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5380A - 식후 혈중에 있어서의 중성 지방의 상승 억제제 및 이를함유하는 식품 - Google Patents

식후 혈중에 있어서의 중성 지방의 상승 억제제 및 이를함유하는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5380A
KR20070065380A KR1020077008643A KR20077008643A KR20070065380A KR 20070065380 A KR20070065380 A KR 20070065380A KR 1020077008643 A KR1020077008643 A KR 1020077008643A KR 20077008643 A KR20077008643 A KR 20077008643A KR 20070065380 A KR20070065380 A KR 20070065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gestible
ingested
blood
high fa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카 키시모토
히로시 오가
Original Assignee
마츠타니 케미컬 인더스트리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타니 케미컬 인더스트리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마츠타니 케미컬 인더스트리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65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3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61K31/718Starch or degraded starch, e.g. amylose, amylopect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abet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식후 혈중에 있어서의 중성 지방의 상승 억제제 또는 식품을 제공한다. 난소화성 성분을 적어도 35 질량% 함유하는 수용성 난소화성 전분 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한다. 이 수용성 난소화성 전분 분해물은 고지방식과 동시에, 또는 따로 섭취된다.
중성 지방, 수용성 난소화성 전분 분해물

Description

식후 혈중에 있어서의 중성 지방의 상승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DRUG FOR DIMINISHING INCREASE OF NEUTRAL FAT IN BLOOD AFTER MEAL AND FOOD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후 혈중에 있어서의 중성 지방의 상승 억제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지방식과 함께 섭취되는 상승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상승 억제 작용을 갖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생활 습관병은 그 이름 그대로 라이프 스타일에 기인하는 것으로, 주로 식습관이나 운동 습관 등이 깊이 관여한다. 특히 식문화의 구미화에 따른 식습관의 변화는 생활 습관병의 큰 요인이 되고 있다. 가장 특징적인 것은 에너지 섭취량에 차지하는 지방 에너지 비율이 증가하고, 상대적으로 곡류 등의 탄수화물 섭취량이 저하하고 있다는 것이다(2001년 국민 영양 조사 의거). 지방의 과잉 섭취는 비만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고지혈증이나 그에 수반되는 동맥 경화증, 지방간 등의 소위 생활 습관병의 발병 리스크를 높이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종래, 지방, 특히 콜레스테롤의 과잉 섭취에 의한 순환기계 질환 발병 리스크의 증대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어, 혈청 콜레스테롤치를 컨트롤할 필 요성이 언급되고 있었다. 그러나, 그 후 혈청 중성 지방치와, 관동맥 질환에 의한 사망자수 사이에 상관 관계가 인정되었고, 그 상관은 콜레스테롤보다도 강하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또한, 그를 지지하는 보고가 계속되었고, 그 결과 중성 지방치가 동맥 경화의 위험 인자임이 증명되었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공복시의 중성 지방치뿐만 아니라, 식후에 상승하는 중성 지방치의 레벨 및 저하에 요하는 시간 등이 동맥 경화의 위험 인자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식사로 섭취한 지방은 소장에서 췌장리파아제에 의해 소화된 후 흡수되어, 카이로미크론으로서 혈중에 나타나기 때문에, 식후의 중성 지방치는 상승한다. 카이로미크론은 리포단백 리파아제에 의해 분해되고, RLP-콜레스테롤로 이화(異化)되어, 간장에 수용된다. 이러한 대사에 의해, 통상은 식후 6시간 후에는 식사에서 유래한 중성 지방은 혈중에서 소실되어, 공복시의 레벨로 돌아간다.
그러나, 지방을 대량으로 섭취한 경우, 지방 섭취 후의 중성 지방치의 상승량이 크고, 또한 이화에 요하는 시간이 길어져, 공복시의 레벨까지 돌아가는데 필요한 시간이 길어진다. 식후, 중성 지방 농도가 높은 상태가 지속되는 것은 동맥 경화를 일으키는 요인 중 하나임이 지적되어, 식후의 중성 지방 농도를 저하시키는 식품 소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반복 섭취함으로써, 공복시의 혈청 총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갖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 3-247258호 공보). 또한,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반복 섭취함으로써 렘넌트 유사 콜레스테롤(RLP-콜레스테롤)치가 저하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 개 2003-2836호 공보).
그러나, 이들의 작용은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계속 섭취함으로써 공복시의 혈청 콜레스테롤 등을 저하하는 작용으로서, 식후의 일과성의 중성 지방의 상승을 억제하는 작용과는 다른 작용이다.
한편,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함유하는 맥주 혹은 발포주가 식후의 중성 지방이나 인슐린, 혈당의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1-252064호 공보).
