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6888A - 브레이크 배력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배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6888A
KR20030026888A KR1020020057994A KR20020057994A KR20030026888A KR 20030026888 A KR20030026888 A KR 20030026888A KR 1020020057994 A KR1020020057994 A KR 1020020057994A KR 20020057994 A KR20020057994 A KR 20020057994A KR 20030026888 A KR20030026888 A KR 20030026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valve
valve body
brake
cylindr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7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3636B1 (ko
Inventor
다카사키요시야스
이노우에히데후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봇슈오토모티브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봇슈오토모티브시스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봇슈오토모티브시스템
Publication of KR20030026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6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55Systems in which the braking action is dependent on brake pedal data
    • B60T8/3275Systems with a braking assistant function, i.e. automatic full braking initiation in dependence of brake pedal velo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trol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통상 브레이크 장동시는, 리액션디스크(12)로부터의 브레이크반력은, 아우터플런저(17)와 이너플런저(18)를 통하여 밸브플런저(15)에 전달된다.
긴급브레이크 작동시에는, 밸브플런저(15)가 밸브보디(3)에 대하여 소정 스트로크 전진하면, 통형상부재(24)가 밸브보디(3)에 대하여 후퇴하고, 그 후의 서보밸런스상태에서는, 통형상부재(24)가 후퇴한 분량만큼 밸브플런저(15)는 후퇴하고, 아우터플런저(17)가 홀더(13)에 맞단다. 리액션디스크(12)로부터의 브레이크반력은, 이너플런저(18)만을 통하여 밸브플런저(15)에 전달되므로, 배력비를 통상 브레이크 작동시보다도 크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점핑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브레이크페달의 급격한 밟기작동에 즉응하여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출력을 신속히 증대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브레이크 배력장치{BRAKE BOOSTER}
본 발명은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긴급브레이크와 같은 큰 제동력이 필요한 경우에, 작은 브레이크페달 답력으로도 확실히 큰 출력을 얻는 것이 가능한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긴급브레이크와 같은 큰 제동력이 필요한 경우에, 작은 브레이크 답력으로 큰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 브레이크 배력장치는 알려져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이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브레이크 배력장치로서, 작동개시시의 출력상승인 이른바 점핑량을 크게 해서 큰 출력을 얻는 방식과, 배력비를 크게 해서 출력을 증대하게 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술한 어느 방식에 의해 긴급브레이크시에 큰 출력을 얻고자 한 것인데, 종래로부터 상기 양쪽의 방식을 병용하여 긴급브레이크시에 큰 출력상승을 얻을 수 있는 브레이크 배력장치가 요망되고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고, 또한 급격한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작동에 즉응해서 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 배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통상의 브레이크 작동시를 나타내는, 개략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긴급 브레이크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및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입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즉, 본 발명은, 셸내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설치된 밸브보디와, 이 밸브보디에 설치된 파워피스톤과, 상기 셸내의 상기 파워피스톤의 프론트측에 형성된 정압실 및 리어측에 형성된 변압실과, 상기 밸브보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변압실로의 유체의 급배를 전환 제어하는 밸브기구와, 이 밸브기구를 작동하게 하는 입력축과, 출력축에 작용하는 브레이크반력을 상기 밸브기구를 통하여 상기 입력축에 전달하는 반력전달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기구는, 상기 입력축에 접속되어 대기밸브시트를 갖는 밸브플런저와, 상기 밸브보디에 설치된 제 1 진공밸브시트와, 상기 대기밸브시트와 제 1 진공밸브시트에 착석 가능한 밸브체를 구비한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보디에 통형상부재를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설치하고, 이 통형상부재에 상기 제 1 진공밸브시트에 대하여 병렬로 제 2 진공밸브시트를 형성하고, 비작동시에 상기 통형상부재를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가장 전진한 위치에 유지하는 비작동위치 유지기구를 설치하고, 또 상기 입력축이 비작동위치로부터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소정 스트로크 전진했을 때에 상기 비작동위치 유지기구에 의한 유지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통형상부재를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후퇴하게 하여, 상기 제 2 진공밸브시트를 상기 밸브체에 착석시키는 작동기구를 설치하고, 더욱, 상기 반력전달기구는, 상기 통형상부재가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가장 전진한 위치에 있는 통상브레이크 작동시에는, 배력비가 작은 제 1 반력전달경로를 통하여 브레이크반력을 상기 밸브플런저에 전달하고, 한편, 상기 통형상부재가 밸브보디에 대하여 소정 스트로크 후퇴한 위치에 있는 긴급브레이크 작동시에는, 배력비가 큰 제 2 반력전달경로를 통하여 브레이크반력을 상기 밸브플런저에 전달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브레이크 페달이 급격히 밟히는 긴급브레이크시에는, 상기 작동기구에 의해 밸브보디에 대한 통형상부재의 유지상태가 해제되므로, 통형상부재가 밸브보디에 대하여 후퇴되어 제 2 진공밸브시트가 밸브체에 착석한다.
이에 따라, 밸브플런저의 대기밸브시트와 밸브체의 이격량, 즉 대기밸브의 밸브개방량이 크게 된다. 그 때문에, 대기밸브를 통하여 변압실내에 신속히 대기가 도입되어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출력이 신속히 상승한다. 또, 그 후의 서보밸런스상태에서는, 밸브플런저가 통상 브레이크 장동시보다도 밸브보디에 대하여 크게후퇴하므로, 통상 브레이크 작동시보다도 큰 점핑량으로 된다. 그와 함께, 브레이크반력은 제 2 반력 전달경로를 통하여 밸브플런저에 전달되도록 되므로, 통상 브레이크 작동시보다도 큰 배력비로 출력이 상승한다.
따라서 급격한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작동에 즉응하여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출력을 증대하게 할 수 있다.
환언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 상기 종래로부터의 요망에 답할 수 있는 브레이크 배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 도시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2에서,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셸(2)내에 개략 통형상의 밸브보디(3)가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밸브보디(3)의 리어측의 외주부는 셸(2)의 리어측의 개구부(2a)를 통하여 외부에 돌출되어 있고, 이 셸(2)의 개구부(2a)에 설치된 환상 실링부재(4)에 의해, 밸브보디(3)의 리어측의 외주부와 셸(2)의 개구부(2a)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고 있다.
밸브보디(3)의 외주부에 파워피스톤(5)이 연결되어 있고, 이 파워피스톤(5)의 배면에 다이어프램(6)이 팽팽히 설치되어 있다. 이 밸브보디(3)에 의해 셸(2)내를 프론트측의 정압실(A)과 리어측의 변압실(B)로 구획하고 있다.
