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7653A - 마이크로폰 유닛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7653A
KR20100087653A KR1020100006902A KR20100006902A KR20100087653A KR 20100087653 A KR20100087653 A KR 20100087653A KR 1020100006902 A KR1020100006902 A KR 1020100006902A KR 20100006902 A KR20100006902 A KR 20100006902A KR 20100087653 A KR20100087653 A KR 20100087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unit
sound
housing
ho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노다 타케시
호리베 류스케
타나카 푸미노리
Original Assignee
푸나이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나이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푸나이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7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6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8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in which sound waves act upon both sides of a diaphragm and incorporating acoustic phase-shifting means, e.g. pressure-gradient microphon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1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not fully classifiable according to technical characteristics, e.g. therapeutic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6Shades; shields; Obturators, e.g. with pinhole, with slo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04R1/083Special constructions of mouthpie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마이크로폰 유닛은, 하나의 마이크로폰, 다리 부재들 및 하나의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로폰은, 소리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의 진동 판과 상기 진동 판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의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리 부재들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 벽으로부터 밖을 향해 돌출되고, 제2 내부 공간을 외부 공간에 연결하는 제2 관통공 근처에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기 위해 다리 부재들에 연결된다. 이런 식으로 단순한 구조와 감소된 두께로 만들어진 마이크로폰 유닛이 제품에 탑재될 때, 상기 간극이 상기 외부 공간을 상기 제2 관통공을 통해 상기 제2 내부 공간에 연결되게 하여, 소리를 상기 제2 내부 공간으로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것과 우수한 차동 특성들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Description

마이크로폰 유닛{MICROPHONE UNIT}
발명의 배경
1. 발명의 기술분야
본 발명은, 휴대폰(mobile phone) 또는 보청기(hearing aid)와 같은 전기 또는 전자 제품(이하 간단히 "제품"이라 함)에 효과적으로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고, 소리(sound)[즉, 공기의 진동]를 감지하여 감지된 소리를 출력(output)을 위한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로폰 유닛(microphone unit)에 관한 것이다.
2. 관련 기술의 설명
진동 판(vibratory diaphragm)의 진동에 의해 소리를 감지하기 위해 소리에 의해 진동될 진동 판을 가지는 마이크로폰 유닛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마이크로폰 유닛들 중의 하나는 소리를 진동 판의 정면과 후면 양쪽으로 유도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한 마이크로폰 유닛에서, 진동 판은, 진동 판의 정면으로 유도되는 소리와 진동 판의 후면으로 유도되는 소리 사이의 차이 [즉, 공기의 진동파(vibration wave)의 위상(phase)과 진폭에 있어서의 차이]에 의해 진동되고, 그래서 소리가 진동 판의 진동에 의해 감지된다. 그러한 마이크로폰 유닛은 차동형(differential type) 마이크로폰 유닛이라 불리운다.
그러한 공지된 차동형 마이크로폰 유닛들은, 하나의 하우징(housing), 그리고 이 하우징의 내부 공간이 제1 내부 공간 [진동 판의 정면쪽 공간]과 제2 내부 공간 [진동 판의 후면쪽 공간]으로 나누어지도록,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전방 벽(front wall) [진동 판의 정면을 향하는 벽]이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상기 하우징 밖의 외부 공간을 연결하도록 거기에 형성된 제1 관통공(through-hole)을 가지는 한편, 상기 하우징의 후방 벽(rear wall) [진동 판의 후면을 향하는 벽]이 상기 제2 내부 공간과 상기 하우징 밖의 외부 공간을 연결하도록 거기에 형성된 제2 관통공을 가지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진동 판을 가진다. 그러한 차동형 마이크로폰 유닛에서는, 소리가 외부 공간으로부터 제1 관통공을 통해 제1 내부 공간 [즉, 진동 판의 정면]으로 유도되는 한편, 소리가 또한 외부 공간으로부터 제2 관통공을 통해 제2 내부 공간 [즉, 진동 판의 후면]으로 유도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동형 마이크로폰 유닛은, 예를 들어, 휴대폰 또는 보청기와 같은 제품에 탑재하여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제품이 하나의 소리 수신 개구부(sound receiving opening)를 가지며, 종래의 마이크로폰이 그 하우징의 전방 벽에 있는 제1 관통공이 상기 소리 수신 개구부를 향하도록 제품에 탑재되어 있으면, 하우징의 후방 벽에 있는 제2 관통공이 제품의 구성요소들에 의해 막힐(occluded) 가능성이 있다. 만약 제2 관통공이 막히면, 소리를 제2 내부 공간으로 (진동 판의 후면으로)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우수한 차동 특성들(differential characteristics)을 얻지 못하게 만들고, 마이크로폰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이 분야에 공지된 다른 마이크로폰 유닛들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48329호에는, 하나의 회로 기판(circuit board)과, 이 회로 기판에 대해 하나의 지지부(support)에 의해 지지된 하나의 진동 판을 가지는 마이크로폰 유닛이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하나의 다리 부재(leg member)를 가지며, 상기 진동 판과 상기 회로 기판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19238호에는, 하나의 유닛 케이스(unit case) 내의 하나의 지지 링(support ring)에 의해 지지된 하나의 진동 판을 가지는 마이크로폰 유닛이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기 지지 링은 하나의 다리 부재를 가지며, 상기 진동 판과 상기 유닛 케이스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일본 특허 제3601900호에는, 차동 마이크로폰을 삽입하기 위한 하나의 원통형 관-형상 리브(cylindrical tube-shaped rib)가 형성된 하나의 하우징을 가지는 마이크로폰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된 마이크로폰 유닛들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감소된 두께를 가지는 단순한 구조이며, 제품에 탑재될 때에도 우수한 차동 특성들의 달성을 가능하게 만드는, 고 품질의 마이크로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목적은, 소리(sound)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의 진동 판(vibratory diaphragm); 상기 진동 판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나의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밖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 부재(leg membe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리 부재에 연결된 하나의 베이스(base);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이크로폰 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진동 판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제1 내부 공간과 제2 내부 공간으로 나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상기 하우징 밖의 외부 공간을 연결하기 위해 거기에 형성된 제1 관통공과, 상기 제2 내부 공간과 상기 외부 공간을 연결하기 위해 거기에 형성된 제2 관통공을 가진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리 부재는, 상기 제2 관통공 근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관통공을 통해 상기 제2 내부 공간과 상기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하나의 간극(gap)이, 상기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또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리 부재의 일부분의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폰 유닛에 의하면, 이 마이크로폰 유닛이 휴대폰 또는 보청기와 같은 제품에 탑재될 때, 하우징과 베이스의 사이에 또는 베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다리 부재의 일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이, 외부 공간을 제2 관통공을 통해 제2 내부 공간에 연결되게 한다. 