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3267A -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암장치 및 원주면둘레방향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암장치 및 원주면둘레방향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267A
KR19980063267A KR1019970007288A KR19970007288A KR19980063267A KR 19980063267 A KR19980063267 A KR 19980063267A KR 1019970007288 A KR1019970007288 A KR 1019970007288A KR 19970007288 A KR19970007288 A KR 19970007288A KR 19980063267 A KR19980063267 A KR 19980063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measuring
measuring element
stator winding
pr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6349B1 (ko
Inventor
무라까미신
무나까타타다시
토가시노리히토
스즈끼사또시
소토다테마사노리
자이쓰까쓰네
타까하시신지
미즈노수에요시
꼬바야시요시타까
이리에사토시
시마다히데유기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다이조
가부시끼가이샤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다이조, 가부시끼가이샤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다이조
Publication of KR19980063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6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63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 G01R31/346Testing of armature or field wind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s Of Circuit Breakers, Generators, And Electric Motor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발명은 회전자체를 고정자체로부터 인출하지 않고 고정자권선의 점검을 비교적 용이하게 또 정확하게 실시하고, 또, 그 점검작업을 단시간에 종료할 수 있다. 해결수단은 회전전기 고정자권선의 점검장치는 측정소자(1a)를 포함하는 프로브(1), 암장치(10), 원주면둘레방향 이동장치(40)를 구비한다. 암장치(10)는 프로브(1)를 지지하는 암링크부(11)(선단부링크체(11a) 및 암자세유지기구(14)가 요부), 이 암링크부(11)의 구동에 관한 암수납부(12)(가이드레일(25)이 요부) 및 암구동기구(13)을 구비한다. 암구동기구(13)는 암링크부(11)를 가이드레일(25)에 따라서 이동시키면서, 이 회전자체(130)의 축방향에 대해서 고정자권선(103a)의 측정위치(P) 측을 향한 각도로 가이드레일(25)로부터 선단부링크체(11a)를 돌출시킨다. 암자세유지기구(14)는 링크 와이어(21)및 스프링(22)을 요부로 구비하고 가이드레일(25)로부터 돌출후의 선단부링크체(11a)의 암자세를 직선상으로 유지한다.

Description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암장치 및 원주면둘레방향이동장치
본 발명은 회전전기 고정자권선의 점검장치 등의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암장치, 원주면둘레방향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체를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자권선의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점검장치에 적합한 암구조 및 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전기에는 고정자권선을 물로 냉각하는 타입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타입의 회전전기의 일례를 도29 내지 도31에 나타냈다.
도29에 나타낸 회전전기는 고정자프레임(101)에 부착된 고정자철심(102)내에 고정자권선(도29중에서는, 예를들어 상하 2개의 고정자권선(103a, 103b))을 삽입고정하여 되는 고정자(104)를 포함하는 고정자체(120)와, 이 고정자체(120)에 비접촉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회전자(121), 그 지지환(122) 및 회전샤프트(123)를 포함하는 회전자체(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중 고정자권선(103)은 도30 및 도31에 나타낸 바와같이, 복수개 소선(105… 105)을 집속하고, 그 외측을 절연테이프나 에폭시수지등의 절연층(106)으로 피복하여, 그 각소선(105)의 양단부에 클립(107)을 부착한 것이다. 각 소선(105)에는 냉각수가 통류 가능한 공중구멍(108…108)이 설비되고, 이 중공구멍(108)이 클립(107)의 주수구 또는 배수구(109, 109)를 거쳐서 절연접속관(도시하지 않음) 및 고정자프레임(101)의 외부 냉각수관(11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냉각수관(110)으로부터의 냉각수가 절연접속관으로부터 클립(107)의 주수구(109)를 거쳐서 중공구멍(108)에 공급됨와 동시에, 이 냉각수가 클립(107)의 배수구(109)로부터 절연접속관을 거쳐서 냉각수관(110)으로 배출된다.
이와같이 냉각수의 통수로를 이루는 각 소선(105), 클립(107) 및 절연접속관은 통상, 납땜에 의한 방법으로 접속하고, 이 납땜접속부의 외측을 상기와 같은 절연층(106)으로 피복하고 있다. 이러한 절연층(106)으로 피복한 납땜접속부에서는, 여기로부터 냉각수가 누설되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 엄격히 품질관리한 후에 각종 누설확인 시험를 행하여, 그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 장기간의 운전에의한 진동, 히트사이클, 부식등에 의해 납땜접속부의 일부가 박리하거나, 구멍이 깍이는 일이 발생한다던지 하여, 그 부분으로부터 냉각수가 누설되기 때문에, 통상 정기점검시에는 권선내 가압이나 진공드롭(drop)시험을 행하여 압력변화를 조사하여 비누설상태인 것을 확인하고 있다.
그러나, 각소선(105)과 클립(107)의 접속부에서 냉각수가 누설된 경우에는 모세관현상에 의해서 절연테이프를 감은 부분의 절연층(106)내를 지나 냉각수가 침투하고, 특히 냉각수 침투가 고정자철심(102)까지 진행하면, 고정자권선(103)과 대지사이가 지락되는 부적당한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이 때문에, 절연층(106)내로 냉각수침투에 충분히 주의하고, 될 수 있는 한 조속한 시기에 조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사법으로서, 절연층(106)과 냉각수의 비유전율이 다르다는데 착안하여, 측정소자를 고정자 권선의 측정위치(P, P)(도29참조)에 맞대어 정전용량을 계측함으로서, 냉각수의 누설에 의해서 절연층이 흡습하여 부식하는 고정자권선의 특정을 행하는 검사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냉각수의 누설에 의해서 절연층이 흡습하여 부식하는 고정자권선의 특정을 행하는 검사법에 있어서는, 측정소자를 맞대는 고정자권선의 측정위치가 회전전기의 비교적 구석쪽에 있어, 이 상태에서는 손이 닿지 않기 때문에, 회전자체를 고정자체로부터 인출한 상태에서 검사해야 했다.
이와 같이 회전자체를 인출하는 작업은 분해작업등에 많은 손이 필요로 하여, 시간도 걸리고, 반드시 효율이 좋은 것이 아니었다. 더구나, 그 인출작업을 포함시킨 고정자권선의 점검은, 회전전기를 정지하여 실시하기 때문에, 그 기간이 길어지게 될수록, 더 고가로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회전자체의 철거후에 실시하는 검사에 있어서도, 측정소자의 압착작업을 직접, 수작업으로 실시하지 않으면 않되고, 반드시 효율이 좋은 것은 아니었다.
예를들어 측정소자는 통상, 장방형상이기 때문에, 눌려 맞닿는 방향에 따라서는 측정소자의 실행면적이 변화하여, 측정데이터에 불균일이 발생하기 쉬웠다. 또, 양호한 측정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측정소자를 고정자권선의 곡면부나 표면에 추종시키면서, 일정한 힘으로 부착해야 하고, 이 부착작업을 한정된 공간내에서 실시하는것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자체를 고정자체로부터 인출하지 않고 고정자권선의 점검를 비교적 용이하게 또한 정확히 실시하고 또, 그 점검작업을 단시간에 종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회전전기 고정자권선의 점검에 적합한 실용도가 높은 장치구성을 간단히 구축하여, 비교적 저가로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측정소자의 부착 작업을 비교적 간단히 또한 정확히 실시하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제1실시형태의 회전전기 고정자권선의 점검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2는 회전전기 고정자권선의 점검장치의 전체구성 및 그 전체동작을 설명하는 개략측면도.
도3은 프로브의 개략단면도.
도4( a ) 및 ( b )는 프로브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측면도.
도5는 암링크부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6은 암수납부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7은 암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
도8은 궤도벨트부 및 압착 와이어부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9는 원주면둘레방향 이동장치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개략평면도.
도10은 장력조정기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11은 제2 실시형태의 점검장치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개략평면도.
도12는 암링크부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13 (a) 내지 (c)는 암링크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단면도.
도14는 제3실시 형태의 점검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15는 제5실시형태의 방전회로를 구비한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개략블록도.
도16은 제9실시형태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개략구성도
도17은 제10실시형태의 점검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개략측면도.
도18은 제13실시형태의 점검장치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개략측면도.
도19는 제14실시형태의 점검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개략측면도.
도20은 제15실시형태의 점검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개략측면도.
도21은 제16실시형태의 점검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개략측면도.
도22는 복수주름방식의 소판상프로브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개략측면도.
도23은 점검장치의 선단부구조를 나타낸 개략측면도.
도24는 제17실시형태의 점검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개략측면도.
도25는 원주면둘레방향 이동장치의 요부 나타낸 개략평면도.
도26은 제18실시형태의 점검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27은 도26중의 A-A선에 따라 점검장치를 본 경우의 개략평면도.
도28은 제19실시형태의 점검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개략측면도.
도29는 종래의 회전전기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개략종단면도.
도30은 종래의 고정자권선의 외관을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31은 종래의 고정자권선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개략단면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1 기재의 발명에 의한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는, 구조체에 지정된 소정의 측정위치에 측정소자를 설치하고, 그 측정소자가 검출한 측정치에 따라서 상기 구조체를 점검하도록 하고 상기 측정소자를 암장치에 부착시키고, 이 암장치를 상기 구조체에 부착하는 동시에, 상기 암장치는 상기 측정소자를 지지하는 복수의 링크를 갖고, 또 그 복수의 링크를 암축방향으로 연결한 암링크체와, 이 암링크체를 구동함으로서, 상기 복수의 링크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측정소자를 상기 측정위치에 설치하는 암구동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2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암구동 시스템은 상기 구조체에 대해서 상기 암링크체를 소정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면서, 이 방향에 대해 상기 측정위치측으로 향한 각도로 돌출시키는 암이동수단과, 이 암이동수단에 의해서 돌출시키는 상기 암링크체의 암자세를 직선상으로 유지시키는 암자세유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3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암이동수단이 상기 암링크체의 이동 및 돌출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체와, 이 가이드체에 대해서 상기 암링크체를 암구동시키는 구동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체는 예를들어 가이드레일이 바람직하다.
청구항4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체가 상기 암링크체의 돌출시에 상기 측정위치측으로 향한 각도로 열리는 개폐자재의 도어를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5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기구는 너트를 지지하는 이송나사를 갖고, 또한 그 이송나사를 회전시켜, 상기 너트를 이송나사의 축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기구이고, 상기 너트를 상기 암링크체에 고정하고 있다.
청구항6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슬라이드기구가 상기 이송나사를 외부에서 강제로 회전시키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7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의 링크내의 인접하는 링크는 서로의 연결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직선상의 암자세로 정해지는 각도와 상기 직선상의 암자세의 한쪽을 향하여 제한된 소정각도 사이에서 요동이 자유로운 링크이다.
청구항8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암자세유지수단은 삭조체 및 이 삭조체의 양단부내의 한쪽에 연결되는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삭조체의 양단부내의 다른쪽을 상기 복수의 링크 각각의 연결축의 한 쪽을 통해서 상기 복수의 안쪽 선단측 링크에 고정하고, 상기 탄성체를 상기 복수의 안쪽 후단측의 링크에 고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체(예를들어, 스프링)을 거쳐서 삭조체에 생기는 장력으로 암링크체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9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암자세유지수단은, 판스프링을 구비하고 이 판스프링의 양단부를 상기 복수 링크의 각각의 연결축의 한쪽을 거쳐서, 상기복수의 안쪽의 선단측 및 후단부에 고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판스프링의 굽힘강성으로 암링크체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10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암자세 유지수단은, 상기 복수 링크의 각각의 연결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복수의 풀리와, 이 복수의 안쪽의 인접하는 풀리를 서로 다르게 연결하는 복수의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안쪽의 후단측 풀리의 회전각도를 구속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안쪽의 선단측의 풀리의 회전각도를 상기 복수의 안쪽의 선단측의 링크에 대해서 소정각도로 제한하고 있다.
청구항11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의 링크는 프레임상체이다.
청구항12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구조체는 회전전기의 회전자체 및 고정자체이고, 상기 측정위치는 상기 고정자체에 지정된 고정자권선의 간극 위치인 동시에, 상기 소정 방향이 상기 회전자체의 축방향이 되도록 상기 암장치를 상기 회전자체에 부착하고 있다.
청구항13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암장치를 원주면둘레방향 이동장치를 거쳐서 상기 회전자체에 부착하고 있다.
청구항14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원주면둘레방향이동장치는 상기 회전자체의 원둘레방향에 따라서 부착시키고 자유자재의 타이밍벨트(timing belt)를 갖는 벨트체와, 이 타이밍벨트에 맞물리는 타이밍 풀리를 회전이 자유롭게 구동시키는 구동체와, 상기 원둘레방향에 따라서 부착이 자유로운 삭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자체에 상기 벨트체를 감아 이 벨트체상에 상기 구동체를 배치하고, 이 구동체를 상기 벨트체측으로 압착하도록, 상기 삭조체를 상기 회전자체에 감는 동시에, 상기 구동체에 상기 암장치를 부착하고 있다.
청구항15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벨트체는 벨트 및 이 벨트를 권상할 수 있는 권상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타이밍 벨트의 양단측에 상기 벨트를 부착하고, 이 벨트를 상기 권상장치로 감아 올림으로서, 상기 타이밍벨트를 상기 회전자체에 감아 고정하고 있다. 여기서, 권상장치는, 예를들어 래치트기구가 바람직하다.
청구항16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삭조체의 양단부 안의 한쪽에 벨트를 부착시키고, 그 삭조체의 양단부 안의 다른쪽에 상기 벨트를 권상 가능한 권상장치를 부착하고, 이 권상장치로 상기 벨트를 권상함으로서, 상기 삭조체를 상기 회전자체에 감아 고정하고 있다. 여기서, 권상장치는 예를들어 래치트 기구가 바람직하다.
청구항17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삭조체에 장력조정기를 설비하고 있다.
청구항18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원주면둘레방향이동장치는 상기 회전자체의 원둘레방향에 따라서 부착이 자유로운 롤러체인과, 이 롤러체인에 기어맞춤하는 스프로켓을 회전이 자유롭게 구동시키는 구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자체에 상기 롤러체인을 감고 이 롤러체인상에 상기 구동체를 배치하여, 이 구동체를 상기 롤러체인측에 압착하도록 상기 삭조체를 상기 고정자체에 감는 동시에, 상기 구동체에 상기 암장치를 부착하고 있다.
