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651B1 - 브레이크 배력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배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3651B1
KR100853651B1 KR1020020018456A KR20020018456A KR100853651B1 KR 100853651 B1 KR100853651 B1 KR 100853651B1 KR 1020020018456 A KR1020020018456 A KR 1020020018456A KR 20020018456 A KR20020018456 A KR 20020018456A KR 100853651 B1 KR100853651 B1 KR 100853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valve
cylindrical member
engaging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8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5774A (ko
Inventor
이노우에히데후미
히라츠카요시유키
모리야스시
다카사키요시야스
Original Assignee
봇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31240A external-priority patent/JP3879905B2/ja
Application filed by 봇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봇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5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3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reaction devices
    • B60T13/575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reaction devices using resilient discs or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3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rea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55Systems in which the braking action is dependent on brake pedal data
    • B60T8/3275Systems with a braking assistant function, i.e. automatic full braking initiation in dependence of brake pedal velo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밸브보디(3)에 제 1 진공밸브시트(17)를 형성함과 동시에, 밸브보디(3)에 미끄럼운동 자유로이설치된 통형상부재(21)에 제 2 진공밸브(18)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통형상부재(21)와 밸브 플런저(14) 사이에 레버부재(41)를 설치하고, 밸브 플런저(14)가 밸브보디(3)에 대하여 소정 스트로크이상 스트로크하면, 레버부재(41)가 회전운동하여 통형상부재(21)가 밸브보디(3)에 대하여 리어측으로 후퇴하도록 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이 급격히 밟히면, 레버부재(41)가 회전운동하여 걸어맞춤 볼록부(41f)가 밸브보디(3)의 걸어맞춤 오목부(44)에 걸어맞춤하여, 통형상부재(21)를 밸브보디(3)에 대하여 리어측으로 후퇴한 위치에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대기밸브(33)가 통상작동보다 크게 개방되고, 신속하고 큰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브레이크 페달의 급격한 밟기작동에 즉시 응답하여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출력을 신속히 증대시킬 수 있다.
Figure R1020020018456
브레이크 페달, 브레이크 배력장치, 진공밸브시트, 진공밸브, 밸브보디, 레버부재, 밸브 플런저, 통형상부재, 걸어맞춤부

Description

브레이크 배력장치{BRAKE BOOSTE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레버부재(41)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IV-IV를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제 2 실시예의 구성부재를 간략화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구성부재의 긴급작동시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한 구성부재의 긴급작동시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구성부재의 긴급작동시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구성부재의 통상 브레이크작동시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도 12에 도시한 구성부재의 긴급작동시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긴급 브레이크와 같은 커다란 제동력이 필요한 경우에, 작은 브레이크 페달 밟기력으로도 확실히 큰 출력을 얻을 수 있는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긴급 브레이크와 같은 커다란 제동력이 필요한 경우, 작은 브레이크 밟기력으로도 커다란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 브레이크 배력장치는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브레이크 배력장치로서는, 예를들면 일본 특허제3070672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입력이 소정치를 넘으면, 그 이후의 출력구배를 크게 하여 출력을 증대시키는 브레이크 배력장치나, 예를들면 일본 특개평10-35474호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을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그것에 따라 출력을 증대시키는 브레이크 배력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브레이크 배력장치는 다음과 같은 결점이 지적된 것이다. 즉, 상기 특허제3070672호에 기재되어 있는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있어서는, 입력이 소정치를 넘으면 츨력을 증대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급격한 브 레이크 페달의 밟기작동에 즉시 대응하여 출력을 증대시킬 수가 없었다.
한편, 일본 특개평10-35474호공보에 기재된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있어서는, 이 배력장치와 일체로 전자개폐밸브를 설치함과 동시에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량을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코스트도 높게 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고, 또한 급격한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작동에 즉시 응답하여 출력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한 브레이크 배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제 1의 본 발명은, 셸내에 미끄럼운동 자유로이 설치된 밸브보디와, 이 밸브보디에 설치된 파워피스톤과, 상기 셸내에 있어서 상기 파워피스톤의 프런트측에 형성된 정압실 및 리어측에 형성된 변압실과, 상기 밸브보디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변압실로의 유체의 급배를 전환제어하는 밸브기구와, 이 밸브기구를 작동시키는 입력축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기구는, 상기 입력축에 접속되어서 대기밸브시트를 가지는 밸브 플런저와, 상기 밸브보디의 내부에 설치된 진공밸브시트와, 상기 대기밸브시트 및 진공밸브시트에 착석가능한 밸브체를 구비한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있어서,
통형상부재가 상기 밸브보디에 미끄럼운동 자유로이 설치되고, 이 통형상부재에 상기 진공밸브시트를 형성하고, 상기 입력축이 비작동위치에서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소정 스트로크 전진한 때에, 상기 통형상부재를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후퇴하게 하여, 상기 진공밸브시트를 상기 밸브체에 착석시킴과 동시에, 상기 통형상부재를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소정 스트로크 후퇴시킨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설치하고, 더욱이, 상기 입력축이 비작동위치에 복귀한 때에, 상기 유지수단에 의한 상기 통형상부재의 유지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통형상부재를 비작동위치로 복귀시키는 해제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또한, 제 2의 발명은, 셸내에 미끄럼운동 자유로이 설치된 밸브보디와, 이 밸브보디에 설치된 파워피스톤과, 상기 셸내에 있어서 상기 파워피스톤의 프런트측에 형성된 정압실 및 리어측에 형성된 변압실과, 상기 밸브보디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변압실로의 유체의 급배를 전환제어하는 밸브기구와, 이 밸브기구를 작동시키는 입력축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기구는, 상기 입력축에 접속되어서 대기밸브시트를 가지는 밸브 플런저와, 상기 밸브보디에 설치된 제 1 진공밸브시트와, 상기 대기밸브시트 와 제 1 진공밸브시트에 착석가능한 밸브체를 구비한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있어서,
통형상부재가 상기 밸브보디에 미끄럼운동 자유로이 설치되고, 이 통형상부재에 상기 제 1 진공밸브시트에 대하여 병렬로 제 2 진공밸브시트를 형성하고, 상기 입력축이 비작동위치에서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소정 스트로크 전진했을 때에, 상기 통형상부재를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후퇴시키고, 상기 제 2 진공밸브시트를 상기 밸브체에 착석시킴과 동시에, 상기 통형상부재를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소정 스트로크 후퇴시킨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설치하고, 더욱이, 상기 입력축이 비작동위치에 복귀했을 때에, 상기 유지수단에 의한 상기 통형상부재의 유지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통형상부재를 비작동위치로 복귀시키는 해제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브레이크 페달이 급격히 밟히게되는 긴급 브레이크작동시에는, 입력축이 비작동위치에서 밸브보디에 대하여 소정 스트로크이상 전진되므로, 상기 통형상부재가 밸브보디에 대하여 후퇴된다.
그 때문에, 이 통형상부재에 설치된 진공밸브시트(제 2 진공밸브시트)와 거기에 착석한 밸브체도 밸브보디에 대하여 소정 스트로크이상 후퇴되어, 유지수단에 의해 그 위치에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대기밸브시트와 밸브체로 이루어지는 대기밸브가 통상의 작동시보다도 크게 개방되어, 대기가 신속하게 변압실내에 도입되어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출력이 크고 신속하게 상승한다.
따라서, 구성이 간단하고, 또한 급격한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작동에 즉시 응답하여 출력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한 브레이크 배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장점, 및 유리한 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을 이해하므로써 더욱 분명하게 나타날 것이다.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 도시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2에 있어서,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셸(2)내에 개략 통형상의 밸브보디(3)를 미끄럼운동 자유로이설치하고 있다. 이 밸브보디(3)의 리어측의 외주부는 셸(2)의 리어측의 개구부(2a)를 통해서 외부로 돌출하게 하고, 이 셸(2)의 개구부(2a)에 설치된 환상 실링부재(4)에 의해, 밸브보디(3)의 리어측의 외주부와 셸(2)의 개구부(2a)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고 있다.
밸브보디(3)의 외주부에 파워피스톤(5)을 연결하고 있고, 이 파워피스톤(5)의 배면에 다이어프램(6)을 장설(張設)하고 있다. 이 다이어프램(6)에 의해 셸(2)내를 프런트측의 정압실(A)과 리어측의 변압실(B)로 구획하고 있다.
셸(2)의 프런트측의 측면(2b)에 부압도입관(7)을 접속하여 있고, 이 부압도입관(7)을 통해서 정압실(A)내에 항상 부압이 도입되어 있다. 또한, 정압실(A)내에 리턴스프링(8)을 설치하고 있어, 이것에 의해 밸브보디(3)를 항상 리어측으로 향해서 가압하고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비작동상태에 있어서는, 리턴스프링(8)에 의해 가압된 밸브보디(3) 등은, 도시한 비작동위치에 정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밸브보디(3)의 프런트측의 내주부에 계단식 통형상의 홀더(11)를 끼워 장착하고 있다. 이 홀더(11)의 외주부와 밸브보디(3)의 내주부 사이는 환상실링부재(12)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고 있다. 이 홀더(11)는 실질적으로 밸브보디(3)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고, 이 홀더(11)는 밸브보디(3)와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상기 홀더(11)에 있어서 프런트측의 대직경부(11a)내에 원반형상의 리액션 디스크(13)를 수납하고 있다. 한편, 대직경부(11a)보다도 리어측으로 되는 홀더(11)의 내주부에 밸브 플런저(14)의 일부를 구성하는 플레이트 플런저(14a)의 외주부를 미끄럼운동 자유로이 걸어맞춤하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리액션 디스크(13)와 밸브 플런저(14)를 서로 대향시키고 있다. 홀더(11)에 있어서 리어측의 개소는 소직경부(11b)로 되어 있고, 그 외주부는 리어측 단부가 소직경으로 되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액션 디스크(13)의 프런트측에 출력축(15)을 배치하고 있고, 이 출력축(15)에 있어서 대직경의 기부(15a)를 상기 홀더(11)의 대직경부(11a)에 미끄럼운동 자유로이 끼워맞춤하여, 리액션 디스크(13)에 프런트측에서 맞닿게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리액션 디스크(13)는, 출력축(15)에 있어서 기부(15a)의 리어측의 단면과 홀더(11)의 계단부 단면(端面)에 의해 끼워 지지되어 있다.
