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5764A - 머리 지지대의 수직조절을 위한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머리 지지대의 수직조절을 위한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5764A
KR20060035764A KR1020067001049A KR20067001049A KR20060035764A KR 20060035764 A KR20060035764 A KR 20060035764A KR 1020067001049 A KR1020067001049 A KR 1020067001049A KR 20067001049 A KR20067001049 A KR 20067001049A KR 20060035764 A KR20060035764 A KR 20060035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adjusting
support
head support
adjus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1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7364B1 (ko
Inventor
로버트 코페스키
월터 쉰들렉거
Original Assignee
슈크라 게라테바우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크라 게라테바우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슈크라 게라테바우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60035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2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시트(3)의 머리 지지대(1,2)의 수직조절을 위한 조절장치로서, 상기 머리 지지대에는 조절방향(A)으로 움직일 수 있고, 머리 지지대 홀더에 삽입될 수 있는 머리 지지대(1,2)와 연관될 수 있도록 형성된 조절수단(4)이 장착되어 있으며, 조절수단(4)의 조절동작을 생성하기 위한 드라이브 수단(8)이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상기 드라이브 수단(8)은 이 경우, 머리 지지대 홀더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된 유닛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드라이브 수단(8)의 조절동작은 예를 들어, 플렉서블 샤프트 또는 보우덴 케이블 등과 같은 플렉서블 전달수단에 의해 조절수단(4)으로 전달된다. 그 결과, 드라이브 유닛(8)은 머리 지지대 홀더로부터 독립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머리 지지대, 시트, 수직조절

Description

머리 지지대의 수직조절을 위한 조절장치{Adjuster for the vertical adjustment of a head restraint}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 좌석의 머리 지지대와 같은, 머리 지지대의 수직조절을 위한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좌석에는 높이 조절 머리 지지대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는 예를 들면, 운전자와 같은 각각의 좌석 사용자의 사이즈에 따라 머리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수직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종래 기술은 전기적 작동 드라이브(drive)가 있는 조절장치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종류의 조절장치는 머리 지지대의 높이가 다양한 운전자를 위한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자동으로 조절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전자 조절장치의 도식을 묘사한 것이다. 쿠션 (1) 및 지지 바 또는 지지 지주(stays)(2)를 포함하는 머리 지지대는, 이 경우 시트의 시트백(seat-back)에 통합된다. 지지 바(2)는 이 경우에 머리 지지대 지지모듈(module)(20)의 조절요소(4)와 관련되어 있는데, 여기서 조절요소(4)는 플레이트 (plate)(5)에 탑재된 가이드 레일(guide rail)(5)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어 화살표 A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머리 지지대을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조절요소(4)를 움직이기 위해서 예를 들어, 전자모터 및 전자모터와 조절 구성 사이에 기어 메카니즘(gear mechanism)이 배치된 드라이브 유닛(drive unit)(8)이 제공된다. 드라이브 유닛(8)의 동작은 이 경우, 예를 들어 기어 휠/래크(gear wheel/rack) 조합에 의해 전달될 수 있으나, 콘-로드(con-rod)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다른 종류에 의한 전달도 생각할 수 있다. 드라이브 유닛(8)에 포함되어 있는 전자모터의 현재 공급은 묘사되지 않았다.
나아가, 외부 제어 또는 작동 유닛(9)이 제공되는데, 드라이브 유닛(8)은 예를 들어, 머리 지지대의 상향 또는 하향 동작을 풀어주기 위해 키(key)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런 종류의 배치는 다수의 상당한 단점이 있다. 우선, 드라이브 유닛이 시트 사용자의 머리와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드라이브 장치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 운전자에게 방해가 될 수 있다.
더욱이, 조절장치는 드라이브 유닛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큰 공간을 차지한다. 하지만 현대의 자동차 시트는 다수의 다른 구성, 예를 들어 허리 지지대와 같은 것도 수용해야 하므로 그러한 큰 조절장치의 장착은 때론 용이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설명된 조절장치의 경우, 언급한 가이드 레일(5)이 제공된다고 하더라도 머리 지지대의 경사로부터 자유로운 동작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즉, 조절동작이 수직 방향으로 머리 지지대으로 정확히 전달되는 것이 보장되는 것이 아닌데, 이는 특히 머리 지지대에 한쪽의 부하가 걸렸을 경우에 적용된다. 더욱더 본질적인 문제는 효율성의 최적화로서 머리 지지대이 가능한 최소한의 노력으로 조절될 수 있는 가이다.
도 7의 배치는 시트백의 2개의 지지 바(2) 사이를 통해 드라이브 유닛(8), 가이드 레일(5), 플레이트(19) 및 조절요소(4)가 공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이 단점이 있다. 하지만, 시트의 편안함을 위해 이 공간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어깨 또는 어깨 블레이드(blade) 사이의 공간이 잘 지지가 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 때문에 조절 메카니즘을 시트백의 모양이 마찬가지로 공간이 필요한 이 구역 내에서 변화할 수 있는 것으로 맞추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를 위해 소음이 감소하고 등지지대에 설치하는 것에 관해 더욱 유연해 진 머리 지지대의 수직조절을 위한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한 설치 공간 및 효율과 관련하여 최적화를 위한 머리 지지대의 수직조절을 위한 조절장치를 개발하는 것이다. 나아가 머리 지지대의 경사로부터 자유로운 조절 또는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머리 지지대의 수직조절을 위한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머리 지지대의 지지 바 사이의 공간이 아예 필요 없거나 최소한만큼만 필요하게 하여 이 공간이 다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머리 지지대의 수직조절을 위한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상술한 목적은 청구항 1, 23, 31 및 39의 특징을 가진 머리 지지대의 수직조절을 위한 조절장치에 의한 발명에 따라 성취가 가능하다. 독립항은 각각 발명의 바람직하고 유리한 실시예를 정의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의 머리 지지대의 수직조절을 위한 조절장치는 조절수단을 가진 머리 지지대 지지 유닛을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조절방향으로 변동또는 변화가 가능하며, 특히 머리 지지대 지지모듈에 삽입될 수 있는 머리 지지대와 관련되거나 결합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구동수단이 유닛을 머리 지지대 홀더(holder)로부터 공간적 또는 지역적으로 분리되는 경우이거나 바람직하게 플렉서블 전달수단이 구동수단의 조절동작을 조절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해 제공되는 경우에 구동수단이 조절수단의 조절동작을 발생키 위해 제공된다. 구동수단을 머리 지지대에서 분리하거나 바람직하게는 플렉서블, 즉 구부러질 수 있는(bendable) 전달수단을 사용함으로 인해 구동수단은 시트의 머리 지지대 지지대로부터 본질적으로 독립적으로 위치할 수 있으며, 이는 더욱 유동적인 공간 배치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소음을 줄이기 위해 구동수단이 시트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떨어져 있도록 배치할 수 있다.
