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8871A - 전기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8871A
KR20020048871A KR1020010079327A KR20010079327A KR20020048871A KR 20020048871 A KR20020048871 A KR 20020048871A KR 1020010079327 A KR1020010079327 A KR 1020010079327A KR 20010079327 A KR20010079327 A KR 20010079327A KR 20020048871 A KR20020048871 A KR 20020048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housing
electrical connector
contactor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라사와마사아키
카세사부로
키히라사토루
Original Assignee
요시무라 마사오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무라 마사오,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무라 마사오
Publication of KR20020048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87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접속구조로 사용하는 전기커넥터의 수를 줄이고 또한 접속작업을 줄여서 접속구조의 비용저감 및 소형화를 도모한다.
도전부(211, 221)를 보유하는 2개의 물품(210, 22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기커넥터(100)이다. 이 전기커넥터(100)는 적어도 어느 한쪽의 물품(210, 220)에 걸리는 하우징(110)과, 이 하우징(110)에 설치됨과 동시에 제1의 물품(210)의 도전부(211)에 접속되는 접속부(121)를 보유하고 또한 제2의 물품(220)의 도전부(221)에 압압력으로써 접촉하는 접촉부(122)를 보유하는 접촉자(12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전기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프린트 배선판, 전기부품 등으로 예시되는 2개의 물품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기커넥터의 분야에 속한다.
2개의 물품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기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암수 결합하는 한쌍의 압착커넥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접속형태는 예컨대 제1의 물품에서 인출된 전선을 수형의 압착커넥터에 압착접속하고, 제2의 물품에서 인출된 전선을 암형의 압착커넥터에 압착접속하며, 이들 수형의 압착커넥터와 암형의 압착커넥터를 결합하여 접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기커넥터를 사용한 접속구조에서는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 커넥터 주위의 소형화를 진행하는 것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제1의 물품에 전기적으로 접속한 전기커넥터를 제1의 물품 및/또는 제2의 물품에 걸고, 이 전기커넥터의 접촉자를 제2의 물품의 도전부에 접속시킴으로써 접속구조에 사용되는 전기커넥터의 수를 줄이고 또한 접속작업을 줄여서 접속구조의 비용저감 및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제1실시예의 전기커넥터를 제1의 물품에 걸어서 사용한 경우의 단면도,
도 2는 제1실시예의 전기커넥터를 제1의 물품에 걸어서 사용한 경우의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의 전기커넥터를 제1의 물품에 걸 때의 사시도,
도 4a는 제1실시예의 전기커넥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 평면도,
도 4b는 제1실시예의 전기커넥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 정면도,
도 4c는 제1실시예의 전기커넥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 저면도,
도 5는 제1실시예의 전기커넥터를 제2의 물품에 걸어서 사용한 경우의 단면도,
도 7은 제1실시예의 전기커넥터를 제2의 물품에 걸 때의 사시도,
도 8은 제1실시예의 전기커넥터를 제1의 물품 및 제2의 물품에 걸어서 사용한 때의 단면도,
도 9는 제2실시예의 전기커넥터를 제1의 물품에 걸 때의 사시도,
도 10은 제2실시예의 전기커넥터를 제1의 물품에 걸어서 사용한 때의 정면도,
도 11은 제2실시예의 전기커넥터를 제2의 물품에 걸 때의 사시도,
도 12는 제3실시예의 전기커넥터의 사시도,
도 13은 제3실시예의 전기커넥터를 제2의 물품에 걸어서 사용한 때의 정면도,
도 14는 제3실시예의 전기커넥터를 제1의 물품에 걸어서 사용한 때의 정면도,
도 15는 제3실시예의 전기커넥터를 제1의 물품 및 제2의 물품에 걸어서 사용한 때의 정면도,
도 16은 제4실시예의 전기커넥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전기커넥터 110 : 하우징
116 : 외벽 117 : 블레이드편
118 : 록클로 120 : 접촉자
121 : 접속부 122 : 접촉부
210 : 제1의 물품 211 : 도전부
212 : 오목함몰부 212a : 세로벽
220 : 제2의 물품 221 : 도전부
225 : 오목함몰부 225a : 세로벽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전부를 보유하는 2개의 물품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기커넥터이다. 이 전기커넥터는 적어도 어느 한쪽의 물품에 걸리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1의 물품의 도전부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보유하고 또한 제2의 물품의 도전부에 압압력으로써 접촉하는 접촉부를 보유하는 접촉자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기커넥터의 접촉자 접속부를 제1의 물품의 도전부에 접속하고, 하우징을 제1의 물품에 걸며, 2개의 물품을 소정의 위치관계에 배치하여 연결하면, 접촉자의 접촉부가 제2의 물품의 도전부에 압압력으로써 접촉하여 쌍방의 물품의 도전부가 접촉자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이 전기커넥터의 접촉자의 접속부를 제1의 물품의 도전부에 접속하고, 하우징을 제2의 물품에 걸면, 접촉자의 접촉부가 제2의 물품의 도전부에 압압력으로써 접촉하여 쌍방의 물품의 도전부가 접촉자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이 전기커넥터의 접촉자의 접속부를 제1의 물품의 도전부에 접속하고, 하우징을 제1의 물품 및 제2의 물품에 걸면, 접촉자의 접촉부가 제2의 물품의 도전부에 압압력으로써 접촉하여 쌍방의 물품의 도전부가 접촉자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어느 접속형태에 있어서도, 접촉자의 접촉부가 제2의 물품의 도전부에 압압력으로써 접촉하기 때문에, 접점의 접촉압력이 확보되어 물품간의 전기적 접속이 확실히 행해진다. 