4 실시 형태)
도 8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250)의 사시도이다. 이하, 전술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개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프로젝터(250)는, 케이스체(154)를 대신하여 케이스체(252)가 형성되어 있는 이외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5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케이스체(252)는, 연통공(154a)을 대신하여 연통공(252a)이 형성되고, 추가로 브러시(254)가 형성된 이외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스체(154)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케이스체(252)는, 케이스체(154)의 반원부(154b)와 동일한 반원부(252b)를 갖는다.
연통공(252a)은, 브러시(254)를 부착하기 위해 크게 형성되어 있는 점 이외는, 연통공(154a)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브러시(254)는, 투사 유닛(152)이 수평 투사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회전할 때에 필터(204)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브러시(254)를 형성함으로써, 투사 유닛(152)의 회전 동작과 함께 필터(204)의 청소 작업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투사 유닛(152)이 수평 투사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회전할 때에, 전자 제어부(70)는, 팬(202)을 역회전시켜도 좋다. 이에 따라, 브러시(254)에 의해 긁혀져 나간 먼지 등을 외부로 날려 제거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 9a는, 전방으로부터 본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300)의 사시도이고, 도 9b는, 후방으로부터 본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300)의 사시도이다. 도 9c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300)의 측면 투과도이다. 이하, 전술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개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프로젝터(300)는, 원통 형상 부분(30)을 대신하여 원통 형상 부분(304)이 형성되고, 측벽(32)을 대신하여 측벽(306)이 형성된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원통 형상 부분(304)은, 흡기공(304b), 배기공(304c), 팬(308)이 추가로 형성된 이외는, 원통 형상 부분(30)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측벽(306)은, 통기공(32a)이 덮혀진 이외는, 측벽(32)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흡기공(304b)은, 프로젝터(300)가 수평 투사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개구부(30a)와 반대측의 원통 형상 부분(304)에 배치된다. 배기공(304c)은, 원통 형상 부분(304)에 있어서 개구부(30a)와 흡기공(304b)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고, 프로젝터(300)가 수평 투사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방에 개구되도록 배치된다. 팬(308)은, 투사 유닛(12)의 내부로서, 배기공(304c)의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흡기공(304b)으로부터 취입된 공기(Y1)는, 흡기공(304b)의 가까이에 배치되는 방열 기구(60)에 있어서의 히트 싱크(64)를 통과하여, 팬(308)을 거쳐 배기공(304c)으로부터 공기(Y2)로서 배출된다.
도 9a∼9c는, 투사 유닛(12)이 수평 투사 위치에 있을 때의 프로젝터(300)를 나타내고 있다. 투사 유닛(12)이 수평 투사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투사 유닛(12)은, 광축(X)이 수평이고 그리고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투사 유닛(12)이 수평 투사 위치에 있을 때, 개구부(30a)는 케이스체(14)의 상단(14a)보다도 상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케이스체(14)는, 투사 유닛(12)이 수평 투사 위치에 있을 때에 개구부(30a)의 차폐를 해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흡기공(304b)과 배기공(304c)도 또한 케이스체(14)의 상단(14a)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케이스체(14)는, 투사 유닛(12)이 수평 투사 위치에 있을 때는 흡기공(304b)과 배기공(304c)의 차폐도 또한 해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0a는, 투사 유닛(12)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의 프로젝터(300)의 사시도이다. 도 10b는, 투사 유닛(12)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의 프로젝터(300)의 측면 투과도이다. 수납 위치에 있을 때, 투사 유닛(12)은, 광축(X)이 수평이고 그리고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전자 제어부(70)는, 투사 유닛(12)을 수납 위치에 이동시키는 경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광축(X)이 수평이고 그리고 후방을 향하도록 투사 유닛(12)을 회전시킨다.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투사 유닛(12)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 개구부(30a)는 케이스체(14)의 상단(14a)보다도 하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케이스체(14)는, 투사 유닛(12)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개구부(30a)를 차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흡기공(304b)과 배기공(304c)도 또한 케이스체(14)의 상단(14a)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케이스체(14)는, 투사 유닛(12)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는 흡기공(304b)과 배기공(304c)도 차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6 실시 형태)