구동수단은 결합 또는 전달수단으로 발생케 하는 조절동작의 전달을 위한 전자모터 및/또는 기어 메카니즘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수단의 기본 수동 동작은, 예를 들어 시트 옆에 부착된 수동 휠(hand-wheel) 또는 이와 비슷한 것을 통한 것을 생각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로는, 전달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보우덴 케이블(Bowden cable)을 포함한다. 수축력을 반대 방향으로 전달하고, 또한 첫 번째 방향으로의 조절 동안에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수단, 예를 들어 스프링 수단과의 조합으로 우선적으로 첫 번째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또한 조절 또는 이를 다시 놓아서 반대 두 번째 방향으로의 조절의 지지를 위한 보우덴 케이블을 사용하는, 2개의 보우덴 케이블 모두를 배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로는, 전달수단은 한쪽 끝에 실을 가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서블 샤프트(flexible shaft)를 포함하는데, 이는 조절 또는 슬라이딩 수단에서 형성된 실과 연관되어 있다. 플렉서블 샤프트의 회전모션은 이들 실에 의해 스핀들 드라이브(spindle drive)에 상응하는 조절수단의 직선 모션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묘사된 사용은 오직 하나의 바람직한 플렉서블 전달수단, 예를 들어 보우덴 케이블 또는 회전 샤프트로서, 이는 특히 설치 공간의 요구량을 더욱 줄이기 위해 유리하여, 이에 상응하는 가격 절감도 가져온다.
조절장치는 구동수단, 예를 들어 전자모터 또는 수동 휠 등을 위한 트립 스위치(trip switch)의 작동을 위한 발동장치(actuation device)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조절장치는 머리 지지대의 수직조절을 위해 제안되었는데, 머리 지지대의 수직조절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조절방향으로 변동할 수 있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머리 지지대 지지모듈에 의해 머리 지지대를 지지하기 위한 머리 지지대 지지모듈이 제공된다. 전달수단의 도움으로, 구동수단에 의해 발생된 조절동작은 조절수단으로 전달되고, 에너지 저장수단은 첫 번째 조절방향으로 조절수단이 움직일 때 에너지가 저장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저장된 에너지를 방출하여 두 번째 조절방향으로의 조절수단의 동작을 보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계적 에너지 저장수단은 특히 스프링 수단이 될 수 있는데, 이는 바람직하게는 지지 바 또는 지지 지주에 배치되고, 머리 지지대 또는 이와 결합된 것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필요한 설치 공간은 지지 바 또는 지지 지주에 배치에 의해 최적화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배치의 결과로 머리 지지대를 조절할 경우, 머리 지지대를 기울게 하는 경사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수단 또는 스프링 수단이 두 번째 조절방향으로의 조절수단의 동작을 지지하거나 그 자체로 두 번째 조절방향으로의 동작을 위해 제공되어, 전체 드라이브 유닛이 공간 및 에너지 절약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조절장치는 머리 지지대의 수직조절을 위해 제안되었는데, 머리 지지대를 지지하기 위한 머리 지지대 지지모듈은 조절수단의 도움으로 움직인다. 전달수단은 조절동작을 구동수단에서 조절수단으로 전달시키되, 이러한 종류의 수개의 전달수단은 구동수단의 조절동작이 조절수단과 같은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2개의 보우덴 케이블은 단일 조절력을 머리 지지대로 전달할 수 있도록 각 경우마다 지지 바 또는 지지 지주 부근에서 머리 지지대와 연관되어 있어서, 특히 전달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조절장치는 머리 지지대의 수직조절을 위해 제안되었는데, 적어도 2개의 지지요소을 가지고, 적어도 2개의 지지모듈을 가지는 머리 지지대의 수직조절을 위한 조절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적어도 2개의 지지모듈은 각 경우마다 적어도 2개의 지지요소과 연관되어 있고 이들을 수용하기 위해 설계되며, 각각의 지지모듈은 각각의 지지모듈내에 수용된 지지요소의 수직조절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절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며, 각각의 지지모듈의 조절수단은 서로에게서 떨어져 있거나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적어도 2개의 지지모듈 사이의 공간은 조절장치로부터 원칙적으로 자유롭다. 조절장치는 조절수단을 움직이기 위한 조절동작을 발생하기 위한 구동수단 및 바람직하게는 구동수단의 조절동작을 조절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수단을 더 포함한다.
적어도 2개의 지지요소을 위한 2개의 분리된 지지모듈을 제공하여, 2개의 지지모듈 사이의 공간이 자유롭게 유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조절장치가 장착되는 시트의 시트백이 조절장치를 고려하지 않고 편안함을 기준으로 하여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달수단은 보우덴 케이블을 다시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지지모듈을 위한 분리된 전달수단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조절 작동을 우선 구동수단에서 일반 전달수단으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며, 분배수단은 조절 작동을 일반 전달수단에서 적어도 2개의 지지모듈을 위한 분리된 전달수단으로 전달한다.
상기 상술한 본 발명의 측면은 기본적으로 서로 독립적인 관계에 있다. 하지만, 자연적으로 이들의 조합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의 제1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구현예의 드라이브 유닛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의 제2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의 제3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의 제4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의 제5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의 제6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의 제7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조절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의 제1구현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에 따른, 가이드 레일(5)은 점선으로 도시된 플레이트(19)에 제공되고, 조절요소(4)가 이를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쿠션(1) 및 2개의 지지대(2)로 구성된 머리 지지대는 시트백(3)에 삽입될 수 있고, 이 경우 조절 구성과 연관되어 있는데, 이는 조절 구성의 동작이 화살표 A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머리 지지대를 동시에 움직인다. 조절요소(4)는 머리 지지대 지지모듈 (20)의 일부분으로서 머리 지지대가 이에 결합되거나 머리 지지대가 삽입되는 곳에 삽입된다.