셸(2)의 프론트측의 벽면(2b)에 부압도입관(7)이 접속되어 있고, 이 부압도입관(7)을 통하여 정압실(A)내에 항상 부압이 도입되어 있다. 또, 정압실(A)내에 리턴스프링(8)이 설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밸브보디(3)에 항상 리어측을 향해서힘을 가세하고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비작동상태에 있어서는, 리턴스프링(8)에 의해 힘이 가세된 밸브보디(3) 등은, 도시하는 비작동위치에 정지되어 있다.
셸(2)내의 프론트측의 벽면(2b)의 개구부에 도시하지 않은 마스터실린더의 하우징을 삽입하여 있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돌출하고 있는 출력축(11)이 마스터실린더의 피스톤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밸브보디(3)의 프론트측의 내주부에 환상돌기(3a)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환상 돌기(3a)의 외주부에, 상기 출력축(11)의 개부에 설치된 오목부(11a)가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져 있다. 또, 출력축(11)의 오목부(11a)내에 윈반형상의 리액션디스크(12)가 수납되어 있다.
상기 밸브보디(3)의 환상돌기(3a)에 있어서의 프론트측의 내주부에, 원주방향으로 연속되는 환상 오목부(3a')를 형성하고 있고, 그곳에 홀더(13)를 끼워 부착하고 있다. 이 홀더(13)는 개략 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프론트측 끝부에 플랜지부(13a)를 형성하고 있고, 리어측의 끝부의 위치에는 반경방향 내방으로 뻗는 스토퍼부(13b)를 형성하고 있다. 또, 플랜지부(13a)의 리어측으로 되는 외주부에 소정의 깊이와 폭으로 환상홈(13a)을 형성하고 있다.
이 홀더(13)에서의 리어측의 부분을 상기 밸브보디(3)의 환상돌기(3a)의 내방으로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환상 오목부(3a')에 홀더(13)의 플랜지부(13a)를 기밀을 유지하여 끼워부착하고 있다. 또한, 이 홀더(13)는, 실질적으로 밸브보디(3)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환상돌기(3a)의 내방에 끼워부착된 홀더(13)는, 그 프론트측의 끝면(플랜지부(13a)의 프론트측 끝면)과, 환상돌기(3a)의 끝면이 동일평면으로 되도록, 치수가 조정되어 있다. 이들 양부재의 끝면과 출력축(11)에 있어서의 오목부(11a)의 바닥부 사이에 상기 리액션디스크(12)가 끼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홀더(13)의 내주부에 플런저부재(14)를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끼워 맞추고 있고, 이 플런저부재(14)에 후술하는 밸브플런저(15)의 선단부를 맞닿게 하고 있다. 브레이크 배력장치(1)가 작동된 때에 출력축(11)에 작용하는 브레이크반력은, 리액션디스크(12). 플런저부재(14), 밸브플런저(15) 및 입력축(16)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는 브레이크 페달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플런저부재(14)는, 원통형상으로 된 아우터플런저(17)와, 이 아우터플런저(17)의 내주부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끼워 맞추어진 원주형상의 이너플런저(1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아우터플런저(17)의 축방향 치수는, 이너플런저(18)의 축방향치수보다도 소정치수만큼 길게 되어 있고, 아우터플런저(17)에 있어서의 내주부는, 리어측을 대직경부로 하고 있고, 프론트측을 소직경부로 하고 있다.
한편, 이너플런저(18)는, 리어축 끝부를 직경확대하게 해서 그곳을 대직경부로 하고 있고, 그 대직경부보다도 프론트측을 소직경부로 하고 있다. 이너플런저(18)의 소직경부의 축방향치수와 아우터플런저(17)의 소직경부의 축방향치수는 동일 치수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너플런저(18)의 대직경부의 축방향치수는, 아우터플런저(17)에 있어서의 대직경부의 축방향치수의 반분량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너플런저(18)를 상기 아우터플런저(17)의 내주부에 리어측으로부터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끼워 맞추어 있다. 이 상태의 아우터플런저(17)의 외주부를 홀더(13)의 내주부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끼워 맞추어 있고, 상기 이너플런저(18)의 리어측의 끝면에 밸브플런저(15)의 선단을 맞닿게 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도시하는 비작동상태에 있어서는, 이너플런저(18)와 아우터플런저(17)의 프론트측의 끝면은 동일평면에 위치하고, 또한 리액션디스크(12)로부터 조금 이격되어 있다. 또, 아우터플런저(17)의 리어측 끝부는, 홀더(13)의 스토퍼부(13b)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하는 비작동상태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브레이크 페달이 완만하게 밟혀서, 후술하는 밸브기구(21)가 작동되어 브레이크 배력장치(1)가 작동되면, 출력축(11)에 작용하는 브레이크반력에 의해 리액션디스크(12)가 추방향으로 압축된다. 그 때문에, 리액션디스크(12)의 리어축의 끝면이 리어측으로 팽출해서 상기 이너플런저(18) 및 아우터플런저(17)의 프론트측의 끝면에 맞닿는다.
이와 같이 플런저부재(14)에 리액션디스크(12)가 맞닿음에 따라, 플런저부재(14)는 홀더(13)내에서 리어측을 향해서 이동되는데, 이 통상의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작동시에는 아우터플런저(17)의 리어측의 끝부는 홀더(13)의 스토퍼부(13b)에 맞닿지 않도록 되어 있다(도 3 참조). 또한 상기 리액션디스크(12)가 상기 이너플런저(18)와 아우터플런저(17)의 프론트측의 끝면에 맞닿은 시점은, 도 5에 JP1로 도시하는, 소위 점핑의 시점으로 되고, 이 시점에서 플런저부재(14)(이너플런저(18), 아우터플런저(17)), 밸브플런저(15) 및 입력축(16)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는 브레이크 페달에 브레이크 반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후, 리액션디스크(12)의 외경과, 아우터플런저(17)의 외경으로 결정되는 소정의 작은 배력비(SR1)로 출력이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도 5 참조).
이에 대하여 브레이크 페달이 급격히 밟혀서 브레이크 배력장치(1)가 작동되는 긴급브레이크시에 있어서는, 브레이크 페달의 급격한 밝기에 의하여 밸브플런저(15) 및 입력축(16)이 밸브보디(3) 및 홀더(13)에 대하여 소정 스트로크이상 전진된다. 이 때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후의 서보밸런스상태에서, 밸브플런저(15)가 상기 통상의 브레이크 작동시보다도 크게 밸브보디(3)에 대하여 리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때문에, 리액션디스크(12)가 출력축(11)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리어측으로 팽출되어 이너플런저(18) 및 아우터플런저(17)에 맞닿아서 리어측으로 통상 작동시보다도 크게 이동하게 하여, 아우터플런저(17)의 리어측의 끝부가 홀더(13)의 스토퍼부(13b)에 맞단다(도 4 참조).
