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6842A -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영상 촬영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영상 촬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6842A
KR20120126842A KR1020110044934A KR20110044934A KR20120126842A KR 20120126842 A KR20120126842 A KR 20120126842A KR 1020110044934 A KR1020110044934 A KR 1020110044934A KR 20110044934 A KR20110044934 A KR 20110044934A KR 20120126842 A KR20120126842 A KR 20120126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area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4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6842A/ko
Publication of KR20120126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8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2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recognition; Selection of recognition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휴대용 전자기기의 영상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영상 촬영 방법은, 프리뷰 화면에 제한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제한 영역의 면적과 피사체가 상기 제한 영역과 겹치는 부분의 면적의 비교를 통해 상기 피사체의 정위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정위치 신호 또는 피사체의 이동을 지시하는 가이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촬영 명령 입력시, 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뷰파인더를 볼 수 없더라도 편리하고 정확하게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셀프 촬영을 할 수 있고, 또한, 셀프 타이머 방식을 통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영상 촬영 방법 {PORTABLE APPARATUS CONTAINING A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SELF CAPTURE USING THE PORTABLE APPARATUS}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휴대용 전자기기의 영상 촬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셀프 촬영 시에 보다 편리하게 촬영을 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와 그러한 전자기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들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들은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에 따라 단순히 한 가지 기능을 갖기보다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용화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여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들이다. 특히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가 이루어지면서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들에 카메라 모듈의 탑재는 이미 일반화되어 있다.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들에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면서,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인물을 촬영하는데, 근래 UCC(User Created Contents), 개인 홈페이지 등의 활성화와 더불어 인물 촬영 중에서도 자기 자신의 영상을 찍는 소위 셀프(Self) 촬영을 수행할 경우가 빈번하다.
그런데 종래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로 셀프 촬영을 하는 경우 촬영자는 뷰파인더(viewfinder)로 자신을 볼 수 없어, 사진이 제대로 찍히는 지 알 수 없으며, 원하는 사진을 얻기 위해서는 여러 번 촬영 해야하는 불편이 있다.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면에 볼록 거울을 화각에 맞게 장착하거나, 뷰파인더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전자기기들이 등장했으나 셀프 촬영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 얼굴이 배치된 영상을 획득하기 힘들고, 카메라의 화각 때문에 휴대용 전자기기들을 파지한 손을 멀리 뻗어야 하므로 손떨림이 생겨 초점이 흔들리는 등 여전히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셀프 촬영이 가능하였다.
특히, 기존에 카메라에서 멀리 떨어진 지점에서 셀프 촬영을 하는 경우, 셀프 타이머 촬영기능을 활용하여 카메라를 고정시켜 놓고, 셀프 타이머 촬영기능을 실행하고,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 내에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가서 포즈를 취하고, 타이머가 종료되면 사진이 찍히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다시 카메라로 돌아와 사진이 제대로 찍혔는지 확인하고 마음에 들지 않으면 다시 셀프 촬영 과정을 반복해야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셀프 타이머 촬영은 보통 야외에서 수행되고 촬영자와 카메라간의 거리가 멀며 촬영이 이루어지기까지의 타이머 대기 시간이 길고 가변적이어서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사진 촬영이 수행되는 경우가 있다. 타이머 대기 시간 내에 타인이 피사체 구도 내에 침범하거나, 플래시 발광 촬영시 타이머 대기 시간이 충전 시간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등이 그러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셀프 촬영 시에 보다 편리하게 촬영을 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와 그러한 전자기기를 이용한 셀프 리모트 촬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영상 촬영 방법은, 프리뷰 화면에 제한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제한 영역의 면적과 피사체가 상기 제한 영역과 겹치는 부분의 면적의 비교를 통해 상기 피사체의 정위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정위치 신호 또는 피사체의 이동을 지시하는 가이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촬영 명령 입력시, 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영상 촬영 방법은 프리뷰 화면에 제한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피사체와 상기 제한 영역과의 거리값을 측정하여 상기 피사체의 정위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정위치 신호 또는 피사체의 이동을 지시하는 가이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촬영 명령 입력시, 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는 피사체의 영상을 입력 받으며, 사용자의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부; 사용자가 정위치 영역 및 제한 영역을 설정하며 오차 허용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입력부; 상기 정위치 영역, 상기 제한영역 및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제한 영역의 면적과 피사체가 상기 제한 영역과 겹치는 부분의 면적의 비교 또는 상기 피사체와 상기 제한 영역과의 거리값 측정을 통해 따라 상기 피사체의 정위치 여부를 판단하여, 정위치 신호 또는 피사체의 이동을 지시하는 가이드 신호의 출력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판단에 따라 정위치 신호 또는 가이드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뷰파인더를 보지 않더라도, 셀프 촬영으로 편리하고 정확하게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셀프 타이머 방식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사진촬영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영상 촬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영상 촬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에서의 제한 영역을 설정을 위한 유저인터페이스(UI)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정위치 영역을 나타내는 유저인터페이스(UI)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에서의 유저인터페이스(UI)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에서의 유저인터페이스(UI)를 도시하는 다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에서의 유저인터페이스(UI)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에서의 유저인터페이스(UI)를 도시하는 다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휴대용 전자기기의 영상 촬영 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을 설명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부(308)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휴대용 전자기기(300)는 제어부(301), 입력부(302), 디스플레이부(304), 저장부(305), 신호 출력부(306), 오디오 처리부(307), 카메라 모듈부(308)를 포함한다.
