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1129A - 듀얼 베어링 릴의 클러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베어링 릴의 클러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1129A
KR20120031129A KR1020110091993A KR20110091993A KR20120031129A KR 20120031129 A KR20120031129 A KR 20120031129A KR 1020110091993 A KR1020110091993 A KR 1020110091993A KR 20110091993 A KR20110091993 A KR 20110091993A KR 20120031129 A KR20120031129 A KR 20120031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cam
engaged
return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9844B1 (ko
Inventor
쇼지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20031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1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disengageable positive drive components, e.g. a clutch
    • A01K89/01901Reengageable responsive to drive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에 의한 클러치 복귀 조작이 무겁게 되지 않도록 한다. 클러치 제어 기구(20)는, 클러치 기구(19)를 제어한다. 클러치 제어 기구는, 통형의 클러치 캠(40)과, 클러치 요크(41)와, 연결 부재(43)와, 클러치 복귀 기구(46)를 구비하고 있다. 클러치 복귀 기구는, 핸들축(30)에 설치된 래칫 휠(72)과, 클러치 클릭(42)과, 토글 스프링 부재(47)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클릭(42)은, 기단이 클러치 캠(40)과 연결 부재(43)에 협지되고 클러치 캠(40)과 연결 부재(43)에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 클릭(42)은, 핸들(2)의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에 의해, 래칫 휠(72)에 의해 선단이 압압(押壓)되어 걸어맞춤 위치로부터 비걸어맞춤 위치로 이동하여 클러치 캠(40) 및 연결 부재(43)를 연결 위치로 되돌린다. 토글 스프링 부재(47)는, 클러치 클릭(42)을 걸어맞춤 위치와 비걸어맞춤 위치로 나누어 가압한다.

Description

듀얼 베어링 릴의 클러치 제어 장치{DUAL-BEARING REEL CLUTCH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제어 장치, 특히,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에 설치된 핸들에 의해 회전하는 스풀과 핸들을 연결 및 연결 해제하는 클러치 기구를 동작시키는 클러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듀얼 베어링 릴에는, 핸들과 스풀과의 사이에 클러치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는, 핸들과 스풀을 연결 및 연결 해제한다. 핸들과 스풀이 연결되면 핸들의 회전에 의해 스풀이 회전한다. 핸들과 스풀이 연결 해제되면, 스풀이 자유 회전 가능하게 된다. 클러치 기구는, 클러치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클러치 제어 기구(클러치 제어 장치의 일례)에 의해 클러치 온 또는 클러치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종래의 클러치 전환 기구는, 클러치 조작 부재와, 합성 수지제의 통형의 클러치 캠(clutch cam)과, 클러치 요크(clutch yoke)와, 금속제의 연결 부재와, 클러치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제2010?172203호 공보 참조).
종래의 클러치 제어 기구에서는, 클러치 캠은, 합성 수지제의 통형 부재이며, 금속제의 연결 부재에 의해 클러치 조작 부재와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 캠은, 클러치 온 위치와 클러치 오프 위치로 클러치 조작 부재의 조작에 의해 회동(回動)한다. 클러치 요크는, 클러치 캠에 형성된 캠면에 걸어맞추어지고, 클러치 캠의 클러치 오프 위치로의 회동에 의해 클러치 기구를 구성하는 피니언 기어를 스풀축 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연결 부재는, 클러치 캠과 일체로 회동 가능하며, 클러치 조작 부재가 고정되어 있다.
클러치 복귀 기구는, 핸들축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부재와, 클러치 복귀 부재와, 토글(toggle) 스프링 부재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복귀 부재는, 일단이 클러치 캠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클러치 복귀 부재의 일단에는, 연결핀이 일체로 형성되고, 연결핀이 클러치 캠에 형성된 연결공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클러치 복귀 부재는, 회전 부재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 위치와 걸어맞춤 불가능한 비걸어맞춤 위치로 진퇴(進退)한다. 클러치 조작 부재의 조작에 의해 클러치 캠이 클러치 오프 위치로 회동하면 타단이 걸어맞춤 위치에 진출한다. 토글 스프링 부재는, 클러치 복귀 부재를 걸어맞춤 위치와 비걸어맞춤 위치로 나누어 가압한다.
클러치 복귀 기구는, 핸들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 부재가 걸어맞춤 위치에 있는 클러치 복귀 부재를 토글 스프링 부재의 사점(死点)을 넘어 압압(押壓)한다. 이로써, 클러치 복귀 부재는, 토글 스프링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비걸어맞춤 위치로 되돌아온다. 클러치 복귀 부재가 비걸어맞춤 위치로 이동하면 클러치 캠이 클러치 오프 위치로부터 클러치 온 위치로 회동하고, 클러치 기구가 클러치 온 상태로 복귀한다.
종래의 클러치 제어 기구에는, 돌기부가 연결 부재에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는, 클러치 캠과 간극을 열어 클러치 캠에 접촉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오조작에 의해 클러치 조작 부재를 클러치 온 위치로 가압한 상태로 핸들을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클러치 캠에 과대한 힘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즉, 클러치 캠에 과대한 힘이 작용하여 클러치 캠이 변형되면 클러치 캠이 돌기부에 접촉하여 그 이상 변형되지 않게 된다.
일본공개특허 제2010?172203호 공보
종래의 클러치 제어 기구에서는, 핸들의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에 의한 클러치 온 조작 시에 클러치 조작 부재를 조작하면 클러치 캠이 변형되어, 클러치 복귀 부재와 연결 부재가 직접 접촉하도록 된다. 이로써, 핸들로부터의 회전력이 직접 클러치 조작구에 전달되게 된다. 그러므로, 낚시꾼은 클러치 조작 부재에 복귀 방향의 힘이 가해지고 있는 것, 및/또는 핸들의 회전에 통상의 복귀 조작력에 더하여 클러치 캠을 변형시키는 힘이 필요해지는 것에 주목하여, 오조작을 인식하게 된다.
그런데, 클러치 제어 기구에서는 클러치 캠을 변형시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므로, 통상의 복귀 조작 시에도 약간 클러치 캠을 변형시키는 힘이 필요해진다. 그러므로, 클러치 복귀 조작이 둔해진다.
