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778A - 전지 간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전지 간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778A
KR20080003778A KR1020077019397A KR20077019397A KR20080003778A KR 20080003778 A KR20080003778 A KR 20080003778A KR 1020077019397 A KR1020077019397 A KR 1020077019397A KR 20077019397 A KR20077019397 A KR 20077019397A KR 20080003778 A KR20080003778 A KR 20080003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inter
connection
connection structure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9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9110B1 (ko
Inventor
다카히로 후쿠오카
마사히코 가토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3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7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6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전지 케이스(7)의 원형 단면에 포함되는 형상의 용접부(2)와 이 용접부(2)로부터 연장되는 접속부(3)를 일체로 갖는 전지 간 접속 판(1)을 구비하며, 전지 케이스(7)의 일 측 전극단자 및 타 측 전극단자에 각각 용접부(2)를 용접하여 전지 간 접속 판(1)을 고착하고, 인접하는 2개의 원통형 전지(Ba)에 각각 고착한 전지 간 접속 판(1)의 각각의 접속부(3)를 서로 중첩시켜서 전기적인 접속상태로 연결함으로써, 복수 개의 원통형 전지(Ba)를 축 방향으로 직렬배치하거나 직경 방향으로 병렬배치한 배치 어느 경우에도 동일한 전지 간 접속 판(1)에 의해서 인접하는 각 2개를 서로 접속할 수 있게 하여,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충분한 방열효과 및 대형 원통형 전지를 접속할 때에도 충분한 견고성과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전지 간 접속, 용접부, 접속부, 원통형 전지,

Description

전지 간 접속구조{INTER-CELL CONNECTIING STRUCTURE}
본 발명은 주로 복수의 원통형 전지를 직렬접속 또는 병렬접속하여 필요로 하는 출력전압을 얻는 전지 모듈 혹은 전지 팩을 구성하기 위한 전지 간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AV기기 혹은 퍼스널컴퓨터나 휴대형 기기 등의 전자기기의 포터블(portable) 화나 코드 리스(codeless) 화가 급속하게 촉진되고 있고, 이들 전기기기의 구동 전원으로 신뢰성이 높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니켈 카드뮴 축전지 또는 니켈 수소 축전지나 리튬 2차 전지 등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지진이나 태풍 등의 재해에 의한 정전 발생시의 백업용 비상전원 등의 용도에는 현재 납 축전지가 주류이나, 장래에는 대용량이면서 대전류 방전이 가능한 니켈 수소 축전지의 채용이 기대되고 있다. 또한, 대용량을 갖는 니켈 수소 축전지에는 무인통신 기지국 등의 비상전원이나, 전차의 팬터그래프(pantograph) 승강용 전원 혹은 전차의 급전 정지시에 사용하는 조명 점등용 백업 전원 등의 철도용 전원의 용도에의 채용도 기대되고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전원은 복수 개의 원통형 전지의 서로 다른 전극의 단자 사이를 상호 접속하여 전지 모듈이나 전지 팩으로 조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전지 모듈이나 전지 팩을 구성할 때에 사용되는 전지 간 접속구조는 그 전지의 배열에 따라서 대략 2개로 대별된다. 그 중 하나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전지 Ba1, Ba2를 축 방향에 따라서 배치하고, 인접하는 2개의 전지 Ba1, Ba2 사이를 서로 직렬로 접속하는 것이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전지 간 접속구조는 2개의 전지 Ba1, Ba2 사이에 배치한 접시 형상의 접속체(50)를 일 측의 전지 Ba1의 양극 단자가 되는 금속 캡(51)이 설치된 밀봉 판(52)과 타 측의 전지 Ba2의 음극 단자가 되는 전지 케이스에 각각 프로젝션 용접(projection welding)을 하여 접속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접속체(50)는, 전지 케이스(53)의 외부에 삽입되는 원통부(50a)와 밀봉 판(52)과 접촉하는 평면부(50b)를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원통부(50a)의 내면과 평면부(50b)의 외면에서의 동일 반경상에 90°의 등간격의 각 위치에 각각 프로젝션(50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로젝션(50c)을 개재하여 프로젝션 용접을 함으로써, 접속체(50)의 평면부(50b)를 일 측 전지 Ba1의 금속 캡(51)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밀봉 판(52)에 접속하고, 원통부(50a)를 타 측 전지 Ba2의 전지 케이스(53)에 접속하고 있다. 한편, 전지 Ba1의 전지 케이스(53)와 접속체(50) 사이는 절연 링에 의해서 전기적인 단락이 방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양 전지 Ba1과 Ba2는 전기적으로 직렬접속이 되어 있다.
다른 전지 간 접속구조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전지 Ba3와 Ba4를 직경 방향으로 병행 배치하고, 접속 부재(59)에 의해 직렬로 접속하는 것이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이 전지 간 접속구조에서는, 일 측의 전지 Ba3 에 있는 일측 단면의 양극단자(60)의 외면과 타 측의 전지 Ba4의 타측 단면을 겸하는 전지 케이스(55)의 노출된 저부(55a)가 동일한 면이 되도록 그 측면 둘레 면 끼리 밀착시켜서 인접 배치한 상태에서, 양자 사이에 접속 부재(59)를 배치시켜서, 이 접속 부재(59)와 각 전지 Ba3 및 Ba4를 용접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접속 부재(59)는 그 제 1 접속부(61)가 전지 케이스(55)의 저부(55a)에 용접되고, 제 2 접속부(62)의 환 형상 오목부(63)가 밀봉 판(64에 용접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2003-162993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개2002-246005호 공보
그러나 도 8의 전지 간 접속구조에서는, 이들을 이용하여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경우에, 복수 개의 전지 Ba1, Ba2를 이들 전지의 축 방향으로 배열하여 연결한 좁으면서도 긴 원주형상의 외형이 되어서 전지 Ba1, Ba2 사이의 굽힘 강도가 낮으므로, 특히, 전지의 축 방향에 대해 측방으로부터 충격을 받은 때의 강도가 불충분하다. 또, 인접하는 각 2개의 전지 Ba1, Ba2의 접속 시의 프로젝션 용접시에는 접속체(50)의 프로젝션(50c)을 원통형의 전지 케이스(53)의 외면에 접촉시킨 불안정한 자세에서 용접을 하지 않으면 안 되므로 용접의 수율의 저하를 가져오며, 이 점에서도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가 곤란해지는 동시에, 용접 회수가 많음에 따라서 생산성이 나쁘다.
