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2057A - 카메라 부착 기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부착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2057A
KR20110082057A KR1020117012162A KR20117012162A KR20110082057A KR 20110082057 A KR20110082057 A KR 20110082057A KR 1020117012162 A KR1020117012162 A KR 1020117012162A KR 20117012162 A KR20117012162 A KR 20117012162A KR 20110082057 A KR20110082057 A KR 20110082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image
unit
face image
det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2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8721B1 (ko
Inventor
가츠노부 다이라
하루요시 오시노메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82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66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mass storage, e.g. in document fi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7Data linking a set of images to one another, e.g. sequence, burst or continuous capture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 전화기는, 촬상 화상을 화상 정보로서 출력하는 카메라 모듈(13)과, 화상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105)와, 얼굴 화상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는 얼굴 등록부(504)와, 얼굴 등록부(504)에 유지된 얼굴 화상을 촬상 화상으로부터 검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의 얼굴 추출부(501), 얼굴 파라미터 추출부(502), 매칭 판정부(505)와, 촬상을 위한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촬상 제어부(506)를 구비한다. 촬영 제어부(506)는, 얼굴 등록부(504)에 유지된 얼굴 화상이 검출된 후, 당해 얼굴 화상이 검출되지 않게 되고, 그 후, 다시, 당해 얼굴 화상이 검출된 것에 기초하여, 화상 정보를 메모리(105)에 기억시킨다.

Description

카메라 부착 기기{DEVICE WITH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기, 카메라 부착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카메라 등의 카메라 부착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카메라 부착 기기에는, 통상, 셀프 타이머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이 셀프 타이머 기능은, 셔터를 누르는 사람이 아무도 없는 경우에 사용하는 자동 촬영 기능이다. 셀프 타이머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셔터 버튼이 눌러지면, 일정 시간 후에 셔터가 눌러지고, 촬영된 화상이 메모리에 보존된다. 유저는, 셔터 버튼을 누른 후, 촬영되는 위치로 이동하고, 촬영 준비를 갖추고 셔터가 눌러지는 것을 기다리게 된다.
그러나, 셀프 타이머 기능을 이용한 경우에는, 아무래도 시간적 제약이 있다. 그 때문에, 어떠한 원인에 의해 촬영 준비에 시간이 걸리면, 준비가 완료하기 전에 셔터가 눌러져 버리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 한번 더, 셀프 타이머를 다시 세트하여 촬영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한편, 이들 카메라 부착 기기 중에는, 리모트 콘트롤러(리모콘)에 의한 제어 기능을 구비하고, 리모콘에 의한 원격 조작을 행함으로써 셔터를 누를 수 있도록 한 것, 즉, 리모트 셔터 기능을 구비한 것도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이와 같이, 리모콘에 의해 촬영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는, 충분히 촬영 준비가 갖추어진 후에, 촬영자가 원하는 타이밍에서 셔터를 누를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피사체의 얼굴이나 그 얼굴의 표정을 검출하고, 얼굴의 표정이나 움직임에 따라 자동적으로 셔터가 눌러지는 카메라 부착 기기도 개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2007-41205호 공보[G03B 17/38] 일본국 특허공개 2008-42319호 공보[H04N 5/232]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는 타이밍에서 셔터 동작을 행할 수 있게 하는, 조작성이 뛰어난 카메라 부착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기의 외관 구성의 정면도이다.
도 1b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기의 외관 구성의 측면도이다.
도 1c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기의 외관 구성의 A-A'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리모트 촬영 모드를 실현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리모트 촬영 모드에 있어서 실행되는 촬영 처리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리모트 촬영 모드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검출된 매칭률의 추이와 그에 따르는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는 변경예 1에 관련되는 리모트 촬영 모드를 실현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7a는 변경예 1에 관련되는 리모트 촬영 모드에 있어서 실행되는 촬영 처리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변경예 1에 관련되는 리모트 촬영 모드에 있어서, 등록 유저의 얼굴의 유무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촬영을 행하기 위한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변경예 2에 관련되는 리모트 촬영 모드를 실현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9는 변경예 2에 관련되는 자동 촬영 처리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변경예 3에 관련되는 리모트 촬영 모드를 실현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11a는 변경예 3에 관련되는 리모트 촬영 모드의 자동 설정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b는 변경예 3에 관련되는 리모트 촬영 모드의 자동 해제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는 변경예 3에 관련되는 리모트 촬영 모드의 자동 설정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b는 변경예 3에 관련되는 리모트 촬영 모드의 자동 해제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c는 변경예 3에 관련되는 리모트 촬영 모드의 자동 해제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변경예 3에 관련되는 구성을, 실시 형태에 적용하는 경우의 기능 블록도이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휴대 전화기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이 도면 a는, 제2 캐비넷이 개방된 상태의 휴대 전화기의 정면도, 이 도면 b는 같은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 c는 이 도면 b의 A-A' 단면도이다.
휴대 전화기는, 제1 캐비넷(1)과 제2 캐비넷(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캐비넷(1)의 정면측에는, 텐 키부(11)가 배치되어 있다. 텐 키부(11)에는, 복수개의 번호·문자 입력 키나 통화 개시 키, 통화 종료 키 등이 구비되어 있다. 텐 키부(11)의 배후에는, 백라이트 장치(12)(이하, 「키 백라이트」라고 한다)가 배치되어 있다. 키 백라이트(12)는, 광원이 되는 LED를 구비하고, 텐 키부(11)에 광을 공급한다. 이로 인해, 유저는, 주위가 어두워도 각 키에 부착된 표시를 볼 수 있다.
제1 캐비넷(1)의 내부에는, 카메라 모듈(13)이 배치되어 있다. 카메라 모듈(13)의 렌즈창(도시 생략)은, 제1 캐비넷(1)의 배면을 향하고 있고, 이 렌즈창으로부터 피사체의 상이 카메라 모듈(13)에 도입된다.
제2 캐비넷(2)의 정면측에는, 세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21)가 배치되어 있고, 그 표시면이 정면을 향하고 있다. 이 디스플레이(21)는, 예를 들면, 액정 패널이나 유기 EL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의 배후에는, 백라이트 장치(22)(이하, 「패널 백라이트」라고 한다)가 배치되어 있다. 패널 백라이트(22)는, 광원이 되는 LED를 구비하고, 디스플레이(21)에 광을 공급한다.
제2 캐비넷(2)의 정면측에는, 또한, 메인 키부(23)가 배치되어 있다. 메인 키부(23)에는, 각종 기능 모드(카메라 모드, 메일 모드, 인터넷 모드, 전화번호부 모드)를 기동하기 위한 모드 키, 화면을 스크롤하거나 하이라이트 포커스를 이동시키거나 하기 위한 이동 키, 각종 결정 동작을 행하기 위한 결정 키 등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텐 키부(11)나 메인 키부(23)는, 터치 패널이나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실현할 수도 있다.
