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7377A - 촬상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7377A
KR20040027377A KR1020030066193A KR20030066193A KR20040027377A KR 20040027377 A KR20040027377 A KR 20040027377A KR 1020030066193 A KR1020030066193 A KR 1020030066193A KR 20030066193 A KR20030066193 A KR 20030066193A KR 20040027377 A KR20040027377 A KR 20040027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device
substrate
opening
adhesive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1063B1 (ko
Inventor
아따라시유우이찌
사이또마사시
니시까와다꾸오
스즈끼가즈히꼬
단쇼가즈오
Original Assignee
코니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84070A external-priority patent/JP417889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4769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8672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4734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80243A/ja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코니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7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18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5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3Containers; Encapsulations, e.g. encapsulation of photo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32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01L31/02325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the optical elements not being integrated nor being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2Elements optimising image sensor operation, e.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rotection or temperature control by heat transfer or cool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촬상 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과,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가 덮일 수 있도록 기판의 이면 상에 부착된 촬상 소자와, 기판의 표면측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하여 촬상 소자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부착되어 입사광을 촬상 소자에 집광하는 광학 부재와, 광학 부재 및 개구부를 덮도록 기판 상에 장착된 외부 프레임 부재를 내부에 구비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IMAGE PICKUP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EQUIPPED THEREWITH}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나 모바일 컴퓨터 등의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 가능한 촬상 장치 및 그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용 전화기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소형, 박형의 전자 기기에 탑재 가능한 소형이고 고성능인 촬상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촬상 장치에는 기판에 설치된 촬상 소자와, 이 촬상 소자에 집광시키기 위한 렌즈 등을 갖는 광학 부재가 일체화되어 구비되어 있는 것이 있다.
최근, 이들 전자 기기의 한층 박형화에 수반하여 촬상 장치 자체를 박형화하기 위해, 예를 들어 도17에 도시하는 촬상 장치(500)와 같이 기판(201)에 개구부(201a)를 형성하여 기판(201)의 이면측에 그 개구부(201a)를 막도록 촬상 소자(202)를 구비하고, 또한 광학 부재(R)를 갖는 외부 프레임 부재(C)를 기판(PC)의 표면측으로부터 그 개구부(201a)를 통해 접촉하도록 구비함으로써, 기판(201)의 두께만큼 광학 소자(OPT)[광학 부재(R), 외부 프레임 부재(C)]의 돌출을 억제하는 구성의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2001-292354호 공보 참조).
또한, 상기 일본 특허 공개 공보에 있어서, 도18의 (a) 내지 도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201)과 촬상 소자(202)는 범프(203)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범프 접속에 있어서, 기판(201)측의 개구부(201a) 주위에 촬상 소자(202)와 접속되는 회로 패턴(201b)(본딩 패드)과, 촬상 소자(202)에 설치된 입출력 단자(202b)를 범프(203)를 거쳐서 접합한다.
이 범프를 접속하기 위한 접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초음파 용착에 의해 금속제 단자 끼리를 접합하는 방법 외에, ACF(이방성 도전성 필름)나 ACP(이방성 도전성 페이스트) 등을 이용하여 접촉식 전기적 접합을 행하는 방법도 있다.
여기서, 범프 접속되어 있는 부분 이외의 부분은 기판(201)과 촬상 소자(202)가 밀착되어 있지 않아 공극부(도시 생략)가 형성된다. 이 공극부로부터 먼지나 수분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제 등의 수지(204) 등을 촬상 소자(202) 단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배치하고, 이에 의해 기판(201)과 촬상 소자(202) 사이를 밀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 특허 공개 2001-292354의 경우, 결상 렌즈부(R)와 외부 프레임 부재(C)를 일체로 한 광학 소자(OPT)를 촬상 소자(22)에 고정할 때, 핀트 조정의 점에서 제조상의 오차가 있으면 광학적 기능을 달성할 수 없으므로, 광학 소자(OPT)를 촬상 소자(22)에 고정한 후 핀트 위치(초점 위치) 등의 미조정을 행할필요가 있었다.
또한, 촬상 장치(500)에 있어서의 기판(PC)과 광학 소자(OPT)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일이 있어, 그 간극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나, 습기(결로) 등이 침입하기 쉬운 상태가 되는 일이 있었다. 그리고, 그 간극에 먼지나 습기 등이 침입하여 촬상 소자(22)에 작용해 버림으로써 촬상 소자(22)에 있어서의 촬상 정보에 영향을 끼쳐 버리는 일이 있었다. 또한, 광학 소자(OPT)의 결상 렌즈부(R)가 외부로 노출된 형상이므로 결상 렌즈부(R)에 오염이 부착하거나, 손상되거나 하기 쉬워지는 문제도 있었다.
그런데, 기판으로서 가요성 기판을 이용하면 촬상 장치의 소형화가 한층 가능해진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저렴하고 또한 유연한 폴리이미드제의 가요성 기판을 이용한 경우, 그 선팽창 계수가 촬상 소자의 선팽창 계수보다도 크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과 촬상 소자와의 접합 시에 접합 부위에 발생하는 열에 기인하여 범프(203) 부근이 매우 고온이 된다. 그러면, 가요성 기판이 왜곡되거나, 전기적 접점의 접합 위치에 어긋남이 생기거나, 개구부의 형상이 변형된다. 또는, 개구부의 모서리가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에 포개어지는 위치까지 연신되거나, 촬상 소자의 표면에 접촉해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가요성 기판과 촬상 소자의 접합 후에 있어서도 촬상 소자에 통전함으로써 촬상 소자가 고온이 되는 일이 있고,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가 생겨 버린다. 따라서, 폴리이미드제의 가요성 기판을 이용할 수는 없고, 그 대신에 촬상 소자의 선팽창 계수에 가깝게 열변형하기 어려운 재질의 것, 예를 들어 세라믹제의 기판이 고려되지만, 세라믹제의 기판은 폴리이미드제에 비해 고가인 동시에 유연성이 뒤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현상 소자(202) 단부의 전체 둘레에 따라서, 기판(201)의 이면측과 촬상 소자(202)의 표면측이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수지(204)는 기판(201)과 촬상 소자(202)의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고정 부착에는 기여하고 있지만, 상기 광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고정 부착에는 그다지 기여하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광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대해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진 경우, 수지(204)는 고화되고 있지만, 그 하중 등을 지지하는 부위가 없으므로 범프(203)를 거친 접합부에 힘이 집중하여 접합부가 파괴되거나, 어긋나 버리게 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촬상 장치를 박형화할 때에 제조가 용이하고 또한 촬상 소자나 광학 부재에 문제점이 생기기 어려운 구조의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가요성 기판을 이용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열에 의한 가요성 기판의 변형에 기인한 문제점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촬상 장치에 있어서의 기판과 촬상 소자와의 접합부 등에 문제점이 생기기 어려운 구조의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를 도시하는 일부 생략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촬상 소자에 있어서의 기판의 일부 생략 상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학 부재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학 부재의 하면도.
도6은 도2의 선 Ⅵ-Ⅵ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를 도시하는 일부 생략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촬상 장치를 탑재한 휴대용 전화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배면도.
도9는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촬상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촬상 장치에 있어서의 기판의 일부 생략 상면도.
도11은 도9에 도시하는 상기 촬상 장치의 XI-XI선에 있어서의 일부 생략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상기 촬상 장치에 있어서, 절입부의 그 밖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기판의 평면도.
도13은 제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1의 선 Ⅱ-Ⅱ에 있어서의 또 다른 촬상 장치의 일부 생략 단면도.
도14는 도1의 상기 촬상 장치에 있어서의 기판의 일부 생략 상면도.
도15는 기판과 촬상 소자와의 접합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생략 확대 단면도.
도16은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촬상 장치에 있어서,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17은 종래의 촬상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8의 (a) 내지 도18의 (c)는 종래의 촬상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학 부재
2 : 촬상 소자
2a : 광전 변환부(촬상 영역)
10 : 개구부
10a : 내연부
11, 11a : 절결부
100 : 촬상 장치
FPC : 가요성 기판
BP : 본딩 포인트(전기적 접속부)
T : 절첩식 휴대용 전화기(휴대용 단말기)
e : 교점
상기한 목적은 이하의 구성 (1) 내지 (28)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달성된다.
(1)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이면측에 상기 개구부 중 적어도 일부를 막도록 부착된 촬상 소자와,
상기 기판의 표면측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촬상 소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부착되어 상기 촬상 소자에 입사광을 집광하는 광학 부재와,
상기 광학 부재 및 상기 개구부를 씌워 상기 기판에 부착된 외부 프레임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광학 부재의 치수 정밀도를 안정시켜 촬상 소자에 접촉하도록 조립 부착함으로써, 광학 부재의 초점 위치를 적합한 위치로 하여 소정의 광학적 기능을 달성할 수 있고, 조립 부착시 및 조립 부착 후에 광학 부재의 초점 위치에 관한 조정을 불필요로 할 수 있다.
특히, 기판의 개구부에 대응하여 기판의 이면측에 부착된 촬상 소자에 대해 기판의 표면측으로부터 그 개구부를 통해 상기 촬상 소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촬상 소자에 입사광을 집광하는 광학 부재가 부착되는 동시에 광학 부재 및 기판의 개구부를 씌우는 외부 프레임 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그 촬상 장치는 기판의 두께만큼 얇게 형성되는 동시에 촬상 장치에 구비된 광학 부재나 개구부에 대응한 촬상 소자를 외부 프레임 부재로 보호할 수 있고, 외부 프레임 부재의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나 습기의 침입이나, 광학 부재가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으로부터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촬상 장치는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동시에, 촬상 소자나 광학 부재에 문제점이 생기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2) 구성 (1)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에 끼워 맞추어져 상기 광학 부재의 광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방지되는 피끼워 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는 상기 피끼워 맞춤부를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성 (1)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광학 부재에 구비된 피끼워 맞춤부와, 외부 프레임 부재에 구비된 끼워 맞춤부가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광학 부재는 외부 프레임 부재에 끼워 맞추어져 광학 부재의 광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방지되도록 위치 규제된다. 따라서, 광학 부재는 소정의 위치, 예를 들어 촬상 소자에 대한 소정의 위치로부터 어긋나기 어렵기 때문에 안정된 촬상을 행할 수 있다.
(3) 구성 (1) 또는 (2)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촬상 소자의 표면에 접촉하는 제1 광학 부재와,
상기 제1 광학 부재와 동일한 광축이 되도록 상기 제1 광학 부재에 적층된 1 내지 복수의 보조 광학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성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제1 광학 부재와 보조 광학 부재를 복합하여 이용함으로써, 제1 광학 부재와 보조 광학 부재 각각의 광학 소자로서의 기능 등을 복합함으로써, 광학 부재로서의 기능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기능의 촬상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구성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화상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전기 부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성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촬상 장치에 있어서의 기판에 화상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전기 부품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촬상 장치는 하나의 촬상 유닛으로서 취급할 수 있어 다양한 전자 기기 등에의 탑재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5) 구성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에 의해 씌워진 상기 기판 상에 소정의 전기 부품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성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외부 프레임 부재에 의해 씌워진 기판 상에 소정의 전기 부품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 소정의 전기 부품을 외부 프레임 부재로 씌울 수 있어 외부 프레임 부재의 외측에 있어서의 환경 외란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부품에 문제점이 생기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6) 구성 (4) 또는 (5)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부품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기판에 상기 외부 프레임 부재를 고정할 때의 고정 위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성 (4) 또는 (5)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전기 부품 중 적어도 일부는 기판에 외부 프레임 부재를 고정할 때의 고정 위치 근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외부 프레임 부재는 그 전기 부품에 안내되는 것과 같이 용이하게 기판에 위치 결정할 수 있어 기판에의 고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7) 구성 (1) 내지 (6) 중 어느 항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상 소자의 표면에는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도록 입사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광학 부재는 입사광을 상기 광전 변환부에 집광시킴으로써 피사체상을 결상시키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성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촬상 소자의 표면에는 개구부에 대응하도록 입사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부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광학 부재는 입사광을 그 광전 변환부에 집광시킴으로써 피사체상을 결상시키도록 구비되어 있으므로 적절하게 촬상을 행할 수 있다.
(8) 구성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가 케이스 내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구성 (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성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가 케이스 내에 탑재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는 그 촬상 장치를 기초로 하여 박형화되는 동시에 촬상 장치에 따른 다기능적인 촬상을 행할 수 있다.