도 11a는, 전방으로부터 본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350)의 사시도이고, 도 11b는,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350)의 측면 투과도이다. 이하, 전술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개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프로젝터(350)는, 케이스체(14)를 대신하여 케이스체(352)가 형성되고, 원통 형상 부분(304)을 대신하여 원통 형상 부분(354)이 형성되고, 투사 기구(22)를 대신하여 투사 기구(360)가 형성된 이외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30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케이스체(352)는, 샤프트(44)를 지지하는 측면의 형상이 오각형으로 되어 있다. 정확히,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스체(14)의 장방형의 측면에 있어서, 샤프트(44)를 정점으로 하는 오각형을 구성하도록, 케이스체(14)의 상측에 있는 전방 및 후방의 모서리부를 절취한 형상을 하고 있다. 원통 형상 부분(354)은, 흡기공(304b)을 대신하여, 개구부(30a)의 주변부에 흡기공(354b)이 형성된 이외는, 원통 형상 부분(304)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투사 기구(360)는, 광학 유닛(362), 미러(364) 및 광원(54)을 갖는다. 광학 유닛(362)은, 공간 변조 소자를 갖는다. 광원(54)에 의한 빛은, 미러(364)에 의해 반사되어, 광학 유닛(362)을 통과하여 개구부(30a)로부터 투사된다. 이때, 광원(54)의 광축(X1)과 광학 유닛(362)의 광축(X2)이 직각이 되도록, 미러(364)에 의해 빛이 반사된다. 개구부(30a)로부터 투사된 빛은, 외부에 형성된 스크린 상에서 결상된다.
흡기공(354b)은, 프로젝터(350)가 수평 투사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개구부(30a)와 동일한 전방에 배치되고, 배기공(304c)은, 상방에 개구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흡기공(354b)으로부터 취입된 공기(Y1)는, 팬(308)의 가까이에 배치되는 방열 기구(60)에 있어서의 히트 싱크(64)를 통과하여, 팬(308)을 거쳐 배기공(304c)으로부터 공기(Y2)로서 배출된다. 또한, 흡기공(354b)은, 개구부(30a)의 주변부에 개구부(30a)와 별도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개구부(30a)에 형성된 투명 커버 등과 원통 형상 부분(354)의 사이의 극간을 이용하여, 개구부(30a)와 일체가 되어 형성되어도 좋다.
도 11a 및 도 11b는, 투사 유닛(12)이 수평 투사 위치에 있을 때의 프로젝터(350)를 나타내고 있다. 투사 유닛(12)이 수평 투사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투사 유닛(12)은, 광축(X)이 수평이고 그리고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투사 유닛(12)이 수평 투사 위치에 있을 때, 개구부(30a)는 케이스체(352)의 상단(352a)보다도 상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케이스체(352)는, 투사 유닛(12)이 수평 투사 위치에 있을 때에 개구부(30a)의 차폐를 해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흡기공(354b)과 배기공(304c)도 또한 케이스체(14)의 상단(352a)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케이스체(352)는, 투사 유닛(12)이 수평 투사 위치에 있을 때는 흡기공(354b)과 배기공(304c)의 차폐도 또한 해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2는, 연직 상방으로 화상을 투사할 때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350)의 측면 투과도이다. 투사 유닛(12)이 수평 투사 위치에 있을 때에 전환 스위치가 눌린 경우, 전자 제어부(70)는, 투사 유닛(12)을 연직 투사 위치까지 회전시키도록 구동 기구(24)를 제어한다.
투사 유닛(12)이 연직 투사 위치에 있을 때, 개구부(30a)는 케이스체(352)의 상단(352a)보다도 상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케이스체(352)는, 투사 유닛(12)이 연직 투사 위치에 있을 때에 개구부(30a)의 차폐를 해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흡기공(354b)과 배기공(304c)도 또한 케이스체(352)의 상단(352a)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케이스체(352)는, 투사 유닛(12)이 연직 투사 위치에 있을 때는 흡기공(354b)과 배기공(304c)의 차폐도 또한 해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3은, 투사 유닛(12)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300)의 측면 투과도이다. 수납 위치에 있을 때, 투사 유닛(12)은, 광축(X2)이 수평 방향으로부터 약 140도 회전시킨 후방 그리고 하방을 향하여 위치한다.