요컨대, 긴급브레이크의 작동시에 있어서는, 이너플런저(18) 및 아우터플런저(17)가 통상작동시보다 크게 리어측으로 이동하는 분량만큼 점핑량이 크게 되어, 도 5에 도시하는 JP2의 점핑으로 된다. 그리고 그 후의 서보밸런스상태에서는, 아우터플런저(17)가 홀더(13)에 맞닿으므로, 리액션디스크(12)로부터의 반력은 이너플런저(18)만을 통하여 밸브플런저(15)에 전달된다. 그 때문에, 리액션디스크(12)의 외경과 이너플런저(18)의 외경으로 정해지는 큰 배력비(SR2)로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출력이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도 5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플런저부재(14)를 이너플런저(18)와 아우터플런저(17)의 2부재로 구성하고, 통상 브레이크 작동시에는, 이너플런저(18) 및 아우터플런저(17)의 양쪽을 통하는 작은 배력비의 제 1 반력 전달경로로 밸브플런저(15)에 반력이 전달된다. 한편 긴급브레이크시에는, 이너플런저(18)만을 통하는 큰 배력비의 제 2 반력 전달경로로 리액션디스크(12)로부터 밸브플런저(15)에 반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밸브보디(3)내에는, 정압실(A)과 변압실(B) 및 변압실(B)과 대기와의 연통상태를 전환하는 밸브기구(21)를 수납하고 있다.
밸브기구(21)는, 밸브보디(3)의 내주부에 형성된 환상의 제 1 진공밸브시트(22)와, 밸브보디(3)의 내주부에 기밀을 유지하여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끼워 맞추어짐과 동시에 리어측의 끝부에 제 2 진공밸브시트(23)를 형성한 통형상부재(24)와, 이 통형상부재(24)의 내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리어측에 대기밸브시트(25)를 형성한 상기 밸브플런저(15)와, 상기 양 진공밸브시트(22, 23) 및 대기밸브시트(25)에 리어측으로부터 스프링(26)에 의해 착석되는 밸브체(27)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체(27)는, 프론트측에 위치하여 강체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상의 제 1 부재(31)와, 리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부재(31)에 연결된 고무제의 제 2 부재(3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부재(31)에 있어서의 프론트측에 링형상의 고무가 부착되어 있고, 그 고무에 의해 제 1 시트부(S1)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제 2 부재(32)는 프론트측에 강체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33)를 구비하고 있고, 이플레이트(33)에 부착된 환상의 고무에 의해 제 2 시트부(S2)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밸브플런저(15)에 형성된 대기밸브시트(25)를 제 1 부재(31)의 내부에 배치하여 제 2 시트부(S2)와 대향시키고 있다. 상기 스프링(26)은, 플레이트(33)와 입력축(16)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밸브체(27)를 항상 프론트측을 향해서 힘을 가세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 진공밸브시트(22, 23)는 밸브보디(3)의 반경방향으로 인접하게 하여 병렬로 배열설치되어 있고, 이들 양 진공밸브시트(22, 23)와 그들 에 접촉 이탈하는 밸브체(27)의 제 1 시트부(S1)에 의해 진공밸브(4)를 구성하고 있다. 이 진공밸브(34)보다도 외주측의 공간은, 밸브보디(3)에 형성된 정압통로(35)를 통하여 상기 정압실(A)에 연통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밸브플런저(15)에 설치된 대기밸브시트(25)와 그것에 접촉 이탈하는 밸체(27)의 제 2 시트부(S2)에 의해 대기밸브(36)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진공밸브(34)와 대기밸브(36) 사이의 공간은, 밸브보디(3)에 뚫어 설치된 반경방향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변압통로(37)를 통하여 변압실(B)에 연통되어 있다.
또, 대기밸브(36)보다도 내주측의 공간은, 밸브보디(3)에 형성된 대기통로(38) 및 그곳에 설치된 필터(41)를 통하여 대기에 연통되어 있다.
밸브플런저(15)의 축부에 리어측으로부터 입력축(16)의 선단부를 피벗지지 연결되어 있고, 밸브보디(3)에 끼워부착된 리테이너(42)와 입력축(16)의 외주부에 걸쳐서, 상기 스프링(26)보다도 큰 탄성반발력을 갖는 스프링(43)을 탄성장착하고 있다. 상기 입력축(16)의 말단부는 도시하지 않는 브레이크 페달에 연결되어 있다.
밸브보디(3)의 변압통로(37)에는 종래 공지의 키부재(44)를 삽입통과시킴과 동시에, 이 키부재(44)를 상기 통형상부재(24)의 반경방향구멍(24a) 및 후술하는 통형상 탄성부재(47)의 개구부에 삽입시키고 나서 상기 밸브플런저(15)의 걸어맞춤부(15a)에 걸어맞추게 하고 있다.
밸브보디(3)는 상기 리턴스프링(8)에 의해 항상 리어측을 향해서 힘이 가세되어 있으므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비작동상태에서는, 키부재(44)가 셸(2)의 리어측의 벽면(2c)에 맞닿고 있다. 또, 이 키부재(44)에 변압통로(37)의 프론트측의 끝면이 맞닿음과 동시에, 토형상부재(24)에 형성된 환상 단부(段部)(24e)의 단부 끝면(24b) 및 플런저(15)에 있어서의 걸어맞춤부(15a)의 프론트측의 끝면이 키부재(44)에 맞닿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키부재(44)를 셸(2)의 리어측의 벽면(2c)에 맞닿게 함으로써, 키부재(44) 및 밸브플런저(15)를 밸브보디(3)에 대한 축방향의 소정위치에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작동개시시에 있어서의 입력축(16)의 로스 스트로크를 감소하도록 하고 있다.
이 비작동상태에서는, 대기밸브시트(25)에 밸브체(27)의 제 2 시트부(S2)를 착석시켜서 대기밸브(36)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밸브체(27)의 제 1 시트부(S1)를 양진공밸브시트(22, 23)로부터 이석시켜서 진공밸브(34)를 개방시키고 있다. 이 비작동상테에 있어서는, 상기 각 실(A, B)이 상호 연통하고, 각 실(A, B)내에 부압이 도입되어 있다.