(9) 개구부를 구비하는 가요성 기판과,
상기 가요성 기판의 이면측에 상기 개구부 중 적어도 일부를 막는 동시에 촬상 영역이 노출되도록 부착된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에 입사광을 집광하는 광학 부재를 갖는 촬상 장치이며,
상기 개구부는 대략 다각형의 모서리부가 절결된 형상[예를 들어, 절결부(11)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개구부에 있어서 절결된 부분이 동시에 형성되어도 좋고, 개구부를 형성한 후에 절결된 부분을 형성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구성 (9)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개구부는 대략 다각형의 모서리부가 절단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요성 기판이 열변형하여 팽창되면 그 팽창분이 절결된 부분에 있어서 흡수된다. 따라서, 촬상 장치에 있어서 가요성 기판이 왜곡되거나, 가요성 기판의 개구부의 변모서리부가 촬상 소자의 표면에 접촉하거나, 촬상 영역을 씌우거나 하는 가요성 기판의 변형에 기인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열변형하기 쉬운 가요성 기판이라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가요성 기판 종류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10) 구성 (9)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가요성 기판의 표면측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촬상 소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 (10)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성 (9)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광학 부재는 개구부를 통해 촬상 소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부착되어 있으므로, 광학 부재의 치수 정밀도를 안정시켜 광학 부재의 초점 위치를 적합한 위치로 하여 소정의 광학적 기능을 달성할 수 있고, 조립 부착시 및 조립 부착 후에 광학 부재의 초점 위치에 관한 조정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기판의 개구부에 대응하여 기판의 이면측에 부착된 촬상 소자에 대해 기판의 표면측으로부터 그 개구부를 통해 상기 촬상 소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촬상 소자에 입사광을 집광하는 광학 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그 촬상 장치는 기판의 두께만큼 얇게 형성되게 되어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11) 구성 (9) 또는 구성 (10)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대략 직사각형의 4개의 모서리부가 절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 (1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성 (9) 또는 (10)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개구부는 대략 직사각형 4개의 모서리부가 절단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요성 기판의 열변형에 의해 4개의 모서리부가 절단된 부분에 2 방향으로부터의 팽창분이 모이지만, 절결됨으로써 그 팽창분이 흡수되므로, 보다 적절하게 가요성 기판의 열변형에 수반하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2) 구성 (9)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절결부는 상기 가요성 기판의 외연부를 향해 끝이 가는 절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 (1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성 (9)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개구부의 절결부는 가요성 기판의 외연부를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결부의 형성이 용이하다.
(13) 구성 (10)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절결부는 대략 원형상이고,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절결부를 통해 상기 촬상 소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 (1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성 (10)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절결부는 대략 원형상이고, 광학 부재는 상기 절결부를 통해 촬상 소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기판과 촬상 소자의 접합 위치를 보다 촬상 영역측에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촬상 소자에 있어서의 촬상 영역 이외의 영역을 작게 할 수 있다.
(14) 구성 (9)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의 상기 개구부측의 내연부에 따라서 상기 촬상 소자와의 전기적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 (1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성 (9)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가요성 기판의 개구부측의 내연부에 따라서 촬상 소자와의 전기적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개구부의 변모서리부가 열변형해도 절결부에 의해 열변형의 팽창분이 흡수됨으로써 촬상 장치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소자와 가요성 기판의 접속 시에 있어서의 열부가에 의해 변형되는 일이 없으므로, 전기적 접속부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5) 구성 (14)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인접하는 내연부에 따라서 형성된 2개의 상기 전기적 접속부의 연장선의 교점보다 상기 가요성 기판의 외연부측에 깊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 (1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성 (14)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절결부는 인접하는 내연부에 따라서 형성된 2개의 전기적 접속부의 연장선의 교점보다 가요성 기판의 외연부측에 깊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판의 팽창분을 보다 적절하게 흡수할 수 있다.
(16) 구성 (9)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의 선팽창 계수와 상기 촬상 소자의 선팽창 계수의 차가 25 내지 36 pp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 (1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성 (9)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이러한 범위의 가요성 기판을 이용해도 적절하게 가요성 기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가요성 기판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게 되어,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제 등의 보다 저렴하고 또한 유연성이 높은 가요성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17) 구성 (9)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가 케이스 내에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이다.
구성 (1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성 (9)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가 케이스 내에 탑재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는 그 촬상 장치를 기초로 하여 소형화할 수 있다.
(18)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이면측에 상기 개구부 중 적어도 일부를 막도록 부착된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에 입사광을 집광하는 광학 부재를 갖는 촬상 장치이며,
상기 기판의 이면과 상기 촬상 소자의 표면을 이격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부재와,
상기 기판의 이면의 상기 접속 부재보다도 외측에 상기 촬상 소자의 표면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되는 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부재와 상기 둑 부재 사이에 접착제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접속 부재는 본래 기판 또는 촬상 소자 상에 설치되어 있던 하나의 부재라도 좋고, 기판과 촬상 소자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부재를 접합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접착제라 함은, 예를 들어 열경화형 접착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열 및 자외선 병용형 접착제 등의 수지 등이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성 (1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둑 부재가 기판 이면의 접속 부재의 외측에 촬상 소자의 표면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되고, 접속 부재와 둑 부재 사이에 접착제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기판과 촬상 소자와의 광축 방향과, 상기 광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이하, 수직 방향이라 함)과의 양쪽에 있어서, 기판과 촬상 소자와의 고정 부착 강도가 증가한다. 즉, 접착제가 접속 부재뿐만 아니라 둑 부재와도 접착되므로 접착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수직 방향의 접착 강도가 증가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수직 방향으로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진 경우라도 접속 부재, 즉 기판과 촬상 소자와의 전기적 접합점에 하중이 집중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기판과 촬상 소자와의 전기적 접합점에 하중이 집중함으로써 접속 부재가 깨지거나, 전기적 접속에 문제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9) 구성 (18)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둑 부재는 상기 촬상 소자의 측단부면부보다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촬상 소자의 측단부면부와 상기 둑 부재 사이에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 (19)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성 (18)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촬상 소자의 측단부면부와 둑 부재 사이에 접착제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접착 면적이 보다 증가하게 되어 광축 방향 및 상기 광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고정 부착이 강화된다.
(20) 구성 (18) 또는 (19)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둑 부재는 프레임형 부재이고, 그 프레임 내에 상기 촬상 소자가 위치하도록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 (20)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성 (18) 또는 (19)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둑 부재는 프레임형 부재이고, 그 프레임 내에 촬상 소자가 위치하도록 기판 상에 배치되므로, 촬상 소자 외주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접착제를 충전할 수 있음으로써, 고정 부착을 강화할 수 있는 동시에 복수의 둑 부재를 설치하는 데 비해 제조가 용이해진다.
(21) 구성 (18)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둑 부재의 돌출 방향의 길이는 상기 기판의 이면과 상기 촬상 소자의 이면과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 (2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성 (18)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둑 부재의 돌출 방향의 길이는 기판의 이면과 촬상 소자의 이면과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짧기 때문에, 접착제를 경사 방향으로부터 충전할 수 있게 되어 충전하기 쉽다.
(22) 구성 (18) 내지 (2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기판의 표면측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촬상 소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 (2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성 (18) 내지 (2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광학 부재는 기판의 표면측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해 촬상 소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부착되어 있으므로, 광학 부재의 치수 정밀도를 안정시켜 광학 부재의 초점 위치를 적당한 위치로 하여 소정의 광학적 기능을 달성할 수 있고, 조립 부착시 및 조립 부착 후에 광학 부재의 초점 위치에 관한 조정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기판의 개구부에 대응하여 기판의 이면측에 부착된 촬상 소자에 대해 기판의 표면측으로부터 그 개구부를 통해 상기 촬상 소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촬상 소자에 입사광을 집광하는 광학 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그 촬상 장치는 기판의 두께만큼 얇게 형성되게 되어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23) 구성 (18) 내지 (2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열경화형 접착제, 혹은 자외선과 열의 병용 경화형 접착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 (2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성 (18) 내지 (2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접착제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열경화형 접착제, 혹은 자외선과 열의 병용 경화형 접착제 중 어느 하나이므로, 접착제를 이용한 기판과 촬상 소자의 고정 부착을 적절하게 실행할 수 있다.
(24) 구성 (18) 내지 (2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기판의 소정 위치에 상기 둑 부재를 배치하는 제1 스텝과,
상기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이 상기 개구부보다 상기 기판의 표면측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접속 부재를 거쳐서 상기 기판의 이면측에 상기 촬상 소자를 부착하는 제2 스텝과,
상기 둑 부재와 상기 접속 부재 사이에 열 및 자외선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의해 경화하는 접착제를 충전하는 제3 스텝과,
열 및 자외선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의해, 상기 둑 부재와 상기 접속 부재 사이에 충전된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제4 스텝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 (2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둑 부재와 촬상 소자가 기판에 부착된 후 접착제가 충전되므로, 둑 부재에 의해 접착제가 필요 없는 부분까지 충전되지 않도록 저지하게 되므로 적합한 동시에, 접착제가 접속 부재뿐만 아니라 둑 부재와도 접착되므로 접착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기판과 촬상 소자와의 광축 방향과, 상기 광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과의 양쪽에 있어서, 기판과 촬상 소자의 고정 부착 강도가 증가한다.
(25) 구성 (24)에 기재된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4 스텝은,
상기 개구부의 외측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기판과 상기 촬상 소자 사이에 충전된 접착제에 대해 직접 열 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조사 수단으로부터 열 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 (2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성 (24)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제4 스텝은 개구부의 외측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해 기판과 촬상 소자 사이에 충전된 접착제에 대해 직접 열 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조사 수단으로부터 열 또는 자외선을 조사하므로,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에 열이나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촬상 영역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접착제를 경화할 수 있다.
(26) 구성 (25)에 기재된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스텝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충전과, 상기 제4 스텝에 있어서의 조사 수단으로부터의 열 또는 자외선의 조사를 동시에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 (2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성 (25)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제3 스텝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충전과, 제4 스텝에 있어서의 조사 수단으로부터의 열 또는 자외선의 조사를 동시에 실행하므로, 제조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데다가 접착제가 필요 없는 부분까지 유출되거나, 필요 이상으로 접착제를 충전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7) 구성 (18) 내지 (2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이 상기 개구부보다 상기 기판의 표면측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접속 부재를 거쳐서 상기 기판의 이면측에 상기 촬상 소자를 부착하는 제1 스텝과,
상기 기판의 이면측과 상기 촬상 소자의 표면측과의 사이의 소정 위치에 열 및 자외선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의해 경화하는 접착제를 충전하는 제2 스텝과,
열 및 자외선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의해 상기 기판과 상기 촬상 소자 사이에 충전된 접착제를 경화시켜 임시 고정하는 제3 스텝과,
상기 임시 고정된 접착제 상이며, 또한 상기 기판의 소정 위치에 상기 둑 부재를 배치하는 제4 스텝과,
상기 임시 고정된 접착제를 경화시켜 정상 고정하는 제5 스텝을 구비한 것을특징으로 한다.
구성 (2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기판과 촬상 소자 사이에 접착제를 충전하고, 임시 고정한 후에 둑 부재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접착제의 충전이 용이해진다.
(28) 구성 (18) 내지 (2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가 케이스 내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이다.
구성 (2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성 (18) 내지 (2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가 케이스 내에 탑재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는 그 촬상 장치를 기초로 하여 소형화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Ⅱ-Ⅱ선에 있어서의 상기 촬상 장치(100)의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도3은 촬상 장치(100)의 기판(PC)의 일부 생략 상면도이다. 도4는 촬상 장치(100)에 구비된 광학 부재(1)의 사시도이고, 도5는 상기 광학 부재(1)의 하면도이다. 도6은 도2의 Ⅵ-Ⅵ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0)는 개구부(10)가 형성된 기판(PC)과, 그 기판(PC)의 이면측으로부터 개구부(10)를 막도록 구비된 촬상 소자(2)와, 기판(PC)의 표면측으로부터 개구부(10)를 통해 그 촬상 소자(2)의 표면인 수광면에 접촉하여 촬상 소자(2)에 집광시키기 위한 광학 부재(1)와, 이 광학 부재(1)로 입사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판(3)과, 촬상 소자(2)와 개구부(10)를 덮어 가리는 외부 프레임 부재로서의 경 프레임(4)과, 경 프레임(4)에 구비된 차광성을 갖는 차광판(5)과, 차광판(5)에 지지되는 필터(6)와, 차광판(5)과 광학 부재(1) 사이에 구비되어 광학 부재(1)를 기판(PC)측으로 압박하는 압박 부재(7)와, 광학 부재(1)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해 기판(PC) 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위치 결정 전기 부품(8a…)과, 그 밖의 기판(PC) 상에 배치된 전기 부품(8…)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촬상 소자(2)는, 예를 들어 CMOS형 이미지 센서, CCD 이미지 센서 등으로 이루어지고, 직사각형 박판형의 촬상 소자(2)의 단부에 있어서의 상면이 기판(PC)의 이면측에 부착되어 있다. 촬상 소자(2)의 상면 중앙에는 화소가 2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촬상면으로서의 광전 변환부(2a)가 형성되어 있고, 촬상 소자(2)가 기판(PC)의 이면에 부착되었을 때, 기판(PC)에 형성된 개구부(10)의 위치에 광전 변환부(2a)가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촬상 소자(2)의 단부에 있어서의 상면과, 기판(PC)의 이면측은 전극으로서의 범프(12)를 통해 부착되어 있고, 촬상 소자(2)와 기판(PC)은 범프(12)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촬상 소자(2)와 기판(PC)은 ACF(도전성 필름) 등을 이용한 압착이나, 용착,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되어 접속되어 있다.