입력부(302)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301)에 전달한다. 사용자 명령은 정위치 영역(203) 및 제한 영역(202) 그리고 오차 허용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명령을 포함한다.
즉, 입력부(302)가 사용자의 설정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301)에 전달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정위치 영역(203) 및 제한 영역(202)을 설정 명령과 오차 허용범위를 설정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301)에 전달한다. 이때, 입력부(302)는 3*4 패드, Qwerty 패드 등 숫자 키, 문자 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touch panel)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버튼 키(button key), 조그 키(jog key), 휠 키(wheel key)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4)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301)로부터 설정된 정위치 영역(203), 상기 제한 영역(202)의 영상과, 촬영된 영상의 출력 명령을 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저장부(305)는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휴대용 전자기기(3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기타 옵션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이미지, 동영상, 폰 북, 오디오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신호 출력부(306)는 제어부(301)의 제어에 따라 정위치 신호 또는 가이드 신호를 출력한다. 신호 출력부(306)는 발광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소자는 피사체의 이동방향을 지시할 수 있도록 상하좌우 방향으로 복수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될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대각선 방향 등을 지시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출력부(306)는 블루투스 모듈 등 다양한 기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307)는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307)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오디오 처리부(307)에 음성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음성 모듈은 사용자가 음성으로 촬영 명령을 내리면 음성 모듈은 이를 인식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 후 제어부(301)로 전달한다. 이 경우, 오디오 처리부(307)은 음성 신호 입력부로 동작한다. 정위치 신호 및 가이드 신호의 출력시에 제어부(301)는 오디오 처리부(307)를 제어하여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처리부(307)은 음향 신호 출력부로 동작한다.
카메라 모듈부(308)는 피사체를 촬영하며,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미도시)와, 아날로그 이미지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semiconductor) 센서가 될 수 있으며, 신호 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센서 및 신호 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영상을 촬영한다. 이 경우 카메라 모듈부(308)는 입력부로 동작한다. 카메라 모듈부(308)는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301)로 전달한다. 제어부(301)는 전기적 신호를 인식하여 기 설정된 특정한 모션인 경우에 카메라 모듈부에(308)가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301)는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1)는 카메라 촬영 모드가 시작되어 리모트 촬영모드 선택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하여, 촬명모드를 리모트 촬영모드로 전환한다. 리모트 촬영모드가 시작되면 제어부는(301) 정위치 영역(203) 및 제한 영역(202) 설정을 위한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304)를 제어한다. 제어부(301)는 입력부(302)로부터 정위치 및 제한 영역 그리고 오차 허용범위에 대한 설정을 전달받아 이를 디스플레이부(304)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301)는 제한 영역(202)의 면적과 피사체가 제한 영역(202)과 겹치는 부분의 면적의 비율을 계산하고 그 비율과 기 설정해 놓은 오차 허용범위를 비교하여 정위치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상기 제한 영역과 상기 피사체의 거리값을 측정하고, 상기 거리값과 기 설정된 오차 허용범위를 비교하여 정위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301)는 신호출력부(306)에 피사체가 정위치인 경우에는 정위치 신호를, 피사체가 정위치가 아닌 경우에는 이동을 지시하는 가이드 신호를 출력을 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입력부(302)로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301)는 카메라 모듈(308)이 촬영을 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휴대용 전자기기(300)는 이미지 센서,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CPU, 메모리 및 이들을 구동하는 운영체제를 포함하는 것들을 의미하며, 모바일폰,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등의 전자기기가 될 수도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영상 촬영 방법의 순서도이다.