본 발명의 과제는, 핸들의 회전에 의한 클러치 복귀 조작이 둔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 1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클러치 제어 장치는, 릴 본체에 설치된 핸들에 의해 회전하는 스풀과 핸들을 연결 및 연결 해제하는 클러치 기구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클러치 조작 부재의 조작에 의해 제어하는 장치이다. 클러치 제어 장치는, 통형의 클러치 캠과 클러치 요크와 연결 부재와 클러치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클러치 캠은, 릴 본체에 스풀의 중심축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클러치 조작 부재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의 이동에 따라, 클러치 기구가 연결 상태로 되는 연결 위치와 연결 해제 상태로 되는 연결 해제 위치로 회동한다. 클러치 요크는, 클러치 기구에 걸어맞추어지고, 클러치 캠의 회동에 의해 스풀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클러치 기구를 연결 상태와 연결 해제 상태로 전환한다. 연결 부재는, 클러치 캠과 클러치 조작 부재를 연결하고, 클러치 조작 부재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의 이동에 따라 클러치 캠을 연결 위치와 연결 해제 위치로 회동시킨다. 클러치 복귀 기구는, 회전 부재와, 클러치 복귀 부재와, 토글 스프링 부재를 가지고 있다. 회전 부재는, 핸들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있다. 클러치 복귀 부재는, 제1 단과 제2 단을 가지고, 걸어맞춤 위치와 비걸어맞춤 위치로 이동한다. 클러치 복귀 부재는, 제1 단이 클러치 캠과 연결 부재에 협지되고 클러치 캠과 연결 부재에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 복귀 부재는, 클러치 캠의 연결 위치로부터 연결 해제 위치로의 회동에 의해, 비걸어맞춤 위치로부터 제2 단이 회전 부재에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 위치로 이동한다. 클러치 복귀 부재는, 핸들의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에 의해, 회전 부재에 의해 제2 단이 압압(押壓)되어 걸어맞춤 위치로부터 비걸어맞춤 위치로 이동하여 클러치 캠 및 연결 부재를 연결 위치로 되돌린다. 토글 스프링 부재는, 클러치 복귀 부재를 걸어맞춤 위치와 비걸어맞춤 위치로 나누어 가압한다.
이 클러치 제어 장치에서는, 클러치 조작 부재가 예를 들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연결 부재를 사이에 두고 클러치 캠이 연결 위치로부터 연결 해제 위치로 회동하고, 클러치 기구가 연결 해제 상태로 된다. 또한, 클러치 캠이 연결 해제 위치로 회동하면 클러치 복귀 부재가 비걸어맞춤 위치로부터 걸어맞춤 위치로 이동하고, 클러치 복귀 부재가 회전 부재에 걸어맞춤 가능한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 토글 스프링 부재에 의해 클러치 복귀 부재가 걸어맞춤 위치로 가압된다.
또한, 클러치 기구가 연결 해제 상태일 때 핸들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 부재가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고, 클러치 복귀 부재가 비걸어맞춤 위치를 향해 압압된다. 그리고, 토글 스프링 부재의 사점을 클러치 복귀 부재가 넘으면, 클러치 복귀 부재가 비걸어맞춤 위치로 가압된다. 이 클러치 복귀 부재의 비걸어맞춤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클러치 복귀 부재에 연결된 클러치 캠 및 연결 부재가 연결 해제 위치로부터 연결 위치로 회동한다. 이로써, 클러치 기구가 연결 해제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 되돌아온다. 이 때, 클러치 조작 부재 도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 핸들에 의한 클러치 복귀 조작에 있어서, 클러치 복귀 부재가 클러치 캠에 더하여 연결 부재에도 연결되어 있으므로, 클러치 캠을 변형시키지 않고, 클러치 복귀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클러치 복귀 조작이 쉽게 둔해지지 않는다.
본 발명 2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클러치 제어 장치는, 본 발명 1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클러치 캠은, 토글 스프링 부재에 의해 클러치 복귀 부재를 사이에 두고 연결 위치 및 연결 해제 위치에 유지된다. 이로써, 클러치 복귀 부재를 가압하는 토글 스프링 부재에 의해 클러치 캠이 연결 위치 및 연결 해제 위치에 유지되고, 또한 연결 부재 및 클러치 조작 부재도 2개소의 위치에서 유지된다. 그러므로, 클러치 캠, 연결 부재 및 클러치 조작 부재를 2개소의 위치에서 유지하는 구성이 간소하게 된다.
본 발명 3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클러치 제어 장치는, 본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클러치 복귀 부재는, 클러치 캠을 향해 원기둥형으로 돌출되어 클러치 캠에 연결되는 제1 연결 돌기와, 제1 연결 돌기와 동심(同芯)으로 배치되고, 연결 부재를 향해 원기둥형으로 돌출되어 연결 부재에 연결되는 제2 연결 돌기를 제1 단에 가진다. 클러치 캠은, 제1 연결 돌기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 오목부를 가진다. 연결 부재는, 제2 연결 돌기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 오목부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회동 가능한 제1 연결 돌기 및 제2 연결 돌기에 의해 클러치 캠 및 연결 부재가 클러치 복귀 부재에 별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클러치 복귀 부재의 비걸어맞춤 위치로의 이동에 의한 힘이 원활하게 클러치 캠 및 연결 부재에 전달된다. 그러므로, 클러치 복귀 조작이 더욱 가벼워진다.
본 발명 4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클러치 제어 장치는, 본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클러치 조작 부재는, 연결 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연결 부재는, 클러치 조작 부재의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클러치 캠을 연결 해제 위치로부터 연결 위치로 회동시킨다. 이 경우에는, 핸들의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만이 아니고, 클러치 조작 부재의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서도 클러치 기구를 연결 해제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므로, 클러치에 복귀 동작을 순간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 5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클러치 제어 장치는, 본 발명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릴 본체에는, 클러치 복귀 부재의 제2 단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고, 클러치 복귀 부재의 제2 단에는, 안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안내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클러치 복귀 부재의 안내 돌기가 안내부에 안내되므로, 클러치 복귀 부재의 이동이 원활하게 되고, 그러므로, 클러치 복귀 조작이 더욱 가벼워진다.
본 발명 6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클러치 제어 장치는, 본 발명 5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릴 본체는 알루미늄 합금제이며, 클러치 복귀 부재는 스테인레스 합금제이며, 안내 돌기는 원기둥형으로 돌출되어 있고, 안내 돌기의 외주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외주면을 덮는 합성 수지제의 통형의 커버 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로써,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안내 돌기와 알루미늄 합금제의 안내부가 직접 접촉되지 않게 되어, 안내 돌기가 안내부에 안내되어도 금속끼리의 접촉에 의한 전해(電解)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들에 의한 클러치 복귀 조작에 있어서, 클러치 복귀 부재가 클러치 캠에 더하여 연결 부재에도 연결되어 있으므로, 클러치 캠을 변형시키지 않고, 클러치 복귀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클러치의 복귀 조작이 쉽게 둔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채용된 듀얼 베어링 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그 평면도이다.
도 3은 그 우측 부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그 중앙 부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클러치 제어 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연결 상태일 때의 클러치 제어 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연결 해제 상태일 때의 클러치 제어 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연결 해제 상태일 때의 클러치 제어 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낸 측면 확대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측면 일부 파단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의 도 9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의 도 9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듀얼 베어링 릴의 사시도, 도 2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듀얼 베어링 릴은, 예를 들면, 로프 프로파일의 베이트 캐스팅릴이다. 듀얼 베어링 릴은, 낚싯대에 장착 가능한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방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 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의 스타 드래그(star drag)(3)와,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의 후부(後部)에는,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장착되어 있다.
<릴 본체의 구성>
릴 본체(1)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또는 마그네슘 합금 등의 금속제의 프레임(5)과, 프레임(5)의 양쪽을 덮도록 장착된,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또는 합성 수지제의 제1 측 커버(6a) 및 제2 측 커버(6b)와, 프레임(5)의 전방에 장착된,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또는 합성 수지제의 앞커버(7)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5)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측판(8a) 및 제2 측판(8b)과, 제1 측판(8a) 및 제2 측판(8b)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부(8c)를 가지고 있다.