광학 부재(1)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를 소재로 하여 도2 및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의 다리부(1c)와, 이 다리부(1c)에 지지되는 볼록 렌즈 형상의 렌즈부(1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1c)는 하단부에 형성된 4개의 접촉부(1d)와, 상단부 주위에 형성된 상부 다리부(1e)와, 접촉부(1d)와 상부 다리부(1e) 사이에 형성된 하부 다리부(1f)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다리부(1c)의 상단부를 막는 판형의 상면부(1b)의 중앙에 렌즈부(1a)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다리부(1f)는, 수평 단면에서 보아 원의 외주의 2점을 연결하는 선(현)에 의해 절결된 대략 D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피끼워 맞춤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면부(1b)의 상면이며, 렌즈부(1a)의 주위에는 차광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볼록 렌즈부(1a)의 F 번호를 규정하는 제1 조리개로서의 개구(3a)를 갖는 조리개판(3)이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광학 부재(1)의 외측에는 차광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외부 프레임 부재를 구성하는 경 프레임(4)이 배치되어 있다. 경 프레임(4)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기둥형의 하부(4a)와, 원통형의 상부(4b)가 설치되어 있다. 경 프레임(4) 상부(4b)의 상단부에는 차광판(5)이 접착제(B)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차광판(5)은 그 중앙에 제2 조리개로서의 개구(5a)를 갖고 있다. 차광판(5) 중앙의 개구(5a) 하방에 적외선 흡수 특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필터(6)가 접착제(B)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차광판(5)과 필터(6)로 커버 부재(11)를 구성한다.
또한, 하부(4a)의 하단부(4aa)는 기판(PC) 상에 경 프레임(4)이 부착될 때의 접착 부위가 되는 부위이며, 경 프레임(4)의 하부(4a)가 기판(PC) 상에 접촉되어 부착될 때에는 하부(4a)의 하단부(4aa)와 기판(PC) 사이에 접착제(B)가 도포되어고정 부착된다.
이와 같이, 기판(PC)과 경 프레임(4)과 커버 부재(11)가 밀착하여 접합되어 있으므로, 기판(PC)과 경 프레임(4)과 커버 부재(11) 등에 씌워지는 광학 부재(1)나 촬상 소자(2)의 표면은 환경 외란인 먼지 등의 이물질이나 습기 등의 부착이나 흠집 등의 손상으로부터 방어하게 되어 보호된다.
즉, 경 프레임(4)과 커버 부재(11)로 구성되는 외부 프레임 부재가 광학 부재(1)나 기판(PC)의 개구부(10), 촬상 소자(2)의 표면을 씌움으로써, 촬상 장치(100)는 방진, 방습의 구조, 광학 부재(1) 등의 보호 구조를 갖는다.
또한, 경 프레임(4)의 하부(4a)와 상부(4b) 사이의 격벽(4c)의 내주면에는 광학 부재(1)의 피끼워 맞춤부인 하부 다리부(1f)에 대응한 끼워 맞춤부로서의 D 홈(44)이 형성되어 있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D 홈(44)에 하부 다리부(1f)가 밀착적으로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와 같은 하부 다리부(1f)와 D 홈(44)과의 끼워 맞춤에 의해 광학 부재(1)는, 예를 들어 광학 부재(1)의 렌즈부(1a)의 광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이 방지되도록 경 프레임(4)에 위치 규제되어 있다.
또한, 광학 부재(1)는 경 프레임(4)에 위치 규제되어 있으므로, 기판(PC)의 소정 위치에, 예를 들어 후술하는 위치 결정 전기 부품(8a)을 기초로 하여 경 프레임(4)을 위치 결정하여 배치함으로써 기판(PC)의 소정 위치에 광학 부재(1)를 배치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기판(PC)에 구비된 촬상 소자(2)의 광전 변환부(2a)의 중심과, 경 프레임(4)에 끼워 맞추어진 광학 부재(1)의 렌즈부(1a)의 광축의 중심을 일치시키도록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광학 부재(1)는 경 프레임(4)에 위치 규제되어 있으므로 기판(PC)의 소정 위치에 경 프레임(4)이 배치되고,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는, 광학 부재(1)는 소정의 위치로부터 어긋나기 어렵고, 예를 들어 광학 부재(1)의 렌즈부(1a)의 광축의 중심과, 촬상 소자(2)의 광전 변환부(2a)의 중심이 일치한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도2에 있어서, 광학 부재(1)와, 차광판(5) 사이에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된 압박 부재(7)가 배치되어 있다. 차광판(5)이 경 프레임(4)에 부착됨으로써 차광판(5)이 압박 부재(7)를 압박하여 압박 부재(7)가 탄성 변형된다. 이 압박 부재(7)는 광학 부재(1)를 도2 중 하방을 향해 소정의 압박력에 의해 압박하여 광학 부재(1)를 촬상 소자(2)로 압박한다. 여기서, 차광판(5)으로부터 하방의 촬상 소자(2)를 향하는 힘이 가해졌을 때, 압박 부재(7)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그 힘을 흡수하는 완충 작용이 작용하므로, 그 힘은 직접 촬상 소자(2)에는 전달되지 않아 촬상 소자(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전기 부품(8…)은 촬상 장치(100)를 동작시켜 화상 처리를 행하기 위해 필요한 전기 부품이다. 이와 같이 전기 부품(8…)이 기판(PC) 상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촬상 장치(100)를 하나의 유닛으로서 다양한 전자 기기에 탑재하기 쉬워진다.
위치 결정 전기 부품(8a…)은, 예를 들어 콘덴서, 저항, 다이오드 등이며, 도2, 도3에 있어서 기판(PC) 상의 경 프레임(4)과, 개구부(10) 사이이며, 경 프레임(4)에 근접하여 경 프레임(4)의 4구석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전기 부품(8a…)은 경 프레임(4)을 기판(PC) 상에 고정 부착할 때의 고정 위치의근방에 있고, 경 프레임(4)의 위치 결정 지표가 된다. 또한, 위치 결정 전기 부품(8)은, 예를 들어 콘덴서, 저항, 다이오드 등에 한정되지 않고, 촬상 장치(100)에 필요한 전기 부품이면 된다.
또한, 전기 부품(8…) 중, 경 프레임(4) 등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프레임 부재의 외부에 있어서의 환경 외란으로부터 보호하고 싶은 전기 부품(8…)(예를 들어, CPU 등의 전자 부품)은 위치 결정 전기 부품(8a)과 같이 경 프레임(4)(외부 프레임 부재)의 내측에 배치하면 된다.
이와 같이, 촬상 장치(100)에 있어서, 촬상 소자(2)가 기판(PC)의 이면측으로부터 기판(PC)의 개구부(10)를 막도록 구비되는 동시에, 기판(PC)의 표면측으로부터 개구부(10)를 통해 그 촬상 소자(2)의 수광면에 접촉하도록 광학 부재(1)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기판(PC)의 두께만큼 기판(PC) 표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에의 광학 부재(1)의 돌출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그 광학 부재(1)의 돌출을 억제한 만큼 촬상 장치(10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특히, 광학 부재(1)나, 광학 부재(1)가 구비된 촬상 소자(2)의 표면은 경 프레임(4)과 커버 부재(11) 등의 외부 프레임 부재에 의해 씌워져 있음으로써, 광학 부재(1)나 촬상 소자(2)는 촬상 장치(100)의 외부로부터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나 습기 등의 부착이나 흠집 등의 손상으로부터 방어하게 되어 보호되므로, 광학 부재(1)나 촬상 소자(2)의 상태에 기인하는 촬상 정보에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광학 부재(1)는 경 프레임(4)에 끼워 맞추어져 위치 규제되어 있으므로, 경 프레임(4)을 기판(PC)의 소정 위치에 고정 부착하는 것을 기초로 하여 광학부재(1)를 기판(PC)이나 기판(PC)에 구비된 촬상 소자(2)에 대해 소정의 위치 맞춤을 행하도록 구비할 수 있는 동시에, 광학 부재(1)가 기판(PC)이나 기판(PC)에 구비된 촬상 소자(2)의 소정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부위의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200)의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200)에 있어서의 광학 부재는 기판의 표면측으로부터 개구부(10)를 통해 촬상 소자(2)의 표면에 접촉하는 제1 광학 부재(50)와, 이 제1 광학 부재(50)로 입사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판(33)을 거쳐서 제1 광학 부재(50)의 상방에 구비된 보조 광학 부재로서의 제2 광학 부재(6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광학 부재(50)와 제2 광학 부재(60)의 광축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제1 광학 부재(50)는 렌즈부(50a)의 주위에 관형의 하부 다리부(501)를 구비한 것이고, 하부 다리부(50f)의 하단부에는 촬상 소자(2)에 접촉하는 접촉부(50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광학 부재(50)의 외주부는 경 프레임(4)의 격벽(4c)에 접촉하여 끼워 맞추어져 있고, 제1 광학 부재(50)의 위치 결정을 확실한 것으로 하고 있다.
제1 광학 부재(50)의 관형의 하부 다리부(50f)의 상면이며, 렌즈부(50a)의주위에는 차광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렌즈부(50a)의 F 번호를 규정하는 조리개로서의 개구(33a)를 갖는 조리개판(33)이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2 광학 부재(60)는 렌즈부(60a)의 주위에 관형의 상부 다리부(60e)를 구비한 것이고, 상부 다리부(60e)의 하면측에는 조리개판(33)이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2 광학 부재(60)는 제2 광학 부재(60)와 차광판(5) 사이에 배치된 압박 부재(7)에 의해, 제2 광학 부재(60)를 도7 중 하방을 향해 소정의 압박력에 의해 압박하여 조리개판(33)을 거쳐서 제1 광학 부재(50)를 촬상 소자(2)로 압박한다.
이와 같이, 촬상 장치(200)에 있어서 제1 광학 부재(50)와 제2 광학 부재(60)를 복합하여 이용함으로써, 제1 광학 부재(50)와 제2 광학 부재(60)의 각각의 광학 소자로서의 기능 등을 복합함으로써 광학 부재로서의 기능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박형화한 촬상 장치라도 보다 고기능인 촬상 장치로 할 수 있다.
다음에, 촬상 장치(100)를 일예로서, 상기 촬상 장치를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8의 (a), 도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절첩식 휴대용 전화기(T)[이하, 휴대용 전화기(T)라 함]이고, 표시 화면(D)을 구비한 케이스로서의 상부 하우징(71)과, 조작 버튼(P)을 구비한 하부 하우징(72)이 힌지(73)를 거쳐서 연결되어 있다. 촬상 장치(100)는 상부 하우징(71)의 내표면측[표시 화면(D)을 갖는 측]의 표시 화면(D)의 하방에 내장되어 있고, 촬상장치(100)[광학 부재(1)]가 상부 하우징(71)의 외표면으로부터 빛을 취입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휴대용 전화기(T)에 박형화된 촬상 장치(100)를 내장함으로써 휴대용 전화기(T)를 보다 박형화할 수 있고, 촬상 대상과의 거리나, 촬상 환경에 맞추어 촬상 장치(100)의 기능을 구분하여 사용함으로써, 부가 가치가 높은 휴대용 전화기(T)로 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전화기(T)의 그 밖의 구성 요소는 공지의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광학 부재(1)에 형성된 피끼워 맞춤부인 하부 다리부(1f)는 단면 대략 D자 형상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밖의 끼워 맞춤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촬상 장치(200)는 제1 광학 부재(50)와 제2 광학 부재(60)에 의한 렌즈부 2매 구성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광학 부재, 렌즈부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이고, 복수의 광학 부재의 적층 형상, 적층 방법 등도 임의이다.