셸(2)에 있어서 프런트측의 벽면(2b)의 개구를 통해서 도시하지않은 마스터실린더의 하우징 및 피스톤을 정압실(A)내에 삽입하고 있고, 이 마스터실린더의 피스톤에 출력축(15)의 프런트측의 단부를 맞닿음시키고 있다.
다음에, 상기 밸브보디(3)내에는, 정압실(A)과 변압실(B) 및 변압실(B)과 대기의 연통상태를 전환하는 밸브기구(16)를 수납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밸브기구(16)는, 밸브보디(3)의 내주부에 형성된 환상의 제 1 진공밸브시트(17)와, 밸브보디(3)의 내주부에 기밀을 유지하여 미끄럼운동 자유로이 끼워맞춤됨과 동시에 리어측의 단부에 제 2 진공밸브시트(18)를 형성한 통형상부재(21)와, 이 통형상부재(21)에 미끄럼운동 자유로이 끼워맞춤 또한 관통함과 동시에 리어측으로 대기밸브시트(22)를 형성한 밸브 플런저(14)와, 상기 양 진공밸브시트(17,18) 및 대기밸브시트(22)에 리어측에서 스프링(23)에 의해 착석하는 밸브체(24)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체(24)는, 프런트측에 위치하여 강체로 이루어지는 제 1 부재(25)와, 리 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부재(25)에 연결된 고무제의 제 2 부재(26)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부재(25)에 있어서 프런트측에 링형상의 고무를 부착하고 있고, 그 고무에 의해 제 1 시트부(S1)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제 2 부재(26)는 프런트측에 강체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27)를 구비하고 있고, 이 플레이트(27)에 부착된 환상의 고무에 의해 제 2 시트부(S2)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밸브 플런저(14)에 형성된 대기밸브시트(22)를 제 1 부재(25)의 내부에 배치하고 제 2 시트(S2)에 대향시키고 있다. 상기 스프링(23)은, 플레이트(27)와 입력축(28)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고, 밸브체(24)를 항상 프런트측을 향해서 가압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 진공밸브시트(17,18)는 밸브보디(3)의 반경방향으로 인접시키고 나란히 배열설치하고 있고, 이들 양 진공밸브시트(17,18)와 이들에 접리(接離)하는 밸브체(24)의 제 1 시트부(S1)에 의해 진공밸브(31)를 구성하고 있다. 이 진공밸브(31)보다도 외주측의 공간은, 밸브보디(3)에 형성된 정압통로(32)를 통해서 상기 정압실(A)에 연통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밸브 플런저(14)에 설치된 대기밸브시트(22)와 여기에 접리하는 밸브체(24)의 제 2 시트부(S2)에 의해 대기밸브(33)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진공밸브(31)와 대기밸브(33) 사이 공간은, 밸브보디(3)에 뚫어 설치된 반경방향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변압통로(34)를 통해서 변압실(B)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대기밸브시트(33)보다도 내주측의 공간은, 밸브보디(3)에 형성된 대기통로(35) 및 거기에 설치된 필터(36)를 통해서 대기에 연통되어 있다.
밸브 플런저(14)의 리어측의 축부에 입력축(28)의 선단부를 피벗지지 연결하 고 있고, 밸브보디(3)에 끼워 장착한 리테이너(39)와 입력축(28)의 외주부에 걸쳐서, 상기 스프링(23)보다도 큰 탄발력을 가지는 스프링(37)을 탄성 장착하고 있다. 상기 입력축(28)의 말단부는 도시하지않은 브레이크 페달에 연결되어 있다.
밸브보디(3)의 변압통로(34)에는 종래 공지의 키부재(38)를 끼워 통하게 하고 있음과 동시에, 이 키부재(38)를 상기 통형상부재(21)의 반경방향 구멍(21b)에 삽입하고 나서 상기 밸브 플런저(14)의 걸어맞춤부(14b)에 걸어맞춤시키고 있다.
밸브보디(3)는 상기 리턴스프링(8)에 의해 항상 리어측을 향해서 가압되어 있으므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비작동상태에서는, 키부재(38)가 셸(2)의 리어측의 벽면(2c)에 맞닿음하고 있다. 또한, 이 키부재(38)에 변압통로(34)의 프런트측의 단면이 맞닿음됨과 동시에, 통형상부재(21)에 형성된 반경방향 구멍(21b)의 프런트측의 단면 및 밸브 플런저(14)에 있어서 걸어맞춤부(14b)의 프런트측의 단면도 맞닿음하고 있다.
이와같이 상기 키부재(38)를 셸(2)의 리어측의 벽면(2c)에 맞닿음시키므로서, 키부재(38) 및 밸브 플런저(14)를 밸브보디(3)에 대한 소정위치에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작동개시시에 있어서 입력축(28)의 로스 스트로크를 감소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비작동상태에서는, 대기밸브시트(22)에 밸브체(24)의 제 2 시트부(S2)를 착석시켜서 대기밸브(33)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밸브체(24)의 제 1 시트부(S1)를 양 진공밸브시트(17,18)에서 이격시켜서 진공밸브(31)를 개방시키고 있다. 이 비작동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각 실(A,B)이 서로 연통하고, 각 실(A,B)내 에 부압이 도입되고 있다.
또한, 이 비작동상태에서는, 리액션 디스크(13)의 리어측의 단면과 거기에 대향하는 플레이트 플런저(14a)가 약간 이격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입력축(28) 및 밸브 플런저(14)가 전진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작동시에는, 출력축(15)에 작용하는 출력의 반력에 의해 리액션 디스크(13)가 리어측으로 팽출하므로, 이 리액션 디스크(13)의 단면과 플레이트 플런저(14a)가 맞닿음하도록 되어 있다. 그 시점에서 출력축(15)에 작용하는 출력의 반력이 리액션 디스크(13)를 통해서 밸브 플런저(14), 입력축(28) 및 도시하지않은 브레이크 페달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전제로 하고나서, 밸브보디(3)내에 레버부재(41)를 설치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급격한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가 있을 때에, 거기에 즉시 응답하여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출력을 신속히 증대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레버부재(41)는 스프링강으로 이루어져서 탄성을 구비하고 있다. 레버부재(41)는, 반경방향 안쪽측으로 원통부(41a)를 구비하고 있고, 이 원통부(41a)의 프런트측의 개소는 반경방향 외방으로 약간 연장시키고 나서 리어측으로 되접어서 환상 끼워맞춤부(41b)로 되어 있고, 더욱이, 이 환상 끼워맞춤부(41b)에서 연속하여 반경방향 외방을 향해서 뻗는 8개소의 반경방향부(41c)를 형성하고 있다. 각 반경방향부(41c)의 외방부로부터 계속되는 외방측은, 리어측으로 뻗고나서 프런트측으로 되접어 꺽고 더 축방향으로 신장시켜 있고, 그 되접어 꺽인 개소를 맞닿음부(41d)로 하고 있고, 더욱이, 맞닿음부(41d)에서 프런트측으로 신장시킨 선단부에는 반경방향 외방측으로 팽출하는 단면 원호형상의 걸어맞춤 볼록부(41f)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한 유지수단으로서의 레버부재(41)는, 원통부(41a)를 밸브 플런저(14)의 선단 소직경부(14c)의 외방 공간내에 위치시켜서, 환상 끼워맞춤부(41b)를 홀더(11)의 소직경부(11b)에 리어측에서 헐겁게 끼워맞춤시키고 있고, 또한, 8개소의 걸어맞춤 볼록부(41f)를 밸브보디(3)의 내주면에 접촉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홀더(11)의 리어측의 단부(11c)(소직경부(11b)의 리어측단부)가 레버부재(41)에 있어서 환상 끼워맞춤부(41b)와 반경방향부(41c)의 경계부분에 맞닿음하여 레버부재(41)의 회전운동 지점으로 함과 동시에, 레버부재(41)에 있어서 8개소의 맞닿음부(41d)에 통형상부재(21)에 있어서 프런트측의 단면이 맞닿음하고 있다(도 2 참조).
다음에, 통형상부재(21)는, 그 프런트측의 외주부에 플랜지부(21a)를 형성하고 있고, 이 플랜지부(21a)와 그것에 대향하는 밸브보디(3)의 계단부 단면에 걸쳐서 스프링(42)을 탄성 장착하고 있다. 이 스프링(42)에 의해 통형상부재(21)는 밸브보디(3)에 대하여 항상 프런트측을 향해서 가압되어 있고, 따라서, 이 통형상부재(21)에 맞닿음한 레버부재(41)는, 홀더(11)의 리어측의 단부(11c)를 회전운동 지점으로 하여 항상 그 외방측의 부분이 프런트측을 향해서 가압되어 있다.