제1 측판(8a)은, 스풀(4) 인출용의 원형 개구(8d)가 형성된 대략 판형의 부재이다. 개구(8d)에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제의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 수납부가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다.
제2 측판(8b)에는, 후술하는 클러치 제어 기구(20) 및 회전 전달 기구(18)가 지지된다.
제1 측 커버(6a)는, 프레임(5)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며, 프레임(5)에 대하여 근접 및 이격, 또한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 측 커버(6b)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축(30) 및 스풀축(15)을 별개로 지지하기 위한 제1 보스부(6c) 및 제2 보스부(6d) 등이 형성된 대략 보울형(bowl-shaped)의 부재이다.
프레임(5) 내에는, 도 2,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측판(8a)과 제2 측판(8b)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스풀(4)(도 2)과, 스풀(4)에 균일하게 낚싯줄을 감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24)(도 4)와, 써밍(thumbing)을 행하는 경우의 엄지가 닿는 클러치 조작 부재(17)(도 4)와, 핸들(2)과 스풀(4)과 연결 및 연결 해제하기 위한 클러치 기구(19)(도 4 및 도 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5)과 제2 측 커버(6b)와의 사이에는,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4) 및 레벨 와인드 기구(24)에 전달하기 위한 회전 전달 기구(18)(도 3)와,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 기구(19)를 제어하기 위한 클러치 제어 기구(20)(도 4)와, 낚싯줄 송출 시에 스풀(4)을 제동(制動)하는 드래그 기구(21)(도 3)와, 스풀(4)의 회전 시의 저항력을 조정하기 위한 캐스팅 컨트롤 기구(22)(도 3)가 설치되어 있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2)는, 스풀축(15)을 협지하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브레이크 라이너(brake liner)(51b)와, 브레이크 라이너(51b)에 의한 스풀축(15)의 협지력을 조절하기 위한 캡(52)을 가지고 있다.
스풀(4)은, 양 측부에 플랜지부(4a)를 가지고 있고, 양 플랜지부(4a) 사이에 와이어 권취 보디부(4b)를 가지고 있다. 스풀(4)은 그 중심을 관통하는 스풀축(15)에 고정되어 있다. 스풀축(15)은,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에 의해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레벨 와인드 기구(24)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측판(8a) 및 제2 측판(8b) 사이에 고정된 가이드 통(25)과, 가이드 통(25)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웜 샤프트(warm shaft)(26)와, 라인 가이드(27)와, 종동(從動) 기어(28)를 가지고 있다. 종동 기어(28)는, 금속제이며, 웜 샤프트(26)의 단부(端部)에 장착되고, 회전 전달 기구(18)로부터의 회전이 전달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레벨 와인드 기구(24)에서는, 종동 기어(28)를 금속제로 했으므로 강도가 커져, 라인 가이드(27)에 큰 힘이 작용해도 낚싯줄을 안내할 수 있다
<회전 전달 기구 및 클러치 기구의 구성>
회전 전달 기구(18)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축(30)과, 핸들축(30)(도 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마스터 기어(31)(도 3)와, 마스터 기어(31)에 서로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32)(도 4)와, 핸들축(30)에 마스터 기어(31)와 간격을 두고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 기어(29)(도 3)를 가지고 있다. 핸들축(30)은, 제2 측 커버(6b)의 제1 보스부(6c) 내에 수납된 롤러형의 원웨이(one way) 클러치(48)에 의해 낚싯줄 송출 방향의 회전이 금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원웨이 클러치(48)의 내륜(48a)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후술하는 압압 플레이트(71)가 핸들축(30)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있다. 원웨이 클러치(48)의 내륜(48a)은,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다. 이로써, 핸들축(30)의 낚싯줄 송출 방향의 회전이 금지된다. 또한, 핸들축(30)에는, 후술하는 클러치 복귀 기구(46)의 래칫 휠(ratchet wheel)(72)(회전 부재의 일례)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래칫 휠(72)은, 도 4에 나타낸 래칫 클릭(ratchet claw)(73)과 서로 맞물리는 클릭식(claw-type)의 원웨이 클러치(74)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핸들축(30)의 외주면에는, 스타 드래그(3)가 나사결합되는 제1 나사부(30a)와, 핸들(2)을 고정하기 위한 너트(75)가 나사결합되는 소경(小徑)의 제2 나사부(30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주면에는,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부재[예를 들면, 압압 플레이트(71), 구동 기어(29), 및 래칫 휠(72)]에 걸어맞추어지는 서로 평행한 제1 걸림면(30c)과, 핸들(2)에 걸어맞추어지는 제2 걸림면(30d)이 형성되어 있다. 핸들축(30)은, 중간부가 원웨이 클러치(48)에 의해 지지되고, 기단(基端)이 제2 측판(8b)에 장착된 베어링(3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35)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측판(8b)에 형성된 제1 보스부(8e)에 장착되어 있다.
마스터 기어(31)에는, 톱니 기어를 가지고, 드래그 기구(21)를 통하여 핸들(2)의 회전이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32)는, 톱니 기어로 구성되며, 스풀축(15)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측 외주부에 마스터 기어(31)에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 톱니의 톱니부(32a)와, 타단면에 형성된 걸어맞춤홈(32b)과, 톱니부(32a)와, 걸어맞춤홈(32b)과의 사이에 형성된 소경부(32c)를 가지고 있다. 걸어맞춤홈(32b)은, 스풀축(15)에 장착된 걸어맞춤핀(15a)(도 4)와 걸어맞춤 또는 이탈이 가능하다. 또한, 걸어맞춤홈(32b) 형성 부분의 외주면은 베어링(36)에 의해 제2 측판(8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36)은, 제2 측판(8b)의 제2 보스부(8f)에 장착되어 있다. 구동 기어(29)는, 종동 기어(28)에 서로 맞물려, 핸들(2)의 회전을 레벨 와인드 기구(24)에 전달한다.
피니언 기어(32)의 걸어맞춤홈(32b)과 스풀축(15)의 걸어맞춤핀(15a)에 의해 핸들(2)과 스풀(4)과의 사이에서 회전력의 전달 및 차단을 행하기 위한 클러치 기구(19)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피니언 기어(32)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걸어맞춤홈(32b)과 스풀축(15)의 걸어맞춤핀(15a)이 이탈하면 클러치 오프 상태(연결 해제 상태)로 되어, 핸들축(30)으로부터의 회전력이 차단되어 스풀축(15)에 전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스풀(4)이 자유 회전 상태로 된다. 또한, 피니언 기어(32)가 내측으로 이동해 걸어맞춤핀(15a)에 걸어맞춤홈(32b)이 서로 맞물리면 클러치 온 상태(연결 상태)로 되고, 핸들(2)의 회전이 스풀(4)에 전달된다.
<드래그 기구의 구성>
드래그 기구(2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터 기어(31)를 압압하는 마찰 플레이트(70)와, 스타 드래그(3)의 회전 조작에 의해 마찰 플레이트(70)를 마스터 기어(31)에 소정의 힘으로 가압하기 위한 압압 플레이트(71)를 가지고 있다. 마찰 플레이트(70)는, 핸들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압압 플레이트(71)는, 핸들축(30)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 부재의 구성>
클러치 조작 부재(17)는, 도 6에 나타낸 걸어맞춤 위치(제1 위치의 일례)와, 도 7에 나타낸 이탈 위치(제2 위치의 일례)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클러치 제어 기구(20)에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 부재(17)는, 릴 프레임(5)의 후부에서 제1 측판(8a) 및 제2 측판(8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 부재(17)는, 써밍 시의 썸 레스트(thumb rest)로서도 사용된다.