또한, 드라이브 유닛(8)은 기본적으로 시트의 적당한 위치에 맞출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떨어진 곳이다. 사용자가 조절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작동 유닛(9)은 드라이브 유닛(8)과 연결되어 있다.
드라이브 유닛(8)의 조절동작은 2개의 보우덴 케이블(6) 및 (7)에 의해 조절요소(4)로 전달된다. 두 개의 보우덴 케이블 모두 수축 요소로 작용한다. 각각의 경우, 보우덴 케이블의 한 쪽 끝은 드라이브 유닛(8)에 부착되어 있고, 다른 한 쪽은 플레이트(19) 또는 가이드 레일(5)에 고정된 각각의 보우덴 케이블의 슬리브(sleeve)에 부착되어 있다. 보우덴 케이블(6)을 통해 가하여진 수축력은 조절요소(4)를 위로 움직이고 보우덴 케이블(7)을 통해 가하여진 수축력은 슬라이딩 구성(4)을 아래로 움직이도록 보우덴 케이블(6) 및 (7)의 케이블 또는 와이어 엔즈(wire ends)는 조절요소(4)에 결합되어 있다. 이 경우 리버스 롤러(reverse roller)가 가이드 롤러(guide roller)로서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케이블의 바람직한 가이드를 보장하기 위함이다. 자연적으로 도 1로부터 벗어나는 다양한 보우덴 케이블의 가이드가 가능하다.
조절 구성을 움직여서 머리 지지대를 위로 움직이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보우덴 케이블(6)은 팽창되어야 하고 보우덴 케이블(7)은 완화되어야 한다. 반대로, 아래로 움직이기 위해서는 보우덴 케이블(7)이 팽창되어야 하고 보우덴 케이블(6)은 완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가능한 드라이브 메카니즘이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조절장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드라이브 유닛(8)을 나타낸다.
드라이브 유닛(8)은 이 경우 작은 기어 휠(gear wheel)(11)을 구동하는 전자모터(10)를 포함한다. 작은 기어 휠(11)은 큰 기어 휠(12)와 연관되어 있어 그 결과 기어 메카니즘을 형성한다. 큰 기어 휠(12)는 차축(axle)을 통해 드럼(drum)(13)과 연결되어 있고, 보우덴 케이블(6) 및 (7)은 반대 방향으로 연관되어 있어서 드럼(13)이 기어 휠(12)에 의해 회전될 때, 하나의 보우덴 케이블이 풀어져 완화되고 다른 보우덴 케이블은 감기어 팽팽해진다.
자연적으로 기어 휠(11) 및 (12)에 의해 형성된 기어 메카니즘은 더욱 복잡하고 더 많은 기어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어 휠은 각 경우마다 전자모터 10의 rpm 속도에 의존하는 드럼(13)의 희망하는 회전 속도에 따라 수치를 잰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의 제2구현예를 나타낸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도 1에서 나타난 조절장치와의 차이만을 설명한다.
드라이브 유닛의 조절동작은 도 3에 나타난 구현예의 경우에 단독 보우덴 케이블(6)을 통해 전달되는데, 이 경우 이 보우덴 케이블만을 시트에 묻어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스프링이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스프링(15)은 이 경우 팽창 스프링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조절요소(4)가 가장 낮은 위치에 있을 때마다 스프링이 완화되지만, 반면에 슬라이딩 요소(4)가 그림에서 더욱 위로 가게 되면, 스프링(15)은 안정 위치와 관련하여 팽창되어서 조절요소(4)에 힘을 가하여 그림에서 아래로 향하게 된다. 슬라이딩 구성 및 이에 따른 머리 지지대는 보우덴 케이블(6)이 팽창됨에 의해 위로 움직이는데, 이는 보우덴 케이블(6)의 와이어에 수축력이 가해지는 것을 뜻한다. 도 2에 나타난 것과 비슷한 드라이브 유닛(8)에도 이와 같은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하지만, 보우덴 케이블이 완화되면 스프링(15)은 다시 슬라이딩 유닛(4)을 아래로 움직이게 만든다. 자연적으로 스프링 및 보우덴 케이블의 역 배치도 또한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팽창 스프링으로서의 배치 대신에 압축 스프링으로서의 스프링의 배치도 생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스프링(15)를 대신하여 일반적으로 기계적 에너지 저장수단이, 특히 다른 플렉서블 요소 또는 유사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는데, 이는 보우덴 케이블(6)이 팽창될 때 에너지를 저장하여 보우덴 케이블(6)이 완화될 때 에너지를 다시 방출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조절요소(4)의 조절이 보우덴 케이블(6) 또는 이를 보조할 수 있게 수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의 제3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난 구현예의 경우 상기에서 설명된 구현예와는 다르게 오직 하나의 보우덴 케이블(6)만이 조절요소(4)와 연관되어 있어서, 머리 지지대는 보우덴 케이블(6)의 조절동작을 통해 위로 끌어지는 것이 아니라 위로 밀려지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보우덴 케이블(6)의 슬리브는 조절요소(4)에서 지지되는 반면에 케이블 또는 보우덴 케이블(6)의 와이어는 조절요소(4)를 통해 위로 공급되고 예를 들면 시트백 또는 상응하는 프레임(frame)과 같은 그곳의 적당한 위치에 안정화된다. 또 다시, 스프링(15)이 제공되는데, 도 3과 다르게 도 4의 구현예에 합치하는 스프링은 조절요소(4)의 보우덴 케이블(6)의 슬리브와 반대쪽의 지지 바 또는 지지 지주(2)에 부착된다. 스프링(15)은 압축 스프링으로서 형성되어 조절요소(4)이 보우덴 케이블(6)에 의해 위로 밀렸을 때 스프링(15)이 함께 죄여진다, 즉 압축된다. 스프링(15)의 감압의 결과, 보우덴 케이블(6)이 완화될 때, 조절요소(4)의 아래쪽 동작이 이에 결합된 머리 지지대와 함께 일어나는데, 이러한 목적으로 시트백(3)의 적당한 위치에서 스프링(15)가 지지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의 제4구현예를 나타낸 것이다. 다시, 상기 나타낸 구현예들과의 차이점을 단지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드라이브 유닛(8)의 조절동작은 플렉서블 샤프트(16)를 경유하여 조절요소(4)에 전달되고, 화살표 B에 의해 표시된 것처럼 드라이브 유닛(8)에 의해 발생되는 조절동작에 의존하여 회전모션(rotational motion)을 수행한다. 조절요소(4)의 상응하는 내부 실에 연관되어 있는 실구역(thread section)(17)은 유연성 샤프트(shaft)의 슬리브에서 형성된다. 상기 구현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구역(17)은 가이드레일(5) 위에 배열되며, 즉 발사면에 평행해진다. 그리고, 가이드레일(5) 등의 측면에의 배치 또한 가능하다.