제2 캐비넷(2)은, 슬라이드 기구부(3)에 의해, 제1 캐비넷(1)에 대해도 도1의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기구(3)는, 가이드판(31)과 가이드 홈(3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판(31)은, 제2 캐비넷(2)의 배면의 좌우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그 하단에 돌출부(31a)를 가진다. 가이드홈(32)은, 제1 캐비넷(1)의 측면에, 슬라이드 방향(도 1의 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판(31)의 돌출부(31a)는, 가이드홈(32)에 걸어 맞춰져 있다.
휴대 전화기를 닫은 상태에서는, 도 1b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캐비넷(2)이 제1 캐비넷(1) 상에 대략 완전하게 겹쳐져 있다. 이 상태(닫은 상태)에서는, 제2 캐비넷(2)의 배후에 텐 키부(11)의 정면의 모든 키가 숨은 상태가 된다. 제2 캐비넷(2)은, 가이드판(31)이 가이드홈(32)의 종단 위치에 이를 때까지 슬라이드(연 상태로 함)할 수 있다. 제2 캐비넷(2)이 완전하게 열리면,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텐 키부(11)의 모든 키가 외부로 노출된다.
도 2는, 휴대 전화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는, 상술한 각 구성 요소 외에, CPU(100), 영상 인코더(101), 마이크(102), 음성 인코더(103), 통신 모듈(104), 메모리(105), 백라이트 구동 회로(106), 영상 디코더(107), 음성 디코더(108), 스피커(109)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 모듈(13)은, 촬상 렌즈(13a), 촬상 소자(13b)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촬상 렌즈(13a)는, 피사체의 상을 촬상 소자(13b) 상에 결상시킨다. 촬상 소자(13b)는, 예를 들면 CCD로 이루어지고, 도입된 화상에 따른 화상 신호를 생성하고, 영상 인코더(101)로 출력한다. 영상 인코더(101)는, 촬상 소자(13b)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CPU(100)가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의 화상 신호로 변환하여 CPU(100)로 출력한다.
마이크(102)는,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 인코더(103)로 출력한다. 음성 인코더(103)는, 마이크(102)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CPU(100)가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CPU(100)로 출력한다.
통신 모듈(104)은, CPU(100)로부터의 음성 신호나 화상 신호, 텍스트 신호 등을 무선 신호로 변환하고, 안테나(104a)를 통해 기지국에 송신한다. 또, 안테나(104a)를 통해 수신한 무선 신호를 음성 신호나 화상 신호, 텍스트 신호 등으로 변환하여 CPU(100)로 출력한다.
메모리(105)는, ROM 및 RAM을 포함한다. 메모리(105)에는, CPU(100)에 제어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또, 메모리(105)에는, 카메라 모듈(24)로 촬영한 화상 데이터나 통신 모듈(104)을 통해 외부로부터 도입된 화상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메일 데이터) 등이 소정의 파일 형식으로 보존된다.
백라이트 구동 회로(106)는, CPU(1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른 전압 신호를 패널 백라이트(22), 키 백라이트(12)에 공급한다.
영상 디코더(107)는, CPU(100)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21)로 표시할 수 있는 아날로그의 영상 신호로 변환하고, 디스플레이(21)에 출력한다.
음성 디코더(108)는, CPU(100)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스피커(109)로 출력할 수 있는 아날로그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스피커(109)에 출력한다. 스피커(109)는, 음성 디코더(108)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서 재생한다.
CPU(100)는, 카메라 모듈(13), 마이크(102), 메인 키부(23), 텐 키부(11) 등 각부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통신 모듈(104), 영상 디코더(107), 음성 디코더(108) 등의 각부에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여러 가지의 기능 모드의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CPU(100)는, 카메라 모드의 모드 키가 눌러지면, 카메라를 기동한다. 그리고, 이 카메라 모드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13)로부터 보내져 온 화상을 프리뷰 화상으로서 디스플레이(21)에 표시시킨다. 카메라 모듈(13)로부터는 매초 수십 코마의 화상이 보내져 오기 때문에, 디스플레이(21)에는, 거의 동영상 상태로 화상이 표시된다.
유저에 의해 셔터 키(예를 들어, 결정 키가 할당되어 있다)가 눌러지면, CPU(100)는, 그 타이밍에서 촬영된 화상을, JPEG 등 소정의 파일 형식으로 메모리(105)에 기억시킨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는, 카메라 모드 중의 하나의 기능으로서, 리모트 촬영 모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유저 스스로가 촬영 사진에 참가하는 경우에, 소정의 키 조작을 행함으로써 리모트 촬영 모드를 기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리모트 촬영 모드를 실현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CPU(100) 및 메모리(105)는, 리모트 촬영 모드를 실현하기 위해, 얼굴 추출부(501)와, 얼굴 파라미터 추출부(502)와, 등록 제어부(503)와, 얼굴 등록부(504)와, 매칭 판정부(505)와, 촬영 제어부(506)를 구비하고 있다.
얼굴 추출부(501), 얼굴 파라미터 추출부(502), 등록 제어부(503), 매칭 판정부(505) 및 촬영 제어부(506)는, CPU(100)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으로서 실현된다. 또, 얼굴 등록부(504)에는, 메모리(105)의 일부의 기억 영역이 할당되어 있다.
카메라 모듈(13)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는, 영상 인코더(101)을 통해 CPU(100)에 입력되고, 이 화상 데이터가 얼굴 추출부(501)나 얼굴 파라미터 추출부(502)에 의해 취득된다.
얼굴 추출부(501)는, 1 코마마다 혹은 수 코마마다, 1 화면분(1 프레임분)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 화상 데이터를 기본으로 그 화상 중에 포함되는 얼굴 화상의 영역(얼굴 영역)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얼굴 추출부(501)는, 화상 중의 살색을 검출하고, 또한, 목, 코, 입 등의 특징 부분을 화상의 농담 등에 기초하여 검출함으로써, 얼굴 영역의 추출을 행한다. 그리고, 얼굴 영역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 예를 들면 얼굴의 윤곽의 위치 정보(이하, 「얼굴 영역 정보」라고 한다)를 얼굴 파라미터 추출부(502)에 출력한다. 또한, 얼굴 추출부(501)는, 1 화면 중에 얼굴 화상이 복수개 있으면, 모든 얼굴 영역을 추출한다.
얼굴 파라미터 추출부(502)는, 얼굴 추출부(501)와 같은 타이밍에서, 1 화면분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얼굴 추출부(501)로부터 보내져 온 얼굴 영역 정보를 기초로, 얼굴 영역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로부터, 그 얼굴 화상을 특징짓기 위한 파라미터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파라미터에는, 목, 코, 입 등의 각 파트의 형상, 각 파트 간의 간격의 비율, 피부의 색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얼굴 파라미터 추출부(502)는, 얼굴 추출부(501)에 의해 추출된 모든 얼굴 영역에 대해서, 각각 얼굴 화상의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매칭 판정부(505)로 출력한다.
매칭 판정부(505)는, 보내져 온 얼굴 화상의 파라미터와, 얼굴 등록부(504)에 등록되어 있는 얼굴 화상의 파라미터를 조합하고, 등록된 얼굴 화상과의 매칭률(적합률)을 산출한다.