<클러치 제어 기구의 구성>
클러치 제어 기구(2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조작에 의해 스풀 축심 X 주위로 회동하는 합성 수지제의 클러치 캠(40)과, 합성 수지제의 클러치 요크(41)와, 금속제의 연결 부재(43)와, 클러치 복귀 기구(46)(클러치 복귀 장치의 일례)를 가지고 있다. 또한, 클러치 제어 기구(20)는, 클러치 요크(41)를 스풀축 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44)을 가지고 있다.
<클러치 캠의 구성>
클러치 캠(40)은, 도 5, 도 6,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측판(8b)의 제2 보스부(8f)에 스풀 축심 X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대략 원통형상의 부재이다. 클러치 캠(40)은, 클러치 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도 7에 나타낸 연결 해제 위치와, 클러치 온 상태에 대응하는 도 6에 나타낸 연결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다. 클러치 캠(4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 요크(41)를 스풀축 방향의 외측으로 압압하는 경사면에 의해 구성된 한 쌍의 캠면(40a)을 외측면(도 5의 우측면)에 가지고 있다. 또한, 클러치 캠(40)은, 후술하는 클러치 클릭(42)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공(40b)(제1 연결 오목부의 일례)를 가지고 있다. 연결공(40b)은, 캠면(40a)보다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1 연결부(40c)에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캠(40)의 외주면에는, 연결 부재(43)와 일체로 회동하기 위한 연결 돌기(40d)가 일체로 형성된 제2 연결부(40e)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부(40e)는, 제1 연결부(40c)와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캠(40)의 내주면에는, 한쌍의 퇴피부(退避部)(40f)가 직경 상에 원호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퇴피부(40f)는, 제2 보스부(8f)의 외주부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한쌍의 장착 돌기(8h)를 피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캠(40)은, 퇴피부(40f)가 장착 돌기(8h)에 맞닿는 것에 의해, 회동 범위가 규제되어 있다.
<클러치 요크의 구성>
클러치 요크(41)는, 클러치 캠(40)에 걸어맞추어지고, 클러치 캠(40)의 회동에 의해 피니언 기어(32)를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 요크(41)에는, 캠면(40a)에 걸어맞추어지는 한쌍의 캠 받이부(41a)가 내측면의 점대칭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캠면(40a)이 캠 받이부(41a)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클러치 요크(41)가 스풀축 방향 외측으로 압압된다. 클러치 요크(41)는, 제2 보스부(8f)에 고정된 가이드 부재(45)에 의해 스풀축 방향으로 안내된다. 가이드 부재(45)는, 제2 보스부(8f)의 장착 돌기(8h)에 나사고정되는 원환형(圓環形)의 고정부(45a)와, 고정부(45a)에 세워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축(45b)을 가지고 있다. 클러치 요크(41)에는, 가이드축(45b)에 안내되는 한 쌍의 가이드공(41b)이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요크(41)는, 가이드축(45b)의 외주에 장착된 코일 스프링(44)에 의해 스풀축 방향 내측(도 5의 좌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44)은, 제2 측 커버(6b)의 내측면과 클러치 요크(41)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압축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요크(41)의 중심부에는, 피니언 기어(32)의 소경부(32c)를 거는 반원형의 걸림홈(41c)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홈(41c)에 의해, 클러치 요크(41)는, 피니언 기어(32)를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연결 부재의 구성>
연결 부재(43)는, 클러치 캠(40)을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조작에 의해 회동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연결 부재(43)는, 클러치 캠(40)과 제2 측판(8b)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배치된,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판형 부재이다. 연결 부재(43)는, 제2 보스부(8f)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43a)와, 조작 부재 고정부(43b)와, 제1 돌출부(43c)와, 제2 연결부(40e)를 따라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돌출부(43d)을 가지고 있다.
장착부(43a)는, 제2 보스부(8f)의 주위에서 클러치 캠(40)과 제2 측판(8b)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대략 와셔형(washer-like)의 부분이다. 장착부(43a)의 내주면에는, 퇴피부(40f)와 마찬가지로 장착 돌기(8h)를 피하기 위한 퇴피부(43g)가 원호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조작 부재 고정부(43b)는, 장착부(43a)로부터 대략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조작 부재 고정부(43b)는, 장착부(43a)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 후에 스풀 축심 X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이 절곡된 부분에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조작 부재 고정부(43b)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측판(8b)의 후부에 원호형으로 형성된 슬릿(8g)을 관통하여 제1 측판(8a)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제1 돌출부(43c)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 캠(40)의 제1 연결부(40c)를 따라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돌출부(43c)는, 클러치 클릭(42)의 기단을 클러치 캠(40)과의 사이에서 협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돌출부(43c)에는, 클러치 클릭(42)에 연결되는 클릭 연결공(43e)(제2 연결 오목부의 일례)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돌출부(43d)는, 클러치 캠의 제2 연결부(40e)를 따라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돌출부(43d)에는, 클러치 캠(40)의 연결 돌기(40d)에 연결되는 캠 연결공(43f)이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복귀 기구의 구성>
클러치 복귀 기구(46)는, 클러치 오프 상태의 클러치 기구(19)를 핸들(2)의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클러치 온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다. 클러치 복귀 기구(46)는, 핸들축(30)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부재로서의 래칫 휠(72)과, 클러치 캠(40)에 연결된 클러치 클릭(42)(클러치 복귀 부재의 일례)과, 토글 스프링 부재(47)를 가지고 있다.
래칫 휠(72)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축(30)의 낚싯줄 송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하는 원웨이 클러치(74)로서도 기능한다. 래칫 휠(72)은, 핸들축(30)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외주부에는 도 3,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톱니부(72a)가 회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클릭(42)은,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소결(燒結)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부재이다. 클러치 클릭(42)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제1 단의 일례이며, 도 5의 상단)에 클러치 캠(40)의 연결공(40b)에 끼워맞추어지는 제1 연결 돌기(42a)와, 연결 부재(43)의 클릭 연결공(43e)에 끼워맞추어지는 제2 연결 돌기(42b)를 가지고 있다. 제1 연결 돌기(42a)는, 클러치 캠(40)을 향해 원기둥형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연결 돌기(42b)는, 연결 부재(43)를 향해 원기둥형으로 돌출되고, 제1 연결 돌기(42a)와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 클릭(42)은, 클러치 캠(40)과 연결 부재(43)에 의해 협지되어 클러치 캠(40)과 연결 부재(4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 클릭(42)의 기단에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글 스프링 부재(47)의 일단이 걸리는 스프링 걸림부(42c)가 형성되어 있다. 토글 스프링 부재(47)는, 예를 들면, 토션(torsion;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며, 타단이 제2 측판(8b)의 외측면에 걸려져 있다. 클러치 클릭(42)은, 클러치 캠(40)의 회동에 연동하여, 도 6에 나타낸 비걸어맞춤 위치와, 도 7에 나타낸 걸어맞춤 위치로 이동한다. 비걸어맞춤 위치는, 클러치 클릭(42)이 래칫 휠(72)로부터 이격된 위치이다. 걸어맞춤 위치는, 클러치 클릭(42)이 래칫 휠(72)에 접촉 가능한 위치이다. 토글 스프링 부재(47)는, 클러치 클릭(42)을 비걸어맞춤 위치와 걸어맞춤 위치로 나누어 가압한다. 이로써, 클러치 캠(40), 연결 부재(43) 및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연결 위치와 연결 해제 위치로 나누어 가압된다.