이 접속구조에서는 암수 한쌍의 압착커넥터를 사용하는 종래의 접속구조에 비하여, 사용하는 전기커넥터의 수가 1개이기 때문에 전기커넥터의 사용수 삭감에 의해 비용이 저감된다. 압착작업으로 예시되는 바와 같이 도전부를 전기커넥터에 접속하는 작업이 1회로 완료되므로, 작업성 개선에 의해 비용이 저감된다. 하우징을 제1의 물품 및 제2의 물품에 거는 경우, 전기커넥터를 통하여 2개의 물품이 연결되기 때문에, 별도로 나사 등의 연결수단으로 2개의 물품을 연결할 필요가 없어지고, 연결수단의 폐지에 의해 비용이 저감된다. 접속구조로 사용되는 전기커넥터가 1개이기 때문에, 암수 한쌍의 압착커넥터를 사용하는 종래의 접속구조에 비하여 전기커넥터가 점유하는 공간이 작아져서 접속구조가 소형으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는 접점의 접촉압력을 확보하여 물품간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한 것으로 하면서, 전기커넥터의 사용수 삭감 및 작업성 개선에 의해 접속구조의 대폭적인 비용저감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하우징을 제1의 물품 및 제2의 물품에 걸리게 할 때에는, 연결수단의 폐지에 의해 비용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제1의 실시예의 전기커넥터(100)를 나타낸다. 이 전기커넥터(100)는 도전부를 보유하는 2개의 물품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전기커넥터(100)는 적어도 어느 한쪽의 물품에 걸리는 하우징(110)과, 이 하우징(110)에 설치된 접촉자(12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제1의 물품(210)으로서 전기제품의 케이스를 예시하고, 이 제1의 물품(210)이 보유하는 도전부(211)로서 전선을 예시하고 있다. 또, 제2의 물품(220)으로서 프린트 배선판을 예시하고, 이 제2의 물품(220)이 보유하는 도전부(221)로서 도전패드를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물품 및 도전부의 개념은 이것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품은 유체물이면 좋고, 도전부는 전기전도성을 보유하는 부재이면 된다.
도 4a, 도 4b 및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있다. 편의상, 하우징(110)의 한변에 따르는 방향을 전후방향이라 하고, 이것에 대략 직행하는 방향을 폭방향, 전후방향 및 폭방향에 대략 직행하는 방향을높이방향이라 한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접촉자(120)를 수납하는 방인 캐비티(111)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캐비티(111)는 접촉자(120)의 수만큼 폭방향으로 늘어서 형성되어 있다. 캐비티(111)의 전후방향의 일단은 하우징(110)의 전후방향의 끝면에 삽입구(112)로서 개구하고 있고, 이 삽입구(112)로부터 접촉자(120)를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110)의 높이방향의 끝면에는 캐비티(111)에 연통하는 접촉창(113)이 개구하고 있고, 후술하는 접촉자(120)의 접촉부를 이 접촉창(113)에서 하우징(110)의 끝면의 밖으로 꺼내도록 하고 있다. 이 접촉창(113)은 캐비티(111)에 접촉자(120)를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구(112)에 이르기까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우징은 이와 같은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품에 걸 수 있고 접촉자를 조립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접촉자(120)는 전기전도성을 보유하는 부재로 형성되고, 이 접촉자(120)는 제1의 물품(210)의 도전부(211)에 접속되는 접속부(121)와, 제2의 물품(220)의 도전부(221)에 압압력으로써 접촉되는 접촉부(12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압착형의 접촉자(120)를 예시하고 있다. 따라서, 접속부(121)는 접촉자(120)의 한쪽의 단부에 형성된 배럴이고, 이 배럴은 도전부(211)인 전선의 심선을 압착하는 와이어배럴(121a)과, 이 전선을 피복과 함께 압착하는 절연배럴(121b)로 이루어진다. 접촉자(120)의 다른쪽의 단부는 높이방향에서 보아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폭방향에서 보아 곡선을 그리도록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고, 높이방향으로 휘는 판스프링으로서 기능하도록 하고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 단부는 높이방향으로 대략 U자형으로 되접어져 있고, 이 부분이 탄성변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단부의 선단은 높이방향으로 대략 역U자형으로 접어 구부려져서 접촉부(122)를 형성하고 있고, 이 접촉부(122)가 상기 하우징(110)의 접촉창(113)에서 하우징(110)의 끝면 밖으로 나와 있다. 접촉자의 형상은 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촉자는 만곡되지 않고 예를 들면 L자형으로 굽혀도 좋다. 필요에 따라서, 이 접촉부(122)에 압출가공 등으로 딤플(122a)이 형성되고, 제2의 물품(220)의 도전부(221)로의 접점이 확정되기 쉽도록 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른바 컨택트·랜스에 의한 걸림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즉, 접촉자(120)에 돌출편(124)을 설치하고, 이 돌출편(124)을 랜스로서 하우징(110)의 캐비티(111)에 개구하는 걸림창(115)에 걸고 있다. 이것과는 역으로, 이른바 하우징·랜스에 의한 걸림구조를 채용하여도 좋고, 그 때에는 하우징에 돌출편을 설치하고, 이 돌출편을 접촉자의 걸림창에 건다. 또 랜스를 사용하지 않고 접촉자를 하우징에 끼워맞추어도 좋다.