얼굴 등록부(504)로의 얼굴 화상의 파라미터의 등록은, 등록 제어부(503)에 의해 행해진다. 등록 제어부(503)는, 유저로부터의 등록 조작의 입력을 받으면, 얼굴 파라미터 추출부(502)에 대해서, 얼굴 등록부(504)에 파라미터를 보내도록 지시한다. 얼굴 파라미터 추출부(502)는, 이 지시를 받고, 그 때에 추출한 얼굴 화상의 파라미터를 얼굴 등록부(504)에 보낸다. 이와 같이 하여, 얼굴 등록부(504)에 얼굴 화상의 파라미터가 등록된다.
매칭 판정부(505)는, 추출된 모든 얼굴 영역의 얼굴 화상에 대한 매칭률을 산출하여 촬영 제어부(506)로 출력한다.
촬영 제어부(506)는, 보내져 온 매칭률을,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화상 중에 등록된 얼굴 화상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촬영 처리를 행한다.
도 4는, 리모트 촬영 모드에 있어서 실행되는 촬영 처리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5a는, 리모트 촬영 모드가 기동하고 나서 촬영이 완료할 때까지의 조작의 흐름을, 일러스트 그림을 이용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5b는, 검출된 매칭률의 추이와 그에 따르는 제어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5b에 나타내는 매칭률의 막대 그래프는, 편의상, 같은 인물의 얼굴 화상에 대해서 항상 같은 높이가 되도록 그려져 있지만, 같은 인물의 얼굴 화상이어도, 조금 방향이 바뀌는 등 하면 매칭률이 변동하기 때문에, 실제는 약간 그래프의 높이가 달라진다. 이하,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제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리모트 촬영 모드를 이용하기 전에, 미리, 유저에 의해 자신의 얼굴 화상을 등록하는 작업이 행해진다. 카메라 모듈(13)로부터 유저가 촬영되고 있는 상태에서, 유저 혹은 다른 사람이 등록 조작을 행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등록 제어부(503)가 동작하여, 유저의 얼굴 화상의 파라미터가 얼굴 등록부(504)에 등록된다. 이렇게 하여, 유저는, 리모트 촬영 모드의 설정을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등록할 때에 촬영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촬영되어 메모리(105)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으로부터 얼굴 화상의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얼굴 등록부(504)에 등록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유저에 의해, 리모트 촬영 모드를 위한 키 조작이 행해지면, 리모트 촬영 모드가 기동한다.
리모트 촬영 모드가 기동하면, 모드 기동 중에는 항상 얼굴 추출부(501), 얼굴 파라미터 추출부(502) 및 매칭 판정부(505)가 동작하고, 일정 시간 간격(1 코마 또는 수 코마 간격)으로 1 화면분의 모든 얼굴 화상의 매칭률이 매칭 판정부(505)로부터 촬영 제어부(506)로 출력된다.
촬영 제어부(506)는, 우선, 초기 설정으로서, 리모트 플래그(RFG) 및 셔터 플래그(SFG)를 리셋한다.
다음에, 촬영 제어부(506)은, 1 화면분의 얼굴 화상의 매칭률을 취득하고(S102), 1 화면마다, 취득한 매칭률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03).
얼굴 화상을 등록한 유저(이하, 「등록 유저」라고 한다)가, 카메라 모듈(13)의 촬영 영역에 들어가 있지 않은 경우(도 5a의 화면(A))에는, 화상 중에 다른 인물이 있어 그 얼굴 화상이 추출되었다고 해도, 그 매칭률은 낮은 값이 된다(도 5b의 시간 영역(A)).
이 경우, 촬영 제어부(506)는, 임계값을 초과하는 매칭률의 얼굴 화상이 없다고 판정하고(S103 : NO), 또한, RFG는 리셋된 상태이기 때문에(S105 : NO), 단계 S102의 처리로 돌아가고, 다음에 보내져 오는 1 화면분의 얼굴 화상의 매칭률을 취득한다.
그 후, 등록 유저가 촬영 영역에 들어 오면(도 5a의 화면(B)), 등록 유저의 얼굴 화상이 추출된다. 그리고, 그 얼굴 화상의 매칭률은 높은 값이 된다(도 5b의 시간 영역(B)).
이로 인해, 촬영 제어부(506)는, 임계값을 초과하는 매칭률의 얼굴 화상이 있다고 판정하면(S103 : YES), 리셋 상태에 있는 RFG를 세트 상태로 한다(S104 : NO→S107). 이로 인해, 리모트 촬영의 준비 상태가 된다. 그 후, 촬영 제어부(506)는, 단계 S102의 처리로 돌아가고, 다음에 보내져 오는 1 화면분의 얼굴 화상의 매칭률을 취득한다.
그런데, 촬영 위치에 도착한 등록 유저는, 촬영 준비가 갖추어지면, 촬영을 행하기 위한 동작을 행한다. 즉, 촬영 지시의 신호로서, 자신의 얼굴을 일단 숨기고 다시 나타내는 동작을 행한다. 예를 들어, 등록 유저는 얼굴을 일단 아래를 향한 후에 원래로 되돌리는 동작을 행한다(도 5a의 화면 (C)→(D)). 등록 유저가 얼굴을 숨기는 동작을 행하면, 그 얼굴 화상이 추출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매칭률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얼굴 화상이 없어지고, 그리고, 다시 얼굴을 나타내는 동작을 행하면, 매칭률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얼굴 화상이 다시 나타난다(도 5b의 시간 영역(C)→(D)).
촬영 제어부(506)는, 리모트 촬영의 준비 상태에 있어서, 매칭률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얼굴 화상이 없다고 판정하면)(S103 : NO), 이 때는, RFG가 세트되어 있고(S105 : YES), 또한 SFG는 아직도 리셋 상태이기 때문에(S108 : NO), SFG를 세트 한다(S109).
그 후, 촬영 제어부(506)는, 다시, 매칭률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얼굴 화상이 있다고 판정하면(S103 : YES), 이 때는, RFG 및 SFG가 모두 세트 상태이기 때문에(S104 : YES→S106 : YES), 자동 촬영을 개시한다(S110).
촬영 제어부(506)는, 예를 들면, 일정한 지연 시간(3초 후 등)이 경과한 후에, 셔터 동작을 행하고, 그 때에 카메라 모듈(13)이 촬영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105)에 기억시킨다. 이 때, 등록 유저 등에 촬영하는 것을 알리기 위해, 「삑, 삑, 삑, 찰칵」과 같은 알림음을, 스피커(109)로부터 출력시키도록 하면 된다. 또, 알림음과 함께, 혹은 알림음 대신에, LED 등의 발광부를 발광시키거나, 디스플레이(21)의 표시 상태를 바꾸도록 하거나 할 수도 있다.
또한, 자동 촬영의 동작으로서는, 상기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지연 시간의 경과를 기다리지 않고, 즉시 셔터 동작을 행하도록 해도 되고, 오토 포커스 기능이 설치되어 있으면, 포커스 조정 후에 셔터 동작을 행하게 해도 된다.