또한, 도 8의 전지 간 접속구조는 전지 Ba1, a2를 전지의 축 방향에 따른 배치로 직렬접속을 할 수밖에 없으므로, 필요로 하는 개수의 전지를 접속하여 전지 모듈 또는 전지 팩을 구성하는 경우, 일정 개수의 전지를 직렬접속한 전지 열을 병 렬로 배치하여, 이들 전지 열의 양단에서 각각의 직경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전지를 서로 직렬접속할 때에는 접속체(50)와는 다른 별도의 접속 부재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도 9의 전지 간 접속구조는 복수 개의 전지를 이들의 전지 축을 서로 평행하게 배치한 병렬배치 상태에서 직렬접속을 할 수밖에 없으므로, 전지를 전지의 축 방향으로 배열하여 직렬로 접속할 때에는,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은 접속 부재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지 간 접속구조에서는, 전지의 축 방향으로의 직렬배치와 직경 방향으로의 병렬배치에 각각 대응한 서로 다른 형상의 2종류의 접속용 부재를 필요로 하므로, 전지 모듈 또는 전지 팩을 구성할 때에는 2종류의 접속용 부재를 필요로 하며, 이에 따라 금형을 포함하는 부품 비용이 증대하고, 또한, 제조비용이 높아지므로, 제작된 전지 모듈 또는 전지 팩이 고가가 된다. 또, 어느 전지 간 접속구조에서도 인접하는 2개의 전지를 접속용 부재의 용접에 의해 접속하므로, 전지 모듈의 유지보수시에 일부 전지에 소모 또는 열화가 있는 경우에는 전지 모듈 전체를 교환할 수밖에 없게 되어서, 러닝 코스트(running cost)가 높아진다.
그러나 가까운 장래에는 100Ah 정도의 대용량을 가지며 중량이 1.6㎏ 정도의 니켈 수소전지와 같은 대형 원통형 전지의 실용화가 기대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대형 원통형 전지를 도 8 또는 도 9와 같은 전지 간 접속구조를 이용하여 전지 모듈 또는 전지 팩을 구성한다고 가정한 경우에는, 이들 전지 간 접속구조의 구성이 비교적 복잡해지게 됨에 따라서, 용접공정이 곤란해지는 동시에 접속용 부재의 중 량이 증대하며, 나아가서는, 충격을 받은 때에 강도를 충분하게 확보하기도 어려우므로, 실용화가 매우 어려울 것이 예상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복수 개의 원통형 전지를 축 방향으로 직렬배치하거나 직경 방향으로 병렬배치한 배치 중 어느 배치에 대해서도 동일한 전지 사이의 접속 판에 의해서 인접하는 2개의 전지를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대형 원통형 전지의 접속에서도 충분한 견고성과 경량화가 가능한 구조를 달성할 수 있으면서도, 용이하게 분해를 할 수 있는 전지 간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지 간 접속구조는, 밑면이 있는 원통 형상의 전지 케이스의 밑면을 일 측 전극단자로 하고, 상기 전지 케이스의 개구단(開口端) 측에 형성된 밀봉체를 타 측의 전극단자로 한 원통형 전지를 복수 개 구비하고, 이들 원통형 전지를 축 방향으로 직렬배치하거나 또는 직경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하여, 인접하는 각 2개의 원통형 전지의 서로 다른 전극단자를 상호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전지 간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지 케이스의 원형 단면 내에 포함되는 형상의 용접부와 이 용접부로부터 연장하는 접속부를 일체로 갖는 전지 간 접속 판을 구비하며, 상기 전지 케이스의 일 측의 전극단자 및 타 측의 전극단자에 각각 상기 용접부를 용접하여 상기 전지 간 접속 판이 고착되고, 인접하는 각 2개의 원통형 전지에 각각 고착된 상기 전지 간 접속 판의 각각의 상기 접속부가 서로 중첩되어서 전기적인 접속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지 간 접속 판의 용접부가 전지 케이스의 원형 단면에 포함되는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그 용접부를 전지 케이스에서의 전지의 축 방향의 양 단면에 있는 각 전극단자 어디에나 용접에 의해 고착할 수 있고, 이 고착상태에서 전지 간 접속 판의 접속부가 원통형 전지의 측방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2개의 원통형 전지를 전지의 축 방향에 따라서 배열하는 경우에는, 이들 전지에 고착되어 있는 각 전지 간 접속 판의 각각의 접속부를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배치로 상호 중첩시켜서 연결함으로써, 인접하는 2개의 전지를 직렬접속할 수 있다. 한편, 2개의 전지를 그 전지 축이 서로 평행하게 되는 배치로 배열하는 경우에는, 이들 전지에 고착되어 있는 각 전지 간 접속 판의 접속부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배치로 상호 중첩시켜서 연결함으로써, 인접하는 2개의 전지를 직렬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원통형 전지를 축 방향으로 직렬배치하거나 직경 방향으로 병렬배치하는 배치 모두에 대해서 동일한 전지 간 접속 판에 의해서 인접하는 각 2개의 전지를 상호 접속할 수 있으므로, 부품비용 및 제조비용을 모두 절감할 수 있어서, 전지 모듈 또는 전지 팩을 염가로 제작할 수 있다.
또, 접속부는 원통형 전지의 측방에서 서로 중첩된 상태로 연결하므로, 예를 들어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 등 용접 이외의 연결수단을 채용함으로써, 대형 원통형 전지를 접속하는 경우에도 전지 간 접속을 위한 용접공정의 생략에 따라서 제작공정이 용이하며, 구성의 간소화에 따라서 접속부분의 중량의 증대를 초래하지 않고도 충격을 받은 때의 강도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는 높은 견고성을 갖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유지보수시 등에 일부의 전지에 소모 또는 열화가 인정된 경우에, 중첩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2매의 접속부의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필요한 전지만을 교환할 수 있다. 그럼에도, 전지 간 접속 판은 단순한 판 형상인 동시에 그 접속부가 원통형 전지의 측방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부착되므로, 복수 개의 원통형 전지를 축 방향으로 직렬배치하거나 직경 방향으로 병렬배치하는 배치의 어느 형태로 접속하는 경우에도 상호 접속된 2개의 원통형 전지 사이에 통풍 가능한 간극이 확보되어 충분한 방열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전지 간 접속구조에서의 전지 간 접속 판은, 반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용접부와 접속부(3)의 경계에 따라서 단차부(4)가 형성되고, 상기 용접부가 상기 접속부에 대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하면, 캡 형상 단자가 돌출하는 측의 전극단자에 대해 전지 케이스의 코킹부와 밀봉 판의 외면이 만드는 오목한 부분에 전지 간 접속 판의 용접부가 삽입된 안정된 상태로 지지하여 용접할 수 있으므로, 항상 높은 접합강도로 고착할 수 있다.
또, 상기 전지 간 접속구조에서, 전지 케이스에서의 개구단 측의 코킹(caulking)부가 절연 링으로 피복되고, 전지 간 접속 판에서의 단차부는, 이들 접속부 측의 외측 면이 상기 절연 링의 내측 둘레 면에 대략 합치하는 곡률반경을 갖는 반 원호형상을 가지며, 또한, 상기 코킹부의 축 방향의 단부와 밀봉 판의 외면과의 단차보다도 큰 높이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하면, 전지 간 접속 판의 단차부의 외측 면이 절연 링의 내측 둘레 면에 삽입되는 상태로 접촉한 위치에 위치결정을 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전지 간 접속 판의 용접부를 밀봉 판의 외면에 확실하게 용접할 수 있으므로, 항상 위치의 어긋남이 없이 높은 용접강도를 얻을 수 있는 견고성이 높은 접합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 전지 간 접속 판이 전지에 고착된 때에는 코킹부의 축 방향 단부와 접속부 사이에 간극이 확보되므로 방열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 전지 간 접속 판은 절연 링의 존재에 의해 일 측 또는 타 측 전극을 각각 형성하는 전지 케이스와 밀봉 판의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고 있다.