상기 하우징(110)은 물품에 형성된 오목함몰부에 끼워맞춤으로써 물품에 걸린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접속형태의 경우, 하우징(110)은 제1의 물품(210)에 걸린다. 그 때문에, 제1의 물품(210)에는 홈형의 오목함몰부(212)가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10)의 폭은 이 오목함몰부(212)에 결합가능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전기커넥터(100)는 이 오목함몰부(212)에 전기커넥터(100)의 높이방향이 오목함몰부(212)의 깊이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이고 또한 접촉부(122)가 오목함몰부(212)로부터 노출되도록 끼워맞춰진다. 이 오목함몰부(212)의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세로벽(212a)에는 깊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돌기(21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0)의 폭방향의 양쪽 외벽(116)에는 상기 가이드돌기(213)가 끼워맞추는 걸림홈(114)이 높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홈(114)과 가이드돌기(213)는 소정의 압력으로써 끼워맞추고, 이 끼워맞춤에 의해 하우징(110)이 제1의 물품(210)에 걸린다(도 1 및 도 2의 상태). 여기서는 전기커넥터(100)에 걸림홈(114)을 형성함과 아울러 오목함몰부(212)에 가이드돌기(213)를 형성하였지만, 역으로 전기커넥터에 가이드돌기를 형성함과 아울러 오목함몰부에 걸림홈을 형성하여도 된다. 여기서는 오목함몰부(212)는 홈형으로 하였지만, 오목함몰부는 전기커넥터를 수납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되고, 다른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 걸림홈 및 가이드돌기를 설치하지 않고, 하우징의 외벽을 오목함몰부의 세로벽에 면접촉시키고, 이 끼워맞춤에 의해 하우징을 제1의 물품에 걸어도 좋다. 이들은 이하의 접속형태에서 설명하는 오목함몰부(212, 225)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접속형태의 경우, 이 전기커넥터(100)의 접촉자(120)의 접속부(121)를 제1의 물품(210)의 도전부(211)에 접속하고, 하우징(110)을 제1의 물품(210)에 걸며, 2개의 물품(210), 220)을 소정의 위치관계로 배치하여 연결하면, 접촉자(120)의 접촉부(122)가 제2의 물품(220)의 도전부(221)에 압압력으로써 접촉하고, 쌍방의 물품(210, 220)의 도전부(211, 221)가 접촉자(12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2개의 물품(210, 220)을 소정의 위치관계로 배치하여 연결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제1의 물품(210)인 전기제품의 케이스에 제2의 물품(220)인 프린트 배선판을 조립하여 나사고정 등으로 연결함으로써 행해진다.
도 6 및 도 7은 상기 제1실시예의 전기커넥터(100)의 다른 접속형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하우징(110)은 제2의 물품(220)에 걸린다. 그 때문에 제2의 물품(220)에는 홈형의 오목함몰부(225)가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10)의 폭은 이 오목함몰부(225)에 끼워맞출 수 있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제2의 물품(220)의 도전부(221)는 오목함몰부(225)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다. 전기커넥터(100)는 이 오목함몰부(225)에 전기커넥터(100)의 높이방향이 오목함몰부(225)의 깊이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이고 또한 접촉부(122)가 오목함몰부(225)의 저면에 마주보도록 끼워맞춰진다. 이 오목함몰부(225)의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세로벽(225a)에는 하우징(110)의 걸림홈(114)에 끼워맞추는 가이드돌기(226)가 각각 깊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홈(114)과 가이드돌기(226)는 소정의 압력으로써 끼워맞추고, 이 끼워맞춤에 의해 하우징(110)이 제2의 물품(220)에 결린다.
이 접속형태의 경우, 이 전기커넥터(100)의 접촉자(120)의 접속부(121)를 제1의 물품(210)의 도전부(211)에 접속하고, 하우징(110)을 제2의 물품(220)에 걸면, 접촉자(120)의 접촉부(122)가 제2의 물품(220)의 도전부(221)에 압압력으로써 접촉하여 쌍방의 물품(210, 220)의 도전부(211, 221)가 접촉자(12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8은, 상기 제1실시예의 전기커넥터(100)의 또 다른 접속형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하우징(110)은 제1의 물품(210) 및 제2의 물품(220)에 걸린다. 그 때문에, 제1의 물품(210)에는 홈형의 오목함몰부(212)가, 제2의 물품(220)에는 홈형의 오목함몰부(225)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10)의 폭은 이 오목함몰부(221, 225)에 끼워맞출 수 있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제2의 물품(220)의 도전부(221)는 오목함몰부(225)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다. 전기커넥터(100)는 오목함몰부(212)에, 전기커넥터(100)의 높이방향이 오목함몰부(212)의 깊이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이고 또한 접촉부(122)가 오목함몰부(212)에서 노출되도록 끼워맞춰짐과 아울러, 오목함몰부(225)에, 전기커넥터(100)의 높이방향이 오목함몰부(225)의 깊이방향에 일치하고 또한 접촉부(122)가 오목함몰부(225)의 저면에 마주보도록 끼워맞춰진다. 이 오목함몰부(212, 225)에는 가이드돌기(213, 226)가 각각 형성되고, 걸림홈(114)과 가이드돌기(213, 226)는 소정의 압력으로써 끼워맞추고, 이 끼워맞춤에 의해 하우징(110)이 제1의 물품(210) 및 제2의 물품(220)에 걸린다.