이렇게 하여, 촬영이 완료된다(도 5a의 화면(E)). 계속해서 촬영을 행하고 싶은 경우, 등록 유저는, 먼저와 같이, 얼굴을 숨긴 후에 나타내는 동작을 행한다. 이렇게 하면, 촬영 처리가 실행되고(단계 S103 : YES→S104 : YES→S106 : YES→S110), 새롭게 촬영된 화상의 화상 데이터가 메모리(105)에 기억된다.
그 후, 유저에 의해, 리모트 촬영 모드 해제를 위한 키 조작이 행해지면, 리모트 촬영 모드가 정지된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등록 유저는, 얼굴을 일단 아래를 향한 후에 원래로 되돌리는 등, 자신의 얼굴을 숨기고 다시 나타내는 동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자신이 의도하는 원하는 타이밍에서 사진 촬영(화상 기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리모콘이 필요없기 때문에, 리모콘을 휴대하는 것을 잊는 등 해도, 리모트 촬영을 행할 수 없게 될 걱정이 없다.
따라서, 카메라의 조작성이 뛰어난 휴대 전화기를 실현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검출 타이밍마다의 화상 중에 있어서 매칭률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얼굴 화상이 있으면, 촬영 영역에 등록 유저가 존재한다고 간주하고 있다. 이 때문에, 화상 중에 등록 유저와 얼굴이 닮은 인물이 있었을 때에는, 등록 유저의 얼굴 화상이 없어져도, 닮은 인물의 얼굴 화상이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으면, 등록 유저의 얼굴 화상이 있다고 판정되어 버린다. 이로 인해, 등록 유저가 촬영 동작을 행해도 적정하게 사진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이것을 해소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는, 임계값을 높게 설정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등록 유저와의 촬영 거리가 멀어지고 추출되는 얼굴 화상이 작아지면, 매칭률이 저하하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 임계값이 너무 높으면, 등록 유저를 검출할 수 없는 우려가 생긴다. 또, 등록 유저가 얼굴의 방향을 바꾸는 것만으로 매칭률은 변동하므로, 임계값이 너무 높은 경우에는, 이 변동에 의해 매칭률이 임계값을 밑돌거나 웃돌거나 하고, 등록 유저가 의도하지 않는데 셔터 동작이 행해져 사진 촬영되어 버린다는 사태도 일어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실시 형태에 비해서, 제어 처리는 복잡해지지만, 등록 유저의 얼굴 화상의 유무를 정밀도 좋게 판정할 수 있도록, 이하에 나타내는 변경예 1과 같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6은, 변경예 1에 관련되는 리모트 촬영 모드를 실현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본 변경예에서는, 매칭 판정부(505)와 촬영 제어부(506)의 사이에, 타겟 특정부(511)와, 타겟 추적부(512)와, 얼굴 유무 검출부(513)가 배치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와 같다.
타겟 특정부(511)는, 매칭 판정부(505)로부터 취득한 매칭률과, 얼굴 추출부(501)로부터 보내져 오는 얼굴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얼굴 영역의 얼굴 화상이 등록 유저의 얼굴 화상이라고 추정되는지를 특정하고, 그 얼굴 화상의 얼굴 영역 정보를 타겟 추적부(512)에 출력한다.
타겟 추적부(512)는, 등록 유저의 얼굴 화상의 얼굴 영역 정보를 받으면, 카메라 모듈(13)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일정 간격(1 코마 혹은 수 코마 간격)으로 취득함으로써, 타겟인 얼굴 영역의 움직임을 추적하고, 그 위치의 정보(이하, 「타겟 위치 정보」라고 한다)를 얼굴 유무 검출부(513)에 출력한다. 또한, 타겟의 추적 수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움직임 벡터를 이용한 주지의 수법(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2006-323437호 공보를 참조)을 채용할 수 있다.
얼굴 유무 검출부(513)는, 얼굴 추출부(501)로부터 보내져 오는 얼굴 영역 정보와 타겟 추적부(512)로부터 보내져 오는 타겟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중의 등록 유저의 얼굴 화상의 유무를 검출한다. 얼굴 유무 검출부(513)는, 타겟 위치 정보에 적합한 얼굴 영역 정보가 있으면, 즉, 추적 중인 타겟의 위치에 얼굴 화상이 검출되면, 화상 중에 등록 유저의 얼굴 화상이 존재한다고 하고, 얼굴 있음 신호를 촬영 제어부(506)로 출력한다. 한편, 타겟 위치 정보에 적합한 얼굴 영역 정보가 없으면, 즉, 추적 중인 타겟의 위치에 얼굴 화상이 검출되지 않으면, 화상 중에 등록 유저의 얼굴 화상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고, 얼굴 없음 신호를 촬영 제어부(506)에 출력한다.
촬영 제어부(506)는, 얼굴 유무 검출부(513)에 의해 검출된 얼굴 유무의 결과에 기초하여 소정의 촬영 동작을 행한다.
도 7은, 변경예 1에 관련되는 리모트 촬영 모드에 있어서 실행되는 촬영 처리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 a는, 등록 유저의 얼굴 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처리(타겟 특정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타겟 특정 처리는, 타겟 특정부(511)와 타겟 추적부(512)에 의해 실행된다. 또, 이 도면 b는, 등록 유저의 얼굴 유무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촬영을 행하기 위한 처리(자동 촬영 처리)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자동 촬영 처리는, 타겟 추적부(512), 얼굴 유무 검출부(513) 및 촬영 제어부(506)에 의해 실행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제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리모트 촬영 모드가 기동하면, 우선, 타겟 특정 처리가 행해진다. 타겟 특정부(511)는, 1 화면분의 얼굴 화상의 매칭률과 얼굴 영역 정보를 취득하고(S201), 1 화면마다, 취득한 매칭률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02). 그리고,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이 있으면(S202 : YES), 그 얼굴 화상의 매칭률이 타겟 특정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최고의 매칭률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203), 최고의 매칭률이면(S203 : YES), 그 얼굴 화상이 등록 유저의 얼굴 화상이라고 판정하고, 그 얼굴 화상에 관한 얼굴 영역 정보를 타겟 추적부(512)에 보낸다. 타겟 추적부(512)는, 그 얼굴 영역 정보로 특정되는 얼굴 영역을 타겟 후보로 하고, 그 움직임의 추적을 개시한다(S204).
타겟 특정부(511)는, 리모트 촬영 모드가 기동하고 나서의 시간을 계측 하고 있다. 본 변경예에서는, 등록 유저가 리모트 촬영 모드의 설정 조작을 행하고 나서 촬영 위치로 이동할 때까지의 시간을 예측하여, 등록 유저를 최종적으로 특정하기 위해 서치 시간이 설정되어 있다.
타겟 특정부(511)는, 서치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으면(S205 : NO), 단계 S201의 처리로 돌아가고, 다음에 보내져 오는 1 화면분의 얼굴 화상의 매칭률과 얼굴 영역 정보를 취득한다. 이렇게 하여, 서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단계 S201로부터 S204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 동안, 매칭률이 최고인 얼굴 화상이 검출될 때에, 타겟 후보가 갱신되고, 갱신된 타겟 후보의 움직임이 추적된다. 또한, 이 동안에 타겟 후보가 화상 중으로부터 없어지면, 타겟 추적부(512)는, 추적을 중단하고 다음의 얼굴 영역 정보를 받을 때까지 대기한다.