그러나, 이 문헌은 고지방식에 대한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효과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으며, 이 문헌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는 것은 탄수화물을 주체로 하는 식품에 있어서의 혈당치 상승 억제에 관한 것 뿐이다.
본 발명은 고지방식과 함께 섭취했을 때에 식후의 혈중 중성 지방 레벨의 상승을 억제하는 상승 억제제, 및 그러한 고지방식과 함께 섭취되어 식후의 혈중 중성 지방 레벨의 상승을 억제하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난소화성 성분을 적어도 35 질량% 함유하는 수용성 난소화성 전분 분해물을 고지방식과 함께 섭취하면, 식후의 혈중 중성 지방 레벨의 상승이 억제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식후 혈중에 있어서의 중성 지방의 상승 억제제로서, 난소화성 성분을 적어도 35 질량% 함유하는 수용성 난소화성 전분 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며, 또한 고지방식과 함께 섭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억제제, 및 고지방식과 함께 섭취되며, 식후 혈중에 있어서의 중성 지방의 상승을 억제하는 식품으로서, 난소화성 성분을 적어도 35 질량% 함유하는 수용성 난소화성 전분 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 각종 조성물과 옥수수유를 쥐에게 투여했을 때의 혈중 지방 농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시간에 따른 변화 곡선의 하부 면적(AUC)을 비교한 막대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2에 있어서,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화이버솔2)을 포함하는 식사 부하 시험을 수행했을 때의 혈중 지방 농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대조군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시간에 따른 변화 곡선의 하부 면적(AUC)을 비교한 막대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상승 억제제 또는 식품은 난소화성 성분을 적어도 35 질량% 함유하는 수용성 난소화성 전분 분해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한다. 이러한 수용성 난소화성 전분 분해물은 전분을 산의 존재 하 또는 비존재 하에 가열 분해하여 얻어지는 배소 덱스트린이나, 그 가수 분해물, 또는 그들의 수소 첨가물이다. 또한, 이들 수 용성 난소화성 전분 분해물 중에 소화성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용성 난소화성 전분 분해물로부터 소화성 성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여, 난소화성 성분의 함유량을 증대한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용성 난소화성 전분 분해물의 난소화성 성분의 함량은 고형분 환산으로 35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질량% 이상이다. 상한은 예를 들면 100 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난소화성 성분의 수평균 분자량은 예를 들면 500~7000, 바람직하게는 1000~4000인 것이 적당하다.
수용성 난소화성 전분 분해물의 조제
수용성 난소화성 전분 분해물을 조제하는데 사용되는 전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옥수수나 찰옥수수, 감자, 타피오카, 고구마, 사고야자, 소맥, 대맥, 쌀 등의 전분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전분을 광산(鑛酸)으로 처리한다. 광산으로는 예를 들면, 염산이나, 질산, 황산 등이 적합하다. 바람직한 광산은 염산이다. 광산은 광산의 수용액으로서, 예를 들면 전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3~10질량부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산의 수용액은 예를 들면 0.5~3.0 질량%, 바람직하게는 1.0~2.0 질량%의 농도로 사용된다.
배소 덱스트린은 상기 광산의 수용액 매체 안에서 가열함으로써 얻어진다. 예를 들면, 전분과 광산 수용액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가열한다.
가열은 적당한 믹서 내에서 수행하면 된다. 이 경우, 가열은 교반하면서 수행한다. 혼합물은 가열 교반을 1~12시간 계속함으로써 숙성시켜도 좋다.
가열시에 있어서, 예를 들면 혼합물을 100~120℃에서 예비 혼합하여 혼합물 중의 수분을 5 질량% 정도까지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은 바람직하게는 140~200℃에서, 예를 들면 0.2분~120분, 바람직하게는 20분~120분으로 수행하는 것이 적당하다. 가열의 온도는 높을수록 난소화성 성분의 함량이 증가하므로 바람직하다. 단, 예를 들면 180℃ 부근부터 착색 물질이 증가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150℃ 전후 이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적당하다.
가열 장치를 선택함으로써 고온 단시간의 반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예를 들어 압출기와 같이 극히 단시간에 균일한 반응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하면 효율적으로 가열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전분은 분말 상태로 반응에 이용되기 때문에, 대규모 생산의 경우에는 가열 조건을 변경할 필요도 있으므로, 가열 처리 후의 제품의 품질을 검토한 후에 적절하게 가열 조건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배소 덱스트린은 그대로 소화성 성분을 강산성 이온 교환 수지 등에 의해 제거하여, 수용성 난소화성 전분 분해물로 할 수 있다. 소화성 성분을 제거한 배소 덱스트린의 난소화성 성분의 함유율은 예를 들면, 50~65 질량%이다.