청구항19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암장치의 상기 회전자체의 축방향의 위치 및 상기 원주면둘레방향이동장치의 상기 회전자체의 원둘레방향 위치의 각각의 원점을 설정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20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측정소자는 대략 원형상의 측정소자이고, 이 측정소자를 프로브를 거쳐서 상기 암링크체에 부착하는 동시에, 프로브는 상기 암링크체에 부착되는 베이스체와, 이 베이스체의 양측에 부착되는 신축이 자유로운 주름부와, 이 주름부에 공기를 공급 및 배출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주름부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측정소자를 부착하고 있다
청구항21 기재의 발명에서는 회전전기의 고정자권선의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대략 원형상의 측정소자와, 이 측정소자를 지지하는 프로브와, 이 프로브를 지지하는 휴대가 자유로운 봉상체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프로브는 베이스체와, 이 베이스체의 양측에 부착되는 신축이 자유로운 주름부와, 이 주름부에 공기를 공급 및 배출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주름부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측정소자를 부착하고 있다.
청구항22 기재의 발명에서는 회전전기의 고정자권선의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측정소자와, 이 측정소자를 상기 회전전기의 회전자체의 축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고정자권선의 간극에 지정된 측정위치에 위치결정시키는 이동시스템을 구비하고, 이 이동시스템은 서보모터를 갖는 구동기구와, 상기 측정소자에의한 정전용량의 측정시에 서보모터의 권선이 비여자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23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측정소자에의한 정전용량의 측정시에 서보모터의 회전각이 비검출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 청구항 24기재의 발명에 의한 암장치는, 복수의 링크를 갖고 또 그 복수의 링크를 암축방향으로 연결 한 암링크체와, 이 암링크체를 소정 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키면서, 그 방향에 대해서 소정 각도로 돌출시키는 암이동수단과, 이 암이동수단에 의해서 돌출되게 하는 상기 암링크체의 암자세를 직선상으로 유지하는 암자세유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25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의 링크 내의 인접하는 링크는 서로연결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직선상의 암자세로 정해지는 각도와, 직선상의 암자세의 한쪽을 향하여 제한된 소정각도 사이에서 요동이 자유로운 링크이다.
또한, 청구항26 기재의 발명에 의한 원주면둘레방향이동장치에서는 원주상구조체의 원둘레방향에 따라서 부착이 자유로운 타이밍벨트를 갖는 벨트체와, 이 타이밍벨트에 맞물리는 타이밍풀리를 회전이 자유롭게 구동시키는 이동체와, 상기 원주쪽 방향에 따라서 부착이 자유로운 삭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원주상구조체에 상기 벨트체를 감고, 이 벨트체상에 상기 구동체를 배치하여 이 구동체를 상기 벨트체측에 압착하도록 상기 삭조체를 상기 원주상구조체에 감고 있다.
청구항27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암구동 시스템은 상기 암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암링크체와 같이 돌출되게 하는 상기 측정소자의 돌출후의 베이스자세를 암링크체의 암자세에 대해서 소정 각도로 유지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28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암구동시스템은 상기 암이동수단에 의해서 상기 암링크체가 이동 및 돌출되는 때에 상기 고정자권선의 반경방향의 권선폭을 검출하고, 이 검출치를 사용하여 고정자권선의 측정위치를 지정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29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암구동시스템은, 상기 고정자권선의 반경방향의 소망 위치에 상기 측정소자를 위치결정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30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원주면둘레방향이동장치는, 상기 측정소자를 부착한 암장치를 상기 회전자체의 둘레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청구항31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원주면둘레방향이동장치는, 상기 측정소자의 고정자권선의 간극의 둘레방향의 삽입위치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32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원주면둘레방향 이동장치는 상기 암장치에 대한 상기 측정소자의 배치상태에 따라서 암장치의 둘레방향이동을 제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33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주름부는 복수의 주름부이고, 이 복수의 주름부가 수축시에 적어도 상기 측정소자를 덮는 커버를 상기 프로브가 구비하고있다.
청구항34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측정소자는 동박으로 구성하고 이 동박을 쿠션재의 한쪽 면에 설치하고, 이 쿠션재의 다른쪽 면을 접지용 동박으로 덮고, 그 접지용 동박을 절연재를 거쳐서 상기 프로브에 부착하고 있다.
청구항35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베이스체의 양측의 각각에 상기 주름부을 거쳐서 측정소자를 부착하고, 이 양측의 측정소자를 서로 전환하여 측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36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봉상체는 상기 프로브를 상기 회전전기의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자유로이 슬라이드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프로브는 상기 고정자 권선의 간극에서 상기 측정소자를 둘레방향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위치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37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주름부는 복수의 주름부이다.
청구항38 기재의 발명에 의한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는, 회전전기의 고정자 권선의 정전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소자와, 이 측정소자를 지지하는 프로브와, 이 프로브를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봉상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9 기재의 발명에 의한 회전전기고정자 권선의 정전용량 측정방법은,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를 사용하여 회전전기의 고정자 권선의 간극에 지정된 측정위치에 상기 측정소자를 위치 결정하고, 그 측정소자를 사용하여 상기 고정자 권선 사이의 비접촉상태의 정전용량을 초기치로서 측정하고 그 후에 고정자 권선에 접촉시켜, 그 접촉상태의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40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정전용량을 측정하기 전에, 측정소자에 대전되어 있는 전하를 방전시키는 스텝을 사용하고 있다.
청구항41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측정위치로서, 상기 고정자권선의 철심단부로부터 기기 밖으로 뻗어있는 노출부분 내의 코로나방지처치가 시행되는 부분을 뺀 부분을 사용하고 있다.
청구항42 기재의 발명에 의한 회전전기고정자 권선의 정전용량측정방법은,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를 사용하여 회전전기의 고정자 권선의 간극에 지정된 측정위치에 측정소자를 위치결정 하고, 그 측정소자를 상기 고정자 권선에 접촉시켜 정전용량을 측정함과 동시에, 이 정전용량치를 평가하는 데이터로서, 상기 고정자 권선사이의 상기 측정소자의 접촉상태에 관한 저항치를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43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가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로서, 그 측정소자를 적어도 상기 고정자 권선의 간극에서 공간적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암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청구항44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저항치를 계측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저항치를 계측하면서, 상기 암장치를 구동시켜 상기 고정자 권선의 측정위치를 자동검색 시키는 공정을 사용하고 있다.
청구항45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측정소자의 측정주파수로서, 1kHz 근처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다.
발명의실시 형태
(제1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를 도1 내지 도10에 따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의한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암장치 및 원주면둘레방향이동장치를 회전전기고정자권선의 점검장치(정전용량측정장치)에 적용한 것이다. 여기서, 회전전기의 개요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과 동등하기 때문에, 각 구성요소에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1의 사시도 및 도2의 단면도는, 회전전기고정자권선의 점검장치(이하, 단지「점검장치」라고 함)의 전체구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동도에 나타낸 점검장치는, 정전용량 측정용의 측정소자(1a)를 회전자체(130) 및 고정자체(120)사이의 간극으로부터 고정자 권선(103)의 측정위치(P)까지 이동 및 위치 결정하는 것으로, 측정소자(1a)가 배치되는 프로브(1)와, 이 프로브(1)를 슬라이드 자유롭게 지지하는 암장치(10)와, 이 암장치(10)를 회전 및 슬라이드 자유롭게 지지하는 원주면둘레방향이동장치(이하, 단지「이동장치」라함)(40)와, 암장치(10) 및 이동장치(40)의 위치제어에 관한 위치제어시스템(70)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프로브(1)의 개요를 도1 및 도2에 더하여, 도3에 나타낸 개략단면도및 도4에 나타낸 동작설명도를 참조하고 설명한다.
프로브(1)는 도3에 나타낸 바와같이, 암장치(10)에 부착된 보디를 이루는 베이스(2)를 갖고 이 베이스(2)의 축방향을 사이에 끼우는 2개의 측면에 축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서 신축이 자유로운 주름부(3a, 3b)가 부착되고, 이 2개의 주름부(3a, 3b)의 각각의 외판에 부착된 쿠션(4a, 4b)을 거쳐서 베이스(2)의 측면 한쪽에 스톱부(5)가 다른 쪽에 원형상의 측정소자(1a)가 부착되어 있다. 베이스(2)의 내부에는 2개의 주름부(3a, 3b)의 공기실에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공기통로(6)가 설비되고, 이 공기통로(6)가 베이스(2)에 부착된 공기배관(7)을 거쳐서 도시하지 않은 공기압회로(공기압원)에 접속되어 있다.
이 프로브(1)는, 예를들어, 고정자 권선(103)의 측정위치(P)(도15참조)로의 유도시등의 비측정시에는 베이스(2)내에 주름부(3a, 3b)를 수납하는 동시에, 고정자권선(103)의 측정시에는 도4( a )에 나타낸 바와같이, 공기압회로로부터 공기 배관(7)을 거쳐서 베이스(2)의 공기통로(6)로 공기를 내 보내, 주름부(3a, 3b)를 팽창시켜 스톱부(5) 및 측정소자(1a)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측정소자(1a)를 고정자 권선(103)의 표면(측정위치(P))에 압착시킨다. 이 스톱부(5) 및 측정소자(1a)의 압착력은 공기압회로의 공기압을 조정함으로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 압착상태에서 측정이 종료하면, 이 프로브(1)는 도4( b )에 나타낸 바와같이, 공기압회로에 의해 상기와 반대의 경로로 흡기하여 주름부(3a, 3b)를 수축시킴으로서, 베이스(2)내로 수납한다.
다음에, 암장치(10)의 개요를 도1 및 도2에 더하여,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암장치(10)는 도1및 도2에 나타낸 바와같이, 프로브(1)를 부착되는 암링크부(본발명의 암링크체 및 암자세유지수단을 이룬다)(11)와, 이 암링크부(11)를 프로브(1)와 같이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수납하고, 또 이 암링크부(11)의 선단부를 고정자권선(103)의 지정된 측정위치(P) 측으로 향한 각도로 돌출하도록 유도하는 암수납부(본발명의 암이동 수단의 가이드체를 이룬다)(12)와, 이 암수납내부(12)에 대해서 암링크부(11)를 회전자체(130)의 축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구동시키는 암구동기구(본발명의 암이동수단의 구동기구를 이룬다)(13)를 요부로 구비하고 있다.
암링크부(11)는 도2에 나타낸 바와같이, 그 선단부 및 후단부에 서로 다른 링크체(이하, 편의상, 「선단부링크체(11a)」 및「후단부링크체(11b)」)와, 이 안의 선단부링크체(11a)의 암형상의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암자세유지기구(암형상유지기구)(14)를 구비하고 있다.
선단부링크체(11a)는 도5에 나타낸 바와같이, 프레임(틀상)부재로 되는 2종류의 서로 크기가 다른 짧은 링크(15a, 15b)를 구비한 것으로, 이 양자(15a, 15b)를 교대로 암상으로 여러개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짧은링크(15a, 15b)는 예를들어, 복수의 판상부재, 즉 2개의 사다리꼴상의 측판(P1, P1), 바닥측판(P2), 및 앞측판(P3)을 일체로 또는 별체로 프레임구조(틀상체)로서 성형한 것이다(도5에서는 일체성형 형태의 일례를 나타냄). 이 중, 2개의 측판(P1, P1)에는, 그 암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소정위치에 연결용 구멍(16)이 천공되어 있다.
이 선단부링크체(11a)는 2개의 측판(P1, P1)의 연결용구멍(16)에 핀(17)을 밀어 넣고, 그 핀(17)의 양단부에 링크롤러(18, 18)를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함으로서, 짧은링크(15a, 15b)를 교대로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이 선단부링크체(11a)는 각 링크마다 짧은링크(15a, 15b)의 서로의 형상과 그 연결지점(0)의 위치로 제한된 운동방향, 예를들어, 2개의 짧은링크(15a, 15b)에서 본 경우에, 그 연결지점(0)을 중심으로하여 양자의 바닥측판(P2, P2)이 서로 약180도의 대략 직선상이 되는 기준방향(x)에서 서로 앞측판(P3)측으로 회전하는 방향만으로 제한된 각도로 굴곡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후단부링크체(11b)는 도2에 나타낸 바와같이, 암구동기구(13)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복수(도면중에서는 2개)의 긴링크(19, 19)를 구비하여, 이 긴링크(19, 19)를 상기와 같은 핀(17) 및 링크롤러(18)를 거쳐서 암상에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암자세유지기구(14)는 도5에 나타낸 바와같이, 선단부링크체(11a)내의 소정의 핀(17)(예를들어, 선단측 및 후단측의 2개소)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된 링크 풀리(20)와, 이 링크 풀리(20)의 중앙부의 풀리(20a)에 가이드되고 또 바닥측판(P2) 측(선단부링크체(11a)의 굴곡이 제한되어 있는 측)을 통과하도록 삽통되는 링크와이어(21)와, 이 링크와이어(21)를 링크 풀리(20)로 가이드한 상태로 스프링(22)을 거쳐서 후단부링크체(11b)내에 고정하고 있다.
여기서, 링크롤러(20)는 중앙부의 풀리(20a)외에 그 중앙부를 사이에 끼우는 양단측에 풀리(20a) 보다도 직경이 작은 풀리(20b, 20b)가 장치되고, 이 풀리(20b, 20b)에 의해 측정소자(1a)와 별도의, 정전용량측정기등의 장치(도시하지 않음) 사이를 접속하는 케이블(23, 23)을 암링크부(11)내에서 가이드한다.
암수납내부(12)는 도6에 나타낸 바와같이, 암링크부(11)를 수납가능한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키이싱(24)를 갖고, 그 케이싱(24)내의 대향하는 양측면(24a, 24a)에 가이드레일용홈(이하, 「가이드레일」)(25, 25)을 천공하고, 이 가이드레일(25, 25)에 따라서 암링크부(11)를 가이드하게 되어 있다. 가이드레일(25)은, 선단부링크체(11a) 및 후단부링크체(11b)의 링크롤러(18)의 직경과 같은 폭을 갖고, 그 주행방향이 케이싱(24)의 축방향을 따라서 뻗어 있고, 또 그 선단측에서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곡률로 굴곡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레일(25)의 굴곡부의 단부, 즉 케이싱(24)의 선단측에는 개구부(도시하지 않음)가 설비되고, 이 개구부에서 케이싱(24)의 외부로 측정소자(1a)를 부착한 선단부암체(11a)가 돌출가능하게 되어 있다.
암구동기구(13)는 도6에 나타낸 바와같이, 가이드레일(25)의 주행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암구동용의 이송나사(27)와, 이 이송나사(27)에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연결되는 암구동용 이송나사 너트(28)와, 이송나사(27)의 후단측에 연결 되는 구동원으로서의 서보모터 등의 암용모터(29)를 요부로 구비하고, 이송나사(27)를 케이싱(24) 외측의 베어링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시키고, 이송나사 너트(28)를 후단부링크체(11b)의 최후미의 긴링크(19)에 연결하고 있다. 이 암구동기구(13)는 암용모터(29)가 구동하여 이송나사(27)를 회전시키면서 이송나사 너트(28)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서, 암링크부(11)를 가이드레일(25)에 따라서 이동시킨다(도면중의 E방향 참조).