클러치 클릭(42)의 선단(제2 단의 일례)에는,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는 래칫 휠(72)에 의해 압압되는 수압부(受壓部)(42d)가 스풀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선단측에는, 제2 측판(8b)의 외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안내 오목부(8i)(안내부의 일례)를 향해 돌출되는 안내 돌기(42e)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 돌기(42e)는, 안내 오목부(8i)의 벽부에 접촉하여 선단을 래칫 휠(72)의 근방에 배치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 오목부(8i)에 안내되고, 또한 토글 스프링 부재(47)에 의해 나누어 가압되는 것에 의해, 클러치 클릭(42)은, 비걸어맞춤 위치와 걸어맞춤 위치로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토글 스프링 부재(47)는, 클러치 클릭(42)을 통하여 클러치 캠(40) 및 연결 부재(43)를 연결 위치와 연결 해제 위치로 나누어 가압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통상 상태에서는 피니언 기어(32)는 축 방향 내측의 클러치 온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걸어맞춤홈(32b)과 스풀축(15)의 걸어맞춤핀(15a)이 걸어맞추어져 클러치 온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 클러치 클릭(42)은, 비걸어맞춤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클러치 조작 부재(17)를 조작하여 클러치 요크(41)에 의해 피니언 기어(32)가 축 방향 외측으로 압압 이동한 경우에는, 걸어맞춤홈(32b)과 걸어맞춤핀(15a)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클러치 오프 상태로 된다. 이로써, 클러치 클릭(42)은, 비걸어맞춤 위치로부터 걸어맞춤 위치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핸들(2)을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래칫 휠(72)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래칫 휠(72)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 톱니부(72a)가 클러치 클릭(42)의 수압부(42d)를 비걸어맞춤 위치를 향해 압압한다. 그리고, 토글 스프링 부재(47)의 사점을 클러치 클릭(42)이 넘으면, 클러치 클릭(42)이 비걸어맞춤 위치로 가압된다. 이 클러치 클릭(42)의 비걸어맞춤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클러치 클릭(42)에 연결된 클러치 캠(40) 및 연결 부재(43)가 연결 해제 위치로부터 연결 위치로 회동한다. 이로써, 클러치 기구(19)가 클러치 오프 상태로부터 클러치 온 상태로 되돌아온다. 이 때, 클러치 조작 부재(17)도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 핸들(2)에 의한 클러치 복귀 조작에 있어서, 클러치 클릭(42)이 클러치 캠(40)에 더하여 연결 부재(43)에도 연결되어 있으므로, 클러치 캠(40)을 변형시키지 않고, 클러치 복귀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클러치의 복귀 조작이 쉽게 둔해지지 않는다.
또한, 클러치 캠(40)과 연결 부재(43)가 클러치 클릭(4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클러치 캠(40)에 연결 부재(43)에 의한 전단력(剪斷力)이 쉽게 생기지 않게 되어, 클러치 캠(40)에 큰 전단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듀얼 베어링 릴의 동작>
통상의 상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 조작 부재(17)는, 걸어맞춤 위치에 배치되고, 클러치 요크(41)는 코일 스프링(44)에 의해 스풀축 방향 내측으로 가압되고 있다. 이로써, 피니언 기어(32)는 걸어맞춤 위치로 이동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피니언 기어(32)의 걸어맞춤홈(32b)과 스풀축(15)의 걸어맞춤핀(15a)이 서로 맞물려 클러치 온 상태로 되어 있다. 이 클러치 온 상태에서는,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은, 핸들축(30), 마스터 기어(31) 및 피니언 기어(32)를 통하여 스풀축(15) 및 스풀(4)에 전달된다. 이 때, 캐스팅 컨트롤 기구(22)의 캡(52)의 체결량을 조정함으로써, 스풀(4)의 회전 시의 저항력을 조정할 수 있다.
도구(termonal tackle)를 강하시키는 경우에는, 클러치 조작 부재(17)를 아래쪽으로 압압한다. 구체적으로는, 선단을 스풀(4)의 플랜지부(4a)에 접촉시켜 써밍을 행하는 손가락의 볼(ball)로 , 클러치 조작 부재(17)를 아래쪽으로 압압한다. 이 압압 조작에 의해, 클러치 조작 부재(17a)는 스풀 축심 X 주위에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걸어맞춤 위치로부터 이탈 위치로 이동한다.
클러치 조작 부재(17)와 연결 부재(43)는 연결되어 있으므로, 클러치 조작 부재(17)를 아래쪽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연결 부재(43)는 스풀 축심 X를 중심으로 도 6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연결 부재(43)와 클러치 캠(40)는, 연결 돌기(40d)와 캠 연결공(43f) 및 클러치 클릭(42)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연결 구조에 의해, 연결 부재(4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클러치 캠(40)도 토글 스프링 부재(4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스풀 축심 X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연결 위치로부터 연결 해제 위치로 회동한다.
클러치 캠(4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클러치 캠(40)의 캠면(40a)에 클러치 요크(41)의 캠 받이부(41a)가 맞닿아 있으므로, 클러치 요크(41)는 캠면(40a)을 따라 스풀축 방향 외측(도 4의 우측)으로 이동된다. 클러치 요크(41)는 피니언 기어(32)의 소경부(32c)에 걸어맞추어져 있으므로, 클러치 요크(41)가 축 방향 외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피니언 기어(32)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는, 피니언 기어(32)의 걸어맞춤홈(32b)과 스풀축(15)의 걸어맞춤핀(15a)과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클러치 오프 상태로 된다. 클러치 오프의 상태에서는, 핸들축(30)으로부터의 회전은 스풀(4)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 결과, 스풀(4)이 자유 회전 상태로 되어, 도구의 자중(自重)에 의해 스풀(4)에 권취된 낚싯줄이 내보내진다.
클러치 오프 시의 상태를 도 7에 나타낸다. 여기서,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아래쪽의 이탈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연결 부재(43) 및 클러치 캠(40)이 회전되면, 클러치 클릭(42)의 선단의 안내 돌기(42e)가 안내 오목부(8i)에 안내되고, 또한 토글 스프링 부재(47)의 사점을 넘으면 걸어맞춤 위치 측으로 가압되어 래칫 휠(72) 측으로 이동한다.
도구의 강하를 개시하면, 손가락을 약간 경사 전방으로 이동시켜 선단을 스풀(4)의 플랜지부(4a)에 접촉시켜 써밍을 행한다.