또한, 소화성 성분은 포도당의 저분자 소화성 성분이 대부분이다.
배소 덱스트린은 또한 효소 또는 산 등에 의해 가수 분해함으로써 저분자화하고, 이어서 필요에 따라 소화성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난소화성 성분의 함유율이 높은 조성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소 덱스트린을 물에 용해하여, 예를 들면 20~50 질량%의 농도로 하고, 수산화나트륨 등의 중화제를 이용하여, pH를 예를 들면 5.5~6.5, 바람직하게는 6.0으로 조정하고, 예를 들면 0.05~0.2 질량%의 액화형 알파 아밀라아제를 첨가하여, 알파 아밀라아제의 작용 온도인 80~95℃에서 통상 1시간 정도 가수 분해를 수행한 후, 온도를 120℃까지 올려 알파 아밀라아제의 효소 작용을 종료시킨다. 이 액화형 알파 아밀라아제로는 시판하는 어떤 것이라도 사용 가능한데, 예를 들면, 타마밀120L(노보자임 저팬사 제품) 등이 있다.
이어서, 액온을 60℃까지 내리고, pH를 예를 들면 4~5, 바람직하게는 4.5로 조정하고, 0.05~0.4 질량%의 글루코아밀라아제를 첨가하여, 예를 들면 55~60℃에서, 예를 들면 4~48시간 가수 분해를 수행하여, 난소화성 성분 이외의 성분을 포도당으로 분해한 후, 온도를 80℃까지 올려 글루코아밀라아제의 효소 작용을 종료시킨다. 이 글루코아밀라아제로는 시판하는 어떤 것이라도 사용 가능한데, 예를 들면 글루코자임 NL4.2(아마노엔자임사 제품) 등이 있다. 이후에는, 통상의 활성탄 탈색이나, 여과, 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탈염, 탈색을 수행하여, 50 질량% 정도의 농도까지 농축하여도 좋다.
한편, 상기 효소에 의한 가수 분해 이외에, 산 존재 하에 가수 분해하는 방법도 있다. 배소 덱스트린은 물에 용해되기 쉽기 때문에, 물을 가하여 교반하면 수용액을 얻을 수 있다. 이 수용액을 그대로, 혹은 산, 특히 염산이나 수산(蓚酸) 등을 가하여 pH를 예를 들면 1.6~2.0으로 조정하고, 예를 들면 120~140℃에서, 예를 들면, 15~30분간 가압 가열을 수행하여 가수 분해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산가수 분해물은 통상의 활성탄 탈색이나 여과, 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탈염, 탈색을 수행하여, 50 질량% 정도의 농도까지 농축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배소 덱스트린 및 그 가수 분해물은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탑에 통액시켜 크로마토 분리의 방식으로 난소화성 부분과 소화성 성분으로 분리하고, 난소화성 성분을 고형분당 85~95% 함유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난소화성 성분은 포도당을 구성 성분으로 하여, 1→4, 1→6 결합 외에, 1→2, 1→3 결합을 포함한다. 또한, 환원에 의해 난소화성 성분은 환원 말단의 일부가 1→6 안하이드로글루코스로 되어 있다.