전자 제어부(70)는, 투사 유닛(12)을 수납 위치에 이동시키는 경우, 광축(X2)이 수평 방향으로부터 약 140도 회전시킨 후방 그리고 하방을 향하도록 투사 유닛(12)을 회전시킨다.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투사 유닛(12)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 개구부(30a)는 케이스체(352)의 상단(352a)보다도 하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케이스체(352)는, 투사 유닛(12)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개구부(30a)를 차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흡기공(354b)과 배기공(304c)도 또한 케이스체(352)의 상단(352a)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케이스체(352)는, 투사 유닛(12)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는 흡기공(354b)과 배기공(304c)도 차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흡기공(354b)을 개구부(30a)의 주변부에 배치하고, 배기공(304c)을 개구부(30a)로부터 90도의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개구부(30a)의 차폐가 해제되어 있을 때는, 마찬가지로 흡기공(354b)과 배기공(304c)의 차폐도 해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흡기공(354b)에 의한 공기의 취입 및 배기공(304c)에 의한 공기의 배기를 가능하게 한 채로 투사 유닛(12)을 보다 많은 각도 회전시킬 수 있어, 광축(X2)이 향하는 방향을 폭넓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전환 스위치에 의해 광축(X)이 향하는 방향은 연직 상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 제어부(70)는, 투사 유닛(12)이 수평 투사 위치에 있을 때에 전환 스위치가 눌린 경우, 수평 투사 위치보다도 광축(X)이 수평 방향에 대하여 큰 각도 상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사 위치까지 투사 유닛(12)을 회전시켜도 좋다.
(제7 실시 형태)
도 14a는, 개구부(30a)를 전방으로 했을 때, 전방으로부터 본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400)의 사시도이고, 도 14b는, 후방으로부터 본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400)의 사시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400)의 상면 투과도이다. 이하, 전술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개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프로젝터(400)는, 케이스체(14)를 대신하여 케이스체(412)가 형성되고, 원통 형상 부분(304)을 대신하여 원통 형상 부분(404)이 형성되고,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30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프로젝터(400)는, 케이스체(412)의 내부에 있어서 투사 유닛(12)이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원통 형상 부분(404)은, 흡기공(304b), 배기공(304c)을 대신하여, 흡기공(404b), 배기공(404c)이 형성된 이외는, 원통 형상 부분(304)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케이스체(412)는, 정팔각기둥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정팔각형의 형상을 갖는 2개의 케이스체 저면부(414)와 8개의 장방형의 형상이 늘어선 케이스체 측면부(416)를 구비한다. 케이스체 저면부(414)의 각각의 중심에는 삽입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도시하지 않음), 이 삽입관통공에 샤프트(44)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관통된다. 이렇게 하여 케이스체(412)는, 투사 유닛(1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원통 형상 부분(404)은, 그 중심축이 투사 유닛(12)의 회전축이 된다. 케이스체 측면부(416)는, 8개의 장방형의 면 중, 3개의 면에 각각, 케이스체 개구부(416a), 케이스체 흡기공(416b) 및, 케이스체 배기공(416c)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체 개구부(416a)가 형성되는 케이스체 측면부(416)의 면을 제1 면으로 하고, 그 면으로부터 반시계 회전의 순서대로 제2∼제8 면으로 하면, 케이스체 측면부(416)의 제4 면에 케이스체 흡기공(416b)이 형성되고, 케이스체 측면부(416)의 제6 면에 케이스체 배기공(416c)이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체(412)는, 정육각기둥 등의 기타 정다각형기둥의 형상을 해도 좋고, 원통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개구부(30a), 흡기공(404b) 및, 배기공(404c)은, 프로젝터(400)가 투사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각각, 케이스체 개구부(416a), 케이스체 흡기공(416b) 및, 케이스체 배기공(416c)과 중복되어, 외부와 연통되도록 원통 형상 부분(404)에 배치된다. 팬(308)은, 투사 유닛(12)의 내부로서, 배기공(404c)의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흡기공(404b)으로부터 취입된 공기(Y1)는, 투사 유닛(12)의 내부에 배치되는 방열 기구(60)에 있어서의 히트 싱크(64)를 통과하여, 팬(308)을 거쳐 배기공(404c)으로부터 공기(Y2)로서 배출된다.