실구역(17) 및 전달요소(4)의 상응하는 내부 실의 결과로부터, 스핀들 드라이브(spindle drive)가 형성되며, 즉 소위 토크 로드(torque rod)라고 불릴 수 있 는 플렉서블 샤프트(16)의 회전모션은 전달요소(4)의 직선 모션으로 전환되어 질 수 있고 또한 머리 지지대로 전환되어 질 수 있다.
유일한 플렉서블 수단과 마찬가지로 본 구현예의 경우에 있어서, 즉 플렉서블 샤프트(16)은 동작의 전달이 필요하다. 추가적으로, 도 3에서 나타낸 구현예의 스프링은 또한 필요 없게 될 수 있으며, 따라서 많은 부분들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의 제5구현예를 나타낸 것으로, 작동 모드가 도 4에서 나타낸 구현예의 작동 모드와 유사하나, 도 4에서 나타낸 구현예와 비교하여 유일한 차이점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두 개의 지지모듈 (20)이 제공된다. 쿠션 (1)과 두 개의 지주 바(stay bars) 또는 지지 바(support bars)로 구성된 머리 지지대는 시트백(3)에 통로(21)를 통해 삽입될 수 있어, 각 지지 바(2)는 지지모듈(20)에 설비를 공급한다.
본 경우에 있어서, 각 지지모듈(20)은 조절요소(4)를 함유하며, 각각의 지지 바(2)에 연관되고, 플레이트(19) 위에 올려진 가이드레일(5)에 위아래로 움직여질 수 있다. 따라서 양쪽 지지모듈에 조절요소(4)의 동시에 일어나는 동시동작은 화살표 A에 의해 지시되는 것처럼 머리 지지대를 위아래로 움직인다. 추가적으로, 다시 드라이브 유닛(8)이 제공되며, 원칙적으로 시트(seat)에 어떤 적절한 장소,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머리에서 떨어진 장소에 고정될 수 있다.
드라이브 유닛(8)의 조절동작은 두 개의 보우덴 케이블(6) 및 (7)을 경유하여 각 경우에 있어서 조절요소(4)에 전달된다. 각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보우덴 케이블은 수축요소(traction elements)로써 작용한다. 각 경우에 있어서, 보우덴 케이블(6) 및 (7)의 처음 끝은 드라이브(8)에 연결되고, 두 번째 끝은 보우덴 케이블(6), (7) 각각의 슬리브(sleeve)에서 플래이트(19) 또는 가이드레일(5)까지 연결되어 있고, 그곳에 지지되어 있다. 보우덴 케이블(6) 및 (7)의 케이블 또는 와이어(wire) 끝은 보우덴 케이블(6)을 경유하여 발휘되는 수축력이 조절요소(4)를 위쪽으로 움직이게 하고, 보우덴 케이블(7)을 경유하여 발휘되는 수축력은 조절요소(4)를 아래쪽으로 움직이게 하는 방식과 같은 방법으로 조절요소(4)에 연결되어 있다. 역 롤러(reverse roller)는 또한 케이블의 최적 가이드를 보장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자연적으로, 도 6에서 벗어나는 다양한 보우덴 케이블의 가이드가 가능하다.
도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모듈(20) 사이의 공간은 사용되지 않거나, 사용될 수 없으며, 따라서 여기 시트백은 지지모듈에 대한 고려없이 안락함에 대한 기준에 따라서 설계될 수 있다. 요구에 따라서는 보우덴 케이블(6) 및 (7)은 또한 지지모듈(20)의 외측에 놓여질 수 있거나, 만약 상기 케이블들이 시트-백의 설계를 방해하면 발사면(plane of projection)과 관련하여 앞쪽으로 향하거나 뒤쪽으로 향하게 놓여질 수도 있다.
본 구현예에서 조절요소(4)를 움직여서 머리 지지대를 위로 올리기 위해서는 보우덴 케이블(6)을 팽팽하게 하고 보우덴 케이블(7)을 느슨하게 해야한다. 반대로 움직임을 아래로 향하게 하기 위해서는 보우덴 케이블(7)을 팽팽하게 하고, 보우덴 케이블(6)을 느슨하게 해야한다. 이 경우 조절수단(4)가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보우덴 케이블(6) 및 (7)은 동시에 팽팽해지고 느슨해져야 한다. 이런 목적을 위해 가능한 운전 기계장치는 도 2와 같이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의 제6구현예를 나타낸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오직 도 6에 나타난 조절장치와 차이점들만을 나타내었다.
도 7에서 나타난 구현예의 경우, 각각의 지지 바 (2)위로 밀어내고, 시트백(3)과 조절요소(4) 사이를 죄어주는 각 지지모듈(20)은 조절요소(4) 와 스프링(15)를 포함한다. 이 구현예에서는, 어떠한 플레이트(19) 및 가이드 레일(5)도 제공되지 않는다. 이 경우 지지 바(2)는 오프닝(21)을 통해 좌우된다.
상기 조절요소(4)는 단일 보우덴 케이블(6)을 경유하여 각 단계에서 구동되고, 그것에 따라 상기에서 기술된 구현예와는 다르게 상기 머리 지지대는 보우덴 케이블(6)의 조절동작에 의해 위로 끌어올려지는 것이 아니라, 위로 밀어올려지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보우덴 케이블(6)의 케이블들 또는 와이어들은 각각의 조절요소(4)를 통해 위쪽으로 공급되고, 예로 시트백(3) 또는 적합한 프레임과 같은 그곳의 적합한 자리에 결합되는 반면, 상기 보우덴 케이블(6)의 슬리브들은 각 경우에 조절요소(4)를 받쳐준다. 이것은 도 3에 나타난 기계장치와 일치하는 반면, 원칙적으로 도 1에 나타난 기계장치와 일치하는 도 6에 나타난 기계장치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게다가 이 경우 스프링(15)는 압축 스프링으로 형성되서, 상기 조절요소(4) 가 상기 보우덴 케이블(6)에 의해 위쪽으로 밀어올려질 때, 상기 스프링(15)는 함께 압박된다(압축된다고 말한다). 상기 보우덴 케이블(6)이 느슨해질 때, 그들과 연결된 머리 지지대에서 상기 조절요소(4)는 상기 스프링(15)의 감압을 통해 아래쪽으로 움직인다.