통형상부재(21)의 축방향 소정위치에는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반경방향 구멍(21b)을 형성하고 있고, 더욱이, 밸브 플런저(14)가 미끄럼운동 자유로이 끼워넣 게 되는 축방향 구멍에 반경방향 구멍(21b)에서 연속하여 리어측의 단면까지 연속하는 축방향 홈(21c)을 형성하고 있다. 이 통형상부재(21)의 반경방향 구멍(21b)에 키부재(38)를 끼워 통과 시키고 나서 밸브 플런저(14)의 걸어맞춤부(14b)에 걸어맞추게 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통형상부재(21)의 반경방향 구멍(21b)과 축방향 홈(21c)의 내부공간을 경유하여 상기 변압통로(34)와 진공밸브(31) 및 대기밸브(33)가 연통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통형상부재(21)의 리어측의 외주부에 환상 실링부재(43)를 설치하고 있고, 이 환상 실링부재(43)에 의해 통형상부재(21)와 밸브보디(3) 내주부의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이 통형상부재(21)의 리어측의 단부에 형성한 환상 돌기에 의해 상기 제 2 진공밸브시트(18)를 구성하고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홀더(11)의 바로 리어측으로 되는 밸브보디(3)의 내주면에 환상홈으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 오목부(44)를 형성하고 있고, 도시한 비작동상태에서는 상기 레버부재(41)의 걸어맞춤 볼록부(41f)는 밸브보디(3)의 걸어맞춤 오목부(44)보다도 약간 프런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후에 상술하는 긴급브레이크시에는, 밸브 플런저(14) 및 입력축(28)이 밸브보디(3) 및 홀더(11)에 대하여 프런트측으로 소정 스트로크 이상 이동되므로, 밸브 플런저(14)의 소직경부(11b)보다 리어측의 계단부(14d)가 레버부재(41)에 있어서 원통부(41a)의 리어측 단부에 맞닿아서, 그곳을 프런트측을 향해서 압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홀더(11)의 리어측 단부(11c)를 회전운동 중심으로 하여, 레버부재(41)의 반경방향부(41c)와 그것보다도 외방측의 부분이 리어측으로 향해서 후퇴하고, 그것에 따라서 통형상부재(21)가 밸브보디(3)에 대하여 리어측으로 후퇴된다. 또한, 이것에 따라서, 레버부재(41)의 걸어맞춤 볼록부(41f)가 밸브보디(3)의 걸어맞춤 오목부(44)에 걸어맞춤한다. 이것에 의해, 통형상부재(21)에 설치된 제 2 진공밸브시트(18)가 제 1 시트부(S1)에 착석한 상태에서 밸브체(24)를 리어측으로 후퇴시킨다. 이것에 의해, 대기밸브(33)가 통상 작동시보다도 크게 개방되어, 대기가 변압실(B)에 신속히 도입되고, 브레이크 배력장치(1)는 신속하게 큰 출력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작동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가 해제되면, 입력축(28) 및 밸브 플런저(14)가 후퇴하고, 키부재(38)가 셸(2)의 벽면(2c)에 맞닿음하여 정지한다. 또한 이것에 의해, 통형상부재(21) 및 밸브 플런저(14)가 도시한 비작동위치로 복귀하는데, 그것보다 늦게 밸브보디(3)가 후퇴하여, 변압통로(34)의 프런트측의 단면이 키부재(38)에 맞닿아서 밸브보디(3)가 정지하여 비작동위치로 복귀한다. 이때에, 통형상부재(21)는 밸브보디(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프런트측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되므로, 통형상부재(21)에 맞닿음한 레버부재(41)의 외방부분이 프런트측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레버부재(41)의 걸어맞춤 볼록부(41f)가 걸어맞춤 오목부(44)에서 이탈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형상부재(21)와 키부재(38)에 의해, 상기 레버부재(41)에 의한 통형상부재(21)의 유지상태를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비작동상태에서는, 키부재(38)가 셸(2)의 리어측의 벽면(2c)에 맞닿음되어 있다. 또 한, 이 키부재(38)에 변압통로(34)의 프런트측의 단면이 맞닿음하므로써 밸브보디(3)가 정지되어 있고, 더욱이 통형상부재(21)에 형성된 반경방향 구멍(21b)의 프런트측의 단면 및 밸브 플런저(14)에 있어서 걸어맞춤부(14b)의 프런트측의 단면도 키부재(38)에 맞닿음하여 통형상부재(21) 및 밸브 플런저(14)가 정지되어 있다.
이 비작동상태에서는, 대기밸브시트(22)에 밸브체(24)의 제 2 시트부(S2)가 착석하여 대기밸브(33)는 폐쇄되어 있다. 한편, 키부재(38)에 맞닿음한 통형상부재(21)에 의해 레버부재(41)에 있어서 걸어맞춤 볼록부(41f)는, 밸브보디(3)의 걸어맞춤 오목부(44)에서 이탈하여 그 프런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때, 레버부재(41)의 내주부로 되는 원통부(41a)의 리어측 단부는, 밸브 플런저(14)의 계단부(14d)에서 이석되어 있다. 그 때문에, 통형상부재(21)에 설치된 제 2 진공밸브시트(18)는, 제 1 진공밸브시트(17)보다 약간 프런트측으로 위치하여 있고, 그들 양 진공밸브시트(17,18)는 밸브체(24)의 제 1 시트부(S1)에서 이석되어 진공밸브(31)는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각 실(A,B)이 서로 연통하고, 각 실(A,B)내에 부압이 도입되어 있다. 또한, 이 비작동상태에서는, 리액션 디스크(13)의 리어측의 단면과 플레이트 플런저(14a)가 약간 이격되어 있다.
(통상의 완만한 브레이크 밟기시의 작동설명)
상기 비작동상태에서 도시하지않은 브레이크 페달이 완만하게 밟히면, 그것에 연동하여 입력축(28) 및 밸브 플런저(14)도 완만하게 전진된다. 그 때문에, 밸브체(24)의 제 1 시트부(S1)가 밸브보디(3)의 제 1 진공밸브시트(17)에 착석하여 진공밸브(31)가 폐쇄되는 한편, 대기밸브시트(22)가 밸브체(24)의 제 2 시트부(S2)에서 이석되어 대기밸브(33)가 개방된다. 또한, 이때, 밸브 플런저(14)는 완만하게 전진되므로, 밸브 플런저(14)의 계단부(14d)는 레버부재(41)의 원통부(41a)와는 맞닿지 않고, 레버부재(41)의 걸어맞춤 볼록부(41f)는 밸브보디(3)에 대하여 이동되지않는다. 이와같이 하여, 진공밸브(31)가 폐쇄되는 한편, 대기밸브(33)가 개방되므로, 변압통로(34)를 통해서 변압실(B)내에 대기가 도입된다.
따라서, 정압실(A)내의 부압과 변압실(B)내의 대기의 차압에 의해, 밸브보디(3)나 출력축(15) 등이 프런트측을 향해서 전진된다. 이와같이 하여, 브레이크 배력장치(1)가 작동되면, 출력축(15)에 작용하는 출력의 반력에 의해 리액션 디스크(13)가 리어측으로 팽출되므로, 이 리액션 디스크(13)의 단면과 플레이트 플런저(14a)가 맞닿게 된다. 그 시점에서 출력축(15)에 작용하는 출력의 반력이 리액션 디스크(13)를 통해서 밸브 플런저(14), 입력축(28) 및 도시하지않은 브레이크 페달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이 통상의 완만한 브레이크 작동시에 있어서는, 밸브 플런저(14)는 밸브보디(3)에 대하여 크게 전진하지않으므로, 밸브 플런저(14)의 계단부(14d)가 레버부재(41)의 원통부(41a)에 맞닿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통형상부재(21)가 밸브보디(3)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전퇴운동하는 일은 없고, 따라서, 양 진공밸브시트(17,18)의 위치관계는, 도 2에 도시한 비작동시와 동일한 상태이고, 또한, 제 1 진공밸브시트(17)에 밸브체(24)의 제 1 시트부(S1)가 착석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작동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가 해제되면, 밸브 플런저(14) 및 입력축(28)이 리어측으로 후퇴하면, 키부재(38)가 셸(2)의 벽면(2c)에 맞닿아서 정지한다. 이 후, 키부재(38)에 밸브보디(3)의 변압통로(34)의 프런트측 단면 및 통형상부재(21)의 반경방향 구멍(21b)의 프런트측 단면이 맞닿으므로, 밸브보디(3) 및 통형상부재(21)도 도시한 비작동위치로 복귀한다.
(긴급브레이크시의 작동설명)
다음에,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비작동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이 급격히 밟히게되면, 먼저, 밸브체(24)의 제 1 시트부(S1)가 제 1 진공밸브시트(17)에 착석하여 진공밸브(31)가 폐쇄되는 한편, 대기밸브시트(22)가 밸브체(24)의 제 2 시트부(S2)에서 이석하여 대기밸브(33)가 개방된다. 이것에 의해, 변압실(B)에 대기가 도입되므로, 밸브보디(3)가 전진되어 브레이크 배력장치(1)가 작동된다. 이 때,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속도에 대하여 리액션 디스크(13)를 경유한 밸브 플런저(14)로의 반력의 전달은 늦어지므로, 그 분량만큼 밸브 플런저(14)는 상기 완만한 브레이크작동시에 비교하여 밸브보디(3)에 대하여 크게 전진한다.
이것에 의해, 밸브 플런저(14)가 밸브보디(3)에 대하여 소정 스트로크 이상 전진하면, 밸브 플런저(14)의 계단부(14d)가 레버부재(41)의 원통부(41a)에 맞닿아서, 그의 원통부(41a)를 전진시킨다. 그 때문에, 레버부재(41)에 있어서 반경방향부(41c), 맞닿음부(41d) 및 걸어맞춤 볼록부(41f)가, 홀더(11)의 리어측 단부(11c)를 회전운동 지점으로 하여 리어측으로 후퇴한다. 그러면, 통형상부재(21)는 스프링(42)에 저항하여 밸브보디(3)에 대하여 리어측으로 후퇴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진공밸브시트(17)에 착석하고 있는 밸브체(24)에 제 2 진 공밸브시트(18)가 착석하여, 밸브체(24)를 제 1 진공밸브시트(17)에서 이석시킴과 동시에, 밸브체(24)를 리어측으로 이동하게 한다. 그 때문에, 대기밸브(33)의 밸브개방량(대기밸브시트(22)와 제 2 시트부(S2)의 이격량)이 크게 된다. 그리고, 이 때에는, 레버부재(41)의 걸어맞춤 볼록부(41f)가 밸브보디(3)의 걸어맞춤 오목부(44)에 걸어맞춤하므로, 통형상부재(21)는 밸브보디(3)에 대하여 소정 스트로크 후퇴한 위치에 유지되고, 밸브체(24)의 제 1 시트부(S1)가 제 2 진공밸브시트(18)에 착석한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대기밸브시트(22)는 통상 작동시보다도 크게 개방되어, 변압실(B)에 대기가 신속하게 도입되어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출력은 신속하게 상승한다. 이 출력의 반력에 의해 리액션 디스크(13)가 리어측으로 팽출하여 플레이트 플런저(14a)에 맞닿음하여 밸브 플런저(14)를 리어측으로 눌러 되돌리는데, 밸브 플런저(14)의 대기밸브시트(22)가 밸브체(24)의 제 2 시트부(S2)에 착석할 때까지의 리액션 디스크(13)의 팽출량이 통상 작동시보다도 크게 되므로, 그 분량만큼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출력이 크게 된다. 그 때문에, 브레이크 페달의 급격한 밟기에 즉시 응답하여 큰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출력을 신속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긴급작동시에는, 그 후에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력이 저하하는 등의 이유에 의해, 밸브 플런저(14)가 약간 리어측으로 복귀되는데, 이 경우에도 상기 유지수단으로써의 레버부재(41)의 걸어맞춤 볼록부(41f)가 걸어맞춤 오목부(44)에 걸어맞춤한 상태로 유지되므로, 통형상부재(21)나 밸브체(24)는, 상기 상태에 유지된다.