이 접속형태의 경우, 이 전기커넥터(100)의 접촉자(120)의 접속부(121)를 제1의 물품(210)의 도전부(211)에 접속하고, 하우징(110)을 제1의 물품(210) 및 제2의 물품(220)에 걸면, 접촉자(120)의 접촉부(122)가 제2의 물품(220)의 도전부(221)에 압압력으로써 접촉하여 쌍방의 물품(210, 220)의 도전부(211, 221)가 접촉자(12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어느 접속형태에 있어서도, 접촉자(120)의 접촉부(122)가 제2의 물품(220)의 도전부(221)에 압압력으로써 접촉하기 때문에, 접점의 접촉압력이 확보되어 물품간의 전기적 접속이 확실히 행해진다. 이 접속구조에서는 암수 한쌍의 압착커넥터를 사용하는 종래의 접속구조에 비하여, 사용하는 전기커넥터의 수가 1개이므로 전기커넥터의 사용수 삭감에 의해 비용이 저감된다. 압착작업으로 예시되는 바와 같이 도전부(211)를 전기커넥터(100)에 접속하는 작업이 1회로 완료되므로, 작업성 개선에 의해 비용이 저감된다. 하우징(110)을 제1의 물품(210) 및 제2의 물품(220)에 거는 경우, 전기커넥터(100)를 통하여 2개의 물품(210, 220)이 연결되기 때문에, 별도로 나사 등의 연결수단으로 2개의 물품(210, 220)을 연결할 필요가 없어지고, 연결수단의 폐지에 의해 비용이 저감된다. 접속구조로 사용되는 전기커넥터가 1개이기 때문에, 암수 한쌍의 압착커넥터를 사용하는 종래의 접속구조에 비하여 전기커넥터가 점유하는 공간이 작아져서 접속구조가 소형으로 된다.
본 발명은, 전기커넥터의 하우징을 물품에 거는 구조로서 일체의 형태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와 같이 하우징(110)을 물품(210) 및/또는 물품(220)에 형성된 오목함몰부(212) 및/또는 오목함몰부(225)에 끼워맞추도록 형성하고, 이 끼워맞춤에 의해 하우징(110)을 물품(210 및/또는 220)에 걸도록 하면, 전기커넥터(100)를 물품(210 및/또는 220)의 오목함몰부(212 및/또는 225)에 끼워맞추면 전기커넥터(100)가 물품(210 및/또는 220)에 걸리므로 걸림시의 작업성이 좋다.
본 발명은 접촉자의 접속부를 물품의 도전부에 접속하는 구조로서 일체의 형태를 포함한다. 그중에서, 상기 실시예는 접촉자(120)를 압착형으로 한 경우를 예시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이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들 다른 실시예의 설명으로서 기본적으로 제1실시예의 설명을 부호와 함께 그대로 인용한다. 게다가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하여 추가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 9 및 도 10은 제2실시예의 전기커넥터(100)를 나타낸다. 이 제2실시예의 전기커넥터(100)의 하우징(110)은 물품에 형성된 오목함몰부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우징(110)의 오목함몰부로의 삽입시에 탄성변형하여 오목함몰부의 세로벽을 압압하는 블레이드편(117)을 보유하고 있고, 이 블레이드편(117)의 압압에 의해 하우징(110)이 물품에 걸린다. 이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0)에서의 폭방향의 양단에 있는 2개의 외벽(116)에 각각 블레이드편(117)을 설치하고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접속형태의 경우, 하우징(110)은 제1의 물품(210)에 걸린다. 그 때문에 제1의 물품(210)에 오목함몰부(212)가 형성되고, 하우징(110)은 오목함몰부(212)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우징(110)의 오목함몰부(212)로의 삽입시에 탄성변형하여 오목함몰부(212)의 세로벽(212a)을 압압하는 블레이드편(117)을 보유하고 있다. 전기커넥터(100)는 이 오목함몰부(212)에 전기커넥터(100)의 높이방향이 오목함몰부(212)의 깊이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이고 또한 접촉부(122)가 오목함몰부(212)로부터 노출되도록 끼워맞춰진다. 이 접속형태에 있어서의 전기커넥터(100)에 의한 물품(210, 220)의 전기적 접속방법은 도 1 내지 도 3의 접속형태의 경우와 같다.
도 11은, 상기 제2실시예의 전기커넥터(100)의 다른 접속형태를 나타낸다. 이 접속형태의 경우, 하우징(110)은 제2의 물품(220)에 걸린다. 그 때문에 제2의 물품(220)에 오목함몰부(225)가 형성되고, 하우징(110)은 오목함몰부(225)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우징(110)의 오목함몰부(225)로의 삽입시에 탄성변형하여 오목함몰부(225)의 세로벽(225a)을 압압하는 블레이드편(117)을 보유하고 있다. 전기커넥터(100)는 이 오목함몰부(225)에 전기커넥터(100)의 높이방향이 오목함몰부(225)의 깊이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이고 또한 접촉부(122)가 오목함몰부(225)의 저면에 마주보도록 끼워맞춰진다. 이 접속형태에 있어서의 전기커넥터(100)에 의한 물품(210, 220)의 전기적 접속방법은 도 6 및 도 7의 접속형태의 경우와 같다.