또한, 그 밖의 구체적인 세부 구조 등에 대해서도 적당히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구성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광학 부재의 치수 정밀도를 안정시켜 촬상 소자에 접촉하도록 조립 부착함으로써, 광학 부재의 초점 위치를 적합한 위치로 하여 소정의 광학적 기능을 달성할 수 있고, 조립 부착시 및 조립 부착 후에 광학 부재의 초점 위치에 관한 조정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특히, 기판의 개구부에 대응하여 기판의 이면측에 부착된 촬상 소자에 대해 기판의 표면측으로부터 그 개구부를 통해 상기 촬상 소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촬상 소자에 입사광을 집광하는 광학 부재가 부착되는 동시에, 광학 부재 및 기판의 개구부를 씌우는 외부 프레임 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그 촬상 장치는 기판의 두께만큼 얇게 형성되는 동시에, 촬상 장치에 구비된 광학 부재나 개구부에 대응한 촬상 소자를 외부 프레임 부재로 보호할 수 있어, 외부 프레임 부재의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나 습기의 침입이나, 광학 부재가 오염되거나 손상되거나 하는 것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촬상 장치는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동시에, 촬상 소자나 광학 부재에 문제점이 생기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구성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특히 광학 부재에 구비된 피끼워 맞춤부와, 외부 프레임 부재에 구비된 끼워 맞춤부가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광학 부재는 외부 프레임 부재에 끼워 맞추어져 광학 부재의 광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방지되도록 위치 규제된다. 따라서, 광학 부재는 소정의 위치, 예를 들어 촬상 소자에 대한 소정의 위치로부터 어긋나기 어렵기 때문에, 안정된 촬상을 행할 수 있다.
구성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특히 제1 광학 부재와 보조 광학 부재를 복합하여 이용함으로써, 제1 광학 부재와 보조 광학 부재의 각각의 광학 소자로서의 기능 등을 복합함으로써 광학 부재로서의 기능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기능의 촬상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성(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특히 촬상 장치에 있어서의 기판에 화상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전기 부품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촬상 장치는 하나의 촬상 유닛으로서 취급할 수 있어 다양한 전자 기기 등에의 탑재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수 있다.
구성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특히 외부 프레임 부재에 의해 씌워진 기판 상에 소정의 전기 부품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 소정의 전기 부품을 외부 프레임 부재로 씌울 수 있어 외부 프레임 부재의 외측에 있어서의 환경 외란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부품에 문제점이 생기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구성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특히 전기 부품 중 적어도 일부는 기판에 외부 프레임 부재를 고정할 때의 고정 위치 근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외부 프레임 부재는 그 전기 부품에 안내되는 것과 같이 용이하게 기판에 위치 결정할 수 있어 기판에의 고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구성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특히 촬상 소자의 표면에는 개구부에 대응하도록 입사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부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광학 부재는 입사광을 그 광전 변환부에 집광시킴으로써 피사체상을 결상시키도록 구비되어 있으므로 적절하게 촬상을 행할 수 있다.
구성 (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성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가 케이스 내에 탑재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는 그 촬상 장치를 기초로 하여 박형화되는 동시에, 촬상 장치에 따른 다기능적인 촬상을 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9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300)의 사시도이고, 도10은 촬상장치(300)의 가요성 기판(FPC)의 일부 생략 상면도이다. 도11은 도9의 XI-XI선에 있어서의 상기 촬상 장치(300)의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도9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300)는 개구부(10)가 형성된 폴리이미드제의 가요성 기판(FPC)과, 그 가요성 기판(FPC)의 이면측으로부터 개구부(10)를 막도록 구비된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촬상 소자(2)와, 가요성 기판(FPC)의 표면측으로부터 개구부(10)를 통해 그 촬상 소자(2)의 표면인 수광면에 접촉하여 촬상 소자(2)에 집광시키기 위한 광학 부재(1)와, 이 광학 부재(1)로 입사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판(3)과, 촬상 소자(2)와 개구부(10)를 덮어 가리는 외부 프레임 부재로서의 경 프레임(4)과, 경 프레임(4)에 구비된 차광성을 갖는 차광판(5)과, 차광판(5)에 지지되는 필터(6)와, 차광판(5)과 광학 부재(1) 사이에 구비되어 광학 부재(1)를 가요성 기판(FPC)측으로 압박하는 압박 부재(7)와, 광학 부재(1)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해 가요성 기판(FPC) 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위치 결정 전기 부품(8…)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촬상 소자(2)는, 예를 들어 CMOS형 이미지 센서, CCD형 이미지 센서 등으로 이루어지고, 직사각형 박판형의 촬상 소자(2)의 단부에 있어서의 상면이 가요성 기판(FPC)의 이면측에 부착되어 있다. 촬상 소자(2)의 상면 중앙에는 화소가 2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촬상 영역으로서의 직사각형상의 광전 변환부(2a)가 형성되어 있고, 촬상 소자(2)가 가요성 기판(FPC)의 이면에 부착되었을 때, 가요성 기판(FPC)에 형성된 개구부(10)의 위치로부터 가요성 기판(FPC)의 표면측으로부터 광전 변환부(2a)가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 기판(FPC)의 개구부(10)는 대략 직사각형의 4개의 모서리부를 절결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절결된 부분[이하, 절결부(15)라 함]은 대략 원형상으로 촬상 소자의 광전 변환부(2a)의 4개의 모서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촬상 소자(2)의 단부에 있어서의 상면과, 가요성 기판(FPC)의 이면은 전극으로서의 범프(12)를 거쳐서 부착되어 있고, 촬상 소자(2)와 가요성 기판(FPC)은 범프(12)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 기판(FPC)의 개구부(10)의 절결부(15) 이외의 4개의 직선형 내연부(10a)에 따르도록 하여 촬상 소자(2)와의 전기적 접속부로서의 본딩 패드(BP…)가 배치되어 있다. 이 본딩 패드(BP…)는 동, 니켈, 금, 팔라듐이나 이들 합금 단일 부재 혹은 이들 금속을 적층한 것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촬상 소자(2)에 있어서, 광전 변환부(2a) 외주의 상기 본딩 패드(BP…)와 대응한 위치에 설치된 입출력 단자(도시 생략) 상에 범프(1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범프(12)를 거쳐서 촬상 소자(2)의 입출력 단자와, 가요성 기판(FPC)의 본딩 패드(BP…)가 접합됨으로써 촬상 소자(2)와 가요성 기판(FPC)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 접합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초음파 용착 외에 ACF(이방성 도전성 필름), ACP(이방성 도전성 페이스트) 등을 이용한 압착 등이 있다.
또한, 폴리이미드제의 가요성 기판(FPC)의 선팽창 계수는, 예를 들어 30 내지 40 ppm/℃이고, 실리콘제의 촬상 소자(2)의 선팽창 계수는, 예를 들어 4 내지 5 ppm/℃이고, 그 차는 25 내지 36 ppm/℃ 정도로 되어 있다.
여기서, 촬상 소자(2)와 가요성 기판(FPC)과의 선팽창 계수의 차가 매우 크면,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가요성 기판(FPC)과 촬상 소자(2)를 접합할 때에 발생하는 열이나, 촬상 장치(300)의 사용 시에 촬상 소자(2)가 통전함으로써 발생하는 열에 의해, 가요성 기판(FPC)의 개구부(10)의 내연부(10a)가 팽창되어 버리지만, 절결부(15)에 의해 그 팽창 변형 부분이 흡수된다. 따라서, 가요성 기판(FPC)이 열변형함으로써 생기는 왜곡이나 휨에 의해 전기적 접합점에 어긋남이 생기거나, 팽창한 부분이 개구부(10)의 광전 변환부(2a) 상까지 연신하거나 혹은 촬상 소자(2)의 표면에 접촉되어 버리는 등의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딩 포인트(BP…)가 개구부(10)의 직선형의 내연부(10a)에 따라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요성 기판(FPC)의 개구부(10)의 변모서리부가 열변형하는 경우, 그 팽창분이 절결부(11)에 의해 흡수되기 쉽다.
또한, 절결부(15)는 내연부(10a)에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본딩 패드(BP…) 2개의 연장선의 교점(c…)보다도 가요성 기판(FPC)의 외연부측에 깊게 절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절결부(15)에 의해 가요성 기판(FPC)의 팽창분이 보다 확실하게 흡수되게 되어 적합하다.
광학 부재(1)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를 소재로 하여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의 다리부(1c)와, 이 다리부(1c)에 지지되는 볼록 렌즈 형상의 렌즈부(1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1c)는 하단부에 형성된 4개의 접촉부(1d)와, 상단부 주위에 형성된 상부 다리부(1e)와, 접촉부(1d)와 상부 다리부(1e) 사이에 형성된 하부 다리부(1f)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다리부(1c)의 상단부를 막는 판형의 상면부(1b)의 중앙에 렌즈부(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촉부(1d)는 가요성 기판(FPC)의 절결부(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절결부(15)를 통해 촬상 소자(2) 상의 소정 위치에 접촉한다.
하부 다리부(1f)는 수평 단면에서 보아 원의 외주의 2점을 연결하는 선(현)에 의해 절결된 대략 D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피끼워 맞춤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면부(1b)의 상면이며, 렌즈부(1a)의 주위에는 차광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볼록 렌즈부(1a)의 F 번호를 규정하는 제1 조리개로서의 개구(3a)를 갖는 조리개판(3)이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광학 부재(1)의 외측에는 차광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외부 프레임 부재를 구성하는 경 프레임(4)이 배치되어 있다. 경 프레임(4)에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기둥형의 하부(4a)와, 원통형의 상부(4b)가 설치되어 있다. 경 프레임(4) 상부(4b)의 상단부에는 차광판(5)이 접착제(B)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차광판(5)은 그 중앙에 제2 조리개로서의 개구(5a)를 갖고 있다. 차광판(5) 중앙의 개구(5a) 하방에 적외선 흡수 특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필터(6)가 접착제(B)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차광판(5)과 필터(6)로 커버 부재(11)를 구성한다.
또한, 하부(4a)의 하단부(4aa)는 가요성 기판(FPC) 상에 경 프레임(4)이 부착될 때의 접착 부위가 되는 부위이며, 경 프레임(4)의 하부(4a)가 가요성 기판(FPC) 상에 접촉되어 부착될 때에는 하부(4a)의 하단부(4aa)와, 가요성 기판(FPC) 사이에 접착제(B)가 도포되어 고정 부착된다.
이와 같이, 가요성 기판(FPC)과 경 프레임(4)과 커버 부재(11)가 밀착하여 접합되어 있으므로, 가요성 기판(FPC)과 경 프레임(4)과 커버 부재(11) 등에 씌워지는 광학 부재(1)나 촬상 소자(2)의 표면은 환경 외란인 먼지 등의 이물질이나 습기 등의 부착이나 흠집 등의 손상으로부터 방어가 되어 보호된다.
즉, 경 프레임(4)과 커버 부재(11)로 구성되는 외부 프레임 부재가 광학 부재(1)나 가요성 기판(FPC)의 개구부(10)[절결부(15)], 촬상 소자(2)의 표면을 씌움으로써, 촬상 장치(100)는 방진, 방습의 구조, 광학 부재(1) 등의 보호 구조를 갖는다.
또한, 광학 부재(1)는 경 프레임(4)에 위치 규제되어 있으므로, 가요성 기판(FPC)의 소정 위치에, 예를 들어 후술하는 위치 결정 전기 부품(8)을 기초로 하여 경 프레임(4)을 위치 결정하여 배치함으로써, 가요성 기판(FPC)의 소정 위치에 광학 부재(1)를 배치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가요성 기판(FPC)에 구비된 촬상 소자(2)의 광전 변환부(2a)의 중심과, 경 프레임(4)에 끼워 맞추어진 광학 부재(1)의 렌즈부(1a)의 광축의 중심을 일치시키도록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광학 부재(1)는 경 프레임(4)에 위치 규제되어 있으므로 가요성 기판(FPC)의 소정 위치에 경 프레임(4)이 배치되고,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는, 광학 부재(1)는 소정의 위치로부터 어긋나기 어렵고, 예를 들어 광학 부재(1)의렌즈부(1a)의 광축의 중심과, 촬상 소자(2)의 광전 변환부(2a)의 중심이 일치한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도11에 있어서, 광학 부재(1)와, 차광판(5) 사이에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된 압박 부재(7)가 배치되어 있다. 차광판(5)이 경 프레임(4)에 부착됨으로써 차광판(5)이 압박 부재(7)를 압박하여 압박 부재(7)가 탄성 변형된다. 이 압박 부재(7)는 광학 부재(1)를 도11에 있어서, 하방을 향해 소정의 압박력에 의해 압박하여 광학 부재(1)를 촬상 소자(2)에 압박한다. 여기서, 차광판(5)으로부터 하방의 촬상 소자(2)를 향하는 힘이 가해졌을 때, 압박 부재(7)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그 힘을 흡수하는 완충 작용이 작용하므로, 그 힘은 직접 촬상 소자(2)에는 전달되지 않아 촬상 소자(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위치 결정 전기 부품(8…)은, 예를 들어 콘덴서, 저항, 다이오드 등이며, 도10, 도11에 있어서, 가요성 기판(FPC) 상의 경 프레임(4)과, 개구부(10) 사이이며, 경 프레임(4)에 근접하여 경 프레임(4)의 4 구석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전기 부품(8…)은 경 프레임(4)을 가요성 기판(FPC) 상에 고정 부착할 때의 고정 위치의 근방에 있고, 경 프레임(4)의 위치 결정 지표가 된다. 또한, 위치 결정 전기 부품(8)은, 예를 들어 콘덴서, 저항, 다이오드 등에 한정되지 않고, 촬상 장치(300)에 필요한 전기 부품이면 된다.