100단계에서 제어부(301)는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 101단계에서 대기 상태의 제어부(301)는 사용자로부터 셀프 리모트 촬영모드 선택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 셀프 리모트 촬영모드는 휴대용 전자기기(300)에서 셀프 촬영시 휴대용 전자기기(300)와 떨어져 있어도 정위치를 찾고 촬영 명령을 내릴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한다.
101단계에서 제어부(301)는 셀프 리모트 촬영모드 선택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다른 명령이 입력될 때까지 100단계의 대기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제어부(301)는 셀프 리모트 촬영모드 선택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102단계로 진행하여, 정위치 영역(203) 및 제한 영역(202)을 설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300)에서의 제한 영역(202)을 설정을 위한 유저인터페이스(UI)(200)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300)에서 정위치 영역(203)을 나타내는 유저인터페이스(UI)(200)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위치 영역(203) 및 제한 영역(202)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200)가 도시되어 있다. 제한 영역(202) 설정 메뉴가 실행되면, 제어부(301)는 제한 영역(202)을 설정하는 유저인터페이스(UI)(200)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304)를 제어하며, 입력부(30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한 영역(202)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부 제한 영역, 하부 제한 영역, 좌측 제한 영역, 우측 제한 영역을 설정한다. 제한 영역(202)은 하나의 영역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복수의 영역으로도 설정 가능하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좌우의 모든 방향에 제한 영역(202)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304)는 제한 영역(202)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메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원하는 배경과 구도에 따라 자유롭게 제한 영역(202)을 설정할 수 있다.
제한 영역(202)을 설정 명령의 입력 방법은, 입력부(302)에 따라 3*4 패드, Qwerty 패드 등 숫자 키, 문자 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를 이용하거나, 터치 패널(touch panel)이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입력부(302)에 따라 버튼 키(button key), 조그 키(jog key), 휠 키(wheel key) 이용하여 제한 영역(202)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제어부(301)는 제한 영역(202)을 설정한 후에 103단계에서, 입력부(302)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 명령에 따라 오차 허용범위를 설정하게 된다. 오차 허용범위의 설정 명령의 입력 방법 역시 입력부(302)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오차 허용범위란 이하에서 설명하는바와 같이 제어부(301)가 정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피사체가 제한 영역(202)에 포함되는 것을 얼마나 허용할 것인가를 의미한다. 오차 허용범위가 커질수록 피사체가 제한 영역(202)에 일부 포함되는 것을 허용하고 정위치라고 판단할 것이고, 오차 허용 범위가 작아질수록 보다 정밀하게 원하는 위치에서의 영상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오차 허용 범위설정이 끝나고 피사체가 카메라 렌즈 앞에 위치하면, 제어부(301)는 피사체의 정위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피사체의 정위치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제어부(301)는 104단계에서, 제한 영역(202)의 면적과 피사체가 제한 영역(202)과 겹치는 부분의 면적과의 비율값을 계산하고, 105단계에서, 비율값과 기 설정된 오차 허용범위를 비교하여, 비율값이 오차 허용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300)에서의 유저인터페이스(UI)(200)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300)에서의 유저인터페이스(UI)(200)를 도시하는 다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제한 영역(202)의 면적과 피사체(201)가 제한 영역(202)과 겹치는 부분의 면적과의 관계를 알 수 있다. 제한 영역(202)의 면적과 피사체(201)가 제한 영역(202)과 겹치는 부분의 면적과의 비율값은, 겹치는 부분의 면적을 A, 제한 영역의 면적을 B라 할 때,
비율값 = A / B
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겹치는 부분의 면적 A는 제한 영역(202)과 겹치는 모든 부분의 면적이 아니라 제한 영역(202)의 일 면과 겹치는 부분의 면적을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 제한 영역(202)의 면적 B 역시 설정한 전체의 제한 영역(202)에 대한 면적이 아니라, 피사체와 겹치는 부분 중 일 면, 즉, 상부 제한 영역, 하부 제한 영역, 좌측 제한 영역, 우측 제한 영역 중 하나로 피사체와 겹치는 부분의 제한 영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어부(301)는 피사체가 상부 제한 영역, 하부 제한 영역, 좌측 제한 영역, 우측 제한 영역 중 하나 이상과 겹친다고 판단하면 비율값은 그 겹치는 수와 동일하게 여러 번 계산한다. 이러한 복수회의 계산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01)에서 판단한 바가 오차 허용범위 내라면 106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301)는 신호 출력부(306) 또는 오디오 처리부(307)를 제어하여 정위치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반해, 제어부(301)에서 판단한 바가 오차 허용 범위 밖이라면, 107단계에서, 제어부(301)는 피사체가 오차 허용범위 내로 들어올 수 있도록, 비율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이동방향을 결정한다.