제2실시예와 같이 하면, 어느 접속형태에 있어서도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지는 것에 더하여, 간단한 구조로써 높은 걸림력이 얻어진다. 게다가 오목함몰부(212, 225)의 안쪽 치수에 발생하는 치수오차가 블레이드편(117)의 휨으로 흡수되기 때문에 물품(210, 220) 및 전기커넥터(100)의 수율이 향상된다. 하우징(110)의 폭방향의 양단에 블레이드편(117)을 설치하였을 때에는, 블레이드편(117)의 탄성복원력이 하우징(110) 폭방향의 양단에 작용하므로, 걸림 후에 전기커넥터(100)가 물품(210, 220)에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바람직하다.
도 12는 제3실시예의 전기커넥터(100)를 나타낸다. 이 제3실시예의 전기커넥터(100)에는, 하우징(110)에 록클로(118)가 설치되고, 록클로(118)를 물품에 걸므로써 하우징(110)이 물품에 걸린다. 이 실시예의 경우, 록클로(118)는 하우징(110)에서의 폭방향의 양단에 있어서 높이방향으로 뻗어 있다. 록클로(118)의 선단에는 폭방향으로 향한 훅(118a)이 설치되고, 이 훅(118a)이 물품에 형성된 록구멍을 통하여 그 둘레가장자리에 걸린다. 도 13에 나타내는 접속형태의 경우, 하우징(110)은 제2의 물품(220)에 걸린다. 그 때문에 제2의 물품(220)에 록구멍(222)을 형성하고, 록클로(118)는 하우징(110)에서 접촉부(122)의 노출되는 면에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전기커넥터(100)는 접촉부(122)가 제2의 물품(220)의 도전부(221)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지되어, 록클로(118)가 제2의 물품(220)에 걸린다. 이 접속형태에서의 전기커넥터(100)에 의한 물품(210, 220)의 전기적 접속방법은 도 6 및 도 7의 접속형태의 경우와 같다.
도 14는 상기 제3실시예의 전기커넥터(100)의 다른 접속형태를 나타낸다. 이 접속형태의 경우, 하우징(110)은 제1의 물품(210)에 걸린다. 그 때문에, 제1의 물품(210)에 록구멍(215)을 형성하고, 록클로(118)는 하우징(110)에서 접촉부(122)가 노출되는 면과 높이방향으로 반대측의 면에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전기커넥터(100)는 접촉부(122)와 높이방향으로 반대측의 면이 제1의 물품(210)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지되어, 록클로(118)가 제1의 물품(210)에 걸린다. 이 접속형태에서의 전기커넥터(100)에 의한 물품(210, 220)의 전기적 접속방법은, 도 1 내지 도 3의 접속형태의 경우와 같다.
제3실시예에 의하면, 어느 접속형태에 있어서도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지는 것에 더하여, 간단한 구조로써 높은 결합력이 얻어진다. 하우징(110)의 폭방향의 양단에 록클로(118)를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록클로(118)의 걸림력이 하우징(110)의 폭방향의 양단에 작용하기 때문에, 걸림 후에 전기커넥터(100)가 물품(210, 220)에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실시예의 특징을 조합시킨 실시예를 모두 포함한다. 1개의 하우징(110)을 제1의 물품(210) 및 제2의 물품(220)에 거는 형태로는, 제1실시예의 걸림형태, 제2실시예의 걸림형태, 제3실시예의 걸림형태를 조합시킬 수 있고, 본 발명은 그 모든 실시예를 모두 포함한다. 일예로서 도 15에 나타낸 것은, 1개의 하우징(110)을 제1의 물품(210)에 제1실시예의 걸림형태로 검과 아울러, 제2의 물품(220)에 제3실시예의 걸림형태로 건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의 경우,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 록클로(118)의 외면에 걸림홈(114)을 설치하고, 제1의 물품(210)에 가이드돌기(213)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면, 하우징(110)과 오목함몰부(212)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1개의 하우징(110)을 제1의 물품(210) 및 제2의 물품(220)에 거는 형태로 한 경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개의 하우징(110)을 제1의 물품(210) 또는 제2의 물품(220)에 거는 형태로 얻어지는 작용 및 효과에 더하여, 전기커넥터(100)를 통하여 2개의 물품(210, 220)이 연결되기 때문에 별도로 나사 등의 연결수단으로 2개의 물품(210, 220)을 연결할 필요가 없어지고, 연결수단의 폐지에 의해 비용이 저감된다.
도 16은 제4실시예를 나타낸다. 제4실시예는 이상의 실시예의 어디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 제4실시예의 전기커넥터(100)는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전기커넥터(100)에 비하여, 접촉자(120)가 압접형인 점이 다르고, 그 이외의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접속부(121)는 접촉자(120)의 전후방향의 한쪽 단부에 형성된 슬롯이고, 이 슬롯에 제1의 물품(210)의 도전부(211)인 전선의 심선을 압접하도록 하고 있다.