또, 이 암구동기구(13)에는 도2에 나타낸 바와같이, 암용예비이동장치(30)가장착되어 있다. 이 예비이동장치(30)는 이송나사(27)에 연동장치(31)를 거쳐서 연결되는 서보모터등의 암예비용모터(32)와, 이송나사(27)와 암용모터(29)를 서로 축이음새로 연결하는 커플링부(33)를 구비하고 있다. 암예비용모터(32)는 암용모터(29)의 사용중에는 수동적으로 회전만 하므로 암링크부(11)의 구동에 관여하지 않고, 암용모터(29)가 고장등에 의해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능동적으로 구동하여 연동장치(31)를 거쳐서 이송나사(27)를 연동시킨다. 또, 커플링부(33)는 수동조정할 수 있도록 노출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양모터(29, 30)가 고장난 경우등에 직접 손으로 돌려 조정함으로서, 암링크부(11)를 수동으로 이동가능 하게 되어 있다.
또, 이 암구동기구(13)에는 도6에 나타낸 바와같이, 케이싱(24)의 선단측에 개폐가 자유로운 수직유도도어(34)와, 이 수직유도도어(34)에 도어개폐와이어(35)를 거쳐서 연결되는 슬라이드기구(36)가 장착되어 있다. 수직유도도어(34)는 암수납내부(12)내에서 선단부암체(11b)가 돌출할 때에 가이드레일(25)의 굴곡부의 연장방향의 각도까지 눌려 열리고, 이 선단부암체(11b)가 수납될 때 슬라이드기구(36)로 부터의 동력을 도어개폐와이어(35)를 거쳐서 받아 닫힌다(도면중 D방향 참조).
슬라이드기구(36)는 케이싱(24)의 외측측면에 이송나사(27)의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소정거리 뻗어 있고, 또 그 축방향에 도어개폐와이어(35)용의 슬랙스프링(38a)을 끼워넣은 봉상의 레일(38)과, 이 레일(38)에 따라서 슬라이드가 자유로운 와이어 슬라이드(본체)(37)를 구비하고, 이 와이어 슬라이드(37)를 이송나사 너트(28)의 도크(28a)의 후단부에 접촉가능한 몸체로 형성하고 있다.
이 슬라이드기구(36)는 선단부암체(11b)의 돌출시에 수직유도도어(34)의 열림동작에 따르는 도어개폐와이어(35)의 선단측으로의 인장력을 받아 와이어 슬라이드(37)를 선단측 방향으로 소정거리, 슬라이드시킴과 동시에, 이 슬라이드시에 와이어 슬라이드(37)가 받는 슬랙스프링(38a)의 반력에 의해 도어개폐와이어(35)를 이완 없이 후단측으로 잡아 당긴다. 또, 이 슬라이드기구(36)는 선단부암체(11b)의 수납시에 와이어 슬라이드(37)를 보내고, 이송 나사너트(28)의 도크(28a)에 걸어 둔 상태로 이송나사너트(28)와 같이 후단측을 슬라이드시켜, 도어개폐 와이어(35)를 후단측으로 잡아 당김으로서, 도어개폐와이어(35)를 닫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암장치(10)의 동작을 도7( a ) 내지 ( C )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도7( a )에 나타낸 바와같이, 암수납부(12)내에 프로브(1)를 부착한 암링크부(11)가 수납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암구동기구(13)를 기동시킨다. 이 기동시에, 암용모터(29)가 작동하여, 그 동력으로 이송나사(27)가 회전하여 이송나사 너트(28)를 선단측으로 평행이동시킴으로서, 그 이송 나사너트(28)에 연결된 후단부암체(11b)의 최후단의 긴링크(19)가 선단측으로 이동된다. 이 때, 링크롤러(18)의 운동방향이 가이드레일(25)에 구속되기 때문에, 선단부암체(11a)가 프로브(1)와 같이 가이드레일(25)의 주행방향에 따라서 선단측으로 수평이동된다.
이어서, 도7( b )에 나타낸 바와같이, 선단부암체(11a)가 가이드레일(25)의 굴곡부에 도달하면, 그 최선단의 짧은링크(15a)로부터 순차,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유도되어 간다.
이어서 도7( c )에 나타낸 바와같이, 선단부암체(11a)는 최선단의 짧은링크(15a)에서 순차, 수직방향으로 방향을 바꾸면서, 개구부를 거쳐서 가이드레일(25)의 연장방향, 즉 케이싱(24)의 외부로 돌출되어 간다. 이 때, 가이드레일(25)의 굴곡에 따르는 곡선분, 선단부암체(11a)의 경로거리가 증가하기 때문에, 암자세유지기구(14)의 스프링(22)이 신장하고, 그 스프링(22)의 반력으로 링크 와이어(21)가 후단측으로 잡아 당겨진다. 이 링크 와이어(21)의 인장력에 의해서, 돌출 상태에 있는 짧은링크(15a, 15b)가 굴곡이 제한되어 있는 측(바닥판측)으로 힘을 받아, 돌출후의 선단부암체(11a)의 암형상이 직선상이 되는 자세로 유지된다.
다음에 이동장치(40)의 개요를 도1 및 도2에 더하여, 도8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동장치(40)는 도1에 나타낸 바와같이, 회전자체(130)의 주위(원주면)에 조정가능하게 부착된 지지체(41)와, 이 지지체(41)에 대해서 회전자체(130)의 주위를 이동하는 이동체(4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이동체(42)에 상기한 암장치(10)가 별체로서 부착되어 있다.
지지체(41)는 도8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동체(42)의 이동궤적을 정하는 궤도벨트부(42a)와, 이 궤도벨트부(42a)에 이동체(42)를 적당하게 압착하여 지지하는 압착와이어부(43)를 구비하고 있다.
궤도벨트부(42a)는 폭이 넓은 타이밍벨트(44)를 요부로 구비하고, 이 타이밍벨트(44)의 양단부 각각에 궤도벨트말단고정부(이하, 단지「고정부」라 함)(45, 45)를 설비하고, 이 고정부(45, 45)에 궤도벨트고정용 권상벨트(46, 46)을 부착시키고, 이 권상벨트(46, 46)의 한쪽에 래치트(47)를 고정하고, 이 래치트(47)로 권상벨트(46, 46)의 다른쪽을 감아 올림으로서, 타이밍벨트(44)를 회전자체(130) 주위에 설치하게 되어 있다. 이 내에, 고정부(45, 45)에는 설치위치조정룰러(ruler)(48, 48)가 부착되어 있다.
압착와이어부(43)는 고정부(45, 45)에 설비한 와이어 가이드(구멍)(49, 49)에 삽입되는 압착와이어(50)와, 이 압착와이어(50)의 도중 위치(중간)에 삽입되는 장력조정기(장력관리장치)(51)를 요부로 구비하여, 압착와이어(50)의 양단부의 한쪽에 압착와이어 고정용 권상벨트(52)를 설비하고, 다른쪽에는 래치트(53)를 설비하여, 권상 벨트(52)를 래치트(53)에 떼어 낼수 있게 연결함으로서, 암착와이어(50)를 와이어 가이드(49, 49)를 거쳐서 궤도벨트부(42a)의 주위에 배치하도록 되어 있다.
장력조정기(51)는 도9에 나타낸 바와같이, 피스톤(54)을 갖는 실린더(55)와 이 실린더(55)를 회전지점(0)을 중심으로 틸트 움직임(수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프레임(56)을 구비하고, 실린더(55)의 저측 및 피스톤(54)의 선단측에 권상벨트(52)를 고정하여, 실린더링(55)에 대한 피스톤(54)의 압축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한 스트로크방향의 동작(도면중의 G방향 참조)에 의해서 압착와이어(50)의 수평움직임을 조정하고, 프레임(56)에 대한 실린더(55)의 틸트움직임(도면중의 F방향참조)에 의해 압착와이어(50)의 상하 움직임을 조정한다.
이동체(42)는 도1 및 도10에 나타낸 바와같이, 예를들어 구형상의 본체(57)를 갖고, 이 본체(57)의 전후 2개소에 차륜축(59, 60)을 설비하고, 이 차륜축(59, 60)의 양단측에 타이밍벨트(44)의 톱니와 톱니맞되는 타이어 풀리(59a, 60a)를 부착한 동시에, 한쪽 타이어 풀리(59a)의 외측에 전달풀리(59b), 감속기(61)를 거쳐서 서보모터등의 둘레방향용 모터(62)를 연결하고, 다른쪽 타이어 풀리(60a)의 외측에 전달풀리(60b)를 거쳐서 위상조정기(63)를 연결하고, 양 전달풀리(60b, 59b)를 서로 전달벨트(64)로 연결하고 있다. 또, 이 이동체(42)의 상부 2개소에는 압착와이어(50)가 통과하는 와이어용풀리(65, 65) 및 그 와이어이탈 방지 스토퍼(66, 66)가 부착되고, 압착와이어(50)의 적당 위치에는 와이어 스토퍼(67)가 설비되어 있다 (도면10중의 부호77은 접촉센서를 나타냄).
여기서, 상기의 이동장치(40)의 설치순서 및 그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이 이동장치(40) 설치시에, 타이밍벨트(44)를 회전자체(130)(지지환(122))의 원주면상에 탑재하고, 설치위치조정룰러(48, 48)의 단부를 회전자체(130)의 축방향의 단면에 맞추면서, 그 단면에 대하여 타이밍벨트(44)를 수평으로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권상벨트(46)를 회전자체(130)의 주위로 1주 시키고, 이것을 래치트(47)로 환상으로 감아 올려, 타이밍벨트(44)를 회전자체(130)의 주위에 고정한다.
이 타이밍벨트(44)의 설치가 완료하면, 이 벨트(44)상에 이동체(42)를 배치한다. 이 때, 압착와이어(50)를 와이어용 풀리(65, 65)를 통과시키고, 이것이 빠지지 않도록 와이어 이탈방지스토퍼(66, 66)를 로크한다. 이 상태에서 압착 와이어고정용의 권상벨트(52)을 회전자체(130)의 주위에 1주 시키고, 이것을 래치트(53)에 환상으로 감아 올린다. 이 때 장력조정기(51)의 피스톤(54)의 스트로크변화를 확인하면서, 래치트(53)를 조작하여, 압착 와이어(50)의 장력을 조정한다. 이것에 의해, 이동체(24)의 회전자체(130)상에 이동 가능하게 탑재하여 이동장치(40)의 설치를 완료한다.
다음에, 이 이동장치(40)의 기동시에, 둘레방향용모터(62)가 작동하고, 이 구동력이 감속기(61)로 감속되어 한쪽의 전달풀리(59b)에서 전달벨트(64)를 거쳐서 다른쪽 전달풀리(60b)로 전달되고, 4개의 타이어 풀리(59a, 60a)가 회전하여, 이동체(42)가 타이밍벨트(44)상을 주행한다. 이 주행중에는 위상조정기(63)로써 타이어 풀리(59a,60a)와 타이밍벨트(44)의 서로 톱니 맞물림위상이 적당히 조정된다.
또, 이동체(42)의 주행중에 타이밍벨트(44)의 단부에서 압착와이어(50)의 길이가 변화하더라도, 이 장력이 장력조정기(51)의 압축스프링의 압축량에 의해서적당히 조정된다. 또, 이동체(42)의 주행위치에 의해 압착 와이어(50)의 높이가 변화하더라도, 실린더(55)의 틸트움직임에 의하여 피스톤(54)의 스트로크방향과 와이어(50)의 축방향이 항상 동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적당히 조정되어, 압축스프링이나 피스톤(54)에 생기는 횡방향의 부적당한 힘이나 모멘트가 회피된다.
다음에, 이동위치제어시스템(70)의 개요를 도2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동위치제어시스템(70)은 회전자체(130)에 설치된 이동장치(40)에 대해서 암장치(10)를 회전자체(130)의 축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시키는 축방향조절장치(71)를 요부로 구비하고 있다.
축방향조절장치(71)는 이동체(42)의 상부에 회전자체(130)의 축방향을 따라서 배치설비된 암장치유도용의 리니어가이드(72)를 갖고, 이 리니어가이드(72)에 따라서 암수납부(12)을 이동시킴으로서, 예를들어, 상기한 암이동기구(13)와 동일한 서보모터등의 암수납부용모터(73), 암수납내부이동용 이송나사(74) 및 그 이송나사너트(75)를 케이싱(24)의 저면측에 부착하는 동시에, 이송나사 너트(75)를 암장치(10)에 고정하고, 이송나사(74)의 선단측을 이동체(42)의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하고 있다.
또, 이 이동위치제어시스템(70)에는 암수납부(12)의 선단측에 카메라(75a) 및거리센서(76)를 부착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전체 동작을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이 점검장치의 측정대상인 고정자 권선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2에 나타낸 바와같이, 회전자체(130)와 고정자체(120)의 간격은, 예를들어 60mm 정 도로 좁고, 고정자체(120)의 외경측 및 내경측의 고정자권선(103a, 103b)은서로 역방향으로만곡한 임벌류트곡선이 이루는 방향에서, 또 그물코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특히 외경측의 고정자 권선(103a)은 회전자체(130)의 지지환(122)의 표면에서, 예를들어 300mm정도,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자 권선(103)사이 간극에서 측정소자(1a)를 맣닿게 해야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점검장치에서는 회전자체(130)를 종래와 같이 고정자체(120)로부터 뽑아내지 않고, 측정소자(1a)를 상기 그물코 부분을 회피하면서 고정자 권선(103)의 측정위치(P)까지 유도시키기 때문에, 60mm정도의 좁은 간극을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나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300mm정도 상승동작(도2참조)을시도한다.
우선 회전자체(130)(지지환(122))에 상술한 순서로 이동장치(40)를 설치하고 회전자체(130)의 원둘레방향(도1중의 C방향참조)에 따라서 최초의 측정위치(P)로지정된 고정자 권선(103)과 회전자체(130)의 간극으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축방향조절장치(71)를 기동시킴으로서, 암수납부용모터(73)가 작동하여, 그 구동력을 이송나사(74)에 전달하고 이송나사 너트(75)가 병진이동하고, 이동장치(40)에 대하여 암장치(10)가 회전자체(130)의 축방향(도면중의 A방향 참조)으로 슬라이드 되어, 고정자 권선(103) 사이의 측정위치(P)를 둘러싸는 반경방향의 삽입위치에 프로브(1)의 축방향 위치가 조정된다.