이렇게 하여, 서치 시간이 경과하면(S205 : YES), 타겟 특정부(511)는, 타겟 후보가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06). 그리고, 타겟 후보가 존재하고 있으면(S206 : YES), 그 때의 타겟 후보를 정식의 타겟으로서 확정하고(S207), 타겟 특정 처리를 종료한다. 이후, 타겟 추적부(512)는, 확정한 타겟의 추적을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변경예에서는, 서치 시간을 설치하여, 그 시간 중에서 매칭률이 가장 높은 얼굴 화상을 등록 유저의 얼굴 화상으로 특정함으로써, 촬영 영역에 등록 유저와 얼굴이 닮은 인물이 있어도, 그 인물의 얼굴 화상을 등록 유저의 얼굴 화상으로 간주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등록 유저가, 이동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등 하여 서치 시간 내에 촬영 영역 내에 들어가지 못하고, 서치 시간 내에 타겟 후보가 특정되지 않는 경우(S206 : NO)에는, 서치 시간의 계측이 리셋되고(S208), S201로 돌아가, 다시, 타겟 후보의 서치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타겟 특정부(511)는, 타겟 특정 처리가 완료되면, 타겟 추적부(512)에 대해서 타겟이 확정된 취지의 신호를 보낸다. 타겟 추적부(512)는 이 확정 신호를 받으면, 얼굴 유무 검출부(513)로의 타겟 위치 정보의 출력을 개시한다.
타겟 특정 처리가 완료되면, 계속해서, 자동 촬영 처리가 개시된다. 촬영 제어부(506)는, 우선, 셔터 플래그(SFG)를 리셋 상태로 한다(S301).
타겟 추적부(512)는, 타겟, 즉 등록 유저로 추정된 얼굴 화상의 추적을 행하고(S302), 타겟이 촬영 영역 내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S303 : NO), 얼굴 추출부(501)로부터 얼굴 영역 정보가 출력되는 타이밍에 맞추어, 타겟 위치 정보를 얼굴 유무 검출부(513)로 출력한다.
얼굴 유무 검출부(5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얼굴 추출부(501)로부터 보내져 오는 얼굴 영역 정보와 타겟 추적부(512)로부터 보내져 오는 타겟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 유저의 얼굴 화상의 유무를 검출하고, 얼굴 있음 신호 또는 얼굴 없음 신호를 촬영 제어부(506)에 출력한다(S304).
등록 유저가,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자신의 얼굴을 숨긴 후에 나타내는 동작을 행하면, 얼굴 유무 검출부(513)로부터는 얼굴 없음 신호가 출력되고, 그 후, 얼굴 있음 신호가 출력된다.
촬영 제어부(506)는, 얼굴 없음 신호를 받으면, 타겟이 되는 얼굴 화상, 즉 등록 유저의 얼굴 화상이 없다고 판정하고(S305 : NO), 이 때는 SFG가 리셋 상태에 있기 때문에(S307 : NO), SFG를 세트한다(S308). 그리고, 다음에, 얼굴 있음 신호를 받으면, 등록 유저의 얼굴 화상이 있다고 판정하고(S305 : YES), 이 때는 SFG가 세트 상태에 있기 때문에(S306 : YES), 자동 촬영을 행한다(S309). 자동 촬영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같다.
또한, 등록 유저가, 어떠한 사정으로 촬영 영역으로부터 나온 경우, 타겟 추적부(512)는 단계 S303에서 타겟이 촬영 영역으로부터 벗어났다고 판정한다(S303 : YES). 이 경우, 자동 촬영 처리가 종료하고, 타겟 추적부(512)로부터는, 타겟 특정부(511), 얼굴 유무 검출부(513) 및 촬영 제어부(506)에 리셋 신호가 된다. 이에 기초하여, 도 7a에 나타내는 타겟 특정 처리로부터 다시 자동 촬영을 위한 처리가 개시된다.
이상, 본 변경예의 구성에 의하면, 등록 유저라고 판정한 얼굴 화상의 움직임을 추적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같은 화상 중에 등록 유저와 닮은 얼굴의 인물이 있었던 경우에도, 등록 유저의 얼굴 화상의 유무를 정밀도 좋게 검출할 수 있고, 적정하게 자동 촬영 처리로 옮길 수 있다.
(제3 실시예)
사진 촬영을 행할 때, 그때 그때의 상황에 따라, 촬영에 관한 소정의 설정이나 조정이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 촬영에 있어서의 상기 지연 시간의 유무의 설정이나 플래시의 온/오프의 설정, 줌의 조정 등이 행해질 수 있다. 등록 유저는, 이들 설정 등을, 리모트 촬영 모드의 설정을 행할 때 혹은 그 이전에 행하는 경우도 있지만, 촬영 위치에 도착하고 나서 행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본 변경예에서는, 등록 유저의 얼굴 상태(얼굴이 좌우를 향하고 있는 상태)나 다른 부분(손 등)의 상태에 기초하여, 촬영에 관한 설정 등을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8은, 변경예 2에 관련되는 리모트 촬영 모드를 실현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본 변경예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변경예 1의 기능 블록에 대해서, 상태 검출부(521)가 부가되어 있다.
상태 검출부(521)에는, 타겟 추적부(512)로부터 등록 유저의 얼굴 화상에 관한 타겟 위치 정보가 입력된다. 또, 상태 검출부(521)에는, 화상 데이터가 입력된다. 상태 검출부(521)는, 이들 입력에 기초하여, 등록 유저의 얼굴 화상의 상태를 검출하고, 그 상태에 따른 설정 등의 지시 신호를 촬영 제어부(506)로 출력한다.
상태 검출부(521)에는, 얼굴 화상의 상태와 그에 대응하는 지시 내용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지연 시간의 유무가 얼굴의 좌우의 방향에 의해 설정되는 경우, 오른쪽 방향의 얼굴 화상에 대해서 지연 시간 있음의 지시 내용이, 왼쪽 방향의 얼굴 화상에 대해서 지연 시간 없음의 지시 내용이 설정되어 있다.
얼굴의 방향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검출 방법,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2000-97676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수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태 검출부(521)는, 얼굴 영역이 되는 살색 영역의 중심 위치에 대한 눈, 코, 입 등의 상대 위치에 기초하여, 얼굴 화상이 오른쪽 방향인지 왼쪽 방향인지를 검출한다. 즉, 등록 유저의 얼굴이 오른쪽을 향하면, 살색 영역에 있어 눈, 코, 입 등이 오른쪽으로 치우치므로, 상태 검출부(521)는, 얼굴이 오른쪽을 향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지연 시간 있음의 지시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등록 유저의 얼굴이 왼쪽을 향하면, 살색 영역에 있어서 눈, 코, 입 등이 왼쪽으로 치우치므로, 상태 검출부(521)는, 얼굴이 왼쪽을 향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지연 시간 없음의 지시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얼굴 화상이 좌우를 향하는 범위는, 물론, 얼굴 추출부(501)에 의해 얼굴 화상이 검출되는 범위가 된다.