제4실시예와 같이 하면, 이 전기커넥터(100)의 접촉자(120)를 제1의물품(210)의 도전부(211)인 전선에 접속하는 경우, 접촉자(120)의 접속부(121)인 슬롯에 있어서 전선에 압접 접속된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접착제를 사용하여 하우징을 물품에 거는 실시예, 벨크로패스너로 예시되는, 마찰력으로 거는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하우징을 물품에 거는 실시예, 제1의 물품의 도전부를 도전패드로 하고, 전기커넥터를 제1의 물품에 걸어두고 접촉자를 이 도전패드에 접촉시키는 것으로 전기적 접속을 이루는 실시예가 포함된다.
이들 실시예의 기재에 의해, 앞의 발명의 개요에서 설명한 제1의 전기커넥터를 충분히 개시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 실시예의 기재에 의해 이하에 설명한 제2 내지 제5의 전기커넥터도 충분히 설명되었다.
제2의 전기커넥터는 상기 제1의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이 물품에 형성된 오목함몰부에 끼워맞추도록 형성되고, 이 끼워맞춤에 의해 하우징이 물품에 걸린다. 이와 같이 하면, 전기커넥터를 물품에 오목함몰부에 끼워맞추면 전기커넥터가 물품에 걸리기 때문에 걸림시의 작업성이 좋다.
제3의 전기커넥터는 제1 또는 제2의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이 물품에 형성된 오목함몰부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우징의 오목함몰부로의 삽입시에 탄성변형하여 오목함몰부의 세로벽을 압압하는 블레이드편을 보유하고 있고, 이 블레이드편의 압압에 의해 하우징이 물품에 걸린다. 이와 같이 하면, 간단한 구조로써 높은 걸림력이 얻어진다. 게다가 오목함몰부의 안쪽 치수에 발생하는치수오차가 블레이드편의 휨으로 흡수되기 때문에 물품 및 전기커넥터의 수율의 비율이 향상된다.
제4의 전기커넥터는 제1 내지 제3 중 어느 하나의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에 록클로가 설치되고, 록클로를 물품에 거는 것으로 하우징이 물품에 걸린다. 이와 같이 하면 간단한 구조로써 높은 걸림력이 얻어진다.
제5의 전기커넥터는, 제1 내지 제4중 어느 하나의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접촉자의 접속부가 제1의 물품의 도전부인 전선에 압착 접속되는 배럴 또는 압접 접속되는 슬롯이다. 이와 같이 하면 제1의 물품의 도전부가 전선이면 전기커넥터의 접촉자의 접속부와 제1의 물품의 도전부의 접속이 압착접속 또는 압접접속에 의해 행해진다.

Claims (9)

  1. 도전부(211, 221)를 보유하는 2개의 물품(210, 22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기커넥터(100)로서, 이 전기커넥터(100)는,
    적어도 어느 한쪽의 물품(210, 220)에 걸리는 하우징(110)과;
    이 하우징(110)에 설치됨과 동시에 제1의 물품(210)의 도전부(211)에 접속되는 접속부(121)를 보유하고 또한 제2의 물품(220)의 도전부(221)에 압압력을 가지고 접촉하는 접촉부(122)를 보유하는 접촉자(12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110)은 물품(210)에 형성된 오목함몰부(212)에 끼워맞추도록 형성되고, 이 끼워맞춤에 의해 하우징(110)이 물품(210)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110)은 물품(210)에 형성된 오목함몰부(212)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하우징(110)의 오목함몰부(212)로의 삽입시에 탄성변형하여 오목함몰부(212)의 세로벽(212a)을 압압하는 블레이드편(117)을 보유하고 있고, 이 블레이드편(117)의 압압에 의해 하우징(110)이 물품(210)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110)에 록클로(118)가 설치되고, 록클로(118)를 물품(220)에 거는 것에 의해 하우징(110)이 물품(220)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하우징(110)에 록클로(118)가 설치되고, 록클로(118)를 물품(220)에 거는 것에 의해 하우징(110)이 물품(220)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의 물품(210)의 도전부(211)가 전선이고,
    접촉자(120)의 접속부(121)가 상기 전선에 압착접속되는 배럴 또는 상기 전선에 압접접속되는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7. 제3항에 있어서, 제1의 물품(210)의 도전부(211)가 전선이고,
    접촉자(120)의 접속부(121)가 상기 전선에 압착접속되는 배럴 또는 상기 전선에 압접접속되는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8. 제4항에 있어서, 제1의 물품(210)의 도전부(211)가 전선이고,
    접촉자(120)의 접속부(121)가 상기 전선에 압착접속되는 배럴 또는 상기 전선에 압접접속되는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9. 제5항에 있어서, 제1의 물품(210)의 도전부(211)가 전선이고,
    접촉자(120)의 접속부(121)가 상기 전선에 압착접속되는 배럴 또는 상기 전선에 압접접속되는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KR1020010079327A 2000-12-18 2001-12-14 전기커넥터 KR200200488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84528A JP4214501B2 (ja) 2000-12-18 2000-12-18 電気コネクタ
JPJP-P-2000-00384528 2000-1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871A true KR20020048871A (ko) 2002-06-24

Family

ID=18851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327A KR20020048871A (ko) 2000-12-18 2001-12-14 전기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79134B2 (ko)
EP (1) EP1215766B1 (ko)
JP (1) JP4214501B2 (ko)
KR (1) KR20020048871A (ko)
CN (1) CN1252868C (ko)
DE (1) DE60127518D1 (ko)
HK (1) HK1046780B (ko)
TW (1) TW5214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4502A (ja) 2000-12-18 2002-06-28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JP4613128B2 (ja) * 2005-12-02 2011-01-12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JP4727430B2 (ja) * 2006-01-11 2011-07-2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US7497715B2 (en) * 2007-06-11 2009-03-0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for solar device