나아가, 상기 전지 간 접속구조에서, 전지 케이스의 일 측 및 타 측의 전극단자 모두 동일 형상의 전지 간 접속 판이 고착된 구성으로 하면, 동일 형상의 전지 간 접속 판을 이용하는 것만으로 전지 축 방향으로 배열한 2개의 원통형 전지의 직렬접속 및 직경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한 2개의 원통형 전지의 직렬접속 양방에 대응할 수 있어서, 전지 모듈 또는 전지 팩을 용이하게 염가로 제작할 수 있다.
또, 상기 전지 간 접속구조에서의 각 원통형 전지의 양 전극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한 쌍의 전지 간 접속 판은 각각의 접속부의 상기 원통형 전지로부터의 돌출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임의로 설정한 상대 배치로 접속된 구성으로 하면, 원통형 전지의 양단부에 각각 고착하는 한 쌍의 전지 간 접속 판을, 이들의 접속부가 이루는 각도를 임의로 설정한 상대 배치로 조정함으로써, 복수 개의 원통형 전지를 전지 축 방향으로 배열한 직렬접속 및 직경 방향으로 병렬로 배열한 배치에서의 직렬접속 모두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복수 개의 원통형 전지를 필요한 배열로 접속한 전지 모듈을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더하여, 전지 모듈의 제작시에는, 예를 들어 복수의 원통형 전지의 다양한 배열형태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지 간 접속구조에서, 전지 간 접속 판의 접속부는, 용접부의 반 원호형상의 직경보다 크고, 또한, 전지 케이스의 직경 미만의 간격으로 상기 용접부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2개의 측변과, 이 양 측변에 직교하는 단변으로 둘러싸인 형상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하면, 원통형 전지에 대해서 전지 간 접속 판의 접속부가 자체의 길이방향으로만 돌출할 뿐, 폭 방향으로는 돌출하지 않으므로, 2개의 접속부가 서로 연결되는 개소를 전지 케이스의 직경 범위 내로 설정할 수 있어서, 다수 개의 원통형 전지를 용이하고도 안정된 배치로 복수 단으로 적층한 전지 모듈 또는 전지 팩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본 전지 간 접속구조에서, 전지 간 접속 판의 용접부에서의 단변 근방의 양단 측 개소에 한 쌍의 연결용 구멍이 형성된 구성으로 하면, 인접하는 2매의 전지 간 접속 판을 이들 연결용 구멍을 합치시켜서 서로 연결할 수 있어서, 인접하는 각 2개의 원통형 전지를 용접에 의하지 않고도 서로 접속할 수 있다. 또, 인접하는 원통형 전지의 상대위치의 약간의 어긋남을 연결용 구멍에서 흡수할 수 있으므로, 원통형 전지를 전지 축 방향에 따른 배치 또는 직경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하는 경우에, 원통형 전지의 상대 위치의 위치결정에 자유도가 발생하여, 위치조정이 용이해진다.
또, 본 전지 간 접속구조에서, 인접하는 2매의 전지 간 접속 판은, 각각의 용접부가 이들 연결용 구멍을 합치시킨 상대 위치에서 서로 중첩되고, 상기 합치한 연결용 구멍을 개재하여 볼트와 너트를 나사 결합하여 체결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성으로 하면, 인접하는 2매의 전지 간 접속 판을 이들의 연결용 구멍을 합치시켜서 볼트와 너트의 체결에 의해 연결할 수 있으므로, 2개의 원통형 전지를 상호 접속할 때의 용접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동시에, 유지보수시 등에 전지 모듈 또는 전지 팩에서의 일부의 원통형 전지에 소모 또는 열화가 인정된 경우에는 볼트를 분리하여 필요한 원통형 전지만을 교환할 수 있게 되어, 종래와 같이 전지 모듈 또는 전지 팩을 단위로 하여 교환하는 경우에 비해서 러닝 코스트를 대폭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전지 간 접속구조에서, 인접하는 2매의 전지 간 접속 판에서의 서로 중첩되는 접속부 중 일방에, 연결용 구멍에 합치시킨 배치로 너트가 용접에 의해 미리 고착된 구성으로 하면, 2개의 원통형 전지에 각각 용접된 전지 간 접속 판의 각각의 연결용 구멍을 합치시킨 후에, 이 합치시킨 연결용 구멍에 볼트를 삽입하여 너트에 나사 결합을 하는 것만으로 인접하는 2개의 원통형 전지의 접속을 할 수 있으므로, 접속을 위한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 상기 전지 간 접속구조에서의 볼트와 너트를 황동제로 구성하면, 볼트와 너트의 전기저항이 낮아져서, 한층 고출력 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전지 간 접속 판의 접속부에서의 한 쌍의 연결용 구멍 사이의 개소에 슬릿이 형성된 구성으로 하면, 인접하는 2매의 전지 간 접속 판을 볼트와 너트의 체결에 의해 연결하는 경우에, 용접부를 원통형 전지에 용접한 때에 전지 간 접속 판에 발생하는 위치의 어긋남을 슬릿의 존재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시켜서 흡수할 수 있으므로, 확실한 체결을 할 수 있다. 한편, 인접하는 2매의 전지 간 접속 판을 용접에 의해 연결하는 경우에는, 슬릿이 용접시의 무효전류를 감소시키도록 작용하는 동시에, 쌍방의 전지 간 접속 판의 어긋남을 슬릿의 존재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시켜서 흡수할 수 있으므로, 확실한 용접을 할 수 있다.
또, 상기 전지 간 접속구조에서, 전지 간 접속 판의 용접부에 원통형 전지의 전극단자에 대한 용접용 프로젝션이 복수 형성되고, 또한, 인접하는 2개의 프로젝션 사이에 슬릿이 형성된 구성으로 하면, 프로젝션을 개재하여 전지 간 접속 판의 용접부를 전지 케이스에 용접할 때에, 슬릿에 의해서 용접시의 무효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용접부와 전지 케이스 쌍방의 어긋남을 슬릿의 존재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시켜서 흡수할 수 있으므로, 확실한 프로젝션 용접을 하여 높은 접합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전지 간 접속구조에서의 전지 간 접속 판은, 철, 동, 황동 중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측 면에 니켈을 표면 가공한 소재, 혹은 니켈, 철, 동, 황동 중 어느 하나를 소재로 하여 형성된 구성으로 하면, 전기저항이 낮은 전지 간 접속 판이 되므로, 제작 후의 전지 모듈 또는 전지 팩의 고출력 화를 한층 촉진할 수 있다.