도 15a는, 투사 유닛(12)이 투사 위치에 있을 때의 프로젝터(400)를 나타낸 상면 투과도이다. 투사 유닛(12)이 투사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투사 유닛(12)은, 광축(X)이 케이스체 개구부(416a)를 통하여 외부에 투사되도록 위치한다.
도 15b는, 투사 유닛(12)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의 프로젝터(400)를 나타낸 상면 투과도이다. 수납 위치에 있을 때, 투사 유닛(12)은, 광축(X)이 투사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45도 회전한 방향이 되도록 위치한다.
전자 제어부(70)는, 투사 유닛(12)을 수납 위치에 이동시킨 경우, 광축(X)이 투사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45도 회전한 방향이 되도록 투사 유닛(12)을 회전시킨다.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 투사 유닛(12)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 개구부(30a), 흡기공(404b) 및, 배기공(404c)은, 각각, 케이스체 개구부(416a), 케이스체 흡기공(416b) 및, 케이스체 배기공(416c)과 중복되지 않게 되어, 케이스체 측면부(416)에 의해 차폐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케이스체(412)는, 투사 유닛(12)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는 개구부(30a), 흡기공(404b) 및, 배기공(404c)을 차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케이스체 저면부(414)를 아래로 하여 올려놓여지는 형상으로서 설명했지만, 케이스체 개구부(416a), 케이스체 흡기공(416b) 또는 케이스체 배기공(416c)을 갖지 않는 케이스체 측면부(416)를 아래로 하여 올려놓여져도 좋다.
(제8 실시 형태)
도 16a는,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500)의 사시도이고, 도 16b는,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500)의 상면 투시도이다. 프로젝터(500)는, 투사 유닛(502), 커버(512)를 갖는다. 투사 유닛(502)은, 대략 직방체의 형상의 섀시(503)를 갖고, 섀시(503)의 내부에 투사 기구(520), 구동 기구(524), 방열 기구(60) 및 전자 제어부(70)가 형성된다.
섀시(503)는, 상면과 하면에 대응하는 2개의 저면부(504)와, 전면과 후면을 포함하는 4개의 측면부(506)를 갖는다. 저면부(504)는,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어 프로젝터(500)의 지지 부재로서 기능한다. 측면부(506)의 전면에는, 개구부(506a)가 형성되어 있으며, 투사 기구(520)는, 이 개구부(506a)를 통하여 화상을 외부에 투사한다. 측면부(506)의 전면에 흡기공(506b)이 형성되고, 전면에 대향하는 측면부(506)의 후면에 배기공(506c)이 형성된다.
커버(512)는, 상면과 하면에 대응하는 2개의 커버 저면부(514)와, 전면과 후면에 대응하는 2개의 커버 측면부(516)를 가지며 단면이 직사각형의 통 형상을 하고 있으며, 섀시(503)의 저면부(504) 및 측면부(506)를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커버 측면부(516)의 전면에는, 커버 개구부(516a)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506a)와 중복됨으로써, 커버 개구부(516a)를 통하여 화상이 외부에 투사된다.
측면부(506)에는 돌기부(508)가 형성되어 있고, 커버(512)가 돌기부(508)에 닿는 상태에 있어서, 개구부(506a)와 커버 개구부(516a)가 중복된 위치가 된다. 또한, 커버(512)가 돌기부(508)에 닿는 상태에 있어서, 커버 저면부(514)가 흡기공(506b) 및 배기공(506c)을 차폐하지 않도록, 커버(512)의 수평 방향의 길이가 조정되어 있다.