이 경우 드라이브 유닛(8)과 보우덴 케이블(6)의 결합은, 드라이브 유닛(8)에 의해 생성되는 조절동작이 동일범위에서 보우덴 케이블(6)로 전달되는 것과 같다. 따라서, 두 개의 보우덴 케이블(6)이 이용되는 사실과 상관없이, 두 개의 조절요소(4)는 그에 알맞게 상승 또는 하강하고, 그들과 연결된 지지 바(2)는 동일범위에서 상승 또는 하강한다.
물론, 상기 구현예에서 플레이트와 가이드 레일은 또한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사하게 공급될 수 있다. 반대로, 도 1에서 플레이트(19)와 가이드 레일(5)는 상기 보우덴 케이블들이 적당한 방법에서 다른 방법으로 받쳐줄 수 있다면, 또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오프닝(21)을 통한 가이드는 충분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의 제7구현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도 8에 나타난 상기 구현예는 도 7의 구현예와 본질적으로 일치하므로, 오직 차이점만을 나타내었다.
도 7과는 다르게, 드라이브 유닛(8)의 조절동작은 오직 하나의 보우덴 케이블(6)로만 처음에 전달된다. 그 다음 스플릿 박스(split-box)(22)라 불리는 것이 이 조절동작을 동일한 방법으로 도 7의 보우덴 케이블(6)과 같이 조절요소(4)와 결 합되어 있는 2개의 보우덴 케이블(6A)에 전달하고, 상기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절요소(4)를 움직이게 한다. 상기 스플릿 박스(22)는 상기 보우덴 케이블(6)과 상기 보우덴 케이블(6A)이 서로 직접 연결되거나 예를 들어, 케이블 드럼(cable drums), 기어 휠(gear wheels) 또는 다른 기계장치요소들을 통해 결합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상기 구현예의 경우, 도 3의 구현예와 유사하며 또한 확장스프링과 같은 스프링 및 견인 요소와 같은 상기 보우덴 케이블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 경우, 보우덴 케이블은 조절요소(4)를 아래로 끌어내리고 동시에 스프링을 팽팽하게 한다. 상기 보우덴 케이블이 그에 알맞게 느슨해질때, 상기 스프링은 다시 풀어져서 상기 조절요소(4)를 위쪽으로 끌어올린다. 같은 방법으로, 상기 보우덴 케이블 및 상기 스프링의 운전방향은 반전이 가능하다.
상기 구현예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모듈(20) 사이의 지역은 자유롭게 남아있기 때문에, 여기서 상기 시트백(3)은 상기 조절장치와 상관없이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현예에 나타난 운전수단은 각각의 경우에 머리 지지대으로부터 떨어져서 배열되므로, 좌석의 사용자에게 소음 방해를 최소화한다. 마지막으로, 편향 등 부담(a one-sided back load)이 머리 지지대 또는 머리 지지대의 쿠션상에 작용할 때, 두 개의 지지 바를 위한 두 개의 지지모듈의 이용은 머리 지지대의 포장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편향 등 부담이 머리 지지대에 작용할 때조 차, 상기 조절동작이 두 개의 지지 바(2)로 고르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머리 지지대의 경사로부터 자유로운 조절장치가 보증된다. 상기 지지모듈(20) 사이의 공간이 자유롭지 못할지라도, 예를 들어 공간적 이유 때문에 드라이브 수단(8)이 지지모듈(20) 사이에 위치할 때에도 이러한 효과는 존재한다.
자연적으로, 본 발명은 보우덴 케이블의 사용에 제한되지 않으며, 조절동작을 드라이브 유닛(8)에서 조절요소(4)로 전달할 수 있는 기본적인 임의의 적당한 전달수단에 사용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다양한 구현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이 제공될 수 있으며, 스프링의 개수와 힘은 변화가 가능하다. 드라이브 유닛으로는 기본적으로 유닛이 조절장치의 수동 작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상이한 드라이브 시스템이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급한 구현예의 경우 간소화를 위해 머리 지지대의 지지요소 또는 지지 바(2)가 조절요소(4)에 직접 연결되었다고 가정되었는바, 자연적으로 또한 상응하는 조절요소(4)의 지지모듈에 이들을 놓는 것도 가능하고, 따라서 이들과 연관될 수 있다.