따라서, 이 마이크로폰 유닛은, 제품에 탑재될 때도, 하우징과 베이스의 사이에 또는 베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다리 부재의 일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해 소리를 제2 내부 공간으로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고, 그것에 의해 우수한 차동 특성들을 달성한다. 더욱이, 이 간극은, 제2 관통공 근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다리 부재를 베이스에 연결함으로써 단순한 구조와 감소된 두께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것은, 감소된 두께를 가지는 단순한 구조인 고 품질의 마이크로폰 유닛의 달성과, 제품에 탑재될 때에도 우수한 차동 특성들의 획득을 가능하게 만든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리 부재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다리 부재들이고, 상기 간극이 상기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리 부재는, 그 길이가 긴 다리 부재 부분(long part)과 길이가 짧은 다리 부재 부분(short part)으로 나뉘는 상이한 길이들을 가지며, 상기 제2 관통공을 포함하는 구역을 둘러싸는, 복수의 다리 부재들이고, 상기 간극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다리 부재들의 길이가 짧은 다리 부재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극은 적어도 0.15 mm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로폰 유닛은, 상기 하우징을 감싸기 위한 하나의 커버(cover)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버는 거기에 형성된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커버로 감싸지는 공간에는,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제1 개구부를 연결하는 제1 소리 경로(sound path)가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제1 소리 경로와 독립적으로 상기 제2 관통공과 상기 제2 개구부를 연결하는 제2 소리 경로가 또한 형성된다.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평면부(plane portion)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로폰 유닛은, 상기 하우징을 감싸기 위한 하나의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는 거기에 형성된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로 감싸지는 공간에는,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제1 개구부를 연결하는 제1 소리 경로가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제1 소리 경로와 독립적으로 상기 제2 관통공과 상기 제2 개구부를 연결하는 제2 소리 경로가 또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신규한 특성들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술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도면들과 함께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 잘 이해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폰 유닛은, 감소된 두께를 가지는 단순한 구조이며, 제품에 탑재될 때에도 우수한 차동 특성들의 달성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아래에 설명하기로 한다. 모든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또는 그 실시예들을 설명할 목적으로 제시된 것이며, 도면들 중에서: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폰 유닛의, 도 1b의 X-X' 선 단면 개략도이고, 도 1b는, 이 마이크로폰 유닛의 저면 개략도이며;
도 2는, 제품에 마이크로폰 유닛을 탑재한 하나의 예를 보여주는 단면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폰 유닛의 저면 개략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폰 유닛의, 도 4b의 X-X' 선 단면 개략도이고, 도 4b는, 이 마이크로폰 유닛의 저면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폰 유닛의 저면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폰 유닛의 저면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폰 유닛의 단면 개략도이고;
도 8은, 제품에 마이크로폰 유닛을 탑재한 하나의 예를 보여주는 단면 개략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폰 유닛의 단면 개략도이고; 그리고
도 10은, 제품에 마이크로폰 유닛을 탑재한 하나의 예를 보여주는 단면 개략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적 모드(best mode)로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아래에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전체 범위를 제한하거나 망라하는(encompass) 것으로 의도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동일한 구성요소들(parts)은 도면들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들(reference numerals or characters)로 표시된다.
(제1 실시예 )
도 1a와 도 1b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폰 유닛(1)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폰 유닛(1)의, 도 1b의 X-X' 선 단면 개략도이고, 도 1b는, 이 마이크로폰 유닛(1)의 저면 개략도이다. 마이크로폰 유닛(1)은, 휴대폰 또는 보청기와 같은 제품에 탑재되어 사용되며, 공기 중에 전파되는 소리(즉, 공기의 진동)를 감지하고, 감지된 소리를 출력을 위한 전기 신호로 더 변환시킨다. 마이크로폰 유닛(1)은, 소리를 감지하고 감지된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하나의 마이크로폰(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소리를 마이크로폰(2)으로 유도하기 위한 하나의 유도 통로(guide path)를 확보하기(securing) 위해 다리 부재들 (적어도 하나의 다리 부재)(3), 하나의 베이스(4) 등을 또한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이크로폰(2)은: 소리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의 진동 판(21)과 하나의 후방 전극(back electrode)(22); 진동 판(21)과 후방 전극(22)에 의해 감지된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하나의 신호 처리 회로(signal processing circuit)(23); 진동 판(21), 후방 전극(22), 신호 처리 회로(23)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나의 하우징(2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이크로폰 유닛(1)은, 진동 판(21)의 진동으로부터 소리를 감지한다. 마이크로폰 유닛(1)은, 소리가 진동 판(21)의 정면과 후면으로 유도되고, 그리고 진동 판(21)의 정면으로 유도된 소리와 진동 판(21)의 후면으로 유도된 소리 사이의 차이 [즉, 공기의 진동파의 위상 및 진폭에 있어서의 차이]에 의해 일어나는 진동 판(21)의 진동으로부터 감지되는, 차동형이다. 또한, 마이크로폰 유닛(1)은, 일렉트레트(electret) [잔류 분극(residual polarization)을 가지는 유전체 (dielectric)]가, 후방 전극(22)과 함께, 하나의 캐패시터(capacitor)를 형성하는, 진동 판(21)으로서 사용되고, 그리고 진동 판(21)의 진동이 캐패시터의 정전 용량(electrostatic capacitance)의 변화에 의해 감지되어 진동 판(21)의 감지된 진동 [즉, 감지된 소리]이 전기 신호로 변환되는, 일렉트레트 콘덴서 형(electret condenser type)이다.