또, 이 비작동상태에서는, 리액션디스크(12)의 리어측의 끝면과 그것에 대향하는 플런저부재(14)의 프론트측의 끝면이 약간 이격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입력축(16) 및 밸브플런저(15)가 전진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작동시에는, 출력축(11)에 작용하는 출력의 반력에 의해 리액션디스크(12)가 리어측으로 팽출하므로, 이 리액션디스크(12)의 끝면과 플런저부재(14)(이너플런저(18) 및 아우터플런저(17)의 프론트측의 끝면)이 맞닿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점핑의 시점에서 출력축(11)에 작용하는 출력의 반력이 리액션디스크(12), 플런저부재(14), 밸브플런저(15), 입력축(16)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는 브레이크 페달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통형상부재(24)는, 그 리어측의 외주부에 대직경부를 형성하여 있고, 이 대직경부의 외주면에 장착된 실링부재(46)에 의해, 밸브보디(3)의 내주면과 통형상부재(24)의 대직경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고 있다.
통형상부재(24)에 있어서의 대직경부보다도 프론트측의 외주부에, 개략 원통형상을 한 상기 통형상 탄성부재(47)를 끼워부착하고 이다. 이 통형상 탄성부재(47)의 리어측의 끝부는, 반경방향 외방으로 뻗은 플랜지부(47a)로 되어 있고, 그 플랜지부(47a)를 상기 통형상부재(24)의 대직경부에 프론트측으로부터 맞닿게 하고 있다. 또, 이 상태의 플랜지부(47a)와 그것에 대향하는 밸브보디(3)의 단부 끝면에 걸쳐서 스프링(48)을 탄성장착하고 있으므로, 통형상부재(24) 및 통형상 탄성부재(47)는 일체로 되어 밸브보디(3)에 대하여 항상 리어측을 향해서 힘이 가세되어 있다.
통형상 탄성부재(47)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프론트측의 끝부(47b)에는, 원주방향 복수개소에 축방향으로 뻗는 절결부를 형성하고 있고, 또, 그들 절결부의 축방향 리어측으로 되는 개소를 직경확대하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통형상 탄성부재(47)의 프론트측의 끝부(47b)는 판스프링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고, 이 프론트측의 끝부(47b)에 의해 통형상부재(24)의 프론트측의 외주부를 반경방향 내방을 향해서 힘을 가세하고 있다.
또, 통형상 탄성부재(47)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키부재(44)를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통형상부재(24)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그 프론트측의 끝부에는, 원주방향 복수개소에 축방향으로 뻗는 절결부를 형성하고 있고, 그것에 의해 원주방향 복수개소에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하는 변형부(24c)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의 변형부(24c)는, 상기 탄성부재(47)의 프론트측의 끝부(47b)에 의해 반경방향 내방을 향해서 힘이 가세되어 있다.
각 변형부(24c)에 있어서의 프론트측의 끝부의 내방에는, 내방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걸어맞춤부(24d)를 형성하고 있다. 걸어맞춤부(24d)는 축방향의 단면형상이 3각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리어측에 반경방향으로 뻗는 단부 끝면을 가짐과 동시에, 그것보다도 프론트측에 45도 경사지게 한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다.
각 변형부(24c)를 상기 홀더(13)의 외주부에 리어측으로부터 끼워 장착하고, 또한 각 걸어맞춤부(24d)를 홀더(13)의 환상홈(13c)에 걸어맞춤시키고 있다. 스프링(48)에 의해 통형상부재(24)는 항상 리어측을 향해 힘이 가세되어 있으므로, 통형상부재(24)는, 그 걸어맞춤부(24d)의 단부 끝면이 홀더(13)의 환상홈(13c)의 리어측 끝면에 맞닿는 위치에 정지되어 있다. 이 상태는 통형상부재(24)가 밸브보디(3)에 대하여 가장 프론트측에 유지되어 연결된 상태이고, 이 통형상부재(24)의 리어측 끝부에 설치된 제 2 진공밸브시트(23)는, 인접 외방위치의 제 1 진공밸브시트(22)보다도 약간 프론트측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홀더(13)의 환상홈(13c), 통형상부재(24)의 변형부(24c)와 걸어맞춤부(24d), 및 통형상 탄성부재(47)에 의해, 상기 통형상부재(24)를 밸브보디(3)에 대하여 가장 프론트측에 위치하는 비작동위치에 유지하는 비작동위치 유지기구(51)를 구성하고 있다.
통형상부재(24)에 있어서의 환상단부(24e)의 내주면은, 프론트측을 소직경으로 함과 동시에 리어측을 대직경으로 하고 있고, 그들의 경계부를 리어측이 직경확대하는 테이퍼면(24f)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밸브플런저(15)는, 가장 프론트측의 개소를 소직경부(15b), 그 리어측의 개소를 중직경부로 하고 있고, 그 중직경부의 외주에 설치된 환상홈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부(15a)를 형성하고 있다. 또, 밸브플런저(15)에 있어서의 리어측의 끝부에는, 반경방향 외방으로 뻗는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있고, 그 플랜지부에 있어서의 리어측의 끝면을 상기 대기밸브시트(25)로 하고 있다. 또, 중직경부의 프론트측의 위치에는, 리어측이 대직경으로 되는 테이퍼면(15c)을 형성하고 있다.