Claims (56)

  1. 머리 지지대(1,2)를 지지하기 위한 머리 지지대 지지모듈(module)(20)을 가지는 머리 지지대(1,2)의 수직조절을 위한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머리 지지대 지지모듈(20)은 머리 지지대 지지모듈(20)에 의해 지지되는 머리 지지대(1,2)의 수직조절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조절방향(A)으로 변동할 수 있는 조절수단(4)과 상기 조절수단(4)을 움직이기 위해 조절동작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수단(driving means)(8)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8)은 상기 머리 지지대 지지모듈(20)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배치되고, 상기 구동수단(8)의 조절동작을 상기 조절수단(4)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수단(6,7;16)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8)은 조절동작을 발생키 위한 전자모터(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8)은 조절동작을 상기 전달수단(6,7;16)으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 메카니즘(gear mechanism)(1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6,7;16)은 플렉서블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6,7;16)은 상기 구동수단(8)의 조절동작을 상기 조절수단(4)으로 전달하기 위해 하나의 전달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보우덴 케이블(Bowden cable)(6,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6)은 상기 조절수단(4)을 첫 번째 조절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해 힘을 상기 조절수단(4)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계되고, 상기 머리 지지대 지지모듈(20)은 상기 조절수단(4)과 결합한 기계적 에너지 저장수단(mechanical energy storage means)(15)을 포함하되, 이는 상기 첫 번째 조절방향으로 상기 조절수단(4)이 움직일 때 에너지가 저장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저장된 에너지를 방출하여 두 번째 조절방향으로의 상 기 조절수단(4)의 동작을 보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조절방향은 본질적으로 상기 두 번째 조절방향과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에너지 저장수단(15)은 플렉서블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에너지 저장수단은 스프링 수단(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조절방향으로의 상기 조절수단(4)의 동작에서 팽창되는 동안 완화 활동에 의해 두 번째 조절방향으로의 상기 조절수단(4)의 동작을 보조하는 방식으로 상기 스프링 수단(15)은 상기 조절수단(4)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조절방향으로의 상기 조절수단(4)의 동작에서 압축되는 동안 감압 활동에 의해 두 번째 조절방향으로의 상기 조절수단(4)의 동작을 보조하는 방식으로 상기 스프링 수단(15)은 상기 조절수단(4)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13. 제7항 내지 제1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에너지 저장수단(15)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바(support bar)(2)에 배치되어있되, 지지 바의 한쪽은 상기 머리 지지대(1)과 결합되어 있고 다른 쪽은 상기 조절수단(4)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은 상기 구동수단(8)의 조절동작을 상기 조절수단(4)으로 전달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shaft)(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8)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16)로 전달되어진 회전모션(rotational motion)이 상기 조절수단(4)의 직선 조절동작 을 일으키는 방식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16)는 상기 조절수단(4)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실의 맞물림(thread engagement)에 의해 상기 조절수단(4)과 결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16)의 마지막 부분은 상기 조절수단(4)을 위한 스핀들 구동(spindle drive)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16)의 마지막 부분은 실(17)을 가지되, 이는 스핀들 구동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조절수단(4)에서 형성된 실과 맞물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18. 제14항 내지 제1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16)는 탄력성이 있는 샤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19. 제1항 내지 제1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구동수단 (8)의 작동을 위한 발동장치(actuation device)(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8)의 조절동작을 상기 조절수단(4)으로 전달하기 위해 수개의 전달수단(6)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지지대(1)의 지지요소(2)의 부근에서 수개의 전달수단(6)이 상기 구동수단(8)의 조절동작을 상기 조절수단(4)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전달수단(6) 및 각각의 조절수단(4)은 상기 머리 지지대(1)의 각각의 지지요소(2)에 분배되어서, 각각의 전달수단(6)은 상기 구동수단(8)의 조절동작을 이에 상응하는 상기 조절수단(4)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23. 머리 지지대(1,2)를 지지하기 위한 머리 지지대 지지모듈(20)을 가지는 머리 지지대(1,2)의 수직조절을 위한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머리 지지대 지지모듈(20)은 머리 지지대 지지모듈(20)에 의해 지지되는 머리 지지대(1,2)의 수직조절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조절방향(A)으로 변동할 수 있는 조절수단(4)과 상기 조절수단(4)을 움직이기 위해 조절동작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수단(8)을 포함하며, 이는 상기 첫 번째 조절방향으로 상기 조절수단(4)이 움직일 때 에너지가 저장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저장된 에너지를 방출하여 두 번째 조절방향으로의 상기 조절수단(4)의 동작을 보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조절방향은 본질적으로 상기 두 번째 조절방향과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에너지 저장수단(15)은 플렉서블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26. 제23항 내지 제2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에너지 저장수단은 스프링 수단(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조절방향으로의 상기 조절수단(4)의 동작에서 팽창되는 동안 완화 활동에 의해 두 번째 조절방향으로의 상기 조절수단(4)의 동작을 보조하는 방식으로 상기 스프링 수단(15)은 상기 조절수단(4)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조절방향으로의 상기 조절수단(4)의 동작에서 압축되는 동안 감압 활동에 의해 두 번째 조절방향으로의 상기 조절수단(4)의 동작을 보조하는 방식으로 상기 스프링 수단(15)은 상기 조절수단(4)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29. 제23항 내지 제2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에너지 저장수단(15)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바(2)에 배치되어 있되, 지지 바의 한쪽은 상기 머리 지지대(1)와 결합되어 있고 다른 쪽은 상기 조절수단(4)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30. 제23항 내지 제2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는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31. 머리 지지대(1,2)를 지지하기 위한 머리 지지대 지지모듈(20)을 가지는 머리 지지대(1,2)의 수직조절을 위한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머리 지지대 지지모듈(20)은 머리 지지대 지지모듈(20)에 의해 지지되는 머리 지지대(1,2)의 수직조절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조절방향(A)으로 변동할 수 있는 조절수단(4)과 상기 조절수단(4)을 움직이기 위해 조절동작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수단(8)을 포함하며, 각 경우마다 상기 구동수단(8)의 조절동작을 상기 조절수단(4)으로 전달하는 수개의 전달수단(6)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수개의 전달수단(6)은 각 경우마다 상기 구동수단(8)의 조절동작을 본질적으로 상기 조절수단(4)과 동일한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지지대(1)에 할당된 지지요소(2)의 부근에서 수개의 전달수단(6)이 각 경우마다 상기 구동수단(8)의 조절동작을 상기 조절수단(4)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각 경우마다 상기 머리 지지대(1)의 지지요소(2)에 할당된 조절수단(4) 및 상응하는 전달수단(6)에 의해 수개의 조절수단(4)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35. 