또, 상기 전지 간 접속구조에서, 인접하는 2매의 전지 간 접속 판은 상호 연결된 후에 절연도료로 피복된 구성으로 하면, 전지 간 접속 판의 외부 표면이 전기적으로 절연되므로, 안정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전지 간 접속구조에서의 절연도료로 원적외선 도료가 사용되는 구성으로 하면, 전지 간 접속 판의 절연효과에 더하여, 전지 간 접속 판에 방열효과가 부가되어, 마치 방열 핀과 같은 기능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전지 간 접속구조의 접속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속구조에 이용하는 전지 간 접속 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지 간 접속구조를 이용하여 구성한 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 절단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 절단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전지 간 접속구조를 이용하여 구성한 전지 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전지 간 접속구조를 이용하여 구성한 다른 전지 팩을 나타내는 일부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전지 간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다른 전지 간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전지 간 접속구조의 접속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그 접속에 사용하는 전지 간 접속 판(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2의 전지 간 접속 판(1)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전지 간 접속 판(1)은 용접수단에 의해 전지 케이스(7)에 고착되는 용접부와 이 용접부로부터 연장된 접속부(3)가 단차부(4)를 개재하여 일체로 연결된 형상을 하고 있으며, 용접부(2)가 접속부(3)에 대해 오목하게 되어 있다.
상기 용접부(2)는 도 1에 도시하는 전지(Ba)의 전지 케이스(7)의 원형 단면 내에 포함되는 반 원호형상(半 圓弧形狀)을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지(Ba)의 원형의 전극단자 판(8)(도 1)의 둘레부분의 단면보다도 약간 큰 곡률반경을 갖는 반원형의 내주부(2a)와, 전지 케이스(7)의 개구단 측의 원형의 코킹부의 내측 내주 면에 대응한 곡률반경을 갖는 반원형의 외주부(2b)로 둘러싸인 반 원호형상을 하고 있다. 이 용접부(2)에는 저항용접용 프로젝션(9)이 복수(본 실시 예에서는 4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인접하는 2개의 프로젝션(9)의 각각의 사이에 있는 부위에 슬릿(slit, 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3)는 한 쌍의 측변(3a, 3b)과 이 측변(3a)에 직교하는 단변(3c)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측변(3a, 3b)은 용접부(2)의 반 원호형상의 직경보다 크며 전지 케이스(7)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간격으로 용접부(2)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 접속부(3)에는 단변(3c)의 중앙부로부터 양 측변(3a, 3b)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릿(11)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한 쌍의 연결용 구멍(12)이 단변(3c)의 양단부 근방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3)에는 도 2에 도시하는 전지 간 접속 판(1)의 하면 측에 한 쌍의 너트(13)가 연결용 구멍(12)과 합치하도록 위치가 결정되어 미리 용접에 의해 고착되는 경우도 있다.
상기 단차부(4)는 용접부(2)의 반원형의 외주부(2b)로부터 상승하는, 평면에서 본 경우에 반 원호형상이며, 접속부(3) 측의 외주 면이 전지 케이스(7)의 개구(開口) 단부의 코킹부에서의 내측 둘레 면과 합치하는 곡률반경의 반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전지(Ba)의 밀봉 판(14)에서부터 코킹부의 축 방향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약간 큰 높이로 되어 있다. 이 용접부(2)와 접속부(3)가 단차부(4)를 개재하여 일체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 전지 간 접속 판(1)은 철, 동, 황동 등의 적어도 일측 면에 니켈을 표면가공한 소재, 혹은 니켈, 철, 동, 황동 등을 소재로 하여 일체로 성형하며, 낮은 전기저항을 가지므로, 고출력 화를 도모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전지 간 접속 판(1)을 이용한 전지 간 접속구조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서는 절연 링(18)을 전지 케이스(7)의 개구단 측의 코킹부에 덮어씌운 상태로 설치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고, 이에 대한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전지 간 접속 판(1)은, 용접부(2)가 전지 케이스(7)에서의 원형의 단면 내에 포함되는 반 원호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전지(Ba)의 양극단자인 전극단자 판(8)이 접합된 밀봉 판(14) 및 음극단자가 되는 전지 케이스(7)의 밑면(17)의 양방에 공통으로 부착할 수 있다.
먼저, 전지(Ba)의 밀봉 판(14)에 용접부(2)를 용접하여 전지 간 접속 판(1)을 부착할 때에는, 용접부(2)를 전지(Ba)의 밀봉 판(14) 위에 놓고, 단차부(4)의 외주 면을 절연 링(18)의 내측 둘레 면(18a)에 접촉시키면, 단차부(4)의 외측 면이 절연 링(18)의 내측 둘레 면(18a)과 대략 합치하는 곡률반경의 반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차부(4)의 외측 면이 절연 링(18)의 내측 둘레 면(18a)에 대략 삽입되는 상태로 밀착하여 위치가 결정되어서, 전지 간 접속 판(1)을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용접부(2)를 밀봉 판(14)에 용접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서로 용접된 용접부(2)와 밀봉 판(14)은 항상 위치의 어긋남이 없이 높은 용접강도가 확보되어서, 견고성이 높은 접합상태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용접시에는, 용접부(2)의 프로젝션(9)에 대응하는 부위에 한 쌍의 용접 전극을 각각 접촉시켜서 프로젝션용접이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접촉면적이 작아서 접촉저항이 큰 프로젝션(9)과 밀봉 판(14)의 접촉부분에 용접전류가 국소적으로 집중하여 흐르며, 이에 따른 발열에 의해 프로젝션(9)이 용융하여 용접부(2)와 밀봉 판(14)이 상호 접합된다. 이때, 용접부(2)의 슬릿(10)은, 프로젝션용접 시의 무효전류를 줄이는 동시에, 밀봉 판(14)과 용접부(2)의 각각의 뒤틀림을 슬릿(10)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시켜서 흡수할 수 있으므로, 확실한 용접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전지(Ba)를 병렬로 배치하여 이들을 직경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직렬접속을 하는 경우에는, 전지 케이스(7)의 개구단 측 및 밑면(17)으로부터 각각 측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2매의 전지 간 접속 판(1)의 각 접속부(3)를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는 배치로 중첩시켜서, 각각의 한 쌍의 연결용 구멍(12)을 합치시킨 상대 배치로 위치결정을 하고, 이 중첩된 상태의 각 2개의 연결용 구멍(12)의 일방 측에서 삽입된 볼트(19)를 타 측의 너트(13)에 나사결합을 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2매의 전지 간 접속 판(1)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연결된다. 인접하는 2개의 원통형 전지(Ba)의 상대적인 위치의 약간의 어긋남은 한 쌍의 전지 간 접속 판(1)의 위치결정 시에 연결용 구멍(12)에서 흡 수할 수 있으므로, 원통형 전지(Ba)를 전지의 축 방향에 따른 배치 또는 직경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하는 경우에 원통형 전지(Ba)의 상대적인 위치의 위치결정에 자유도가 발생하며, 위치 조정이 용이해진다. 또, 한 쌍의 전지 간 접속 판(1)을 볼트(19)와 너트(13)의 나사 체결에 의해 접속할 때에는 쌍방의 전지 간 접속 판(1)의 어긋남을 각각의 슬릿(11)의 존재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시켜서 흡수할 수 있으므로, 확실한 나사 체결을 할 수 있다.