다음에, 도구를 선반(shelf) 위치에 배치한 후에 신속하게 클러치 오프 상태로부터 다시 클러치 온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낸 클러치 오프 상태에 있어서, 핸들(2)에 의해 핸들축(30)을 시계 회전 방향(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래칫 휠(72)의 톱니부(72a)에 의해 클러치 클릭(42)의 수압부(42d)가 가압되고. 그러면 수압부(42d)가 압압되어, 토글 스프링 부재(47)의 사점을 넘으면, 클러치 클릭(42)은 토글 스프링 부재(47)의 가압력에 의해 비걸어맞춤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에 연동하여 클러치 캠(40)은, 연결 위치로 되돌아와 클러치 기구(19)는 클러치 온 상태로 된다.
이 핸들(2)의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에 의해 클러치 기구(19)를 클러치 온 상태로 되돌릴 때, 클러치 클릭(42)이 클러치 캠(40)에 더하여 연결 부재(43)에도 연결되어 있으므로, 클러치 캠(40)을 변형시키지 않고, 클러치 복귀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클러치의 복귀 조작이 쉽게 둔해지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a) 상기 실시예에서는, 릴 본체가 비원형의 듀얼 베어링 릴에 적용한 클러치 조작 부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릴 본체가 원형의 듀얼 베어링 릴에도 본 발명의 클러치 제어 기구를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릴 본체의 후부에만 클러치 조작 부재(17)를 가지고 있지만, 릴 본체의 상부 등에 다른 클러치 조작 부재를 가지는 클러치 제어 기구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릴 본체에 설치된 안내 오목부(8i)에 안내 돌기(42e)가 직접 접촉되어 있지만,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 돌기(142e)[또는 (242e)]의 외주면에 합성 수지제의 커버 부재(142f)[(242f)]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안내 돌기(142e)[또는 (242e)]를 덮도록 해도 된다.
도 10에서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커버 부재(142f)가 안내 돌기(142e)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커버 부재(142f)는, 안내 돌기(142e)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며, 이탈 방지되고 있지 않다.
도 11에서는, 원통형의 커버 부재(242f)가 안내 돌기(242e)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안내 돌기(242e)의 선단부는 커버 부재(242f)를 장착한 후에 코킹(caulking)되어 있다. 그러므로, 커버 부재(242f)는, 안내 돌기(242e)로부터 탈락하지 않는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클러치 캠(40)에 형성된 제1 연결 오목부 및 연결 부재(43)에 형성된 제2 연결 오목부가, 관통하는 연결공(40b) 및 클릭 연결공(43e)이었지만, 제1 연결 오목부 및 제2 연결 오목부는, 관통되지 않는 오목한 것이어도 된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클러치 클릭(42)에 제1 연결 돌기(42a) 및 제2 연결 돌기(42b)를 형성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클러치 캠과 클러치 클릭과 연결 부재를 관통하는 연결축에 의해 3개의 부재를 연결해도 된다. 또한, 클러치 캠과 연결 부재에 클러치 클릭을 향해 돌출하는 연결 돌기를 향성해도 된다.
<특징>
상기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A) 듀얼 베어링 릴의 클러치 제어 기구(20)(클러치 제어 장치의 일례)는, 릴 본체(1)에 설치된 핸들(2)에 의해 회전하는 스풀(4)과 핸들(2)을 연결 및 연결 해제하는 클러치 기구(19)를, 걸어맞춤 위치(제1 위치의 일례)와 이탈 위치(제2 위치의 일례)로 이동 가능한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조작에 의해 동작시키는 장치이다. 클러치 제어 기구(20)는, 통형의 클러치 캠(40)과, 클러치 요크(41)와, 연결 부재(43)와, 클러치 복귀 기구(46)를 구비하고 있다. 클러치 캠(40)은, 릴 본체(1)에 스풀 축심 X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걸어맞춤 위치와 이탈 위치와의 이동에 따라, 클러치 기구(19)가 클러치 온 상태로 되는 연결 위치와 클러치 오프 상태로 되는 연결 해제 위치로 회동한다. 클러치 요크(41)는, 클러치 기구(19)에 걸어맞추어지고, 클러치 캠(40)의 회동에 의해 스풀(4)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클러치 기구(19)를 클러치 온 상태와 클러치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연결 부재(43)는, 클러치 캠(40)과 클러치 조작 부재(17)를 연결하고,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걸어맞춤 위치와 이탈 위치와의 이동에 따라 클러치 캠(40)을 연결 위치와 연결 해제 위치로 회동시킨다. 클러치 복귀 기구(46)는, 래칫 휠(72)(회전 부재의 일례)과, 클러치 클릭(42)(클러치 복귀 부재의 일례)와, 토글 스프링 부재(47)를 가지고 있다. 래칫 휠(72)은, 핸들(2)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있다. 클러치 클릭(42)은, 선단(제1 단의 일례)과 기단(제2 단의 일례)을 가지고, 걸어맞춤 위치와 비걸어맞춤 위치로 이동한다. 클러치 클릭(42)은, 기단이 클러치 캠(40)과 연결 부재(43)에 협지되고 클러치 캠(40)과 연결 부재(43)에 연결되어 있는 클러치 클릭(42)은, 클러치 캠(40)의 연결 위치로부터 연결 해제 위치로의 회동에 의해, 비걸어맞춤 위치로부터 선단이 래칫 휠(72)에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 위치로 이동한다. 클러치 클릭(42)은, 핸들(2)의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에 의해, 래칫 휠(72)에 의해 선단이 압압되어 걸어맞춤 위치로부터 비걸어맞춤 위치로 이동하여 클러치 캠(40) 및 연결 부재(43)를 연결 위치로 되돌린다. 토글 스프링 부재(47)는, 클러치 클릭(42)을 걸어맞춤 위치와 비걸어맞춤 위치로 나누어 가압한다.
이 클러치 제어 기구(20)에서는,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예를 들면, 걸어맞춤 위치로부터 이탈 위치로 이동하면 연결 부재(43)를 통하여 클러치 캠(40)이 연결 위치로부터 연결 해제 위치로 회동하고, 클러치 기구(19)가 클러치 오프 상태로 된다. 또한, 클러치 캠(40)이 연결 해제 위치로 회동하면 클러치 클릭(42)이 비걸어맞춤 위치로부터 걸어맞춤 위치로 이동하고, 클러치 클릭(42)이 래칫 휠(72)에 걸어맞춤 가능한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 토글 스프링 부재에 의해 클러치 클릭(42)이 걸어맞춤 위치로 가압된다.
또한, 클러치 기구(19)가 연결 해제 상태일 때, 핸들(2)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래칫 휠(72)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고, 클러치 클릭(42)이 비걸어맞춤 위치를 향해 압압된다. 그리고, 토글 스프링 부재(47)의 사점을 클러치 클릭(42)이 넘으면, 클러치 클릭(42)이 비걸어맞춤 위치로 가압된다. 이 클러치 클릭(42)의 비걸어맞춤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클러치 클릭(42)에 연결된 클러치 캠(40) 및 연결 부재(43)가 연결 해제 위치로부터 연결 위치로 회동한다. 이로써, 클러치 기구(19)가 연결 해제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 되돌아온다. 이 때, 클러치 조작 부재(17)도 이탈 위치로부터 걸어맞춤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 핸들(2)에 의한 클러치 복귀 조작에 있어서, 클러치 클릭(42)이 클러치 캠(40)에 더하여 연결 부재(43)에도 연결되어 있으므로, 클러치 캠(40)을 변형시키지 않고, 클러치 복귀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클러치 복귀 조작이 쉽게 둔해지지 않는다.