밸브플런저(15)의 리어측 축부에 바닥있는 구멍을 형성하고 있고, 그곳에 입력축(16)의 선단부를 끼워맞추어서 피벗지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한 밸브플런저(15)를 통형상부재(24)의 내부에 리어측으로부터 삽입한 후, 소직경부(15b)를 홀더(13)의 스토퍼부(13b)의 내주면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관통시키고 있고, 또한, 소직경부(15b)의 프론트측의 끝면을 플런저부재(14)의 이너플런저(18)에 맞닿게 하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상의 브레이크 작동시에는, 입력축(16) 및 밸브플런저(15)는 밸브보디(3)에 대하여 소정의 스트로크보다도 작은 양 밖에 전진하지 않으므로, 이 때에는 상기 밸브플런저(15)의 테이퍼면(15c)은, 통형상부재(24)의 테이퍼면(24f)과 맞닿지 않는다. 그 때문에, 통형상부재(24)의 변형부(24c)가 직경확대되는 일은 없고, 걸어맞춤부(24d)는 환상홈(13c)에 걸어맞춘 그대로 되고, 따라서, 통형상부재(24)는 밸브보디(3)에 대하여 가장 프론트측에 위치하는 비작동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도 3 참조)
이것에 대하여, 브레이크 페달이 급격히 밟히는 긴급브레이크시에 있어서는, 입력축(16) 및 밸브플런저(15)는 밸브보디(3)에 대하여 통상의 브레이크시보다 크게 전진되므로, 밸브플런저(15)의 테이퍼면(15c)이 통형상부재(24)의 테이퍼면(24f)과 맞닿아서, 통형상부재(24)의 병형부(24c)가 직경확대된다. 그 때문에, 걸어맞춤부(24d)는 환상홈(13c)으로부터 탈락되고, 밸브보디(3)에 대한 통형상부재(24)의 연결상태는 해제된다. 이것에 따라, 통형상부재(24)는 스프링(48)에 가세되어 밸브보디(3)에 대하여 리어측으로 후퇴된다. 그 때문에, 통형상부재(24)에 설치된 제 2 진공밸브시트(23)가 밸브체(27)의 제 1 시트부(S1)에 맞닿아서, 밸브체(27)를 리어측으로 후퇴시킨다. 그리고, 통형상부재(24)는, 그 단부 끝면(24b)이 키부재(44)에 맞닿고, 그 상태의 키부재(44)가 변압통로(37)의 리어측의 끝면에 맞닿는 위치에서 정지되어 그 위치에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대기밸브시트(25)외 제 2 시트부(S2)로 이루어지는 대기밸브(36)의 개방량이, 상기 통상 작동시의 경우보다도 크게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또, 밸브체(27)가 통형상부재(24)에 의해 리어측으로 이동된 분량만큼, 그 후의 서보밸런스상태에서는, 밸브플런저(15)는, 통상 브레이크 작동시보다도 밸브보디(3) 및 홀더(13)에 대하여 리어측으로 크게 이동하도록 된다. 따라서, 리액션디스크(12)에 맞닿아서 리어측으로 눌려 있는 플런저부재(14) 및 밸브플런저(15)가 밸브보디(3) 및 홀더(13)에 대하여 리어측으로 이동되어서, 아우터플런저(17)가 홀더(13)의 반경방향부(24a)에 맞단다. 결국, 브레이크반력은 리액션디스크(12)로부터 이너플런저(18)만을 통하여 밸브플런저(15)측으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형상부재(24)의 테이퍼면(24f)과 밸브플런저(15)의 테이퍼면(15c) 및 스프링(48)에 의해 작동기구(52)를 구성하여 있고, 이 작동기구(52)에 의해 상기 비작동위치 유지기구(51)에 의한 통형상부재(24)의 밸브보디(3)에 대한 가장 프론트측에 위치하는 비작동위치로의 유지상태를 해제 하여 통형상부재(24)를 밸브보디(3)에 대하여 리어측으로 이동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기구(52)에 의해 비작동위치 유지기구(51)에 의한 유지상태를 해제하여 통형상부재(24)를 밸브보디(3)에 대하여 리어측으로 이동시킬때에는 키부재(44), 통형상부재(24)의 단부 끝면(24b) 및 변압통로(37)에 의해 밸브보디(3)에 대한 통형상부재(24)의 후퇴끝을 규제하고 있다. 이들, 키부재(44), 통형상부재(24)의 단부 끝면(24b) 및 변압통로(37)에 의해, 통형상부재(24)의 리어측으로의 후퇴위치를 규제하여, 후퇴위치에 유지시키는 규제기구(53)를 구성하고 있다.
(작동설명)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비작동상태에서는, 셸(2)의 리어측의 벽면(2c)에 맞닿아 있는 키부재(44)에 밸브플런저(15)의 걸어맞춤부(15a)가 맞닿으므로써, 밸브플런저(15)는 셸(2)내에서 가장 리어측으로 되는 후퇴끝에 위치하고 있다. 또, 이때에는, 통형상부재(24)도, 단부 끝면(24b)이 키부재(44)에 맞닿은 후퇴끝에 위치하고 있다. 또, 이 때에는, 밸브플런저(15)의 테이퍼면(15c)은, 상기 통형상부재(24)의 테이퍼면(24f)과 대향하는 리어측에 위치하고, 또한, 간극이 유지되어 있다.
이 비작동상태에서는, 대기밸브시트(25)에 밸브체(27)의 제 2 시트부(S2)가 착석하여 대기밸브(36)는 폐쇄되어 있다. 또, 통형상부재(24)의 걸어맞춤부(24d)는 홀더(13)의 환상홈(13c)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결국, 비작동위치 유지기구(51)에 의해 통형상부재(24)는 밸브보디(3)에 대한 전진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통형상부재(24)에 설치된 제 2 진공밸브시트(23)는, 제 1 진공 밸브시트(22)보다도 조금 프론트측에 위치하고 있고, 그들 양 진공밸브시트(22, 23)는 밸브체(27)의 제 1 시트부(S1)로부터 이석하여 진공밸브(34)는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각 실(A, B)은 상호 연통하고, 각 실(A, B)내에 부압이 도입되어 있다. 또, 이 비작동상태에서는, 리액션디스크(12)의 리어측의 끝면과 풀런저부재(14(이너플런저(18), 아우터플런저(17))가 약간 이격되어 있다. 플런저부재(14)에 있어서의 아우터플런저(17)의 리어측 끝면은 홀더(13)의 스토퍼부(13b)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통상의 완만한 브레이크작동시)
이 비작동상태로부터 도시하지 않는 브레이크 페달이 완만하게 밟혀지면, 그것에 연동해서 입력축(16) 및 밸브플런저(15)도 완만하게 전진된다. 이 통상의 완만한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에는, 밸브플런저(15)는 밸브보디(3) 및 홀더(13)에 대하여 소정의 스트로크 미만밖에 전진하지 않으므로, 밸브플런저(15)의 테이퍼면(15c)은, 통형상부재(24)의 테이퍼면(24f)에 근접하는데 맞닿지 않는다. 그 때문에, 통형상부재(24)의 변형부(24c)가 반경방향 외방을 향해서 변형되는 일은 없고, 걸어맞춤부(24d)는 홀더(13)의 환상홈(13c)에 걸어맞춤한 그대로 되어 있다. 결국, 통형상부재(24)는, 비작동위치 유지기구(51)에 의해 밸브보디(3)에 대한 전진위치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양 진공밸브시트(22, 23)의 위치관계는 도 2에 도시한 비작동시와 동일한 상태이고, 이 상태의 제 1 진공밸브시트(22)에 밸브체(27)의 제 1 밸브시트부(S1)가 착석하여 진공밸브(34)가 폐쇄되는 한편, 대기밸브시트(25)가 밸브체(27)의 제 2 시트부(S2)로부터 이석하여 대기밸브(36)가 개방된다.
이와 같이 해서, 진공밸브(34)가 폐쇄되는 한편, 대기밸브(36)가 개방되므로, 변압통로(37)를 통하여 변압실(B)내에 대기가 도입된다. 따라서, 밸브보디(3) 등이 프론트측을 향해서 전진되어 브레이크 배력장치(1)가 작동된다.