또한, 이 전지 간 접속구조는 동일한 전지 간 접속 판(1)을 전지 케이스(7)의 개구단 측 및 밑면(17) 중 어디에나 공통으로 부착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 중 하나이나, 전지 케이스(7)의 밑면(17) 부착용으로 하는 전지 간 접속 판(1)의 일 면에 연결용 구멍(12)과 합치시킨 배치로 너트(13)를 미리 고착해 두면, 상기 연결작업을 한층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2매의 전지 간 접속 판(1)을 볼트(19)와 너트(13)의 체결수단으로 연결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지 간 접속구조의 작업시의 용접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전지 간 접속구조를 이용하여 구성한 전지 모듈 또는 전지 팩의 유지보수시 등에 있어서, 일부의 원통형 전지(Ba)의 소모 또는 열화가 인정된 경우에는, 볼트(19)를 제거하여 필요한 원통형 전지(Ba)만을 교환할 수 있어서, 종래와 같이 전지 모듈 또는 전지 팩을 단위로 하여 교환하는 경우에 비해서 러닝 코스트를 대폭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접하는 2매의 전지 간 접속 판(1)을 상술한 볼트(19)와 너트(13)로 나사 결합하여 체결하는 연결수단 대신에, 용접에 의해 서로 고착하여 연결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슬릿(11)이 용접시 의 무효전류를 감소시키도록 작용하는 동시에, 2매의 전지 간 접속 판(1)의 위치의 어긋남을 슬릿(11) 자체의 존재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시켜서 흡수할 수 있으므로, 확실하게 용접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지 간 접속구조를 이용하여 6개의 원통형 전지(Ba)를 전기적으로 직렬접속하여 구성한 전지 모듈(20)을 나타내며,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3의 Ⅳ-Ⅳ선 확대 단면도 및 Ⅴ-Ⅴ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과 마찬가지로, 전지 모듈(20)의 직경 방향으로 병렬배치한 배치에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원통형 전지(Ba)를 서로 전기적으로 직렬접속하여 구성한 전지 간 접속구조의 부분을 나타내는 것이며, 도 1에서 설명한 접속과정을 거쳐서, 동일한 2매의 전지 간 접속 판(1)의 상호 연결에 의해 2개의 원통형 전지(Ba)의 각각의 서로 다른 전극을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전지 간 접속구조가 접속대상으로 하는 원통형 전지(Ba)는 본 실시 예에서는 대용량이면서 대형인 니켈 수소전지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원통형 전지(Ba)는 음극을 겸하는 밑면이 있는 원통 형상의 전지 케이스(7)의 일단 개구부가, 밀봉 판(14), 이 밀봉 판(14)의 외면에 접합된 전극단자 판(8), 이 전극단자 판(8)의 중앙부에 고착된 단면 U자 형상의 캡 형상 양극단자(21), 이 캡 형상 양극단자(21)와 전극단자 판(8) 사이의 공간 내에 배치된 고무밸브체(22) 및 절연 캐스킷(23)에 의해 구성된 밀봉체(24)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밀봉 판(14)의 주연부와 전지 케이스(7)의 개구 단부는 이들 사이에 절연 캐스킷(23)을 개재한 상태로, 전지 케이스(7)의 개구 단부의 내측으로 구부리는 코킹 가공을 하여 코킹 부(7a)를 형성함으로써, 코킹부(7a)에 의해 압축된 절연 캐스킷(23)을 개재하여 상호 기밀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도 5는 전지 모듈(20)에서의 축 방향으로 직렬로 배치하여 인접하는 2개의 원통형 전지(Ba)를 상호 직렬접속하여 구성한 전지 간 접속구조의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이 전지 간 접속구조는, 도 1에서 설명한 접속과정을 거쳐서 용접부(2)를 전지 케이스(7)의 밀봉 판(14) 및 밑면(17)에 각각 용접하여 부착한 동일한 2매의 전지 간 접속 판(1)을 동일한 방향이 되는 배치로 중첩시켜서, 각각의 한 쌍의 연결용 구멍(12)을 합치시킨 상대 위치에 배치하고, 상호 중첩된 상태의 2개의 연결용 구멍(12)의 일방 측에서 삽입한 볼트(19)를 타 측의 너트(13)에 나사 결합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2매의 전지 간 접속 판(1)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상태로 연결된다. 이 연결 시에도, 도 4의 전지 간 접속구조와 마찬가지로, 쌍방의 전지 간 접속 판(1)의 어긋남을 각각의 슬릿(11)의 존재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시켜서 흡수할 수 있으므로, 볼트(19)와 너트(13)의 확실한 체결을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각각 도시한 전지 간 접속구조는 이하에 설명하는 현저한 효과를 발휘한다. 즉, 이 전지 간 접속구조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원통형 전지(Ba)를 상호 접속하는 전지 간 접속 판(1)이, 전지 케이스(7)의 원형 단면에 삽입되는 반 원호형상의 용접부(2)를, 전지 케이스(7)에서의 평탄면인 밑면(17)으로 이루어지는 음극 전극단자 및 전극단자 판(8)으로부터 캡 형상 양극단자(21)가 돌출한 양극 전극단자의 어디에도 용접에 의해 고착할 수 있고, 이 고착상태의 전지 간 접속 판(1)의 접속부(3)가 원통형 전지(Ba)의 측방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원통형 전지(Ba)에 고착한 2매의 전지 간 접속 판(1)의 각 접속부(3)를 동일한 방향이 되는 배치로 중첩시켜서 연결함으로써, 2개의 원통형 전지(Ba)를 전지의 축 방향으로 배열하여 직렬접속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매의 전지 간 접속 판(1)을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는 배치로 각각의 접속부(3)를 중첩시켜서 연결함으로써, 직경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한 2개의 원통형 전지(Ba)를 직렬접속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원통형 전지(Ba)를 전지의 축 방향으로 직렬로 배치하거나, 또는, 직경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한 경우의 어느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한 전지 간 접속 판(1)에 의해서 인접하는 2개의 전지를 상호 접속할 수 있으므로, 부품 비용 및 제조비용을 동시에 줄일 수 있어서, 전지 모듈(20) 또는 이 전지 모듈(20)을 필요한 개수로 연결한 전지 팩을 매우 염가로 제작할 수 있다.
또, 전지 간 접속 판(1)은, 단순한 판 형상인 동시에, 그 접속부(3)가 원통형 전지(Ba)의 측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부착되므로, 상호 접속된 2개의 원통형 전지(Ba) 사이에 통풍 가능한 공간이 확보되어서, 충분한 방열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면서도, 접속부(3)는 원통형 전지(Ba)의 측방에서 상호 연결하므로, 용접 이외에도 볼트(19)와 너트(13)의 체결수단이나, 도시하고 있지 않은 리벳과 같은 코킹수단 등을 채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대형 원통형 전지를 접속하는 경우에도 용접공정 없이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고, 구성의 간소화에 의해 접속부분의 중량이 증대하지 않으며, 반 원호형상의 용접부(2)와 전지 케이스(7)의 접합면적이 크므로, 충격을 받은 때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서, 높은 견고성을 얻을 수 있 다.