제31항 내지 제3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4)과 결합한 기계적 에너지 저장수단(15)은 상기 첫 번째 조절방향으로 상기 조절수단(4)이 움직일 때 에너지가 저장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저장된 에너지를 방출하여 두 번째 조절방향으로의 상기 조절수단(4)의 동작을 보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36. 제35항 및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요소은 상기 머리 지지대(1)에 할당된 지지 바(2)이고 기계적 에너지 저장수단은 스프링 수단(15)을 포함하되, 스프링 수단(15)은 각 경우마다 지지 바(2)에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37. 제31항 내지 제3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전달수단은 보우덴 케이블(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38. 제31항 내지 제3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는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39. 적어도 2개의 지지요소(2)을 가지고, 적어도 2개의 지지모듈(holding module)(20)을 가지는 머리 지지대(1,2)의 수직조절을 위한 조절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모듈(20)은 각 경우마다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요소(2)과 연관되어 있고 이들을 수용하기 위해 설계되며, 각각의 상기 지지모듈(20)은 각각의 지지모듈(20)내에 수용된 지지요소(2)의 수직조절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절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조절수단(4)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모듈(20)의 상기 조절수단(4)은 서로 떨어져 있고 상기 조절수단(4)을 움직이기 위한 조절동작의 생성을 위한 구동수단(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8)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모듈(20)로부 터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8)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모듈(20) 사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42. 제39항 내지 제4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6,7;6A)은 상기 구동수단(8)의 조절동작을 상기 조절수단(4)으로 전달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8)은 조절동작을 상기 전달수단(6,7,6A)으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 메카니즘(1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44. 제42항 또는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6,7;6A)은 플렉서블하게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45. 제42항 내지 제4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전달수단(6,7,6A)은 각각의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모듈(20)과 연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의 조절동작을 분배수단(distribution means)(22)으로 전달하기 위한 일반 전달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분배수단(22)은 조절동작을 상기 일반 전달수단(6)에서 분리된 전달수단(6A)으로 같은 정도로 전달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47. 제42항 내지 제4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보우덴 케이블(6,7,6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48. 제39항 내지 제4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8)은 상기 조절수단(4)을 첫 번째 조절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해 힘을 상기 조절수단(4)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모듈(20)은 각각의 상기 조절수단(4)과 결합한 기계적 에너지 저장수단(15)을 포함하되, 이는 상기 첫 번째 조절방향으로 각각의 상기 조절수단(4)이 움직일 때 에너지가 저장될 수 있도록 형 성되어, 저장된 에너지를 방출하여 두 번째 조절방향으로의 각각의 상기 조절수단(4)의 동작을 보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조절방향은 본질적으로 상기 두 번째 조절방향과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50. 제48항 또는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에너지 저장수단(15)은 플레서블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51. 제48항 내지 제5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에너지 저장수단은 스프링 수단(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조절방향으로의 각각의 상기 조절수단(4)의 동작에서 압축되는 동안 방출 활동에 의해 두 번째 조절방향으로의 상기 조절수단(4)의 동작을 보조하는 방식으로 상기 스프링 수단(15)은 각각의 상기 조절수단(4)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조절방향으로의 각각의 상기 조절수단(4)의 동작에서 압축되는 동안 감압 활동에 의해 두 번째 조절방향으로의 각각의 상기 조절수단(4)의 동작을 보조하는 방식으로 상기 스프링 수단(15)은 각각의 상기 조절수단(4)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54. 제48항 내지 제5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에너지 저장수단(15)은 적어도 2개의 지지요소(2)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55. 제39항 내지 제5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조절수단(4)이 있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모듈(20)은 구역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모듈(20) 사이에 본질적으로 자유롭게 유지되도록 서로에게 떨어져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56. 머리 지지대(1,2)를 가지는 시트에 있어서, 머리 지지대(1,2)의 수직조절을 위한 제1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KR1020067001049A 2003-07-15 2004-07-15 머리 지지대의 수직조절을 위한 조절장치 KR1008273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32097.0 2003-07-15
DE10332097 2003-07-15
DE10339000.6 2003-08-25
DE10339000A DE10339000B4 (de) 2003-07-15 2003-08-25 Verstell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einer Kopfstütze
DE20315594.7 2003-10-10
DE20315594U DE20315594U1 (de) 2003-07-15 2003-10-10 Verstell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einer Kopfstütz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764A true KR20060035764A (ko) 2006-04-26
KR100827364B1 KR100827364B1 (ko) 2008-05-06

Family

ID=34084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1049A KR100827364B1 (ko) 2003-07-15 2004-07-15 머리 지지대의 수직조절을 위한 조절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445290B2 (ko)
EP (1) EP1644218B1 (ko)
JP (1) JP2009513180A (ko)
KR (1) KR100827364B1 (ko)
CN (1) CN1822967A (ko)
AT (1) ATE392338T1 (ko)
CA (1) CA2532320A1 (ko)
DE (3) DE10339000B4 (ko)
WO (1) WO200500744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6936B2 (en) * 2005-03-03 2009-03-24 Lear Corporation Moveable headrest assembly for a vehicle seat
DE102005057462B4 (de) * 2005-12-01 2010-07-29 Schukra Gerätebau AG Sitzkomponenten-Verstellvorrichtung und -Verfahren sowie Sitz
WO2008019502A1 (en) * 2006-08-14 2008-02-21 Schukra Of North America Ltd. Head rest for seat
CN100465028C (zh) * 2007-04-11 2009-03-04 东华大学 一种具有可调头枕的座椅
US7735929B2 (en) * 2007-05-30 2010-06-15 Lear Corporation Infinitely adjustable two-way head restraint
DE102007029166B4 (de) * 2007-06-25 2011-07-07 Lear Corp., Mich. Fahrzeugsitz
US20090045662A1 (en) * 2007-08-14 2009-02-19 Schukra Of North America, Ltd. Head Rest for Seat
KR100992540B1 (ko) * 2007-12-14 2010-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폴딩 헤드레스트 장치
JP5119906B2 (ja) * 2007-12-25 2013-01-1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
CN101524977B (zh) * 2008-03-04 2013-09-04 C.劳勃.汉默斯坦两合有限公司 用于机动车的高度可电动调整的头枕装置
WO2009143408A2 (en) * 2008-05-23 2009-11-2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eat headrest
US8061777B2 (en) * 2009-10-30 2011-11-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for seat-actuated head rest extension and retraction