이어서, 암장치(10)가 상술한 암동작을 실행함으로서, 선단부암체(11a)가 직선상의 암자세를 유지하면서, 고정자권선(103a)의 측정위치(P) 측으로 향한 각도(도면중의 B참조)로 상승하고, 그 암자세를 직선상으로 유지한 채로, 선단부암체(11a)와 같이 프로브(1)가 고정자 권선(103)의 슬로트 사이에 삽입된다.
이어서, 프로브(1)가 고정자 권선(103)의 측정위치(P)에 도달하면, 상술한 바와같이, 주름부(3a, 3b)를 팽창시켜 측정소자(1a)를 고정자 권선(103)에 맣닿게 하고, 이 상태에서 정전용량을 측정한다. 이 측정이 종료하면, 주름부(3a, 3b)를 수축시켜 측정소자(1a)를 베이스(2)내에 수납하고 선단부암체(11a)를 상기와 반대의 경로로 암수납내부(12)에 수납한다. 이와 같이 프로브(1)가 수납된 상태를 카메라(75)등으로 확인하고 나서, 다음 고정자 권선(103)에 지정된 측정위치(P)를 향해서 이동장치(40)를 회전자체(130)의 원둘레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후, 모든 고정자 권선(103)의 측정이 종료할때까지 상기와 같은 조작을 반복 실행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회전자체를 일부러 고정자체로부터 뽑아 내지 않더라도, 그 대로의 배치상태로 고정자 권선의 점검을 비교적 용이하게 또 정확하게 실시하여, 그 점검작업을 단시간에 종료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효과에 더하여, 프로브, 암장치 및 이동장치 각각의 2차적인 효과를 포함하는 특유한 이점을 설명한다.
우선, 프로브에 대해서는, 베이스내에 측정소자를 수납하는 구조로 했기 때문에, 측정소자를 회전전기내의 돌기물에 걸어 두는 부적당한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회전전기내의 치수적 제약이 있는 간극에 측정소자를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측정소자를 원형상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고정자 권선으로의 맞닿는 방향의 차이에 의한 측정오차를 한층더 저감할 수 있는 외에, 동시에 소형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 주름부를 이용하여 측정소자를 고정자 권선에 맞닿도록 했기 때문에, 공기압원의 압력조작으로 맞닿게 힘을 적당히 조정할 수 있는 외에 좌우의 주름부에 공기통로를 연락시켰기 때문에, 프로브의 중심위치에 관계없이 좌우의 주름부를 동일한 힘으로 양측 고정자 권선에 압착할 수 있어, 그 결과 암의 삽입위치가 다소 어긋났다고 해도, 압착력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압착부의 반력은 그 지지체인 암링크부에서는 아니고 대향측의 고정자 권선(코일)에서 받기 때문에, 암링크부에 생기는 횡방향의 바람직하지 못한 힘이나 모멘트를 거의 방지할 수 있다.
또, 주름부 외판은 외부 형상에 따르기 때문에, 고정자 권선의 곡면부에서도 측정소자를 동일하게 압착할 수 있다.
다음에, 암장치에 대해서는 회전전기내의 회전자체와 고정자체의 간극(좁은 공간)을 거쳐서, 수평운동 후, 거의 수직으로 상승하여 직선상의 자세를 유지하면서, 지정된 장소에 도달하는 암동작을, 1자유도의 단순한 암구동으로 실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암의 밀어 내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서, 암선단부의 상승위치를 적당히 조정할 수 있다.
또, 암용 예비장치를 탑재했기 때문에, 예를들어 암용모터를 사용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하더라도, 암링크부를 그대로 구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특히 암링크부의 선단부 암체의 슬로트내로의 삽입시에 예비 모터를 포함한 전 구동원이 고장 등으로 정지한 경우에도, 회전자체를 고정자체로부터 일부러 철거하는 일이 없이 수동조작으로 암링크부를 암 수납부내로 수납시킬 수 있으므로, 장치의 신뢰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수직 유도도어을 탑재했기 때문에, 가이드 레일용 홈의 굴곡부의 연장 방향을 보완할 수 있는 외에 암 수납부의 높이를 더 낮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암 장치의 소형화를 더 한층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링크를 프레임상(틀상)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좁은 공간 내를 이동시키는 측정소자 등의 디바이스와 그 장치 본체 사이를 접속하는 케이블 등을 복잡하게 배치할 필요없이 암링크 내부의 링크 내로만 수납할 수 있다.
다음에 원주면 둘레방향이동장치에서는 좁은 작업 공간내에 있어서 회전자체의 원주 방향을 결정하는 궤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압착 와이어의 장력을 적정하게 유지하면서 와이어를 늘이는 것만으로 이동장치를 회전장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 결과 회전자체의 주위의 임의 자세에서의 이동이 가능한 외에 회전전기의 기종이 다른 회전자체에 대해서도 새로운 가이드 기구의 부가나 이동체의 곡률변경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그대로 간단한 장치 구성으로 임기응변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 프리와 타이밍벨트의 톱니맞춤을 이용했기 때문에, 회전자체상에서 점검장치가 미끌리든지 엇갈리든지 경사가 지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고, 회전자체의 원둘레방향의 위치결정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는 외에, 타이밍 벨트를 넓은 폭으로 했기 때문에 회전자체의 축방향의 자세도 정밀도 좋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착 와이어 길이가 변화되어도 장력 변동을 저감할 수 있고, 장력이 과대 또는 과소하게 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어, 점검장치를 안정되게 회전자체의 원주면 상의 원둘레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제1∼제5 응용예를 순차 설명한다.
1) : 제1 응용예는 이동장치(40) 대신에 회전자체(130)에 설치가능한 부착구를 갖고 이 부착구를 예를 들어 래치트를 도중에 배치한 권상 벨트로 구성 한 것이다.
이 응용예에서는 암장치(10)를 회전자체(130)의 지지환(122)의 상부에 탑재하고 권상벨트를 회전자체(130)의 주위에 감은 후, 래치트에서 벨트를 권상하고, 암장치(10)를 지지환(122)에 고정한다. 그리고 회전전기 설비에 있는 회전자체 회전용 모터의 회전각도를 제어하여 회전자체(130)을 회전시켜 암장치(10)을 소정 슬로트 위치에 위치결정 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응용예에 의하면 상기와 동일하게 회전전기로부터 회전자체를 뽑아내지 않고, 프로브를 지정된 측정위치로 유도하고, 고정자 권선의 정전 용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동시에, 특히 이동장치를 생략한 만큼 장치 전체의 구성을 더 간단히 구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2): 제2 응용예는 이동위치 제어시스템(70)의 카메라(75a) 및 거리센서(76)를 요부로 사용하고, 상기 실시형태의 점검장치의 원점위치를 상기한 각종 모터(62, 73)의 제어기에 설정하는 것이다.
예를들어 회전자체(130)의 원둘레방향(도1중의 C방향 참조)의 원점위치에 있어서는 점검장치를 회전자체(130)상에 설치 후, 측정자가 카메라(75a)로 확인하면서 수동으로 점검장치를 원점으로 해야 할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그 위치가 둘레방향용 모터(62)의 제어기에 원점위치로서 기억된다.
또 회전자체(130)의 축방향(도1중의 A방향 참조)의 원점위치에 있어서는 거리센서(76)에서 회전자체(130)와 고정자체(120)의 상대거리를 측정하면서 암장치(10)의 축방향의 위치를 축방향 조정장치(71)에 의해서, 수동으로 조정함으로서 암수납부(73)의 제어기에 원점위치로서 기억된다.
따라서, 본 응용예에서는 회전자체의 원둘레방향 및 축방향의 임의위치에원점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히 회전전기의 축방향의 위치에 대해서 타이밍벨트의 설치 어긋남이 있다던지, 고정자체에 대한 회전자체의 축위치가 어긋난다던지 해도, 고정자체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3): 제3의 응용예는 상술한 각종 모터(서보 모터)(29, 32, 62, 71) 각각의 제어기를 요부로 구비한 것이므로, 이들 제어기가 고정자 권선의 측정시기에 준해서, 모터권선의 여자상태를 제어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즉 본 응용예에서는 모터의 작동에 의한 프로브(1)의 위치결정 후에 제어기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모터의 권선이 비여자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 고정자권선(103)의 측정이 실시되는 동시에 이 측정후에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모터의 권선이 여자 상태로 되고, 그 후 모터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본 응용예에 의하면, 특히 점검장치의 구동원에 의한 정전용량 측정의 잡음신호의 영향을 한층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4): 제4의 응용예는 상기 제3 응용예와 동일한 구성에 더하여 모터의 제어기와 모터의 접속 온ㆍ오프 전환을 실시하는 릴레이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즉 본 응용예에서는 상기와 동일한 동작으로 모터의 권선을 비여자 상태로 제어한 후 릴레이회로의 동작에 의해서 제어기와 모터의 접속이 일시적으로 오프상태로 전환되고 모터의 회전각속도가 제어기(검출회로)에서는 비검출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 고정자 권선의 측정이 실시된다. 이 측정후에 릴레이 회로에 의해서 제어기와 모터의 접속이 온상태로 복귀되고 상기와 동일한 동작으로 모터의 권선이 여자상태로 제어되어, 그 후 모터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본 응용예에 의하면 모터 부분으로부터의 전기적 잡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외에 모터의 회전각도의 검출회로로부터의 신호에 의한 전기적 잡음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어 이들 잡음원 발생에 의한 정전용량 측정치로의 영향을 더 한층 저감할 수 있고 측정정밀도를 더 한층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5): 제5 응용예는 암장치(10) 및 이동장치(40) 외에 교시조작 팬던트(휴대용 유니트) 및 둘레방향 이동제한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본 응용예에서는 조작자가 수동으로 점검장치를 이동시키는 때에 교시조작팬던트에 미리 설정된 수동모드로 전환함으로서, 암장치(10)내의 프로브(1)의 수납상태에 따라서 둘레방향이동제한장치가 둘레방향용모터(62)의 사용유무를 제한(제어)하게 되어 있다. 즉, 프로브(1)의 미수납시에 교시조작팬던트가 둘레방향용모터(62)의 구동을 금지함돠 동시에, 프로브(1)의 수납시에만 모터(62)의 구동을 사용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 응용예에 의하면, 특히 오동작등에 의해 암링크부를 슬로트 내에삽입한 채로, 점검장치가 회전자체의 원둘레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전기와 충돌한다는 부적당한 사태를 회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암자세유지기구에 링크 와이어를 채용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링크 와이어 대신에 판스프링을 설비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 판스프링의 굽힘 방향과 역방향으로 발생하는 복원력(저항력)에 의해서, 굴곡이 제한되는 측의 각도로 링크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기때문에, 그 결과 상기와 같이, 선단부링크체의 돌출후의 자세를 직선형상으로 유지하면서, 암링크부를 상승하는 암동작을 실현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장치에 타이밍벨트와 타이밍풀리를 채용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어, 타이밍벨트 대신에 롤러체인을 사용하고, 타이밍풀리 대신에 스프로켓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거들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는 회전전기 고정자권선의 점검장치에 적용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들어, 상기한 프로브, 암장치 및 이동장치의 각각을 독립된 장치로서, 측정대상이 회전전기등의 발전기 관련분야 뿐만 아니라, 각종 점검, 검사, 조사등이 폭넓은 분야에서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프로브는 정전용량측정뿐만 아니라, 주름부의 측면에 부착시킬 수 있는 측정소자이면, 그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예를들어 초음파 탐지자를 사용한 초음파측정장치등에 적용가능하다.
또, 암장치는 좁은 간극에 예를들어, 수평방향으로 삽입하고 나서, 예를들어 수직방향으로 갑자기 상승하는 암동작을 1 자유도의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으므로, 특히 자유도가 높은 암구조나 복잡한 구동기구를 설치할 수 없는 구조체내 또는 구조체 사이의 간극이나 좁은 장소 등의 한정된 공간내를 측정대상으로서 점검등을 실시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또, 이동장치는 회전자체외에 파이프등의 원주상구조체의 원주면상 둘레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원주상 구조체의 주위에 있는 구조체를 측정대상으로서 점검등을 실시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에 적용가능이다.
(제2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를 도11 내지 도13에 따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실시형태의 암장치를 일부변경하여 실시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등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간략 또는 생략한다..
도11에 나타낸 암장치(10)는 선단부링크체(11a)의 안쪽의 짧은링크(15b)의 형상 및 암자세유지기구(14)의 구성을 변경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짧은링크(15bn) (이하, 선단측에서 순차, 「n=1, 2, …, x - 1」의 부호를 붙임)는 도12에 나타낸 핀(17n)의 축방향의 측면에서 본 경우에, 2개의 측판(P1, P1)을 대략 장방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2개의 단변 형상을 후술하는 타이밍풀리의 곡률에 따라서 만곡시킨 프레임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암자세유지기구(14a)는 상기한 링크 풀리(20), 링크 와이어(21) 및 스프링(22) 대신에, 선단부링크체(11a)내의 최후단 안쪽의 짧은링크(15bx)를 제외하는 복수의 외측 및 내측의 짧은링크(15an, 15bn)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한 복수의 타이밍풀리(80n)과 최후단의 짧은링크(15bx) 내에 부착된 각도구속용의 타이밍풀리(이하, 「각도구속풀리」라함)(80a)와, 이 각도구속풀리(80a)를 포함하는 인접하는 타이밍풀리(80(n+l), 80n)사이에 순차, 서로 다른 벨트를 걸어 연결되는 되는 복수의 타이밍벨트(81n)를 요부로 구비한다. 이중, 최선단의 타이밍풀리(801)의 둘레면에는 돌기(82)가 설비되어 있다.
또, 이 암자세세유지기구(14a)에는 외측의 짧은링크(15an) 내의 전후 2개소에 스토퍼(83na, 83nb)가 또 최선단의 짧은링크(15b1)내에 타이밍풀리(801)의 돌기(82)에 접촉가능한 스토퍼(84)가 설비되어 있다.
여기서, 이 암장치(10a)의 동작원리를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동일한 직경의 타임밍풀리(80n)를 타이밍벨트(81n)로 연결시켰으므로, 모든 타이밍풀리(81n)의 회전방향이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유지되고, 인접하는 타이밍풀리(80(n+l), 80n)의 상대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 각도구속풀리(80a)를 최후단의 짧은링크(15bx)에 대해서 고정했으므로, 모든 타이밍풀리(81n)의 각도가 최후단의 짧은링크(15bx)에 대해 상대적으로 일정해 진다. 또, 최후단의 짧은링크(15bx)는 가이드레일(25)의 수평부만 이동하기 때문에, 각도구속풀리(80a)의 회전각도가 암장치(10a)에 대해 불변이 된다.
따라서 암링크부(11)가 굴곡되더라도 가이드레일(25)에 대해서 모든 타이밍풀리(80a)의 상대각도는 일정해 진다(예를들어, 도12 중의 삼각표시가 동일한 방향을 항상 유지한다).