난소화성 성분을 소화성 성분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로는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을 널리 사용할 수 있다. 그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암버라이트IR-116이나, 암버라이트IR-118, 암버라이트IR-120B, XT-1022E, XT-471F(오르가노사 제품), 다이아이온SK-1B, 다이아이온SK102, 다이아이온SK104, 다이아이온SK106, 다이아이온SK110, 다이아이온SK112, 다이아이온SK116, 다이아이온FR01(미쯔비시카세이사 제품), XFS-43281.00, XFS-43280.00, XSF-43279.00, XSF-43278.00(다우케미컬니폰사 제품)를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수지는 통상 사용 전에 알칼리 금속형 또는 알카리 토금속형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속은 SV=0.1~0.6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 유속의 범위를 벗어나면, 작업성이나 분리가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통액시의 액의 온도는 예를 들면 20~70℃가 바람직하며, 이보다 낮으면 분리가 나빠지고, 액의 점도가 올라가 수지에 장애를 주는 경우가 있고, 이보다 고온이 되면, 액의 갈변에 의해 품질이 나빠지거나, 수지 열화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수용성 난소화성 전분 분해물은 또한 상기 배소 덱스트린 또는 그 가수 분해물을 수소 첨가한 것이어도 좋다. 이 수소 첨가(환원) 반응은 전분 당류에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조건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할 수 있다. 환원 반응은 통상, 라네이니켈이나, 라네이코발트, 니켈 규조토 등의 상용 환원 촉매의 존재 하에서, 예를 들면, 수소압 50~130㎏/㎠, 온도, 예를 들면 50~150℃에서 수소 첨가를 수행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 때의 가열은 용액 중에 수소를 포화 상태가 될 때까지 충분히 용해시키고 나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반해 수소의 공급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산화나 가수 분해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부반응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수소 첨가는 온도나, 압력 등의 반응 조건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통상 2시간 이내에 종결한다. 이후에는 통상 이용되는 정제, 예를 들면 촉매 분리 후에 다시 활성탄 탈색, 여과, 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탈염, 탈색을 수행하고, 농축 후 분무 건조 등에 의해 분말로 하거나, 또는 마무리 농축으로서 70 질량% 정도까지 농축하여 액상품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용성 난소화성 전분 분해물로는 시판되고 있는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러한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파인화이버Bi'나 '화이버솔2', 수소 첨가 타입의 '화이버솔2H, 화이버솔2HL(액상품)'(이상, 마쯔타니 화학공업(주) 제품), 뉴트리오스(로케트(주)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지방식은 지방분이 많은 식품이다. 지방분이 많다 함은 예를 들면, 지방 함유량이 8~40 질량%, 특히 20~30 질량%인 식품을 말한다.
지방 함유량의 측정은 당업자에게는 주지이다. 예를 들면, 속슬렛 추출법에 의해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수용성 난소화성 전분 분해물과 병용하는 고지방식에는 예를 들면, 우지, 돈지, 계지, 식물유 등의 지방 그 자체나, 지방분을 많이 포함하는 식품, 예를 들면, 아이스크림이나, 햄버거, 소세지, 버터, 초콜렛 등을 들 수 있다. 고지방식은 고형, 반고형 또는 액상 중 어느 것이라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용성 난소화성 전분 분해물은 고지방식에 배합할 수도 있고, 또는 공복시에, 고지방식을 섭취했을 경우에 수용성 난소화성 전분 분해물을 단독으로, 또는 이 수용성 난소화성 전분 분해물을 함유하는 차나 탄산 음료 등의 식품을 섭취할 수 있다.
수용성 난소화성 전분 분해물은 식품에 배합되는 경우에도, 별도 섭취하는 경우에도, 섭취하는 고지방식의 지방 함유량과, 섭취하는 수용성 난소화성 전분 분해물의 난소화성 성분의 양의 질량비가 1 대 0.05 ~ 1 대 0.50, 바람직하게는 1 대 0.08 ~ 1 대 0.40(질량비)이 되는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난소화성 성분의 정량 방법)
수용성 난소화성 전분 분해물의 난소화성 성분의 정량은 위신(衛新) 제 13호(영양 표시 기준에 있어서의 영양 성분 등의 분석 방법 등에 대하여)에 기재된 식물 섬유의 분석 방법인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법(효소-HPLC법)에 의해 측정하 였다.
(수평균 분자량의 측정)
난소화성 성분의 수평균 분자량은 이하의 조건으로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측정된다.
컬럼:TSKgel G2500PWXL, G3000PWXL, G6000PWXL(토소사 제품)
검출기: 시차 굴절율계
컬럼 온도: 80℃
유속: 0.5㎖/분
이동상: 증류수
샘플량: 1질량%, 100 ㎕
수평균 분자량의 계산은 멀티스테이션 GPC-8020(토소사 제품)을 이용하여, 프르란 표준품(분자량 기지(旣知)), 및 말토트리오스, 글루코스로부터 구한 검량선으로부터, 다음식 Mn=ΣHi/Σ(Hi/Mi)×QF(Mn: 수평균 분자량, Hi: 피크 높이, Mi: 프르란의 분자량, QF: Q 팩터(Mark-Houwink 계수))에 의해 수평균 분자량을 구하였다.
실시예 1
쥐를 피시험 동물로 하여, 이하의 표 1에 나타내는 시료를 포함하는 지질 부하 시험을 실시하였다. 10주령의 SD계 웅성 쥐(1군당 5마리)를 하룻밤 절식시키고, 대조군(옥수수유 1g/㎏ 단독), 조성물 A(옥수수유 1g/㎏ + 시료A 1g/㎏), 조성물 B(옥수수유 1g/㎏ + 시료B 1g/㎏), 조성물 C(옥수수유 1g/㎏ + 시료C 1g/㎏), 조성 물 D(옥수수유 1g/㎏ + 시료D 1g/㎏), 및 조성물 E(옥수수유 1g/㎏ + 시료E 1g/㎏)로 나누어 시료를 투여하고, 투여 전, 투여 후 1, 2, 3, 4, 5, 6 및 7시간에 꼬리 정맥으로부터 채혈하여 얻어진 혈장을 이용하여 혈중의 중성 지방 농도를 측정하였다.