또한, 전지 간 접속 판(1)의 용접부(2)를 밀봉 판(14)에 용접할 때에는, 용접부(2)가 전지 케이스(7)의 코킹부(7a)와 밀봉 판(14)의 외면이 만드는 오목부에 삽입되고, 또한, 단차부(4)의 외측 면이 절연 링(18)의 내측 둘레 면에 삽입되는 상태로 접촉하여 위치결정이 된 안정된 지지상태로 용접할 수 있으므로, 용접부(2)를 밀봉 판(14)의 외면에 확실하게 용접할 수 있고, 항상 위치의 어긋남이 없는 높은 용접강도를 얻을 수 있어서, 견고성이 높은 접합상태가 된다. 또, 전지 간 접속 판(1)이 원통형 전지의 양극 전극단자 측에 고착된 때에는, 도 4 및 도 5에 명시한 바와 같이, 전지 케이스(7)의 코킹부(7a)의 축 방향의 단부와 접속부(3) 사이에 간극이 확보되므로 방열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으며, 절연 링(18)의 존재에 의해 전지 간 접속 판(1)이 전지 케이스(7)와 밀봉 판(14)을 전기적으로 단락시킬 우려가 없다.
또,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지 간 접속 판(1)의 접속부(3)는, 용접부(2)의 반 원호형상의 직경보다 크고, 또한, 전지 케이스(7)의 직경 미만의 간격으로 용접부(2)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2개의 측변(3a, 3b)과, 이 양 측변(3a, 3b)에 직교하는 단변(3c)으로 둘러싸인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접속부(3)가 원통형 전지(Ba)에 대해서 자체의 길이방향으로만 돌출할 뿐, 폭 방향으로는 돌출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2개의 접속부(3)를 상호 연결하는 개소를 전지 케이스(7)의 직경 범위 내로 설정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원통형 전지(Ba)를 용이하고도 안정된 배치로 복수 단으로 적층 하 여 전지 모듈(20) 또는 전지 팩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지 간 접속 판(1)은 철, 동, 황동 등의 적어도 일측 면에 니켈을 표면 가공한 소재, 혹은 니켈, 철, 동, 황동 등을 소재로 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지저항이 작다. 한편, 전지 간 접속 판(1)을 상호 연결하는 볼트(19)와 너트(15)로는 황동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황동제 볼트(19)와 너트(13)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동 제품의 전지 간 접속 판(1)과의 조합에 의해 쌍방의 친밀도가 최적이 되어서 전기저항을 매우 낮게 할 수 있으므로, 이를 사용하여 구성한 전지 모듈(20) 또는 전지 팩의 고출력 화를 한층 촉진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예에서는, 볼트(19)와 너트(13)의 나사결합에 의한 체결에 의해 2개의 원통형 전지(Ba)를 상호 접속한 후의 전지 간 접속 판(1)이 원적외선 도료의 코팅에 의해 피복되어 있고, 이에 의해, 전지 간 접속 판(1)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안정성이 높아지는 동시에, 전지 간 접속 판(1)에 방열효과가 부가되어, 마치 방열 핀과 같은 기능을 한다.
도 7은 실시 예의 전지 간 접속구조를 이용하여 구성한 전지 팩(27)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 전지 팩(27)은 도 3과 대략 동등한 구성으로 한 전지 모듈(20)을 2개 사용하여, 이들 2개의 전지 모듈(20)을 상호 대향하는 배치로 2단 적층한 상태에서 각 원통형 전지(Ba)를 직렬접속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 전지 팩(27)은 축 방향의 직렬배치에서 인접하는 2개의 원통형 전지(Ba)의 직렬접속 및 직경 방향의 병렬배치에서 인접하는 2개의 원통형 전지(Ba)의 직렬접속 양쪽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전지 간 접속 판(1)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고, 한 종류의 전지 간 접속 판(1) 에 의해 모든 원통형 전지(Ba)의 접속을 할 수 있으므로, 대폭적인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3의 전지 모듈(20)의 구성시에는, 원통형 전지(Ba)의 양단에 각각 고착되는 각 한 쌍의 전지 간 접속 판(1)이, 각각의 접속부(3)의 돌출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90°가 되는 상대 배치로 설정하여 원통형 전지(Ba)에 고착되어 있다. 한편, 도 7의 전지 팩(27)의 구성시에는, 원통형 전지(Ba)의 양단에 각각 고착되는 각 한 쌍의 전지 간 접속 판(1)이, 도 3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접속부(3)의 돌출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90°가 되는 상대 배치로 설정하여 원통형 전지(Ba)에 고착되어 있고, 이에 더하여, 접속부(3)의 돌출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108°가 되는 상대 배치로 설정하여 원통형 전지(Ba)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도 6은 실시 예의 전지 간 접속구조를 이용하여 구성한 다른 전지 팩(28)의 일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전지 팩(28)은, 도 7의 전지 팩과 마찬가지로, 도 3과 대략 동등한 구성으로 한 전지 모듈(20)을 2개 사용하여, 이들 2개의 전지 모듈(20)을 2단 중첩하여 적층한 상태에서 각 원통형 전지(Ba)를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한 것이나, 상하의 전지 모듈(20)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도록 각 원통형 전지(Ba)를 적층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전지 팩(28)에서는, 하방의 전지 모듈(20)에서의 우단의 원통형 전지(Ba)의 양단에 고착되는 한 쌍의 전지 간 접속 판(1)이, 각각의 접속부(3)의 돌출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60°가 되는 상대 배치로 설정하여 원통형 전지(Ba)에 고착되어 있고, 상방의 전지 모듈(20)에서의 우단의 원통형 전지(Ba)의 양단에 고착되는 한 쌍의 전지 간 접속 판(1)이, 각각의 접속 부(3)의 돌출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120°가 되는 상대 배치로 설정하여 원통형 전지(Ba)에 고착되어 있다.
즉, 상기 실시 예의 전지 간 접속구조에서는, 동일 형상의 한 종류의 전지 간 접속 판(1)만을 사용하고 있을 뿐임에도 불구하고, 각 원통형 전지(Ba)의 양 전극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한 쌍의 전지 간 접속 판(1)을, 각각의 접속부(3)의 원통형 전지(Ba)로부터의 돌출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임의의 각도의 상대 배치로 설정함으로써, 전지 모듈의 제작시에 원통형 전지(Ba)를 다양한 배열형태로 배치하는 구성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큰 이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지 간 접속구조에 의하면, 동일한 전지 간 접속 판에 의해, 2개의 원통형 전지를 축 방향으로 배열한 배치로 직렬접속하는 용도와, 2개의 원통형 전지를 직경 방향으로 병렬로 배열한 배치로 직렬접속하는 용도의 양방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부품비용 및 제조비용을 동시에 줄일 수 있어서, 전지 모듈 또는 전지 팩을 염가로 제작할 수 있는 동시에, 상호 접속된 2개의 원통형 전지 사이에 통풍 가능한 간극이 확보되어서 충분한 방열효과를 얻을 수 있고, 나아가, 2매의 전지 간 접속 판을 용접 이외의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 등에 의해 상호 연결하여 접속할 수 있으므로, 대형 원통형 전지를 접속하는 경우에도 용접공정의 생략에 의해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어서, 구성의 간소화에 따라서 접속부분의 중량이 증대하지 않고, 반 원호형상의 용접부와 전지 케이스의 접합면적이 크므로 충격을 받은 때의 강도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는 높은 견고성을 얻 을 수 있다.