(B) 듀얼 베어링 릴의 클러치 제어 기구(20)에 있어서, 클러치 캠(40)은, 토글 스프링 부재(47)에 의해 클러치 클릭(42)을 통하여 연결 위치 및 연결 해제 위치에 유지된다. 이로써, 클러치 클릭(42)을 가압하는 토글 스프링 부재(47)에 의해 클러치 캠(40)이 연결 위치 및 연결 해제 위치에 유지되고, 또한 연결 부재(43) 및 클러치 조작 부재(17)도 2개의 위치에서 유지된다. 그러므로, 클러치 캠(40), 연결 부재(43) 및 클러치 조작 부재(17)를 2개의 위치에서 유지하는 구성이 간소하게 된다.
(C) 듀얼 베어링 릴의 클러치 제어 기구(20)에 있어서, 클러치 클릭(42)은, 클러치 캠(40)을 향해 원기둥형으로 돌출되어 클러치 캠(40)에 연결되는 제1 연결 돌기(42a)와, 제1 연결 돌기(42a)와 동심으로 배치되고, 연결 부재(43)를 향해 원기둥형으로 돌출되어 연결 부재(43)에 연결되는 제2 연결 돌기(42b)를 선단에 가진다. 클러치 캠은, 제1 연결 돌기(42a)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공(40b)(제1 연결 오목부의 일례)을 가진다. 연결 부재(43)는, 제2 연결 돌기(42b)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클릭 연결공(43e)(제2 연결 오목부의 일례)을 가진다. 이 경우에는, 회동 가능한 제1 연결 돌기(42a) 및 제2 연결 돌기(42b)에 의해 클러치 캠(40) 및 연결 부재(43)가 클러치 클릭(42)에 별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클러치 클릭(42)의 비걸어맞춤 위치로의 이동에 의한 힘이 원활하게 클러치 캠(40) 및 연결 부재(43)에 전달된다. 그러므로, 클러치 복귀 조작이 더욱 수월해진다.
(D) 듀얼 베어링 릴의 클러치 제어 기구(20)에 있어서, 클러치 조작 부재(17)는, 연결 부재(43)에 고정되어 있다. 연결 부재(43)는,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이탈 위치로부터 걸어맞춤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클러치 캠(40)을 연결 해제 위치로부터 연결 위치로 회동시킨다. 이 경우에는, 핸들(2)의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만이 아니고,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이탈 위치로부터 걸어맞춤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서도 클러치 기구(19)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부터 클러치 온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므로, 클러치 복귀 동작을 순간적으로 행할 수 있다.
(E) 듀얼 베어링 릴의 클러치 제어 기구(20)에 있어서, 릴 본체(1)에는, 클러치 클릭(42)의 선단을 안내하는 안내 오목부(8i)(안내부의 일례)가 형성되고, 클러치 클릭(42)의 선단에는, 안내 오목부(8i)를 향해 돌출하는 안내 돌기(42e)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클러치 클릭(42)의 안내 돌기(42e)가 안내 오목부(8i)에 안내되므로, 클러치 클릭(42)의 이동이 원활하게 되고, 그러므로, 클러치 복귀 조작이 더욱 수월해진다.
(F) 클러치 제어 기구(20)에 있어서, 릴 본체(1)는 알루미늄 합금제이며, 클러치 클릭(142)[또는 (242)]은 스테인레스 합금제이며, 안내 돌기(142e)[또는 (242e)]는, 원기둥형으로 돌출되어 있고, 안내 돌기(142e)[또는 (242e)]의 외주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주면을 덮는 합성 수지제의 통형의 커버 부재(142f)[또는 (242f)]를 더 구비한다.
이로써,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안내 돌기(142e)[또는 (242e)]와 알루미늄 합금제의 안내 오목부(8i)가 직접 접촉되지 않게 되어, 안내 돌기(142e)[또는 (242e)]가 안내 오목부(8i)에 안내되어도 금속끼리의 접촉에 의한 전해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1: 릴 본체
2: 핸들
4: 스풀
15: 스풀축
17: 클러치 조작 부재
19: 클러치 기구
20: 클러치 제어 기구
30: 핸들축
40: 클러치 캠
40b: 연결공
40c: 제1 연결부
41: 클러치 요크
42: 클러치 클릭
42a: 제1 연결 돌기
42b: 제2 연결 돌기
43: 연결 부재
43e: 클릭 연결공
46: 클러치 복귀 기구
72: 래칫 휠
142: 클러치 클릭
142e: 안내 돌기
142f: 커버 부재
242: 클러치 클릭
242e: 안내 돌기
242f: 커버 부재

Claims (6)

  1.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에 설치된 핸들에 의해 회전하는 스풀과 상기 핸들을 연결 및 연결 해제하는 클러치 기구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클러치 조작 부재의 조작에 의해 동작시키는 듀얼 베어링 릴의 클러치 제어 장치로서,
    상기 릴 본체에 상기 스풀의 중심축 주위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클러치 조작 부재의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클러치 기구가 연결 상태로 되는 연결 위치와 연결 해제 상태로 되는 연결 해제 위치로 회동하는 통형의 클러치 캠(clutch cam);
    상기 클러치 기구에 걸어맞추어지고, 상기 클러치 캠의 회동에 의해 상기 스풀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클러치 기구를 상기 연결 상태와 상기 연결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요크(clutch yoke);
    상기 클러치 캠과 상기 클러치 조작 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클러치 조작 부재의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클러치 캠을 상기 연결 위치와 상기 연결 해제 위치로 회동시키는 연결 부재;
    상기 핸들의 회전축에 장착된 회전 부재와, 제1 단(端)과 제2 단을 가지고, 걸어맞춤 위치와 비걸어맞춤 위치로 이동하는 클러치 복귀 부재와, 상기 클러치 복귀 부재를 상기 걸어맞춤 위치와 상기 비걸어맞춤 위치로 나누어 가압하는 토글(toggle) 스프링 부재를 가지는 클러치 복귀 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 복귀 부재는, 상기 제1 단이 상기 클러치 캠과 상기 연결 부재에 협지되고 상기 클러치 캠과 상기 연결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클러치 캠의 상기 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해제 위치로의 회동에 의해, 상기 비걸어맞춤 위치로부터 상기 제2 단이 상기 회전 부재에 걸어맞추는 상기 걸어맞춤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핸들의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 부재에 의해 상기 제2 단이 압압(押壓)되어 상기 걸어맞춤 위치로부터 상기 비걸어맞춤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클러치 캠 및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연결 위치로 되돌리는, 듀얼 베어링 릴의 클러치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캠은, 상기 토글 스프링 부재에 의해 상기 클러치 복귀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연결 위치 및 상기 연결 해제 위치에 유지되는, 듀얼 베어링 릴의 클러치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복귀 부재는, 상기 클러치 캠을 향해 원기둥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클러치 캠에 연결되는 제1 연결 돌기와, 상기 제1 연결 돌기와 동심(同芯)으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 부재를 향해 원기둥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 부재에 연결되는 제2 연결 돌기를 상기 제1 단에 가지고,
    상기 클러치 캠은, 상기 제1 연결 돌기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2 연결 돌기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 오목부를 가지는, 듀얼 베어링 릴의 클러치 제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조작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클러치 조작 부재의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클러치 캠을 상기 연결 해제 위치로부터 연결 위치로 회동시키는, 듀얼 베어링 릴의 클러치 제어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에는, 상기 클러치 복귀 부재의 상기 제2 단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 복귀 부재의 상기 제2 단에는, 상기 안내부를 향해 돌출하는 안내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기재된 듀얼 베어링 릴의 클러치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는 알루미늄 합금제이며, 상기 클러치 복귀 부재는 스테인레스 합금제이며,
    상기 안내 돌기는, 원기둥형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안내 돌기의 외주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외주면을 덮는 합성 수지제의 통형의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클러치 제어 장치.