그리고, 출력축(11)에 작용하는 브레이크반력에 의해 리액션디스크(12)가 압축되고, 그 리어측의 끝면이 팽출되어 플런저부재(14)에 맞닿고, 이 플런저부재(14)를 홀더(13)내에서 리어측으로 약간 되돌려 민다. 그렇지만, 플런저부(14)에 있어서의 아우터플런저(17)의 리어측 끝부는 홀더(13)의 스토퍼부(13b)에 맞닿지 않는다(도 3 참조).
그 때문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액션디스크(12)가 플런저부재(14)에 맞닿은 JP1의 시점이 점핑으로 되고, 그 시점에서 밸브플런저(15) 및 입력축(16)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는 브레이크페달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아우터플런저(17)의 리어측 끝부는 홀더(13)의 스토퍼부(13b)에 맞닿지 않으므로, 이너플런저(18) 및 아우터플런저(17)의 양쪽을 통하여 리액션디스크(12)로부터 밸브플런저(15)에 브레이크 반력이 전달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로의 반력의 전달이 개시되는 점핑(JP1)이후는, SR1으로 나타낸 서보비로 출력이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통상의 완만한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에 의한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작동시에 있어서는, 통형상부재(24)는 비작동위치 유지기구(51)에 의해 밸브보디(15)에 대하여 가장 프론트측에 위치하는 비작동위치에 유지된다.
그리고, 이 작동상태로부터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가 해제되면, 밸브플런저(15) 및 입력축(16)이 리어측으로 후퇴하여, 키부재(44)가 셸(2)의벽면(2c)에 맞닿아서 정지된다. 그 후, 키부재(44)에 밸브플런저(15)에 있어서의 걸어맞춤부(15a)의 프론트측 끝면이 맞닿아서 정지되고, 그 후, 키부재(44)에 밸브보디(3)에 있어서의 변압통로(37)의 프론트측 끝면 및 통형상부재(24)의 단부 끝면(24b)가 맞닿아서 정지된다. 따라서, 밸브보디(3) 및 통형상부재(24)도 도시하는 비작동위치로 복귀된다. 또, 플런저부재(14) 및 리액션디스크(12)도 비작동위치로 복귀한다.
(긴급 브레이킹시)
다음에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비작동상태로부터 브레이크 페달이 급격히 밟혀지면, 밸브플런저(15) 및 입력축(16)이 밸브보디(3) 및 홀더(13)에 대하여 프론트측에 소정 스트로크이상 이동된다.
그 때문에, 우선, 밸브체(27)의 제 1 시트부(S1)가 제 1 진공밸브시트(17)에 착석하여 진공밸브(34)가 폐쇄되는 한편, 대기 밸브시트(25)가 밸브체(27)의 제 2 시트부(S2)로부터 이석하여 대기밸브(36)가 개방된다. 또, 밸브플런저(15)의 테이퍼면(15c)이 통형상부재(24)의 테이퍼면(24f)에 맞닿은 후, 프론트측으로 더 전진하므로, 통형상부재(24)의 변형부(24c)가 직경확대되어, 걸어맞춤부(24d)가 환상홈(13c)으로부터 탈락한다.
그 때문에, 스프링(48)에 의해 리어측으로 힘이 가세되어 있는 통형상부재(24)는, 밸브보디(3) 및 홀더(13)에 대하여 리어측을 향해서 후퇴되어, 제 2 진공밸브시트(23)가 밸브체(27)의 제 1 시트부(S1)에 착석한 후, 밸브체(27)를 리어측으로 더 후퇴시킨다(도 4 참조). 통형상부재(24)는 그 단부 끝면(24b)이키부재(44)에 맞닿고, 다시 그 키부재(44)가 변압통로(37)의 리어측의 끝면에 맞닿는 후퇴위치에서 밸브보디(3)에 대한 후퇴를 정지하여 그 위치에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대기밸브시트(25)와 제 2 시트부(S2)가 크게 이격되어, 그로부터 이루어지는 대기밸브(36)가 통상작동시보다도 크게 개방된 상태에 유지된다. 그 때문에, 대기가 변압실(B)에 신속히 도입되고, 브레이크 배력장치(1)는 신속히 큰 출력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작동후의 서보밸런스 상태에서는 진공밸브(34)와 대기밸브(36)는 함께 폐쇄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통형상부재(24)에 의해 밸브체(27)가 리어측으로 후퇴된 분량만큼 밸브플런저(15)가 상기 통상의 브레이크 작동시보다도 크게 밸브보디(3)에 대하여 리어측으로 이동된다. 그 때문에, 출력축(11)에 작용하는 브레이크반력에 의해, 이너플런저(18) 및 아우터플런저(17)에 리액션디스크(12)의 리어측의 끝면이 맞닿은 후, 그들의 부재가 홀더(13)내에서 리어측으로 이동되므로, 아우터플런저(17)의 리어측 끝부가 홀더(13)의 스토퍼부(13b)에 맞단다(도 4 참조).