Claims (15)

  1. 밑면이 있는 원통 형상의 전지 케이스(7)의 밑면을 일 측 전극단자로 하고, 상기 전지 케이스의 개구단(開口端) 측에 형성된 밀봉체(24)를 타 측의 전극단자로 한 원통형 전지(Ba)를 복수 개 구비하고, 이들 원통형 전지를 축 방향으로 직렬배치하거나 또는 직경 방향으로 병렬배치하여, 인접하는 각 2개의 원통형 전지의 서로 다른 전극단자를 상호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전지 간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지 케이스의 원형 단면 내에 포함되는 형상의 용접부(2)와 이 용접부로부터 연장하는 접속부(3)를 일체로 갖는 전지 간 접속 판(1)을 구비하며,
    상기 전지 케이스의 일 측의 전극단자 및 타 측의 전극단자에 각각 상기 용접부를 용접하여 상기 전지 간 접속 판이 고착되고,
    인접하는 각 2개의 원통형 전지에 각각 고착된 상기 전지 간 접속 판의 각각의 상기 접속부가 서로 중첩되어서 전기적인 접속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전지 간 접속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지 간 접속 판(1)은, 반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용접부(2)와 접속부(3)의 경계에 따라서 단차부(4)가 형성되고, 상기 용접부가 상기 접속부에 대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지 간 접속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전지 케이스(7)에서의 개구단 측의 코킹(caulking)부(7a)가 절연 링(18)으로 피복되고,
    전지 간 접속 판(1)에서의 단차부(4)는, 이들 접속부 측의 외측 면이 상기 절연 링의 내측 둘레 면에 대략 합치하는 곡률반경을 갖는 반 원호형상을 가지며, 또한, 상기 코킹부(7a)의 축 방향의 단부와 밀봉 판(14)의 외면과의 단차보다도 큰 높이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지 간 접속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지 케이스(7)의 일 측 및 타 측의 전극단자 모두 동일 형상의 전지 간 접속 판(1)이 고착되어 있는 전지 간 접속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원통형 전지(Ba)의 양 전극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한 쌍의 전지 간 접속 판(1)은 각각의 접속부(3)의 상기 원통형 전지로부터의 돌출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임의로 설정한 상대 배치로 접속되어 있는 전지 간 접속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지 간 접속 판(1)의 접속부(3)는, 용접부(2)의 반 원호형상의 직경보다 크 고, 또한, 전지 케이스(7)의 직경 미만의 간격으로 상기 용접부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2개의 측변(3a, 3b)과, 이 양 측변에 직교하는 단변(3c)으로 둘러싸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지 간 접속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전지 간 접속 판(1)의 용접부(2)에서의 단변(3c) 근방의 양단 측 개소에 한 쌍의 연결용 구멍(12)이 형성되어 있는 전지 간 접속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인접하는 2매의 전지 간 접속 판(1)은, 각각의 용접부(2)가 이들 연결용 구멍(12)을 합치시킨 상대 위치에서 서로 중첩되고, 상기 합치한 연결용 구멍을 개재하여 볼트(19)와 너트(13)를 나사 결합하여 체결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전지 간 접속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인접하는 2매의 전지 간 접속 판(1)에서의 서로 중첩되는 접속부(3) 중 일방에, 연결용 구멍(12)에 합치시킨 배치로 너트(13)가 용접에 의해 미리 고착되어 있는 전지 간 접속구조.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볼트(19)와 너트(13)는 황동제인 전지 간 접속구조.
  11. 청구항 7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지 간 접속 판(1)의 접속부(3)에서의 한 쌍의 연결용 구멍(12) 사이의 개소에 슬릿(11)이 형성되어 있는 전지 간 접속구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지 간 접속 판(1)의 용접부(2)에 원통형 전지(Ba)의 전극단자에 대한 용접용 프로젝션(9)이 복수 형성되고, 또한, 인접하는 2개의 프로젝션 사이에 슬릿(10)이 형성되어 있는 전지 간 접속구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지 간 접속 판(1)은, 철, 동, 황동 중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측 면에 니켈을 표면 가공한 소재, 혹은 니켈, 철, 동, 황동 중 어느 하나를 소재로 하여 형성되어 있는 전지 간 접속구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접하는 2매의 전지 간 접속 판(1)은 상호 연결된 후에 절연도료로 피복되어 있는 전지 간 접속구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절연도료로 원적외선 도료가 사용되는 전지 간 접속구조.
KR1020077019397A 2005-04-14 2006-03-31 전지 간 접속구조 KR101249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16373A JP5005183B2 (ja) 2005-04-14 2005-04-14 電池間接続構造
JPJP-P-2005-00116373 2005-04-14
PCT/JP2006/306857 WO2006112251A1 (ja) 2005-04-14 2006-03-31 電池間接続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778A true KR20080003778A (ko) 2008-01-08
KR101249110B1 KR101249110B1 (ko) 2013-03-29

Family

ID=37114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9397A KR101249110B1 (ko) 2005-04-14 2006-03-31 전지 간 접속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78234B2 (ko)
EP (1) EP1883126A4 (ko)
JP (1) JP5005183B2 (ko)
KR (1) KR101249110B1 (ko)
CN (1) CN100590911C (ko)
WO (1) WO20061122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173B1 (ko) * 2009-10-05 2012-05-25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21696A1 (en) * 2006-11-10 2008-05-14 Hitachi Vehicle Energy, Ltd. Battery pack and method for welding cells
KR100814853B1 (ko) 2006-12-01 2008-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JP5205805B2 (ja) * 2007-05-16 2013-06-05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JP5200420B2 (ja) 2007-05-16 2013-06-05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JP5119735B2 (ja) 2007-05-16 2013-01-16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JP5115696B2 (ja) 2007-05-16 2013-01-09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JP5141090B2 (ja) 2007-05-16 2013-02-1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CN101682017B (zh) 2007-05-31 2012-10-10 株式会社Lg化学 组装型电连接构件及包含该电连接构件的二次电池组
KR100983014B1 (ko) 2007-07-16 2010-09-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조립방식의 전기적 접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이차전지 팩
JP5139752B2 (ja) * 2007-08-29 2013-02-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池格納ユニット
KR100890327B1 (ko) 2007-08-31 2009-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도전성 탭 및 이를 갖는 전지 팩
CN101369649B (zh) * 2008-09-30 2010-06-02 赛恩斯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连接装置
JP5272017B2 (ja) * 2008-11-07 2013-08-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二次電池用ブスバー及び二次電池モジュール
KR101087036B1 (ko) 2008-12-17 2011-11-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단자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CN102460769A (zh) * 2009-06-05 2012-05-16 K2能源解决方案公司 具有阴极和阳极集电器的锂离子电池组
DE102009041894A1 (de) * 2009-09-18 2011-03-31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Elektrisches Kontaktieren eines elektrischen Bauteils
KR101074780B1 (ko) * 2009-09-30 2011-10-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 조립체, 캔,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20110137638A (ko) * 2010-06-17 2011-12-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셀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 조립체
JPWO2012093452A1 (ja) * 2011-01-07 2014-06-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パック
KR101292276B1 (ko) * 2011-12-07 2013-08-0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모듈용 단자 연결 장치