하우징(24)은, 원통형 관-형상이며, 하나의 디스크-형상 전방 벽(24a), 전방 벽(24a)을 향하고 이것에 평행하는 하나의 디스크-형상 후방 벽(24b), 그리고 전방 벽(24a)과 후방 벽(24b)에 인접한 하나의 주변 측벽(peripheral side wall)(24c)을 가진다. 진동 판(21)은, 하우징(24)의 전방 벽(24a)과 후방 벽(24b)에 평행하도록 하우징(24)에 형성된다. 또한, 진동 판(21)은, 하우징(24) 내측의 공간인, 하우징(24)의 내부 공간을 두 부분들: 진동 판(21)의 앞쪽(front side)에 있는 [하우징(24)의 전방 벽(24a) 쪽에 있는] 공간인, 제1 내부 공간(1a); 그리고 진동 판(21)의 뒤쪽(rear side)에 있는 [하우징(24)의 후방 벽(24b) 쪽에 있는] 공간인 제2 내부 공간(1b);로 나눈다. 하우징(24)은, 제1 내부 공간(1a)과 하우징(24) 밖의 공간인 외부 공간을 연결하기 위해 전방 벽(24a)을 관통하여 거기에 형성된 제1 관통공(2a)을 가지는 한편, 하우징(24)은, 제2 내부 공간(1b)과 하우징(24) 밖의 외부 공간을 연결하기 위해 후방 벽(24b)을 관통하여 거기에 형성된 제2 관통공(2b)을 가진다.
후방 전극(22)은, 진동 판(21)에 평행하도록 제1 내부 공간(1a)에 형성된다. 후방 전극(22)은, 그것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전극 공들(multiple electrode holes)(29a)을 가진다. 신호 처리 회로(23)는, 제2 내부 공간(1b)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회로 기판(circuit board)(25) 위에 설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회로 기판(25)은, 하우징(24)의 후방 벽(24b)에 놓이며, 제2 관통공(2b)에 해당하는 위치에 그것을 관통하여 형성된 기판 공(board hole)(29b)을 가진다. 신호 처리 회로(23)는, 전도성 와이어(conductive wire)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후방 전극(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진동 판(21)과 후방 전극(22)의 구조(arrangement)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정전 용량의 변화가 감지될 수 있는 한, [후방 전극(22)을 제2 내부 공간(1b)에 두도록]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진동 판(21)이 일렉트레트 [잔류 분극을 가지는 유전체]로 형성되는 반면, 후방 전극(22)은 전도체(conductor)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진동 판(21)과 후방 전극(22)은, 진동 판(21)이 소리에 의해 진동될 때, 진동 판(21)과 후방 전극(22) 사이의 거리의 변화(들)에 의해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캐패시터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진동 판(21)과 후방 전극(22)은, 진동 판(21)의 진동으로부터 소리를 감지하고, 감지된 소리를 정전 용량에 있어서의 변화로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신호 처리 회로(23)는, 정전 용량에 있어서의 변화로부터 진동 판(21)의 진동을 감지하고, 진동 판(21)의 감지된 진동 [즉, 진동 판(21)에 의해 감지된 소리]을 전기 신호로 변환시킨다.
다리 부재들 [적어도 하나의 다리 부재](3)은, 하우징(24) 밖으로 돌출하도록 하우징(24)의 후방 벽(24b)에 형성된다. 다리 부재들(3)은, 제2 관통공(2b) 근처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다리 부재들(3),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다리 부재들(3)이 형성되며,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다리 부재들(3)은 제각기, 제2 관통공(2b)을 통해 제2 내부 공간(1b)과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간극(11)이 하우징(24)의 후방 벽(24b)과 베이스(4)의 사이에 [마이크로폰(2)과 베이스(4)의 사이에] 형성되도록, 예를 들어, 본딩(bonding)에 의해, 베이스(4)에 연결되거나 결합된 하나의 단부(end)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간극(11)의 길이(d1) [베이스(4)와 하우징(24)의 후방 벽(24b) 사이의 거리]는 0.15 mm 이다. 신호 처리 회로(23)로부터 변환된 전기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도선(conductive wire) [도시되지 않음]이 베이스(4)와 다리 부재들(3)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에 있어서, 하우징(24) 밖에 있는 [마이크로폰(2) 밖에 있는] 음원으로부터의 소리는, [경로(A)로 개략적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1 관통공(2a)을 통해 제1 내부 공간(1a)으로 (즉, 진동 판(21)의 정면으로) 유도되며, 그리고 또한 하우징(24)과 베이스(4)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11)을 통해 그리고 [경로(B)로 개략적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2 관통공(2b)을 통해 제2 내부 공간(1b)으로 [즉, 진동 판(21)의 후면으로] 유도된다. 그 다음에, 진동 판(21)은, 제1 내부 공간(1a)으로 유도된 소리와 제2 내부 공간(1b)으로 유도된 소리 사이의 차이 [즉, 공기의 진동파들의 위상 및 진폭에 있어서의 차이]에 의해 진동되고, 그래서 소리가 진동 판(21)의 진동에 의해 감지된다.