(해방시의 설명)
다음에, 상기 긴급작동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가 해제되면, 밸브 플런저(14) 및 입력축(28)이 후퇴되므로, 대기밸브시트(22)가 밸브체(24)의 제 2 시트부(S2)에 착석하여 대기밸브(33)가 폐쇄되는 한편, 제 2 진공밸브시트(18)는 밸브체(24)의 제 1 시트부(S1)에서 이석하여 진공밸브(31)는 개방된다. 이것에 의해, 변압실(B)내의 대기는 정압실(A)측으로 배출되고, 밸브보디(3) 및 파워피스톤(5)이 비작동위치를 향해서 후퇴한다.
그러면, 먼저, 키부재(38)가 셸(2)의 리어측의 벽면(2c)에 맞닿음하여 그 위치에 정지하고, 그 키부재(38)에 맞닿음하는 밸브 플런저(14) 및 통형상부재(21)도 그 이상은 후퇴하지 않고, 그 위치에 정지한다. 한편, 밸브보디(3) 및 파워피스톤(5)은, 그 후 더 변압통로(34)의 프런트측의 단면이 상기 키부재(38)에 맞닿음하기까지 후퇴한다. 그것에 따라서, 정지상태의 통형상부재(21)에 대하여 밸브보디(3)가 리어측으로 상대적으로 후퇴하는 것으로 되므로, 레버부재(41)에 있어서 맞닿음부(41d) 및 걸어맞춤 볼록부(41f)가 밸브보디(3)에 대하여 프런트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되고, 이것에 의해, 걸어맞춤 볼록부(41f)가 밸브보디(3)의 걸어맞춤 오목부(44)에서 이탈하여 도 2에 도시하는 비작동상태로 복귀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긴급브레이크시에 있어서 신속하고 커다란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 일반의 브레이크 배력장치(1)에 통형상부재(21)나 레버부재(41), 스프링(42)을 추가하는 정도의 간단한 구조에 의 해, 긴급브레이크시에도 출력을 신속하게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한 브레이크 배력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그와같이 간단한 구성이기 때문에, 긴급브레이크시에 있어서도 신뢰성이 높은 브레이크 배력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레버부재(41)에 걸어맞춤 볼록부(41f)를 형성하고, 밸브보디(3)의 내주면에 걸어맞춤 오목부(44)로서의 환상홈을 형성하고 있었는데, 레버부재(41)측에 걸어맞춤 오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밸브보디(3)측에 걸어맞춤 볼록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제 2 실시예의 설명)
다음에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레버부재(41)와 걸어맞춤 오목부(44)대신에 볼(151)과 원통형상의 유지부재(152)와 그외를 설치한 것이다. 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대응하는 부재에는 각각 100을 가산한 부재번호를 붙이고 있다.
즉, 이 제 2 실시예의 홀더(111)는, 그 소직경부(111b)를 축방향 리어측으로 신장시키고 있고, 이 소직경부(111b)와 밸브보디(103)의 내주면 사이에 원통형상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 공간부내에 원통형상의 원통부재(121)를 배치하고, 이 원통부재(121)의 내주부를 상기 소직경부(111b)에 미끄럼운동 자유로이 끼워 장착함과 동시에, 통형상부재(121)에 있어서 리어측의 외주부를 밸브보디(103)의 내주면에 미끄럼운동 자유로이 끼워맞춤하고 있다.
통형상부재(121)의 외주부에 형성된 환상돌기(121e)와 홀더(111)의 계단부 단면에 걸쳐서 스프링(142)을 탄성 장착하고 있고, 이 스프링(142)에 의해 통형상부재(121)는 항상 리어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밸브보디(103)의 내주부에는, 상기 통형상부재(121)의 환상돌기(121e)의 리어측에 그것과 대향시켜서 계단부 단면(103a)을 형성하고 있고, 이 계단부 단면(103a)에 의해 밸브보디(103)에 대하여 통형상부재(121)가 리어측으로 이동된 때의 후퇴단을 규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 통형상부재(121)의 리어측의 단부를 제 2 진공밸브시트(118)로 하고 있다. 또한, 통형상부재(121)의 내주부에 있어서 축방향 소정위치에, 볼(151)과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 오목부로서의 환상홈(121d)을 형성하고 있다. 이 환상홈(121d)의 양단면은, 그들의 내방측의 가장자리부의 간격이 최대로 되도록 경사시킨 경사면으로 하고있다.
한편, 홀더(111)의 소직경부(111b)에는 축방향 소정위치에 있어서 원주방향 등간격위치에 복수의 반경방향 구멍(111d)을 뚫어 설치하고 있고, 그들 각 반경방향 구멍(111d)에 각각 볼(151)을 헐거운 끼워맞춤을 하고 있다. 볼(151)은 금속제이고, 그 구경은, 반경방향 구멍(111d)을 형성한 개소의 소직경부(111b)의 두께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하고 있다. 각 볼(151)은 그들을 수납한 반경방향 구멍(111d)을 따라서 반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홀더(111)의 소직경부(111b)에 있어서 리어측의 개소에는, 변압통로(134)의 위치에 맞추어 반경방향의 관통구멍(111e)을 뚫어 설치하고 있고, 거기에 키부재(138)를 끼워 통과시키고 나서 밸브 플런저(114)의 걸어맞춤부(114b)에 걸어맞춤시키고 있다.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밸브 플런저(114)에 있어서 소직경부(114c)의 축방향 치수를 상기 제 1 실시예의 것의 2배정도로 크게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키부재(138)보다도 프런트측으로 되는 소직경부(111b)내와 밸브 플런저(114) 사이의 공간부내에 유지부재(152)를 배치하고 있다.
이 유지부재(152)의 프런트측의 내주부는 내경을 작게 한 소직경부(152c)로 하고 있고, 리어측의 내주부는 프런트측의 소직경부(152c)보다도 대직경의 대직경부(152a)로 하고 있고, 그것에 의해 리어측을 향한 계단부 단면(152b)을 형성하고 있다.
이 유지부재(152)의 외주부를 홀더(111)의 소직경부(111b)의 내주부에 미끄럼운동 자유로이 끼워맞춤함과 동시에, 이 유지부재(152)의 소직경부(152c)를 밸브 플런저(114)의 소직경부(114c)의 외방으로 위치시켜서 그곳을 포위함과 동시에, 소직경부(114c)보다도 리어측의 외주부를 유지부재(152)의 대직경부(152a)로 포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유지부재(152)의 계단부 단면(152b)과 밸브 플런저(114)의 소직경부(114c)보다 리어측의 계단부(114d)를 대향시키고 있다. 이 유지부재(152)와 홀더(111)에 걸쳐서는 스프링(153)을 탄성장착하고 있으므로, 유지부재(152)는 항상 리어측을 향해서 가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반경방향 구멍(111d)내의 볼(151)은, 외방측에 위치하는 통형상부재(121)의 내주면과 내방측에 위치하는 유지부재(152)의 외주면에 의해 반경방향 구멍(111d)에서 탈락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더욱이, 유지부재(152)의 외주면의 축방향 소정위치에, 볼(151)과 걸어맞춤가능한 걸어맞춤 오목부로서의 환상홈(152d)을 형성하고 있다. 이 환상홈(152d)의 양단면은, 그들의 외방측의 가장자리부의 간격이 최대로 되도록 경사시킨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브레이크 배력장치(101)의 비작동상태에 있어서는, 키부재(138)에 밸브보디(103), 통형상부재(121), 유지부재(152) 및 밸브 플런저(114)가 맞닿아 있고, 통형상부재(121)의 제 2 진공밸브시트(118)는 밸브보디(103)의 제 1 진공밸브시트(117)보다도 프런트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스프링(153)으로 가압된 유지부재(152)의 외주면에 의해 볼(151)은 외방측으로 가압되고, 볼(151)의 일부가 반경방향 구멍(111d)에서 외방측으로 돌출하여, 통형상부재(121)의 환상홈(121d)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브레이크 페달이 급격히 밟혀지는 긴급작동시에는, 밸브 플런저(114)도 급격히 전진됨에 따라, 밸브 플런저(114)의 계단부(114d)가 유지부재(152)의 계단부 단면(152b)에 맞닿고, 유지부재(152)를 홀더(111) 및 밸브보디(103)에 대하여 프런트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통형상부재(121)도 스프링(142)의 탄발력에 의해 리어측으로 이동하여 볼(151)은 환상홈(121d)의 프런트측의 경사면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유지부재(152)의 환상홈(152d)의 축방향 전역이 반경방향 구멍(111d)과 완전히 중합하는 위치에 위치하므로, 볼(151)은 환상홈(121d)의 프런트측의 경사면을 통해서 가해지는 스프링(142)의 탄발력에 의해 반경방향 내방측을 향해서 이동되고, 볼(151)의 일부가 반경방향 구멍(111d)의 내방측의 단부에서 돌출하고, 상기 환상홈(152d)의 경사면을 전동하여 환상홈(152d)과 걸어맞춤한다.
이것에 의해, 반경방향 구멍(111d)에서 외방으로 돌출하고 있던 볼(151)의 일부는 반경방향 구멍(111d)내로 출몰하기 때문에, 스프링(142)의 탄발력에 의해 통형상부재(121)가 밸브보디(103) 및 홀더(111)에 대하여 리어측으로 이동하고, 환상돌기(121e)가 밸브보디(103)의 계단부 단면(103a)에 맞닿음하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정지한다(도 7 내지 도 10참조). 따라서, 제 1 진공밸브시트(117)에 착석하고 있는 밸브체(124)에 대하여, 리어측으로 이동하는 통형상부재(121)의 제 2 진공밸브시트(118)가 착석하고, 더욱이 밸브체(124)는 제 1 진공밸브시트(117)에서 이석하여 리어측으로 눌려 되돌아 가는 것으로 되고, 대기밸브(133)는 통상 작동시보다도 크게 개방된다. 이것에 의해, 대기가 변압실(B)에 신속히 도입되고, 브레이크 배력장치(101)는 신속하게 큰 출력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긴급시의 작동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가 해제되면, 비작동위치로 후퇴하는 밸브 플런저(14)에 걸어맞춤하는 키부재(138)가 셸(2)의 리어측의 벽면(102c)에 맞닿아서 정지하고, 다음에, 그 키부재(138)에 유지부재(152)의 리어측의 단부가 맞닿음함과 동시에 통형상부재(121)의 반경방향 구멍(121b)의 프런트측 단면이 맞닿음하여 통형상부재(121)도 정지한다.