다음에, 암링크부(11)의 상승 동작을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13( a )에 나타낸 바와같이, 암링크부(11)가 가이드레일(25)에 따라서 이동하고, 최선단의 짧은링크(15bl)가 굴곡되면, 이 짧은링크(15b1)가 최초의 타이밍풀리(80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그 후, 타이밍풀리(801)의 돌기(82)가 스토퍼(84)에 접촉하면, 타이밍벨트(811)에 의해 짧은링크(15b1)가 핀(171)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중의 K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어서, 도13( b )에 나타낸 바와같이, 암링크부(11)가 밀려나가면, 최선단의 짧은링크(15b1)가 인접하는 짧은링크(15a1)내의 스토퍼(831a)에 접촉하고 양 짧은링크(15bl, 15al)의 자세가 직선형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타이밍벨트(812)에 의해 인접하는 짧은링크(15bl, 15a1)가 일체로 핀(172) 주위의 L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도13( c )에 나타낸 바와같이, 최선단의 짧은링크(15b1)가 타이밍벨트(811)에 의해서 도중의 K 방향의 모멘트를 계속 받기 때문에, 이 짧은링크(15b1)와 스토퍼(831a)의 접촉상태가 유지되고, 인접하는 짧은 링크(15b1, 15a1)의 자세가 직선형상으로 유지된다. 또, 암링크부(11)가 압출되면, 짧은링크(15a1)가 스토퍼(831b)에 접촉하여, 짧은링크(15b2)와 직선형상을 이룬다.
상기한 동작이 순차, 반복실행됨으로서, 가이드레일(25)로부터 돌출한 부분의 각 링크(15an, 15bn)이 직선형상을 유지하면서, 자립적으로 상승해 간다.
또, 각도구속풀리(80a)의 각도을 조정함으로서, 암선단부의 타이밍풀리(801)의 돌기(82)가 스토퍼(84)에 접촉할때까지의 허용각도를 조정할 수 있어, 암링크부(11)가 이루는 직선 경사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특히 가이드레일로부터 돌출되는 링크부분이 직선상의 자세를 유지하면서, 상승할 수 있어, 암링크부의 상승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3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를 도14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 실시형태의 프로브를 변경하여 실시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등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간략 또는 생략한다.
도14에 나타낸 점검장치는, 상기와 같은 프로브(1)를 운반이 자유로운 봉상체(90)에 부착된 것이다. 이 봉상체(90)는 프로브(1)를 지지하는 로드(91)와, 이 로드(91)의 후단측에 배치되는 그립(92)과 로드(91)의 축방향의 적당 위치에 조정가능하게 끼워지는 판상의 위치가이드(93)와, 로드(91)의 후단측에 접속되는 튜브(94)를 구비하고 프로브(1)의 공기통로가 로드내의 도시하지 않은 공기통로, 튜브(94)를 거쳐서 별도의 공기압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또, 그립(92)의 적당한 위치에 원격 조작용의 조작버튼(95, 95)이 설비되고, 이 조작버튼(95, 95)이 공기압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전체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회전전기의 고정자 권선(103)의 점검시에, 종래와 같이 회전자체(130)를 철거한 것으로 한다. 이 철거시, 고정자 권선(103)의 측정위치에 따라서 위치가이드(93)의 축방향 위치를 미리 조정해 놓는다 (도면중 H 방향참조). 따라서, 측정자가 한쪽 손(HA)으로 그립(92)을 쥔채로, 프로브(1)를 슬로트 사이에 삽입한다.
이어서, 위치가이드(93)가 고정자 권선에 맞 닿으면, 그 위치에서 조작버튼(95)에 의해 공기압회로(공급회로)를 작동시키고 튜브(94), 로드(91)를 거쳐서 프로브(1)내의 공기통로에 공기를 공급하여, 베이스(2)의 양측의 주름부(3a, 3b)를 팽창시킨다 (도면중의 J방향 참조). 따라서, 고정자 권선의 표면(측정위치)에 측정소자(1a)를 맞닿게 하여 정전용량의 측정을 개시한다.
이 측정이 종료하면, 조작버튼(95)에 의해 공기압회로(흡기회로)를 작동시켜, 상기와 반대의 공기경로로 주름부(3a, 3b)를 수축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회전자체를 고정자체로부터 인출하여 실시하는 종래와 같은 점검시에, 측정소자를 고정자 권선의 일정 깊이의 위치에 정확히또 비교적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어, 그 측정소자를 일정한 힘으로 고정자 권선의 표면에 맞 닿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압착에 대한 작실성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제4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의한 고정자 권선의 정전용량 측정장치는 제1 또는 제2실시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장치구성에 더하여, 측정소자의 도시하지 않은 측정기에 데이터 해석장치를 접속한 것이다. 이 데이터해석장치는 예를들어 퍼스널컴퓨터등으로 구성되어, 측정소자의 측정기로부터의 정전용량의 측정데이터를 받은 경우, 미리 설정된 정전용량 평가용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서, 그 측정데이터의 해석·평가를 행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의 측정방법에서는 전술한 암장치를 구동 시킴으로서, 프로브를 목표로 하는 고정자권선의 간극을 향해서 유도하여, 위치 결정한다. 따라서, 프로브의 주름부를 수축시킴으로서, 측정소자와 고정자권선이 서로 비접촉 상태로 조정한다. 그리고, 이 비접촉상태에서 양자 사이의 공기중의 정전용량을 고정자 권선의 초기 상태에 관한 초기치로서 측정소자로 측정하고, 이것을 측정기를 거쳐서 데이터해석장치로 전송한다.
이어서, 프로브의 주름부를 팽창시킴으로서, 측정소자를 고정자 권선에 접촉시키고, 그 상태로 정전용량을 측정하고, 이것을 상기와 같이 측정소자의 측정기를 거쳐서 데이터해석장치로 전송한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고정자 권선의 정전용량측정 시에, 측정소자와 고정자 권선의 비접촉상태에서의 정전용량을 초기치로서 측정하도록, 복수의 고정자 권선의 각각의 측정 전의 초기 상태를 파악·평가할 수 있어, 측정데이터의 정밀도와 그 신뢰성을 한층더 높이는 이점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암장치를 사용한 자동식측정장치를 적용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어 제3실시형태와 같은 봉상체를 사용한 수동식측정장치에 적용하더라도 좋다.
(제5실시형태)
도15에 나타낸 고정자 권선의 정전용량측정장치는 전술한 각 실시형태의 적어도 1개의 장치구성(설명 생략)에 더하여, 측정소자(1a)에 방전회로(78) 및 그 동작등을 제어하는 콘트롤러(79)를 접속한 것이다. 여기서, 방전회로(78)는 예를들어 콘트롤러(79)로 부터의 방전요구에 대한 지령을 받을 때, 이 측정소자(1a)와 도시하지 않은 측정기의 정전용량 입력단자 사이의 접속케이블을 일시적으로 접지단자에 단락시키는 동작을 행한다.
이 측정장치에서는 정전용량측정의 실시전에 콘트롤러(79)로부터 방전회로(78)에 측정소자(1a)의 방전요구지령을 출력함으로서, 방전회로(78)를 동작시키고 전회의 측정으로 조정소자(1a)에 대전되어 있는 전하를 접속케이블을 거쳐서 방전시키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고정자권선의 정전용량 측정시에 측정전에 측정소자에 대전되어 있는 전하를 방전시키도록 했으므로, 복수의 고정자 권선의 각각을 적어도 대전전하에 관해서는 거의 동일조건으로 측정 할 수 있어, 측정데이터의 정밀도를 한층더 높이는 이점이 있다.
(제6실시형태)
회전전기에는 일반적으로 그 운전전압이 20kv 정도로 대단히 높기 때문에, 철심단부 근처에서의 고정자 권선의 전계강도를 완화하는 처리(코로나방지)를 실시하고, 특히 철심단부로부터 수 10mm에 이르는 부분에 저저항코로나 방지처치가 실시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저저항코로나방지부의 정전용량을 측정하더라도, 고정자 권선의 점검에서 필요로 하는 정확한 값은 거의 기대할 수 없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신자권선의 정전용량 측정시에, 그 측정위치로서, 코로나방지부를 제외하고, 바람직하게는 철심단부로부터 기기 밖으로 나온 부분, 특히 고정자 권선의 직선부에서 곡면부분에 이르는 근방위치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코로나방지부를 제외한 위치를 측정위치로 하면, 복수의 고정자권선를 적어도 저저항코로나방지처치의 영향에 대해서는 거의 동일한 조건으로 정할 수있어, 측정데이터의 정밀도를 한층 더 높이는 이점이 있다.
(제7실시형태)
회전전기는 일반적으로 많은 부유정전용량을 발생하고, 또 발생하고 있는 환경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자 권선의 정전용량측정시에 부유정전용량의 영향을 무시하는 것이 득책은 아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자 권선의 정전용량측정조건으로서, 발생하고 있는 부유정전용량을 제거할 수 있는 측정소자와, 그 계측리드선에 중첩되는 부유 정전용량의 영향을 보정 가능한 교류식 측정기를 채용하고, 측정주파수에 대해서는 측정하는 정전용량치가 작고, 상용주파수 근처나 상당히 높은 주파수로 발진하기 쉽기 때문에, 외부 부유정전용량이 작은 1kHz 근방으로 설정했다.
이와 같이 외부정전용량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측정조건을 구축했기 때문에, 고정자 권선의 정전용량 측정시에, 부유정전용량에 의한 측정오차를 저감하여, 한층 더 정확한 측정결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 진다.
(제8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전용량측정장치는 전술한 각 실시형태중 적어도 1개와 동일한 장치구성에 더하여, 측정소자와 고정자 권선의 접촉부 표면상태를 검사하는 표면상태검사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프로브의 주름부를 팽창시켜 측정소자를 고정자 권선에 접촉시키고, 정전용량을 측정할 때에, 도시하지 않은 계측기를 사용하여 저항치를 동시에 계산하고, 그 저항치를 사용하여 측정소자와 고정자 권선의 접촉상태를 판단하여, 그 접촉부의 표면상태를 검사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계산되는 저항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내의 값이면, 측정소자가 고정자 권선에 정확히 접촉하고, 저항치가 무한대에 가까운 값이면, 측정소자가 고정자 권선에 정확히 접촉하지 않아 환언하면 고정자 권선의 표면에 요철등이 존재하고, 또는 그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고정자 권선의 정전용량측정시에 그 측정전 에 볼 수 없는 장소의 접촉부분의 표면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고, 표면상태가 나쁜 장소에서의 측정을 사전에 회피하여, 측정치의 신뢰성을 한층 높이는 이점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응용예로서, 측정소자가 고정자 권선에 정확히 접촉가능한 소망의 측정위치를 자동으로 탐지하는 시스템을 채용하더라도 좋다. 이 시스템은 예를들어, 상술한 저항치를 측정하는 계측기에 더하여, 그 저항치를 사용한 판단결과에 따라서 암장치나 이동장치를 구동시켜 소망의 측정위치에서 프로브를 위치결정한 것이다.
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측정소자가 고정자 권선에 정확히 접촉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브의 주름부를 수축시켜 측정소자를 고정자 권선에 대해서 비접촉으로 배치시킨다.
따라서 회전자체의 축방향의 고정자 철심측 또는 그 반대측에 수mm의 거리마다 암장치를 이동시키고, 프로브의 주름부를 팽창시켜 측정소자를 고정자 권선에 접촉시키고, 정전용량과 저항치를 측정한다. 이러한 동작을 수cm 거리를 이동할 때 까지 되풀이 한다. 이때, 측정되는 정전용량과 저항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내의 값을 나타낸 시점에서 동작을 종료하고, 이 시점의 축방향의 위치를 시스템내의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등에 기억시켜 놓는다. 이 동작은 축방향의 경우 이지만, 회전자체의 반경방향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실시한다.
(제9실시형태)
도16에 나타낸 정전용량 측정장치는 측정소자(1a)를 동박으로 구성하고 이 동박을 쿠션(4)의 한쪽 면에 붙여, 다른 쪽면을 덮도록 동박으로 구성한 가드(80)를 붙이고, 그 가드(80)의 배면측에 에폭시계수지 등의 절연재로 구성한 절연판(81)을 설비하고, 이 절연판(81)을 거쳐서 측정소자(1a)를 전술한 바와같은 프로브(1)에 부착한 것이다. 기타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와 대략 같다.
이 측정장치에 의하면 측정소자에 절연판 및 가드를 설비했기 때문에, 측정시에 부유하고 있는 정전용량을 유도할 수 있는 동시에, 측정소자와 가드(guard) 사이에 쿠션을 부착했기 때문에, 측정소자를 고정자 권선의 표면상태로했기 때문에 곡면부에 대해서도 측정소자를 동일하게 맞닿게 할수 있다.
(제10실시형태)
도17에 나타낸 점검장치는 전술한 바와같은 프로브(1), 암장치(10) 및 이동장치(40)(설명생략)에 더하여, 고정자 권선(103)의 반경방향의 코일폭을 탐지하여 프로브(1)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이 위치결정시스템은 프로브(1)내의 상하 2개소에 탑재되는 광센서등의 코일폭 탐지용센서(82a, 82b)와, 이 센서(82a, 82b)로 부터의 코일폭에 대한 정보에 준해서 암장치(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시스템에 의한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프로브(1)를 고정자 권선(103a)의 측정위치에 위치결정할때에, 제어부에의한 제어원으로 암장치(10)의 암링크부(11)를 전진 및 상승시키고, 프로브(1)의 상부측에 설비한 센서(82a)에서 외경측의 고정자 권선(103a)의 상측에지부를 검지하고, 그 후에 암링크부(11)를 후진 및 하강시켜 프로브(1)의 하부측에 설비된 센서(82b)로 고정자 권선(103a)의 아래측 에지부를 검지함으로서 이 검출신호에 준하여 제어부로 외경측의 고정자권선(103b)의 반경방향의 권선폭을 산출하여, 그 센터가 측정위치로 되도록 암장치(10)를 구동시켜, 프로브(1)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이 동작은 내경측의 고정자권선(103b)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행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같은 효과에 더하여, 여러개 존재하는 고정자 권선마다 센터를 산출하여 프로브의 위치 결정을 보다 정밀도 좋게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1실시형태)
이 실시형태에 의한 점검장치는 전술한 것과 동일한 프로브, 암장치 및 이동장치(설명생략)에 더하여, 카메라(도1의 부호 75a참조)로부터의 영상에 따라 준하여 고정자 권선의 간극에 프로브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결정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카메라가 촬영하는 고정자권선의 간극에 관한 영상을 넣어, 미리 설정된 화상처리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화상처리장치와, 이 화상처리장치에의한 처리결과에 따라서 이동장치의 둘레방향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이동장치가 둘레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때에, 카메라의 영상을 화상처리장치에 넣고, 이것과 미리 패턴인식시켜 고정자 권선 간극의 센터영상이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것이 매칭되었다고 판단된 시점에서 이동장치의 둘레방향이동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고정자 권선의 간극의 센터위치에 따라서 프로브를 삽입시킬 수 있고, 프로브가 고정자 권선에 충돌하는 부적당한 사태를 거의 회피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응용으로서, 전회의 측정시에 기록한 화상 패턴인식을 하여, 그 화상과 일치한 시점에서 이동장치의 둘레방향이동을 정지시키는 위치 결정시스템을 채용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동일한 고정자 권선을 복수회 측정하는 경우에도, 프로브의 삽입구를 매회 같은 위치로 설정할 수 있어 측정데이터의 신뢰성을 한층더 높이는 이점이 있다.