US8308501B2 (en) * 2011-02-25 2012-11-1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olid state lighting assembly having a strain relief member
KR101165558B1 (ko) * 2012-01-04 2012-07-16 강태석 컨텍터
JP5952626B2 (ja) * 2012-04-19 2016-07-13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コネクタ
CN103730800B (zh) * 2012-10-16 2017-01-25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转换连接器
JP6350876B2 (ja) * 2015-06-18 2018-07-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FR3044473A1 (fr) * 2015-11-27 2017-06-02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Connecteur electrique et reacteur electrochimique muni d’un tel connecteur electrique
FR3065057A1 (fr) * 2017-04-11 2018-10-12 Valeo Vision Dispositif lumineux avec contact electrique entre la glace et le boitier
SG11202102464VA (en) * 2018-09-13 2021-04-29 Te Connectivity Corp Electrical connector and wire harness assembly with compression contacts
JP7450658B2 (ja) 2022-04-08 2024-03-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ケーブル

Family Cites Families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0035A (en) 1970-02-25 1972-07-25 Amp Inc Pcb hinged pod connector
US3742430A (en) 1972-02-24 1973-06-26 Ford Motor Co Electrical terminal
US4087151A (en) 1976-07-28 1978-05-02 Magnetic Controls Company Printed circuit card edge connector with normalling contacts
JPS5710471Y2 (ko) 1977-05-31 1982-03-01
JPS559019A (en) 1978-07-04 1980-01-22 Lion Corp Preparation of tertiary long-chain aliphatic methylamine
US4209217A (en) * 1978-10-26 1980-06-24 Thomas & Betts Corporation Housing for removable mounting on printed circuit board
US4295009A (en) * 1980-03-07 1981-10-13 Amp Incorporated Piezoelectric audio transducer mounting and electrical connector
JPS5943658Y2 (ja) * 1980-06-18 1984-12-25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器具
JPS5712671A (en) 1980-06-27 1982-01-22 Nec Corp Printer
FR2497007A1 (fr) 1980-12-23 1982-06-25 Labinal Perfectionnements aux boitiers de connexions electriques et aux organes de connexion destines a equiper de tels boitiers
JPS5844775A (ja) 1981-09-11 1983-03-15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アモルフアスシリコン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4778407A (en) * 1982-12-23 1988-10-18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plug for conductors on closely spaced centers
US4558270A (en) 1983-09-06 1985-12-10 James P. Liautaud Battery charging adapter for a battery charger for a portable battery operated transceiver
FR2566589B1 (fr) 1984-06-21 1987-08-21 Labinal Connecteur electrique pour carte de circuit imprime simple face
US4737850A (en) 1985-07-03 1988-04-12 Rca Corporation Apparatus for noise reducing composite video signal
JPH01142167A (ja) 1987-11-25 1989-06-05 Toto Ltd 二重床構造
JPH01168970A (ja) 1987-12-22 1989-07-04 Toho Chem Ind Co Ltd ポリエステル系繊維材料の難燃加工方法
JPH01142167U (ko) * 1988-03-25 1989-09-28
US5231659A (en) * 1989-05-16 1993-07-27 Alcatel Business Systems Telephone handset with transducer assembly
JPH0665092B2 (ja) 1989-06-27 1994-08-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472488A (ja) 1990-07-13 1992-03-06 Toshiba Corp 流体圧縮機
JPH0455779U (ko) 1990-09-18 1992-05-13
JPH04135176A (ja) 1990-09-26 1992-05-08 Heiji Yasui 無気孔型砥石の目直し法
JP2535607Y2 (ja) 1991-10-18 1997-05-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598581Y2 (ja) 1991-12-03 1999-08-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5236833A (en) 1992-03-17 1993-08-17 Nestec S.A. Diacetyl production
JPH0575981U (ja) * 1992-03-18 1993-10-15 矢崎総業株式会社 ガラス板用コネクタ
NL9200559A (nl) 1992-03-26 1993-10-18 Du Pont Nederland Connector.
JP2611081B2 (ja) 1992-03-30 1997-05-2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端子係止構造
JPH0631094A (ja) 1992-07-15 1994-02-08 Toshiba Corp 二槽式洗濯機の溢水装置
US5403204A (en) 1993-03-03 1995-04-0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Joint connector
FR2711849A1 (fr) 1993-10-27 1995-05-05 Amp France Borne électrique à contact à déplacement d'isolant et ressort de renfort.