도 2는, 휴대폰 또는 보청기와 같은 제품(90)에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을 탑재한 하나의 예를 보여주는 단면 개략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은, 예를 들어, 하우징(24)의 전방 벽(24a)에 있는 제1 관통공(2a)이 제품(90)의 소리 수신 개구부(90a)를 향하도록, 그리고 또한 하우징(24)과 베이스(4)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11)이 제품(90)의 소리 수신 개구부(90b)를 향하도록, 제품(90)에 탑재된다. 여기서, 제1 관통공(2a)과 소리 수신 개구부(90a)를 연결하여 소리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의 중공(hollow)이 형성된 관 형상(tubular shape)을 가지는 소리 누설 방지 러버(sound leakage preventing rubber)(91)가 사용된다. 이런 식으로 제품(90)에 탑재된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으로, 음원으로부터의 소리가, 소리 수신 개구부(90a)로부터 소리 누설 방지 러버(91)의 중공과 제1 관통공(2a)을 통해 제1 내부 공간(1a)으로 유도되며, 그리고 또한 소리 수신 개구부(90b)로부터 하우징(24)과 베이스(4)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11)을 통해 그리고 제2 관통공(2b)을 통해 제2 내부 공간(1b)으로 유도된다.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에 의하면, 제품(90)에 탑재될 때, 하우징(24)과 베이스(4)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11)은, 외부 공간이 소리 수신 개구부(90b)와 제2 관통공(2b)을 통해 제2 내부 공간(1b)에 연결되게 한다. 따라서, 제품(90)에 탑재될 때에도, 마이크로폰 유닛(1)은, 소리를 하우징(24)과 베이스(4)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11)을 통해 제2 내부 공간(1b)으로 [즉, 진동 판(21)의 후면으로]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우수한 차동 특성들을 얻는다. 더욱이, 제2 관통공(2b) 근처에 형성된 다리 부재들(3)을 베이스(4)에 연결함으로써 간극(11)이 단순한 구조와 감소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감소된 두께를 가지는 단순한 구조인 고 품질의 마이크로폰 유닛(1)의 달성과, 제품(90)에 탑재될 때에도 우수한 차동 특성들의 획득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0.15 mm 의 간극(11)의 길이(d1)는, 두께가 감소된 마이크로폰 유닛(1)을 달성하여, 우수한 차동 특성들을 획득하면서, 소리를 제2 내부 공간(1b)으로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두께가 감소된 마이크로폰 유닛(1)으로 소리를 제2 내부 공간(1b)으로 유도하는 최소한의 충분한 효율(a minimum sufficient level of efficiency)을 달성하고 우수한 차동 특성들을 얻기 위해, 길이(d1)를 최소 0.1 mm 만큼 짧게 할 수 있다. 만약 길이(d1)가 0.1 mm 보다 짧으면, 차동 특성들을 포함하여 음향 특성들(acoustic characteristics)이 악화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간극(11)의 유효 길이가 먼지 또는 오물에 의해 단축될 수 있음을 고려하면, 간극(11)의 길이(d1)는, 마이크로폰 유닛(1)이 감소된 두께와 우수한 차동 특성들을 가지게 하면서 소리를 제2 내부 공간(1b)으로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적어도 0.15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 )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폰 유닛(1)을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의 저면 개략도인, 도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네 개의 다리 부재들(3)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네 개의 다리 부재들(3)은 각기 베이스(4)에 연결된 하나의 단부를 가진다.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은, 제1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의 것들과 유사한 기능들과 효과들을 가진다.
(제3 실시예 )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폰 유닛(1)을 도 4a와 도 4b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폰 유닛(1)의, 도 4b의 X-X' 선 단면 개략도이고, 도 4b는, 이 마이크로폰 유닛(1)의 저면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은, 본 실시예가 제1 실시예의 것들과 상이한 다리 부재들(3)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의 다리 부재들(3)은, 후방 벽(24b)의 제2 관통공(2b)을 포함하는, 사각형 구역을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frame shape)을 만든다.