이동방향을 결정하면, 108단계에서 제어부(301)는 신호 출력부(306) 또는 오디오 처리부(307)를 제어하여 가이드 신호를 출력한다.
가이드 신호 출력 후 피사체가 그에 따라 이동하면, 다시 한 번 104, 105 단계를 수행하고, 피사체가 정위치할 때까지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신호 출력부(306)에서 정위치 신호와 가이드 신호의 출력 방법으로, 제어부(301)는 신호 출력부(306)를 제어하여 이동 방향과 거리를 피사체에게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301)는 저장된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이를 블루투스 신호로 변환해 블루투스 헤드셋을 갖는 사용자에게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하며, 블루투스 헤드셋은 이를 전송받아 음성 신호로 변환해 피사체에게 가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1)는 저장된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오디오 처리부(307)의 스피커(SPK)를 통해 이를 음성 신호로 변환해 피사체에게 가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109, 110단계에서 정위치 신호를 본 피사체는 촬영 명령을 내리고 제어부(301)는 입력부(302)를 통해 촬영 명령을 입력 받아 카메라 모듈부(308)을 제어하여 영상 촬영을 수행하게 된다.
오디오 처리부(307)가 음성 신호 입력부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해 미리 정해진 특정한 '단어'나 '문장'을 말하면 휴대용 전자기기가 이를 인식하여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부(308)가 입력부로 동작하는 경우, 모션 인식 기능의 활용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휴대용 전자기기가 모션 인식 기능을 갖추고 있다면, 피사체가 미리 약속된 '동작', 예를 들어 팔로 큰 원을 그린다던지, 손을 흔든다던지 하는 동작을 행하는 경우, 이를 촬영 명령으로 인식하여 영상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음성을 입력하면, 휴대용 전자기기(300)내의 블루투스 모듈은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301)로 전송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102단계의 정위치 영역(203) 및 제한 영역(202) 설정은 그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100단계의 대기 상태 또는 101단계의 리모트 촬영 모드 선택 이전이라도 가능하다. 즉, 대기 상태나 리모트 촬영 모드 선택 이전이라도 제한 영역(202) 설정 메뉴가 실행되면, 제어부(301)는 제한 영역(202)을 설정하는 유저인터페이스(UI)(200)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304)를 제어하며, 입력부(30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한 영역(202)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부 제한 영역, 하부 제한 영역, 좌측 제한 영역, 우측 제한 영역을 설정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영상 촬영 방법의 순서도이다.
제 2 실시예에서 120 내지 123단계, 129 및 130단계는 도 2의 100단계 내지 103단계, 109 및 110단계와 동일한 과정에 해당한다.
이하에서는 124단계부터 설명한다.
오차 허용범위 설정이 끝나고 피사체가 카메라 렌즈 앞에 위치하면, 제어부(301)는 피사체의 정위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피사체의 정위치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제어부(301)는 124단계에서, 제한 영역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값을 측정하고, 125단계에서, 거리값과 기 설정된 오차 허용범위를 비교하여 거리값이 오차 허용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300)에서의 유저인터페이스(UI)(200)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300)에서의 다른 유저인터페이스(UI)(200)를 도시하는 다른 예시도이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122단계에서 설정된 제한 영역(202)에 따라 제한 영역(202) 내의 상하 및 좌우의 거리값은 이미 설정되어 있다. D1, D2등의 제한 영역(202)과 피사체간 거리는 피사체와 제한 영역간의 최단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D1, D2 등의 값이 음수로 되는 시점은 피사체가 제한영역에 겹치게 되는 시점을 의미한다.