(제12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점검장치는 전술한 제1실시형태(제5 응용예)와 같이 암장치, 이동장치, 교시조작팬던트(도시하지 않음) 및 둘레방향이동제한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자가 수동으로 점검장치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교시조작펜던트에 의해 수동모드로 전환한다. 이 때, 암의 수납상태에 따라서 둘레방향이동제한장치가 둘레방향용모터의 사용을 제한한다. 즉, 암장치내에 수납되어 있지 않으면 교시조작팬던트에서 둘레방향용모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금지하고 프로브가 암장치내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만 상기 모터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작자가 잘 못하여 프로브나 암링크부가 고정자 권선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둘레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자 권선과 충돌하는 부적당한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제13실시형태)
도18에 나타낸 점검장치는 프로브(1)의 양측의 주름부(3a, 3b)의 외측면에 상술한 제9실시형태와 동일한 절연체(81), 가드(80), 쿠션재(4)를 거쳐서 측정소자(1a, 1b)를 부착하고, 그 양자로부터의 신호선을 측정소자전환회로(83)를 거쳐서 콘트롤러(79)에 접속한 것이다. 전환회로(83)는 릴레이등으로 구성되고, 콘트롤러(79)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좌우 측정소자(1a, 1b)를 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프로브(1)를 측정위치로 이동시키고, 전환회로(83)를 거쳐서 한쪽 측정소자(1a)의 정전용량을 측정한다. 그 후에 전환회로(83)에 의해 다른쪽 측정소자(1b)의 정전용량을 측정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1개소의 측정위치에서 2개소의 고정자 권선의 정전용량을 측정할 수 있어, 측정효율을 한층 더 높이는 이점이 있다.
(제14실시형태)
도19에 나타낸 점검장치는 전술한 이동장치(40)를 생략한 수동조작식 측정장치에 적용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프로브(1)와, 이것을 수동으로 암구동시키는 암장치(10b)를 구비하고 있다.
암장치(10b)에는 전술한 선단부링크체와 대략 같은 링크체(11a)를 프로브(1)와 같이 수납하고 또 이 암구동을 가이드하는 운반이 자유로운 암수납부(전술한 것과 대략 동일한 케이싱(24b), 가이드레일(25b), 수직유도도어(34b)등으로 구성)(210)외에, 이 암수납부(210)의 선단측에 배치설비되고, 또 고정자 권선(103)에 대한 프로브(1)의 위치를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정가능한 너트(213)를 사용한 축방향조정기(211)와, 링크체(11a)의 최후부에 연결되고 또 고정자 권선(103)에 대한 프로브(1)의 직경방향의 위치를 조정 가능한 직경방향조정기(212)가 설비되어 있다.
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축방향조정기(211)의 너트(213)를 조정하여, 암수납부(210)내의 도시하지 않은 직경방향 스토퍼의 측정위치를 2단의 고정자 권선(103a, 103b)의 각각의 직경방향의 측정위치에 따라서 맞추어 놓는다. 따라서, 암수납부(210)를 도시하지 않은 양생시트를 감은 회전자체(130)상에 적재하고, 그 선단측의 축방향조정기(211)을 고정자철심측의 버블캡(bubble cap)(214)에 맞닿게 하여 암수납부(210)의 축방향 위치를 고정한다 (도면중 화살표 a1참조).
이어서, 암수납부(21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반경방향조정기(212)를 반경방향 스토퍼의 위치까지 밀어 맞닿게하는 조작(도면중 화살표 a2 참조)를 수동으로 실시함으로서, 링크체(11a)를 가이드레일(25b)에 따라서 이동시키고, 그 선단측의 프로브(1)를 2단 고정자권선(103a, 103b)의 각각의 반경방향의 측정위치로 유도한다(도면중의 화살표a3 참조). 따라서, 프로브(1)내에 공기압을 가하여 주름부를 팽창시키고, 측정소자(1a)를 고정자 권선(103)에 접촉시켜 정전용량측정을 행한다.
이 측정이 종료하면, 프로브(1)내의 공기를 배출하여 주름부를 축소시키고, 반경방향조정기(212)을 원 위치까지 당겨서 프로브를 암수납부(210)내에 수납시키고, 그 암수납부(210)를 발전기 밖으로 반출하여, 다음 측정대상인 측방의 고정자 권선(103a, 103b)을 회전자체(130)의 둘레방향의 위치로 암수납부(210)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동작을 행하고, 이후 이것을 전 둘레에 거쳐서 순차 반복함으로서 모든 고정자권선(103)의 측정을 행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회전자체를 고정자체로부터 뽑아내지 않고 고정자 권선을 점검하는 경우에도, 측정소자를 고정자 권선의 일정 깊이로 또 고정자 권선사이와 철심단부로부터 일정거리로 동일한 위치에 정확히 또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어, 측정에 관해서는 작업성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제15실시형태)
도20에 나타낸 점검장치는 프로브(1) 및 암장치(10c) 외에, 이 암장치(10c)를 회전샤프트(123)을 사이에 끼우는 지지환(122)과 냉각팬용 부착판(flange)(220) 사이의 오목부공간을 거쳐서 둘레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유지하는 지지기구(310)를 구비하고 있다.
암장치(10c)에는 제14실시형태와 같은 링크체(11a)를 탑재한 암수납부(210)외에, 링크체(11a)를 암구동시키는 에어실린더기구(250)(암구동기구)가 설비되어 있다. 암수납부(210)에는 링크체(209)의 최후미에 반경방향조정기(212a)가 설비되고, 그 스토퍼로서, 2단의 고정자권선(103a, 103b)의 반경방향의 측정위치에 따라서 가변설정가능한 2단의 가변스토퍼(248a, 248b)가 부착되어 있다.
에어실린더기구(250)는 암수납부(210)의 후단부에 부착된 케이싱(251)을 갖고, 이 케이싱(251)내에 에어실린더(252)를 배치하고, 이 피스톤(253)을 반경방향조정기(212a)에 연결 한 것이다. 이 에어실린더기구(250)는 케이싱(251)의 후단측에 형성한 홀딩부(254)의 에어실린더 스위치(255)를 조작함으로서, 에어실린더(252)내에 공기를 송풍하고, 이 피스톤 움직임으로 반경방향조정기(212a)를 앞서 진동시켜 링크체(11a)의 암구동을 개시시킴과 동시에 이 반경방향조정기(212a)가 2단의 가변스토퍼(248a, 248b)의 각각에 접촉된 시점에서 링크체(11a)의 암구동을 정지시키게 되어 있다.
지지기구(310)는 에어실린더기구(250)의 케이싱(251)에 부착되어 전체의 미조정을 행하는 전후 조정 유니트(311)와, 이 조정유니트(311)를 지지환(122)과 플렌지(220) 사이의 서로 대향면을 각각 쌍을 이루는 롤러용 주행면으로서 둘레방향으로 이동자재하게 지지하는 쌍을 이루는 횡롤러, 즉 지지환(122)측의 고정식 횡롤러(312) 및 샤프트(220)측의 가동식 횡롤러(314)를 구비하고, 지지환(122)과 플렌지(220) 사이에 고정식 횡롤러(312)에 대해 가동식 횡롤러(313)을 축방향으로 잡아당기도록 이동시켜서 암장치(10)를 지지하고, 이 양 횡롤러(312, 313)와 전후 조정유니트(311)로 암장치(10)의 축방향의 초기 위치를 결정한다.
또 이 지지기구(310)는 지지환(122)의 단부 둘레면에 회전샤프트(123)측에 축방향으로 돌출시켜서 둘레방향으로 감을수 있는 암장치 탈락방지용의 벨트(314)와, 이 벨트(314)의 회전샤프트(123)측의 면을 롤러용 주행면으로 하고, 전후 조정유니트(311)의 회동자재하게 부착되는 원주롤러(315)를 갖추며, 이 양자(314, 315)로 암장치(10)의 탈락을 방지하여 둘레방향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여기서, 이 실시형태의 전체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2단의 가변스톱퍼(248a, 248b)의 위치를 2단의 고정자 권선(103a,103b)의 각각의 측정위치에 맞추어 놓는다. 그리고 암 수납부(210)를 양생시트(도시하지 않음)를 감은 회전자체(지지환(122))(130)에 재치하고, 에어실린더 스위치(255)를 눌러서 에어실린더(249)를 피스톤 동작시키고, 후단측의 가변스톱퍼(248a)까지 맞닿게하여 정지시킴으로서, 내경측의 고정자권선(103b)의 반경방향의 측정위치로 프로브(1)를 유도한다. 그리고 홀딩부(245)에 설치한 프로브 개폐용 스위치(256)을 눌러서 프로브(1)내에 공기압을 가하여 팽창시켜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정전 용량을 측정한다.
이와같이 내경측의 고정자 권선(103b)의 정전용량 측정이 종료하면, 스위치(247)의 조작으로 프로브(1)를 수축시키고, 재차 에어실린더 스위치(246)를 눌러서 에어실린더(250)를 동작시키고, 선단측의 가변스톱퍼(248b)까지 맞댐으로서 프로브(1)를 외경측의 고정자권선(103a)의 측정위치로 유도한다. 여기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스위치(256)를 눌러서 공기압을 가하여 정전용량을 측정하고, 이것이 종료되면 프로브(2)를 수축시켜서, 암 수납부(210)내에 대피시켜 1 슬로트의 측정을 완료한다. 그후에 암장치(10)를 원주롤러(315)를 통해서 둘레방향으로 수동으로 이동시켜서 암수납부(210)를 전둘레의 슬로트에 손으로 유도하여 측정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회전자체를 고정자체로부터 뽑지않고, 고정자 권선을 점검하는 경우에도, 측정소자를 고정자권선의 일정 깊이로, 그리고 소정의 고정자권선간과 철심단부로부터 일정거리로 동일한 위치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위치결정을 할 수 있으므로, 측정에 관한 작업성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제16실시형태)
다음에 이 발명의 제16실시형태를 도21∼도23에 준해서 설명한다.
도21에 나타낸 점검장치는 프로브(1) 및 암장치(10d)를 요부로 갖춘 것이다. 이중에서 프로브(1)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같이 베이스(2)를 끼우는 양측의 각각에 원형상의 2단의 주름부(3a, 3b)를 축 대칭으로 설치하고, 이중 한쪽의 2단의 주름부(3a, 3a)외측에 쿠션(4a)을 통해서 슬라이드 스토퍼부(5)를 그 다른쪽 2단의 주름부(3b,3b) 외측에 쿠션(4b)을 통해서 측정소자(1a)를 부착하고, 전체가 고정자권선(103)으로부터 삐져나오지 않고, 접촉면적의 대형화가 가능한 타원 형상으로 형성시킨 것이다.
이 점검장치에는 상기의 복수 주름부 방식의 타원상 프로브 채용에 수반하여 프로브(1)를 고정자권선(103)에 대한 유도 및 위치결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여러가지 요소가 부가되어 있다.
예를들어 프로브(1)에는 도23에 나타낸 바와같이 베이스(2)의 축 방향의 양단부 각각에 접촉손상 방지용 프로브 가드(218), 고정자권선(103)간의 측정위치에 프로브(1)를 정해진 각도로 고정하는 수평유도부(215)와, 프로브(1)를 선단부에 프로브 송출시의 저항 경감용의 프로브 차륜(216)과, 프로브(1)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위해 장력을 주는 링크와이어(21)가 설치되어 있다.
암장치(10)는 전술한 선단부 링크체와 동일한 링크체(11a)를 프로브(1)와 함께 수납하고, 또한 그 송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암수납부(210)와, 이 암수납부(210)에 대해 링크체(11a)를 암 구동시키는 암수납부용 모터(29)를 탑재한 암 구동기구를 갖추고 있다. 이 중에서 암수납부(12)의 케이싱(24b)은 고정자권선(103)의 단부를 고정하는 노즈링(nose ring)(219)과 회전자체(130)와의 간극에 설치가능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이 케이싱(24b)에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가이드레일(25b) 및 수직유도도어(34b) 외에 이 수직 유도도어(34)의 선단부에 프로브 송출시의 저항경감용 가이드 차륜(217)이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전체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암수납부용 모터(29)의 구동에 의해 링크체(11a)를 가이드레일(25)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프로브(1)를 수직유도도어(34)로부터 송출한다. 이 프로브 송출은 가이드차륜(217)과 프로브차륜(216)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 프로브(1)는 수직유도도어(34)를 통과할때에 링크와이어(21)의 장력을 받아서 링크체(11a)와의 연결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수평유도부(215)가 링크체(11a)의 저면에 접촉한 시점에서 그 회전을 정지한다. 이 프로브(1)의 회전정지 위치는 프로브(1)의 베이스 축 방향이 링크체(11a)의 암축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 즉 고정자권선(103a)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 상당한다.
이와같은 수평자세를 유지하며, 송출되는 프로브(1)는 프로브가드(218)로 보호되기 때문에 고정자권선(103)과의 사이에 접촉손상하는 일이 없이 유도되어 측정위치에 위치결정된다.
이렇게 하여 프로브(1)에 의한 정전용량 측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2단의 주름부(3a,3a)는 원형상이기 때문에 거의 균일하게 팽창하여 타원형의 측정소자(1a)를 고정자권선(103)에 접촉시켜서 측정이 개시된다. 이 측정이 종료되면 프로브(1)를 암수납부(12)내로 대피시킨다. 이 프로브 대피는 송출과 마찬가지로 가이드 차륜(217)과 프로브차륜(216)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측정소자를 고정자권선으로부터 삐져나오지 않게 하고, 타원형상으로 형성하여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대형화하기 때문에 측정기준치를 높여서 노이즈등의 측정오차의 요인을 낮게 하여 측정 정밀도를 가일층 높일수가 있다. 또한 암의 상승자세에 대해 프로브를 수평자세로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상하 각각의 고정자권선에 대해 평행으로 프로브를 유도할 수 있고, 그 결과 측정에 관한 작업성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가 있다.