촬영 제어부(506)는, 동작 검출부(521)로부터 설정 등의 지시 신호를 받으면, 이에 따라 설정 등의 처리를 행한다.
도 9는, 변경예 2에 관련되는 자동 촬영 처리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의 처리 플로우에서는, 촬영에 관한 설정 등을 실행하기 위해, 도 7의 처리 플로우에 대해서, 촬영 제어부(506)에 의한 단계 S311 및 S312의 처리가 부가되어 있다.
촬영 제어부(506)는, 등록 유저의 얼굴 화상(타겟)이 특정된 후에 얼굴 화상이 있다고 판정하면(S305 : YES→S306 : NO), 동작 검출부(521)로부터 기능 설정 등의 지시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11). 그리고, 기능 설정 등의 지시가 있으면, 그 지시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S312).
예를 들면, 상기 지연 시간의 유무가 설정되는 경우, 등록 유저가 얼굴을 오른쪽으로 향하면 지연 시간 있음의 설정이 행해지고, 등록 유저가 얼굴을 왼쪽으로 향하면 지연 시간 없음의 설정이 행해진다.
이상, 본 변경예의 구성에 의하면, 등록 유저가 휴대 전화기와는 멀리 떨어진 장소로부터 촬영에 관한 설정이나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변경예에서는, 얼굴 화상의 상태에 따라 상기 지연 시간 이외의 설정 등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에 플래시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래시의 온/오프가 설정되어도 되고, 또, 줌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줌의 인/아웃의 조정이 행해져도 된다. 이 경우는, 디스플레이(21)가 카메라의 렌즈창과 같은 방향으로 전환되는 기구를 설치하여, 피사체(등록 유저) 방향으로부터 줌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변경예에서는, 얼굴 상태가 아니라, 얼굴 이외의 부분의 상태에 따라 기능 설정 등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손가락으로 방향을 가리키는 상태가 검출되고, 손가락의 방향을 따라 기능 설정 등이 이루어져도 된다. 다만, 본 변경예의 경우는, 등록 유저의 얼굴 영역이 추적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얼굴 이외 상태를 검출하는 경우에는, 등록 유저의 상태인 것을 판별할 수 있도록, 등록 유저의 얼굴 화상의 주변의 상태만이 검출되는 구성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실시예)
상기 실시 형태 및 변경예 1, 2에서는, 리모트 촬영 모드의 설정/해제가 소정의 키 조작에 의해 행해진다. 따라서, 등록 유저는, 리모트 촬영 모드를 이용할 때에, 설정 및 해제의 조작을 해야 한다.
그래서, 본 변경예에서는, 리모트 촬영 모드의 설정/해제(기동/정지)가, 키 조작에 의하지 않고 자동으로 행해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 10은, 변경예 3에 관련되는 리모트 촬영 모드를 실현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본 변경예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변경예 1의 기능 블록에 대해서, 모드 제어부(531)가 부가되어 있다.
변경예 1에서는, 타겟 추적부(512)로부터의 리셋 신호가, 얼굴 유무 검출부(513), 촬영 제어부(506) 및 타겟 특정부(511)에 출력되고 있었지만, 본 변경예에서는, 모드 제어부(531)에 출력된다.
또, 본 변경예에서는, 리모트 촬영 모드가 기동하고 있지 않을 때에도, 얼굴 추출부(501), 얼굴 파라미터 추출부(502) 및 매칭 판정부(505)가 동작하고, 모드 제어부(531)에는, 매칭 판정부(505)로부터 매칭률이 입력됨과 더불어, 얼굴 추출부(501)로부터 얼굴 위치 정보가 입력된다.
모드 제어부(531)는, 리모트 촬영 모드가 기동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입력된 매칭률에 기초하여 리모트 촬영 모드를 기동시킨다. 또, 리모트 촬영 모드가 기동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입력된 매칭률, 얼굴 영역 정보 및 리셋 신호에 기초하여 리모트 촬영 모드를 정지시킨다.
도 11은, 변경예 3에 관련되는 리모트 촬영 모드를 자동 설정하는 처리, 및 자동 해제하는 처리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 a는 자동 설정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고, 이 도면 b는 자동 해제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낸다. 또, 도 12는, 변경예 3에 관련되는 리모트 촬영 모드의 자동 설정/해제의 흐름을, 일러스트화를 이용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 a는 자동 설정의 흐름을 나타내고, 이 도면 b, c는 자동 해제의 흐름을 나타낸다. 이하,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제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a를 참조하여, 모드 제어부(531)는, 1 화면분의 얼굴 화상의 매칭률을 취득하고(S401), 1 화면마다, 취득한 매칭률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402).
등록 유저가, 사진 촬영에 참가하지 않고 촬영 영역에 들어가지 않으면, 매칭률이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기 때문에(S402 : NO), 리모트 촬영 모드는 오프인 상태가 된다(도 12a의 화면(A)).
한편, 등록 유저가, 촬영에 참가하기 위해서 촬영 영역에 들어가면, 매칭률이 임계값을 초과하므로(S402 : YES), 모드 제어부(531)는, 화상 중에 등록 유저의 얼굴 화상이 있다고 판정하고, 리모트 촬영 모드를 기동한다(S403 : 도 12a의 화면(B)).
본 변경예에서는, 리모트 촬영 모드가 기동하는 것과 동시에 촬영 준비 상태로 이행한다. 즉, 본 변경예에서는, 변경예 1의 경우와 달리, 도 7a의 타겟 특정 처리가 행해지지 않고, 단계 S402에서 임계값을 초과하였다고 판정한 얼굴 화상(복수 있으면, 매칭률이 최고인 것)을 등록 유저의 얼굴 화상으로 간주하고, 그 얼굴 영역 정보를 타겟 추적부(512)에 출력한다. 이로 인해, 이후는 도 7b의 자동 촬영 처리가 행해진다.
다음에, 도 11b를 참조하여, 모드 제어부(531)는, 리모트 촬영 모드의 기동 중, 1 화면분의 얼굴 화상의 매칭률과 얼굴 영역 정보를 취득하고(S501), 매칭률을 초과하는 얼굴 화상, 즉 등록 유저의 얼굴 화상의 얼굴 영역의 사이즈가 임계값을 초과하였는지(확대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02). 또, 얼굴 영역의 사이즈가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으면(S502 : NO), 얼굴 영역(타겟)이 촬영 영역으로부터 벗어났는지의 여부, 즉 타겟 추적부(512)로부터 리셋 신호가 출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03).
촬영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 등록 유저는 원근 방향으로 너무 크게 움직이지 않고, 또, 촬영 영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그 얼굴 영역의 사이즈는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고(S502 : NO), 또, 리셋 신호가 입력되지도 않는다(S503 : NO). 따라서, 이 경우는, 리모트 촬영 모드가 기동한 상태가 된다(도 12b의 화면(C), 도 12c의 화면(E)).
한편, 촬영이 종료되면, 등록 유저는, 휴대 전화기(카메라 모듈(13))의 쪽을 향한다. 이 때, 등록 유저의 얼굴 화상은, 촬영 영역 내에서 휴대 전화기에 가까워지거나, 촬영 영역으로부터 벗어나거나 한다.