제어부(301)는 정위치 여부 판단을 위하여 상하좌우 제한 영역(202)으로부터 거리값을 각각 측정하며, 측정과 오차 허용범위 내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네 영역에 대해서 동시에 이루어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01)에서 판단한 거리값이 오차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127단계로 진행하여, 거리값이 증가 또는 감소하여 오차 허용 범위 내로 들어올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 방향을 결정한다.
이동방향을 결정하면, 128단계에서 제어부(301)는 신호 출력부(306) 또는 오디오 처리부(307)를 제어하여 가이드 신호를 출력한다.
가이드 신호 출력 후 피사체가 그에 따라 이동하면, 다시 한 번 124, 125 단계를 수행하고, 피사체가 정위치할 때까지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122단계의 정위치 영역(203) 및 제한 영역(202) 설정은 그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120단계의 대기 상태 또는 121단계의 리모트 촬영 모드 선택 이전이라도 가능하다. 즉, 대기 상태나 리모트 촬영 모드 선택 이전이라도 제한 영역(202) 설정 메뉴가 실행되면, 제어부(301)는 제한 영역(202)을 설정하는 유저인터페이스(UI)(200)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304)를 제어하며, 입력부(30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한 영역(202)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부 제한 영역, 하부 제한 영역, 좌측 제한 영역, 우측 제한 영역을 설정 가능하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200 :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
201 : 피사체
202 : 제한 영역
203 : 정위치 영역
300 : 휴대용 전자기기
301 : 제어부
302 : 입력부
304 : 디스플레이부
305 : 저장부
306 : 신호 출력부
307 : 오디오 처리부
308 : 카메라 모듈부

Claims (21)

  1.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영상 촬영 방법 있어서,
    프리뷰 화면에 제한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제한 영역의 면적과 피사체가 상기 제한 영역과 겹치는 부분의 면적의 비교를 통해 상기 피사체의 정위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정위치 신호 또는 피사체의 이동을 지시하는 가이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촬영 명령 입력시, 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영상 촬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부 제한 영역, 하부 제한 영역, 좌측 제한 영역, 우측 제한 영역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한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영상 촬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피사체가 상기 정위치인 경우, 정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피사체가 상기 정위치가 아닌 경우, 상기 피사체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여 가이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영상 촬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겹치는 부분의 면적과 상기 제한 영역과의 비율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비율값과 기 설정된 오차 허용범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율값이 상기 오차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비율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피사체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영상 촬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원격의 사용자에게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영상 촬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발광소자를 통해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영상 촬영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해 음성을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입력된 영상을 분석하여 모션을 인식하는 단계;
    인식한 상기 음성 또는 모션이 기 설정된 음성 또는 모션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인식한 상기 음성 또는 모션이 기 설정된 음성 또는 모션과 일치한다면, 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영상 촬영 방법.
  8.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영상 촬영 방법 있어서,
    프리뷰 화면에 제한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피사체와 상기 제한 영역과의 거리값을 측정하여 상기 피사체의 정위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정위치 신호 또는 피사체의 이동을 지시하는 가이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촬영 명령 입력시, 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영상 촬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부 제한 영역, 하부 제한 영역, 좌측 제한 영역, 우측 제한 영역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한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영상 촬영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피사체가 상기 정위치인 경우, 정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피사체가 상기 정위치가 아닌 경우, 상기 피사체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여 가이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영상 촬영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한 영역과 상기 피사체의 거리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거리값과 기 설정된 오차 허용범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값이 상기 오차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거리값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피사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영상 촬영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원격의 사용자에게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영상 촬영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발광소자를 통해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영상 촬영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해 음성을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입력된 영상을 분석하여 모션을 인식하는 단계;
    인식한 상기 음성 또는 모션이 기 설정된 음성 또는 모션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인식한 상기 음성 또는 모션이 기 설정된 음성 또는 모션과 일치한다면, 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영상 촬영 방법.