또한, 다리 부재들(3)은, 상이한 길이들 (상이한 길이의 두 부분)을 가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리 부재들(3)은, 평면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 구역의 세 변들에 해당하는, 대체로(substantially) U-형상 [사각-모서리로 된(square-cornered) U-형상]을 가지는 길이가 긴 다리 부재(31) (한 부분) 그리고 사각형 구역의 나머지 한 변에 해당하는 길이가 짧은 다리 부재(32) (다른 한 부분)로 형성된다. 길이가 긴 다리 부재(31)는, 예를 들어, 본딩에 의해 베이스(4)에 연결되거나 결합된(joined) 대체로 U-형상 단부를 가진다.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에 있어서, 제2 관통공(2b)을 통해 제2 내부 공간(1b)과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간극(12)이 베이스(4)와 다리 부재들(3)의 짧은 다리 부재(32)의 사이에 형성되도록, 다리 부재들(3)의 길이가 긴 다리 부재(31)의 단부가 베이스(4)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간극(12)의 길이(d2) [베이스(4)와 다리 부재들(3)의 짧은 다리 부재(32) 사이의 거리]는 0.15 mm 이다.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에 있어서, 하우징(24) 밖에 있는 [마이크로폰(2) 밖에 있는) 음원으로부터의 소리는, [경로(A)로 개략적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1 관통공(2a)을 통해 제1 내부 공간(1a)으로 (즉, 진동 판(21)의 정면으로) 유도되고, 그리고 또한 [경로(B)로 개략적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4)와 다리 부재들(3)의 짧은 다리 부재(32)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12)을 통해 그리고 제2 관통공(2b)을 통해 제2 내부 공간(1b)으로 [즉, 진동 판(21)의 후면으로] 유도된다. 그 다음에, 진동 판(21)은, 제1 내부 공간(1a)으로 유도된 소리와 제2 내부 공간(1b)으로 유도된 소리 사이의 차이 (즉, 공기의 진동파들의 위상 및 진폭에 있어서의 차이)에 의해 진동되고, 그래서 소리가 진동 판(21)의 진동에 의해 감지된다.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은,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과 유사하게 제품(90)에 탑재된다.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에 의하면, 제품(90)에 탑재될 때, 베이스(4)와 다리 부재들(3)의 짧은 다리 부재(32)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12)은, 외부 공간을 소리 수신 개구부(90b)와 제2 관통공(2b)을 통해 제2 내부 공간(1b)에 연결되게 한다. 따라서, 제품(90)에 탑재될 때에도, 마이크로폰 유닛(1)은, 소리를 베이스(24)와 다리 부재들(3)의 짧은 다리 부재(32)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12)을 통해 제2 내부 공간(1b)으로 [즉, 진동 판(21)의 후면으로]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그것에 의해 우수한 차동 특성들을 얻는다. 더욱이, 간극(12)은, 제2 관통공(2b) 근처에 형성된 다리 부재들(3)을 베이스(4)에 연결함으로써 감소된 두께를 가지는 단순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감소된 두께를 가지는 단순한 구조인 고 품질의 마이크로폰 유닛(1)의 달성과, 제품(90)에 탑재될 때에도 우수한 차동 특성들의 획득을 가능하게 한다. 제1 실시예에서 간극(11)의 길이(d1)에 대해 기술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이유 때문에, 적어도 0.1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15 mm 의, 간극(12)의 길이(d2)가, 두께가 감소된 마이크로폰 유닛(1)을 달성하면서 우수한 차동 특성들을 얻도록 소리를 제2 내부 공간(1b)으로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4 실시예 )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폰 유닛(1)을,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의 저면 개략도인, 도 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은, 평면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프레임 형상을 형성하는 본 실시예의 다리 부재들(3)이 후방 벽(24b)의, 제2 관통공(2b)을 포함하는, 원형 구역을 둘러싸고, 여기서 다리 부재들(3)이, 원형 구역의 원주에 대응하도록, 각각, 원형 C-형상과 호형(arc) 형상을 가지는 길이가 긴 다리 부재(31)와 짧은 다리 부재(32)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C-형상의 길이가 긴 다리 부재(31)가, 예를 들어, 본딩에 의해 베이스(4)에 연결되거나 결합된 하나의 단부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3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은, 제3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의 것들과 유사한 기능들과 효과들을 가진다.
(제5 실시예 )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폰 유닛(1)을,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의 저면 개략도인, 도 6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은, 평면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프레임 형상을 형성하고 그리고 후방 벽(24b)의, 제2 관통공(2b)을 포함하는, 원형 구역을 둘러싸는, 본 실시예의 다리 부재들(3)이, 원형 구역의 원주에 대응하도록, 각각, 호형 형상을 가지는 세 개의 길이가 긴 다리 부재들(31)과 세 개의 짧은 다리 부재(32)가 번갈아 형성되며, 그리고 호형-형상의 길이가 긴 다리 부재들(32)이 각기, 예를 들어, 본딩에 의해 베이스(4)에 연결되거나 결합된 하나의 단부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4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은, 제4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의 것들과 유사한 기능들과 효과들을 가진다.
(제6 실시예 )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폰 유닛(1)을,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의 단면 개략도인, 도 7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은, 하우징(24) [마이크로폰(2)], 다리 부재들(3) 및 베이스(4)를 감싸기 위한 커버(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기서 커버(5)가 거기에 형성된 제1 개구부(5a)와 제2 개구부(5b)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소리 경로-형성 부재(sound path-forming member)(들)(6)]을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커버(5)는, 하나의 상부 벽(top wall) (즉, 평면부)(51) 그리고 이 상부 벽(51)에 대해 수직인 입상 벽들(standing walls)(52)을 포함한다. 제1 개구부(5a)와 제2 개구부(5b)는 상부 벽(51) [즉, 커버(5)와 동일한 면]에 형성된다.