옥수수유만을 섭취한 대조군의 경우의 중성 지방치는 부하 후 시간 경과에 따라 상승하여, 4시간 후에 가장 높은 값이 되었으며, 그 후 저하하는 패턴을 나타내었다(도 1).
난소화성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 A를 섭취한 경우에는 투여 3, 5시간 후에는 대조군보다도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중성 지방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의 면적치(이하, AUC라 한다)를 산출하여 비교하면, 거의 비슷한 값이었다(도 2). 한편, 고형분 환산으로 난소화성 성분을 적어도 35 질량% 함유하는 조성물 B, C, D 및 E를 투여한 경우에는 중성 지방치는 모두 대조군과 비교하여 낮은 값을 나타내며, AUC도 대조군보다 낮은 값이었다. 조성물 B, C, D 및 E의 AUC의 값을 비교하면, 난소화성 성분 함유율이 가장 낮은 조성물 B의 AUC는 가장 높았으며, 난소화성 성분 함유율이 90%인 조성물 C 및 D는 거의 같은 레벨로 가장 낮은 값이었다. 또한, 난소화성 성분 함유율이 85%인 시료 E는 조성물 C 및 D보다도 조금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들의 결과는 난소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투여 후의 중성 지방치 상승 억제 작용을 가지며, 그 효과는 난소화성 성분 함유율에 의존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도 2).
시료명 성분 난소화성 성분 함유율(질량%) 평균 분자량
A(참고) 말토덱스트린(상품명: TK-16, 마쯔타니 화학공업(주) 제품) 0 900
B 분기 콘시럽(상품명:파인화이버Bi, 마쯔타니 화학공업(주) 제품) 35 600
C 난소화성 덱스트린(상품명:화이버솔2, 마쯔타니 화학공업(주) 제품) 90 2000
D 환원 난소화성 덱스트린(상품명:화이버솔2H, 마쯔타니 화학공업(주) 제품) 90 2000
E 식물섬유강화 덱스트린(상품명:뉴트리오스FB, 로케트저팬(주) 제품) 85 6000
실시예 2
건강한 성인 남녀 17명을 대상으로 식사 부하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실시 전날 21시부터 물 이외의 섭취를 금하여 절식하고, 이른 아침 공복시에 시험식을 섭취시켰다. 시험식의 섭취 전, 섭취 후 30분, 1, 2, 3, 4, 5 및 6시간 후에 팔꿈치 정맥으로부터 약 10mL 채혈하여, 중성 지방 및 RLP-콜레스테롤을 분석하였다. 시험식은 햄버거 1개, 포테이토후라이 약 140g, 탄산 음료 340mL이고, 영양 성분치는 열량 966kcal, 단백질 34g, 지방 49.5g, 탄수화물 96g이었다. 피시험 물질로서, 난소화성 성분을 90 질량% 함유하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상품명: 화이버솔2, 마쯔타니 화학공업(주) 제품)을 이용하여, 시험식 중 탄산 음료에 5g(난소화성 성분으로 4.5g)을 첨가하여 섭취시켰다. 식사 부하 시험은 일인당 2회 실시하고, 피시험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플라세보 음료(대조군) 또는 피시험 물질을 포함하는 음료를 섭취하는 시험을 1회씩 수행하였다. 부하의 순서는 피시험자에게는 알리지 않고 무작위로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는 평균값±표준 오차로 나타내었고, 대응이 있는 t-검정으로 검정을 수행하여, 양측 검정에서 위험율 5% 이하를 유의(有意)로 하였다.
도 3에 섭취 후의 중성 지방치의 시간에 따른 추이를, 도 4에 중성 지방치의 곡선 면적치(AUC)를 나타낸다.
그 결과, 식후의 중성 지방의 상승이, 난소화성 성분을 90% 함유하는 수용성 난소화성 전분 분해물을 섭취함으로써 억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이하의 표 2의 처방에 따라 탄산 음료(5식분)를 제조하였다.