이와 같이, 촬상 장치(300)에 있어서, 촬상 소자(2)가 가요성 기판(FPC)의 이면측으로부터 가요성 기판(FPC)의 개구부(10)를 막도록 구비되는 동시에, 가요성기판(FPC)의 표면측으로부터 개구부(10)를 통해 그 촬상 소자(2)의 광전 변환부(2a)에 접촉하도록 광학 부재(1)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가요성 기판(FPC)의 두께만큼 가요성 기판(FPC) 표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에의 광학 부재(1)의 돌출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그 광학 부재(1)의 돌출을 억제한 만큼 촬상 장치(300)를 박형화할 수 있다.
또한, 가요성 기판(FPC)의 개구부(10)는 대략 직사각형의 4개의 모서리부를 절결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요성 기판(FPC)과 촬상 소자(2)의 접합시나, 사용시에 있어서의 촬상 소자(2)의 통전에 의해 열이 발생하고, 그 열에 의해 가요성 기판(FPC)이 팽창한 경우, 그 팽창 부분이 절결부(15)에 흡수된다. 따라서, 촬상 소자(2)의 광전 변환부(2a) 등으로 팽창한 가요성 기판(FPC)이 씌워져 버리거나, 가요성 기판(FPC)이 휨으로써 접합 부분이 어긋나는 등의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절결부(15)는 전기적 접속부로서의 본딩 패드(BP…)의 2개의 인접하는 연장선의 교점(c)보다도 가요성 기판(FPC)의 외연부 방향의 깊은 위치까지 절결되어 있으므로, 가요성 기판(FPC)과 촬상 소자(2)의 접합시의 열변형이나, 촬상 소자(2)의 통전시에 대해 보다 적합하다.
또한, 절결부(15)를 통해 광학 부재(1)의 4개의 접촉부(1d)가 촬상 소자(2)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가요성 기판(FPC)과 촬상 소자(2)의 접합 위치인 본딩 포인트(BP)를 보다 광전 변환부(2a)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광전 변환부(2a) 이외의 촬상 소자(2)의 영역을 작게 함으로써 촬상 소자(2)자체도 작게 할 수 있고, 그에 수반하여 촬상 장치(300) 및 촬상 장치(300)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예를 들어, 절첩식 휴대용 전화기(T) 등]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광학 부재(1)나, 광학 부재(1)가 구비된 촬상 소자(2)의 표면은 경 프레임(4)과 커버 부재(11) 등의 외부 프레임 부재에 의해 씌워져 있음으로써, 광학 부재(1)나 촬상 소자(2)는 촬상 장치(300)의 외부로부터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나 습기 등의 부착이나 흠집 등의 손상으로부터 방어가 되어 보호되므로, 광학 부재(1)나 촬상 소자(2)의 상태에 기인하는 촬상 정보에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광학 부재(1)는 경 프레임(4)에 끼워 맞추어져 위치 규제되어 있으므로, 경 프레임(4)을 가요성 기판(FPC)의 소정 위치에 고정 부착하는 것을 기초로 하여 광학 부재(1)를 가요성 기판(FPC)이나 가요성 기판(FPC)에 구비된 촬상 소자(2)에 대해 소정의 위치 맞춤을 행하도록 구비할 수 있는 동시에, 광학 부재(1)가 가요성 기판(FPC)이나 가요성 기판(FPC)에 구비된 촬상 소자(2)의 소정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개구부(10)는 직사각형의 4개의 모서리부를 절결한 형상으로 하여 설명을 하였지만, 대략 다각형 등의 모서리부를 절결한 형상으로 한다.
또한, 절결부(15)는 대략 원형상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요성 기판(FPC)의 열변형을 흡수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 기판(FPC)의 외연부를 향해 끝이가늘어지는 형상[절결부(15a)]으로 형성된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절결부(11a)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절결부(15)의 수는 4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광학 부재(1)에 형성된 피끼워 맞춤부인 하부 다리부(1f)는 단면 대략 D자 형상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밖의 끼워 맞춤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그 밖에 구체적인 세부 구조 등에 대해서도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구성 (9)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개구부는 대략 다각형의 모서리부가 절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요성 기판이 열변형하여 팽창되면 그 팽창분이 절결된 부분에 있어서 흡수된다. 따라서, 촬상 장치에 있어서, 가요성 기판이 왜곡되거나, 가요성 기판의 개구부의 변모서리부가 촬상 소자의 표면에 접촉되거나, 촬상 영역을 씌우거나 하는 가요성 기판의 변형에 기인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열변형하기 쉬운 가요성 기판이라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가요성 기판 종류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구성 (10)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특히 광학 부재는 개구부를 통해 촬상 소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부착되어 있으므로, 광학 부재의 치수 정밀도를 안정시켜 광학 부재의 초점 위치를 적당한 위치로 하여 소정의 광학적 기능을 달성할 수 있고, 조립 부착시 및 조립 부착 후에 광학 부재의 초점 위치에 관한 조정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기판의 개구부에 대응하여 기판의 이면측에 부착된 촬상 소자에 대해 기판의 표면측으로부터 그 개구부를 통해 상기 촬상 소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촬상 소자에 입사광을 집광하는 광학 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그 촬상 장치는 기판의 두께만큼 얇게 형성되게 되어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구성 (1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특히 개구부는 대략 직사각형 4개의 모서리부가 절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요성 기판의 열변형에 의해 4개의 모서리부의 절결된 부분에 2 방향으로부터의 팽창분이 모이지만, 절결되어 있음으로써 그 팽창분이 흡수되므로, 보다 적절하게 가요성 기판의 열변형에 수반하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성 (1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특히 개구부의 절결부는 가요성 기판의 외연부를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결부의 형성이 용이하다.
구성 (1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특히 절결부는 대략 원형상이고, 광학 부재는 상기 절결부를 통해 촬상 소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기판과 촬상 소자의 접합 위치를 보다 촬상 영역측에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촬상 소자에 있어서의 촬상 영역 이외의 영역을 작게 할 수 있다.
구성 (1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특히 가요성 기판의 개구부측의 내연부에 따라서 촬상 소자와의 전기적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개구부의 변모서리부가 열변형해도 절결부에 의해 열변형의 팽창분이 흡수됨으로써 촬상 장치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소자와 가요성 기판과의 접속시에 있어서의 열부가에 의해 변형하는 일이 없으므로, 전기적 접속부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상 (1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특히 절결부는 인접하는 내연부에 따라서 형성된 2개의 전기적 접속부의 연장선의 교점보다 가요성 기판의 외연부측으로 깊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판의 팽창분을 보다 적절하게 흡수할 수 있다.
구성 (1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특히 이러한 범위의 가요성 기판을 이용해도 적절하게 가요성 기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가요성 기판 선택의 폭이 넓어지게 되고,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제 등의 보다 저렴하고 또한 유연성이 높은 가요성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구성 (1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성 (9)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가 케이스 내에 탑재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는 그 촬상 장치를 기초로 하여 소형화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제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3은 도1의 Ⅱ-Ⅱ선에 있어서의 상기 촬상 장치(400)의 일부 생략 단면도이고, 도14는 촬상 장치(400)의 기판(PC)의 일부 생략 상면도이다. 도15는 기판(PC)과 촬상 소자(2)의 접합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생략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15는 도1, 도13, 도14와 상하 반대 방향으로 되어 있다.
도1, 도13 내지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400)는 개구부(10)가 형성된 기판(PC)과, 그 기판(PC)의 이면측으로부터 개구부(10)를 막도록 구비된 촬상 소자(2)와, 기판(PC)의 표면측으로부터 개구부(10)를 통해 그 촬상 소자(2)의 표면인 수광면에 접촉하여 촬상 소자(2)에 집광시키기 위한 광학 부재(1)와, 이 광학 부재(1)로 입사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판(3)과, 촬상 소자(2)와 개구부(10)를 덮어 가리는 외부 프레임 부재로서의 경 프레임(4)과, 경 프레임(4)에 구비된 차광성을 갖는 차광판(5)과, 차광판(5)에 지지되는 필터(6)와, 차광판(5)과 광학 부재(1) 사이에 구비되어 광학 부재(1)를 기판(PC)측으로 압박하는 압박 부재(7)와, 광학 부재(1)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해 기판(PC) 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위치 결정 전기 부품(8a…) 및 그 밖의 기판(PC)에 배치된 전기 부품(8…)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촬상 소자(2)는, 예를 들어 CMOS형 이미지 센서, CCD형 이미지 센서 등으로 이루어지고, 직사각형 박판형의 촬상 소자(2)의 단부에 있어서의 상면이 기판(PC)의 이면측에 부착되어 있다. 촬상 소자(2)의 상면 중앙에는 화소가 2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촬상 영역으로서의 직사각 형상의 광전 변환부(2a)가 형성되어 있고, 촬상 소자(2)가 기판(PC)의 이면에 부착되었을 때, 기판(PC)에 형성된 개구부(10)를 통해 기판(PC)의 표면측으로부터 광전 변환부(2a)가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촬상 소자(2)의 단부에 있어서의 상면과, 기판(PC)의 이면측은 전극으로서의 범프(12)를 거쳐서 부착되어 있고, 촬상 소자(2)와 기판(PC)은 범프(12)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13,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PC)의 개구부(10)의 내연선부(10a)에 따르도록 하여 촬상 소자(2)와의 접속 부재로서의 본딩 패드(BP…)가 배치되어 있다. 이 본딩 패드(BP…)는 동, 니켈, 금, 팔라듐이나 이들 합금, 혹은 이들 금속을 적층함으로써 구성된다.
또한, 촬상 소자(2)에 있어서, 광전 변환부(2a)의 외주의 상기 본딩 패드(BP…)와 대응한 위치에 설치된 입출력 단자(도시 생략) 상에 범프(12)(접속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범프(12)를 거쳐서 촬상 소자(2)의 입출력 단자와, 기판(PC)의 본딩 패드(BP…)가 접합됨으로써, 촬상 소자(2)와 기판(PC)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 접합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초음파 용착 외에 ACF(이방성 도전성 필름), ACP(이방성 도전성 페이스트) 등이 있다.
또한, 도1, 도13,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PC)의 이면측에는 촬상 소자(2)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제의 프레임형의 둑 부재(1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둑 부재(13)와, 본딩 패드(BP)와 범프(12)가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접합부(J)(접속 부재) 사이에 촬상 소자(2)의 측단부면부(2b)로부터 둑 부재(13)의 대략 높이 위치까지 접착제(B)가 충전되어 있다.
이 접착제(B)는 접착 부위에 충전된 후, 접착 부위의 가열이나, 접착 부위에의 자외선 조사, 그 밖의 수단, 또는 이들을 복합적으로 행함으로써 경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수지 등이며, 일반적인 열경화형 접착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열 및 자외선 병용 경화형 접착제, 복합 경화형 접착제 등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열 및 자외선의 조사 중 어느 것이라도 경화 가능한 열자외선 병용 경화형 접착제(수지)로서, 예를 들어 쓰리본드 3012(등록 상표), 월드 로크 No.863(등록 상표)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수단으로서의 경화제, 경화 촉진제로 경화가 촉진되는 동시에, 자외선 조사에서도 경화 가능한 복합 경화형 접착제로서는, 경화 촉진제로서 쓰리본드 3095(등록 상표)를 사용하는 쓰리본드 3006(등록 상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15에 있어서, 둑 부재(13)의 촬상 소자(2)측으로의 돌출하는 길이[둑 부재(13)의 높이]를 a라 하고, 둑 부재(13)의 폭을 b라 하고, 둑 부재(13)와, 촬상 소자(2)의 외부단부와의 거리의 길이를 c라 하고, 기판(PC)과 촬상 소자(2)와의 간격, 즉 접합부(J)의 길이를 d라 하고, 기판(PC)의 이면으로부터 촬상 소자(2)의 이면까지의 거리의 길이를 e라 한다. 그리고, 도4에 있어서 둑 부재의 높이(a)는 둑 부재(13)와 촬상 소자(2)와의 거리(c) 이상이고, 이 c는 0.1 ㎜보다도 크다. 이는 둑 부재(13) 그 자체의 제조 오차나 기판(PC) 상의 접착에 있어서의 오차를 고려하여 충분한 간격을 구비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둑 부재(13)의 높이(a)는 기판(PC)과 촬상 소자(2)의 간격인 접합부(J)의 길이(d)보다도 크다. 이에 의해, 접합부(J)를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부터의 충격으로부터 방어할 수 있다. 또한, 둑 부재(13)의 폭(b)은 둑 부재의 높이(a)보다도 길다. 이에 의해, 둑 부재(13)의 기판(PC) 상의 고정 부착이 안정된다. 또한, 둑 부재(13)의 높이(a)는 기판(PC)의 이면으로부터 촬상 소자(2)의 이면까지의 거리의 길이(e)보다도 짧기 때문에, 접착제(B)를 경사 방향으로부터 충전할 수 있게 되어 충전하기 쉽다.