[커버(5)와 베이스(4) 사이의] 커버(5)로 감싸지는 공간에는, 제1 관통공(2a)과 제1 개구부(5a)를 연결하는 제1 소리 경로(6a), 그리고 제2 관통공(2b)과 제2 개구부(5b)를 연결하는 제2 소리 경로(6b)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5)는, 베이스(4)의 전체 주변 단부(entire peripheral end)에 연결된 하나의 단부(입상 벽들의 단부들)를 가진다. 또한, 공간을 두 개의 공간 구역들(spatial regions) [제1 관통공(2a)과 제1 개구부(5a)를 포함하는 공간 구역, 그리고 제2 관통공(2b)과 제2 개구부(5b)를 포함하는 공간 구역]로 분리하기 위해, [커버(5)와 베이스(4)의 사이에] 커버(5)로 감싸지는 공간에 소리 경로-형성 부재(들)(6)이 형성된다. 제1 소리 경로(6a)가, 소리 경로-형성 부재(들)(6)에 의해 분리된 [제1 관통공(2a)과 제1 개구부(5a)를 포함하는] 공간 구역들 중의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반면, 제2 소리 경로(6b)는, 소리 경로-형성 부재(들)(6)에 의해 분리된 [제2 관통공(2b)과 제2 개구부(5b)를 포함하는] 다른 한 공간 구역에 의해 형성된다. 소리 경로-형성 부재(들)(6)의 존재로 인해, 제1 소리 경로(6a)와 제2 소리 경로(6b)는, 서로 연결되지 않고 독립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에 있어서, 커버(5) 밖에 있는 음원으로부터의 소리는, [경로(A)로 개략적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1 개구부(5a), 제1 소리 경로(6a) 및 제1 관통공(2a)을 통해 제1 내부 공간(1a)으로 (즉, 진동 판(21)의 정면으로) 유도되며, 그리고 또한 [경로(B)로 개략적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2 개구부(5b), 제2 소리 경로(6b), 베이스(4)와 하우징(24)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11), 및 제2 관통공(2b)을 통해 제2 내부 공간(1b)으로 [즉, 진동 판(21)의 후면으로] 유도된다. 그 다음에, 진동 판(21)은, 제1 내부 공간(1a)으로 유도된 소리와 제2 내부 공간(1b)으로 유도된 소리 사이의 차이 [즉, 공기의 진동파들의 위상 및 진폭에 있어서의 차이]에 의해 진동되고, 그래서 소리가 진동 판(21)의 진동에 의해 감지된다.
도 8은, 휴대폰 또는 보청기와 같은 제품(90)에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을 탑재한 하나의 예를 보여주는 단면 개략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은, 예를 들어, 커버(5)의 제1 개구부(5a)가 제품(90)의 소리 수신 개구부(90a)를 향하도록, 그리고 또한 커버(5)의 제2 개구부(5b)가 제품(90)의 소리 수신 개구부(90b)를 향하도록, 제품(90)에 탑재된다. 이런 식으로 제품(90)에 탑재된 마이크로폰 유닛(1)으로, 음원으로부터의 소리가, 소리 수신 개구부(90a)로부터 제1 개구부(5a), 제1 소리 경로(6a) 및 제1 관통공(2a)을 통해 제1 내부 공간(1a)으로 유도되며, 그리고 또한 소리 수신 개구부(90b)로부터 제2 개구부(5b), 제2 소리 경로(6b), 하우징(24)과 베이스(4)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11), 및 제2 관통공(2b)을 통해 제2 내부 공간(1b)으로 유도된다.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은, 제1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의 것들과 유사한 기능들과 효과들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에 있어서, 하우징(24)의 제1 관통공(2a)과 커버(5)의 제1 개구부(5a)를 연결하는 제1 소리 경로(6a)는, 하우징(24)의 제2 관통공(2b)과 커버(5)의 제2 개구부(5b)를 연결하는 제2 소리 경로(6b)와는 무관하게 설계된다. 이것은 제1 내부 공간(1a)으로 유도된 소리와 제2 내부 공간(1b)으로 유도된 소리 사이의 간섭(interference)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우수한 차동 특성들을 얻게 한다.
더욱이, 제1 개구부(5a)와 제2 개구부(5b)는, 상부 벽(51) [즉, 커버(5)와 동일한 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에 의하면, 제품(90)에 탑재될 때, 소리를 제품(90) 밖으로부터 제1 개구부(5a)와 제2 개구부(5b)로 유도하기 위한 제품(90)의 내측을 관통하는 소리 경로가 복잡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음향 특성들의 악화를 방지하고, 제품(90)의 두께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제1 개구부(5a)와 제2 개구부(5b)가 커버(5)와 동일한 면에 형성되는 것이 필수적이지 않으며, 커버(5)와 상이한 면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개구부(5a)가 상부 벽(51)에 형성되는 반면, 제2 개구부(5b)는 입상 벽들(52) 중의 하나에 형성되도록, 개구부들(5a 및 5b)이 커버(5)의 서로 수직인 면들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부(5a)가 입상 벽들(52) 중의 하나에 형성되는 한편, 제2 개구부(5b)가 입상 벽들(52) 중의 마주 보는 하나에 형성되도록, 커버(5)의 서로 마주 보는 면들에 개구부들(5a 및 5b)이 형성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제7 실시예 )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폰 유닛(1)을,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의 단면 개략도인, 도 9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은, 하우징(24) [마이크로폰(2)], 다리 부재들(3) 및 베이스(4)를 감싸기 위한 커버(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기서 베이스(4)가 거기에 형성된 제1 개구부(4a)와 제2 개구부(4b)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소리 경로-형성 부재(들)(6)]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커버(5)와 베이스(4) 사이의] 커버(5)로 감싸지는 공간에는, 제1 관통공(2a)과 제1 개구부(4a)를 연결하는 제1 소리 경로(6a), 그리고 제2 관통공(2b)과 제2 개구부(4b)를 연결하는 제2 소리 경로(6b)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5)는, 베이스(4)의 전체 주변 단부에 연결된, 하나의 단부(커버의 입상 벽들의 단부들)를 가진다. 또한, 공간을 두 개의 공간 구역들 [제1 관통공(2a)과 제1 개구부(4a)를 포함하는 공간 구역, 그리고 제2 관통공(2b)과 제2 개구부(4b)를 포함하는 공간 구역]로 분리하기 위해, [커버(5)와 베이스(4)의 사이에] 상기 커버로 감싸지는 공간(5)에 소리 경로-형성 부재(들)(6)이 형성된다. 제1 소리 경로(6a)가, 소리 경로-형성 부재(들)(6)에 의해 분리된 [제1 관통공(2a)과 제1 개구부(4a)를 포함하는] 공간 구역들 중의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반면, 제2 소리 경로(6b)는, 소리 경로-형성 부재(들)(6)에 의해 분리된 [제2 관통공(2b)과 제2 개구부(4b)를 포함하는] 공간 구역들 중의 다른 하나에 의해 형성된다. 소리 경로-형성 부재(들)(6)의 존재로 인해, 제1 소리 경로(6a)와 제2 소리 경로(6b)는, 서로 연결되지 않고 독립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에 있어서, 커버(5) 밖에 있는 음원으로부터의 소리는, [경로(A)로 개략적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1 개구부(4a), 제1 소리 경로(6a) 및 제1 관통공(2a)을 통해 제1 내부 공간(1a)으로 (즉, 진동 판(21)의 정면으로) 유도되며, 그리고 또한 [경로(B)로 개략적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2 개구부(4b), 제2 소리 경로(6b), 베이스(4)와 하우징(24)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11), 및 제2 관통공(2b)을 통해 제2 내부 공간(1b)으로 [즉, 진동 판(21)의 후면으로] 유도된다. 그 다음에, 진동 판(21)은, 제1 내부 공간(1a)으로 유도된 소리와 제2 내부 공간(1b)으로 유도된 소리 사이의 차이 [즉, 공기의 진동파들의 위상 및 진폭에 있어서의 차이]에 의해 진동되고, 그래서 소리가 진동 판(21)의 진동에 의해 감지된다.