이 후, 더욱이 리턴스프링(108)에 의해 밸브보디(103)가 후퇴하므로, 통형상부재(121)는 상대적으로 밸브보디(103) 및 홀더(111)에 대하여 프런트측으로 이동된 것으로 되고, 통형상부재(121)의 환상홈(121d)의 축방향 전역이 홀더(111)의 반 경방향 구멍(111d)과 중합한다. 그 때문에, 스프링(153)으로 가압된 유지부재(152)의 환상홈(152d)의 경사면에 의해 볼(151)이 외방측으로 압출되고, 계속 환상홈(152d)의 프런트측의 외주면에 의해 볼(151)이 외방으로 압출된다. 이것에 의해, 각 볼(151)의 일부가 반경방향 구멍(111d)의 외방으로 돌출하고 통형상부재(121)의 환상홈(121d)내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비작동상태로 복귀하도록 되어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이해될 수 있는 바와같이, 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형상부재(121), 유지부재(152), 스프링(142,153) 및 볼(151)에 의해 유지수단을 구성하고 있고, 또한, 통형상부재(121), 유지부재(152), 스프링(142,153) 및 밸브 플런저(114)와 키부재(138)에 의해 해제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므로,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비작동시의 설명)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브레이크 배력장치(101)의 비작동상태에 있어서는, 키부재(138)는 셸(102)의 벽면(102c)에 맞닿아서 정지하고 있고, 또한, 밸브보디(103), 통형상부재(121), 유지부재(152) 및 밸브 플런저(114)도 키부재(138)에 맞닿아서 정지하고 있다. 스프링(153)으로 가압된 유지부재(152)의 외주면에 의해 볼(151)은 외방측으로 가압되어 있고, 그 볼(151)의 일부가 반경방향 구멍(111d)에서 외방측으로 돌출하여 통형상부재(121)의 환상홈(121d)내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통형상부재(121)에 설치된 제 2 진공밸브시트(118)는, 제 1 진공밸브시트(117)보다도 약간 프런트측에 위치하여 있고, 그들 양 진공밸브시트(117,118)는 밸브체(124)의 제 1 시트부(S1)에서 이석하여 진공밸브(131)는 개방되어 있다. 한편, 대기밸브시트(122)에 밸브체(124)의 제 2 시트부(S2)가 착석하여 대기밸브(133)는 폐쇄되어 있다.
따라서, 각 실(A,B)이 서로 연통하고, 각 실(A,B)내에 부압이 도입되고 있다. 또한, 이 비작동상태에서는, 리액션 디스크(113)의 리어측의 단면과 거기에 대향하는 플레이트 플런저(114a)가 약간 이격되어 있다. 더욱이, 유지부재(152)의 계단부 단면(152b)과 거기에 대향하는 밸브 플런저(114)의 계단부(114d)도 이격되어 있다.
(완만한 브레이크 밟기시의 작동설명)
상기 비작동상태에서 도시되지않은 브레이크 페달이 완만하게 밟히면, 거기에 연동하여 입력축(128) 및 밸브 플런저(114)도 완만하게 전진된다. 그 때문에, 밸브체(124)의 제 1 시트부(S1)가 제 1 진공밸브시트(117)에 착석하여 진공밸브(131)가 폐쇄되는 한편, 대기밸브시트(122)가 밸브체(124)의 제 2 시트부(S2)에서 이격하여 대기밸브(133)가 개방된다. 또한, 이 때, 유지부재(152)는, 스프링(153)의 탄발력에 의해 밸브 플런저(114)에 맞닿음과 동시에, 통형상부재(121)도 스프링(142)의 탄발력에 의해 후퇴하여 볼(151)이 통형상부재(121)의 환상홈(121d)의 프런트측의 경사면에 맞닿게 된다. 그러나, 밸브 플런저(114)는 완만하게 전진되므로, 밸브 플런저(114)의 계단부(114d)가 유지부재(152)의 계단부 단면(152b)에 맞닿아도, 유지부재(152)가 홀더(111)에 대하여 프런트측으로 이동되는 거리는 작다. 그 때문에, 유지부재(152)의 환상홈(152d)이 홀더(111)의 소직경부(111b)의 반경방향 구멍(111d)에 중합하는 위치가 되지않고, 볼(151)은 통형상부재(121)의 환상홈(121d)내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여, 통형상부재(121)가 밸브보디(103)에 대하여 이동되는 일은 없다.
이와같이 하여, 진공밸브(131)가 폐쇄되는 한편, 대기밸브(133)가 개방되므로, 변압통로(134)를 통해서 변압실(B)내에 대기가 도입된다. 따라서, 정압실(A)내의 부압과 변압실(B)내의 대기의 차압에 의해, 밸브보디(103)나 출력축(115) 등이 프런트측으로 향해서 전진된다.
이와같이 하여, 브레이크 배력장치(101)가 작동되면, 출력축(115)에 작용하는 출력의 반력에 의해 리액션 디스크(113)가 리어측으로 팽출되므로, 이 리액션 디스크(113)의 단면과 플레이트 플런저(114a)가 맞닿게 된다. 그 시점에서 출력축(115)에 작용하는 출력의 반력이 리액션 디스크(113)를 통해서 밸브 플런저(114), 입력축(128) 및 도시하지않은 브레이크 페달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이 통상의 완만한 브레이크작동시에 있어서는, 밸브 플런저(114)는 밸브보디(103) 및 홀더(111)에 대하여 크게 전진하지 않으므로, 볼(151)이 유지부재(152)의 환상홈(152d)에 걸어맞춤하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통형상부재(121)가 밸브보디(103)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진퇴운동하는 일은 없고, 따라서, 양 진공밸브시트(117,118)의 위치관계는, 도 6에 도시한 비작동시와 동일한 상태이고, 또 한, 제 1 진공밸브시트(117)에 밸브체(124)의 제 1 시트부(S1)가 착석하고 있다.
그리고, 이 작동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가 해제되면, 밸브 플런저(114) 및 입력축(128)이 후퇴하고, 밸브 플런저(114)에 걸어맞춤한 키부재(138)가 셸(102)의 리어측의 벽면(102c)에 맞닿음하여 정지하고, 계속해서 통형상부재(121)의 반경방향 구멍(121b)의 프런트측의 단면과 유지부재(152)의 리어측 단부가 키부재(138)에 맞닿음하여 정지함과 동시에, 밸브보디(103)도 키부재(138)에 맞닿음하여 도시한 비작동위치로 복귀한다.
(긴급작동시의 설명)
이것에 대하여, 브레이크 페달이 급격히 밟혀지는 긴급작동시에는, 밸브체(124)의 제 1 시트부(S1)가 제 1 진공밸브시트(117)에 착석하여 진공밸브(131)가 폐쇄되는 한편, 대기밸브시트(122)가 밸브체(124)의 제 2 시트부(S2)에서 이석되어 대기밸브(133)가 개방된다. 밸브플런저(114)가 급격히 전진되는 것에 대하여, 리액션 디스크(113)에서 플레이트 플런저(114a)로의 반력의 전달이 늦어지므로, 밸브 플런저(114)는 밸브보디(103) 및 홀더(111)에 대하여 프런트측으로 소정 스트로크이상 크게 전진된다(도 8 참조).
그 때문에, 밸브 플런저(114)에 맞닿음한 유지부재(152)도 홀더(111)에 대하여 크게 전진되어, 유지부재(152)의 환상홈(152d)의 축방향 전역이 반경방향 구멍(111d)과 완전히 중합한다(도 9 참조). 그것과 동시에, 스프링(142)의 탄발력에 의해 통형상부재(121)가 리어측으로 후퇴하여, 볼(151)이 환상홈(121d)의 프런트측의 경사면에 걸어맞춤하고, 이 경사면을 통해서 가해지는 스프링(142)의 탄발 력에 의해 볼(151)은 내방측을 향해서 이동되고, 그 일부가 반경방향 구멍(111d)의 내방측의 단부에서 돌출하여, 상기 환상홈(152d)의 경사면을 전동하여 환상홈(152d)과 걸어맞춤한다. 이것에 의해, 반경방향 구멍(111d)에서 외방으로 돌출한 볼(151)의 일부는 반경방향 구멍(111d)내로 출몰하기 때문에, 스프링(142)의 탄발력에 의해 통형상부재(121)가 밸브보디(103) 및 홀더(111)에 대하여 리어측으로 이동하고, 환상돌기(121e)가 밸브보디(103)의 계단부 단면(103a)에 맞닿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정지한다(도 9 내지 도 10 참조).
이것에 의해, 제 1 진공밸브시트(117)에 착석한 밸브체(124)에 대하여 제 2 진공밸브시트(118)가 착석된 후, 밸브체(124)가 제 1 진공밸브시트(117)에서 이석함과 동시에 밸브보디(103)에 대하여 후퇴한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대기밸브(133)는 통상작동도다 크게 개방되어, 변압실(B)에 대기가 신속히 도입되어 브레이크 배력장치(101)의 출력은 신속히 상승한다. 이 출력의 반력에 의해 리액션 디스크(113)가 리어측으로 팽출하여 플레이트 플런저(114a)에 맞닿아서, 밸브 플런저(114)를 리어측으로 눌러 되돌리는데, 밸브 플런저(14)의 대기밸브시트(122)가 밸브체(124)의 제 2 시트부(S2)에 착석하기 까지의 리액션 디스크(113)의 팽출량이 통상 작동시보다도 크게 되므로, 그 분량만큼 브레이크 배력장치(101)의 출력이 크게 된다. 이와같이, 이 제 2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긴급작동시에 큰 출력을 신속하게 얻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작동상태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력이 약간 완만해져도, 통형상부재(121)의 환상돌기(121e)가 밸브보디(103)의 계단부 단면(103a)에 맞닿은 상태로 유지되므로, 통형상부재(121)나 밸브체(124)는 상기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긴급시의 작동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가 해제되면, 비작동위치로 후퇴하는밸브 플런저(114)에 걸어맞춤하는 키부재(138)가, 셸(102)의 리어측의 벽면(102c)에 맞닿아서 정지하고, 다음에, 그 키부재(138)에 유지부재(152)의 리어측의 단부가 맞닿음과 동시에 통형상부재(121)의 반경방향 구멍(121b)의 프런트측의 단면이 맞닿음하여 통형상부재(121)도 정지한다.