그리고, 이 접착제(B)가 둑 부재(13)와 접합부(J) 사이에 충전되어 있음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먼지나 수분의 진입을 막을 수 있는 방진, 방습의 기능을 발휘한다. 이에 덧붙여서, 또한 기판(PC)과 촬상 소자(2)와의 광축 방향과, 상기 광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이하, 수직 방향이라 함)과의 양쪽에 있어서, 기판(PC)과 촬상 소자(2)와의 고정 부착 강도가 증가한다.
즉, 접착제가 접합부뿐만 아니라 둑 부재(13)와도 접착되어 있으므로 접착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수직 방향의 접착 강도가 증가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수직 방향으로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진 경우라도 본딩 패드(BP)와 범프(12)와의 접합부(J), 즉 기판(PC)과 촬상 소자(2)와의 전기적 접합점에 하중이 집중해 버려 접합점(J)이 어긋나거나, 전기적 접속에 문제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소자(2)의 측단부면부(2b)로부터 둑 부재(13)의 대략 높이 위치까지 접착제(B)가 충전되어 있음으로써, 둑 부재 측면의 대략 전체 영역이 접착되게 되므로, 접착 면적이 보다 증가하게 되어 광축 방향 및 수직 방향의 고정 부착이 강화된다.
또한, 본딩 패드(BP)와 범프(12)와의 접합부(J)의 광전 변환부(2a)측에 있어서도 기판(PC)과 촬상 소자(2) 사이에 접착제(B)가 충전되어 있다. 따라서, 개구부(10)로부터 수분이나 먼지가 광전 변환부(2a)나, 광학 부재(1)와 촬상 소자(2)와의 접촉부 등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접착제(B)의 충전 방법, 경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광학 부재(1)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를 소재로 하여 도13,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의 다리부(1c)와, 이 다리부(1c)에 지지되는 볼록 렌즈 형상의 렌즈부(1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1c)는 하단부에 형성된 4개의 접촉부(1d)와, 상단부 주위에 형성된 상부 다리부(1e)와, 접촉부(1d)와 상부 다리부(1e) 사이에 형성된 하부 다리부(1f)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다리부(1c)의 상단부를 막는 판형의 상면부(1b)의 중앙에 렌즈부(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촉부(1d)는 기판(PC)의 개구부(10)를 통해 촬상 소자(2) 상의 소정 위치에 접촉한다.
하부 다리부(1f)는 수평 단면에서 보아 원의 외주의 2점을 연결하는 선(현)에 의해 절결된 대략 D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피끼워 맞춤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면부(1b)의 상면이며, 렌즈부(1a)의 주위에는 차광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볼록 렌즈부(1a)의 F 번호를 규정하는 제1 조리개로서의 개구(3a)를 갖는 조리개판(3)이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광학 부재(1)의 외측에는 차광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외부 프레임 부재를 구성하는 경 프레임(4)이 배치되어 있다. 경 프레임(4)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기둥형의 하부(4a)와, 원통형의 상부(4b)가 설치되어 있다. 경 프레임(4)의 상부(4b)의 상단부에는 차광판(5)이 접착제(B)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차광판(5)은 그 중앙에 제2 조리개로서의 개구(5a)를 갖고 있다. 차광판(5) 중앙의 개구(5a)의 하방에 적외선 흡수 특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필터(6)가 접착제(B)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차광판(5)과 필터(6)로 커버 부재(11)를 구성한다.
또한, 하부(4a)의 하단부(4aa)는 기판(PC) 상에 경 프레임(4)이 부착될 때의접착 부위가 되는 부위이며, 경 프레임(4)의 하부(4a)가 기판(PC) 상에 접촉되어 부착될 때에는 하부(4a)의 하단부(4aa)와, 기판(PC) 사이에 접착제(B)가 충전되어 고정 부착된다.
이와 같이, 기판(PC)과 경 프레임(4)과 커버 부재(11)가 밀착하여 접합되어 있으므로, 기판(PC)과 경 프레임(4)과 커버 부재(11) 등에 씌워지는 광학 부재(1)나 촬상 소자(2)의 표면은 환경 외란인 먼지 등의 이물질이나 습기 등의 부착이나 흠집 등의 손상으로부터 방어가 되어 보호된다.
즉, 경 프레임(4)과 커버 부재(11)로 구성되는 외부 프레임 부재가 광학 부재(1)나 기판(PC)의 개구부(10), 촬상 소자(2)의 표면을 씌움으로써, 촬상 장치(400)는 방진, 방습의 구조, 광학 부재(1) 등의 보호 구조를 갖는다.
다음에, 상기 촬상 장치(400)의 제조 방법 중, 특히 기판(PC)과 촬상 소자(2)의 고정 부착 방법에 대해 설명을 행한다.
우선, 기판(PC)의 이면측의 적소에 상술한 접착제(B) 등을 도포하여 둑 부재(13)를 접착한다.
계속해서, 촬상 소자(2)의 측단부면부(2b)와, 둑 부재(13) 사이의 개구된 부분으로부터 접착제(B)를 충전해 가는 동시에,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예를 들어 전열 히터 등의 가열 장치(14)(조사 수단)에 의해 상기 가열 장치(14)의 두 갈래형으로 형성된 배출구(14a, 14a)로부터 가열함으로써 충전된 접착제(B)를 경화시킨다. 이에 의해, 기판(PC)과 촬상 소자(2)의 고정 부착 처리가 완료된다. 또한, 도16은 도15와 마찬가지로, 도1, 도13, 도14와 상하 반대 방향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가열 장치(14)의 두 갈래형의 배출구(14a, 14a)는 촬상 소자(2)의 표면과 대략 평행 방향으로부터 가열할 수 있는(열을 조사할 수 있음)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가열 장치(14)의 두 갈래형의 배출구(14a, 14a)는 개구부(10)의 외측으로부터 개구부(10)를 통해 직접 접착제(B)를 가열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광전 변환부(2a)에 대해 열을 부여하여 손상되어 버리는 일이 없어 적합하다. 또한, 경화시키면서 접착제(B)를 충전함으로써 접착제(B)가 광전 변환부(2a) 등의 필요 없는 부분까지 유출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 장치(14)의 배출구(14a…)는 두 갈래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배출구(14…)를 구비하고 있고, 동시에 복수 부위의 경화 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이 경우, 경화 처리의 시간이 단축되는 데다가 온도, 시간 등을 같은 조건으로 경화할 수 있게 되어 균일적인 고정 부착을 실현하게 되어 적합하다.
또한, 상기 접착제(B)의 경화 처리는 접착제(B)가 열경화형 접착제 이외라도, 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형, 또는 열 및 자외선 병용 경화형이라도 좋다. 이 경우, 가열 장치(14) 대신에, 또는 가열 장치(14)와 병용하여 자외선 조사 장치(도시 없음)를 접착제(B)의 충전 위치에 조사함으로써, 접착제(B)를 경화시키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자외선 조사 장치(도시 없음)에 있어서도 가열 장치(14)와 마찬가지로, 자외선이 광전 변환부(2a)에 닿지 않는 구조, 예를 들어 자외선의 조사구가 복수 갈래형으로 광전 변환부(2a)와 평행 방향으로 조사 가능한 구조 등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촬상 장치(400)에 있어서, 촬상 소자(2)가 기판(PC)의 이면측으로부터 기판(PC)의 개구부(10)를 막도록 구비되는 동시에, 기판(PC)의 표면측으로부터 개구부(10)를 통해 그 촬상 소자(2)의 광전 변환부(2a)에 접촉하도록 광학 부재(1)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기판(PC)과의 두께만큼 기판(PC) 표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의 광학 부재(1)의 돌출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그 광학 부재(1)의 돌출을 억제한 만큼 촬상 장치(40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둑 부재(13)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기판(PC)과 촬상 소자(2)의 접합부(J)의 주위에 접착제(B)가 충전되어 있음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먼지나 수분의 진입을 막을 수 있는 방진, 방습의 기능을 발휘한다. 이에 덧붙여서, 또한 기판(PC)과 촬상 소자(2)와의 광축 방향과, 상기 광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이하, 수직 방향이라 함)의 양쪽에 있어서, 기판(PC)과 촬상 소자(2)의 고정 부착 강도가 증가한다. 즉, 접착제가 접합부뿐만 아니라 둑 부재와도 접착되므로 접착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수직 방향의 접착 강도가 증가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수직 방향으로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진 경우라도 본딩 패드(BP)와 범프(12)와의 접합부(J), 즉 기판(PC)과 촬상 소자(2)와의 전기적 접합점에 하중이 집중해 버려 접합점(J)이 어긋나거나, 전기적 접속에 문제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소자(2)의 측단부면부(2b)로부터 둑 부재(13)의 대략 높이 위치까지 접착제(B)가 충전되어 있음으로써, 둑 부재 측면의 대략 전체 영역이 접착되게 되므로, 접착 면적이 보다 증가하게 되어 광축 방향 및 수직 방향의 고정 부착이 강화된다.
또한, 둑 부재(13)의 촬상 소자(2)측으로의 돌출되는 길이는 기판(PC)과 촬상 소자(2)와의 간격보다도 짧기 때문에, 접착제(B)를 경사 방향으로부터 충전할 수 있게 되어 충전하기 쉽다.
또한, 광학 부재(1)나, 광학 부재(1)가 구비된 촬상 소자(2)의 표면은 경 프레임(4)과 커버 부재(12) 등의 외부 프레임 부재에 의해 씌워져 있음으로써, 광학 부재(1)나 촬상 소자(2)는 촬상 장치(400)의 외부로부터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나 습기 등의 부착이나 흠집 등의 손상으로부터 방어가 되어 보호되므로, 광학 부재(1)나 촬상 소자(2)의 상태에 기인하는 촬상 정보에 끼치는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광학 부재(1)는 경 프레임(4)에 끼워 맞추어져 위치 규제되어 있으므로, 경 프레임(4)을 기판(PC)의 소정 위치에 고정 부착하는 것을 기초로 하여 광학 부재(1)를 기판(PC)이나 기판(PC)에 구비된 촬상 소자(2)에 대해 소정의 위치 맞춤을 행하도록 구비할 수 있는 동시에, 광학 부재(1)가 기판(PC)이나 기판(PC)에 구비된 촬상 소자(2)의 소정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둑 부재(13)는 폴리이미드제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접착제(B)와 동일 소재 등이라도 좋다. 또한, 기판(PC)은 리지트 기판 혹은 가요성 기판이라도 좋다. 또한, 기판(PC)과 둑 부재(13)가,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제 등의 동일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또한, 둑 부재(13)의 촬상 소자(2)측으로의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기판(PC)의 이면측으로부터 촬상 소자(2)의 이면측까지의 길이와 동등해도 좋다. 이 경우, 수직 방향의 고정 부착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PC)과 촬상 소자(2)와의 고정 부착 방법에 있어서의 순서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판(PC)에 촬상 소자(2)를 부착한 후에 둑 부재(13)를 부착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어 기판(PC)의 이면측에 촬상 소자(2)를 부착하여 기판(PC)의 이면측과 촬상 소자(2)의 표면측 사이의 소정 위치, 예를 들어 접합부(J)의 주위에 접착제(B)를 충전하여 열 및 자외선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의해 충전된 접착제를 경화시켜 임시 고정한다.
그리고, 임시 고정된 접착제(B)에다가 또한 기판(PC)의 소정 위치에 둑 부재(13)를 배치하여 임시 고정된 접착제(B)를 경화시켜 본고정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경우, 기판(PC)과 촬상 소자(2) 사이에 접착제(B)를 충전하여 임시 고정한 후에 둑 부재(13)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접착제(13)의 충전이 용이해진다.