원료 배합량(g)
화이버솔2H 50
그래뉴당 125
구연산 1.5
구연산나트륨 0.1
비타민C 0.15
사이다 에센스 1
탄산수 520
385
이 탄산 음료에는 화이버솔2H에 유래하는 난소화성 성분이 4.1질량% 함유되어 있으며, 실시예 2의 고지방식을 섭취한 후에 이 탄산 음료를 섭취하면, 식후의 혈중 중성 지방의 농도를 실시예 1 또는 2와 마찬가지로 저감시킬 수 있다. 그 때의 지방 함유량 대 난소화성 성분의 질량비는 1 대 0.18이었다.
실시예 4
이하의 표 3의 처방에 따라, 비타초콜렛과 카카오버터를 용해하고 레시틴 이외의 성분을 이겨 넣어 롤러밀로 리파이닝을 수행한 후, 레시틴을 첨가하고 템퍼링을 수행하여 얻은 초콜렛(2~3식분)을 제조하였다.
원료 배합량(g)
분당(粉糖) 35
화이버솔2 15
비타초콜렛 20
카카오버터 15
분유 14.7
레시틴 0.3
이 초콜렛에는 지방분이 29.8 질량% 포함되어 있고, 화이버솔2에는 난소화성 성분이 90 질량% 포함되어 있어, 지방 함유량 대 난소화성 성분의 비는 1 대 0.45였다. 이 초콜렛을 섭취하면, 식후의 혈중 중성 지방의 농도를 실시예 1 또는 2와 마찬가지로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예 5
이하의 표 4의 처방에 따라 성분의 전량을 혼합하고, 80℃에서 가열 용해하여 균질화한 후 24시간 숙성하고, -40℃로 냉각하여 아이스크림(1식분)을 제조하였다.
원료 배합량(g)
생크림 8.4
버터 4.2
가당 연유 19.2
탈지 분유 2.3
설탕 2.5
화이버솔2H 5
유화 안정제 0.7
바닐라 플레이버 0.1
57.6
이 아이스크림에는 지방분이 8.9 질량% 포함되어 있고, 화이버솔2H에는 난소화성 성분이 90 질량% 포함되어 있어, 지방 함유량 대 난소화성 성분의 비는 1 대 0.50이었다. 이 아이스크림을 섭취하면, 식후의 혈중 중성 지방의 농도를 실시예 1 또는 2와 마찬가지로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예 6
이하의 표 5의 처방에 따라 밥을 조제하였다. 밥을 짓기 전 질량은 295.5g이었으나, 밥을 지은 후에 264.59g이 되어, 밥 180g(1식분)당 환원 난소화성 덱스트린 함량은 5.102g(2.83 질량%)이 된다(난소화성 성분 함유량은 4.59g(2.55질량%)).
원료 배합량(g)
침적미(생쌀 100g을 물에 20분간 침적) 128
화이버솔2H 7.5
이 밥에는 화이버솔2H에 유래하는 난소화성 성분이 2.55질량%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 2의 고지방식을 섭취한 후에 이 밥을 섭취하면, 식후 혈중 중성 지방의 농도를 실시예 1 또는 2와 마찬가지로 저감시킬 수 있다. 그 때의 지방 함유량 대 난소화성 성분의 질량비는 1 대 0.09였다.
실시예 7
이하의 표 6의 처방에 따라 원료를 믹서로 혼합하여 성형하고, 이어서, 170℃에서 한쪽면 3분의 소성을 수행하여 햄버거(1식분)를 제조하였다.
원료 배합량(g)
다진 돼지고기 21.1
다진 소고기 19.0
다진 닭고기 20.0
식염 0.5
설탕 0.7
글루타민산나트륨 0.5
화이트페퍼 0.1
육두구 0.1
돈지 20.0
양파 10.0
달걀 3.0
전분 5.0
화이버솔2 6.3
이 햄버거에는 지방분이 26.3 질량% 포함되어 있고, 화이버솔2에 유래하는 난소화성 성분이 5.3질량% 포함되어 있어, 지방 함유량 대 난소화성 성분의 비는 1 대 0.20이었다. 이 햄버거를 섭취하면, 식후의 혈중 중성 지방의 농도를 실시예 1 또는 2와 마찬가지로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예 8
이하의 표 7의 처방에 따라 원료를 혼합하여 탈기한 후, 천연 창자에 채워 5℃에서 20시간 염에 절인 후, 40℃에서 80분간 건조·훈제하고, 75℃에서 40분간 증기로 찐 후 5℃로 냉각하여 비엔나 소세지(2식분)를 제조하였다.