모드 제어부(531)는, 얼굴 화상이 촬영 영역 내에서 휴대 전화기에 가까워짐에 따라, 그 얼굴 영역의 사이즈가 임계값을 초과하였다고 판정하면(S502 : YES), 리모트 촬영 모드를 정지한다(S504 : 도 12b의 화면(D)). 혹은, 얼굴 영역이 촬영 영역으로부터 벗어남으로써, 리셋 신호가 입력되면(S503 : YES), 리모트 촬영 모드를 정지한다(S504 : 도 12b의 화면(F)).
이상, 본 변경예의 구성에 의하면, 등록 유저가 일일이 키 조작을 행하지 않고, 리모트 촬영 모드의 기동, 정지를 행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변경예에서는, 리모트 촬영 모드의 기동 및 정지의 쌍방이 자동으로 행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어느 한쪽만이 자동으로 행해지는 구성으로 되어도 된다.
또, 본 변경예에서는, 등록 유저의 얼굴 영역의 사이즈가 임계값을 초과하였을 때와 얼굴 영역이 화상 중으로부터 벗어났을 때의 쌍방이 판정되고, 리모트 촬영 모드가 정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어느 한쪽만이 판정되는 구성으로 되어도 된다.
또한, 본 변경예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상기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타겟 추적부(512)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등록 유저의 얼굴 영역의 사이즈가 임계값을 초과하였을 때에만, 리모트 촬영 모드가 정지되는 구성으로 된다.
도 13은, 변경예 3에 관련되는 구성을, 상기 실시 형태에 적용하는 경우의 기능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드 제어부(531)에는, 매칭 판정부(505)로부터 매칭률이 입력됨과 더불어, 얼굴 추출부(501)로부터 얼굴 영역 정보가 입력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리모트 촬영 모드를 기동시키는 처리로서, 도 11a와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한편, 리모트 촬영 모드를 정지시키는 처리로서, 도 11b와 같은 처리가 이루어지지만, 단계 S503의 처리는 제외된다. 이 경우는, 단계 S502에서 얼굴 영역의 사이즈가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단계 S511의 처리로 돌아가는 처리 플로우가 된다.
(그 외)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상기 이외에 또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셔터 동작이 행해지면, 즉시 촬영된 화상의 화상 데이터가 메모리(105)에 정식으로 기억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메모리(105)나 CPU(100) 등에 일시적인 기억 영역이 설치되고, 셔터 동작이 행해지면, 이 일시 기억 영역에 촬영 화상이 일단 보존되고, 그 후, 등록 유저 등에 의해 소정의 보존 조작이 이루어지면, 메모리(105)에 정식으로 기억되는 구성으로 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억부는, 상기 실시 형태의 메모리(105)와 같이 촬영 화상을 정식으로 기억하기 위한 수단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일시 기억 영역과 같이 촬영 화상을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수단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의 카메라 부착 기기는, 휴대 전화기에 한정되지 않고, 카메라 부착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나 디지털 카메라 등으로 할 수 있다.
이 외,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나타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촬영자는, 자신의 얼굴을 이용하여, 자신이 의도하는 원하는 타이밍에서 사진 촬영(화상 기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리모콘이 필요없기 때문에, 리모콘을 휴대하는 것을 잊는 등 해도, 리모트 촬영을 행할 수 없게 될 걱정이 없다.
본 발명의 카메라 부착 기기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기억부는, 상기 얼굴 검출부에 의해 상기 얼굴 화상이 검출된 후, 상기 얼굴 화상이 검출되지 않게 되고, 그 후, 다시, 상기 얼굴 화상이 검출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기 위한 제어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촬영자의 얼굴이 숨고 다시 나타나는 동작이 행해지면, 이것에 기초하여 셔터 동작이 행해져 화상 정보가 기억된다.
따라서, 촬영자는, 상기의 동작을 행함으로써, 자신이 의도하는 원하는 타이밍에서 사진 촬영(화상 기억)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카메라 부착 기기에 있어서는, 상기 리모트 기억부에 의한 제어 처리는, 상기 카메라부에 의한 촬상이 개시된 후, 상기 얼굴 검출부에 의해 상기 얼굴 화상이 검출됨에 따라 기동되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촬영자가 일일이 설정 조작을 행하지 않고, 리모트 촬영을 위한 제어 처리를 기동시킬 수 있으므로, 또한 조작성이 좋아진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부착 기기에 있어서는, 상기 얼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얼굴 화상을 상기 촬상 화상 중에 있어서 추적하는 추적부를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모트 기억부에 의한 제어 처리가 기동된 후, 상기 추적부에 의해 상기 얼굴 화상이 상기 촬상 화상으로부터 빠져 나온 것이 검출됨에 따라서, 상기 리모트 기억부에 의한 제어 처리가 정지되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혹은 본 발명의 카메라 부착 기기에 있어서는, 상기 리모트 기억부에 의한 제어 처리가 기동된 후, 상기 얼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얼굴 화상의 크기가 임계값을 초과함에 따라, 상기 리모트 기억부에 의한 제어 처리가 정지되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촬영자가 일일이 설정 조작을 행하지 않고, 리모트 촬영을 위한 제어 처리를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또한 조작성이 좋아진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부착 기기에 있어서는, 상기 얼굴 검출부에 의해 상기 촬상 화상으로부터 검출된 상기 얼굴 화상의 대상이 되는 인물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를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모트 기억부는, 상기 동작 상태에 따라서 촬영에 관련하는 기능 설정을 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촬영자는, 기기와는 멀리 떨어진 장소로부터 촬영에 관한 기능 설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원하는 타이밍에서 셔터 동작을 행할 수 있게 하는, 조작성이 뛰어난 카메라 부착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 내지 의의는,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의 설명에 의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이하의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을 실시화할 때의 하나의 예시이며,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기재된 것에 전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카메라 부착 기기에 관한 것이며, 원하는 타이밍에서 셔터 동작을 행하게 하는 카메라 부착 기기에 이용할 수 있다.