투사 기구(520)는, 광원(54)과 광학 유닛(522)을 포함하며, 섀시(503)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광학 유닛(522)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유닛(52)과 동일하게,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며, 광원(54)의 광축(X1)과 광학 유닛(522)의 광축(X2)이 직각이 되도록 빛을 반사하는 거울을 포함한다.
구동 기구(524)는, 모터(526), 전달 기구(528), 가이드 레일(530)을 갖는다(도시하지 않음). 가이드 레일(530)은, 섀시(503)의 외측에 부착되어, 커버(512)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한다. 전달 기구(528)는, 모터(526)를 통하여 커버(512)에 수평 방향의 구동력을 부여한다. 구동 기구(524)는, 예를 들면, 스테핑 모터와 리드 스크류에 의한 기구나, 벨트 기구, 리니어 모터 기구 등이 채용된다.
방열 기구(60)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광원(54)의 방열에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흡기공(506b)으로부터 취입된 공기(Y1)는, 방열 기구(60)에 있어서의 히트 싱크(64)를 통과하여, 배기공(506c)으로부터 공기(Y2)로서 배출된다. 또한, 배기공(506c)의 근방에 팬(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히트 싱크(64)에 의해, 내부 영역과 공기 통과 영역이 나누어져 있어도 좋다.
전자 제어부(70)는, 투사 준비 요구를 취득한 경우, 커버(512)를 투사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키도록 구동 기구(524)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커버(512)가 돌기부(508)에 닿을때까지, 커버(512)를 좌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또한, 전자 제어부(70)는, 투사 회피 요구를 취득한 경우, 커버(512)를 수납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키도록 구동 기구(524)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개구부(506a)와 커버 개구부(516a)가 중복되지 않게 되어서, 개구부(506a)가 커버(512)에 의해 차폐된 위치가 될 때까지, 커버(512)를 우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도 16a 및 도 16b는, 커버(512)가 투사 위치에 있을 때의 프로젝터(500)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커버 개구부(516a)는, 개구부(506a)와 중복되는 위치가 되어, 투사 기구(520)는, 개구부(506a) 및 커버 개구부(516a)를 통하여 화상이 외부에 투사 가능해진다. 또한, 흡기공(506b) 및 배기공(506c)도, 커버(512)에 의한 차폐가 해제된다.
도 17a 및 도 17b는, 커버(512)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의 프로젝터(500)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커버 개구부(516a)는, 개구부(506a)와 중복되지 않는 위치가 되어, 개구부(506a)는 커버(512)에 의해 차폐된다. 또한, 흡기공(506b) 및 배기공(506c)도, 커버(512)에 의해 차폐된다. 이 때문에, 커버(512)는 차폐 부재로서 기능한다.
(제9 실시 형태)
도 18은,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550)의 사시도이다. 프로젝터(550)는, 대략 직방체의 형상의 케이스체(560)를 갖고, 케이스체(560)의 내부에 투사 유닛(552), 구동 기구(524) 및 전자 제어부(70)가 형성된다.
도 19 및 도 20은,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550)의 상면 투시도이다. 프로젝터(550)는, 투사 유닛(502)을 대신하여 투사 유닛(552)이 형성되고, 커버(512)를 대신하여 케이스체(560)가 형성된 이외는,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50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투사 유닛(552)은, 섀시(503) 대신에 섀시(553)가 형성되고, 투사 유닛(502)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었던 구동 기구(524) 및 전자 제어부(7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이외는, 투사 유닛(502)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또한, 구동 기구(524) 및 전자 제어부(70)는, 케이스체(56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섀시(553)는, 섀시(503)의 돌기부(508)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이외는,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섀시(503)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케이스체(560)는, 상면과 하면에 대응하는 2개의 케이스체 저면부(562)와, 전면과 후면을 포함하는 4개의 케이스체 측면부(564)를 갖는 직방체 형상을 하고 있다. 케이스체(560)의 내부에는, 섀시(553)와, 구동 기구(524)와, 전자 제어부(70)가 형성된다. 케이스체 측면부(564)의 전면에는, 케이스체 개구부(564a)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506a)와 중복됨으로써, 케이스체 개구부(564a)를 통하여 화상이 외부에 투사된다. 또한, 케이스체 측면부(564)의 전면에는, 케이스체 흡기공(564b)이 형성되어 있으며, 흡기공(506b)과 중복됨으로써, 외부로부터 공기(Y1)가 취입된다. 케이스체 측면부(564)의 후면에는, 케이스체 배기공(564c)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공(506c)과 중복됨으로써 취입된 공기가 공기(Y2)로서 배출된다.