원료 배합량(g)
다진 돼지고기(붉은살) 40.0
돈지 20.0
전분 5.0
식염 1.0
설탕 1.0
카제인나트륨 0.5
글루타민산나트륨 0.5
향신료 0.5
트리폴리인산나트륨 0.2
L-아스코르빈산 0.05
아질산나트륨 0.006
화이버솔2 10.0
20.944
이 비엔나 소세지에는 지방분이 22.0 질량% 포함되어 있고, 화이버솔2에 유래하는 난소화성 성분이 9.0 질량% 포함되어 있어, 지방 함유량 대 난소화성 성분의 비는 1 대 0.40이었다. 이 비엔나 소세지를 섭취하면, 식후의 혈중 중성 지방의 농도를 실시예 1 또는 2와 마찬가지로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예 9
이하의 표 8의 처방에 따라, 차음료(1식분)를 제조하였다.
원료 배합량(g)
비타민C 0.05
혼합차 95.55
화이버솔2H 4.4
이 차음료에는 화이버솔2H에 유래하는 난소화성 성분이 3.96질량% 포함되어 있어, 실시예 2의 고지방식을 섭취한 후에 이 차음료를 섭취하면, 식후의 혈중 중성 지방의 농도를 실시예 1 또는 2와 마찬가지로 저감시킬 수 있다. 그 때의 지방 함유량 대 난소화성 성분의 질량비는 1 대 0.08이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지방식을 섭취한 경우에 있어서 혈중 중성 지방 레벨의 상승이 대폭으로 억제되고, 일시적으로 고지방식을 너무 많이 섭취한 경우에도 신속하게 혈중 중성 지방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비만이나,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 경화 등의 생활 습관병의 예방에 극히 유용하다.

Claims (12)

  1. 식후 혈중에 있어서의 중성 지방의 상승 억제제로서, 고형분 환산으로 난소화성 성분을 적어도 35% 함유하는 수용성 난소화성 전분 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며, 고지방식과 동시에, 또는 따로 섭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억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지방식의 섭취 후에 섭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억제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지방식의 섭취시에 섭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억제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지방식에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억제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지방식의 지방 함유량이 8~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억제제.
  6. 제 5 항에 있어서, 지방 함유량 대 난소화성 성분의 질량비가 1 대 0.05 ~ 1 대 0.50이 되도록 섭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억제제.
  7. 고지방식과 동시에, 또는 따로따로 섭취되며, 식후 혈중에 있어서의 중성 지방의 상승을 억제하는 식품으로서, 고형분 환산으로 난소화성 성분을 적어도 35% 함유하는 수용성 난소화성 전분 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지방식의 섭취 후에 섭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지방식의 섭취시에 섭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지방식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지방식의 지방 함유량이 8~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12. 제 9 항에 있어서, 지방 함유량 대 난소화성 성분의 질량비가 1 대 0.05 ~ 1 대 0.50이 되도록 섭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KR1020077008643A 2004-10-08 2005-10-07 식후 혈중에 있어서의 중성 지방의 상승 억제제 및 이를함유하는 식품 KR200700653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96310 2004-10-08
JPJP-P-2004-00296310 2004-10-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380A true KR20070065380A (ko) 2007-06-22

Family

ID=36148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643A KR20070065380A (ko) 2004-10-08 2005-10-07 식후 혈중에 있어서의 중성 지방의 상승 억제제 및 이를함유하는 식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070190113A1 (ko)
EP (1) EP1797887B1 (ko)
JP (1) JP5322387B2 (ko)
KR (1) KR20070065380A (ko)
CN (1) CN101043894B (ko)
ES (1) ES2536217T3 (ko)
WO (1) WO20060410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8899A (ko) * 2014-12-26 2017-08-30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식물 섬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16935A4 (en) 2009-12-23 2014-07-16 Thermo King Corp DEVICE FOR CONTROLLING THE RELATIVE MOISTURE IN A CONTAINER
JP6498629B2 (ja) * 2016-04-18 2019-04-10 株式会社東洋新薬 血中中性脂肪上昇抑制用食品
JP2018050603A (ja) * 2016-09-30 2018-04-05 ザ コカ・コーラ カンパニーThe Coca‐Cola Company 還元難消化性デキストリンを配合した飲料水の飲みやすさを向上させる方法、当該方法により飲みやすさを向上させた還元難消化性デキストリンを配合した飲料水、還元難消化性デキストリンを含む脂肪吸収抑制用の飲料水、及び、食事性の脂肪吸収を抑制するための方法