13 : 카메라 모듈(카메라부) 105 : 메모리(기억부)
501 : 얼굴 추출부(얼굴 검출부)
502 : 얼굴 파라미터 추출부(얼굴 검출부)
504 : 얼굴 등록부 505 : 매칭 판정부(얼굴 검출부)
506 : 촬영 제어부(얼굴 검출부, 리모트 기억부)
511 : 타겟 특정부(얼굴 검출부)
512 : 타겟 추적부(얼굴 검출부, 추적부)
513 : 얼굴 유무 검출부(얼굴 검출부)
521 : 상태 검출부 531 : 모드 제어부

Claims (10)

  1. 촬상 화상을 화상 정보로서 출력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화상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얼굴 화상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는 얼굴 등록부와,
    상기 얼굴 화상에 관한 정보를 상기 촬상 화상으로부터 검출하는 얼굴 검출부와,
    상기 얼굴 화상이 검출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기 위한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리모트 기억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기억부는, 상기 얼굴 검출부에 의해 상기 얼굴 화상이 검출된 후, 상기 얼굴 화상이 검출되지 않게 되고, 그 후, 다시, 상기 얼굴 화상이 검출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기 위한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기억부에 의한 제어 처리는, 상기 카메라부에 의한 촬상이 개시된 후, 상기 얼굴 검출부에 의해 상기 얼굴 화상이 검출됨에 따라 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얼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얼굴 화상을 상기 촬상 화상 중에서 추적하는 추적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리모트 기억부에 의한 제어 처리가 기동된 후, 상기 추적부에 의해 상기 얼굴 화상이 상기 촬상 화상으로부터 빠져 나온 것이 검출됨에 따라, 상기 리모트 기억부에 의한 제어 처리가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기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기억부에 의한 제어 처리가 기동된 후, 상기 얼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얼굴 화상의 크기가 임계값을 초과함에 따라, 상기 리모트 기억부에 의한 제어 처리가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기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얼굴 검출부에 의해 상기 촬상 화상으로부터 검출된 상기 얼굴 화상의 대상이 되는 인물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리모트 기억부는, 상기 동작 상태에 따라 촬영에 관련하는 기능 설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기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얼굴 검출부에 의해 상기 촬상 화상으로부터 검출된 상기 얼굴 화상의 대상이 되는 인물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리모트 기억부는, 상기 동작 상태에 따라 촬영에 관련하는 기능 설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기기.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얼굴 검출부에 의해 상기 촬상 화상으로부터 검출된 상기 얼굴 화상의 대상이 되는 인물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리모트 기억부는, 상기 동작 상태에 따라 촬영에 관련하는 기능 설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기기.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얼굴 검출부에 의해 상기 촬상 화상으로부터 검출된 상기 얼굴 화상의 대상이 되는 인물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리모트 기억부는, 상기 동작 상태에 따라 촬영에 관련하는 기능 설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기기.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얼굴 검출부에 의해 상기 촬상 화상으로부터 검출된 상기 얼굴 화상의 대상이 되는 인물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리모트 기억부는, 상기 동작 상태에 따라 촬영에 관련하는 기능 설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기기.
KR1020117012162A 2008-11-26 2009-11-25 카메라 부착 기기 KR101248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00761A JP4927808B2 (ja) 2008-11-26 2008-11-26 カメラ付き機器
JPJP-P-2008-300761 2008-11-26
PCT/JP2009/069870 WO2010061850A1 (ja) 2008-11-26 2009-11-25 カメラ付き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057A true KR20110082057A (ko) 2011-07-15
KR101248721B1 KR101248721B1 (ko) 2013-04-01

Family

ID=42225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2162A KR101248721B1 (ko) 2008-11-26 2009-11-25 카메라 부착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803997B2 (ko)
JP (1) JP4927808B2 (ko)
KR (1) KR101248721B1 (ko)
WO (1) WO20100618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8071B2 (en) * 2009-12-16 2013-07-02 Nvid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motion-compensated composite image
WO2012169606A1 (ja) * 2011-06-10 2012-12-13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054984A1 (en) * 2012-03-15 2015-02-26 Nec Display Solutions, Lt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US9007508B2 (en) * 2012-03-29 2015-04-14 Sony Corporation Portable device, photographing method, and program for setting a target region and performing an image capturing operation when a target is detected in the target region
JP5959923B2 (ja) * 2012-04-26 2016-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検出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撮像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20130335587A1 (en) * 2012-06-14 2013-12-19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Terminal device and image capturing method
JP5780569B1 (ja) * 2014-03-19 2015-09-16 株式会社 テクノミライ デジタルロス・デフェンス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04808B2 (ja) * 2014-12-22 2019-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音声コマンド機能の設定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N109246355B (zh) * 2018-09-19 2020-12-18 北京云迹科技有限公司 利用机器人生成全景图像的方法、装置及机器人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4726B2 (ja) 1998-09-24 2003-10-06 三洋電機株式会社 顔向き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2290529A (ja) * 2001-03-28 2002-10-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通信端末、情報表示装置、制御入力装置および制御入力方法
JP2003224761A (ja) * 2002-01-28 2003-08-08 Konica Corp 撮像装置
JP2004294498A (ja) * 2003-03-25 2004-10-21 Fuji Photo Film Co Ltd 自動撮影システム
JP2005051472A (ja) * 2003-07-28 2005-02-24 Nikon Corp 自動撮影制御装置、自動撮影用プログラム、カメラ
CA2568633C (en) * 2004-10-15 2008-04-01 Oren Halpern A system and a method for improving the captured images of digital still cameras
JP2007041205A (ja) 2005-08-02 2007-02-15 Sanyo Electric Co Ltd カメラ付携帯電話機
KR100987248B1 (ko) 2005-08-11 201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자 입력 방법 및 장치
JP5087856B2 (ja) * 2006-04-05 2012-12-05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JP4654974B2 (ja) * 2006-05-23 2011-03-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装置および撮影方法
JP4338047B2 (ja) * 2006-07-25 2009-09-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
JP4197019B2 (ja) 2006-08-02 2008-12-1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表情評価装置
JP2008160280A (ja) 2006-12-21 2008-07-10 Sanyo Electric Co Ltd 撮像装置および自動撮像方法
GB2448221B (en) * 2007-04-02 2012-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position information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JP4600435B2 (ja) * 2007-06-13 2010-12-1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撮影装置及び画像撮影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356778B2 (ja) * 2007-06-25 2009-11-0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撮影装置及び画像撮影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998122B2 (ja) * 2007-07-10 2012-08-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8111874B2 (en) * 2007-12-04 2012-02-07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capturing
JP5030022B2 (ja) * 2007-12-13 2012-09-1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466770B2 (ja) * 2008-06-26 2010-05-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プログラム
JP4770929B2 (ja) * 2009-01-14 2011-09-14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27808B2 (ja) 2012-05-09
US8947552B2 (en) 2015-02-03
KR101248721B1 (ko) 2013-04-01
US20120086833A1 (en) 2012-04-12
US20110294545A1 (en) 2011-12-01
WO2010061850A1 (ja) 2010-06-03
US8803997B2 (en) 2014-08-12
JP2010130156A (ja)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721B1 (ko) 카메라 부착 기기
JP4659088B2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
US10270975B2 (en) Preview image display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6426484B2 (ja) 携帯端末
EP317971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photograph from being shielded
KR101762769B1 (ko)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576320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6257913B (zh) 摄像控制设备及其控制方法
CN111385456A (zh) 拍照预览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4876836B2 (ja) 撮像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600987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233727B2 (ja) 電子カメラ
EP3211879A1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capturing photograph, electronic device
US10496339B2 (en) Printer that detects a face as a subject, camera with printer, and printing method
KR20120126842A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영상 촬영 방법
JP2006081113A (ja) 携帯端末装置
JP2014045404A (ja) 携帯端末
JP5104517B2 (ja) 撮影装置
JP5225446B2 (ja) カメラ付き機器
CN111756985A (zh) 图像拍摄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5278060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458470B1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카메라 컴포넌트, 전자 기기, 저장 매체
JP2005027002A (ja) 通信機能付カメラ
CN112752030A (zh) 拍摄方法、拍摄装置及存储介质
JP2012120003A (ja) 撮影装置、撮影装置における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