구동 기구(524)는, 가이드 레일(530)을 대신하여 가이드 레일(570)을 갖는다. 가이드 레일(570)은, 케이스체(560)의 내부에 부착되어, 투사 유닛(552)을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한다. 전달 기구(528)는, 모터(526)를 통하여 섀시(553)에 수평 방향의 구동력을 부여한다(도시하지 않음).
전자 제어부(70)는, 투사 준비 요구를 취득한 경우, 투사 유닛(552)을 투사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키도록 구동 기구(524)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체 개구부(564a)와 개구부(506a)가 중복되는 위치가 될 때까지, 투사 유닛(552)을 좌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또한, 전자 제어부(70)는, 투사 회피 요구를 취득한 경우, 투사 유닛(552)을 수납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키도록 구동 기구(524)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체 개구부(564a)와 개구부(506a)가 중복되지 않게 되어서, 개구부(506a)가 케이스체(560)에 의해 차폐된 위치가 될 때까지, 섀시(553)를 우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도 19는, 투사 유닛(552)이 투사 위치에 있을 때의 프로젝터(550)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케이스체 개구부(564a)는, 개구부(506a)와 중복되는 위치가 되어, 투사 기구(520)는, 개구부(506a) 및 케이스체 개구부(564a)를 통하여 화상이 외부에 투사 가능해진다. 또한, 흡기공(506b) 및 배기공(506c)도, 각각 케이스체 흡기공(564b) 및 케이스체 배기공(564c)과 중복되는 위치가 됨으로써, 케이스체(560)에 의한 차폐가 해제된다.
도 20은, 투사 유닛(552)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의 프로젝터(550)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케이스체 개구부(564a)는, 개구부(506a)와 중복되지 않는 위치가 되어, 개구부(506a)는 케이스체(560)에 의해 차폐된다. 또한, 흡기공(506b) 및 배기공(506c)도, 각각 케이스체 흡기공(564b) 및 케이스체 배기공(564c)과 중복되지 않는 위치가 됨으로써, 케이스체(560)에 의해 차폐된다.
본 발명은 전술의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실시예의 각 요소를 적절히 조합한 것도,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유효하다. 또한,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각종의 설계 변경 등의 변형을 각 실시예에 대하여 더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러한 변형이 더해진 실시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부터 제7 실시예에 있어서, 투사 유닛이 투사 위치와 수납 위치를 전환하기 위한 회전 각도는, 각각의 실시예에 기재된 각도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에 의해 각각의 실시예에 기재된 목적이 얻어지는 각도라면, 그 수치는 상관없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기구에 의해 투사 유닛 또는 차폐 부재 중 어느 것을 이동시키도록 설명했지만, 구동 기구에 의해 쌍방이 이동함으로써, 동일한 목적이 얻어지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경우는, 차폐 부재는 케이스체와는 별개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Claims (7)

  1. 화상을 투사하는 투사 기구와, 상기 투사 기구의 방열에 이용하는 공기를 취입 또는 배출하는 통기공을 갖는 투사 유닛과,
    상기 투사 유닛이 화상의 투사를 행하지 않는 수납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통기공을 차폐하고, 상기 투사 유닛이 화상의 투사를 행하는 투사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통기공의 차폐를 해제하도록 형성된 차폐 부재와,
    상기 투사 유닛 또는 상기 차폐 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와,
    소정의 투사 준비 요구를 취득했을 때는, 상기 투사 위치까지 상기 투사 유닛을 이동시키고, 소정의 수납 요구를 취득했을 때는, 상기 수납 위치까지 상기 투사 유닛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 유닛은, 상기 투사 기구로부터의 화상의 투사광이 출사되는 개구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투사 유닛이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고,
    상기 투사 유닛이 상기 투사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개구부의 차폐를 해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통기공과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공을 갖고,
    상기 연통공은, 상기 투사 유닛이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통기공과 중복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통기공을 차폐하고, 상기 투사 유닛이 상기 투사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통기공과 중복되어 상기 통기공의 차폐를 해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투사 유닛을 회전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사 준비 요구를 취득했을 때는 상기 투사 위치까지 상기 투사 유닛을 회전시키고, 상기 수납 요구를 취득했을 때는 상기 수납 위치까지 상기 투사 유닛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동 기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은, 상기 투사 기구의 방열에 이용하는 공기를 취입하는 흡기공 및 배출하는 배기공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투사 유닛이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흡기공 및 상기 배기공을 차폐하고, 상기 투사 유닛이 투사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흡기공 및 상기 배기공의 차폐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공은, 상기 개구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 기구에 포함되는 광원의 방열에 이용하는 방열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방열 부재는, 상기 광원과, 상기 통기공으로부터 취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와의 쌍방에 접하도록 형성됨과 함께, 상기 투사 기구가 형성된 상기 투사 유닛의 내부 영역으로의 상기 공기의 유입을 억제하도록, 상기 내부 영역과 상기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 통과 영역을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KR1020120070586A 2011-07-04 2012-06-29 프로젝터 KR101330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48624 2011-07-04