또 복수의 원형상의 주름부를 조합하고 있기 때문에 각 주름부에 균등하게 공기압력을 작용시켜서 측정소자를 일개의 주름부보다도 안정하게 팽창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제17실시형태)
다음에 이 발명의 제17실시형태를 도24 및 도25에 의해서 설명한다.
도24에 나타낸 정전용량 측정장치는 고정자권선(104)이나 회전자체(130)등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팬용 플랜지(220)에 부착가능한 원주면 둘레방향 이동장치(원통궤도측정장치)(40a)를 갖추고 있다.
이 이동장치(40a)는 플랜지(220)의 반경방향 외측에 부착되는 원통상의 궤도 베이스(221)와, 이 베이스(221)의 반경방향 외측면(상면)에 감긴 상태로 궤도고정(223)을 통해서 베이스(221)에 지지고정되는 대판상의 궤도가이드(228)와, 이 궤도가이드(228)로 확보되는 회전자체(130)의 둘레방향의 궤도를 따라 암장치(10)를 이동시키는 이동체(240)를 갖추고 있다.
궤도베이스(221)는 도25에 나타낸 바와같이 핀 조인트 기구를 사용한 원주조정기(231)의 조정에 의해 외형이 다른 이형 냉각팬 플랜지에도 대응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플랜지(220)의 축방향 측면의 복수의 팬 부착구멍(220a)을 통해서 팬 볼트(222)로 부착된다.
이동체(240)는 상술한 이동장치 본체(57)와 거의 마찬가지의 본체(57a)를 가지며, 이 본체(57a)에 구동차륜(224···224)를 설치하고, 이것과 궤도 가이드(228)를 사이에 끼워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 링크(226) 또는 슬라이드 링크(227)를 통해서 종동차륜(225···225)을 연결한 것이다. 슬라이드 링크(227)는 고정 링크(226)의 대각에 설치되어 궤도 가이드(228)로부터 이동체(240)를 대피시키면서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체(57a)와 종동 차륜(225)의 각각과의 사이에는 그 차륜(224)을 궤도 가이드(228)측으로 잡아당겨서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장력기(22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이동장치(40a)를 회전자체(130)상에 설치할 때에는 우선 궤도 베이스(221)를 핀 조인트 기구의 조정에 의해 냉각 팬 플랜지(220)의 전 둘레에 장치하고, 그 베이스(221)의 상면에 궤도 가이드(228)를 감는다. 그리고 이동체(240)를 미리 슬라이드 링크(227)를 대피한 위치에서 궤도 가이드(228)상에 재치하고 슬라이드 링크(227)를 삽입하여 장력기(229)를 작용시키면 좋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냉각팬 플랜지에 궤도 가이드를 확보하여 전 둘레의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측정에 관한 작업성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제18실시형태)
다음에 이 발명의 제18 실시형태를 도26 및 도27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26 및 도27에 나타낸 점검장치는 상술한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회전자체(130)를 철거하여 고정자권선(103)을 점검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운반자재의 수동식 협애부 측정장치이며, 측정소자(1a)를 신축자재의 주름부를 통해서 부착한 거의 원형상의 프로브(1)와, 이 프로브(1)를 지지하는 운반자재의 자재봉(90)을 갖추고 있다.
프로브(1)의 가장자리에는 고정자권선(103)에 대한 삽입시의 접촉손상등을 방지하기 위한 프로브가드(218a)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프로브(1)의 가장자리 2개소에는 복수의 자재면을 갖는 너트와 그 볼트로 구성되는 둘레방향 위치결정부(205, 205)가 부착되어 있다. 이 위치결정부(205)는 그 자재면의 고정자권선(103)측면부에 압착하여 둘레방향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또한 권선(103)의 곡면부분에 추종시켜서 둘레방향의 위치결정을 실시하는 것이다.
자재봉(90)에는 그 길이를 신축자재하게 조정하기 위한 신축조정너트(206)와, 그 프로브(1)측에 축방향 위치결정부(203) 및 지름방향 위치결정부(204)(도면중의 부호201은 쿠션을 나타낸다)와 그 그립측에 프로브(1)의 팽창수축에 관한 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버튼(95) 및 그 표시기(291a, 291b)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 실시형태의 전체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프로브(1)를 고정자권선(103)에 삽입하기 전에 신축조정너트(206) 및 각 위치결정부(203∼205)를 고정자권선(103)의 소망하는 측정 위치에 따라 미리 조정해둔다. 예를들어 고정자권선(103)의 크기에 따라 봉상체(90)의 길이를 신축조정너트(206)로 조정함과 동시에 축방향위치결정부(203)의 설정치수는 철심누름부(300)에 치우치게 하고, 지름방향 위치결정부(204)의 설정거리는 축방향위치결정부(203)에 연결되는 봉상체를 끼워 넣은 상태로 고정자권선(103)의 단부로 치우치게 하고, 둘레방향위치결정부(205)의 설정위치는 고정자권선(103)간의 측정위치에 맞추어 둔다.
그리고 프로브(1)를 조작버튼(95)으로 수축시켜서 고정자권선(103)의 틈 사이에 삽입해간다. 이 프로브 삽입은 프로브 가드(218a)에 의해 고정자권선(103)간의 걸리는 것 등이 회피되기 때문에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고정자권선(103)에 각 위치결정부(203∼205)가 접촉한 시점에서 종료한다. 이와같이 프로브(1)가 위치결정되면 조작버튼(95)을 조작하여 프로브(1)를 팽창시키고, 그것이 소정압력으로 상승한 것을 표시기(291a, 291b)의 색 변화로 확인하여 정전용량 측정을 개시한다. 이 측정이 종료되면 다시 조작버튼(95)을 눌러서 프로브(1)를 수축시키고, 이후 마찬가지 동작을 나머지 고정자권선(103)에 대해서 실시한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종래와 마찬가지로 회전자체를 조정자체로부터 뽑아서 점검하는 경우라도 측정소자를 고정자권선의 일정깊이 및 고정자권선과 철심단부로부터 일정거리의 동일한 위치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위치결정할 수가 있어서 작업효율이 더 한층 향상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원형상의 프로브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들어 상기 제16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타원형상(거의 원형상)의 프로브를 채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원형상 주름부를 복수단 조합시키므로써 측정소자의 고정자권선에 대한 접촉면적을 가일층 넓게 확보할 수가 있으며, 예를들어 측정기준치를 높여서 노이즈등의 측정오차 요인의 영향을 적게 하여 측정 정밀도를 가일층 높이는 이점도 있다.
(제19실시형태)
도28에 나타낸 점검장치는 상술한 제3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회전자체를 철거하여 고정자권선을 점검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운반 자제의 수동식 협애부 측정장치이며, 프로브(1)와, 이것을 지지하는 운반자재의 측정봉(봉상체)(90)을 갖추며, 프로브(1)를 측정봉(90)의 선단부에 설치한 조인트용의 구면형상의 볼록부(프로브부착부)(90a)를 통해서 전후 좌우방향(도면중의 화살표 참조)으로 요동자재하게 부착된 것이다.
프로브(1)은 측정소자(1a)를 동박(200a)으로 구성하고, 이것을 쿠션재(201)의 한쪽면에 붙이고, 그 쿠션재(201)의 다른쪽면에 접지용 동박(200b)를 통해서 절연판(202)을 부착하고, 그 판(202)의 내부에 측정봉(290)의 구면상 볼록부(90a)와 서로 조인트를 이루도록 끼워 맞출수 있는 구면상 오목부(202a)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측정봉 선단부에 프로브를 요동자재하게 조인트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측정봉 위치(자세)의 제약을 받음이 없이 프로브를 고정자권선에 가일층 정확하게 접촉할 수 있다. 또 쿠션재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자권선의 표면에 따르도록 측정소자를 밀착시키는 이점도 있다. 이 효과는 고정자권선등이 복잡하게 들어 있는 장소에 측정소자를 유도하고, 이것을 고정자권선에 접촉시킬때 최대한으로 발휘시킬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측정소자를 이용한 점검장치에서는 측정소자를 암장치에 부착하고, 이 암장치를 구조체(예를들어 회전전기의 회전자체)에 부착하는 동시에, 암장치는 암링크체 및 암구동시스템을 구비하고, 특히 구조체에 대해서 암링크체를 소정 방향(예를들어 회전자체의 축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키면서 이 방향에 대해서 측정위치(예를 들어 고정자권선의 간극)측으로 향한 각도로 돌출시키는 동시에 이와같이 돌출되는 암링크체의 암자세를 직선상으로 유지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사용공간이 제한되고, 도중에 굴곡이 없으면 도달할 수 없는 소정위치(예를들어 고정자권선의 간극)으로의 위치결정을 암링크체의 슬라이드 구동만으로, 즉 1자유도의 단순한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그 효과로는 회전전기 고정자권선의 점검장치에 사용한 경우에는 최대한으로 발휘되고, 이 경우에는 회전자체를 고정자체로부터 뽑아내지 않고 고정자권선을 비교적 용이하게 또 정확하게 실시하고, 또 이 점검작업을 단시간에 종료할수 있는 실용성이 높은 점검장치를 간소하게 구축할 수 있고, 비교적 저가로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5)

  1. 구조체에 지정된 소정의 측정위치에 측정소자를 설치하고, 그 측정소자가 검출한 측정치에 따라 상기 구조체를 점검하도록 한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정소자를 암장치에 부착시키고, 이 암장치를 상기 구조체에 부착하는 동시에 상기 암장치는 상기 측정소자를 지지하는 복수의 링크를 갖고, 또 그 복수의 링크를 암축방향으로 연결한 암링크체와, 이 암링크체를 구동함으로서, 상기복수의 링크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측정소자를 상기 측정위치에 설치하는 암구동시스템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구동시스템은, 상기 구조체에 대해서 상기 암링크체를 소정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면서, 그 방향에 대해서 상기 측정위치측으로 향한 각도로 돌출되는 암이동수단과, 이 암이동수단에 의해 돌출되는 상기 암링크체의 암자세를 직선상으로 유지하는 암자세유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동수단은, 상기 암링크체의 이동 및 돌출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체와, 이 가이드체에 대해서 상기 암링크체를 암구동시키는 구동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체는, 상기 암링크체의 돌출시에 상기 측정위치측을 향한 각도로 열리는 개폐가 자유로운 도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너트를 지지하는 이송나사를 갖고, 또 그 이송나사를 회전시켜 상기 너트를 이송나사의 축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기구이고, 상기 너트를 상기 암링크체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기구는, 상기 이송나사를 외부에서 강제로 회전시키는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크 내의 인접하는 링크는 서로 연결축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직선상의 암자세로 정해지는 각도와, 상기 직선상의 암자세의 한 쪽을 향해서 제한된 소정각도의 사이에서 요동이 자유로운 링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암자세유지수단은 삭조체 및 이 삭조체의 양단부 안의 한쪽에 연결되는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삭조상체의 양단부 안의 다른쪽을 상기 복수 링크의 각각의 연결축의 한 쪽을 통해서 상기 복수의 안쪽의 선단측 링크에 고정하여, 상기 탄성체를 상기 복수의 안쪽의 후단측 링크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암자세유지수단은, 판스프링을 구비하고, 이 판스프링의 양단부를 상기 복수 링크의 각각의 연결축의 한 쪽을 통해서 상기 복수의 안쪽의 선단측 및 후단부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암자세유지수단은, 상기 복수 링크의 각각의 연결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복수의 풀리와, 이 복수의 안쪽의 인접하는 풀리를 서로 다르게 연결하는 복수의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안쪽의 후단측 풀리의 회전각도를 구속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안쪽의 선단측 풀리의 회전각도를 상기 복수의 안쪽의 선단측 링크에 대해서 소정 각도로 제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크는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회전전기의 회전자체 및 고정자체이고, 상기 측정위치는 상기 고정자체에 지정된 고정자 권선의 간극의 위치인동시에, 상기 소정 방향이 상기회전자체의 축방향이 되도록 상기 암장치를 상기 회전자체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암장치를 원주면 둘레방향이동장치를 거쳐서 상기 회전자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면둘레방향 이동장치는 상기 회전자체의 원주방향에 따라서 부착이 자유로운 타이밍벨트를 갖는 벨트체와, 이 타이밍벨트에 톱니맞춤되는 타이밍 풀리를 회전이 자유롭게 구동시키는 구동체와, 상기 원둘레방향을 따라서 부착이 자유로운 삭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자체에 상기 벨트체을 감아 부착하고, 이 벨트체상에 상기 구동체를 배치하여 구동체를 상기 벨트체에 밀도록 삭조체를 상기 회전자체에 감아 부착하는 동시에, 상기 구동체에 상기 암장치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체는, 벨트 및 이 벨트를 권상가능한 권상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타이밍벨트의 양단측에 상기 벨트를 부착시키고, 이 벨트를 상기 권상장치로 감아 올림으로서, 상기 타이밍벨트를 상기 회전자체에 감아 부착하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삭조체의 양단부 안의 한쪽에 벨트를 부착하고, 이 삭조체의 양단부 안의 다른쪽에 상기 벨트를 권상가능한 권상장치를 부착하고, 이 권상장치로 상기 벨트를 감아 올림으로서 상기 삭조체를 상기 회전자체에 감아 부착하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삭조체에 장력 조정기를 설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면둘레방향 이동장치는 상기 회전자체의 원둘레방향을 따라서 부착이 자유로운 롤러체인과, 이 롤러체인에 톱니맞춤되는 스프로켓을 회전이 자유롭게 구동시키는 구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자체에 상기 롤러체인을 감아 부착하며, 이 롤러체인상에 상기 구동체를 배치하고, 구동체를 상기 롤러체인측으로 밀도록 상기 삭조체를 상기 고정자체에 감아부착하는 동시에 상기 구동체에 상기 암장치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19. 제13항 내지 제1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암장치의 상기 회전자체의 축방향의 위치 및 상기 원주면둘레방향 이동장치에서의 상기 회전자체의 원주방향 위치의 각각의 원점을 설정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소자는 대략 원형상의 측정소자이고, 이 측정소자를 프로브를 거쳐서 상기 암링크체에 부착한동시에, 프로브는 상기 암링크체에 부착된 베이스체와, 이 베이스체의 양쪽에 부착되는 신축이 자유로운 주름부와, 이 주름부에 공기를 공급 및 배출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주름부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측정소자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21. 회전전기의 고정자 권선의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대략 원형상의 측정소자와, 이 측정소자를 지지하는 프로브와, 이 프로브를 지지하는 운반이 자유로운 봉상체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프로브와, 베이스체와, 이 베이스체의 양측에 부착되는 신축이 자유로운 주름부와, 이 주름부에 공기를 공급 및 배출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주름부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측정소자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22. 회전전기의 고정자 권선의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측정소자와, 이 측정소자를 상기 회전전기의 회전자체의 축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고정자 권선의 간극에 지정된 측정위치에 위치결정시키는 이동시스템을 구비하고, 이 이동시스템은 서보모터를 갖는 구동기구와, 상기 측정소자에 의한 정전용량의 측정시에 서보모터의 권선이 비여자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측정소자에의한 정전용량의 측정시에 서보모터의 회전각이 비검출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24. 복수의 링크를 갖고 또 복수의 링크를 암축방향에 연결한 암링크체와, 이 암링크체를 소정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면서, 그 방향에 대해서 소정 각도로 돌출하는 암이동수단과, 이 암이동수단에 의해 돌출되는 상기 암링크체의 암자세를 직선상으로 유지하는 암자세유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크 안의 인접하는 링크가 서로 의 연결축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직선상의 암자세로 정해지는 각도와, 직선상의 암자세의 한 쪽을 향해서 제한된 소정각도의 사이에서 요동이 자유로운 링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장치
  26. 원주상 구조체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부착이 자유로운 타이밍벨트를 갖는 벨트체와, 이 타이밍벨트에 맞물리는 타이밍풀리를 회전이 자유롭게 구동시키는 구동체와,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서 부착이 자유로운 삭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원주상 구조체에 상기 벨트체를 감아 부착하고, 이 벨트체상에 상기 구동체를 배치하여 이 구동체를 상기 벨트체측에 압착하도록 상기 삭조체를 상기 원주상 구조체에 감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면둘레방향 이동장치.