KR1020110091993A 2010-09-22 2011-09-09 듀얼 베어링 릴의 클러치 제어 장치 KR101889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12097 2010-09-22
JP2010212097A JP5746841B2 (ja) 2010-09-22 2010-09-22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129A true KR20120031129A (ko) 2012-03-30
KR101889844B1 KR101889844B1 (ko) 2018-08-20

Family

ID=45816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993A KR101889844B1 (ko) 2010-09-22 2011-09-09 듀얼 베어링 릴의 클러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50392B2 (ko)
JP (1) JP5746841B2 (ko)
KR (1) KR101889844B1 (ko)
CN (1) CN102405889B (ko)
MY (1) MY159874A (ko)
TW (1) TWI52203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9412A (ko) * 2014-06-03 2015-12-1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복귀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57124S1 (en) 2009-02-23 2016-05-24 Fecon, Inc. Land clearing tool interface
US8540033B2 (en) 2008-02-22 2013-09-24 Fecon, Inc. Apparatus for land clearing and preparation
JP2014100078A (ja) * 2012-11-19 2014-06-05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JP6218532B2 (ja) * 2013-09-27 2017-10-2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6200287B2 (ja) * 2013-11-14 2017-09-20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両軸受リール
JP6261990B2 (ja) * 2014-01-23 2018-01-1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6360326B2 (ja) * 2014-02-21 2018-07-18 株式会社ミヤマエ 魚釣用リール
CN103875624B (zh) * 2014-03-26 2015-06-24 陈清乡 一种钓竿绕线轮装置
JP6368525B2 (ja) * 2014-04-16 2018-08-0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操作部材
JP6374700B2 (ja) * 2014-05-16 2018-08-1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407578B2 (ja) 2014-06-19 2018-10-1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機構
JP6518514B2 (ja) * 2015-05-28 2019-05-2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653582B2 (ja) * 2016-01-19 2020-02-2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726522B2 (ja) * 2016-05-10 2020-07-22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制御機構
JP7122081B2 (ja) * 2016-09-08 2022-08-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924116B2 (ja) * 2017-10-25 2021-08-25 株式会社シマノ クラッチ操作部及び両軸受リール
JP7064323B2 (ja) * 2017-12-06 2022-05-10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の軸受保持構造および魚釣用リール
JP7084736B2 (ja) * 2018-02-01 2022-06-1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137952B2 (ja) * 2018-03-29 2022-09-15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両軸受リール
USD854586S1 (en) 2018-05-01 2019-07-23 Fecon, Inc. Land clearing tool
JP7227852B2 (ja) * 2019-05-29 2023-02-22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JP7345348B2 (ja) * 2019-10-16 2023-09-1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2024081957A (ja) 2022-12-07 2024-06-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制御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1058A (ja) * 2003-06-30 2005-01-27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トグルばね機構
JP2009082071A (ja) * 2007-09-28 2009-04-23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10172203A (ja) 2009-01-27 2010-08-12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2995A (en) * 1988-12-09 1993-06-29 Shimano, Inc. Fishing reel with seesaw operating clutch control member
JP2966583B2 (ja) * 1991-06-27 1999-10-25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US5598983A (en) * 1993-05-25 1997-02-04 Shimano Inc. Baitcasting reel having a clutch mechanism for transmitting a drive from a handle to a spool
JP3438963B2 (ja) * 1994-10-17 2003-08-1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5607117A (en) * 1995-05-12 1997-03-04 Abu Ab Fishing reel of the multiplier type
JP2002084936A (ja) * 2000-09-18 2002-03-26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US20060289690A1 (en) * 2005-06-01 2006-12-28 Marsh Jeffrey D Bait casting reel and method
JP2008011812A (ja) * 2006-07-07 2008-01-24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5291904B2 (ja) * 2007-08-20 2013-09-18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両軸受リールのキャストコントロール機構
US7798439B2 (en) * 2008-04-08 2010-09-21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JP2009261305A (ja) * 2008-04-24 2009-11-12 Odate Seiko:Kk 魚釣用リール巻取り駆動機構
SG158045A1 (en) * 2008-07-08 2010-01-29 Shimano Kk Drag mechanism for dual-bearing reel
JP2010104322A (ja) * 2008-10-31 2010-05-13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CN201336875Y (zh) * 2008-12-29 2009-11-04 涂晋敏 可调拉力轻便矶钓渔线轮
CN201332636Y (zh) * 2009-01-14 2009-10-28 徐帮奇 一种钓鱼杆绕线车盘
JP5270441B2 (ja) * 2009-04-28 2013-08-2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1058A (ja) * 2003-06-30 2005-01-27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トグルばね機構
JP2009082071A (ja) * 2007-09-28 2009-04-23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10172203A (ja) 2009-01-27 2010-08-12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9412A (ko) * 2014-06-03 2015-12-1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복귀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28592A (en) 2012-07-16
JP2012065574A (ja) 2012-04-05
US20120067993A1 (en) 2012-03-22
JP5746841B2 (ja) 2015-07-08
US8550392B2 (en) 2013-10-08
TWI522037B (zh) 2016-02-21
CN102405889A (zh) 2012-04-11
KR101889844B1 (ko) 2018-08-20
MY159874A (en) 2017-02-15
CN102405889B (zh) 2014-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1129A (ko) 듀얼 베어링 릴의 클러치 제어 장치
JP2012065574A5 (ko)
JP4963279B2 (ja)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操作部材
US8777146B2 (en) Dual-bearing reel
JP5912371B2 (ja) 釣り用リールのトルク制限装置
KR101913237B1 (ko) 듀얼 베어링 릴
KR102405035B1 (ko)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복귀 기구
EP2260700A1 (en) Spinning Reel Drag Switch Device
JP2013070651A5 (ko)
JP2013070652A5 (ko)
EP2594131A1 (en) Handle assembly for dual-bearing reel and dual-bearing reel
KR101081832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벨 와인딩 기구
KR102004390B1 (ko) 듀얼 베어링 릴
JP2015228799A5 (ko)
JP5143759B2 (ja)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制御装置
JP2009159953A (ja) 魚釣り用リール
JP6247115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CN110402902B (zh) 双轴承渔线轮
JP2015159757A5 (ko)
JP3448324B2 (ja) 両軸受リール
JPH07147872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におけるドラ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