JP2011148624 2011-07-04
JP2012085524A JP5835067B2 (ja) 2011-07-04 2012-04-04 プロジェクタ
JPJP-P-2012-085524 2012-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879A true KR20130004879A (ko) 2013-01-14
KR101330083B1 KR101330083B1 (ko) 2013-11-18

Family

ID=46516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586A KR101330083B1 (ko) 2011-07-04 2012-06-29 프로젝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28076B2 (ko)
EP (1) EP2544454B1 (ko)
JP (1) JP5835067B2 (ko)
KR (1) KR101330083B1 (ko)
CN (1) CN102902142B (ko)
TW (1) TWI50101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6037A1 (en) * 2014-09-02 2016-03-10 Cj Cgv Co., Ltd. Movable table for proje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2314A1 (ja) * 2012-05-16 2013-11-21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画像投射装置および画像投射方法
JP5958072B2 (ja) * 2012-05-18 2016-07-27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投射装置および画像補正方法
JP5958079B2 (ja) * 2012-05-22 2016-07-27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投射装置、画像補正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641458B1 (ja) * 2013-08-13 2014-12-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投射装置
JP6236980B2 (ja) * 2013-08-15 2017-11-2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投影装置用ケース
DE112015004367B4 (de) * 2014-09-26 2022-12-22 Fujifilm Corporation Projektionsanzeigevorrichtung und Wärmeabführverfahren
TWI556017B (zh) * 2014-10-16 2016-11-01 信泰光學(深圳)有限公司 微投影機
TWI591419B (zh) * 2015-05-05 2017-07-11 佳世達科技股份有限公司 投影裝置及電子裝置
JP6701732B2 (ja) * 2015-12-29 2020-05-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源装置、照明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ー
JP6618050B2 (ja) * 2016-01-07 2019-12-11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遊技機
JP6621082B2 (ja) * 2016-01-07 2019-12-18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遊技機
JP6414827B2 (ja) * 2016-02-19 2018-10-31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遊技機
DE202016004550U1 (de) * 2016-07-21 2016-08-05 Carl Zeiss Optotechnik GmbH 3D-Messgerät
CN107632484A (zh) * 2017-10-24 2018-01-26 深圳第创想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投影显示设备
JP6643438B2 (ja) * 2018-09-25 2020-02-12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遊技機
CN111290200B (zh) 2018-12-06 2021-12-07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投影装置
CN210899383U (zh) * 2019-05-29 2020-06-30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投影装置
CN112996342A (zh) * 2019-12-13 2021-06-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散热装置
TWI731598B (zh) 2020-02-26 2021-06-21 宏碁股份有限公司 投影裝置
CN113311650B (zh) * 2020-02-26 2023-04-07 宏碁股份有限公司 投影装置
JP7476643B2 (ja) 2020-04-22 2024-05-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
JP6813118B2 (ja) * 2020-05-07 2021-01-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ー
CN111681461A (zh) * 2020-07-01 2020-09-18 昆明冶金高等专科学校 一种计算机应用技术教学用投影机
CN113406994B (zh) * 2021-05-10 2024-05-17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曲靖供电局 一种基于物联网的视频分析和语义分析装置
JP2023022351A (ja) * 2021-07-30 2023-02-15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遊技機
US11758089B2 (en) * 2021-08-13 2023-09-12 Vtech Telecommunications Limited Video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91809U (de) 1959-04-25 1959-07-09 Kodak Ag Projektor.