그 때문에, 긴급브레이크의 작동시에 있어서는, 이너플런저(18)와 아우터플런저(17)가 통상 브레이크 작동시보다 크게 리어측으로 이동하는 분량만큼 리액션디스크(12)의 리어측으로의 팽출량이 크게 되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핑량이 통상 브레이크자동시보다 크게 되어 JP2의 점으로 된다. 또, 그 후의 서보밸런스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아우터플런저(17)는 홀더(13)에 맞닿고 말게 되므로, 리액션디스크(12)로부터의 브레이크반력은 이너플런저(18)만을 통하여 밸브플런저(15)에 전달되므로 통상 브레이크 작동시보다 큰 배력비(SR2)로 출력이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긴급브레이크시의 작동상태로부터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가 해제되면, 입력축(16) 및 밸브플런저(15)가 후퇴되어, 키부재(44)가 셸(2)의 벽면(2c)에 맞닿아서 정지된다. 또 이것에 이해, 통형상부재(24) 및 밸브플런저(15)가 도시하는 비작동위치로 복귀하는데, 그것에 지연되어, 밸브보디(3) 및 홀더(13)가 후퇴하고, 변압통로(37)의 프론트측의 끝면이 키부재(44)에 맞닿아서 밸브보디(3)가 정지되어 비작동위치로 복귀한다. 이 과정에 있어서, 통형상부재(24)는 밸브보디(3)가 대하여 상대적으로 프론트측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되므로, 통형상부재(24)의 걸어맞춤부(24d)의 경사면이 홀더(13)의 리어측 외주부에 끼워 삽입된 후 프론트측으로 미끄럼이동한 후, 걸어맞춤부(24d)가 홀더(13)의 환상홈(13c)에 걸어맞추고, 도 2에 도시한 비작동위치로 복귀한다. 또, 이것에 따라서, 플런저부재(14)의 이너플런저(18) 및 아우터플런저(17)도 홀더(13)내를 전진하여 도 2에 도시하는 비작동위치로 복귀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 일반의 브레이크 배력장치(1)에 통형상부재(24)나 홀더(13), 플런저부재(14)(아우터플런저(17), 이너플런저(18)), 스프링(48)을 추가하는 정도의 간단한 구조에 의해, 긴급 브레이크시에, 대기밸브(36)를 크게 개방시킴과 동시에, 점핑량 및 배력비를 크게 함으로써, 신속하게 큰 출력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플런저부재(14)(아우터플런저(17), 이너플런저(18))의 치수를 조정함으로써, 긴급브레이크 작동시에 있어서의 점핑 및 배력비를 적당히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브레이크 배력장치(1)는, 종래의 것에 비교해서 부품점수가 적으므로, 조립성이 양호하고, 제조코스트도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상 브레이크 작동시에 있어서는 비작동위치 유지기구(51)에 의해 통형상부재(24)를 밸브보디(3)에 연결하고, 긴급브레이크시에 있어서는, 규제기구(53)에 의해 밸브보디(3)에 대한 후퇴위치에 통형상부재(24)를 유지함으로, 점핑 및 배력비가 안정된 것으로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리액션디스크(12), 홀더(13), 아우터플런저(17), 이너플런저(18)를 구비한 반력전달기구는, 본 실시예의 통형상부재(24)의 비작동위치 유지기구(51)나 작동기구(52)에 한정되지 않고, 통형상부재(24)를 통상 브레이크 작동시에 밸브보디(3)에 대하여 가장 프론트측에 위치시켜, 긴급브레이크 작동시에 통형상부재(24)를 밸브보디(3)에 대하여 리어측으로 이동시켜서 제 2 진공밸브시트(23)에 의해 밸브체(31)에 착석하는 구성의 것이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싱글타입의 브레이크 배력장치(1)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정압실과 변압실이 2개 쌍의 탠덤 브레이크 배력장치 혹은 정압실과 변압실이 3개 쌍의 트리플타입의 브레이크 배력장치에도 본 발명을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종래 일반의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통형상부재나 홀더, 플런저부재(아우터플런저, 이너플런저), 스프링을 추가하는 정도의 간단한 구조에 의해,긴급브레이크시에, 대기밸브를 크게 개방시킴과 동시에, 점핑량 및 배력비를 크게 함으로써, 신속하게 큰 출력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플런저부재(아우터플런저, 이너플런저)의 치수를 조정함으로써, 긴급브레이크 작동시에 있어서의 점핑 및 배력비를 적당히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브레이크 배력장치는, 종래의 것에 비교해서 부품점수가 적으므로, 조립성이 양호하고, 제조코스트도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Claims (5)

  1. 셸내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설치된 밸브보디와, 이 밸브보디에 설치된 파워피스톤과, 상기 셸내에 있어서의 상기 파워피스톤의 프론트측에 형성된 정압실 및 리어측에 형성된 변압실과, 상기 밸브보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변압실로의 유체의 급배를 전환 제어하는 밸브기구와, 이 밸브기구를 작동시키는 입력축과, 출력축에 작용하는 브레이크 반력을 상기 밸브기구를 통하여 상기 입력축에 전달하는 반력전달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기구는, 상기 입력축에 접속되어 대기밸브시트를 갖는 밸브플런저와, 상기 밸브보디에 설치된 제 1 진공밸브시트와, 상기 대기밸브시트와 제 1 진공밸브시트에 착석 가능한 밸브체를 구비한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보디에 통형상부재를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설치하고, 이 통형상부재에 상기 제 1 진공밸브시트에 대하여 병렬로 제 2 진공밸브시트를 형성하고, 비작동시에 상기 통형상부재를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가장 전진된 위치에 유지하는 비작동위치 유지기구를 설치하고,
    또, 상기 입력축이 비작동위치로부터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소정 스트로크 전진했을 때에, 상기 비작동위치 유지기구에 의한 유지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통형상부재를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후퇴시켜서, 상기 제 2 진공밸브시트를 상기 밸브체에 착석시키는 작동기구를 설치하고,
    더욱이, 상기 반력전달기구는, 상기 통형상부재가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가장 전진된 위치에 있는 통상 브레이크 작동시에는, 배력비가 작은 제 1 반력 전달경로를 통하여 브레이크반력을 상기 밸브플런저에 전달하고, 한편, 상기 통형상부재가 밸브보디에 대하여 소정 스트로크 후퇴한 위치에 있는 긴급브레이크 작동시에는, 배력비가 큰 제 2 반력 전달경로를 통하여 브레이크반력을 상기 밸브플런저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전달기구는 출력축과 밸브보디의 프론트측 끝면 사이에 개재시킨 리액션디스크와, 이 리액션디스크와 상기 밸브플런저 사이에 설치된 플런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플런저부재는, 상기 밸브플런저에 맞닿는 이너플런저와, 이너플런저의 외주부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지는 아우터플런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통형상부재가 상기 비작동위치 유지기구에 의해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가장 전진된 위치에 있는 통상 브레이크 작동시에는, 상기 리액션디스크와 이너플런저 및 아우터플런저를 통하는 상기 제 1 반력전달경로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반력이 상기 밸브플런저에 전달되고, 상기 통형상부재가 밸브보디에 대하여 소정 스트로크 후퇴한 위치에 있는 긴급브레이크 작동시에는, 상기 리액션디스크와 상기 이너플런저와 아우터플런저의 어느 한쪽을 통하는 상기 제 2 반력 전달경로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반력이 상기 밸브플런저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작동위치 유지기구는, 상기 통형상부재의 프론트측 끝부에 설치된 탄성변형부와, 이 탄성변형부의 내측에 설치된 걸어맞춤부와, 상기 밸브보디에 형성되어 상기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추는 걸어맞춤홈을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부가 상기 걸어맞춤홈에 걸어맞추므로써 상기 통형상부재를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가장 전진된 위치에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구는, 상기 통형상부재의 상기 탄성변형부의내측에 설치된 단부와, 상기 밸브플런저의 외주부에 설치된 테이퍼부와, 상기 통형상부재를 리어측으로 힘을 가세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플런저가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소정 스트로크 전진했을 때에, 상기 밸브플런저의 테이퍼부가 상기 탄성변형부의 단부에 맞닿아서, 상기 탄성변형부가 반경방향 외방으로 탄성변형하여 상기 걸어맞춤부가 상기 걸어맞춤홈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통형상부재가 상기 탄성부재의 가세력에 의해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작동위치 유지기구는, 상기 탄성형부를 반경방향 내방으로 힘을 가제하는 제 2의 탄성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KR1020020057994A 2001-09-25 2002-09-25 브레이크 배력장치 KR1008536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90488A JP2003095085A (ja) 2001-09-25 2001-09-25 ブレーキ倍力装置