이 후, 더욱이 리턴스프링(108)에 의해 밸브보디(103)가 후퇴하여 키부재(138)에 맞닿으므로, 통형상부재(121)는 상대적으로 밸브보디(103) 및 홀더(111)에 대하여 프런트측으로 이동된 것으로 되고, 통형상부재(121)의 환상홈(121d)의 축방향 전역이 홀더(111)의 반경방향 구멍(111d)과 중합한다. 그 때문에, 스프링(153)으로 가압된 유지부재(152)의 환상홈(152d)의 경사면에 의해 볼(151)이 외방측으로 압출되고, 계속 환상홈(152d)의 프런트측의 외주면에 의해 볼(151)이 외방으로 압출된다. 이것에 의해, 각 볼(151)의 일부가 반경방향 구멍(111d)의 외방으로 돌출하여 통형상부재(121)의 환상홈(121d)내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비작동상태에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명확하다.
(제 3 실시예)
다음에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제 3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보디(3)의 내주부의 제 1 진공밸브시트(17) 를 삭제하고, 통형상부재(221)의 리어측의 단부만을 진공밸브시트(218)로 한 것이다. 그리고, 브레이크 배력장치(201)의 비작동시에 있어서는, 이 진공밸브시트(218)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제 1 진공밸브시트(17)를 설치한 밸브보디(3)의 내주부의 계단부보다도 리어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제 1 실시예와 대응하는 부재에는 각각 200을 가산한 부재번호를 붙였다.
이 제 3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브레이크 배력장치(201)의 비작동상태에서, 도시하지않은 브레이크 페달이 완만하게 밟히면, 입력축(228) 및 밸브 플런저(214)가 전진하여 밸브체(224)의 제 1 시트부(S1)가 통형상부재(221)의 진공밸브시트(218)에 착석하여 진공밸브시트(231)가 폐쇄되고, 한편, 밸브 플런저(214)의 대기밸브시트(222)가 밸브체(224)의 제 2 시트부(S2)에서 이석하여 대기밸브(233)가 개방된다. 그 이후의 작동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이 급격히 밟혀지는 긴급작동시에는, 입력축(228) 및 밸브 플런저(214)가 전진하여 밸브체(224)가 진공밸브시트(218)에 착석하고, 대기밸브시트(222)가 밸브체(224)에서 이석하여 브레이크 배력장치(201)가 작동한다. 그 때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밸브 플런저(214)가 밸브보디(203)에 대하여 소정 스트로크이상 스트로크하므로, 레버부재(241)의 원통부(241a)에 밸브 플런저(214)의 계단부(214d)가 맞닿아서 레버부재(241)가 회전운동하여 통형상부재(221)를 밸브보디(203)에 대하여 리어측으로 후퇴시킨다. 이것에 의해 통형상부재(221)의 진공밸브시트(218)에 착석하고 있는 밸브체(224)는 밸브보디(203)에 대하여 후퇴하 고, 레버부재(241)의 걸어맞춤 볼록부(241f)가 밸브보디(203)의 걸어맞춤 오목부(244)에 걸어맞춤한 위치에 유지된다. 그 이후의 작동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긴급작동시에 있어서, 브레이크 배력장치(201)는 큰 출력을 신속하게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긴급작동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가 해제된 경우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비작동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이 제 3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밸브보디(3)의 제 1 진공밸브시트(17)를 삭제한 것인데, 이것과 동일하게 상기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보디(103)의 제 1 진공밸브시트(117)를 삭제하고, 통형상부재(121)에 설치된 진공밸브시트(118)만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4 실시예)
다음에,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단적으로 말하면, 이 제 4 실시예는, 상기 도 6에 도시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볼(151), 유지부재(152) 및 스프링(153)을 삭제하고, 그 대신에 통형상 탄성부재(361)를 설치함과 동시에 통형상부재(321)와 그 주변을 개량한 것이다.
즉, 이 실시예에 있어서 통형상부재(321)는, 그 리어측의 외주부를 대직경부(321A)로 하고 있고, 이 대직경부(321A)를 밸브보디(303)의 내주부에 미끄럼운동 자유로이 끼워맞추고 있다. 이 대직경부(321A)의 리어측의 단부를 상기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 2 진공밸브시트(318)로 함과 동시에, 대직경부(321A)의 외주부에 장착한 실링부재(343)에 의해, 밸브보디(303)의 내주면과 대직경부(321A)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고 있다.
통형상부재(321)에 있어서 대직경부(321A)보다도 프런트측의 외주부에, 개략 원통형상을 한 통형상 탄성부재(361)를 끼워 장착하고 있다. 이 통형상 탄성부재(361)의 리어측의 단부는, 반경방향 외방으로 뻗은 플랜지부(361a)로 하고 있고, 그 플랜지부(361a)를 상기 대직경부(321A)의 프런트측의 단면에 프런트측에서 맞닿게 하고있다. 또한, 이 상태의 플랜지부(361a)와 거기에 대향하는 밸브보디(303)의 계단부 단면에 걸쳐서 스프링(342)을 탄성 장착하고 있으므로, 통형상부재(321) 및 통형상 탄성부재(361)는 일체로 되어 밸브보디(303)에 대하여 항상 리어측을 향해서 가압되어 있다.
통형상 탄성부재(361)에 있어서 축방향의 프런트측의 단부(361b)에는, 원주방향 복수개소에 축방향으로 뻗은 절결부를 형성하고 있고, 또한, 그들 절결부의 축방향 리어측으로 되는 개소를 직경 확대하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통형상 탄성부재(361)의 프런트측의 단부(361b)는 판스프링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고, 이 프런트측의 단부(361b)에 의해 통형상부재(321)에 있어서 프런트측의 외주부를 반경방향 안쪽을 향해서 가압되어 있다. 통형성 탄성부재(361)에 있어서 축방향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키부재(338)를 삽통하게 하기위한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통형상부재(321)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그 프런트측의 단부에는, 원주방향 복수개소에 축방향으로 뻗는 절결부를 형성하고 있고, 그것 에 의해 원주방향 복수개소에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한 변형부(321B)를 형성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이들의 변형부(321B)는, 상기 통형상 탄성부재(361)의 프런트측의 단부(361b)에 의해 반경방향 안쪽을 향해서 가압되어 있다.
각 변형부(321B)에 있어서 프런트측의 단부의 안쪽에는, 안쪽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걸어맞춤부(321C)를 형성하고 있다. 걸어맞춤부(321C)는 축방향의 단면형상이 삼각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리어측에 반경방향으로 뻗는 계단부 단면을 가짐과 동시에, 그것보다도 프런트측으로 45도 경사된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홀더(311)는, 상기 제 2 실시예와 비교하여 소직경부(311b)의 축방향치수를 짧게 하고 있다. 이 소직경부(311b)의 외주부에는, 소정폭의 걸어맞춤 오목부로서의 환상홈(311f)을 형성함과 동시에, 소직경부(311b)의 내주의 리어측에 반경방향부(311g)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통형상부재(321)의 각 변형부(321B)를 상기 홀더(311)의 외주부에 리어측에서 끼워장착하고, 또한 각 걸어맞춤부(321C)를 상기 홀더(311)의 환상홈(311f)에 걸어맞춤시키고 있다. 이 상태는 통형상부재(321)가 밸브보디(303)에 대하여 가장 프런트측에 유지된 상태이고, 이 통형상부재(321)의 리어측 단부에 설치된 제 2 진공밸브시트(318)는, 인접 외방위치의 제 1 진공밸브시트(317)보다도 약간 프런트측에 위치하고 있다.
통형상부재(321)에 있어서 내주부의 프런트측에는 환상 계단부(321D)를 형성하고 있고, 이 환상 계단부(321D)의 내주면은, 프런트측을 소직경으로 함과 동시에 리어측을 대직경으로 하고 있고, 그들의 경계부를 리어측이 직경확대되는 테이퍼면(321F)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밸브 플런저(314)는, 계단부(314d)에 있어서 외주부를 면따기하고 있고, 거기에 프런트측이 직경축소되는 테이퍼면(314e)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밸브 플런저(314)의 소직경부(314c)를 홀더(311)의 반경방향부(311g)의 내주면에 미끄럼운동 자유로이 관통하게 되어 있고, 또한, 이 소직경부(314c)의 프런트측의 단면을 플런저 플레이트(314a)에 맞닿게 하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제 2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이 제 4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실시예와 대응하는 부재에 각각 200을 가산한 부재번호를 붙이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같이, 통상의 브레이크작동시에 있어서는, 입력축(328) 및 밸브 플런저(314)는 밸브보디(303)에 대하여 소정 스트로크보다도 작은 양밖에 전진하지않으므로, 이 때에는 상기 밸브 플런저(314)의 테이퍼면(314e)은, 통형상부재(321)의 테이퍼면(321F)과 대향하는데 맞닿지않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통형상부재(321)의 변형부(321B)가 직경확대되는 일없이, 걸어맞춤부(321C)는 환상홈(311f)에 걸어맞춤한채로 되고, 따라서, 통형상부재(321)는 밸브보디(3)에 대하여 가장 프런트측의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도 12, 도 13 참조).
이것에 대하여,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브레이크 페달이 급격히 밟혀지는 긴급브레이크시에 있어서는, 입력축(328) 및 밸브 플런저(314)는 밸브보디(303)에 대하여 통상의 브레이크 작동시보다도 크게 전진되므로, 밸브 플런저(314)의 테 이퍼면(314e)이 통형상부재(321)의 테이퍼면(321F)과 맞닿아서, 통형상부재(321)의 변형부(321B)가 직경확대된다. 그 때문에, 걸어맞춤부(321C)는 환상홈(311f)에서 탈락하여, 밸브보디(303)에 대한 통형상부재(321)의 연결상태는 해제된다. 이것에 따라, 통형상부재(321)는 스프링(342)으로 가압되어 밸브보디(303)에 대하여 리어측으로 후퇴된다. 그 때문에, 통형상부재(321)에 설치된 제 2 진공밸브시트(318)가 밸브체(324)의 제 1 시트부(S1)에 맞닿음하고, 밸브체(324)를 리어측으로 후퇴시킨다. 그리고, 통형상부재(321)는, 그 계단부 단면(321G)이 키부재(338)에 맞닿고, 그 상태의 키부재(338)가 변압통로(334)의 리어측의 단면에 맞닿는 위치에서 정지되어 그 위치에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대기밸브시트(322)와 제 2 시트부(S2)로 이루어지는 대기밸브(333)의 개방량이, 상기 통상작동시의 경우보다도 크게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수단은, 환상홈(311f), 통형상부재(321), 스프링(342), 키부재(338), 변압통로(334) 및 밸브 플런저(314)의 테이퍼면(314e)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해제수단은, 환상홈(311f), 통형상부재(321), 통형상 탄성부재(361), 키부재(338)를 구비하고 있다.