FR2958889A1 (fr) * 2010-04-20 2011-10-21 Faurecia Sieges D Automobiles Dispositif de reglage de la longueur d'assise pour un siege d'automobile, et sieg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KR101252199B1 (ko) * 2010-07-19 2013-04-05 현대다이모스(주) 프리크래쉬용 헤드레스트 자동이동장치
DE102010036543B4 (de) * 2010-07-21 2022-04-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orrichtung zur Minderung der Wankbewegung bei Kraftfahrzeugen
CN102476599B (zh) * 2010-11-30 2015-09-3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座椅头枕的调节装置
WO2013034332A2 (de) * 2011-09-07 2013-03-14 Johnson Controls Gmbh Höhenverstellbare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mit einer höhenverstellbaren kopfstütze
FR2994134B1 (fr) * 2012-08-03 2014-08-08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e partie reglable motorisee, unite electrique de commande de vehicule automobile
EP2698277B1 (en) * 2012-08-13 2016-03-23 Schukra Gerätebau GmbH Headrest system and method of adjusting a headrest
US9090185B2 (en) 2013-03-14 2015-07-28 Leggett & Platt Canada Co. Seat with pneumatic headrest and thigh adjustment
US9399420B2 (en) * 2013-03-26 2016-07-26 Magna Seating Inc. Electromechanical retractable head restraint
DE102013217918A1 (de) * 2013-09-09 2015-03-1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ahrzeugsitz mit einem Antrieb für Lehnen- und Kopfstützenverstellung
CN103653900B (zh) * 2013-11-20 2018-03-13 中山市格美家具制造有限公司 理疗保健椅
US20170049655A1 (en) * 2014-02-14 2017-02-23 Tae-Soo SUNG Chair having neck exercise support for neck exercise
KR101762263B1 (ko) * 2015-12-04 201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레스트와 연동되는 자동차의 전석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835737B (zh) * 2016-05-20 2018-07-27 神龙汽车有限公司 可电动调节头枕高度的座椅
DE102016219765A1 (de) * 2016-10-11 2018-04-1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Kopfstützenanordnung mit verschieblichem Betätigungselement
US20180236912A1 (en) * 2017-02-21 2018-08-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at assembly with integrated head restraint motor
DE102018109611B4 (de) * 2018-04-10 2022-04-21 Grammer Aktiengesellschaft Kopfstütze
US10569683B2 (en) * 2018-06-19 2020-02-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adrest support assembly
US10611283B2 (en) * 2018-09-12 2020-04-07 Rockwell Collins, Inc. Multi-stage seatback extension system
CN117693443A (zh) 2021-05-21 2024-03-12 格拉默股份公司 可折叠头枕弹簧补偿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18541A (en) 1966-12-03 1971-01-06 Slumberland Group Ltd Seats with headrests
JPS5725892Y2 (ko) * 1977-12-30 1982-06-04
DE2953749C2 (ko) * 1979-06-26 1988-09-0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8630 Coburg, De
DE7920475U1 (de) * 1979-07-18 1979-11-08 P.A. Rentrop, Hubbert & Wagner Fahrzeugaustattungen Gmbh & Co Kg, 3060 Stadthagen Hoehenverstellbare kopfstuetze eines kraftfahrzeugsitzes
DE3141515A1 (de) 1981-10-20 1983-04-28 C. Rob. Hammerstein Gmbh, 5650 Solingen Fahrzeugsitz mit hoehenverstellbarer kopfstuetze
JPS62125935A (ja) * 1985-11-26 1987-06-08 Aisin Seiki Co Ltd ヘツドレスト装置
DE3843616A1 (de) * 1988-12-23 1990-06-2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DE4031656A1 (de) * 1990-10-05 1992-04-09 Ameu Management Corp Vorrichtung zur verstellung, insbesondere zur hoehenverstellung, einer kopfstuetze
DE4325996C2 (de) * 1993-08-03 1998-05-28 Brose Fahrzeugteile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 motorisch einstellbare Kopfstütze eines Kraftfahrzeugs
FR2749812A1 (fr) * 1996-06-17 1997-12-19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Siege avant de vehicule automobile avec appui-tete asservi
ATE218453T1 (de) * 1998-02-12 2002-06-15 Magna Interior Sys Inc Kraftfahrzeugsitz mit einer einziehbaren kopfstütze
DE19957793B4 (de) * 1999-12-01 2009-04-09 Lear Corp., Southfield Sitz für ein Fortbewegungsmittel
DE29922592U1 (de) * 1999-12-22 2000-04-20 Breed Automotive Tech Vorrichtung zum Verstellen einer Kopfstütze an einer Rückenlehne eines Fahrzeugsitzes
DE10005817B4 (de) * 2000-02-10 2004-06-09 Itw-Ateco Gmbh Mechanischer Kopfstützeneinzug mit Gedächtnisfunktion
DE10024337B4 (de) * 2000-05-17 2005-01-20 Itw-Ateco Gmbh Vorrichtung zur Verstellung einer Kopfstütze in Abhängigkeit von der Verstellung eines Fahrzeugsitzes in einem Automobil
US7121625B2 (en) * 2002-12-30 2006-10-17 Lear Corporation Headrest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339000A1 (de) 2005-02-17
US7445290B2 (en) 2008-11-04
ATE392338T1 (de) 2008-05-15
EP1644218A2 (de) 2006-04-12
JP2009513180A (ja) 2009-04-02
WO2005007446A3 (de) 2005-09-01
DE502004006850D1 (de) 2008-05-29
US20070145803A1 (en) 2007-06-28
DE10339000B4 (de) 2007-12-13
EP1644218B1 (de) 2008-04-16
CN1822967A (zh) 2006-08-23
DE20315594U1 (de) 2004-03-04
KR100827364B1 (ko) 2008-05-06
WO2005007446A2 (de) 2005-01-27
CA2532320A1 (en) 200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35764A (ko) 머리 지지대의 수직조절을 위한 조절장치
JP5386344B2 (ja) シートアジャスタ用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デバイス
US9877589B2 (en) Electromotively adjustable support apparatus, such as a support device adjustable by an electric motor
US9718381B2 (en) Power headrest apparatus
US669207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cable adjustment of an ergonomic support
US10010464B2 (en) Adjustable support device adjustable by an electric motor
US7083232B2 (en) Massage apparatus and method for lumbar support
KR20100019390A (ko)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KR101180677B1 (ko) 차량용 레그레스트
JP7003872B2 (ja) 車両用シート
CN105520425A (zh) 可电动调节的支撑装置
KR20210122971A (ko) 자동차용 릴렉션 컴포트 시트
CN101456370A (zh) 组合式腰靠装置
CA2603396A1 (en) Regulating device for a lateral part of a seat and method for producing a lateral part
JP5035953B2 (ja) アクティブヘッドレスト用のヘッドレスト装置
CN113387241B (zh) 一种电气工程电缆用束线设备
KR101596777B1 (ko) 팬터그래프 장치
KR102085423B1 (ko) 의자 등받이 각도 고정장치
KR20220032304A (ko)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CN213676450U (zh) 一种轨道驾驶椅位置调节机构
KR101598967B1 (ko) 자동차 시트 착석부의 쿠션 스프링 장력조절장치
KR200428668Y1 (ko) 의자 등받이의 각도조절장치
KR100448143B1 (ko) 차량 시트백 경도조절장치
KR200468289Y1 (ko) 시트 높낮이 조절장치
CN205970951U (zh) 一种汽车四向调节的头枕骨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