  15.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서,
    피사체의 영상을 입력 받으며, 사용자의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부;
    사용자가 정위치 영역 및 제한 영역을 설정하며 오차 허용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입력부;
    상기 정위치 영역, 상기 제한영역 및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제한 영역의 면적과 피사체가 상기 제한 영역과 겹치는 부분의 면적의 비교 또는 상기 피사체와 상기 제한 영역과의 거리값 측정을 통해 따라 상기 피사체의 정위치 여부를 판단하여, 정위치 신호 또는 피사체의 이동을 지시하는 가이드 신호의 출력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판단에 따라 정위치 신호 또는 가이드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영역은 상부 제한 영역, 하부 제한 영역, 좌측 제한 영역, 우측 제한 영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사체가 상기 정위치인 경우, 정위치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피사체가 상기 정위치가 아닌 경우, 상기 피사체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여 가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겹치는 부분의 면적과 상기 제한 영역과의 비율을 계산하고, 상기 비율과 기 설정해 놓은 상기 오차 허용범위를 비교하고, 상기 비율이 상기 오차 허용범위를 벗어난다면, 상기 오차 허용범위 내로 들어올 수 있도록 상기 백분율이 낮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피사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한 영역과 상기 피사체의 거리값을 측정하고, 상기 거리값과 기 설정된 오차 허용범위를 비교하고, 상기 거리값이 상기 오차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거리값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피사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표시부는,
    발광소자 또는 블루투스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오디오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음성 인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20110044934A 2011-05-13 2011-05-13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영상 촬영 방법 KR201201268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934A KR20120126842A (ko) 2011-05-13 2011-05-13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영상 촬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934A KR20120126842A (ko) 2011-05-13 2011-05-13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영상 촬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842A true KR20120126842A (ko) 2012-11-21

Family

ID=47512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934A KR20120126842A (ko) 2011-05-13 2011-05-13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영상 촬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684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374Y1 (ko) * 2014-10-16 2015-02-24 권순근 바형 블루투스 리모콘
KR20150033898A (ko) 2013-09-25 2015-04-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촬영 기능을 가지는 단말 장치와 그 촬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526525B1 (ko) * 2013-05-14 2015-06-09 주식회사 아빅스코리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조명램프 제어장치 및 방법
US9866753B2 (en) 2013-10-10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camera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200066277A (ko) 2020-05-29 2020-06-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촬영 기능을 가지는 단말 장치와 그 촬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525B1 (ko) * 2013-05-14 2015-06-09 주식회사 아빅스코리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조명램프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50033898A (ko) 2013-09-25 2015-04-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촬영 기능을 가지는 단말 장치와 그 촬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9866753B2 (en) 2013-10-10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camera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0476374Y1 (ko) * 2014-10-16 2015-02-24 권순근 바형 블루투스 리모콘
KR20200066277A (ko) 2020-05-29 2020-06-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촬영 기능을 가지는 단말 장치와 그 촬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1713B1 (ko) 촬영 방법, 촬영 장치, 및 이동 단말
CN106572299B (zh) 摄像头开启方法及装置
JP4781440B2 (ja) 画像撮影装置、画像撮影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267363B2 (ja) 画像を撮影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9332208B2 (en) Imaging apparatus having a projector with automatic photography activation based on superimposition
US8451363B2 (en) Photographing method and system
WO2016208562A1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動作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00008936A (ko) 듀얼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WO2017124899A1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
TW201404133A (zh) 自動拍照裝置及方法
KR101248721B1 (ko) 카메라 부착 기기
KR20100027700A (ko) 촬영 방법 및 장치
US11600277B2 (en) Voice input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for executing processing corresponding to voice instruction
KR20120126842A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영상 촬영 방법
US11394862B2 (en) Voice input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for executing processing corresponding to voice instruction
JP2017069896A (ja) 電子機器
JP5594485B2 (ja) 携帯通信装置
JP201600987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1104226A1 (zh) 拍照方法及电子设备
EP4322518A1 (en) Target tracking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JP2014045404A (ja) 携帯端末
JP2017103657A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装置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9130636A (ja) 撮像装置
JP7482640B2 (ja) 音声入力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WO2020209097A1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