  2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구동시스템은, 상기 암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암링크체와 같이 돌출되는 상기 측정소자의 돌출후의 베이스 자세를 암링크체의 암자세에 대해서 소정 각도로 유지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2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암구동시스템은, 상기 암이동수단에 의해서 상기 암링크체가 이동 및 돌출되는 때에 상기 고정자 권선의 반경방향의 권선폭을 검출하여, 그 검출치를 이용하여 고정자 권선의 측정위치를 지정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2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암구동시스템은 상기 고정자 권선의 반경방향의 소망 위치에 상기 측정소자를 위치결정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3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면둘레방향 이동장치는 상기 측정소자를 부착한 암장치를 상기 회전자체의 둘레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면둘레방향이동장치는 상기 측정소자의 고정자 권선의 간극으로의 둘레방향의 삽입위치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면둘레방향 이동장치는, 상기 암장치에 대한 상기 측정소자의 배치상태에 준해서 암장치의 둘레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3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복수의 주름부이고, 이 복수의 주름부가 수축시 적어도 상기 측정소자를 덮는 커버를 상기 프로브가 구비한 것을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3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소자는 동박으로 구성되고, 이 동박을 쿠션재의 한쪽 면에 붙이고, 이 쿠션재의 다른쪽 면을 접지용 동박으로 덮어, 이 접지용동박을 절연재를 거쳐서 상기 프로브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3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체의 양측 각각에 상기 상기 주름부 거쳐서 측정소자를 부착하고, 이 양측의 측정소자를 서로 전환하여 측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3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봉상체는, 상기 프로브를 상기 회전전기의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프로브는 상기 고정자 권선의 간극에서 상기 측정소자를 둘레방향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위치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3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복수의 주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38. 회전전기의 고정자 권선의 정전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소자와, 이 측정소자를 지지하는 프로브와, 이 프로브를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봉상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39.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를 사용하여 회전전기의 고정자 권선간극에 지정된 측정위치에, 상기 측정소자를 위치 결정하고, 그 측정소자를 사용하여 상기 고정자 권선 사이의 비접촉상태의 정전용량을 초기치로서 측정하고, 그 후에 고정자 권선에 접촉시키고 그 접촉상태의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회전전기 고정자권선의 정전용량측정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스텝 전에, 측정소자에 대전 되어 있는 전하를 방전시키는 스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 고정자권선의 정전용량측정방법.
  41. 제39항 또는 제40항 있어서, 상기 측정위치로서, 상기 고정자권선의 철심단부로부터 기기밖으로 뻗어 있는 노출부분 내의 코로나방지 처치가 행해지는 부분 이외의 부분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회전전기 고정자권선의 정전용량측정방법.
  42.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를 사용하여 회전전기의 고정자 권선의 간극에 지정된 측정측정 위치에, 측정소자를 위치결정하고, 그 측정소자를 상기 고정자권선에 접촉시켜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동시에 이 정전용량치를 평가하는 데이터로서, 상기 고정자 권선 사이의 상기 측정소자의 접촉상태에 대한 저항치를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 고정자권선의 정전용량측정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로서, 그 측정소자를 적어도 상기 고정자 권선 간극에 공간적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암장치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회전전기 고정자권선의 정전용량측정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치를 계측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저항치를 계측하면서, 상기 암장치를 구동시켜 상기 고정자 권선의 측정위치를 자동탐색시키는 공정을 이용하는 것이 특징인 회전전기 고정자권선의 정전용량측정방법.
  45. 제39항 내지 제4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소자의 측정주파수로서, 1kHz 근처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회전전기 고정자권선의 정전용량측정방법.
KR1019970007288A 1996-03-05 1997-03-05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암장치 및 원주면둘레방향이동장치 KR1002663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047823 1996-03-05
JP47823 1996-03-05
JP4782396 1996-03-05
JP348159 1996-12-26
JP96-348159 1996-12-26
JP34815996A JP2859596B2 (ja) 1996-03-05 1996-12-26 回転電機点検装置および回転電機点検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267A true KR19980063267A (ko) 1998-10-07
KR100266349B1 KR100266349B1 (ko) 2000-09-15

Family

ID=26388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288A KR100266349B1 (ko) 1996-03-05 1997-03-05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암장치 및 원주면둘레방향이동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969531A (ko)
EP (1) EP0794437B1 (ko)
JP (1) JP2859596B2 (ko)
KR (1) KR100266349B1 (ko)
CN (1) CN1065682C (ko)
AU (1) AU720112B2 (ko)
CA (1) CA2199222C (ko)
DE (1) DE6972901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35683C (en) 1997-06-09 2007-02-13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in situ field stator bar insulation capacitance mapping
US6100711A (en) * 1998-03-24 2000-08-08 General Electric Co. Miniature air gap inspection device
US6597163B2 (en) * 2000-07-26 2003-07-22 Seagate Technology Llc Contamination resistant probe attachment device
DE10107401A1 (de) * 2001-02-14 2002-08-29 Alstom Switzerland Ltd Vorrichtung zur Generatordiagnose bei eingebautem Rotor
KR20030033692A (ko) * 2001-10-24 2003-05-01 한국전력공사 발전기 고정자의 권선용 정전용량 측정프로브
JP4376533B2 (ja) * 2003-03-25 2009-12-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超音波探触子
JP4497916B2 (ja) 2003-10-24 2010-07-07 株式会社東芝 コイルの余寿命推定方法およびコイルの余寿命推定装置
US7252133B2 (en) * 2004-05-04 2007-08-07 Albany International Corp. High load operation of an industrial roll door
US7201055B1 (en) * 2005-10-10 2007-04-10 General Electric Company Ultrasonic miniature air gap inspection crawler
US7500396B2 (en) * 2005-10-20 2009-03-10 General Electric Company Phased array ultrasonic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or rotor teeth inspection
US7681452B2 (en) * 2006-01-04 2010-03-23 General Electric Company Junior ultrasonic miniature air gap inspection crawler
US7555966B2 (en) * 2006-05-30 2009-07-07 General Electric Company Micro miniature air gap inspection crawler
US7343828B2 (en) * 2006-05-30 2008-03-18 The Coca-Cola Company Tape fed miniature air gap inspection crawler
US7616012B2 (en) 2007-05-11 2009-11-10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capacitance in a stator component
US10427290B2 (en) * 2017-07-18 2019-10-01 General Electric Company Crawler robot for in situ gap inspection
US7818139B2 (en) * 2008-10-24 2010-10-19 General Electric Company Rotor/stator relative position determining method and apparatus
GB2474246B (en) * 2009-10-07 2012-02-08 Alstom Technology Ltd Apparatus for inspection of a gap
US8830448B2 (en) * 2011-12-22 2014-09-09 General Electric Company Remote monitoring of tightness of stator windings
US8640531B2 (en) * 2012-04-17 2014-02-04 General Electric Company Turbine inspec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 of operation
ITMI20121905A1 (it) * 2012-11-08 2014-05-09 Ansaldo Energia Spa Apparecchiatura per il rilevamento di cortocorcuiti in avvolgimenti rotorici di macchine elettriche
US20150233787A1 (en) * 2014-02-19 2015-08-20 Abb Technology Ag Air gap crawler installation device
CN105398988A (zh) * 2015-11-18 2016-03-16 西南科技大学 一种应用于大坝检测的柔索驱动机构
CN105974287A (zh) * 2016-06-28 2016-09-28 中国大唐集团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华东分公司 定子铁芯故障检测的辅助装置及其检测方法
WO2018055004A1 (en) * 2016-09-23 2018-03-29 Aktiebolaget Skf Dielectric heating of motor insulation with rf energy stimulus to repair defects and degradation in the insulating material in-situ
US10603802B2 (en) 2017-07-18 2020-03-31 General Electric Company End region inspection module and method for in situ gap inspection robot system
US10434641B2 (en) 2017-07-18 2019-10-08 General Electric Company In situ gap inspection robot system and method
US10596713B2 (en) * 2017-07-18 2020-03-24 General Electric Company Actuated sensor module and method for in situ gap inspection robots
US10427734B2 (en) * 2017-07-18 2019-10-01 General Electric Company Omnidirectional traction module for a robot
CN107621216B (zh) * 2017-09-22 2023-11-24 庆铃汽车(集团)有限公司 汽车转向节组合检具
JP6833670B2 (ja) * 2017-12-27 2021-02-24 株式会社東芝 検査システムおよび検査方法
JP6889099B2 (ja) * 2017-12-27 2021-06-18 株式会社東芝 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CN108964358B (zh) * 2018-09-06 2024-05-17 果***造(上海)技术股份有限公司 线性传输***的无缆供电装置
DE102019207248A1 (de) * 2019-05-17 2020-11-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Prüffahrzeug
CN114930177A (zh) 2019-08-20 2022-08-19 通用电气公司 用于多个传感器的具有剪刀式升降装置的传感器接口模块和用于机器人的具有双视图路径的目视检查模块
CN110497891A (zh) * 2019-09-03 2019-11-26 淮安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辅助停车的备用轮胎
CN111122395B (zh) * 2019-12-04 2022-05-13 天津大学 一种移动式超音速喷嘴连续测量***
KR102407754B1 (ko) * 2020-11-13 2022-06-1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렉서블 프로브를 가지는 스캐너
CN112525445B (zh) * 2021-01-08 2021-07-09 贵州送变电有限责任公司 一种墙内输电线路的穿墙套管密封检测装置
CN112698204B (zh) * 2021-01-09 2021-09-07 哈尔滨工业大学 一种电机检测***
DE102021115531A1 (de) 2021-06-16 2022-12-2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Dichtigkeit einer elektrischen Antriebsmaschine
CN114252709B (zh) * 2021-12-29 2023-11-14 江西鑫铂瑞科技有限公司 一种中控***台电信号校准辅助***
KR102571522B1 (ko) * 2023-07-05 2023-08-25 한국자동차연구원 전기차 구동모터 베어링의 전식수명 평가를 위한 등가회로모델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9000A (en) * 1987-02-11 1989-12-26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ctric generator inspection system and motor controller
JPH01214244A (ja) * 1988-02-22 1989-08-28 Toshiba Corp 楔計測装置
IT1269818B (it) * 1994-05-23 1997-04-15 Ansaldo Gie Srl Apparecchiatura e procedimento diagnostico per il monitoraggio della efficienza di generatori elettrici rotanti, come turbo alternatori
JP2856698B2 (ja) * 1995-08-08 1999-02-10 株式会社東芝 回転電機用固定子巻線の静電容量測定装置とその方法ならびに回転電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94437B1 (en) 2004-05-12
KR100266349B1 (ko) 2000-09-15
EP0794437A2 (en) 1997-09-10
CN1065682C (zh) 2001-05-09
JP2859596B2 (ja) 1999-02-17
AU720112B2 (en) 2000-05-25
CN1167359A (zh) 1997-12-10
US5969531A (en) 1999-10-19
DE69729019D1 (de) 2004-06-17
EP0794437A3 (en) 1999-04-07
AU1510797A (en) 1997-09-11
CA2199222C (en) 2001-06-19
DE69729019T2 (de) 2005-05-04
CA2199222A1 (en) 1997-09-05
JPH09331656A (ja) 1997-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6349B1 (ko) 측정소자를 사용한 점검장치, 암장치 및 원주면둘레방향이동장치
CN101567609B (zh) 用于检查间隙的设备
JP2750778B2 (ja) 発電機ステータウェッジの締まり具合を測定する装置
RU2293980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неисправностей сердечников
US7743675B2 (en) Apparatus for impact testing for electric generator stator wedge tightness
US49015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wedge
US5563357A (en) Instrument carrier and method for the inspection of a dynamoelectric machine in a gap between a stator and a rotor
CN107218972A (zh) 多功能外观检测装置
KR100594783B1 (ko) 고정자 바아상의 절연체의 커패시턴스를 인-시튜 매핑하는 방법 및 장치
JPH11318056A (ja) ミニチュア空隙検査装置
EP3221711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on of a generator stator core step iron region with the rotor in-situ
CN109283479A (zh) 互感器检测校验设备
CN113391206A (zh) 发卡式定子检查装置和用于测试该发卡式定子的方法
KR100236868B1 (ko) 전기회전기용 고정자 권선의 정전용량 측정장치
CN108759696A (zh) 内孔成像测量仪
US20240085480A1 (en) Inspection device for rotary electric machine, inspection system for rotary electric machine, inspection method for rotary electric machine, and rotary electric machine to be inspected using inspection device
CN100440394C (zh) 组装具有密封橡胶的电解质电容器的方法和设备
JP2735284B2 (ja) 回転電機の補修装置
CN205748278U (zh) 音圈马达的检测装置
CN118089809B (zh) 一种电动汽车充电桩线用检测装置
KR102673567B1 (ko) 초점 위치의 멀티 캘리브래이션에 기초하는 엑스레이 검사 방법
JP4664265B2 (ja) エックス線分析装置
WO2014181711A1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計測装置及びコネクタハウジング計測方法
JPS5824783Y2 (ja) 管内検査用探傷子
CN105717195A (zh) 隔板主焊缝检测***和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