(제 4 실시예의 작동설명)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도 12에 도시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301)의 비작동상태에서는, 셸(302)의 리어측의 벽면(302c)에 맞닿고 있는 키부재(338)에 밸브 플런저(314)의 걸어맞춤부(314b)가 맞닿으므로써, 밸브 플런저(314)는 셸(302)내에서 가장 리어측으로 되는 후퇴단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때에는, 통형상부재(321)도, 계단부 단면(321G)이 키부재(338)에 맞닿는 후퇴단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때에는, 밸브 플런저(314)의 테이퍼면(314e)은, 상기 통형상부재(321)의 테이퍼면(321F)과 대향하는 리어측에 위치하고, 또한, 이들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어 있다.
이 비작동상태에서는, 대기밸브시트(322)에 밸브체(324)의 제 2 시트부(S2)가 착석하여 대기밸브(333)는 폐쇄되어 있다. 또한, 통형상부재(321)의 걸어맞춤부(321C)는 홀더(311)의 환상홈(311f)에 걸어맞추고 있다. 즉, 통형상부재(321)는 밸브보디(303)에 대한 전진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통형상부재(321)에 설치된 제 2 진공밸브시트(318)는, 제 1 진공밸브시트(317)보다도 약간 프런트측에 위치하고 있고, 그들 양 진공밸브시트(317,318)는 밸브체(324)의 제 1 시트부(S1)에서 이석하여 진공밸브(331)는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각 실(A,B)이 서로 연통하고, 각 실(A,B)내에 부압이 도입되어 있다. 또한, 이 비작동상태에서는, 리액션 디스크(313)의 리어측의 단면과 플런저 플레이트(314a)가 약간 이격되어 있다.
(통상의 완만한 브레이크 작동시)
이 비작동상태에서 도시하지않은 브레이크 페달이 완만하게 밟혀지면, 거기에 연동하여 입력축(328) 및 밸브 플런저(314)도 완만하게 전진된다. 이 통상의 완만한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시에는, 밸브 플런저(314)는 밸브보디(303) 및 홀더(311)에 대하여 소정의 스트로크 미만밖에 전진하지않으므로, 밸브 플런저(314)의 테이퍼면(314e)은, 통형상부재(321)의 테이퍼면(321F)에 접근하지만 맞닿지않는다. 그 때문에, 통형상부재(321)의 변형부(321B)가 반경방향 외방을 향해서 변형되는 일은 없고, 걸어맞춤부(321C)는 홀더(311)의 환상홈(311f)에 걸어맞춤한채로 되어 있다(도 13).
따라서, 제 1 진공밸브시트(317)에 밸브체(324)의 제 1 시트부(S1)가 착석하여 진공밸브(331)가 폐쇄되어 있는 한편, 대기밸브시트(322)가 밸브체(324)의 제 2 시트부(S2)에서 이석하여 대기밸브(333)가 개방된다. 이와같이 하여, 진공밸브(331)가 폐쇄되는 한편, 대기밸브(333)가 개방되므로, 변압통로(334)를 통해서 변압실(B)내에 대기가 도입된다. 따라서, 밸브보디(303) 등이 프런트측으로 향해서 전진되어 브레이크 배력장치(301)가 작동된다.
그리고, 출력축(315)에 작용하는 브레이크반력에 의해 리액션 디스크(13)의 리어측의 단면이 팽출하여 플런저 플레이트(314a)에 맞닿으므로, 그 시점에서 밸브 플런저(314) 및 입력축(328)을 통해서 도시되지않은 브레이크 페달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통상의 완만한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에 의해 브레이크 배력장치(301)의 작동시에 있어서는, 통형상부재(321)는 밸브보디(303)에 대하여 가장 프런트측의 위치에 유지된다.
이 작동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가 해제되면, 밸브 플런저(314) 및 입력축(328)이 리어측으로 후퇴하여, 키부재(338)가 셸(302)의 벽면(302c)에 맞닿아서 정지한다. 그 후, 키부재(338)에 밸브 플런저(314)에 있어서 걸어맞춤부(314b)의 프런트측 단면이 맞닿아서 정지하고, 그 후, 키부재(338)에 밸브보디(303)에 있 어서 변압통로(334)의 프런트측 단면 및 통형상부재(321)의 계단부 단면(321G)이 맞닿아서 정지한다. 따라서, 밸브보디(303) 및 통형상부재(321) 등은 도 12에 도시하는 비작동위치에 복귀한다.
(긴급브레이크시)
다음에, 도 12에 도시한 비작동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이 급격히 밟히면, 밸브 플런저(314) 및 입력축(328)이 밸브보디(303) 및 홀더(311)에 대하여 프런트측으로 소정 스트로크이상 이동된다.
그 때문에, 먼저, 밸브체(324)의 제 1 시트부(S1)가 제 1 진공밸브시트(317)에 착석하여 진공밸브(331)가 폐쇄되는 한편, 대기밸브시트(322)가 밸브체(324)의 제 2 시트부(S2)에서 이석하여 대기밸브(333)가 개방된다. 또한, 밸브 플런저(314)의 테이퍼면(314e)이 통형상부재(321)의 테이퍼면(321F)에 맞닿은 후, 더 프런트측으로 전진하므로, 통형상부재(321)의 변형부(321B)가 직경확대되고, 걸어맞춤부(321C)가 환상홈(311f)에서 탈락한다.
그 때문에, 스프링(342)에 의해 리어측으로 가압되어 있는 통형상부재(321)는, 밸브보디(303) 및 홀더(311)에 대하여 리어측을 향해서 후퇴하고, 제 2 진공밸브시트(318)가 밸브체(324)의 제 1 시트부(S1)에 착석한 후, 더 밸브체(324)를 리어측으로 후퇴시킨다(도 14 참조). 통형상부재(321)는 그 계단부 단면(321G)이 키부재(338)에 맞닿고, 더욱이 그 키부재(338)가 변압통로(334)의 리어측의 단면에 맞닿는 후퇴위치에서 밸브보디(303)에 대한 후퇴를 정지하여 그 위치에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대기밸브시트(322)와 제 2 시트부(S2)가 크게 이격되고, 그들 로부터 이루어지는 대기밸브(333)가 통상 작동시보다도 크게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 때문에, 대기가 변압실(B)에 신속하게 도입되고, 브레이크 배력장치(301)의 출력은 신속하게 상승한다. 이 출력의 반력에 의해 리액션 디스크(313)가 리어측으로 팽출하여 플레이트 플런저(314a)에 맞닿아서 밸브 플런저(314)를 리어측으로 눌러 되돌리는데, 밸브 플런저(314)의 대기밸브시트(322)가 밸브체(324)의 제 2 시트부(S2)에 착석하기까지의 리액션 디스크(313)의 팽출량이 통상작동시보다 크게 되므로, 그 분량만큼 브레이크 배력장치(301)의 출력이 크게 된다. 이와같이, 이 제 4 실시예에서도,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하게 긴급작동시에 큰 출력을 신속하게 얻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긴급브레이크시의 작동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가 해제되면, 입력축(328) 및 밸브 플런저(314)가 후퇴하여, 키부재(338)가 셸(302)의 벽면(302c)에 맞닿아서 정지한다. 또한 이것에 의해, 통형상부재(321) 및 밸브 플런저(314)가 도시한 비작동위치에 복귀하는데, 그것에 늦게 밸브보디(303) 및 홀더(311)가 후퇴하여, 변압통로(334)의 프런트측의 단면이 키부재(338)에 맞닿아서 밸브보디(303)가 정지하여 비작동위치로 복귀한다. 이 과정에 있어서, 통형상부재(321)는 밸브보디(30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프런트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되므로, 통형상부재(321)의 걸어맞춤부(321C)의 경사면이 홀더(311)의 리어측 외주부로 삽입되고 나서 프런트측으로 미끄럼운동한 후, 걸어맞춤부(321C)가 홀더(311)의 환상홈(311f)에 걸어맞추고, 도 12에 도시한 비작동위치로 복귀한다. 이와같은 도 4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싱글타입의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정압실과 변압실이 2쌍의 텐덤 브레이크 배력장치 또는 정압실과 변압실이 3쌍의 트리플타입의 텐덤 브레이크 배력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서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당업자라면, 여러가지의 변경과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수정 및 변경 역시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내에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급격한 브레이크페달의 밟기 작동에 즉시 응답하여 출력을 신속히 증대하게 할 수 있는 브레이크 배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셸내에 미끄럼운동 자유로이 설치된 밸브보디와, 이 밸브보디에 설치된 파워피스톤과, 상기 셸내에 있어서 상기 파워피스톤의 프런트측에 형성된 정압실 및 리어측에 형성된 변압실과, 상기 밸브보디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변압실로의 유체의 급배를 전환제어하는 밸브기구와, 이 밸브기구를 작동시키는 입력축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기구는, 상기 입력축에 접속되어서 대기밸브시트를 가지는 밸브 플런저와, 상기 밸브보디의 내부에 설치된 진공밸브시트와, 상기 대기밸브시트 및 진공밸브시트에 착석가능한 밸브체를 구비한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있어서,
    통형상부재가 상기 밸브보디에 미끄럼운동 자유로이 설치되고, 이 통형상부재에 상기 진공밸브시트를 형성하고, 상기 입력축이 비작동위치에서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소정 스트로크 전진했을 때에, 상기 통형상부재를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후퇴시키고, 상기 진공밸브시트를 상기 밸브체에 착석시킴과 동시에, 상기 통형상부재를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소정 스트로크 후퇴시킨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설치하고,
    더욱이, 상기 입력축이 비작동위치로 복귀했을 때에, 상기 유지수단에 의한 상기 통형상부재의 유지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통형상부재를 비작동위치로 복귀시키는 해제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2. 셸내에 미끄럼운동 자유로이 설치된 밸브보디와, 이 밸브보디에 설치된 파워피스톤과, 상기 셸내에 있어서 상기 파워피스톤의 프런트측에 형성된 정압실 및 리어측에 형성된 변압실과, 상기 밸브보디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변압실로의 유체의 급배를 전환제어하는 밸브기구와, 이 밸브기구를 작동시키는 입력축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기구는, 상기 입력축에 접속되어서 대기밸브시트를 가지는 밸브 플런저와, 상기 밸브보디에 설치된 제 1 진공밸브시트와, 상기 대기밸브시트와 제 1 진공밸브시트에 착석가능한 밸브체를 구비한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있어서,
    통형상부재가 상기 밸브보디에 미끄럼운동 자유로이 설치되고, 이 통형상부재에 상기 제 1 진공밸브시트에 대하여 병렬로 제 2 진공밸브시트를 형성하고, 상기 입력축이 비작동위치에서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소정 스트로크 전진했을 때에, 상기 통형상부재를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후퇴하게 하여, 상기 제 2 진공밸브시트를 상기 밸브체에 착석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통형상부재를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소정 스트로크 후퇴시킨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설치하고,