JP2529814B2 (ja) 1993-11-11 1996-09-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089152B2 (ja) * 1993-12-01 2000-09-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5484295A (en) * 1994-04-01 1996-01-16 Teledyne Electronic Technologies Low profile compression electrical connector
JPH0822871A (ja) * 1994-07-05 1996-01-23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子ユニット用コネクタ
US5605150A (en) 1994-11-04 1997-02-25 Physio-Control Corporation Electrical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physiological instrument having separable components
JP3106282B2 (ja) 1995-04-13 2000-11-0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R2737352B1 (fr) 1995-07-28 1997-08-29 Itt Composants Instr Connecteur electrique pour le raccordement d'une carte a circuit(s) integre(s) a contact
JP3191909B2 (ja) 1995-09-06 2001-07-23 矢崎総業株式会社 嵌合誘導機構付きコネクタ
JPH0982431A (ja) * 1995-09-19 1997-03-28 Whitaker Corp:The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237650A (ja) * 1996-02-28 1997-09-09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付ユニットの連結構造
DE19611422C2 (de) * 1996-03-22 2001-06-07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Verbinder für die elektrische Verbindung von zwei Leiterplatten miteinander
JPH09306576A (ja) 1996-05-08 1997-11-28 Thomas & Betts Corp <T&B> バッテリィ用端子
JPH09320672A (ja) 1996-05-29 1997-12-12 Yazaki Corp コネクタ
JP4140667B2 (ja) 1996-08-01 2008-08-2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N1177675A (zh) 1996-08-01 1998-04-01 住友电装株式会社 可解锁的锁合连接器
JPH10255931A (ja) 1997-03-14 1998-09-25 Dai Ichi Denshi Kogyo Kk 電気コネクタ
JP3363078B2 (ja) 1997-04-11 2003-01-07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3547034B2 (ja) 1997-07-10 2004-07-2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嵌合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コネクタ
BR9802812A (pt) 1997-08-29 1999-11-03 Whitaker Corp terminal para curto-circuito e conector.
JPH11144801A (ja) * 1997-11-07 1999-05-28 Yazaki Corp コネクタ
JP3463856B2 (ja) 1998-03-05 2003-11-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接続構造
JP3598811B2 (ja) 1998-05-14 2004-12-08 住友電装株式会社 短絡端子とこれを組み込んだ嵌合検知用コネクタ
US6123456A (en) * 1998-07-01 2000-09-26 General Electric Company Catalytic hydrogenation to remove gas from x-ray tube cooling oil
US6022224A (en) * 1998-07-22 2000-02-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hock mount connector for head disk assembly
US5980322A (en) * 1998-09-01 1999-11-09 3Com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fusible link for use between media connectors and computer communications cards
JP3685302B2 (ja) 1998-11-10 2005-08-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スプライス吸収コネクタ
JP2000231961A (ja) 1998-12-08 2000-08-2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6102722A (en) * 1998-12-28 2000-08-15 Lucent Technologies Inc. Upgradeable communication connector
JP3286783B2 (ja) 1999-02-18 2002-05-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
US6217396B1 (en) 1999-07-06 2001-04-1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U-shaped spring contacts
US6126458A (en) * 1999-07-13 2000-10-03 Yazaki North America, Inc. Bussed electrical center assembly with connector pre-set
US6099356A (en) * 1999-07-19 2000-08-0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mpression connector
US6309262B1 (en) 1999-10-21 2001-10-30 Hewlett-Packard Company Bifurcated contact with a connecting member at the tip of the contact that provides redundant contact points
JP3534393B2 (ja) * 2000-04-14 2004-06-0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電子部品ユニットの電気的接続構造、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2033154A (ja) 2000-07-17 2002-01-31 Yazaki Corp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2184489A (ja) * 2000-12-14 2002-06-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02184507A (ja) 2000-12-18 2002-06-28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JP2002184502A (ja) * 2000-12-18 2002-06-28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46780A1 (en) 2003-01-24
EP1215766A2 (en) 2002-06-19
EP1215766B1 (en) 2007-03-28
EP1215766A3 (en) 2005-04-20
US20020076994A1 (en) 2002-06-20
JP4214501B2 (ja) 2009-01-28
US7179134B2 (en) 2007-02-20
CN1252868C (zh) 2006-04-19
JP2002184537A (ja) 2002-06-28
TW521463B (en) 2003-02-21
DE60127518D1 (de) 2007-05-10
CN1360364A (zh) 2002-07-24
HK1046780B (zh) 200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48873A (ko) 전기커넥터
JP3311997B2 (ja) コネクタ
JP5563241B2 (ja) 電気コネクタ
KR20020048872A (ko) 전기커넥터
KR20070002678A (ko)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KR20020048871A (ko) 전기커넥터
US6739903B1 (en) Connector structure
JP3273024B2 (ja) 圧接形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体
JP2000215948A (ja) シ―ルドコネクタ
KR101085481B1 (ko) 멀티 접속형 헤더 커넥터 및 이것에 접속하는 세로 장착형소켓 커넥터 및 가로 장착형 소켓 커넥터
KR101175170B1 (ko) 소켓 콘택트
JPH11144789A (ja) 端子構造
JP2006286652A (ja) 電気コネクタ
JP3013128B2 (ja) コネクタ用シェル
JPH0735313Y2 (ja) コネクタ
JP2001257024A (ja) コネクタ
JP2006286652A5 (ko)
JP4602050B2 (ja) マルチ接続形ヘッダーコネクタ並びにこれに接続する縦積形ソケットコネクタ及び横置形ソケットコネクタ
JP4303148B2 (ja) ロック機構付きプラグコネクタハウジング及びこれを用いたロック機構付きプラグコネクタ
JP3883364B2 (ja) フラットワイヤハーネスの接続構造
JP3060508U (ja) ライトアングル型コネクタ
JP2007141784A (ja) コネクタ端子およびフラット配線材用コネクタ
JP3527656B2 (ja)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571755Y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1351710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