도 10은, 휴대폰 또는 보청기와 같은 제품(90)에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을 탑재한 하나의 예를 보여주는 단면 개략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폰 유닛(1)은, 예를 들어, 베이스(4)의 제1 개구부(4a)가 제품(90)의 소리 수신 개구부(90a)를 향하도록, 그리고 또한 베이스(4)의 제2 개구부(4b)가 제품(90)의 소리 수신 개구부(90b)를 향하도록, 제품(90)에 탑재된다. 이런 식으로 제품(90)에 탑재된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으로, 음원으로부터의 소리가, 소리 수신 개구부(90a)로부터 제1 개구부(4a), 제1 소리 경로(6a) 및 제1 관통공(2a)을 통해 제1 내부 공간(1a)으로 유도되며, 그리고 또한 소리 수신 개구부(90b)로부터 제2 개구부(4b), 제2 소리 경로(6b), 하우징(24)과 베이스(4)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11), 및 제2 관통공(2b)을 통해 제2 내부 공간(1b)으로 유도된다.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은, 제1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의 것들과 유사한 기능들과 효과들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유닛(1)에 있어서, 하우징(24)의 제1 관통공(2a)과 베이스(4)의 제1 개구부(4a)를 연결하는 제1 소리 경로(6a)는, 하우징(24)의 제2 관통공(2b)과 베이스(4)의 제2 개구부(4b)를 연결하는 제2 소리 경로(6b)와는 무관하게 설계된다. 이것은 제1 내부 공간(1a)으로 유도된 소리와 제2 내부 공간(1b)으로 유도된 소리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우수한 차동 특성들을 얻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들이 가능함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 다리 부재들의 수는 단지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6 실시예와 제7 실시예에서, 커버와 소리 경로-형성 부재(들)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1 실시예 내지 제7 실시예에서, 신호 처리 회로(signal processing circuit)가 베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전 용량에 있어서의 변화에 의해 진동 판의 진동을 감지하는 유형의 마이크로폰 유닛 뿐 아니라, 예를 들어, 진동 판의 디스토션(distortion)에 의해 진동 판의 진동을 감지하는 유형의, 마이크로폰 유닛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사용하여 위에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설명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를 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이 명백하게, 분명하게 또는 자명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들과 변경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은, 2009년 1월 28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9-016948호를 기초로 하며, 이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의 참고문헌을 이룬다.
1 : 마이크로폰 유닛
1a : 제1 내부 공간 1b : 제2 내부 공간
11 : 간극
2 : 마이크로폰
2a : 제1 관통공 2b : 제2 관통공
21 : 진동 판 22 : 후방 전극
23 : 신호 처리 회로 24 : 하우징
24a : 전방 벽 24b : 후방 벽
24c : 주변 측벽 25 : 회로 기판
29a : 전극 공들 29b : 기판 공
3 : 다리 부재들
31 : 길이가 긴 다리 부재 32 : 짧은 다리 부재
4 : 베이스
4a : 제1 개구부 4b : 제2 개구부
5 : 커버
5a : 제1 개구부 5b : 제2 개구부
51 : 상부 벽 52 : 입상 벽들
6 : 소리 경로-형성 부재(들)
6a : 제1 소리 경로 6b : 제2 소리 경로
90 : 제품
90a, 90b : 소리 수신 개구부 91 : 소리 누설 방지 러버

Claims (7)

  1. 소리(sound)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의 진동 판(vibratory diaphragm);
    상기 진동 판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나의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밖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 부재(leg membe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리 부재에 연결된 하나의 베이스(base);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진동 판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제1 내부 공간과 제2 내부 공간으로 나누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상기 하우징 밖의 외부 공간을 연결하기 위해 거기에 형성된 제1 관통공과, 상기 제2 내부 공간과 상기 외부 공간을 연결하기 위해 거기에 형성된 제2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리 부재가 상기 제2 관통공 근처에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제2 관통공을 통해 상기 제2 내부 공간과 상기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하나의 간극(gap)이, 상기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또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리 부재의 일부분의 사이에 형성되는, 마이크로폰 유닛(microphone unit).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리 부재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다리 부재들이고, 상기 간극이 상기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형성되는, 마이크로폰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리 부재가, 그 길이가 긴 다리 부재 부분(long part)과 길이가 짧은 다리 부재 부분(short part)으로 나뉘는 상이한 길이들을 가지며, 상기 제2 관통공을 포함하는 구역을 둘러싸는, 복수의 다리 부재들이고,
    상기 간극이 상기 베이스와 상기 다리 부재들의 길이가 짧은 다리 부재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마이크로폰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이 적어도 0.15 mm의 길이를 가지는, 마이크로폰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감싸기 위한 것으로서, 거기에 형성된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를 가지는, 하나의 커버(cover)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버로 감싸지는 공간에,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제1 개구부를 연결하는 제1 소리 경로(sound path)가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제1 소리 경로와 독립적으로 상기 제2 관통공과 상기 제2 개구부를 연결하는 제2 소리 경로가 또한 형성되는, 마이크로폰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평면부(plane portion)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감싸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가 거기에 형성된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를 가지는, 하나의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버로 감싸지는 공간에,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제1 개구부를 연결하는 제1 소리 경로가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제1 소리 경로와 독립적으로 상기 제2 관통공과 상기 제2 개구부를 연결하는 제2 소리 경로가 또한 형성되는, 마이크로폰 유닛.