    더욱이, 상기 입력축이 비작동위치에 복귀했을 때에, 상기 유지수단에 의한 상기 통형상부재의 유지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통형상부재를 비작동위치로 복귀시키는 해제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비작동위치에서는, 상기 제 2 진공밸브시트는, 상기 제 1 진공밸브시트보다도 프런트측에 위치하여 있고, 이 위치에서는 상기 밸브체는 상기 제 1 진공밸브시트에만 착석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밸브보디에 회전운동 지점을 가지는 레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플런저가 전진하여 상기 레버부재의 안쪽부분에 맞닿으면, 이 레버부재는, 상기 회전운동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여, 그 바깥부분에 의해 상기 통형상부재를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후퇴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레버부재에 설치된 걸어맞춤부가 상기 밸브보디에 설치된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서 상기 통형상부재를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소정 스트로크 후퇴시킨 위치에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수단은, 비작동위치에서 상기 셸의 내면에 맞닿아서 상기 밸브 플런저의 비작동위치에서의 후퇴한계를 규제하는 키부재와, 상기 통형상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키부재와 맞닿는 맞닿음면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축이 비작동위치로 복귀했을 때에, 상기 셸의 내면에 맞닿은 상기 키부재가 상기 통형상부재의 상기 맞닿음면에 맞닿아서, 상기 통형상부재가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전진되어, 상기 밸브보디의 상기 걸어맞춤부와 상기 레버부재의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통형상부재를 비작동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통형상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와, 상기 밸브보디에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 하게 지지된 걸어맞춤부재와, 상기 밸브 플런저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와 상기 걸어맞춤부재의 걸어맞춤 또는 이탈을 행하는 유지부재와, 상기 통형상부재를 후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축이 비작동위치에서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소정 스트로크 전진했을 때에, 상기 밸브 플런저에 의해 상기 유지부재가 작동하여, 상기 걸어맞춤부재가 걸어맞춤 오목부에서 이탈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통형상부재를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소정 스트로크 후퇴시킨 위치에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수단은, 비작동위치에서 상기 셸의 내면에 맞닿아서 상기 밸브 플런저의 비작동위치에서의 후퇴한계를 규제하는 키부재와, 상기 통형상부재에 형성되어 키부재와 맞닿는 맞닿음면과, 유지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키부재와 맞닿는 맞닿음면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축이 비작동위치로 복귀했을 때에, 상기 셸의 내면에 맞닿는 상기 키부재가 상기 통형상부재의 맞닿음면에 맞닿아서 상기 통형상부재가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전진함과 동시에, 상기 키부재가 상기 유지부재의 맞닿음면에 맞닿아서 상기 유지부재가 작동하여,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와 상기 걸어맞춤부재를 걸어맞추게 하여 상기 통형상부재를 비작동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통형상 부재에 있어서 프런트측에 설치된 걸어맞춤부와, 상기 밸브보디에 설치되어 상기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오목부와, 상기 통형상부재를 후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축이 비작동위치에서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소정 스트로크 전진했을 때에, 상기 밸브 플런저에 의해 상기 통형상부재의 걸어맞춤부가 반경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상기 걸어맞춤부가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에서 이탈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통형상부재를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소정 스트로크 후퇴시킨 위치에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수단은, 비작동위치에서 상기 셸의 내면에 맞닿아서 상기 밸브 플런저의 비작동위치에서의 후퇴한계를 규제하는 키부재와, 상기 통형상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키부재와 맞닿는 맞닿음면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축이 비작동위치에 복귀했을 때에, 상기 셸의 내면에 맞닿음한 상기 키부재가 상기 통형상부재의 맞닿음면에 맞닿아서 상기 통형상부재가 상기 밸브보디에 대하여 전진되므로써, 상기 통형상부재의 걸어맞춤부와 상기 밸브보디의 걸어맞춤 오목부를 걸어맞춤하게 하여 상기 통형상부재를 비작동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재의 걸어맞춤부는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그 걸어맞춤부의 탄성력 또는, 상기 걸어맞춤부를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2 탄성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밸브보디의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재의 걸어맞춤부는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그 걸어맞춤부의 탄성력 또는, 상기 걸어맞춤부를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2 탄성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밸브보디의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KR1020020018456A 2001-10-29 2002-04-04 브레이크 배력장치 KR1008536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31240 2001-10-29
JP2001331240A JP3879905B2 (ja) 2000-12-13 2001-10-29 ブレーキ倍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774A KR20030035774A (ko) 2003-05-09
KR100853651B1 true KR100853651B1 (ko) 2008-08-25

Family

ID=19146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456A KR100853651B1 (ko) 2001-10-29 2002-04-04 브레이크 배력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306279B1 (ko)
KR (1) KR100853651B1 (ko)
CN (1) CN1248892C (ko)
DE (1) DE6020717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4852B2 (ja) * 2001-12-27 2006-02-15 ボッシュ株式会社 負圧式ブレーキ倍力装置
CN100361849C (zh) * 2003-05-16 2008-01-16 博世株式会社 负压增力装置
US7360360B2 (en) * 2005-03-31 2008-04-22 Nissin Kogyo Co., Ltd. Vehicle braking device
KR100767305B1 (ko) 2006-04-19 2007-10-18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브레이크의 부스터
KR100759882B1 (ko) * 2006-06-27 2007-09-18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배력장치
KR100888375B1 (ko) 2007-10-10 2009-03-13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배력장치
KR101383643B1 (ko) * 2008-05-13 2014-04-09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
KR100909999B1 (ko) * 2008-05-20 2009-07-29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
CN102431538B (zh) * 2011-11-28 2014-05-07 广东中博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带紧急制动功能的助力器
DE102021121700A1 (de) 2021-08-20 2023-02-23 Zf Active Safety Gmbh Betätigungseinheit, Bremskraftverstärker, Fahrzeugbremsanlage und Baugruppe hierfü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5405A (ko) * 1997-11-21 1999-06-25 오카베 히로무 브레이크 배력장치
KR19990078248A (ko) * 1998-03-27 1999-10-25 요시다 도시오 배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54777B (en) * 1979-07-05 1983-01-26 Lucas Industries Ltd Servo boosters for vehicle braking systems
JPH0370672A (ja) 1989-08-09 1991-03-26 Higashi Nippon Riyokaku Tetsudo Kk 電子連動装置
FR2692857B1 (fr) * 1992-06-25 1994-09-02 Bendix Europ Services Tech Dispositif de commande à clapet pour servomoteur pneumatique.
JP3354345B2 (ja) * 1995-05-29 2002-12-09 株式会社ボッシュオートモーティブシステム 負圧倍力装置
JPH1035474A (ja) 1996-07-22 1998-02-10 Aisin Seiki Co Ltd 自動車用制動装置
EP1077851B1 (de) * 1998-05-15 2003-04-1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kraftverstärker mit panikbremsfunktion
DE19835772B4 (de) * 1998-08-07 2008-11-13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kraftverstärker mit Panikbremsfunktion
ATE372908T1 (de) * 1999-10-29 2007-09-15 Aisin Seiki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5405A (ko) * 1997-11-21 1999-06-25 오카베 히로무 브레이크 배력장치
KR19990078248A (ko) * 1998-03-27 1999-10-25 요시다 도시오 배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7171D1 (de) 2005-12-15
CN1248892C (zh) 2006-04-05
DE60207171T2 (de) 2006-07-20
KR20030035774A (ko) 2003-05-09
EP1306279B1 (en) 2005-11-09
EP1306279A1 (en) 2003-05-02
CN1417070A (zh) 200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79905B2 (ja) ブレーキ倍力装置
KR100596108B1 (ko) 부압식 배력 장치
KR100853636B1 (ko) 브레이크 배력장치
KR100853651B1 (ko) 브레이크 배력장치
US6711982B2 (en) Brake booster
JPH08318846A (ja) 負圧倍力装置
JP2004017740A (ja) 負圧倍力装置
US6516704B2 (en) Brake booster
JP3744852B2 (ja) 負圧式ブレーキ倍力装置
JP3599076B2 (ja) 倍力装置
JP3456508B2 (ja) 倍力装置
JP2001146157A (ja) マスタシリンダ
JPH0986397A (ja) 気圧式倍力装置
JP3740762B2 (ja) 倍力装置のロック機構
JPS60107446A (ja) ブレ−キ倍力装置
JP4848596B2 (ja) 負圧式倍力装置
JP2534088Y2 (ja) 倍力装置の弁体
JPS60104454A (ja) ブレ−キ倍力装置
JPH0986399A (ja) 気圧式倍力装置
JPH07137626A (ja) 気圧式倍力装置
JPH0726272U (ja) 倍力装置におけるキー部材の異音防止装置
JP2009137490A (ja) ブレーキブースタ装置
JPH11263216A (ja) ブレーキ倍力装置
JPH1016758A (ja) 倍力装置の反力機構
JPH09315293A (ja) 倍力装置の反力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