또한, 광학 부재(1)에 형성된 피끼워 맞춤부인 하부 다리부(1f)는 단면 대략 D자 형상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밖의 끼워 맞춤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그 밖의 구체적인 세부 구조 등에 대해서도 적당히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구성 (1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둑 부재가 기판 이면의 접속 부재의 외측에 촬상 소자의 표면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접속 부재와 둑 부재 사이에 접착제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기판과 촬상 소자와의 광축 방향과, 상기 광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이하, 수직 방향이라 함)의 양쪽에 있어서, 기판과 촬상 소자와의 고정 부착 강도가 증가한다. 즉, 접착제가 접속 부재뿐만 아니라 둑 부재와도 접착되므로 접착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수직 방향의 접착 강도가 증가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수직 방향으로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진 경우라도 접속 부재, 즉 기판과 촬상 소자와의 전기적 접합점에 하중이 집중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기판과 촬상 소자와의 전기적 접합점에 하중이 집중함으로써 접속 부재가 파괴되거나 전기적 접속에 문제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성 (19)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특히 촬상 소자의 측단부면부와 둑 부재 사이에 접착제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접착 면적이 보다 증가하게 되어 광축 방향 및 상기 광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고정 부착이 강화된다.
구성 (20)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특히 둑 부재는 프레임형 부재이고, 그 프레임 내에 촬상 소자가 위치하도록 기판 상에 배치되므로, 촬상 소자의 외주 전체 영역에 걸쳐서 접착제를 충전할 수 있음으로써, 고정 부착을 강화할 수 있는 동시에 복수의 둑 부재를 설치하는 데 비해 제조가 용이해진다.
구성 (2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특히 둑 부재의 돌출 방향의 길이는 기판의 이면과 촬상 소자의 이면 사이의 거리보다도 짧기 때문에, 접착제를 경사 방향으로부터 충전할 수 있게 되어 충전하기 쉽다.
구성 (2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특히 광학 부재는 기판의 표면측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해 촬상 소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부착되어 있으므로, 광학 부재의 치수 정밀도를 안정시켜 광학 부재의 초점 위치를 적당한 위치로 하여 소정의 광학적 기능을 달성할 수 있고, 조립 부착시 및 조립 부착 후에 광학 부재의 초점 위치에 관한 조정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기판의 개구부에 대응하여 기판의 이면측에 부착된 촬상 소자에 대해 기판의 표면측으로부터 그 개구부를 통해 상기 촬상 소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촬상 소자에 입사광을 집광하는 광학 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그 촬상 장치는 기판의 두께만큼 얇게 형성되게 되어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구성 (2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특히 접착제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열경화형 접착제, 혹은 자외선과 열의 병용 경화형 접착제 중 어느 하나이므로, 접착제를 이용한 기판과 촬상 소자와의 고정 부착을 적절하게 실행할 수 있다.
구성 (2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둑 부재와 촬상 소자가 기판에 부착된 후 접착제가 충전되므로, 둑 부재에 의해 접착제가 필요없는 부분까지 충전되지 않도록 저지하게 되므로 적합한 동시에, 접착제가 접속 부재뿐만 아니라 둑 부재와도 접착되므로 접착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기판과 촬상 소자와의 광축 방향과, 상기 광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양쪽에 있어서 기판과 촬상 소자와의 고정 부착 강도가 증가한다.
구성 (2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특히 제4 스텝은 개구부의 외측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해 기판과 촬상 소자 사이에 충전된 접착제에 대해, 직접 열 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조사 수단으로부터 열 또는 자외선을 조사하므로,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에 열이나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촬상 영역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접착제를 경화할 수 있다.
구성 (26)에 기재된 발명은, 구성 (25)에 기재된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스텝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충전과, 상기 제4 스텝에 있어서의 조사 수단으로부터의 열 또는 자외선의 조사를 동시에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 (2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특히 제3 스텝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충전과, 제4 스텝에 있어서의 조사 수단으로부터의 열 또는 자외선의 조사를 동시에 실행하므로, 제조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데다가 접착제가 필요없는 부분까지 유출되거나, 필요 이상으로 접착제를 충전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성 (2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기판과 촬상 소자 사이에 접착제를 충전하여 임시 고정한 후에 둑 부재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접착제의 충전이 용이해진다.
구성 (2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성 (18) 내지 (2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가 케이스 내에 탑재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는 그 촬상 장치를 기초로 하여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상 장치를 박형화할 때에 제조가 용이하고 또한 촬상 소자나 광학 부재에 문제점이 생기기 어려운 구조의 촬상 장치를 제공하고, 가요성기판을 이용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열에 의한 가요성 기판의 변형에 기인한 문제점을 방지하며, 촬상 장치에 있어서의 기판과 촬상 소자와의 접합부 등에 문제점이 생기기 어려운 구조의 촬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4)

  1. (a)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과,
    (b) 기판의 이면측에 개구부 중 적어도 일부가 덮이도록 제공된 촬상 소자와,
    (c) 기판의 표면측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해 촬상 소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제공되어 촬상 소자에 입사광을 집광하는 광학 부재와,
    (d) 광학 부재 및 개구부를 덮도록 기판에 제공된 외부 프레임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광학 부재는 외부 프레임 부재에 끼워 맞추어져 광학 부재의 광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방지하는 피끼워 맞춤부를 포함하고, 외부 프레임 부재는 광학 부재의 일부에 끼워 맞춰지는 끼워 맞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광학 부재는 촬상 소자의 표면에 접촉하는 제1 광학 부재와, 보조 광학 부재의 광축이 제1 광학 부재의 광축과 동일하도록 제1 광학 부재에 적층된 하나 이상의 보조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기판은 그 위에 화상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전기 부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부품은 외부 프레임 부재에 의해 씌워진 기판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전기 부품 중 적어도 일부는 외부 프레임 부재가 고정되는 고정 위치 근방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광전 변환부는 입사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도록 개구부에 상응하는 표면 상의 위치에 제공되고, 광학 부재는 입사광을 광전 변환부에 집광시킴으로써 피사체상을 결상시키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1)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과, (2)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가 덮이도록 기판의 이면에 제공된 촬상 소자와, (3)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해 촬상 소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제공되어 촬상 소자에 입사광을 집광하는 광학 부재와, (4) 광학 부재 및 개구부를 덮도록 기판 상에 제공된 외부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와,
    촬상 장치가 구비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기부는 가요성 기판이고, 개구부는 대략 다각형의 모서리부가 외부로 절결된 방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개구부는 대략 직사각형의 네 개의 모서리부가 각각 외부로 절결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개구부의 절결부는 가요성 기판의 외연부를 향해 테이퍼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개구부의 절결부는 대략 원형상이고, 광학 부재는 절결부를 통해 촬상 소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촬상 소자와 전기적 접속부는 가요성 기판의 개구부의 내연부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절결부는 인접하는 내연부를 따라 형성된 두 개의 전기적 접속부의 연장선의 교점보다 가요성 기판의 외연부측에 인접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가요성 기판의 선팽창 계수와 촬상 소자의 선팽창 계수의 차이는 25 내지 36 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6. (1) 개구부가 탑재된 가요성 기판과, (2) 개구부의 일부를 덮고 촬상 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가요성 기판의 이면에 장착된 촬상 소자와, (3)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대략 다각형의 모서리부가 외부로 절결된 방식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촬상 소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제공되어,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에 입사광을 집광하는 광학 부재와, (4) 광학 부재 및 개구부를 덮도록 기부 상에 제공된 외부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와,
    촬상 장치를 구비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7. (a) 개구부가 탑재된 가요성 기판과,
    (b) 개구부의 일부를 덮고 촬상 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가요성 기판의 이면에 장착된 촬상 소자와,
    (c)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에 입사광을 집광하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고,
    개구부는 대략 다각형의 모서리부가 외부로 절결된 방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개구부의 대략 직사각형의 네 개의 모서리부 각각은 외부로 절결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개구부의 절결부는 가요성 기판의 외부 모서리부를 향해 테이퍼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개구부의 절결부는 대략 원형상이고, 광학 부재는 절결부를 통해 촬상 소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촬상 소자 및 전기적 연결부는 가요성 기판 상의 개구부의 내부 모서리부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절결부는 인접하는 내연부를 따라 형성된 두 개의 전기적 접속부의 연장선의 교점보다 가요성 기판의 외연부측에 인접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가요성 기판의 선팽창 계수와 촬상 소자의 선팽창 계수의 차이는 25 내지 36 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4. (1) 개구부가 탑재된 가요성 기판과, (2) 개구부의 일부를 덮고 촬상 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가요성 기판의 이면에 장착된 촬상 소자와, (3)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에 입사광을 집광하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와,
    촬상 장치를 구비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개구부는 대략 다각형의 모서리부가 외부로 절결된 방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5. 제1항에 있어서,
    기판의 이면과 촬상 소자의 표면을 이격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부재와,
    기판의 이면의 접속 부재 외측에 촬상 소자의 표면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제공된 둑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접속 부재와 상기 둑 부재 사이에 접착제로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둑 부재는 촬상 소자의 측단부면부 외측에 제공되고, 접착제가 촬상 소자의 측단부면부와 둑 부재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둑 부재는 프레임형 부재이고, 그 프레임 내부에 촬상 소자가 위치하도록 기판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둑 부재의 돌출 방향의 길이는 기판의 이면과 촬상 소자의이면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9. 제25항에 있어서, 접착제는 열경화형 접착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열 및 자외선 병용형 접착제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0. (1) 개구부가 형성된 기부와, (2)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기부의 이면 상에 장착된 촬상 소자와, (3) 기부의 표면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해 촬상 소자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제공되어 촬상 소자에 입사광을 집광하는 광학 부재와, (4) 광학 부재 및 개구부를 덮도록 기판 상에 제공된 외부 프레임 부재와, (5) 서로 이격된 기부의 이면과 촬상 소자의 표면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부재와, (6) 촬상 소자의 표면측으로부터 기판의 이면 상의 접속 부재 외부로 돌출하도록 제공된 둑 부재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와,
    촬상 장치가 구비된 케이스를 포함하며,
    접착제는 접속 부재와 둑 부재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1. (a)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과,
    (b)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기판의 이면 상에 장착된 촬상 소자와,
    (c) 촬상 소자에 입사광을 집광하는 광학 부재와,
    (d) 서로 이격된 기판의 이면과 촬상 소자의 표면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부재와,
    (e) 촬상 소자의 표면측으로부터 기판의 이면 상의 접속 부재의 외부로 돌출하도록 제공된 둑 부재를 포함하고,
    접착제가 접속 부재와 둑 부재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둑 부재는 촬상 소자의 측단부 외부에 제공되고, 접착제가 촬상 소자의 측단부와 둑 부재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둑 부재는 프레임형 부재이고, 촬상 소자가 프레임형 부재 내부에 위치되도록 기판 상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4. 제31항에 있어서, 둑 부재의 돌출 방향의 길이는 기판의 이면과 촬상 소자의 이면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5. 제31항에 있어서, 접착제는 열경화형 접착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열 및 자외선 병용형 접착제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6. (1)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과, (2)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기판의 이면 상에 장착된 촬상 소자와, (3) 촬상 소자에 입사광을 집광하는 광학 부재와, (4) 서로 이격된 기판의 이면과 촬상 소자의 표면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부재와, (5) 촬상 소자의 표면측으로부터 기판의 이면 상의 접속 부재의 외부로 돌출하도록 제공된 둑 부재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와,
    촬상 장치가 구비된 케이스를 포함하며,
    접착제가 접속 부재와 둑 부재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7.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과,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기판의 이면 상에 장착된 촬상 소자와,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해 촬상 소자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제공되어 입사광을 촬상 소자에 집광하는 광학 부재와, 광학 부재와 개구부를 덮도록 기판 상에 제공된 외부 프레임 부재와, 서로 이격된 기판의 이면과 촬상 소자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부재와, 촬상 소자의 표면측으로부터 기판의 이면 상의 접속 부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제공된 둑 부재를 포함하며, 접착제가 접속 부재와 둑 부재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a) 기판 상의 소정의 위치에 둑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와,
    (b)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이 개구부로부터 기판의 표면측으로 노출되도록 접속 부재를 통해 기판의 이면 상에 촬상 소자를 장착하는 단계와,
    (c) 둑 부재와 접속 부재 사이의 공간에 열 및 자외선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설정된 접착제를 충진하는 단계와,
    (d) 둑 부재와 접속 부재 사이의 공간에 열 및 자외선 중 적어도 하나로 충진된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경화 단계는 개구부의 외측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해 기판과 촬상 소자 사이의 공간에 충전된 접착제에 대해 직접 열 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조사 수단으로부터 열 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39. 제37항에 있어서, 접착제를 충진하는 단계와 조사 장치로부터 열 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40.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과,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기판의 이면 상에 장착된 촬상 소자와,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해 촬상 소자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제공되어 입사광을 촬상 소자에 집광하는 광학 부재와, 광학 부재와 개구부를 덮도록 기판 상에 제공된 외부 프레임 부재와, 서로 이격된 기판의 이면과 촬상 소자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부재와, 촬상 소자의 표면측으로부터 기판의 이면 상의 접속 부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제공된 둑 부재를 포함하며, 접착제가 접속 부재와 둑 부재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a)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이 개구부로부터 기판의 표면을 노출시키도록 접속 부재를 통해 기판의 이면 상에 촬상 소자를 장착하는 단계와,