KR1020100006902A 2009-01-28 2010-01-26 마이크로폰 유닛 KR201000876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16948 2009-01-28
JP2009016948A JP2010177901A (ja) 2009-01-28 2009-01-28 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653A true KR20100087653A (ko) 2010-08-05

Family

ID=42102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902A KR20100087653A (ko) 2009-01-28 2010-01-26 마이크로폰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59664B2 (ko)
EP (1) EP2214418A3 (ko)
JP (1) JP2010177901A (ko)
KR (1) KR2010008765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374B1 (ko) * 2012-08-03 2019-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
JP2014158140A (ja) * 2013-02-15 2014-08-28 Funai Electric Co Ltd 音声入力装置
US10154330B2 (en) * 2013-07-03 2018-12-11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Gradient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microphone
CN104113807A (zh) * 2014-06-20 2014-10-22 宁波兴隆电子有限公司 一种极环覆膜超薄传声器
US10562761B2 (en) 2015-11-18 2020-02-18 Kathirgamasundaram Sooriakumar Waterproof microphone and associated packing techniques
JP6874613B2 (ja) * 2017-09-11 2021-05-19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WO2020038478A1 (zh) * 2018-08-24 2020-02-27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眼镜
CN113784264A (zh) * 2020-06-09 2021-12-10 通用微(深圳)科技有限公司 硅基麦克风装置及电子设备
CN113784265B (zh) * 2020-06-09 2022-06-14 通用微(深圳)科技有限公司 硅基麦克风装置及电子设备
CN114885534B (zh) * 2021-02-05 2024-05-2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95275B (de) * 1990-12-27 1992-11-10 Akg Akustische Kino Geraete Als richtmikrophon ausgebildeter telefonhandapparat
DE4229450C1 (de) * 1992-09-03 1993-12-02 Hagenuk Telecom Gmbh Vorrichtung zur Telekommunikation
JP3601900B2 (ja) 1996-03-18 2004-12-15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電話無線機用送話部
WO2000049789A1 (de) * 1999-02-18 2000-08-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Handapparat für die fernsprechtechnik
JP4860144B2 (ja) * 2004-12-13 2012-01-25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マイクホルダ
JP2008048329A (ja) 2006-08-21 2008-02-28 Star Micronics Co Ltd 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及び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の積層構造体の製造方法
CN101247669B (zh) * 2007-02-15 2012-09-05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传声器模组
JP5114072B2 (ja) 2007-03-01 2013-01-09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
JP2009016948A (ja) 2007-06-29 2009-01-22 Kenwood Corp 電波状況管理システム、電波状況測定方法及び電波状況管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14418A3 (en) 2012-10-17
US20100189300A1 (en) 2010-07-29
EP2214418A2 (en) 2010-08-04
JP2010177901A (ja) 2010-08-12
US8559664B2 (en) 201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7653A (ko) 마이크로폰 유닛
JP6237978B2 (ja) 静電容量型センサ、音響センサ及びマイクロフォン
US8737661B2 (en) Narrow directional condenser microphone
US9185494B2 (en) Inner magnet type microspeaker
US10284937B2 (en) Sound output and pickup device
US9716951B2 (en) Acoustic diaphragm and speaker box
US20140294225A1 (en) Enclosure speaker with side acoustic emission structure
JP2017123637A (ja) マイクロホン
JP5928163B2 (ja) 静電容量型センサ、音響センサ及びマイクロフォン
JP6053161B2 (ja) 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CN114697827B (zh) 扬声器及终端装置
KR101941851B1 (ko) 디스플레이패널용 멀티코일 진동변환기
JP6057319B2 (ja) 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US9357313B2 (en) Microphone unit having a plurality of diaphragms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US9706309B2 (en) Acoustic device
JP6819634B2 (ja) 音響センサ素子及び音響センサパッケージ
US20040179711A1 (en) Speaker having a weight ring
WO2019205658A1 (zh) 发声装置单体、发声模组及电子终端
JP2007306216A (ja) エレクトレット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JP5450044B2 (ja) 単一指向性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および接話型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JP5249901B2 (ja) 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US20120170777A1 (en) Condenser Microphone and Head Thereof
WO2007123038A1 (ja) エレクトレット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US10149027B2 (en) Speaker box
US20230217176A1 (en) Sp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