JP6950114B2 (ja) * 2019-09-04 2021-10-13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食物繊維
JP2020186264A (ja) * 2020-08-11 2020-11-19 株式会社東洋新薬 血中中性脂肪上昇抑制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6441B1 (en) * 1983-10-06 1991-02-19 Dietetic frozen desserts containing aspartame
JPH0728695B2 (ja) 1990-02-26 1995-04-05 松谷化学工業株式会社 血清脂質成分の改善作用を有する食品組成物
US5358729A (en) 1991-08-28 1994-10-25 Matsutani Chemical Industries Co., Ltd. Indigestible dextrin
GB2260139B (en) 1991-09-30 1995-10-04 Matsutani Kagaku Kogyo Kk Indigestible dextrin
EP0538146A1 (en) 1991-10-17 1993-04-21 Matsutani Chemical Industries Co. Ltd. Indigestible dextrin
CA2095495C (en) 1992-06-01 2002-06-04 Stephen Carl Hasselberg Assay for serum cholinesterase
JP3053997B2 (ja) * 1992-07-10 2000-06-19 松谷化学工業株式会社 難消化性デキストリン
JP3541200B2 (ja) * 1992-08-07 2004-07-07 松谷化学工業株式会社 食品に肥満、耐糖能障害を予防する作用を付与する方法、同予防作用を有する食品および砂糖調製品
US5505981A (en) * 1992-08-07 1996-04-09 Matsutani Chemical Industries Co., Ltd. Method for imparting ability of preventing obesity and impaired glucose tolerance to foods and foods and sugar preparations exhibiting such preventive effects
JP3146086B2 (ja) * 1993-03-24 2001-03-12 松谷化学工業株式会社 鶏飼料
US5370893A (en) * 1993-05-28 1994-12-06 Michigan Milk Producers Association Process for preparing a powdered ice cream
US6025010A (en) * 1997-11-21 2000-02-15 Lipton, Division Of Conopco, Inc. Multifunctional spread
JP3108675B2 (ja) * 1998-03-17 2000-11-13 阪急共栄物産株式会社 脂質代謝改善剤
US7238380B2 (en) * 2000-02-22 2007-07-03 Suzanne Jaffe Stillman Water containing soluble fiber
JP2001252064A (ja) * 2000-03-13 2001-09-18 Matsutani Chem Ind Ltd 食物繊維を含有するビール又は発泡酒
JP5192105B2 (ja) * 2001-06-22 2013-05-08 カルピス株式会社 レムナントリポ蛋白低減剤及び機能性食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8899A (ko) * 2014-12-26 2017-08-30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식물 섬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43894A (zh) 2007-09-26
US20070190113A1 (en) 2007-08-16
EP1797887A1 (en) 2007-06-20
EP1797887A4 (en) 2009-07-29
CN101043894B (zh) 2011-12-14
WO2006041021A1 (ja) 2006-04-20
EP1797887B1 (en) 2015-04-15
JPWO2006041021A1 (ja) 2008-05-15
US20110142983A1 (en) 2011-06-16
JP5322387B2 (ja) 2013-10-23
ES2536217T3 (es)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2102B1 (en) Foods and drinks having health benefits
US5358729A (en) Indigestible dextrin
US5472732A (en) Indigestible dextrin
JP5528718B2 (ja) βグルカン組成物を用いた血糖値上昇抑制剤及びインスリン分泌促進剤
WO2002011552A2 (en) Oil/fat composition
JP5927663B2 (ja) 血糖値の上昇が緩やかな糖質組成物及び飲食品
KR20070065380A (ko) 식후 혈중에 있어서의 중성 지방의 상승 억제제 및 이를함유하는 식품
JPH0632802A (ja) 難消化性デキストリン
CN1586223A (zh) 驴肉香肠及其制备方法
WO2005082390A1 (ja) 脂肪蓄積抑制剤
JP3451282B2 (ja) 血糖上昇が緩徐な還元デキストリンの製造法
JP2007291136A (ja) 還元難消化性デキストリンを含有する体脂肪調整剤
KR20200077539A (ko) 이노시톨인산 함유 조성물
JP2008247858A (ja) ダイエット用の経口摂取用組成物
JP6391959B2 (ja) 非アルコール性脂肪性肝炎の改善剤および改善用栄養組成物
KR100235141B1 (ko) 난소화성 덱스트린
WO2023190809A1 (ja) コルチゾール産生抑制用組成物
JP2003095941A (ja) 糖質消化酵素阻害剤、血糖値上昇抑制剤、肥満治療予防剤、糖尿病治療予防剤、健康飲食物
JP2007099672A (ja) 腸内硫化水素量低減組成物
Hansen et al. Intestinal disaccharidase activity and uptake of glucose from sucrose
KR20170032538A (ko) 기능성 설탕의 제조방법 및 이의 방법에 제조된 기능성 설탕
JP2006206567A (ja) カテコールアミン調節剤、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食品添加物及び医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226

Effective date: 2010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