CN103137923B (zh) * 2013-03-13 2015-05-13 宁波超霸能源有限公司 一种6v锂电池
US9343722B2 (en) * 2013-12-27 2016-05-17 Intel Corporation Battery pack having a spring to connect at least two battery cells
JP6269263B2 (ja) * 2014-03-31 2018-01-31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及び蓄電装置
US9779887B2 (en) 2015-01-15 2017-10-03 Ioxus, Inc. Apparatus for enclosing energy storage devices
DE102015205200A1 (de) * 2015-03-23 2016-09-29 Robert Bosch Gmbh Akkupack für eine Handwerkzeugmaschin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tromleitenden Verbindung, vorzugsweise eines Zellverbinders eines Akkupacks für eine Handwerkzeugmaschine
CN105552383B (zh) * 2016-02-03 2018-08-24 华霆(合肥)动力技术有限公司 电池组内的导电连接组件
CN105720225B (zh) * 2016-03-31 2018-05-04 苏州工业园区职业技术学院 一种动力电池组快捷连接件
CN106531438B (zh) * 2016-09-30 2019-01-25 铜陵其利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圆柱形电容器紧固板
US10547042B2 (en) * 2016-10-14 2020-01-28 Tiveni Mergeco, Inc. Hybrid contact plate arrangement configured to establish electrical bonds to battery cells in a battery module
JP6720852B2 (ja) 2016-12-22 2020-07-0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バスバー、蓄電モジュール、および、配線モジュール
KR102196266B1 (ko) * 2017-04-03 2020-12-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원통형 배터리 셀의 방열 구조
US10950912B2 (en) 2017-06-14 2021-03-16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Arrangements for inhibiting intrusion into battery pack electrical components
CN108777312A (zh) * 2018-06-10 2018-11-09 沈建冬 一种可以互补的电池
CN109103408A (zh) * 2018-07-05 2018-12-28 湖北锂诺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用于动力电池模组上的铝连接片
KR102679545B1 (ko) 2018-11-07 2024-07-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AT522337B1 (de) * 2019-09-05 2020-10-15 Kreisel Electric Gmbh & Co Kg Vorrichtung mit mehreren, bezüglich einer Fügeachse parallel zueinander angeordneten Batteriezellen
CN110970631B (zh) * 2019-11-13 2021-10-01 上海空间电源研究所 一种热电池用小型化高强度机械对接支脚
KR20210113864A (ko) * 2020-03-09 2021-09-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버스바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및 자동차
DE102022112233A1 (de) * 2022-05-16 2023-11-16 Lisa Dräxlmaier GmbH Batteriezellenanordnung für eine batterie eines kraftfahrzeugs mit einer thermischen isolation zur hemmung von wärmeübertragung durch wärmestrahlung
CN218586292U (zh) * 2022-09-30 2023-03-0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及用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3825530Y1 (ko) * 1962-10-05 1963-11-26
JPS398334Y1 (ko) * 1963-05-27 1964-04-04
JPH0950836A (ja) 1995-08-07 1997-02-18 Fujikura Ltd ヒューズの接続構造
JPH09223494A (ja) 1996-02-16 1997-08-2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電池間接続装置及びその接続方法
JP3312853B2 (ja) * 1996-09-26 2002-08-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間接続構造
JPH11297300A (ja) * 1998-04-04 1999-10-29 Sumitomo Special Metals Co Ltd 電池用リード材料とリード付き二次電池
JP2002151045A (ja) 2000-11-10 2002-05-24 Honda Motor Co Ltd 電池モジュール用バスバー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
JP3838872B2 (ja) * 2000-12-13 2006-10-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間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
FR2819105B1 (fr) 2001-01-04 2004-06-18 Cit Alcatel Systeme de raccordement electrique de generateurs electrochimiques
JP2002231192A (ja) * 2001-01-29 2002-08-16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電 池
JP2002246005A (ja) * 2001-02-21 2002-08-30 Toshiba Battery Co Ltd 電池接続構造体
JP3848565B2 (ja) 2001-11-27 2006-11-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間接続構造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並びに電池パック
US7029787B2 (en) 2002-03-05 2006-04-1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Power supply unit
JP2004178860A (ja) 2002-11-25 2004-06-24 Nissan Motor Co Ltd シート状二次電池の電極接続方法
DE60307750T2 (de) 2002-05-08 2006-12-14 Nissan Motor Co., Ltd., Yokohama Sekundärzellenmodu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2004031227A (ja) 2002-06-27 2004-01-29 Sumitomo Wiring Syst Ltd 組合せ端子金具
JP4245525B2 (ja) * 2004-07-22 2009-03-25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電源のバッテリー装置
KR100684763B1 (ko) * 2005-07-29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단위 전지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173B1 (ko) * 2009-10-05 2012-05-25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US9196890B2 (en) 2009-10-05 2015-11-24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with welded portion between termi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83126A4 (en) 2011-12-28
US8178234B2 (en) 2012-05-15
US20090068555A1 (en) 2009-03-12
WO2006112251A1 (ja) 2006-10-26
CN100590911C (zh) 2010-02-17
JP2006294524A (ja) 2006-10-26
KR101249110B1 (ko) 2013-03-29
JP5005183B2 (ja) 2012-08-22
CN101160676A (zh) 2008-04-09
EP1883126A1 (en) 200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110B1 (ko) 전지 간 접속구조
KR100778511B1 (ko) 이차 전지 모듈
EP1333511B1 (en) Power source apparatus
JP6083824B2 (ja) 接続信頼性が向上したバッテリーセル・ホルダー、及び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JP5528746B2 (ja) 組電池
US8859131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0684763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단위 전지 연결구
US8956751B2 (en) Battery pack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KR100949333B1 (ko) 전지 모듈
KR101107082B1 (ko) 이차 전지
US9083030B2 (en) Battery module
WO2014073443A1 (ja) 組電池および組電池の製造方法
US11949126B2 (en) Non-welding type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assembly using same
WO2006126447A1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108652A (ja) バッテリ・パック、自動車、バッテリ・パックの補強方法、及びバッテリ・パックの形成方法
JP2010177204A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00274132A1 (en) Electrical cell connection arrangements and method thereof
CN111433936B (zh) 电池组连接器和包括其的电池组
JPWO2019131359A1 (ja) 電池モジュール
US20220166113A1 (en) Battery cell assembly having gas exhaust and heat emission function
JP5452204B2 (ja) 電池モジュール
JP2000323109A (ja) 電池モジュール
JP7183540B2 (ja) 蓄電装置
JP2006164863A (ja) 平板状組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37232B1 (ko) 배터리 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