WO1998059278A1 (fr) * 1997-06-20 1998-12-30 Hitachi, Ltd. Systeme optique d'afficheur pour projections
US20050169121A1 (en) * 1997-07-09 2005-08-04 Keller Peter J. Optical storage device
JP2003021865A (ja) * 2001-07-05 2003-01-24 Tamron Co Ltd 液晶プロジェクタ
JP2003322911A (ja) * 2002-04-30 2003-11-14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ロジェクター装置
US7029127B2 (en) * 2003-03-06 2006-04-18 Seiko Epson Corporation Projector
US6994440B2 (en) * 2003-06-02 2006-02-07 Infocus Corporation Elevator assembly for a projection device
JP4265289B2 (ja) 2003-06-05 2009-05-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投写型表示装置
JP4388335B2 (ja) 2003-09-19 2009-1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プロジェクタ
JP4096896B2 (ja) * 2004-03-10 2008-06-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JP2007010709A (ja) * 2005-06-28 2007-01-18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
JP4947334B2 (ja) * 2005-09-28 2012-06-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KR20080044952A (ko) * 2006-11-17 2008-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사장치
JP2008250279A (ja) * 2007-03-02 2008-10-16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装置
JP2009080146A (ja) * 2007-09-25 2009-04-16 Brother Ind Ltd プロジェクタ
JP2009075509A (ja) * 2007-09-25 2009-04-09 Brother Ind Ltd プロジェクタ
JP5423331B2 (ja) * 2009-11-13 2014-02-19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プロジェ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6037A1 (en) * 2014-09-02 2016-03-10 Cj Cgv Co., Ltd. Movable table for proj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44454A1 (en) 2013-01-09
US20130010268A1 (en) 2013-01-10
JP2013033209A (ja) 2013-02-14
EP2544454B1 (en) 2015-11-25
TW201305710A (zh) 2013-02-01
KR101330083B1 (ko) 2013-11-18
TWI501017B (zh) 2015-09-21
US9028076B2 (en) 2015-05-12
CN102902142B (zh) 2015-03-18
CN102902142A (zh) 2013-01-30
JP5835067B2 (ja)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0083B1 (ko) 프로젝터
JP4063213B2 (ja) 光源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JP4697559B2 (ja) 光源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JP2004530148A5 (ko)
EP2762971B1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JP2007093690A (ja) カラーホイールユニット
KR20020087614A (ko)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냉각 구조
JP6845985B2 (ja) 冷却装置及び投影装置
US8421002B2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having a dust-proof enclosure portion, a cabinet shielding structure and a detachably dust-proof cover
JP5637459B2 (ja) 投射光学装置および画像投影装置
JP2005173020A (ja) プロジェクタ
JP2011075772A (ja) プロジェクター
JP4697542B2 (ja) プロジェクタ
JP2007256321A (ja) プロジェクタ及びプロジェクタの面外ゴーストの削減方法
JP5505705B2 (ja) 表示素子調整機構及びプロジェクタ
JP2008152191A (ja) プロジェクタ
JP7417897B2 (ja) プロジェクター
JP2006284627A (ja) 光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プロジェクタ
JP6850335B2 (ja) 投射装置および投射レンズ
JP3627752B2 (ja) 映像表示装置
JP2007279764A (ja) 光源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JP6990350B2 (ja) 冷却装置及び投影装置
JP6284010B2 (ja) 光源装置および画像投射装置
JP2011158675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CN112782912A (zh) 投影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