JPJP-P-2001-00290488 2001-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888A true KR20030026888A (ko) 2003-04-03
KR100853636B1 KR100853636B1 (ko) 2008-08-25

Family

ID=19112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994A KR100853636B1 (ko) 2001-09-25 2002-09-25 브레이크 배력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15401B2 (ko)
EP (1) EP1295770B1 (ko)
JP (1) JP2003095085A (ko)
KR (1) KR100853636B1 (ko)
CN (1) CN1247402C (ko)
DE (1) DE60207347T2 (ko)
ES (1) ES2253494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810B1 (ko) * 2006-12-01 2008-05-02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배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1274B2 (ja) * 2002-06-14 2007-10-31 ボッシュ株式会社 負圧倍力装置
JP2004231086A (ja) * 2003-01-31 2004-08-19 Advics:Kk 入力ロッド引張り式ブレーキ倍力装置
US20070000378A1 (en) * 2003-04-18 2007-01-04 Bosch Corporation Negative pressure doubling device
JP4187220B2 (ja) * 2003-05-16 2008-11-26 ボッシュ株式会社 負圧倍力装置
US7021724B2 (en) * 2003-07-01 2006-04-04 Nissin Kogyo Co., Ltd. Vacuum booster
GB2403521B (en) * 2003-07-03 2007-01-31 Trw Ltd Vacuum brake boosters
JP4206877B2 (ja) * 2003-09-19 2009-01-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気圧式倍力装置
JP4273931B2 (ja) * 2003-11-04 2009-06-03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負圧式倍力装置
JP2005145158A (ja) * 2003-11-12 2005-06-09 Advics:Kk 負圧式倍力装置
DE102006021486A1 (de) * 2006-03-24 2007-09-27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Pneumatischer Bremskraftverstärker
KR100759882B1 (ko) * 2006-06-27 2007-09-18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배력장치
KR101317111B1 (ko) 2007-04-16 2013-10-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기계적 비상 제동 보조 장치를 구비한 진공 브레이크부스터
EP2133248B1 (en) 2008-06-11 2011-04-13 Nissin Kogyo Co., Ltd. Vacuum pressure booster
KR101058614B1 (ko) * 2008-12-11 2011-08-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회생 제동 액추에이터 장치
JP6197819B2 (ja) * 2015-03-31 2017-09-20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負圧式倍力装置
WO2019108761A1 (en) * 2017-11-29 2019-06-06 Kelsey-Hayes Company Brake system with multiple pressure sources
KR102664815B1 (ko) * 2019-08-05 2024-05-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전동부스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48705A1 (de) * 1995-12-23 1997-06-26 Teves Gmbh Alfred Bremskraftverstärker
JPH1044973A (ja) * 1996-07-31 1998-02-17 Jidosha Kiki Co Ltd 倍力装置
US5893316A (en) 1996-12-27 1999-04-13 Jidosha Kiki Co., Ltd. Brake booster
DE19817589A1 (de) * 1997-04-18 1998-10-22 Aisin Seiki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für ein Fahrzeug
JPH1148949A (ja) * 1997-08-06 1999-02-23 Aisin Seiki Co Ltd 負圧式倍力装置
JP3070672B2 (ja) 1997-10-17 2000-07-31 ボッシュ ブレーキ システム株式会社 ブレーキ倍力装置
DE19750514A1 (de) * 1997-11-14 1999-05-20 Itt Mfg Enterprises Inc Bremskraftübersetzung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EP1028877B1 (de) * 1997-11-14 2002-09-1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kraftübersetzung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US6155156A (en) * 1997-11-21 2000-12-05 Jidosha Kiki Co., Ltd. Brake booster
US6003425A (en) * 1998-03-27 1999-12-21 Jidosha Kiki Co., Ltd. Booster
DE19831961A1 (de) * 1998-07-16 2000-01-2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kraftverstärker mit Panikbremsfunktion
DE19841150B4 (de) * 1998-09-09 2009-02-2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kraftverstärker mit Panikbremsfunktion
CA2389209C (en) * 1999-10-29 2006-01-24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Negative pressure type booster
DE10010385B4 (de) * 2000-03-03 2005-06-16 Lucas Varity Gmbh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mit verbesserter magnetloser Notbremshilfe
JP3879905B2 (ja) * 2000-12-13 2007-02-14 ボッシュ株式会社 ブレーキ倍力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810B1 (ko) * 2006-12-01 2008-05-02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배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7347T2 (de) 2006-07-27
EP1295770A3 (en) 2004-01-21
CN1247402C (zh) 2006-03-29
CN1408592A (zh) 2003-04-09
US20030056643A1 (en) 2003-03-27
EP1295770A2 (en) 2003-03-26
JP2003095085A (ja) 2003-04-03
DE60207347D1 (de) 2005-12-22
KR100853636B1 (ko) 2008-08-25
ES2253494T3 (es) 2006-06-01
US6715401B2 (en) 2004-04-06
EP1295770B1 (en) 200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3636B1 (ko) 브레이크 배력장치
JP2002240702A (ja) ブレーキ倍力装置
KR20020074076A (ko) 브레이크 배력장치
KR100745866B1 (ko) 부압 배력 장치
KR100315386B1 (ko) 브레이크배력장치
KR100853651B1 (ko) 브레이크 배력장치
KR20090020600A (ko) 부압 배력 장치
JPH0885442A (ja) 気圧式倍力装置
US6516704B2 (en) Brake booster
JP3744852B2 (ja) 負圧式ブレーキ倍力装置
JPH1044973A (ja) 倍力装置
JP2008074196A (ja) 負圧倍力装置
KR100472527B1 (ko) 자동 브레이크 배력장치
JP2853303B2 (ja) ブレーキ倍力装置の弁機構
KR100316324B1 (ko) 브레이크 배력장치
JP3599076B2 (ja) 倍力装置
JP2004262428A (ja) 反作用を減少したマスターシリンダを含むサーボブレーキ
JP2001080494A (ja) 倍力装置
JPH0510263B2 (ko)
JPH11263216A (ja) ブレーキ倍力装置
JP3765476B2 (ja) ブレーキ倍力装置
US7677153B2 (en) Booster and brake control device fitted with this booster
JPH11278248A (ja) 気圧式倍力装置
JPH11180291A (ja) 負圧式倍力装置
JPH1044972A (ja) ブレーキ倍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