    (b) 기판의 이면과 촬상 소자의 표면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열 및 자외선 조사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설정된 접착제를 충진하는 단계와,
    (c) 열 및 자외선 조사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기판과 촬상 소자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 접착제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경화시키는 단계와,
    (d) 일시적으로 고정된 접착제 상의 기판의 소정의 위치에 둑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와,
    (e) 임시적인 고정된 접착제를 정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41.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과,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기판의 이면 상에 장착된 촬상 소자와, 입사광을 촬상 소자에 집광하는 광학 부재와, 서로 이격된 기판의 이면과 촬상 소자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부재와, 촬상 소자의 표면측으로부터 기판의 이면 상의 접속 부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제공된 둑 부재를 포함하며, 접착제가 접속 부재와 둑 부재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a) 기판 상의 소정의 위치에 둑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와,
    (b)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이 개구부로부터 기판의 표면측으로 노출되도록접속 부재를 통해 기판의 이면 상에 촬상 소자를 장착하는 단계와,
    (c) 둑 부재와 접속 부재 사이의 공간에 열 및 자외선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설정된 접착제를 충진하는 단계와,
    (d) 둑 부재와 접속 부재 사이의 공간에 열 및 자외선 중 적어도 하나로 충진된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경화 단계는 개구부의 외측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해 기판과 촬상 소자 사이의 공간에 충전된 접착제에 대해 직접 열 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조사 수단으로부터 열 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접착제를 충진하는 단계와 조사 장치로부터 열 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44.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과,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기판의 이면 상에 장착된 촬상 소자와, 입사광을 촬상 소자에 집광하는 광학 부재와, 서로 이격된 기판의 이면과 촬상 소자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부재와, 촬상 소자의 표면측으로부터 기판의 이면 상의 접속 부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제공된 둑 부재를 포함하며, 접착제가 접속 부재와 둑 부재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a)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이 개구부로부터 기판의 표면을 노출시키도록 접속 부재를 통해 기판의 이면 상에 촬상 소자를 장착하는 단계와,
    (b) 기판의 이면과 촬상 소자의 표면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열 및 자외선 조사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설정된 접착제를 충진하는 단계와,
    (c) 열 및 자외선 조사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기판과 촬상 소자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 접착제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경화시키는 단계와,
    (d) 일시적으로 고정된 접착제 상의 기판의 소정의 위치에 둑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와,
    (e) 임시적인 고정된 접착제를 정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KR1020030066193A 2002-09-27 2003-09-24 촬상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100991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84070A JP4178895B2 (ja) 2002-09-27 2002-09-27 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JPJP-P-2002-00284070 2002-09-27
JPJP-P-2002-00347696 2002-11-29
JP2002347696A JP2004186729A (ja) 2002-11-29 2002-11-29 撮像装置、該撮像装置の製造方法、及び該撮像装置を内蔵した携帯端末
JP2002347349A JP2004180243A (ja) 2002-11-29 2002-11-29 撮像装置及びそれを内蔵した携帯端末
JPJP-P-2002-00347349 2002-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377A true KR20040027377A (ko) 2004-04-01
KR100991063B1 KR100991063B1 (ko) 2010-10-29

Family

ID=32034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193A KR100991063B1 (ko) 2002-09-27 2003-09-24 촬상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061799A1 (ko)
EP (1) EP1408556A3 (ko)
KR (1) KR100991063B1 (ko)
CN (1) CN100534148C (ko)
TW (1) TWI30595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078B1 (ko) * 2006-06-15 2008-0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플립 칩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US7796882B2 (en) 2005-08-24 2010-09-1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Image sensor modul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camera module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1577B2 (ja) * 2000-02-23 2005-05-25 三菱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3298888A (ja) * 2002-04-02 2003-10-17 Konica Corp 撮像装置の製造方法
US20060234767A1 (en) * 2003-04-22 2006-10-19 Takuo Nishikawa Imag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is imaging device
JP3947129B2 (ja) * 2003-05-07 2007-07-1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US7656452B2 (en) * 2003-07-08 2010-02-02 Konica Minolta Opto, Inc. Imaging devic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and image device producing method
KR100652375B1 (ko) * 2004-06-29 2006-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어 본딩 패키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 구조물및 그 제조방법
EP1653267B1 (en) * 2004-11-01 2007-12-19 Konica Minolta Opto, Inc. Compact imaging lens having three single lenses
EP2463910A3 (en) * 2005-03-25 2012-08-15 Fujifilm Corporation Manufacturing method of a solid state imaging device
WO2006101274A1 (en) * 2005-03-25 2006-09-28 Fujifilm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solid state imaging device
KR100698623B1 (ko) * 2005-07-08 2007-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촬영장치의 전면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US20070058069A1 (en) * 2005-09-14 2007-03-15 Po-Hung Chen Packaging structure of a light sensation module
JP4673721B2 (ja) * 2005-10-21 2011-04-20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81122B1 (ko) * 2006-05-11 2012-09-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하우징 일체형 카메라 모듈
TWI362550B (en) * 2007-06-21 2012-04-21 Ether Precision Inc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image captures unit
KR100810284B1 (ko) * 2006-09-28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과 그 제조 방법
JP2008092532A (ja) * 2006-10-05 2008-04-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装置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携帯電話装置
US8013289B2 (en) 2006-11-15 2011-09-06 Ether Precision, Inc. Lens array block for image capturing unit and methods of fabrication
JP5060935B2 (ja) * 2007-02-08 2012-10-31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素子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用電子機器
US9100501B2 (en) * 2007-02-12 2015-08-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in a user-device environment
JP5047679B2 (ja) 2007-04-26 2012-10-10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撮像ユニットおよび、この撮像ユニットの製造方法
CN101420526B (zh) * 2007-10-26 2011-06-0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影像感测器承载装置及相机模组
US7813043B2 (en) 2008-08-15 2010-10-12 Ether Precision, Inc. Lens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JP5596293B2 (ja) * 2009-03-03 2014-09-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ユニット
US8090250B2 (en) * 2009-06-23 2012-01-03 Ether Precision, Inc. Imaging device with focus offset compensation
KR20130047281A (ko) * 2011-10-31 2013-05-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WO2013088903A1 (ja) * 2011-12-14 2013-06-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赤外線センサ
US10078007B2 (en) 2011-12-14 2018-09-1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frared sensor
JP5389970B2 (ja) 2012-03-26 2014-01-15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像モジュール、および撮像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15041437A (ja) * 2013-08-20 2015-03-02 船井電機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EP3054853A4 (en) * 2013-10-11 2017-05-17 Seno Medical Instrumen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mponent separation in medical imaging
US9392155B1 (en) * 2015-07-22 2016-07-12 Ic Real Tech, Inc. Use of non-reflective separator between lenses striking a single optical sensor to reduce peripheral interference
US9992391B1 (en) * 2015-09-22 2018-06-05 Ivan Onuchin Use of nonreflective separator between lenses striking a single optical sensor to reduce peripheral interference
CN106658335B (zh) * 2015-11-03 2019-08-13 大原博 防止变形的弹波制作方法
JP2017158097A (ja) * 2016-03-03 2017-09-07 株式会社デンソー カメラ装置
TWI632410B (zh) * 2017-01-25 2018-08-1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鏡頭驅動模組及其組裝方法
JP6390763B1 (ja) * 2017-06-28 2018-09-19 Smk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N107529002A (zh) * 2017-09-26 2017-12-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模组及移动终端
JP6976201B2 (ja) * 2018-03-13 2021-12-08 京セラ株式会社 固定構造、電子機器、撮像装置、移動体、および固定構造の製造方法
TW201942615A (zh) 2018-04-04 2019-11-01 日商索尼半導體解決方案公司 攝像裝置
FR3086459B1 (fr) 2018-09-25 2021-10-29 St Microelectronics Grenoble 2 Dispositif electronique comprenant une puce optique et procede de fabrication
FR3086460B1 (fr) * 2018-09-25 2021-10-29 St Microelectronics Grenoble 2 Dispositif electronique comprenant une puce optique et procede de fabrication
TWI728690B (zh) * 2020-02-10 2021-05-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成像鏡頭、相機模組及電子裝置
FR3118294A1 (fr) * 2020-12-18 2022-06-24 Stmicroelectronics (Grenoble 2) Sas Dispositif optoélectroniqu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8980A1 (fr) * 1995-05-31 1996-12-05 Sony Corporation Dispositif de saisie d'imag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adaptateur de saisie d'image, processeur de signaux, procede de traitement de signaux, processeur d'informations et procede de traitement d'informations
JPH09181287A (ja) * 1995-10-24 1997-07-11 Sony Corp 受光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H10227962A (ja) * 1997-02-14 1998-08-25 Toshiba Corp 固体撮像素子を内蔵した電子カメラ用の光学装置
JP2001203913A (ja) * 2000-01-21 2001-07-27 Sony Corp 撮像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3607160B2 (ja) * 2000-04-07 2005-01-05 三菱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1358997A (ja) * 2000-06-12 2001-12-26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JP4405062B2 (ja) * 2000-06-16 2010-01-27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固体撮像装置
JP4034031B2 (ja) 2000-08-01 2008-01-16 三菱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
EP1180718A1 (fr) * 2000-08-11 2002-02-20 EM Microelectronic-Marin SA Appareil de prise d'images de petites dimensions, notamment appareil photographique ou caméra
TW523924B (en) * 2001-01-12 2003-03-11 Konishiroku Photo Ind 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pickup lens
JP2002218293A (ja) 2001-01-17 2002-08-02 Canon Inc 撮像装置
FR2822326B1 (fr) 2001-03-16 2003-07-04 Atmel Grenoble Sa Camera electronique a faible cout en technologie des circuits integres
TW540157B (en) * 2001-05-31 2003-07-01 Konishiroku Photo Ind CMOS image sensor
EP1626301B1 (en) * 2003-05-15 2011-03-30 Konica Minolta Opto, Inc. Optical system and imaging device
JPWO2006098164A1 (ja) * 2005-03-14 2008-08-21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6882B2 (en) 2005-08-24 2010-09-1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Image sensor modul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camera module using the same
KR100793078B1 (ko) * 2006-06-15 2008-0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플립 칩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1063B1 (ko) 2010-10-29
CN100534148C (zh) 2009-08-26
CN1501696A (zh) 2004-06-02
EP1408556A2 (en) 2004-04-14
TWI305956B (en) 2009-02-01
TW200425489A (en) 2004-11-16
EP1408556A3 (en) 2009-02-11
US20040061799A1 (en) 200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063B1 (ko) 촬상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100753896B1 (ko) 반도체 장치 모듈 및 반도체 장치 모듈의 제조방법
KR100822968B1 (ko) 광학 장치용 모듈 및 광학 장치용 모듈의 제조 방법
US9525807B2 (en) Three-pole tilt control system for camera module
JP3607160B2 (ja) 撮像装置
EP1462839B1 (en) Module for optical image capturing device comprising objective lens and image sensor
KR20090128374A (ko) 고체촬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P1603166A1 (en) Image pickup device and camera module
US20040256687A1 (en) Optical modul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instrument
JP2008263550A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39019B2 (ja) 撮像装置
JP4314825B2 (ja) 光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回路基板並びに電子機器
CN109672806B (zh) 摄像模组和感光组件及其封装方法
JP4407297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製造方法、撮像素子、撮像素子の取付用基板及び電子機器
JP4407296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製造方法、撮像素子の取付用基板及び電子機器
JP2000332225A (ja) 撮像装置
JP4375939B2 (ja) 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JP2008263551A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180243A (ja) 撮像装置及びそれを内蔵した携帯端末
JP3821831B2 (ja) 撮像装置
KR100483721B1 (ko) 고체 촬상장치
JP2004186729A (ja) 撮像装置、該撮像装置の製造方法、及び該撮像装置を内蔵した携帯端末
JP4061935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JP2008263553A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72307A (ja) 固体撮像装置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